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지스타2025
인공지능
스테이블코인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g19부동산DB팜※!텔MBE24@☆'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84255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솔루스첨단소재, 내년 ESS 전지박 비중 5%→20% 전망

솔루스첨단소재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며 전지박(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공급 확대에 나선다. 솔루스첨단소재는 13일 글로벌 ESS 시장 성장세에 대응해 ESS용 전지박 공급을 본격 확대한다고 밝혔다. 전기차 중심이었던 고객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수익 구조를 보완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솔루스첨단소재는 헝가리 공장을 거점으로 유럽 소재 배터리 제조사에 ESS용 전지박을 공급하고 있으며, 북미 주요 기업들과도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다. 회사는 유럽과 북미 고객사로 글로벌 공급처를 넓혀가고 있다. 유럽은 헝가리를 중심으로 글로벌 중국계 배터리사의 생산 거점이 확대되고 있어 ESS 시장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유럽 ESS용 전지박 공급 기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ESS 수요가 증가하는 북미 시장에서도 공급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에 따라 내년 솔루스첨단소재 전체 전지박 공급량 중 ESS용 비중은 현재 5% 미만에서 약 20%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공급 물량은 약 3천500~4천톤으로 예상되며, 지역별 비중으로는 북미가 유럽 대비 약 9대1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ESS용 배터리에 주로 적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전기차용 삼원계(NCM) 배터리에 비해 수익성이 낮은 편이다. 다만 솔루스첨단소재는 8마이크론(㎛) 제품뿐 아니라 6마이크론(㎛) 전지박도 ESS 용도로 공급하며 제품 폭을 넓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미 시장 공략의 또 다른 축은 내년 완공을 앞둔 캐나다 퀘벡 공장이다. 캐나다 전지박 공장은 북미 내에서 ESS용 전지박을 현지 생산·공급하는 핵심 생산거점으로, 미국 주요 고객사로 직납이 가능하다. 회사는 물류 효율성과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북미 ESS 시장 수요 확대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ESS 시장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산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에 따라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북미 시장에 진출했던 중국산 제품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투자세액공제(ITC) 제도, 고율 관세 등의 영향으로 입지가 일부 제약을 받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솔루스첨단소재를 비롯한 글로벌 소재·배터리 기업들은 북미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고 공급 능력과 납기 경쟁력을 강화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 관계자는 “경기나 정책 변화 등에 영향을 받는 전기차 시장과 달리 ESS는 인프라 중심의 시장으로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다”라며 “헝가리와 캐나다 생산기지를 통해 전기차 및 ESS의 유럽·북미 지역별 맞춤형 공급 체계를 완성하고 시장 수요에 신속히 대응, 고부가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11.13 09:07류은주

SDT, '큐에라 퀀텀 얼라이언스' 합류…중성원자 양자컴퓨팅 시장 공략 나서나

양자표준기술 전문기업 SDT(대표 윤지원)가 미국 양자컴퓨팅 전문기업 큐에라 컴퓨팅(QuEra Computing)의 '큐에라 퀀텀 얼라이언스(QuEra Quantum Alliance)' 합류를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큐에라 퀀텀 얼라이언스'는 큐에라가 중성원자 양자컴퓨팅 기술의 상용화와 산업 적용을 가속화하기 위해 출범한 글로벌 파트너십 프로그램이다. 어려운 계산 문제를 해결하고 중성원자 양자컴퓨터의 개발 및 배포를 가속화하는 것이 목표다. SDT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기술을 주도하는 큐에라 및 글로벌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 양자기술의 산업 적용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큐에라는 지난 2018년 미하일 루킨(Mikhail Lukin) 교수, 블라단 뷸레티치(Vladan Vuletić) 교수 등 하버드 대학교와 MIT 연구진이 공동 창업한 기업이다. 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팅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고있다. 큐에라는 일본 국립산업과학기술원(AIST)에 약 4천100만 달러 규모의 중성원자 양자컴퓨터를 공급해 운영 중이다. 지난 5월 엔비디아(NVIDIA) 기술이 적용된 ABCI-Q 슈퍼컴퓨터와 함께 설치됐다. 올 2월에는 구글,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등이 참여한 단일 라운드에서 2억 3천만 달러(약 3천300억 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이후 엔비디아 벤처 자회사 엔벤처스(NVentures)가 추가 투자를 진행했다. 중성원자 방식은 수백에서 수천 개의 큐비트로 확장이 용이하고, 외부 전기적 간섭에 덜 민감하며, 상온 구동이 가능해 극저온 냉각 설비가 필수적인 타 방식 대비 비용과 복잡성 측면에서 큰 강점이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SDT 윤지원 대표와 큐에라 창업자 간 인연에 더 관심이 쏠렸다. MIT에서 물리학과 전자공학을 전공한 윤 대표가 고등학생 시절, 큐에라 공동 창업자인 블라단 뷸레티치 교수의 MIT 연구실에서 연구 경력을 쌓았다. 큐에라 유발 보거(Yuval Boger) CCO는 “SDT가 보유한 풀스택(full-stack) 양자 설계 및 제조(QDM) 역량은 큐에라의 선도적인 중성원자 컴퓨팅 기술을 보완하는 동시에, 연구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상용화로 나아가려는 얼라이언스의 공동 목표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DT 윤지원 대표는 "이번 합류는 SDT가 단순한 기술 연구를 넘어 양자기술의 산업화를 이끌 '제조 및 서비스' 역량을 갖춘 글로벌 파트너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SDT의 QDM 역량과 큐에라의 선도적인 기술을 결합, 글로벌 양자 생태계 확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11.13 09:06박희범

