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AI페스타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ai 渐变网格,ai音乐创作网站,生成ai视频的网站,ai放大图片网站,ai自动生成网页,等欢迎访问豌豆Ai站群搜索引擎系统官方网站:www.saweb.com'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4182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르포] AI·자동화로 인력·수율·리드타임 해결...LG이노텍 '드림 팩토리'

LG이노텍의 FC-BGA(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 생산 허브인 대구 구미에 위치한 '드림 팩토리(Dream Factory)'. 지난 17일 언론에 첫 공개된 드림 팩토리 내부는 여느 공장들에 비해 인력이 적은 여유로운 분위기였다. 자재 운반부터 검사 등, 공정 전반이 AI와 자동화 설비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드림 팩토리는 기존 공장 대비 인력을 50% 절감해 운영하고 있다. 이는 비용 효율성만이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드림 팩토리의 경우 초기 수율 향상에 필요한 기간을 절반이나 줄였으며, 제품의 리드타임(주문부터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 또한 최대 90% 단축했다. 드림 팩토리에서 만난 강민석 기판소재사업부 부사장은 "FC-BGA는 다른 기판들과 달리 평균 수율이 낮은 제품"이라며 "드림 팩토리를 통해 수율을 끌어올린 것이 LG이노텍의 차별화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LG이노텍이 FC-BGA 사업에 진출한 시기는 지난 2022년이다. 당시 LG전자로부터 구미4공장을 인수해 공장을 구축했으며, 지난해 2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다. FC-BGA는 반도체 칩과 기판을 '플립칩 범프(칩을 뒤집는 방식)'로 연결하는 패키지기판이다. 기존 패키지에 주로 쓰이던 와이어 본딩 대비 전기적·열적 특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총 2만6천㎡ 규모로 조성된 드림 팩토리는 업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팩토리로 평가 받는다. 전 공정을 자동화∙정보화∙지능화해, 작업자와 실패 비용, 사후보전 손실, 안전사고 등 생산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주 요소들을 방지했다. 로봇이 자재 운반·필름 제거도 '척척'…인력 50% 절감 FC-BGA 메인 공정 설비가 구축된 생산라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두 겹의 장갑, 마스크, 방진복 등을 필수로 착용해야 한다. 눈썹, 침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도 품질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깐깐한 사전준비를 거쳐 클린룸을 통과하면, 축구장보다 3배 큰 드림 팩토리가 마침내 모습을 드러낸다. 드림 팩토리 초입에는 공장 전체를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는 라인 모니터링 시스템(LMS)이 설치돼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가동 중인 생산라인과 제품 이동, 재고 상황, 설비 이상유무 등을 모두 관리한다. LMS실을 벗어난 뒤, 분주하게 돌아가는 설비들 사이로 자동로봇(AMR) 수십대가 자재를 운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 AMR은 원자재를 공정설비로 운반하는 일부터 가공이 끝난 제품을 다시 적재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패널에 붙어 있는 보호 필름을 벗겨내는 공정도 사람이 아닌 로봇의 몫이다. 이처럼 전 공정에 협동로봇과 같은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면서, 드림 팩토리는 기존 대비 50% 수준의 인원으로도 운영이 가능해졌다. 실제로 공장 내부에서는 사람을 마주치는 일이 드물었다. LG이노텍은 향후 해당 공장을 무인화 수준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자동화로 수율·리드타임 동시에 잡는다 LG이노텍은 제품의 양품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단계인 AOI(자동광학검사) 과정에 AI 딥러닝 비전 검사 시스템을 적용했다. 생산이 완료된 FC-BGA 기판 제품을 로봇이 쉴 새 없이 비전 스크리닝 검사대로 옮기면, FC-BGA 불량품 및 양품 데이터 수만 건을 학습한 AI가 육안으로는 잡아내기 어려웠던 미세 불량영역을 단 30초 안에 센싱해 낸다. 제품의 램프업(양산 초기에 수율 향상을 통한 생산능력 확대) 속도도 '팩토리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대비 절반이나 줄였다. 해당 기술은 설비를 구축하기 전 가상 공간에서 3D 모델링을 활용해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준다. 강민석 기판소재사업부 부사장은 "사람이 제품에 손을 대지만 않아도 이론적으로 훨씬 더 높은 수율이 나올 수 있다"며 "FC-BGA의 경우 수율이 평균적으로는 90%, 고난이도 제품은 50%까지 떨어질 수 있는데, LG이노텍의 드림 팩토리를 통한 수율 향상이 큰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드림 팩토리에서는 FC-BGA 생산과 관련해 하루에 20만개 이상의 파일, 100GB에 달하는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LG이노텍은 이 빅데이터를 지속 학습하는 AI를 불량 예측 및 검사 시스템에 적용해, 불량 발생으로 인한 리드타임(주문부터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였다. 나아가 LG이노텍은 2026년까지 생산 과정 중 발생하는 품질 이상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분석해, 자동으로 보정하는 공정 지능화 시스템(i-QMS, intelligent-Quality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할 방침이다. LG이노텍 관계자는 "AI 비전검사를 통해 리드타임을 최대 90% 단축하고, 샘플링 검사를 위해 투입하던 인원도 90%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2025.04.20 10:00장경윤

ETRI AI 기반 자율주행차 시승에 예약자 1만 명 몰리기도

AI 기반 자율주행차 시승 체험이 20일까지 진행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 사전 온라인 예약으로 진행된 시승 체험자는 300명을 모집하는데, 전국에서 1만 명이 몰렸다. 대전컨벤션센터(DCC) 주차장에서 자율주행차 탑승을 지원한 ETRI 자율주행지능연구실 김진우 선임연구원은 “울산, 수원, 원주 등 전국 각지에서 신청자가 쇄도했다”며 “자리 하나라도 확보해 자녀만이라도 경험하게 해주려는 부모들의 하소연도 이어졌다”고 전했다. 실제 자율주행 현장..."속도·반응 모두 자연스러워" 지난 19일, 실제 자율주행차 운행 현장을 따라가 봤다. 2대의 차량이 나란히 운행에 나섰고, 복잡한 도로 상황으로 인해 속도는 시속 30~40km 수준으로 유지됐다. 다른 차량이 앞에 끼어들더라도 자연스럽게 속도를 줄였다. 우회전 시에는 약 30~40m 전방에서 방향지시등을 켜고 서행했다. 전반적으로 차량 흐름을 방해한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이번 시승 차량은 총 3대. 1대는 현장 설명용으로, 나머지 2대는 시승 체험에 활용됐다. 차량은 현대 아이오닉을 개조했다. 1회당 시승자 3명을 태울 수 있어 주로 가족 단위 신청이 많았다. 왕복 9km, 약 20분간 가족 단위 체험 이 자율차는 지붕에 설치된 카메라, GPS 기기, 라이다 등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판단한다. 시승은 DCC-신세계백화점-KAIST 후문 구간 왕복 9km를 약 20분간 주행한다. 자율주행차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인지, 판단, 제어 기술이 통합 적용됐다. 차량은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복잡한 상황에서도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특히, 넓은 범위의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딥러닝 기반 인식 모델과, 주행 상황 판단 및 대응 로직, 안정적인 승차감을 위한 차량 제어 기술이 적용됐다. 민경욱 자율주행지능연구실장은 “도심과 외곽을 포함한 다양한 주행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현재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제 도로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기술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ETRI는 내년부터 대전과 화성의 리빙랩 지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실증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실제 주행 환경에서의 기술 검증과 시민 체험도 병행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관 로봇팔 댄스 관람객 몰려 국내 주요 R&D 기관이 모인 제2전시장 입구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관이 단연 눈에 띄었다. 관람객도 가장 많이 몰렸다. 로봇팔의 댄스 시연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발길을 붙잡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월면 분화구 모형을 통해 자원 탐색 및 채취 과정을 시연해 주목을 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로봇팔을 이용한 시약 이송 시연 등 바이오파운드리 장치 일부를 소개했으며, KAIST는 엔젤로보틱스의 워크온슈트 F1 및 엔젤슈트 H10 착용 체험행사를 진행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치과용 핸드피스 소음제어시스템 등을 전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50큐비트 양자컴퓨터 모형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 탐사 VR 및 누리호 발사 AR 체험을 각각 선보였다. 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수호대를 운영, 어린이들의 발길을 잡았다.

2025.04.20 09:58박희범

뤼튼 등 韓 AI 8개 업체, 중동 시장 '노크'

국내 인공지능(AI) 시장을 이끌고 있는 8개 업체들이 정부 지원을 받아 중동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아랍에미리트 아이티지원센터(UAE IT 지원센터)는 두바이 인공지능(AI) 주간에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두바이는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를 첫 AI 주간으로 지정해 콘퍼런스, 전시회, 경진대회 등과 같은 다양한 행사를 집중적으로 개최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정책 형성 ▲인공지능 기반 경제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적인 미래를 위한 인공지능 ▲인공지능을 통한 교육 혁신 ▲인공지능과 금융의 미래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의 미래 등의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특히 두바이국제금융센터(DIFC)에서 주최해 이달 23~24일 양일간 개최되는 '두바이 인공지능 페스티벌(Dubai AI Festival)'은 올해 2회째를 맞이하는 행사로, 콘퍼런스, 전시회, 워크숍 등으로 구성된다. 이 행사는 8천 명 이상의 비즈니스 리더, 500명 이상의 투자자, 100명 이상의 연사, 100개 이상의 기업 전시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두바이 인공지능 주간 내 개최되는 행사 중 유일한 유료 행사다. 지원센터는 두바이국제금융센터가 주관하는 두바이 인공지능 페스티벌(Dubai AI Festival)에 파빌리온 파트너로 한국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에는 딥노이드, 뤼튼테크놀로지스, 아이이에스지(i-ESG), 딥씨(Deepsee), 이지에이아이(EasyAI), 커즈글로벌, 컴플렉시온, 플라밍고(Flamingo) 등 국내 인공지능 기업 8개 사가 참여한다. 한국관은 40㎡ 크기로 조성되며 연단에 진입하는 동선 중앙에 위치해 방문객의 관심과 집객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종호 서울대 교수(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는 행사 주최 측으로부터 초청받아 '한국의 인공지능 정책과 저전력 반도체'라는 주제로 행사의 주요 연사로 나설 예정이다. 더불어 두바이 인공지능 주간에는 'AI 리트릿(Retreat)', '두바이 어셈블리 포 AI(Dubai Assembly for AI)' 등 원탁회의, 콘퍼런스, 포럼, 전시회, 경진대회들이 개최될 예정이다. 리벨리온, 노타에이아이(NOTA AI) 등 한국 인공지능 기업들은 주요 행사에 연사로 참여할 예정이다. 윤준배 지원센터장은 "지난 해 10월 두바이에 지원센터를 개소한 이래 중동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정보통신기술 기업에 ▲사무실 및 회의실 제공 ▲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 리더들과 협업 기회 마련 ▲현지 실증 지원 ▲법률 및 회계 세미나 개최 등을 추진해 왔다"며 "이번에는 한국 공동관을 운영해 현지 파트너 발굴, 마케팅 및 투자유치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내 기업의 중동 진출을 위한 전략적 플랫폼의 역할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2025.04.20 09:54장유미

