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how to get paid for writing'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944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윤수영 LGD CTO "마이크로 LED 기술적 허들 있어…OLED 주도세 지속"

"마이크로 LED 역시 많은 발전을 이뤘지만, 적색 발광의 효율성이나 화면 전송 기술 등 여전히 허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향후 몇년 간은 OLED가 지속적으로 최고의 대안으로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부사장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기회(New Opportunities for the Display Industry)'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 윤 CTO는 음극선관(CRT)부터 OLED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 과정을 소개했다. 윤 CTO는 “고화질, 높은 명암비 및 유연한 디자인 등을 갖춘 OLED의 등장이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OLED가 모바일, TV를 거쳐 IT, 자동차 산업에서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올해는 IT용 OLED 시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원년”이라며 “태블릿 PC를 시작으로 노트북에도 OLED 채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LED 등 차세대 기술과의 경쟁 전략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LED가 잠재력은 있으나, 적색 발광의 효율성이 낮다는 점과 화면 전송 기술의 미흡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며 "이러한 기술을 완벽하게 보완하려면 몇 년이 걸릴 것이기 때문에, 향후 몇 년간은 OLED가 최고의 대안으로 비용, 품질 면에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답변했다. LG디스플레이의 OLED 연구개발 방향성도 소개됐다. TV 분야는 기존 대비 휘도(화면 밝기)와 효율이 향상된 WOLED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IT 분야는 온디바이스 AI 기기에 최적화된 저소비전력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곡면, 슬라이더블, 롤러블 등 자유로운 형태 구현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던 탠덤 기술도 강화한다. 탠덤 OLED는 레드·그린·블루(RGB)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장수명, 고휘도를 구현해 기존 1개 층인 OLED 패널 대비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나다. 탠덤은 현재 2세대 기술까지 상용화됐으며, 3세대 제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3세대 OLED 탠덤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기술과 '메타 부스터' 등으로 성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윤 CTO는 OLED 시대의 가속화를 위해 AI 기반 디지털 전환(D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는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며 “더 효율적이고 정교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디자인 최적화를 이뤄낸다”고 설명했다.

2024.08.13 12:03장경윤

이창희 삼성D 부사장 "OLED 채용률 37%로 증가…AI로 모멘텀 맞아"

"전체 디스플레이 내 OLED 패널의 채용 비중은 이전 8%에서 37% 수준까지 성장했습니다. 향후에도 OLED는 뛰어난 화질로 AI 시대의 주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입니다."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연구소장(부사장)은 13일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AI 시대를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Display Technologies for AI Era)'을 주제로 내건 이 부사장은 온디바이스(On-device) AI 시대를 위한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력을 강조했다. 이 부사장은 AI가 탑재된 모바일 및 IT 기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특히 다양한 부품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부품에 요구하는 기술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고연산 작업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점을 고려해,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OLED의 채택 비중은 2014년 8%에서 올해 37%로 30%가량 상승했다. 특히 스마트폰 산업에서는 OLED의 비중이 21년 31%에서 내년 60%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시장은 10년간 정체됐으나, 모바일 AI 기술에 따라 새로운 모멘텀을 맞이하고 있다"며 "훌륭한 화질과 높은 명암비, 낮은 블루라이트 방출 등으로 OLED는 향후 AI 시대에서 중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부사장은 "OLED 기술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수명이 긴 재료와 소자 구성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발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재나 픽셀 제어 알고리즘 등 다양한 저소비전력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멀티모달(복합정보처리) AI와 함께 혼합현실(XR)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멀티모달 AI란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이 부사장은 "멀티모달 AI는 시선이나 손동작을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의적절한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제공하는 XR 기기에서 특히 진가를 발휘할 것"이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고휘도의 올레도스(OLEDoS) 기술과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고해상도 기술로 멀티모달 AI를 뒷받침해 XR 경험의 매력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다. 센서 통합 디스플레이도 AI 시대에 주목받는 기술이다.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손가락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심박수와 혈압,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유기광다이오드 내장 패널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 바 있다. 양 손가락을 동시에 센싱할 수 있어 기존 웨어러블 기기보다 정확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클라우드를 통하지 않고도 고성능 기기로 데이터를 축적, 처리할 수 있다. 이 부사장은 "지문과 생체 정보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는 패널 기술을 선보인 것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처음"이라며 "센서를 내재화한 패널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 AI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자체 연구개발 과정에도 AI를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OLED 유기재료의 분자구조나 패널 회로를 설계할 때 AI를 통해 천문학적인 경우의 수를 시뮬레이션하며 시행착오를 줄인 것이 대표적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모듈 구조 최적화 연구 과정에도 AI가 활용됐다.

2024.08.13 11:59장경윤

하이센스 프랑스, '빅 게임, 빅 스크린 캠페인 착수

-- 성공적인 프랑스 진출 10주년 기념하며 100인치 TV 홍보 나서 청도, 중국 2024년 8월 13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가전 브랜드 하이센스의 프랑스 법인인 '하이센스 프랑스'가 뛰어난 대화면 TV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최신 제품을 소개하는 '빅 게임, 빅 스크린(BIG GAME, BIG SCREEN)' 캠페인을 시작했다.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100인치 TV 시청이 주는 장점을 홍보하기 위해 열린 이 전국 캠페인은 거실을 스포츠 경기 현장으로 탈바꿈시켜주는 하이센스의 100인치 U7 ULED Mini LED TV의 몰입감 넘치는 시청 기능을 소개하는 게 목적이다. 하이센스는 업계 최대 크기의 이 LED TV를 통해 100인치 TV 시대를 맞이하는 프랑스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1~6월) 프랑스 시장에서 하이센스 TV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한 가운데 100인치 TV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Laser TV 판매량은 같은 기간 87% 늘어났다. Hisense partnered with eco-responsible mobility company Caocao Mobility to celebrate the 'Big Game, Big Screen' campaign 또 친환경 모빌리티 기업인 카오카오 모빌리티와의 협업으로 50대의 택시에 하이센스 브랜드 광고를 부착했고, 버거킹과의 제휴를 통해 프랑스 내 전국 550개 매장에서 브랜드 노출을 통해 수백만 명의 고객에게 흥미로운 경품을 제공하고 있다. Hisense set up the football fan zone in Paris during UEFA EURO 2024™ 하이센스 프랑스는 2014년 설립 이후 전통 브랜드 중 주목받는 주요 업체로 성장했고, 특히 프랑스에서 개최된 UEFA 유로 2016 후원으로 성장에 가속도가 붙었다. 이러한 성공은 하이센스가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챔피언십을 비롯한 전략적 스포츠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글로벌 입지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방증해준다. 하이센스의 네 가지 글로벌 전략은 브랜드 가치 제고, 산업 구조 최적화, 글로벌 확장 강화를 위한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동시에 소비자 니즈에 대한 이해와 대응을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 중심의 제품 개발을 통해 고도의 혁신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이센스는 소비자에게 더 밝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이센스 소개 하이센스는 선도적인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가전 브랜드로 UEFA 유로 2024™의 공식 파트너이다. 시장조사기관인 옴디아에 따르면 하이센스는 2023년도 및 2024년 1분기에 TV 출하량 세계 2위 및 100인치 TV 출하량 세계 1위를 각각 차지했다. 하이센스는 시장 범위를 빠르게 넓혀 160개가 넘는 국가에 진출해 있으며, 멀티미디어 상품과 가전 및 지능형 IT 정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2024.08.13 11:10글로벌뉴스

