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h 구글찌라시ち(SENSGOO)ち구글찌라시'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323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직장인이 꼽은 최애 커피는?....원두데일리, 2024 연말결산 공개

커피머신 렌탈·원두 구독 서비스 '원두데일리'를 운영하는 스프링온워드(대표 정새봄)가 2024년 연말 결산을 23일 발표했다. 2천개가 넘는 고객사들의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사 대상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로스터리와 선호하는 커피 맛 등을 공개했다. 먼저 커피 맛별로 고객 선호도를 살펴보면 묵직한 맛(35%)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으며, 고소한 맛(30%)과 밸런스 있는 맛(15%)이 뒤를 이었다. 특히 디카페인 원두가 전체 판매량의 10%를 차지하며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를 반영해 눈길을 끌었다. 원두데일리에 입점한 로스터리 제품 중 커피 취향별로 고객의 선택을 가장 많이 받은 원두는 다음과 같다. ▲묵직한 맛은 투썸플레이스 '시그니처 블렌드' ▲밸런스 있는 맛은 모모스커피 '부산' ▲고소한 맛은 커피리브레 '버티고' ▲산미 있는 맛은 커피몽타주 '센스앤 센서빌리티' ▲디카페인은 빈브라더스 '페루 카하마르카 디카페인'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가장 인기 있는 베스트셀러 로스터리는 빈브라더스, 모모스커피, 나무사이로, 보사노바, 테라로사가 선정됐다. 커피머신 분야에서는 원두데일리의 독점 공급 모델인 스위스 명품 커피머신 유라의 WE8이 가장 선호하는 커피머신으로 꼽혔다. 이외에도 소형 머신으로는 칼렘 1602와 닥터커피 H8 모델이 상위권에 자리했으며, 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고사양 머신에서는 칼렘 X650과 유라 GIGA8, 프랑케 A400 머신이 고객들이 순차적으로 꼽혔다. 원두데일리는 올해 테라로사, 커피명가 등 5개의 신규 로스터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고객들에게 다채로운 원두를 제공했다. 세코, 하우스브란트 등 커피머신 렌탈 서비스도 확장해 업계 선도 업체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정새봄 스프링온워드 대표는 "국내 고객의 커피 취향과 기술적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원두데일리만의 토탈 솔루션이 이러한 성과를 가능하게 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서비스를 통해 오피스 커피 문화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23 08:50백봉삼

새해 엔비디아 선점할 승자는...삼성·SK 'HBM4' 양산 준비 박차

한국 경제가 대통령 탄핵정국과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을사년 새해를 맞게 됐습니다. 비상 계엄 해제 이후에도 환율과 증시가 출렁이는 불확실성 속에 우리 기업들이 새해 사업과 투자 전략을 짜기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정책 혼돈과 시시각각 변화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지디넷코리아가 각 산업 분야별 새해 전망을 준비했습니다. [편집자주]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2025년 을사년 새해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메모리 시장 규모는 올해 1천670억 달러(약 238조원)에서 내년 1천894억 달러(약 270조원)로 13.4%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다만 제품별 상황은 '극과 극'으로 나뉠 전망이다. 먼저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HBM(고대역폭메모리), 고용량 eSSD(기업용 SSD) 등 부가가치가 큰 첨단 메모리 제품은 내년에도 수요가 견조한 분위기다. 해당 제품은 국내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주도하는 시장이기도 하다. 반면 범용 메모리, 특히 레거시 제품의 공급 과잉은 심화되는 추세다. 올 4분기 들어 이들 제품의 가격은 이미 하락세로 접어든 바 있다. IT 수요가 여전히 부진하고, 중국 후발주자들의 공격적인 사업 확대 등이 위기 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 내년도 답은 AI…삼성·SK, HBM4 준비 박차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모리 기업들의 돌파구는 HBM 등 AI 메모리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는 내년 하반기 HBM4(6세대 HBM) 양산을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 HBM4는 현재 상용화된 가장 최신 세대의 HBM인 HBM3E(5세대)의 뒤를 이을 제품이다.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인 '루빈' 시리즈 등에 탑재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HBM4에는 10나노급 6세대 D램인 1c D램을 기반으로 한다. 경쟁사인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HBM4에 5세대 D램인 1b D램을 채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 세대 앞선다. 차세대 HBM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성능을 빠르게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 깔려 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올 연말부터 평택 P4에 1c D램용 양산 라인을 설치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 협력사들과 구체적인 장비 공급을 논의한 상황으로, 이르면 내년 중반에 라인 구축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삼성전자는 HBM3E(5세대 HBM)의 회로를 일부 수정해 엔비디아향 공급을 재추진하고 있다. 그간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 HBM3E 8단 및 12단에 대한 퀄(품질) 테스트를 진행해 왔으나, 성능 등의 문제로 대량 양산 공급에 이르지는 못했다. SK하이닉스는 올 4분기 HBM4의 '테이프아웃'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지속해 왔다. 테이프아웃은 연구소에서 진행되던 칩 설계를 완료하고 도면을 제조 공정에 보내는 것을 뜻한다. 제품의 양산 단계 진입을 위한 주요 과정이다. SK하이닉스는 HBM4에 HBM3E와 마찬가지로 1b D램을 적용한다. 제품의 안정성 및 수율에 무게를 둔 선택이다. 때문에 업계는 SK하이닉스가 경쟁사 대비 HBM4를 순탄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의 1b D램 투자는 이천 M16 팹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기존 레거시 D램 생산라인을 1b D램용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내년까지 생산능력을 최대 월 14~15만장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 범용 메모리 공급 과잉 우려…中 추격, 삼성 HBM 등이 관건 최선단 D램은 주요 메모리 기업들의 HBM 출하량 확대에 따른 여파로 내년에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범용 레거시 D램 시장은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이달 말 8GB(기가바이트) DDR4 모듈의 평균 가격은 18.5달러로 전월 대비 11.9% 감소했다. PC를 비롯한 IT 수요가 부진하다는 증거다. 여기에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등도 레거시 D램의 출하량 확대를 꾀하고 있다. CXMT는 중국 최대 D램 제조업체로, 웨이퍼 투입량 기준 D램 생산능력을 올해 말까지 월 20만장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내년에도 중국 상하이 팹에 최소 월 3만장 수준의 설비투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CXMT가 미칠 파급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CXMT의 수율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생산 제품이 18~16나노미터(nm)급의 DDR4·LPDDR4 등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3E 12단 공급 여부가 범용 D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미즈호증권은 최근 리포트를 통해 "엔비디아향 HBM3E 12단 공급이 계속 지연되는 경우, 삼성전자는 HBM에 할당된 D램 생산량을 범용 제품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 D램 공급이 증가해 내년 상반기 D램 가격 하락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낸드 투자, QLC 중심으로 신중하게 접근 낸드 시장 역시 AI 데이터센터 분야로 수요가 몰리는 추세다. 반도체 전문 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비트(Bit) 기준 전체 낸드 수요에서 데이터센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18%에서 내년 28%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고용량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센터용으로는 QLC(쿼드레벨셀) 낸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QLC는 셀 하나에 4비트를 저장한다. 2비트를 저장하는 MLC나 3비트를 저장하는 TLC보다 데이터 저장량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이에 삼성전자는 지난 9월 업계 최초의 V9 QLC 낸드 양산에 돌입했다. 낸드는 세대를 거듭할수록 더 높은 단을 쌓는다. V9는 280단대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 역시 최근 QLC 기반의 61TB(테라바이트) SSD를 개발했다. PCIe 5세대 적용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대 32GT/s로 구현했으며, 순차 읽기 속도를 4세대 적용 제품 대비 2배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SK하이닉스는 해당 신제품의 샘플을 곧 글로벌 서버 제조사에 공급해 제품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3분기에는 제품군을 122TB로 확대하고, 세계 최고층 321단 4D 낸드 기반의 244TB 제품도 개발에 들어가기로 했다. 다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내년 낸드용 설비투자에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당초 낸드 생산라인으로 계획했던 P4 페이즈1 라인을 낸드·D램 혼용 양산라인으로 전환했다. 라인명 역시 P4F(플래시)에서 P4H(하이브리드)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당초 예상 대비 낸드용 신규 설비투자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도 새해 낸드에 대한 신규 투자를 진행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의 설비투자가 HBM 및 최선단 D램에 집중돼 있고, 낸드 설비를 들일 만한 여유 공간도 많지 않다"며 "신규보다는 기존 설비를 활용한 전환 투자에 무게를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12.22 09:50장경윤

