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Sökmotor for barn 🔍 www.46.gg'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95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삼성전자 AI가전, UL 최고 보안등급 '다이아몬드' 업계 최다 획득

삼성전자가 글로벌 인증기관인 'UL 솔루션즈(UL Solutions)'가 실시하는 사물인터넷(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를 총 5개 획득하며 가전 업계 최다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외에도 주거용 고효율 히트펌프 'EHS', '비스포크 슬라이드인(Slide-In) 인덕션 레인지'로 총 3개 제품에서 다이아몬드 등급을 받았다. 지난 3월 프리미엄 냉장고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가 글로벌 가전 업계 최초로 다이아몬드 등급을 받은 데 이어 올인원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도 동일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총 5개 다이아몬드 등급을 보유해 가전업계에서 최고 등급을 가장 많이 받은 기업이 됐다. UL 솔루션즈의 IoT 보안 평가는 스마트 가전의 해킹 위험성과 보안 수준에 대한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총 5단계의 등급을 부여한다. 특히,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 등급은 ▲악성 소프트웨어 변조 탐지 ▲불법 접근 시도 방지 ▲사용자 데이터 익명화 등의 항목에서 까다로운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번에 다이아몬드 등급을 새롭게 취득한 3개 제품은 모두 7형 LCD 터치스크린 'AI 홈'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직관적인 UI가 적용된 대형 화면으로 기기 코스와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스마트싱스(SmartThings)에 연결된 집 안의 타 기기까지 확인할 수 있어 사용성과 연결성이 크게 향상됐다. 또한,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능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삼성전자만의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를 적용해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한다. 삼성전자는 보안뿐만 아니라 AI 관련 인증도 국내 업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AI+ 인증'을 지난 2021년 국내 최초로 6개 제품에 대해 취득한 뒤 지금까지 국내 가전업계 최다인 총 12개 인증을 받았다. AI+ 인증은 한국표준협회가 AI 제품의 품질을 증명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국제 표준을 근거로 부여한다. 삼성전자는 24년형 비스포크 신제품에 고성능 AI 칩이나 카메라, 센서를 탑재해 'AI 비전 인사이드(Vision Inside)', 'AI 맞춤세탁∙건조', 'AI 절약 모드' 등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 DA사업부 유미영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보안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소비자들이 AI와 스마트싱스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한 삼성전자 'AI 가전'은 내달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24'에 전시될 예정이다.

2024.08.20 08:46이나리

제7회 CIIE와 홍차오 포럼, 높은 수준의 개방에 집중 조명

상하이 2024년 8월 19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제7회 홍차오 국제경제포럼(Hongqiao International Economic Forum, HQF)이 개방 촉진과 포용적 경제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된다. 홍차오 포럼은 올해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hina International Import Expo, CIIE)와 함께 중국의 높은 개방 의지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무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1월 상하이에서 개최될 예정인 이 포럼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지도자, 최고 경제학자 및 기업가가 모여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고 인사이트를 교환하는 병행 세션도 열릴 예정이다. 홍차오 포럼의 주제와 논제 발표 제7회 HQF는 '보편적으로 유익하고 포용적인 경제 세계화를 위한 높은 수준의 개방(High-Standard Opening up for Universally Beneficial and Inclusive Economic Globalization)'이라는 주제로 연례 CIIE와 동시에 개최된다. 주요 토론은 산업 개발 및 지속 가능한 도시 건설, 기후 변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무역, 인공 지능, 새로운 에너지 저장, 신에너지 차량과 같은 주제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 포럼에서는 2024년 세계 개방성 보고서(World Openness Report 2024)도 발표되며, 다양한 비공개 세션과 홍보 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2024년 세계 개방성 보고서 발표 제4회 CIIE 이후 매년 포럼에서 발간되는 세계 개방성 보고서는 국가와 지역이 연결된 세계에서 도전과 기회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세계 개방성 보고서는 무역, 금융, 인프라, 기후 및 정책 분야의 글로벌 개방 상태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제공했다. 이 보고서는 글로벌 연대를 재건하고 국제 무역, 지속 가능한 개발 및 기후 행동을 위한 새로운 추진력을 창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2024년 세계 개방성 보고서도 기대해볼 만하다. 참가자 경험 및 참여도 개선 올해 CIIE 및 HQF 갈라(GALA)는 개막식에 앞서 포럼 참석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조기 정보 공개와 같은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미디어 인터랙션도 도입된다. Representatives gathered at 2023 CIIE & HQF GALA 또한, 청중이 쉽게 참여하고 약속 일정을 잡을 수 있도록 대화형 기능을 갖춘 사용자 친화적인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포럼 정보 시스템도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CIIE 현황 팔로우업 참가자들이 최신 현황을 접할 수 있도록 매월 CIIE 뉴스레터를 발행한다. CIIE의 진행 상황과 성과를 강조하고 최신 전시 정책, 전시 업체 인센티브, 모든 참가자를 위한 포괄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뉴스레터를 구할 수 있다.https://www.ciie.org/zbh/en/?from=prnewswire 비즈니스 전시회에서 홍보할 기회를 잡고 CIIE 부스를 예약하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한다. 중국 국제수입박람회 사무국 참가업체 등록[https://www.ciie.org/exhibition/f/book/register?locale=en] 문의:Ms. Cui YanTel.: 0086-21-968888Email: exhibition@ciie.org

2024.08.19 19:10글로벌뉴스

싼이그룹, 글로벌 건설기계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 지원

상하이 2024년 8월 15일 /PRNewswire=연합뉴스/ -- 유엔은 1년 전 기후와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산업 혁신이 수행하게 될 중추적 역할을 강조하는 '202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금 조달 보고서: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한 자금 조달(2023 Financ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Financing Sustainable Transformations)'을 발표했다. 이후로 중장비 건설기계 부문 선두주자인 중국의 싼이그룹은 지속가능성과 인텔리전스를 향한 전 세계적인 움직임에 발맞춰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 영역을 개척하면서 획기적인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탄탄한 기술력과 시장 입지를 바탕으로 이뤄낸 이러한 혁신은 싼이그룹이 올해 전 세계 건설기계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업계의 친환경 전환과 기술 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 역할을 해주었다. 글로벌 확장, 디지털 인텔리전스, 저탄소 전략의 궤도에 올라선 싼이는 건설기계 부문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앞장서고 있다. 싼이의 주력 제품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SY870E 및 SY1650E 대형 굴삭기 시리즈 SY870E는 6000V 고전압 전기 구동 시스템과 370kW 전기 모터가 결합되어 기존 디젤 동력 모델에 비해 30% 이상 운영 비용을 절감해준다. 선구적인 전기화와 디지털 기술로 정평이 나 있는 굴삭기인 SY1650E는 18가지 핵심 기술에서 혁신을 이뤄냈고, 대형 굴삭기용 6kV 고전압 기술의 격차를 해소하고 전체 운영 비용을 대폭 절감했다. 출시 전부터 여러 건의 주문을 받을 정도로 광업 분야에서 이 제품의 잠재력은 성공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710S 트럭 탑재형 콘크리트 펌프 차세대 트럭 탑재형 펌프는 최소한의 설치 공간의 요구 사항과 360도 완전 회전 기능 같은 유연한 설계가 어우러진 업계 최장 길이의 붐(boom•트럭에 장착된 펌프의 부분 중 하나로, 길고 움직일 수 있는 팔처럼 보이는 구조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 뛰어난 구조로 고객에게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해 업계 전반의 기술 발전을 촉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STC2400C8-8 트럭 크레인 세계 최대 240톤 트럭 크레인으로 인정받는 이 모델은 초장 메인 붐과 탁월한 성능으로 유명하다. 2023년 트럭 크레인 부문 시장점유율 57.9%를 달성한 이 제품은 300톤 크레인의 성능을 자랑하며, 1m 위치 변경이 가능한 25톤 무게의 평형추(counterweight)로 운영 효율성과 안전 기준을 혁신적으로 개선했다. SCC22000A 크롤러 크레인 건설 기술의 최신 발전과 업계 최초의 여러 혁신 기술을 활용하는 이 모델은 중국에서 수출된 크롤러 크레인 중 최대 톤수이며, 가장 혹독하고 추운 환경의 건설에 적합하다. SCC22000A는 두 대의 크레인을 4000톤이 넘는 용량의 단일 슈퍼 크레인으로 완벽하게 통합하여 '1+1>2'의 놀라운 성능 향상을 이뤄냈다. 싼이그룹은 수소 동력 믹서 트럭과 통합 아스팔트 플랜트를 중심으로 몇 가지 선구적인 제품을 출시하며 중장비 건설기계 부문 글로벌 선도기업 지위를 더욱 공고히 다져 나가고 있다. 중국 최초로 독자 개발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한 수소 구동 믹서 트럭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싼이그룹이 가진 미래 지향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싼이그룹은 혁신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13년 동안 중국 굴착 기계 판매 1위 자리를 지켜오면서 세계 최고의 콘크리트 기계 브랜드로 인정받았다. 또 국제 리프팅 기계 시장에서 50%가 넘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시장 성장을 기록했고, 전 세계 도로 및 향타기(pile driving machinery•기초 강화를 위해 긴 기둥을 지반에 박는 기계) 부문에서도 획기적인 발전을 이뤄냈다. 이러한 성과는 싼이그룹이 전 세계 건설 기계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잘 보여준다.

