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AI페스타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ai 联网搜索,ai智能生图网站,数画ai绘画网站,ai分离人声网站,阿水ai 网址,等欢迎访问豌豆Ai站群搜索引擎系统官方网站:www.wd.chat'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461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스탠다드에너지,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 저전력 데이터센터 모델 개발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문 스타트업 스탠다드에너지는 AI 데이터센터에 특화된 에너지 솔루션 공동 개발과 사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사는 고효율·저전력 AI 반도체와, 발화 위험성 없이 고출력이 가능한 바나듐이온 배터리(VIB)를 활용한 ESS로 AI 데이터센터 차세대 전력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리벨리온의 '아톰' 칩이 탑재된 NPU AI 서버랙과 스탠다드에너지의 VIB ESS를 전력망과 연동한 시스템을 구성해 기술과 안정성, 안전성을 검증해왔다. 데이터센터에는 정전에 대비한 무정전전원장치(UPS)가 설치된다. VIB ESS는 0.003초(3ms) 이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도 확인했다. 데이터센터에 설치된 기존 배터리는 화재 사고로 인해 확대가 어려웠으나 VIB ESS는 물 기반 전해액을 사용해 화재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 실내와 도심, 위험 시설 등에 설치될 정도로 안전하다는 설명이다. 리벨리온의 저전력 AI 반도체와 VIB ESS를 함께 사용해 AI 인프라의 피크 전력을 줄이고, 전력 요금 시간차를 반영한 운영 효율화로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사는 이번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의 국내외 실증과 전력 시스템 표준 마련도 추진한다. 공동 개발한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의 공동 브랜드 출시 및 사업화, 기술과 인적자원 교류로 글로벌 AI 프로젝트 공동 진출도 준비한다.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는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AI 시대가 본격화하지 않는 것은 에너지 절약이 필요한 기후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AI 산업에 충분하고 안정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협력은 에너지 절감을 깊이 연구해 온 우리나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글로벌 AI 전력 인프라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과제는 전력 효율성”이라며, “국가 AI 전력 인프라 경쟁력 강화는 소버린 AI의 핵심 과제인만큼, 스탠다드에너지와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AI 데이터센터 전력 모델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6.18 09:16김윤희

SK AX, AWS 글로벌 인증 2관왕…AI 혁신 리더 부상

SK AX(대표 윤풍영)가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서 인공지능(AI) 기반 클라우드 전환 역량을 인정받으며 클라우드 중심의 인공지능 전환(AX) 리더십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 AX는 아마존웹서비스(AWS)로부터 'AWS 원올라(OneOLA)' 자격을 획득하고 동시에 'AWS 앰배서더'를 배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SK AX가 AI 기반 클라우드 운영 혁신을 선도하는 전문 기업으로서 기술력과 글로벌 클라우드 생태계 내 신뢰를 동시에 입증한 결과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AWS 앰배서더는 SK AX에 소속된 기술 인재로 고급 기술 역량은 물론 AWS 글로벌 커뮤니티 내에서의 지식 공유 및 기술 확산 활동까지 인정받아 그 의미가 크다. 원올라는 AWS가 파트너의 클라우드 이전 기술력과 운영 최적화 역량을 고객 환경 기준으로 평가해 수여하는 인증이다. 단순한 인프라 이전 기술을 넘어 IT 자산 분석,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구조 개선, 비용 최적화 컨설팅 등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 전략 수립 역량까지 포함한 종합 평가 결과로 주어진다. SK AX는 이 인증을 통해 AWS가 요구하는 '글로벌 표준 클라우드 진단 체계'를 보유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SK AX는 향후 고객의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라이선스 최적화와 비용 절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SK AX는 자사의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엠씨엠피(MCMP)'에 AI 기술을 접목해 클라우드 운영 구조의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운영 업무의 최대 50%를 AI 기반 자동화로 전환하고, 구성원은 전략 수립 및 혁신 중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운영 체계를 전면 재설계하고 있다. 최근 선보인 'AI 파워드 클라우드(AI Powered Cloud)'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보안 감시 등 운영 전반에 AI를 접목해 고객의 IT 환경을 보다 지능적이고 경제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AWS의 고도화된 분석 도구와 SK AX의 AI 자동화 기술을 결합해, 비용 누수나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하고 선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운영 체계를 구현했다. SK AX 김용신 클라우드사업본부장은 "이번 앰배서더 배출과 OneOLA 자격 획득은 단순한 기술 인증을 넘어 SK AX가 'AX를 가장 잘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신뢰와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AI 기반 클라우드 혁신을 지속 고도화해, 고객의 AX 여정을 선도하는 가장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2025.06.18 09:10남혁우

ETRI·대구시·DGIST "AI 상수도 관제 실증, 경북 군위로 확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센소리움연구소와 디지털트윈 기반 인공지능(AI) 상수도 관제시스템을 농촌에 적용하는 실증 사업에 나섰다고 1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이들은 지난 달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관망 관제 기술 실증 및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단계 상수관망 관제 기술 실증 및 확산 사업은 농촌지역인 대구인근 군위군까지 확대한다. ETRI 대경권본부 김광주 AI인프라연구실장은 "내년 12월 말까지 사업을 하기로 협약했다"며 "도시와 다른 농촌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상수관망 관제 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확장성과 실효성 검증이 목표다. ETRI 대경권연구본부는 1단계 실증연구를 통해 대구광역시 북구 지역에 디지털트윈 기반 상수도 관제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누수 탐지 ▲수질 이상 감지 ▲상수관망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갖췄다. 특히,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경보를 제공한다. DGIST 센소리움연구소는 특히, 2단계 사업에서 물 관련 센서 및 로봇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현장 실증 연계를 지원한다. 향후 스마트도시 인프라 관련 공동 연구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ETRI 변우진 대경권연구본부장은 “이는 단순한 시스템 고도화를 넘어, 도시 인프라 운영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 전환"이라고 말했다. ETRI는 앞으로도 관망 시뮬레이션 고도화, AI 알고리즘 정밀화 등을 통해 기술 완성도를 지속 높여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스마트 상수도 모델 전국 지자체 확산과 정책화 기반 마련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2025.06.18 09:06박희범

