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Suchmaschinen in China 🔍 www.41.gs'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08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2024 중국 국제 대학생 혁신 경진대회 결승전 성공적 개최

-- "빛나는 미래를 창조하고 미래를 개척하라" 상하이 2024년 10월 18일 /PRNewswire=연합뉴스/ -- 신화넷 보도: The China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novation Competition took place in Shanghai from October 12 to 15 (photo by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중국 상하이에서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2024 중국 국제 대학생 혁신 경진대회(China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novation Competition)' 최종 결승전이 열렸다.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와 상하이시 인민정부 등 12개 부처가 공동 주최한 이 행사에는 153개국 5406개 대학에서 514만 개의 프로젝트와 2000만 명이 넘는 참가자가 모였다. '다르게 도전해서 승리를 쟁취하라(Dare to Differ, Dare to Win)'는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에선 글로벌 대학의 다양한 혁신 사례를 선보였다. 최종 결승전에서는 국내외 대학 6개 팀이 경쟁을 펼친 끝에 상하이자오퉁대학교이 선보인 프로젝트 '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 공중-수중 차량 NEZHA'가 우승을 차지했다. 그 외 칭화대학교, 시안 전자과학기술대학교, 중국 지구과학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의 프로젝트가 상위권에 올랐다. 이번 대회에서는 하버드, 옥스퍼드, 스탠퍼드, MIT 등 152개 세계 최고 명문 대학이 한자리에 모여 국제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는 시간도 가졌다. 또한 세계대학생혁신연합(World University Student Innovation Alliance)이 설립되어 국제적인 규모의 학생 혁신 협력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번 대회는 ▲고등교육 트랙 ▲'청소년 레드 드림 여정(Youth Red Dream Journey)' 트랙 ▲직업 교육 트랙 ▲산업 제안 트랙 ▲신흥 트랙 등 여러 트랙으로 구성됐다. 이중 교육, 과학, 인재를 통합하는 데 중점을 둔 산업 제안 트랙에서는 대학과 산업체 간의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성과를 사업화하는 '산업-교육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회에서는 인공지능(AI)부터 환경 지속가능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들이 이뤄낸 뛰어난 혁신 성과도 선보였다. 광둥광야중학교가 교통사고 후 2차 사고를 막기 위해 설계한 AI 기반 도로 경고 로봇 등이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로 꼽혔다. 또한 30개의 리소스 매칭 미팅을 통해 혁신적인 프로젝트가 실제 응용 가능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총 68억 위안에 달하는 투자 의향서가 체결됐다.

2024.10.18 17:10글로벌뉴스

네이버 검색, 자연어처리 분야 글로벌 최정상 학회서 논문 채택

네이버(대표 최수연)가 세계 최고 권위 자연어처리(NLP)학회에서 검색 기술 관련 정규 논문이 채택되는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수준의 검색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고 18일 밝혔다. 올해로 28회차를 맞은 EMNLP(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는 NAACL(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CL(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과 함께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AI 학회로 꼽히며, AI 번역, 챗봇, 기계 독해 등 언어 데이터 기반 자연어처리 접근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다룬다. EMNLP 2024는 오는 11월 12일부터 16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에서 진행되며, 네이버는 이 자리에서 검색 기술 관련 연구를 포함해 채택된 논문 4건을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네이버는 이번 연구 성과를 실제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활용해 검색 품질과 사용성을 높이는 등 서비스 가치 창출과 연구의 실효성 측면에서 의미를 더했다. 먼저, 네이버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인 '큐(CUE):'에 적용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논문이 채택됐다. 해당 연구는 SLM(Small Language Model)을 사용하는 모듈식 접근법을 통해, 유해 질의를 탐지하고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학습 메커니즘을 다룬 연구이다. 네이버는 연구 성과를 지난 해 11월 큐:에 적용해 AI 안정성을 강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범죄/유해 등 불법정보나, 저작권법 및 사생활 침해, 개인정보유출, 욕설/비속어 등과 관련한 질의를 판별하여 무분별한 답변이 제공되지 않도록 안전한 생성형 AI 검색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네이버는 향후 해당 기술을 활용해 질의와 검색 결과의 적합성 판단력을 높여 고품질 콘텐츠 노출을 확대하고, 신뢰도 높은 출처의 답변을 상단에 노출할 수 있도록 검색 서비스 전반의 품질을 강화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또, 네이버는 통합검색 결과 상단에 검색어와 연관된 주요 정보를 요약해서 제공하는 '지식스니펫' 서비스에서 정보를 추출할 때, 텍스트 뿐 만 아니라 리스트, 테이블 등 복잡한 형태의 스니펫(정보)까지 AI가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제안했다. 해당 기술은 내년 상반기 지식스니펫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롱테일 질의(길고 복잡한 검색어)에도 정확히 답변하는 비율을 높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성능을 높이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아울러, LLM(초거대 생성형 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의 문서 랭킹 능력을 sLLM(작은 생성형 언어모델, Small Large Language Model)에 이식시켜 검색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논문도 채택됐다.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하는 검색 서비스에서 속도 저하 없이도 LLM 만큼 품질을 낼 수 있는 기술을 고안하여 제안한 것이다. 네이버는 논문에서 소개된 모델을 지난 6월 통합검색 서비스에 적용해 롱테일 질의의 맥락에 더 적합한 문서를 결과로 제공할 수 있게 됐고, 기술 적용 후 문서 클릭률(CTR)이 4.3%, 체류시간이 3% 증가하는 등의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 밖에도, 네이버 검색은 올해 EMNLP와 더불어 세계 최고 자연어처리 학회로 꼽히는 NAACL(1건), 세계 최고 AI 학회 CVPR(2건)을 포함해 Information Sciences(1건), LREC-COLING(1건), SIGIR/LLM4eval(1건) 등 세계 유수 AI 학회에 검색 기술 관련 논문을 등재했다. 또 올해로 36회를 맞이한 국내 최고 권위의 HCLT(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에서도 7개 논문이 채택됐고, 이 중 2건은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는 등 수준 높은 검색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네이버 김광현 검색/데이터 플랫폼 부문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검색 시장을 선도해온 네이버의 검색 기술을 세계 무대에서도 인정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개선된 검색 정확도와 생성형 AI 실험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검색 서비스를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18 11:29안희정

제136회 캔톤페어, 10월 15일 광저우에서 성대한 개막

광저우, 중국 2024년 10월 17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제136회 중국 수출입 박람회(China Import and Export Fair)가 10월 15일 광저우에서 공식 개막했다. '캔톤페어(Canton Fair)'로도 알려진 이 중국 최대 무역박람회는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3단계로 진행된다. 이번 박람회 현장에는 3만여 개 기업이 참가해 115만 개의 신제품을 선보이며 중국 대외 무역의 새로운 강점을 소개하는 동시에 글로벌 바이어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캔톤페어 사무총장인 추스지아(Chu Shijia) 중국 대외무역센터(China Foreign Trade Centre) 센터장은 "중국 최대 무역박람회로 불리는 캔톤페어가 예정대로 다시 한번 개최되었다"면서 "캔톤페어는 중국과 해외 기업 모두를 잇는 '우정의 끈'이자 '무역의 가교'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136회 캔톤페어는 박람회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혁신적인 이니셔티브를 마련했다. - 디지털 전환 혁신: 캔톤페어는 온라인과 현장 경험을 통합해 연중 내내 진행되는 박람회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의 온라인 플랫폼은 가상 디지털 비서와 새로운 캔톤페어 앱을 선보이며 온라인 참가율을 견인하고 있다. 약 4만 8000개 기업이 375만여 개 제품을 업로드하며 디지털 참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 새로운 생산력 수용 혁신: 이번 박람회가 집중 조명할 3단계 주제는 첨단 기술과 새로운 생산력을 포용하는 ▲첨단 제조 ▲양질의 가정생활 ▲더 나은 삶이다.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스마트 기기, 자율주행 기술 등의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400여 개의 캔톤페어 뉴 컬렉션 이벤트가 이 세션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 친환경 전시 혁신: 캔톤페어는 처음으로 '신에너지 자원(New Energy Resources)' 전시 부문에 수소 에너지 테마를 도입하고 에너지 저장 제품 전용 구역을 마련한다. 100% 친환경 전시 환경 조성을 목표로 다양한 친환경•저탄소 제품 전시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완전한 탄소 중립을 지향하고 캔톤페어를 '탄소 제로' 행사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또한 캔톤페어는 국제 기업이 중국과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3단계를 모두 망라하는 3만 제곱미터 면적의 국제관(International Pavilion)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부문에는 49개 국가와 지역에서 730개 기업이 참가해 박람회의 국제적 인지도를 더욱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진행 중인 '첨단 제조(Advanced Manufacturing)'를 주제로 한 1단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cantonfair.org.cn/en-US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10.17 17:10글로벌뉴스