일본 택시단체, 카카오모빌리티 찾았다...스마트 인프라 구축 협력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일본 택시단체 'X Taxi(크로스 택시)' 대표단이 지난 17일 오후 판교 카카오모빌리티 본사를 방문해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체험하고, '스마트 택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디지털 혁신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X Taxi에서는 키요카와 스스무 X Taxi 대표 등 10여명의 일본 택시업계 관계자가 동행했다. X Taxi는 일본 택시업계의 혁신을 목표로 지난 2020년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현재 도쿄를 비롯해 홋카이도, 치바현, 가나가와현, 오키나와현 등 일본 전역의 100여개 택시 회사 대표와 주요 관계자가 가입돼 있다. 이번 방문은 한국 택시 호출 서비스의 운영 과정에 관심이 많은 X Taxi측의 적극적인 요청으로 성사됐다. 실제로 X Taxi는 일본 택시업계의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 필수적이라 판단하고 있다.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카카오 T 택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다. 체계적인 '택시회사 관리 소프트웨어'와 운영 효율화를 위한 '무인 배차 키오스크', 일본보다 한국에 선제 도입된 '택시 앱미터기' 등 카카오모빌리티의 선진화된 디지털 전환 사례와 서비스 운영 노하우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X Taxi 대표단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기술에 주목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강남·세종·판교·서울·대구·제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한 자율주행 실증 경험, 서울시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에 최종 선정돼 운영 중인 '서울자율차', 디지털트윈 데이터 구축을 위한 차별화된 기술 등을 발표하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날 양측은 한국과 일본의 모빌리티 분야 교류 협력을 확대하고, 공동 디지털 이노베이션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도 함께 체결했다. ▲택시회사 관리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 배차 및 수요 예측 ▲외국인 친화적 승차 체험 제공 등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는 것이 골자다. 이처럼 심각한 고령화 문제로 운전기사는 물론, IT 인력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 택시업계가 카카오모빌리티의 디지털 전환 성공 사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비전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상호 협력을 약속하면서 앞으로도 양측이 긴밀하게 전략적 제휴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요카와 스스무 X Taxi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운영 과정, 그중에서도 기존 택시 업계와 상생하며 앞으로 다가올 '자율주행 생태계' 까지도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일본 택시 서비스에도 이러한 운영 모델과 AI 기술이 적용되면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번 X Taxi 대표단의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의 택시 서비스 관련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카카오모빌리티가 축적한 이동 데이터와 AI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양한 협업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2025.04.20 09:23안희정

[AI는 지금] 대선 후보들, AI 전쟁 돌입…누가 미래 기술의 설계자 될까

차기 대선을 두 달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등 주요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잇따라 인공지능(AI) 공약을 내놓고 있다. 각 당은 국가 주도와 민간 중심 사이에서 정책 방향을 달리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모양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대규모 공공 투자를 통해 AI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입장이다. 반대로 국민의힘은 민간 주도 생태계 조성과 규제 완화를 앞세우고 있다. 개혁신당은 기술 실현 가능성과 제도 설계의 우선순위를 강조하며 차별화에 나섰다. 이 같이 정당별 AI 전략은 공통적으로 '미래 산업 선점'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접근 방식과 실행 방향에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AI 복지국가 모델 꺼낸 이재명…더민주, 기술 공약 차별화 경쟁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들은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를 핵심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공통적으로는 국가 주도형 투자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세부 방향과 강조점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재명 후보는 'AI 세계 3대 강국'을 목표로 내세우며 100조원 규모의 공공 투자 계획을 밝혔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대통령 본인이 직접 주재하겠다는 구상은 정부가 정책 조정자이자 핵심 투자자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대표 공약은 '한국형 챗GPT'의 전 국민 무상 제공이다. AI를 공공재로 규정하고 의료·교육 등 사회 전반에 보급하겠다는 구상은 과거 무상급식·무상교통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기술 접근을 기본권으로 보고 AI 활용 기회를 국민 전체로 확장하겠다는 복지 모델의 연장선에 있다. 이 후보는 AI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적 거버넌스를 강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인공지능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협력 구조를 만들고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김경수 후보는 민관 공동투자 방식의 100조원 전략을 내세웠다.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원을 조성하고 필요 시 증세를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김동연 후보는 AI 스타트업 육성에 방점을 찍었다. 장기 펀드 조성을 통해 민간 혁신 주체의 자립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의 공약들은 전반적으로 정부 개입의 강도가 높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재명 후보가 AI를 사회 구조 전환의 수단으로 삼고 있고 김경수와 김동연 후보는 기술과 시장을 연결하는 실용적 해법에 가깝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팔란티어'부터 '게이트 프리'까지…국힘 대선후보들, AI 공약서 색깔 뚜렷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 역시 AI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며 첨단산업 정책 경쟁에 뛰어들었다. 제시된 투자 규모만 해도 수십조에서 200조원에 이르며 당 전체적으로는 민간 주도, 규제 혁파, 인프라 기반 조성을 기조로 삼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투자 계획을 제시한 인물은 한동훈 후보다. 그는 "의료, 로보틱스, 자율주행, 국방 드론 등 실용 AI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며 총 200조원 투자 공약을 내놨다. AI 인프라에 150조원, 생태계 조성에 50조원을 배정하겠다는 계획으로, 여야를 통틀어 가장 큰 규모다. 한 후보는 조직 개편과 인재 양성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미래전략부'라는 신설 부처를 통해 전담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교육과정을 개편해 AI 전문 인재 1만 명을 양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한국형 팔란티어'를 만들겠다는 전략은 산업과 안보의 융합을 고려한 설계로 풀이된다. 안랩 창립자 출신으로 과학기술 전문성을 강점으로 내세운 안철수 후보도 인프라 투자와 규제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AI 고속도로를 깔겠다"는 표현을 쓰며 데이터 인프라 확대를 강조했고 R&D 예산을 GDP의 5%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안 후보는 기반과 생태계 조성이 핵심이라며 실용주의 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홍준표 후보는 보다 실리적인 접근을 택했다. 그는 5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AI 외에도 양자컴퓨터 등 초격차 기술 전반에 대한 육성을 강조했다. '게이트 프리' 시스템과 규제 배제 구역 조성을 통해 민간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입장이다. 나경원 후보는 100조원 규모의 미래성장펀드를 통해 AI, 반도체, 우주 산업 전반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김문수 후보는 권역별 AI 융합센터 구축과 AI G3 국가 도약을 목표로 한 공약을 제시했다. 두 후보 모두 AI를 독립 공약보다는 거시적 기술 전략의 일부로 통합하고 있다. 이같이 국민의힘 후보들의 AI 공약은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는 지원한다'는 원칙 아래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동훈 후보는 정책적 리더십과 규모의 차별화를, 안철수 후보는 전문성과 실행력 중심의 설계를, 홍준표 후보는 규제 철폐와 민간 자율성을 각각 강조하고 있다. 이준석 "무상보다 제도"…개혁신당, 기술 실용주의 강조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이번 대선을 '보수와 진보'가 아닌 '과거와 미래'의 대결로 규정하며 기술 중심의 실용주의 노선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AI와 교육 등 미래 어젠다에서 비전이 일치한다면 진영에 관계없이 협력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일부 후보의 공약에 대해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AI 정책에서 대규모 예산보다 제도 설계를 우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례로 그는 최근 AI 학습에 있어서는 데이터 이용의 공정성과 사회적 합의가 핵심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정부가 갈등을 선제적으로 조율해야 산업 생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후보 간 기술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핵심 판단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재명 후보의 무상 AI 공약에 대해서는 "참 멍청한 생각"이라고 직격했고 한동훈 후보 역시 기술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반대로 안철수 후보에 대해서는 "진정성 있고 전문성 있는 지적을 한다"며 유일하게 긍정 평가를 내놨고 공개 토론 제안에도 긍정적으로 호응했다. 정치 연대에 대해서는 "단일화는 가볍게 제안할 사안이 아닌 사안"이라며 선을 그었다. 다만 기술 공약의 사실 여부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밝혀 정책 이슈 기반의 연대 여지를 남겼다. 업계 관계자는 "대선을 앞두고 AI 관련 논의가 활발해진 것은 산업계에도 의미 있는 흐름"이라며 "향후 정책 구체화 과정에서 실행력과 현실성이 함께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4.20 09:14조이환

[ZD SW 투데이] 한컴라이프케어, 경북 산불 소방장비 기부·정비 지원 총력 外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한컴라이프케어, 경북 산불 소방장비 기부·정비 지원 총력 한컴라이프케어가 경북 대형 산불 진화 현장에 사용된 공기호흡기 110대를 긴급 점검하고 정비를 완료했다. 이번 정비는 경북소방본부 요청에 따라 진행됐으며 성능 점검, 부품 교체, 세척 등으로 장비 신뢰성을 높였다. 한컴라이프케어는 전국 소방본부를 대상으로 무상 장비 점검도 연중 실시하고 있다. 회사는 이미 약 25억원 상당의 개인안전장비도 산불 진화를 위해 기부한 바 있다. ◆법무법인 태평양, 17년 연속 '일하기 좋은 로펌' 선정 법무법인 태평양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법률 전문지 ALB가 선정한 '올해의 일하기 좋은 로펌'에 17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ALB는 구성원 만족도, 경력 전망, 고용 안정성 등을 기준으로 로펌을 평가한다. 태평양은 매트릭스 조직 도입과 수평적 문화 등을 통해 건강하고 올바른 조직 운영을 추구해왔다. 현재 전 세계 7개 해외 사무소에서 약 870명의 전문가가 활동 중이며 다수의 국내외 법률 어워드에서도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인포뱅크 아이도키, 세븐틴 민규 이름으로 묘목 기부 인포뱅크 아이도키가 '온난화 식목일'을 맞아 아이돌 그룹 세븐틴 민규의 이름으로 묘목 35그루를 기부했다. 이번 기부는 '환경을 생각하는 아이돌' 테마 투표 결과에 따른 것으로 민규가 1위를 차지해 이뤄졌다. '온난화 식목일'은 서울환경연합이 주최하며 지구 온난화 문제를 알리기 위해 기존 식목일보다 앞당겨 3월에 진행된다. 아이도키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팬덤 문화가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 ◆몬드리안AI, 반도체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1차 성과 발표 몬드리안AI가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화학 및 기계적 평탄화(CMP) 부품 AI 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1차년도 성과를 공개했다. AI 플랫폼 설계, 스마트 장비 도입, 공정 지능화 기술 개발 등 핵심 과업을 수행하며 제조 공정 자동화 기반을 마련했다. AI 머신러닝 기반 운영(MLOps) 기술 '예니퍼(Yennefer) DX'를 활용한 플랫폼과 불량 검출 머신러닝 모델 개발로 품질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 향상에 기여했다. 몬드리안AI는 향후 AI 모델 고도화와 현장 적용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자율생산 전환을 앞당길 계획이다. ◆사이버링크, '파워디렉터' 프롬프트 영상 제작 AI 기능 도입 사이버링크가 파워디렉터 365에 텍스트 입력만으로 영상 제작이 가능한 '텍스트 기반 AI 비디오 생성' 기능을 도입했다. 스토리 입력과 화면 설정만으로 자동 영상 제작이 가능하며 AI가 내레이션도 함께 생성해 활용도를 높였다. 또 화자의 음색을 그대로 유지한 다국어 음성 번역 기능도 추가돼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10개 언어로 자연스러운 영상 번역이 가능해졌다. 이 기능은 크레딧 기반으로 제공되며 파워디렉터 최신 버전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25.04.20 09:11조이환