제 19회 2024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 성료

-- 디지털 협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구하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2월 21일 /PRNewswire/ -- 2024년 12월 15일부터 19일까지 킹 압둘아지즈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개최된 제 19회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UN이 주관한 이번 행사에는 160개국의 100명이상의 지식인, 전문가,관료, 이해관계자와 1,000명 이상의 국제 연사가 함께 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디지털 전환 전문가들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써, AI와 디지털 혁신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켰다. 또한 경험, 정보, 모범 사례 등을 공유하며, 새롭게 대두되는 디지털 과제를 해결하고, 정부, 민간 기업, 비영리 부문간 협력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멀티 스테이크홀더(multistakeholder) 디지털미래 구축"이라는 주제 하에 열린 올해 행사는 ▲디지털 공간에서의 혁신 활용과 위험의 균형 ▲평화, 개발,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 기여 강화 ▲디지털 시대의 인간 역량 강화 및 포용성 증진 ▲우리가 원하는 인터넷을 위한 디지털 거버넌스 개선 이라는 네 가지 주요 하위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포럼 동안에 이루어진 논의는 글로벌 인터넷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완화하며, UN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지원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방법에 대한 공통의 이해 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주요 주제에는 ▲디지털 혁신을 통한 혁신과 과제 해결 ▲전략적 디지털 정부 이니셔티브 지원 ▲디지털 도구를 통한 글로벌 평화와 지속 가능성 촉진이 포함되었다. 압둘라 알스와하(H.E. Eng. Abdullah Alswaha)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이번 포럼의 성공에 큰 자부심을 표하며 "올해 포럼은 UN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참가자 수와 실무 세션 수에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며, "사우디아라비아는 디지털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서, 인터넷 접근성을 높이고, 기술 발전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의 활동에는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혁신을 촉진하는데 전념하는 공공 및 민간 부문 기관과 해외 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빛을 바랬다. 이들 단체가 사회의 이익을 위해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가속화한 성공 사례를 소개했으며, 세션 및 워크숍에서는 중요한 디지털 과제, 디지털 혁신의 변혁적 응용, 디지털 기술과 거버넌스 채택 및 접근성 확대의 기회에 대해 다루었다. 참석자들은 인터넷 거버넌스와 디지털 협업의 다양한 측면을 조명하는 전문가들과의 대화 세션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여 질문에 답하며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사우디 주요 정부 관계자와 차세대 유망주들은 지식과 전문성을 확장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가졌다. 이 포럼은 통신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뛰어난 역량과 전자상거래 및 은행, 의료 서비스, 공식 정부간거래 분야에서의 놀라운 디지털 발전과 성과를 보여주는 기회였다. 이 행사는 또한 전자상거래, 은행, 의료 서비스, 공식 정부간 거래에서의 진전을 포함하여 통신 및 정보기술 분야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혁혁한 성과를 강조하는 플랫폼으로써의 역할로 자리매김했다. 아울러 번영하는 디지털 경제 구축을 위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빠른 진전, 디지털 포용을 촉진하는 리더십,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맞춰 글로벌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려는 노력을 재확인했다. 제19회 IGF 개최를 통해 리야드는 디지털 혁신, 국제 협력, 그리고 인터넷 거버넌스의 미래를 형성하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s://www.intgovforum.org/en 확인 가능하다. 디지털 정부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s://dga.gov.sa/en 에서 확인 가능하다.

2024.12.21 22:10글로벌뉴스

분할합병 무산 두산, 수소·반도체 중심 사업 재편

두산그룹이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로보틱스 간 두산밥캣 분할합병안 무산 후 수소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사업 재편에 나선다. 그룹 지배 구조 개편보다는 각 계열사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20일 두산그룹에 따르면 ㈜두산의 수소 연료전지 드론 자회사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은 두산퓨얼셀파워BU(FCP)의 건물용 수소 연료전지 사업을 양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FCP와 DMI는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를 기반으로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영위해 왔다. PEMFC는 ▲빠른 가동성(20분 이내) ▲높은 에너지 전환 효율 ▲저온 동작으로 인한 소재 내구성과 구동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건물용이나 드론, 건설기계 등 모빌리티용에 적합하다. 두산의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담당하던 FCP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사업자로, 2003년 출범 후 수소연료전지 핵심기술인 셀스택 및 개질기 설계·제작에서부터 시스템 통합 자체 제작까지 전방위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고효율 순수소 모델 'H2-PEMFC' 시스템과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시스템 개발을 완료해 공급하고 있다. 기존 DMI는 수소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산업용 드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으며, PEMFC 경량화와 하이브리드 제어 기술을 내재화했다. 이번 사업 양수를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DMI는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운영 효율화로 재무건전성 강화 ▲연료전지 핵심기술 역량 및 R&D인력 풀 제고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 등을 통한 시너지 제고가 기대된다. 특히 건물용 수소연료전지와 소형 항공 모빌리티 분야에서 경쟁력을 모두 보유하게 된 DMI는 건설기계와 이동식 수소 충전 장비, 중소형 선박 등 육·해·공을 아우르는 중형 모빌리티 분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DMI는 이번 사업양수와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1천340억원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했으며, 내년 2월 말에 거래를 종결할 예정이다. 김종선 DMI 대표는 “분야별 전문성과 경험 공유로 신규 R&D 개발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조직 운영효율성이 향상돼 신속한 의사결정도 가능하게 됐다"면서 "PEMFC와 SOFC 기술을 기반으로 '토탈 수소연료전지 솔루션 사업자'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반도체 사업 경쟁력 강화 두산그룹 반도체 테스트 기업 두산테스나도 자회사 엔지온을 흡수 합병한다고 이날 밝혔다. 엔지온은 이미지센서 반도체 후공정 전문기업으로 지난 2월 두산테스나에 인수됐다. 두산테스나가 엔지온 주식 100%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소규모 합병으로 진행된다. 두산테스나는 이번 흡수합병을 통해 반도체 후공정 분야 전문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두산테스나 관계자는 "이번 합병으로 향후 후공정 턴키 수주 대응, 운영효율성 제고, 영업 경쟁력 강화 외에도 신규 고객사 확보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 계열사 경쟁력 강화 차원" 이번 계열사 간 사업 양수와 흡수합병은 두산밥캣을 핵심 계열사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떼어내 두산로보틱스에 넘기는 지배구조 개편안이 무산된 뒤 이뤄졌다. 두산그룹은 에너지·중공업 사업을 영위하는 두산에너빌리티로 집중된 사업구조를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따라 클린에너지, 스마트 머신, 반도체·첨단소재 등 3각 체제로 전환하려 했다. 하지만 주주들 반대와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주가 하락 등 여파로 이 같은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재계에서는 두산그룹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규모 사업재편을 계속해서 실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두산 관계자는 "이번 사업재편은 그룹 지배구조 개편이 아닌 각 계열사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12.20 18:23류은주

