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Suchmaschinen in China 🔍 www.41.gs'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08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눈부시게 아름다운 화질"...LG올레드에보, 세계 소비자 뽑은 최고 TV

LG전자의 공감지능(AI, Affectionate Intelligence) TV 'LG 올레드 에보'가 전 세계 14개국 소비자 매체의 TV 성능 평가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LG 올레드 에보는 미국 소비자 매체 '컨슈머리포트'로부터 ▲70인치 이상 ▲65인치 ▲46~52인치 ▲39~43인치 등 크기별로 구분한 항목에서 모두 최고 평가를 석권했다. 특히 2024년형 올레드 에보(G4)에 대해 매체는 “현재 구매할 수 있는 최고의 TV 중 하나”라며 334개의 평가 대상 가운데 최고 점수를 줬다. 영국 소비자 매체 '위치(Which?)'도 LG 올레드 에보(C4)에 대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라고 극찬하며 최고 점수를 부여했다. 매체는 특히 '다이나믹한 음향'과 '눈부시게 아름다운 화질'을 칭찬했다. 매체는 LG 올레드 에보(G4)에 대해서도 “눈을 뗄 수 없는 TV”라며 호평했다. 이탈리아 소비자 매체 '알트로컨슈모(Altroconsumo)'도 LG 올레드 에보(C4)에 최고 점수를 주며 “모던하고 정교하며 완벽하다”고 호평했다. 매체는 이 제품에 대해 높은 수준의 화질과 음향, 다양한 기능에 대한 쉬운 접근성을 칭찬하며 “특별한 약점이 없다”고 말했다. 스페인 소비자 매체 '오씨유 콤프라마에스트라(OCU Compra Maestra)' 역시 LG 올레드 에보(G4, C4)에 대해 “단점이 없다”라고 극찬하며 최고 점수를 부여했다. 매체는 TV 성능 평가 상위 20위 안에 LG 올레드 에보 19개 제품을 포함시켰다. 소비자 매체는 제조사에게 제품을 지원받지 않고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을 직접 구매해 테스트하므로 신뢰도가 높다. 이 밖에도 LG 올레드 에보는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 포르투갈, 벨기에, 체코, 덴마크, 핀란드, 호주의 소비자 매체에서도 최고 점수를 받았다. 해외 IT 매체들도 LG 올레드 에보의 압도적 성능에 찬사를 보내고 있다. 캐나다 유력 IT 매체 '알팅스(Rtings)'의 종합 평가에서도 LG 올레드 에보(G4)는 최고 점수를 받았다. 매체는 “친구와 함께 스포츠나 영화를 보기에 환상적인 TV”라고 호평했다. 영국 IT 매체 'AV 포럼(AVForums)'도 LG 올레드 에보(G4)에 최고 평점과 'Best in Class' 로고를 부여하며 “믿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수준의 TV를 원한다면 최고의 선택”이라고 극찬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올레드 TV 매출의 70% 이상이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발생했다. 프리미엄 TV 주요 시장의 소비자들에게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이번 평가는 더욱 의미 있다. LG전자는 2024년형 LG 올레드 에보(M4, G4)에 한층 더 강화된 AI 화질·음질 엔진인 '알파11 AI 프로세서'를 적용했다. 해당 엔진은 영상 제작자의 의도를 고려해 색을 보정하고, 픽셀 단위로 업스케일링 해 선명한 화면을 보여준다. 또 설치 공간을 분석해 최적화된 공간 음향을 만들고, 2채널 음원을 가상의 11.1.2 채널로 변환해 더 풍성한 음향을 들려준다. AI 기능을 통해 고객 맞춤형 경험도 강화했다. 'AI 화질 마법사' 기능은 고객이 선호하는 이미지를 몇 개만 클릭하면 약 8500만 개의 경우의 수를 딥러닝 해 고객에게 딱 맞는 화질을 제시한다. 고객의 목소리를 구별해 사용 이력에 따라 콘텐츠를 추천하는 '보이스ID' 기능도 제공한다. LG전자 정재철 HE연구소장은 “2024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사용자를 배려하는 강력해진 AI 성능을 통해 고객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며 “전 세계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춰 AI 성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07.21 10:00이나리