세이프틱스, '실시간 위험인지' 협동로봇 안전제어 기술 공개

로봇 안전 전문기업 세이프틱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이 추진한 '자율이송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기반 지능형 제조 물류시스템 개발' 사업 결과물을 선보였다고 13일 밝혔다. 세이프틱스는 최근 '로보월드 2025' 전시에서 현재 연구 중인 실시간 위험인지 및 협동운전 안전제어 기술의 핵심 개념을 실제 시스템 형태로 구현했다. 세이프틱스 기술은 로봇-작업자 간 상호작용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충돌 시 발생하는 힘과 압력을 예측해 국제표준에서 제시한 임계치를 넘치 않게 로봇을 실시간 제어한다. 협동운전인 동력 및 힘 제한(PFL) 조건을 자동으로 만족시키는 협동로봇 제어 기술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핵심은 카메라 센서로 AI 기반 사람 자세 인식 기술을 융합해 위험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했다. 이번 성과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구미전자정보기술원(GERI), 경희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세이프틱스는 협동로봇이 사용할 때 만족해야 할 국제 안전 표준 ISO 10218-2 및 TS 15066의 요구사항을 쉽게 충족하는 방향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향후 산업용 협동로봇과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까지 확장 가능한 통합 안전제어 솔루션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신헌섭 세이프틱스 대표는 "이번 전시는 실시간 위험인지와 힘 제어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현장에서 검증했다"며 "사람과 로봇이 안전하게 협업할 수 있는 지능형 제조 환경 실현을 위해 기술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3 08:55신영빈

롯데케미칼, 파키스탄 PTA 생산 자회사 매각

롯데케미칼이 비핵심 자산 매각을 이어간다. 롯데케미칼은 12일 자회사인 LCPL 지분 75.01% 매각 거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LCPL은 폴리에스터 섬유, 산업용 원사, PET병 등에 활용되는 고순도 테레프탈산(PTA)을 연간 50만톤 규모로 생산하는 회사다. 매수인은 파키스탄 사모펀드 API와 아랍에미리트 석유·화학 트레이딩 기업 '몽타주 커머디티즈 FZCO'가 공동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V) 'PTA 글로벌 홀딩'이다. 이번 매각은 2025년 2월 19일 공시 후 진행돼 왔으며, 9월 주식공개매수 절차 종료 이후 지난 12일 거래대금 지급과 주식 교환이 최종 마무리됐다. 총 매각대금은 980억원이며,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6월 수취 완료한 3개년 배당금 296억원을 포함해 총 1천276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롯데케미칼은 2023년부터 범용 제품 중심의 LCPL을 사업 포트폴리오상 비핵심 사업으로 분류하고 매각을 추진해 왔다. 이번 거래로 롯데케미칼은 파키스탄 내 구제금융 및 환율 변동 등 경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동시에 재무 건전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롯데케미칼은 앞으로도 비즈니스 리스트럭처링을 지속 추진해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공고히 하고, 고부가 소재와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스페셜티 사업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2025.11.13 08:51류은주

수색·구조용 초소형 비행 로봇 화제…왜 박쥐에 주목했나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에서 수행되는 수색 및 구조 임무를 박쥐 닮은 로봇이 대신하도록 하면 어떨까? 극한 상황에서 생활하는 박쥐의 특징을 접목한 초소형 로봇이 개발됐다고 테크크런치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작업을 수행한 것은 우스터 공과대학의 니틴 산켓 교수 연구팀이다. 산켓 교수는 박쥐의 능력을 모방한 초소형 비행 로봇을 개발하며 현장 대응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려 하고 있다. 산켓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은 손바닥에 들어갈 만큼 작지만, 박쥐처럼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탐지할 수 있다. AI 기반 신호 필터링 소프트웨어가 초음파 데이터에서 잡음을 제거해 반경 2미터 안의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돕는다. 그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에서 “수색과 구조는 대부분 사람이 직접 들어가 위험을 무릅쓰고 진행한다. 우리는 드론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면서 “드론은 넓은 지역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고, 민첩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산켓 교수의 연구는 박사과정 때 시작됐다. 당시 그는 “가장 작은 로봇을 만들라” 지도교수의 격려에 힘입어 연구를 시작했다. 이 때부터 산켓은 곤충과 새 같은 생물들이 제한된 연산 능력과 감각 장치로도 어떻게 정교한 비행을 수행하는지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생물학은 우리가 아직 따라가기 힘든 능력을 보여준다. 작은 뇌와 제한된 시각을 가진 곤충이나 새가 어떻게 그런 비행을 하는지 탐구한 것이 연구의 기초가 됐다”고 말했다. 초기에 그는 꽃가루 매개를 돕는 '로봇 벌집'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하지만 실용화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판단해 보다 빠르게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인 수색·구조로 방향을 틀었다. 팀은 전력 소비가 적은 자동 수도꼭지용 초음파 센서를 활용해 소형화 문제를 해결했다. 하지만 로봇 프로펠러 소음 때문에 장애물 감지가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실마리가 된 것이 박쥐였다.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산켓 교수는 “박쥐는 코, 귀, 입 주변의 조직을 조절해 소리의 형태를 바꾼다. 이 원리를 로봇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다음 단계는 비행 속도와 민첩성 개선이다. 산켓은 “인간의 뇌를 기준으로 기계를 설계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곤충이나 새 같은 작은 생물들은 훨씬 더 놀라운 항법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서 “엔지니어링뿐 아니라 생물학적 관점에서 더 많은 영감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11.13 08:50김익현

장한나 지휘자, KAIST 초빙특임교수 됐다…2년간 공개 실습수업 등 진행

KAIST가 세계적인 지휘자이자 첼리스트 출신 음악가 장한나 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특임교수로 임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임명 취지는 KAIST 내 문화예술 저변을 넓히고, 학생들을 융합적인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차원이다. 이를 위해 KAIST는 그동안 미술품 기증이나 미술관 개관, 세계적인 조수미 소프라노 및 지드래곤 영입 등 다채로운 예술 활동에 공을 들여왔다. 장한나 초빙특임교수는 '오케스트라 마스터 클래스'(지휘자가 직접 학생 연주자들과 함께 실연을 통해 음악 해석과 협업을 지도하는 공개 실습형 수업)를 진행한다. 또한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리더쉽 특강을 계획 중이다. 문화기술대학원 조수미 공연예술연구센터를 통해 오케스트라 연주에 필요한 인공지능(AI) 기술 자문에도 참여한다. 임용 기간은 2025년 11월부터 2년이다.