식약처, EMA 의약품 공동심사 프로그램 소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유럽의약품청(EMA)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과학적 공동평가(OPEN) 프로그램'을 제약업계에 안내하고 수출 지원 사항 등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13일 서울 서초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개최한다. 간담회에서는 ▲OPEN 개요 설명 ▲코로나-19 백신 OPEN 공동 심사평가 경험 공유 ▲업계 애로사항 청취 및 해외 진출 지원방안 등이 논의된다. EMA 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과학적 공동평가 프로그램(Opening our Procedures at EMA to Non-EU authorities)은 EMA와 비 EU 규제기관이 협력해 특정 의약품을 공동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현재 우리나라·캐나다·일본·호주·브라질·스위스 규제당국이 참여 중이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EMA 등 해외 규제기관과 함께 의약품을 평가하고, 전문지식과 심사 기준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OPEN 프로그램 참여가 글로벌 혁신 치료제의 국내 도입을 앞당겨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제약업계도 “우리나라가 글로벌 규제 조화를 선도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해외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2024.08.13 10:06김양균

LG전자, 'AI가전의 편리함' 알리는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제작

LG전자가 LG AI가전의 차별화된 고객경험과 편리함을 알리는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하우스 오브 서바이벌(영문명: Estate of Survival)'을 직접 제작했다. 해당 쇼는 아마존 산하의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인 프라임 비디오에서 12일(현지시간) 론칭했다. '하우스 오브 서바이벌'은 북미와 중남미 지역 등에서 프라임 비디오 및 LG채널을 통해 공개되고, 국내에서는 8월 말부터 LG채널에서 볼 수 있다. LG채널은 LG webOS TV에 기본 탑재하고 있는 무료 콘텐츠 플랫폼이다. 이번 오리지널 콘텐츠는 '가전 없는 가전쇼'를 주제로 한 이색적인 예능 프로그램으로 총 6개 에피소드로 제작됐다. YG(Young Generation)세대 시청률이 높은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형식을 통해 LG AI가전의 차별화된 편리함과 가치를 알리는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이다. 이번 리얼리티쇼에는 약 900명의 신청자가 지원했으며, 인터뷰와 심층 심리 검사 등을 통해 최종 참가자 8명이 선정됐다. 참가자들은 양말 산(山)에서 양말 짝 찾기, 눈 가리고 머핀 만들기 등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면서 텅 빈 집 안을 채울 가전과 생존에 필요한 물품 등을 획득하게 된다. 매회 투표를 통해 탈락자가 생기고, 최종 우승자에게는 10만 달러의 상금이 주어진다. 참가자들은 빈 집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LG 프리미엄 가전을 체험하게 된다. LG 워시콤보를 획득한 참가자들은 힘든 손빨래에서 벗어나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끝내는 편리함을 경험한다. 저녁에는 LG전자 냉장고에서 만드는 고급스러운 원형(圓形) 얼음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로 칵테일을 즐긴다. 또, 스마트폰으로 밀키트의 바코드나 QR코드를 스캔한 후 오븐에 넣고 시작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최적의 요리를 완성해주는 '스캔투쿡(Scan-to-Cook)' 등 편리한 LG전자 주방가전의 AI 기능도 경험한다. 이외에도 식기세척기, 스타일러 등 가사 노동을 줄여주는 다양한 LG 가전의 편리함을 체험한다. 참가자들은 LG전자 스마트홈 플랫폼인 LG 씽큐 앱을 활용해 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씽큐 케어' 서비스도 체험한다. 이 서비스는 AI 기반으로 제품 작동상태를 분석하고 고장이 예상되면 씽큐 앱을 통해 고객에게 알려준다. LG전자 류주현 H&A브랜드커뮤니케이션담당은 “텅 빈 집에 가전을 채워 나가며 LG전자 AI 가전만이 주는 차별화된 편리함과 함께 최신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4.08.13 10:00이나리

오픈엣지, 새로운 UCIe 칩렛 컨트롤러 IP 'OUC' 공개

반도체 설계자산(IP) 플랫폼 전문회사 오픈엣지테크놀로지(이하 오픈엣지)는 새로운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칩렛 컨트롤러 IP인 'OUC'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UCIe는 고성능 칩을 기능별 단위로 분할하여 제조한 후 다이-투-다이(die-to-die) 기술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삼성, SK하이닉스, 인텔, TSMC, AM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120여 곳이 참여하는 UCIe 컨소시엄은 칩렛 기술의 연결 표준화 규격을 수립하기 위해 설립됐다. UCIe 기술은 반도체 회로의 집적도를 높이고 반도체 생산비용 절감과 수율 상승의 장점 등이 있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오픈엣지가 새롭게 공개한 'OPENEDGES UCIe Chiplet, OUC'는 칩 간 데이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빠르고 신뢰성 있는 통신을 지원한다. 풍부한 인터커넥트 IP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OUC는 UCIe 1.1 규격을 준수하는 다이-투-다이(die-to-die) 컨트롤러로서, 칩 내부의 AXI 인터커넥션을 다중 다이(die) 연결로 확장한다. 또한 오픈엣지의 인터커넥트 IP인 OIC와 높은 호환성을 통해 전체 시스템을 간편하게 통합하며, 효율적인 대역폭 전송 기능을 활용하여 시스템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번 개발은 2023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AI 및 자동차 시스템온칩(SoC)용 칩렛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TBps급 인터페이스 IP 및 실리콘 포토닉스 응용기술 개발 과제'의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하면서 이루어졌다. 오픈엣지의 UCIe 칩렛 컨트롤러를 개발한 김현규 팀장은 “인터커넥트 IP 개발 경험을 토대로 누구보다 빠르게 개발 성과를 달성 할 수 있었다“며 “진화되는 칩렛 규격에 맞춰 지속적으로 최적화를 진행하고, 고객사의 칩 양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성현 오픈엣지 대표는 “칩의 고도화로 설계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UCIe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오픈엣지는 메모리 서브시스템과 NPU IP에 이어 고객이 미래 기술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필요한 경쟁력 있는 다양한 IP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8.13 08:59장경윤