2024.08.15 12:10글로벌뉴스

구글 고 1.23 버전 출시...PGO 빌드타임 오버헤드 감소

구글이 프로그래밍언어 '고(GO)'의 신규 버전 고 1.23를 공개했다. 이번 버전은 빌드 효율성 향상을 위해 프로필 기반 최적화(PGO) 사용 빌드 시간을 감소시켰다. 15일 인포월드 등 외신에 따르면 구글 고 개발팀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고 1.23버전를 통해 출시했다. 해당 언어는 윈도를 비롯해 리눅스, 맥OS를 지원한다. PGO는 실행 시 수집된 성능 데이터를 활용해 컴파일러가 최적의 코드 경로를 선택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기존 고의 경우 PGO를 사용할 경우 빌드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빌드 시간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등 오히려 악효과가 발생했다. 고 1.23버전은 PGO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빌드 시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개선했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에서 함수의 서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액세스되는 로컬 변수의 스택 프레임 슬롯을 겹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추가해 고의 스택 사용량을 감소시켰다. i386과 amd64 아키텍처의 경우 고 1.23 컴파일러가PGO에서 얻은 정보를 활용해 루프 안에서 자주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더 효과적으로 배치한다. 이를 통해 CPU가 해당 코드를 실행할 때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성능이 1-1.5% 정도 향상시킨다. 이 과정에서 실행 파일의 크기가 0.1%정도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성능을 조금 더 높이기 위해 코드 배치를 최적화한 결과로, 증가값이 작기 때문에 성능 개선에 비해 그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for-range 루프에서 반복자 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됐다. 이를 활용해 특정 조건에 맞는 요소만 골라내거나, 원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루프를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 추가된 반복자(iter) 패키지와 함께 슬라이스(slices)와 맵(maps) 패키지에 추가된 기능을 활용해 루프를 더 유연하게 사용할수도 있다. 제네릭 타입 별칭을 미리보기 형식으로 지원한다. 이 기능은 제네릭 타입에 간단한 별칭을 붙여 보다 간단하게 코드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타입 이름을 반복해서 작성할 필요 없이, 짧고 명확한 이름으로 제네릭 타입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라이브러리에서는 타이머(time.Timer, time.Ticker)를 보다 쉽게 사용하고, 메모리 관리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타이머와 티커는 메모리에서 자동으로 제거되며, 타이머와 티커에 연결된 채널의 버퍼를 없애 데이터를 정확히 전송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또한, 고에서 지원하는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과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고 텔레메트리 기능이 추가됐다. 개발팀은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오류를 해결하고 기능을 개선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트레이스 도구는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중단되었을 때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개선됐으며, 링커는 코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 라이브러리 내부 특정 기능이나 변수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4비트 RISC-V를 사용하는 오픈BSD에 대한 실험적 지원이 추가됐다. 구글 고 개발팀은 "고 1.22 이후 6개월 만에 1.23버전을 출시하게 됐다"며 "대부분의 변경 사항은 툴체인, 런타임 및 라이브러리 구현으로 기존 버전과의 호환성을 약속하며 거의 모든 고 기반 프로그램이 이전과 같이 컴파일되고 실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08.15 09:16남혁우

무신사 어스, 2023 스토리북 공유

무신사가 운영하는 지속가능 라이프스타일 큐레이션 무신사 어스가 '무신사 어스 스토리북 2023'을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 스토리북에는 지난 한 해 무신사 어스의 지속가능한 패션 생태계를 위한 활동 및 성과가 담겼다. 이번 스토리북에는 지난 일년 간 무신사 어스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이용자 접점을 확대하는 과정을 기록했다. 출시 당시 43개였던 무신사 어스 입점 브랜드는 2023년 12월 말 69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판매상품 수는 1천900여 개에서 4천900여 개까지 증가했다. 무신사 어스에는 ▲더 나은 소재 ▲리사이클·업사이클 ▲비건 ▲동물복지 ▲사회 기여 등 5가지 기준에 따라 엄선된 브랜드가 입점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쓰임이 다한 소재나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 가방, 지갑 등을 만드는 '카네이테이', '누깍', '119레오' 등이 주목받고 있다. 동물실험을 하지 않거나 비건 원료를 사용하는 '멜릭서', '러쉬' 등 코스메틱 브랜드도 무신사 어스에 입점했다. 또 무신사 어스는 지난해 8월 글로벌 이니셔티브 '원 퍼센트 포 더 플래닛(1% for the Planet)'에 가입하고 매출액의 1%를 환경 보호를 위해 기부하고 있다. 스토리북에는 무신사 어스를 비롯해서 사회와 환경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동참하는 입점 브랜드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이밖에도 지속가능 브랜드의 이야기를 더 많은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협업 사례를 담았다. 브랜드 창업자나 지속가능성 담당자, 활동가, 아티스트 등 다양한 인물을 조명하는 인터뷰 콘텐츠 '뉴멋피플', 업사이클링 워크숍, 플로깅 등 이용자 참여로 진행된 활동 사례를 소개한다. 무신사 어스는 이번 스토리북 발행을 기념해 입점 브랜드와 함께 특별 기획전을 다음달 2일까지 진행한다. 기획전에는 ▲그레이프랩 ▲낫아워스 ▲엘에이알 ▲제리백 ▲컨티뉴 ▲플리츠마마 등 18개 브랜드가 참여한다. 행사 기간 스토리북에 대한 감상평을 댓글로 남긴 이용자 중 추첨을 통해 20%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무신사 관계자는 "지난 한 해는 무신사 어스가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패션, 뷰티 브랜드를 알리고 이용자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도전을 지속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브랜드가 더 많은 이용자들과 만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협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8.14 10:16조수민

GIGABYTE OLED 게이밍 모니터,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 IGN, 알팅스, 탐스 하드웨어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매체로부터도 호평- 타이베이 2024년 8월 13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세계 일류 컴퓨터 브랜드인 GIGABYTE의 최신 OLED 게이밍 모니터 AORUS FO32U2P와 GIGABYTE MO34WQC2가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를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더불어 AORUS FO32U2와 FO27Q3 등의 모델은 아이지엔(IGN), 알팅스(RTINGS), 탐스 하드웨어(Tom's Hardware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매체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GIGABYTE OLED 게이밍 모니터,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FO32U2P는 심사위원으로부터 획기적인 기능과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이 결합한 제품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https://bit.ly/Red_Dot_Award_AORUS_FO32U2P ]를 수상했다. FO32U2P는 또한 온라인 기술 매체인 "탐스 하드웨어"에 의해 전체 모니터 중 '최고의 4K 게이밍 모니터[https://bit.ly/TomHardware_Best_4K_Gaming_Monitors_for_PC_2024 ]'로 선정되며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Editor's Choice Award)'를 수상했다. 탐스 하드웨어는 "요즘에는 '나쁜' 모니터를 찾기 어렵지만, FO32U2P는 시판중인 4K 모니터들을 훨씬 능가하는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고 호평했다. 세계 최초의 DP2.1 UHBR20 게이밍 모니터인 이 제품은 DSC 없이도 최대 80Gbps의 비디오 대역폭을 지원해 진정한 게이밍 경험을 전달한다. 동시에 데이지 체인(daisy chain•여러 장치를 하나로 연결하는 방식) 기능을 갖춰 멀티 디스플레이 설정도 제공한다. 또한 다른 레드닷 수상작인 GIGABYTE MO34WQC2[https://bit.ly/Red_Dot_Award_GIGABYTE_MO34WQC2 ] 모니터는 기술, 형태, 기능을 전문적으로 결합한 유선형 화면과 스탠드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다. AORUS FO32U2는 미국 게임 사이트인 IGN이 선정한 '최고의 게이밍 OLED 모니터[https://bit.ly/IGN_Best_OLED_Monitors_2024 ]'로 선정되어 역시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를 받는 영예를 누렸다. AORUS FO27Q3는 지난 6월 캐나다 IT 매체 RTINGS로부터 '최고의 27인치 게이밍 모니터 타이틀'을 획득했다.[https://www.rtings.com/monitor/reviews/best/best-gaming-size#recommendation_314419?utm_source=cision&utm_medium=news_distribution&utm_campaign=oled_2024_branding_global ] GIGABYTE의 모든 OLED 모니터는 27인치부터 49인치까지 QD-OLED 패널을 채택해 99% DCI-P3와 1.5M:1에 가까운 무한대 명암비를 자랑하면서 실제와 같은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특히 뛰어난 어두운 이미지 정확도를 인정받아 비디오 전자공학 표준협회(VESA)로부터 DisplayHDR True Black 400 인증도 획득했다. 최고의 응답 속도와 최대 360Hz 주사율을 갖춘 GIGABYTE의 모니터는 현재 VESA 최고 등급인 ClearMR 13000 등급까지 받을 만큼 최고 수준의 이미지 품질과 최소한의 블러(blur) 현상을 보여준다. 또한 GIGABYTE OLED 케어는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을 활용해 OLED 번인(burn-in•화면의 특정 부분이 계속 남아 있는 현상) 발생 위험을 최소화해 패널의 긴 수명을 보장한다. 대부분의 AORUS 모니터 모델에는 게이머를 위한 빠른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택티컬 스위치(Tactical Switch)가 탑재되어 있어 해상도 스위치(Resolution Switch) 와 나이트 비전(Night Vision) 같은 기능으로 더욱 향상된 게이밍 경험을 보장한다. 이 밖에도 49인치 AORUS CO49DQ는 27인치 1440p 디스플레이 두 개를 나란히 놓은 것과 같은 화면 크기와 32:9 화면 비율을 제공해, 시뮬레이션 게임과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되어 있다. 위에 언급한 모델들 외에도 AORUS FO27Q2, FO32U, GIGABYTE MO34WQC 등 GIGABYTE OLED 게이밍 모니터 제품 라인업은 주요 판매처에서 구입할 수 있고, 더 자세한 제품관련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https://bit.ly/GIGABYTE_AORUS_OLED_Moni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8.14 01:10글로벌뉴스