삼성전자, 하반기 반도체 전략 수립 착수…HBM·美 투자 돌파구 '절실'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반도체 사업 전략 구상에 착수한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메모리·시스템반도체 분야 전반에서 고전을 겪고 있는 상황으로, 특히 차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상용화에 따라 성패가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미국의 반도체 수출 관세 및 보조금 정책 향방도 삼성전자에게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 주재로 글로벌 전략회의를 진행한다. 매년 6·12월 개최되는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는 각 사업 부문의 상반기 실적 공유 및 하반기 사업 전략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미중 패권 전쟁, 중동 전쟁 등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날로 높아지는 만큼,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집중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반도체 사업의 부진을 타개할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크게 D램과 낸드를 양산하는 메모리반도체, 파운드리, 시스템LSI 등 3개 축으로 나뉘어져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3개 사업부 모두 위기를 맞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메모리 사업, 1c D램 및 HBM4 상용화에 성패 삼성전자의 올 하반기 메모리반도체 사업 성패는 HBM(고대역폭메모리)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적층해 데이터 처리 성능을 크게 끌어올린 차세대 메모리다. AI 데이터센터에서 수요가 빠르게 급증해 왔으나,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HBM3E(5세대 HBM) 8단·12단 제품을 핵심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데 실패한 바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HBM3E에 탑재되는 1a(4세대 10나노급) D램을 재설계해 엔비디아향 공급을 재추진하고 있다. 당초 공급 목표 시기는 6~7월경이었으나, 현재 업계는 양산을 확정짓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HBM4(6세대 HBM)와 1c(6세대 10나노급) D램도 주요 안건에 오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경쟁사 대비 한 세대 앞선 1c D램을 HBM4에 탑재해, 올 연말까지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초부터 평택캠퍼스에 1c D램용 양산 라인 구축을 시작했으며, 1c D램의 수율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 3분기께 1c D램의 양산 승인(PRA)을 무리없이 받아낼 것이라는 게 삼성전자 내부의 분위기다. 물론 PRA 이후에도 대량 양산을 위한 과제가 별도로 남아있는 만큼, 낙관은 금물이라는 게 업계 전언이다. TSMC와 벌어지는 격차…2나노 적기 양산 시급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3나노미터(nm) 이하의 초미세 공정에서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글로벌 빅테크를 고객사로 유치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업계 1위 대만 TSMC와의 격차가 지속 확대되는 추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1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7.7%로 전분기 8.1% 대비 0.4%p 하락했다. 같은 기간 TSMC는 67.1%에서 67.6%로 0.5%p 늘었다. 이르면 올 하반기 양산에 돌입하는 2나노 공정 역시 TSMC가 한 발 앞서있다는 평가다. 최소 60%대의 안정적인 수율을 기반으로, 대만 내 공장 두 곳에서 양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삼성전자도 복수의 잠재 고객사와 2나노 공정에 대한 양산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지난해 일본 AI반도체 팹리스인 PFN(Preferred Networks)의 2나노 칩 양산을 수주한 데 이어, 최근에는 퀄컴·테슬라에도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자체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인 '엑시노스 2600'는 내년 '갤럭시S26' 시리즈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회사는 1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 하반기에는 2나노 모바일향 제품을 양산해 신규로 출하할 예정"이라며 "성공적인 양산을 통해 주요 고객으로부터 수요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복잡해지는 미국 투자 셈법…파운드리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신규 파운드리 팹도 면밀한 대응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해당 지역에 총 370억(약 50조원) 달러를 들여 2나노 등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짓기로 했다. 첫 번째 공장은 현재 공사가 대부분 마무리됐다. 올 2분기에도 협력사에 클린룸 마감 공사를 의뢰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미국 정부도 칩스법에 따라 지난해 말 삼성전자에 47억4천5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칩스법의 혜택을 받는 기업들이 자국 내 투자를 더 확대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실제로 TSMC는 향후 4년 간 미국에 최소 1천억 달러(약 146조원)를, 마이크론은 기존 대비 투자 규모를 300억 달러(약 41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로서도 투자 확대 압박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테일러 파운드리 팹에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하기 어렵다. 고객사의 중장기적 수요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생산능력을 확장하면 막대한 투자비 및 운영비를 떠안아야 되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전자가 첫 번째 테일러 파운드리 팹에 제조설비 반입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도 같은 연유에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 오스틴 팹의 가동률도 저조한 상황에서, 테일러 팹에 설비를 도입하고 가동하는 순간 바로 수익성에 타격이 올 수밖에 없다"며 "삼성전자가 미국 내 투자 전략에 상당히 고심하고 있는 이유"라고 말했다.

2025.06.18 09:01장경윤

"피지컬AI, 범용로봇 'GPT 모멘트' 실현 중"

"휴머노이드가 스마트 물류를 이루는 게 생각보다 더 빠를 겁니다. 복잡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뇌를 현장 작업 데이터로 학습시키고 있습니다." 손동신 LG CNS 스마트물류센터 전문위원은 17일 서울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열린 오토스토어 아레나 코리아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동향을 소개했다. 손 위원은 로봇이 정해진 분야에서만 일하던 1~2세대 로봇에서 배운 것만 알아서 하는 3세대 로봇으로 변화하고 있고, 나아가 생각해서 알아서 일하는 4세대 로봇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기서 4세대 로봇이란 범용 지능을 갖춘 휴머노이드를 말한다. 특히 챗GPT가 일반 지능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처럼, 피지컬 AI가 범용 로봇의 'GPT 모멘트'를 실현하고 있다고 손 위원은 분석했다. 손 위원은 휴머노이드 구성이 단순해지고 있고, 로보틱스 파운데이션 모델(RFM)과 학습 환경이 기술의 핵심 요소가 됐다고 전했다. 상용 휴머노이드 하드웨어에 로봇 지능을 탑재하는 일이 벌어지면서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는 점도 언급했다. 휴머노이드 하드웨어(HW)를 만드는 업체뿐만 아니라 ▲센서 HW ▲로봇 지능 소프트웨어(SW) ▲로봇 시뮬레이션 SW ▲엔지니어링과 데이터 캡처 SW 등 각 분야 전문 업체가 등장했다. 손 위원은 "휴머노이드 생태계를 활용해서 우리가 먼저 서비스를 만들고 실제 적용 사례를 만들어볼 수 있을 것"이라며 "하드웨어 완성도가 높아지길 기다리기보다 두뇌에 고민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학습 방안을 방대한 데이터로 학습하는 '프리트레인'과 직무교육(OJT)인 '파인튜닝'으로 구분했다. 이 가운데 특히 파인튜닝을 잘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브레인을 구해서 현장 데이터를 갖고 학습을 시켜야 한다는 설명이다. 데이터를 습득하는 일도 중요해졌다. 손 위원은 원격 조작 방식으로 휴머노이드를 훈련시키는 과정을 소개했다. 양손을 활용해 물체를 집고 옮기는 등 시도를 통해 로봇 지능을 고도화시키고 있었다. 손 위원은 "원격 조작으로 그대로 정교한 작업을 하려면 더욱 개발이 필요하겠지만, 당장 현장에 사람이 하던 일에 사람의 폼팩터로 투입할 수 있어 중국과 미국 등 여러 업체들이 이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투자대비 효과가 큰 고강도 작업과 유해환경 작업에 우선 적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단순반복 작업에서도 유의미한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25.06.18 08:57신영빈

아마존 CEO "AI가 인력 줄인다"

아마존 CEO 앤디 재시가 앞으로 몇 년 안에 회사의 전체 인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더 많은 업무를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재시 CEO는 화요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생성형 AI와 AI 기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업무 수행 방식을 바꿀 것이라며, 이 신기술이 직장을 어떻게 바꾸게 될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공유했다. 그는 현재 사람들이 맡고 있는 몇몇 업무에서는 인력이 줄어들 것이고, 반면 다른 종류의 업무에서는 인력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향후 몇 년간 AI를 회사 전반에 광범위하게 도입함으로써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전체 본사 인력은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외신은 AI가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는 AI 붐이 시작된 초기부터 업계 안팎에서 제기돼 왔으며, 최근엔 코드 작성이나 온라인 업무 수행까지 가능한 고도화된 AI 시스템이 속속 등장하면서 이런 우려가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캐나다의 전자상거래 기업 쇼피파이는 신규 인력을 요청할 경우 왜 AI가 할 수 없는지를 설명해야 한다고 공지했고, 미국의 온라인 언어학습 플랫폼 기업 듀오링고는 AI로 대체 가능한 업무에 대해 외주 계약을 점차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최근 구조조정을 단행했고, 그 대상은 대부분 소프트웨어 개발자였다. 오픈AI의 경쟁사 앤트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최근 AI가 향후 5년 내에 초급 사무직의 절반을 없앨 수 있다고 경고하며, 실업률이 최대 20%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아마존은 물류 및 본사 직무 전반에 걸쳐 자동화를 우선시해 왔고, 현재 AI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재시는 알렉사 플러스(Alexa+), 쇼핑 도우미, AWS(아마존 웹서비스)의 개발자 및 기업용 도구 등을 포함한 자사의 AI 프로젝트들을 나열하며 AI 중심 전략을 강조했다. 현재 아마존 내부에서는 재고 배치, 고객 응대, 상품 등록 등에 AI 도구가 활용되고 있다. 재시는 직원들에게 가능한 한 AI를 실험해보라고 권장했다. 아마존은 현재 미국 내 민간 고용주 중 월마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3월 말 기준 직원 수는 약 156만 명이며, 이 중 35만 명은 본사에서 일하고 나머지는 물류 창고에서 포장과 배송을 담당한다.