마이크로랜드, 우수한 지속가능성 성과로 에코바디스 골드 등급 획득

벵갈루루, 인도, 2024년 8월 12일 /PRNewswire/ -- 창립 35주년을 맞은 마이크로랜드 (Microland)는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골드 등급을 획득하여 125,000개 이상의 평가대상 기업 중 상위 5%에 속하게 되었다. 이 성과는 마이크로랜드의 높은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표준에 대한 의지를 반영하여, 환경 및 지속가능한 조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달성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Microland Earns Gold Rating from EcoVadis for Outstanding Sustainability Performance 마이크로랜드에서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하고 이를 운영의 모든 측면에 통합한다. AI와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려는 동사의 노력은 혁신에서 실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실무에 지속가능성 원칙이 뿌리내리는 데 중점을 두며 균형을 이룬다. 마이크로랜드의 목표는 환경 보호를 통해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에 공헌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랜드는 지속가능성, 윤리 및 인력 개발을 우선시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마이크로랜드는 지속가능성을 핵심 기업 문화에 통합하여 모든 이니셔티브와 관행이 장기적인 환경 목표와 사회적 목표에 기여하도록 한다. 동사는 직원을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 윤리 기준과 지속가능성 목표에 부합하는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이러한 총체적인 접근방식은 혁신을 주도하며 청렴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운영하겠다는 마이크로랜드의 의지를 강화하여, 조직 내부는 물론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에코바디스는 환경, 노동과 인권, 윤리 및 지속가능한 조달이라는 4가지 핵심 주제에 걸쳐 21개 기준을 평가하여 비즈니스 지속가능성 등급에 대한 글로벌 표준을 설정한다. 마이크로랜드의 설립자이자 회장 겸 매니징디렉터인 프라딥 카르(Pradeep Kar)는 이 성취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면서 "이 성과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깊은 의지를 반영한다"며 "우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지원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협업을 강화하는 데 전념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랜드 최고재무책임자 라제시 카리데할(Rajesh Kharidehal)은 "전체 평가 기업 중 상위 5%에 포함된 것은 지속가능한 관행을 통해 혁신적인 AI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일"이라면서 "앞으로도 우리는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코바디스의 등급은 UN 글로벌 콤팩트(Global Compact)의 10대 원칙,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GRI) 표준, ISO 26000 등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등급은 성과에 대한 증거 기반 분석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실행가능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랜드 마이크로랜드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IT 인프라 서비스 및 컨설팅 회사로 35년 동안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입증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은 네트워크가 현대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AI, 운영 자동화 및 플랫폼 기반 솔루션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제공하여 전 세계 조직의 운영 우수성, 민첩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4,6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당사 팀은 아시아, 호주, 유럽, 중동 및 북미의 100여개 국가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사이버 보안,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화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수의 업계 분석가로부터 혁신 전략으로 인정받은 마이크로랜드는 강력한 거버넌스, 환경 지속가능성 및 다양한 인재가 넘쳐나는 포용적인 직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기업이 마이크로랜드와 협력하면 최고의 인재, 기술 및 솔루션과 연결되어 최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microland.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연락처: sobia.sahar@microland.com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478854/Microland_Gold_Rating.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1343841/Microland_Logo.jpg?p=medium600

2024.08.12 18:10글로벌뉴스

토마토시스템,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1등급 얻어

위지윅(WYSIWYG) 환경을 제공하는 토마토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웹 통합 개발 환경(IDE) 제품이 우수 소프트웨어(SW)로 꼽혔다. 토마토시스템은 IDE 제품인 '엑스빌더6 포 클라우드'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소프트웨어품질 인증(GS) 1등급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위지윅이란 '왓 유 시 이즈 왓 유 겟(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의 줄임말로, 문서·문서 작성 방법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구현한 것을 뜻한다. 화면상에 보이는 대로 출력된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GS인증은 소프트웨어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호환성 등 총 9가지 항목을 평가하며 등급이 높을수록 소프트웨어 품질이 훌륭하다고 평가받는다. TTA 등 인증 기관에서 제품·솔루션 테스트 과정을 거쳐 GS인증을 받으면 조달청·나라장터 등 공공기관 조달 시장에 진출 가능하다. '엑스빌더6 포 클라우드'는 별도 프로그램을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접속만으로도 ▲클라우드 내 개발 환경 생성 ▲개발 ▲테스트 ▲지속적 통합·배포(CI·CD)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방 소재 공공기관 프로젝트 진행 시 원격지에서 업무를 수행할 경우 웹 브라우저 접속만으로도 해당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시각 기반의 개발 환경을 제공해 화면 구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대규모 코드 베이스를 관리하고 신속하게 배포해야 하는 프로젝트에도 유용하다는 것이 토마토시스템이 내세운 장점이다. 이상돈 토마토시스템 대표는 "GS인증을 획득해 제품의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을 인정받아 비즈니스를 넓혀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에 따라 관련 수요가 증가해 엑스빌더6 포 클라우드의 공공기관 공급이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08.12 16:59양정민

티몬·위메프 법원에 자구안 제출…실효성 있나

판매자들에게 판매 대금을 정산 해주지 않아 논란을 일으킨 티몬과 위메프가 오늘 법원에 자구 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자구안에는 투자 유치 계획이나 인수·합병(M&A) 추진, 구조조정 등의 방안이 담길 전망인데,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티몬과 위메프, 구영배 큐텐 대표가 신뢰를 잃은 상태에서 투자자들이나 판매자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는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자구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자구안에는 구영배 대표가 최근 발표한 티몬·위메프의 KCCW(K-Commerce Center for World) 신규법인 설립 방안이 포함될 수도 있다. 판매자들을 주주로 하는 KCCW 신규 법인 만든다 구 대표는 지난 9일 신규 법인인 KCCW를 설립해 티몬과 위메프 합병을 위한 준비 작업과 사업 정상화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KCCW는 법인 설립에 따라 사업 정상화 기반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법인 대표는 구 대표가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큐텐은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받아 티몬과 위메프 보유지분을 100% 감자하고, 구영배 대표는 본인의 큐텐 전 지분 38%를 합병법인에 백지신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KCCW가 큐텐그룹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합병법인은 판매자가 주주조합의 형태로 참여한다. 판매자들이 1대 주주로 이사회와 경영에 직접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빠른 사업 정상화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KCCW가 추가 자금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KCCW는 사이트 브랜드 변경 및 신규 오픈, 새로운 정산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면서, 판매자 주주조합 결성, 법원 합병 승인 요청, 새로운 투자자 협상도 동시에 진행해 나갈 계획을 공개했다. KCCW는 8월 9일부터 티몬과 위메프 판매자를 대상으로 미정산대금의 CB(전환사채) 전환 의향서 접수를 시작했다. 8월 말까지 모집한 판매자들로 1호 주주조합을 결성한 후 법원에 합병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합병이 승인되면 2호, 3호 주주조합이 순차적으로 결성된다. 구영배 대표는 “티몬이나 위메프를 매각해서는 피해 회복이 어렵다”면서 “양사를 합병하면 사업 규모가 국내 4위로 상승한다. 합병을 통해 과감하게 비용을 축소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합병법인 만들어질 수 있나…법원 승인도 받아야 다만 업계는 이 같은 방안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미 티몬과 위메프는 판매 사이트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인데다, 합병을 위해선 법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큐텐 지분을 현금화 하는 것이 힘들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또한 판매대금을 받지 못해 도산 위기에 처한 판매자들 반응도 냉랭하다. 판매자들이 참여해야 진행될 방안인데, 참여가 없으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피해를 입은 한 판매자는 "신뢰를 할 수도 없고, 신뢰가 가지도 않는다"며 "또 어떤 피해를 볼 수 있을지 모르니 참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판매자는 "못 받은 돈의 일부라도 받을 수만 있다면 좋겠다"면서 "1%의 희망이라도 품고 참여하려고 한다"고 했다. 13일에는 정부와 유관기관, 채무자, 채권자 등이 참여하는 회생절차 협의회가 오후 3시 서울회생법원에서 열린다. 이 자리에서 자구안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정산금이나 상품 환불을 받지 못한 판매자와 피해자가 서울 강남구 압구정 소재인 티몬 구옥에서 우산 시위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2024.08.12 13:38안희정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에 LS전선 김태성 수석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로 LS전선의 김태성 수석연구원과 박진용 진용엔지니어링 대표이사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매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한다. 김태성 LS전선 수석연구원은 해저 케이블 시공 분야 전문가로 해저 케이블의 운송 시 요구되는 코일링(Coiling) 특성의 예측과 시험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8천톤급 DP 2급 해저 케이블 포설선 건조와 운영 기술을 확보해 국내 해저 케이블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태성 수석연구원은 이같은 해저 케이블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화원-안좌 154kV 용량 증대 프로젝트와 완도-제주 초고압직류송전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를 통해 해저 케이블 선적 비용을 최대 약 65% 절감했으며, 선적 시 품질도 확보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그동안 축적해 온 경험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이어갈 것이며, 이를 통해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도 인정 받는 해저 시공 기술을 개발해 해저 케이블과 해상 풍력 산업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진용 진용엔지니어링 대표이사는 기계 장비 설계 및 제작 분야 전문가로서 2차전지 전극공정의 핵심 설비인 코팅장비 등 다양한 롤투롤(Roll-to-Roll) 공정 기반의 설비라인을 구축해 국내 코팅 기술 분야 선도 및 장비 부품 국산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박진용 대표가 개발한 2차전지 전극공정 코팅장비는 2차전지의 알루미늄박에 양극과 음극 전극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고난이도 기술이다. 또한 코팅장비를 이루는 부품들도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국산화에 성공했다. 박 대표는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 역량과 현장경험을 기반으로 롤투롤 공정 기반의 코팅장비 라인을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회사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2024.08.12 13:13박수형