페어엑스 바이오, 암젠 골든 티켓 어워드 수상

- NSG 바이오랩스, 파트너사인 캐피탈랜드 및 암젠과 함께 싱가포르 바이오테크 생태계 활성화 노력 확대 - 올해로 3회째 맞은 암젠 골든 티켓 어워드 지원 기업 수가 지난해 대비 두 배로 늘어나며 생명공학 생태계에서 고성장 스타트업을 지원하려는 암젠과 NSG 바이오랩스의 노력이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줘 - 암젠과 NSG 바이오랩스는 골든 티켓 파트너십을 3년 더 연장함으로써 싱가포르 바이오테크 분야 발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할 계획임을 시사 - 올해 수상 기업인 페어엑스 바이오는 암젠의 사고 리더들로부터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와 함께 과학자들을 위해 세심하게 설계된 공간인 NSG 바이오랩스에서 1년 동안 입주해 지낼 수 있는 기회를 동시에 획득 - NSG 바이오랩스는 캐피탈랜드와의 제휴로 총 7만 평방피트 규모의 동남아시아 최대 코워킹 랩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네 번째 시설 설립 싱가포르 2024년 7월 18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선도적인 글로벌 생명공학 기업 암젠[https://www.amgen.com/ ]과 싱가포르 최대 바이오테크 코워킹 생물안전 레벨 2 등급 실험실 제공사인 NSG 바이오랩스[https://nsgbio.com/ ]가 18일 양사가 공동 주최한 제3회 연례 '암젠 골든 티켓(Amgen Golden Ticket)' 경연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지원 기업 수가 두 배로 늘어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면서 바이오테크 업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싱가포르 바이오테크 생태계가 활력을 보이고 있다는 걸 보여줬다. 암젠 골든 티켓 같은 협업 이니셔티브는 암젠과 NSG 바이오랩스 같은 업계 리더들이 싱가포르의 바이오테크 환경을 발전시키고, 고성장하는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걸 방증해주는 대표적 사례다. 양사는 이번 대회의 성공을 바탕으로 암젠 골든 티켓 프로그램을 3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암젠 x NSG 바이오랩스 골든 티켓 어워드 2024의 수상자로 페어엑스 바이오가 선정 올해 대회에선 새로운 생물학 기반 암 표적과 최적의 치료 양식(therapeutic modalities)을 결합해 암의 선택적 바이오의약품을 혁신하는 전임상 단계의 생명공학 회사 페어엑스 바이오[https://www.linkedin.com/company/pairxbio/ ]가 암젠 골든 티켓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페어엑스 바이오는 암젠의 광범위한 과학과 비즈니스 리더 네트워크 내에서 귀중한 멘토링 기회를 얻고, 과학자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NSG 바이오랩스의 완비된 실험실 공간에 1년 동안 입주할 수 있는 혜택을 얻게 됐다 암젠의 바이의약품 치료 발견 부문 부사장인 앨런 러셀 박사는 "지난 3년 동안 싱가포르에서 암젠 골든 티켓 프로그램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목격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암젠이 전 세계에서 후원하는 다른 성공적인 골든 티켓 이니셔티브와 마찬가지로 이 프로그램은 혁신을 촉진하고 페어엑스 바이오처럼 유망 기업을 지원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종양학 분야에서 페어엑스 바이오가 보여준 획기적인 연구는 향후 환자 치료에서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면서 "우리는 싱가포르의 바이오테크 분야에 기여하는 데 자부심을 느끼며, 2027년까지 프로그램을 연장하기로 한 약속을 통해 차세대 바이오테크 리더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M. 엡스타인 페어엑스 바이오 공동 설립자 겸 CEO 겸 사장은 "권위 있는 암젠의 골든 티켓 어워드를 수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라며 "이번 수상으로 차세대 암 선택적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우리 팀의 혁신적이 노력을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암젠의 지원에 감사하며, 협업과 혁신이 의료 분야의 중요한 발전을 이끌고 있는 싱가포르의 활기찬 생명과학 생태계의 일원이 된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이번 기회를 통해 암 치료를 혁신하고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한다는 우리의 사명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으로 페어엑스 바이오는 고형종양 치료를 위한 치료용 항체를 개발하는 전임상 단계의 생명공학 회사인 알바트로즈 테라퓨틱스와 과거 감염 사례나 어린 시절 맞은 백신에서 생긴 기존의 면역 기억을 표적 암으로 전환하는 데 집중하는 면역 종양학 회사인 베어이뮨 같은 과거 수상 기업들의 발자취를 따르게 됐다. 두 수상 기업 모두 연구개발(R&D) 노력을 가속화하는 데 유용한 멘토링뿐 아니라 업계에 광범위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 혜택을 누렸다. 알바트로즈는 2023년 초i에 300만 달러의 시드펀딩(seed funding), 즉 종자돈을 모금했으며, 베어이뮨은 2022년 초 250만 달러 모금에 이어 2023년에 310만 달러[https://verimmune.com/news/verimmune-inc-announces-over-3m-additional-funding ] ii를 모금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 '사전 임상시험계획 승인(pre-IND)' 회의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의 이정표를 달성했다iii. 다프네 테오 NSG 바이오랩스의 설립자 겸 CEO는 "NSG 바이오랩스는 최고 수준의 BSL-2 실험실 공간을 통해 과학자들의 연구 수행과 아이디어 실현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명공학 스타트업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면서 "선도적인 제약회사와 선구적인 스타트업 간의 연결을 촉진함으로써 의료 발전을 이끄는 협업을 육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암젠 팀과 강력한 파트너십을 맺게 된 데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다른 업계 리더들과의 협업을 기대한다"면서 "우리 모두 싱가포르의 생명공학 분야를 발전시키고, 아이디어가 번창하고 혁신적인 혁신이 번성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NSG 바이오랩스,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 내 지네오(Geneo)에 위치한 네 번째 시설에서 캐피탈랜드와 제휴해 동남아 최대 규모의 코워킹 랩 설립 제3회 연례 암젠 골든 티켓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NSG 바이오랩스는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 내 지네오 생명과학 및 혁신 클러스터에 새로운 혁신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캐피탈랜드와 협력 중이다. 캐피탈랜드가 가진 부동산 분야의 전문성과 생명공학 생태계에 대한 NSG 바이오랩스의 풍부한 경험과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약 3만 5000평방피트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코워킹 랩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 최첨단 허브에는 생명과학과 딥테크(Deep Tech) 기업의 R&D 및 협업 요구를 충족하는 공유 습식 실험실, 유연한 업무 공간, 완비된 회의와 콘퍼런스 장소가 마련될 예정이다. 이 역동적인 허브는 규모와 상관없이 어떤 기업이나 협업 혁신을 촉진해 획기적인 발견과 대규모 벤처 투자 유치로 이어질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확장으로 NSG 바이오랩스의 총규모는 7만 평방피트 이상으로 늘어나 동남아시아 최대 바이오테크 코워킹 랩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츄 피트 문 캐피탈랜드 디벨롭먼트 싱가포르의 투자개발 담당 전무이사는 "싱가포르 생명과학과 딥테크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테크 코워킹 랩 공간을 도입한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의 지네오에게 캐피탈랜드와 NSG 바이오랩스의 파트너십은 흥미로운 새로운 발전이 될 것"이라며 "선구적인 제품 개발부터 업계 참여 촉진에 이르기까지 지네오는 싱가포르의 번성하는 생명과학 및 딥테크 분야에서 혁신과 협업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환자들의 의료 부담이 증가하고 팬데믹(전염병)이 진화함에 따라 생명공학 생태계 내에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솔루션을 발견하기 위한 더 강력한 협업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NSG 바이오랩스는 성장하는 생명공학 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해 암젠 및 캐피탈랜드 같은 업계 리더들과 공동의 미션을 수행하며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게 걸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다. 곧 완공될 코워킹 랩 혁신 허브는 2025년에 완공되면 약 194만 평방피트의 연면적에 일과 생활과 놀이의 요소를 모두 갖춘 5동의 최첨단 건물을 갖춘 3건의 부동산으로 구성된 지네오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지네오는 캐피탈랜드 디벨롭먼트와 캐피탈랜드 어센다스 리츠(REIT)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암젠 소개 암젠은 최고의 생물학과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고의 난치성 질병과 싸우면서 사람들이 더 쉽게 장수하며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돕고 있다. 암젠은 생명공학 산업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기술과 인간 유전자 데이터를 활용해 오늘날 알려진 것 이상의 최첨단 혁신을 계속해서 추진 중이다. 그동안 R&D 투자로 암, 심장병, 골다공증, 염증성 질환 및 희귀 질환 치료를 위한 기존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는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암젠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구성하는 30개 기업 중 한 곳이며, 나스닥100 지수®에도 편입되어 있다. 2024년 경제 전문지인 패스트컴퍼니(Fast Company)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혁신 기업'에 선정됐고, 포브스(Forbes)로부터도 '미국 최고 대기업' 중 하나로 꼽혔다. Amgen.com을 방문하거나 엑스(X)[https://twitter.com/amgen ], 링크드인[https://www.linkedin.com/company/amgen/ ],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amgenbiotech/ ], 틱톡[https://www.tiktok.com/@amgenbiotech ], 유튜브[https://www.youtube.com/amgen ], 스레드[https://www.threads.net/@amgenbiotech ]를 팔로우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NSG 바이오랩스 소개 생명공학 혁신 지원에 매진하기 위해 설립된 NSG 바이오랩스는 ▲최첨단 장비 ▲효율적인 운영 ▲자본 효율성 ▲팀이 확보한 세계적 수준의 전문성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생명과학 기업을 지원한다. 싱가포르의 생명과학 클러스터인 바이오폴리스(Biopolis) 및 싱가포르 사이언스 파크 내 7만 평방피트의 면적에 걸쳐 완벽한 시설을 갖춘 인증된 BSL-2 실험실과 사무실 인프라를 갖춘 R&D 환경을 자랑한다. NSG 바이오랩스는 ▲고품질 인프라 ▲광범위한 파트너 네트워크 ▲커뮤니티 ▲부가 가치가 창출되는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신생 바이오테크 스타트업부터 다국적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이 싱가포르의 첨단 R&D 생태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활동하며 혁신적인 바이오테크 벤처와 환자를 위한 혁신적 기술과 제품 개발에 나설 수 있게 돕는다. 자세한 정보는 www.nsgbio.com을 참조할 수 있다. 페어엑스 바이오 소개 페어엑스 바이오는 널리 퍼진 새로운 종양 선택적 세포 표면 변이를 식별해 차세대 암 선택적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페어엑스 바이오의 생물학 중심 접근 방식은 다양한 최적의 치료 양식과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치료 표적을 밝혀낸다. 싱가포르 듀크-NUS 의과대학으로부터 독점 라이선스를 얻은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설립한 뒤 상당수의 환자 집단에서 유행하는 암을 대상으로 하는 잠재적인 최초 및 동급 최고의 종양 선택적 치료제로 구성된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고 있다. 페어엑스 바이오는 또 미국의 벤처 캐피탈 회사인 버산트 벤처스가 주도하는 시드펀딩을 통해 최고 수준의 투자자들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www.PairXbio.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캐피탈랜드 그룹 소개(www.capitaland.com)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캐피탈랜드 그룹은 아시아 최대의 다각화된 부동산 그룹 중 한 곳이다. 40여 개국 260개가 넘는 도시에서 부동산 투자 관리 및 부동산 개발에 주력하며, 40여 개국에서 투자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캐피탈랜드는 자사 생태계 내에서 부동산 가치 사슬 전반에서 핵심 역량을 구축할 부동산 비즈니스와 플랫폼을 지원하는 통합 투자 관리 및 운영 역량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종합적인 역량을 통해 상장 부동산 투자 관리 사업부인 캐피탈랜드 인베스트먼트와 비상장 부동산 개발 사업부인 캐피탈랜드 디벨롭먼트의 전략을 최적화함으로써 비즈니스에서 경쟁 우위를 도모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비즈니스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캐피탈랜드는 책임감 있는 부동산 기업으로서 이해관계자에게 장기적인 경제적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업을 운영하는 지역사회의 환경 및 사회적 복지에 기여하고 있다. 캐피탈랜드 소셜미디어 팔로우하기[https://www.capitaland.com/en/more-from-capitaland/social-media.html ] 페이스북: @capitaland / facebook.com/capitaland 인스타그램: @capitaland / instagram.com/capitaland 트위터: @capitaLand / twitter.com/capitaland 링크드인: linkedin.com/company/capitaland-limited 유튜브: youtube.com/capitaland i https://www.albatroztherapeutics.com/news/albatroz-therapeutics-secure-3-million-to-develop-first-ever-therapy-blocking-a-universal-process-involved-in-the-growth-and-spread-of-cancerous-solid-tumors-and-arthritic-cartilage-degradation/ ii https://www.verimmune.com/news/verimmune-inc-announces-over-3m-additional-funding iii https://www.verimmune.com/news/verimmune-announces-positive-pre-ind-meeting-with-fda

2024.07.18 19:10글로벌뉴스

옴디아: 태블릿 및 노트북 PC OLED 성장에 힘입은 대면적OLED 출하량, 전년 대비 124.6% 증가 전망

런던, 2024년 7월 17일 /PRNewswire/ -- 옴디아(Omdia)의 최근 대면적 디스플레이 마켓 트래커 1Q24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9 인치 이상의 대면적 OLED 출하량이 전년 대비(YoY) 124.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Large area OLED unit shipment forecast in 2024 전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하이엔드 디스플레이는 수요가 감소하고 대면적 OLED 출하량에 영향을 미쳐 2023년에 전년 대비 25.7% 감소했다. 유일한 예외는 패널 제조사들이 자신들의 초점을 바꿔 OLED TV 디스플레이 사업으로 인한 적자를 줄임에 따라 2023년 출하량을 늘릴 기회를 제공한 모니터 OLED였다. 옴디아의 피터 수(Peter Su) 선임 수석분석가는 시장 변화에 대해 "도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타' 카테고리를 제외한 모든 대면적 OLED 애플리케이션은 2024년에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노트북 PC 및 태블릿 PC와 같은 OLED의 모바일 PC 애플리케이션들이 견인할 것이다. 특히 태블릿 PC OLED 출하량은 주로 애플 신제품 아이패드 프로 OLED 버전 출시로 인해 2024년에 전년 대비 294.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OLED 제조사들도 같은 기간 동안 노트북 PC OLED를 전년 대비 152.6%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AI PC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하이엔드 노트북 PC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8.6세대 IT OLED 팹을 계획하는 OLED 제조사들은 팹 양산에 대비하여 올해 노트북 PC OLED 출하량 목표를 늘리고 있다. 모니터 OLED도 2024년 출하량이 전년 대비 139.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OLED TV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전년 대비 34.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수치는 2022년보다 아주 낮은 수치이다. 따라서 패널 제조사들은 8.5세대 OLED 팹 생산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니터 OLED 생산량을 늘려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Large area OLED unit shipment share forecast by maker in 2024 한편 2024년의 대면적 OLED 출하량 점유율은 삼성디스플레이가 52.5%로 가장 많고, LG디스플레이 33.1%, EDO 10.1% 순이다. 한국 제조사들이 대면적 OLED 출하량에서 2023년 88.2%보다 낮은 85.6%의 점유율로 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하락은 2023년 11.8%였던 중국 패널 제조사들의 점유율이 2024년 14.4%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패널 제조사들은 조만간 8.6세대 IT OLED 팹을 세울 계획이며 태블릿과 노트북 PC OLED 출하에 주력하고 있다. 옴디아 소개 인포마 테크(Informa Tech)의 옴디아는 기술 연구 및 자문 그룹입니다. 옴디아의 기술 시장에 대한 심층적 지식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결합해 사업 성장을 위한 현명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omdia.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문의 Fasiha Khan / 전화번호: +44 7503 666806 / 이메일: fasiha.khan@omdia.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59266/Large_are_OLED_unit_shipment_forecast_in_2024.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59265/Large_area_OLED_unit_shipment_share_forecast_by_maker_in_2024.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369794/Omdia_Logo.jpg?p=medium600

