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Sökmotor for barn 🔍 www.46.gg'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800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SK하이닉스·MS,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AI for Impact' 신설

SK하이닉스가 사회적 기업 및 환경·안전·보건 분야 시민과학자들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AI for Impact'를 신설하고,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성수시작점)에서 론칭 행사를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민과학자는 과학 전공자가 아닌 일반 대중으로서 과학 연구에 참여하는 시민 AI for Impact는 사회적 기업 관련 생태계의 AI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AI 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마련한 프로그램이다. 사회문제 해결에 AI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들의 사회적 가치(SV) 창출 범위와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일반 시민들에게도 일상 속에서 AI를 활용한 SV 창출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확산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기획 취지다. 교육 대상은 AI 역량 개발에 관심을 갖는 사회적 기업 구성원 및 (재)숲과나눔 '시민과학풀씨' 참여자와 같이 환경·안전·보건 분야 문제 해결을 원하는 시민과학자들이다. 교육 콘텐츠는 더 많은 사람이 AI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AI 스킬 이니셔티브와의 협력으로 제공한다. AI 윤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AI 기초 이해'와 홍보 영상이나 e-브로셔 제작 등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실무 콘텐츠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AI for Impact 사이트를 통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한 이날 행사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성종은 총괄(AI 내셔널 스킬 한국 디렉터), (재)숲과나눔 장재연 이사장, SK하이닉스 이방실 부사장(SV 담당)이 참석해 AI for Impact 프로그램의 취지와 향후 운영 계획 등에 대해 소개했다. 이어 사전 신청한 100여 명의 사회적 기업 구성원 및 시민과학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공공데이터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환경·안전·보건 문제 해결 ▲AI 업무 자동화 등을 주제로 오프라인 교육이 이뤄졌다. 사회적 기업 비커넥트랩의 강승희 부대표는 “데이터 분석과 AI 활용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니즈가 많은데, 이번 기회를 통해 니즈를 만족시켜 줄 생성형 AI 활용법을 알게 됐다”며 “남은 교육을 잘 이수해서 실제 사업에 잘 응용하고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풀씨연구자로 참여한 오픈도어의 박민선 대표는 “특히 환경 연구 분야에서 AI 기술 활용 가능성과 효율성을 실감했다”며 “앞으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이날 장재연 (재)숲과나눔 이사장은 “환경·안전·보건 분야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방실 SK하이닉스 부사장은 “AI for Impact를 통해 사회적 기업 및 시민과학자들의 AI 활용 역량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AI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05.14 10:03장경윤

"뇌파로 아이폰 제어"…애플, 아이폰에 마인드 컨트롤 기능 추가

애플이 뇌에 칩을 이식해 뇌 신호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등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3일(현지시간) 단독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제공하기 위해 뇌신경 스타트업 싱크론(Synchron)과 협력했다. 싱크론은 '스텐드로드(Stentrode)'라는 이식형 BCI 기기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스텐트로드는 근위축성 측색경화증(ALS) 같은 심각한 운동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뇌에 임플란트 장치를 이식하고 뇌 운동 피질 위쪽에 위치한 혈관에서 감지되는 신경 신호를 이용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장치에는 16개의 전극이 있으며 개두술 없이 칩을 이식해 사용자의 뇌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스텐트로드가 수집한 신경 신호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된다. 다만, 싱크론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로 현재 마우스처럼 자유롭게 커서를 움직이거나 빠른 조작은 어렵고 화면 탐색과 아이콘 선택 정도만 가능한 수준이다. 싱크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시험용 기기 면제 규정에 따라 2019년부터 환자 10명에게 스텐트로드를 이식했다. 이번 실험에 참가한 미국 펜실베이니아 거주 ALS 환자는 생각만으로 비전 프로와 다른 애플 기기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기존 입력 방식보다 속도가 느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스텐트로드 임플란트 장치를 아이폰 등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표준을 개발 중이다. 2014년 애플은 보청기와 애플 기기 간의 원활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표준인 '메이드 포 아이폰(Made for iPhone)' 보청기 프로토콜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애플은 싱크론과의 협력을 통해 BCI 분야에서도 유사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전용 산업 표준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애플은 이 새로운 표준을 2025년 후반에 출시할 계획이다. 싱크론의 스텐트로드는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 기업 뉴럴링크가 개발 중인 N1과는 상당히 다르다. 뉴럴링크의 N1 칩은 직접 두개골을 열고 뇌에 칩을 이식하는 고침습적 수술이 필요하다. 칩에는 1천 개 이상의 전극이 포함돼 있어 고해상도의 신경 신호를 수집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생각만으로 컴퓨터 화면에서 커서를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생각을 파악해 문자를 입력하는 등 더욱 복잡한 제어가 가능하다.

2025.05.14 08:43이정현

밸런스히어로, 5년 연속 ESG 활동…인도 금융·사회 환경 개선 기여

인도에 진출한 핀테크 기업 밸런스히어로(대표 이철원)은 밸런스히어로가 5년 연속 인도에서 CSR(기업 사회적 책임)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하며 금융을 넘어 사회 환경 개선에도 앞장서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밸런스히어로 이철원 대표는 “밸런스히어로의 목적은 '모두를 위한 금융(Finance for All)'으로 포용적이고 책임감 있는 미래지향적 금융 솔루션을 설계하는 것”이라며 “기후 불확실성, 디지털 전환, 사회 불평등이 심화되는 시대에 ESG 원칙을 경영과 혁신에 더욱 깊이 내재화하고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도 강화한다”고 말했다. 밸런스히어로는 지난 2021년부터 Sahayak 프로그램을 시작해 인도 청년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 활동을 시작했다. 인도 청년들의 기술 및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제공해 그들의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인도 청년의 날(National Youth Day)에 시작됐으며, 1천명 이상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금융·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했다. 2023년부터 인도 현지 사회적 기업과 협력해 '프로젝트 하모니 2.0(Project HARMONY 2.0)'를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비 워터 와이즈(Be Water Wise)'라는 주제로 인도 하리야나와 라자스탄 국경 농촌 지역에 식수 시설을 설치하고, 전통 수자원 복원 및 태양광 발전소 구축 등 활동을 펼쳤다. 또한, 농촌 학교에 옥상 빗물 집수 시스템을 설치하고, 위생 및 주방 인프라를 개선했으며, 또, 1만2천명 이상에게 직업교육, 안전(가로등), 분산형 재생에너지(DRE) 등 도움을 제공했고, 디지털 프로세스 도입으로 약 5천그루의 나무를 절약하며 생물다양성 보존에도 앞장섰다. 전체 고객 중 1.6%는 기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했던 언뱅크드 계층으로, 금융 포용성 확대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금융 포용성 확대도 밸런스히어로의 핵심 미션이다. AI 기반 대안신용평가시스템(ACS)과 마이크로 파이낸스 서비스를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소외됐던 10억 명 내외의 중저신용자에게 최적화된 대출 상품을 제공하여 금융 접근성을 높였다. 밸런스히어로 이철원 대표는 “인도에서 '마이크로 파이낸스'는 비즈니스를 넘어 인도 현지 취약 계층의 삶을 바꾸고 질적 경제 성장을 이끄는 주요한 분야로 인도 정부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보내는 분야”라며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금융 포용성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14 07:40안희정