2025.11.13 08:45박희범

클룩, 수험생에 일본 호텔 쿠폰 쏜다

클룩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을 위해 일본 여행 혜택을 담은 특별 행사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클룩은 이달 23일까지 총 11일간 '클룩 수험생 이벤트'를 운영한다. 수능을 치른 수험생 중 추첨을 통해 10명에게 일본 호텔 예약 시 사용할 수 있는 20만원 상당의 쿠폰을 증정한다. 이번 이벤트는 오랜 수험 생활을 마친 수험생들이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여행을 즐기며 새로운 출발을 준비할 수 있도록 격려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취지다.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13일 오후 5시 클룩 공식 인스타그램에 공개되는 이벤트 게시물을 확인한 뒤, 계정을 팔로우하고 응원 댓글을 남기면 자동 응모된다. 당첨자는 추첨을 통해 선정되며, 개별 DM으로 수험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쿠폰이 지급된다. 지급된 쿠폰은 클룩에서 판매되는 모든 일본 호텔 상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인기 여행지는 물론 홋카이도와 오키나와 등 다양한 지역의 숙소 예약에도 활용 가능하다. 이준호 클룩 한국 지사장은 “치열한 수험 기간을 마친 수험생들이 여행을 통해 스스로를 격려하고 힐링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고객층이 즐길 수 있는 맞춤형 여행 혜택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11.13 08:38백봉삼

[미장브리핑] 다우지수 48000 첫 돌파…2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 1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다우존스산업평균(다우)지수 전 거래일 대비 0.68% 상승한 48254.82.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06% 상승한 6850.92. ▲나스닥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26% 하락한 23406.46. ▲다우 지수 48000 돌파하며 전 거래일에 이어 사상 최고치 기록. 투자자들은 미국 정부의 셧다운 종료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서 투자 심리 회복. ▲미국 루이지애나주 공화당 소속 스티브 스칼리스 하원 원내대표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동부시간 오후 7시경에 하원이 법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해. ▲다우 지수의 상승세는 골드만삭스, JP모건, 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 이끌어. 세 종목 모두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모건스탠리,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 S&P 500 금융 섹터를 추종하는 파이낸셜 셀렉트 SPDR 펀드(XLF)는 거의 1% 상승.

2025.11.13 08:26손희연

'AI 서밋 서울 & 엑스포' 성료…이틀간 1만5천명 다녀가

코엑스(대표 조상현)가 지난 10일과 11일 양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DMK글로벌(대표 박세정), 한국무역협회(KITA·회장 윤진식)와 공동으로 개최한 'AI 서밋 서울 앤 엑스포 2025(AI Summit Seoul & Expo 2025)'가 1만5천명의 참관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행사는 올해 처음으로 AI 컨퍼런스 'AI 서밋 서울'과 전시회를 연계한 AI 컨펙스(Conference+Exhibition)행사로 확대해 개최됐다. 전시회에는 구글 클라우드·KT·LG유플러스·시스코·IBM·페르소나 AI 등 5개국 71개사가 200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특히 전시장 안에 마련된 컨퍼런스 프로그램인 'AI 토크 & 데모(AI Talk & Demo)'에서는 23개 AI 전문 세션이 전석 마감되는 등 AI 최신 산업 트렌드에 대한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엿볼 수 있었다. 또 1천명 규모 컨퍼런스인 AI 서밋 서울은 개막 전부터 전 세션이 사전 완판돼 국내 대표 AI 산업 행사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특히 젠스파크 공동 창업자 겸 COO 웬 상이 국내 최초로 강연에 나서며 주목을 받았다. 해당 세션은 시작 전부터 전석이 마감되어 AI 최신 트렌드에 대한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과 열기를 보여줬다. 젠스파크의 정현수 이벤트 매니저는 “이틀간 300여 명이 부스를 방문해 AI 검색, 콘텐츠 생성,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AI 기능을 직접 체험했다”며 “AI 혼합 에이전트 플랫폼인 MOA(Manus Operated Agent system) 시스템과 올인원 AI 플랫폼에 대한 한국 유저들의 높은 관심을 통해 AI 기술의 실무 적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글로벌 AI 참가 기업 중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자율형 AI 에이전트 플랫폼인 마누스 AI 코리아의 아이디아 천 마케팅 매니저는 “행사 기간 1천여 명이 부스를 방문했으며 200건이 넘는 기업 제휴 문의와 미팅 요청을 받았다”며 “부스 상담과 제휴 문의가 애초 예상을 뛰어넘어 한국 시장 내 AI 솔루션 수요 확장 속도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일대일 비즈매칭 상담회인 '비즈니스 커넥팅' 프로그램에서는 국내외 40개 기업과 55개사 바이어가 참여해 총 250여 건의 비즈매칭 상담 성과를 거뒀다. 김한주 코엑스 전시사업본부장은 “한국이 글로벌 AI 3대 강국을 지향하는 현시점에서 AI 서밋 서울 & 엑스포는 국내 AI 기업이 글로벌 혁신 기업과 함께 AI 생태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기술·산업 전반에서 스케일업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무대가 될 것”이라며 “2026년에는 행사기간을 3일로 확장해 글로벌 AI 생태계와의 연계와 최신 AI 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11.13 08:18주문정

지디넷코리아, 'ACC 2025' 개최…AI가 바꾸는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 제시