軍도 AI로 업무 '뚝딱'…포상 휴가 종류 알림도 챗봇이 '척척'

"포상 휴가 종류에 대해 알려줘." 향후 육군 부대 내에서 간부들과 장병들이 PC와 스마트폰을 활용해 이 같은 규정을 찾아볼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11일 티맥스그룹에 따르면 육군 관계자들은 최근 경기도 성남시 티맥스그룹 사옥을 찾아 '육군 규정 교육 챗봇(하이퍼챗봇)' 시연회에 참석했다. '하이퍼챗봇'은 국내 대표 IT 원천기술 기업 티맥스그룹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책임지고 있는 티맥스코어AI가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과 손잡고 만든 육군 전용 규정 챗봇이다. 육군 관계자들은 직접 PC에 앉아 군 간부들과 장병들이 일상생활을 하며 궁금증을 가질 질문을 직접 던졌다. 이 자리에서 군 관계자가 "병력 인솔 여비 문의"라고 채팅을 남기자 하이퍼챗봇은 즉각 "병력 인솔여비 지급대상에 대한 질의 내용"이라고 답하며 관련 규정을 설명했다. 또 다른 군 관계자가 "상근예비역 제대별 업무 분야별 책임부서를 알려줘"라고 묻자 하이퍼챗봇은 글 대신 관련 표가 담긴 이미지로 답변을 대신했다. 특히 하이퍼챗봇은 데이터베이스(DB)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과 함께 '음성 인식 기술(STT·Speech to Text)'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에 군 관계자가 육성으로 질문을 던지면 직접 음성으로 답해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티맥스그룹은 향후 하이퍼챗봇 원천 기술을 육군에 제공할 예정이다. 하이퍼챗봇은 민군협력진흥원과 손잡고 진행한 '산업통상자원부·방위사업청의 공동 투자 민·군기술적용연구사업'으로 진행됐다. 하이퍼챗봇은 ▲문장형 ▲규정 원문형 ▲스텝형 등으로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을 반영했다. 아울러 관리자 스튜디오를 활용해 이용자들의 통계량을 분석, 상황에 따라 군 장병들의 궁금증이 어디에 몰려있고 이를 데이터화 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마련했다. 김재환 티맥스코어AI 대표는 "하이퍼챗봇은 구조화 돼 있는 문서, 법령, 학칙, 규칙 등에 응대하기 용이하도록 설계됐다"며 "육군에 제공할 하이퍼챗봇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 도입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버전 챗봇 '에이톡(A-Talk)'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육군은 올해를 AI 도입 원년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2월에는 육군인공지능센터를 창설했다. 육군은 '군 혁신'을 위한 AI 도입을 병영 생활 선진화로까지 이끌어간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첨단 군 혁신을 위한 AI의 도입은 병영 생활에서도 이뤄져야 한다"며 "병영생활관에서의 편의 제공에서도 AI가 활용돼 나가는 모습을 앞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4.08.11 14:00장유미

구영배, 티몬·위메프 합병 위한 'KCCW'법인 설립

구영배 큐텐 대표가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해 새로운 법인을 만들고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새 계획을 내놓았다. 큐텐은 8일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KCCW(K-Commerce Center for World)신규법인 설립을 신청하고, 1차로 설립자본금 9억9천9,999,900원(10억원-100원)을 출자한다고 9일 밝혔다. 티몬과 위메프 양사의 합병은 법원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먼저 신규법인을 설립한 후 KCCW 법인을 중심으로 양사 합병을 위한 준비 작업과 사업 정상화 추진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KCCW는 법인 설립에 따라 사업 정상화 기반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먼저 큐텐은 티몬과 위메프의 보유지분을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받아서 100% 감자하고, 구영배 대표는 본인의 큐텐 전 지분 38%를 합병법인에 백지신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KCCW가 큐텐그룹 전체를 지배하게 돼 해외 큐텐의 아시아 시장, 위시의 미국·유럽 시장, 샵클루즈의 인도 시장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커머스 플랫폼으로 확장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KCCW는 큐텐의 일본 시장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K뷰티의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한다는 단기 사업전략도 수립했다. 합병법인은 판매자가 주주조합의 형태로 참여한다. 판매자들이 1대 주주로 이사회와 경영에 직접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큐텐 측은 이렇게 되면 판매자와 플랫폼, 고객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새로운 이커머스 플랫폼이 탄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판매자가 주주로 참여하는 만큼 KCCW는 판매자 중심의 수수료 정책과 정산 정책을 도입하고 운영하게 된다. 아울러 큐텐 측은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하고, 자본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빠른 사업 정상화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KCCW가 추가 자금을 확보해야 완전한 피해 복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KCCW는 사이트 브랜드 변경 및 신규 오픈, 새로운 정산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면서, 판매자 주주조합 결성, 법원 합병 승인 요청, 새로운 투자자 협상도 동시에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KCCW는 8월 9일부터 티몬과 위메프 판매자를 대상으로 미정산대금의 CB(전환사채) 전환 의향서 접수를 시작했다. 8월 말까지 모집한 판매자들로 1호 주주조합을 결성한 후 법원에 합병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합병이 승인되면 2호, 3호 주주조합이 순차적으로 결성된다. 구영배 대표는 “티몬이나 위메프를 매각해서는 피해 회복이 어렵다”면서 “양사를 합병하면 사업 규모가 국내 4위로 상승한다. 합병을 통해 과감하게 비용을 축소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시켜야 한다. 이렇게 해서 기업가치를 되살려야 투자나 M&A도 가능해지고, 제 지분을 피해 복구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2024.08.09 16:51안희정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플러그 앤 플레이 슈퍼클러스터 출시