2025.06.18 08:55류승현

AI 시대 엇갈린 프로그래밍 인기, 파이썬 뜨고 SQL 내려간다

인공지능(AI)의 부상과 함께 프로그래밍 언어의 인기 순위도 변화하고 있다. AI 시대에 최적화된 파이썬은 독보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오랜 기간 데이터베이스 언어의 표준으로 군림해온 SQL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18일 소스코드 품질 평가 기업 티오베(TIOBE)는 프로그래밍 언어 인기 지수인 6월 티오베 인덱스(TIOBE Index)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파이썬은 25.87%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 특히 10.68%을 기록한 2위 C++와의 격차가 15% 이상 벌어졌다. 티오베 인덱스 집계 역사상 가장 큰 차이다. 파이썬은 간결한 문법과 풍부한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웹 개발, 자동화, 통계 분석은 물론 최근 각광받는 생성형 AI,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오픈AI의 GPT, 구글의 텐서플로, 메타의 파이토치 등 주요 AI 프레임워크들이 파이썬을 인터페이스 언어로 채택하고 있어 AI 개발에서는 사실상 필수 언어로 자리잡고 있다. 반면 SQL은 이번 순위에서 12위로 밀려나며 역대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위권을 지켜왔던 SQL의 하락에는 데이터 환경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SQL은 고정된 테이블 구조를 기반으로 한 정형 데이터 중심의 환경에서는 강력한 도구로 평가 받았다. 하지만 최근 이미지, 음성, 자연어 등 비정형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NoSQL 기반 시스템이 더 적합해지고 있다. 몽고DB, 레디스, 카산드라 같은 NoSQL 기술은 비정형 데이터를 유연하게 다룰 수 있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SQL의 활용 분야가 축소되며 자연스럽게 순위에서도 밀려난다는 분석이다. 레거시 언어의 부활도 눈에 띈다. 에이다(Ada)는 25위에서 11위, 펄(Perl)은 27위에서 13위로 각각 큰 폭의 상승을 보였으며, R 역시 14위에 올랐다. 포트란과 코볼도 각각 10위, 20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변화는 항공우주, 금융, 제조업 등에서 수십 년간 운영돼 온 기존 시스템의 유지보수 수요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레거시 코드를 해석하고 연계할 수 있는 신규 인력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챗GPT,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 등 AI 기반 개발 도구가 실무에서 점차 비중을 확대하면서 자동화에 종속되지 않는 수작업 기반 언어에 대한 관심도 다시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폴 얀센 티오베 소프트웨어 CEO는 "SQL은 티오베 인덱스가 시작된 2001년부터 항상 주목받아온 언어였고, 여러 논란 속에서도 높은 인기를 유지해왔다"며 "그러나 비정형 데이터 중심의 AI가 급성장하면서 이제는 AI 친화적인 언어가 인기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6.18 08:43남혁우

첫 무대 선 허조그 AWS CISO "AI 보안 제품, 기능 통합·자동화 핵심"

[필라델피아(미국)=김미정 기자]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사이버 공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고객은 기존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보안 솔루션을 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이에 맞춰 솔루션을 업데이트했습니다. 산재된 보안 기능을 한데 통합하고, 자동화한 것이 핵심입니다." 에이미 허조그 AWS 부사장 겸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는 18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연례 보안 행사 'AWS 리인포스 2025' 기조연설에서 AI 시대 보안 솔루션 강화 전략을 이같이 제시했다. 그는 솔루션 기능을 통합하고 자동화해야 보안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보안 운영 복잡성을 낮추고 기업 방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허조그 부사장은 이달 초 AWS 부사장 겸 CISO로 선임됐다. 이에 AWS 보안 컨퍼런스 기조연설자로 처음 나선 셈이다. 그는 2023년부터 올해 5월까지 아마존에서 광고 및 디바이스 부문 CISO로 근무했다. 아마존 알렉사 등 소비자 기술, 차세대 인터넷 인프라 보안 업무를 담당했다. 이날 AWS는 신규 보안 기능을 공개했다. AI 시대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보안·자동화에 초점 맞췄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보안 운영 부담을 줄이고 실질적인 위협에 더 많은 대응 자원을 집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허조그 CISO는 신규 기능 중 네 가지 기능을 집중 조명했다. 그는 'AWS 시큐리티 허브'를 비롯한 'AWS 쉴드' '아마존 가드듀티' 업데이트 내용을 공유했다. "시큐리티 허브, 가장 급한 불부터 꺼" AWS는 시큐리티 허브 업데이트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새 버전은 보안 탐지 결과 간 상관 분석을 비롯한 문맥 기반 분류, 시각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기업은 사이버 위협 식별부터 대응까지 전 과정을 한 플랫폼에서 수행할 수 있다. 시큐리티 허브는 클라우드 위협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보안 지휘 센터'다. 고객 위협 탐지와 대응 우선순위를 체계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기존처럼 여러 보안 툴에서 정보를 따로 모을 필요 없이 한 인터페이스에서 전체 보안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시큐리티 허브 새 버전은 요약 대시보드를 통해 보안 상태를 범주별로 정리해 보여준다. 노출과 위협, 취약점, 상태 관리, 민감 정보 항목별로 탐지 결과가 표시돼 우선 대응 대상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노출 요약 위젯 기능은 보안 자원 간 관계 분석과 보안 신호 기반으로 위험도를 평가한다. 신원 및 접근 관리(IAM) 권한 설정부터 네트워크 접근 경로까지 공격 경로를 시각화해 대응 지점을 명확히 알린다. 새 시큐리티 허브는 보안 커버리지 위젯을 통해 누락된 보안 영역까지 찾아준다. 기업은 조직 내 어떤 계정과 기능이 보안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어 관리 공백을 줄일 수 있다. 허조그 CISO는 "사용자는 위험 수준 높은 순서대로 탐지 결과를 열람할 수 있다"며 "자원 유형별 필터링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자원을 선택하면 콘솔 내에서 바로 구성 정보와 보안 영향을 받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며 "사이버 위협 파악과 보안 관리 업무를 획기적으로 덜어준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시큐리티 허브는 서드파티 솔루션 연동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맞춤형 보안 솔루션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허조그 CISO는 "보안 탐지 결과를 단일 플랫폼에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통합 보안 체계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새로운 시큐리티 허브는 가장 시급한 리스크부터 우선 조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 AWS 쉴드에 나타난 'AI 보안관', 서비스 24시간 감시 AWS는 네트워트 보안 서비스인 AWS 쉴드에 신규 기능 '네트워크 시큐리티 디렉터' 프리뷰 버전을 추가했다. AWS 쉴드는 디도스(DDoS)나 SQL 인젝션 공격 대비를 위해 네트워크 보안 설정을 미리 점검하는 솔루션이다. 문제가 되는 부분을 자동 탐지해 대시보드에 표시한다. 여기에 생성형 AI 도우미 '아마존 Q'를 통합하면 복잡한 보안 설정 없이도 간단한 대화로 해결 방안을 준다. AWS 쉴드의 네트워크 시큐리티 디렉터는 자산 탐색, 보안 설정 분석, 위협 수준 기반 우선순위 지정, 대응 권고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보호 대상이 되는 리소스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보안 취약점에 대한 단계별 조치 방안을 안내한다. 시큐리티 디렉터 분석 대상은 VPC와 보안 그룹, ACL, WAF 등 AWS 주요 보안 서비스 구성 상태 전반이다. 서비스는 포트·프로토콜·IP 기반 접근 제어부터 인터넷 기반 공격 대응까지 다양한 보안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분석 결과는 AWS 콘솔에서 확인 가능하다. 해당 기능은 개발자용 AI 챗봇 '아마존 Q 디벨로퍼'와도 연동 가능하다. 사용자 질문에 자연어로 답변을 제공하며, 보안 상태에 맞는 구성 권고도 챗봇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하조그 CISO는 "이 기능은 보안 담당자의 수작업 분석 부담을 줄이고 조직 네트워크 가시성과 방어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자동 도식화하고, 리소스별 취약점을 위협 수준에 따라 분류해 조치를 유도한다"고 강조했다. 아마존 가드듀티, 쿠버네티스 앱 보호…IAM 기능 확대 AWS는 아마존 가드듀티도 업데이트했다. 이를 통해 쿠버네티스 기반 애플리케이션 보안 탐지를 강화했다. 새 기능은 여러 단계로 구성된 정교한 공격도 실시간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실행 중인 시스템의 행위 정보, EKS 감사 로그, AWS 활동 기록 등을 종합 분석하는 구조도 갖췄다. AWS는 'IAM 액세스 애널라이저'에 내부 접근 분석 기능을 추가했다. 이를 통해 기업 보안팀은 조직 내 사용자와 역할이 S3, 다이나모DB, RDS 등 주요 리소스에 어떤 접근 권한을 갖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기능은 서비스 제어 정책(SCP), 리소스 정책(RCP), 아이덴티티 기반 정책을 자동 추론 방식으로 통합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대시보드로 시각화된다. 퍼블릭 접근·외부 접근·내부 접근으로 분류돼 보안 상황을 기존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허조그 CISO는 "이 기능은 특히 금융·의료 등 규제가 강한 산업에서 수작업 권한 검토를 대체할 것"이라며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벤트브리지를 통해 이상 접근 시 알림을 자동 수신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AWS는 전 계정 루트 사용자에 대해 다중 인증(MFA)을 의무화했다. 이를 통해 계정 탈취 위험을 줄이고 전반적인 클라우드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허조그 CISO는 "기업이 보안 관리 사각지대를 줄이고, 규제 대응과 감사 준비까지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솔루션이 실질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5.06.18 08:38김미정

