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j 첫페이지노출↵‹sensgoo›↵첫페이지노출'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1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보조금 없애면 시장 독점"…테슬라 야심 적중할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지지하면서 경쟁사들의 전기차 투자 감소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전략적 판단으로 평가하는 반면, 예상과 달리 테슬라에게도 보조금 폐지가 악재로 돌아올 것이란 전망도 교차해 관심이 쏠린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 정권인수팀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전기차 구매자에 최대 7천500달러(약 1천100만원)까지 지급되는 세액공제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 일찍이 트럼프를 지지하며 트럼프 2기 정부의 정부효율부 수장에도 발탁된 일론 머스크 CEO 또한 이 계획을 지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기차 기업인데도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에 찬성한 셈이다. 머스크 CEO는 미국 대선 전에도 유사한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보조금이 폐지되더라도 테슬라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고, 도리어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는 경쟁사들에겐 그만큼 큰 타격을 입혀 보다 유리해질 수 있다는 논리였다.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도 일론 머스크의 이런 판단이 적중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 추진 보도가 나온 당시 파이낸셜타임스는 타 전기차 OEM 중 전기차 사업에서 이익을 내는 곳이 없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보조금으로 보전되는 수익이 사라진다면 전기차 사업 동력이 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테슬라 경쟁사들이 리스(대여) 전기차 위주로 IRA 세액공제를 받아온 점에 주목했다. IRA는 배터리 소재 생산지 등을 세액공제 요건으로 제한하고 있는데, 리스 차량은 이 요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이를 적극 이용해왔다는 것이다. 반면 테슬라는 차량 잔존 가치 하락 위험을 피하고자 리스 판매보다 직접 판매 위주로 사업을 해왔다. 실제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2분기 테슬라는 미국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50% 이하인 49.7%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콕스오토모티브는 테슬라의 점유율이 지난 2019년 3분기 82.5%를 기록한 뒤 꾸준히 감소세를 기록해왔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3분기에도 테슬라 점유율은 48.2%로 추가 감소한 반면, 2위인 GM은 전년 대비 판매량이 60% 증가하면서 점유율 9%를 기록했다. 1분기 6.5%, 2분기 7.1%에 이어 꾸준히 점유율이 올랐다. 미국 증권사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IRA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추진 소식에 대해 "특히 GM, 포드, 스텔란티스 및 리비안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며 "테슬라를 자동차 업체들과의 경쟁으로부터 막아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댄 아이브스는 테슬라 낙관론자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일론 머스크의 예상이 빗나갈 것이란 전망도 등장했다. 최근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은 많은 전기차 OEM, 심지어 테슬라조차 전기차 사업이 수익을 내지 못하더라도 투자를 지속해왔다고 지적했다. 세액공제가 폐지되더라도 경쟁사들이 전기차 시장에서 철수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경쟁사들이 스타트업이 아닌 완성차 기업이란 점에서도 머스크의 기대가 허황됐다고 봤다. 기존 내연기관차 사업 수익으로 전기차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세액공제가 사라질 경우 전기차 총소유비용(TCO)이 상승하면서 결과적으로 내연차 가격 상승 효과를 불러와 경쟁사들의 수익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의 경우 전기차만 판매해 이런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없다. 테슬라 또한 IRA 세액공제가 사라지면 수익에 상당한 손실을 입을 것으로도 예상했다. 일렉트렉은 3분기 테슬라의 차량 한 대 당 수익이 6천886달러였다며 IRA 세액공제 금액인 7천500달러보다 적었다고 지적했다. 전체 판매 차량이 IRA 수혜를 받는 것은 아니지만, 세액공제가 사라지는 만큼 테슬라도 투자 동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일렉트렉은 무엇보다 소비자가 전기차 대신 내연차를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은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또 트럼프 러닝메이트로서 부통령 당선인인 J.D. 밴스 상원의원이 '드라이브 아메리칸 법'을 발의한 점을 언급했다. 해당 법은 IRA 세액공제를 폐지하는 대신, 가솔린 또는 디젤 내연차에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이 도입될 경우 전기차 대비 내연차가 1만5천 달러 이상의 가격 우위를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2025.01.05 10:20김윤희

[신간] 내가 궁금한 나를 위한 책, '사주가 MBTI를 만나면'

사주부터 MBTI까지 나를 알고 싶은 사람들의 눈과 귀를 솔깃하게 만들 책이 나왔다. '사주가 MBTI를 만나면'은 우리에게 익숙한 MBTI를 활용해 사주의 개념과 작용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저자인 '일일'은 사주 크리에이터로 SNS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다.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며 부캐로 운영하는 사주풀이로 단기간에 수천 명의 유료 상담을 진행했다. 일일의 사주 상담은 매월 예약 일정을 오픈함과 거의 동시에 마감된다. 저자가 얻은 인기의 첫 번째 비결은 '트렌디함'이다. 일일은 한자투성이인 어려운 사주에 MBTI를 도입한 새로운 사주풀이로 이해의 실마리를 찾아준다. 이 책에서는 음양오행, 천간, 지지, 십신, 합과 충 등 의미와 작용을 알기 어려웠던 사주의 개념과 작용들을 MBTI의 E/I, N/S, T/F, P/J 등 8개 글자, 16개 조합과 연관지어 설명한다. 게다가 타고난 사주팔자로부터 MBTI 유형을 도출하는 공식까지 마련해 제공한다. 두 번째 비결은 '취향저격'이다. 일일은 배우와 아이돌 등 유명인과, 드라마나 웹툰에 등장하는 캐릭터까지 '덕질'이 삶인 요즘 MZ를 위한 맞춤 캐릭터 해석을 진행한다. 이 책에 따르면 생년월일 정도만 알아도 대략적인 사주풀이가 가능하다. 본문에는 예시로 샤이니, 세븐틴, 아이유, 이효리 등 저자가 직접 해석해주는 아이돌과 아티스트들의 사주풀이와 MBTI 분석이 담겨 있다. 또 마블 유니버스의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나 '슬램덩크'의 송태섭 등 캐릭터의 사주풀이도 진행한다. 심지어 용인 푸씨 푸바오의 사주풀이도 실려 있다. 드라마, 웹소설, 웹툰 등 스토리와 캐릭터가 있는 모든 콘텐츠의 창작자라면 이 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 창작가가 초기에 가장 고심하는 것은 매력적인 인물을 만들고 이를 개연성 있는 스토리에 담아내는 것이다. 이때 사주 사이트에서 임의로 생년월일시를 입력하고 사주원국을 뽑아서 분석하면 인물의 입체적인 성향과 운명이 담긴 탬플릿을 만들어볼 수 있다. 또 이를 다른 사주원국과 합을 맞춰보면 인물 간의 갈등 구조도 짜볼 수 있다. 이 책에는 일일이 진행하는 사주풀이의 모든 것이 담겼다. 꼼꼼히 읽고 이해한다면 자기나 가족의 사주, 가까운 친구나 함께 일하는 동료의 사주, 내가 사랑하는 최애 아이돌과 캐릭터의 사주, 세상에 둘도 없는 우리 반려동물의 사주까지 직접 풀이할 수 있다. 이제 사주가 MBTI를 만나면을 통해 사주를 이해하고, 관계에 적용하고, 일상의 재미로 즐겨보자.

2024.12.26 20:03백봉삼

래브라도랩스, 서버 오픈소스 취약점 관리솔루션 출시

사상 최악의 취약점으로 알려진 'Log4j' 등 오픈소스 보안 문제를 쉽게 찾아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이 나왔다. 래브라도랩스(대표 김진석 이희조)는 서버 오픈소스 취약점 관리 솔루션 '래브라도 서버케어'를 출시했다. 래브라도 서버케어는 운영 중인 서버에서 오픈소스 취약점을 찾고 대응책을 제시한다. 래브라도 서버케어는 서버에 설치된 각 SW 라이브러리가 어떤 오픈소스에 의존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글로벌 오픈소스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해 새로운 CVE(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가 나올 때 마다 운영 중인 서버 SW에서 취약점을 알려준다. 오픈소스 취약점 급증 전세계 IT 관리자는 2022년 Log4J 취약점의 위험성을 알면서도 어떤 서버에서 해당 라이브러리가 운영되는지 파악조차 어려워 대응이 쉽지 않았다. 미국 사이버보안 검토위원회는 운영 중인 서버 SW에서 Log4J를 제거하는데만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취약점이 공개돼 해커가 악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패치되지 않은 수많은 서버가 존재한다. 래브라도 서버케어를 사용하는 기업은 Log4J를 비롯해 최신 오픈소스 취약점이 발견될 때마다 쉽게 분석하고 바로 대응할 수 있다. 기업은 SW 개발과 빌드, 배포단계는 보안을 신경쓴다. 하지만, 해당 SW가 서버에서 설치 된 후 작동하는 동안 취약점 관리가 되지 않는다.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처음 설치할 때 취약점을 점검하지만 운영이 시작된 후에는 추적과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SW는 80%가 오픈소스로 구성된다. CVE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20년 1만8375개였던 취약점은 2022년 2만5059개로 늘어났으며 2024년(현재) 2만9000건을 돌파했다. 오픈소스로 만든 SW 취약점을 지속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SW 오픈소스 의존성 분석해 심층 취약점 탐지 래브라도 서버케어는 리눅스, 유닉스, 윈도 등 다양한 서버에 설치된 SW 목록을 주기적으로 체크해 분석한다. OS패키지, 라이브러리 등의 보안 취약점과 라이선스 이슈까지 분석해 조치 계획 등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래브라도랩스는 설치된 SW에 대한 오픈소스 의존성 분석으로 심층 취약점 탐지 기능을 제공한다. 김진석 래브라도랩스 대표는 “최근 금융권에서 서버케어 도입을 시작으로, 의료, 자동차, 게임, 공공 등 모든 산업분야의 오픈소스 위협을 대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확대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출고 당시 보안 점검이 된 SW도 운영하면서 취약점이 지속 발견된다”면서 “운영 중인 SW의 보안을 챙겨야 공급망을 통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래브라도랩스는 지난 8월 래브라도 SCM에 이어 이번 서버케어 솔루션을 개발해 SW 공급망 보안 플랫폼을 완성했다. 래브라도랩스는 오픈소스 취약점 및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위험 제거 도구 '래브라도 SCA(소프트웨어 구성 분석)', SW 공급망 자동관리플랫폼 '래브라도 SCM', 운영 중인 서버에 숨겨진 오픈소스 취약점을 찾고 대응하는 '래브라도 서버케어' 라인업을 구성했다.