2024.07.17 20:10글로벌뉴스

CGTN: 중국에 개혁 심화가 그토록 중요한 이유

베이징 2024년 7월 17일 /PRNewswire/ -- 중국국가박물관(中国国家博物馆)에는 109개의 공식 관인(官印) 특별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다. 톈진시 빈하이 신구에서 나온 이 관인들은 2014년 톈진 시정부가 행정 심사 승인국을 세우고, 수백 개의 심사와 승인 부서를 한 부서로 통합하면서 109개의 관인을 하나의 관인으로 대체한 이후 폐기됐던 것들이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건설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지만 2014년에도 여전히 사업을 하기가 녹록지 않았다. 당시 톈진시 인민대표대회의 한 의원은 토지 취득부터 모든 행정 승인 절차 완료까지 하나의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만 30개가 넘는 정부 승인과 100개 이상의 관인이 필요하다고 비판할 정도였다. 이렇다 보니 전체 승인 절차가 완료되는 데만 영업일 기준으로 최소 272일이나 걸렸다. 국가박물관에 전시된 109개의 관인은 제도 개혁을 심화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상징한다. 지난 몇 년 동안 중국 국무원(國務院)은 기업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1000건이 넘는 항목에 대한 행정 승인 권한을 취소하거나 하급 기관에 위임함으로써 중앙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투자 항목 수를 90% 이상 대폭 삭감했다. 개혁 심화가 중요한 이유 1978년 개혁개방에 착수한 중국은 46년이 지난 이제 가난하고 저개발된 경제에서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변신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3년 한 심포지엄에서 "개혁과 개방은 중국이 시대를 따라잡을 수 있었던 주요 비결"이라며 "중국의 현대화를 촉진하기 위해선 개혁과 개방을 더욱 전면적으로 심화하고, 사회 생산력을 지속적으로 해방 및 발전시키며, 사회 활력을 발휘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7월 15일(월) 수도 베이징에서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20기 3중전회)를 개막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개혁을 더욱 전면적으로 심화하고 중국의 현대화를 진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왕춘광 중국 사회과학원(中国 社会科学院) 연구원은 중국이 현재 개혁 과정에서 '심해' 지대에 진입함으로써 ▲이전 개혁의 효과 감소 ▲불투명한 미래 개혁 경로 ▲국제 관계 변화처럼 이전보다 더 복잡하고 시급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추가 개혁을 통해 사회, 경제, 문화, 정치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중국의 현대화는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판웨이칭 우한대학 부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과학 기술 혁명과 산업 전환이 진행되고 과학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중국의 기술 혁신에도 개혁 심화가 필수적이며, 이는 중국의 미래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일련의 미해결된 모순과 도전을 해결하려면 개혁과 개방을 심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항상 개혁 심화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왔다. 시 주석이 2012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로 취임한 지 1년 후 중국 정부는 중국의 특색이 묻어나는 사회주의 체제를 개선 및 발전시키고, 중국의 통치 시스템과 역량을 현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개혁을 전면적으로 심화한다는 결정을 채택했다. 중국은 어떻게 개혁을 심화하고 있는가 이후 중국 지도부는 전반적인 개혁 심화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해왔고, ▲당과 국가 기관 개혁 ▲농촌 토지 개혁 ▲국유 기업 개혁 ▲금융 개혁 ▲친환경 전환 ▲의료 시스템 개혁을 포함한 3000건이 넘는 개혁 계획을 발표했다. 모든 개혁 중에서 경제 개혁이 가장 핵심이다. 시 주석은 자원 배분 면에서 시장이 '결정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창해왔다. 이전 공식 성명에서도 '결정적'이라는 단어가 '기본'으로 들어갔다는 점에서 이는 정책 조정의 강력한 신호탄이었다. 시 주석의 지시에 따라 중국은 지난해 민간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민영경제발전국을 신설하고, 민간 기업의 자금 조달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 개혁을 추진했다. 또 현대적 기업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국유기업(SOE) 개혁을 추진하고, 기업의 시장 참여를 제한하는 영역을 지정한 '네거티브 리스트(negative list)' 목록을 추가로 축소하며, 목록에서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은 분야로의 진입을 허용했다. 개혁의 결과는 가히 놀라왔다. SOE 개혁을 위한 3개년 행동 계획(2020~2022년)을 통해 16만 5000여 개 국유기업이 유한책임회사나 주식회사로 전환됐고, 약 3만 8000여 개 국유기업이 이사회를 설립했다. 또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내 민영 기업 수는 4배 이상 증가하면서, 80% 미만이었던 전체 기업 수 대비 민영 기업 수 비율은 92% 이상으로 높아졌다. 2020년 발표된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이처럼 꾸준하고 강력한 개혁으로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은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개선되면서 중국은 2년 연속 세계 10대 개혁 국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https://news.cgtn.com/news/2024-07-16/Why-is-deepening-reform-so-important-for-China--1vhwv3kKVkk/p.html

2024.07.17 19:10글로벌뉴스

싱가포르 은행 UOB, 우리카드와 획기적인 상호 카드 제휴 발표

-- UOB, 아세안 고객들에게 독점적 혜택 제공 위한 파트너십 생태계 강화로 여행과 엔터테인먼트 분야 내 선도적 입지 강화 모색 싱가포르 2024년 7월 17일 /PRNewswire=연합뉴스/ -- 싱가포르 UOB 은행과 우리금융지주 자회사 우리카드가 17일 각 사 카드회원이 한국과 싱가포르에서 상대방 카드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주는 획기적인 상호카드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제휴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과 한국 금융기관 간 최초의 제휴로, 한국을 여행하는 아세안 전역의 UOB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소지자는 한국 내 우리카드 가맹점에서 우리카드 카드회원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반대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을 방문하는 약 1200만 명에 달하는 우리카드 회원들도 선별된 UOB 카드회원의 특전을 맛볼 수 있다. 양사는 상대국에서 각자의 카드 고객 지출을 조사해 소매, 외식, 관광 명소, 여행, 숙박 등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맹점 혜택을 선정할 예정이다. 패션 소매업체 클럽21, 코모 그룹 외식업체,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 한국의 신세계 면세점과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쉐이크쉑 등 식음료 체인으로 유명한 SPC 그룹 등이 이미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번 상호 제휴에 따른 전체 가맹점 혜택 목록은 향후 몇 달 내에 발표될 예정이다. UOB와 우리카드 마스터카드 소지자는 연말 여행 시즌에 맞춰 올해 4분기까지 양사의 획기적인 이번 협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비자 카드회원 역시 가까운 시일 내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클린 탄 UOB 그룹 개인금융서비스 책임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몇 년 동안 소비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경험을 누리려는 지출을 늘리려는 분위기가 추세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여행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한국이 우리 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로 꾸준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가운데 UOB는 우리카드와의 상호 제휴를 통해 우리 고객들이 한국 현지인처럼 최고의 혜택과 특전을 누리는 동시에 싱가포르와 아세안을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여행지로 홍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이와 같이 선구적인 상호 제휴에 나서준 우리카드에 감사드리며, 양사 카드 서비스가 가진 상호 강점을 바탕으로 카드회원들에게 양사의 혜택을 합친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상호 제휴는 UOB가 여행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 강화 전략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도에 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박위익 우리카드 디지털/IT그룹 겸 D&D 사업본부 전무는 "UOB와 함께 이번 발표를 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고객들이 선호하는 여행지에서 UOB가 제공하는 다양한 가맹점 혜택을 누리며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UOB 카드 고객이 선호하는 여행지인 한국 UOB는 자사의 아세안 카드회원이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가 한국이라는 사실이 데이터를 통해 확인되자 상호 카드 제휴 아이디어를 착안했다. 한국은 지난해 외환 지출액 기준으로 아세안 전역의 UOB 카드회원들이 가장 많이 찾은 아시아•태평양 여행지[1]이다. 싱가포르 카드회원은 지난해 한국에서 가장 많은 돈을 지출했으며, 태국과 말레이시아 카드회원이 그 뒤를 이었다. 해외 UOB 카드 지출의 성장 모멘텀 측면에서 지난해 한국 내 지출은 전년 대비 60% 급증하며 전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카드 지출 증가세는 인도네시아 카드회원이 가장 두드러졌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카드회원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박 전무는 "우리카드는 이번 제휴를 통해 한국을 방문하는 UOB 카드회원들에게 가장 적합한 가맹점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우리카드는 UOB 카드회원이 가장 자주 방문하는 주요 가맹점과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십분 활용해 UOB 카드회원을 위한 맞춤형 가맹점 혜택과 원활한 풀필먼트(fulfilment) 프로세스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싱가포르인들이 가장 방문하고 싶은 5대 여행지[2] 중 하나로 선정됐다. 올해 2월 싱가포르관광청(STB)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https://www.stb.gov.sg/content/stb/en/media-centre/media-releases/Singapores-tourism-sector-posts-strong-recovery-in-2023-exceeds-forecasts-for-tourism-receipts.html.html ] 지난해 싱가포르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중 한국인은 상위 10위 안에 들었으며, 한국인은 싱가포르에서 총 5억 싱가포르 달러 이상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상반기 중 한국에선 아세안 국가 중 두 번째로 많은 방문객이 싱가포르를 찾으면서 전체 방문객의 8.1%를 차지했다. 이 같은 비율은 중국 방문객[3] 비율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준에 불과하다. 여행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UOB와 우리카드의 선도적 입지 강화 이번 상호 제휴는 여행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강화하는 카드 전략을 통해 양사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기호에 부응하려는 UOB와 우리카드의 노력을 확인해줄 뿐 아니라 한국, 싱가포르 및 아세안 관광 산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쇼핑, 외식, 여행, 엔터테인먼트란 네 가지 주요 지출 부문 중 올해 1분기 UOB 카드 소지자의 카드 결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빠르게 성장한 부문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 분야다. 여행 지출은 23% 증가했으며, 해외 결제액도 20% 늘어났다. 같은 기간 엔터테인먼트 분야 지출은 3배 이상 크게 성장했다. 가맹점 확보[4] 측면에선 올해 1분기 비자와 마스터카드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총 지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 가까이 증가했다. 해외 등록 카드 지출이 16% 이상 급증하며 국내 카드 결제액의 7.5% 성장률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The Eras Tour)[5], 에드 시런의 + – = ÷ × 투어[6] 등 여러 세계적인 엔터테인먼트 공연과 이벤트를 보려는 관광객이 싱가포르로 유입되고, UOB와 STB 및 마리나 베이 샌즈 간 최초로 3자 파트너십이 체결된 사실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국내 카드 결제액이 7.5% 늘어난 반면 싱가포르 UOB 카드회원의 지출은 이보다 훨씬 더 높은 20% 가까이 급증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UOB 소개 UOB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아시아의 선도적인 은행이다.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유럽, 북미의 19개 국가와 지역에 약 500개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1935년 설립 이후 일련의 전략적 인수를 통해 유기적인 성장세를 이어온 결과 오늘날 세계 최고의 은행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적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 인베스터스 서비스로부터 Aa1, S&P 글로벌 레이팅스와 피치 레이팅스로부터 AA-의 신용등급을 각각 받았다. UOB는90년 가까이 진취적인 기상으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의미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을 위해 올바로 일하자는 '고객 중시 전략'을 추구하면서 장기적 가치를 창출해 왔다. UOB는 아세안 내뿐만 아니라 아세안과 연결되는 사람과 기업을 위해 아세안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 데 주력하고 있다. UOB는 독보적인 역내 입지를 바탕으로 역내 기업을 다양한 기회와 연결해주며,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통해 고객별 고유한 요구와 변화하는 선호도를 충족하는 맞춤형 뱅킹 경험과 솔루션을 혁신하고 창출한다. 또한 사회적 포용성을 추구하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기업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UOB는 책임감 있는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가 돼야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예술, 어린이 사회 개발, 교육을 지원하면서 지역사회 및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올바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우리카드 소개 우리카드는 우리금융지주 내 신용카드 부문 사업 역량 강화 및 비은행 부문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13년 4월 우리은행*에서 분사해 설립됐다. 현재 광범위한 네트워크와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금융그룹 계열 카드사로서 최적화된 사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신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오늘의 혁신으로 내일의 가치를 만드는' 금융회사가 되겠다는 비전 아래 고객의 니즈를 최우선으로 충족시키는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업종의 파트너사와의 적극적인 업무 제휴를 통해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우리은행 1899년 설립된 우리은행은 현재 2550만 명의 고객과 24개국 580개 네트워크 및 국내 711개 지점을 보유한 한국 내 최대 은행이다 [1] UOB가 진출한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제외 [2] 구글(2023년)[https://cnalifestyle.channelnewsasia.com/travel/google-searches-travel-top-holiday-destinations-singaporeans-bali-tokyo-bangkok-355276 ] 및 싱가포르 여행사협회(2023년)[https://www.travelweekly-asia.com/Travel-News/Travel-Agent-News/NATAS-maps-Singaporeans-travel-trends ] 설문조사 기준 [3] 아세안 통계 브리프(ASEAN Statistical Brief)(2023년)[https://www.aseanstats.org/wp-content/uploads/2023/11/ASB-202311-v2.pdf ] 데이터 기준 [4]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거래 처리를 위해 UOB를 선택한 가맹점 수 [5] UOB는 싱가포르 테일러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 공식 은행 및 사전 판매 파트너이다. [6] UOB는 에드 시런의 + – = ÷ ×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투어 지역 프레젠테이션 스폰서이다.

