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월 분리막 시장 40% 성장했지만…중국 쏠림 심화
분리막 시장도 빠르게 커지고 있지만, 경쟁의 무게중심은 단순 증설에서 기술과 공급망 설계로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 세계에 등록된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분리막 총 적재량은 약 124억8천700만㎡으로, 전년 대비 43.3% 성장했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37억800만㎡를 기록하며 33.6% 성장해, 비교적 안정적인 확장 흐름을 유지했다. 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면서도 리튬이온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소재로,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기차 시장 확대와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분리막 시장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1~9월 글로벌 분리막 시장에서는 주요 공급업체들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특히 셈코프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37만5천100만㎡를 기록하며 시장 내 우위를 이어갔으며, 시니어(+34%), 시노마(+27%), 겔렉(+40%) 등 중국계 주요 업체들의 강세가 지속되었다. 한편, 한국의 SKIET는 전년 대비 54% 증가한 3억3천700만㎡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국적별 점유율을 보면 중국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며 독주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 4분기 이후 일본과 한국 기업의 점유율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 3분기 기준 점유율은 일본 8.0%, 한국 4.1%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면서 글로벌 분리막 시장에서 중국과 비(非)중국 진영 간 경쟁 구도는 더욱 뚜렷해지는 분위기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분리막 시장은 고성능 배터리 기술 확산과 지역별 조달 전략 변화 속에서 기술 고도화와 생산 체계 다변화가 동시에 요구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 고출력·고에너지밀도 셀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분리막에는 높은 열 안정성, 정밀한 두께 제어, 이온 전도성 간 균형이 핵심 기술 요소로 자리 잡았고, 글로벌 업체들은 세라믹 코팅 등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가 배터리 소재·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 확대 가능성을 잇달아 시사하고 있어, 북미에서는 분리막 현지 생산과 공급망 안정성이 과거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다. 유럽연합(EU) 배터리 규정은 공급망 전반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실사 의무를 부과했다. 이 규정은 투명한 조달과 친환경 공정 관리가 이제 제품 성능과 함께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가 됐음을 보여준다고 SNE리서치는 분석했다. 다만 본격적인 집행 시점은 2027년으로 미뤄져 기업들이 선제 대응 전략을 마련할 시간을 확보한 상태다. SEN리서치는 "분리막 시장은 기술 요구 수준의 상향, 지역별 생산·조달 전략의 구체화, 지속가능성 기준 강화라는 흐름 속에서, 단순 증설 경쟁을 넘어 제품 완성도와 공급망 설계 역량을 중심으로 경쟁 구도가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