중기부, 추경예산 5조···'스케일업 팁스' 100억 투입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통상문제, 산불피해, 더딘 내수회복과 AI발 기술경쟁 등 당면한 대내외 위기 극복을 위해 2025년 추경예산안 5조 112억원을 마련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통상리스크 대응 지원 ▲민생회복지원 ▲AI 등 신기술 대응 지원 등 3대 분야를 중점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에게 집중 지원한다. ■ 수출 중소기업 통상리스크 대응 중점 지원 미국 관세 품목업종이나 대마 수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1000억원을 신설('25년 한시)하고, 금리우대와 거치기간 및 만기 연장 등의 차별화한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금 부담을 완화한다. 또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국 다변화, 신시장 진출 등에 필요한 자금 1천억원과 일시적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긴급 유동성 공급을 위한 자금을 5천억원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신속한 유동성 공급을 위해 신용보증기금(3.3조원) 및 기술보증기금(1.2조원)을 통해 총 4.5조원 규모의 '위기기업특례보증'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출바우처 사업에 898억원을 추가 투입해 수출 중소기업의 글로벌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고,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해외규격인증 획득을 위한 비용 지원을 위해 1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 소상공인 민생회복 위한 다양한 사업 신설 지원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용(공과금, 보험료) 부담 완화 및 유동성 제공을 위해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크레딧(50만원)을 지원하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신규사업을 1.57조원 규모로 신규 편성했다. 지원대상은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 311.1만명이다. 지원액은 최대 50만원이다. 민생경제 핵심인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출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카드소비자의 전년 대비 증가한 카드소비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예산을 1.37조원 편성했다. 지원조건(안)은 2024년 월평균 대비 2025년 하반기 중 특정월 소비 증가분, 1인당 월10만원 한도내에서 이뤄진다. 단기 운영자금 마련이 원활하지 않았던 중·저신용 소상공인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1000만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를 발급해 사용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도 신설한다. 이 카드는 무이자 6개월 할부 혜택을 제공해 금융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단기 운영자금 확보가 어려웠던 중·저신용자에 대한 정책 공백도 해소한다. 지원대상은 신용점수 595~839점 소상공인 7만명, 지원한도느 1천만원이고 무이자 최대 6개월에보증비율 90%다. 이 외에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사업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000억원 규모로 추가 확대하고,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을 확대한다. 소상공인의 신속한 재기를 위해 점포철거비 지원 및 재기사업화를 위해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494억원을 추가 투입하고, 경기악화 및 매출감소 등으로 위축된 전통시장 및 상점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를 5개월간 추진하여 소비활성화 분위기를 조성한다. ■ AI 분야 중기 기술혁신 스케일업 지원 및 스마트공장 AI기술 도입·활용 추진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AI 분야 유망 기술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본격적으로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민간투자와 연계한 R&D 프로그램인 '스케일업 팁스'를 확대한다. '스케일업 팁스'는 민간이 스케일업 단계 유망 기업 발굴해 10억원을 선(先)투자하면 정부가 R&D 자금을 지원하고, 우수성과기업에는 지분투자 방식으로 연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AI 기술이 중소 제조현장에 적용·확산될 수 있도록 제조로봇, 공정자동화 구축 및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을 지원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금번 추경 예산안을 통해 미국 관세 조치, 산불피해, 침체된 내수경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난 해소와 활력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4.20 08:52방은주

[디플정 기고①] 그동안 무엇을?···"혁신적 서비스 모델 성공 제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윤 정부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인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도 표류하고 있다. 관련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고, 2기 민간위원회 출범도 기약없이 미뤄졌다. 디플정은 공공부문 데이터 칸막이를 제거, 각 부처 및 기관에 산재한 1만7000여개 정보시스템의 사일로(silo)를 풀어, 곳곳에 막혀있던 데이터를 흐르게 하는 데 역점을 뒀다. 이를 통해 공급자 중심의 디지털정부에서 한발 더 나아가 국민과 기업이 수요자이자 공급자로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추구했다.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공공의 데이터와 민간의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결합, 시너지를 내게 한 것이다. 디플정위원회 설립 근거는 대통령령이다. 당초 존속 기한은 2027년 6월30일까지다. 지속 여부는 차기 대통령 손에 달려있다. 존속 여부와 관계없이 올해도 디플정위원회는 돌아간다. 올해 9000억 넘는 예산을 배정받아 연내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식 예산을 배정받지 못해 임시예산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AI위원회와 다른 부분이다. 당장 다음달에도 디플정 핵심 사업인 플랫폼 구축 본 사업이 발주가 날 예정이다. 디플정위원회는 지난 2022년 9월 출범했다. 2년 6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무슨 일을 했으며,향후 행방은 어떻게 될까. 이승현 디플정위원회 AI플랫폼혁신국장이 본지에 디플정과 관련한 장문의 기고를 보내왔다. 이를 5회로 나눠 게재한다.(편집자 주) (1) 디지털플랫폼정부 어디까지 왔나 인공지능(AI) 시대 도래와 함께 정부의 운영 철학과 서비스 방식이 근본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이하 디플정)는 단순한 전자정부, 디지털정부의 연장선이 아니다. 정부와 국민, 민간이 함께 혁신을 만들어가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이다. 본 연재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성과와 향후 과제를 5회에 걸쳐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인공지능, 클라우드, 공공AX, 보안 혁신 등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그 진화의 흐름과 방향성을 조망하려 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왜 지속되어야 하며, 앞으로 어떤 비전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이하 디플정위)는 지난 2022년 9월 출범했다. 지난 2년 6개월 동안 우리 정부 시스템의 패러다임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한 행정 혁신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여정이었다. "그동안 무엇을 했냐?"라는 질문을 자주 받지만,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애초에 10년을 내다보고 구상한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중이었기에, 2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눈에 완전히 띄는 혁명적인 성과를 보여주기는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두 가지 핵심 영역에서 분명한 성과를 거뒀다. 첫째, AI 시대를 위한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을 확고히 구축했다. 둘째, 다양한 실증사업과 시범사업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제시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전자정부와 디지털정부의 다음 단계를 제시하는 패러다임이다. 종이문서와 대면 처리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전산화하고 온라인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전자정부 시대는 행정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주로 목표로 삼았다. 디지털정부로 진화하면서 초점은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제공으로 이동했다. '정부24'와 같은 대국민 서비스 창구를 통해 국민 편의성을 높였지만, 여전히 서비스의 설계와 제공을 정부가 주도하는 공급자 중심 모델이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근본적인 변화를 제시했다. 챗GPT 등장으로 촉발한 AI 시대와 맞물려 정부와 국민, 민간이 함께 혁신하는 양방향 정부로 진화하고 있다. 정부는 이제 모든 서비스를 직접 설계하고 제공하는 공급자가 아니라, 핵심 데이터와 인프라를 개방하고 민간의 창의성과 기술력이 꽃필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는 촉진자(enabler)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본질은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 혁신하는 생태계 조성에 있다. 정부가 데이터를 개방하고 여기에 민간의 혁신 기술을 결합하면 창의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또 국민은 적극적인 참여와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 개선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정부의 한정된 자원으로도 국민의 다양한 필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전자정부 평가에서 세계 1~3위를 기록해왔지만, 결과적으로 1만7090개의 사일로화된 정부 정보시스템과 기술부채가 클라우드 기반의 AI 혁신에 장애물이 되는 아이러니가 존재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해 제안됐다. 디플정위의 가장 주목할 성과 중 하나는 정부의 기술 수용 방식과 데이터 활용 패러다임의 혁신적 전환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우선원칙(Cloud Native First)을 적용해 기존의 정부클라우드 중심 인프라를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AI 시대에 정부 시스템이 신속히 대응하고 민간의 혁신 기술을 적시에 활용할 수 있는 견고한 기반이 마련됐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지속적 통합과 지속적 배포(CI/CD), 컨테이너 기술 등 최신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을 적극 도입해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정부 시스템의 개발, 배포,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국민의 필요와 기술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DPG허브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 인프라다. 1만 7천여 개의 사일로화된 정부 시스템과 민간의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연계·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을 목표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융합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하는 생태계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민간 클라우드 중심의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조만간 정부 내부 시스템 연계 및 통합을 위한 2단계 사업을 시작한다. DPG 허브를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 실시간 대응 시스템, 중소기업 맞춤형 정책 정보 안내 서비스, 응급의료 대응 체계 개선 등 국민 체감형 서비스가 올해 공개될 예정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또 다른 주목할 성과는 공공부문 초거대 AI 개발 및 활용지원 사업이다. 디플정위는 공공AI의 목표를 '사회문제 해결', '대국민서비스 향상', '일하는 방식 혁신'이라는 세 가지로 설정하고, 이에 맞춰 300여 개의 실증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왔다. 그 결과 100여 개가 넘는 유의미한 성과들이 도출됐고, 이는 민간 기업이 수익성만을 고려했다면 시도하기 어려웠을 공익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지체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돕는 멀티모달 AI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음성, 텍스트, 이미지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이 더욱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 '느린학습자 조기 발견 서비스'는 AI 기술을 활용해 학습 발달 지연 징후를 조기에 식별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격차를 해소한다. 청년농업인 지원 서비스는 농업 분야의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청년 농업인들에게 AI 기반의 맞춤형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하며, 산업 현장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전GPT'와 AI 근로감독관 서비스는 위험의 외주화 문제를 해결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혜택알리미와 같은 AI 에이전트 도입은 선제적이고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의 대표 사례다. 정책과 지원 사업 정보를 국민이 직접 찾는 수고를 덜고, 개인 상황과 필요에 맞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안내, 정책 효과성과 체감도를 높이고 있다. 종국적으로는 전 국민이 초개인화된 혜택알림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플랫폼'도 중요한 성과물이다. 수많은 전문가들 논의와 ISP를 거쳐 올해 10월쯤 구현될 이 플랫폼은 각 부처별로 개별적인 AI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중복 투자와 사일로화를 방지하고, 국가 차원의 효율적이고 일관된 AI 활용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단일모델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AI모델이 착탈될 수 있는 구조고, 공통 RAG와 기관별 RAG를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국민은 한 곳에서'라는 목표로 범정부 통합서비스 창구 구축 노력도 진행 중이다. 정부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정보를 한 곳에서 편리하게 신청 및 이용하는 '원사이트 토탈 서비스' 구축도 올해가 목표다. 초기에는 주요 행정 서비스 통합 창구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모든 정부 서비스와 정보를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기술 인프라 혁신을 넘어 '관료주의 혁파'라는 근본적인 행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핵심 원칙으로 'Digital by Design'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서비스 설계나 법제도 입안 단계부터 디지털을 기본값(default)으로 두고, 법과 제도, 업무처리 방식 자체를 다시 설계하는 접근법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문서주의' 관행 타파다. 정부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국민에게 다시 요구하는 비효율적인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행정정보 공동이용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한 자기정보 활용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오는 2026년까지 구비서류 완전 제로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이 계획은 국민의 행정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다. 복잡한 인허가 문제 해결도 디플정위의 주요 성과 중 하나다. 지자체별, 기관별로 상이한 인허가 진행 방식은 그동안 국민과 기업에게 큰 불편을 초래해왔고, 이로 인해 브로커나 대행사에 의존하는 불투명한 관행이 만연했다. 디플정위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편 인허가 서비스를 구현해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투명하고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관료주의 혁파 노력은 세계적인 추세와도 맞닿아 있다. 올해 세계정부정상회의(WGS)에서는 '관료주의 혁파'가 핵심 의제로 다루줬고, AI를 통해 복잡한 행정절차와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겠다는 각국의 구상이 공유됐다. 이처럼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단순한 정부 혁신 프로젝트가 아닌,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인프라이자 운영 철학이다. 그 본질은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빠르게 혁신하는 민간 기술을 활용하고, 혁신 기술을 견인할 데이터를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정부와 민간의 공진화를 이루는 데 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일시적인 프로젝트가 아닌, 정부와 국민, 기업이 함께 만들어가야 할 미래다. 기술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국민 중심, 데이터 기반, 민관 협력이라는 핵심 가치는 변함없이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가치를 중심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비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우리는 더욱 효율적이고, 투명하며, 국민 중심의 정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연재 순서 (1) 디지털플랫폼정부 어디까지 왔나 (2) DPG허브와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플랫폼 (3) 공공AX와 DPG의 AI 서비스 실증사례 (4) AX시대의 신보안체계와 망분리 혁신 (5)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지속돼야 하는 이유