화웨이가 제안하는 지능형 시대의 공동 번영 방법

-- 리펑 화웨이 기업 수석 부사장 겸 ICT 영업 및 서비스 부문 사장, 화웨이 GITEX 2024서 연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4년 10월 17일 /PRNewswire=연합뉴스/ -- 리펑 화웨이 기업 수석부사장 겸 ICT 영업 및 서비스 부문 사장은 10월 14일 화웨이 GITEX 2024에서 '지능형 시대의 공동 번영(Thriving Together in the Intelligent Era)'을 주제로 연설했다. 연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경제는 지능형 경제로 진화하고 있고, 지능형 경제는 조만간 세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지금 전 세계 기업들은 이러한 새로운 시대에 성공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Li Peng, Corporate Senior Vice President, President of ICT Sales & Service, Huawei 많은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생산 시나리오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고, 전통적인 산업에서도 디지털 기술이 더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를 물색 중이다. 제조업을 예로 들어보겠다. 제조업체는 완벽한 연결성과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덕분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시간 지능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지능형 전환에도 속도가 붙으면서 인공지능(AI)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낮추려는 기업들이 점점 더 늘어나면서 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은 대규모 AI 모델을 사용해 복잡한 사용자 프로필을 단 몇 초 만에 생성하고 있다. 은행은 이러한 프로필을 통해 보다 표적화된 마케팅을 수행하고, 더 빠르게 대출을 내줄 수 있다. 은행은 또한 고객 경험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가 진화함에 따라 디지털화와 지능화는 반드시 나아가야 할 길이자 경쟁력을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말은 쉽지만 실행은 어려운 법이다. 기업, 산업, 지역마다 전환의 단계가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각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올바른 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이것이 바로 오늘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고객의 성공을 돕기 위해 화웨이가 하고 있는 일, 현지 파트너를 지원하는 방법, 디지털 인재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법을 공유하겠다. 화웨이는 네트워킹, 스토리지, 컴퓨팅, 클라우드, 에너지 분야의 강점을 십분 활용해 새로운 디지털 및 지능형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여러 파트너와 함께 정부, 금융, 전기, 운송, 제조, 석유와 가스, 광업, 인터넷 등의 분야에서 최고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객의 비즈니스 시나리오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디지털과 지능형 전환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모색한다. 디지털 여정의 어느 단계에 있든 화웨이는 모두가 성공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할 수 있다. 화웨이는 지난해 '올 인텔리전스(All Intelligence)' 전략을 발표했다. 또한 산업의 지능형 전환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발표했다. 이 아키텍처는 협업적이고 개방적이며 민첩하고 신뢰할 수 있고, 혁신 프로세스를 안내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아키텍처는 이미 성과를 내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 한 해 동안 이 아키텍처를 사용해 다양한 산업별 솔루션을 개발했다. 또한 다양한 조직이 혁신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100개가 넘는 사례 연구를 발표했다. 이와 관련된 수많은 성공 사례를 언급할 수 있다! 코트디부아르를 예로 들어보자. 화웨이는 코트디부아르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ation)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사용해 교통 분석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지원했다. 그 결과 도로 안전 위험이 낮아지고 교통 흐름이 10% 이상 개선되는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화웨이의 '하나의 클라우드, 하나의 네트워크(One Cloud, One Network)' 솔루션은 중동 및 아프리카의 33개 국가 1000곳 이상의 정부 기관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연결성을 구축할 수 있게 지원했다. 그러자 서비스 효율성과 만족도가 모두 대폭 향상됐다 이는 화웨이가 함께 이룬 성과 중 단지 몇 가지 사례에 불과할 뿐이다. 그리고 이 모든 성과는 파트너가 없었다면 이룰 수 없었을 것이다. 파트너가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우리는 그들의 성장을 돕고 고객의 성공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자 한다. 화웨이는 건강하고 개방적이며 상호 이익이 되는 파트너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기업 시장에서 화웨이의 파트너십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4만 7000곳이 넘는 파트너가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올해에만 파트너 수가 18% 이상 성장했다. 또한 화웨이는 전 세계에 14개의 오픈랩(OpenLabs)을 구축해 현지 솔루션 파트너와의 공동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30곳 이상의 솔루션 파트너와 현지 업계의 요구를 충족하는 20개가 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화웨이는 대기업과만 협력하지는 않는다. 디지털화와 지능화를 원하는 수많은 중소기업도 협력 대상이다. 그리고 파트너가 보다 독립적으로 쉽고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파트너에게는 시나리오 기반의 가벼운 솔루션과 시장성이 높은 제품 및 효율적인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연구개발(R&D), 영업, 마케팅, 공급 및 서비스 분야에서 지원함으로써 파트너에게 엔드투엔드(end-to-end) 비즈니스 역량을 선사한다. 이 밖에도 파트너가 비즈니스 및 서비스 모델을 혁신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예를 들어, 화웨이와 BCX는 100곳 넘는 중소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유연한 클라우드 모델은 중소기업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임대하거나 구매하여 유지관리(O&M) 문제를 해결하고 설비투자 비용을 20% 이상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파트너와 협력해 현지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8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의 서비스 파트너 중 한 곳인 마스터리 하우스의 매출은 16배나 성장했는데, 매출의 90% 이상이 화웨이와의 공동 프로젝트에서 발생했다. 마스터리 하우스는 화웨이와의 협력을 통해 빠른 매출 성장을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의 선도적인 ICT 제공업체가 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했다. 화웨이는 올바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사람 없이는 디지털화나 지능화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현지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 왔다. 그 과정에서 전 세계 대학과 함께 지역 사회에 봉사하기 위해 일련의 ICT 아카데미를 열었다. 이러한 아카데미를 통해 이집트에서는 3만 6000명 이상의 ICT 엔지니어와 1000명의 개발자를 양성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3만 2000명이 넘는 학생이 ICT 교육을 받았으며, 6500명의 전문가가 화웨이 ICT 인증을 획득했다. 화웨이는 앞으로도 파트너와 협력할 때 혜택을 다리로, 무결성을 기초로, 규칙을 보장으로 삼을 예정이다. 함께 협력함으로써 보다 표적화되고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및 지능형 전환은 소수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로 인한 혜택은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 화웨이는 더 많은 고객 및 파트너와 함께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기꺼이 협력할 의사가 있다. 함께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많은 것을 창조해야 이 흥미진진한 새 시대에 엄청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4.10.17 11:10글로벌뉴스

텔레픽스, 국내 첫 체코 우주 기업 '자이트라'와 "맞손"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대표 조성익)가 체코의 우주 임무용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자이트라(Zaitra)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이탈리아 밀라노 현지시각 16일 국제우주대회(IAC,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 행사 현장에서 한국 우주청과 체코 우주청 관계자가 함께한 가운데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텔레픽스가 독자 개발한 우주용 온디바이스(On-Device) AI 엣지 컴퓨팅 솔루션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자이트라와 소프트웨어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한국과 체코의 민간 우주 기업의 협업 계약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협업은 ▲관측 지역의 변화 감지를 위한 AI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온보드(On-Board) 컴퓨터와 AI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위한 운영 체제의 개발이다. 다양한 사용자를 지원하고 여러 위성 플랫폼과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우주 상 온디바이스 AI 엣지 컴퓨팅은 지상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도 빠르게 위성 데이터를 처리·분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위성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신속한 상황 파악이 필요한 재난 대응, 농업, 기후 및 대기 관측 등의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전망된다. 텔레픽스는 지난 8월 우주 발사에 성공한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의 위성 온보드 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를 개발했다. 위성 데이터 처리·분석 솔루션 상용화에 매진 중이다. 텔레픽스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위성 탑재체부터 위성 데이터 처리 및 활용 솔루션까지 위성 산업 전 주기의 기술을 보유했다. 자이트라는 우주 임무를 위한 데이터 처리 솔루션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체코의 우주기업이다.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생물학적 시스템에 대한 미소 중력의 영향을 연구하는 '바이오미션(Biomission) 2019' 등을 수행 중이다.자이트라 CEO 마렉 마루신(Marek Marušin)은 2024년 포브스 슬로바키아가 뽑은 30세 이하 30인에 선정된 바 있다. 고동욱 텔레픽스 위성개발부 이사는 “애플이 아이폰(하드웨어)과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을 함께 개발, 스마트폰 생태계에서 독점적인 자리를 차지했다"며 "텔레픽스와 자이트라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결합, 차세대 우주용 컴퓨터와 AI 시장에서 독점적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17 10:45박희범