새로운 Actian Data Observability, AI 혁신 위한 선제적 데이터 품질 관리 기능 지원

복잡한 현대 데이터 스택 전반에 걸쳐 완전한 가시성을 제공해 AI 지원하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구축에 도움 라운드 록, 텍사스주, 2025년 5월 13일 /PRNewswire/ -- HCL소프트웨어(HCLSoftware)의 데이터 사업부인 액티언(Actian)이 5월 12일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활용해 데이터 품질 전반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견 시 해결하는 Actian Data Observability를 출시했다. 액티언은 이를 통해 높은 데이터 품질과 신뢰성을 보장함으로써 기업의 AI 이니셔티브 가속화, 혁신 속도 증가, 위험 감소를 지원할 계획이다. 기존 데이터 품질 관리 방법은 실시간 관리 역량 부족으로 기하급수적인 데이터양 증가 속도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다. 하지만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데이터 생태계 전반에 걸쳐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다. 조사회사 가트너(Gartner)® 통계에 따르면 현재 '데이터 관측 가능성(data observability)'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가트너는 "2026년까지 분산형 데이터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기업의 50%가 데이터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데이터 관측 가능성 도구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2024년에만 해도 이 비율은 20%도 못 미쳤다"고 밝혔다.¹ 엠마 맥그라탄(Emma McGrattan) 액티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업은 데이터에 의존해 의사결정을 내리고, AI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있지만, 종종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와 숨겨진 데이터 품질 문제, 급증하는 클라우드 비용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Actian Data Observability를 이용하는 기업은 데이터를 신뢰하고, 데이터 관리의 위험을 줄이고, 관리 비용을 통제할 수 있는 가시성과 확신을 선사함으로써 데이터를 부담스러운 대상에서 경쟁 우위로 전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전체 데이터 환경에서 수천 개의 데이터 품질 규칙을 동시에 정의하고 실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반응형 규칙 기반 접근 방식과 차이가 있다. ▲데이터 신선도(freshness) ▲양(volume) ▲스키마 드리프트(schema drift) ▲분포 패턴(distribution pattern) ▲사용자 정의 비즈니스 규칙 등 데이터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모두 모니터링 대상이다.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 기능은 이상 값, 데이터 드리프트, 예상치 못한 패턴을 자동으로 식별해 신속한 문제 해결을 위한 유용한 원인 분석 제안을 제공한다.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생태계 내 어떤 데이터 세트와도 연결되어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성능 저하나 병목 현상을 겪지 않고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데이터 샘플링 없이 클라우드 자원 소비를 최적화해 클라우드 비용을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비용 급증도 방지한다. 복잡한 대용량 현대 데이터 스택(data stack)을 운영하는 기업용으로 설계된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다음과 같은 사용 사례를 지원한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효율성: 팀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전 과정에서 데이터의 품질 문제를 문제 발생 지점에서 가까운 곳에서 가능한 한 초기에 빠르게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데이터 문제 해결과 품질 관리를 최대한 초기 단계에서 처리하려는 '시프트 레프트(shift-left)' 철학을 적용해 문제가 후속 단계로 퍼지는 것을 미리 차단한다. AI 라이프사이클 모니터링: AI가 훈련하는 데이터와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RAG)용 지식 출처의 품질, 신선도, 적합성을 모니터링해 AI 적용 시의 안전성과 규정 준수를 보장하며, 신속한 개입을 가능하게 해준다. 안전한 셀프서비스 분석 환경: 분석가와 일반 사용자가 데이터 카탈로그, BI(Business Intelligence) 도구, 검색 플랫폼에 직접적으로 내장된 실시간 건강 지표를 통해 사용 전 데이터의 신뢰성을 독립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으로 구축된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클라우드 데이터 웨어하우스(cloud data warehouse),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레이크하우스(lakehouse), 스트리밍 플랫폼(streaming platform) 등과 원활하게 통합된다. 액티언은 데이터 품질 점검 작업을 생산 인프라에서 분리함으로써 생산 환경에서 성능 저하나 비즈니스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한다. 또한 대규모 분석용 데이터 세트를 관리하기 위해 오픈소스 데이터 테이블 포맷인 아파치 아이스버그(Apache Iceberg)와 기본적으로 연동되어 시스템 전반에서 정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데이터 품질을 검사하며,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서 직접 메타데이터에 접근해 검사를 실행함으로써 보안 위험이나 비용 부담이 큰 데이터 복사본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 Actian Data Observability는 2025년 6월 전 세계적으로 출시되고, 이어 가을에는 액티언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Actian Data Intelligence Platform)의 일부로 제공될 예정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품질 데이터, 신뢰할 수 있는 AI: Actian Data Observability 소개(Quality Data, Reliable AI: Introducing Actian Data Observability)' 및 '예산 초과 없이 완전한 데이터 관측 가능성을 달성하는 방법(How to Achieve Complete Data Observability–Without Breaking the Bank)' 백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액티언 소개 액티언은 기업이 대규모 데이터 관리와 통제를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액티언의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인텔리전스 솔루션은 복잡한 데이터 환경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AI를 지원하는 데이터 제공 속도를 높여준다. 유연성을 고려해 설계된 액티언의 솔루션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원활하게 통합되고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actian.com에서 HCL소프트웨어의 데이터 사업부인 액티언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 가트너, '데이터 관찰 가능성 도구 시장 가이드(Market Guide for Data Observability Tools), 멜로디 치엔(Melody Chien), 제이슨 메드(Jason Medd), 리디아 퍼거슨(Lydia Ferguson), 마이클 사이몬(Michael Simone) 공저, 2024년 6월 25일. GARTNER는 가트너 및/또는 그 계열사가 미국 및 국제적으로 등록된 상표 및 서비스마크이며, 본 보도자료에서는 허가를 받아 사용됐다.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한다. 미디어 문의 다니엘 리(Danielle Lee)Danielle.Lee@actian.com제니퍼 하버(Jennifer Harbour)Jennifer.harbour@actian.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14140/Actian_Logo.jpg?p=medium600

2025.05.13 21:10글로벌뉴스

삼성전자, PIM·LLW 등 '넥스트 HBM' 개발 한창…"표준화 논의 중"

삼성전자가 HBM(고대역폭메모리)의 뒤를 이을 차세대 D램 솔루션을 대거 개발하고 있다. PIM(프로세싱-인-메모리) 등 일부 기술의 경우 반도체 표준화 기구에서 규격 논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상용화 계획이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손교민 삼성전자 마스터는 13일 오전 서울 강남 소재에서 열린 '제10회 인공지능반도체조찬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AI 시대를 위한 D램 솔루션(DRAM Solutions for AI Era)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손 마스터는 "AI 산업에서 요구하는 메모리 성능이 실제 개발 속도를 넘어서면서, 메모리 업체들도 D램의 집적도 향상을 위한 각종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모두 미세화되고 구조도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차세대 D램 기술로는 PIM과 VCT(수직 트랜지스터 채널)와 CXL(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LLW(저지연·광대역) D램 등이 꼽힌다. 삼성전자는 잠재 고객사 및 산업에 따라 각 D램을 병행 개발하며, AI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손 마스터는 "최근 AI 산업에서 각광받는 HBM은 서버에서 지속 채용될 것이나, 고비용 및 고전력 특성으로 모든 컴퓨팅 시스템이 HBM을 쓸 수는 없을 것"이라며 "때문에 LPDDR-PIM과 CXL 등이 충분히 의미있는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LPDDR은 저전력 D램을 뜻한다. 현재 LPDDR5X 세대까지 상용화된 상태로, 차세대 버전인 LPDDR6의 표준화 제정이 마무리되고 있다. PIM은 메모리 반도체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 연산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반도체로, 두 요소를 결합하면 전력 효율성이 뛰어난 D램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XL은 고성능 서버에서 CPU(중앙처리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GPU 가속기, D램, 저장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로 상호연결이 어려웠던 기존 시스템과 달리, CXL은 PCIe(PCI 익스프레스; 고속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각 칩의 인터페이스를 통합해 메모리의 대역폭 및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손 마스터는 "LPDDR6는 규격이 어느 정도 마무리 돼서 활발히 개발 중"이라며 "PIM, LLW D램 등의 제품도 반도체 표준화 기구인 제덱(JEDEC)에서 규격 논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LLW D램은 입출력(I/O) 단자를 늘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로인 대역폭을 높인 차세대 D램이다. 차세대 HBM 시장을 좌우할 커스텀 HBM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손 마스터는 "HBM4부터 파운드리를 통해 베이스 다이(Die) 제조하는데, 고객이 원하는 대로 제품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라며 "메모리 사업부가 고객의 요구에 맞는 메모리를 만들기 시작하게 된 계기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2025.05.13 14:38장경윤

Xinhua Silk Road: 랑주, 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중국 바이주 브랜드로 선정

베이징 2025년 5월 13일 /PRNewswire/ -- 중국의 대표적인 장향(醬香) 바이주(백주) 브랜드인 랑주(Langjiu)가 '가장 좋아하는 중국 브랜드에 '좋아요'를 눌러요(Give a Like for My Favorite China's Brands, (2024-2025)' 캠페인에서 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중국 브랜드 중 하나로 선정됐다. 지난 토요일 공개된 이번 결과에서, 랑주는 바이주 부문에서 외국인 투표 최다 득표를 기록하며 해외 시장과 글로벌 소비자들 사이에서의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가장 좋아하는 중국 브랜드에 좋아요를 눌러요'는 신화통신(Xinhua News Agency) 브랜드 업무실과 중국경제정보사(China Economic Information Service, CEIS)가 공동 주최한 글로벌 온라인 투표 캠페인으로, 올해로 4년 연속 성공적으로 개최된 행사다. 이 연례행사는 중국 브랜드의 경쟁력과 글로벌 영향력을 보여주고, 외국인들 사이에서의 인지도와 호감도를 더욱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The photo shows Qinghualang, the flagship product of Langjiu. 랑주는 중국 남서부 쓰촨성 구린현 얼랑진에서 생산된다. 이 지역은 치슈이강 좌안에 위치하며 세계 10대 주류 생산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랑주는 강변을 따라 49km에 걸쳐 랑주 장원 (郎酒庄园)을 조성했으며 총 6개의 생태 양조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 장원은 연간 7만 2천 톤의 고급 장향형 바이주 생산 능력과 26만 5천 톤의 저장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에서 20만 명 이상의 바이주 애호가를 끌어들이고 있다. Aerial photo shows the Langjiu Estate in southwest China's Sichuan Province. 2024년 월드 브랜드 서밋(World Brand Summit 2024)이 발표한 중국 500대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보고서에 따르면, 랑주는 브랜드 가치 1518억 7600만 위안(미화 약 209억 8000만 달러)을 기록하며 56위를 차지했고, 16년 연속 중국 바이주 업계에서 톱 3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몇 년간 랑주는 미주, 유럽,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등 2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으로 해외 사업을 확장해 왔다. 제품 출시 및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스페인, 프랑스, 태국, 캄보디아 등 신규 시장에 점차 진출하고 있다. 왕쥔린(Wang Junlin) 랑주 회장 중국 바이주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은 결국 문화적 인식 확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랑주는 오랫동안 품질과 문화에 중점을 두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 2025년은 '중국 브랜드의 날(China Brand Day)' 제정 9주년을 맞는 해로, 중국 브랜드들은 해외 시장에서 점점 더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다. 랑주는 중국 바이주를 대표하는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중국 문화의 세계화와 문화 정체성 함양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원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5552.html