2024.07.17 16:10글로벌뉴스

PRA 그룹, 전세계 사업 확장 10 주년을 기념

노퍽, 버지니아, 2024년 7월 16일 / PRNewswire/ -- 오늘, 부실 채권 인수 및 회수 분야 글로벌 리더 PRA 그룹(PRA Group, Inc. (나스닥: PRAA))은 유럽과 캐나다 전역의 동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었던 기업 악티브 캐피털(Aktiv Capital AS) 인수 10 주년을 기념한다. 이와 같이, 이 이정표는 PRA 그룹의 중요한 전세계 확장의 시작을 기록했다. Members of the PRA Group Board of Directors and senior leaders gathered in London to commence the company's milestone celebration of global expansion. 이 기념 행사는 PRA 그룹 런던 사무소에서 열린 리셉션으로 시작되었으며, 이 자리에서 PRA 그룹의 이사회 멤버들과 인수 작업에 참여했던 양사 고위 경영진들이 인수 당시의 이야기로 꽃을 피웠다. 그들의 시각은 PRA 그룹 역사 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온 동사의 진화를 보여주었다. PRA 그룹 사장 겸 CEO 비크 아탈(Vik Atal)은 지난날을 되돌아 보면서 "이사회를 통해 회사를 이끌면서 알게 된 것은 우리가 더 이상 이 회사들을 별개의 기업으로 생각하지 않고 우리 모두는 하나로 뭉쳐있다는 사실"이라면서 "우리는 이제 지리적 차별화와 협력을 유지하고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기업이라는 속성을 활용하는 다음 단계에 와있다"라고 말했다. PRA 그룹이 인수하여 동 그룹에 합류한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등 유럽과 북미의 다른 사무소에서도 여름 내내 10 주년 기념 행사가 이어졌다. PRA 그룹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인 스티브 프레드릭슨(Steve Fredrickson) 이사회 의장은 "가장 자랑스러운 것 중 하나는 우리가 지식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2014년에 PRA 그룹이 얻은 탁월한 인재들을 활용함으로써 이 양사를 성공적으로 통합했다는 것"이라면서 "이 인재들은 우리의 전세계 경영진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 팀들의 지속적인 자산"이라고 말했다. 인수 당시 악티브 캐피탈의 전략 및 기업 개발 책임자였던 PRA 그룹 유럽 사장 마틴 욜룬드(Martin Sjölund)는 "이 인수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 이유는 양사 모두 장기 사업 추진 전략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이번 인수로 인한 지리적 다양성을 통해 순환의 속성이 강한 이 사업에 균형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규모에서 엄청난 경력과 혁신의 기회가 열렸다"고 말했다. 10 년 전 악티브 캐피탈 CEO였던 가이어 올슨(Geir Olsen) PRA 그룹 이사회 디렉터는 "놀라운 사실은 이 인수를 통해 PRA 그룹에 합류한 동료들 중 3분의 1 이상이 지금까지 이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는 전세계적인 우리 기업 문화의 힘과 통합성의 크기에 대한 증거"라고 덧붙였다. PRA 그룹은 유럽과 북미에서 사업을 확장하면서 2014년 7월 오스트리아, 캐나다, 핀란드, 독일,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와 영국 등에서 팀들을 확보했다. PRA 그룹은 악티브 캐피털 인수 10 년이 지난 지금까지 유럽, 남미,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호주에서 추가적인 인수와 사무소 개설을 통해 지리적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구축해왔다. PRA 그룹은 현재 3,000 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18 개국에서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다. PRA그룹부실 대출 인수 및 회수 분야의 글로벌 리더 PRA그룹은 미주, 유럽 및 호주 소비자들을 위한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은행과 기타 채권자들에게 자금을 돌려준다. 전세계 수천 명의 직원이 있는 PRA그룹 계열사들은 고객들과 협력하여 그들이 부채를 해결해준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pragroup.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뉴스 미디어 연락처:Elizabeth Kersey홍보 담당 수석부사장 (757) 641-0558 Elizabeth.Kersey@PRAGroup.com 투자자 연락처: Najim Mostamand, CFA 투자자 관계 담당 부사장(757) 431-7913 IR@PRAGroup.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61466/Aktiv_Edit_PRA_Group.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819349/PRA_Logo.jpg?p=medium600

2024.07.17 02:10글로벌뉴스

CGTN: 중국의 현대화 추진 원동력은 '개혁 심화'

베이징 2024년 7월 1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978년 칭화대학교에서 공부하던 당시 중국 동부 안후이성 추저우시를 방문해 농촌 개혁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 추저우에 자리한 샤오강 마을은 일부 마을 주민들이 집단 토지를 개별 가구와 계약해 나눠주자는 생각을 처음으로 하면서 중국 농촌 개혁의 발상지로 꼽히는 곳이다. 시 주석은 추저우를 방문하는 동안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메모한 내용을 토대로 책을 집필했다. 그는 "나는 아직도 당시 메모를 적어놓았던 노트를 간직하고 있다"면서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후 농촌 지역 개혁에 대해 배운 첫 번째 교훈이라는 점에서 당시 겪은 경험은 정말 인상적이었다"고 회상했다. 이후로 시 주석은 언제 어디서나 개혁을 위해 줄곧 노력했다. 1991년 중국 남동부 푸저우시 당서기로 재직할 당시에는 업무의 고효율성과 실질적인 성과를 강조하는 '즉시 실행(do it now)' 정신을 제안했다. 2003년 중국 동부에 자리한 저장성의 당서기였을 때는 지역, 시장경제, 생태 등 8가지 측면에서 저장성의 강점을 살려 선도적이고 균형 잡힌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자고 촉구했다. '올바른 길' 시 주석은 2012년 12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CPC Central Committee) 총서기에 취임한 후 베이징을 벗어난 첫 시찰 일정으로 중국 남부 광둥성을 방문했다. 이 방문에서 그는 "개혁과 개방을 시작한 결정은 옳았다"면서 "우리는 이러한 올바른 길을 계속 걸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18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2013년 11월 중국만의 특색을 가진 사회주의 체제를 개선하고 발전시키고 중국의 통치 시스템과 역량을 현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개혁을 전면적으로 심화하기로 하는 결정을 승인했다. 한 달 후 중국은 시 주석이 이끄는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Central Leading Group for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중국 공산당 역사상 처음으로 중앙 차원에서 개혁을 전담하는 지도 기구가 설립됐다. 이후 이 기구는 시 주석이 위원장으로 있는 중앙 전면심화개혁위원회(Central Commission for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로 발전했다. 이후 중국 지도부는 최소 70회 이상 회의를 개최하여 전반적인 개혁 심화를 위한 주요 방향, 로드맵, 주요 조치와 과제를 제시했다. 이 결과 지난 10년 동안 2000건 이상의 개혁 조치가 시행되어 ▲극빈층 퇴치 ▲도시와 농촌 통합 개발 촉진 ▲부패 척결 ▲기업 지원 ▲혁신 촉진 ▲녹색 혁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중국은 2021년 2월 2013년 이후 빈곤한 832개 현 농촌 주민 약 1억 명이 빈곤에서 벗어나게 만들며 극빈 퇴치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발표했다. 또한 중국 경제는 견고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12년 이후 두 배 이상 성장하여 주요 성장 기여국으로서 중국의 글로벌 위상을 공고히 다지고 있다. 중국 현대화의 진전 현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국에겐 개혁을 심화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 5월 전문가와 기업가들이 참석한 심포지엄에서 "개혁은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점을 주지시키며, 중국의 현대화를 진전시키는 데 중점을 둔 노력을 통해 전반적으로 개혁을 심화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이 심포지엄에서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이후 개혁을 더욱 전면적으로 심화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혁 개방이 시작된 이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는 모두 개혁에 초점을 맞췄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개혁은 중국 현대화의 진전이라는 주제와 긴밀히 연계될 것"이라고 말했다. 7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정책 입안자들이 베이징에 모여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반적인 개혁 심화와 중국 현대화 진전에 관한 주요 정책 문서를 심의할 예정이다. 이번 전체회의의 정책 결정은 중국이 글로벌 환경의 복잡성을 더 잘 헤쳐나가고, 경제의 변화와 질적 성장을 촉진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ews.cgtn.com/news/2024-07-15/How-deepening-reform-pushes-China-s-modernization-drive-1vfI2UAO9I4/p.html

