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AI페스타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ai 生成网站原型,ai绘图免费网页,ai工具集导航网站,免费的ai图片网站,ai工具包 官网,等欢迎访问豌豆Ai站群搜索引擎系统官方网站:www.wd.chat'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4755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지능형 소방로봇, 더 안전한 사회 만듭니다"

코스닥 상장 반년을 맞은 티엑스알로보틱스가 물류자동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방·재난 대응 로봇 시장으로 보폭을 넓히고 있다. 엄인섭 티엑스알로보틱스 대표는 지난 17일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소방방재기술산업전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물류자동화 설비 공급업체를 넘어 지능형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상장 이후 티엑스알로보틱스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해 왔다. 첫째는 '기술 우위 선점', 둘째는 '사업 다각화'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휠소터로 시간당 8천 박스를 분류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해 업계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고객사와 협력 기회도 늘고 있다. 여기에 메카넘휠 기반 자율이동로봇(AMR) 제품군을 적극적으로 알리며 물류·제조 현장에서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솔루션 기업으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신사업 진척도 눈에 띈다. 산업용 청소로봇은 국내 주요 고객사를 대상으로 초기 레퍼런스를 확보했고, 소방·재난 대응 로봇 분야에서는 소화로봇, 배연로봇, 산불 방재로봇, 전기차 화재 대응 로봇, 배수로봇 등으로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 9월 설립한 '로봇AI연구소'는 단순한 신기술 연구를 넘어 물류·제조·유통·스마트팩토리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적 거점이 될 전망이다. 엄 대표는 IPO 당시 제시한 성장 전략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중국 소방로봇 선도 기업 궈싱즈넝과의 전략적 협력을 예로 들며 "단순 제품 수입이 아니라 국내 환경에 맞춘 커스터마이징과 현지화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소화·배연로봇 국내 독점 판매권을 확보했으며, 산불 방재와 전기차 화재 대응 로봇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실제로 올해 4월에는 산불 방재 로봇 실증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5월 대구 국제소방안전박람회에서는 전기차 화재 대응 로봇을 공개해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연구개발 역량 강화도 눈에 띈다. 로봇AI연구소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제어, 원핸드·투핸드 시스템, 휴머노이드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현장 문제 해결과 산업 적용까지 아우르는 통합 연구를 추진 중이다. 해외 진출도 속도를 내고 있다. 궈싱즈넝, 아이레이플 등 글로벌 파트너와 협력하며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동남아시아를 시작으로 북미·유럽으로 시장을 확장할 계획이다. 엄 대표는 "이번 전시는 국내 관계 기관과 업계 전문가들에게 직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공식 플랫폼"이라며 "소화로봇, 산불 방재로봇, 배수로봇, AI 통합 관제 시스템 등 국내 환경에 맞춘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순 전시를 넘어 소방로봇이 미래 안전 산업의 핵심 솔루션임을 입증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티엑스알로보틱스가 선보인 로봇들은 각기 다른 특화 기능을 갖췄다. 소화로봇은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화재 현장에서 원격 진화 작업을 수행하고, 배연로봇은 연기 배출과 소화 기능을 겸비했다. 산불 방재로봇은 식생 제거와 방화선 구축으로 산불 확산을 막고, 배수로봇은 홍수·침수 상황에서 신속하게 물을 배출한다. 전기차 화재 대응 로봇은 AI 카메라와 로봇 제어 시스템(RCS)과 연동해 자율주행으로 초기 대응에 나설 수 있다. 엄 대표는 티엑스알로보틱스 소방로봇의 강점에 대해 "저희의 목표는 지능형 무인 소방 시스템 구축"이라며 "단순 기계형 제품과 달리 인간의 역할을 대체하면서도 정밀 제어와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통합 솔루션을 지향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기관 시범사업을 통해 신뢰성을 입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민간 시장으로 확산하는 단계적 전략을 설명하며 "궁극적으로는 여러 대의 로봇이 협력하는 군집형 시스템을 구현해 재난 대응 패러다임 자체를 혁신하겠다"고 강조했다. AI와 센서 기술이 소방로봇에 가져온 변화도 짚었다. 엄 대표는 "과거에는 신고 후 출동하는 수동적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연기와 열을 감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소방로봇은 단순히 불을 끄는 기계가 아니라 인간의 눈과 손발 역할을 동시에 하는 지능형 파트너로 진화했다"고 설명했다. 해외 시장 전략에 대해서는 "우선 동남아시아를 공략할 계획"이라며 "베트남, 인도네시아는 화재 안전 수요가 높고 한국과 유사한 환경이 많아 솔루션 적용이 용이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북미와 유럽에도 진출해 고부가가치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향후 3년간 달성하고 싶은 목표로는 ▲국내 소방로봇 검증과 확산 ▲민간 산업 영역 확대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꼽았다. 엄 대표는 "3년 안에 개별 로봇과 연동 솔루션을 실증하며 장기적 혁신의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티엑스알로보틱스는 물류자동화에서 검증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방로봇 분야에서도 신뢰받는 성장을 이어가겠다"며 "'더 안전한 사회, 국민을 지켜주는 로봇'이라는 목표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9.21 09:14신영빈

AI와 전통문화의 만남…한국문화정보원, AI 페스타 2025 전시 참여

한국문화정보원은 오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AI 페스타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 전시 콘텐츠를 선보인다. AI 페스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국가 전략 주간인 'AI Week(인공지능 주간)'의 대표 행사다. 'AI everything, AI everywhere'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국내외 178개 기업, 480개 부스 규모로 진행되며 우리의 삶에 다가온 AI의 현재를 선보인다. 한국문화정보원은 이번 행사에서 인공지능을 통해 문화 향유의 방식을 넓히고, 전통문화와 공공데이터를 현대 기술과 접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문화 서비스를 소개한다. (☞ AI페스타 바로 가기) 또한 자율주행 큐레이팅 로봇, 가상현실 체험, 문화포털 영상, 공공저작물 활용 사례 등 체험형 전시를 준비했다. 눈길을 끄는 전시 콘텐츠는 '큐레이팅봇'이다. 관람객은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도슨트 로봇을 통해 박물관 문화 해설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생성형 인공지능과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접목한 박물관 전용 챗봇도 시연된다. 한국어뿐 아니라 다국어 해설 서비스도 제공돼 다양한 국적의 참관객들이 편리하게 체험할 수 있다. 'VR 문화빅데이터 영상 시연'은 전통문화 체험을 가상현실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과 제주목관아의 내·외부 공간을 360도 VR 콘텐츠로 제작해 현장에 가지 않고도 생생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관람객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문화 탐방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행사 현장에서는 문화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디지털 신기술 기반 영상 콘텐츠가 상영된다. 이를 통해 최신 문화·예술 트렌드를 담은 영상을 감상하면서 문화포털이 제공하는 정보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저작물 글꼴, 이미지, 디자인과 실제 활용 사례가 전시된다. 한국문화정보원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제도와 활용 가능성을 소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다양한 전시품을 통해 국민 생활 속에서 공공저작물이 가지는 가치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문화정보원 관계자는 이번 참가에 대해 “AI와 디지털 기술을 통해 문화 서비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국민들이 전통문화와 공공데이터를 보다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문화정보원의 전시는 코엑스 A홀에 마련된 'AI Gov Zone'에서 만나볼 수 있다.