오토메이션 에니웨어, 2024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자동화 분야 리더에 선정

프로세스 자동화 분야 리더에 6년 연속으로 선정 산호세, 캘리포니아, 2024년 8월 13일 /PRNewswire/ --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 분야의 리더 기업 오토메이션 에니웨어(Automation Anywhere)는 오늘 가트너(Gartner)가 동사를 2024년 8월 매직 쿼드런트 자동화 분야(Magic Quadrant for Automation)에서 6년 연속 '자동화 분야 리더'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오토메이션 에니웨어는 동사의 비전 완성도와 실행 능력 측면에서 리더로 선정되었다. 이전에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분야 리더에 선정된 바 있던 오토메이션 에니웨어는 여전히 자동화 혁신의 최전선에 자리한다. 자신만의 생성형 AI 프로세스 모델들을 기반으로 하는 동사의 AI + 오토메이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Automation Enterprise System)은 조직들이 비즈니스 가치 증대, 효율성 향상과 납품 시간 단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새로 출시된 엔터프라이즈 용 AI 에이전트(AI Agents)는 장기간 진행되는 프로세스의 일부로 복잡한 인지 작업을 매끄럽게 관리함으로써 복수의 시스템에서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최고제품책임자 아디 쿠루간티(Adi Kuruganti)는 "AI와 자동화의 융합을 통해 대규모 사업을 운영하는 당사 고객들의 운영 방식에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 강력한 조합을 통해 수익이 증가하고 직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조직들은 혁신과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들 AI 에이전트는 기업 데이터로부터 학습하고,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며, 모든 기업 시스템에 걸쳐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자동화 수준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킴으로써 프로세스를 크게 가속한다. AI 에이전트 스튜디오(AI Agent Studio)는 저코드 도구를 적용하여 모든 기술 수준의 개발자들이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를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며 그들의 특정 이용 사례에 데이터 과학자가 필요치 않도록 지원한다. 가트너 주식회사가 2024년 8월에 펴낸 "매직 쿼드런트 자동화" 조사연구 보고서를 무료로 받아보려면 이곳을 방문하기 바란다. AI 에이전트와 AI 에이전트 스튜디오, 오토메이터 AI(Automator AI)를 포함한 오토메이션 에니웨어의 최신 제품들은 전례 없는 수준의 효율성과 함께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 복잡한 자동화 작업을 대규모로 구현하고 성장과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 가트너 디스클레이머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아서 빌라(Arthur Villa) | 사이캇 레이(Saikat Ray) | 마이크 헬셀(Mike Helsel) | 멜라니 알렉산더(Melanie Alexander) l 사친 조시(Sachin Joshi), 2024년 8월. GARTNER는 등록상표와 서비스마크이며 MAGIC QUADRANT는 가트너 주식회사 및/혹은 미국과 전세계에 있는 동사 계열사의 등록 상표로서 여기에서는 허락 하에 사용되었다. 모든 권리는 유보된다. 가트너는 동사의 연구 발간물에 기술된 어떠한 벤더, 제품 또는 서비스를 보증하지 않으며, 기술 사용자들에게 가장 높은 등급 또는 기타의 지명을 받은 벤더들만을 선택하라고 조언하지 않는다. 가트너의 연구 발간물은 가트너 연구조직의 의견으로 구성되며 사실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가트너는 상품성 혹은 특정 목적에의 적합성에 대한 워런티를 포함하여 이 연구에 관하여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으로 표현된 모든 워런티에 구속 받지 않는다. 오토메이션 에니웨어   오토메이션 에니웨어는 AI를 조직 전반에서 작동시키는 기업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 분야의 리더이다. 동사의 오토메이션 석세스 플랫폼(Automation Success Platform)은 특화된 AI, 생성형 AI에 의해 구동되며 보안 및 거버넌스를 우선으로 하는 방식을 통해 프로세스 검색, RPA, 엔드투엔드 프로세스 조율, 문서 처리와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오토메이션 에니웨어는 전세계 조직들이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고, 혁신을 추진하며,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동사는 AI 기반의 자동화를 통해 사람의 잠재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미래 업무를 촉진한다는 비전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 www.automationanywhere.com에서 상세 정보를 입수하기 바란다.   아래에서 오토메이션 에니웨어에 관여하기 바란다.   • 웨비나 • 링크드인 • 스레드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Automation Anywhere는 미국과 기타 국가들에 있는 오토메이션 에니웨어 주식회사의 등록상표/서비스마크이다. 거론된 기타의 상표는 그들 각 소유자들의 재산이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383572/4656575/Automation_Anywhere_Logo.jpg?p=medium600

2024.08.13 18:10글로벌뉴스

윤수영 LGD CTO "마이크로 LED 기술적 허들 있어…OLED 주도세 지속"

"마이크로 LED 역시 많은 발전을 이뤘지만, 적색 발광의 효율성이나 화면 전송 기술 등 여전히 허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향후 몇년 간은 OLED가 지속적으로 최고의 대안으로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부사장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기회(New Opportunities for the Display Industry)'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 윤 CTO는 음극선관(CRT)부터 OLED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 과정을 소개했다. 윤 CTO는 “고화질, 높은 명암비 및 유연한 디자인 등을 갖춘 OLED의 등장이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OLED가 모바일, TV를 거쳐 IT, 자동차 산업에서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올해는 IT용 OLED 시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원년”이라며 “태블릿 PC를 시작으로 노트북에도 OLED 채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로LED 등 차세대 기술과의 경쟁 전략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LED가 잠재력은 있으나, 적색 발광의 효율성이 낮다는 점과 화면 전송 기술의 미흡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며 "이러한 기술을 완벽하게 보완하려면 몇 년이 걸릴 것이기 때문에, 향후 몇 년간은 OLED가 최고의 대안으로 비용, 품질 면에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답변했다. LG디스플레이의 OLED 연구개발 방향성도 소개됐다. TV 분야는 기존 대비 휘도(화면 밝기)와 효율이 향상된 WOLED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IT 분야는 온디바이스 AI 기기에 최적화된 저소비전력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곡면, 슬라이더블, 롤러블 등 자유로운 형태 구현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던 탠덤 기술도 강화한다. 탠덤 OLED는 레드·그린·블루(RGB) 유기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장수명, 고휘도를 구현해 기존 1개 층인 OLED 패널 대비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나다. 탠덤은 현재 2세대 기술까지 상용화됐으며, 3세대 제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3세대 OLED 탠덤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기술과 '메타 부스터' 등으로 성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윤 CTO는 OLED 시대의 가속화를 위해 AI 기반 디지털 전환(DX)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는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며 “더 효율적이고 정교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부터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디자인 최적화를 이뤄낸다”고 설명했다.