2024.07.16 19:10글로벌뉴스

인스웨이브, 2024 인스포지엄 개발자 밋업 개최

인스웨이브시스템즈(대표 어세룡)가 웹스퀘어 공통 개발자 및 일반 개발자를 대상으로 '2024 인스포지엄(IN-SPOSIUM) 개발자 밋업 2차'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인스포지엄은 인스웨이브(Inswave)의 기업명과 토론회를 뜻하는 심포지엄(Symposium)의 합성어다. 인스웨이브의 솔루션과 최신 IT 기술 정보를 제공하면서, 신제품 또는 신기능에 대한 소중한 의견과 토론을 통해 개선된 솔루션을 만들기 위한 네트워크의 자리다. 이번 행사는 공통 개발자 단위의 소규모 '웹스퀘어 컨설턴트 회의'를 일반 개발자에까지 정식 확대하여 지난 7월 1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신사옥 파도 타운홀에서 개최됐다. 행사에서는 최신 AI 기술과 개발자 도구 소개, 웹스퀘어 AI 신기술 미리보기 및 피드백, AI 코파일럿(Copilot)을 활용한 개발 실전 팁과 트릭 소개 등 다양한 AI 관련 주제를 다루며 개발자들이 인공지능에 관한 실질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지난주 막을 내린 2024 인스웨이브 AI 경진대회 수상작이 처음으로 공개돼 눈길을 사로잡았고, W-매트릭스 모바일(W-Matrix Mobile)과 W-하이브(W-Hive) 등을 활용한 앱 개발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 웹스퀘어 AI 활용 웹스퀘어 레퍼런스 모델(WRM) 개발 노하우 등의 세션이 차례로 이어졌다. 인스웨이브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특히 AI 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준비된 좌석을 가득 메울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참석자들은 인스웨이브의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며 인사이트를 얻었다. 어세룡 인스웨이브 대표는 "이번 인스포지엄 개발자 밋업을 통해 많은 개발자가 인스웨이브 솔루션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한 개발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개발자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인스웨이브 솔루션을 함께 발전시키고, 개발자 커뮤니티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4.07.16 17:52남혁우

에이피알, '부스터 프로'와 '울트라 튠 40.68' 글로벌 판로 추가 개척

글로벌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대표 김병훈)이 '부스터 프로'와 '울트라 튠 40.68(이하 울트라 튠)'등 차세대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뷰티 디바이스의 해외 직접 판로 개척에 박차를 가한다. 에이피알은 16일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뷰티 디바이스 부스터 프로와, 울트라 튠의 해외 출시 계획을 공개했다. 이번 해외 진출은 모두 에이피알이 직접 판매에 나서는 '직판' 방식으로, '울트라 튠'의 일본과 홍콩 출시와 '부스터 프로' 대만 출시가 준비 중이다. 먼저 일본에서는 울트라 튠의 시장성에 집중한다. 탄력과 볼륨 케어를 향한 일본 소비자들의 수요가 상당함에도, 현지 시장 내 딱히 전문적인 홈 뷰티 디바이스가 드물었던 점을 노려 울트라 튠 만의 전문성을 어필할 계획이다. 일본 소비자들 역시 항노화 및 '작은 얼굴 만들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울트라 튠이 충분히 성공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에이피알의 판단이다. 에이피알은 라쿠텐과 큐텐 등 일본 대표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먼저 제품을 선보이는 한편, 인플루언서를 기용한 라이브 커머스 방송 역시 병행하며 제품 인지도와 판매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특히 '메가와리' 행사 기간에 집중적으로 관심과 열기를 유도하여 1세대 디바이스 대비 증가한 판매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목표다. 현재 예상 출시 일정은 올해 3분기 말~4분기 초다. 2024년 들어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홍콩 역시 부스터 프로와 울트라 튠을 통해 좋은 분위기를 하반기에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 3월 홍콩 유명 쇼핑가 몽콕 모코몰 (Moko Mall) 팝업 스토어 성료 이후 홍콩에서는 행사 이전 대비 에이지알 뷰티 디바이스를 향한 관심과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부스터 프로가 현지 누적판매 2만 대를 넘기며 흥행을 주도하고 있다. 에이피알은 여기에 울트라 튠을 추가 투입하여 홍콩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지난 3월 팝업 스토어에서 현지 셀럽이 높은 관심을 보이는 등 오프라인에서도 흥행한 점에 착안, 3분기 말~4분기 초로 예정된 울트라 튠 출시에 맞춰 오프라인 고객 접점 확대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부스터 프로 론칭을 시도 중인 대만 역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큰 시장이다. 지난해 11월 전(前) 세대 제품 '부스터 힐러'를 대만에 앞서 출시한 에이피알은, 약 7개월 만에 누적 판매 1만 대를 넘기며 가능성을 봤다. 현재 뷰티 디바이스를 향한 대만 소비자들의 관심이 기존의 클렌져에서 피부 케어 디바이스 쪽으로 옮겨가고 있어, '6 in 1'을 컨셉으로 다양한 기능과 피부 케어 효과를 내세우는 부스터 프로의 대만 시장 내 안착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에이피알은 뷰티 디바이스 매출의 약 40%를 해외에서 거두고 있을 정도로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이라며 “부스터 프로와 울트라 튠과 같은 차세대 제품의 직판 채널 추가를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K-뷰티테크 영역 확대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24.07.16 14:57안희정

하이센스 그룹 사장, 미래 성공을 위한 전략적 로드맵 제시

칭다오, 중국 2024년 7월 16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가전 및 소비자 가전 브랜드 하이센스(Hisense)가 오늘 유로 2024™ 결승전에 앞서 베를린에서 열린 파트너 콘퍼런스(Partner Conference)에서 야심 찬 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피셔 유(Fisher Yu) 하이센스 그룹 사장은 '비욘드 챔피언, 비욘드 글로리(Beyond Champion, Beyond Glory)'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통해 브랜드 제고, 시나리오 중심 제품 및 서비스, 산업 구조 최적화, 추가 글로벌 확장에 대한 노력에 초점을 맞춘 전략적 업그레이드를 설명했다. Hisense introduced multi-brand strategy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UEFA European Championship)를 세 번째로 후원하는 하이센스는 '브랜드 그 이상의 하이센스(Hisense, More Than a Brand)'라는 슬로건을 공개하며 멀티 브랜드 전략을 암시했다. 2016년 첫 후원을 시작한 하이센스는 최고 수준의 스포츠 이벤트를 연이어 후원하며 세계화를 가속화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한편, 하이센스의 해외 매출은 미화 35억 달러에서 120억 달러로 3.5배 증가했다. 유 사장은 "하이센스가 2024년 상반기에도 강력한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하이센스 2C 비즈니스가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하고 해외 시장에서 18% 급증한 것은 사용자 중심, 기술 혁신 및 글로벌 비전을 기반으로 한 장기 전략의 성공을 나타낸다. 이 강력한 기반을 바탕으로 브랜드, 시나리오, 산업 구조 및 세계화에서 전략적 업그레이드를 실행할 수 있는 완벽한 위치에 있다"고 설명했다. Fisher Yu, President of Hisense Group, delivered the keynote address titled "Beyond Champion, Beyond Glory" 또한 "하이센스 TV 출하량은 2024년 1분기 2년 연속 전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우리는 No.1 브랜드와의 격차를 지속적으로 좁혀가고 있으며 앞으로 미래가 더욱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기조연설에서 유 사장은 고객 피드백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과 제품을 개발하여 '사용자 중심 기술'과 '최고의 품질'에 대한 하이센스의 약속을 강조하는 최신 업그레이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전제품 대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또한 하이센스는 스마트 홈 경험을 창출하고 제품 기획, R&D 및 마케팅 전반에 걸쳐 전체 사용자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개별 제품을 넘어 가전제품을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연결성, 보안 및 AI에서 플랫폼 간 호환성을 우선시하여 사용자 요구를 예측하고 능가하는 더 스마트한 제품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Hisense strategic upgrades in brand, scenarios, industrial structure and globalization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하이센스는 독립형 엔드 디바이스(Standalone End Devices)를 전체적인 시스템 솔루션(Holistic System Solutions)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술 기반,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위한 ConnectLife 플랫폼과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의 활용, 상호 작용 및 인텔리전스를 위한 HI-Star AI 대규모 언어 모델 등이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시스템 솔루션은 하이센스의 장기적인 환경 및 사회적 약속에 부합하도록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하이센스는 이러한 트렌드의 선두 주자로서 스마트 운송, 스마트 빌딩, 헬스케어, 에너지 관리, 자동차 전장 분야에서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의 최전선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글로벌 확장에 전념하고 있는 하이센스는 미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6개의 지역 운영 센터를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하이센스는 26개의 R&D 센터, 34개의 산업 단지 및 제조 기지로 구성된 기존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생각은 글로벌하게, 행동은 현지인처럼(Think Global, Act Local)' 접근 방식을 통해 현지 인재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제조, R&D 및 공급망을 강화한다. 이로써 하이센스는 글로벌 R&D 투자를 통한 맞춤형 제품으로 특정 현지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하이센스의 UEFA 유로 2024™ 후원을 통해 스포츠 파트너십 마케팅 전략을 이어가며 전 세계 시청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하이센스의 '비욘드 글로리(BEYOND GLORY)' 캠페인은 경계를 허물고, 야심 찬 목표를 열망하며, 일상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선구적인 가전제품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하이센스의 목표를 강조한다. 하이센스(Hisense) 소개 하이센스(Hisense)는 UEFA 유로 2024™의 공식 파트너로서 선도적인 글로벌 가전 및 가전 브랜드이다. 옴디아(Omdia)에 따르면 하이센스는 2023년과 2024년 1분기 모두 TV 출하량에서 전 세계 2위, 100인치 TV 출하량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하이센스는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여 1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제품, 가전제품 및 지능형 IT 정보를 전문으로 한다.