확장 가능한 성능, 유연성 및 리소스 최적화로 개발자 지원 최첨단 엔비디아 PCIe GPU 최대 256개 탑재해 3D 및 AI 워크로드 성능 극대화 캘리포니아주 샌호세와 덴버, 2024년 8월 9일 /PRNewswire/ -- AI/ML,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5G/엣지를 위한 토탈 IT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 슈퍼마이크로컴퓨터(Super Micro Computer, Inc.(SMCI), 이하 슈퍼마이크로)가 슈퍼클러스터 포트폴리오에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용 플러그 앤 플레이 AI 인프라 솔루션을 새롭게 추가했다. Supermicro SuperCluster for NVIDIA Omniverse 새로운 슈퍼클러스터 솔루션은 엔터프라이즈 규모에서 고성능 생성형 AI 기반 3D 워크플로를 제공한다. 또한 최신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OVX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기업이 워크로드 증가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찰스 리앙(Charles Liang) 슈퍼마이크로 사장 겸 CEO는 "슈퍼마이크로가 그동안 3D 그래픽 및 애플리케이션 가속을 위한 GPU 최적화 제품을 개발하며 업계를 선도해왔다면, 이제는 AI를 위한 제품을 개발하는 중"이라며, "AI의 등장으로 기업은 하나의 패키지에 모든 기능이 결합된 컴퓨팅 인프라를 찾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슈퍼클러스터는 엔비디아 L40S PCIe GPU를 최대 256개까지 확장 가능하며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위해 완벽하게 상호 연결된 4U PCIe GPU 엔비디아 인증 시스템을 갖췄다. 생성형 AI 통합을 비롯해 옴니버스 플랫폼 전반에서 높은 성능을 지원한다. 슈퍼마이크로의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 개발은 단순한 제품 제공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혁신의 미래를 향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퍼마이크로는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를 출시하며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AI 랙 솔루션 제품군을 확장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제품 디자인부터 산업 디지털 트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컴퓨팅 집약적인 3D 워크플로에 의존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기존 3D 워크플로를 향상시키면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3D 및 AI의 다중 워크로드 요구사항에 맞춰 확장 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간소화한다.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OVX 시스템은 클러스터 컴퓨팅 성능의 기본 빌딩 블록 역할을 한다. 각 시스템 노드는 최신 엔비디아 PCIe GPU를 최대 8개까지 탑재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3D 성능을 제공하며 텐서 코어 및 트렌스포머 엔진을 통해 뛰어난 생성형 AI 성능을 지원한다. 시스템은 공기 흐름이 원활한 섀시 내에서 2700W 티타늄 레벨 PSU 4개로 구동되며, 고사용 시나리오에서도 안정성을 보장한다. 시스템당 최대 4개의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4개의 엔비디아 커넥트X-7 NIC를 탑재해 400Gb/s의 네트워킹 속도와 함께 높은 확장성 및 보안성을 제공한다. 슈퍼마이크로의 4U PCIe GPU 시스템은 성능, 안정성, 확장성, 그리고 보안에 대한 엄격한 검증 프로세스를 거쳤으며, 엔비디아의 인증을 받아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활용한다. 기업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개발 플랫폼에서 전 세계에 구축된 오픈USD(OpenUSD) 생태계와 옴니버스 클라우드 API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워크로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완벽하게 상호 연결된 인프라 솔루션으로 개발자, 아티스트, 엔지니어 등이 필요에 따라 최고 수준의 GPU 컴퓨팅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가상 GPU에 대한 원활한 액세스 또는 전체 시스템 노드에 대한 베어메탈 액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400Gb/s 고성능 네트워크 패브릭은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 플랫폼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맞춤형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은 시스템 노드 전반에 걸쳐 결합된 GPU 메모리 풀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AI 모델 훈련에 필수적이다. 슈퍼마이크로의 검증된 랙 솔루션은 4개의 GPU부터 256개의 GPU 스케일러블 유닛까지 다양하며, 모든 규모의 기업에 맞춰 추가로 확장할 수 있다. 고객은 L12 레벨에서 테스트를 거쳐 철저하게 검증된 플러그 앤 플레이 랙을 제공받으며, 첫날부터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랙부터 엔터프라이즈 규모까지 고도의 맞춤화 솔루션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마이크로 슈퍼클러스터는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옵션으로 구축될 수 있다. 시스템 노드는 시스템당 4개 또는 8개의 GPU를 탑재할 수 있다. 또, 배포 규모는 시스템 4개를 포함한 단일 랙부터 시스템 32개를 탑재한 5개의 랙까지 다양하다. 대규모 배포는 확장 가능한 장치를 통해 추가로 확대해 거의 모든 규모의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스케일러블 유닛용 슈퍼클러스터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32개의 슈퍼마이크로 SYS-421GE-TNRT(듀얼 루트) 또는 SYS-421GE-TNRT3(직렬) PCIe GPU 시스템 노드 256 또는 128개의 엔비디아 L40S GPU 3개의 슈퍼마이크로 SYS-121H-TNR 하이퍼 시스템 제어 노드 3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컴퓨팅 패브릭 스위치 2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스토리지/제어 패브릭 스위치 2개의 1G 48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2201 이더넷 관리 스위치 NN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엔비디아 커넥트 X-7 NIC 5개의 랙: 48U 750mmx1200mm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단일 랙 수준의 소규모 배포가 가능하며, 단일 랙 구성은 다음과 같다: 4개의 슈퍼마이크로 SYS-421GE-TNRT 또는 SYS-421GE-TNRT3 PCIe GPU 시스템 노드 16개 또는 8개의 엔비디아 L40S GPU 2개의 슈퍼마이크로 SYS-121H-TNR 하이퍼 시스템 제어 노드 1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컴퓨팅 패브릭 스위치 1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SN5600 이더넷 스토리지/제어 패브릭 스위치 1개의 1G 48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SN2201 이더넷 관리 스위치 NN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엔비디아 커넥트X-7 NIC 1개의 랙: 48U 750mmx1200mm 슈퍼마이크로의 AI 슈퍼클러스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슈퍼마이크로 소개] 슈퍼마이크로는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토탈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이다.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AI, 5G 통신 및 엣지 IT 인프라를 위한 혁신을 시장에 가장 먼저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는 서버, AI, 스토리지, IoT, 스위치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탈 IT 솔루션 제조사다. 슈퍼마이크로의 마더보드, 전원 및 섀시 설계 전문성은 개발 및 생산을 강화해 전 세계 고객을 위해 클라우드부터 엣지까지 차세대 혁신을 지원한다. 미국과 아시아, 네덜란드에 위치한 글로벌 제조시설의 규모와 효율성을 기반으로 자체 설계 및 제조되는 슈퍼마이크로 제품은 그린 컴퓨팅 제품으로, 총소유비용(TCO)를 개선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도록 최적화됐다. 또한, 수상 경력에 빛나는 서버 빌딩 블록 솔루션즈(Server Building Block Solutions)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은 폼 팩터, 프로세서, 메모리, GPU, 스토리지, 네트워크, 전력 및 냉각 솔루션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구축된 광범위한 시스템 제품군에서 자신의 특정 워크로드와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제품을 선택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서버빌딩블록솔루션즈(Server Building Block Solutions), 친환경 IT추구(We Keep IT Green)는 슈퍼마이크로의 상표 또는 등록상표이다. 인텔, 인텔 로고, 그 외 인텔 상표는 인텔 코퍼레이션 및 산하 조직의 트레이드마크이다. 기타 모든 브랜드, 명칭 및 상표는 각 해당 소유주의 자산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72384/13_PR_Image_2024_SuperCluster_Nvidia_Omniverse_R05.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443241/4837242/Supermicro_Logo.jpg?p=medium600