에이블리, 월 사용자 1천만 명 돌파…"자주 찾고 오래 머물러”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 스타일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가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천만 명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회사는 하루 2천만 회 이상의 접속을 기록하는 등 가장 자주 방문하고, 오래 머무르는 버티컬 커머스 1위 플랫폼으로 업계 선두 자리를 공고히 했다는 입장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하 와이즈앱)에 따르면 5월 에이블리 사용자 수는 1천5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연령별 사용자 분석 결과, 10대부터 50대까지 전 연령대에서 국내 주요 버티컬 커머스 중 가장 많은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 2030 여성(만 20세 이상 39세 이하) 사용자 수는 461만 명으로 대한민국 2030 여성 인구(597만 명)의 80%가량이 에이블리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방문을 넘어, 실행 횟수와 사용 시간 등 핵심 사용성 지표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했다. 5월 에이블리 앱 실행 횟수는 약 6억6천만 회로, 매일 2천만 번 이상 접속한다는 의미다. 앱 사용 몰입도를 나타내는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 역시 1시간 1분으로 가장 높았다. 에이블리는 패션을 넘어 비 패션(뷰티, 디지털, 라이프, 푸드 등 패션 외 영역) 카테고리와 교차 추천이 가능한 고도화된 'AI(인공지능) 개인화 추천 기술'을 성과 원동력으로 분석했다. 동일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위주였던 통상적인 이커머스의 추천 서비스와 달리, 에이블리는 출시 초기부터 고객 취향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인의 스타일에 맞는 상품을 제안하는 AI 추천 기술을 직접 개발하고 적용해 왔다. 패션을 시작으로 카테고리를 넓히며 추천 기술을 확대한 결과, '의류와 화장품', '화장품과 간식' 등 각 분야를 넘나드는 정교한 취향 추천 서비스가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 '웹툰·웹소설', 'AI 채팅', 'AI 프로필', '커뮤니티' 등 사용자가 보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확대한 점도 주효했다. 상품 탐색 및 구매 목적으로 방문한 고객이 자연스럽게 콘텐츠를 접하며 충성도를 쌓고, 이는 곧 쇼핑만큼 강력한 앱 방문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강석훈 에이블리 대표는 "창업 초기부터 데이터를 핵심 자산으로 보고, AI 개인화 추천 기술을 비롯한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온 것이 1천만 명 사용자의 선택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커머스와 콘텐츠 전반에서 고객이 가장 오래, 자주 머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6.18 08:35백봉삼

"우리 기업도 털렸나"…태평양,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新조직으로 선제 대응 나섰다

최근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위협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법무법인 태평양이 전문팀을 구성해 선제 대응에 나선다. 태평양 미래금융전략센터는 이달 초 '정보보호 전략컨설팅팀'을 신설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업들의 정보보호 정책 정비, 정보보안 리스크 분석 및 대응체계 구축, 정보보안 교육 지원 등 보안 거버넌스 구축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번에 신설된 정보보호 태평양 전략컨설팅팀은 기업의 전방위적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업무 분야는 ▲정보보호 정책 정비 및 거버넌스 구축 ▲사이버 보안 위협 분석 및 리스크 평가 ▲정보보안 대응체계 설계 및 구축 ▲개인정보 유출 사고 대응 및 신고 절차 수립 ▲임직원 정보보안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지원 ▲정보보안 관련 내부 감사 및 점검 체계 구축 ▲클라우드 보안 및 원격근무 보안 정책 수립 ▲서드파티(Third-party) 업체 보안 관리 및 평가 체계 구축 ▲전자금융거래법·신용정보법·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 컴플라이언스 체계 마련 등이다. 최근 발생한 사이버보안 사고를 계기로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보안을 관리하고 강화하는 체계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태평양 정보보호 전략컨설팅팀은 ▲현재 회사의 IT 정보보호∙보안 체계 진단 ▲관련 법령에 따른 보안 필요사항 식별 ▲IT 대응 체계 보고서 작성 지원 ▲담당직원 교육 등 IT컴플라이언스를 위한 통합 서비스를 구성했다. 특히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 외부 전문 보안회사와 기술적인 협업도 지원한다. 태평양 정보보호 전략컨설팅팀은 미래금융전략센터의 최고 실력의 전문가들과 연계해 운영된다. AI 및 개인정보보호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윤주호 변호사가 팀을 이끈다. 주요 구성원으로는 ▲전자금융 전문가 김영모 외국변호사(미국 뉴욕주) ▲금융기관 검사 및 규제당국 대응 경험이 풍부한 노미은·임세영·김현정 변호사 ▲금융감독원 및 금융위원회 출신 박영주·최지혜·조광현 변호사 ▲AI 및 개인정보보호 전문가 윤주호·상지영 변호사 ▲금융규제와 컴플라이언스 체계구축 전문가 김지이나 변호사 ▲IT 및 보안 분야 김남수·여돈구 전문위원 ▲디지털 포렌식팀의 김광준 변호사, 원용기 전문위원 등이 협업을 통해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허성욱 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과 이수화 전 비바리퍼블리카 법무총괄을 영입하며 개인정보보호, 핀테크∙금융보안, 디지털금융 분야의 전문성도 강화했다. 태평양 정보보호 전략컨설팅팀을 이끌고 있는 윤주호 변호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이 직면하는 사이버 보안 위협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다"며 "단순한 기술적 대응을 넘어 법적 컴플라이언스와 실무 운영을 통합한 체계적인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변화하는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돕겠다"고 덧붙였다. 태평양 한준성 미래금융전략센터장은 "디지털 경제 시대에 정보보호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됐다"며 "정보보호 전략컨설팅팀을 통해 기업들이 안전하고 혁신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6.18 08:35장유미