지디넷코리아가 다음 달 11일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를 통한 효율 중심의 비즈니스 혁신 전략을 제시한다. 지디넷코리아는 서울 신라호텔에서 'AI&클라우드 컨퍼런스 2025(ACC 2025)'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전 세계 기업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불확실성 속에서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의 성과를 내야 하는 성장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변화 속도가 빠른 IT 산업은 과거의 방식만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어려워지면서 AI와 클라우드를 통한 새로운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지디넷코리아는 이러한 산업 환경 속에서 효율을 넘어 '성과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기 위해 '효율을 넘어 성과로, AI가 바꾸는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ACC 2025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기업들의 AI·클라우드 혁신 사례를 통해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기조연사로는 구글 클라우드 안영균 엔터프라이즈 파트너십 총괄이 '구글 클라우드의 에이전틱 AI로 실현되는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AI의 실제 적용 방향을 소개한다. 이어 퓨어스토리지코리아 김영석 상무가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클라우드로 구현하는 에이전틱 AI'를 발표하며, 기업 데이터 환경에서 AI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한다. 뉴타닉스코리아 마이클 신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무는 'AI를 위한 유연한 스택, 뉴타닉스가 제안하는 미래형 인프라'를 주제로 클라우드 인프라 최적화 전략을 설명할 예정이다. 오후에는 A·B 2개 트랙으로 세션이 나뉘어 진행된다. A트랙에서는 바이트플러스 이미나 솔루션즈 아키텍트와 오픈서베이 박희원 프로덕트 디렉터가 생성형 AI 자동화, AI 기반 리서치 플랫폼 등 최신 AI 응용 사례를 발표한다. B트랙에서는 아카마이테크놀로지스 강상진 상무와 HPE 김현준 이사가 엣지 AI 인퍼런스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혁신 등을 중심으로 발표를 이어간다. ACC 2025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기술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기업이 AI와 클라우드를 통해 새로운 성장 전략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자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기업 부스 전시와 참여형 이벤트, 사전등록자 대상 경품 이벤트 등이 준비돼 있어 실무자들에게 실질적인 정보와 함께 현장 체험의 재미를 제공할 예정이다.

2025.11.13 08:01남혁우

더파운더즈, 글로벌 채용 확대..."차세대 K뷰티 리더 육성"

글로벌 브랜드 빌더 기업 더파운더즈(각자대표 이선형, 이창주)가 차세대 K뷰티 리더 육성을 위한 글로벌 인재 채용을 한다고 13일 밝혔다. 더파운더즈는 자사 뷰티 브랜드 '아누아'와 더마 헤어케어 브랜드 '프롬랩스'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해 왔다. 특히, 아누아는 미국 뷰티 전문지 '뉴뷰티'가 발표한 '2025년 100대 뷰티 브랜드(2025 NB100)'에 국내 브랜드 중 유일하게 선정되며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을 높였다. 이번 채용은 단순한 인원 확충이 아닌 '인재 밀도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모집은 신입부터 주니어, 시니어급까지 폭넓게 진행되며, ▲해외 권역별 인플루언서 마케팅 ▲인허가(Regulatory Affairs, RA) ▲CEO 스태프 등 글로벌 사업 성장과 직결되는 직군 중심으로 채용이 이뤄진다. 더파운더즈는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주니어 인재를 위한 전환형 인턴십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인턴십 참가자는 브랜드 성장 전략을 직접 기획하고 검증하는 실무를 경험하며, 우수 성과자는 리더 패스트 트랙 기회를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신입·주니어 인재가 회사와 함께 성장하는 장기적 파트너십 구조를 구축하고, 체계적인 교육 및 멘토링, 성과 보상 제도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더파운더즈는 그동안 우수 인재 확보 및 육성에 꾸준히 힘써왔다. '빠른 시장 대응력', '높은 인재 밀도',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인재 경영 원칙을 바탕으로 자체 인재 성장 모델을 마련했으며, 자사가 일하는 방식인 '더 파운더즈 웨이(The Founders Way)'를 통해 조직원 개개인의 역량과 협업 능력을 극대화했다. 또한 지난 8월에는 인력 유입에 따른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해 삼성동 파르나스 타워 사옥 맞은편에 신규 사옥을 개소하는 등 장기적인 인재 양성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더파운더즈 관계자는 “이번 대규모 채용과 전환형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K뷰티 커리어를 꿈꾸는 인재들이 더파운더즈에서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외 시장에서 더파운더즈만의 브랜드 빌더식 인재 성장 모델을 확립하고, '넥스트 아누아'를 함께 만들어갈 차세대 리더 발굴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2025.11.13 07:56안희정

웹툰엔터테인먼트, 3분기 매출 8.7%↑...영업손실 206억원

네이버웹툰 미국 본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가 유료 콘텐츠와 IP 사업 확대로 올해 3분기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영화·애니메이션·OTT로 영역을 넓힌 IP 사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전체 매출을 이끌었다. 다만 적자 규모는 인력과 마케팅 투자 등으로 커졌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12일(현지시간) 올해 3분기 매출 3억7천804만 달러(약 5천236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수치로, 환율 변동을 제외한 동일 환율 기준으로는 9.1% 성장했다. 영업손실은 1천488만 달러(약 206억 원), 순손실은 1천105만 달러(약 153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와 기타수익 감소, 법인세 비용 증가 영향이다. 조정 EBITDA는 512만 달러(약 71억 원)였다. 부문별로는 유료 콘텐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IP 사업 매출이 168.7% 급증하며 전체 실적을 주도했다. 웹툰 기반 영상화 콘텐츠의 해외 진출과 흥행이 매출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자회사 스튜디오N이 제작한 영화 '좀비딸'은 2025년 개봉 한국 영화 중 최다 관람객을 기록하며 IP 사업 성장에 핵심 역할을 했다. 스튜디오 리코의 장편 애니메이션 '연의 편지'는 일본·영국 등 166개국에 선판매되며 글로벌 성과를 내고 있다. 스튜디오N이 제작한 넷플릭스 시리즈 '닭강정'은 2025 국제에미상(International Emmy Awards) 코미디 부문 후보에 올랐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과의 협력도 강화됐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워너브러더스 애니메이션(Warner Bros. Animation, WBA)과 웹툰 원작 애니메이션 공동 제작 및 배급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국어·영어 오리지널 웹툰 10편을 기반으로 글로벌 콘텐츠 제작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디즈니와의 협업도 확대하는 중이다. 8월에는 영어 서비스 내 디즈니 전용관을 개설해 마블·스타워즈 등 100여 개 작품을 세로 스크롤 웹툰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9월에는 픽사·20세기 스튜디오 등 디지털 만화 3만5천여 편을 감상할 수 있는 신규 플랫폼 구축 및 디즈니의 웹툰엔터테인먼트 지분 2% 인수 관련 조건부 합의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뉴욕 코믹콘(NYCC)에 참가해 디즈니·다크호스코믹스 기반 웹툰화 라인업을 공개하는 등 글로벌 팬덤 확장에도 나섰다. 숏폼 감상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 서비스에는 '비디오 에피소드', 한국에는 숏폼 애니메이션 UGC 서비스 '컷츠'를 각각 선보이며 이용자층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준구 웹툰 엔터테인먼트·네이버웹툰 대표는 “이번 분기에는 디즈니 협업을 비롯해 새로운 스토리텔링 포맷과 감상 경험을 제공해 플랫폼 혁신을 지속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이 주목할 만한 IP 사업을 성공적으로 선보였다”며 “웹툰이 지난 20년 간 쌓아온 성과와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2025.11.13 07:09안희정