2024.08.13 12:03장경윤

이창희 삼성D 부사장 "OLED 채용률 37%로 증가…AI로 모멘텀 맞아"

"전체 디스플레이 내 OLED 패널의 채용 비중은 이전 8%에서 37% 수준까지 성장했습니다. 향후에도 OLED는 뛰어난 화질로 AI 시대의 주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입니다."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연구소장(부사장)은 13일 서울 코엑스(COEX)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 2024'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AI 시대를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Display Technologies for AI Era)'을 주제로 내건 이 부사장은 온디바이스(On-device) AI 시대를 위한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력을 강조했다. 이 부사장은 AI가 탑재된 모바일 및 IT 기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특히 다양한 부품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부품에 요구하는 기술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고연산 작업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점을 고려해,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OLED의 채택 비중은 2014년 8%에서 올해 37%로 30%가량 상승했다. 특히 스마트폰 산업에서는 OLED의 비중이 21년 31%에서 내년 60%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시장은 10년간 정체됐으나, 모바일 AI 기술에 따라 새로운 모멘텀을 맞이하고 있다"며 "훌륭한 화질과 높은 명암비, 낮은 블루라이트 방출 등으로 OLED는 향후 AI 시대에서 중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부사장은 "OLED 기술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수명이 긴 재료와 소자 구성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발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소재나 픽셀 제어 알고리즘 등 다양한 저소비전력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멀티모달(복합정보처리) AI와 함께 혼합현실(XR)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멀티모달 AI란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이 부사장은 "멀티모달 AI는 시선이나 손동작을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의적절한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제공하는 XR 기기에서 특히 진가를 발휘할 것"이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고휘도의 올레도스(OLEDoS) 기술과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고해상도 기술로 멀티모달 AI를 뒷받침해 XR 경험의 매력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다. 센서 통합 디스플레이도 AI 시대에 주목받는 기술이다.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손가락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심박수와 혈압,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유기광다이오드 내장 패널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 바 있다. 양 손가락을 동시에 센싱할 수 있어 기존 웨어러블 기기보다 정확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클라우드를 통하지 않고도 고성능 기기로 데이터를 축적, 처리할 수 있다. 이 부사장은 "지문과 생체 정보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는 패널 기술을 선보인 것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처음"이라며 "센서를 내재화한 패널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 AI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자체 연구개발 과정에도 AI를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OLED 유기재료의 분자구조나 패널 회로를 설계할 때 AI를 통해 천문학적인 경우의 수를 시뮬레이션하며 시행착오를 줄인 것이 대표적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모듈 구조 최적화 연구 과정에도 AI가 활용됐다.

2024.08.13 11:59장경윤

마이크로랜드, 우수한 지속가능성 성과로 에코바디스 골드 등급 획득

벵갈루루, 인도, 2024년 8월 12일 /PRNewswire/ -- 창립 35주년을 맞은 마이크로랜드 (Microland)는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골드 등급을 획득하여 125,000개 이상의 평가대상 기업 중 상위 5%에 속하게 되었다. 이 성과는 마이크로랜드의 높은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표준에 대한 의지를 반영하여, 환경 및 지속가능한 조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달성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Microland Earns Gold Rating from EcoVadis for Outstanding Sustainability Performance 마이크로랜드에서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하고 이를 운영의 모든 측면에 통합한다. AI와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려는 동사의 노력은 혁신에서 실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실무에 지속가능성 원칙이 뿌리내리는 데 중점을 두며 균형을 이룬다. 마이크로랜드의 목표는 환경 보호를 통해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에 공헌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랜드는 지속가능성, 윤리 및 인력 개발을 우선시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마이크로랜드는 지속가능성을 핵심 기업 문화에 통합하여 모든 이니셔티브와 관행이 장기적인 환경 목표와 사회적 목표에 기여하도록 한다. 동사는 직원을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 윤리 기준과 지속가능성 목표에 부합하는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이러한 총체적인 접근방식은 혁신을 주도하며 청렴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운영하겠다는 마이크로랜드의 의지를 강화하여, 조직 내부는 물론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에코바디스는 환경, 노동과 인권, 윤리 및 지속가능한 조달이라는 4가지 핵심 주제에 걸쳐 21개 기준을 평가하여 비즈니스 지속가능성 등급에 대한 글로벌 표준을 설정한다. 마이크로랜드의 설립자이자 회장 겸 매니징디렉터인 프라딥 카르(Pradeep Kar)는 이 성취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면서 "이 성과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깊은 의지를 반영한다"며 "우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지원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협업을 강화하는 데 전념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랜드 최고재무책임자 라제시 카리데할(Rajesh Kharidehal)은 "전체 평가 기업 중 상위 5%에 포함된 것은 지속가능한 관행을 통해 혁신적인 AI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일"이라면서 "앞으로도 우리는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코바디스의 등급은 UN 글로벌 콤팩트(Global Compact)의 10대 원칙,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GRI) 표준, ISO 26000 등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등급은 성과에 대한 증거 기반 분석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실행가능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랜드 마이크로랜드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IT 인프라 서비스 및 컨설팅 회사로 35년 동안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입증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은 네트워크가 현대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AI, 운영 자동화 및 플랫폼 기반 솔루션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제공하여 전 세계 조직의 운영 우수성, 민첩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4,6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당사 팀은 아시아, 호주, 유럽, 중동 및 북미의 100여개 국가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사이버 보안,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화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수의 업계 분석가로부터 혁신 전략으로 인정받은 마이크로랜드는 강력한 거버넌스, 환경 지속가능성 및 다양한 인재가 넘쳐나는 포용적인 직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기업이 마이크로랜드와 협력하면 최고의 인재, 기술 및 솔루션과 연결되어 최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microland.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연락처: sobia.sahar@microland.com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478854/Microland_Gold_Rating.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1343841/Microland_Logo.jpg?p=medium600

2024.08.12 18:10글로벌뉴스

티몬·위메프 법원에 자구안 제출…실효성 있나

판매자들에게 판매 대금을 정산 해주지 않아 논란을 일으킨 티몬과 위메프가 오늘 법원에 자구 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자구안에는 투자 유치 계획이나 인수·합병(M&A) 추진, 구조조정 등의 방안이 담길 전망인데,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티몬과 위메프, 구영배 큐텐 대표가 신뢰를 잃은 상태에서 투자자들이나 판매자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는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자구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자구안에는 구영배 대표가 최근 발표한 티몬·위메프의 KCCW(K-Commerce Center for World) 신규법인 설립 방안이 포함될 수도 있다. 판매자들을 주주로 하는 KCCW 신규 법인 만든다 구 대표는 지난 9일 신규 법인인 KCCW를 설립해 티몬과 위메프 합병을 위한 준비 작업과 사업 정상화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KCCW는 법인 설립에 따라 사업 정상화 기반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법인 대표는 구 대표가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큐텐은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받아 티몬과 위메프 보유지분을 100% 감자하고, 구영배 대표는 본인의 큐텐 전 지분 38%를 합병법인에 백지신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KCCW가 큐텐그룹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합병법인은 판매자가 주주조합의 형태로 참여한다. 판매자들이 1대 주주로 이사회와 경영에 직접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빠른 사업 정상화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KCCW가 추가 자금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KCCW는 사이트 브랜드 변경 및 신규 오픈, 새로운 정산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면서, 판매자 주주조합 결성, 법원 합병 승인 요청, 새로운 투자자 협상도 동시에 진행해 나갈 계획을 공개했다. KCCW는 8월 9일부터 티몬과 위메프 판매자를 대상으로 미정산대금의 CB(전환사채) 전환 의향서 접수를 시작했다. 8월 말까지 모집한 판매자들로 1호 주주조합을 결성한 후 법원에 합병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합병이 승인되면 2호, 3호 주주조합이 순차적으로 결성된다. 구영배 대표는 “티몬이나 위메프를 매각해서는 피해 회복이 어렵다”면서 “양사를 합병하면 사업 규모가 국내 4위로 상승한다. 합병을 통해 과감하게 비용을 축소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합병법인 만들어질 수 있나…법원 승인도 받아야 다만 업계는 이 같은 방안에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미 티몬과 위메프는 판매 사이트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인데다, 합병을 위해선 법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큐텐 지분을 현금화 하는 것이 힘들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또한 판매대금을 받지 못해 도산 위기에 처한 판매자들 반응도 냉랭하다. 판매자들이 참여해야 진행될 방안인데, 참여가 없으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피해를 입은 한 판매자는 "신뢰를 할 수도 없고, 신뢰가 가지도 않는다"며 "또 어떤 피해를 볼 수 있을지 모르니 참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 다른 판매자는 "못 받은 돈의 일부라도 받을 수만 있다면 좋겠다"면서 "1%의 희망이라도 품고 참여하려고 한다"고 했다. 13일에는 정부와 유관기관, 채무자, 채권자 등이 참여하는 회생절차 협의회가 오후 3시 서울회생법원에서 열린다. 이 자리에서 자구안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정산금이나 상품 환불을 받지 못한 판매자와 피해자가 서울 강남구 압구정 소재인 티몬 구옥에서 우산 시위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2024.08.12 13:38안희정