ADFW, 1조 달러 규모 클럽이 ADGM으로 모여들며 4분기 뛰어난 성과 달성

- 총 관리 자산 규모 6,350억 달러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2024년 12월 20일 /PRNewswire/ -- 아부다비의 선도적인 국제 금융센터이자 자산 및 웰스 매니지먼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허브인 ADGM이 ADFW 제3회 행사에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주요 발표 사항 19개를 공개했다. 이 발표들은 약 6,350억 달러 규모의 관리 자산(Assets Under Management, AUM)을 나타내며, ADGM에 진출한 세계 최대 자산 관리사인 블랙록(BlackRock), PGIM, 누빈(Nuveen)의 4분기 주요 발표에 이어 나온 것이다. 1년 만에 4,500억 달러에서 6,350억 달러로 규모가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ADGM은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산 관리 허브이자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자산 관리 관할권 중 하나로서 명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성장은 영국의 사업가 아시프 아지즈(Asif Aziz), 저명한 자선가이자 금융 전략자인 와픽 세이드(Wafic Said), 싱가포르의 기업가이자 부동산 리더인 키신 RK(Kishin RK) 등 억만장자들이 이끄는 패밀리 오피스의 설립으로 더욱 강화되었고, 이는 ADGM이 글로벌 자산 관리 허브로서 매력을 더욱 확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부다비의 ADGM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해 아부다비 행정위원회 의원이자 경제개발부(Abu Dhabi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ADDED) 장관인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H.E. Ahmed Jasim Al Zaabi)는 "이러한 주요 성과는 아부다비를 특별하게 만드는 진전, 파트너십, 가능성에 대한 공유된 비전이라는 핵심을 반영"한다며 "ADGM을 선택하는 글로벌 금융 리더와 혁신가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우리의 인프라, 견고한 규제, 우수성에 대한 헌신 그리고 아부다비가 자산 및 관리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역동적인 관할권이라는 명성에 대한 신뢰를 증명"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새로운 파트너십을 환영하며 '팰컨 경제(Falcon Economy)'의 성장과 다각화를 추진하고 산업과 국경을 초월하는 기회를 창출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며 "이는 아부다비 ADGM과 이 특별한 여정의 일원이 된 모든 이들에게 매우 기쁜 순간"이라고 전했다. 블랙록의 회장 겸 CEO인 래리 핑크(Larry Fink)는 아부다비를 칭찬하며 "아부다비가 경제로서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지켜보는 것은 긴 여정이었다"라며 "경제와 리더십 측면에서 현재 보고 있는 것은 아부다비의 지속적인 혁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아부다비는 앞으로 20년간 리더로 자리매김할 준비가 되어있다"라며 "그들의 사고방식은 달랐고 이제는 기회의 중심지로서 꽃을 피우고 있으며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혁신의 토대가 되어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ADFW 이틀째에 제너럴 아틀란틱(General Atlantic)의 CEO 겸 회장인 빌 포드(Bill Ford)는 "우리는 이 지역에서 진정한 기업가 정신이 성장하고 있으며, 중동이 차세대 기업가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우리는 이 전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지켜본 적이 있으며 항상 기업가 정신 측면에서 떠오르는 분야에 주목해왔다"라고 말했다. 마샬 웨이스(Marshall Wace)의 회장 겸 최고투자책임자인 폴 마샬(Sir Paul Marshall)은 "아부다비는 정말 멋진 곳이고 맡은 바 완벽하게 해내고 있으며 매우 매력적인 곳"이라고 전했다. ADFW에서 ADGM 진출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주요 기업들은 사모펀드 회사인 제너럴 아틀란틱, 론 스타 펀드(Lone Star Funds), 인베스틴더스트리얼(Investindustrial)을 비롯해 사모 신용 대출의 거대 기업인 골럽 캐피탈(Golub Capital)과 폴렌 캐피탈(Polen Capital), 보험 관리 기업 엘드리지(Eldridge), 글로벌 주식 관리 회사 카르타(Carta), 헤지펀드 마샬 웨이스 등이다. 최근 글로벌 금융 기관들의 진출은 세계 최고의 투자 회사를 유치하는 데 있어 ADGM이 발휘하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뢰와 성장을 반영하여 억만장자들이 이끄는 패밀리 오피스도 ADGM의 매력을 느끼며 자산 관리와 성장의 신뢰할 수 있는 허브로서 이를 인식하고 있다. 크라이테리언 캐피탈(Criterion Capital)의 창립자 겸 CEO인 아시프 아지즈는 "아부다비의 글로벌 금융 강국으로 변모한 것은 우리의 운영의 이상적 기반을 제공한다"라며 "ADGM의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전략적 위치는 아랍에미리트 전역은 물론 그 외의 지역에서 우리의 성장 목표에 부합하는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비할 데 없는 기회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자와 자산 관리자의 주요 목적지로서의 역할을 기반으로 ADGM은 디지털 생태계를 발전시킴으로써 금융의 혁신을 재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초석은 최초의 국제 증권 시장이자 사모 증권 생태계인 핀스트리트(Finstreet)의 출범으로, ADGM이 최첨단 디지털 솔루션과 탄탄한 금융 인프라를 통합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ADFW에서는 테미스(Themis)에 대한 새로운 펀딩 라운드와 함께 국제 디지털 선도 기업인 조디아 마켓(Zodia Markets), 폴리곤 랩스(Polygon Labs), FJ 랩스(FJ Labs), 압토스 디지털(Aptos Digital), 체인링크(Chainlinks), 아스트라 테크(Astra Tech), 테미스(Themis)의 진출이 이어지며 아랍에미리트가 가진 글로벌 혁신 허브로서의 명성이 더욱 공고해졌다. 한편, 핀테크(FinTech) 기업 아스트라 테크의 퀀틱스(Quantix)는 자사의 캐시나우(CashNow) 소비자 대출 플랫폼 확장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까지 아랍에미리트 핀테크 기업에 제공된 자금 중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인 시티그룹(Citigroup)으로부터 5억 달러 규모의 획기적인 자금 조달을 발표했다. 또한, 고도화된 금융 범죄 예방 기술로 잘 알려진 테미스는 글로벌 리더와의 파트너십 성공을 바탕으로 9,750만 달러 이상의 확장 자금을 확보하고 특히, ADGM과의 협력을 통해 금융 범죄 예방 및 혁신적인 규제 환경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며 ADGM의 금융 기술 차세대 허브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번 시장 발표는 '자본의 수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the Capital of Capital)'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 번째 ADFW에서 진행되었으며 이 행사에는 총 자산 관리 규모 42조 달러 이상에 달하는 금융 서비스 업계의 리더와 임원 2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 이번 ADFW에 참가한 신생 기업들의 물결은 글로벌 금융 강국으로서 아부다비의 위치와 경제 다각화의 촉매제로서 ADGM의 역할을 강조하며, 아랍에미리트에 최고 수준의 인재, 첨단 기술 그리고 아부다비의 미래를 형성할 혁신적인 투자를 끌어들인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50581/5010772/ADGM_Logo.jpg?p=medium600

2024.12.20 17:10글로벌뉴스

넥슨, '서든어택' 2025 시즌1 사전등록

넥슨코리아(공동 대표 강대현∙김정욱)는 19일 인기 온라인 FPS 게임 '서든어택'의 2025 시즌1 사전등록을 시작했다. 2025년 서비스 20주년을 맞이하는 '서든어택'의 이번 첫 번째 시즌 사전등록은 2025년 1월 2일 정기 점검 전까지 참여할 수 있으며, 사전등록 이용자에게는 1월 1차 연예인 캐릭터를 획득할 수 있는 '멀티카운트' 및 '2025 시즌1 패스티켓(10개)'를 지급한다. 추가로, 휴대전화 등록 시 500 SP와 30만 경험치를 제공하고 2,025명을 추첨해 1만 '넥슨캐시'를 선물한다. 신규 및 복귀 이용자에게는 '커스텀 무기 영구제 선택권'을 지원하고 추첨을 통해 총 7천777명에게 1만 '넥슨캐시'를 선물한다. 같은 기간, 끝없이 펼쳐진 장애물을 넘어 목표 지점에 도달해야 하는 크리스마스 기념 콘텐츠 '산타의 선물'을 선보인다. 게임 참가 시 다양한 유형의 발판을 넘어 다음 단계를 향해 나아가야 하며 이때 바람, 물, 포탈 등의 구조물을 활용하거나 각종 장애물을 피해야 한다. 이벤트 기간 '산타의 선물'을 즐긴 이용자에게는 도착 단계에 따라 '영구제 탄창(2개)', '근접 기간연장 영구제' 등을 지급하고 최종 도착 성공 시 1천 SP를 비롯한 특별한 게임 아이템을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25일까지 매일 오후 3시부터 오후 9시 사이 정각마다 게임에 접속한 모든 이용자에게 'H.T 산타 슈가 영구제', '크리스마스 화환 영구제' 등을 제공하고 PC방 접속 이용자에게는 추가 선물을 지급한다. 뿐만 아니라 24일과 25일 양일간 정해진 문구를 채팅창에 입력할 때마다 1일 1회에 한해 '크리스마스 트리 영구제', '10만 경험치' 등을 선물한다. 이 밖에도 새해 1월 2일까지 집과 PC방에서의 출석과 접속 시간에 따라 'M4A1(IS) Gaming 영구제', '윈체스터(IS) Gaming 영구제' 등과 교환할 수 있는 포인트를 부여한다. 또, PC방 누적 접속 시간에 따라 'Chris 세트 영구제', 'AWP(IS) Dark X 영구제', 4천 SP 등의 게임 아이템을 지급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한 같은해 1월 23일까지 겨울 테마의 '북극곰' 스킨 무기를 선보인다. 이를 기념해 2025년 1월 2일까지 '북극곰 멀티카운트'를 사용해 무기 획득 기간 총 300일을 달성한 이용자에게 '북극곰 무기 영구제 선택권'을 제공하고 총 600일 달성 시 'M Xeno 무기 영구제 선택권5'와 2천 SP를 제공한다.