2024.12.19 10:07김인순

아부다비 지속 가능 금융 포럼을 통해 ADFW 2024 마무리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4년 12월 13일 /PRNewswire/ -- 아부다비의 국제 금융 센터(IFC)인 ADGM은 글로벌 기후 금융 센터(GCFC), HSBC, 스마트에너지(Smartenergy)와 협력하여 오늘 아부다비 금융 주간(ADFW)을 마무리하는 제7회 아부다비 지속 가능 금융 포럼(ADSFF)을 개최했다. COP28이 끝난 지 정확히 1년, COP29가 끝난 지 단 몇 주 만에 열린 ADSFF는 지속 가능한 금융 발전에 관한 중요한 대화를 다루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강조하며 규제, 인식 및 협력에 대한 논의를 위한 세계적인 대화형 플랫폼을 제공했다. 올해 ADSFF는 아랍에미리트의 넷제로 야망의 달성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로의 전환에 기여하는 전략 고위급 논의가 들어 있어 아부다비와 ADGM을 지속 가능한 금융의 장기적인 모멘텀을 구축하는 리더로 더 확고히 자리잡게 했다. 아랍에미리트 독립 기후 변화 가속 기구(Independent Climate Change Accelerators) 사장 겸 CEO 셰이카 샴마 빈트 술탄 빈 칼리파 알 나얀(Sheikha Shamma bint Sultan bin Khalifa Al Nahyan)은 기조 연설을 통해 기후 행동에서 아랍에미리트의 리더십과 혼합 금융을 통해 환경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협력적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알테라(Alterra) CEO 마지드 알 수와이디(Majid Al Suwaidi)는 세계 최대 기후 펀드의 출범, 현재까지의 진척 상황, 그리고 '미래에 대한 촉매: 전 세계 기후 금융 중심지가 되기 위한 아부다비의 대담한 비전' 세션에서 동 펀드의 파트너들과 함께 자본을 동원하는 방법에 대해 GCFC의 CEO인 메르세데스 벨라 몬세라테(Mercedes Vela Monserrate)와 함께 통찰을 주는 노변 대화를 이끌었다. ADSFF 어젠다는 지속 가능한 금융과 환경 거버넌스에서 시급하고 다양한 주제도 탐구했다. 주목할 만한 세션은 유엔 AI 자문기구 공동 의장인 카르메 아르티가스 브루갈(Carme Artigas Brugal)의 기조 연설로, 그녀는 이 연설을 통해 AI에 대한 국제 규칙을 설정하는 데 있어 유엔의 진전을 강조했다. AI 협력에 관한 전 세계 룰북 제정 활동을 주도하는 아르티가스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 추구와 함께 윤리적인 고려 사항 적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전 세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AI의 잠재력을 부각했다. ADGM의 금융 서비스 규제청(Financial Services Regulatory Authority) CEO 엠마누엘 지바나키스(Emmanuel Givanakis)는 환영 연설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금융에 대한 ADGM의 이니셔티브를 강조하며 친환경 자본의 수도에서 촉매제가 되겠다는 전략적 사명을 재확인했다. 지바나키스는 "ADGM에서 우리는 2050년까지 배출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아랍에미리트 여정의 핵심 원동력이라고 자임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금융과 기후 전환을 촉진하는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가 지원하는 생태계를 제공한다"면서 "또한 우리는 공공 및 민간 분야가 친환경 금융의 간극을 해소하고, 배출 넷제로로의 전환을 가속하며, 미래의 지속 가능한 금융 지형을 만들기 위해 협력할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그는 "ADSFF의 성공은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 분야의 역할에서 지식을 창출하고, 통찰을 제공하며,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있어 ADSFF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라고 덧붙였다. 세계적인 은행 그룹 HSBC의 고위 대표들은 현재의 전 세계 기후 경제를 부각하며, 금융을 동원하고 과학에 기반한 목표들에 부합하는 혁신을 촉진하여 지구 온도 상승을 1.5°C로 막으려는 HSBC의 전략을 발표했다. 영향력 있는 투자에 관한 패널 토론에서 에펠 인베스트먼트 그룹(Eiffel Investment Group) 회장 겸 CEO 파브리스 뒤몽테일(Fabrice Dumonteil), 카프리콘 인베스트먼트 그룹(Capricorn Investment Group) 파트너 제롬 드 봉탱(Jérôme de Bontin), AXA IM 알츠(AXA IM Alts)의 임팩트 프라이빗 에쿼티 펀드 매니지먼트(Impact Private Equity Fund Management) 책임자 조나단 딘(Jonathan Dean)과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 )의 매니징 디렉터 겸 기후 제품 책임자 에와 잭슨(Ewa Jackson)과 같은 패널 토론자들은 환경에 유익한 프로젝트에 민간 자본이 어떻게 유입되는지 살펴보고 현재의 생태계가 측정 가능한 영향을 창출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탄소 시장과 그 진화도 주요 초점이었으며, 기후 금융 파트너스(Climate Finance Partners), ADGM 금융서비스규제청(FRSA), 오프셋8 캐피털(Offset8 Capital), 기가톤스(GIGATONS)의 전문가들은 탄소 배출권을 기후 변화 자금 조달과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또 다른 핵심 주제인 재생 에너지는 향후 5년 동안 재생 에너지 성장 가속에 대한 국제에너지협회(IEA)의 예측에 대해 논의했다. 스마트에너지, 허드슨 서스테이너블 그룹(Hudson Sustainable Group), 스톤피크(Stonepeak), 볼텍스 에너지(Vortex Energy)의 전문가들은 재생 에너지 시장의 새로운 기회에 대한 통찰을 발표했다. 또한 ADSFF에서는 서명자들이 ADGM에 직접 관여하고, 지속 가능한 범위 내에서 베스트 프랙티스, 혁신 솔루션과 상업적 서비스에 관해 협력하는 플랫폼인 아부다비 지속 가능 금융 선언(Sustainable Finance Declaration)에 44명의 신규 서명자들이 서명했다. 이들이 합류함으로써 본 선언에 서명한 총 회원 수는 160명으로 늘어났다. 위민 인 파이낸스(Women in Finance) 컨퍼런스는 ADSFF의 마지막 날을 기념한 또 하나의 중요한 행사였다. 이 컨퍼런스에는 주 아랍에미리트 미국 대사 마르티나 스트롱( Martina Strong),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ubadala Investment Company) 아랍에미리트 산업 담당 이그제큐티브 디렉터 알리아지아 알 쿠와이티(Alyazia Al Kuwaiti) 박사, BNY 그로우스 벤처스 파트너(Growth Ventures Partner) MD 마디하 사타르(Madiha Sattar), 마스터카드 EVP 암나 아즈말(Amna Ajmal),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의 프라이빗 크레딧 부문 매니징 디렉터 라니아 파탈라(Rania Fathallah) 등 금융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여성들이 모여 영감을 주는 연설을 하고 중요한 인맥을 쌓았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50581/5010772/ADGM_Logo.jpg?p=medium600

2024.12.13 20:10글로벌뉴스

로젤 테크시스, 제10회 록히드 마틴 공급업체 컨퍼런스에서 뛰어난 공급업체로 인정

인도 방갈로르, 2024년 12월 12일 /PRNewswire/ -- 항공우주 및 방위 서비스 분야의 선도적 공급업체인 로셀 테크시스 리미티드(Rossell Techsys Limited, ROSSTECH)가 방갈로르에서 열린 제10회 록히드 마틴 공급업체 컨퍼런스(Lockheed Martin Suppliers Conference)에서 '우수 공급업체 인정(Outstanding Supplier Recognition)'을 수상했다. 이 영예는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의 글로벌 공약을 지원하는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를 전달한 하위 파트너로서 뛰어난 실적을 인정받아 수여되었다. From left to right: Prabhat Bhagvandas, CEO – Rossell Techsys Inc., Rishab Gupta, Managing Director – Rossell Techsys Limited, Abby Lilly,VP - Global Supply Chain – Lockheed Martin Rossell Techsys-LM Award 이번 인정은 록히드 마틴의 엄격한 글로벌 기준을 일관되게 충족시키는 공급업체 중 로셀 테크시스가 우수한 고객 서비스와 정시 솔루션 제공을 통해 차별화된 성과를 이룬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로셀 테크시스의 전무이사 리샤브 굽타(Rishab Gupta)는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 관계는 상호 존중과 신뢰, 록히드 마틴의 엄격한 기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준수를 기반으로 구축된 강력한 관계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인정을 통해 우리는 '자주적인 인도(Aatamanirbhar India)'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의도적, 상호 보상적 관계에 대해 계속해서 투자하도록 고무된다"라며 "앞으로 함께 미래의 이니셔티브를 탐색하며 우리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로셀 테크시스 Inc.의 이사 겸 로셀 테크시스 리미티드의 고문인 프라바트 쿠마르 바그반다스(Prabhat Kumar Bhagvandas)는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이 인정을 받게 되어 매우 큰 영광이다"라며 "이는 우리 팀의 전문성과 헌신이 뒷받침한 록히드 마틴과 로셀 간의 뛰어난 협업의 증거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우리는 최고 수준의 우수성을 유지하고 록히드 마틴과의 소중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록히드 마틴의 리더십은 이 파트너십을 높이 평가하며 "로셀 테크시스는 인도에서 온 핵심 파트너로서 시코르스키 MH-60R 시호크 (Sikorsky MH-60R SEAHAWK® ) 헬리콥터 프로그램에서 록히드 마틴의 글로벌 기준을 완벽히 준수하고, 특유의 고객 중심 경험과 고품질 제품의 일관적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라며 "그들의 신뢰성과 견고함이 프로그램 성공의 핵심이었으며, 앞으로 우리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로셀 테크시스는 고객 만족도, 신뢰성, 일관된 품질에 대한 노력으로 인도 해군을 포함한 글로벌 해양 방위 작전의 필수적 요소인 MH-60R 헬리콥터와 같은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신뢰받는 역할을 맡을 수 있었다. 이 회사는 또한 F-16, C-130J, Arrowhead, Sonobuoy와 같은 플랫폼에서도 록히드 마틴을 지원하며 임무 수행에 중요한 방위 프로그램에서 핵심 파트너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로셀 테크시스 소개: 로셀 테크시스(ROSSTECH)는 인도증권거래소(NSE)와 봄베이증권거래소(BSE)에 상장된 선도적 항공우주 및 방위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78653/Rossell_Techsys_LM_Award.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76419/Rossell_Techsys_Logo.jpg?p=medium600