2025.05.13 13:10글로벌뉴스

SK㈜ C&C, 'SK AX'로 새출발…AI 중심 글로벌 혁신 본격화

SK㈜ C&C가 'SK AX'로 사명을 변경하고, 고객 중심의 인공지능(AI) 전환(AX)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 확장에 나선다. 새로운 사명에는 AI를 통한 미래 성장과 무한한 확장 가능성 실현 의지가 담겼다. SK㈜ C&C는 다음 달 1일부터 사명을 'SK AX'로 변경한다고 13일 공식 발표했다. SK AX는 '미래를 위한 AI(AI for Future)', '혁신을 위한 AI(AI for Innovation)', '확장을 위한 AI(AI for Expansion)', ' 무한한 가능성을 위한 AI(AI for X)'라는 의미를 아우른다. 새로운 사명은 AI를 통해 고객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 정체성을 표현한 것이다. SK AX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10년 내 '글로벌 Top 10 AX 서비스 컴퍼니'로 도약한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SK AX는 사명 변경을 계기로 전사적인 업무 방식, 조직, 시스템을 AI 중심으로 재편한다. 특히 업무 분석, 시스템 구축,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 등 전 영역에 AI를 적용해 오는 2027년까지 전체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는 이를 통해 'AI 디폴트 컴퍼니(Default Company)' 체계를 구축하고 인간과 AI가 협력하는 'AI와 함께하는 사람, 사람과 함께하는 AI(Human with AI, AI with Human)' 환경 조성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AI 서비스의 실행력을 높이며 시장 대응 속도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산업별 AI 적용 확대도 본격화된다. SK AX는 그룹 내 AI 기술과 데이터, 플랫폼 역량을 집약해 제조, 금융,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 '그랜드 유스케이스'를 적용하고 있다. 대표 사례인 'AI 명장(Master)' 프로젝트는 숙련 작업자의 암묵지(暗默知)를 AI가 학습하고 보완하는 구조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또한 물성 예측 AI 기술은 제조 공정 효율화와 제품 개발 가속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AI 기반 업무 혁신 플랫폼 '에이닷 비즈(A.Biz)'도 확산 중이다. SK텔레콤과의 협력을 통해 일정 관리, 회의록 작성 등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있으며, 법무·세무·PR 등의 전문 업무를 지원하는 '에이닷 비즈 프로(A.Biz Pro)'는 SK 주요 계열사를 대상으로 확대 적용이 추진되고 있다. AI 혁신을 뒷받침하는 인프라 역량 강화도 병행된다. SK AX는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과 협력해 고성능 GPU 기반 차세대 AI 데이터센터(AIDC)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AI 워크로드 최적화와 데이터 통합 관리 등을 통해 대규모 AI 도입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해외 시장 공략도 본격화된다. SK AX는 유럽과 북미 주요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 최적화, AI 생산계획 자동화, 에너지 관리 최적화 등 현장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산업 AI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SK AX 윤풍영 사장은 "이번 사명 변경은 SK AX 스스로가 국내 최고의 AI 혁신 기업으로 재탄생 하겠다는 선언"이라며 "SK AX가 고객의 페인 포인트를 AI와 최신 기술로 해결하고, 본질적인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는 AI 혁신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명확히 제시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5.05.13 10:07남혁우

하이크비전, '2024 ESG 보고서' 발표… 더 나은 미래 위한 '번영' 약속

항저우, 중국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연합뉴스/ -- AIoT 제품 및 솔루션 공급업체인 하이크비전(Hikvision)이 '2024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2024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Report)'를 발표하며, 7년 연속 ESG 약속과 실천 내용을 공개했다. 무엇보다 이번 보고서는 '번영하다(THRIVE)'는 지속 가능성 철학을 처음으로 소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이크비전은 '선한 목적의 기술(Tech for Good)'을 지침으로 삼아 조화, 신뢰성, 정직성, 가치 사슬, 환경 등 5개 분야에 집중해 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Hikvision releases 2024 ESG report, delivering THRIVE for a better future 하이크비전은 글로벌 정책, ESG 평가 기준,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철저히 검토하여 '기술 혁신',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기후 변화 대응'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3대 이슈임을 확인했다. 혁신을 통한 사회적 발전 추진 하이크비전은 다양한 사회적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지속적으로 탐구해 왔다. 도시 관리 분야에서는 300개 이상의 도시에 교통 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5만 3000곳 이상의 교차로에서 교통 흐름을 최적화했다. 산업 디지털화 분야에서는 CHN 에너지(CHN Energy)와 협력해 대규모•실시간•비파괴적 이중 스펙트럼 고속 석탄 품질 분석 기술을 개발해 전통적 분석 방법의 한계를 극복했다. 하이크비전은 '사회적 선을 위한 STAR 프로그램(STAR Program for Social Good)'을 추진하며 기술력을 활용해 야생동물, 환경, 문화 보존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30곳 이상의 비영리 단체(NGO)와 협력해 왔다. 이러한 협력의 주요 성과로는 1574년 건설된 고대 목조 다리인 란시 다리(Lanxi Bridge)에서의 화재 예방 강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리에가 게임 보호구(Kariega Game Reserve)의 관측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있다.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보호의 신뢰성 강화 하이크비전이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노력은 ISO 27017, ISO 27018, DCMM, IEC 62443-4-1 등 권위 있는 인증을 통해 인정받았다. 또한 하이크비전은 기술력과 교육에 대한 투자도 강화하고 있다. 2024년에는 사이버 보안을 주제로 한 26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171회의 교육 세션을 진행해 직원 참여율 100%를 달성했다. 하이크비전은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ISE 2025에서 처음 개최되는 해커톤(Hackathon•짧은 시간 동안 결과물을 만드는 프로그래밍 경연)을 후원하며 차세대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저탄소 전략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하이크비전은 기업 정책에 탈탄소화 전략을 통합해 저탄소 제품, 지능형 제조, 친환경 운영, 디지털 전환을 중점으로 한 탄소 중립 비즈니스 로드맵을 수립했다. 또한 103개 모델에 대한 탄소 발자국 검증과 글로벌 인증기관인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로부터 '제품 공정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 of Product Process)' 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이크비전의 LED 디스플레이 16개 모델은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인 '티유브이 라인란드(TÜV Rheinland)'에서 발급한 친환경 제품 마크 인증을 획득했다. LED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이 인증을 받은 건 하이크비전 모델들이 처음이다. 하이크비전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약속을 꾸준히 지키면서 안정적 운영을 바탕으로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하이크비전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번영'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다.

2025.05.12 21:10글로벌뉴스

그레이드테크놀로지,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서 파트너들과 함께 획기적인 AI 및 HPC 스토리지 솔루션 선보인다

서울, 대한민국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 -- 그레이드테크놀로지(Graid Technology)가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고의 인공지능 전시회인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그레이드는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스토리지 분야의 종합 솔루션을 선보이며 SupremeRAID™가 차세대 워크로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를 어떻게 혁신하고 있는지 시연할 예정이다. 2021년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그레이드테크놀로지는 기존 RAID 기술을 능가하는 탁월한 속도, 보안, 안정성을 제공하는 GPU 기반 RAID 데이터 보호 가속화를 개척하며 스토리지 업계의 선구자로 급부상했다. SupremeRAID™ featured at AI expo Korea 2025 두 개의 미국 특허로 입증된 그레이드의 기술력은 속도와 보안 모두에서 탁월하다. 첫 번째 특허인 '데이터 전송•보호 시스템 및 방법(Data Transmission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은 애플리케이션과 SSD 간의 데이터 병목 현상을 없애 기존 솔루션에 비해 전송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GPU 기반 RAID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2025년 4월에 획득한 두 번째 특허인 'RAID 시스템 쓰기 작업을 위한 분산 저널링(Distributed Journaling for Write Operations to RAID Systems)'은 데이터 무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시스템 충돌이나 예기치 않은 종료 시에도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RAID 데이터 보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그레이드테크놀로지는 AI 파이프라인 전반에 걸쳐 차세대 인프라를 제공하는 엣지 투 클라우드 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엣지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엣지 컴퓨팅 워크스테이션 중 하나인 Supreme100을 공개한다. 8개의 Gen5 NVMe SSD와 450W GPU를 지원하는 이 시스템은 최대 100GB/s의 전송 속도와 사무실 환경에 적합한 정숙성을 갖췄다. 클라우드의 경우 그레이드의 HPC 클러스터 솔루션은 SR-1010을 InfiniBand를 통해 BeeGFS와 통합해 확장 가능한 용량과 선형 성능으로 80GB/s의 속도를 지원한다. 내장된 고가용성(HA) 서비스는 인프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최적의 가동 시간을 유지하므로 AI, HPC 및 머신러닝 워크로드에 이상적이다. 이번 AI 엑스포 코리아에서 그레이드는 주요 파트너사인 인피니틱스(Infinitix) 및 테라텍(Teratec)과 함께 종합 AI 생태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인피니틱스는 AI 개발 및 배포 워크플로 전반에서 GPU 자원 활용도를 높여주는 플랫폼인 AI-Stack을 선보인다. 금융, 의료, 반도체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채택되고 있는 인피니틱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AI 엑스포에 참가하며 한국에서의 전략적 확장을 도모한다. 한국의 선도적인 기술 기업인 테라텍은 HPC,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 및 IT 인프라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로, 국내 기업을 위한 확장 가능한 AI 및 분석 솔루션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한다. AI 엑스포 코리아 2025의 그레이드 부스(K27)를 방문해 차세대 스토리지와 인프라가 어떻게 AI의 미래를 뒷받침하는지 알아보길 바란다.