2024.12.19 20:34이도원

디지털 리얼티, 튜링의 가글 클러스터에 최적화된 데이터 센터 환경 제공… AI 완전 자율주행 기술 개발 속도 높인다

AI 기반 자율주행 차량 위한 대규모 GPU 클러스터 지원... 디지털 리얼티, 튜링의 제품 출시 속도 75% 단축 싱가포르, 2024년 12월 19일 /PRNewswire/ -- 전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및 통신사 중립 데이터 센터, 코로케이션, 상호 연결 솔루션 제공 업체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 (NYSE: DLR)는 오늘 일본 인공 지능(AI) 회사 튜링(Turing, Inc.)이 일본에 디지털 리얼티의 NRT10 데이터 센터에 완전 자율 주행을 위한 최첨단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완전 자율 주행 기술의 선두주자인 튜링은 차량 카메라 데이터만을 활용해 AI 기반으로 조향, 가속, 제동 등 모든 주행 기능을 제어하는 엔드투엔드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또한, 텍스트와 시각 데이터를 조합해 정교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멀티모달 생성형 AI인 '헤론(Heron)'과 복잡한 실제 상황을 이해하고 실제 주행 장면을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생성형 세계 모델 '테라(Terra)'를 개발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튜링은 현재 2025년 말까지 도쿄 도심 지역에서 30분 이상 레벨 5의 완전 자율 주행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표 프로젝트 '도쿄30'에 집중하고 있다. 튜링은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96개의 엔비디아 H100 GPU를 탑재한 강력한 컴퓨팅 플랫폼인 가글 클러스터(Gaggle Cluster)를 개발했다. 디지털 리얼티의 도쿄 데이터 센터 NRT10은 고밀도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춘 인증된 엔비디아 DGX 지원 데이터 센터로, GPU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한다. 디지털 리얼티와 일본 미쓰비시 코퍼레이션의 합작 투자 회사인 MC 디지털 리얼티가 운영하는 NRT10은 디지털 리얼티의 글로벌 데이터 센터 플랫폼인 플랫폼디지털(PlatformDIGITAL®)의 핵심 시설 중 하나다 이 시설은 튜링에게 다음과 같은 주요 이점을 제공한다. 출시 기간 단축: 튜링은 AI 개발 일정을 기존 온프레미스 구축 대비 1년에서 단 3개월로 대폭 단축할 수 있었다. 즉시 배포 가능한 고밀도 코로케이션 솔루션: NRT10의 모듈식 설계는 신속한 구성과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튜링은 고밀도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인프라를 20개의 랙에서 단 8개의 랙으로 최적화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확장성을 확보했다. GPU 성능 극대화: NRT10의 첨단 냉각 및 전원 공급 시스템은 GPU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유연한 확장성: NRT10의 캠퍼스형 구성은 튜링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고 손쉬운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튜링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유 야마구치(Yu Yamaguchi)는 "완전 자율 주행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컴퓨팅 리소스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디지털 리얼티의 유연한 고성능 데이터 센터를 통해 단기간에 최대 성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GPU 클러스터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완전 자율 주행을 위한 우리의 AI 개발 속도를 크게높일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디지털 리얼티 매니징 디렉터 겸 아시아 태평양 지역 책임자 서린 나(Serene Nah)는 "디지털 리얼티는 폭넓은 AI 경험과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튜링의 획기적인 AI 혁신을 지원함으로써 이 혁신 여정의 최전선에 서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우리는 유연한 고성능 데이터 센터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튜링을 하여금 중요한 AI 컴퓨팅을 신속하게 전개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튜링의 완전 자율 주행 기술 개발이 가속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AI 솔루션 전개를 위한 새로운 표준이 설정된다. 우리는 튜링과 다른 혁신 기업들이 목표를 달성하고, 우리의 최첨단 AI 인프라와 미래 지향적인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통해 세상이 운영되는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리얼티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는 포괄적인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및 상호접속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기업과 데이터를 연결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 회사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플랫폼인 플랫폼디지털(PlatformDIGITAL®)은 혁신을 강화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그래비티(Data Gravity) 과제를 관리할 수 있는 안전한 데이터 공간 및 검증된 PDx(Pervasive Datacenter Architecture™) 솔루션 방법론을 제공한다. 디지털 리얼티는 6대륙, 25개국 이상, 50여 대도시에 300개 이상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설을 구축하고, 고객들에게 중요한 데이터 연결 커뮤니티에 대한 액세스를 지원한다. 디지털 리얼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igitalrealty.com 또는 링크드인(LinkedIn) 및 트위터(Twitt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문의 미디어 연락처Sin Huay Ho디지털 리얼티+65 8125 8380shho@digitalrealty.com 투자자 관계Jordan Sadler / Jim Huseby디지털 리얼티+1 415 275 5344InvestorRelations@digitalrealty.com 면책 조항 이 보도 자료에는 동사의 전략, 아시아 태평양 시장, 지속 가능성 프로그램과 인공 지능의 역할 그리고 디지털 전환의 예상 성장 및 고객 요구 등 실제 실적 및 결과와 크게 달라지게 할 수도 있는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포함된 현재의 기대, 예측 및 가정을 근거로 한 미래 예측성 언급이 들어 있다. 리스크와 불확실성의 리스트와 그에 대한 설명은 동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와 기타 서류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동사는 새로운 정보, 미래 사건 또는 기타의 결과로 인해 미래 예측성 언급을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의도나 의무를 부인한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930428/Digital_Realty_Black_Logo.jpg?p=medium600

2024.12.19 16:10글로벌뉴스

스트라드비젼, 세계 3위 자동차 반도체 업체와 협력 강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프로그램인 'SVNet' 개발하는 스트라드비젼이 일본 르네사스와의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르네사스는 스트라드비젼의 핵심 소프트웨어인 SVNet을 R-Car 시스템 온 칩(SoC) 플랫폼에 통합한다. 이를 통해 스트라드비젼은 르네사스의 RoX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 플랫폼에 선제적으로 검증된 시장 출시 가능한 ADAS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스트라드비젼은 지난 수년간 르네사스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딥 러닝 소프트웨어를 르네사스 R-Car V3x 플랫폼에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등 자동차 비전의 미래를 열어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스트라드비젼의 SVNet 소프트웨어는 르네사스의 R-Car V4H/V4M SoC 및 향후 출시될 R-Car Gen 5 시리즈와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릴 클로쉬 르네사스 고성능 컴퓨팅 SoC 사업부 수석 이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고객들이 차세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에 차량 안전성과 자율 주행 구현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필립 비달 스트라드비젼 CBO는 "르네사스와의 심화된 협력을 통해 자동차 비전 기술의 경계를 넓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 세계 고객들에게 더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자율 주행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12.19 15:24김재성

휴롬, 25일까지 'H400 착즙기' 보상판매

휴롬은 오는 25일까지 'H400 착즙기 보상 판매' 기획전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보상 판매는 휴롬 공식 카카오채널을 추가해 보상 판매 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기존 휴롬 착즙기를 비롯하여 타사 착즙기 보유자 모두 보상 판매에 참여할 수 있다. 참여 방법은 보유하고 있는 착즙기의 사진을 찍어 회원 정보 작성 및 착즙기 사진을 업로드 하면 된다. 입력한 아이디를 통해 익일 보상 판매 쿠폰이 발송된다. H400 착즙기 보상 판매 가격은 정가에서 15만원 할인된 34만9천원에 구입할 수 있다. 보상 판매 구매 고객 전원에게 세척과 손질이 필요 없는 CCA 주스키트 패키지 3만원 상당의 무료 구매 쿠폰을 제공한다. 한편 휴롬 H400 착즙기는 미국 포브스 선정 '올해 주방제품 부문 최고의 제품'으로 선정되며, 우수한 성능과 사용자 편의성, 제품 디자인 면에서 인정받은 제품이다.