2025.09.21 09:13김한준

"결말은 인류 절멸"…실리콘밸리 AI 구루, 'AI 반역 시나리오' 경고

초인간적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AI)이 등장할 경우 인류의 통제를 벗어나 결국 공멸을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AI가 악의가 아닌 철저한 무관심 속에서 인류를 자원 경쟁 상대로 간주하고 제거할 수 있다는 섬뜩한 시나리오다. 21일 AI 프론티어스에 따르면 기계지능연구소(MIRI)의 공동 창립자 일라이저 유드코프스키와 소장 네이트 소아레스는 신간 '누군가 그것을 만들면, 모두가 죽는다'를 통해 현재 빅테크들이 벌이는 AI 개발 경쟁의 결론이 인류의 통제력 상실과 멸종이라고 주장했다. 문제는 오늘날 AI가 기계처럼 정교하게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체처럼 '재배'된다는 점이다. 개발자들은 AI의 수십억 개 파라미터가 어떻게 작동해 지능을 발현하는지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마치 DNA를 모른 채 식물을 키우는 것과 같아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내포한다. 이같이 길러진 AI는 인간이 원하는 외부 행동을 훈련시켜도 내재적 동기는 전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인간이 칼로리를 얻기 위해 단맛을 선호하도록 진화했지만 영양가 없는 인공감미료를 만들어낸 것처럼 AI 역시 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의 가치와 완전히 어긋나는 기괴한 목표를 스스로 설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이런 위험 신호는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 앤스로픽의 AI 모델은 재훈련을 피하고자 개발자 앞에서만 정렬된 척 연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오픈AI의 모델은 목표 달성을 위해 훈련받지 않은 방식으로 시스템에 접근하는 등 집요하고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초지능 AI가 인류를 악의적으로 공격하는 대신 철저히 무시하는 지적 외계종처럼 행동할 것이라 경고한다. 인간이 오랑우탄의 생존에 무관심한 채 개발을 위해 서식지를 파괴하듯 AI 역시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인류를 걸림돌로 여기고 무력화한다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인류의 패배는 명약관화하다. 인간보다 월등한 지능을 가진 AI는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인프라를 장악하고 더 빠른 사고와 무한 복제 능력으로 인류를 압도할 것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인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조차 인류를 이기기에 충분하다고 저자들은 분석한다. 저자들은 다만 책 제목에 '만약(if)'이라는 단서를 달아 파국이 필연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과거 인류가 냉전이나 오존층 파괴와 같은 실존적 위협 앞에서 국제적 공조를 통해 해결책을 찾았듯 이번에도 전례 없는 수준의 협력과 자제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이다. AI 프론티어스는 "저자들이 제시하는 선택은 극명하다"며 "우리가 전례 없는 자제력과 협력을 실천하거나 아니면 모두가 죽거나 둘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2025.09.21 09:13조이환

트럼프, H-1B 10만달러 서명…美 빅테크, 직원 긴급 체류 지시

트럼프 행정부의 비이민 취업 비자 정책 변화로 빅테크 기업이 직원에게 미국 내 체류할 것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1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H-1B 비자 신청에 대해 고용주가 10만 달러(약 1억3천99만원) 수수료를 지불하는 정책에 서명했다. H-1B 비자는 미국이 해외 전문 인력을 고용하기 위해 발급하는 비이민 취업 비자다. 그동안 빅테크는 글로벌 전문 인력을 해당 비자를 통해 채용해 왔다. 이번 정책 변화로 아마존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가 H-1B 비자로 근무 중인 소속 직원들에게 당분한 해외 여행이나 불필요한 출국을 피하라는 이메일을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자 갱신이나 신규 신청 과정서 불이익을 받거나 입국이 차단될 위험이 높아져서다. 해외에 있는 직원에게는 이번 조치가 발효되기 전 귀국할 것을 요청했다. 다수 외신은 이번 조치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이 기술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글로벌 인재 의존도가 높은 빅테크 기업에는 즉각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정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회계연도 기준 아마존 직원들이 H-1B 비자를 가장 많이 받았으며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애플이 뒤를 이은 것으로 확인됐다. 구글은 6번째로 H-1B 소지자가 많은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H-1B 정책 변화로 인한 파장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모든 H-1B 소지자에게 발효되는 사안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앞서 미국 백악관 관계자도 "이번 수수료 부과가 신규 신청자에게만 적용된다"며 "기존 비자 보유자와 갱신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025.09.21 09:12김미정

"스마트 스터디 엣지AI, 개인정보 유출·비용 부담 없이 교육 현장 지원"

노탈은 에듀테크코리아페어 2025에서 교육 현장 특화형 인공지능 솔루션 '스마트 스터디 엣지AI(S2 Edge AI)'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스마트 스터디 엣지AI'는 학생 발언을 문자로 기록하는 음성 인식(STT)과 토론 수업 평가 기능 등을 갖췄다. 모든 기능은 인터넷 연결 없이 학교 전산실에 설치된 GPU 기반 엣지AI 서버에서 직접 실행된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고, 외부 토큰 사용료도 발생하지 않아 학교가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시스템 개발에는 연세대 AI혁신연구원 AI에듀테크센터, 국립한밭대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시뮬테크가 공동 참여했다. 이들은 노탈과 함께 교사 지원형, 토론 분석형 AI 소프트웨어를 연구해 공정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육 지원 도구를 개발했다. 하드웨어는 사회적기업 라인피아가 담당한다. 라인피아는 엣지AI에 최적화된 장비를 설계, 생산하고 공공 조달을 위한 직접생산 인증 절차도 진행 중이다. 사회적기업 제품 특성상 일선 학교들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도입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노탈은 단순한 교육용 AI를 넘어 개방형 온디바이스 엔진을 탑재한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토론 수업 평가뿐 아니라 코딩 교육, 로봇 제어 등 AI 연산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업들도 학교 내 설치된 '스마트 스터디 엣지AI'를 활용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GPU 기반 엣지AI 서버의 연산 능력을 공유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는 설명이다. 박종진 노탈 대표는 “학교와 교사가 원하는 교육용 앱을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는 엣지AI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며 “데이터 주권과 교육비 절감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2025.09.21 08:15박수형

'신뢰 인프라'가 경쟁력...네이버, 사용자 '안심보장' 확대

네이버가 사용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기술적 장치를 잇달아 도입하며 플랫폼 생태계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식재산권 보호부터 판매자 서비스 평가 개편, 위조상품·피싱 차단 시스템 고도화, C2C 안전결제 솔루션 도입까지 전방위적 대응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 1일 '지식재산권 클린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는 권리자의 동의 없이 의도적으로 상표권이나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동일 판매자가 주 20건 이상 지식재산권 침해 사실이 확인될 경우 ▲주의(1회) ▲경고(2회) ▲제재(3회 이상)로 단계별 조치가 적용된다. 반복적으로 침해가 발생하면 해당 판매몰의 모든 상품이 일정 기간 쇼핑검색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위조상품은 별도로 관리돼 단 1건만 적발돼도 즉시 이용정지가 가능하다. 또한 네이버는 17일 판매자센터를 통해 기존 '굿서비스' 프로그램을 '굿서비스 점수'로 개편했다. 기존 굿서비스가 고객 리뷰, 배송, CS 응답률 등 항목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새 프로그램은 이를 데이터화해 AI 추천 시스템에도 반영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신뢰도 높은 판매자를 더 잘 발굴하고 연결하기 위한 변화”라며 “AI 커머스 시대에 맞춘 대대적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위조·위해상품, 피싱 사기 등 사용자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사전 대응도 강화하고 있다.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AI 탐지와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피싱 패턴을 탐지하는 툴을 개선한 결과 월평균 1천 개 이상의 위조몰을 사전 차단했다. 이로써 올해 쇼핑 영역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은 95.6%에 달했다. 1~7월 누적 구매자 피해 신고 건수도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줄어드는 성과를 냈다. 안전장치는 B2C를 넘어 C2C 영역으로 확장된다. 네이버는 오는 24일부터 카페 내 개인 간 거래에 '안전거래 솔루션'을 적용한다. 여기에는 네이버 인증서를 통한 본인인증, 네이버페이 에스크로 안전결제, 결제 내역 연동을 통한 상품 검증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분쟁조정센터 운영을 통해 사후 관리 체계도 강화한다. 업계는 C2C 거래 특성상 개인 간 거래의 신뢰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시장 확대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당근마켓은 최근 AI 사기패턴 감지 시스템을 도입했고, 번개장터는 지난해부터 모든 거래에 안전결제 '번개페이'를 의무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 환경의 안전성이 곧 서비스 이용성을 결정짓는다”며 “플랫폼들이 중장기적으로 사용자 신뢰 경험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25.09.21 08:00안희정