2024.08.09 16:10글로벌뉴스

베르그루엔 상 심사위원단,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 영입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가 연례적인 100만 달러 상금의 2024년 수상자를 선정하는 권위 있는 베르구루엔 상 심사위원단에 합류 로스앤젤레스, 2024년 8월 8일 / PRNewswire/ -- 베르그루엔 연구소(Berggruen Institute)는 오늘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이자 저술가인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가 베르그루엔 철학 및 문화 상(Berggruen Prize for Philosophy & Culture) 심사위원단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 로벨리는 공간 및 시간 물리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왔으며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자신의 과학적 관점을 여러 분야의 베르그루엔 심사위원단에 제공한다. 이 연례적인 100만 달러 상은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그의 아이디어가 사회를 만들고 지혜를 제공한 사상가들에게 수여한다. 역대 수상자들에는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2016년), 오노라 오닐(Onora O'Neill, 2017년), 마사 C.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 2018년),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2019년), 폴 파머(Paul Farmer, 2020년), 피터 싱어(Peter Singer, 2021년), 코진 카라타니(Kojin Karatani, 2022년) 그리고 패트리샤 힐 콜린스( Patricia Hill Collins, 2023년)가 들어 있다. 로벨리는 2024년 베르그루엔 상 수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의 최고 신경과학자이자 데이비드 돈시페(David Dornsife) 신경과학 석좌 교수인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 심사위원장 그리고 베르구루엔 상 심사위원들인 데이비드 차머스(David Chalmers), 시리 허스벳(Siri Hustvedt), 육 후이(Yuk Hui), 엘리프 샤팍(Elif Shafak), 왕 후이(Wang Hui)에 합류한다. 수상자는 올 가을 말에 발표될 예정이며 특별 시상식에서 상을 받는다. 이전의 심사위원들에는 초대 심사위원장 콰메 앤서니 아피아(Kwame Anthony Appiah)뿐만 아니라 노벨상 수상자, 사상가, 지도자들인 레젝 보리시에비치(Leszek Borysiewicz), 에이미 구트만(Amy Gutmann), 프라탑 바누 메타(Pratap Bhanu Mehta), 마이클 스펜스(Michael Spence), 앨리슨 시몬스(Alison Simmons), 아마르티아 센(Amarty Sen), 조지 여(George Yeo) 등이 들어 있었다. 베르그루엔 상 심사위원단은 매년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지명된 후보자들을 검토하고 수상자를 결정한다. 심사위원들은 일반인들이 지명한 모든 후보자들을 검토하는 것 외에도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는 다양한 후보자를 스스로 지명할 수 있다. 심사위원들은 지적 품격, 깊이와 독창성, 대중 영향력, 다양성과 세계적 범위, 중요한 아이디어를 인식하는 최고의 능력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여러 기준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현재 이 연구소는 2024년 8월 15일까지 2024년 수상자 후보를 전 세계에서 받고 있다. 여기에서 후보자를 제출하기 바란다. 베르그루엔 연구소 베르그루엔 연구소는 사상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는 사상가들의 세계적 네트워크이다. 우리는 어려움에 대처하고 도래하는 미래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적 틀을 개발한다. 우리의 작업은 민주주의, 자본주의, 세계 정치, 과학과 기술, 철학과 문화에서 새로운 사상의 틀을 형성한다. 우리는 동서양 간의 대화를 촉진하고 우리 세계에 대한 공동의 관점을 개발한다. 우리의 목표는 다양한 학문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상가들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상가들이 연결되고 담대해져 우리의 사회정치적 제도를 재구성하고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믿는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76651/Berggruen_Institute_Logo.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76831/Berggruen_Rovelli.jpg?p=medium600

2024.08.08 22:10글로벌뉴스

편의점 매출 1위 두고 CU·GS25 경쟁 치열

국내 편의점 양강인 GS25와 CU의 매출 격차가 좁아지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지난 2분기 매출이 2조2천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762억원으로 2.4% 감소했다고 밝혔다. BGF리테일은 고금리·고물가 지속,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 등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도 점포 수 증가와 우량 신규점을 토대로 매출 소폭 상승을 기록했다고 자평했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도 전년 대비 부진한 수익성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2조9천371억원으로 4.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810억원으로 9.4% 감소했다. 편의점 사업부만 놓고 봐도 수익성은 하락했다. 2분기 편의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9% 늘어난 2조1천928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억원 줄어든 649억원을 기록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신규점 출점에 따른 운영점 증가 및 기존점 매출 신상으로 매출이 늘었다”면서도 “운영점 증가에 따른 임차료, 감가상각비 등이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적 발표가 완료되면서 BGF리테일과 GS25의 격차는 좁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GS25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CU는 점포 수를 기준으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편의점 점포 수는 연간 기준으로 발표한다. 지난해 말 기준 GS25 점포 수는 1만7천390개다. CU는 올해 4월 기준 1만8000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2분기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GS25가 CU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BGF리테일은 편의점 부문 실적을 따로 집계하지는 않지만, 매출의 95% 이상이 편의점에서 발생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자사가 추정하기로 GS25는 2분기 매출에서 여전히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도 GS25가 매출액 기준 1위 자리를 지켰다. 상반기 GS25 매출액은 4조1천621억원으로 BGF리테일(4조1천567억원)을 약 50억원 차이로 앞섰다. 하지만 양 사의 매출액 격차는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GS리테일 편의점 사업부 매출과 BGF리테일 편의점 사업부 매출 격차는 9천130억원이었지만 ▲2020년 8천37억원 ▲2021년 4천492억원 ▲2022년 2천22억원 ▲2023년 1천140억원으로 매년 좁혀졌다. 하반기에도 업계 1위를 두고 양 사의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GS25는 O4O(Online for Offline·오프라인을 위한 온라인)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GS25 앱 '우리동네GS'와 퀵커머스의 연계, 주류 스마트오더 플랫폼 '와인25 플러스' 등과 연계해 나갈 방침이다. 또 수익성 중심의 점포 출점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지난해 말 기준 GS25 점포 수는 1만7천390개다. CU는 상반기 1위 탈환의 주역인 '생레몬하이볼'과 같은 단독 상품을 중심으로 하반기 수익성 상승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타사에서 판매하지 않는 단독 상품으로 인한 집객 효과와 고객 니즈에 맞춘 프로모션이 주효하게 작용한 상반기의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다만 증권가의 전망은 엇갈렸다. 김혜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BGF리테일에 대해 향후 장기 성장성이 둔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신규 개점은 지속되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친 내수 부진과 소비심리 악화 등으로 객수 감소와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매출 성장률이 둔화됐다”며 “편의점 부문은 고금리, 고물가 영향에 따라 불황형 소비가 이어지며 행사상품 매출 구성비가 증가하고 트래픽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GS25에 대해서는 이익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는 편의점 수익성이 제고될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3위권 이하 편의점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며 전환점 유치 경쟁이 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탑2 업체 중심의 점포 순증이 지속되면서 시장 점유율 재편이 가속화 되고 구조적인 수익성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말에 인적분할이 완료되고 나면 편의점과 수퍼 부문의 이익 비중이 더욱 확대되기 때문에 전사 성장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4.08.08 16:31김민아