2025.04.19 23:57이승현

제5회 중국국제소비재박람회(CICPE), 7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4100개 이상 브랜드 전시

하이커우, 중국 2025년 4월 19일 /PRNewswire/ -- HIMC의 보도: 4월 13일, 제5회 중국국제소비재박람회(China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Expo, CICPE)가 하이난성의 성도인 하이커우에서 개막했다. 올해는 70여 개 국가 및 지역에서 17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해 4100개 이상의 브랜드를 선보였다. On Apr. 13, the guest country of honor UK Pavilion opened at the 5th China International Consumer Products Expo. 5회 연속 CICPE에 참석하는 비뉴롱 뒤 카스텔라(Vignerons du Castelas)의 라멜 프랑수아 펠릭스(Ramel François Félix) 최고경영자(CEO)는 "하이난 박람회를 통해 중국 소비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4년 동안 그는 박람회에서 100명 이상의 중국 비즈니스 파트너를 만나 사업을 크게 확대할 수 있었다. 중국 유일의 국가급 소비재 테마 박람회인 CICPE는 중국의 거대한 시장 규모를 바탕으로 참가 기업에 매우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박람회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다. 슬로바키아, 싱가포르, 브라질 등 여러 국가의 전시단이 처음으로 참가했고, AI와 저고도 경제를 위한 특별 전시 공간이 새롭게 마련됐다. 또한 온라인 사전 매칭과 오프라인 심층 컨설팅을 결합한 새로운 수요•공급 매칭 모델도 선보였다. 엑스포의 중반부인 4월 16일 현재, 총 1500억 위안(미화 205억 6000만 달러) 규모의 거래 계약이 이미 성사됐으며, 3차례 공식 수요•공급 매칭 회의를 통해 52건의 프로젝트 계약이 체결됐다. 이 중 20건은 국가별 세션에서 체결됐으며, 중국과 해외 참가 기업들은 다양한 조달 및 거래 프로젝트에 대한 합의를 도출했다. 올해 박람회에서 하이난 역시 새로운 주문과 협력 계약을 대거 유치했다. 자율 주행, 스마트 교통 인프라, 스마트 여행 서비스 분야에서 다수의 프로젝트 계약이 이루어졌다. 항저우의 유니트리 로보틱스(Unitree Robotics)는 다양한 로봇 제품을 전시했으며, 대학 수준의 과학 연구, 공공 보안 순찰 등 여러 분야에서 하이난으로부터 많은 수주를 받았다. On Apr. 17, Hangzhou's Unitree Robotics G1 Robot extended an 'AI hand' to the audience in the AI exhibition area in Hall 1 of the Expo. 포선 투어리즘 그룹(Fosun Tourism Group)은 하이난 싼야 하이탕완(Haitang Bay)에 대규모 관광•문화 프로젝트인 울트라메드(ULTRAMED)가 개장한다고 발표했다. 행사장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도 개방적인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 과거와 달리 많은 해외 참가 기업과 바이어들은 비자 신청 없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는 하이난의 59개국 무비자 입국 정책과 중국 전역에 적용되는 양자 및 단독 비자 면제 정책이 결합되어 총 77개국 여행객이 하이난에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이난에서는 국경 간 서비스 무역을 위한 특별 관리 조치와 외국인 투자 접근을 위한 시장 접근성 확대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하이난성은 하이난자유무역항(FTP)의 특수한 여건에 부합하는 국내외 투자 접근 통합 모델 모색 및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는 FTP에 특별 세관 업무를 신설할 예정이다. EY 차이나 사우스(EY China South)의 윌리엄 황(William Huang) 매니징 파트너는 "하이난의 제도적 개방성의 이점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으며, 이는 더 큰 점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CICPE가 제공하는 기회와 하이난 FTP의 유리한 개발 조건 덕분에 더 많은 다국적 기업이 하이난 진출을 확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19 21:10글로벌뉴스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에서 '장수•정밀 의료 선언문' 발표돼

정밀 의료와 장수 과학 진전 위한 실행 가능한 프레임워크 수립 선언문은 장수 과학과 정밀 의료가 건강한 지역 사회 지원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강조하며, 리더들이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협력하고 글로벌 동료 간 합의를 이끌어내며 장기적 해결책에 투자할 것을 권고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는 주요 의료 및 학술 기관을 한자리에 모아 건강 결과를 재정의하고 개선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의료 과제들에 대한 공통된 인식 공유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2025년 4월 19일 /PRNewswire/ --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Abu Dhabi Global Health Week, 이하 'ADGHW')에서 '장수•정밀 의료 선언문(Declaration on Longevity and Precision Medicine)'이 발표됐다. 이로써 전 세계 의료 서비스 제공 및 연구를 혁신하기 위한 역사적인 이정표가 세워졌다. Declaration on longevity and precision medicine launched at Abu Dhabi Global Health Week 발표된 선언문은 세계 최초의 장수•정밀 의료 분야 이니셔티브로, 주요 국제 보건 기관, 학술 기관, 업계 선도 기업들과 협력해 마련됐다. 선언문은 정밀 의료와 장수 과학 발전을 가속하기 위한 핵심 원칙을 제시한다. 선언문 발표 행사에서 만수르 이브라힘 알 만수리(Mansoor Ibrahim Al Mansoori) 아부다비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 Abu Dhabi, 이하 'DoH') 의장은 "건강한 인구는 건강한 지역 사회의 초석이며,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이번 선언문 발표를 계기로 글로벌 리더들은 책임감을 갖고 신기술을 활용해 정밀 의료 혜택을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도록 힘을 모을 것이다. 건강이 국경을 초월한 중요한 이슈라는 점에서 우리는 실행 가능하고 장기적인 해결책을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된 이 선언문의 목표는 개인 맞춤형 치료의 도입을 촉진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연구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선언문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0년에 달하는 건강 수명과 기대 수명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인류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강조한다. 선언문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2050년까지 60세 이상 인구가 21억 명으로 지금보다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발표됐다. 이와 동시에 2023년 810억 달러에 머물렀던 정밀 의료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750억 달러 이상으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선구적인 규제 프레임워크, 정밀 의료에 대한 투자, 세계 최초로 라이선스를 취득한 건강 장수 의학 센터(Healthy Longevity Medicine Centre)와 같은 혁신적인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지역 및 글로벌 장수 시장을 선도하는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다. 2020년 190억 달러였던 UAE의 장수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320억 달러로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선언문에는 장수 과학,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기술, 맞춤형 치료법 등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담한 약속이 담겨있다. 선언문은 ▲연구와 혁신 촉진 ▲협력과 지식 공유 강화 ▲교육과 인력 개발 투자 ▲지원 정책과 규제 옹호 ▲윤리와 책임 있는 실천 준수 ▲장수 연구와 그것이 건강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중의 관심 유도라는 6가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ADGHW에서 보건부가 주관한 공식 서명식에는 M42, 마스다르 시티(Masdar City), 퓨어헬스(PureHealth), 일루미나(Illumina), 뉴욕 대학교 아부다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알다르(Aldar), 어린이 국가 병원(Children's National Hospital), 버질(Burjeel), 필라델피아 어린이 병원(Children Hospital of Philadelphia), 아부다비 건강 생활 연구소(Institute for Healthier Living Abu Dhabi•IHLAD)가 참여했다. 이 이니셔티브의 전략적 파트너인 PwC 중동(PwC Middle East)은 선언문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리나 샤디드(Lina Shadid) PwC 중동 건강 산업 리더는 "장수•정밀 의료에 대한 이번 선언문은 AI, 유전체학, 정밀 의료를 주류 의료 행위와 건강 생태계 안으로 통합해 전 세계적으로 삶의 질을 혁신할 의료 기술 도입을 가속하기 위한 글로벌 로드맵을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선언문은 아부다비가 지식 공유, 연구 투자, 신기술 통합을 통해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노력의 결과이다. 보건부는 전 세계 전문가와 기관을 한데 모아 개인 맞춤형 및 예방적 치료를 우선시하고, 전 세계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밀 의료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전 세계 정부와 보건 기관 및 관련 이해관계자들은 이 선언문에 서명할 것을 권장한다. 선언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www.adghw.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ADGHW는 보건부의 주요 정부 이니셔티브로, '장수를 위한 건강과 웰빙의 재정의(Towards Longevity: Redefining Health and Well-being)'라는 주제로 혁신과 협력을 촉진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예방적, 개인 맞춤형, 통합적 치료를 중심으로 한 선제적 접근 방식을 통해 커뮤니티 중심의 건강과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디어 문의나 인터뷰 요청은 아래 연락처 참조. 마룬 파라(Maroun Farah), 시니어 미디어 관계 매니저, 웨버 샌드윅(Weber Shandwick) 이메일: mfarah@webershandwick.com 전화: +971 55 166 2557 미디어 문의 마이람 알 마르주오키(Mariam Al Marzooqi) 이메일: msalmarzooqi@doh.gov.ae 전화: +971 50 536 6660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8417/Declaration_on_longevity_precision_medicine.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66335/Abu_Dhabi_Global_Health_Week_Logo.jpg?p=medium600