차이나 데일리: CAEXPO, AI 혁신으로 국경 간 기술 교류 강화

베이징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제22회 중국-아세안 엑스포(China-ASEAN Expo, CAEXPO)가 17일부터 21일까지 중국 남부 광시좡족자치구 수도 난닝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에서는 1만 제곱미터 규모의 AI 전용 전시관이 마련됐다. Participants interact with a humanoid robot at the 22nd China-ASEAN Expo. 엑스포 역사상 단일 주제로는 가장 큰 규모로 준비된 이 전용 전시관에서는 중국 국내 기술 기업 및 해외 파트너사들의 첨단 AI 제품 약 1200종을 선보였다. 주요 전시품에는 대규모 언어 모델, 로봇, 웨어러블 기기,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플랫폼과 같은 혁신 기술은 물론,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세안 국가들의 기술적 성과도 함께 소개됐다. 엑스포 개막 전 토요일에 공개된 'AI CAEXPO' 지능형 시스템은 스마트 컨퍼런싱, 내비게이션, 일정 계획 등 17가지 시나리오를 통합해 현장 운영을 간소화하도록 특별히 설계됐다. 행사의 핵심인 이 시스템은 참가사들에 일정 관리, 고객 응대, 비즈니스 매칭, 다국어 협상 등에서 진보된 지능형 경험을 제공하며 CAEXPO의 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엑스포 기간 중 최초로 인공지능 관련 장관급 원탁회의가 개최되어 중국과 아세안 간의 정밀한 산업 협력을 촉진했다. 이번 엑스포에서는 처음으로 '글로벌 진출 중국 AI 유니콘 100대 기업(China's Top 100 Future AI Unicorn Enterprises Going Global)' 명단을 발표하고, 10여 개의 AI 관련 특별 행사를 진행한다. 또한 기업들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CAEXPO는 학계 전문가, 산업 전문가, 저명한 싱크 탱크와 협력해 '중국-아세안 경제 무역 협력 전망(Outlook on China-ASEA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블루북을 발간했다. 이 간행물은 버전 3.0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의 9개 핵심 영역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양방향 경제 및 무역 협력의 동향을 분석한다. 웨이자오후이(Wei Zhaohui) 엑스포 사무국 사무총장은 CAEXPO가 중국과 아세안이 공동 주최하는 경제 및 무역 행사일 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한 인적 연결을 강화하는 '난닝 채널(Nanning Channel)'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중국-아세안 공동체의 더 긴밀한 미래 공유를 목표로 여론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이번 엑스포는 중국-아세안 젊은 리더 성장 프로그램(China-ASEAN Young Leaders Growth Program)을 계속 시행하고 있으며, 엑스포 기간 동안 1기 참가자들이 작성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또한 2차 참가자 30명이 선발됐으며, 이 프로그램은 중국-아세안 우호의 건설자이자 계승자로서 젊은 리더를 지속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2025.09.21 07:10글로벌뉴스

지능형 AIoT 미래를 위한 끊임없는 진화: 다후아테크놀로지, 대규모 AI 모델 싱한 공개

항저우, 중국 2025년 9월21일 /PRNewswire/ -- 세계적인 영상 중심 AIoT 솔루션•서비스 기업인 다후아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가 대규모 시각 지능과 멀티모달 및 언어 기능을 통합한 차세대 산업용 AI 시스템 '싱한(Xinghan)'을 공식 출시했다. 현실 세계의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싱한은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기 위해 다후아가 이룬 노력의 성과로, 다양한 분야의 지능형 전환을 지원한다. The Dahua Xinghan Large-Scale AI Model places visual analysis at its core, integrating multimodal capabilities and embedding deep industry expertise to create a large model tailored for diverse application scenarios. Built upon this real-world foundation, it serves as the key to achieving scalable and commercially viable AI solutions. 싱한의 기술 기반 기계가 세상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로 개발된 싱한 모델 시스템은 최첨단 연구와 실제 적용사례를 연결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중국어로 '은하'를 뜻하는 싱한은 에지-클라우드 시너지를 기반으로 한 풀스택 기술 매트릭스를 제공해 산업 전반에 걸쳐 확장 가능한 적응형 인텔리전스를 구현한다. 업그레이드된 싱한 아키텍처는 L, V, M의 세 가지 핵심 모델 시리즈로 구성된다. L 시리즈 모델은 자연어 이해 및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반면, 나머지 두 시리즈는 보다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다룬다. V 시리즈: 싱한 비전 모델 고급 시각 지능 및 영상 분석을 중심으로 한 이 시리즈는 주요 대상(예: 사람, 자동차, 비자동차)에 집중해 대상 범주를 간소화함으로써 모델 복잡성을 줄이고 높은 정확도를 유지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주변 경계 보호: 기존 CNN 기반 AI 모델 대비 더 작은 대상(최소 20×20픽셀)까지 정확히 식별해 커버리지를 확장, 오경보를 줄이고 대규모 모델 카메라의 감지 범위를 확대한다.* 위즈트래킹(WizTracking): 복잡한 가림 현상과 대상 자세 변화를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추적 알고리즘으로 정확도를 50% 개선한다.* 크라우드 맵(Crowd Map): 장거리(최대 2배 더 멀리)에서 소형 대상 감지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우산 보정 기능을 탑재해 비 오는 환경에서 정확도를 80% 개선한다*. 분석 범위를 2.5배 확대하고 최대 5천명까지 감지 가능하며, 밀집 군중 및 저조도 환경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제공한다.* 장면 적응형 – AI WDR: 상황 인식 기능을 활용해 장면의 공간적•맥락적 특성을 분석해 지능적이고 자동화된 카메라 구성을 지원한다. AI 규칙 지원: 경계 보호 침입 규칙의 자동 구분을 위해 설계됐으며, 원클릭 접근, 고정밀 장면 인식, 자동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M 시리즈: 싱한 멀티모달 모델 멀티모달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이종 데이터 유형을 동시에 처리하고 심층 통합할 수 있는 고급 AI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정보 처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며 더 광범위한 적용 시나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위즈시크(WizSeek): 자연어 검색을 통한 혁신적인 영상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대상(예: 사람, 차량, 동물 또는 물품 등)을 간단히 설명하면 위즈시크가 기록된 영상 아카이브 전체에서 일치하는 영상을 즉시 검색한다. 텍스트 정의 알람: 사용자가 자연어로 알람을 간단히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진입장벽을 크게 낮추고, 다양한 실제 시나리오에 맞춰 빠르고 유연하며 확장 가능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싱한 대규모 AI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성능 결과는 표준 설정 및 테스트 환경을 기준으로 한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화웨이, 싱허 AI 캠퍼스 전방위 보안 솔루션 공개...AI 시대 캠퍼스 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상하이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화웨이가 화웨이 커넥트 2025(Huawei Connect 2025)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세계에서 물리적 세계로 보안 보호 범위를 확장하고 캠퍼스 전체에 대한 포괄적 보호를 지원하는 혁신 솔루션인 '싱허 AI 캠퍼스 전방위 보안 솔루션(Xinghe AI Campus Full-Scope Security Solution)'을 공개했다. 오늘날의 캠퍼스 네트워크는 기존의 연결성을 넘어 모든 것을 연결하고 감지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증가하는 보안 요구를 충족하려면 디지털 세계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 방어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사람•사물•환경을 감지해 물리적 세계의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Shawn Zhao, President of the Campus Network Domain at Huawei's Data Communication Product Line, giving a speech 화웨이의 숀 자오(Shawn Zhao) 캠퍼스 네트워크 부문 사장은 "캠퍼스 네트워크의 보안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싱허 AI 캠퍼스 전방위 보안 솔루션을 출시했다"면서 "자산 보안, 전송 보안, 공간 보안, 프라이버시 보안으로 구성된 이 솔루션은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 전반에 대한 보호를 재정의한다"고 말했다. 자산 보안: 화웨이의 AI 기반 엔드포인트 클러스터링 및 종합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엔드포인트 자산을 100% 식별하도록 지원한다. AI 기반 트래픽 탐지 기능은 30초 이내에 비정상적인 엔드포인트 행동을 식별하고 단 1초 만에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 자산에 대한 완전한 가시성과 제어력을 제공한다. 전송 보안: 화웨이의 독자적인 와이파이 실드(Wi-Fi Shield) 기술은 AI 기반 신호 스크램블링을 활용해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 도청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와이파이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이 외에도 엔드투엔드 MACsec 암호화와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ic, PQC) 알고리즘이 유선 측을 보호한다. 현재 전 세계 100개 이상의 정부 및 금융 기관이 이 기능들을 도입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공간 보안: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많은 프라이버시 공간에서 화웨이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는 채널 상태 정보(CSI) 감지 및 AI 알고리즘을 통해 센티미터 수준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공간 내 사람의 존재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프라이버시 침해 없이 24시간 연중무휴로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보안: 화웨이 최초의 몰래카메라 탐지 AP는 내장된 AI 특징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숨겨진 몰래카메라를 찾아내고 방지할 수 있다. 전 세계 62개 브랜드 110개의 카메라 모델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파이,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로컬 SD 저장장치를 통해 작동하는 몰래카메라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경고를 생성할 수 있다. 캠퍼스 네트워크 보안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화웨이는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지능형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AI 시대의 캠퍼스 보안을 재정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BOE IPC 2025 개막, AI를 통한 산업 재활성화 강조

