포리덤 "외국인 취업부터 정착까지 한번에 해결"
외국인 취업·정착 플랫폼 '비잡(Vijob)'을 운영하는 포리덤(대표 박종일)이 최근 글로벌 인재 국내 유입과 정착을 돕는 통합 플랫폼 '브릿지(Vridge)'를 출시했다. '브릿지'는 국내 기업과 해외 파트너(에이전시, 행정사 등)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채용 의뢰부터 후보 추천, 면접, 비자 발급, 출입국, 입국 후 관리까지 전 과정을 한눈에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게 한 서비스다. 복잡하게 나뉘어 있던 절차를 하나로 묶어 진행 현황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박종일 포리덤 대표는 최근 지디넷코리아와 인터뷰에서 "외국인이 한국에서 좋은 경험을 쌓고, 그들이 일하고 살아가는 과정이 행복해질 때 국가와 기업도 글로벌로 함께 성장한다. 포리덤은 외국인의 든든한 첫 동반자이자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인재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가 설립한 포리덤은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일하고, 머물고, 살아가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AI 기반 혁신형 플랫폼 서비스 기업이다. 대표적 서비스 플랫폼 '비잡(Vijob)'을 통해 외국인 구직과 정착 등 각종 생활 편의를 돕고 있다. 또 최근 출시한 글로벌 인재 유치 플랫폼 '브릿지(Vridge)'를 통해 한국내 기업과 해외 인재를 투명하게 연결하는 생태계도 구축했다. 포리덤 창업 배경에 대해 박 대표는 "한국 내 체류 외국인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여전히 언어·비자·문화 장벽 때문에 구직은 물론 정착이 쉽지 않다. 많은 외국인이 정보 부족과 복잡한 절차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국내 기업도 좋은 인재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이 문제를 AI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으로 풀어보기 위해 포리덤을 설립했다. '한국에 오기 위한 첫 걸음부터 안정적으로 함께 하는 생활 플랫폼'이 우리의 출발점이다"고 들려줬다. 회사 이름 포리덤(FOREEDOM)은 'Foreigner+Freedom'의 합성어다. 국적과 언어, 문화의 경계를 넘어 모두가 자유롭게 일하고 살아가길 바라는 뜻을 담았다. 회사 슬로건은 'Walk Together, Run Together, Shine Together'로 함께 걷고, 함께 달리고, 함께 빛나자는 의미다. 포리덤은 현재 두 개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첫째가 '비잡(Vijob)'이다. AI 기반 외국인 정착 지원 플랫폼이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일하고 생활할 수 있게 돕는 서비스다. 여러 특장점이 있다. 첫째, 다국어 채용 지원이다.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 등 15개국 이상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자동 번역 채팅과 채용 관리 기능으로 언어 장벽을 해소했다. 특히 주거, 의료, 생활, 금융 지원을 모듈화해 입국 후 정착까지 일괄 케어한다. 컨설팅과 경력 개발도 돕는다. 회사는 '비잡'외 '브릿지(Vridge)'라는 AI 기반 글로벌 인재 유치 통합 플랫폼도 운영하고 있다. 한국 기업과 해외 파트너(대학·에이전시·행정사 등)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해 '채용 의뢰 → 후보 추천 → 면접 → 비자 발급 → 입국 → 정착 관리'까지 전 과정을 한눈에 확인하고 기록할 수 있는 통합형 관리 솔루션이다. "우리 플랫폼은 불법적인 브로커 개입을 차단하고, 투명하고 합법적인 인재 이동 및 교류 시스템를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박 대표는 설명했다. 조사기관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50만 명 이상이다. 외국인 유학생은 25만명 수준이다. 와중에 국내 산업현장과 서비스업 전반에 외국인 인력 수요는 증가세다. 박 대표는 "현재 외국인 채용 절차는 복잡하고, 정보는 흩어져 있으며, 불법적 브로커들의 문제도 여전하다"면서 "포리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용-입국-정착'을 하나의 데이터 흐름으로 파악하고 AI를 기반으로 통합했다. 특히 '브릿지' 플랫폼을 통해 유치(해외) → 비잡을 통한 정착(국내)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든 것은 이 분야에서 최초라고 자부한다. 신기술 중심 자동화와 다국어 지원, 투명한 절차 관리가 우리의 차별화한 경쟁력"이라고 힘줘 말했다. 포리덤의 고객사는 제조·물류·외식·숙박·병원·복지 등 외국인 수요가 필요한 중소·중견기업이다. 회사는 스타트업과 대학, 지자체 및 서울시 글로벌센터 등과 협력해 외국인 채용 캠페인과 박람회 참가를 확대하고 있다. "앞으로는 대학 유학생관리 시스템까지 연동해 입국부터 유학·취업까지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시킬 계획"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회사는 해외 시장도 정조준했다. 이미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미얀마, 중국, 방글라데시,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인도, 캄보디아, 네팔 쪽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들과 함께 현지 인재 송출부터 한국 기업 매칭까지 이어지는 '직도입 시스템'을 구축했다. 향후에는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를 넘어 글로벌로 파트너십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 대표는 "단순 인력 알선이 아닌, '적합한 교육과 채용 및 정착'까지 이어지는 통합적인 외국인 생활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포리덤은 외부 투자 유치를 검토 중이다. 핵심 지표(매칭 건수, 정착 전환율, 플랫폼 활성도 등)가 안정화하는 시점에 맞춰 전략적으로 투자를 받을 예정이다. 어떤 중장기 비전을 갖고 있냐는 기자 질문에 박 대표는 "플랫폼을 통해 외국인 채용과 정착까지 성공적으로 이뤄지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우리 비전"이라면서 "플랫폼내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 글로벌 인재 매칭 고도화, 비자·노무·정착 행정 표준화, 해외 파트너십 네트워크 확장으로 한국을 '글로벌 인재들의 친화적인 국가'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