2025.05.12 14:10글로벌뉴스

AB DAO, AB 자선재단과 손잡고

신뢰 기반 인프라를 공동 구축하며, 글로벌 공익 혁신을 기술로 이끈다 더블린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 -- 2025년 5월 8일, AB DAO와 AB 자선재단은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첫 번째 **'기술이 주도하는 공익 비공개 포럼'**을 공동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포럼은 버티 아헌(Bertie Ahern) AB 자선재단 이사장이자 전 아일랜드 총리, 전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직접 주재하였으며, **"기술과 신뢰 – 공익의 새로운 질서"**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습니다. 포럼에는 올루세군 오바산조(Olusegun Obasanjo) 전 나이지리아 대통령 및 전 아프리카연합 의장, 말콤 번(Malcolm Byrne) 아일랜드 국회의원이자 인공지능 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해, 기술이 어떻게 전 세계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AB 체인(AB Chain) 대표 **앤서니 챙(Anthony Tsang)**은 고성능 메인넷,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AB Connect, 가스 요금이 없는 Universal Transfer 프로토콜 등 기술 발전 사항을 소개하며, AB DAO가 추구하는 글로벌 규제 준수형 공익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의 비전을 설명했습니다. 이 회의에서 도출된 주요 제안들은 AB 자선재단이 정리하여 유엔과 국제 협력 네트워크에 제출할 예정이며, '기술을 통한 선한 영향력(Technology for Good)' 실현을 위한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촉진할 계획입니다. AB 자선재단 소개 AB 자선재단은 아일랜드에 법적으로 등록된 국제 비정부기구(NGO)로, 유럽연합의 법인 자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B DAO의 기술 및 자금 지원을 받아,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투명하고 추적 가능한 글로벌 공익 인프라 구축을 사명으로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ab.org

2025.05.12 06:10글로벌뉴스

[AI는 지금] 오픈AI '비영리' 유지…AI 산업 기준선 바꿀까?

오픈AI가 비영리 지배구조를 유지하기로 하면서 외부 투자와 기술 확장을 위해 추진해온 영리화 전환 계획은 사실상 철회된 모양새다. 이에 주요 인공지능(AI) 경쟁사들과의 전략적 구도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오픈AI는 최근 자사의 영리 부문(OpenAI LP)을 별도 투자자 중심 법인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중단하고 기존 비영리 이사회가 실질적 통제권을 유지하는 구조를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오픈AI는 지난해 말까지 영리 법인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소프트뱅크 등의 대규모 투자 조건 일부가 무산될 수 있다는 압박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검찰의 비영리 목적 위반 조사 가능성, 외부 반발, 일론 머스크의 계약 위반 소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구조 개편 속도 조절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이 수년 간 이어진 조직 전환 논의의 급제동은 글로벌 AI 생태계 내 경쟁 구도 재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구글·메타·앤트로픽 등 경쟁사들은 자체적으로 업계 1위인 오픈AI를 견제하는 전략을 내세우며 차별화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오픈AI 역시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기존 수익 공유 구조를 일부 축소하려는 논의를 병행하고 있어 클라우드·AI 모델 생태계의 균형도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공익으로 회귀한 오픈AI…정치·법률·업계 반발, '영리화 철회' 이끌었다 오픈AI의 이번 결정에는 정치적 압박이 핵심적으로 작용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델라웨어주 검찰은 최근 오픈AI 이사회를 상대로 비영리 공익 목적 위반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던 바 있다. 회사 구조 전환이 법률상 공익법인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정책 전문가들과 AI 윤리 연구자들 역시 집단적으로 반발해 왔다. 지난해 4월에는 수십 명의 AI 연구자, 전직 오픈AI 직원, 정책 고문들이 서명한 '수익을 위한 것이 아니다(Not for Private Gain)' 공개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오픈AI가 인류 전체에 유익하도록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해당 서한은 오픈AI 공동 창업자인 샘 알트먼과 그렉 브록먼이 과거에 남긴 발언도 그대로 인용했다. 그들이 언급한 "우리는 주주가 아니라 인류 전체에만 책임진다"나 "우리가 AGI를 만드는 게 목표가 아니라 범용인공지능(AGI)이 잘 작동하게 만드는 게 목표"라는 문장은 현재의 영리화 계획이 창업 당시의 정신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일론 머스크의 소송도 원인이 됐다. 지난 2010년대에 오픈AI의 파트너였던 머스크는 회사가 본래의 비영리 약속을 어기고 MS와 손잡으며 수익 중심 구조로 변질됐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오픈AI 측의 소송 기각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본안 재판은 내년 3월로 예정돼 있었다. 소송의 핵심 근거로 머스크는 "오픈AI는 원래 구글 딥마인드가 AGI를 장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픈소스 대안으로 만든 비영리 조직이었지만 지금은 마이크로소프트에 장악당한 최대 이윤 기업이 됐다"며 "공익 목적이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여론의 압박도 한 몫했다. 제프리 힌턴, 마크 저커버그 등 업계 주요 인사들이 영리화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기 때문이다. 특히 저커버그는 "AI 권력을 소수가 독점해서는 안 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균열이 발생했다. 소프트뱅크는 앞서 연말까지 오픈AI가 영리 구조로 전환하지 않으면 최대 400억 달러(약 52조원)의 투자금 중 절반만 집행할 수 있다는 조건을 내걸었지만 다른 투자자들은 비영리 이사회의 통제권 약화에 따른 평판 리스크를 우려했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오픈AI는 공익법인(PBC)이라는 타협 구조를 택했다. 수익은 열어두되 비영리 이사회의 감독을 그대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투자자들의 이익 추구와 공공 책임 간 균형을 겨냥한 절충안이다. 또 하나의 핵심 요인은 마이크로소프트(MS) 독점 프레임이다. 현재 구조상 오픈AI는 MS의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으며 기술 사용권과 수익 배분에서도 MS가 독보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런 구조는 미국뿐 아니라 유럽·아시아 규제 당국의 감시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오픈AI 입장에서는 비영리 지배구조를 유지함으로써 기술 독립성과 파트너 확장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는 셈이 된다. 브렛 테일러 오픈AI 이사회 의장은 "우리는 비영리 이사회의 통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며 "이사회의 방향은 전 세계 시민과 전문가, 규제기관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라고 밝혔다. AI 생태계 재편 신호탄?…경쟁사 전략 '재정의' 되나 오픈AI가 비영리 체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뒤 AI 경쟁사들의 기존 전략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기준선이 생기면서 각자 선택한 노선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해석도 새롭게 나오고 있다. 구글은 일찌감치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속도전에 대비해왔다. AI 조직인 브레인과 딥마인드를 통합하고 거대언어모델 '제미나이' 시리즈의 연구·제품 개발을 하나로 묶었다. 데미스 하사비스 딥마인드 CEO는 과거 "오픈AI가 해커 같은 민첩성으로 모델 상용화를 밀어붙인 결과 우리가 먼저 개발한 기술에서도 주도권을 빼앗겼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최근 구글의 행보도 매서워지고 있다. '제미나이' 시리즈는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 중이며 마케팅 강화는 물론 하드웨어 연계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자체 AI 반도체인 텐서처리장치(TPU)를 통해 모델 효율성도 높이고 있으며 최신 버전인 '제미나이 2.5'는 완성도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메타는 '라마' 시리즈를 통해 오픈소스 전략을 꾸준히 고수해왔다. 이 같은 노선은 오픈AI의 이번 결정 이후 더욱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의 소수 기업 독점을 경계해온 메타의 메시지가 다시 부각된 것이다. 오픈AI가 비영리 지배구조를 유지하기로 하면서 메타의 '공익 중심 개방 전략'에도 한층 설득력이 실리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AI의 기회는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우리는 모델을 팔아서 수익을 내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앤트로픽 역시 원래부터 오픈AI의 상업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한 조직이다. 공익법인(PBC) 구조를 채택했고 '헌법적 AI' 같은 안전 중심 모델 설계 원칙도 강조해왔다. 최근 오픈AI 안전 인력의 이탈과 더불어 그간의 입장이 정당화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정책과 규제 측면에서도 움직임이 감지된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유럽연합(EU) 등 주요 규제기관은 초거대 AI 모델과 클라우드 독점 구조를 함께 검토 중이다. 오픈AI의 구조 재조정이 이들 규제 당국과의 마찰 가능성을 줄였다는 업계의 분석도 나온다. AI 투자 생태계에서도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일부 투자자는 여전히 오픈AI의 수익성과 확장력을 믿고 있지만 다른 자본은 비영리 체제의 유지가 장기적 평판 관리에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익'과 '공익' 사이 절충 지점에 대한 수용 폭이 넓어진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의 영리화 철회는 단순한 조직 구조의 변화가 아니라 AI 산업 전체의 방향성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됐다"며 "최근 경쟁이 격화된 상황에서 이번 결정은 AI 기술의 발전 속도뿐 아니라 안전과 공공성 측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2025.05.11 10:05조이환