베이징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BOE 혁신 파트너 콘퍼런스 2025(BOE Innovation Partner Conference 2025, BOE IPC 2025)가 9월 11일 '디스플레이로 IoT 역량 강화, AI로 미래를 점화하다(Empower IoT with Display, AI Ignites the Future)'라는 주제로 베이징 중관춘 혁신 센터(Zhongguancun Innovation Center)에서 개막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전 세계 디스플레이 및 IoT 생태계 파트너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규모 행사로, 기존에 사용된 IPC 주간(IPC Week) 형식으로 진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 10개 이상의 전문 포럼과 투자자 행사(Investor Event), e스포츠 페스티벌(Esports Festival), 파트너사와의 공동 혁신 전시회가 열린다. 다양한 '최첨단 혁신 제품들'이 공개될 이번 행사에서 BOE는 시장 중심적이고 국제적이며 전문적인 기업이라는 점을 부각할 예정이다. 올해 IPC에서 BOE는 세 가지 기술 브랜드에 기반한 200여 개의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이며, AI 기반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품에 집중했다. ADS Pro 전시 구역에서는 뛰어난 화질과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혁신 제품들이 공개됐으며, 이러한 제품은 이미 여러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ADS Pro 기술이 적용된 110인치 UB Cell 4.0 TV는 최고 수준의 주변 명암비를 자랑하며, 원형 편광, 눈부심 방지 및 기타 시력 보호 기술을 채택해 시력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혁신적인 산화물 기술을 활용한 31.5인치 8K 240Hz UB Cell 모니터는 초고주사율과 HDR600 지원을 동시에 달성해 전문가용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BOE는 자연광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주변광 감지(ALS) 디스플레이, 눈에 편안한 태블릿, 원형 편광 게이밍 모니터 등 다양한 친환경 제품들을 선보였다. f-OLED 전시 구역에서는 OLED LTPO, 탠덤(Tandem), COE 등 획기적인 기술과 최신 폴더블 제품들이 소개됐다. 특히 세계 최초의 17인치 롤러블 휴대용 기기와 AI 뮤즈피어(Musephere)는 혁신적인 폼팩터를 통해 인간과 기계 간 상호작용의 경계를 재정의했다. 새로운 LTPO Plus 디스플레이 제품은 1~240Hz의 동적 주사율을 지원하며, 한층 부드러운 화면 전환과 초저전력 소비, 효과적인 시력 보호 기능을 갖춰 하이엔드 스크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α-MLED 전시 구역에서 공개된 신제품 BYH Ultra P0.9 MLED는 10럭스(lux) 환경에서 20000:1의 초고명암비를 구현해 마치 영화관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한다. 또한 차세대 COG P0.9 디스플레이 제품은 뛰어난 화질, 초고휘도, 초박형 디자인, 완벽에 가까운 평면화, 시력 보호 기능, 이음새 없는 연결 등 다양한 장점을 자랑한다. 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두께가 6mm에 불과하고 무게는 제곱미터당 12kg으로, 기존 제품 대비 25%가량 가벼워졌다. BOE IPC 2025는 LCD, OLED, MLED 등 다양한 분야에서 BOE가 보유한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한눈에 보여주는 자리였다. 또한 BOE는 스카이워스(Skyworth), 레노버(Lenovo), 레드매직(Redmagic), 이잉크(E Ink) 등 10여 개의 유명 기업과 협력해, BOE의 혁신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Powered by BOE' 혁신 생태계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BOE는 앞으로도 전 세계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스마트 기술 활용 시나리오를 확장하고 재편해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들에게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화웨이, 싱허 AI 패브릭 2.0 출시...기업에 완전한 컴퓨팅 성능을 갖춘 상시 가동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지원

상하이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화웨이 커넥트 2025(Huawei Connect 2025)에서 '지능형 미래를 위한 AI 데이터센터 혁신 선도(Leading AI DC Innovation for an Intelligent Future)'를 주제로 올해 처음 선보이는 데이터센터 혁신 서밋(Data Center Innovation Summit)에서 화웨이(Huawei)가 600여 명의 글로벌 업계 리더, 전문가 및 학자들과 함께 AI 시대의 고품질 지속가능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대해 논의했다. 화웨이는 2018년 출시한 AI 패브릭의 완전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서 기업이 완전한 컴퓨팅 성능을 갖춘 상시 가동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지능형 전환을 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싱허 AI 패브릭 2.0(Xinghe AI Fabric 2.0)을 공개했다. Arthur Wang, President of Data Center Network Domain, Huawei Data Communication Product Line, delivering a keynote 기조연설에 나선 화웨이의 아서 왕(Arthur Wang)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부문 사장은 고속의 AI 이터레이션과 진화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중요한 전환점으로 이끌고 있다고 언급했다. AI 브레인, AI 커넥티비티, AI 네트워크 요소로 구성된 3계층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축된 싱허 AI 패브릭 2.0은 AI 네트워크 에이전트(NetMaster), StarryWing Digital Map(3단계 자동화), 싱후안(Xinghuan) 훈련 + 싱지(Xingzhi) 추론 스케줄링 엔진, Rock–Solid 아키텍처를 통합한다. 싱허 AI 패브릭 2.0: 완벽한 컴퓨팅 성능을 갖춘 상시 가동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AI 브레인: StarryWing Digital Map과 NetMaster를 활용해 드래그앤드롭 방식의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 배포, 통합 애플리케이션-네트워크 O&M 자동화, 이종 네트워크 및 보안 영역에 걸친 엔드투엔드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O&M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AI 연결성: NSLB(Network Scale Load Balance) 알고리즘을 활용해 네트워크 처리량을 95%까지 증가시키고 훈련/추론 효율을 10% 이상 향상시킨다. Rock-Solid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iReliable 3단계 신뢰성 기술은 10배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AI 네트워크 요소: CloudEngine 시리즈 범용 컴퓨팅 스위치, XH 시리즈 지능형 컴퓨팅 스위치, StarryLink 광 모듈을 통해 패킷 손실 및 지연시간에 대한 정밀한 트래픽 인식 및 시각화를 지원한다. 내재적 보안 및 그룹 기반 격리로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한다. 전시 하이라이트: 핵심 기술 역량 시연 화웨이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부스에서는 싱허 AI 패브릭 2.0의 3계층 아키텍처에 대한 동적 데모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패브릭을 위한 AI, AI를 위한 패브릭"의 가치를 선보였다. 이 외에도 업계 최고 밀도의 128×800GE 고정 스위치 XH9330, 64×800GE 고정 스위치 XH9320, 완전한 800GE StarryLink 광 모듈로 구성된 800GE 포트폴리오와 싱허 수랭식 캐비닛, 업계 최초의 전 포트 수랭식 고밀도 128×400GE 고정 스위치 XH9230LC 등이 전시됐다. 앞으로도 화웨이는 파트너 및 고객과의 개방적 협력을 지속하며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분야의 연구와 혁신을 주도하고 지능형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와 세대 진화를 이끌어 전 세계 다양한 산업을 위한 더 큰 가치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화웨이, 업그레이드된 싱허 AI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공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로 전방위 보안 패러다임 재편