2024.12.12 13:10글로벌뉴스

JF 리먼 앤 컴퍼니, 초과 가입된 펀드 VI를 위해 22억 달러 모금

뉴욕,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항공우주, 방위, 해양, 정부, 환경 분야에 독점적으로 집중하는 선도적 중소형 사모펀드 회사인 JF 리먼 앤 컴퍼니(J.F. Lehman & Company, JFLCO)는 오늘 자사의 최신 주요 펀드인 JFL Equity Investors VI, L.P. 및 관련 투자 매개체("Fund VI")의 성공적인 마감을 발표했다. 22억 3천만 달러 규모의 이번 공모는 회사 창립 이후 33년 역사상 최대의 규모를 기록했으며 기존 16억 달러의 목표 금액을 크게 초과하는 초과 가입을 달성했다. 펀드 VI는 JFLCO가 30년 이상의 전문 산업 경험과 입증된 운영 역량을 활용하여 기업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오랜 투자 전략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 신규 펀드를 통해 2024년 11월 30일 기준, 회사의 총 관리 자산이 70억 달러로 증가하였다. 파트너 Louis N. Mintz는 "이번 마케팅 활동의 성공적인 결과는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회사를 발굴하고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개선을 이끌어낸 우리의 입증된 역량과 우리 팀에 대한 상당한 신뢰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펀드 VI를 계속해서 배분하고 관리하면서 매력적인 위험 조정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자 관계 및 마케팅 담당 전무이사 Karina Perelmuter는 "오랜 기간 함께해 온 파트너들의 지원에 감사하며 그들 중 많은 이들이 과정 초기에 큰 확신으로 우리의 노력을 지지해주었다"라며 "우리 팀에 신뢰와 확신을 보내주며 우리의 분야 집중 전략을 지지해준 새로운 파트너들에게 역시 깊은 감사를 표한다"라고 덧붙였다. UBS Securities LLC는 펀드 VI의 배치 에이전트로, Davis Polk & Wardwell LLP는 법률 자문사로 활동했다. JF 리먼 앤 컴퍼니 소개 1992년 설립되어 항공우주, 방위, 해양, 정부, 환경 산업 분야에 독점적으로 집중한다. 뉴욕과 워싱턴 D.C.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http://www.jflpartners.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349934/j_f__lehman___company_logo.jpg?p=medium600

2024.12.11 22:10글로벌뉴스

MMA2024 올해의 아티스트 '에스파'...최고 신인은 TWS·아일릿

올해 국내 음악계를 빛낸 아티스트에 '에스파'가 영예를 안았다. 신인상은 투어스와 아일릿이 공동수상했으며, 베스트 솔로상은 정국와 아이유가 차지했다. 올해의 레코드상은 (여자)아이들에게 돌아갔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공동대표 권기수·장윤중)의 뮤직플랫폼 멜론이 주최한 '제16회 멜론뮤직어워드((Melon Music Awards) 2024'(이하 MMA)가 지난 달 30일 개최됐다. 1만3천명의 관객 앞에서 4시간 동안 아티스트들의 눈부신 공연이 펼쳐지고, 총 27개에 이르는 시상부문의 수상자들이 발표됐다. '올해의 아티스트' 에스파 7관왕...'올해의 신인' TWS와 아일릿 공동수상 각 시상부문에서는 에스파가 주요상인 '올해의 아티스트', '카카오뱅크 올해의 앨범', '올해의 베스트송' 3개를 휩쓴데 이어 'TOP10', '밀리언스 TOP10', '베스트 그룹 여자', '베스트 퍼포먼스 여자'까지 총 7관왕에 올랐다. 에스파는 올해 무려 3개의 앨범을 멜론 명예의 전당 내 밀리언스 앨범(발매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 돌파 인증)에 올려놓았고, '올해의 베스트송'을 수상한 정규 1집 선공개 타이틀곡 'Supernova'는 올해 발매곡 중 멜론차트 TOP100 최장기간 1위 기록을 세운 바 있다. 나머지 주요상인 올해 가장 주목할만한 음악적 성취를 이룬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올해의 레코드'는 정규 2집 '2'로 큰 사랑을 받은 그룹 (여자)아이들이 받았다. '올해의 신인'은 보이그룹 TWS(투어스)와 걸그룹 아일릿(ILLIT)이 공동 수상했다. TWS는 1월 발매한 데뷔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가 멜론에서 누적 감상 횟수 9천만회를 넘기며 올해 신인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아일릿은 3월 발매한 데뷔곡 'Magnetic'이 당시 멜론 TOP100 1위에 등극하며 큰 돌풍을 일으켰다. 최고 인기 아티스트에게 주어지는 베스트상 부문에서는 '베스트 그룹' 남자에 라이즈(RIIZE), 여자는 에스파(aespa)가 영광을 안았다. '베스트 솔로' 남자는 정국, 여자는 아이유가 수상했으며, '베스트 팝 아티스트'는 올해 전세계를 강타한 'Beautiful Things'의 벤슨 분(Benson Boone)이, '베스트 OST'는 tvN 인기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의 밴드 이클립스가 부른 '소나기'가 차지했다. 특별상 중에서는 자신만의 장르색과 스타일로 큰 공감을 끌어낸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베스트 뮤직스타일'에 올해 상반기 최고의 히트곡으로 꼽히는 '밤양갱'의 비비(BIBI)와 발매 직후 TOP100 1위에 오른 'Small Girl'의 이영지가 공동으로 수상했다. 또 공연의 가치를 높인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스테이지 오브 더 이어'에 지난 9월 국내 여가수로는 최초로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콘서트를 개최하며 약 1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아이유, 최고의 음악을 만든 작곡가나 작사가에게 주어지는 '송라이터상'은 (여자)아이들의 리더 소연이 선정됐다. 또 인기상에서는 카카오뱅크 모바일 앱 투표를 통한 '카카오뱅크 모두의 스타상'에 라이즈가 오르며 데뷔 2년차에 MMA 5관왕이라는 위엄을 달성했고, 새로운 음악 트렌드 제시와 음원을 통해 유의미한 성적을 보여준 아티스트를 뽑는 '핫트렌드상'은 흔치 않은 걸밴드로 데뷔곡 'Discord'부터 '고민중독', '내 이름 맑음' 등을 연달아 히트시킨 QWER이 주인공이 됐다. MMA2024에서는 멜론이 2022년부터 진행중인 인디음악 활성화 프로젝트 '트랙제로'의 취지를 살린 수상도 이어졌다. 자신만의 장르와 스타일을 드러내 대중문화의 다양성에 기여한 곡과 아티스트를 기리는 '트랙제로 초이스' 분야는 한국 밴드 혁오(HYUKOH)와 대만 밴드 선셋 롤러코스터(Sunset Rollercoaster) 및 그들이 합작한 앨범 'AAA'에 실린 'Young Man'이 수상했다. MMA만의 화려한 퍼포먼스로 K팝 위상 또 한 번 높여 올해 TOP100과 HOT100 등 멜론차트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친 화제의 아티스트들이 총출동한 메인공연에는 기존 MMA의 레전드 무대들을 뛰어넘는 화려한 퍼포먼스들이 펼쳐지며 전세계 음악팬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각 아티스트 특성에 맞춘 무대와 오랫동안 음악산업을 이끌고 있는 국내 대표 엔터기업이 주최하는 대규모 공연들로 K팝의 위상을 또 한 번 높이는 자리가 되었다. 이영지는 '깜짝 파트너' 라이즈 소희와 함께한 'Small girl' 무대를 시작으로 덴마크 뮤지션 크리스토퍼와는 9월 함께 발매한 싱글 'Trouble'의 무대로 각자 랩과 노래로 '찰떡호흡'의 특별한 콜라보레이션을 선보였다. 버추얼 그룹 PLAVE는 'WAY 4 LUV'와 'Pump Up The Volume!' 무대에서 거대한 대형 스크린이 현실로 보여질 정도로 생동감 넘치는 칼군무와 보컬 실력을 뽐냈다. 비비는 상반기 최고 히트곡 '밤양갱'을 부르며 타고 있는 그네가 점점 위로 날아오르며 한 편의 뮤지컬을 보는 듯한 무대를, 푸른색 바시티 자켓으로 차려 입은 TWS는 데뷔곡이자 히트곡인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를 특유의 청량미를 뽐내면서도 댄스가 돋보이는 편곡으로 팬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J팝 아티스트 요아소비(YOASOBI)는 전 세계적 신드롬을 일으킨 애니메이션 '최애의 아이' OST 'IDOL'을 컬러풀한 개성 넘치는 무대 의상과 함께 서정적이면서도 신나는 무대로 꾸미며 관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라이즈는 수트 매력을 뽐내며 등장하여 로맨틱한 보컬이 함께 한 'Combo' 무대와 이어진 'Boom Boom Bass'에서는 앤톤의 베이스 연주를 시작으로 성찬과 은석의 감각적인 댄스, 소희와 원빈, 쇼타로의 댄스 브레이크까지 완벽하게 조합한 완성도 높은 무대를 보였다. 에이티즈는 'WORK' 무대에서 댄서, 기수, 관현악단 등 무려 60명이 가득 채운 화려한 퍼포먼스로 관객들을 사로잡았으며, 아이브는 모두의 시선을 집중시킨 장원영의 발레 퍼포먼스로 시작하여 발레리나들과 함께 한 환상적이고 매혹적인 느낌의 '해야'와 안유진의 강렬한 댄스 브레이크 타임의 역동적인 'Accendio' 무대로 팬들을 열광시켰다. (여자)아이들은 멤버가 번갈아가며 데뷔 7년을 총망라한 '명곡 릴레이'를 펼쳤다. 활을 쏘며 등장한 소연의 'LATATA', 신전 속 여신 느낌의 슈화가 부른 '한', 깃발을 든 댄서들과 함께 한 우기의 'TOMBOY', 물 위의 파란 신전에서 '퀸카 (Queencard)'를 부른 미연, '나는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 무대는 멤버 전원이 50명의 댄서와 함께 압도적인 가창력을 뽐냈다. 마지막 무대는 '7관왕'에 빛나는 에스파가 장식했으며, 올해 뜨거운 사랑을 받은 'Whiplash', 'Supernova', 'Armageddon' 세 곡을 수십명의 남녀 댄서와 함께 무대를 꽉 채운 화려한 퍼포먼스를 펼쳤다. 시상자로는 배우, 모델, 인플루언서, 스포츠 스타, 코미디언 등 화제의 셀럽들이 대거 나서 동료 가수들의 멋진 업적들을 축하했다. 톱 배우 엄정화, 이제훈, 문근영, 장근석, 김영대, 남윤수, 윤지온, 이세희와 '흑백요리사' 최현석, '슈퍼맨이 돌아왔다' 김준호, '나는 솔로' 송해나, '더 인플루언서' 이사배, 코미디언 김원훈, 박세미, 엄지윤, 이창호까지 각 분야 셀럽들이 축하의 메신저로 나서며 MMA2024의 밤은 더욱 빛났다. 배우 이제훈은 "배우들은 작품마다 매번 다른 삶을 경험하는데 저도 1960년대 형사로 살아보고, 탈출을 꿈꾸는 북한군 병사가 되기도 했다"면서 "계속 새로운 가사와 퍼포먼스, 음악을 선보여야 하는 아티스트도 마찬가지인 거 같다"며 '올해의 아티스트' 수상자를 발표했다. 또 '올해의 앨범' 시상자로 나선 엄정화는 "시간이 갈수록 음악만으로 사랑받기는 어렵고 앨범 전체가 사랑 받기는 더 어렵다"며 "이런 환경에도 불구하고 앨범을 만드는 아티스트들은 정말 박수를 받아야 한다. 올해 발매된 126만여장의 앨범 중에 전곡이 멜론차트에서 사랑받은 최고의 앨범은 너무 멋지다"고 밝혔다. 장윤중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이번 MMA2024는 K팝을 대표하는 멜론차트 최정상 아티스트들은 물론 '신예' 아티스트들의 활약까지 크게 돋보이며 국내 음악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멜론의 저력을 다시 한 번 전세계에 알릴 수 있었다"며 "멜론은 앞으로도 대표 뮤직플랫폼으로 음악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과 함께 하며 글로벌에서 한국의 음악산업을 한층 더 빛낼 것"이라고 약속했다. [부문별 수상자 안내] ■주요상 -올해의 아티스트 : 에스파 -카카오뱅크 올해의 앨범 : 에스파 -올해의 베스트송 : 에스파 - Supernova -올해의 레코드 : (여자)아이들 -올해의 신인 : TWS (투어스) / 아일릿(ILLIT) ■TOP10 -(여자)아이들, 에스파, DAY6 (데이식스), 뉴진스, PLAVE, RIIZE, TWS (투어스), 세븐틴 (SEVENTEEN), 아이유, 정국 ■밀리언스 TOP10 -에스파 - Armageddon - The 1st Album -DAY6 (데이식스) - Band Aid -아이브 -IVE SWITCH -뉴진스 - How Sweet -PLAVE - ASTERUM : 134-1 -RIIZE - RIIZING - The 1st Mini Album -아이유 - The Winning -임영웅 - 온기 -정국 - GOLDEN -태연 - To. X - The 5th Mini Album ■베스트상 -베스트 그룹 여자 : 에스파 -베스트 그룹 남자 : RIIZE -베스트 솔로 여자 : 아이유 -베스트 솔로 남자 : 정국 -베스트 뮤직 스타일 : 이영지 / 비비 (BIBI) -베스트 OST : 이클립스 (ECLIPSE) - 소나기(선재 업고 튀어 OST Part 1) -베스트 팝 아티스트 : Benson Boone -베스트 프로듀서 : 서현주 ■특별상 -STAGE OF THE YEAR : 아이유 -베스트 퍼포먼스 여자 : 에스파 -베스트 퍼포먼스 남자 : BOYNEXTDOOR -GLOBAL ARTIST : 아이브 / ATEEZ (에이티즈) -GLOBAL RISING ARTIST : RIIZE -J-POP FAVORITE ARTIST : YOASOBI -올해의 뮤직비디오 : 아이브 - 해야 (HEYA) -1theK GLOBAL ICON : tripleS (트리플에스) -송라이터상 : 소연 - (여자)아이들 ■인기상 -트랙제로 초이스 : 혁오 (HYUKOH), Sunset Rollercoaster - Young Man -핫트렌드상 : QWER -카카오뱅크 모두의 스타상 : RIIZE