밴티지 재단, '희망의 손 라오스'와 협력해 청각장애 아동 위한 포용적 교육 지원

비엔티안, 라오스 2025년 5월 10일 /PRNewswire/ -- 라오스 내 청각 장애 아동 중 다수는 차별, 청각 장애 또는 수화 교육을 이수한 전문 교사 부족, 등록금 부담 등으로 인해 학교에서 적절한 교육 기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현실에 문제의식을 느낀 소파폰 흐엉리트(Sophaphone Heuanglith)는 라오스의 청각장애 청소년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0년 '희망의 손 청각 장애 학교(Hands of Hope School for the Deaf)'를 설립했다. '희망의 손'의 목표는 학생들이 학업과 직업 기술을 습득해 자립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 학교는 학생들에게 무료 교육, 숙소, 식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따뜻한 환경에서는 장벽이 없고, 오로지 연결과 수용만이 존재한다. 아이들은 함께 생활하며 배우고 먹고 성장하면서 언어 능력은 물론 소속감, 자신감, 사회적 관계를 함께 키워나간다. Vantage Foundation Partners with Hands of Hope Laos to Empower Deaf Youth Through Inclusive Education 밴티지 재단(Vantage Foundation)은 '희망의 손 라오스' 창립자인 소파폰 흐엉리트씨와 만나 사회적 차별을 겪는 어린이들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 밴티지 재단은 '희망의 손 라오스'의 의미 있는 활동을 높이 평가하며 청각장애 아동의 요구와 잠재력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청각장애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포용적인 교육 기회 창출을 지원하고자 한다. 소파폰 흐엉리트씨는 "모든 아이는 보이고, 들리고,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면서 "우리 학교는 단순히 언어를 가르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발견하고, 자신감을 키우고, 세상에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스티븐 시에(Steven Xie) 밴티지 재단 전무이사는 "'희망의 손'은 밴티지 재단이 지향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력의 상징"이라면서 "소파폰과 팀이 장벽을 허물고 어린이를 위한 기회를 넓혀가는 여정에 동참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은 소외된 커뮤니티를 위한 포용적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후원하겠다는 밴티지 재단의 사명과도 일치한다. 재단은 교육과 역량 강화에 대한 투자를 통해 모든 아이가 능력과 상관없이 성공할 수 있는 더 공정한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https://www.facebook.com/HOHlao/를 방문하면 희망의 손 라오스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밴티지 재단 소개 밴티지 재단은 2023년 영국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McLaren Technology Centre)에서 출범한 독립 자선 단체다. 재단은 그랩 인도네시아(Grab Indonesia), 나이지리아의 더 iREDE 재단(The iREDE Foundation), 말레이시아의 티치 포 말레이시아(Teach For Malaysia), 브라질의 클라렛 연구소(Instituto Claret) 등 전 세계 여러 자선 단체와 협력해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재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vantage.foundati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5.10 15:10글로벌뉴스

화웨이: 도시의 흐름을 멈추지 않게, 도시철도 지능화 확대

홍콩 2025년 5월 9일 /PRNewswire/ -- 중국 홍콩에서 '클라우드-네트워크 융합 및 데이터 & AI 기반 스마트 도시철도 발전을 가속화(Steaming Ahead with Cloud-Network Convergence and Data & AI Enablement for Smart Urban Rail)'라는 주제로 화웨이 스마트 도시철도 서밋(Huawei Smart Urban Rail Summit)이 개최됐다. 토마스 슈(Thomas Xu) 화웨이 스마트 교통 사업부 부사장 겸 파트너 개발 및 영업 부서 총괄 이사는 특정 서비스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데 가장 적합한 정보, 디지털 및 지능형 기술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MTR 운영 및 혁신 담당 이사인 토니 리 카-윤 박사(Dr. Tony Lee Kar-yun)는 디지털 자원과 혁신적인 AI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이 운영 효율성과 승객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통합이 보다 효율적인 도시 교통과 더 편리한 지역 사회 생활을 실현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 샤오둥(Xi Xiaodong) 상하이 도시철도 유지보수 지원 유한책임회사(Shanghai Rail Transit Maintenance Support Co., Ltd.) 총공정사는 도시철도 운영사가 고품질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외부 자원을 통합하고 내부 핵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넬슨 황(Nelson Huang) 화웨이 스마트 교통 사업부 철도사업부 담당 이사는 화웨이가 도시철도의 디지털 및 지능형 기반 위에 클라우드, 빅데이터, 5G, AI, IoT 등 혁신적인 ICT 기술을 통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숑신빈(Xiong Xinbin) 베이징 철도기전연구원(Beijing Railway Institute of Mechanical & Electrical Engineering, BRI) 순환 CEO 겸 수석 부사장은 판구(Pangu) 모델을 도입하여 철도 운송을 강화하고, 어센드(Ascend)와 쿤펑(Kunpeng)을 활용하여 견고한 데이터 기반을 구축했으며, AI를 통합하여 종합적인 지능형 운영 및 유지관리(O&M)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언급했다. 후속 원탁회의에서 지쿤(Ji Kun) 화웨이 스마트 교통 사업부 해외 철도 솔루션 담당 이사, 모흐드 유소프 술라이만(Datuk Dr. Mohd Yusoff Sulaiman) 말레이시아 철도산업공사(Malaysian Rail Industry Corporation, MARIC) 회장, 찬힝강(Chan Hing-keung) MTR 운영 엔지니어링 서비스 및 혁신 부문 총괄, 시 샤오둥 상하이 도시철도 유지보수 총공정사, 숑신빈 베이징 철도기전연구원 순환 CEO 겸 수석 부사장, 데이비드 수(David Xu) 화웨이 스마트 교통 사업부 부사장 겸 솔루션 개발 I&V 부서 총괄 이사 등이 참석해, 기술 적용 시나리오, 전환 과정에서의 고충, 데이터 가치 발굴, 사용자 경험 향상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화웨이는 전 세계 70개 이상의 도시에서 300개 이상의 도시철도 노선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앞으로도 '개방, 협력, 공동 성공'이라는 원칙을 지속적으로 준수함으로써 업계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화웨이는 디지털 및 지능형 운송과 함께 편리한 이동과 원활한 물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05.09 18:10글로벌뉴스

디지털 투자 이정표: 파키스탄, 제1회 DCO DFDI 포럼 개최

• 디지털협력기구(DCO)와 파키스탄 정부, 글로벌 리더 7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1회 디지털외국인직접투자(DFDI) 포럼 2025 성황리 종료 • 파키스탄, DCO DFDI 이니셔티브 1차 이행 개시...현재까지 7억달러의 디지털 투자 유치 • 셰바즈 샤리프 총리와 디마 알야히야 DCO 사무총장, 디지털 전환 주도 다중 이해관계자 리더십 확인...샤리프 총리, DCO 사무총장의 파키스탄 DFDI 생태계 발전 공로 인정 이슬라마바드, 2025년 5월 9일 /PRNewswire/ -- 디지털협력기구(DCO)가 파키스탄 정부와 협력해 5월 8일 이슬라마바드에서 개최한 제1회 디지털외국인직접투자(DFDI) 포럼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02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양일간 열린 이번 포럼은 전략적 플랫폼 역할을 하며 국가 원수, 장관, 글로벌 투자자, 정책 입안자, 기술 리더 등 700명의 대표단이 모여 디지털 투자 프레임워크를 재정의하고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Prime Minister Shehbaz Sharif awards H.E. Deemah AlYahya, DCO Secretary-General, for advancing Pakistan's digital FDI ecosystem. 이번 포럼의 핵심은 파키스탄이 디지털 개발에서 추구하는 선구적인 청사진을 담은 디지털 외국인직접투자 파키스탄 인사이트 보고서(Digital FDI Pakistan Insight Report)의 발간이었다. 디지털 외국인직접투자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한 이 보고서는 파키스탄을 4대 핵심 영역에 걸쳐 이니셔티브를 이행한 최초의 국가로 인정하고 지속적인 디지털 투자 유치를 위한 6대 전략적 우선순위 조치를 제시했다. 셰바즈 샤리프(Shahbaz Sharif) 파키스탄 총리는 성황리에 마무리된 DFDI와 관련해 "파키스탄은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이번 DFDI의 성공은 다중 이해관계자 접근 방식을 통해 번성하고 투자 친화적인 디지털 지원 경제를 육성하려는 파키스탄의 노력을 입증하는 증거"라며 "DCO, 동료 DCO 회원국 및 파트너의 지원으로 우리는 파키스탄 및 파키스탄의 디지털 생태계를 넘어 디지털 전환을 진행 중인 모든 국가에 도움이 될 지속 가능한 개발 청사진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DFDI 포럼에서 샤리프 총리는 이미 7억달러 이상의 디지털 경제 투자를 이끌어내며 파키스탄의 디지털 외국인 투자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디마 알야히야(Deemah AlYahya) 사무총장과 DCO의 리더십에 감사를 표했다. 이 행사에는 45개국 이상이 참가했으며, 4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이 제품을 선보였다. 약 35명의 각국 장관 및 공식 대표단이 참석했으며, 30명 이상의 글로벌 연사와 50명 이상의 주요 IT 기업 CEO가 자리를 빛냈다. 알야히야 DCO 사무총장은 "DCO를 대표해 제1회 DFDI 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한 파키스탄 정부와 셰바즈 샤리프 총리에게 깊은 감사를 표한다"면서 "이번 포럼은 변혁적인 투자의 힘이 어떻게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속하는지 증명했다"고 덧붙였다. DCO는 모든 국가가 디지털 혁신을 활용해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할 수 있는 글로벌 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2020년 11월 리야드에서 열린 G20을 계기로 설립된 DCO의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한 5개국 중 하나다. 2026년 의장국 수임을 앞둔 파키스탄은 디지털 경제의 리더로서 전략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디지털 투자의 미래를 형성할 글로벌 대화, 파트너십, 혁신을 주도할 준비가 돼 있다. 디지털협력기구 소개 디지털협력기구(Digital Cooperation Organization, DCO)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경제의 성장을 가속하는 데 초점을 맞춘 세계 최초의 독립형 국제 정부간 기구다. 2020년 11월에 설립된 국제 다자간 기구로, 모두를 위한 디지털 번영을 목표로 한다. DCO는 회원국의 통신•정보기술 부처가 모여 청년, 여성, 기업가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디지털 경제의 가속력을 활용하며 혁신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사회적 번영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DCO에는 바레인 왕국,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키프로스 공화국, 지부티 공화국, 감비아 공화국, 가나 공화국, 그리스 공화국, 요르단 하심 왕국, 쿠웨이트국, 모로코 왕국,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오만 왕국,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카타르국, 르완다 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등 16개국의 통신•정보기술 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이 국가들의 합산 GDP는 3조5천억달러에 달하며 합산 인구는 8억명에 육박하고 이 중 70% 이상이 35세 미만이다. DCO는 협력과 전략적 대화를 통해 상호이익이 되는 국경 간 입법을 추진한다. 또한 모든 사람, 기업, 사회가 혁신하고 번영할 수 있는 포용적이고 공평한 디지털 경제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최적의 인프라와 정책을 회원국 내에서 수립하고자 한다. DCO의 비전은 모든 국가, 기업, 개인이 디지털 경제에서 번영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갖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회원국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DCO는 정부, 민간, 국제기구, NGO, 시민사회와 협력해 보다 포용적인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경제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DCO의 주요 이니셔티브에는 국가 간 데이터 흐름 개선, 중소기업의 시장 확대 촉진, 디지털 기업가 역량 강화, 여성•청소년•기타 소외계층의 디지털 포용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DCO 추가 정보: • www.DCO.org • www.twitter.com/DCOrg • www.linkedin.com/company/DCOrg 문의: media@DCO.org 사진: https://mma.prnewswire.com/media/2682553/Digital_Cooperation_Organization.jpg