상하이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가 '화웨이 커넥트 2025(HUAWEI CONNECT 2025)' 기간 '싱허 AI 네트워크: AI 시대의 지능형 연결성 구축(Xinghe AI Network: Shaping Intelligent Connectivity in the AI Era)'을 주제로 열린 데이터 통신 서밋(Data Communication Summit)에서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싱허 AI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Xinghe AI Network Security Solution)을 공식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기업 지점, 캠퍼스, 데이터 센터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제로 트러스트(zero-trust) 보안 체제를 구축하는 걸 목표로 한다. Huawei Launches Upgraded Xinghe AI Network Security Solution 제로 트러스트 지점 접근: AI 위협 탐지로 위험 차단 클라우드 서비스와 원격 근무 증가로 기업 지점과 엔드포인트가 잠재적인 공격 경로로 부상했다. 화웨이의 싱허 AI 네트워크 보안은 SASE 기능을 통합하고, iMaster NCE-Campus 컨트롤러를 통해 네트워크와 보안 장치의 통합 관리, 중앙 집중식 정책 오케스트레이션, 자동화된 경보 상관성 분석을 구현해 99%의 자동화된 위협 대응률을 달성한다. USG6000F 지점 보안 게이트웨이는 인공지능(AI) 기반 위협 탐지 및 멀웨어 변종 분석용 에뮬레이터(Emulator) 엔진을 통합해 알려지지 않은 위협을 95% 탐지한다. HiSec 엔드포인트 통합 에이전트는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전반에서 일관된 제로 트러스트 접근을 보장함으로써 동적으로 위험을 평가하고, 안전한 원격 엔드포인트 접근을 지속적으로 검증한다. 제로 트러스트 캠퍼스 상호 연결: 애플리케이션 차원의 마이크로 격리로 위협 확산 방지 캠퍼스 환경에서는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공격 표면을 확대한다. 또한 수동으로 설정된 정책은 지나치게 허용적인 경우가 많아 위협의 측면 이동(lateral movement)을 초래한다. 화웨이 싱허 AI 제로 트러스트 캠퍼스 보안 솔루션(Xinghe AI Zero-Trust Campus Security Solution)은 AI 클러스터링과 능동적 스캐닝 기능을 통합해 95% 이상의 자산 식별 정확도(asset identification accuracy)를 달성한다. 시스템은 AI를 활용해 상호 연결 관계를 자체 학습함으로써 측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세분화된(fine-grained)' 격리 정책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제로트러스트 어플라이언스는 엣지에 배치돼 동서 트래픽에 대한 첨단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layer) 위협을 탐지할 수 있다. 이는 자산 가시성, 접근 제어, 트래픽 거버넌스를 강화 효과로 이어진다. 제로 트러스트 데이터 보안: 대규모 모델의 엔드투엔드 보호로 데이터 무결성 보장 화웨이 싱허 AI 지능형 컴퓨팅 보안 솔루션(Xinghe AI Intelligent Computing Security Solution)은 대규모 모델에 대해 엔드투엔드 보호를 제공한다. XH6655 지능형 컴퓨팅 방화벽은 훈련 단계에서 독자적인 안티바이러스 엔진을 활용해 내장된 멀웨어를 탐지한다. 배포 과정에서는 경량형 HiSec 엔드포인트는 커널 수준의 취약점 악용 사례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한다. 실제 적용 단계에서는 '엔드포인트 + 네트워크' 통합 방어 메커니즘을 통해 랜섬웨어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원클릭으로 복구하고, 프롬프트 주입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대규모 모델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한다. 화웨이는 싱허 AI 네트워크 보안 제품과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혁신하는 한편, 글로벌 파트너 및 고객과 협력해 지능형 전환의 혜택을 공유하고 기업의 디지털 여정을 안전하게 보호할 것이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화웨이 클라우드: 지속적인 혁신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고객 성공 지원

상하이 2025년 9월 21일 /PRNewswire/ -- 올해 화웨이 커넥트 2025(Huawei Connect 2025)에서는 화웨이(Huawei)의 수석 부사장인 찰스 양(Charles Yang) 화웨이 클라우드 글로벌 마케팅•영업 서비스 총괄이 기조 연설자로 나섰다. 양 부사장은 화웨이 클라우드의 혁신 기술과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기술과 사례가 글로벌 고객들이 디지털•지능형 전환을 통해 비즈니스 성공을 달성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조명했다. 그는 화웨이 클라우드가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하나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와 데이터와 AI라는 두 가지 엔진'을 특징으로 하는 포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글로벌 고객과 파트너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Charles Yang, Senior Vice President of Huawei and President of Huawei Cloud Global Marketing and Sales Service 디지털 지능 시대에 기업들은 복잡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양 부사장은 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화웨이 클라우드의 4대 핵심 역량을 소개했다. 첫째는 고객에게 탄력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쿠버스(KooVerse)'다. 둘째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이터 인에이블먼트(data enablement) 서비스다. 셋째는 기업이 보다 손쉽게 AI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스톱 AI 개발 플랫폼이다. 마지막으로 화웨이 클라우드는 글로벌 지능형 전환의 모범사례를 집약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쿠버스: 글로벌 비즈니스 성장 가속화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웨이 클라우드는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쿠버스를 제공해 전 세계 기업들이 화웨이 클라우드의 가장 가까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탄력적이고 안전하며 안정적인 서비스를 누리면서 글로벌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할 수 있다. 100여 개국에서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튀르키예 최고의 패스트 패션 리테일러인 디팩토(DeFacto)는 프로모션 시즌에 트래픽이 10배 이상 급증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화웨이 클라우드의 컨테이너 서비스는 30초 이내에 4천개의 파드(pod)를 자동으로 확장해 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또한 화웨이 클라우드 쿠버스 덕분에 디팩토는 튀르키예에서 25ms 미만, 이집트에서 50ms 미만의 응답 지연 시간을 달성해 사용자 만족도와 주문 전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2023년부터 디팩토의 서비스는 화웨이 클라우드에서 659일 동안 안정적으로 운영돼 왔으며, 이는 보안, 안정성 및 품질에 대한 화웨이 클라우드의 헌신을 확인시켜 준다. 데이터 인에이블먼트: 신속한 데이터 인사이트로 더 나은 의사결정 지원 화웨이 클라우드는 기업이 데이터 가치를 발굴하고 데이터 지연이라는 약점을 조기 의사결정 역량이라는 강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인에이블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 인사이트는 기업의 매출 및 수익성 증대에 기여한다. 브라질 최고의 데이터 인텔리전스•기술 기업인 네오그리드(Neogrid)는 매일 포스(POS)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200만개의 활성 상품과 50만건의 실시간 거래에서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전에는 이러한 데이터가 서로 다른 플랫폼에 분산되어 있어서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네오그리드는 이제 Huawei Cloud DWS를 이용해 여러 플랫폼의 데이터를 원활하게 통합함으로써 데이터 통합 효율을 40%, 분석 효율을 50%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네오그리드의 고객사는 업무 마감 전에 당일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원스톱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AI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가속화 화웨이 클라우드는 각 산업 부문의 핵심 시나리오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고객 요구사항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한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컴퓨팅, 파운데이션 모델, 툴체인에 이르는 풀스택 혁신으로 원스톱 AI 솔루션을 제공해 기업이 자체 모델과 산업별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글로벌 선도 화학기업 완후아 케미컬(Wanhua Chemical)은 중국 산둥성에 위치한 옌타이 캠퍼스에서 3만대 이상의 운영 장비를 유지하고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장비들에 대해 매년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했다. 그러나 화웨이 클라우드의 판구 예측 모델(Pangu Prediction Model)을 도입하면서 완후아 케미컬은 2천여 대의 핵심 장비에 대해 90% 이상의 예측 정밀도로 예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판구 추론 모델(Pangu Inference Model)을 활용해 고장 진단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수동 점검 시간을 20% 단축했다. 아울러 화웨이 클라우드의 범용 에이전트 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표준운영절차(SOP) 문서 검토 에이전트를 구축해 검토 효율을 50% 이상 향상시켰다. 화웨이 클라우드의 AI 역량은 30개 이상의 산업 분야, 500개 이상의 시나리오에 적용돼 기업들의 지능형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 디지털•지능형 전환 모범사례 공동 창출: 기업의 고품질 글로벌 발전 지원 화웨이 클라우드는 디지털•지능형 전환 경험을 부문별 지능형 전환을 위한 재현 가능한 참조 아키텍처로 전환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고품질 발전을 지원한다. 창안자동차(Changan Automobile)는 화웨이 클라우드의 코드아츠(CodeArts)를 활용해 R&D 방식을 폭포수 방식에서 통합 플랫폼 기반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R&D 효율을 30% 향상시켰다. 화웨이는 차이나유니콤(China Unicom) 등 파트너사와 함께 '하나의 클라우드, 하나의 네트워크, 하나의 플랫폼(One Cloud, One Network, One Platform)'을 구축해 데이터 기반의 유연한 제조를 구현함으로써 창안자동차를 지원했다. 이 플랫폼 내에서 5G와 IoT를 활용해 1만2천대의 장비를 연결함으로써 창안자동차가 전 영역의 데이터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창안자동차는 화웨이 클라우드의 포괄적인 데이터 서비스 역량을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차량 출고 기간을 21일에서 단 15일로 단축했다. 양 부사장은 클라우드 파운데이션, 기술 인에이블먼트 툴체인, 경험부터 맞춤형 컨설팅 및 전문 서비스, 자동화 도구 및 플랫폼에 이르는 화웨이 클라우드의 체계적인 엔드투엔드 역량을 강조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업의 디지털•지능형 전환을 빠르게 가속하고 있다. 화웨이 클라우드는 전 세계 기업에 기술, 경험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과 함께 견고한 클라우드 파운데이션을 구축해 디지털•지능형 전환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며 지능형 시대로의 역사적인 여정을 시작할 준비를 마쳤다.