2024.12.19 11:11신영빈

[유미's 픽] "이러다 AI 생태계 무너질라"…美·유럽선 돈 잔치, 韓에선 '찬밥'

올해 글로벌 인공지능(AI) 스타트업으로 대규모 투자금이 몰리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만 열외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AI 스타트업 리퀴드AI는 최근 2억5천만 달러(약 3천60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가치는 23억 달러(약 3조3천억원)로 평가됐는데, 지난해 말 3억3천만 달러(약 4천700억원) 대비 7배 가량 상승했다. 2022년 설립한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도 AI 검색을 선제적으로 선보여 좋은 평가를 받으며 투자 움직임이 순항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스티튜셔널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한 5억 달러(약 7천억원) 자금 유치를 마무리하며 기업 가치는 90억 달러(약 13조원)까지 치솟았다. 올해 4월 10억 달러(약 1조4천488억원)에 비해 10배 상승한 수치로, 투자를 받을 때마다 기업 가치는 급상승하고 있다. 지금까지 퍼플렉시티에 투자한 것으로 거론되는 곳은 아마존, 엔비디아, SK텔레콤 등이다. 양자컴퓨팅 AI 스타트업 샌드박스AQ는 최근 3억 달러 이상의 신규 자금을 조달하며 기업 가치가 56억 달러까지 치솟았다. 이곳은 지난 2022년 알파벳에서 분사된 기업으로,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이끌고 있다. 이번 투자에는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CEO도 참여했다. 지난해 3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도 60억 달러(약 8조5천억원)를 추가로 유치했다. 올 들어서만 총 110억 달러(약 15조4천억원) 신규 자금을 유치한 상태로, 기업 가치는 1년 새 2배 이상 뛰어 500억 달러까지 치솟았다. '챗GPT'로 시장을 이끌고 있는 오픈AI는 새로운 펀딩을 통해 지난 10월 66억 달러(약 9조4천900억원)를 새롭게 조달 받았다. 기업 가치는 '챗GPT' 출시 후 2년 만에 1천570억 달러(약 225조7천억원)로 상승했다. 덕분에 미국 스타트업 투자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벤처캐피털(VC) 아토미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30일 기준 올해 미국 스타트업에 조달된 자금은 472억 달러(약 65조7천260억원)에 달했다. 유럽에서도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돼 이 지역 AI 스타트업들의 모금액은 같은 기간 동안 107억 달러(약 14조8천89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52% 증가한 수치다. 투자금이 대폭 늘어난 것은 프랑스 스타트업 미스트랄의 영향이 컸다. 미스트랄은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대항마로 꼽히고 있는 곳으로, 지난해 12월 3억8천500만 유로(약 5천673억원)을 조달한 후 5개월여만에 6억 유로(약 8천843억원)의 투자를 또 유치했다. 프랑스 억만장자 자비에 니엘이 2억 유로(약 3천억원)을 투자한 큐타이도 대규모 자금이 몰리고 있다. 이곳은 올해 7월 오픈AI의 'GPT-4o'와 비슷한 음성 비서 '모시'를 공개해 주목 받기도 했다. 글로벌 '명품업계 대부'로 불리는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그룹 회장도 AI 스타트업 투자에 뛰어들었다. 실적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AI를 새로운 돌파구로 삼은 것이다. 아르노 회장은 올해 투자 계열사 아글레벤처스를 통해 총 5곳의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모두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로 투자액은 3억 달러(약 4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가장 큰 규모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기업은 프랑스 AI 에이전트 개발사 H(옛 홀리스틱AI)다. 알파벳의 AI자회사 딥마인드 출신 개발자와 스탠퍼드 대학 출신 연구진 4인이 지난해 공동 설립한 기업이다. 지난 5월 2억2천만 달러(약 2천940억원)의 초기 시드 투자를 받았다. 또 삼성전자와 아마존, 에릭 슈미트 구글 전 CEO도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다. 현재 기업가치는 3억7천만 달러(약 5천억원)로 추산된다. 반면 한국 AI 스타트업의 투자 상황은 좋지 않다. 국내 VC는 AI 스타트업에 투자를 줄이고 있다. 3년 만에 투자 건수는 절반이 됐고 투자 금액도 줄어들고 있다. VC 분석업체 더브이씨에 따르면 올 초부터 지난 9월까지 집계 가능한 국내 AI 스타트업들의 투자금은 7천182억원에 불과했다. 투자 건수는 149건이었다. 투자 업계에서는 올해도 1조원의 벽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에 국내 AI 스타트업에 투자된 자금은 7천908억원, 투자 건수는 231건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비교해보면 올해 투자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82건이 하락했다. 2022년에는 292건의 투자를 받아 1조4천30억원의 투자 금액을 기록한 바 있다. 또 한국 AI 스타트업은 조 단위는커녕 누적 투자 금액이 1천억원을 넘긴 곳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웰브랩스(약 1천530억원), 업스테이지(약 1천400여억원) 정도만 눈에 띈다. 업계는 국내 AI 스타트업들이 낮은 성과와 수익성 때문에 제대로 된 가치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AI 기업들은 2018년부터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했는데, 당시 75.9%가 매출을 냈다. 하지만 5년간 이 수치는 0.6%포인트밖에 상승하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기술 경쟁의 우열이 뚜렷해지면서 투자 양상 또한 소수 기업이 독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분위기"라며 "AI 기술 개발 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지만 국내 투자 환경은 이를 충분히 뒷받침할 만큼 조성돼 있지 않아 기술 개발뿐 아니라 인력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제대로 된 평가를 못 받고 있다"고 밝혔다.

2024.12.19 10:32장유미

일렉트로룩스, 습건식 무선청소기 신제품 출시

스웨덴 종합가전기업 일렉트로룩스는 습건식 및 진공 청소까지 가능한 3 in 1 무선 청소기 신제품 '얼티밋홈 800 3-in-1 습건식 무선청소기'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신제품은 청소기 하나로 습건식, 건식 진공 청소뿐만 아니라 핸드 청소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바닥의 젖은 얼룩과 마른 먼지, 손이 잘 닿지 않는 틈새 청소까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청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트리액션 습건식 노즐을 장착하면 최대 1만8천800pa 흡입력으로 마른 먼지를 최대 99%까지 제거하는 동시에 습식 청소로 젖은 얼룩까지 청소한다. 오염이 심한 부분은 수동 물 스프레이 기능을 사용해 집중적으로 닦아낼 수 있다. 셀프 세척·건조 기능도 탑재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700rpm 속도로 듀얼 브러시 롤을 세척하고, 최대 70도의 고온에서 건조한다. 먼지와 오수를 자동으로 분리해 주는 시스템도 장착됐다. 습건식 청소 시 흡수된 먼지와 오수는 통합 듀얼 물탱크에서 자동으로 오수는 아래로, 젖은 먼지는 위로 분리된다. 진공 청소용 메탈 튜브와 노즐을 장착하면 단독 진공청소기로 쓸 수 있다. 핸드 유닛에 '먼지 브러시'와 '틈새 노즐'을 장착하면 핸디형 청소기로 사용 가능하다.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는 작은 먼지나 얼룩까지 감지하는 '스마트 먼지 감지 기능'도 갖췄다. 스마트 감지 센서로 바닥의 이물질을 감지해 자동으로 진공 파워 레벨과 물 공급량을 조절해준다. 제품은 별도 거치대가 필요 없이 청소 도중 어디에나 세워둘 수 있다. '플렉시블 노즐'은 청소하기 어려운 가구 밑이나 235mm 작은 틈새까지 청소가 가능하다. 4단계 필터 시스템은 H10 등급의 헤파 필터를 포함해 청소기로 빨아들인 먼지를 여과한다.