2025.04.19 21:10글로벌뉴스

롬팩 "친환경 소재 기반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시장 선도"

"롬팩(ROMPACK)은 지속가능성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디자인 스튜디오다. 일상의 소비가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믿음 아래, 이를 브랜딩과 제품을 통해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자체 브랜드의 콘텐츠와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제품으로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제안한다." 박계현 롬팩 대표는 이 같이 말하며 "우리 목표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글로벌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2012년 1월 설립된 롬팩은 2017년 12월 법인으로 전환됐다. 설립자인 박 대표는 한국IT여성기업인협회 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3년 8월부터 협회 활동을 통해 최신 IT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있다"면서 "선후배 여성 리더들의 귀중한 경험과 통찰을 배움의 자원으로 삼아, 개인적이며 조직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IT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어 혁신을 가져오는 것을 목격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융합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실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롬팩 설립 전, 2003년부터 캐릭터디자인 회사와 온라인게임 회사를 거쳐 4년간 대구 게임아카데미에서 근무하며 게임개발 강의를 했다. "당시 강의가 너무 재미있고 보람됐다. 즐겁고 안정적이였다"는 박 대표는 "하지만 더 큰 도전이 필요하다고 느껴 강의를 그만뒀다. 잠시 휴식기를 가진 후 서울로 상경을 고려했으나 생각이 바뀌었다. 결국 직접 만들고 싶은 캐릭터를 개발하기 위해 대구에서 롬팩을 설립했다"며 창업 배경을 설명했다. 박 대표가 롬팩을 설립하던 시기, 세계적으로 유명한 캐릭터 대부분은 미국과 일본에서 만들었다. 이런 캐릭터들은 어린이 뿐 아니라 '키덜트(kid+adult)'로 불리는 어른들에게도 사랑을 받았다. 박 대표는 이 상황에 대해 "왜 우리나라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사랑받을 수 있는 키덜트 캐릭터가 없을까?"라고 의문을 품었다. 이에 한국의 콘텐츠 개발 역량과 우수한 인재들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캐릭터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롬팩을 창업했다. 이 결정은 한국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는 캐릭터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에서 비롯됐다. 회사 이름 '롬팩'은 콘솔 게임기에서 영감을 얻어 지었다. 게임기에 꽃아 게임을 실행하는 네모난 플라스틱 팩 이름이 '롬팩'이다. 박 대표는 "작은 플라스틱 팩 안에 광대하고 재미있는 세계가 담겨 있다는 점이 신기했다. 그래서 내게 '롬팩'은 새로운 세계를 기대하는 동시에 기분을 고양시키는 특별한 의미의 오브젝트로 각인됐다"고 설명했다. ■ IT서 제조업으로 확장 롬팩은 초기에 키덜트 대상 캐릭터 브랜드 '토크돌즈(TalkDolls)'를 론칭, 관련 영상 메시지 전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이 브랜드는 '공감을 이야기하다'라는 슬로건하에 이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며, 유니크한 비주얼 콘셉트의 '글리터아이즈(Glitter Eyes)'를 지닌, 개성 넘치는 16명의 남, 여, 로봇, 동물 캐릭터들로 구성됐다. 토크걸즈, 토크보이즈, 토크패밀리 시리즈는 키덜트들이 공감할 수 있는 '모던 판타지 휴먼 라이프스토리'를 제공한다. 당시 롬팩은 전시회를 위해 자체적으로 굿즈를 제작하면서, 제품 개발의 매력을 깊이 느꼈다고 한다. '토크돌즈'에서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철학적인 프로그래머 '칸'이 개발한 인공지능 로봇 '오토마타'는 머리에 심은 식물을 길러 땅에 심는 일을 반복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 아이디어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생각하며 단순하지만 근본적인 접근 방식에서 비롯됐다. 박 대표는 "현재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나 현상들을 자연스럽게 녹여내 가며 스토리를 이어나가고자 했는데 그 욕심이 제품 개발에도 적용된 것 같다. 이후 친환경 소재들을 접하게 됐고 그 가치에 더욱 매료됐다. 그래서 무엇을 기획하더라도 친환경적 요소를 기본적으로 생각하게 됐다"고 들려줬다. 롬팩은 원래 캐릭터 콘텐츠를 개발하는 회사로 출발, 점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사업을 확장하고 제조업으로의 전환을 이뤘다. 현재는 '달스답(Daalsdaap)' 브랜드에 집중하며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롬팩은 다양한 친환경 브랜드를 운영하며 여러 제품을 시장에 선보였다. 박 대표는 "'토크돌즈'의 철학적인 프로그래머 '칸'의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제품은 식약처 허가를 받은 '포쉬 KF94 마스크(POSH KF94 MASK)'와 100% 사탕수수 PLA를 사용한 '비비엑스 플레이어(BBX PLAYER)'다. '포쉬 KF94 마스크'는 친환경 잉크로 프린팅하며, 국내 최고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생산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 '비비엑스 플레이어'는 항균력이 99.9%에 달하는 사탕수수 PLA 항균 생활용품으로 생분해성을 가진 이 소재는 다른 친환경 소재들과 함께 사용, 합성소재의 사용성에 버금가는 친환경 프리미엄 제품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이런 노력은 롬팩이 친환경 제품 개발을 선도하며 업계에서 차별화한 위치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롬팩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달스답(daalsdaap)'은 혁신적인 기술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프리미엄 냉감침구다. "건강의 시작은 잘 자는 것"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개발했다. 고기능성 냉감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시원한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환경 보호에 기여하기 위해 제작했다. 회사는 '달스답'을 앞으로 캠핑용품, 반려동물용품, 의류 등으로 확장해 제공할 계획이다. 롬팩은 최근 본사를 대구에서 서울로 이전했다. 더불어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글로벌 시장확대 계획도 세웠다. 박 대표는 "개인적으로 예전 서울 상경을 목표로 하던 계획을 이뤄 감회가 새롭다"면서 “섬유의 도시 대구에서의 풍부한 인프라와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마케팅 활동을 한층 강화하며 더 넓은 시장에 진출하고 고객 기반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롬팩은 창업 초기부터 국내외 전시회와 수출상담회에 참여하며 브랜드를 국제적으로 알려 왔다. 특히 2020년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보건용 패션마스크 '포쉬 KF94 마스크'로 큰 성공을 거두며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이 제품은 FDA 인증을 받은 안전성 높은 품질과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현지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작년에 냉감침구 전문 브랜드 '달스답'을 새로 론칭했고, 올해는 이 브랜드를 해외 시장에 본격 선보인다. 기존 미국 파트너사 뿐 아니라 MOU를 체결한 신규 이탈리아 파트너사와 함께 마켓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북미와 유럽 시장을 시작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 대표는 "지구 온난화 현상에 따른 무더위에 대응, 달스답의 냉감침구 제품을 세계 곳곳에서 제공, 쾌적한 수면환경을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베트남서 열리는 전시회 참가 등 해외 진출도 박차 또 롬팩은 오는 24~26일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리는 '글로벌 소싱페어 베트남 2025'와 다음달 8~11일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더 메종 2025' 등 다양한 국제행사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수출바우처 사업과 해외지사화 사업을 통해 '달스답'의 해외 시장진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롬팩이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혁신적인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박 대표는 “달스답은 100% 국내산 고품질 소재만을 사용해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이슈를 최소화해 고객우선의 제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달스답'이 채택한 '휴비스'사의 '듀라론-쿨' HDPE는 강한 내화학성과 내오염성, 위생성에서 뛰어나며, 장기간 사용해도 변형이나 손상이 적다. 이러한 고품질 소재 선택은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며, 피부가 민감한 고객들에게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박 대표는 설명했다. “달스답은 시간을 초월한 레트로 무드와 세련된 현대적 감성의 만남”이라면서 “기획 단계에서 고객들이 선호하는 미적 요소를 충족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미드센추리 모던 스타일의 유려한 곡선과 실용성을 결합해 세련되면서도 개성 있는 공간을 위해 디자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차별점들이 고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며, 지속가능한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짚었다. 박 대표는 “롬팩은 협력, 상생, 나눔, 성장이라는 네 가지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한 기업문화를 추구하며, 이러한 원칙은 제품개발 과정에서부터 명확하게 드러난다”면서 "국내 다양한 기업들과의 상호협력을 통해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가치를 창출해 동반성장하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업 내에서 지속적인 나눔과 내적성장을 추구하며, 네 가지 핵심가치 모두 지속성을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업무문화는 'Let's Play!'라는 슬로건 아래 즐겁게 일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게임을 하듯이, 함께 재미있게 일하자는 것이 우리의 모토다. 팀워크와 창의성을 장려하며, 사람들이 더욱 열정적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면서 "롬팩의 DNA에는 콘텐츠 개발이 핵심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스토리가 담긴 비주얼적인 부분은 우리 가치를 전달하는 강력한 수단이다"고 강조했다. 롬팩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AI, 메타버스, NFT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해 브랜드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다. 박 대표는 “브랜드가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경험을 통해 고객과 공감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더 넓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고자 한다”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소재 분석과 선택 과정을 효율화하고,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와 비전 기술 등을 도입해 제품 품질을 높이며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런 혁신은 협력사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국내에서도 고품질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롬팩은 브랜드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지속 가능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성장해 나갈 방침이다. 박 대표는 “롬팩의 중장기 비전은 '달스답' 브랜드를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친환경 브랜드로 성장시키는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친환경 소재 활용과 신제품 개발, R&D 투자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재활용·생분해성 소재, 친환경 공급망, 자원 절약형 제조 공정을 강화하며, 혁신적인 디자인과 콘텐츠로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겠다”면서 "이런 노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고, 친환경 트렌드와 고객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역설했다.