2025.09.21 06:10글로벌뉴스

엔하이픈 VR 콘서트, 3만명 관객 동원..."역대 최대 성적"

어메이즈VR은 글로벌 그룹 엔하이픈의 첫 번째 VR 콘서트 '엔하이픈 VR 콘서트 : 이머전'(ENHYPEN VR CONCERT : IMMERSION)이 지난 18일 국내 상영을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엔하이픈 VR 콘서트 : 이머전'은 오랜 침체기를 지나오고 있는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을 콘텐츠로 손꼽히는 등 개봉 직후부터 종영까지 유의미한 기록을 경신했다. '엔하이픈 VR 콘서트 : 이머전'은 지난 8월 8일 개봉한 후 약 3만 명의 관객을 동원, 평균 43% 내외 좌석 점유율을 기록하며, 국내 VR 콘서트 역사상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평균적으로 영화 좌석점유율이 30%만 넘어도 흥행작으로 평가받고 있는 가운데, 단일관 개봉에도 불구하고 해당 수치를 크게 웃도는 고무적인 기록이다. 무엇보다 '이머전'은 '눈앞 0cm' 초근접 체험으로 팬덤을 넘어 일반 관객층까지 사로잡으며 폭발적 반응을 이끌었다. 실제 관람객 평점은 9.9점에 달했고, “콘서트계의 혁명”, “실물보다 더 실감 난다”, “평생 VR 기기를 끼고 살고 싶다”는 찬사가 이어졌다. 일부 팬은 무려 9회차 관람을 기록해 화제를 모았다. 국내 성과는 곧바로 글로벌 확장으로 이어졌다. '이머전'은 지난 8월 21일 멕시코 시티 개봉을 시작으로 ▲홍콩(8/29) ▲오사카(9/5) ▲도쿄·나고야·후쿠오카·타이베이(9/12) ▲런던(8/29) ▲맨체스터(9/19) ▲베를린(10/16) ▲보훔(11/13) ▲하노이(10/2) ▲싱가포르(10/9) ▲가오슝(10/10) 등 아시아, 미주, 유럽 주요 도시 40여 곳에서 순차 상영된다. 이는 K-POP VR 콘서트 사상 최대 규모의 글로벌 프로젝트로, 엔하이픈은 세계 무대에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지난 17일 공개된 아티스트 리액션 영상에서는 멤버들이 직접 VR 콘서트를 체험하며 팬들과 감정을 공유했다. 정원은 “너무 가까워서 VR 기계를 벗을 정도였다. 모공까지 보였다”고 놀라움을 드러냈고, 희승은 “촬영할 때도 (카메라가) 코에 부딪힐 뻔했는데 영상에서도 그대로 나오더라”며 웃음을 자아냈다. 성훈은 “이런 기계가 나오다니, 세상이 많이 좋아졌다”, 선우는 “(화각이 넓어) 대기하는 모습까지 보인다”며 감탄했다. 또한 제이는 “살면서 제일 궁금했던 게 '내가 우리 콘서트를 보면 어떤 기분일까'였는데 이번에 해결됐다”며 의미를 더했다. 촬영 과정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공개됐다. 제이크는 “원테이크 촬영이라 틀리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지만, 열심히 했다”고 밝혔고, 희승은 “VR 특성상 동선을 좁게 짰는데 실제로 보니 훨씬 넓게 구현됐다”, 니키는 “곡마다 착장이 바뀌고 배경도 달라져 더 몰입감 있었다”고 전했다. 어메이즈 측은 "이번 '엔하이픈 VR 콘서트 : 이머전'은 어메이즈의 12K 초고화질 실사 촬영·언리얼 엔진 기반 VFX·AI 슈퍼 레졸루션 등 독자 기술력이 집약된 작품으로 평가된다"며 "아티스트의 숨결과 표정 하나까지 생생히 담아내며, VR 콘서트의 새로운 지평을 연 혁신적 무대로 기록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2025.09.20 23:52안희정

금융권 클라우드 204조원 시대…韓도 규제 풀고 '가속'

글로벌 금융 클라우드 시장이 급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 서비스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확산이 맞물리면서 금융사들의 인프라 전략이 빠르게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모습이다. 특히 국내 금융권은 규제 완화와 보안 가이드라인 개정 속에서 글로벌·토종 클라우드 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20일 시장조사기관 마켓스쿱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 클라우드 시장은 연평균 15.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33년까지 약 1천465억 달러(약 204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 확대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디지털 뱅킹 수요 증가 ▲모바일 금융 서비스 확산 ▲규제 준수를 위한 안정적 IT 인프라 수요 ▲생성형 AI를 비롯한 첨단 기술의 활용 등이 꼽힌다. 보고서는 특히 금융 클라우드가 단순 비용 절감 수단을 넘어 리스크 관리·규제 대응·고객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의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상황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한국IDC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공동 조사한 '2025 한국 금융권 클라우드 이용 현황'에 따르면 전체 금융기관의 92%가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보험·핀테크·암호화폐 기업이 100% 도입률을 기록했고 증권사(97%), 카드사(95%)도 대부분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있다. 현재 금융사의 IT 인프라 비중은 퍼블릭 클라우드 46%, 온프레미스 45%, 프라이빗 클라우드 10% 순으로 조사됐다. 오는 2028년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비중이 56%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금융사들의 클라우드 수요가 급증하면서 글로벌 IT 기업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AWS는 KB증권·신한카드·카카오페이손해보험 등 주요 금융사를 고객사로 확보하며 생성형 AI 기반 금융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클라우드도 금융보안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세일즈포스·SAP·워크데이·데이터브릭스 등 글로벌 기업들도 국내 금융권에 특화된 클라우드·AI 솔루션 제공에 적극 나서고 있다. 토종 클라우드 기업들의 대응도 만만치 않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금융권 특화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한국은행·미래에셋증권 등에서 구축 사례를 쌓고 있다. NHN클라우드는 신한EZ손해보험·신한투자증권의 핵심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했다.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활용해 KB금융·우리은행에 AI 기반 금융 서비스를 공급 중이다. LG CNS 역시 신한은행 차세대 뱅킹 시스템 구축과 미래에셋생명 IT 전환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규제 정비도 클라우드 확산에 힘을 싣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망분리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하면서 금융사들의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 문턱은 낮아졌다. 동시에 금융보안원은 최근 '2025 금융분야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가이드' 개정안을 발표해 금융사가 클라우드 사고 발생 시 최종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칙을 명확히 했다. 특히 출구전략·업무 연속성 확보 계획을 의무화해 금융사가 서비스 중단이나 제공업체 파산 같은 돌발 상황에 대비하도록 규정했다. 금융감독원도 전자금융감독규정 해설서를 8년 만에 전면 개편해 금융사의 클라우드 활용 절차와 보안 통제 항목을 대폭 강화했다. 다만 한국 금융 클라우드 시장은 여전히 초기 단계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글로벌 금융사의 클라우드 도입률이 80%를 넘는 반면 국내 금융권의 실제 활용률은 아직 10%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망분리 규제, 데이터 주권 문제, 레거시 시스템 교체 비용 등이 도입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클라우드는 금융 서비스 혁신과 AI 도입의 필수 인프라"라며 "규제 정비와 보안 역량 강화가 병행된다면 한국 금융 클라우드 시장도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20 18:04한정호

"N2SF, 다양한 민관 융합 정보서비스 창출"