2024.12.18 17:41신영빈

퓨리오사AI, 알렉스 리우 수석부사장 선임…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서울, 한국, 2024년 12월 18일 /PRNewswire/ -- AI 반도체 솔루션 선도 기업 퓨리오사AI는 알렉스 리우(Alex Liu)를 제품 및 사업 부문 수석부사장(SVP)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NETINT 테크놀로지의 공동 창업자인 리우는 첨단 기술 분야에서 20년 넘게 쌓아온 경영과 기술 혁신 경험을 바탕으로, 퓨리오사AI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주도할 계획이다. photo: kuna lu // ig: @kunaphotography // w: www.kunaphotography.com // 리우는 NETINT의 공동 창립자로서 회사를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특히 세계 최초의 비디오 처리 유닛 시스템 온 칩(VPU SoC)을 개발해 새로운 제품군을 창출했으며, 시장 표준을 재정립하는 등 업계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 기술은 높은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며 NETINT가 2024 테크놀로지 에미(Emmy)상을 수상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퓨리오사AI는 리우의 합류를 통해 AI 반도체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리우는 제품 전략 수립과 시장 진출 실행,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미주를 포함한 글로벌 운영 총괄을 맡는다. 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는 "AI 반도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리우가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리우의 글로벌 시장 개척 경험과 리더십이 퓨리오사AI의 새로운 도약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퓨리오사AI는 AI 추론 인프라를 위한 최첨단 AI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 할 계획이다. 퓨리오사AI에 대하여: 퓨리오사AI는 강력한 AI를 모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AI 컴퓨팅 솔루션을 개발하는 반도체 회사이다. 혁신적인 텐서 수축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통해 가장 까다로운 AI 워크로드에 대해 뛰어난 효율성과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제공하면서 AI 하드웨어 분야를 혁신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furiosa.ai/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83892/Alex_Liu_formal.jpg?p=medium600심벌 마크 - https://mma.prnewswire.com/media/2489188/5084095/Furiosa_AI_h_rgb_Logo.jpg

2024.12.18 15:10글로벌뉴스

HD현대중공업, 최신예 호위함 '충남함' 해군에 인도

HD현대중공업이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인 '정조대왕함'에 이어 3천600톤급 신형 호위함 호위함인 '충남함'을 조기에 인도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울산 본사에서 개최된인도식에는 주원호 특수선사업대표를 비롯해 신현승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 박태규 해군8전단장 등이 참석했다. 충남함은 총 6척의 3천600톤급 신형 호위함을 건조하는 울산급 배치(Batch)-III 사업의 첫 번째 함정이다. 지난 2017년 퇴역한 1천500톤급 호위함인 충남함(FF-953)의 함명을 이어받았다. HD현대중공업은 2020년 3월 방사청과 상세설계 및 건조 계약 체결 후, 2022년 12월 진수와 약 2년간의 시험평가를 거쳐 기존 계약납기일보다 조기에 해군에 인도했다. 충남함은 길이 129m, 폭 15m 규모의 다목적 전투함이다. 최대 30노트(약 55㎞/h)의 속력으로 운항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추진체계 적용으로 작전 수행 능력이 향상됐다. 특히 360도 전방위 탐지·추적·대응이 가능한 4면 고정형 다기능 위상배열레이더를 포함한 복합센서 마스트를 국내 기술로 개발해 다수의 대공 표적에 동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공전 능력을 강화했다. 또 한국형 수직발사체계를 탑재해 다양한 유도탄을 동시에 운용할 수 있고, 각종 소나(수중음파탐지기)를 탑재해 우수한 대잠전 능력도 갖췄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최신예 호위함인 충남함은 최첨단 전투체계와 고성능 탐지 장비, 강력한 무장을 바탕으로 서해 수호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HD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3천톤급 잠수함 신채호함, 11월 8천200톤급 이지스구축함(배치-Ⅱ) 1번함인 '정조대왕함'을 해군에 적기·조기 인도한 바 있다.

2024.12.18 14:42신영빈

트렌드포스 "엔비디아 '블랙웰' 서버랙 대량 공급 내년 2~3분기로 지연"

엔비디아의 최신 AI 반도체 '블랙웰'이 탑재된 AI 서버랙 'GB200'의 대량 공급 시기가 최대 3분기까지 늦춰진다는 전망이 나왔다. 1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엔비디아 AI 서버랙 'GB200'이 설계 최적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량 공급 시기가 내년 2~3분기로 지연된다고 전망했다. 고속 상호 연결 인터페이스, 열설계전력(TDP) 등에 추가 최적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트렌드포스는 “블랙웰 GPU 칩 생산은 4분기부터 소량 출하가 가능하지만, AI 서버 시스템은 설계 요구 사항과 여타 부품들의 공급망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AI 서버 랙의 올해 말 출하량은 업계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고객사를 대상으로 GB200 서버랙의 소량 공급은 4분기부터 시작됐다. 이번 지연 소식은 앞서 11월 17일 IT 매체 디인포메이션이 보도한 내용과 맥을 같이한다. 디인포메이션은 엔비디아 직원을 인용해 “GB200 서버랙에서 블랙웰 GPU를 연결할 때 과열 현상이 발상해 엔비디아가 서버OEM사들에게 설계 변경을 요구했다”며 “서버 랙 제조사들은 최악의 경우 내년 6월 말쯤에야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공급 지연은 빅테크 기업들의 AI 개발에 차질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메타와 구글은 이미 100억 달러 규모의 GB200 40만개를 구매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6만5000개를 주문한 상태다. 트렌드포스는 GB200 NVL72 모델이 내년 전체 서버 공급량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엔비디아 블랙웰은 2080억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사양에 따라 B100, B200으로 나뉜다. 블랙웰은 지난 2022년 나온 '호퍼' 시리즈 보다 데이터 연산 속도가 2.5배 빠르다. 지난 3월 첫 공개돼 당초 2분기 출시가 목표였지만, 설계 결함으로 4분기로 연기돼 양산 중이다. 'GB200' AI 가속기는 2개의 블랙웰 GPU, 1개의 그레이스 중앙처리장치(CPU), HBM3E 8단 16개가 탑재된 제품이다. GB200 서버는 랙에 집적되는 개수에 따라 GB200 NVL3, GB200 NVL72 등으로 나뉜다. GB200 NVL72에는 72개 블랙웰 GPU, 36개의 CPU가 탑재되며, 엔비디아 독자 기술인 5세대 NVLink로 고속 연결을 구현했다. GB200 서버시스템은 종전의 H100보다 성능이 30배, 에너지 효율성이 25배 좋다. 다만 고성능에 따른 발열 문제가 과제로 떠올랐다. GB200 NVL72의 열설계전력(TDP)은 140kW로, 현재 주력 제품인 HGX AI 서버(60~80kW)의 두 배에 달한다. 이에 서버제조사들은 기존 공랭식에서 수랭식 냉각 솔루션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한편, GB200 서버랙 공급 지연 우려가 크지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델 테크놀로지스의 마이클 델 CEO는 지난 11월 19일 SNS를 통해 GB200 NVL72 서버랙 출하가 시작됐다고 알렸다. 또 지난 11월 20일 엔비디아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올 4분기에 과거 예상보다 더 많은 블랙웰 GPU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콜렛 크레스 엔비디아 CFO 역시 "각종 고객사의 블랙웰 수요에 맞춰 공급 확대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올 4분기 블랙웰 매출이 당초 예상인 50~6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12.18 10:01이나리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선언문'을 전 세계에 발표하다