"한국ICT, 중동 진출 가능성 확인"···KOSA, 현지서 세미나 등 행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회장 조준희, 이하 KOSA)는 메가존클라우드(대표 이주완)와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DGM, Abu Dhabi Global Market)에서 '디지털 이노베이션 데이 in 아부다비' 세미나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ADGM'은 2015년 UAE 수도 아부다비에 설립한 국제 금융 프리존으로 금융과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 기업 2650개사를 유치한 자유무역 지대다. 중동 선도 글로벌 테크 에코시스템인 'Hub71' 역시 ADGM에 위치해 있어 스타트업도 ADGM 진출이 가능하며 동시에 Hub71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KOSA의 이번 행사는 중소벤처기업부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의 '클라우드 기반 국내 SW기업의 중동 진출 비즈니스 프로그램' 일환으로 메가존클라우드와 공동 주관해 마련했다. KOSA는 올해 초 중동지부 설치 후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 중동 진출을 위한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해왔다. 이번 '디지털 이노베이션 데이'는 국내 클라우드 기반 국내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기업의 UAE 진출을 위해 현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생태계 피칭, Hub71 시설 투어로 구성했다. ADGM과 공동 개최한 세미나에는 KOSA 조준희 회장과 ADGM의 파이살 압둘라 알 만수리(Faisal Abdulla Al Mansoori) 수석부사장, 아부다비투자진흥청(ADIO, Abu Dhabi Investment Office)의 해외 투자 전문가인 다이애나 융후이 마(Diana Yonghui Ma) 등 아부다비 팔콘 경제(Falcon Economy) 핵심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DGM 파이살 수석부사장은 아부다비의 알림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제도시 성장계획과 해외기업 참여 현황을 발표했고, ADIO 다이애나 해외투자 전문가는 스마트 자율주행 산업(SAVI) 등 아부다비의 주요 육성 및 투자 클러스터 분야를 소개, 아부다비로의 한국기업 유치를 희망했다. 뒤이어 방문한 Hub71에서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생태계에 대한 세미나가 열려 ▲공간의파티 ▲나무기술 ▲다리소프트 ▲디스커션 ▲인빅 ▲조벡스 ▲팝콘사 ▲퓨처메인 등 8개 기업이 피칭발표를 했다. 한편 13일부터 16일까지는 UAE 두바이에서 열린 Expand North Star 2024 투자전시상담회에 메가존클라우드 등 국내 12개 기업(메가존클라우드, 디스커션, 공간의파티, 나무기술, 다리소프트, 디스커션, 스페이스뱅크, 스페이스웨이비, 인빅, 조벡스, 테크트리이노베이션, 팝콘사, 퓨처메인) 이 공동관을 운영했다. 전시상담회 마지막 날인 16일에는 오마르 빈 술탄 알 올라마(Omar bin Sultan Al Olama) UAE AI·디지털경제부 특임장관 초청으로 다리소프트, 스페이스웨이비, 스페이스뱅크, 팝콘사 등 한국 AI 기업과 미팅도 현장에서 즉석 이뤄졌다. 상담회를 통해 투자상담 약 600건, MOU 15건 등의 성과를 냈다고 KOSA는 밝혔다. KOSA는 3년 연속 이번 두바이 투자전시상담회에 참가, 28개사를 지원했다. 조준희 KOSA 협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 ICT 기업들의 중동 진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KOSA는 UAE 거점을 활용해 국내 ICT 기업의 중동진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2024.10.17 10:39방은주

글로벌 미디어 리더들, 신장에 모여 AI의 혁신적 영향력 논의

우루무치, 중국 2024년 10월 1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미디어 리더들이 10월 15일 중국 북서부의 활기찬 중심지인 신장에 모여 AI가 가져올 기회와 도전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On October 14, Fu Hua, President of Xinhua News Agency, spoke at the 6th World Media Summit. 이날 신장 위구르 자치구 수도 우루무치에서 열린 제6회 세계 미디어 서밋(World Media Summit)에선 106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500여 명의 참석자들이 'AI와 미디어 혁신(AI and Media Transformation)'이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언론사, 정부 기관, 국제기구 등 208개 기관 대표들은 AI가 글로벌 미디어 업계에 미치는 혁신적 영향에 대해 집중 논의하면서 이러한 기술 혁명 속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책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서밋에서는 저널리즘 윤리와 직업적 기준을 지키면서 AI 기술을 합리적으로 채택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 공동 성명서도 발표됐다. 성명서는 글로벌 미디어 업계가 AI 발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양질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푸화 신화통신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기술의 물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챗GPT와 소라(Sora) 같은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을 면밀히 추적하면서 미디어 혁신을 위한 모든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신화통신 산하 싱크탱크인 신화 연구소(Xinhua Institute)가 실시한 글로벌 설문조사에서도 미디어 분야 리더들이 AI를 통한 혁신을 중시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설문조사 결과는 이날 행사에서 공개된 'AI 시대 뉴스 미디어의 책임과 사명(Responsibility and Mission of News Media in AI Era)'이라는 제목의 싱크탱크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미디어 조직 중 절반 이상이 이미 생성형 AI를 운영에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알고리즘 추천, 음성 상호작용, 이미지 생성 등의 기술이 뉴스 수집, 제작, 배포, 수용, 피드백 같은 다양한 단계에 걸쳐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푸 사장은 AI가 미디어 발전에 가져다주는 기회와 과제를 "엄청나고 심지어 파괴적"이라고 표현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에서 최종 결정권을 갖는 인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기술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편집자와 기자의 주도권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서밋에서 연설한 러시아 타스 통신사의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국장은 "AI는 단지 도구 역할만 할 뿐"이라면서 "미디어의 주된 책임, 즉 진정성 있고 신뢰할 수 있으며 유의미한 고품질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여전히 사람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 경영진은 가짜 뉴스, 필터 버블(filter bubble), 딥페이크, 개인정보 도용 등 AI로 인해 초래되는 심각한 위험과 도전에 대해 경고했다.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이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필터링 된 정보만 이용자에게 도달하게 되는 현상을, 딥페이크는 AI로 만든 가짜 콘텐츠를 각각 말한다. 보고서에서 공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터뷰에 응한 언론사의 약 30%가 생성형 AI의 장점이 단점보다 더 큰지 여부에 대해 불확실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언론사의 76.4%는 '뉴스 리드와 자료의 왜곡 및 왜곡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고, 61.1%는 '저작권과 책임 문제'를 걱정했다. 간 링제 로이터 통신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은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교묘하게 만들어진 오보와 허위 정보의 위험성이 확대될 것"이라면서 콘텐츠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출처, 강력한 사실 확인 및 투명성에 대한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고위급 회의에서 신화, 로이터, AP, AFP 등 4개 주요 글로벌 통신사 고위 관계자들은 언론사가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저널리즘을 강화하더라도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보호 장치가 함께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언론이 저널리즘 기준을 준수하고 독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며 객관적인 뉴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푸 사장은 "신화통신은 다른 미디어와 협력해 국가와 지역을 초월한 AI 미디어 랩(media lab)을 설립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를 해소하기 위해 AI와 관련된 경험과 성과 공유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글로벌 미디어가 AI 시대에 저널리즘 윤리를 유지하기 위한 전문적 기준을 설정할 것을 촉구했다. 신장의 다차원적 관점 올해 서밋은 신화통신과 신장 지역 정부 공동 주최로 열렸다. 저널리즘의 핵심 가치인 객관성과 진실성 수호를 논의하기 위해 서밋에 모인 전 세계 미디어 커뮤니티는 신장에 대한 직접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다. 국제 미디어 매체의 항공 분석가인 메리 시아보는 "사람들이 잘 알지는 못하지만 많이 들어본 적이 있는 AI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 유사한 일이 신장에서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번 서밋이 신장에서 열린다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며, 이곳에 와서 신장을 직접 보면 정말 많은 깨달음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개발 시스템 중국 상주 코디네이터인 싯다르트 차터지는 "오늘 이 서밋에 모인 우리는 허위 정보, 잘못된 정보, 혐오 발언에 맞서 정보의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고 평가했다. 마싱루이 중국 공산당 신장 지역위원회 서기는 연설에서 "이번 서밋이 언론인들이 신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다. 중국 영토의 약 6분의 1을 차지하는 신장은 다양한 문화를 자랑하며 최근 몇 년 동안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왔다. 2023년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투자 수준, 소비율, 주민 소득 포함 총 6개 주요 지표에서 전국 성(省)급 지역 중 상위 5위권에 들었다. 실크로드 경제벨트(Silk Road Economic Belt)의 중심에 위치한 신장은 중국 서부 개방의 핵심 관문이자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허브로서 위상이 점점 더 올라가고 있다. 2023년 말에 설립된 중국(신장) 자유무역시험구(China (Xinjiang) Pilot Free Trade Zone)는 우루무치, 카스가얼, 호르고스 세 개의 상징적인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종합보세구역(comprehensive bonded zone)은 신장의 대외 무역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 카스가얼 종합보세구 관리위원회 관계자 궈수송에 따르면 올해 이 지역의 대외 무역 규모는 1000억 위안(약 1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중국 서부 개방에 앞장서고 있는 이곳의 대외 무역 규모가 언젠가는 1조 위안에 달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타마스 코박스 헝가리 ATV 미디어 그룹 CEO는 "선진적인 개방 개발의 전형인 신장을 방문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전통과 기술 혁신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이곳에서 협력적 학습을 통해 모두가 놀라운 성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 신장이 역사상 최고의 고품질 개발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서밋은 실제적이고 활기차며 아름다운 신장의 이야기를 더 잘 전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간주된다. 에르킨 투니야즈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은 "신장의 고품질 발전과 수준 높은 개방성은 진정성 있는 소통과 상호 신뢰 및 실질적인 협력과 불가분의 관계"라며 "미디어 분야 종사자들이 취재나 관광을 위해 신장에 와서 이 지역의 진정한 이야기를 전 세계와 공유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4.10.16 23:10글로벌뉴스