KAI, 파리에어쇼서 항공우주·방산 기술 선봬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16~22일 프랑스 파리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리는 제55회 파리에어쇼에 참가해 차세대 공중전투체계와 미래 항공우주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8일 밝혔다. 파리 에어쇼는 영국 판보로 에어쇼, 싱가포르 에어쇼와 함께 세계 3대 항공우주 전시회로 꼽힌다. 2년마다 열리는 글로벌 항공우주 산업의 최대 행사다. KAI는 매회 참가해왔다. KAI는 이번 전시에서 국산 다목적 전투기 FA-50, 차세대 전투기 KF-21과 함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핵심 구성인 무인전투기(UCAV), 다목적 무인기(AAP)와 소형무장헬기 LAH, 다목적 기동헬기 KUH 등 헬기 라인업과 초소형 SAR 위성을 전시한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복합체계와 초소형 정찰위성 등 4차 산업을 기반으로 지상부터 우주까지 초 연결된 미래 전장의 핵심 역량을 선보이며, KAI의 첨단 기술력을 집중 조명했다. KAI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민수 항공기체 사업 확대를 위한 글로벌 고객사와의 신규 사업 기회 발굴과 주요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협업 그리고 유럽 지역 내 마케팅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중장기 수출 기반을 넓힐 방침이다. 현재 KAI는 에어버스, 보잉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항공기 주요 동체와 날개 구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신규 기종 개발 및 고부가가치 구조물 공급 확대를 통해 민수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하고 있다. 전시 기간 중 민항기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을 비롯한 유럽 내 주요 항공산업 고객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공급망 협력, 기술 공동개발, 신규 플랫폼 참여 등 다양한 협업 기회를 논의할 예정이다. KAI는 2022년 폴란드에 FA-50 48대를 수출하며 유럽 시장에 첫 진출한 이래, 한국 항공기술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본격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이번 파리 에어쇼에서는 폴란드 수출 성과를 기반으로 FA-50뿐만 아니라 KF-21, LAH를 비롯한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및 무인 전력 플랫폼을 선보이며 유럽 전역으로서 수주 확대에 나선다. KAI 관계자는 "KAI는 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와 차세대 기체 플랫폼을 통해 미래 전장을 선도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이번 파리에어쇼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K-방산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한편, 글로벌 민항기 사업과 주요 파트너사와의 협력도 확대해 KAI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06.18 08:30신영빈

Applied Intuition, $150억 달러 평가액으로 시리즈 F 라운드 마감, 모든 이동 수단의 차량 인텔리전스 가속화

시리즈 E 발표 후 1년여 만에 완료된 이번 거래는 회사의 초고속 성장을 입증하며 차량 인텔리전스 시장에서의 리더십 위치를 공고히 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 뷰, 2025년 6월 17일/PRNewswire/ -- 자동차, 트럭, 건설, 광업, 농업 및 방위 산업을 위한 차량 인텔리전스 분야의 선도 기업인 Applied Intuition, Inc.는 오늘 $150억 달러 평가액으로 $6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F 자금 조달 및 공개 매수 거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신규 자금 조달 라운드는 BlackRock이 관리하는 펀드 및 계좌와 Kleiner Perkins가 공동 주도했으며, Applied Intuition을 차량 인텔리전스의 다음 단계, 제품 확장 강화, 글로벌 팀 확대로 이끌 것입니다. 이번 라운드의 신규 투자자에는 Franklin Templeton, Qatar Investment Authority, Abu Dhabi Investment Council, Premji Invest, Stripes, Greycroft, BAM Elevate, 137 Ventures가 포함됩니다. 기존 투자자 중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곳은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 General Catalyst, Lux, BOND, Elad Gil, Addition, Tribe Capital입니다. Applied Intuition valued at $15 billion after closing Series F "Applied Intuition은 다음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라고 Applied Intuition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Qasar Younis는 말했습니다. "우리는 모든 움직이는 머신에 지능을 도입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트럭부터 드론과 공장까지 모든 것이 AI로 구동될 것이며, 우리의 사명은 AI를 물리적 세계와 연결하여 변혁을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지난 8년은 차량 인텔리전스를 대규모로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집중되었습니다"라고 Applied Intuition의 공동 창립자이자 CTO인 Peter Ludwig는 말했습니다. "이번 단계의 초점은 방위, 자동차, 트럭, 건설, 광업, 농업 등 모든 분야에서 지능형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을 가속화하는 것입니다.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우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합니다." Applied Intuition은 2024년 3월 시리즈 E 라운드를 발표한 지 1년 조금 넘은 시점에 이 대규모 투자 라운드를 마감했습니다. 이후 회사는 AI 혁신과 제품 출시를 통해 강력한 모멘텀을 유지해 왔으며 OpenAI, TRATON, Isuzu, Porsche, Aud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오프로드 자율주행 스택 출시; 방위 기술 기업 EpiSci 인수 및 최신 방위 제품 Axion과 Acuity 출시; 영국으로의 글로벌 사무소 확장 등을 발표해왔습니다. "BlackRock은 AI, 자율주행, 디지털 진화 등 글로벌 경제를 재편하는 장기적 메가트렌드에 투자해 왔습니다"라고 BlackRock 매니징 디렉터 Samir Menon은 말했습니다. "우리 플랫폼은 수년간 자율주행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으며, Applied Intuition은 핵심 혁신 리더로 부상했습니다. 우리는 Applied Intuition이 모든 차량을 지능형으로 만드는 미션을 계속 추진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지원합니다." "6년 전 초기 투자 이후로 우리는 Applied Intuition의 비전과 팀에 깊이 믿어왔습니다"라고 Kleiner Perkins의 파트너 Mamoon Hamid는 말했습니다. "Qasar 와 Peter 는 차량 인텔리전트와 자율주행이 널리 이해되기 훨씬 전에 미래를 향해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2025년, 세계가 주목하는 시점에서 우리는 세대를 초월하는 기업이라고 믿는 이 회사에 대한 약속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Applied Intuition이 차량 인텔리전스 분야의 리더로서 자율주행 산업을 선도하는 방식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appliedintuition.com을 방문하세요. Applied Intuition에 대해 Applied Intuition은 안전하고 AI 기반의 기계의 글로벌 채택을 가속화하는 차량 인텔리전스 기업입니다. 2017년에 설립된 Applied Intuition은 고객이 지능형 차량을 개발하고 시장 출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도구 체인, 차량 OS 및 자율주행 스택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상위 20개 중 18개사와 국방부 주요 프로그램들이 Applied Intuition의 솔루션을 신뢰하여 차량 인텔리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Applied Intuition은 자동차, 국방, 트럭, 건설, 광업 및 농업 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본사를 두고 워싱턴 D.C.,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플로리다주 포트 워튼 비치, 미시간주 앤아버, 런던, 슈투트가르트, 뮌헨, 스톡홀름, 서울 및 도쿄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ppliedintuition.com에서 확인하세요.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12493/Series_F_image.jpg?p=medium600