구영배, 티몬·위메프 합병 위한 'KCCW'법인 설립

구영배 큐텐 대표가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해 새로운 법인을 만들고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새 계획을 내놓았다. 큐텐은 8일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KCCW(K-Commerce Center for World)신규법인 설립을 신청하고, 1차로 설립자본금 9억9천9,999,900원(10억원-100원)을 출자한다고 9일 밝혔다. 티몬과 위메프 양사의 합병은 법원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먼저 신규법인을 설립한 후 KCCW 법인을 중심으로 양사 합병을 위한 준비 작업과 사업 정상화 추진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KCCW는 법인 설립에 따라 사업 정상화 기반 마련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먼저 큐텐은 티몬과 위메프의 보유지분을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받아서 100% 감자하고, 구영배 대표는 본인의 큐텐 전 지분 38%를 합병법인에 백지신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KCCW가 큐텐그룹 전체를 지배하게 돼 해외 큐텐의 아시아 시장, 위시의 미국·유럽 시장, 샵클루즈의 인도 시장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커머스 플랫폼으로 확장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KCCW는 큐텐의 일본 시장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K뷰티의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한다는 단기 사업전략도 수립했다. 합병법인은 판매자가 주주조합의 형태로 참여한다. 판매자들이 1대 주주로 이사회와 경영에 직접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큐텐 측은 이렇게 되면 판매자와 플랫폼, 고객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새로운 이커머스 플랫폼이 탄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판매자가 주주로 참여하는 만큼 KCCW는 판매자 중심의 수수료 정책과 정산 정책을 도입하고 운영하게 된다. 아울러 큐텐 측은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하고, 자본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빠른 사업 정상화를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KCCW가 추가 자금을 확보해야 완전한 피해 복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KCCW는 사이트 브랜드 변경 및 신규 오픈, 새로운 정산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면서, 판매자 주주조합 결성, 법원 합병 승인 요청, 새로운 투자자 협상도 동시에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KCCW는 8월 9일부터 티몬과 위메프 판매자를 대상으로 미정산대금의 CB(전환사채) 전환 의향서 접수를 시작했다. 8월 말까지 모집한 판매자들로 1호 주주조합을 결성한 후 법원에 합병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합병이 승인되면 2호, 3호 주주조합이 순차적으로 결성된다. 구영배 대표는 “티몬이나 위메프를 매각해서는 피해 회복이 어렵다”면서 “양사를 합병하면 사업 규모가 국내 4위로 상승한다. 합병을 통해 과감하게 비용을 축소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해 신속하게 사업을 정상화시켜야 한다. 이렇게 해서 기업가치를 되살려야 투자나 M&A도 가능해지고, 제 지분을 피해 복구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2024.08.09 16:51안희정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플러그 앤 플레이 슈퍼클러스터 출시

확장 가능한 성능, 유연성 및 리소스 최적화로 개발자 지원 최첨단 엔비디아 PCIe GPU 최대 256개 탑재해 3D 및 AI 워크로드 성능 극대화 캘리포니아주 샌호세와 덴버, 2024년 8월 9일 /PRNewswire/ -- AI/ML,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5G/엣지를 위한 토탈 IT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 슈퍼마이크로컴퓨터(Super Micro Computer, Inc.(SMCI), 이하 슈퍼마이크로)가 슈퍼클러스터 포트폴리오에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용 플러그 앤 플레이 AI 인프라 솔루션을 새롭게 추가했다. Supermicro SuperCluster for NVIDIA Omniverse 새로운 슈퍼클러스터 솔루션은 엔터프라이즈 규모에서 고성능 생성형 AI 기반 3D 워크플로를 제공한다. 또한 최신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OVX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기업이 워크로드 증가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찰스 리앙(Charles Liang) 슈퍼마이크로 사장 겸 CEO는 "슈퍼마이크로가 그동안 3D 그래픽 및 애플리케이션 가속을 위한 GPU 최적화 제품을 개발하며 업계를 선도해왔다면, 이제는 AI를 위한 제품을 개발하는 중"이라며, "AI의 등장으로 기업은 하나의 패키지에 모든 기능이 결합된 컴퓨팅 인프라를 찾고 있다. 슈퍼마이크로 슈퍼클러스터는 엔비디아 L40S PCIe GPU를 최대 256개까지 확장 가능하며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위해 완벽하게 상호 연결된 4U PCIe GPU 엔비디아 인증 시스템을 갖췄다. 생성형 AI 통합을 비롯해 옴니버스 플랫폼 전반에서 높은 성능을 지원한다. 슈퍼마이크로의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 개발은 단순한 제품 제공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혁신의 미래를 향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퍼마이크로는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를 출시하며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AI 랙 솔루션 제품군을 확장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제품 디자인부터 산업 디지털 트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컴퓨팅 집약적인 3D 워크플로에 의존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기존 3D 워크플로를 향상시키면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3D 및 AI의 다중 워크로드 요구사항에 맞춰 확장 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간소화한다.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 OVX 시스템은 클러스터 컴퓨팅 성능의 기본 빌딩 블록 역할을 한다. 각 시스템 노드는 최신 엔비디아 PCIe GPU를 최대 8개까지 탑재함으로써 최고 수준의 3D 성능을 제공하며 텐서 코어 및 트렌스포머 엔진을 통해 뛰어난 생성형 AI 성능을 지원한다. 시스템은 공기 흐름이 원활한 섀시 내에서 2700W 티타늄 레벨 PSU 4개로 구동되며, 고사용 시나리오에서도 안정성을 보장한다. 시스템당 최대 4개의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4개의 엔비디아 커넥트X-7 NIC를 탑재해 400Gb/s의 네트워킹 속도와 함께 높은 확장성 및 보안성을 제공한다. 슈퍼마이크로의 4U PCIe GPU 시스템은 성능, 안정성, 확장성, 그리고 보안에 대한 엄격한 검증 프로세스를 거쳤으며, 엔비디아의 인증을 받아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활용한다. 기업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개발 플랫폼에서 전 세계에 구축된 오픈USD(OpenUSD) 생태계와 옴니버스 클라우드 API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워크로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완벽하게 상호 연결된 인프라 솔루션으로 개발자, 아티스트, 엔지니어 등이 필요에 따라 최고 수준의 GPU 컴퓨팅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가상 GPU에 대한 원활한 액세스 또는 전체 시스템 노드에 대한 베어메탈 액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400Gb/s 고성능 네트워크 패브릭은 엔비디아 스펙트럼-X 이더넷 플랫폼을 지원한다. 이로 인해 맞춤형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은 시스템 노드 전반에 걸쳐 결합된 GPU 메모리 풀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AI 모델 훈련에 필수적이다. 슈퍼마이크로의 검증된 랙 솔루션은 4개의 GPU부터 256개의 GPU 스케일러블 유닛까지 다양하며, 모든 규모의 기업에 맞춰 추가로 확장할 수 있다. 고객은 L12 레벨에서 테스트를 거쳐 철저하게 검증된 플러그 앤 플레이 랙을 제공받으며, 첫날부터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랙부터 엔터프라이즈 규모까지 고도의 맞춤화 솔루션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마이크로 슈퍼클러스터는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옵션으로 구축될 수 있다. 시스템 노드는 시스템당 4개 또는 8개의 GPU를 탑재할 수 있다. 또, 배포 규모는 시스템 4개를 포함한 단일 랙부터 시스템 32개를 탑재한 5개의 랙까지 다양하다. 대규모 배포는 확장 가능한 장치를 통해 추가로 확대해 거의 모든 규모의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 스케일러블 유닛용 슈퍼클러스터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32개의 슈퍼마이크로 SYS-421GE-TNRT(듀얼 루트) 또는 SYS-421GE-TNRT3(직렬) PCIe GPU 시스템 노드 256 또는 128개의 엔비디아 L40S GPU 3개의 슈퍼마이크로 SYS-121H-TNR 하이퍼 시스템 제어 노드 3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컴퓨팅 패브릭 스위치 2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스토리지/제어 패브릭 스위치 2개의 1G 48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2201 이더넷 관리 스위치 NN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엔비디아 커넥트 X-7 NIC 5개의 랙: 48U 750mmx1200mm 엔비디아 옴니버스용 슈퍼클러스터는 단일 랙 수준의 소규모 배포가 가능하며, 단일 랙 구성은 다음과 같다: 4개의 슈퍼마이크로 SYS-421GE-TNRT 또는 SYS-421GE-TNRT3 PCIe GPU 시스템 노드 16개 또는 8개의 엔비디아 L40S GPU 2개의 슈퍼마이크로 SYS-121H-TNR 하이퍼 시스템 제어 노드 1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 SN5600 이더넷 컴퓨팅 패브릭 스위치 1개의 400G 64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SN5600 이더넷 스토리지/제어 패브릭 스위치 1개의 1G 48포트 엔비디아 스펙트럼SN2201 이더넷 관리 스위치 NN 엔비디아 블루필드-3 SuperNIC 또는 엔비디아 커넥트X-7 NIC 1개의 랙: 48U 750mmx1200mm 슈퍼마이크로의 AI 슈퍼클러스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슈퍼마이크로 소개] 슈퍼마이크로는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토탈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이다.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AI, 5G 통신 및 엣지 IT 인프라를 위한 혁신을 시장에 가장 먼저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슈퍼마이크로는 서버, AI, 스토리지, IoT, 스위치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탈 IT 솔루션 제조사다. 슈퍼마이크로의 마더보드, 전원 및 섀시 설계 전문성은 개발 및 생산을 강화해 전 세계 고객을 위해 클라우드부터 엣지까지 차세대 혁신을 지원한다. 미국과 아시아, 네덜란드에 위치한 글로벌 제조시설의 규모와 효율성을 기반으로 자체 설계 및 제조되는 슈퍼마이크로 제품은 그린 컴퓨팅 제품으로, 총소유비용(TCO)를 개선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도록 최적화됐다. 또한, 수상 경력에 빛나는 서버 빌딩 블록 솔루션즈(Server Building Block Solutions)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은 폼 팩터, 프로세서, 메모리, GPU, 스토리지, 네트워크, 전력 및 냉각 솔루션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빌딩 블록을 기반으로 구축된 광범위한 시스템 제품군에서 자신의 특정 워크로드와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제품을 선택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서버빌딩블록솔루션즈(Server Building Block Solutions), 친환경 IT추구(We Keep IT Green)는 슈퍼마이크로의 상표 또는 등록상표이다. 인텔, 인텔 로고, 그 외 인텔 상표는 인텔 코퍼레이션 및 산하 조직의 트레이드마크이다. 기타 모든 브랜드, 명칭 및 상표는 각 해당 소유주의 자산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72384/13_PR_Image_2024_SuperCluster_Nvidia_Omniverse_R05.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443241/4837242/Supermicro_Logo.jpg?p=medium600