Xinhua Silk Road: 펀주, 해외 시장 진출에 잰걸음

베이징 2024년 10월 1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중국 바이주(백주) 브랜드 중 처음으로 세계 시장에 진출한 유명 브랜드 중 하나인 펀주(Fenjiu)는 중국 바이주의 마케팅 혁신과 해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가치 있는 탐색과 시도를 통해 세계 시장 공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청향형(清香型) 바이주 브랜드로도 유명한 펀주는 9월 14일 베이징에서 열린 2024 중국 음주 문화 포럼 및 주류 기업의 글로벌 혁신 포럼에서 자사의 글로벌 진출 스토리를 공유했다. 2024 중국국제서비스무역박람회(China International Fair for Trade in Services) 특별 포럼으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많은 인재가 모여 세계화 과정에서 중국 주류 기업의 새로운 기회를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장샤오(Chang Xiao) 펀주 국제무역회사의 부총경리는 포럼에서 "펀주는 해외 소비자를 초청해 중국 바이주를 체험할 수 있는 시음회 등 일련의 활동을 개최하며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해외 소비자들로부터 폭넓은 찬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장 부총리에 따르면 펀주는 마케팅 측면에서 차별화된 시범과 시나리오 기반 마케팅 전략을 고수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핵심 시장, 개발 시장, 잠재 시장으로 나눠 마케팅 채널을 구축하고, 여러 국가에서 선정된 시범 도시에 대한 마케팅 정책 지원을 강화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수천 차례의 시음회와 이벤트 마케팅 캠페인을 개최했으며, 해외 소비자가 광범위하고 심오한 중국 바이주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곳곳에 바이주를 주제로 한 문화 체험관을 설치했다. 펀주는 현재까지 7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100곳이 넘는 해외 딜러와 협력해왔다. 또한 중국 내에서 9000곳이 넘는 터미널 매장과 180곳 이상의 해외 면세점 및 국제선 출국장 면세점을 운영 중이다. 원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2578.html

2024.10.16 16:10글로벌뉴스

치매 치료 가능성 열려…집속초음파로 뇌척수액의 순환 개선 입증

뇌는 끊임없이 활동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대사성 노폐물이 쌓인다. 뇌척수액은 이러한 노폐물을 주변 혈관을 따라 순환하면서 제거하는데 순환에 장애가 생겨 노폐물 제거가 이뤄지지 않으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소혈관질환, 정상압 수두증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뇌척수액 순환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법인 집속초음파의 효과를 처음으로 증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돼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집속초음파는 뇌의 안쪽 깊숙한 곳까지 초음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치료하는 최신 치료법이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경과 김재호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센터 김형민 박사,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김선광 교수 공동연구팀은 '경두개 집속초음파를 통한 뇌척수액 순환 향상: 실시간 생체 내 이광자 및 광시야 이미징 입증(Transcranial focused ultrasound stimulation enhances cerebrospinal fluid movement: Real-time in vivo two-photon and widefield imaging evidence)' 연구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생쥐모델에서 집속초음파 그룹과 대조군을 나눠 비교했고, 형광염료를 통해 뇌척수액의 흐름을 확인했다. 이전까지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집속초음파 치료 시 뇌척수액의 실시간 흐름을 관찰하지 못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뇌척수액의 방향 역학을 기반으로 집속초음파의 조사 위치를 두개골이 아닌 두개골 바닥으로 변경해 이를 극복했다. 또 기존에는 뇌 내 형광 이미지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광자 현미경을 통한 생체 내 형광 이미징 결합으로 집속초음파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광자 현미경은 매우 낮은 에너지를 띈 2개의 광자를 이용하는 현미경으로 생체 시료에 주는 부담이 적기 때문에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분석결과, 집속초음파를 적용한 그룹에서 뇌척수액의 유입 면적과 형광 염료의 강도가 현저하게 증가해 더 많은 양의 뇌척수액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광자 이미징에서 집속초음파 자극 후 뇌혈관 주위 공간에서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형광물질이 증가한 것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뇌척수액의 뇌 내 노폐물 제거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미세입자 추적 실험에서도 집속초음파가 적용된 후 더 많은 미세입자가 관찰됐다. 입자들의 평균 속도 역시 집속초음파 적용 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속초음파에 따른 뇌 조직의 손상을 검사한 결과 어느 부위에서도 세포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뇌혈관장벽 누출도 일어나지 않아 치료의 안정성을 확인했다. 김재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두개골을 통한 집속초음파 자극이 뇌척수액의 순환을 촉진한다는 것을 실시간 이미징 기법을 통해 최초로 입증한 중요한 성과”라며 “뇌척수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는 비침습적 치료법으로서 집속초음파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에 획기적인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또 “최근 임상에서 집속초음파의 활용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현재 집속초음파 기술을 통한 정상압 수두증 환자의 보행 개선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 연구사업, 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 KIST 기관고유사업 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SCIE급 국제학술지인 'Brain Stimulation' 9월호에 게재됐다.

2024.10.16 13:39조민규

'라이덴 쇼군'이 반겨주는 원신 PC라운지…다양한 굿즈 한가득

서브컬처 게임 최초로 '원신'이 서울에서 PC방을 연다. 호요버스 코리아는 오는 18일 마포구 동교동 홍대입구역 LC타워 7층에 오픈월드 어드벤처 RPG 원신을 테마로 한 상시 PC방 '원신 PC 라운지 in Seoul(원신 PC라운지)'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원신 PC라운지는 여행자(유저)를 위한 프리미엄 공간으로, 오는 10월 18일부터 24시간 연중 무휴로 운영된다. 해당 공간은 단순 PC존 뿐만 아니라 게임 속 영원의 나라 '이나즈마'를 구현한 포토존, 테마체험존, 굿즈존, 테마 메뉴들을 마련해 풍성한 즐길거리를 선사할 계획이다. 현장에서 원신을 특정 시간 플레이하거나 모험레벨 인증, 나타 캐릭터 전설 임무 완료 및 목표 레벨 인증, 마신 임무 등 인게임과 연동된 이벤트를 수행하면 원신 PC 라운지 in Seoul 1시간 이용권, 아메리카노 등을 선물한다. PC 라운지 벽면에는 카미사토 아야카, 사유, 요이미야, 라이덴 쇼군 등 인기 캐릭터가 원신 PC 라운지에서 식사하는 일러스트가 붙어있다. PC라운지에서는 '우삼겹을 라멘에 묻겠다', '유부만이 어묵에 가장 가깝도다' 등 이나즈마 콘셉에서 착안한 특별 테마 메뉴를 맛볼 수 있는데, 주문하면 이나즈마 캐릭터 16종 랜덤 푸드픽과 스트로우픽, 코스터 3종 중 1종이 랜덤 증정된다. PC라운지에는 바람·불·얼음 원소존이 있는데, 바람 존에는 스티커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얼음 존은 프리미어 PC방이 존재하는데, 해당 공간에서는 두 대의 PC와 플레이스테이션5가 있어 소규모로 함께 호요버스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불 원소존에는 뽑기 기계가 있었다. 굿즈존에서는 테마 PC방 굿즈 20여종과 그 외 이나즈마 상시 굿즈들을 만나볼 수 있다. 굿즈존 앞에는 라이덴 쇼군 등신대가 이용자를 맞이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키보드, 장패드, 헤드셋, 캐릭터 피규어 등 다양한 굿즈를 구매할 수 있다. 한편, 원신 PC 라운지 in Seoul은 T1 베이스 캠프를 성공적으로 론칭한 게임라이프스타일 커머스 전문기업 슈퍼플레이가 사업 기획, 운영, 그리고 메뉴 개발 및 전용 굿즈 제작에 참여해 게임 매니아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4.10.16 13:14강한결