인도삿, 동남아 최대 '디지털 인텔리전스 운영 센터' 오픈

-- '인텔리전스 네이티브' 통신사의 새 시대 열어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4년 8월 8일 /PRNewswire=연합뉴스/ -- 인도네시아 통신업체인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이하 '인도삿')이 최첨단 '디지털 인텔리전스 운영 센터(DIOC)'를 오픈하며 디지털 혁신을 향한 여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처럼 혁신적인 첨단 시설의 개장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인도네시아 전역의 1억 명이 넘는 고객에게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도삿의 노력이 중대한 도약을 이뤄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장식에는 비크람 신하 인도삿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이자 이사회 위원과 사이먼 린 화웨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장 겸 이사가 참석해 양사의 전략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DIOC는 최적의 네트워크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간 인사이트와 선제적 서비스 관리를 제공하면서 인도삿 네트워크 운영의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 운영 센터(NOC)와 서비스 운영 센터(SOC)를 통합해 지능형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의 새로운 시대를 열면서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미래를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비크람 신하 사장 겸 CEO는 "디지털 인텔리전스 운영 센터를 개장하는 오늘은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의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된 날"이라면서 "이 시설은 최첨단 기술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운영의 핵심으로 삼는 '인텔리전스 네이티브(Intelligence Native)' 통신사가 되고자 하는 우리의 야망을 실현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DIOC를 통해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 방식을 재정의하는 가운데 첨단 기술을 통합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네트워크 성능과 고객 만족도의 새로운 기준을 세울 것"이라면서 "이번 협력은 디지털 연결을 통해 모든 인도네시아인에게 연결성과 권한을 부여한다는 우리의 사명을 실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삿은 실시간 네트워크 인사이트(Real-Time Network Insights) 등 새로운 첨단 기능을 갖춘 DIOC 덕분에 인도삿이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네트워크 성능과 안정성을 최적화하면서 사후 대응적인 문제 해결에서 사전 예방적인 서비스 관리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애플리케이션 경험, 품질 등 모든 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엔드투엔드 서비스 관리(End-to-End Service Management)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이 겪는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면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결국 데이터 분석과 첨단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DIOC의 능력으로 인도삿은 지속적인 데이터 중심 혁신(Data-Driven Innovation)을 촉진함으로써 고객 중심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디지털 서비스 발전을 선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번 개장식은 더욱 강화된 인도삿과 화웨이의 파트너십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양사는 함께 힘을 합쳐 네트워크 인프라를 강화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고,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미래를 주도할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웨이의 첨단 ICT 솔루션과 기술 리더십은 인도삿이 미래 지향적이고 자동화된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고객의 역동적인 디지털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이번 협력에 대해 사이먼 린 화웨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장은 "인도삿의 디지털 인텔리전스 운영 센터 개장은 혁신 허브의 공동 구축과 지능형 네트워크 수용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획기적인 성과로 풀이된다"면서 "이번 협력은 인도삿과 화웨이의 장기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탁월한 네트워크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는 양사의 공통된 약속을 입증해주는 증거"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면서 "화웨이는 인도네시아 지역에 뿌리를 둔 기술 혁신 및 업계 선도기업이자 지역 공헌기업으로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활용해 고객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성공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함께 힘을 모아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지능형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삿은 지금까지 디지털 혁신 여정에서 중대한 진전과 성과를 거두었다. 무엇보다 관리형 서비스(managed services)와 운영 센터를 통해 화웨이와 협력해 경험 중심적 네트워크 통합을 완료하고, 네트워크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켰다. 독립적으로 실시된 제3자 테스트 결과, 농촌, 도시, 교외 지역에서 인도삿의 다운로드 속도는 전년 대비 각각 44.1%, 43.5%, 43.9%씩 빨라졌을 만큼 대폭 개선되어 고객 만족도와 네트워크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삿의 인구 커버리지 역시 1270만 명 증가했다. 고객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공하려면 네트워크 혁신 전략을 구현하고 글로벌 파트너와 강력한 협력 관계 속에서 최첨단 기술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면에서 인도삿과 화웨이는 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 운영,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여정에 착수했다. 인도삿은 또한 TM 포럼과 같은 국제 조직과 긴밀히 협력하며 혁신을 촉진하고 다른 글로벌 업계 리더들과 새로운 사용 사례를 모색하면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신하 사장은 "인도삿은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 AI/ML, 자동화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전파하면서 인도네시아의 디지털 미래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광범위한 네트워크 범위와 차세대 기술 채택을 활용해 개인과 기업 및 그 사이의 모든 것을 연결해 인도네시아가 디지털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 소개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IDX: ISAT)은 인도네시아 국민이 가장 선호하는 디지털 통신 회사가 되겠다는 비전에 따라 자회사 및 계열사와 함께 셀룰러 서비스, ICT 솔루션, 데이터 센터, 광가입자망(FTTH), 전자 결제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힘을 키우겠다는 더 큰 목적과 함께 '고똥로용(Gotong Royong•인도네시아식 품앗이 내지 상부상조)'의 정신으로 이를 실현하고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주요 협력자가 되고자 한다. 고지 사항 이 문서에는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의 재무 정보와 특정 운영 활동의 결과와 여러 가지 전망, 계획, 전략 및 목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관련 법률에 따라 미래예측진술로 취급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진술이 아니다. 미래예측진술은 위험과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으므로 실제 사건과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의 미래 성과가 진술에서 예상하거나 표시한 것과 다를 수 있다. 인도삿 오레두 허치슨이 예상하거나 그러한 진술에 명시된 결과가 달성될 것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

2024.08.08 16:10글로벌뉴스

번개장터, 'SABRE 2024' PR 시상식서 파이널리스트 선정

중고거래 플랫폼 번개장터가 세계 최대 규모 피알(PR) 시상식 '세이버 아시아 퍼시픽 어워드(SABRE) 2024'에서 4개 부문 파이널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세이버 어워드는 글로벌 마케팅 전문 매체인 홀름 리포트가 1970년 창설하고 글로벌 마케팅 전문 매체 '프로보크 미디어'가 주관하는 행사다. 이 행사에선 전 세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딩, 기업 평판, 디지털·소셜 미디어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낸 캠페인을 매년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2천개 이상의 작품이 출품돼 경합을 벌였다. 번개장터는 '좋아하는 것을 팔아 좋아하는 것을 합니다(Sell To Love Project)' 캠페인으로 이번 2024 세이버 아시아 퍼시픽 어워드에 출전했다. 해당 캠페인으로 번개장터는 ▲탁월한 목적 달성 ▲지오그래픽 코리아 ▲인플루언서 마케팅 ▲중소기업 등 총 4개 부문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됐다. 번개장터는 '좋아하는 것을 팔아 좋아하는 것을 합니다' 캠페인을 통해 지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2천만개 이상의 쇼핑 사례를 만들고 약 2천500만kg의 탄소발자국을 줄였다고 밝혔다. 나무를 300만그루 심은 효과다. 번개장터 관계자는 "아태지역에서 가장 권위 있는 PR 어워즈에서 국내 스타트업으로서는 유일하게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됐다"며 "국내 대표 중고거래 플랫폼으로서 중고거래와 지속 가능한 소비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4.08.08 10:55정석규