웹툰엔터테인먼트,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과 웹툰 원작 애니메이션 개발 협력

네이버웹툰 미국 본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12일(현지시간)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Warner Bros. Animation, WBA)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글로벌 배급을 목표로 웹툰 기반 애니메이션 10편을 공동 제작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은 워너 브러더스 디스커버리 그룹 내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유통하는 스튜디오다. 이번 협력을 통해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애니메이션 파이프라인은 대폭 확장된다. 대상 웹툰은 네이버웹툰의 한국어 및 영어 플랫폼에서 연재한 웹툰 중 선정될 예정이다.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IP 비즈니스를 담당하는 웹툰 프로덕션(WEBTOON Productions)과 일본 IP 사업팀이 프로젝트를 함께 지원한다. '별을 품은 소드마스터(글 홍대의/그림 주노/원작 Q10)', '열렙전사(글/그림 김세훈)', '다운 투 어스(Down to Earth, 글/그림 Pookie Senpai)', '엘프 & 워리어(Elf & Warrior, 글 AC Stuart /그림 Victor Rosas II)' 등 한국 오리지널 웹툰 두 편과 영어 오리지널 웹툰 두 편이 프로젝트 대상 작품으로 선정됐으며, 추가 대상 작품은 향후 공개 예정이다. 김용수 네이버웹툰 최고전략책임자(CSO) 겸 글로벌 웹툰 사업 총괄은 “웹툰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오리지널 스토리텔링의 원천이 되었고 창작자들은 젠지(Gen Z) 세대가 사랑하는 이야기를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있다”며,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회사 중 하나인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과 웹툰 기반의 멋진 프로젝트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매우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김신배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 최고성장책임자(CGO)는 “네이버웹툰의 일본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에서 진행 중인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 외에 이번 협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는 애니메이션 프로젝트가 추가된다는 것이 매우 의미 있다”며, “일본에서는 글로벌 시장에 더 적합한 IP 발굴을 포함해 제작 과정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샘 레지스터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 사장 겸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및 해나-바베라 스튜디오 유럽 사장은 “워너 브러더스 애니메이션의 세계적인 수준의 예술성과 웹툰의 역동적인 스토리텔링의 결합은 특별한 결과물을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가 되며 빨리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싶다”고 말했다.

2025.11.13 07:01안희정

셀 임팩트, 에코바디스로부터 '골드 등급' 획득

칼스코가, 스웨덴 , 2025년 11월 13일 /PRNewswire/ -- 셀 임팩트(Cell Impact)가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 지난해 '실버 등급' 획득에 이은 쾌거다. EcoVadis top 5% rating for Cell Impact.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는 지속가능성 평가 기관인 에코바디스는 셀 임팩트의 지속가능한 운영 관행을 평가해 종합 점수 100점 만점에 79점을 부여했다. 이는 지난해의 72점에서 7점 개선된 결과다. 이로써 셀 임팩트는 에코바디스 평가 대상 기업 중 상위 5% 안에 진입했다. 다니엘 발린(Daniel Vallin) 셀 임팩트 CEO는 "보고 체계를 개선하고 여러 분야의 일상적 운영 및 후속 조치를 강화 덕분에 올해 평가 점수가 상승했다"면서 "목표를 세우고, 실행 여부를 추적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 결과 자연스럽게 얻은 성과"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의 플로우 플레이트(flow plate)가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만큼 에코바디스로부터 골드 등급을 획득한 것은 매우 기쁜 일"이라고 덧붙였다. 추가 문의 다니엘 발린CEO 겸 IR 담당, 셀 임팩트 AB (상장기업)+46730686620 or daniel.vallin@cellimpact.com 셀 임팩트 소개 셀 임팩트(상장사)는 연료전지 및 전기분해기 제조업체에 첨단 플로우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기존 성형 방식에 비해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이 현저히 뛰어난 고속 성형 기술인 셀 임팩트 포밍(Cell Impact Forming™)을 개발해 특허를 취득했다. 셀 임팩트 포밍은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력 소모도 극히 적은 친환경 성형 기술이다. 셀 임팩트의 주식은 나스닥 퍼스트 노스 그로스 시장(Nasdaq First North Growth Market)에 상장되어 있으며, FNCA 스웨덴(FNCA Sweden AB)은 이 회사의 공인 자문사(CA)를 맡고 있다. 사진: https://mma.prnewswire.com/media/2819968/EcoVadis_Rating.jpgPDF: https://mma.prnewswire.com/media/2819969/Cell_Impact_Pressrelease.pdf로고: https://mma.prnewswire.com/media/2816030/5615566/Cell_Impact_Logo.jpg Press release Cell Impact has been awarded gold medal by EcoVadis.