2024.12.01 09:13백봉삼

삼성전자, 40대 부사장·30대 상무 등 총 137명 승진…'세대교체' 힘 싣는다

삼성전자는 29일 부사장, 상무, 펠로우(Fellow), 마스터(Master)에 대한 2025년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 인사를 통해 부사장 35명, 상무 92명, 마스터 10명 등 총 137명을 승진시켰다. 전년 대비 승진 규모는 소폭 줄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총 143명(부사장 51, 상무 77, 펠로우 1, 마스터 14)을 승진시킨 바 있다. 삼성전자는 "현재의 경영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성과주의 원칙 하에 검증된 인재 중심으로 세대교체를 추진하는 등 인적쇄신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주요 사업의 지속성장을 이끌 리더십을 보강하는 한편, 신성장 동력 강화를 위해 SW, 신기술 분야 인재를 다수 승진시켰다.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과감하고 도전적으로 돌파하기 위해, 경영성과가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젊은 리더들도 발탁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25년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경영진 인사를 마무리했고,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 부사장 승진, 성과주의 원칙 기반으로 삼성전자는 주요 사업분야에서 성과 창출과 핵심적 역할이 기대되는 리더들을 부사장으로 승진시켜 지속 성장을 이끌 미래 리더십을 강화했다. ▲ 노경래 DX부문 VD사업부 영업전략그룹장 부사장(48세)은 마케팅, 해외영업 등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VD 제품 영업 전문가로서 프리미엄 제품군의 시장 점유율 확대, 신제품 셀아웃 확판 등에 기여했다. ▲ 홍주선 DX부문 DA사업부 회로개발그룹장 부사장(53세)은 생활가전 제품군에 탑재되는 회로/인버터/센서 전문성을 기반으로 AI 가전의 기능 고도화, 차세대 제품군의 센서 개발 등 성과를 창출했다. ▲ 부민혁 DX부문 MX사업부 Advanced디자인그룹장 부사장(51세)은 VD, DA 제품군의 디자인 경험을 보유한 스마트폰 선행 디자인 전문가로 신규 폼팩터 컨셉 발굴, Bar-Type 차별화 디자인 제안 등 변화를 주도했다. ▲ 장소연 DX부문 한국총괄 마케팅팀 부팀장 부사장(53세)은 브랜드 마케팅 및 제품 광고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 내 AI 가전 마케팅 강화, Galaxy 브랜드 인식 제고에 기여했다. ▲ 배승준 DS부문 메모리사업부 DRAM설계3그룹장 부사장(48세)은 D램 I/O 회로 설계 전문가로 DRAM 제품의 고속 I/O 특성 확보에 기여하며 업계 최고속 10.7Gbps LPDDR5x 개발 등 D램 제품 경쟁력 강화를 주도했다. ▲ 유상민 DS부문 S.LSI사업부 RF개발팀장 부사장(51세)은 셀룰러 및 커넥티비티 RF 설계 전문가로 5G RFIC 제품 성능 향상 및 RFFE, Radar 등 선행기술 확보를 주도하며 RF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 이화성 DS부문 제조&기술담당 Foundry YE팀 PIE1그룹장 부사장(54세)은 로직 제품 및 인테그레이션 전문가로 로직 4나노 제품 수율 향상 및 신규 공정 양산 최적화를 주도하며 파운드리 제품 경쟁력을 제고했다. ■ 차기 신기술 분야에서 역량 입증된 우수인력 다수 승진 삼성전자는 S/W 개발분야 리더를 비롯해 차기 신기술 분야에서 역량이 입증된 우수인력을 다수 승진시켜 미래 성장을 가속화할 기반을 마련했다. ▲ 박정호 DX부문 CTO SR 차세대통신연구센터 부센터장 부사장(50세)은 5G 선행기술 개발 및 상용화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해온 통신분야 전문가로 AI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통신기술 개발, 6G 에코시스템 구축 등을 주도했다. ▲ 이형철 DX부문 MX사업부 스마트폰S/W PL2그룹장 상무(48세)는 MX 제품군의 앱, 시스템 등 다년간의 S/W 상품화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갤럭시 AI 개발 과제 주도, 폴더블 제품의 S/W 기능 완성도를 제고했다. ▲ 이문근 DX부문 DA사업부 서비스S/W그룹장 상무(48세)는 생활가전 제품의 폭넓은 S/W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AI 서비스 기능 강화, 제품간 연결성 고도화를 통한 서비스 확대 등 고객경험을 지속 개선했다. ▲ 김상하 DX부문 CTO SR Language Intelligence팀 상무(43세)는 자연어 처리 및 기계학습 분야 전문가로 AI 기반의 통·번역 기술 개발을 통해 갤럭시 AI를 상용화하고,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 최준일 DX부문 MX사업부 Health전략그룹장 상무(48세)는 Health 관련 업계와 기술 이해도가 풍부한 사업 기획/전략 전문가로 AI 기반의 삼성헬스 주요 기능을 기획, 적용하여 사업 경쟁력을 확보했다. ▲ 김용성 SAIT Device Research Center장 부사장(51세)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공정 전문가로 신물질 스크리닝 플랫폼 개발, 메모리/로직향 물질 발굴 및 공정 개발을 통해 기술한계 극복에 기여했다. ▲ 채교석 DS부문 메모리사업부 DRAM PA3그룹 상무(46세)는 D램 제품 소자 전문가로 DRAM 소자 특성 개선 및 양산성 확보를 주도하며 업계 최선단 D1b 제품 및 세계 최고용량 D1b 32Gb DDR5 제품 개발을 주도했다. ▲ 박일한 DS부문 메모리사업부 Flash설계1그룹 상무(48세)는 플래시 제품 설계 전문가로 V-NAND 제품 Core 회로 설계 기술력을 보유했으며, 고용량 QLC V-NAND 제품 Biz 확대를 위한 셀 특성 및 신뢰성 확보에 기여했다. ▲ 김우일 DS부문 S.LSI사업부 AI SOC-P/J 상무(46세)는 SOC 시스템 IP 설계 전문가로 모바일, 오토, AI SOC 시스템 IP 최적화를 통해 SOC 성능 향상 및 안정성 확보를 주도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를 추진했다. ▲ 문광진 DS부문 CTO 반도체연구소 차세대공정개발3팀장 상무(51세)는 본딩/3D 집적 기술 전문가로 차세대 제품용 웨이퍼 본딩 기술 개발을 주도하며 3차원 구조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 성장 잠재력 갖춘 30代 상무∙40代 부사장 과감히 발탁 삼성전자는 연령과 무관하게 경영성과에 기여도가 높고 성장 잠재력을 갖춘 30代 상무∙40代 부사장을 과감하게 발탁, 미래 경영자 후보군을 확대∙강화했다. ▲ 이귀호 DX부문 VD사업부 광고Service그룹장 부사장(49세)은 VD 광고 서비스의 초기부터 기반을 구축해 온 서비스 비즈니스 전문가로 광고 서비스 매출 성장을 주도했으며, 신규 광고 사업기회를 지속 창출했다. ▲ 김기환 DX부문 MX사업부 Immersive S/W개발그룹장 부사장(49세)은 비주얼 S/W, 그래픽 개발 경험이 풍부한 AI 비전 분야 전문가로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XR 제품의 차별화, 완성도 향상에 주도적 역할했다. ▲ 김연정 DX부문 MX사업부 SEV법인 구매팀장 부사장(49세)은 H/W 상품화, 부품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구매/소싱 분야를 담당 중으로 중장기 차원에서의 AP/메모리, 기구/글라스/메탈 등 안정적 수급에 기여했다. ▲ 하지훈 DX부문 CTO SR 통신S/W연구팀 상무(39세)는 S/W 핵심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한 차세대 통신 S/W 플랫폼 설계분야 전문가로, 특히 vRAN 차별화 기술을 리딩하며 통신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 임성수 DS부문 CTO 반도체연구소 DRAM TD1팀 부사장(46세)은 D램 제품 공정 집적 전문가로서 D램 스케일링의 한계 극복을 위한 세계최초 수직 채널 트랜지스터(VCT) 개발을 주도하여 미래 경쟁력을 확보했다. ▲ 권오겸 DS부문 제조&기술담당 8인치제조기술팀장 부사장(47세)은 로직 소자와 공정기술 전문가로 개발부터 양산 안정화, 고객 대응까지 프로세스 전반을 이끌며 레거시 제품 성능 및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 역량 검증된 여성·외국인 리더 발탁 삼성전자는 성별, 국적을 불문하고 역량이 검증된 여성·외국인 리더들의 발탁 기조를 지속하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갖춘 혁신적 조직문화 강화했다. ▲ 서정아 DX부문 MX사업부 Digital Commerce팀장 부사장(53세)은 온라인 비즈니스 전문가로 거래선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프로모션을 활성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영업전략을 실행하여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 이지연 DX부문 한국총괄 A&E영업2그룹장 상무(45세)는 국내 영업, PM 경험이 풍부한 B2B 영업 전문가로 주택시장 공략 확대,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확대를 통한 매출 성장 등 성과를 창출했다. ▲ 석지원 DX부문 MX사업부 커뮤니케이션그룹 상무(44세)는 글로벌 영업 경험을 보유한 MX 플래그십 제품 마케팅/PR 전문가로 제품 런칭 시 갤럭시 AI 메시지 확산, 신제품 홍보 등을 성공적으로 주도했다. ▲ 시티촉(Sitthichoke) DX부문 동남아총괄 TSE-S법인 상무(52세)는 태국 출신의 영업 전문가로 MX 플래그십 제품 판매를 지속 성장시켰으며 글로벌 확산가능한 셀아웃 플랫폼 사례를 발굴하는 등 영업 리더십을 입증했다. ▲ 박미라 DS부문 제조&기술담당 MI기술팀 Master(46세)는 극미세 및 초고적층 공정 계측기술 전문가로 AI 기반 공정 모니터링 및 품질 사고 예측 자동화 등 계측 고도화를 주도하며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2024.11.29 09:41장경윤