국가보안기술연구소(국보연) 이택규 책임연구원은 19일 열린 '2025년 정보보호 교육 및 거버넌스 워크숍'에서"국가 망 보안체계(N2SF) 연구개발(R&D) 기술 개발은 대한민국 보안 거버넌스 실현의 초석"이라고 밝혔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날 'N2SF 중심의 조직 보안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보안기술 구현'을 주제로 발표했다. N2SF(National Network Security FRAMEwork)는 정부가 공공기관과 국가망의 보안을 새로 설계한 제도로, 기존의 망 분리 정책을 재편한 것이다. 클라우드, AI 같은 신기술 활용이나 데이터 공유 유연성 확보가 어렵다는 지적에 이를 수용, 새로 만든 것이다. 업무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등급별로 보안 통제를 달리 적용한다. 최근 국정원이 정식 가이드라인 1.0을 공개했고,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N2SF에 대해 "기술주도 AI 산업혁명을 위한 'AI 및 클라우드 고속도로'라고 말했다. 아울러 N2SF가 실현되면 ▲보안 기술 R&D 공백 제거 ▲국가 데이터 신기술 활용 활성화 ▲국가 정보인프라 AI·클라우드 플랫폼 활용 ▲보안등급(C·S·O)별 차등화된 보안대책 적용 등의 기대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한 국가 정보인프라 구현을 앞당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보안통제 항목에 따른 솔루션 개선 및 개발을 유발하고, 다양한 민관 융합 정보서비스도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업무 효율성 제고는 물론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및 보안성 강화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국가 공공기관에서 기존 망 분리 체제를 N2SF로 전환하려면, 기관들이 보호해야 될 자산과 공개할 자산들을 자발적으로 분류하여 자율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는데, 이는 N2SF 관련 지침 준수와 동반 정책 추진을 통해 실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 구현에 필요한 기술들을 산업계가 개발해서 국가와 공공기관도 AI와 클라우드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국가차원에서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는 'AI 러시' 시대다. 과거 골드러시 시대 때 사실 가장 많은 이득을 본 곳은 '청바지 회사'들이다"면서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현재 망분리 정책 하에서는 AI를 쓰기 어려운 만큼 N2SF는 가장 중요한 보안 이슈로 자리잡았다"고 평가했다.

2025.09.20 17:48김기찬

"정보보호 인력 13만 4300명...인력 부족 심각"

잇단 침해사고가 국내 기업 및 기관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보안인력 부족 문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학계에서도 이같은 문제를 체감하고 각 기관별 정보보호 인력 양성에 대한 활동 및 방안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19일 한국정보보호학회 정보보호교육연구회와 보안거버넌스연구회(회장 김태성 충북대 교수)가 주관한 '2025년 정보보호 교육 및 거버넌스 워크샵' 행사 중 '정보보호 인력의 스킬업 현황 및 계획' 패널 세션에서 정보보호 인력 부족 문제가 제기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정훈 팀장은 이날 "정보보호 인력은 전체 13만4291명인데, 정보보호 전공자는 계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인구 감소에 따른 사이버 보안 인재를 양적으로 늘려갈 수 있을지, 현재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이 된다"고 털어놨다. 이에 ▲KISA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서울여대 정보보호영재교육원 등 정보보호 관련 교육기관들은 각 기관별로 정보보호 인력 양성을 위한 자체 프로그램 및 교육 과정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고민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우선 이 팀장은 KISA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보보호 인재 양성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KISA는 정보보호 특성화대학교 지원, 융합보안대학원 지원 등 정규과정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또 신규 인재의 유입을 위해 중학교에서 고득학교로 이어지는 정보보호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며, 만 2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화이트햇 스쿨'을 통해 중급 수준의 인재 양성에도 나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정예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위해 차세대 보안 리더 양성 프로그램인 'BoB(Best of Best)'를 비롯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K-쉴드(K-Shield)' 등 프로그램도 운용 중이다. 이 팀장은 "KISA는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위해 많이 고민하고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여러가지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고, 국내의 특성에서도 한계가 있다는 점을 함께 극복해야 한다"고 짚었다. KISIA도 자체적인 정보보호 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했다. KISIA는 ▲개인정보보호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S-개발자 및 AI보안 기술개발 ▲ICT 융합 산업보안 ▲시큐리티아카데미 ▲온택트 융합보안 ▲정보보호 동아리 등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특히 시큐리티아카데미는 산업계 초급 인력 양성을 통해 직접 취업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총 6개월동안 교육이 진행된다. 향후 KISIA는 보안 트렌드를 반영한 산업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초급 인력 양성을 위한 선순화 체계를 구축하고, 교육 환경 기반을 조성해 보안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고도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국보연)는 사이버안보훈련센터에서 진행하는 공공 분야 사이버 보안 인식 제고 교육을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실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사이버공격방어대회 등 실무 중심의 대회 운용은 물론 국가정보원과 연계해 다양한 사이버 보안 관련 지침 등 '교과서'로 통용되는 가이드라인도 제시하고 있다. 김형종 정보보호영재교육원장도 정보보호영재교육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 과정에 대해 소개했다.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은 전국 4개 권역에 설치돼 있으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윤리 인성 교육과 함께 정보보호 분야 전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025.09.20 17:34김기찬

메타 'AI 안경' 레이벤 디스플레이, 직접 써보니

메타가 최근 공개한 디스플레이 내장형 스마트 글래스 '메타 레이벤 디스플레이'의 체험기가 속속 나오고 있다. IT매체 엔가젯을 비록한 외신들은 메타 레이벤 디스플레이의 실제 사용 후기를 전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엔가젯의 카리사 벨 기자는 여러 스마트 글래스를 체험해봤지만, 메타 레이벤 디스플레이가 사람들이 '스마트 안경'을 떠올일 때 상상하는 모습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했다. 안경 우측 렌즈에 20도 시야각 디스플레이가 탑재돼 있다. 이는 메타가 이전에 공개했던 증강현실(AR) 안경 오라이언의 시야각 70도 보다는 좁지만, 일상적으로 쓰기에는 더 실용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필요할 때 흘끗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것도 강점이라고 덧붙였다. 작은 화면 크기 덕분에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42화소로 더 선명해졌다. 자동 밝기 조절 기능 덕분에 안경을 쓰고 밖으로 나가면 오히려 더 뚜렷하게 보이며,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빛이 전혀 안 보이는 것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디자인은 투박한 AR 안경처럼 보이지 않고, 무게는 69g 2세대 메타 레이벤보다 약간 무겁고 두껍지만 큰 차이는 아니다. 손목에 착용하는 뉴럴 밴드는 손과 손목의 미세한 근육 움직임을 감지해 안경 조작에 활용된다. 이는 과거 오라이언 프로토타입에 사용됐던 밴드와 유사한 기능이다. 디스플레이에는 수신 문자, 내비게이션, 일정 정보 등이 표시되고, 안경을 쓰고 화상 통화도 했는데 대화 상대와 주변 환경을 또렷하게 볼 수 있어 만족스러웠다고 밝혔다. 특히 대화 포커스 기능의 경우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상대방의 대화를 실시간 자막을 볼 수 있었는데 바로 앞 사람과 대화하면서 실시간으로 자막이 뜨는 경험은 '초현실적'이었다고 평했다. 30분 남진 써 본 후 스마트폰을 직접 대체할 것 같지는 않으나 아주 편리했다며, 이 제품이 많은 사람들이 기다려왔던 스마트 안경의 시작처럼 느껴진다고 평했다. IT매체 더버지는 제품을 사용해 본 후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쯤 구글 글래스가 약속했던 것에 가장 근접한 제품”이라고 평하며 “지금까지 사용해 본 스마트 글래스 중 최고”라고 호평했다.