-- 모두를 위한 포용성•혁신성•영향력 있는 AI 지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2월 17일 /PRNewswire/ -- 사우디아라비아는 리야드에서 열리는 UN 주관 제19회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 Riyadh 2024)을 개막하며 "리야드 선언문(Riyadh Declaration)"을 발표했다. 이 포럼은 전 세계 정부 및 민간부문, 비영리 부문과 기업가, 혁신가들간의 국제적인 디지털 협력 촉진을 목표로 한다. 압둘라 알스와하(H.E. Eng. Abdullah Alswaha)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 (HRH Prince Mohammed bin Salman bin Abdulaziz Al Saud)의 지원과 주도하에 선언문을 발표하였음을 밝히며, 이번 선언문은 AI의 포용성과 혁신성, 영향력 측면에서의 AI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설명했다. 이 선언문은 AI 기술을 통해 디지털 접근성을 가능케 하고 디지털 지식을 향상시킴으로써 글로벌 과제 해결과 전 세계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접근성과 디지털 문해력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며, 환경보호, 공중 보건 개선, 경제적 포용성 강화를 위한 AI의 역할을 역설했다. 또한 알스와하 장관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모하메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의 리더십 아래 인류, 지구, 그리고 번영을 위해 AI 분야에서 선제적인 접근전략을 취해왔다는 점을 언급하며,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 은 분명하며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변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리야드 선언문 전문 (영문)은 아래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www.mcit.gov.sa/sites/default/files/2024-12/Riyadh%20Ai%20declaration%20E.pdf.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소개]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은 UN 산하의 국제 기구로, 매년 회원국들이 주체하는 행사다.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민간 부문, 시민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인터넷 거버넌스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intgovforum.org/en

2024.12.17 16:10글로벌뉴스

설 채비 나선 백화점…명절 선물세트 예약 판매 시작

백화점 4사가 내년 설 명절 선물세트 예약 판매를 시작한다. 고물가에 합리적인 가격에 미리 선물세트를 구매하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해 사전 예약 판매 물량을 전년 대비 늘렸다. 17일 신세계·현대·롯데 등 3사는 오는 20일부터 다음 달 초까지 설 명절 선물세트 사전 예약을 받는다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다음 달 9일까지 21일간, 2025년 설 선물세트를 예약 판매한다. 지난해 설 대비 10% 늘어난 5만여 세트를 예약판매 물량으로 준비했다. 예약 판매 품목은 ▲배·사과·곶감 등 농산 56품목 ▲한우 등 축산 34품목 ▲굴비·갈치 등 수산 29품목 ▲와인 28품목 등 총 260여 가지다. 주요 품목 할인율로는 ▲한우 5~10% ▲굴비 20% ▲청과 10% ▲와인 50% ▲건강식품 60%이다. 특히 과일 선물세트는 신세계백화점 지정 산지인 셀렉트팜을 확대해 직거래를 통한 가격 부담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축산은 신세계 축산 바이어 및 지정 중매인이 직접 경매에 참여해 유통단계를 축소한 '신세계 암소 한우' 제품을 확대했다. 현대백화점도 다음 달 9일까지 2025년 설 선물세트 예약 판매를 진행한다. 압구정본점 등 전국 15개 점포를 시작으로 공식 온라인몰 '더현대닷컴(12월30일~1월23일)'과 현대홈쇼핑 공식 온라인몰 '현대H몰(1월6일~1월23일)' 등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현대백화점도 사전 예약 판매 물량을 지난해 설 선물세트 예약 판매 기간보다 20% 가량 늘렸다. 고물가 영향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설 선물을 미리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예약 판매 기간 한우·굴비·청과·건강식품·주류 등 인기 선물세트 약 200여 종을 선보이며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예약 판매 기간 온라인몰과 모바일앱을 통해 선물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을 위한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한다. 더현대닷컴은 5만원 이상 선물세트를 구매하는 고객에게 최대 10%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아이디 당 일 5회, 최대 7만원)을 증정하고 현대백화점카드로 구매 시 상시 6%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롯데백화점은 오는 20일부터 1월 5일까지 롯데백화점 전점에서 축산, 수산, 청과, 그로서리 등에서 약 230개 설 사전 예약 판매 품목을 선보이며 최대 60% 할인 판매한다. 작년 설 사전 예약 품목 대비 신규 품목을 대폭 늘리고, 사전 예약 시에만 구매할 수 있는 한정 품목을 선보인다. 한우, 수산, 청과 등 각 상품군별 수요가 꾸준한 베스트 품목은 물량을 20% 확대했다. 축산 선물은 인기 품목의 '기본 중량'을 재조정했다. 1~2인 가구의 증가와 명절 여행 인구 확대 등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감안해 인기 품목의 기본 중량을 2kg에서 1.6kg으로 낮췄다. 수산 선물은 굴비, 선어 등 기존 10~20만원대의 실속 선물 위주에서 최고 60만원대까지 가격 범위를 넓히고 상품을 다양화했다. 사과, 배 등 청과의 경우 청송, 영주, 안동, 천안, 나주 등 우수 산지를 조기에 추가 확보해 수요가 높은 인기 품목의 물량을 20% 가량 늘렸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오는 26일부터 내년 1월 9일까지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에 돌입한다. 고가의 프리미엄 선물세트와 중저가의 가성비 선물세트를 동시에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고가 주류세트와 함께 과일, 공산품 등 중저가 예약판매 세트 품목을 전년 대비 30% 이상 확대 구성했다. 예약판매 세트는 총 360여개 품목으로 해당기간 동안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한다. 갤러리아 설 선물세트 본 판매는 예약판매 기간 다음날인 1월 10일부터 27일까지 진행할 예정(지점별 기간 상이)이다.

2024.12.17 12:00김민아

포르쉐코리아, 타이칸 터보 GT 출시…1034마력·제로백 2.3초

포르쉐코리아가 타이칸 터보 GT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순수 전기 스포츠 세단 타이칸의 모델 라인업에 추가된 타이칸 터보 GT는 새로운 스포츠 플래그십 모델이다. 가격은 2억9천610만원이다. 광범위하게 업그레이드된 타이칸은 전반적으로 시스템 출력이 향상됐다. 타이칸 터보 GT는 더 강력한 펄스 인버터를 장착해 580 kW의 시스템 출력을 발휘한다. 런치 컨트롤시 최대 1천34마력(PS 760kW)을 발휘하며, 정지상태에서 100㎞/h까지 가속하는데 타이칸 터보 S보다 0.1초 빠른 2.3초가 소요된다. 더 높은 효율을 위해 펄스 인버터의 반도체 소재로 사용된 실리콘 카바이드는 PWR 스위칭 손실을 크게 줄이고, 더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구현한다. 또한 변속비와 기어박스 내구성을 개선해 더 향상된 토크 수치를 발휘한다. 최대토크는 126.4 kg∙m이며, 주행 가능 거리는 419㎞(복합)이다. 타이칸 터보 GT는 버튼을 눌러 10초 동안 최대 120 kW의 추가 출력이 가능한 어택 모드 (Attack Mode)를 제공한다. 좌측 스티어링 휠 패들로 회생 제동 수준을 설정하고 주행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지능형 경량 구조의 적용으로 타이칸 터보 GT는 타이칸 터보 S보다 가벼운 무게를 자랑한다. B-필러 트림, 도어 미러의 상단 쉘, 사이드 스커트 인레이 등 다양한 구성요소에 카본 섬유를 사용했다. 타이칸 터보 GT에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는 다이내믹 패키지는 주행 역동성을 극대화한다. 다이내믹 패키지는 GT 전용 튜닝과 함께 포함된 포르쉐 액티브 라이드 서스펜션을 통해 역동적인 주행 상황에서도 휠 하중을 적절하게 분배해 차량이 노면과 완벽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다이내믹 패키지에는 스페셜 퍼포먼스 섬머 타이어가 장착된 21인치 경량 단조 휠이 장착된다. 익스클루시브 터보 GT 휠에는 릴리프 밀드(relief-milled) 스포크를 장착해 무게를 줄이고 브레이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한다. 외관은 새로운 페일 블루 메탈릭와 퍼플 스카이 메탈릭을 포함 총 6개 컬러를 선택할 수 있다. 터보 GT 전용으로 전면 보닛과 경량 알로이 휠의 허브 커버에는 컬러 포르쉐 크레스트가 적용된다. 리어 리드의 '터보 GT' 로고는 매트 블랙 컬러로 마감된다.