마우저, 'RISC-V' 기술 지원 센터 오픈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방대한 콘텐츠들로 구성된 RISC-V 지원 센터를 통해 설계 엔지니어를 위한 최신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고 26일 밝혔다. 오픈소스 아키텍처가 점차 널리 채택됨에 따라, 미래의 최첨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식으로 RISC-V가 주목받고 있다. RISC-V는 스마트폰 및 IoT 기기를 비롯해 고성능 컴퓨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점차 지배적인 ISA(명령어 집합 구조)로 성장하고 있다. 다른 ISA와 비교할 때, RISC-V는 더 단순한 구조라 프로세서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에 적합하다. RISC-V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하며,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확장 세트를 통해 특정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지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연성과 다기능, 다용도의 특성을 갖춘 RISC-V는 특히 FPGA 함께 이용하면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마우저의 기술 팀과 신뢰할 수 있는 제조사 파트너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사와 블로그, 전자책 및 제품을 통해 혁신적인 RISC-V 애플리케이션 설계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 콘텐츠 허브는 특히 머신러닝을 보다 쉽게 에지에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ISC-V가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살펴본다. 에너지 효율적인 아키텍처 기반의 RISC-V는 자율주행 차량과 헬스케어 기기를 비롯해 광범위한 에지 기기에서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마우저는 RISC-V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제품 및 솔루션을 포함해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반도체 및 전자 부품을 보유하고 있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의 'FPB-R9A02G021' RISC-V MCU 고속 프로토타이핑 보드는 R9A02G021 MCU 기반의 평가, 프로토타이핑 및 개발을 위해 설계됐다. 이 보드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세거(SEGGER)의 J-Link 에뮬레이터 회로를 포함하고 있어 툴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도 개발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소비가전 기기, 산업용 센서 및 의료용 센서 등이 있다. 라즈베리 파이의 '피코 2'는 이전 세대의 라즈베리 파이 피코 시리즈 디바이스와 호환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 피코 2는 더 높은 코어 클럭 속도와 두 배의 메모리 용량, 더욱 강력한 Arm® 코어를 비롯해 옵션으로 제공되는 RISC-V 코어와 강화된 보안 기능 및 업그레이드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라즈베리 파이 피코 2는 C/C++와 파이썬(Python)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취미 수준의 개발자와 전문 개발자 모두에게 이상적인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다. 비글보드의 '비글V-파이어' 단일 보드 컴퓨터(SBC)는 FPGA 패브릭이 내장된 마이크로칩의 '폴라파이어' MPFS025T FCVG484E 5x 코어 RISC-V 시스템온칩(SoC)으로 구동된다. 강력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적인 RISC-V ISA를 기반으로 구현된 이 SBC는 RISC-V 기술에 대한 탐색 및 실험적 기회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활용해 양산용 컴퓨터 아키텍처 및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스피드 스튜디오의 'XIAO' ESP32C6 마이크로컨트롤러(MCU)는 에스프레시프의 'ESP32-C6'에 기반한 비용 효율적인 디바이스이다. 2.4GHz 와이파이 6, 블루투스 LE 5.0, 지그비 및 스레드 등 다양한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이 소형의 MCU는 매터(Matter) 호환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이 XIAO 시리즈는 엄지 손톱 크기의 풋프린트와 단일면 마운트 설계로, 크기 제약이 있는 프로젝트에 매우 적합하다.

2024.11.26 16:11장경윤

'스마트홈 시장 진출' 애플, 첫 제품 이렇게 나온다

작년에 스마트 스피커 '홈팟2'를 출시한 애플이 새로운 스마트홈 제품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계속 나오고 있다. IT매체 나인투파이브맥은 24일(현지시간) 지금까지 나온 소식들을 종합해 애플이 선보이게 될 스마트홈 디스플레이 제품을 소개했다. ■ 애플 인텔리전스 지원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애플의 차세대 스마트 홈 제품은 '홈액세서리'(HomeAccessory)로 알려져 있다. 코드명 'J490'으로 알려진 이 제품은 A18 칩셋을 탑재해 기존 홈팟 모델과 달리 애플의 새 인공지능(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와 완전히 새로워진 '시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시장에 나와 있는 홈팟과 홈팟 미니는 모두 애플워치에 탑재된 S7, S5 칩셋이 탑재됐다. ■ 정사각형 디스플레이 나인투파이브맥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의 차세대 스마트 홈 디스플레이에는 아이패드처럼 직사각형이 아닌 정사각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될 예정이다. 블룸버그 통신 마크 거먼도 이 제품의 화면이 약 6인치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두 개의 아이폰을 나란히 놓은 크기이며 디스플레이 주변에 두꺼운 테두리가 있다"고 밝혔다. ■ 카메라 및 센서 이 제품은 페이스타임 및 화상회의를 위한 내장 카메라가 화면 상단 중앙에 자리할 예정이다. 또, 애플은 외부 센서를 사용해 실내에 몇 명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특수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근접 센서를 통해 사람이 얼마나 기기와 떨어져 있는 지를 감지해 화면에 표시되는 위젯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 독특한 폼 팩터 과거에 블룸버그 마크 거먼은 이 제품을 "벽에 자석으로 부착할 수 있는 아이패드와 유사한 스마트 디스플레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제품은 실버와 블랙의 두 가지 색상으로 제공될 계획이다. 또, 그는 최근 이 제품에 아이맥 G4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갖춰 옵션으로 스피커 스탠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새 운영체제 '홈OS'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스마트 홈 디스플레이에 '홈OS'라는 운영체제(OS)를 탑재할 예정이다. 나인투파이브맥은 이전에 tvOS 18 베타에서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발견했는데, 이 화면이 향후 홈OS의 기반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블룸버그도 이 OS가 아이폰의 대기 모드와 비슷하다고 밝힌 바 있다. 새롭게 디자인된 OS에는 사용자가 주식 정보나 날씨, 일정을 확인하기 위한 위젯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가능한 홈 화면을 갖췄다. 또, 화면을 구성해 주요 홈 컨트롤을 강조할 수도 있다고 알려졌다. ■ 출시일 나인투파이브맥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이 제품을 내년 봄 출시할 예정이다. 블룸버그 통신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며 애플 스마트홈 디스플레이가 이르면 내년 3월 출시될 수 있다고 밝혔다.