2025.05.09 18:10글로벌뉴스

밴티지, 클라이언트 포털 웹사이트에 카피 트레이딩 출시…가입 시 입금 보너스 제공*

포트 빌라, 바누아투 2025년 5월 7일 /PRNewswire/ -- 다중 자산 트레이딩 솔루션 분야의 선도적 CFD 브로커인 밴티지 마켓(Vantage Markets)이 밴티지 클라이언트 포털(Vantage Client Portal) 웹사이트를 통해 카피 트레이딩(Copy Trading) 기능을 공식 출시했다. 이로써 밴티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능에 속하는 카피 트레이딩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론칭은 사용자들에게 더 스마트하고 단순하면서도 접근하기 쉬운 트레이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밴티지의 노력에 새로운 이정표가 세워졌음을 의미한다. Vantage Launches Copy Trading on Client Portal Website with Deposit Bonus for Users* 지금까지 밴티지 앱을 통해서만 이용이 가능했던 카피 트레이딩 기능이 이제 밴티지 웹사이트의 클라이언트 포털에 완전히 통합됐다. 이로써 신규 및 기존 사용자 모두 이 강력한 도구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트레이딩 세계에 처음 발을 들여놓는 사람뿐만 아니라 투자 전략 다각화를 모색하는 사람까지 카피 트레이딩을 통해 브라우저에서 곧바로 실시간으로 손쉽게 최고의 성과를 내는 트레이더의 트레이딩 방식을 그대로 모방할 수 있다. 앱을 통해 카피 트레이딩에 가입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클라이언트 포털을 통해 카피 트레이딩 계정을 개설한 적격 사용자는 최대 50%의 크레딧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입금 보너스 프로모션에도 참여할 수 있다. 이 독점 프로모션은 사용자가 추가 자금을 활용해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거나 노련한 신호 제공자(Signal Provider), 즉 자신의 트레이딩 전략이나 내역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트레이더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밴티지의 카피 트레이딩 솔루션은 특히 편의성, 유연성, 성능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사용자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은 다음과 같다: 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 0%** – 수수료 없이 CFD를 통해 인기 있는 미국 주식을 거래해 트레이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트레이딩뷰 (TradingView) 기반 16 가지 기술 지표 활용 – 첨단 차트 분석 도구를 활용해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시장 분석을 지원한다. 220 개 이상의 일일 상품 분석 서비스 무료 이용 – 전 세계 시장 동향, 전망, 연구 자료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빠른 카피 트레이딩 활성화 – 카피 트레이딩 계정을 설정하고, 즉시 상위 트레이더의 트레이딩 방식을 모방할 수 있다. 카피 트레이딩은 낮은 진입 장벽 덕분에 금융 시장 참여를 원하는 신규 트레이더에게 인기 있는 진입 방법이다. 신규 트레이너는 노련한 트레이더의 전략을 자동으로 복사해 실시간 의사결정 결과를 확인하고, 시장 동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 모든 일이 접근하기 쉬운 커뮤니티 중심의 환경에서 가능하다. 마크 데스팔리에르(Marc Despallieres) 밴티지 마켓 CEO는 카피 트레이딩 기능 출시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밴티지에서는 금융 시장 접근의 대중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클라이언트 포털에 카피 트레이딩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많은 유연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서비스 확장을 통해 혁신을 이루기 위해 헌신하고, 신규 및 숙련된 트레이더들이 필요한 도구와 지원을 받아 트레이딩 시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약속을 지키게 됐다." 트레이딩을 시작할 준비를 마쳤다면 오늘 바로 밴티지 클라이언트 포털에 로그인해 카피 트레이딩 계좌를 개설하고, 입금 보너스*를 신청하며 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바란다. *이용 약관이 적용된다. **기타 수수료가 적용될 수 있다. 밴티지 소개 밴티지 마켓(또는 밴티지)은 외환, 원자재, 지수, 주식, ETF, 채권 등 CFD 상품 트레이딩을 위한 민첩하고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자산 CFD 브로커다. 시장에서 15년 이상 쌓은 업력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트레이딩 생태계, 수상 경력에 빛나는 모바일 트레이딩 앱, 고객이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친화적인 트레이딩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브로커의 역할을 뛰어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밴티지 앱은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trade smarter @vantage 위험 경고: CFD는 복잡한 상품이며 레버리지로 인해 빠르게 손실을 입을 위험이 높다. 거래하기 전 관련 위험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재정적 조언, 제안 또는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이 콘텐츠는 콘텐츠의 배포나 사용이 현지 법률 또는 규정에 위배되는 관할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독자는 투자 또는 재정적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전문가의 조언을 구할 것을 권한다. 제시된 정보에 대한 의존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책임이다.