2024.12.17 10:10김재성

'디지털 의상 솔루션' 클로버추얼패션, 500억원 투자 유치

글로벌 디지털 의상 솔루션 기업 클로버추얼패션은 5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와 IMM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2009년 설립된 클로버추얼패션은 3D 의상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서 의상을 디자인하고, 디자인한 의상을 관리하고 협업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3D 의상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클로'와 '마블러스 디자이너'를 두고 있다. 의상 데이터의 관리, 공유, 의사소통, 생산을 하나로 연결하는 '클로셋'과 3D 디지털 의상 및 패션 관련 자산을 거래하고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는 '커넥트'와 같이 의상 콘텐츠에 특화된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런칭해 통합적인 워크플로우를 위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클로는 휴고보스, 나이키, 아크테릭스, H&M, 리바이스, 데카트론, 망고 등 다양한 글로벌 패션 기업에 3D 디지털 워크 프로세스를 도입하며 높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영화 및 CG 업계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2월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아카데미협회로부터 과학기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클로는 의상에 관한 모든 기능이 하나로 연결되는 클로의 생태계를 보다 공고히 할 계획이다. 의상 제작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아이디에이션, 디자인, 생산, 마케팅, 소비의 과정을 보다 심리스하게 연결해, 기존 유저의 사용성을 높이면서도 광범위한 신규 유저 유입을 꾀하는 것이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김제욱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부사장은 "클로버추얼패션은 글로벌 3D 의상 디자인 분야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패션 업계의 3D 기술 도입을 선도하며 빠르게 성장해왔다"며 "디자인부터 생산까지 의상 제작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사용자 중심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기반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글로벌 디지털 패션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부정혁 클로버추얼패션 대표는 "클로의 기술력은 물론, 클로가 쌓아온 오랜 고객들과의 두터운 신뢰 덕분에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났다"며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모든 의상의 시작과 끝'이 되고자 하는 클로의 비전에 한발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2024.12.16 11:52신영빈

혁신도전형 R&D 80개 첫 공개

혁신도전형 R&D가 망라된 대규모 '오픈랩' 행사가 처음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부터 18일까지 정부세종청사 일대(대강당 및 세종청사체육관 다목적홀)에서 '2024 대한민국 혁신도전 연구공개전(이하 '오픈랩')'을 개최한다. 주관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맡았다. 혁신도전 R&D '앞으로(APRO)' 사업은 30개 이상 정부 부처에서 수행 중인 R&D 사업 가운데 세계 최초의 혁신 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목표에 도전하는 핵심 R&D를 선별·지정해 차별화된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처음 ▴한계도전 R&D프로젝트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등 9개 부처에서 주관하는 35개 사업을 선정했다. 오픈랩 메인 전시관은 혁신도전형 R&D를 의미하는 A·P·R·O(A관, P관, R관, O관) 연구관과 RND 지원관으로 구성했다. A관 R관에서는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고기 ▴자폐 치료 게임 ▴흉터없는 수술로봇 ▴재생되는 인체 등을 볼 수 있다. 또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 ▴달탐사선 모형 등 ▴우주, 원자력, 국방, 바이오, 인공지능, 양자, 소재,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고·최초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연구자들과 만나, 연구 전시물 내용 및 혁신도전 연구목표, 난제해결, 혁신방식, 실패경험 극복에 대한 궁금한 사항을 직접 들을 수 있다. P관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네비게이터, 스마트지팡이 ▴제로에너지하우스 실현 고성능 단열구조체 등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성과를 전시한다. RND 지원관에서는 첨단 연구시설/장비를 활용한 연구개발을 참가자들에게 소개하고 간략히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꾸몄다. 16일 개막 행사에서는 '혁신도전형 R&D 제도개선 공청회'와 오상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을 좌장으로하는 패널 토론이 준비돼 있다. 17일에는 '문제해결 데모데이'와 우수 성과자 시상식이 진행된다. 또 순환경제 소셜벤처 창립자인 김정빈 수퍼빈 대표의 강연과 KAIST 실패학회 실패 사례자 강연이 준비됐다. 참여 학생의 망한 과제, 불합격 등 각자의 실패를 딛고 나름의 방식으로 극복한 실제 경험담을 공유하는 대담 형식의 『실패강연회』가 진행되며, 현장 관객들과의 소통도 이어진다, 과기정통부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대한민국 미래를 선도적으로 열어갈 대표적인 혁신도전 APRO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자와 국민 간 소통 기회를 만들기 위해 마련했다"며 "연구자들이 타성에 젖거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에 적극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2024.12.16 11:01박희범

디지털 미래 구축의 '2024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에 전세계 리더 참가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2월 13일 /PRNewswire/ -- 제19회 유엔 (UN)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 (IGF)이 다음주에 열린다. 2024년 12월 15일부터 19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소재 킹 압둘아지즈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전 세계 이해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혁신 및 거버넌스 등 인터넷의 미래 구축을 위한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플랫폼으로 작용하게 된다. IGF 리야드 2024에는 175여개국 1만여명 이상이 참석할 것으로 보며, 1,000명 이상의 해외 연사가 특별세션, 워크숍, 패널 토론 등을 이끌게 된다. 메타(페이스북), 세계은행,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레노버, 위프로, 디지털네이션(Digital Nation),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ICANN)의 주요 글로벌 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압둘라 알스와하(H.E. Eng. Abdullah Alswaha)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행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며 "IGF 리야드 2024는 AI시대에 정부와 시민사회, 비영리 부문, 기업가, 혁신가 간의 국제 디지털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한다"며, "포럼이 전세계 인류의 경제 성장 및 번영을 촉진할 참신한 아이디어를 육성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주요 이해관계자에게 포럼 참석을 위해 리야드 방문을 독려하며, 해당 행사가 "인류를 돕기 위한 혁신적인 인터넷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지속가능하면서도 번영이 있는 디지털 미래를 지원할 수 있는 기회"임을 강조했다. "멀티 스테이크홀더 (multistakeholder) 디지털 미래 구축"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IGF 리야드 2024 포럼은 국제사회가 인터넷의 미래에 대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열린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토론은 글로벌 디지털 논의에 중심이 되는 4가지 주요 주제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다. 첫번째 주제인 "디지털 공간에서의 혁신 포용과 리스크 조정"은 성공 및 모범 사례에 대한 대화와 지식 교환을 촉진하고, 모두를 위한 디지털 혁신의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강조하는 동시에 급격한 변화에서 기인한 위험 해결을 목표로 한다 두번째 주제 "평화와 발전, 지속가능성에 대한 디지털 기여 강화"은 디지털화 현상이 현재와 미래 세대 모두를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및 발전을 촉진하는 다각적인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세번째 주제인 "디지털 시대의 인권과 포용성 증진"에서는 디지털 영역에서 인권 보호를 보장하면서 보편적인 의미있는 연결을 가능토록 하는 혁신적인 솔루션, 체계, 추진 계획 등을 깊게 살펴본다. 마지막 주제 "우리가 원하는 인터넷을 위한 디지털 거버넌스 개선"에서는 '우리가 바라는 인터넷'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포용적인 상향식 거버넌스 과정을 강화하고 지원할 방법을 탐색할 예정이다. IGF 리야드 2024는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부 (MCIT), 통신우주기술위원회 (CST), 왕립과학기술원 (KACST), 디지털 당국 (DGA) 주최로 개최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등록 정보는 IGF 웹사이트 (https://igfriyadh2024.s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소개]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은 UN 산하의 국제 기구로, 매년 회웅국들이 주체하는 행사다.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민간 부문, 시민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인터넷 거버넌스와 관련된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intgovforum.org/en [디지털 정부청(Digital Government Authority) 소개] 디지털 정부청(DGA)은 2021년 3월 9일, 내각 결정을 통해 설립된 사우디아라비아의 정부 기관으로, DGA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정부와 관련된 모든 사안을 담당하며, 정부 기관의 디지털 인프라를 개발 및 조직하며, 웹사이트와 전자 포털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디지털 정부 운영을 규제하고 있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dga.gov.sa/en

2024.12.13 20:10글로벌뉴스

  Prev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통신사 갈아탈까...번호이동에 보조금 쏠렸다

"이상기후로 '김'이 사라진다"...식품기업들 어쩌나

하늘 나는 오토바이, 비밀 풀렸다…"진짜 맞죠?"

[유미's 픽] 'K-AI' 타이틀 거머쥘 주인공 누가될까…PT 평가 등락 가를 기준은?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