삼성D, 대만서 'OLED IT 서밋' 개최...노트북·모니터 패널 알린다

삼성디스플레이가 AI(인공지능) 시대의 인프라 허브로 떠오른 대만 타이베이에서 '삼성 OLED IT 서밋 2024(기존 '삼성 OLED 포럼')'을 개최하고 OLED의 성능 우위를 알렸다. 15일 타이베이 그랜드메이풀 호텔에서 진행된 '삼성 OLED IT 서밋 2024'에는 에이서, AOC, 에이수스, 델, 기가바이트, HP, MSI, 필립스 등 글로벌 IT 기업과 인텔, 퀄컴 등 빅테크 기업, 인벤텍 등 주요 ODM 업체까지 20여 개 기업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IT's OLED'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시대를 맞아 성장 모멘텀을 맞이한 노트북, 모니터 등 IT 시장에서 삼성 OLED만이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강점을 소개했다.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삼성 OLED는 낮은 소비전력, 생생한 화질, 휴대성 높은 디자인 등 온디바이스 AI 선택에 중요한 성능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 최고의 솔루션"이라며 "고객사들이 AI PC 시대에 맞춰 최고의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다양한 OLED 혁신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 IT용 OLED 패널은 압도적인 색재현력과 명암 표현력이 주목을 받았다. AI 시대에는 누구나 창작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 화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IT 업체들은 기대하고 있다. 삼성 OLED는 유기재료가 발산하는 RGB 빛이 컬러필터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눈에 도달하기 때문에 뛰어난 색 재현력을 자랑한다. QD-OLED 또한 기존 대형 OLED와 달리 퀀텀닷(양자점)을 내재화해 RGB 삼원색만으로 구성된 픽셀구조를 완성, 이를 통해 주변색의 간섭 없이 정확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디스플레이 업계 최초로 모니터 및 노트북용 패널로 팬톤 인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팬톤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신뢰를 받고 있는 컬러 시스템인 'PMS(Pantone Matching system)'를 공급하는 컬러 비즈니스 분야 글로벌 선두 기업이다. 엑스라이트 팬톤의 OEM 디스플레이 영업 총괄 디렉터인 토마스 들루고스는 이번 행사에서 'AI 콘텐츠 제작과 색재현력의 중요성(Importance of color Fidelity in AI content)' 주제로 강연에 나서 "누구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 AI 시대에는 콘텐츠 소비자와 제작자의 경계가 모호하다"며 "삼성 OLED의 압도적 색재현력은 제작자만큼이나 높아진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소비전력 저감 기술도 전력 소모가 늘어나는 AI 기술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전면 산화물 백플레인(Full Oxide Backplane) 기술을 새롭게 선보인 바 있는데, 이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은 IT용 패널 중 최초로 최저 1Hz 가변주사율을 지원한다. 통상 낮은 주사율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면 화면이 깜빡이면서 미세하게 떨리는 '플리커'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옥사이드 TFT 기술을 통해 전류 누설을 획기적으로 줄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저주사율을 적용해 소비전력을 줄이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AI를 통해 게이밍 경험을 한층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를 통해 기본 플레이 화면보다 선명도를 높이거나 명암 대조(Contrast)를 높여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캐릭터의 활동이 적을 때에는 필요 외 화면의 밝기를 낮추는 소비전력 저감 모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49형 울트라 와이드 제품, 27형 및 31.5형 고주사율·고해상도 제품으로 게임 플레이별 최적화된 게이밍 모니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게임사 크래프톤에서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inZOI)' 개발을 이끌고 있는 김형준 PD(Producer & Director)는 'OLED로 인조이를 즐겨보세요(Enjoy OLED with inZOI)' 제목의 강연에서 "삼성 OLED는 게임 개발자들이 기대해온 디스플레이"라며 "특히 이용자가 게임 플레이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삼성디스플레이는 가까운 미래에 실제 제품에 반영될 수 있는 AI 관련 디스플레이 신기술을 대거 공개, IT 기업들의 이목을 끌었다. '플렉스 매직 픽셀(Flex Magic Pixel™)'은 옆 사람에게는 화면이 잘 보이지 않도록 시야각을 조절하는 기술로, 구동하는 앱의 특성에 따라 보안의 정도를 조절하는 등의 AI 기술과 만나 소비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에코 스퀘어 OLED(Eco² OLED)' 기술을 IT용 대면적 패널로 확장한 신제품에 대해서도 문의가 쏟아졌다. 에코 스퀘어 OLED는 업계 최초로 편광판 기능을 내재화한 OCF(on-cell film) 기술로, 현재는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면 밝기가 50%가량 감소하게 되는데, 이 기술을 적용하면 빛 투과율을 높일 수 있어 기존 OLED 대비 최대 37% 적은 전력으로도 같은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플라스틱 소재인 편광필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친화적인 기술로도 평가된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노트북 및 모니터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3년 약 196억 달러에서 2031년 266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4% 성장할 전망이다. 같은기간 시장 내 OLED의 비중은 5%에서 42%로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기준 삼성디스플레이의 노트북 및 모니터용 OLED 시장 점유율은 약 94%(출하량 기준)를 차지한다.

2024.10.15 16:00이나리

전기차 배터리, 200초만에 충전할 수 있게 되나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 배터리 충전을 200초 만에 완충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뿐만 아니라, 초저온 냉각 케이블, 고속열차, 모노레일, 송전선 등 고전류를 전송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또 원자로, 석유 및 천연가스 시추시설 등 고온의 중심축이 통과하는 환형관 구조를 가진 장치에도 응용 가능하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기계로봇공학부 이승현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충전 시간을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인 3분 20초(200초)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혁신적인 충전 케이블 냉각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200초는 100kWh 전기차 배터리(테슬라 모델S, 기아 EV9 급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를 80%까지 충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연구진은 급속 충전시 통상 30분이상 걸리는 이유부터 분석했다. 이 분석에 따르면 △열전도도가 낮은 충전 케이블과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지 못하는 것이 주 원인으로 봤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급속 충전 조건에서의 냉각 루프를 활용했다. 또 수평 환형관 구조에서 절연유체 사용으로 발열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냉각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7m 상용 충전기 케이블에 대한 예측 결과, 800Vdc 전기차 배터리 기준으로 1천440㎾(1800A)급 충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640㎾(800A)급 급속 충전기보다 2배 이상 빠른 충전 속도다. 이승현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전기차 충전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전기차 사용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GIST 기계공학부 이승현 교수의 지도아래 정해인 박사과정생과 노현석 석사과정생이 수행했다. 연구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열전달 분야의 국제학술지(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n Heat and Mass Transfer)에 9월 19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2024.10.15 15:38박희범

Xinhua Silk Road: '24금융가 포럼 연례회의, 18일 베이징서 개막

베이징 2024년 10월 15일 /PRNewswire=연합뉴스/ -- 2024년 금융가 포럼 연례회의(Annual Conference of Financial Street Forum)가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베이징에서 개최된다. 이번 콘퍼런스는 '신뢰와 확신-금융 개방과 협력 및 경제 안정과 발전 공유(Trust and Confidence—Jointly Discussing Financial Opening-up and Cooperation, Sharing Economic Stability and Development)'를 주제로 열린다. 11일 열린 기자 회견에 따르면 예전보다 더욱 풍부하고 최적화된 주제로 열리는 올해 콘퍼런스에는 3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500명 이상의 게스트가 참석할 정도로 국제적으로 높은 관심 속에 열린다. 류동웨이 시청구 구장은 콘퍼런스는 크게 메인 포럼, 병렬 포럼, 핀테크 콘퍼런스로 구성되며, 메인 포럼과 병렬 포럼에서는 주제 세션 25회와 투자 및 금융 매치메이킹 이벤트 3회가 열리고, 핀테크 콘퍼런스에서는 총 17차례의 세션이 진행된다고 전했다. 이번 콘퍼런스의 주제는 양질의 금융 발전을 촉진하는 목표 및 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병렬 포럼에서는 경제와 금융 분야의 핵심적이고 트렌디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산업정보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와 주요 국유기업이 처음으로 관련 세션을 주최하여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포럼의 역할을 더욱 강조할 예정이다. 홍콩 금융서비스발전위원회(Hong Kong Financial Services Development Council)가 처음으로 베이징에서 행사를 주최하는 가운데 홍콩, 룩셈부르크, 도쿄에서는 하위 포럼이 개최된다. 콘퍼런스 연사의 40%는 외국인 연사로 채워질 예정이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기업과 금융기관 간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 펀드에 관한 특별 포럼을 개최해 국가 부처 대표, 국가와 지방정부 투자 펀드, 주요 외국 투자 펀드 및 업계 리더를 초청할 예정이다. 투자 기회와 우대 정책을 홍보하기 위한 로드쇼와 매치메이킹 세션 개최 및 보도자료 배포 등의 활동도 병행해 진행된다. 올해 콘퍼런스는 베이징시 인민정부(People's Government of Beijing Municipality), 중국인민은행(People's Bank of China), 국가금융감독관리국(National Financial Regulatory Administration),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hina Securities Regulatory Commission), 신화통신, 국가외환관리국(State Administration of Foreign Exchange)이 공동 주최한다. 원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2542.html 출처: Xinhua Silk Road

2024.10.15 12:10글로벌뉴스

삼성메디슨, 프리미엄 초음파 진단기기 'HERA Z20' 국내 출시

삼성메디슨이 오는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양일간 대구에서 열리는 제27차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이하 KSUOG)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의료진 대상으로 'HERA Z20'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HERA Z20은 여성과 태아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출시된 산부인과용 프리미엄 초음파 진단기기로 AI 진단 보조 기능을 한층 강화했다. '라이브 뷰어시스트(Live ViewAssist)'는 HERA Z20에 새롭게 탑재된 AI 진단 보조 기능으로, 태아를 스캔하는 동안 나타나는 초음파 영상 중 필요한 단면을 자동으로 추출해 전체 임신 주기에 필요한 항목별 측정 결과값을 제공한다. 이지볼륨(EzVolume) 또한 처음 탑재된 AI 기술 기반 진단 보조 기능으로 3D 초음파 이미지의 태반, 자궁, 양수, 태아의 얼굴 및 몸통 등의 구조물을 자동으로 분할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원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구조물 별 색상,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어 더 직관적인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HERA Z20은 친환경 가치 실현을 위한 삼성메디슨의 노력이 담겼다. 부품단에서 부터 세대 교체를 진행, 디지털 방식의 고효율 소재를 사용해 대기전력을 자사 기존 프리미엄 장비 대비 40%가량 줄였다. 모바일 기기 등에 주로 활용되던 회로 집적 기술을 제품 개발에 활용하고, 사용 부품을 최소화해 제품 체적 또한 줄였다. 본체에 사용한 플라스틱의 55%를 재활용된 친환경 소재로 구성했으며, 종이로도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포장 설계를 최적화해 포장재 및 완충재를 100% 재생지로 교체했다. 삼성메디슨은 또한 사용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 HERA Z20을 기획했다. HERA Z20을 통해 첫 공개된 기능인 '마이 헤라(My HERA)'는 사용자 유형 및 선호에 따른 제품 설정값을 개인에게 맞춤화된 시스템으로 구축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아울러 초음파 신호 손실을 최소화해 어려운 사례 진단 시, 더욱 높은 영상 품질을 보여준다. 삼성메디슨은 HERA Z20의 국내 첫 론칭을 기념해 행사 기간 동안 HERA Z20, AI&Solution 존으로 구성된 theSUITE 라운지를 운영한다. 삼성메디슨은 라운지에서 HERA Z20의 신기능과 함께, 최근 인수한 프랑스 AI 스타트업 '소니오'의 사용자 친화적인 의료 IT 솔루션을 소개한다. 삼성메디슨 유규태 대표는 "진단 정확성과 편의성 증대에 초점을 맞춰 개발한 프리미엄 초음파 진단기기 HERA Z20을 통해 국내외 산부인과 초음파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고객 중심적 관점의 AI 진단 보조 기능 및 신제품을 앞으로도 꾸준히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10.15 11:30이나리