2024.08.09 16:10글로벌뉴스

베르그루엔 상 심사위원단,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 영입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가 연례적인 100만 달러 상금의 2024년 수상자를 선정하는 권위 있는 베르구루엔 상 심사위원단에 합류 로스앤젤레스, 2024년 8월 8일 / PRNewswire/ -- 베르그루엔 연구소(Berggruen Institute)는 오늘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이자 저술가인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가 베르그루엔 철학 및 문화 상(Berggruen Prize for Philosophy & Culture) 심사위원단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 로벨리는 공간 및 시간 물리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왔으며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자신의 과학적 관점을 여러 분야의 베르그루엔 심사위원단에 제공한다. 이 연례적인 100만 달러 상은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그의 아이디어가 사회를 만들고 지혜를 제공한 사상가들에게 수여한다. 역대 수상자들에는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2016년), 오노라 오닐(Onora O'Neill, 2017년), 마사 C.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 2018년),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uth Bader Ginsburg, 2019년), 폴 파머(Paul Farmer, 2020년), 피터 싱어(Peter Singer, 2021년), 코진 카라타니(Kojin Karatani, 2022년) 그리고 패트리샤 힐 콜린스( Patricia Hill Collins, 2023년)가 들어 있다. 로벨리는 2024년 베르그루엔 상 수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의 최고 신경과학자이자 데이비드 돈시페(David Dornsife) 신경과학 석좌 교수인 안토니오 다마시오(Antonio Damasio) 심사위원장 그리고 베르구루엔 상 심사위원들인 데이비드 차머스(David Chalmers), 시리 허스벳(Siri Hustvedt), 육 후이(Yuk Hui), 엘리프 샤팍(Elif Shafak), 왕 후이(Wang Hui)에 합류한다. 수상자는 올 가을 말에 발표될 예정이며 특별 시상식에서 상을 받는다. 이전의 심사위원들에는 초대 심사위원장 콰메 앤서니 아피아(Kwame Anthony Appiah)뿐만 아니라 노벨상 수상자, 사상가, 지도자들인 레젝 보리시에비치(Leszek Borysiewicz), 에이미 구트만(Amy Gutmann), 프라탑 바누 메타(Pratap Bhanu Mehta), 마이클 스펜스(Michael Spence), 앨리슨 시몬스(Alison Simmons), 아마르티아 센(Amarty Sen), 조지 여(George Yeo) 등이 들어 있었다. 베르그루엔 상 심사위원단은 매년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지명된 후보자들을 검토하고 수상자를 결정한다. 심사위원들은 일반인들이 지명한 모든 후보자들을 검토하는 것 외에도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는 다양한 후보자를 스스로 지명할 수 있다. 심사위원들은 지적 품격, 깊이와 독창성, 대중 영향력, 다양성과 세계적 범위, 중요한 아이디어를 인식하는 최고의 능력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여러 기준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현재 이 연구소는 2024년 8월 15일까지 2024년 수상자 후보를 전 세계에서 받고 있다. 여기에서 후보자를 제출하기 바란다. 베르그루엔 연구소 베르그루엔 연구소는 사상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는 사상가들의 세계적 네트워크이다. 우리는 어려움에 대처하고 도래하는 미래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적 틀을 개발한다. 우리의 작업은 민주주의, 자본주의, 세계 정치, 과학과 기술, 철학과 문화에서 새로운 사상의 틀을 형성한다. 우리는 동서양 간의 대화를 촉진하고 우리 세계에 대한 공동의 관점을 개발한다. 우리의 목표는 다양한 학문과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상가들의 전 세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상가들이 연결되고 담대해져 우리의 사회정치적 제도를 재구성하고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믿는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76651/Berggruen_Institute_Logo.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476831/Berggruen_Rovelli.jpg?p=medium600

2024.08.08 22:10글로벌뉴스

편의점 매출 1위 두고 CU·GS25 경쟁 치열

국내 편의점 양강인 GS25와 CU의 매출 격차가 좁아지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지난 2분기 매출이 2조2천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762억원으로 2.4% 감소했다고 밝혔다. BGF리테일은 고금리·고물가 지속,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 등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도 점포 수 증가와 우량 신규점을 토대로 매출 소폭 상승을 기록했다고 자평했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도 전년 대비 부진한 수익성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2조9천371억원으로 4.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810억원으로 9.4% 감소했다. 편의점 사업부만 놓고 봐도 수익성은 하락했다. 2분기 편의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9% 늘어난 2조1천928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억원 줄어든 649억원을 기록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신규점 출점에 따른 운영점 증가 및 기존점 매출 신상으로 매출이 늘었다”면서도 “운영점 증가에 따른 임차료, 감가상각비 등이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적 발표가 완료되면서 BGF리테일과 GS25의 격차는 좁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GS25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CU는 점포 수를 기준으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편의점 점포 수는 연간 기준으로 발표한다. 지난해 말 기준 GS25 점포 수는 1만7천390개다. CU는 올해 4월 기준 1만8000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2분기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GS25가 CU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BGF리테일은 편의점 부문 실적을 따로 집계하지는 않지만, 매출의 95% 이상이 편의점에서 발생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자사가 추정하기로 GS25는 2분기 매출에서 여전히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도 GS25가 매출액 기준 1위 자리를 지켰다. 상반기 GS25 매출액은 4조1천621억원으로 BGF리테일(4조1천567억원)을 약 50억원 차이로 앞섰다. 하지만 양 사의 매출액 격차는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GS리테일 편의점 사업부 매출과 BGF리테일 편의점 사업부 매출 격차는 9천130억원이었지만 ▲2020년 8천37억원 ▲2021년 4천492억원 ▲2022년 2천22억원 ▲2023년 1천140억원으로 매년 좁혀졌다. 하반기에도 업계 1위를 두고 양 사의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GS25는 O4O(Online for Offline·오프라인을 위한 온라인)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GS25 앱 '우리동네GS'와 퀵커머스의 연계, 주류 스마트오더 플랫폼 '와인25 플러스' 등과 연계해 나갈 방침이다. 또 수익성 중심의 점포 출점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지난해 말 기준 GS25 점포 수는 1만7천390개다. CU는 상반기 1위 탈환의 주역인 '생레몬하이볼'과 같은 단독 상품을 중심으로 하반기 수익성 상승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타사에서 판매하지 않는 단독 상품으로 인한 집객 효과와 고객 니즈에 맞춘 프로모션이 주효하게 작용한 상반기의 전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다만 증권가의 전망은 엇갈렸다. 김혜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BGF리테일에 대해 향후 장기 성장성이 둔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신규 개점은 지속되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친 내수 부진과 소비심리 악화 등으로 객수 감소와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매출 성장률이 둔화됐다”며 “편의점 부문은 고금리, 고물가 영향에 따라 불황형 소비가 이어지며 행사상품 매출 구성비가 증가하고 트래픽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GS25에 대해서는 이익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는 편의점 수익성이 제고될 가능성이 높다”며 “최근 3위권 이하 편의점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며 전환점 유치 경쟁이 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탑2 업체 중심의 점포 순증이 지속되면서 시장 점유율 재편이 가속화 되고 구조적인 수익성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말에 인적분할이 완료되고 나면 편의점과 수퍼 부문의 이익 비중이 더욱 확대되기 때문에 전사 성장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4.08.08 16:31김민아