2024.07.16 14:40글로벌뉴스

LG전자, 日 VGP 어워드서 '심사위원 특별상' 포함 총 16개 수상

LG전자의 공감지능(AI, Affectionate Intelligence) TV '올레드 에보(evo)'를 비롯한 혁신 제품들이 일본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LG전자는 최근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AV 전문매체 중 하나인 '음원출판(音元出版)'이 주관하는 'VGP 2024 썸머' 어워드에서 최우수 제품들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특별상인 '심사위원 특별상', '게이밍 대상'을 포함한 총 16개의 상을 받았다. VGP 어워드는 출품작을 특별상과 카테고리별 부문으로 나눠 시상한다. 특히, LG 올레드 에보(M3/G4/C4시리즈)는 제품 전체가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는 쾌거를 거뒀다. 동시에 70형~80형(77G4), 60~70형(65G4), 45형 미만(42C4) OLED TV 부문에서도 최고상에 해당하는 금상을 각각 받았다. VGP의 이와이 타카시(岩井喬) 심사위원은 “LG 올레드 TV는 새로운 OLED의 미래를 개척하고 있다”라며 “새로운 AI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세밀한 화질 표현과 색 밸런스, 명암비 등 완성도가 한층 더 진화했다”라고 극찬했다. 지난해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무선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M'도 특별상 가운데 '기획상'을 받으며 탁월한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VGP는 4K 고화질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LG만의 독보적 올레드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다. 'LG 울트라기어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도 제품 전체가 특별상 부문 '게이밍 대상'을 수상한데 이어, 게이밍 모니터 부문 내 금상을 제품 4종(모델명: 45/34/32/27GS)이 모두 휩쓸며 게이밍 성능을 인정 받았다. 이 외에도 ▲LG 그램 프로 2in1 ▲14인치 LG 그램 ▲ LG MyView 스마트모니터 등 차별화된 기술력의 제품들이 골고루 상을 받았다. VGP 어워드는 AV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단과 고객들의 반응을 직접 접하는 전자매장 딜러들이 제품의 기술력과 소비자 만족도 등을 평가해 선정한다. 일본 영상·음향기기계 '오스카상'이라 불릴 만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LG 올레드 에보(모델명: 42C4)는 일본 최고 권위의 AV 전문매체 가운데 하나인 하이비(HiVi)가 선정한 'HiVi 베스트 바이 썸머 2024'에서도 50형 미만 OLED TV 분야 최고 OLED TV로 선정됐다. 하이비의 타카츠 오사무(高津修) 전형위원은 “고화질이 핵심인 올레드 TV에서 42형은 LG전자가 정성스럽게 키워낸 독무대라 할 수 있다”라며 “(LG 올레드 에보는) 4K∙144Hz를 지원하는 뛰어난 사양을 갖췄다”라고 소개했다. 올레드 선호도가 높은 프리미엄 TV 시장인 일본에서 'LG 올레드 에보'가 연이어 최고 제품으로 인정받은 것은 LG전자만의 독보적 올레드 기술 리더십을 인정받은 것이라 의미가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TV 시장 내 올레드 TV 매출액 비중은 약 25%로 글로벌 TV 시장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LG전자 손성주 일본법인장은 “이번 수상은 화질에 민감한 일본 시장에서 LG전자가 쌓아온 확고한 올레드 기술 리더십을 인정받은 결과라 의미가 크다”라며 “LG 올레드 TV만의 차별화된 시청 경험을 앞세워 일본 소비자를 사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4.07.16 10:00이나리

페리지·그린광학·스페이스린텍 등 "IPO 눈앞"

우주과학 분야 세계 최대 국제행사인 국제우주연구위원회(COSPAR) 학술총회가 우주 전문가 2천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5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됐다. 행사는 21일까지 이어진다. '팀 스피리트 인 스페이스(Team Sprit in Space)를 주제로 진행된 이 총회에서는 △미낙시 와드화 교수의 'NASA 화성샘플 귀환 프로그램' △197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무엘 팅 교수의 '현대 물리학과의 만남'에 이어 △한국천문연구원 심채경 박사와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의 '달 과학 토크 콘서트'가 진행됐다. 윤영빈 청장은 개막식에서 우주과학과 우주탐사 분야에서 국경을 초월한 협력과 이를 통한 인류 공동 번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청장은 "한국도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 동참하겠다"고 선언했다. 개막식에 이어 전시장 투어가 진행됐다. 깡통 로켓서 시작...발사체로 시리즈 C투자까지 1층에 마련된 전시장에는 40여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미국 항공우주청(NASA), 한국천문연구원(KASI), 모하메드빈라시드 우주센터(MBRSC) 등이 최신 국제 우주기술을 소개했다. 또 발사체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시리즈C 투자유치로 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는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한 나라스페이스, 컨텍, 솔탑, 이노스페이스, 스페이스린텍, 그린광학 등이 관련 제품과 기술을 공개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와 이노스페이스는 발사체 재활용 연구를 진행중이다. 특히,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와 그린광학, 스페이스린텍 등은 IPO를 추진 중이다. 그린광학 유정훈 우주사업개발팀 이사는 "개당 60억 원 하는 직경 1.2m짜리 인공위성용 거울 72개를 최근 인도에 납품했다"며 "재료 속을 깎아내는 공법으로 기존 대비 85%의 경량화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그린광학은 또 미사일 제작에 쓰이는 초고순도 징크설파이드'(CVD-ZnS) 소재 생산 기술을 갖고 있다. 윤학순 스페이스린텍 대표는 BEE-1000 큐브 위성을 공개하며 "내년 하반기 누리호에 탑재돼 저궤도를 돌게 된다"며 "단백질 결정성장 모듈 시험 등 고부가가치 신약 데이터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제약회사로 알려진 보령이 우주신약 개발 등을 들고 나와 관심을 끌었다. 이어 진행된 '우주기관 연석회의'에서는 윤영빈 청장이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의 정책 방향을 국제사회에 소개했다. 윤 청장은 다누리, 누리호 등 우리의 우주개발 성과와 함께 우주항공청(KASA) 설립 배경, 우주항공청의 역할 및 나아갈 방향 등 주요 청사진을 제시해 관심을 끌었다. 이번 우주기관 연석회의에는 ▲미국 항공우주청(NASA) 팸 멜로이 차장 ▲중국 국가항천국(CNSA) 리 궈핑 수석엔지니어, ▲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히토시 쿠니나카 우주과학연구소장 ▲UAE우주청(UAESA) 아흐메드 벨훌 알 팔라시 이사장 등이 발제자로 참석했다. 한편, 우주항공청은 국제 협력 강화차원에서 미국 NASA, 일본 JAXA 우주과학연구소, UAE 우주청, 중국 국가항천국 등과 고위급 양자 회담을 개최하고,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를 공동 발굴하기로 했다.

2024.07.15 18:07박희범

[유통 픽] 투썸플레이스 아샷추, 2주간 30만잔 팔려 外

투썸플레이스의 신제품 아샷추 2종이 출시 2주 만에 30만 잔이 팔리며 인기다. 아샷추는 아이스티에 에스프레소 샷을 추가한 음료다. 복숭아 아샷추는 커피 메뉴 판매 순위에서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591ml의 최대 사이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5천500원으로 책정된 것이 주효했다. 투썸플레이스 관계자는 “고객들이 제품에 성원을 보내주고 있다”고 밝혔다. 롯데칠성 크러시, 캐리비안 베이 BBQ & BEER 페스티벌 운영 롯데칠성음료가 캐리비안 베이에서 'BBQ & BEER 페스티벌' 크러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프로모션은 크러시 생맥주와 바비큐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 것. 회사는 관련 BBQ 세트메뉴를 구성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페스티벌에서 크러시를 구매하면 물대포 게임에도 참여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크러시를 알리고자 이번 프로모션을 준비했다”고 전했다. 칭따오, 칭따오 맥주 페스티벌 in 제주 개최 칭따오가 18일~28일 제주신화월드 비어가든에서 칭따오 맥주 페스티벌 in 제주를 연다. 행사는 '2024 한·중 미래발전 제주-산둥 교류주간'을 기념해 마련됐다. 행사에서는 '칭따오 라거 생맥주'와 칭따오의 논알콜 맥주 2종이 소개된다. 행사 티켓은 현장과 네이버 예약 등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현장에서 맥주 티켓을 구매하면 모듬꼬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축제 기간 동안 버스킹 공연도 진행될 예정이다. 칭따오를 수입 유통하는 비어케이 관계자는 “칭따오 맥주과 좋은 추억을 만들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4.07.12 10:49류승현

아마존, '파라마운트+ 위드 쇼타임' 2개월 12달러에 판매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 행사에서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파라마운트 플러스(+) 위드 쇼타임 2개월치를 12달러(약 1만6천원)에 판다. 미국 IT매체 엔가젯은 11일(현지시간) 아마존이 16일부터 17일 진행되는 쇼핑 행사 프라임 데이에서 파라마운트+ 위드 쇼타임 2개월 이용권을 50% 할인된 12달러에 판매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할인은 프라임 회원 무료 체험 가입자에게도 적용된다. 이 구독 서비스에 가입하면 두 개 스트리밍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파라마운트+ 대표작으로는 털사 킹(Tulsa King), 메이어 오브 킹스타운(Mayor of Kingstown), 수퍼소닉(Sonic the Hedgehog spinoff Knuckles) 등이 있다. 쇼타임은 빌리언스(Billions), 옐로우재킷(Yellowjackets), 플로리다에서 신이 되는 법(On Becoming a God in Central Florida) 등 드라마를 방영하며, 유일하게 트윈 픽: 더 리턴(Twin Peaks: The Return)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아울러 아마존은 미국 케이블 방송 채널 스타즈(Starz) 두 달 이용권도 2개월 2달러로 판매한다. MGM+도 60일동안 2달러에 볼 수 있다.

2024.07.12 10:13최다래

스튜디오원픽, 메타크래프트-동주와 글로벌향 웹툰 제작 맞손

카카오픽코마 산하 웹툰 스튜디오 스튜디오원픽(대표 김현주)은 11일 카카오픽코마 한국오피스에서 디지털 콘텐츠 기업 메타크래프트(대표 유정석), 테크 기반 웹툰 콘텐츠 스타트업 동주(대표 윤광식)와 글로벌향 웹툰 제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웹툰 제작에 필요한 기획력, IP(지식재산권), 제작 솔루션을 갖춘 3개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각 사의 강점을 토대로 글로벌 플랫폼에서 선보일 작품을 제작하고, IP 확장까지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제작된 작품은 전자만화・소설 플랫폼 픽코마(카카오픽코마, 일본)를 포함한 글로벌 플랫폼에서 연재할 예정이다. 현재, 노벨피아에서 서비스중인 웹소설 '전지적 1인칭 시점(작가 고속도루)'을 원작으로 한 웹툰 제작에 착수했다. 글로벌 독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니즈를 충족시킬 작품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튜디오원픽'은 한국과 일본에서 개성을 살린 특색있는 작품을 다수 선보여 주목 받고 있다. '메타크래프트'는 웹소설 플랫폼 '노벨피아'를 운영, 판타지, 무협, 로맨스, 공포, SF 등 다양한 장르의 웹소설·웹툰 IP를 보유중이다. '동주'는 최적의 웹툰 작가 팀 빌딩(team building) 및 제작을 지원하는 올 인 원(all-in-one)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산하의 웹툰 제작 스튜디오 '스피노프'에 도입 중이다. 스튜디오원픽 김현주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각기 다른 강점을 보유한 3개사가 시너지를 발휘해 다채로운 매력의 참신한 작품을 선보이기 위한 첫 걸음”이라며 “그 동안 웹소설 원작의 웹툰을 한국과 일본에서 발표한 다수의 경험을 토대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메타크래프트 유정석 대표는 “노벨피아가 보유한 많은 작품이 웹툰, 게임으로 재탄생되어 글로벌 이용자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새롭게 주목받는 작품이 발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주 윤광식 대표는 “웹툰 제작에 필요한 최적의 팀 빌딩과 제작을 지원하는 당사의 솔루션을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작품 제작의 효율성과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3개사가 시너지를 발휘해 발표할 작품들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024.07.12 10:06안희정