지피불하운드, 유럽 테크 세계의 성공과 성취를 기념하며 2024년 올스타 어워드 수상자 발표

런던, 2024년 10월 12일 /PRNewswire/ – 지피불하운드(GP Bullhound)는 런던의 아우터넷에서 열린 제22회 연례 올스타 어워드 수상자를 발표하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럽 테크 산업의 활발한 움직임을 기념하며, 창립자, 투자자, 주요 인사 등 글로벌 기술 부문의 350명 이상의 리더들이 모여 한 해의 뛰어난 성과를 축하하였다. Celebrating the successes and achievements within Europe's tech universe. 이번 올스타 어워드는 올해의 기업가부터 올해의 성장 및 인수 펀드까지 총 11개의 카테고리에 걸쳐 현재 유럽 테크 분야의 다양한 인재와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선보였으며, 이날 저녁 행사에서는 테니스 챔피언이자 기업가, 베스트셀러 작가인 비너스 윌리엄스(Venus Williams)의 기조 연설도 있었다. 2024년 올스타 수상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올해의 엑시트: PSG Equity (날란다(Nalanda) 엑시트 성사) ● 올해의 기업가: CUBE의 벤 리치먼드(Ben Richmond) ● 올해의 성장 및 인수 펀드: 에이치지 캐피탈(Hg Capital) ● 올해의 투자자: 패션 캐피탈(Passion Capital)의 아이린 벌비지(Eileen Burbidge) ● 선한 기술: 소셜 밸류 포털(Social Value Portal) (특별 추천: 위 워크(We Walk)) ● 올스타 기업 챌린지: 스튜다큐(Studocu) ● 올해의 벤처 캐피탈: 엘라야(Elaia) ● 올해의 젊은 기업가: 케스트릭스(Kestrix)의 루시 라이언스(Lucy Lyons) (특별 추천: 젤림(Zelim)의 샘 메이얼(Sam Mayall)) ● 올해의 서비스: HSBC 이노베이션 뱅킹 ● 예술 분야의 디지털 혁신: 아트센트리카(ArtCentrica) ● 올스타 명예의 전당: 닉 험프리스(Nick Humphries) 지피불하운드의 매니징 파트너인 마니시 마드바니(Manish Madhvani)는 "이번 수상자들을 축하하며, 우리는 유럽 테크를 정의하는 끊임없는 추진력을 다시금 떠올린다"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그들의 끈기와 비전, 인내는 그들을 위대함으로 이끌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늘 밤 우리에게 영감을 주시는 모든 분들을 축하 드립니다. 여러분의 야망과 결단력, 그리고 테크 세계에 미친 지속적인 영향력에 감사드린다"라고 전했다. 수상자 전체 목록은 [www.gpbullhound.com/allstars] 를 참조한다. 당사는 최종 후보를 신중하게 평가하고 수상자를 선정해준 훌륭한 심사위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올스타 어워드를 현실로 만들어준 후원사들인 .Art, 메리어트 해리슨(Marriott Harrison), LGT 웰스 매니지먼트, 오릭(Orrick), 윌슨 손시니(Wilson Sonsini), 미쉬콘 드 레야(Mishcon de Reya), 테일러 웨싱(Taylor Wessing)에게 감사드린다. 올스타스는 청년들이 고용 가능성과 생활 기술을 개발하여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기관인 Working Options in Education을 지원하게 되어 자랑스럽다. 아낌없이 기여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 지피불하운드 소개 세계 최고의 기업가와 창립자에게 거래 자문 및 자본을 제공하는 기술 자문 및 투자 분야의 선도기업으로 1999년 런던과 멘로 파크에서 설립되어 현재 유럽과 미국에 걸쳐 12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 [www.gpbullhound.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28357/ALLSTARTS_WINNERS.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19687/GP_Bullhound_logo_black_Logo.jpg?p=medium600]

2024.10.12 07:10글로벌뉴스

Xinhua Silk Road: 상하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발전의 미래 제시

-- 상하이 쉬후이구에서 '2024 상하이 디지털 문화 산업 고품질 발전 컨퍼런스' 개최 베이징 2024년 10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생태계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미래를 제시하기 위한 '2024 상하이 디지털 문화 산업 고품질 발전 컨퍼런스(Shanghai Digital Cultural Industry High-Quality Development Conference)'가 최근 상하이 쉬후이구에서 개최됐다. Photo shows the launch of the China (Shanghai) digital entertainment industry index during the 2024 Shanghai Digital Cultural Industry High-Quality Development Conference held in Shanghai on Sept. 27, 2024.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생태계와 문화의 새로운 미래(new ecology of digital entertainment, new future of culture)'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신화통신 산하 중국경제정보서비스(China Economic Information Service•CEIS)가 지역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추적 및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중국(상하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 지수'를 발표했다. 행사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견고한 기반과 완벽한 생태계를 자랑하는 상하이 쉬후이의 문화 및 창작 산업이 '원신(Genshin Impact)'과 '명일방주(Arknights)'처럼 국내외 게이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고품질 게임을 배출했다면서 쉬후이가 문화 상품 개선과 국제화를 주도하고 디지털 경제와 전통문화 융합의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했다. 쉬후이에는 텐센트, 넷이즈, 미호요, 하이퍼그리프, 릴리스 게임즈 등 유명 게임 개발사가 입주해 게임 개발과 유통 및 운영 같은 고부가가치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쉬후이구에서 활동하는 주요 게임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총 750억 위안으로 상하이 게임 산업 전체의 절반에 육박한다. 자오이 쉬후이구 홍보부 책임자에 따르면 쉬후이구는 이미 게임, e스포츠, 광고, 커뮤니케이션, 예술 디자인, 영화와 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등으로 이루어진 문화 및 창조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했다. 자오 책임자는 "앞으로 이 지역은 자원 공급, 산업 성장 동력, 브랜드 영향력, 문화 서비스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여 연구개발(R&D) 센터이자 글로벌 유통 센터 겸 혁신 및 가치 확장 센터이자 고품질 개발 서비스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오디오-비디오 및 디지털 출판 협회(China Audio-video and Digital Publishing Association•CADPA)의 장이쥔 제1부국장은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디지털 문화 산업이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면서 "새로운 문화 소비 시나리오와 비즈니스 형식이 등장하는 가운데 이 분야가 디지털 경제 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상하이 홍보부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신화통신 상하이 지사, CEIS, 쉬후이 정부, 링강 그룹이 주최하고 CADPA의 게임 출판 위원회가 후원했다. 원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2504.html