2025.11.13 03:10글로벌뉴스

샌드빅의 최신 보고서, 광업계의 기술자 인력난 해결할 절호의 기회 시사

스톡홀름 , 2025년 11월 12일 /PRNewswire/ -- 세계 광업계의 기술자 인력난이 날로 심화하고 있지만, 샌드빅(Sandvik) 엔지니어링 그룹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위기를 오히려 최고의 기회로 바꿀 수 있다. Sandvik's new installation, the eNimon, which is the first electric car ever made without metals or minerals. 광업 인재의 미래: 이공계 졸업생들의 솔직한 생각과 업계의 대응 방안(The future of mining talent: What STEM graduates really think, and what the industry can do about it)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공학도들은 광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지만, 그중 다수는 광업의 현실과 전 세계의 에너지 전환에서 광업의 역할을 제대로 알게 되면 이직을 고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개국 824명의 이공계(STEM) 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거의 40%가 광업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비슷한 비율의 응답자가 그로 인해 광업에 취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광업계의 희망적인 미래도 엿볼 수 있었다. 응답자의 90% 이상은 광업이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면 광업으로 진로를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샌드빅 사장 겸 CEO 스테판 바이딩(Stefan Widing)은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광업에 엄청난 기회가 잠재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오늘날의 광업이 단순히 채굴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화, 자동화, 전력화를 활용해 인류의 중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수 있는 분야라는 사실을 젊은 공학도들이 깨닫는다면, 광업에 투신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데 앞장서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판단하게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졸업생들이 광산업계 취업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로 높은 연봉, 첨단 기술 활용, 그리고 복잡한 공학적 난제를 지목했다. 반면에, 안전에 대한 우려와 환경 오염 이미지는 여전히 광산업계 취업을 꺼리는 주된 이유로 손꼽혔다. 2029년 무렵에 미국 광산 인력의 절반가량이 은퇴할 것으로 전망되고, 전 세계적으로 공대 입학생이 줄어드는 가운데, 이 보고서에서는 기업, 학계, 정부가 의기투합해 교육 제도를 개선하고 광업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만 인재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충고했다. 샌드빅 그룹의 비에른 악셀손(Björn Axelsson) 수석 부사장 겸 인사 총괄은 "공학도의 관점에서 봤을 때 광업 분야에는 인생을 걸고 도전해 볼만한 기회가 도사리고 있다. 오늘날의 전기화된 세상의 동력은 광물임이 분명하지만, 그 미래를 이끌어갈 주인공은 채굴 방식을 과감하게 혁신할 차세대 인재들이다. 광업 인재의 미래: 이공계 졸업생들의 솔직한 생각과 업계의 대응 방안 보고서 전문은 www.home.sandvik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샌드빅 그룹(Sandvik Group) 소개 샌드빅은 제조업, 광업, 인프라 산업의 생산성, 수익성 및 지속가능성을 향상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첨단 기술 그룹이다. 샌드빅은 디지털 기술을 선도하며, 고객의 업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샌드빅은 기계 가공, 광업, 암반 굴착, 암반 처리 분야에 세계 최고의 장비, 공구, 서비스,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한다. 2024년을 기준으로 샌드빅은 150여 개 국가에 약 4만 1000명의 직원을 두고 약 1230억 스웨덴 크로나의 매출을 달성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9746/Sandvik_1.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9747/Sandvik_2.jpg?p=medium600 A dedicated Sandvik engineer walks around the eNimon, assessing the eNimon, which highlights the critical, often unseen, reliance on robust mining infrastructure to power the EV future.

2025.11.13 01:10글로벌뉴스

로크웰 오토메이션, 산업 사이버보안 복원력 강화를 위한 SecureOT 솔루션 제품군 출시

OT 설계 플랫폼 및 보안 서비스를 통해 산업 조직은 위험을 줄이고, 가동 시간을 극대화하고, 전체 사이버보안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규정 준수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위스콘신주 밀워키, 2025년 11월 12일 /PRNewswire/ --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혁신 분야의 세계 최대 기업인 Rockwell Automation, Inc.(NYSE: ROK)는 제조업체와 핵심 인프라가 중요 운영을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포괄적인 산업 사이버보안 제품인 SecureOT™ 솔루션 제품군을 출시한다고 오늘 발표했습니다. Rockwell Automation introduces SecureOT Solution Suite to strengthen industrial cybersecurity resilience. 산업 운영이 점점 더 연결됨에 따라 조직은 운영 기술(OT)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는 사이버 위협의 급격한 증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기존 시스템 중 상당수는 사이버보안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으며, 기존 IT 도구는 복잡하고 노후화된 산업 환경을 보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ecureOT는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대 산업 운영의 현실에 맞춰 구축된 기술과 전문성을 통해 조직이 OT 인프라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ecureOT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특수 설계된 SecureOT 플랫폼과 전문 서비스 및 관리형 보안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복잡하며 노후화되고 규제가 엄격한 산업 시스템에 대해 엔드투엔드 보안을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입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서비스 담당 수석 부사장인 Matthew Fordenwalt는 "산업 운영에 대한 사이버 위협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기존 방어 체계로는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SecureOT는 단순한 브랜드가 아닙니다. 산업 조직이 사이버 보안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전략적 전환입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OT 특화 기술 및 서비스를 결합하여 고객이 위협에 앞서 대응하고 안전하게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라고 말합니다. 산업적 복잡성을 고려한 설계 SecureOT는 OT 환경의 고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사이버 보안 성숙도의 모든 단계에서 포괄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SecureOT 플랫폼은 다양한 공급업체 생태계에걸쳐 실시간 자산 가시성, 위험 우선순위 지정 및 취약성 관리를 제공합니다. SecureOT는 전문 서비스를 통해 조직이 보안 태세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 권고, 평가 및 구현 지원을 제공합니다. 관리형 보안 서비스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전용 OT 보안 운영 센터(SOC) 및 네트워크 운영 센터(NOC)로부터 24시간 연중무휴 모니터링 및 사고 대응을 제공합니다. SecureOT는 NIST CSF, NIS2 및 IEC 62443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레임워크를 준수하며, 산업 제어 시스템과 기술 스택을 보호하기 위해 벤더에 구애받지 않는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Omdia의 OT/IoT 사이버보안 수석 분석가인 Hollie Hennessy는 "산업 조직에는 OT의 현실에 맞게 구축된 사이버보안 전략이 필요합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SecureOT는 자산 가시성, 취약성 관리 및 관리형 탐지 서비스를 하나의 프레임워크로 통합하는 계층적 접근 방식으로 이러한 요구를 해결합니다. 이는 산업 사이버보안 성숙도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진전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 결과 SecureOT는 산업계 리더들이 사이버 보안 태세를 혁신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 선도적인 오일 및 가스 생산업체는 단 6개월 만에 원격 운영 전반에 걸쳐 OT 자산에 대한 완전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중요한 위험을 해결했습니다. 한 대형 음료 제조업체는 노후화된 산업용 네트워크 및 컴퓨팅 인프라를 전 세계 150개 이상의 현장에서 완전 관리형 지원 인프라로 마이그레이션했습니다. 한 에너지 회사는 경영진에게 계량적 투자 수익률(ROI)을 제공하는 동시에 NIST CSF 성숙도 점수를 두 배로 높였습니다. 한 전력 회사는 원격 변전소에 대한 안전한 실시간 가시성을 확보하여 NERC CIP 규정을 준수하고 에이전트 없는 모니터링을 통해 비용을 절감했습니다. SecureOT를 통해 산업 조직은 사이버보안 여정의 어느 단계에 있든 상관없이 위험을 자신 있게 완화하고, 가동 시간을 유지하고, 더 안전한 운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ecureO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https://www.rockwellautomation.com/en-us/capabilities/industrial-cybersecurity.html를 방문하십시오. 로크웰 오토메이션 정보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Inc., NYSE: ROK)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입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상상력과 기술 잠재력을 연결하여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더욱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24년 회계연도 말 기준으로 2만 7,000명의 전담 직원이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고객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산업 전반에 걸쳐 어떻게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려면 www.rockwellautomation.com을 방문하십시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20352/Rockwell_Automation_Secure_OT.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87262/Rockwell_Automation_Logo.jpg?p=medium600