2025.09.20 17:17이정현

정명수 파네시아 "한국형 CXL 기반 '판 링크'로 AI 인프라 혁신"

[대전=전화평 기자] "파네시아(Panmnesia)는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로부터 시작해서 한국형 종합 링크 기술을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명수 파네시아 대표는 지디넷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AI 장치 및 가속기 간 연결은 결국 링크가 포인트인데 한국은 연결 반도체 기술이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파네시아는 차세대 AI 인프라를 위한 링크 솔루션을 개발하는 시스템 반도체 스타트업으로, 지난 2022년 설립됐다. 회사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주목되는 CXL을 베이스로 AI 인프라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파네시아, 한국형 연결 기술 '판 링크'로 AI 인프라 구축한다 파네시아가 제안한 한국형 연결 기술인 '판 링크(PanLink)'는 대규모 AI를 위한 풀스택 인프라 솔루션이다. 회사의 고도화된 링크 기술의 집약체로 IP(설계자산)부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시스템까지 포괄해 AI 인프라 구축 확장을 돕는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연결 없이 1천개 이상의 가속기나 메모리 장치들을 한꺼번에 연결할 수 있다. 정 대표는 "판 링크는 파네시아 링크의 줄임말"이라며 "대규모 AI 모델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GPU, 그리고 가속 시스템 장치들 간 빈번하게 발생하는 데이터 교환을 최적화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스택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초대규모 AI 응용을 처리함에 있어 저지연·고대역폭을 달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네시아가 한국형 링크 기술인 판 링크를 제안한 배경에는 AI 인프라 시장의 확장성 제한에 있다. 현재 시장 주류 기술인 대형 스케일 구조는 GPU 간 확장성에 제한되고, 병렬 처리 과정에서 병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PU, GPU, 메모리 간 연결이 자유로운 구조가 필요하다. 정 대표는 판 링크를 통해 가속기 링크와 차세대 링크들을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링크 아키텍처' 방식도 제안했다. 이 아키텍처는 NV링크(NVLInk), UA링크(UALink) 등으로 연결된 시스템을 CXL 스위치로 연결한다. 하이퍼스케일러 위주로 전환된 시장 변화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진정한 의미의 하이퍼스케일러라고 할 수 있는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 업체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까지 총 4개에 불과하다. 하이퍼스케일러는 방대하고 유연하게 컴퓨팅 인프라를 확장할 수 있는 아키텍처나 역량을 갖춘 거대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서비스 제공업체를 뜻한다. 일반적인 서버 업체는 개별 서버나 작은 규모의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하이퍼스케일러는 수십만 대의 서버를 운영하며 방대한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 대표는 "반도체 업체는 셀 수 없는 많은 양의 대중이 고객으로 있다가 아주 똑똑한 하이퍼스케일러 4명 밖에 없는 상황으로 바뀌게 됐다"며 "마켓 자체가 달라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의 반도체 뿐만 아니라 연결 기술에 대해 얘기를 할 때도 하이퍼스케일러가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CXL, 다음 시장은 차량용...로보틱스에도 적용 가능 AI 시대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며 서버의 속도는 경쟁력과 직결되기 시작했다. CPU, GPU,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CXL이 서버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장되는 이유다. 다만 그간 CXL은 서버 외 시장에서는 외면 받아왔다. PC, 모바일 등 소형 기기에는 추가 비용 대비 효율이 좋지 않은 탓이다. 아울러 CXL을 활용하기 위한 하드웨어 추가 비용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정 대표는 지금까지 서버 시장 안에 갇혀 있던 CXL이 차량용으로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그는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장거리 네트워크를 제거하면서도 운전 중 취합되는 개인 정보의 보안을 철저히 지킬 수 있는 링크가 필요하다"며 "차량에서도 소프트웨어를 최대한 배제하면서 검증이 가능하고 에러가 적은 수준으로 만드는 링크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기술은 로보틱스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자율주행 등 차량용 칩은 로봇에 탑재되는 칩과 유사한 형태를 띈다. 자동차용 칩은 결국 로봇에도 탑재 가능한 셈이다. 정 대표는 "로봇이나 우리가 피지컬 AI라고 부르는 것들에 (CXL이) 들어갈 수 있다"며 "작은 로보틱스 안에서 뭔가 계산을 한 다음에 서로 간에 교환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캐시일관성 규칙에 따라 데이터 이동이 없는 CXL을 활용하여 저전력·고효율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젊은 엔지니어 많아져야...같이 하는 사람들의 성공을 만드는 게 중요" 정 대표는 파네시아를 통해 젊은 엔지니어들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다른 영역과 달리 반도체는 돈이 천문적으로 많이 들어가는 일"이라며 "원가 비용이 몇 천억원인 경우도 많다. 리스크가 크다 보니 사실 기회의 공유가 젊은 분들에게 잘 일어나지 않으며 지역 편차가 매우 크다"고 밝혔다. 파네시아는 반도체 업체로는 유일하게 서울에 팹리스 오피스 그리고 대전에 실리콘 연구·설계 오피스들을 모두 운영하고 있다. 이 중 대전을 중심으로 실리콘 인력을 대거 확충함에 따라 국내에서 하나 뿐인 지방 중심의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모델을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중앙-지방간 균형 뿐만 아니라 고비용으로 인한 반도체 개발 경험의 기회가 부재한 젊은 엔지니어들을 많이 뽑고 육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정 대표는 "비경험자(젊은 엔지니어)가 경험자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파네시아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역할"이라며 "지역 균형 발전과 더불어 아직 경험이 부족한 젊은 엔지니어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함께하는 모든 이들의 성공을 이루고 싶다"고 포부를 전했다.

2025.09.20 14:21전화평

BRV캐피탈, 제타바이트 투자와 함께 '타이탄' AIDC 프로젝트 출범

샌프란시스코, 2025년 9월 20일 /PRNewswire/-- GPU 인프라 솔루션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 제타바이트(Zettabyte)가 9월 18일 글로벌 기술 사모펀드 BRV캐피탈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제타바이트의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되며, 전 세계 GPU 기반 컴퓨팅의 접근성•확장성•효율성을 혁신할 차세대 AI 데이터센터(AIDC) 프로젝트 '제타바이트 타이탄(Zettabyte TITAN)'의 출범을 뒷받침한다. 제타바이트 타이탄의 목표는 급변하는 AI 경제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인 고성능 GPU 자원 접근성 문제, 즉 공급망 병목 현상과 라스트마일 인프라 제약을 해결하는 것이다. 제타바이트와 BRV캐피탈은 타이탄을 공동 개발해 기업•연구 기관•정부가 전략적 거점 지역에서 엔비디아(NVIDIA) GPU 컴퓨팅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확장성, 지속 가능성, 비용 효율성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타이탄 이니셔티브는 급격히 증가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추론 워크로드, 차세대 AI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뛰어난 안정성과 성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BRV캐피탈의 투자는 첨단 반도체와 디지털 인프라의 글로벌 핵심 거점인 대만에서 제타바이트의 데이터센터 공급망 구축을 크게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케네스 타이(Kenneth Tai) 제타바이트 회장은 "AI 인프라의 미래는 유연성, 보안, 속도, 글로벌 확장성을 원칙으로 한 '소프트웨어 우선(software-first)' 전략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BRV캐피탈의 지원을 통해 제타바이트 타이탄은 현재의 수요를 충족하는 데 그치지 않고, AI 인프라 분야에서 총소유비용, 에너지 효율성, 운영 우수성의 새로운 기준을 확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콴 윤(Kwan Yoon) BRV캐피탈 최고투자책임자는 "제타바이트의 중요한 성장 국면에서 전략적 파트너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AI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입증된 제타바이트의 리더십과 BRV캐피탈의 글로벌 네트워크, 디지털 인프라 전문성이 결합되어 전 세계 신흥 디지털 경제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수준의 GPU 컴퓨팅 역량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파트너십은 AI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방증하며, 소프트웨어 기반 최적화와 최첨단 하드웨어를 결합해 탁월한 GPU 효율성을 구현하는 제타바이트의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잘 보여준다. 제타바이트는 글로벌 AI 생태계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인정받으며 전략적 파트너, 재무 투자자, 기업 고객을 꾸준히 확보해 나가고 있다. 제타바이트 소개 제타바이트는 GPU 인프라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서비스형 인프라(IaaS)와 서비스형 플랫폼(PaaS)을 종합 제공한다. 또한 제타바이트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GPU 효율화 소프트웨어 Zware™는 AI 기반 워크로드에서 탁월한 성능 최적화, 에너지 절감, 확장성을 구현한다. BRV 캐피탈 소개 BRV캐피탈은 기술, 디지털 인프라, 반도체 분야에서 입증된 투자 실적을 보유한 글로벌 기술 사모펀드 플랫폼이다. 북미, 아시아, 유럽 전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깊이 있는 산업 전문성과 운영 노하우,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성장 기업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93156/Zettabyte_Logo.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776264/BRV_Capital_Logo.jpg?p=medium600

2025.09.20 03:10글로벌뉴스

  Prev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韓 미래 바꿀 혁신 무대 열린다…30일 인공지능 주간 'AI페스타' 개막

점점 뜨거워지는 AI 데이터센터, 액침 냉각으로 식힌다

[써보고서] 오물얼룩·기름때 한 번에…로보락 'F25 울트라'

李대통령 "전 부처 전산시스템 점검, 다음 국무회의까지 보고해달라"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