2025.04.19 20:19방은주

새로운 글로벌 소비 허브 '상하이 서머', 인바운드 여행 경험을 재정의하다

상하이, 2025년 4월 19일 /PRNewswire/ -- 2025년 '상하이 서머(Shanghai Summer)' 국제 소비 시즌이 4월 18일 공식적으로 막을 올렸다. '240시간 상품(240-Hour Products)'과 '도시 맞춤형 행사(City Customized Events)'를 중심으로 열리는 올해 행사는 몰입감 넘치고 언터랙티브한 디자인 중심의 여름 경험을 선사한다. 7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차세대 글로벌 여행객을 겨냥한 라이프스타일, 문화, 디지털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Expanding the Global Consumption Map: 'Shanghai Summer' and Its International Experiment 2024년 상하이를 찾은 외국인 카드 사용액은 68.2% 증가했다. 특히 회이하이 로드(Huaihai Road)에선 208.6% 증가(1인당 평균 지출액은 1597위안)했고, 루자쭈이-장양 로드(Lujiazui-Zhangyang Road) 지역에선 119.9% 성장(1인당 평균 지출액은 1998위안)했다. 오프라인 소비 총액은 8159억 위안에 달하고, 식음료 소비는 26.9% 증가해 강한 경제 모멘텀을 보여줬다. '상하이 서머'는 인바운드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해외 관광객에 맞춘 새로운 '240시간 상품'을 출시해 교통, 쇼핑, 관광지, 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합한 원스톱 관광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중국동방항공(China Eastern Airlines)은 단체 여행객에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유니온페이(UnionPay)는 6만 5000개 가맹점에서 해외 카드 결제를 지원하고, 독점 고객 혜택을 가진 '상하이 서머'를 테마로 한 카드를 출시했다. 비자(Visa)는 국제 방문객의 모바일 결제 및 세금 환급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용 "결제 친화 구역"을 개발하고 있다. 생활·여행 플랫폼인 메이투안디엔핑(Meituan Dianping)이 제공하는 '여름 필수 맛집 가이드'는 4개 구역의 최고 레스토랑을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소개한다. 메리어트(Marriott)의 '스테이 앤 세이브 10%(Stay & Save 10%)'와 진 지앙 인터내셔널(Jin Jiang International)의 '진웨이 패스포트(Jinwei Passport)' 프로그램은 저렴한 호텔부터 고급 호텔까지 전 숙박 등급의 호텔을 아우르는 맞춤형 요리 루트를 통해 20개 호텔을 연결한다. '시티 맞춤형 이벤트(City Customized Events)'에선 글로벌 브랜드가 중심 무대에 선다.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Shanghai Disney Resort)는 '주토피아(Zootopia)'와 '프로즌(Frozen)' 같은 인기 캐릭터를 몰입감 있게 느낄 수 있는 거리 공연을 선보인다. 팝마트(POP MART)는 디자이너 토이 지식재산권(IP) 전시회, 팝업 스토어, 인터랙티브 설치물을 공개한다. LEGO 차이나(LEGO China)는 '재미있는 도시의 변신(Playful Urban Makeover)'을 통해 공공 공간과 교통 허브를 창의적이고 가족 친화적인 명소로 변신시킬 예정이다. 음악 공연, 음식 시장, 소셜 미디어 친화적 설치물은 도시 곳곳에 활기찬 여름 탐험 지도를 그려낼 것이다. 현재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이용 가능한 공식 웹사이트 www.shanghaisummer.com가 오픈했다. AI 어시스턴트와 가상 가이드 '상하이 샤오샤(Shanghai Xiaoxia)'가 여행객들이 여행 경로를 계획하고 실시간으로 도시를 탐험하는 걸 도와줄 것이다. 올여름 '상하이 서머: 이제 시작이다(Shanghai Summer: It's Go Time)'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스타일과 영감을 찾는 모든 여행객을 환영한다. 미디어 문의: 룰루(Lulu) media@shanghaisummer.com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667335/Shanghai_Design_Week.jpg?p=medium600

2025.04.19 20:10글로벌뉴스

[황승진의 AI칼럼] 힌튼 개발 '테스니' 분석서 맹활약

만능선수인 AI는 분석 도구로도 활약이 크다. AI를 어떻게 분석에 사용할까? '차원 축소'와 '랜덤 포레스트' 두 측면에서 살펴보자. ◆차원 축소...여러 알고리즘 있지만 힌튼 개발한 t-SNE(테스니)가 널리 쓰여 AI의 세계에는 임베딩을 비롯해 많은 벡터가 등장한다. 4차원 이상 고차원의 경우, 우리는 시각적 상식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소 부정확하더라도 고차원 데이터를 2차원이나 3차원으로 줄여 투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차원축소'라 부른다. 예로, 50개의 100차원 벡터를 가지고 2차원의 근사치 50개로 바꿔, X-Y 평면에 50개의 점으로 표현한다. 마치 마술사가 날아가는 비둘기를 종이 한 장으로 변형하는 듯하다. 차원 축소 알고리즘으로는 UMAP, PCA, Biplot 등 여럿이 있지만 힌튼(Hinton)이 개발해 AI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t-SNE(발음은 '테스니')가 있다. t-SNE 핵심은 고차원의 임의 두 점 '거리'를 2차원에서 그 둘의 '거리'가 가능한 비슷하게 만드는 것이다. 차원 축소로 인해, 많은 다른 디테일은 희생하더라도 '각 쌍의 거리 관계'만은 가능한 살리려고 노력한 것이다. 예로, 유럽의 50개국 각자마다 20개 식품의 일인당 소비량을 벡터로 표시하자. 식품 벡터는(쇠고기, 와인, 맥주, 올리브 오일, …)이고, 국가 마다 (130, 34, 23, 17, …)처럼 표현된다. 잠시 국가 이름을 가리고 이 벡터를 보면 이것이 어느 나라의 것인 지 알 수 없다. 다음, t-SNE를 적용한 후, 50개국을 50개 점으로 X-Y 평면에 표시한다. 이제 국명을 밝힌다. 그러면, 지중해에 위치한 이태리와 그리스는 X-Y 평면에서 서로 가까이 있다. 이웃나라 스페인과 포르투갈도 서로 가까이 있어, 마치 지도를 재생한 듯하다. 다 그런 것은 아니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독일과 불란서는 이 X-Y 평면에서는 꽤 떨어져 있다. 결국, t-SNE 덕택에 이 50개국의 지리적, 문화적, 유전적 특성을 한 평면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모종의 '의미적 패턴'을 볼 수 있다. '차원 축소'의 다른 사용예를 보자. 미중 공동연구팀은 게놈 데이터에 포함된 여러 나라 국민 2054명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SNP어레이라는 DNA 분석 기술의 벡터 결과물에 t-SNE를 적용했더니 유럽인, 미국인, 북아시아인, 남아시아인, 아프리카인이 끼리끼리 몰려 있었다. 다만 미국인과 유럽인 사이에는 일부 중복이 있었다. 이렇게 다른 인종끼리 DNA가 다르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t-SNE가 이를 2차원으로 축소해 구분한다는 사실은 놀랍다. t-SNE는 한 발작 더 나아가 제 1 염색체를 분석해 유럽이나 아시아의 인종 차이도 보여줄 수 있다. 증권가 분석팀들도 t-SNE를 널리 쓴다고 한다. 만약 수 백 개 주가의 움직임을 각자 벡터에 담고 이를 t-SNE로 X-Y 평면에 플롯하면 어느 주식들이 서로 비슷한 지를 알 수 있다. 또 어떤 주식들은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이들을 조사해 지금까지 이해하지 못했던 차별 요인을 찾든지, 차익거래(arbitrage) 기회로 이용할 수 있다. ◆ 랜덤 포레스트...한 그루 트리가 아니라 100 그루 숲을 만들어 결정 트리(Decision Tree)란 분석법이 있다. 예로 어느 의류 회사가 여러 종류 셔츠 1000벌을 팔았다. 어떤 제품은 많이, 다른 제품은 덜 팔렸다. 분석이 필요하다. 분석의 요점은 어떤 '속성'의 조합이 판매를 촉진했는가다. 제품들은 성별, 색상, 목 칼라, 소매, 재료 등 다양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다음과 같이 트리를 그린다. 트리의 꼭대기 노드에 총판매량 1000을 쓴다. 거기에서 목 칼라에 따라 아래로 세 가지로 갈라져 3 노드를 만든다. 세 노드에다가 각각 “칼라 (판매량 600)”, “노칼라 (판매량 250)”, “v넥 (판매량 150)” 이라 쓴다. 다음 층은 각 노드마다 색깔에 따라 가지를 치며 새로 생긴 노드마다 판매량을 적는다. “노칼라-파랑 (200)” 같은 식이다. 이런 분석을 통해 어느 속성의 조합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받았는 지 볼 수 있다. 그럼 수많은 속성 중 어느 것으로 가지를 칠까? 차별력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 남녀의 구매량이 서로 비슷하다면 성별은 선택하지 않는다. 성별의 차별력이 낮기 때문이다. 기계는 이를 엔트로피라는 수학 공식으로 정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한 단계 아래만 보는 근시성(myopic)때문에 최상의 결과를 낸다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데이터 일부를 무작위 축출하고 또 속성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한다. 이를 가지고 '트리분석'을 하고, 다음 다른 데이터와 다른 속성으로 트리분석을 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해 나중에 평균을 낸다. 즉 한 그루의 트리가 아니라, 100 그루의 숲을 만든다. 이를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라 한다. 또 트리에서 모든 속성이 동나도록 내려가면 안 된다. 마지막 노드(잎사귀 노드)가 몇 개 안 남을 경우, 오버피팅(overfitting)이 생긴다. 기존 데이터 세트를 너무 우려먹어서 자신 데이터는 설명을 잘 해도, 새로운 데이터를 설명할 능력은 떨어진다. 그래서 언젠가 중간에 멈춰야 한다. 예를 들어, 5층까지 내려가서 멈춰야 한다. 이와 같이 '랜덤 포레스트'는 어떤 조합의 속성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알 수 있다. 상업용 패키지가 많이 있고 개념이 간단해 기업에서 제품 개발용으로 매우 자주 쓰인다. 만약 어느 약이 한 그룹의 환자에게는 효과가 있으나 다른 환자 그룹에게는 효과가 없다면, 환자의 어떠한 속성이 이 결과를 결정짓는 지 분석할 수 있다. 성별, 나이, 혈액형, 몸무게, 혹은 제 1 염색체? 만약 85% 성공률의 훌륭한 신약이 어떤 85%에게 약발이 먹히는가를 알면 이는 참 유익한 정보일 것이다. 그러나 같은 기법을 5% 성공률의 실패작 약에게도 적용한다면 이는 더욱 유익할 것이다. 왜냐면 이런 실패작이 수없이 많기 때문이다.