2025.11.13 01:10글로벌뉴스

세그웨이 파워스포츠, EICMA 2025에서 'AT10 W MUD' 공개

밀라노 2025년 11월 12일 /PRNewswire/ -- 지능형 오프로드 차량 및 커넥티드 주행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혁신 기업 세그웨이 파워스포츠(Segway Powersports)가 밀라노에서 열린 EICMA 2025에서 'AT10 W MUD'를 공개했다. 이번 신형 ATV(All-Terrain Vehicle)는 진흙, 습지, 삼림 지형 등 험준한 환경을 위해 설계됐으며, 고출력 성능과 운전자 친화적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결합해 레저 라이더와 전문가 모두가 혹독한 조건에서도 더 큰 제어력과 자신감으로 더 먼 거리까지 주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AT10 W MUD는 97마력(hp)의 고성능 파워트레인을 탑재해 강력하고 즉각적인 추진력을 제공한다. 안정성을 높이는 넓은 차체 폭과 320mm의 지상고로 뿌리나 돌출부 같은 장애물을 손쉽게 넘을 수 있다. 기본 장착된 4500파운드 윈치(winch)는 예상보다 깊은 수로를 건널 때도 안정적인 탈출을 보장한다. 공기 흡입구 경로, 전기 보호 장치, 배수 조치 등을 통해 최대 1미터 깊이의 물에서도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진흙이나 고인 물에 반복적으로 침수되어도 문제없다. 또한 사용자는 교체 가능한 부품과 액세서리를 통해 연중 다양한 용도에 맞게 차량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진흙 전용 타이어와 견고한 섀시 구조는 험로에서도 안정적인 접지력과 균형을 유지한다. 겨울철에는 제설기(snowplow)를 장착할 수 있으며, 언더바디 보호판, 리어 범퍼, 적재함 등을 추가해 내구성을 높이고 빈번하거나 고강도 작업 시 적재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적화된 냉각 시스템은 장시간 주행 중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열을 줄여, 장거리 작업이나 레저 주행 시 편안함을 개선한다. AT10 W MUD를 비롯한 모든 세그웨이 파워스포츠 제품은 지능형 기술(Intelligence)을 핵심 요소로 삼고 있다. 운전자는 스마트 무빙 앱(Smart Moving App)에 연결해 내비게이션 및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오프로드 맵 가이드를 통해 주행 경로를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오디오 헤드셋 또는 헬멧 시스템 연동 등을 통해 이동 중에도 원활히 소통할 수 있다. AT10 W MUD는 다양한 사용자층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다목적 ATV다. 토지 소유자 및 임업 종사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동력 전달과 뛰어난 경로 적응성을 제공한다. 주말 오프로드 애호가들은 깊은 진흙이나 좁은 기술 구간에서도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경쟁 라이더를 위해서는 접지력과 시야 확보가 어려운 구간에서도 속도를 유지하고 균형을 잃지 않도록 정밀하게 튜닝돼 있다. 세그웨이 파워스포츠는 이번 EICMA 2025에서 AT10 W MUD 외에도 다양한 ATV, 유틸리티 및 스포츠 사이드바이사이드(UTV 및 SSV), 온로드 제품군을 함께 선보였다. 이번 전시 라인업은 고강도 프레임, 정교한 파워트레인,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EPS), 운전자 중심 소프트웨어 등 세그웨이의 기술적 강점을 반영하며, 아웃도어 스포츠 차량 분야의 기반 기술과 독창적이고 첨단적인 제품 철학을 명확히 보여준다. 세그웨이 파워스포츠 소개 세그웨이파워스포츠는 1999년 세그먼트 PT(Personal Transporter)라는 획기적인 제품으로 마이크로모빌리티 분야를 혁신하면서 개인용 이동 수단의 미래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세그웨이는 '이동을 간편하게(Simply Moving)'라는 사명에 따라, 사람과 물류의 이동 방식을 능률화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경험을 개선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세그웨이는 수십 년 동안 단거리 이동 및 소비자용 로봇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끊임없이 제시하며 혁신의 한계를 넓혀 왔다. 여러 가지 획기적인 기술로 모빌리티의 미래를 개척하면서 인간의 이동 방식을 재정립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s://powersports.segway.comhttps://powersports.segway.com/.