美 그래미 뮤지엄, 하이브 아티스트 전시회 개최

하이브와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들이 남긴 발자취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가 세계 최대 음악 시장인 미국에서 개최된다. 미국 음악계의 시각에서 하이브와 아티스트의 음악적 성취를 조명하고 재해석한 첫 전시다. 하이브는 산하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들과 함께 내달 2일(이하 현지 시간)부터 9월 15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 그래미 뮤지엄에서 주관하는 'HYBE: We Believe In Music, A GRAMMY Museum Exhibit'에 참여한다고 10일 밝혔다. 그래미 뮤지엄 3층(약 372㎡)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하이브가 걸어온 길을 조명하고,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가 보여온 혁신성과 창의성의 면면을 소개하기 위해 기획됐다.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음악 시상식으로 꼽히는 '그래미 어워즈'의 역대 수상자에 대한 기록물을 전시하는 그래미 뮤지엄이 하이브와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의 음악적 발전과 영향력에 주목한 것이다. 전시에는 지코, 방탄소년단, 세븐틴, 프로미스나인,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르세라핌, &TEAM, 보이넥스트도어, TWS, 아일릿, KATSEYE 등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 12팀이 참여한다. 참여 여부는 레이블의 선택에 따라 결정됐다. 아티스트 외에 방시혁 하이브 의장에 대한 기록물도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들이 뮤직비디오와 공연 무대에서 실제 착용한 의상과 아이템을 접하고, 뮤직비디오, 안무 영상, 앨범 포스터 등의 기록물도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 하이브라는 기업 자체를 조명한 공간도 마련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단계적으로 성장해 온 하이브의 지난 히스토리와 주요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음악가로서 방시혁 의장의 고민과 노력이 담긴 악기, 영감을 받은 서적 등도 공개된다. K-팝의 매력을 직접 느껴볼 수 있는 참여형 공간을 마련해 몰입감을 더한 것도 주목된다. 관람객들은 '익스피리언스룸'(mono to immersive)에서 방탄소년단이 2022년 그래미 어워즈에서 선보인 'Butter' 무대를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동감 있게 시청할 수 있고, '싱어롱 부스'에서는 다양한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다. 또 '랜덤 플레이 댄스' 공간에서는 직접 춤을 따라 출 수 있고, '포토이즘' 부스에서는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함께 사진을 찍는듯한 체험도 할 수 있다. 마이클 스티카 그래미 뮤지엄 회장은 “하이브와 하이브 레이블즈 아티스트는 전 세계 음악의 현재와 미래를 대표하고, 이번 전시에서 이들을 향한 감사와 존경심을 깊이 있게 보여주고자 했다”며 “K-팝은 연령, 성별, 지역을 넘어 팬들에게 영감을 주는 혁신의 놀이터로, K-팝을 향한 사랑을 표현하고 아티스트와 더 가까워진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태호 하이브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하이브의 여정을 담은 전시를 여는 것은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이라며 “그래미 뮤지엄과의 파트너십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우리의 역사적인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팬 여러분의 방문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2024.07.10 19:05안희정

김필한 대표 "입증된 기술력으로 생체현미경 플랫폼 시장 리더로 도약”

아이빔테크놀로지가 입증된 첨단 기술력을 기반으로 오는 8월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생체현미경 플랫폼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10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김필한 아이빔테크놀로지 대표는 “우리 생체현미경 기술은 첨단 정밀생체영상으로 살아 움직이는 세포를 직접 찍을 수 있다. 세포, 유전자치료제, ADC(항체약물접함제) 등의 약물 전달 과정과 효능을 직접 영상화하고 타깃과 함께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핵심 기술력은 초고속 레이저 스캐닝 생체영상화 기술로 일반 MRI보다 100배 높은 고해상도로 표현이 가능하다. 특히 빠른 영상 속도와 보정된 모션을 보여준다”며 “다른 현미경 회사나 CRO 회사가 따라 할 수 없는 독보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인 김필한 대표가 개발한 생체현미경(IntraVital Microscopy: IVM) 원천기술을 토대로 2017년 교원창업기업으로 설립됐으며, 세계 최초로 All-in-One 생체현미경 장비의 상용화에 성공한 생명공학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생체현미경 및 영상분석 솔루션 개발‧공급, 기초연구 및 신약개발 부문 CRO 서비스, AI 진단 의료기기 사업 등으로 ▲최고 수준의 원천기술 및 장비 개발 노하우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All-in-One 생체현미경 기술 경쟁력 ▲첨단 의생명 연구, 바이오 신약 개발, 의료기기 개발 등 원천기술의 높은 사업 확장성 ▲광범위한 글로벌 기술협력‧유통 네트워크 ▲AI 진단 의료기기 신사업 역량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차세대 시장을 선점하고 사업을 확대‧강화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대표 제품인 생체현미경은 살아있는 생체 내부의 미세 구조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첨단 레이저광학현미경 장비이다. MRI보다 100배 높은 해상도로 다양한 세포, 단백질, 약물의 실시간 영상 촬영 및 3차원 영상화가 가능해 표적세포 및 약물의 움직임을 생체 내 미세환경에서 직접 추적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초고속 레이저 스캐닝을 통한 실시간 생체 영상화 기술 ▲장시간의 영상화 동안 지속적인 생체 생존 및 항상성 유지 기술 ▲고성능 생체 모션 보정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을 통합적으로 최적화해 제공하는 All-in-One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및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인간 질환의 생체 내 발생 과정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신약후보물질들의 생체 내 전달 및 효능 평가에 활용돼 새로운 치료제의 효과적인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첨단 장비 플랫폼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대의대, 하버드대학, 존스홉킨스대학등 다양한 대학과 연구기관에 공급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인 사노피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스페인 국립암연구소, 중국 우한대학교 등에도 설치가 돼 협력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회사는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체현미경 시장에서 높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켜 더욱 강력한 진입장벽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생산라인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CAPA)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신사업으로는 AI의료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제품 개발도 추진 중인데, 내년 출시를 목표로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준비 중이다. 이 장비는 수술 중인 암환자로부터 고해상도 생체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하고 인공지능 딥러닝 암진단 모델을 통해 환자 조직 내 미세한 암조직까지 정확하게 감지하는 의료기기로, 환자 조직의 특별한 가공 없이도 기존의 조직병리검사(동결절편분석)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개발 중이다. AI 기술을 접목해 별도의 병리학 시설 없이도 자사 생체현미경 장비만으로 현재 임상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조직검사 수준의 조직 진단‧분석 영상 정보를 의료현장에서 즉각 제공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개발은 4.5년간 70억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됐으며, 이 과제를 진행하는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인 아이빔테크놀로지는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뒤 조직진단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기관 테크사이 리서치(TechSci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조직진단 시장 규모는 2022년 51억1천만 달러에서 연평균성장률 7.37%를 기록해 2028년에는 78억3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외에도 수술실 내부로 반입해 사용할 수 있는 다관절-암(arm) 형태의 생체현미경 영상 의료기기도 개발 중인데, 이 장비는 정밀 제어가 가능한 다관절의 로봇암을 이용해 수술 중인 환자의 환부로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할 수 있고, 로봇암에 장착된 내시현미경 모듈을 통해 환부 내 깊은 부위에서도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하도록 개발 중이다. 한편 아이빔테크놀로지는 8월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신주 223만4천주를 공모하고, 주당 공모 희망가는 7천300원에서 8천500원으로 희망가 밴드 상단 기준 189억원 규모이다. 상장주관사는 삼성증권이며 오는 7월15일부터 19일까지 수요예측을 진행해 7월23일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25일과 26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공모 희망가 상단 기준 1천272억원으로 예상된다. 공모를 통해 유입된 자금은 운영자금을 비롯해 연구개발, 해외진출, 시설확충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생체현미경 원천기술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 ▲AI 의료장비 연구개발 및 사업화 ▲글로벌 고객사 추가 확보를 위한 시장 개척 ▲향후 기대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생산라인 증설을 통해 기술경쟁력과 시장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김 대표는 “현미경 시장 전망을 보면 생체현미경의 경우 시장을 세계 최초로 만들어 가고 있다”며 “상장을 통해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 우수 인재 확보, 생산능력 및 글로벌 시장 확대에 매진해 회사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혁신 생체현미경 플랫폼 시장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4.07.10 18:27조민규

다르 글로벌, 아이다에 5 억 달러에 이르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오만의 론칭을 통해 럭셔리 호스피탤리티의 새로운 벤치마크를 세워