2025.04.19 17:20황승진

"AI시대, 차세대 경영정보 연구자들 모여 현재와 미래 논의"

한국경영정보학회(회장 이동원 고려대 교수)는 18일 서강대 바오로 경영관(PA관)에서 '2025년 상반기 쥬니어 스칼러 컨소시엄(Junior Scholar Consortium)'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경영정보학(MIS) 분야 석·박사과정생, 박사 후 연구원, 신임 교수 등 쥬니어 학자(Junior Scholar)들이 연구자 역량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학문 커리어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멘토링을 얻을 수 있게 마련됐다.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현재의 교수진 뿐 아니라 앞으로 학계를 이끌어갈 잠재적인 신진 연구자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4개 세션으로 구성...트렌드, 전략, 커리어, 대화 순 진행 행사는 총 4부로 구성해 가자들에게 학문 통찰과 실무 전략을 함께 제공했다. 1부 세션(14:10~15:10)은 'Publishing in MIS: Trends & Targeting'를 주제로 진행했다. 김승현 교수(연세대)는 APJIS와 MISQ를 중심으로 국내외 MIS 연구동향 및 주요 저널을 소개했고, 고준 교수(전남대)는 경영정보학연구(ISR) 특장점과 투고 전략을 안내했다. 이어 장영훈 교수(노팅엄대, 닝보)는 ITP, IR, IMDS를 중심으로 저널별 공략법과 연구 노하우를 공유했고, 이진무 교수(UBC)는 DSS, ISR, I&M 등 주요 저널을 대상으로 한 투고 전략을 설명했다. 이어진 2부 세션(15:30~16:45)은 'Academic Career Panel Session'으로 구성했다. 이동원 교수(홍콩과기대)는 'Maximizing Research Impact'를 주제로 출판과 협업을 통한 연구 영향력 확장을 설명했고, 이규한 교수(고려대)는 인공지능과 산학협력의 공동연구 사례를 소개했다. 이소현 교수(경기대)는 교수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을 공유했고, 유상석 교수(성균관대)는 국내 대학 임용 전략과 교수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현실적인 조언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오혜림 교수(서강대)는 IT 분야에서 여성 연구자들이 지속 가능한 커리어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Coding Your Career'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3부 Open Discussion 세션(17:00~17:45)에서는 김상수 교수(용인대, 학술부회장) 진행 아래, 참가자들과 연사들이 자유롭게 질문을 주고받으며 활발한 대화가 오갔다. 4부에서는 저녁 만찬과 함께 자유로운 네트워킹이 이어졌고, 참석자들은 저녁 시간까지 자리를 함께 하며 교류했다. 현장의 목소리 – 교수와 연구자가 함께 느낀 의미 행사에 참여한 교수진은 이번 컨소시엄이 단순한 강연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고 평가했다.엄성용 교수(중앙대)는 “단지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문과 인격이 함께 자라는 공간이 됐다”고 말했고, 이은곤 교수(수원대)는 “Junior Scholar들이 연구의 기술 뿐 아니라 학문적 태도와 협업의 의미를 함께 배워가는 시간이 됐기를 바란다. 이러한 자리가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한국 MIS의 학문적 토대는 더욱 단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성진 교수(숭실대)는 “젊은 연구자들이 서로 자극을 주고받는 장, 그것이 바로 오늘의 진정한 성과”라고 평가했으며, 김호림 교수(동양대)는 “경영정보학의 경계는 이제 AI와 빅데이터 등 융합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실무와 이론을 모두 갖춘 연구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혜림 교수(서강대)는 “이번 행사가 여성 연구자를 포함한 다양한 목소리들이 더욱 힘을 낼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앞으로 학계를 이끌어갈 신진 연구자들을 위한 발굴과 지원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뜻깊었다”고 덧붙였다. 행사에 참가한 신진연구자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줬다. 김현정 박사과정생(고려대 경영대 MIS전공, 중국 국적)은 “실제 연구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이야기를 직접 들을 수 있어 감동적이었다”며 “논문 투고와 커리어에 대해 현실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제닌 라다란 박사과정생(연세대 경영학과, 필리핀 국적)은 “1부 세션에서 저널 투고 경험을 직접 들으며 연구의 방향성을 다시 정리할 수 있었다”며 “오늘 하루가 제 연구 여정에 터닝포인트가 됐다"고 전했다. 각기 다른 배경을 가진 신진 연구자들이 서로 배우고 연결한 이번 행사는, 학문적 지식 뿐 아니라 정서적 동반자 의식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학회는 짚었다. "생성형 AI 시대, MIS 미래는 이미 시작" 학회는 "이번 Junior Scholar Consortium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세대와 국경, 전공의 경계를 넘어서는 지식 교류와 정서적 연대의 장"이라면서 "행사 이후 이어진 만찬 자리까지 많은 참가자들이 자리를 지키며 늦은 시간까지 교류를 이어갔다. 이 날 하루 동안 한국 MIS 학계의 미래는 작지만 깊은 연결 속에서 더욱 분명하게 그 윤곽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이동원 학회장(고려대 교수)은 "생성AI 시대에 접어든 지금, 경영정보학은 더욱 빠르고 넓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번 컨소시엄은 그 변화의 중심에서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함께 설계하려는 의지를 확인한 자리였다"면서 "이번 컨소시엄이 단순한 발표가 아니라, 서로의 고민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를 맡은 김상수 교수(용인대)는 "참가자들의 진지한 태도와 질문에서 학회의 미래가 느껴졌다."고 전했다.

2025.04.19 16:53방은주

삼성 럭셔리 빌트인 데이코, 인천 첫 입점

삼성전자의 럭셔리 빌트인 가전 브랜드 데이코가 인천 지역 최초로 삼성스토어 롯데 인천에 입점했다고 19일 밝혔다. 삼성스토어 롯데 인천은 ▲T-TYPE 냉장고 ▲컬럼 냉장·냉동·김치냉장고 ▲와인 셀러 ▲식기세척기 ▲인덕션 등 데이코 풀라인업을 선보이며 맞춤 빌트인을 제안한다. 매장 방문 고객은 데이코 전문 매니저와 함께 브랜드 헤리티지와 제품력을 직접 경험하고, 가정 환경에 맞는 인테리어까지의 1:1 맞춤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번 신규 입점을 기념해 데이코 제품 구매 시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매장 방문 후 데이코 상담을 받은 선착순 50명에게는 데이코 우산 또는 키링을 증정한다. 한편 삼성스토어 롯데 인천은 지난 10일 106평 규모로 확장 리뉴얼 오픈했다. 삼성전자의 최신 AI 가전부터 프리미엄 가전까지 선보이며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이정화 삼성스토어 롯데 인천 지점장은 "데이코는 프리미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고객분들의 꾸준한 관심과 문의를 받아온 브랜드"라며 "인천 지역 고객들도 장인정신이 깃든 데이코와 함께 특별한 주방 공간을 완성해 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2025.04.19 15:22신영빈

LG전자, 나응식 수의사와 '에어로 알아가묘' 클래스

LG전자는 LG 퓨리케어 AI 오브제컬렉션 에어로캣타워 출시를 기념해 나응식 수의사와 '에어로 알아가묘' 클래스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행사는 고양이 반려인들을 위한 일일 클래스다. 오는 29일 서울 응암동에 위치한 고양이카페에서 열린다. 반려묘 건강관리에 대한 나응식 수의사의 강연과 질의응답, 힐링 마사지 시연, 냥냥쩝쩝 수제간식 DIY 클래스 등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나응식 수의사는 그레이스 고양이병원 대표원장이자 한국고양이수의사회 부의장을 맡고 있다. 고양이 전문 상담 유튜브 채널 '냥신TV'를 운영 중인 고양이 행동의학 전문가다. 나 수의사는 '묘한 변화, 따뜻한 자리에서 먼저 시작된다'는 주제로 참가자들에게 반려묘 건강관리 비법을 전할 예정이다. 고양이 수제간식 DIY 클래스는 문해담 펫푸드아카데미(댕냥밥상) 대표가 맡아 체중관리에 도움이 되는 건강 간식 레시피를 가르쳐 준다. 클래스 참가 신청은 오는 22일까지 LG전자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과 블로그를 통해 받는다. 클래스 현장에서는 최근 출시된 에어로캣타워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에어로캣타워는 공기청정기 상단부에 고양이가 안락하게 쉴 수 있는 돔 형태의 온열 좌석을 부착한 제품이다. 고양이 휴식모드를 켜두면 고양이가 올라가 있는 동안 저소음 청정모드가 활성화된다. 고양이가 캣타워 위에 있을 때 LG 씽큐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체중을 확인할 수 있다. 체중 변화 및 착석 시간 리포트도 제공돼 반려묘 건강 관리를 도와준다. 에어로캣타워와 시리즈로 출시된 에어로스피커, 에어로퍼니처도 카페 곳곳에 비치되어 함께 체험 가능하다. LG전자는 지난달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융복합 공기청정기 LG 퓨리케어 에어로 시리즈 3종을 출시했다. 모듈형 디자인으로 설계된 25년형 에어로시리즈는 고객 취향 및 필요에 따라 제품 상단부를 다른 모듈로 교체해 사용할 수 있다.

2025.04.19 15:22신영빈

노르마 '퀀텀 데이'...유럽과 50큐비트 클라우드 서비스 첫 시연

노르마(대표 정현철)가 양자 프로그램 개발·실행 지원 환경인 'Q 플랫폼'을 이용해 유럽 양자컴퓨터와 50큐비트 클라우드 서비스(QML)를 처음 시연했다. 시연은 지난 17일 서울 노르마 본사에서 개최한 '퀀텀데이'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이날 노르마가 선보인 Q 플랫폼은 양자 컴퓨터 프로그래밍 솔루션이다. 소인수분해, 양자 시뮬레이션, 검색, 최적화, 기계 학습 같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양자 회로 설계와 시각화 도구를 제공해 복잡한 양자 알고리즘 구축을 지원한다. 이번에 처음 공개한 50큐비트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는 QC-50 양자컴퓨터와 연결, 기계학습된 양자 회로를 변환해 가시화하는 방식으로 실행 결과를 보여준다. 이 클라우드 장점은 별도의 예약이나 대기시간 없이 온디멘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AWS의 양자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 '브라켓(Braket)'은 25큐비트 기준 시간당 대략 7천달러가 든다. 또 이를 사용하려면 짧게는 3~4일, 길게는 4개월 전부터 예약해야 한다. 노르마는 향후 32큐비트 및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순차적으로 런칭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정 대표는 'Q플랫폼'에 대해 설명했다. 클라우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통해 파이썬 등 다양한 개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 iOS, 윈도우 등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것도 장점이라는 것. 실제 적용 사례로는 바이오 분야 신약 개발을 예로 들었다. 양자 컴퓨터 기반의 생성형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신약 후보 물질을 생성하고, 기존 고전 컴퓨터 방식보다 우수한 결과를 도출했다. 또 금융 및 교통 최적화에도 이용 가능하다. 복잡한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자 알고리즘을 개발, 금융 모델링 및 교통 흐름 최적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정현철 대표는 이날 Q플랫폼 시연에 앞서 양자컴퓨팅이 필요한 이유와 산업 트랜드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정 대표는 "양자컴퓨팅은 수학적 모델의 우수성과 활용도가 우수하다"며 "연구자들에 따르면 양자컴퓨터가 1000큐비트 수준에 올라서면, 범용성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 대표는 또 "양자컴퓨터에는 기술 진입 장벽이 있다. 노르마도 양자로 돌아선지 3년 됐는데, 인력이 2개 파트로 나뉜다"며 "양자 알고리즘을 잘 다루는 인력과 그렇지 못한 인력으로 갈라져 있다. 이를 잘 다루려면 2년 정도는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자컴퓨터는 Q플랫폼 같은 솔루션이 한 번 적용되면 100~200년은 쓰이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이 시장은 진입이 어렵습니다. 개발 초기인 지금이 양자컴퓨팅 시장에 뛰어들 적기입니다." 정 대표는 양자컴퓨터에 대해 "경쟁사를 앞서기 위한 전략기술 또는 동종업계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정리했다.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는 양자컴퓨팅 연구든 시장이든 진입하라는 얘기다. 정 대표는 Q플랫폼의 강점으로 각 산업 프로젝트에 맞는 샘플 알고리즘과 데이터 가공 예시를 제공하는 점을 꼽았다. 정 대표는 “우주, 신약개발 등 특화된 도메인에 맞는 샘플을 제공하고, 직접 사용하지 않아도 활용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언급했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중요한 사용자별 히스토리 관리 기능을 강조했다. 정 대표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환경에서 사용자별 작업 히스토리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지원하는 양자 플랫폼은 많지 않다”며 “이 점이 노르마만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노르마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양자이득 과제를 2년 째 수행 중이다. 국내 대학교와는 유전체 기반 정밀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최근엔 게임·금융·국방까지, 다방면으로 사업을 확장 중이다. 네오위즈와는 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기존 AI 방식이 데이터 부족 문제로 한계를 보일 때 양자 알고리즘이 대안이라는 것이다. 일본 업체와는 금융 리스크 관리 분야에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외에 반려동물 질병 여부 예측도 추진했다.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을 위한 촉매 설계 과정에도 Q플랫폼이 적용됐다. AI보다 빠른 최적값 도출 성능도 입증했다. 국방 분야에서는 실시간 피아 식별 및 경로 최적화 등으로 응용 중이다. 해군에서는 이미 아이온큐 시스템을 활용한 사례가 있으며, 드론 경로 최적화 프로젝트도 검토 중이다. LIG넥스원, KAI 등과는 우주 발사체의 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문제를 양자로 풀기 위한 협업을 진행 중이다.