LG전자, IFA 2024서 '친환경 고효율 히트펌프 신제품' 공개

LG전자가 친환경 냉매를 적용한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신제품을 앞세워 유럽 냉난방공조(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내달 6일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4에서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Therma V R290 Monobloc)' 신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전자 써마브이는 외부 공기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활용해 실내 냉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AWHP, Air to Water Heat Pump)' 제품이다. 화석연료를 태운 열로 난방하는 기존 보일러에 비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우수하다. LG전자는 이번에 난방용량은 7kW와 9kW로, 지난해 선보인 대용량 제품(16∙14∙12kW)에 이어 라인업을 확대해 고객의 히트펌프 선택 폭을 넓힌다. 7kW, 9kW 난방용량은 자체 단열이 강화되고 있는 유럽 신축 단독주택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평가되며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 제품은 외부 온도가 영하 15도일때 최대 75도의 온수 공급이 가능하며, 낮은 소비 전력으로 경제적인 운전도 강점이다. 유럽 ErP(Energy-related Products) 에너지등급 중 가장 높은 A+++를 충족한다.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에 불과한 차세대 친환경 자연 냉매 'R290'를 사용한다. R290 냉매는 기존 합성 냉매에 비해 높은 에너지 효율성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세련된 블랙톤의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컴팩트한 크기로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건물의 외관 및 주변 환경에도 쉽게 조화를 이룬다. 공기열원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은 최근 유럽 국가들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에너지 공급의 불확실성 속에서 주목 받고 있다. 이 냉난방시스템에서 액체 냉매는 실외기에 설치된 열교환기(증발기)를 통해 외부 공기열을 흡수해 기체가 된다. 이 기체는 컴프레서를 통해 압축돼 고온·고압의 상태로 판형열교환기(응축기)로 보내진다. 이 과정을 통해 물을 데워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반대로 열을 외부 공기로 보내는 과정을 통해 차가운 물을 만들어 냉방도 가능하다. LG전자는 최근 유럽 현지 기후에 최적화된 맞춤형 고효율 공조솔루션 연구를 위한 에어솔루션연구소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설립했다. B2B사업의 중요한 축인 냉난방공조 사업 역량을 강화해 한국과 미국에 이어 고성장중인 유럽 HVAC 시장의 전초기지로 삼을 계획이다.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 이재성 부사장은 “탁월한 에너지 효율뿐만 아니라 환경까지 생각하는 맞춤형 고효율 냉난방공조 솔루션으로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공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2024.08.08 10:00이나리

BIC 2024, 10회 맞아 특별 오프라인 페스티벌 이벤트 공개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서태건, BIC 조직위)는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BIC 페스티벌 2024 개막을 앞두고, 다양한 무대 프로그램과 특별 이벤트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10회를 맞은 'BIC 페스티벌 2024'은 올해도 다양한 무대 프로그램과 특별한 이벤트로 인디게임 그 이상의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BIC 페스티벌 2024는 기존 스튜디오 프로그램인 라이브 인디(Live Indie)를 확장하여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메인 스튜디오와 서브스튜디오에서 실시간으로 전시작을 플레이하며, 모든 콘텐츠는 공식 유튜브 채널인 유니버스인디(UNIVERSE-INDIE)를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다. 라이브 인디에서는 참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전시작 플레이뿐만 아니라, 인디게임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개발자와 팬, 전문가들이 모여 인디게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치는 자리로,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BIC 페스티벌 2024는 10회를 기념하여 다양한 특별 이벤트를 준비하였다. 'BIC 10 라운지'에서는 BIC 페스티벌 10회까지의 여정을 되돌아보는 전시가 이루어지며, '레전드 인디' 코너에서는 10회까지의 어워드 수상작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또한, 참관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다. 정확히 10초를 맞춰야 하는 '10초를 잡아라'와 제기차기 10회 시 선물을 증정하는 '전통 인디' 등 다양한 즐길거리로 오프라인 페스티벌 참관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BIC 페스티벌 2024 오프라인 행사장에서는 올해의 슬로건인 '10GIN TO YOUR INDIE SPIRIT!'을 바탕으로 한 전시 퀘스트 '패스워드 인디(Password Indie)'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 이벤트는 BIC 페스티벌 2024 현장에서 제공되는 리플렛 속 BIC Map을 활용해 각 부스를 방문하고 패스워드 스티커를 모아 퀘스트를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관객들은 '패스워드 인디' 전시 퀘스트를 통해 더욱 즐겁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퀘스트를 성공적으로 클리어한 참가자에게는 럭키 드로우 이벤트 쿠폰이 지급되어, 행운의 상품을 획득할 기회도 제공된다. BIC 2024는 관람객들에게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 인디 게임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서태건 조직위원장은 "10회를 준비하면서 인디게임 개발자, 참관객들에게 어떻게 다가갈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며 BIC 페스티벌은 인디게임을 즐기며, 함께 미래를 고민하고 나누는 소중한 행사이다. 많은 개발자와 참관객들이 보다 즐겁게 행사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이벤트들을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 및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2024.08.08 09:33강한결

CGTN: 중국 수영 선수들, 반도핑 검사에서 깨끗한 결과

-- 600회 이상의 검사를 받았지만 위반 사항은 제로 베이징 2024년 8월 7일 /PRNewswire=연합뉴스/ --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는 중국 대표팀 선수들은 수많은 반도핑(anti-doping) 검사를 받았다. 일부 언론에서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기도 했지만 위반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실 중국 수영 선수들은 파리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가장 많은 테스트를 거친 선수들이다. 7월 23일 발표된 세계수영연맹(World Aquatics)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 이후 중국 수영 대표팀의 총 검사 횟수는 600회를 넘어섰으며, 각 선수가 약 21회 검사를 받은 반면, 주요 라이벌 선수들은 평균 4~6회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수영연맹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수상 스포츠 국제 대회 관리를 위임한 국제 연맹이다. IOC의 마크 애덤스(Mark Adams)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는 8월 2일 기자회견에서 "선수들은 충분한 검사를 거쳤다"고 말했다. 일부 검사는 나머지 선수들에게 "마음의 평화"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고 IOC 위원이자 두 차례 NBA 챔피언인 파우 가솔(Pau Gasol)이 말했다. 가솔은 "이른 새벽과 밤에 여러 번 검사를 받는 것은 휴식, 훈련 및 기타 일정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선수들에게 쉽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가솔은 "선수로서 이번 중국 수영 선수들의 협조에 감사하다"며 "바라건대, 다른 나라의 선수들에게도 이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검사 결과, 위반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스포츠 해설가 동준(Dong Jun)은 중국 대표팀에 대한 집중적인 검사는 "명확성을 증명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결과가 모든 것을 말해줄 것"이라고 CGTN에 말했다. 일부 언론은 도쿄 올림픽을 7개월 앞둔 2021년 중국 수영 선수 23명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조사 결과, 수영 선수들은 실수로 오염된 음식을 먹어 금지 약물을 섭취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재단 이사회 위원인 데이비드 라파르티앙(David Lappartient)은 "[이번 사건에서] 반도핑 규정을 위반하거나 침해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IOC 위원이자 프랑스 국가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위원장이기도 한 라파르티앙은 CGTN과의 인터뷰에서 WADA와 관련 독립 검사들의 '명백한 결론'이라고 밝혔다. "이 사건에 대한 WADA의 입장을 의심할 이유가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중국의 반도핑 노력 중국은 도핑 방지를 위해 노력해왔다. 중국반도핑기구(CHINADA)는 7월 25일 모든 관련 당사자들과 협력하여 글로벌 반도핑 거버넌스의 무결성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도 이러한 입장을 지지했다. 린젠(Lin Jian)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6월 중국 정부가 도핑에 대해 '무관용'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세계반도핑규약을 엄격히 준수하고, 스포츠에서 선수들의 건강과 공정한 경기를 결연히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도핑은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 동안 중국의 스포츠 발전을 위한 청사진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 청사진에는 반도핑 시스템 업그레이드, 관련 법규 개정, 약물 검출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링크: https://news.cgtn.com/news/2024-08-06/Green-light-for-Chinese-swimmers-over-600-tests-zero-violations-1vQBLaIz41a/p.html

2024.08.07 20:10글로벌뉴스

  Prev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ZD브리핑]美 관세협상 막판 총력...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타보고서] 키 180㎝ 앉아도 무릎 공간 넉넉... '르노 세닉'

"팔 부러져도 다시 도전"…부산대 로보컵 우승記

고급차 시장 겨냥한 중국차 속사정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