CGTN: 중국 수영 선수들, 반도핑 검사에서 깨끗한 결과

-- 600회 이상의 검사를 받았지만 위반 사항은 제로 베이징 2024년 8월 7일 /PRNewswire=연합뉴스/ --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는 중국 대표팀 선수들은 수많은 반도핑(anti-doping) 검사를 받았다. 일부 언론에서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기도 했지만 위반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실 중국 수영 선수들은 파리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가장 많은 테스트를 거친 선수들이다. 7월 23일 발표된 세계수영연맹(World Aquatics)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 이후 중국 수영 대표팀의 총 검사 횟수는 600회를 넘어섰으며, 각 선수가 약 21회 검사를 받은 반면, 주요 라이벌 선수들은 평균 4~6회 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수영연맹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수상 스포츠 국제 대회 관리를 위임한 국제 연맹이다. IOC의 마크 애덤스(Mark Adams) 커뮤니케이션 디렉터는 8월 2일 기자회견에서 "선수들은 충분한 검사를 거쳤다"고 말했다. 일부 검사는 나머지 선수들에게 "마음의 평화"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고 IOC 위원이자 두 차례 NBA 챔피언인 파우 가솔(Pau Gasol)이 말했다. 가솔은 "이른 새벽과 밤에 여러 번 검사를 받는 것은 휴식, 훈련 및 기타 일정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선수들에게 쉽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가솔은 "선수로서 이번 중국 수영 선수들의 협조에 감사하다"며 "바라건대, 다른 나라의 선수들에게도 이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검사 결과, 위반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스포츠 해설가 동준(Dong Jun)은 중국 대표팀에 대한 집중적인 검사는 "명확성을 증명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결과가 모든 것을 말해줄 것"이라고 CGTN에 말했다. 일부 언론은 도쿄 올림픽을 7개월 앞둔 2021년 중국 수영 선수 23명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조사 결과, 수영 선수들은 실수로 오염된 음식을 먹어 금지 약물을 섭취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재단 이사회 위원인 데이비드 라파르티앙(David Lappartient)은 "[이번 사건에서] 반도핑 규정을 위반하거나 침해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IOC 위원이자 프랑스 국가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위원장이기도 한 라파르티앙은 CGTN과의 인터뷰에서 WADA와 관련 독립 검사들의 '명백한 결론'이라고 밝혔다. "이 사건에 대한 WADA의 입장을 의심할 이유가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중국의 반도핑 노력 중국은 도핑 방지를 위해 노력해왔다. 중국반도핑기구(CHINADA)는 7월 25일 모든 관련 당사자들과 협력하여 글로벌 반도핑 거버넌스의 무결성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도 이러한 입장을 지지했다. 린젠(Lin Jian)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6월 중국 정부가 도핑에 대해 '무관용'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세계반도핑규약을 엄격히 준수하고, 스포츠에서 선수들의 건강과 공정한 경기를 결연히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도핑은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 동안 중국의 스포츠 발전을 위한 청사진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 청사진에는 반도핑 시스템 업그레이드, 관련 법규 개정, 약물 검출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링크: https://news.cgtn.com/news/2024-08-06/Green-light-for-Chinese-swimmers-over-600-tests-zero-violations-1vQBLaIz41a/p.html

2024.08.07 20:10글로벌뉴스

딥엘, 포브스 '100대 클라우드 기업' 2년 연속 선정

- 200개 이상의 시장 10만여 기업 고객 유치하며 업계 최고의 AI 번역 및 작문 솔루션으로 인정받았다 - 샌프란시스코, 2024년 8월 7일 /PRNewswire/ -- 글로벌 언어 AI 기업 딥엘(DeepL)이 포브스(Forbes) 2024 클라우드 기업 100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포브스의 이번 순위는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Bessemer Venture Partners) 및 세일즈포스 벤처스(Salesforce Venture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선정되었다. 클라우드 100은 올해로 9년째 매년 수백 개의 클라우드 스타트업과 사기업 후보를 검토하며, 이들은 시장 리더십(35%), 예상 가치(30%), 운영 지표(20%), 사람 및 문화(15%)의 네 가지 요소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시장 리더십 경우, 공공 클라우드 기업 CEO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도움을 받아 동종 업계 사기업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 딥엘 창업자 겸 CEO는 "딥엘의 사명은 모든 기업이 AI를 활용하여 세계 어디서든 비즈니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언어 장벽을 허무는 것"이라며, "포브스 100대 클라우드 기업 선정이 딥엘이 그동안 노력을 기울인 언어 AI 분야 연구와 업계를 선도하는 정확도, 보안, 그리고 발전을 증명한다"고 전했다. 또한 "딥엘 플랫폼이 전 세계 비즈니스 운영과 성장 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번 포브스 선정은 눈부신 발전과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딥엘의 새 이정표라 할 수 있다. 지난 달, 딥엘은 번역 품질 면에서 챗GPT-4, 구글 번역, 마이크로소프트를 능가하는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을 발표하며 정확도와 성능의 신 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최근 기업 맞춤 솔루션인 딥엘 포 엔터프라이즈(DeepL for Enterprise)를 공개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 니즈에 대응하고 있으며, 지난 5월에는 2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평가와 함께 인덱스 벤처스(Index Venture)의 주도하에 3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젠데스크(Zendesk), 닛케이, 코세라(Coursera), 도이치반(Deutsche Bahn)과 같은 업계 리더와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의 절반을 포함하여 전 세계 10만여 기업 및 정부 기관으로 구성된 딥엘의 고객망은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또한 딥엘은 전문 언어 AI 플랫폼을 통해 최첨단 번역 및 작문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내 운영부터 고객 지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며 글로벌 기업이 선호하는 필수 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범용 AI 시스템과 달리 딥엘 소프트웨어는 언어에 특화된 특수 AI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사용 사례에 맞는 정확한 번역을 제공하고 환각(Hallucination) 현상과 오역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비즈니스 번역 및 작문에서 가장 중요한 정확도 측면에서 딥엘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언어 솔루션인 것이다. 포브스 클라우드 100 편집자 알렉스 콘래드(Alex Konrad)는 "지난 9년 동안 포브스 클라우드 100 목록은 AI부터 업무용 소프트웨어, 인프라, 보안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유수의 클라우드 기업을 선정했다"면서, "특히 올해 목록은 매출, 기업 가치, 성장성을 모두 갖춘 역대 가장 강력한 기업을 공개하는 역사적인 발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의 파트너 메리 도노프리오(Mary D'Onofrio)는 "9년간의 데이터에서 이번 2024년 클라우드 100만큼 경쟁력 있는 그룹은 처음"이라며, "올해 목록에 오른 기업의 총 가치가 8,200억 달러로 클라우드 100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어 "예상대로, AI는 이제 가장 높게 평가받는 카테고리"라며, "AI 기업이 빠르게 확장하며 클라우드를 혁신하고 다음 성장 물결을 주도하여 전년 대비 시가총액이 1,500억 달러 이상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 참으로 반갑다"고 덧붙였다. 세일즈포스 벤처스의 매니징 파트너 폴 드류(Paul Drews)는 "지난 한 해 동안 우리 업계는 세대를 뛰어넘는 혁신을 이루었으며, AI가 주도하는 수십 년 만의 가장 중요한 플랫폼 변화 중 하나를 목격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클라우드 100 목록은 최고 중의 최고를 가려낸다. 클라우드뿐 아니라 기술 산업 전반의 미래에 대해 지금처럼 큰 기대감이 든 적은 처음"이라며, "선정된 회사의 창립자와 관련 커뮤니티가 이미 성취한 업적이 자랑스럽고, 앞으로 이들이 업계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포브스 2024 클라우드 100및 20 라이징 스타(20 Rising Stars) 목록은 www.forbes.com/cloud100에서 온라인으로 발표된다. 목록의 주요 내용은 포브스 매거진 2024년 8월/9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올해 클라우드 100 및 20 라이징스타 기업의 CEO들은 디지털 콘텐츠 출시와 함께 베세머벤처파트너스, 세일즈포스벤처스 및 포브스가 주최하는 클라우드 100 축하 행사에 초대받게 된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 쿨리(Cooley), 딜로이트(Deloitte),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HSBC, JP 모건(J.P. Morgan),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 나스닥(Nasdaq) 등이 이번 행사를 후원한다. [DeepL 소개]  DeepL은 AI를 통해 언어 장벽을 허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일 AI 기업이다. DeepL 번역기는 2017년부터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로 세계 최고의 번역 품질을 입증했다. 또한 기업, 기관 및 번역가를 위한 전문 제품을 제공한다. DeepL 기계번역 서비스는 뉴럴 네트워크의 수학 및 방법론에 대한 자체 개선을 통해 탁월한 품질을 자랑한다. CEO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가 창업했으며 IVP, Benchmark, btov 등 세계적인 투자자의 지원을 받고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47716/DeepL_Logo.jpg?p=medium600