2025.04.19 11:09박희범

프로파일러AI챗봇, 범죄자와 대화하고 잠복수사

“부모님이 집에 계시니? 아니면 혼자 놀고 있니?” 어떤 어른이 꼬마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이 어른은 소아성애자다. 사춘기에 접어들지 않은 어린이에게 강한 성적 욕망을 느끼는 성인을 소아성애자라 한다. “저 혼자 게임하고 있어요. 엄마와 아빠는 모두 일하러 나갔어요.” 꼬마가 답했다. 이 꼬마는 진짜 사람이 아니다. 아동 인신 매매범을 잡으려고 만든 인공지능(AI) 챗봇이다. AI 챗봇 프로필에는 소년 사진이 있다. 꼬마는 미국인 초등학생으로 설정됐다. 외동아이다. 2개 국어를 할 줄 안다. 게임하길 즐긴다. 수줍은 성격이라 여자아이를 사귈 때 특히 힘들어한다. 꼬마의 부모는 자식이 소셜미디어(SNS)를 못쓰게 한다. 부모는 에콰도르에서 이민 왔다. 부모 역시 가상 인물이다. 미국 잡지 와이어드는 17일(현지시간) 미국 경찰이 범인을 잡고자 AI 챗봇으로 범죄자와 대화한다고 정보기술(IT) 매체 404미디어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매시브블루라는 회사가 이 AI 챗봇 '오버워치(Overwatch)'를 경찰서에 판매하고 있다. 마이크 맥그로 매시브블루 공동창업자는 “인신 매매 피해자를 돕는 동시에 범죄자를 법의 심판대에 세우는 게 우리 목표”라고 말했다. 미국 경찰은 “오버워치로 체포한 사람은 아직 없다”면서도 “AI 챗봇은 수사를 돕는 도구”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인신 매매범과 마약 밀매범을 잡으려면 다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매시브블루에 따르면 오버워치는 SNS를 살펴보다 용의자를 추적한다. 미국 3개 도시 댈러스·휴스턴·오스틴에서 24시간 활동해 인신 매매범 3천266명을 찾았다. 4분의 1은 인신 매매 대형 조직에 속했고, 15%는 청소년을 사고팔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시브블루는 어떻게 식별했는지와 그들의 개인정보는 밝히지 않았다.

2025.04.19 08:00유혜진

"TV가 당신을 알아본다"…AI 기반 스마트홈 기기 놀랍네

35세 미만 소비자 57%, AI 음성 매칭 기술에 높은 관심 엔터테인먼트 및 기술 시장 조사 전문 기업 Hub Research LLC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TV 구매 의향은 감소하고 있지만, AI를 활용한 TV 소프트웨어와 기능 향상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특히 AI 음성 매칭을 통한 시청 경험 맞춤화 기능에 대해 35세 미만 젊은 소비자의 57%, 35세 이상 소비자의 45%가 관심을 보였다. 이는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와А인공지능 기능이 TV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 소비자 중 절반이 이미 AI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TV에서의 AI 기능 확장에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연령대별 차이로, 35세 미만 소비자들은 거의 모든 신기술 관련 TV 기능에 35세 이상 소비자보다 20-30% 더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 TV 보급률 82%, 주간 스트리밍 이용률 66%로 4년간 40% 증가 스마트 TV 보급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미국 가정의 82%가 스마트 TV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는 2021년의 7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스마트 TV를 통한 주간 스트리밍 이용률이 2021년 47%에서 2025년 66%로 40% 이상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추세는 스마트 TV가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가정 엔터테인먼트의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TV 운영체제(OS) 시장에서는 로쿠(Roku)가 59%의 시장 점유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의 타이젠(Tizen) OS가 49%, 아마존 파이어TV(Fire TV)와 LG의 웹OS(WebOS)가 각각 35%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특히 최근 1년 사이 로쿠, 삼성 타이젠, LG 웹OS의 점유율이 모두 상승했으며, 쿠모TV(XumoTV) OS도 1%에서 7%로 급성장했다. 유니버설 검색 기능 사용률 20%에 그쳐... 소비자들은 여전히 개별 서비스 검색 선호 흥미로운 점은 소비자들의 콘텐츠 검색 방식이다. 특정 콘텐츠를 찾고자 할 때 '유니버설 검색'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소비자는 20%에 불과했다. 대신 소비자들은 특정 서비스 내에서 직접 검색하는 방식(28%)이나 기타 방법(32%)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된 검색 환경에 대한 기대와 달리, 소비자들은 여전히 개별 스트리밍 서비스 내에서의 탐색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향후 음성 검색이나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이 이러한 행태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기존 검색 습관이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스마트 초인종/보안 카메라 보급률 33%로 성장, AI 패턴 학습 기능 통합 확대 스마트홈 기기 시장에서는 스마트 초인종/보안 카메라와 스마트 온도조절기가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스마트 초인종/보안 카메라 보급률은 2024년 31%에서 2025년 33%로, 스마트 온도조절기는 22%에서 24%로 증가했다. 전체 스마트 기기 보유 가구 비율도 2023년 63%에서 2025년 69%로 꾸준히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기기들이 단순한 원격 제어를 넘어 AI 기능을 통합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음성 인식과 패턴 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습관을 학습하고 자동화하는 기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스마트 스피커는 이미 많은 가정에서 보급되었으나 오디오 중심의 사용에서 비디오 통합 사용으로 확장할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다. FAQ Q: TV에 AI 기능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나요? A: TV에 적용되는 AI 기능에는 음성 매칭을 통한 맞춤형 시청 경험 제공, 사용자 기반 정보 제공을 위한 센서 기술, 그리고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35세 미만 소비자의 57%가 AI 음성 매칭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 TV의 운영체제가 발전하면서 더 다양한 AI 기능이 통합되고 있습니다. Q: 스마트홈 기기 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A: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스마트홈 기기는 스마트 초인종/보안 카메라(33%)와 스마트 온도조절기(24%)입니다. 이 기기들은 2024년 대비 각각 2% 성장했으며,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 강화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Q: 앞으로의 TV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A: TV 시장은 하드웨어 교체보다 소프트웨어 및 AI 기능 개선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조사에 따르면 46%의 소비자가 새 TV 구매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지만, AI 기능 강화에 대한 관심은 높습니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이 '앰비언트 아트 디스플레이'(75%), '이동 가능한 경량 TV'(74%), '수면 소리 자동 재생'(64%) 등 혁신적 기능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AI 매터스'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4.19 07:34AI 에디터

사우디아라비아와 프랑스, 생명공학 및 디지털 헬스 분야의 전략적 협약을 통해 보건 협력 강화

파리, 2025년 4월 18일 /PRNewswire/ -- 파하드 압둘라흐만 알잘라젤(Fahad Abdulrahman AlJalajel)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부 장관이 프랑스 공식 방문 둘째 날 프랑스 고위 관계자들과 양자 회담을 가졌다. 회담에는 카트린 보트랭(Catherine Vautrin) 프랑스 노동•보건•연대•가족부 장관, 야닉 뇌데르(Yannick Neuder) 보건•의료접근성부 장관, 로랑 생 마르탱(Laurent Saint-Martin) 해외통상•재외국민부 장관 대리가 참석했다. During a three-day official visit to France, His Excellency Fahad Abdulrahman AlJalajel, Minister of Health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held bilateral meetings with senior French officials, including Catherine Vautrin, Minister for Labour, Health, Solidarity, and Families 이 회담에서는 보건 혁신, 연구, 보건 인력 개발, 투자 유치 촉진, 공급망 회복력 강화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 건강 부문 전환 전략과 궤를 함께했다. 이번 방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프랑스 간 보건 파트너십을 강화•확대하기 위한 여러 협약 체결이 있었다. 그중 첫 번째 협약은 세하 버추얼 병원(Seha Virtual Hospital)과 귀스타브 루시 병원(Gustave Roussy) 간의 협약으로, AI 기반 원격의료를 통해 암 치료와 디지털 헬스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다른 협약은 사우디 HHC(Health Holding Company)와 프랑스 바이오테크(France Biotech) 간에 체결된 것으로,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혁신 기술의 통합을 촉진함으로써 양국의 헬스 테크 및 생명과학 생태계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 번째 협약은 사우디 적신월사(Saudi Red Crescent Authority)와 파리 공공병원청(Assistance publique–hôpitaux de Paris) 간에 체결되었으며, 긴급 의료 서비스(Emergency Medical Services)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공동 훈련, 지식 교류, 긴급 대응 분야의 우수 사례 공유 등이 포함된다. 알잘라젤 장관은 "프랑스의 주요 기관들과의 협력 관계 강화를 환영한다"며 "이는 보건 부문 전반에서 우수성과 혁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우리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국제적 연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를 역동적이고 혁신 친화적인 생태계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이는 세계적인 혁신가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 속에서 실질적인 혁신 효과를 창출할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세계적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번성하는 생명과학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의료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비전 2030(Vision 2030)의 목표 달성에 다가서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잘라젤 장관의 3일간의 파리 및 리옹 방문은 의료 서비스와 혁신을 강화하려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프랑스의 공동 노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글로벌 보건 목표를 지원하는 양국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6968/Ministry_of_Health_Saudi_Arabia.jpg?p=medium600

2025.04.18 21:10글로벌뉴스

  Prev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홈플러스 이어 롯데카드 논란…최대 주주 MBK로 쏠린 눈

정명수 파네시아 "한국형 CXL 기반 '판 링크'로 AI 인프라 혁신"

금융권 클라우드 204조원 시대…韓도 규제 풀고 '가속'

한국 AI 생태계 '한 눈에'…정부·민간 실력자 모인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