2025.11.13 00:10글로벌뉴스

플라즈마 전처리 및 인라인 산화물 환원, 전력 모듈 제조의 신뢰성과 수율 향상

슈타인하겐, 독일, 2025년 11월 12일 /PRNewswire/ -- 자동차, 산업,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고성능 전력 전자장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제조업체들은 더 작고 강력하며 신뢰성이 높은 모듈을 구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플라즈마 전처리와 REDOX®-Tool의 산화물 환원 기능을 결합한 기술이 전력 모듈 생산의 난제를 해결할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파워 모듈은 현대 전기화 추세 속 핵심 부품이지만 제조 과정에서 접착 불량•솔더 조인트 공극•박리•열 효율 저하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플라스마트리트의 Openair-Plasma® 전처리 기술은 깨끗하고 정밀 제어가 가능한 비습식 표면 활성화 공정을 제공하며, REDOX®-Tool은 인라인 공정에서 표면 산화물을 제거한다. 이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하면 본딩 품질을 높이고 결함률을 줄여, 모듈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차세대 전력 모듈 개발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REDOX®-Tool의 인라인 산화물 환원 기술을 결합하면 제조사는 오염 물질이 없는 고활성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딩 강도와 열 성능이 향상되고, 현장 고장률은 눈에 띄게 감소한다. 플라즈마 전처리와 REDOX®-Tool 통합의 기술적 이점 미세 세정 및 산화물 환원: 유기 잔류물과 금속 산화물을 제거해 솔더의 습윤성과 접합 강도를 향상시킨다. 표면 활성화: 표면 에너지를 높여 와이어 본드, 다이 부착 재료, 캡슐화제의 접착력을 강화한다. 플럭스 프리 공정: 화학 프라이머와 플럭스 사용을 최소화해 오염 위험을 낮추고 생산 공정을 단순화한다. 인라인 통합: 자동화 생산 라인과 호환되며, 실시간 공정 제어를 통해 일관되고 재현 가능한 처리를 구현한다. 향상된 열 접합면: 공극이 없는 접합면을 형성하고 열전도율을 높여, 모듈 내 핫스팟을 줄이며 전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수율 및 신뢰성 향상: 이러한 복합 기술을 적용한 제조업체들은 생산 수율이 최대 40% 향상되고, 솔더 접합부 열화나 코팅 박리로 인한 현장 고장률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했다. 응용 분야 이러한 접근 방식은 특히 다음 분야에서 효과적이다. 리드프레임 세정, 와이어 본딩, 캡슐화, 코팅 등 모듈 조립 공정 단계 열 사이클링과 진동 스트레스가 큰 고전류 자동차 인버터, 온보드 충전기, 산업용 전력 모듈 분야 높은 처리량, 낮은 불량률, 우수한 장치 신뢰성을 추구하는 반도체 팹 및 1차 협력 공급업체 플라스마트리트는 자동차부터 전자 산업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 처리 기술의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플라즈마 혁신 기술은 반도체 및 전력 전자 제조 분야의 주요 글로벌 기업이 인정하는 기술로, 본딩 신뢰성을 높이고 오염을 줄이며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되고 있다. 플라즈마 응용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프로덕트로니카 A2관 445번 부스와 세미콘 유로파 B1관 136번 부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www.plasmatreat.com

2025.11.13 00:10글로벌뉴스

세나테크놀로지, 서비스 로봇 사업 출사표

무선통신 솔루션 전문기업 세나테크놀로지는 최근 '2025 로보월드'에서 첫 로봇 신사업 제품인 개인용 자율주행 골프 트롤리 '드론캐디 로버'를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드론캐디 로버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디자인 등 세나의 핵심 역량을 로봇 캐디 분야에 접목한 제품이다. 골프를 운동으로 즐기는 북미와 유럽 시장을 핵심 목표로 삼았다. 제품은 ▲자동 추종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첨단 자율주행 ▲초고화질 4K 카메라 ▲원터치 자동 접이식 폴딩 시스템 기능 등을 갖췄다. 첨단 비전 AI 인식 기술과 UWB 초정밀 위치 센서를 결합해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한다. 4K 카메라를 통해 라운딩 중 샷과 스윙 장면을 초고화질로 녹화할 수 있다. 간편한 접이식 구조로 원터치 조작만으로 손쉽게 접고 펼 수 있어 차량 트렁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세나는 이번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로봇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로봇 연구소'를 신설하고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다. 황재철 세나 로봇연구소장은 "골프 트롤리를 시작으로 향후 물류·수중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 로봇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나테크놀로지는 오는 14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공모가는 5만6천800원 상단을 확정했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약 3천168억원이다.

2025.11.12 23:24신영빈

풀리오, 사랑의 열매와 '착한소비' 캠페인 업무협약

홈케어 브랜드 풀리오는 연말을 맞아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 열매)와 함께 '착한소비 캠페인'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풀리오는 오는 12월 8일부터 31일까지 '홀리데이 패키지'를 판매하고 판매 수량 1개당 1만원을 서울 사랑의열매에 기부한다. 홀리데이 패키지는 풀리오의 베스트셀러 제품인 '목 어깨 마사지기 V3'와 '홀리데이 슬리핑 삭스'로 구성된다. 풀리오 공식에서 한정 판매할 예정이다. 풀리오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단순한 소비를 넘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부와 나눔에 참여할 수 있는 '착한소비'의 의미를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용철 풀리오 사업본부 사장은 "좋은 제품을 통해 나눔의 가치를 함께 전할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휴식과 사회의 따뜻한 변화를 동시에 만들어가는 책임 있는 브랜드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2025.11.12 23:17신영빈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LG·벤츠, AI 전장·배터리서 '빅딜' 기대…"폭넓은 협의 나눴다"

BTS·도경수·정우성까지…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3편 선보인다

최신 밈부터 직원 꿀팁까지…GS25 '더블 100만' 팔로워 성공기

삼성전자, 사업지원실 내 M&A 신설…추가 '빅딜' 속도 내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