두바이, UAE, 2024년 6월 27일/ PRNewswire/ -- 럭셔리 국제 부동산 개발사 다르 글로벌(Dar Global)은 전세계 최대의 프리미엄 복합 부동산 개발 사업 중 하나로서 동사가 광범위하게 개발하는 아이다(AIDA) 프로젝트에서 트럼프 인터내셔널 오만을 도입한다. DAR GLOBAL SETS A NEW BENCHMARK IN LUXURY HOSPITALITY WITH LAUNCH OF THE $500 MILLION TRUMP INTERNATIONAL OMAN IN AIDA 5억 달러에 달하는 이 개발 사업에는 고급 호텔, 행잉 스위트룸, 가구가 딸린 빌라 및 호텔에서 서비스하는 아파트가 포함된다. 여기에는 18홀의 챔피언십 골프 코스, 회원 전용 클럽과 클리프 행잉 나이트 클럽이 들어 간다. 2028년 12월에 개장할 140 개 객실의 5성급 호텔 단지는 해변가에 있어 투숙객들은 개인 전용 해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아이다는 다르 글로벌과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의 합작 사업이며 오만의 관광 개발 집행 기업인 옴란 그룹이 협력하고 있다. 해발 100미터가 넘는 언덕 위에 위치한 아이다는 바위 협곡과 끝없는 해변으로 이루어진 전경을 자랑한다. 다르 글로벌 CEO 지아드 엘 차아르( Ziad El Chaar)는 "아이다에서 트럼프 인터내셔널 오만의 론칭은 전세계인이 가장 가고 싶은 목적지에서 최고의 호스피탤리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려는 우리의 활동이 크게 도약했음을 의미한다"면서 "탁월함에 대한 다르 글로벌과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의 의지를 반영하는 이 랜드마크적인 시설은 국제 호스피탤리티 사업에 새로운 기준을 세울 뿐만 아니라 오만의 관광 비전을 진전시켜 국내 관광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더 많은 오디언스들을 끌어들인다"고 말했다. 트럼프 오거니제이션 수석부사장 에릭 트럼프 ( Eric Trump)는 "우리는 다르 글로벌과 협력하여 아이다에 트럼프 인터내셔널 오만을 자랑스럽게 도입함으로써 유명한 트럼프 표준을 통해 스타일, 서비스 및 독점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면서 "이 파트너십은 식견 있는 여행자와 투자자들을 위해 아이코닉한 럭셔리 경험을 만드는 것에 대한 우리의 공유된 헌신을 반영하며 전세계 최고의 목적지인 오만의 명성을 높인다"고 말했다. 오만에 있는 트럼프 인터내셔널의 독특한 점은 개인 수영장 그리고 전면으로 바깥 전경이 보이는 넉넉한 욕실을 갖춘 그림 같은 행잉 스위트룸이다. 인맥 형성과 사교 행사를 위한 전용 편의 시설을 갖춘 트레이닝 아카데미와 회원 전용 클럽이 골프 라이프 스타일을 보완한다. 중동 최초의 클리프 행잉 나이트 클럽은 맞춤 행사와 축하를 위한 최고의 환경을 제공한다. 다른 편의 시설에는 다양한 다이닝 옵션, 연회 및 미팅 시설, 그리고 넓은 SPA가 포함된다. 디스클레이머 : 트럼프 인터내셔널 오만은 트럼프 오거니제이션 또는 현재 또는 종전의 모회사 또는 계열사에 의해 소유, 개발 또는 판매되지 않는다. 이 시설의 소유자이자 개발자인 다르 알칸 프로퍼티 디벨롭먼트 SPC는 라이센스에 따라 "트럼프"라는 명칭과 마크를 사용하며, 그 조건에 따라 라이센스가 종료되거나 취소될 수도 있다.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48900/Dar_Global.jpg?p=medium600

2024.07.08 18:47글로벌뉴스

2차 5G 혁신은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새로운 경로

상하이 2024년 6월 28일 /PRNewswire=연합뉴스/ -- 1차 5G 혁신이 기술 분야 수익 창출에 기여했다면 현재 진행 중인 2차 5G 혁신은 비즈니스의 성공을 가속화해줄 것으로 Chen Hao Huawei통신사 사업부 부사장이 MWC Shanghai 2024에서 전망했다.Chen 부사장은 '2차 5G 혁신: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새로운 진로 개척(Secondary 5G Innovation: Charting a New Course for Business Success)'이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에서 "끊임없는 탐구와 효과적인 실천 및 멈추지 않는 혁신의 결과로 중국은 5G 분야에서 성공을 이뤄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영국의 기계기술자) James Watt가 개선한 증기기관이 산업혁명의 단초가 됐듯이 2차 5G 혁신은 ▲사용자 시나리오 ▲네트워크-클라우드-지능화 시너지 ▲생태계 협업이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수익화의 속도를 높여 새로운 차원의 비즈니스 성공으로 향하는 문을 열어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5G 네트워크를 구축한 중국의 5G 사용자 수는 올해 5월 기준 8억 9000만 명을 넘어서며 전 세계 5G 사용자의 52% 이상을 차지했다. 이처럼 믿기 힘들 만큼 놀라운 발전에 힘입어 5G 같은 정보통신 기술은 중국의 모든 분야와 영역의 핵심 요소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Chen Hao delivering a keynote 시나리오 혁신: 사용자 그룹과 시나리오의 가치 재창조로 다양한 메트릭스를 통한 네트워크 수익화의 가속화현재 중국에서 등록된 라이브 스트리밍 사용자 수만 1억 5000만 명에 이르는 가운데 5G의 빠른 업링크 속도와 우선순위에 기반한 네트워크 액세스 덕분에 중국 내 이동통신사들은 고화질과 끊김 없는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속도가 보장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패키지를 출시한 지방 이통사 수만 15곳이 넘는다.네트워크가 사용자와 서비스별 가속화, 결정론적(deterministic) 경험, 시각화된 사용자 인식 같은 새로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점차 개선되면서 이러한 발전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더 많은 시나리오와 사용자 그룹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장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그룹과 시나리오의 가치가 재창조됨으로써 다양한 메트릭스를 통해 네트워크의 수익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통합 혁신: 네트워크-클라우드-지능화의 시너지로 산업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로 향하는 새로운 관문 역할뉴 콜링(New Calling)과 클라우드 전화 서비스는 더 많은 개별 디지털 서비스의 관문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차량 인터넷(IoV)과 비디오 사물인터넷(IoVT) 서비스는 산업 연결 부문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5G, 클라우드, 인공지능(AI)을 통합하는 혁신이 이러한 서비스를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AI가 생성한 콘텐츠(AI-generated content•AIGC)는 탁월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뉴 콜링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기존의 기업 핫라인을 AI 비서로 대체하는 등 소비자와 비즈니스 지향적인 고부가가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뉴 콜링은 더욱 매력적이고 편리하며 가치 있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다.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나의 기계에 여러 개의 번호를 부여한 휴대폰인 클라우드 폰(cloud phone)은 이미 물리적 전화와 거의 같은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 2K해상도와 100ms의 저지연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폰은 유선 전화에 버금가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부드러운 상호 작용을 제공하는 쪽으로 순항하고 있다.IoV 및 IoVT의 경우 RedCap 기술은 최적의 비용에 최적의 성능으로 연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칩, 모듈, 디바이스를 위한 RedCap 생태계는 이미 성숙한 상태이므로 이통사가 업계 벤치마크(기준)를 빠르게 수립할 수 있다. 인접한(contiguous) 네트워크 커버리지와 슬라이싱 및 에지 클라우드 컴퓨팅 같은 새로운 기능을 통해 스마트 제조와 산업 자동화와 같은 산업을 위한 새로운 IoT 서비스를 지원할 새로운 고부가가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것이다.생태계 협업 혁신: E2E 산업 협업을 통한 비디오 서비스 트래픽 증가짧은 동영상이나 긴 동영상 내지 영상 통화처럼 현재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의 해상도는 통상 540p이나 720p 정도에 그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여지가 충분하다. Huawei는 소비자 경험을 개선하고 중국의 선도적인 네트워크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최근 열린 HD China: Forum on High-Quality Development of Mobile Video in the AI Era' 행사에서 '풀 HD 시대로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Huawei는 또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무안경 3D 콘텐츠와 기술 및 경험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 업계에서 활동 중인 플레이어들이 두루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5G 비즈니스 성공과 관련된 수익화는 사용자 그룹과 시나리오의 가치를 재창조하는 데 크게 의존할 것이다. 또 서비스 전략은 네트워크-클라우드-지능화 시너지가 필요하고, 새로운 유형의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협력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늘리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다. Chen 부사장은 연설을 마무리하며 "Huawei는 5G 비즈니스 성공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해 이통사들이 2차 5G 혁신을 추진하고 상용 5.5G를 수용하는 데 전력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MWC Shanghai 2024는 6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다. 행사 기간 동안 Huawei는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re) N1 홀의 E10와 E50 스탠드에서 최신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F5.5G 기가비트 속도의 광 네트워크 구축이 시작된 가운데 2024년은 5.5G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이다. 네트워크, 클라우드, 지능형 서비스 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지능형 애플리케이션이 널리 보급되고, 사용자 경험은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Huawei는 글로벌 이통사와 업계 전문가 및 오피니언 리더들과 함께 올해 'MWC 상하이'에서 5.5G 시대에 5G의 성공을 가속화하는 방법과 이통사의 수익 성장 잠재력을 활용해 더욱 빠른 속도로 지능형 세계로 나아가는 방법 등과 같은 여러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자세한 정보는 https://carrier.huawei.com/en/events/mwcs2024 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7.08 18:47글로벌뉴스

BRI, Fortune지 선정 동남아 500대 기업 중 인도네시아에서 1위 차지

-- 동남아시아 기업 중에서는 15위를 차지하여 업계 리더로 자리매김자카르타, 인도네시아 2024년 6월 28일 /PRNewswire=연합뉴스/ -- PT. Bank Rakyat Indonesia (Persero) Tbk (IDX: BBRI)가 Fortune지 선정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인도네시아 은행 업계 중 1위를 차지하며 괄목할 만한 두각을 나타냈다. 지난 6월 18일,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제지 Fortune은 매출, 이익 및 자산을 기준으로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의 순위를 발표했다. Jakarta (06/27) - The 2024 Fortune Southeast Asia 500 announces BRI leads the Indonesian banking industry and achieves regional Top 15 status. Fortune announced the list on June 18th, which ranks the 500 largest companies in Southeast Asia based on revenue, profit and assets. Fortune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Fortune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 중 BRI는 매출 미화 149억 달러, 이익 39억 달러, 총자산 1276억 달러를 기록하며 500대 상장 기업 중 15위를 차지했다. 이 순위에는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7개국의 기업들이 포함된다. 인도네시아가 110개 기업으로 1위를 차지했고, 태국이 107개 기업, 말레이시아가 89개 기업, 싱가포르가 84개 기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베트남은 70개, 필리핀은 38개, 캄보디아는 2개 기업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Fortune Asia의 편집장인 Clay Chandler는 "Fortune지 선정 동남아시아 500대 기업은 역동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반영하며, 동남아시아 경제는 유럽이나 미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는 세계 경제에서 동남아시아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많은 글로벌 500대 다국적 기업이 공급망을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이 성과는 국제 무대에서 BRI의 이전 성적을 더욱 보완하는 것이다. Forbes는 앞서 2024년 Forbes Global 2000 리스트에서 BRI를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기업으로 선정한 바 있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bri-emerges-as-indonesias-highest-ranked-company-in-forbes-global-2000-302175432.html ].BRI의 Sunarso 최고경영자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고금리 시대 속에서, BRI가 Forbes와 Fortune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은 국제 사회가 BRI의 도전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인정하고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이는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인도네시아 은행 업계의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데 성공적인 기반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BRI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www.bri.co.id )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7.08 18:46글로벌뉴스

  Prev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K-반도체 육성, 기존 틀 깨야 불확실성 돌파…새 정부 과제 '산적'

배민·요기요, 먹통 뒤 정상화..."금요일 밤 비 내린 탓"

과학자들, 납으로 금 만들었다…'연금술사의 꿈' 실현되나

SKT 유심교체 누적 187만...오늘 50만명에 유심재설정 안내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