2024.10.11 17:10글로벌뉴스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 "초일류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할 것"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초일류 엔터테크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갤럭시코퍼레이션이 엔터테인먼트와 AI(인공지능), 메타버스 등을 결합한 엔터테크 사업을 확장한다. 올해 '북테크'를 시작으로 2026년 라스베이거스의 명소인 스피어에서 AI 콘서트를 기획하고 있으며, 카이스트(KAIST)와 협업해 '엔터 테크 랩' 연구소도 설립했다.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디지털 혁신 페스타 2024' 부대행사로 열린 '퓨처 테크 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2019년 8월 설립된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초창기 '부캐(부 캐릭터) 신드롬'을 선도하며 가수 마미손 등 아티스트들의 버추얼휴먼과 아바타를 개발 제작해 왔다. 이후 2020년 Mnet '부캐선발대회', 2021년 TV조선 '부캐전성시대', 2022년 '아바드림' 등 메타버스와 아바타 기술을 결합한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제작해 왔다. 지난해 갤럭시코퍼레이션은 '피지컬 100' 시즌2를 제작해 넷플릭스에서 한국 예능 사상 최초로 글로벌 TOP 10 TV쇼(비영어) 부문 1위를 달성하며 제작사로 성공을 이뤘다. 이 외에도 지난해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아티스트 지드래곤을 영입해 엔터와 테크의 결합 프로젝트를 이어 나가고 있다. 회사는 올해 새롭게 북테크 사업을 시작하며 책 2권 'AI 메타버스의 반격'과 '메타버스는 거품이다'라는 그림 동화책《The Dream of a White Rhino : for freedom in the meta universe》(이하 '흰코뿔소의 꿈')을 출간했다. 최용호 대표는 "북테크 프로젝트를 1년 6개월 전에 시작해 올해 출간했다"라며 "AI 메타버스의 반격책은 메타버스 2.0을 제시하는 책"이라며 "세상에 3년 전 4년 전에 존재했던 메타버스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지만, 이 개념이 다시 발전해서 2.0으로 진화하는 것을 'AI 메타버스'라고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는 거품이다' 영어로 제작된 어른과 어린이가 읽을 수 있는 그림 동화책이다. 단순히 메타버스 기술을 설명하는 '메타버스 서적'이 아니라, 메타버스는 '거품'이라는 정의를 그림으로 재미있게 표현하면서 메타버스의 새로운 출발과 새로운 방향성을 예고하는 서적이다. 최 대표는 "이 책은 영어지만 중국인, 일본인 등 여러 외국인들에게 선물할 수 있다"라며 "스마트폰으로 책을 NFC 태그하면 AI로 연결돼서, 다양한 언어로 요약해서 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갤럭시코퍼레이션의 북테크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다. 갤럭시코퍼레이션은 또 신사업으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스피어(Sphere)에서 2026년 공연을 목표로 'AI 콘서트'를 기획하고 있다. 지난해 개장한 스피어는 세계 최대의 구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라스베이거스의 밤하늘을 밝히는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건물 외벽에는 약 13만5000개의 LED 조명으로 덮여 있어 다양한 그래픽과 영상, 라이브 아트를 실시간으로 연출할 수 있다. 내부는 초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가 16K 해상도를 지원하며, 16만개의 스피커로 몰입형 사운드를 제공한다. 최 대표는 "이 콘서트는 기존의 인간 공연자가 주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AI 아바타를 활용해 공연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카이스트와 협업, 엔터 테크 연구소를 통해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한다는 새로운 미션을 가지고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며 "과학 기술과 엔터테인먼트가 만난다면 어떤 콘텐츠가 만들어질 수 있을지 기대가 크다.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지난 5월 카이스트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엔터 테크 랩(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소 설립했다. 아울러 회사는 아티스트 지드래곤과 함께 지난 8월 '저스피스(JusPeace)' 재단을 설립해 공익 활동도 펼친다. 구체적으로 ▲저작권의 공익적 활용 ▲창의적인 예술 인재의 후원 ▲공익활동을 실천하는 창작자들의 지원 ▲예술 치유와 예술을 통한 마음 건강 ▲청소년 마약 중독자에 대한 음악적 치료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최 대표는 "아티스트 지드래곤이 사람들한테 좋은 영향을 끼치고 싶다는 생각으로 재단을 설립했다"라며 "무슨 일을 하더라도 영리와 비영리가 함께 공존해야 한다. 대중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길 바라는 마음으로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2024.10.11 16:41이나리

한국IT서비스학회, 사람 중심 첨단기술 활용 '스마트라이프' 컨퍼런스 개최

한국IT서비스학회(회장 이정훈)는 11일 서울 강남 코엑스 소재 '스튜디오159(STUDIO159)'에서 '사람 중심 첨단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라이프'를 주제로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디지털재단과 학회가 공동주관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첨단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스마트라이프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 사례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장도 마련됐다. 행사는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 개회사와 한국IT서비스학회 이정훈 회장 환영사로 시작했고, 이어 캐나다 샤위니간(Shawinigan)의 미셀 앵거(Michel Anger) 시장이 'Shawinigan Economic Overview'라는 주제로 기조 발표를 했다. 컨퍼런스는 '사람 중심' '탄소 중립' '기술 혁신' 세 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했고, 각 세션에서는 첨단기술을 활용해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와 방안을 소개했다. ■ 세션 1/사람 중심/시민의 안전, 윤리, 포용을 위한 사례 및 방안 세션 1에서는 시민 안전과 윤리, 포용성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기술 및 정책 사례를 소개했다. 4개 발표로 진행한 세션에는 ▲BEYOND TECHNOLOGY: BUILDING SMARTER CITIES THROUGH PARTNERSHIPS ▲Digital Transformation and AI for Human-Centric Services in the City of Madrid ▲Streamlining Processes in Smart Societies by Putting Citizens in Control of Their Personal Data ▲Digital Technology Brings Speed to Cities and Warmth to Life 주제로 진행했다. 발표 후에는 뉴턴대학(Newtor University) 다그마르 카가노바(Dagmar Cagáňová) 부총장이 좌장으로 사람 중심 기술 미래와 적용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 세션2/탄소 중립/디지털기술을 통한 친환경 및 탄소 중립 실천 사례 세션 2에서는 디지털기술이 환경 친화적인 도시 구현에 기여하는 방안의 사례를 소개했다. 5개 발표로 구성한 세션에는 ▲Towards Net Positive Impact (NPI) ▲Building Resilience for a Sustainable Future: Smart Education at NEWTON University ▲mart Services for the Sustainable City ▲Thames Freeport Connecting Local People with Global Growth ▲ Governance for Competitiveness: Transforming Atlántico into a Smart Cities Territory를 주제로 다양한 친환경 및 탄소 중립 사례를 공유했다. 공유되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연세대 이기헌 교수가 좌장으로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한 디지털 기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 세션3/기술 혁신/ AI와 디지털 트윈 등 첨단기술 혁신 사례 세션3에서는 AI와 디지털 트윈 등 최신 기술 혁신 사례를 통해 스마트도시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5개 발표로 진행한 세션에는 ▲Generative AI and Healthcare/Digital Twin/Robotics Convergence to Open the Future of Smart Cities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omapanies on Urban Economic Development ▲Smart City Innovation and Platform DX Case ▲The AI Driven Direct Commerce Platform ▲Strategi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AI and Digital Twin을 주제로 최신 기술 사례를 다뤘다. 발표 후에는 윤종영 국민대 교수가 좌장으로 기술 혁신이 도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토론했다. 이정훈 한국IT서비스학회장은 "이번 '스마트라이프 컨퍼런스'는 사람 중심 첨단기술이 지속 가능한 스마트라이프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글로벌 협력과 기술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세계 도시들이 시민 안전과 포용성, 그리고 탄소 중립을 선도하기 위해 AI, A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한국IT서비스학회는 서울시 및 서울디지털재단과 협력해 스마트 도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한편 시민과 민간, 공공이 함께하는 혁신 플랫폼으로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10.11 16:22방은주

마우저, 첨단 의료 기술 리소스-제품 공급

마우저일렉트로닉스는 의료 및 헬스케어 산업을 혁신하고 생명을 구하는 최첨단 기술을 탐구한 역동적인 의료 리소스 센터를 제공한다고 11일 밝혔다. 최신 헬스케어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더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대기 시간 단축은 물론, 첨단 디지털 치료 방식을 도입할 수 있게 됐다. 인공지능(AI)의 분석 능력은 환자 관리를 혁신하고, 건강 데이터를 통해 전례 없는 통찰력을 제공하며, 만성질환 및 난치병에 대한 접근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방대한 라이브러리로 구성된 이 리소스 센터는 설계 엔지니어들에게 환자의 삶을 개선하는 정확하고, 정밀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수십 개의 기사와 블로그, 전자책 및 제품들을 통해 기존의 헬스케어 및 의학 분야를 변화시키는 혁신 기술들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은 질병의 조기 발견에서 맞춤형 치료에 이르기까지 환자의 치료 결과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웨어러블 로봇 기술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지원해 더 오래 걸을 수 있게 만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이상 발열을 감지할 수 있는 열화상 기술은 환자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고, 선제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헬스케어 분야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있다. 지속적인 기술의 진화로 의료 분야의 혁신이 더욱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헬스케어의 미래를 앞당기고, 더욱 풍요로운 삶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마우저는 의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신제품 및 솔루션을 비롯해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ams오스람의 'SFH 7018x MULTILED'는 심박수 및 SpO2 모니터링을 위한 녹색, 적색, 적외선의 3-in-1 고성능 다중 이미터(emitter)를 탑재하고 있다. 이 제품은 디지털 진단 기기와 활력 징후 모니터링 및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하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ST1VAFE6AX' 바이오 센서는 생체 전위 신호 감지 및 모션 추적을 위해 설계됐다. 이 센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하는 SPI/I2C 및 MIPI I3C v1.1 직렬 인터페이스와 최대 4.5KB의 스마트 FIFO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바이오 센서는 모션 처리를 위한 데이터 프로세싱 및 임베디드 기능을 갖추고 있어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휴대용 기기, 활동 추적 및 웰빙 애플리케이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온세미의 'CEM102'는 저전력 소모 및 소형 폼팩터의 센서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다. CEM102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는 온세미의 'RSL15' 블루투스 5.2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비정상적인 센서 상태 및 호스트 프로세서의 웨이크업(wake-up)을 감지할 수 있다. 이 제품은 IoT 센서 및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돼 있다. TDK-람다의 CUS800M 및 CUS1000M AC-DC 전원공급장치는 B 유형 및 BF 유형 의료 장비에 필요한 의료 인증(2 x MOPP)을 갖추고 있다. 이 제품들은 171 x 85 x 42.5mm 풋프린트의 소형 설계로 제공되며, 의료, 오디오, 비주얼 및 통신 기술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다.