2024.11.25 13:27이정현

"CGV 스크린X로 '투바투' 만나세요"

CGV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하이퍼포커스 인 시네마'(TOMORROW X TOGETHER : HYPERFOCUS IN CINEMAS)를 오는 12월 4일 개봉한다고 21일 밝혔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하이퍼포커스 인 시네마'는 지난 7월 개봉한 '하이퍼포커스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브이알 콘서트(HYPERFOCUS : TOMORROW X TOGETHER VR CONCERT)'를 CGV만의 기술특별관인 SCREENX, 4DX, ULTRA 4DX 등의 포맷으로 재가공했다. 스테이지와 스토리텔러의 합성어인 '스테이지텔러'라는 명성을 가진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강렬한 퍼포먼스를 다양한 포맷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SCREENX는 좌, 우, 정면 등 3면으로 확장된 화면을 통해 멤버들의 표정과 안무를 초밀착 관람할 수 있어 팬들은 마치 현장에서 직접 보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4DX는 무대 콘셉트에 맞춰 다양한 효과를 구현해낸다. 숲속에서는 산의 상쾌한 향기, 바람과 사막 무대에서는 따듯한 공기와 안개, 풍선 무대에서는 달콤한 향기와 눈이 내리는 효과를 느낄 수 있어 생동감 넘치는 관람이 가능하다. ULTRA 4DX는 SCREENX와 4DX의 효과가 합쳐져 무대 속으로 직접 들어가는 듯한 입체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하이퍼포커스 인 시네마'에서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대표곡인 'Sugar Rush Ride', 'Déjà vu'를 비롯해 총 6곡의 유니크한 퍼포먼스와 멤버들의 코멘트 및 비하인드까지 만나볼 수 있다. CGV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하이퍼포커스 인 시네마' 개봉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했다. 관람객에게는 개봉 주차별 특전으로 멤버별 랜덤 포토카드를 증정하고, 다 함께 공연을 즐기며 자유롭게 응원할 수 있는 리액션 상영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개봉 1주차인 12월 5일에는 멤버 수빈의 생일을 기념해 '수빈 생일 기념 상영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하이퍼포커스 인 시네마'는 CGV용산아이파크몰을 비롯한 전국 54개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영화는 22일 오전 10시 예매 오픈하며, 추후 글로벌 개봉도 진행할 예정이다. CJ CGV 이정국 ICECON사업팀장은 “큰 사랑을 받고 있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무대를 CGV만의 기술 특별관인 SCREENX, 4DX, ULTRA 4DX로 선보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며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강렬한 무대를 특별관에서 관람하며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을 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4.11.21 20:40안희정

블로믹스, 테일즈런너RPG 주제가 '에코스오브페이트' 공개

블로믹스(대표 차지훈)는 라온엔터테인먼트(대표 박재숙)와 공동 퍼블리싱하는 신작 모바일게임 테일즈런너RPG 공식 주제가 '에코스오브페이트'를 영상과 함께 19일 공개했다. 주제곡 '에코스 오브 페이트(Echoes of Fate)'는 '운명의 메아리'라는 뜻으로 게임의 세계관을 반영한 서정적인 제이록(J-ROCK) 장르의 곡이다. 이 곡은 위기에 처한 동화나라를 구하기 위해 작가가 된 이용자가 동화 속 주인공들과 함께 이야기를 다시 쓰는 게임의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 또 공식 유튜브 채널과 커뮤니티를 통해 90초 분량의 편집 영상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이 영상에는 초원, 밍밍, 빅보, 라라 등 원작 게임 테일즈런너의 인기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이들이 성인으로 성장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원작 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를 통해 원작 캐릭터들의 매력적인 외형과 개성이 테일즈런너RPG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테일즈런너RPG 이상훈PD는 "이번 OST를 통해 위기에 처한 동화나라를 구하는 게임의 핵심 콘셉트를 음악과 영상으로 미리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테일즈런너RPG는 이달 사전 출시와 12월 정식 서비스를 앞두고 사전 예약을 진행 중이다. 사전 예약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그리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여할 수 있다.

2024.11.19 10:41김한준

"내년 대학생 키워드는 '올라운더' 과대표"

LG유플러스 '유쓰(Uth)'가 20대를 정의하는 '2025 대학생 트렌드 키워드'로 '헬씨파민', 'OIY', 'A급 ISTJ', '잼얘피커', 페이버십', '텍스트 프로슈머' 등을 선정했다. LG유플러스는 2025년 유쓰 브랜드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1020세대와 유쓰 브랜드가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2025년 대학생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올라운더(All-rounder) 과대표'다. 다가가기 쉽지만 만능 캐릭터의 매력을 갖춘 캐릭터다. 다양한 분야에서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며 성장해 나가는 20대의 특징을 반영했다. LG유플러스는 20대를 대표하는 카테고리로 라이프스타일, 소비행태, AI∙Tech, 놀이문화, 대인관계, SNS 6가지를 선정하고, 각 카테고리별 키워드로 ▲헬씨파민(Healthy+Dopamine) ▲OIY(Order It Yourself) ▲A급 ISTJ 팀원 ▲잼얘피커(재미있는 얘기+Picker) ▲페이버십(Favorite+Ship) ▲텍스트 프로슈머(Text+Prosumer)를 꼽았다. 먼저 20대의 라이프스타일 키워드는 '헬씨파민'이다. '맵파민(매운맛+도파민)' 대신 건강하고 유익한 도파민으로 삶을 채워 나가는 트렌드다. 자극적인 음식을 먹기보다 한강에서 러닝을 하고, 맥주는 주점보다 야구장에서 먹는 것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주요 러닝앱 이용자의 70% 이상이 20대다. 소비행태 분야에서는 'OIY'를 키워드로 꼽았다. 자신만의 취향에 맞춘 커스터마이즈 상품 소비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는 뜻이다. 정해진 옵션 안에서 본인 취향에 맞춘 개성있는 상품을 직접 만드는 것이 희소성이 높아 20대에게 가치판단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AI∙Tech에서는 'A급 ISTJ 팀원'이 키워드로 선정됐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AI(인공지능)을 바라보는 20대들의 인식이 담긴 키워드다. ISTJ는 최근 유행하는 성격 유형 검사(MBTI)의 한 유형으로, '내향적(I), 현실적(S), 이성적(T), 계획적(J)'인 성격을 가진 캐릭터다. 먼저 다가 오지는 않지만, 내가 필요할 때 적절한 조언을 해주는 친구 같은 AI 기술을 지향하는 바람을 담았다. 놀이문화 키워드는 '잼얘피커(재미있는 얘기+Picker)'다. '잼얘'는 '재미있는 얘기'를 일컫는 신조어로, 어떠한 판단을 할 때 '비용' 뿐 아니라 '재미'도 큰 비중을 두는 사람을 잼얘피커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가 숏폼(짧은 동영상)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랜덤 우정여행'이다. 지도에 다트를 던져 여행지를 정하는 놀이로, 비용과 관계 없이 여행지 선정 과정부터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 대인관계에서는 '페이버십'을 꼽았다. 사회적으로 정해진 소속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관심사가 중심이 되는 소속을 직접 찾아나서는 문화다. '닐슨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최근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우상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소모임 서비스가 최근 월간 순 이용자 수 기준으로 데이팅 서비스를 역전하기도 했다. SNS에서의 키워드는 '텍스트 프로슈머'다. 프로슈머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결합한 단어로, 단순히 소비에 그치지 않고 제품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를 뜻한다. 독서가 '힙'한 행위라는 '텍스트힙' 트렌드와 맞물려 SNS에서 텍스트를 읽는 것을 넘어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 담긴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생산하는 20대의 특성이 반영됐다. 이 중 상당수는 본인의 SNS 계정을 수익화하기도 한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트렌드 키워드를 기반으로 2025년 유쓰 운영 방향성을 탄탄한 기본기, 합리적인 가격, 고객과의 유연한 소통, 윤리경영, 사회공헌 등을 모두 갖춘 '올라운더 과대표'로 잡고, 20대의 성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세부 활동 계획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LG유플러스의 20대 타깃 상품∙서비스 개발에도 트렌드 키워드를 활용할 방침이다. 강윤미 LG유플러스 IMC2팀장은 “2023년 유쓰 론칭 이후 20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20대 선호 브랜드로 앞서가고 있는 만큼, 20대 타깃 노하우를 널리 알리기 위해 트렌드 키워드를 발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삶에 귀기울이고 트렌드를 선도해 1020세대 고객의 성장을 이끄는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1.18 10:08최지연

[ZD SW 투데이] 롯데이노베이트, '2024 경영정보대상' 수상 外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롯데이노베이트, '2024 경영정보대상' 수상 롯데이노베이트가 한국경영정보학회가 주최한 '2024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경영정보대상'을 수상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번 학술대회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인공지능 가치 창출'을 주제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열렸다. 롯데이노베이트는 '기업내 대형언어 모델의 활용 사례 연구'를 발표하며 AI 플랫폼 '아이멤버'를 소개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슈퍼코더 IT 인력난 해소 공로 인정 슈퍼코더가 '제21회 서울지역 창업기업 만남의 장' 행사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슈퍼코더는 인도공과대학 졸업생을 포함한 해외 개발자들을 국내 IT 시장에 연결하며 IT 인력난 해소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슈퍼코더는 전 세계 115개국 11만 명의 개발자 풀 중 상위 5%를 엄격히 선별해 국내 기업과 매칭하고 있다. 맘스테이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은 슈퍼코더를 통해 해외 인재를 채용해 구인난을 해결하고 있다. ◆쿠콘, '제4회 스마트금융대상 금융위원장상' 수여 쿠콘이 국내 최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플랫폼 '쿠콘닷넷'으로 디지털 금융 혁신 공로를 인정받아 제4회 스마트금융대상에서 금융위원장상을 수여받았다. 이 상은 디지털 금융 활성화와 핀테크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에 주어진다. 쿠콘은 약 300개 데이터 API와 5만여 종의 데이터를 제공하며 디지털 금융 생태계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쿠콘은 디지털 금융 리더로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지속 개발할 예정이다. ◆지란지교데이터 대표, 대전 지역 일자리 창출 공로 표창 유병완 지란지교데이터 대표가 대전광역시로부터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전광역시장 표창을 수상했다. 지란지교데이터는 대전 청년 인턴 지원 사업, 대전형 반도체 플러스 장려금 사업 등 지역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며 대전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지란지교데이터는 대전 사무소 내 기업 부설 연구소를 통해 SW 개발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또 올해 대전 근무 직원이 15% 이상 증가하는 등 지역 인재 채용에 앞장서고 있다. ◆더조인, 모바일 가상화 플랫폼 'J-VMP' 우수조달제품 지정 더조인의 '제이-브이엠피(J-VMP)'가 조달청 우수조달제품으로 지정되고 디지털서비스몰에 다수공급자계약 방식으로 등록됐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대상 수의계약이 가능해져 공공시장 경쟁력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J-VMP'는 업무와 개인 영역을 완벽히 분리해 보안을 강화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가상화 플랫폼으로, 국제 공통평가기준(CC) 인증을 받은 제품이다. 더조인은 공공 부문의 모바일 보안 분야 강화를 목표로 'J-VMP' 공급을 확대하고 운영 성능을 개선한 차기 제품을 다음해 선보일 계획이다. ◆위세아이텍, K-디지털 트레이닝 참여로 AI 인재 양성 앞장 위세아이텍이 고용노동부 주관 '2024년 하반기 K-디지털 트레이닝' 훈련과정 참여기업으로 선정돼 AI 인재 양성에 나선다. 훈련과정은 6개월간의 실무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며 AI 부트캠프(파이썬, 머신러닝, 딥러닝)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현장 실무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위세아이텍은 자사 AI 개발 플랫폼 '와이즈프로핏'을 실습용 소프트웨어로 지원해 학습자들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손쉽게 AI 모델링과 분석을 실습하도록 돕는다. ◆맵시, 'CES 2025' 혁신상 수상 맵시가 'CES 2025'에서 스마트시티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맵시는 60년간의 항해 경험과 IT 기술을 결합해 실시간 선박 빅데이터 기반 솔루션인 '맵시 내비게이션'과 '맵시 커넥트'를 개발했다. 맵시는 고가 장비 없이도 실시간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델을 기반으로 선박 안전, 운영 효율, 탄소 배출 모니터링 서비스를 지원하며 해양 디지털화와 탈탄소화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ES 혁신상' 수상과 함께 'CES 2025' 부산관에서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2024.11.15 17:31조이환