2025.06.17 23:10글로벌뉴스

이제 AI로 건강까지 관리한다…카카오페이, 상담봇 출시

카카오페이(대표 신원근)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상담봇 채널인 '페이아이' 첫 번째 서비스인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페이아이는 sLLM(경량화 대규모 언어모델)과 머신러닝 기반으로 한 카카오페이의 생성형 AI 기반 상담봇 서비스다. 카카오페이는 '페이아이'에 적용된 sLLM을 더욱 정교화하기 위해 베타 서비스 운영 및 고도화 작업을 통해 실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AI 상담 서비스를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해 개인 맞춤형 건강 및 보험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카카오페이에 보험 마이데이터를 연동하면 3년 내 최근 2년의 건강보험관리공단 건강검진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사용자가 취약할 수 있는 질병을 예측해 제공하고 건강 관련 상담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복혈당 수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되면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건강 리스크를 사용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관리 방법과 식단 등을 추천해 주는 방식이다. 또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의 분석을 요청하면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질환에 대한 사용자의 현재 보험 보장 상태를 분석하고 비슷한 연령대의 사용자 그룹의 평균 보장 금액 등을 비교해 안내해 준다. 여기에 필요에 따라 보험 전문가와 상담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평소 알기 어려웠던 건강 및 보험 용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카카오페이는 페이아이의 영역을 다양한 금융 분야로 넓혀나갈 계획이다.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 서비스는 카카오페이앱 또는 카카오톡 카카오페이홈의 전체탭 '편의' 카테고리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오른쪽 상단의 돋보기를 선택해 서비스명을 검색해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건강 및 보험 상담을 제공해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주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뒀다”며 “사용자 피드백에 집중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추후 페이아이의 적용 범위를 기존 금융 분야를 넘어 사용자의 일상과 밀접한 생활 분야까지 확대해 혁신적인 금융 플랫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17 23:07박서린

미니쉬테크놀로지, 자율주행 로봇 이용해 치과 수복물 배달

헬스테크 기업 미니쉬테크놀로지(이하 미니쉬테크)는 AI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수복물 운반시스템을 정식으로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미니쉬테크는 스마트 의료물류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2개월간 '미니쉬 운반로봇'을 시범운행해 왔다. '치아를 지키다, 미니쉬하다' 슬로건이 랩핑된 미니쉬 운반로봇은 강남구 언주로 본사에서 제작한 수복물을 미니쉬프로바이더인 신논현역 미니쉬치과의원, 이살리는치과 선릉역점까지 왕복 6km 구간을 자율주행으로 운행했다. 미니쉬 운반로봇은 딥러닝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 교통 흐름을 분석하고 360도 멀티센서 카메라로 보행자와 장애물을 인식한다. 관제센터와의 실시간 연결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즉시 대응이 가능하다. 또 목적지 도착 후 자동 알림과 복귀 주차까지 완전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구현했다. 운행 중에는 미니쉬 브랜드 CM송과 슬로건 음성 멘트가 송출돼 강남 도심 속 '움직이는 광고탑' 역할도 한다. 미니쉬테크놀로지 관계자는 "미니쉬 운반로봇 운행은 치과업계 최초로 스마트 물류를 향한 이정표"라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새로운 치료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2025.06.17 23:06백봉삼

이글루, 보안관제 자동화 AI특허 2건 획득

AI기반 보안 운영·분석 플랫폼 기업 이글루코퍼레이션(대표 이득춘)은 보안관제 자동화를 위한 인공지능(AI) 특허 2건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특허로 입증받은 AI 보안 기술력을 발판 삼아, 확장형 탐지 대응(XDR) 기반 차세대 보안관제 플랫폼(SIEM)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에 취득한 AI 특허는 AI 기반 보안관제 프로세스 자동화의 기능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언어 모델을 이용해 보안 위협 보고서 작성을 자동화함으로써 보안 담당자 역량을 상향평준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또 AI 모델에 불확실성 지수와 설명 가능한 AI(XAI) 지수 기반의 보안 이벤트 정탐·오탐 판단 방법을 학습시켜, 모델 성능을 향상시켰다. 한편, 이글루코퍼레이션은 AI 보안 운영·분석 노하우를 집약한 XDR 기반 차세대 보안관제 플랫폼 '스파이더 이엑스디(SPiDER ExD)'를 중심으로 탐지-분석-대응 체계를 일원화한 'AI 기반 오픈 XDR(AI-driven Open XDR)' 구현에 집중하고 있다. 다각화한 데이터 수집, AI·머신러닝 기반 자동 위협 분석·탐지, 위협 스코어링·플레이북 기반 자동 대응 등을 통해 보안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형태다. 이득춘 이글루코퍼레이션 대표는 “30여 건 이상 AI 특허를 확보하며, 선진 보안 기술력 확보를 위한 특허 개발과 기술 고도화에 매진하고 있다. 국내 보안 기업 중 최다 AI 특허를 보유한 기업으로서,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기술 자산 확보를 통해 보안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2025.06.17 22:06방은주

시큐리온, 7년 연속 글로벌서 인정...'AV-컴패러티브' 인증 획득

AI 기반 사이버보안 전문기업 시큐리온은 자사의 모바일 안티바이러스 솔루션 'OnAV(온백신)'이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2025년도 'AV-Comparatives' 인증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오스트리아에 위치한 글로벌 보안제품 성능 평가기관 'AV-Comparatives'는 AV-TEST, MRG Effitas와 함께 공신력 있는 인증 기관으로 여겨진다. 평가 결과 탐지율 99% 이상, 과잉 탐지 10개 이하, 배터리 사용량 8% 미만의 조건을 충족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시큐리온 'OnAV'는 종합 탐지율 99.5%로 7년 연속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평가에는 OnAV를 포함해 10개의 글로벌 유명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이 참여했으며, 9개 제품이 인증 조건을 충족했다. OnAV는 머신러닝 검사와 평판 검사, 패턴 검사를 결합한 AI 탐지 시스템 '크로스 밸리데이션 시스템(CVS, Cross-Validation system)'으로 탐지율은 높이고 탐지에 소모되는 리소스는 줄였다. 시큐리온이 독자 개발한 CVS는 OnAV를 비롯해 모바일·IoT 안티 해킹 솔루션 OnTrust(온트러스트), AI 기반 악성 앱 자동 분석 시스템 OnAppScan(온앱스캔) 등에 적용돼 있다. 시큐리온 고봉수 대표는 “악성 앱을 이용한 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림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바일 안티바이러스 솔루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기업 및 기관에서 모바일 기기 보호를 위해 신규 솔루션을 도입하고자 한다면, 글로벌 인증으로 성능이 검증된 솔루션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2025.06.17 22:00방은주