2025.05.09 16:10글로벌뉴스

KISA, AI보안·제로트러스트 등 18개 과제 사업자 선정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우수 인공지능(AI) 보안 시제품·사업화 지원 ▲ 한국형 통합보안 개발 시범사업 ▲제로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의 18개 과제 사업자를 최종 선정, 정보보호산업 신기술 보안 제품·서비스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인공지능(AI) 보안기업 육성 지원사업 인공지능은 국민의 일상 및 산업 전반의 대변화를 일으키며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AI를 악용한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 등 AI 기술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해 보안기술을 통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KISA와 과기정통부는 지난 2021년부터 선제적으로 AI를 활용한 국내 우수 보안 제품•서비스의 개발 및 상용화, 국내외 이용 확산 등을 추진하여 지난 4년간 총 66개의 과제를 지원해왔다. 올해는 AI 기술을 활용해 국내 보안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AI For Security(보안을 위한 인공지능)', 안전한 AI 서비스(생성형AI, AI비서 등) 활용을 돕기 위한 'Security For AI(인공지능을 위한 보안)'를 주제로 공모를 진행,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①AI 보안 시제품 신규 개발 ②기개발된 AI 보안 제품•서비스 사업화 등 2개 분야에 대해 외부 전문위원 평가를 통해 각각 5개, 4개 과제를 선정했다. 시제품 분야에서 최종 선정된 과제는 ▲제로샷 학습기반 위협감지 물리보안 기술개발 및 고도화(디비엔텍) ▲멀티 LLM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취약점 자동 진단 시스템 개발(엔키화이트햇), ▲API 거버넌스 보안위협 대응 AI 기반 API 보안위협 모니터링 설루션 개발(소프트프릭) ▲AI 기반 악성 딥페이크 탐지 및 대응 시스템 개발(누리랩) ▲공격표면관리(Attack Surface Management, ASM)기반 AI 자동 공격코드 생성 및 대응 시스템 개발(에이아이스페라) 등 이다. '제로샷'은 학습하지 않은 이벤트에 대해서도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말하고, LLM(Large Language Model)은 인간의 언어 데이터로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간 데이터 등 구성 요소를 상호 이용•연결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규칙을 말한다. 사업화 분야는 ▲멀티모달 생성형 AI 기반 다채널 온디바이스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사업화(엣지디엑스) ▲선박 영상 AI 감시 시스템 적대적 공격 탐지•대응 설루션(싸이터) ▲칩페이크 탐지 기술 기반 안티스푸핑 얼굴 인식 설루션 사업화(세이프에이아이) ▲탈중앙화 생체보안 시스템 기반 딥페이크 차단 안면 결제 실증 설루션(고스트패스)이 수행과제로 최종 선정됐다. '멀티모달'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함께 학습•처리하는 AI 모델을 말하고, '칩페이크'는 짧은 시간과 적은 노력으로 만들어내는 위•변조 방식(딥페이크와 대조)을, '딥페이크'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진위 구별이 어려운 가짜 이미지와 영상을 제작하는 기술을 말한다. ■ 한국형 통합보안 모델 개발 시범사업 한국형 통합보안 모델 개발은 보안과 기술 간 경계가 사라지고 상호 통합형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세계적인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지원사업이다. 국내 보안 기업 간 연계 및 기술제휴 등 협업을 기반으로 통합보안 제품을 개발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 설루션 개발을 지원한다. KISA와 과기정통부는 지난 '24년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협업체계를 추진하며 총 3개 과제를 선정해 국내 보안기업 간의 협업과 통합을 지원한 바 있다. '25년 시범사업 역시 국내 보안기업들이 협업을 통해 수요에 맞는 다수의 보안 기능을 통합하고, 보안 위협 탐지•대응 및 관리가 가능한 차세대 통합보안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지원과제는 사업 종료 이후에도 기업 간 협업을 장기 유지하고, 개발된 제품을 타 기업 제품•기술과도 연동하여 제품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중소•중견기업용 SaaS 기반 개방형 통합보안(XDR) 서비스 개발(로그프레소, 에이아이스페라, 엑소스피어랩스) ▲사이버 위협 통합검역 모델 기반의 중소기업 대상 APT 탐지 및 대응(앰진, 엔드포인트랩, 자이온) ▲통합 개인정보 보호 및 위협 탐지 시스템(오내피플, 가디언넷)이 최종 선정돼 협업 과제를 추진한다.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XDR(eXtended Detection Response)은 IT 환경 전반의 다양한 보안 계층에 걸친 데이터를 통합해 위협 및 탐지 대응을 제공하는 포괄적 보안 플랫폼을,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는 지능적•지속적으로 특정 대상을 공격해 중요 데이터 등을 유출하는 사이버 공격 방식을 말한다. ■ 제로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는 정보체계 등에 대한 접근 요구가 있을 때마다 기업 핵심 데이터로의 접근시도, 이동, 인증 전 과정에서 접근 주체에 대한 끊임없는 교차 검증과 세밀한 구역 설정을 통해 위협을 최소화하는 보안 체계다. 최근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로트러스트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KISA와 과기정통부는 '24년부터 제로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을 시작했으며, 공공•민간 환경에서 제로트러스트 개념을 적용한 보안 모델을 개발하고 실증까지 지원해 왔다. 올해 시범사업은 민간 분야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 확산을 위해 기업의 실사용망에 적용할 수 있는 제로트러스트 3대 핵심 요소(인증체계 강화,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소프트웨어 정의 경계)를 반영한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을 수요기업의 실제 시스템에 맞게 구현하고, 적용 및 운영까지 추진한다.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은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눠 세분화된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보안 방식을 말한다. 최종 선정된 6개 과제는 ▲AI 클라우드 인프라 보호를 위한 제로트러스트 시범사업(주관: 이니텍, 참여: 아스트론시큐리티, 피앤피시큐어, 큐비트시큐리티) ▲금융 부문 모바일 개발환경 제로트러스트 보안모델 도입 사업(주관: 에스지에이솔루션즈, 참여: 앤앤에스피, 에스에스알) ▲SaaS 환경 저변 확대에 따른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보안실증 사업(주관: SK쉴더스, 참여: 넷츠, 모놀리, 자이온, 소프트캠프), ▲데이터 중심의 제로트러스트 오버레이 금융망 구축(주관: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참여: 아이티센피엔에스, 소프트버스, 파이오링크), ▲SSE 플랫폼 기반 제로트러스트 보안모델 실증(주관: 모니터랩, 참여: 안랩, 라온시큐어, LG유플러스) ▲제로트러스트 기반 범용 인증(클라우드 및 특수망) 접근제어 시스템 구축사업(주관: 이스트시큐리티, 참여: 시큐어링크, 사이시큐연구소, 옥타코)이다. 'SSE(Security Service Edg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주요 보안기능을 통합해 원격 사용자에게 안전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이다. KISA 오진영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국민 디지털 안전 강화를 위한 디지털 혁신 기술 기반의 신규 보안 과제 발굴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KISA는 앞으로도 디지털 신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에 따라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 맞서기 위해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내실 강화와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09 10:16방은주

HCL소프트웨어, 차세대 지능형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 HCL UnO Agentic 출시로 비즈니스 최적화 가속화

노이다, 인도, 2025년 5월 8일 /PRNewswire/ -- HCL테크(HCLTech)의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자회사이자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업체인 HCL소프트웨어(HCLSoftware)가 HCL Universal Orchestrator (UnO) Agentic의 출시를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기업 리더, 개발자, 비즈니스 사용자가 전통적인 작업 자동화를 넘어 AI 에이전트, 로봇, 사람, 시스템 간 워크플로우를 원활하게 조정해 자율적인 워크플로우 관리와 지능형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반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실시간 프로세스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다양한 시스템 간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여 비즈니스 운영을 혁신하는 기존의 검증된 HCL Universal Orchestrator를 기반으로 하는 HCL UnO Agentic은 기업 오케스트레이션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한 HCL Automation Orchestrator Suite의 일부인 HCL UnO는 에이전트형 AI에 기반한 지능형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통해 조직이 비즈니스 핵심 프로세스 및 워크플로우에 자율 AI 에이전트를 원활하게 통합함으로써 전례 없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CL소프트웨어는 AI 기술 혁신을 인정받아 2024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Gartner® Magic Quadrant™)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플랫폼 부문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AI 기반 자동화는 생산성과 비즈니스 유연성의 핵심 요소로 오랫동안 자리 잡아왔다. 에이전트형 오케스트레이션의 도입으로 기업은 정의된 프로세스 가드레일 내에서 기능 간 생각, 학습, 추론, 지속 적응 및 지능적 조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가트너는 "2028년까지 일상 업무 결정의 최소 15%가 에이전트형 AI를 통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의 0%에서 증가한 수치"라고 예측했다. 에이전트형 오케스트레이션의 핵심 요소는 거버넌스, 가시성, 제어다. 또한 AI 에이전트와 다양한 AI 프레임워크 전반에서 규정준수, 신뢰, 보안, 위험관리를 지원하고 관찰가능성을 자동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HCL UnO Agentic을 통해 기업은 기업 워크플로우에 대한 완전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거버넌스 및 관찰이 가능한 신뢰할 수 있는 에이전트를 통해 규정에 따른 실행과 자율적 의사결정을 촉진해 자율적 워크플로우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HCL 소프트웨어의 칼얀 쿠마르(Kalyan Kumar) 최고제품책임자는 "조직이 에이전트형 AI를 운영에 통합해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 효율성을 혁신하려 할 때 다중 AI 에이전트를 원활하게 연결해 에이전트 지능을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기업 내부에 직접 통합해주는 유연한 엔터프라이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 필요하다"라며 HCL UnO는 에이전트형 AI를 핵심으로 이러한 전환을 선도하며,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민첩성과 비즈니스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HCL UnO는 결정론적 및 확률적 실행을 통합함으로써 인간과 지능형 시스템이 협력해 기업 운영의 미래를 혁신한다"고 덧붙였다. HCL UnO Agentic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능형 워크플로우 설계: UnO Agentic Builder나 UnO Designer와 같은 시각적 도구를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AI 에이전트를 포함한 워크플로우를 모델링하여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접근 방식: 에이전트형 AI와 규범적 워크플로우를 결합한 통합 자동화 시나리오를 원활하게 실행해 양측의 장점을 모두 활용한다. 하이브리드 워크플로우 관리: 규정 준수/고위험(기존) 및 저위험/고영향(에이전트형) 시나리오를 하이브리드 워크플로우의 일부로 오케스트레이션한다. 엔터프라이즈 통합: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ERP, 메인프레임 및 클라우드와의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광범위한 플러그인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엔터프라이즈 통합을 구현한다. HCL UnO Agentic을 통해 조직은 처리 속도 최대 60% 향상, 수동 오류 70% 이상 감소 등 비용 절감과 비즈니스의 수익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HCL Universal Orchestra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HCL 소프트웨어 소개 HCL테크(HCLTech)의 소프트웨어 부문 자회사인 HCL소프트웨어(HCLSoftware)는 소프트웨어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다. 비즈니스 및 산업, 지능형 운영, 총체적 경험(TX), 데이터 및 분석,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 마케팅, 판매 및 지원하고 있다. HCL소프트웨어는 고객 성공에 대한 헌신과 진정성, 포용, 가치 창출, 사람 중심, 사회적 책임이라는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고객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한다. 오랫동안 개척정신을 실천해 온 HCL소프트웨어는 현재 포춘 100대 기업의 대부분과 포춘 500대 기업의 약 절반을 포함한 2만여 조직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www.hcl-software.com을 방문하면 HCL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기업의 목표 달성을 도울 수 있는지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GARTNER는 미국 및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Gartner, Inc. 및/또는 그 계열사의 등록 상표 및 서비스 마크이며 MAGIC QUADRANT는 Gartner, Inc. 및/또는 그 계열사의 등록 상표이며 허가를 받아 본 문서에 사용되었다. All rights reserved. Gartner는 자사 연구 간행물에 언급된 벤더, 제품 또는 서비스를 보증하지 않으며, 기술 사용자에게 최고 등급 또는 기타 명칭을 받은 벤더들만 선택하라고 권고하지 않는다. Gartner 연구 간행물은 Gartner 연구 기관의 의견으로 구성되며, 사실 진술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Gartner는 특정 목적을 위한 시장성 또는 적합성에 대한 보증을 포함해 본 연구와 관련된 모든 명시적 또는 묵시적 보증을 부인한다. Gartner, Magic Quadrant for Service Orchestration and Automation Platforms, Hassan Ennaciri, Chris Saunderson, Daniel Betts, Cameron Haight, 2024/9/11