2024.08.07 12:10글로벌뉴스

모피리처드, 세계 첫 덕트리스 휴대용 에어컨으로 글로벌 혁신 나서

-- 파리 올림픽 기간 동안 선수촌 선수들의 시원한 휴식 위해 에어컨 제공 런던 2024년 8월 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전통 영국 대표가전 브랜드인 모피리처드가 세계 최초로 인증을 받은 덕트리스(duckless) 휴대용 에어컨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획기적이면서 혁신적인 신제품은 공식 출시에 앞서 뜨거운 여름 파리 올림픽 선수촌에 머물고 있는 선수들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고 있다. 덕트리스 에어컨이란 일반적인 에어컨과는 달리 덕트(관)가 없이 공기를 냉각하는 에어컨을 말한다. Athletes are using Morphy Richards' upcoming ductless portable air conditioners in the Paris Olympic Village ahead of their release, and the photo is authorized by the athletes. 덕트리스 휴대용 에어컨은 모피리처드가 브랜드 업그레이드에 이어 2024년에 출시할 예정인 다양한 신제품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제품이다. 모피리처드는 '진보를 밝히는 혁신(Innovate for enlightening progress)'이라는 사명을 고수하면서 인간 중심의 통찰력과 스마트한 디자인을 결합해 사람들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혁신적인 덕트리스 휴대용 에어컨은 올해 9월 초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킥스타터(Kickstarter)에서 첫 선을 보인 뒤 같은 달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테크쇼(IFA Tech Show) 2024에서도 선보일 예정이다. 모피리처드는 이 두 차례의 공개를 통해 '스마트 아이디어'라는 브랜드 철학을 대표하는 강력한 제품 개발 및 혁신 역량을 보여줄 계획이다. 파리 올림픽 선수촌에 내장형 에어컨이 부족하다는 소식을 접한 모피리처드는 선수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재충전할 수 있도록 이 휴대용 에어컨 생산에 속도를 냈다. 아이슬란드 올림픽 위원회 관계자는 "모피리처드의 휴대용 에어컨이 가장 더운 날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모피리처드의 시의적절한 개입은 삶의 질을 높이고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회사의 약속을 행동으로 옮긴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혁신을 향한 모피리처드의 헌신과 글로벌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회사의 역량을 잘 보여준다. 또 이를 통해 모피리처드는 업계와 소비자들에게 소비자 기술 분야의 혁신 기업으로서 가진 강점을 또다시 입증했다. 1936년 영국에서 설립된 모피리처드는 혁신적이고 스타일리시한 소형 가전제품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최첨단 기술과 스마트한 아이디어를 완벽하게 결합하여 제작된 모피리처드의 혁신적인 소형 가전제품은 30여 개 국가 내 수많은 가정에 기분 좋은 즐거운 제품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모피리처드는 앞으로도 클래식한 제품의 계승과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을 통해 더 많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연락처: Aimee Gong이메일:aimee.gong@morphyrichards.com/marketing@morphyrichards.com

2024.08.06 18:10글로벌뉴스

데브시스터즈, 영업익 49억 원…전년比 흑자전환

데브시스터즈가 2분기 매출 544억8천500만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42.4%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49억4천400만 원, 당기순이익은 63억1천100만 원으로 모두 전년 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 데브시스터즈는 전분기 진행된 3주년 업데이트의 기저 효과로 이번 분기 '쿠키런: 킹덤' 매출은 감소했으나, 지난 4월 11주년 업데이트로 '쿠키런(구 쿠키런 for Kakao)'의 앱스토어 인기 및 매출 순위 상승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6월 26일 출시된 '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출시하며 핵심 매출원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재무구조 개선 및 비용 효율화의 영향으로 분기 영업 흑자를 나타냈다. 회사는 안정적인 매출 및 견실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하반기 실적 성장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데브시스터즈는 하반기 핵심 제품들의 경쟁력 강화 및 신규 시장 진출을 통한 매출 확대를 목표하고 있다. 우선 서비스 2개월 차에 접어든 '쿠키런: 모험의 탑'은 메인 스토리의 하이라이트가 될 신규 챕터와 쿠키, 레이드의 재미를 한층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콘텐츠 등을 단계적으로 선보인다. 이와 함께 원스토어 한국 및 대만 서비스를 오는 7일부터 시작하고 요스타와 일본 출시를 준비하는 등 스토어 및 지역을 확장을 통한 이용자풀 증대에 나설 예정이다. '쿠키런: 킹덤'과 '쿠키런: 오븐브레이크'는 이용자 관심이 높은 핵심 스토리 확장 및 신규 쿠키 공개 등 플레이 몰입도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 뿐만 아니라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오프라인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새로운 재미를 지속 선사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쿠키런(구 쿠키런 for Kakao)'의 연내 인도 진출을 위한 크래프톤과 협업에도 속도를 더한다. 인도풍 쿠키 및 맵 배경 신규 개발부터 UI/UX 개선 작업, 현지 물가 및 유저 구매 성향 고려한 상품 설계 등 인도 서비스를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데브시스터즈는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하고 추가 성장 및 수익 창출의 기회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2024.08.06 10:15김한준

삼성전자, 'AI 가정용 에어컨' 판매량 전주 대비 50% 증가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강화한 가정용 에어컨 판매량이 지난주에 전주 대비 50% 이상 급증했다고 밝혔다. 장마가 끝나고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시작되면서 에어컨 판매량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7월 전체 판매량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가정용 시스템 에어컨은 7월 전년 대비 약 25%, 일반 무풍 에어컨은 전년 대비 약 10% 이상 판매가 늘었다. 특히 7월에 판매된 에어컨 중 80%가 무풍에어컨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가정용 시스템 에어컨 전체 라인업에 무풍 기능을 탑재해 고객 니즈를 반영했다. 2024년형 '비스포크 AI 무풍 갤러리'는 전 모델이 에너지소비효율 1~2등급을 획득했으며, 스마트싱스(SmartThings) AI 절약 모드로 상황별 맞춤 절전이 가능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빅스비를 적용해 리모컨 없이 음성 명령으로 에어컨의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에어컨을 켜고 끄거나 온도를 조절하는 등 간단한 음성 제어는 에어컨 기기 자체에서 지원돼 와이파이 연결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실내 움직임을 인지해 에어컨을 알아서 작동하는 AI 기능으로 한층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내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 이후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전원을 끄는 '부재 절전'으로 에너지를 절약하고 ▲에어컨 내부의 습기를 건조시키는 '부재 건조'로 위생 관리가 더 편리해졌다. 에어컨의 기능과 함께 극성수기에도 구매 다음 날 바로 에어컨 설치가 가능한 것도 판매가 증가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장마와 폭염 등 변덕스러운 날씨 속에서 에어컨을 찾는 고객이 늘어났지만, 에어컨 설치 인력 확대로 구매 후 다음 날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소비자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 AI가전이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에어컨 역시 스마트한 기능으로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며, "앞으로도 'AI 가전=삼성'이라는 공식을 넘어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31일까지 전국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에어컨을 비롯한 가전, TV, 모바일, IT 등 17개의 다양한 품목을 최대 5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삼성전자 AI 세일 페스타'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있다.

2024.08.05 09:07이나리

  Prev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李, 네이버 출신 트리플 발탁...플랫폼 '꽃' 필까

네이버 "소버린 AI는 현지화+자립"…韓 넘어 글로벌 확산 핵심 키워드로 '부상'

[SW키트] "AI가 고른 사이트만 생존"…'콘텐츠 노출 전쟁' 시작

LG는 '전담조직 신설', 삼성은 '기술 인수'…HVAC 주도권 승부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