스퀘어드파이낸셜, 창립 20주년 맞아…신뢰•성장•미래를 향한 이정표 세워

룩셈부르크, 2025년 6월 17일 /PRNewswire/ -- 글로벌 핀테크•트레이딩 솔루션 분야 선도기업인 스퀘어드파이낸셜(SquaredFinancial)이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꾸준히 성장하면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 흔들림 없이 매진한 결과 이러한 자랑스러운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SquaredFinancial celebrates its 20-year anniversary 2005년 기업가 필리프 가넴(Philippe Ghanem)이 설립한 스퀘어드파이낸셜은 처음에는 '트레이딩을 더 접근하기 쉽고, 투명하며, 인간 중심적인 경험으로 만들자'는 단순한 미션으로 시작했다. 20년이 지난 지금 스퀘어드파이낸셜은 개인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자, 업계 전반에서 활동하는 브로커들의 핵심적 기술•유동성 파트너로 성장했다. 가넴 창업자 겸 CEO는 "우리는 항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을 추진해 왔다"면서 "창립 20주년은 과거를 돌아보는 시간이 아니라 지금의 성장 모멘텀을 확인하는 시간이다. 우리는 명확한 태도와 자신감 및 경험으로 다져진 장기적 비전을 바탕으로 브로커 업계의 빠른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수년간 스퀘어드파이낸셜은 글로벌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스마트하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제공하면서 명성을 쌓으며 규제를 잘 준수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회사는 독자 개발한 트레이딩 앱을 출시하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기반 도구를 도입했다. 또 정기예금*과 같은 혁신적인 금융 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풍부한 유동성을 제공하고 원활한 기술 통합을 통해 브로커를 지원해왔다. 스퀘어드파이낸셜을 차별화하는 핵심 요소는 구성원과 명확한 목적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 성과, 신뢰, 장기적 파트너십을 근간으로 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고 있다. 가넴 창업가 겸 CEO는 "우리는 유행을 좇은 적이 없으며, 사람들이 의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것을 구축하는 데 집중해왔다"면서 "성과를 중시하는 전문가들을 위해, 배우고자 하는 초보자들을 위해, 그리고 무엇보다 여기에 머무르기 위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스퀘어드파이낸셜은 앞으로도 차세대 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투자자와 금융 기관 모두를 지원하는 도구 개발에 계속 투자할 계획이다. 트레이딩 경험을 간소화하고, 파트너를 지원하며, 고객이 자신감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명확한 목표다. * 이 상품은 유럽 거주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스퀘어드파이낸셜 소개 2005년에 설립된 스퀘어드파이낸셜은 핀테크 및 다중자산 트레이딩 전문 기업으로, 규제를 준수하는 기술 기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한다. 회사는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위한 직관적인 플랫폼과 브로커를 위한 전문가급 유동성과 기술 서비스를 제공한다. 혁신, 투명성, 장기적 파트너십에 중점을 두고 금융의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11774/SquaredFinancial.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711846/SquaredFinancial_Logo.jpg?p=medium600

2025.06.17 21:10글로벌뉴스

'금쪽이' 연기하는 AI 챗봇 등장…신입 교사 훈련용 VR 교실 개발한다

가상현실(VR) 기반 교사 훈련 시뮬레이터가 교육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초기 티치라이브(TeachLivE) 시스템은 숙련된 조작자가 실시간으로 여러 학생 아바타를 조종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들 "퍼페티어(puppeteer)"는 음성 변조기를 사용해 다양한 학생 성격과 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 중심 모델은 자원 집약적이고 복잡한 스케줄링이 필요했으며, 고정된 얼굴 표정과 제한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교실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인간 조작자에서 챗GPT까지: 10년간 VR 교실 시뮬레이션의 기술적 도약 메릴랜드 대학교의 Judson Leroy Dean Haynes IV가 공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티치라이브 시스템의 상업적 후속 제품을 개발한 머시온(Mursion)은 원격 훈련된 상호작용자를 기관들이 주문형으로 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접근법을 중앙화했다. 이는 시스템을 더욱 확장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여전히 인간 루프 제어에 대한 근본적인 의존성을 유지했다. 흥미롭게도 머시온은 학생 아바타의 비언어적 행동이 AI 시스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작은 AI 요소를 포함했다. 최근 독터(Docter) 등이 개발한 최첨단 개념 증명 시스템은 생성형 AI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해 몰입형 VR 교실에서 여러 학생 아바타를 제어한다. 이 시스템은 챗GPT(ChatGPT)의 생성 능력을 사용하여 AI가 즉석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반응과 일부 행동을 생성한다. 각 아바타에 대해 알고리즘적으로 제어되는 '기분 요인'을 구현하여 훈련생의 행동과 동료 영향력이나 시간과 같은 맥락적 요인에 따라 변화한다. '언캐니 밸리' 함정과 애니메이션 아바타가 사실적 아바타보다 나은 이유 VR 학생 아바타의 '현실감'은 단순한 외관을 넘어 여러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시각적 충실도(양식화된 것부터 사실적인 것까지), 행동적 진정성(믿을 만한 대화, 비언어적 신호, 일관된 성격, 적절한 학생다운 행동), 상호작용적 현실감(훈련생, 환경, 맥락과의 반응적 참여)을 포함한다. 하지만 근접한 완벽 시각적 충실도를 추구하는 것은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현상의 위험을 수반한다. 이는 거의 완전하지만 완전하지는 않은 인간 같은 캐릭터가 불안감이나 섬뜩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현상이다. 초보자 훈련에 있어 더 광범위한 우려는 복잡하거나 도전적인 행동을 묘사하는 고도로 현실적인 아바타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지나치게 위협적이거나 성과 불안을 증가시키거나 양식화된 표현과 상호작용하는 것에 비해 과도한 인지 부하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지 부하 이론이 증명한 '단계별 현실감': 만화→현실적→초사실적 3단계 접근법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핵심 개념은 '단계별 현실감(Graduated Realism)' 접근법이다. 이는 초보 교사들이 낮은 수준의 아바타 복잡성을 가진 환경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시각적, 행동적 현실감을 증가시키는 방식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양식화되고 만화 같은 아바타가 명확하고 과장된 얼굴 표정과 몸짓을 보여준다. 이는 초보자들이 비언어적 신호를 더 쉽게 해석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이 초기 단계에서 제시되는 시뮬레이션 교실 시나리오는 덜 복잡한 관리 도전과제를 포함하여 가벼운 인지적, 정서적 부하를 가한다.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Theory)에 따르면, 학습은 총 인지 부하가 학습자의 제한된 작업 기억 용량을 초과할 때 방해받는다. 고충실도 아바타와 미묘하고 예측 불가능한 AI 행동은 잠재적으로 높은 외재적 인지 부하를 가할 수 있다. 반면 낮은 아바타 현실감은 외재적 인지 부하를 줄여 초보자들이 교육 과제 자체에 자원을 집중할 수 있게 한다. 최근 탄(Tan) 등의 연구에서는 텍스트 전용, 딥페이크, 마스코트 아바타를 비교한 결과, 학습 습관과 맥락에 따라 학생 선호도가 크게 달랐다. 과제 지향적 학습자들은 빠른 질문을 위해 간단하고 방해가 없는 텍스트 인터페이스를 선호했고, 참여 지향적 학습자들은 더 상호작용적인 아바타를 선호했다. 이는 현실감에 대한 일률적 접근법이 차선책임을 시사한다. 20분 걸리던 AI 반응을 실시간으로: '크레이지 슬롯'과 학생 데이터 보호 딜레마 현재 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크레이지 슬롯(Crazy Slots)'이라는 새로운 단일 호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이는 확률적 엔진과 풍부한 검색 증강 생성(RAG)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다단계 추론 모델의 지연 시간과 비용 없이 진정성 있는 실시간 학생 반응을 생성한다. 이 아키텍처의 핵심은 상세하고 동적인 학생 프로필을 저장하는 RAG 데이터베이스다. 각 가상 학생은 네 개의 통합된 레이어를 가진다. 인지 레이어는 개념적 숙달을 나타내는 지식 그래프를 포함하고, 정서 레이어는 감정 상태의 확률적 지도를 담는다. 행동 레이어는 상호작용 스타일을 결정하는 성격 특성과 맥락적 선호도를 포착하며, 동적 수정자 레이어는 교사의 행동에 따라 학생 프로필이 실시간으로 진화할 수 있게 한다. '크레이지 슬롯' 엔진은 각 상호작용 중에 활성화된다. 훈련생이 학생에게 질문하면, 엔진은 현재 교육 맥락 내에서 학생 프로필의 모든 관련 매개변수를 검색하여 '스핀'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가중 레이어를 기반으로 확률적 결과를 계산하여 고수준 행동 지침을 생성한다. AI 교사 시뮬레이션의 윤리적 고려사항 AI, 특히 대형언어모델을 교육 시뮬레이션에 통합하는 것은 여러 중요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 실제 학생 행동 데이터를 훈련에 사용하는 것은 미성년자의 매우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며, 미국의 퍼파(FERPA)와 같은 법률과 동의 및 기밀성을 요구하는 윤리적 기준에 의해 보호받는다. 편견과 대표성 문제도 중요하다. 제한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로 훈련된 교육 특화 LLM은 상당한 편견을 도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생 행동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지 못하고 편향된 훈련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지식에 기반한 현실적 가상 프로필을 만드는 합성 또는 복합 데이터 사용이 잠재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교사 자율성과 신뢰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정교한 AI로 광범위한 훈련을 받으면 초보자들이 자신의 판단이나 인간 멘토십보다 AI 권장사항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종종 일자리 대체나 불공정한 의사결정과 같은 AI에 대한 오해와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FAQ Q: 단계별 현실감 접근법이 기존의 고충실도 VR 시뮬레이션보다 어떤 장점이 있나요? A: 단계별 현실감 접근법은 초보 교사들의 인지 부하를 관리하여 더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합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아바타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복잡성을 늘림으로써 교사들이 기본 교수 기술을 먼저 익힌 후 복잡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불안감을 줄이고 자신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Q: '크레이지 슬롯' 아키텍처는 어떻게 기존 AI 시스템보다 빠른 반응을 제공하나요? A: 크레이지 슬롯은 다단계 LLM 추론 대신 단일 호출 방식을 사용합니다. 확률적 엔진이 즉시 상세한 행동 지침을 생성하고, LLM은 추론 대신 해당 지침을 '연기'하는 역할만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지연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면서도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해집니다. Q: AI 기반 교사 훈련 시뮬레이터의 윤리적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A: 주요 해결책으로는 실제 학생 데이터 대신 합성 데이터 사용, 편견 탐지 및 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감사, 투명한 AI 작동 방식 공개, 인간 감독자의 모니터링, 그리고 엄격한 데이터 보호 프로토콜 구현이 있습니다. 또한 교사들에게 AI는 판단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지원 도구임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AI 매터스'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6.17 20:20AI 에디터