앵커노드, 지스타2024 B2B 참가...게임 AI 솔루션 소개

[부산=최병준, 이도원, 남혁우, 강한결] 앵커노드(대표 원재호)는 14일부터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지스타2024에 참가해 AI 기반의 게임 개발 솔루션과 인기 게임 타이틀을 소개한다. 이 회사는 게임 및 가상 공간 전환 가속화(Seamless Virtual Shift)를 목표로 지난해 설립된 된 스타트업이다. 게임 개발 경력 25년을 보유한 원재호 대표를 중심으로 10~20년간 함께한 베테랑 게임 개발자들이 모여있다. 앵커노드의 지스타2024 부스는 B2B 전시관 J-905에 위치해 있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게임 제작의 혁신적인 솔루션과 글로벌 흥행작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이 회사가 개발한 솔루션은 'AI 게이밍 이미지 솔루션'과 '버추얼 무브먼트 솔루션'이 있다. 각각 아트 제작 비용 절감과 가상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등을 구현해 준다. 또한 'NPC AI 솔루션'은 딥러닝 기반으로 현실감 있는 NPC 동작을 지원하여 몰입감 높은 게임 환경을 조성하는데 초점에 맞춰 개발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회사가 선보인 게임은 '카드 오브 레전드(COL)'와 '브레드 베어: 쿡 위드 미(Bread Bear: Cook with Me)'다. COL은 마오아에 맞서 120명의 천사들과 협력해 전투 재미를 경험할 수 있는 카드 배틀 장르라면, 다운로드 수 100만 건을 넘긴 브레드 베어는 귀여운 곰 캐릭터와 함께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식당 경영 게임이다. 원재호 앵커노드 대표는 "지스타2024는 게임과 AI 기술의 새로운 융합을 보여줄 중요한 기회"라며 "앵커노드의 AI 솔루션은 게임 개발의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2024.11.14 16:06특별취재팀

세계 최고 수준의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IP 포트폴리오 판매 개시

시카고, 2024년 11월 14일 /PRNewswire/ -- 제이에스 헬드(J.S. Held)의 계열사인 오션 토모 트랜스액션스(Ocean Tomo Transactions)는 스위스에 본사가 있는 기술 기업 아반타마(Avantama AG)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퀀텀닷(quantum dot) 지적 재산 포트폴리오와 관련 노하우 및 제조 자산을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아반타마는 광학 및 전자 코팅에 사용되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전자제품용 첨단 소재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IP for sale protecting key materials for perovskite PV & SWIR sensors and LCD, QD-OLED, QD-microLED & QD-EL displays. 아반타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SWIR 센서와 LCD, QD-OLED, QD-마이크로LED 및 QD-EL 디스플레이에 필수적인 반도체 나노입자 및 퀀텀닷 잉크와 필름의 상용화를 위한 공정, 조성물, 배합, 필름과 기기 등 혁신 기술을 포괄하는 220개 이상의 글로벌 특허 포트폴리오를 개발했다. 동사는 스위스에서 수 톤 규모로 입증되고 확보된 생산 능력을 통해 이러한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증명해 왔다. 아반타마의 소재는 페로브스카이트 PV 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인 25%의 전력 효율을 달성했으며, 첨단 QD-EL 디스플레이 시연을 구현했다. 또한, 동사는 2016년부터 전자제품용 소재 공급업체로 인증을 받아왔다. 아반타마의 기술은 반도체 나노입자 ETL와 HTL 잉크를 활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뿐만 아니라,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잉크와 필름을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실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동사의 나노 입자 포뮬레이션은 용액 공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유기 태양 전지, SWIR 검출기와 QD-EL 디스플레이 개발에 폭넓게 활용된다. 특히, 카드뮴이 없는 퀀텀닷은 업계 최고의 광학 성능과 월등한 Rec.2020 적용 범위로 디스플레이 시장을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 아반타마의 나노 입자 포뮬레이션은 다양한 코팅과 인쇄 공정에 필요한 탁월한 소재 유연성, 정밀하게 조정된 나노 입자 크기, 입자 특성화와 코팅 포뮬레이션을 제공하여 고도로 맞춤화할 수 있다. 나노 입자와 포뮬레이션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10년 이상 전문성을 쌓아온 연구팀은 수 톤 규모의 맞춤형 나노 입자와 포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 귀중한 기술적 노하우 또한 이 제공품에 포함되어 있다. 이번 자산 거래는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인 오션 토모가 아반타마를 대리하고 있다. 거래 관련 질문이나 샘플 자료 요청은 크리스토퍼 브루스 (christopher.bruce@jsheld.com)에게 문의하면 된다.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인 오션 토모 트랜스액션스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인 오션 토모 트랜스액션스는 고부가가치 IP 기반 비즈니스, IP 포트폴리오 또는 독점 기술 솔루션으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지적 재산권 소유자 및 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 팀은 총 10억 달러 이상의 IP 가치 실현 거래를 성사시켰으며, 총 100억 달러 이상의 IP 계약에 대한 자문을 제공해왔다.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인 오션 토모 트랜스액션스는 전 세계 1500명 이상의 전문가와 함께 기업, 보험사, 로펌, 정부, 기관 투자자 등 다양한 고객들을 지원하고 있다. 제이에스 헬드는 기술, 과학, 재무, 전략적 전문성을 결합하여 가치를 실현하고 위험을 완화하려는 고객들에게 자문을 제공하는 글로벌 컨설팅 회사이다. 동사의 전문가들은 긴급한 관심, 철저한 무결성, 명확한 분석, 유형 및 무형 자산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위급한 상황에 처한 조직들에 신뢰할 수 있는 조언자로 활동한다. 동사는 고객이 복잡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종종 치명적인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일련의 포괄적인 서비스, 제품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이에스 헬드의 전문가들은 글로벌 200대 로펌의 81%, 포브스 상위 20대 보험사의 70%(NAIC 상위 50대 손해보험사의 85%), 포춘 100대 기업의 65% 등 6개 대륙에 걸쳐 다양한 조직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이에스 헬드와 그 계열사 및 자회사는 공인회계법인이 아니며 감사, 증명 또는 기타 공공 회계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제이에스 헬드와 그 계열사 및 자회사는 로펌이 아니며 법률 자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증권은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이자 FINRA/ SIPC 회원사인 피닉스(Phoenix) IB로 비즈니스를 운영 중인 PM 시큐리티즈 유한회사(PM Securities, LLC), 또는 제이에스 헬드의 계열사이자 FINRA/ SIPC 회원사인 오션 토모 투자 그룹 유한회사(Ocean Tomo Investment Group, LLC )를 통해 제공된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 연락처 Kristi L. Stathis, 제이에스 헬드, +1 773 294 4360, Kristi.Stathis@jsheld.com, JSHeld.com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55303/Ocean_Tomo_Avantama_perovskite_quantum_dot_ink.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774904/Ocean_Tomo_JS_Held_Logo.jpg?p=medium600

2024.11.14 10:10글로벌뉴스

농협은행 "블록체인, 금융서비스와 접목"

농협은행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 외화송금 분야 서비스 협력을 위해 파티오르(Partior)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파티오르는 미국 투자은행 제이피모건(J.P.Morgan), 싱가포르 최대 은행 DBS, 싱가포르 국부 펀드 Temasek 등의 합작으로 설립된 글로벌 기업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은행 간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한다. 현재 J.P.Morgan, DBS, SC은행은 파티오르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의 외화송금 업무를 일부 수행하고 있으며, UAE, 일본 등의 글로벌 은행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참여기관을 넓혀가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외화송금 사업 추진을 위한 정보 교류 ▲블록체인 시장 동향 및 신기술 적용 사례 공유 ▲파티오르 네트워크를 통한 크로스보더 협력 기회를 창출하는 등 다방면으로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이 날 협약식에서 이석용 은행장은 “본 협약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실제 금융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심도있게 검토하고, 고객에게 더욱 혜택이 높은 해외송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13 11:08손희연

"애플, 내년 스마트홈 시장 진출… AI 벽면 태블릿 내년 3월 공개"

애플이 스마트홈 시장 진출을 위해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2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내년 초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영상통화,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앱을 탐색할 수 있는 벽면 디스플레이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3월 제품 공개를 준비 중이다. 코드명 J490인 이 제품은 애플의 AI 플랫폼 '애플 인텔리전스'에 주목할 예정이며 가정용 명령센터로 포지셔닝할 예정이다. 6인치 정사각형 아이패드 모양...센서 탑재해 사람 가까이 있는 지 판단 이 제품은 약 6인치 화면에 두 개의 아이폰을 나란히 놓은 크기로 정사각형 아이패드처럼 보인다. 디스플레이 주변에 두꺼운 테두리가 있으며 상단 전면 카메라, 충전식 내장 배터리 및 내장 스피커가 탑재됐다. 색상은 실버와 블랙 옵션으로 제공될 계획이다. 이 제품은 애플워치 운영체제(OS)와 최근 출시된 아이폰의 스탠드바이 모드를 혼합한 것처럼 보이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 시리와 애플 인텔리전스에 의존해 음성을 통해 기기와 상호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시리에 명령하고 페이스타임을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징, 뉴스 청취, 음악 재생을 위한 애플 앱이 탑재될 예정이다. 사용자는 메모와 캘린더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사진을 슬라이드쇼로 표시할 수 있다. '페블'(Pebble)이라는 코드명의 새 OS를 실행하는 화면 장치에는 사람이 얼마나 기기와 가까이 있는지 판단하는 센서가 탑재돼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처에 아무도 없을 때는 온도만 표시하지만, 사람이 가까이 가면 집 안의 온도 조절기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할 수 있는 식이다. 3년 이상 개발...향후 아마존·알파벳과 경쟁할 예정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애플을 스마트 홈 시장 강자로 만들기 위해 베팅 중이다. 스마트홈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알파벳과 아마존이 주도하고 있는데 팀 쿡은 최근 이 제품을 애플의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부서의 우선순위로 삼았고 3년 이상의 개발 끝에 출시를 추진 중이라고 알려졌다. 애플의 첫 번째 스마트홈 제품인 이 제품은 아마존 에코쇼와 에코 허브 스마트 디스플레이, 구글네스트 허브 등의 제품들과 경쟁하게 된다. 애플은 화면을 움직일 수 있는 로봇 팔이 달린 고급형 후속 제품도 개발 중이다. 애플은 이 제품들을 AI 기능을 갖춘 가정의 동반자로 마케팅할 계획이다. 고급형 제품 가격은 부품에 따라 최대 1천 달러가 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전용 기기는 이보다 훨씬 저렴해 경쟁사 제품 가격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마존 에코쇼8의 가격은 150달러, 에코 허브의 가격은 180달러, 알파벳 네스트 허브 맥스의 가격은 230달러다.