2025.05.08 22:10글로벌뉴스

온리팬스 창립자 팀 스토클리, 모든 크리에이터 위한 신규 플랫폼 SUBS.COM 출시

런던, 2025년 5월 8일 /PRNewswire=연합뉴스/ -- 테크 기업가 팀 스토클리(Tim Stokely)는 모든 유형의 크리에이터가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더 많은 구독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리팬스(OnlyFans)의 창립자다. ONLYFANS FOUNDER, TIM STOKELY, UNVEILS SUBS.COM: A NEW PLATFORM FOR ALL CREATORS 이 브랜드 친화적인 크리에이터 중심의 플랫폼을 만든 스토클리가 이번에는 팟캐스터와 운동선수부터 음악가, 인플루언서, 성인 콘텐츠 크리에이터까지 모든 크리에이터를 위한 새로운 글로벌 구독 플랫폼 Subs.com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스토클리 CEO가 구독 경제 분야 리더로 활동하며 얻은 지식을 활용해 설계한 Subs는 동영상 호스팅, 유료 구독, 1:1 상호작용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효율적으로 통합한 모바일 중심 플랫폼이다. 팀 스토클리 Subs CEO 겸 창립자는 "크리에이터들이 한 곳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는 구독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분명히 존재한다"면서 "크리에이터들이 원하는 것들을 바탕으로 Subs를 구현했다. 이 플랫폼은 특정 유형의 크리에이터뿐만 아니라 모든 크리에이터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토클리 CEO는 이어 "모델 카일리 제너(Kylie Jenner)가 자신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0.5%만 Subs로 전환하게 한 뒤 월 구독료로 10달러만 부과해도 구독 수익만으로 월 2000만 달러를 벌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발견 가능성, 더 많은 수익 창출 방법. 크리에이터를 위한 올인원 플랫폼인 Subs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탐색 (Explore) - 새로운 시청자에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발견 피드 쇼 (Shows) - 긴 동영상, 팟캐스트, 시리즈물을 자체 노출 기능과 함께 호스팅 1:1 오디오 및 영상 통화 - 구독자와 실시간 대화를 통해 수익 창출 수익 공유 - 다른 크리에이터와 협업하고 수익을 나누기 파트너 프로그램 - 성장 촉진에 기여한 크리에이터와 에이전시에 보상을 제공하는 2단계 추천 시스템 안전 . 보안 . 포용 . Subs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는 인공지능(AI) 기반 도구와 엄격한 연령 및 신원 확인 시스템 등의 첨단 시스템을 활용해 모니터링된다. 이는 크리에이터가 만드는 콘텐츠의 카테고리와 상관없이 특정한 틀에 얽매이지 않은 채 안전하게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시청자를 유료 구독자로 전환 크리에이터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Subs는 시청자를 유료 구독자로 전환하는 과정을 간편하게 만들어 시청자를 수익으로 연결해준다. 스토클리 CEO는 "우리는 단순히 기존에 해왔던 일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크리에이터가 더 효과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독특하고 흥미로운 기능이 탑재된 더 영향력 큰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Subs는 쇼 기능을 통해 유튜브(YouTube) 스타일의 시청 경험을 제공하지만, 시청자가 동영상을 보다가 크리에이터의 유료 프로필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게 주요 특징이다. 시청자는 단 한 번의 클릭으로 독점 콘텐츠를 잠금 해제하거나 크리에이터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동영상 통화를 예약할 수 있다. Subs는 크리에이터에게 이 트래픽을 매끄럽게 수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크리에이터와 유명인이 팔로워를 유료 구독자로 쉽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게 해준다. Subs 소개 Subs.com은 업계 리더들이 만든 구독 기반 플랫폼으로, 크리에이터들이 다양한 콘텐츠 분야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사업을 구축하고, 수익화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규 크리에이터부터 대형 에이전시까지 Subs는 성장과 장기적 성공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를 제공한다. www.subs.com 발표 동영상: https://subs.com/shows미디어 문의: press@subs.com or +44(0)7539685021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678866/Tim_Stokley.jpg?p=medium600

2025.05.08 18:10글로벌뉴스

'민주적 AI' 확산 내세운 오픈AI…각국 정부와 '국가별 AI 인프라' 구축

오픈AI가 전 세계 각국 정부와 협력해 국가 단위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기술 현지화를 추진해 중국계 AI 모델의 확산을 견제하고 서구 기술 표준을 확립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8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오픈AI 포 컨트리(OpenAI for Countries)'라는 새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은 각국 정부와 협력해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회사의 제품을 해당 국가의 언어나 정책 수요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골자다. 초기 목표는 열 개 국가에서 AI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다. 프로젝트의 자금은 오픈AI와 각국 정부가 공동 부담하나 구체적인 대상 국가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오픈AI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민주적 AI 확산"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기술의 지역 확산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계 AI 모델과의 글로벌 경쟁 구도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같은 움직임은 오픈AI가 미국 내 테크 기업을 넘어 국제정치적 행위자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각국 정부 예산을 끌어들이며 '국가 기반 AI 동맹'을 만들려는 시도는 단순한 기술 협력 이상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는 "이 프로그램은 오픈AI의 초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Project Stargate)'와 보완적 관계에 있다"며 "'오픈AI 포 컨트리' 역시 스타게이트의 인프라를 활용하거나 그 투자자들의 자금을 끌어올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5.05.08 09:19조이환

글로벌역량강화연합, 에코스페리티에서 'GCBC 액셀러레이터' 출범 - 기후 금융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 조명 및 확대

첫 GCBC 액셀러레이터, 잠재력이 높은 프로젝트에 전문가 자문, 네트워크, 자원 접근 기회를 제공해 신흥국•개도국 (EMDE)의 전환 투자를 가속화하는 솔루션 확장 기대 싱가포르, 2025년 5월 7일 /PRNewswire/ -- 글로벌역량강화연합(Global Capacity Building Coalition, GCBC)의 메리 L. 샤피로(Mary L. Schapiro) 의장이 오늘 에코스페리티 위크 2025(Ecosperity Week 2025) 행사에서 'GCBC 액셀러레이터(GCBC Accelerator)' 출범을 공식 발표했다. GCBC 액셀러레이터는 지속 가능한 금융을 동원해 신흥국•개도국(EMDE)의 투자 및 역량 격차 해소를 지원하는 역량 강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조명하며 지원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이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EMDE 내에서 또는 EMDE를 위한 역량 강화를 전담하는 조직,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며, 에너지 전환 확대에 필요한 기후 금융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활동을 널리 알리고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신청자는 지속 가능한 금융 동원, 기후 역량 구축, 혁신 촉진의 세 가지 부문 중 하나에 응모할 수 있다. 중국을 제외한 EMDE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연간 미화 2조 5천억 달러의 자금 조달 격차에 직면해 있다. 이 중 약 절반은 국내 자원 동원을 통해 충당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성장의 전환점을 만들 획기적인 기회가 된다. 현지 금융기관과 금융 전문가의 역량을 강화하는 일은 투자 잠재력을 열어주는 핵심 수단이다. 그러나 오늘날 에너지 전환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확산하는 데 필요한 역량 강화 자원은 파편화돼 있고, 접근이 어렵거나, 불균형하게 배분되는 경우가 많다. GCBC 액셀러레이터는 이러한 장벽 해소를 목표로, 자본이 가장 필요한 곳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돕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를 조명하고 지원하고자 한다. 메리 샤피로 GCBC 의장 겸 '탄소중립을 위한 글래스고 금융연합( Glasgow Financial Alliance for Net Zero , GFANZ)' 부의장은 "신흥국•개도국은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자원, 지원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며, 더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경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혁신적인 노력을 발굴하고 확산하기 위해 설계됐다. GCBC는 이 중대한 과업에 참여하는 금융기관, 시민사회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을 지원하고 그 영향력을 확대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GCBC는 선정된 액셀러레이터 이니셔티브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전문가 자문,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지원, 파트너십 촉진, 역량 구축 활동을 위한 실용적이고 운영적인 지원이 포함된다. GCBC는 2025년 9월 뉴욕기후주간(New York Climate Week)에서 선정된 신청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기후 금융 생태계 내에서 이러한 역량 강화 노력을 인정하고 이를 확장 및 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는 EMDE 전환을 위한 기회 발굴 및 투자 가속화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 마감일은 2025년 7월 4일 오후 11시 59분(동부 표준시)이다. 글로벌역량강화연합(Global Capacity Building Coalition, GCBC) 소개글로벌역량강화연합은 전례가 없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특히 신흥국 및 개도국(EMDE)의 금융 기관 및 금융 전문가를의 기후 및 전환 금융 역량 구축을 가속화하고 확장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기후 금융 기구들이 함께 한다. 이 연합은 EMDE 금융 기관의 역량 강화 지원에 대한 증가하는 요청에 부응하고 유엔 및 G20 지속가능금융 워킹그룹(G20 Sustainable Finance Working Group, SFWG)의 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도록 설계됐다. GCBC는 2023년 12월 COP28에서 마이클 블룸버그(Michael R. Bloomberg) 유엔 사무총장 기후야망 솔루션(Climate Ambition and Solutions) 특사가 다자간 개발은행, 금융, 국제기구의 고위 지도자들과 함께 출범했다. 글로벌역량강화연합에 가입 또는 다른 방식으로의 활동 지원에 관한 내용은 secretariat@capacity-building.org로 문의한다.

2025.05.07 21:10글로벌뉴스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플랫폼≠포식자'…지속 가능한 성장 생태계 절실

K-배터리 ‘자금 총력전’ 돌입…중국 추격 맞선 생존 투자

스벅·투썸·팀홀튼, '커피 전쟁' 격화...소비자 선택은?

4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D램 가격반등 호재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