"AISC, 많은 회사서 문의...글로벌 비즈니스 필수"

“AI를 개발하는 기업 뿐 아니라 이를 활용하는 기업도 국제 수준의 AI 안전성 인증을 확보하는 것이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필수입니다." 김병철 동아대학교 교수(산업경영공학과)는 한국정보산업연합회가 1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주최한 'CIO포럼'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이날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하는 AI 안전성 확보 전략'을 주제로 발표, AI·SW 안전성 인증인 'AISC(Artificial Intelligence·Software Safety Certification)'를 소개했다. AISC는 AI와 소프트웨어 안전성 보장을 위해 AI의 시스템 및 랜덤 하드웨어 결함 여부를 시험, 심사, 평가해 적합성 증서를 부여하는 제도다. 글로벌 표준에 근거해 안전성 무결성 수준에 따라 인공지능 안전경영 프로세스, 인공지능 안전수명주기, 품질레벨 요구사항인 안전성 수준, 성능 수준, 공정성 수준(AISL, AIPL, AIFL)에 적합할 경우 AI·SW 전문 검증 및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인 에이아이웍스(구 테스트웍스), 네덜란드 인증기관인 Kiwa, SW 관련 협회인 한국정보산업연합회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인증서를 발행한다. 김 교수는 AI의 급속한 발전과 확산에 따라 각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이 AI 안전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AI 오작동·오사용으로 인한 인명, 자산, 환경적 피해와 개인정보 침해 등 사회적·법적 리스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AI 안전성 표준과 법규 강화 동향을 소개했다. 지난 5월 세계최초로 AISC를 론칭했다면서 "현재 많은 회사서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고 들려줬다. 김 교수는 ▲ISO/IEC TR 5469(2024년 1월 제정, AI 기능안전성 가이드라인) ▲ISO/PAS 8800 (2025년 1월 제정, 자동차 분야 인공지능 기능안전 표준) ▲IEC 61508(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안전 요구사항) 등의 주요 국제표준과 이들 표준이 요구하는 4P 원칙(People, Process, Proven, Product) 기반의 AI 안전성 확보 방법론을 설명했다. 이어 ISO/IEC TR 5469 기반의 AISC 인증제도를 통해 AI 안전성, 윤리성,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AI 안정성 확보 방안을 설명했다. 김 교수는 AISC 인증을 획득해야 하는 기대효과로 경쟁력 강화, 안전성 검증, 소비자 불만 감소, 제품 및 기업 신뢰도 상승 등 네가지를 들었다. 기업은 자사 제품의 안정성을 입증해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고객은 안정성이 검증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다. AISC 인증 프로세스는 크게 10단계로 구성됐다. 출발은 시험 및 심사 신청(2~3일)이다. 이후 상담(1주)->계약(1주)->시험 및 심사 계획(1주)->시험 및 심사 결과 확인(2~3주)->시험 및 심사 완료->결과 심의(2~3일)->인증서 발행->사후 심사(12개월 주기), 갱신 심사(3년), 업그레이드 심사(주요 내용 변경시) 등의 과정을 거친다.

2025.06.17 20:17방은주

[Q&AI] 예스24 닷새간 먹통…원인은

질문: 예스24 '닷새간 먹통 사태' 원인은 퍼플렉시티 답변: 예스24 '닷새간 먹통 사태' 원인 주요 원인: 랜섬웨어 해킹 공격 2025년 6월 9일 새벽 4시경, 예스24는 외부 해커에 의한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시스템이 마비되며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이 전면 접속 불가 상태에 빠졌습니다. 해커들은 예스24의 서버 내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이를 해제하는 대가로 금전적 요구(몸값)를 했습니다. 기술적 취약점: 지원 종료된 윈도 서버 OS 사용 예스24가 사용하던 서버 운영체제(OS)가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지원이 종료된 윈도우 서버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아 해킹에 특히 취약했다고 지적합니다. 지원이 끝난 OS는 최신 보안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제공되지 않아 해커의 주요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복구 지연 원인: 백업 시스템·초기 대응 미흡 일반적으로 랜섬웨어 사고는 하루 이내 복구되는 경우가 많으나, 예스24는 닷새 이상 서비스가 중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백업 서버가 함께 공격받았거나, 백업 데이터가 충분치 않았을 가능성을 지적합니다. 랜섬웨어 공격자는 보통 본격 암호화 전에 백업 시스템부터 찾아내 제거하거나 암호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고 직후 예스24가 외부 기관의 기술 지원을 바로 받지 않고 자체 조사에만 집중한 점도 복구를 지연시킨 원인으로 꼽힙니다. 초기 대응 및 정보 공개 지연 예스24는 사고 초기 단순 시스템 장애라고만 공지하다가, 국회와 언론 보도를 통해 랜섬웨어 해킹 사실이 알려진 뒤에야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고객 불신과 은폐 논란이 커졌고,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증폭되었습니다. 결론 요약 예스24의 '닷새간 먹통 사태'는 기술지원이 종료된 윈도우 서버 OS를 사용하던 시스템이 랜섬웨어 해킹 공격을 받아 데이터가 암호화되고, 해커가 금전적 대가를 요구하면서 발생했습니다. 백업 시스템의 취약, 외부 지원 미흡, 초기 대응의 혼선 등이 복구 지연과 피해 확산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 해당 기사는 퍼플렉시티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원문 바로가기)

2025.06.17 20:15AI 에디터

  Prev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장애 3시간 이내 복구" 공언했던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허점만 보였다

배터리 공급망 없이 에너지 안보도 없다…"탈중국이 관건"

"미래의 흑백요리사 누구?"…익산 달군 'NS푸드페스타' 가보니

'양자이득' 어디까지 왔나…전문가 5인에 듣는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