2024.10.11 13:52장경윤

2025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 수상자로 나카지마 사치코 선정

-- 끌레드뽀 보떼, 매년 지역사회서 STEAM 교육 발전에 이바지한 여성 선정해 수상 -- 2025 수상자는 steAm, Inc. 설립자 겸 CEO이자 재즈 피아니스트, 수학자, 2025 엑스포 주제 프로젝트 프로듀서인 나카지마 사치코씨 -- 나카지마씨는 클레드뽀 보떼와 협력해 차세대 소녀들에게 STEAM 통해 영감 불어넣을 예정 도쿄 2024년 10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럭셔리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 브랜드인 끌레드뽀 보떼(Clé de Peau Beauté)가 나카지마 사치코씨를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Power of Radiance Awards) 2025'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지역 사회에서 STEAM(과학•기술•공학•예술•수학) 분야를 중심으로 여학생들의 교육에 힘쓰는 여성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나카지마씨는 고등학교 시절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일본 여성 최초로 금메달을 수상하며 STEAM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재즈 피아니스트이기도 한 그녀는 오감을 통해 STEAM에 생명을 불어넣는 음악가들로 구성된 그룹인 '쿠라게 밴드 비다: 오감 협주곡(Kurage Band Vida: Concerto of Five Senses)'의 리더이기도 하다. 그녀는 STEAM 분야에서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2017년 STEAM 교육을 제공하고 모든 사람에게서 창의적 잠재력을 끌어내는 걸 목표로 하는 조직인 steAm, Inc.를 설립했다.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는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는 더 나은 세상을 열기 위한 열쇠는 무엇보다 STEAM 교육을 통해 소녀들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데 있다는 끌레드뽀 보떼의 신념을 바탕으로 2019년에 제정됐다. 나카지마씨가 한 일은 이러한 신념을 구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교육을 통해 소녀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궁극적으로 STEAM 분야의 고질적인 문제인 성 격차를 해소해 모두를 위한 더 나은 미래를 조성하겠다는 끌레드뽀 보떼의 사명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이 2024년 발표한 '글로벌 성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에 따르면 일본의 성 평등 순위는 146개국 중 118위로 하위권이며, 특히 STEM 분야에서 심각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1]. 일본이 세계 최대 경제대국에 속하고, 일본 여학생들이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뛰어난 성적을 내고 있지만[2], 일본 내 STEM 졸업생 중 여성의 비율은 16%에 그친다[3]. 따라서 나카지마씨의 노력은 전통적으로 여성과 소녀들이 STEM 교육과 커리어를 추구하는 데 걸림돌이 되어온 장벽을 허물어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achiko Nakajima, 2025 Award Recipient of the Power of Radiance Awards 끌레드뽀 보떼는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에 앞장서는 여성들로 구성된 글로벌 커뮤니티를 구축할 계획이다. 나카지마씨는 뉴욕에서 열린 '세계 소녀의 날(International Day of the Girl)'을 기념하는 끌레드뽀 보떼의 행사에서 '파워 오브 래디언스 2024 어워드' 수상자이자 여성들의 컴퓨터 산업 진출을 돕는 '코딩하는 소녀들(Girls Who Code)'과 미국의 어머니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권리를 증진하기 위해 애쓰는 '맘스 퍼스트(Moms First)' 같은 단체의 설립자인 레시마 사우자니씨를 만났다. 이 행사에서 사우자니씨와 다른 성 평등 옹호자들은 차세대 여학생들의 STEAM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여성들끼리 서로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 2025' 수상자인 나카지마씨는 이러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일본에서 그녀가 하는 일에 도입함으로써 사우자니씨를 비롯한 역대 수상자들의 노력과 유산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 2025'를 수상한 나카지마씨는 소녀와 여성들이 STEAM 분야에 관심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활동과 사명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보조금을 받게 된다. Sachiko Nakajima receiving Clé de Peau Beauté's Power of Radiance Awards 2025 나카지마씨는 아시아 재단(The Asia Foundation)이 주도하는 'STEM ConnectHER'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STEM 분야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대학생과 전문가들에게 멘토링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나카지마씨는 소녀와 그들의 어머니들이 수학의 즐거움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장려하기 위해 워크숍을 조직하고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리조시(Suri-Joshi)' 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고정관념을 깨고, 특히 STEM 분야 여성 롤모델이 부족한 지역에서 젊은 여성들이 수학을 더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카지마씨는 2025 엑스포 활동에도 참여해 '생명의 놀이터 해파리 파빌리온의 주제 프로젝트 프로듀서(Thematic Project Producer for the Playground of Life: Jellyfish Pavilion)'로 활동 중이다. 그녀는 다양한 분야에서 쌓아온 전문 지식과 개인의 참여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강력한 신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학습과 예술 등을 통해 삶의 재미와 기쁨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협력적이면서 포용적인 공간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나카지마씨는 "차세대 소녀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전 세계 STEAM 교육에서 존재하는 성 격차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클레드뽀 보떼의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를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이 분야에선 남성이 교육과 직업을 모두 주도하고 있지만, 성별이 창의성과 혁신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저는 이 상을 통해 끌레드뽀 보떼와 함께 STEAM이 소녀와 여성에게 불필요하다는 인식을 바꿔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성 평등을 포함해서 모든 형태의 포용성은 진보적 사회 발전에 유익하고 필수적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하시모토 미즈키 끌레드뽀 보떼 최고브랜드책임자(CBO)는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는 2019년부터 교육을 통해 전 세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여성들을 기리는 자선 활동의 핵심 축 역할을 해왔다"면서 "나카지마씨 및 steAm, Inc.과의 협력을 통해 내년에도 양성평등을 도모하고 소녀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우리의 헌신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끌레드뽀 보떼는 모든 개인이 내면에서 나는 빛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브랜드의 가장 상징적인 첫 단계 제품 중 하나로 더 세럼(The Serum)을 선정하고 매출의 일정 부분을 이 사명을 위해 기부하기로 약속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끌레드뽀 보떼는 '파워 오브 래디언스 어워드'를 통해 소녀와 여성이 자신과 지역사회를 위해 더 밝은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카지마 사치코 소개 나카지마 사치코씨는 음악가이자 수학자이면서 STEAM 교육자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steAm, Inc.의 설립자이자 CEO이면서 BAND 협회 대표이사이자 일본 간사이 오사카 엑스포 2025의 주제 프로젝트 프로듀서(시그니처 파빌리온인 '생명의 놀이터인 해파리 파빌리온')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음악, 수학, STEAM 교육, 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맹활약하고 있는 그녀는 배경, 성별,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나카지마씨는 놀이형 STEAM 교육이 개인이 사회적•개인적 어려움을 극복해 미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각자의 고유한 흥미와 창의성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카지마씨는 일본 내각부(Cabinet Office)의 'STEM 소녀 홍보대사'로 임명됐으며, 문부과학성(Ministries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및 여러 지방 정부의 다양한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 뉴욕대학교 티시 예술대학 풀브라이트 장학생이었다. 특히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일본 여성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녀는 18세 소녀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끌레드뽀 보떼 소개 시세이도(Shiseido Co Ltd)의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인 끌레드뽀 보떼는 1982년 우아함과 과학의 궁극적인 표현을 목표로 설립됐다. 끌레드뽀 보떼는 '피부의 아름다움을 여는 열쇠'란 뜻이다. 전 세계 메이크업 기술과 첨단 스킨케어를 활용해 빛나는 피부의 힘을 이끌어내겠다는 브랜드 철학을 갖고 있다. 끌레드뽀 보떼는 절묘한 미적 감성과 지성을 바탕으로 제품에 현대적이고 매혹적이면서 역동적인 요소를 담아,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놀라운 광채를 전달하는 업계 리더로 자리 잡았다. 끌레드뽀 보떼의 제품은 전 세계 26개 국가 및 지역에서 판매되고 있다. 끌레드뽀 보떼 공식 웹사이트: https://www.cledepeau-beaute.com/int/powerofradiance-2025.html 끌레드뽀 보떼 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cledepeaubeaute/ [1] 2024 글로벌 성별 격차 보고서 https://www.weforum.org/publications/global-gender-gap-report-2024/in-full/benchmarking-gender-gaps-2024-2e5f5cd886/ [2] 일본이 더 많은 여성의 STEM 분야 진출을 장려하는 방법 https://www.weforum.org/agenda/2023/07/japan-encouraging-women-into-stem/#:~:text=Japan%20ranks%20last%20among%20wealthy,science%2C%20according%20to%20the%20OECD [3] 일본이 더 많은 여성의 STEM 분야 진출을 장려하는 방법 https://www.weforum.org/agenda/2023/07/japan-encouraging-women-into-stem/

2024.10.11 12:10글로벌뉴스

  Prev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K-반도체 육성, 기존 틀 깨야 불확실성 돌파…새 정부 과제 '산적'

배민·요기요, 먹통 뒤 정상화..."금요일 밤 비 내린 탓"

과학자들, 납으로 금 만들었다…'연금술사의 꿈' 실현되나

SKT 유심교체 누적 187만...오늘 50만명에 유심재설정 안내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