2024.11.13 09:57이정현

의결권 대리 업체가 '한미사이언스' 로고 무단 사용 논란

한미사이언스가 임시주주총회를 앞두고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하는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단, 법률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사이언스에 따르면 3자연합측 대리업체가 한미사이언스 회사로고 등을 무단으로 명함 등에 사용해 주주들의 혼동이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3자연합의 의결권 대리업체가 주주들을 방문하며 제공한 인쇄물과 명함(사진)에 자사 로고가 인쇄돼 있으며, 특히 명함의 경우 언뜻 봐서는 한미사이언스 임직원인지 대리업체인지 구분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오는 28일 임시주주총회를 앞두고 3자 연합측의 의결권 대리를 맡고 있는 J사는 자사 명함에서 한미사이언스(주) 사명을 크게 부각하고 있어 한미사이언스 임직원이거나 현 경영진을 지지하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다. 또 하단에 한미사이언스(주) 최대주주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라는 표현을 썼지만 현 경영진의 의결권 권유를 대리하는 것으로 오해의 소지도 큰 상황이다. 다른 의결권 대리를 맡고 있는 C사 담당 팀장의 명함도 한미사이언스 기업로고를 크게 강조했으며 하단에 한미사이언스(주) 최대주주라고만 표기해 지지하는 쪽을 분간하기 어렵다. 이들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면서 한미사이언스 소액주주 중 일부는 '별 다른 안내문이나 설명 없이 명함만 주고 갔다' '한미사이언스 현 경영진을 지지하라는 것인지 3자 연합을 지지하라는 것인지 불분명하다'는 의견을 공유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미사이언스 측은 시장에 혼란을 가중시킴은 물론 주주들의 공정한 의결권 행사를 방해한다는 판단이다. 법조계에서는 의결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주주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안들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한미사이언스의 입장이나 업무인 것처럼 사칭해서 회사의 정상적인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는 해석도 있다. 앞서 지난 2월 고려아연 정기 주주총회에서도 명함과 안내문 사칭 논란이 불거졌는데, 의결권 대리행사를 위임받는 업체들의 명함에서도 고려아연 주식회사가 명함 왼쪽에 크게 강조되고 영풍 측이라는 '최대주주 주식회사 영풍'보다 크게 부각된 것이 문제가 됐다. 이에 대해 고려아연 주주들 사이에서 영풍 측이 주주들에게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명함과 안내문이 고려아연 측의 것으로 오인할 소지가 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3자 연합측과 이들의 의결권 대리업체에 대해 자본시장법과 형법상 업무방해죄 등 법 위반 소지에 대한 정밀 검토에 들어갔다”며 “일련의 행위들에 위법성이 확인되면 가능한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회사와 주주들의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미그룹의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는 오는 28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이사회 인원을 현 10명에서 11명으로 늘리는 정관 변경의 건과 신동국 회장, 임주현 부회장 2인의 이사 선임 건, 그리고 주주친화정책인 감액배당 건들이 상정돼 있다. 정관 변경 건은 출석한 주식 수의 3분의 2 이상과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해 현재의 지분구조로는 부결이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 관심사인 사내이사 선임건은 특정 인물에 대한 부결 가능성이 거론되는 만큼 주주들의 표심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2024.11.12 14:56조민규

돌아온 트럼프, 美 빅테크만 웃는다…글로벌 AI 시장 찬바람 예고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인공지능(AI) 시장이 큰 변화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안전성, 윤리성을 고려한 규제 범위 내에서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기조로 일관해 왔던 조 바이든 행정부와 반대로 일찌감치 규제 철폐를 예고한 만큼 빅테크들은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0월 바이든 대통령이 마련한 'AI 행정명령'을 취임 후 없앨 가능성이 높다. 'AI 행정명령'은 지난 해 10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놓은 것으로, 최초의 법적 구속력을 가진 연방 차원의 AI 규제다. AI 모델이 대중에게 공개되기 전에 안전성을 확보해 국가존망의 위협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소비자와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AI 안전성 검토와 딥페이크 콘텐츠 워터마크 표식을 의무화하는 규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트럼프 당선인은 이를 '불법 검열'로 간주한 바 있다. 트럼프는 "표현의 자유에 뿌리를 둔 AI 개발로 대체할 것"이라고 공언한 상태다. 트럼프의 러닝메이트인 J.D. 밴스 부통령 당선인도 'AI 행정명령'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지난 7월에는 상원 청문회에서 "선제적 과잉 규제 시도가 기존 빅테크 기업들을 고착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우려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관계자들은 AI 행정명령의 보고 요건이 번거롭고 기업들이 영업 비밀을 공개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며 "이 요건으로 빅테크뿐 아니라 잠재적인 혁신가들의 진입 장벽을 높이고 '챗GPT' 같은 혁신을 내놓는데 더 방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규제 철폐' 약속한 트럼프, 美 빅테크에 '날개' AI를 전략 자원으로 삼고 있는 트럼프 당선인은 빅테크 기업들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한편, AI 기업의 투자 및 혁신 촉진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다자간 AI 협력보다는 미국 중심의 AI 정책에 중점을 둘 가능성이 큰 상태로, 규제 완화를 통해 AI 스타트업 투자 촉진과 혁신 가속화를 추진하고 있다. 딘 볼 조지 메이슨 대학 연구원은 "트럼프는 새로운 법률을 만드는 것보다 기존 법률을 적용하는 것에 의존하는 가벼운 규제 체제를 예고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대체로 자율 규제가 원칙이 되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규제 완화로 자본에 대한 접근성도 높아져 AI 관련 투자를 활성화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일로 미국에 기반을 둔 빅테크들은 규제 부담이 없어져 AI 혁신을 주도할 환경을 갖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 CEO들이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자 애를 쓴 것도 이를 염두에 둔 행동으로 분석됐다. 업계에선 규제에서 자유로워진 빅테크 기업들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되면서 미국과 다른 나라와의 AI 기술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보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견제해왔던 유럽연합(EU)과 영국은 AI 시장에서 영향력이 축소될 것으로 보고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는 분위기다. 다만 이 지역에선 현재 혁신보다 규제를 우선시 하고 있어 AI 분야에서의 입지는 더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 CNN은 "빅테크 기업들은 EU와 영국이 AI 개발에서 미국에 뒤처질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경고해왔다"며 "잠재적 규제 완화에 따른 미국의 AI 미래는 영국과 EU보다 앞선 혁신을 이끄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만다 블록 오픈UK CEO는 "영국이 미국의 AI 입장에 동조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AI 선도 기업과 협력이 반드시 필요할 뿐 아니라 개방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미국 우선주의' 내세운 트럼프…美와 AI 기술 격차 더 벌어질 듯 다른 나라들도 트럼프 당선인의 움직임이 자국 AI 기술 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할까 염려하는 눈치다.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내세우고 있는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 AI 산업 육성과 안보를 이유로 첨단 기술 및 AI 칩 유출 방지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서다. 또 AI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술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AI 연구 개발(R&D) 자금이 필요한 각 기업들에게 막대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도 봤다. 이주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략기술육성과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미국은 자국 중심으로 AI를 성장시키고 국방 안보에도 AI 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AI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건 우려되는 지점"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센티브나 보조금을 통해 미국의 AI 기술 개발을 우선시 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경우 다른 나라 기업들은 미국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거나 자금을 조달하는 데 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전임 대통령 시절 첨예한 대립을 이어왔던 중국은 비상이다. AI 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엔비디아 AI칩 수급이 더 어려워지면서 기술 고도화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서다. 또 미국의 잠재적인 추가 규제에 대비해 화웨이를 중심으로 엔비디아에 대항할 만한 AI칩 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성능 격차가 커 이를 대체하기 어렵다는 점도 고민이다. 에크비아 시큐러스 대학교 교수는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AI 규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AI 개발에 필요한 기술 통제를 포함해 중국에 더 엄격한 기술 통제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로 인한 정치적, 지정학적 파장은 엄청날 수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AI를 더 권위주의적이고 억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셈법 복잡해진 韓, 트럼프 규제 '예의주시'…AI 안전성 우려도 제기 국내 기업들은 이번 일로 셈법이 복잡해졌다. 국내 기업이 미국에 진출할 경우 트럼프 정부의 지원 확대, 규제 완화 정책 덕에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국내서 미국 기업과 협력해 사업을 전개할 경우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안보를 명분으로 AI 기술과 서비스 등의 해외 반출을 막을 수 있어서다. 삼정KPMG는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미국 AI 산업을 자국 기업 중심으로 구성할 경우 한국 기업은 미국 AI 생태계 진입을 위한 미국 기업과의 제휴 확대 등의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 기업을 견제할 경우 한국 등 다른 나라의 AI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국내 기업들도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독자적인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 차원에서 AI 반도체, 데이터 인프라뿐 아니라 보안·AI 솔루션 관련 소프트웨어에 대한 R&D 지원을 늘리고 기업과 함께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서 산업 생태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법무법인 태평양 AI팀 유재규 변호사는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이 AI 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에 나설 것 같다"면서도 "다만 미국 기업 위주 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 국내 기업에게 과제가 될 수 있어 보인다"고 전망했다. AI 안전성 논란도 문제다. 업계에선 트럼프 당선인의 움직임이 AI 안전성을 위협할 것으로 보고 우려하고 있다. AI 발전의 균형추를 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중심으로 맞출 경우 기업들의 기술 오용 등으로 국민 기본권과 국가 안보, 사회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이 커질 수도 있어서다. 샌드라 와흐터 옥스포드 인터넷 연구소 교수는 "트럼프의 복귀로 인해 기술 분야의 규제는 더 완화되겠지만, 전 세계 인권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며 "안전하지 않고 부정확하며 편향적으로 AI가 활용될 것으로 보여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2024.11.07 17:23장유미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구글, ‘가림처리’ 국내 위성사진 구매 검토…업계 "면밀히 살펴야"

"무알콜 맥주, 왜 식당서 안 팔지?"…이유 찾아보니

[유미's 픽] "진짜 승부는 이제부터"…4개월 후 웃을 'K-AI' 기업 어디?

공공 AI 미래 청사진 나왔다…오픈AI·LG CNS, '원칙과 현실' 해법 제시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