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NH투자증권 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0208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 ICT 분야에서 AI 및 생성형 AI 기술 선도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5월 30일 /PRNewswire/ -- 통신 네트워크 운영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우선 네트워크 통합이 진행 중이다. 사물인터넷(IoT) 사용이나 엔드투엔드(end-to-end) 네트워크 슬라이싱 같은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려면 고정형과 이동형 네트워크가 동시에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네트워크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진화함에 따라 유지보수와 품질 보증에 기존과 다른 기술이 요구된다. 여기에 기업용 API와 에이전틱 AI와 같은 신규 기술이 등장하면서 복잡함이 더해진다. 이러한 기술은 차별화된 세분화된 서비스에 맞게 네트워크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해주며, 단순한 '가동 시간(uptime)'보다 비즈니스 핵심 성과 지표(KPI)에 맞춰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네트워크는 적절한 아키텍처와 운영 관행을 활용해 더 높은 신뢰감을 주면서 더 다양해진 사용 사례를 지원할 수 있다. 화웨이가 줄 수 있는 도움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Huawei Intelligent Operations)은 자사의 네트워크 담당 기술 엔지니어 및 산업 표준 기구와 긴밀히 협력하여,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을 이끌면서 모든 산업 표준의 충족을 보장한다. 화웨이는 TM 포럼(TM Forum)과 긴밀히 협력하여 고객 피드백과 자사의 운영 비전을 조화시켜 서비스 중심의 운영 지표를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운영 분야에서 AI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과 통신 특화 기반 모델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면서 쌓은 방대한 경험을 최우수 운영 사례를 만드는 데 반영하고 있다. 주요 지원 사례 화웨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한 통신사와 협력해 장애가 발생한 기지국이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화웨이는 분석을 위해 '예상 수요 미충족(Expected Demand Not Served)'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이 알고리즘은 서비스 사용량이 평소보다 적을 때 이를 감지하여 이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장애가 무엇인지 찾아내어, 네트워크가 다시 원래 설계된 대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수리의 우선순위를 정해준다. 그 결과 해당 통신사의 트래픽 손실이 15%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중동 지역에서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은 FTTx(광가입자망)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확도를 크게 개선했다. 이를 위해 '지연 허용 네트워크 아키텍처(delay-tolerant network architecture)'를 활용해 무효한 작업 명령을 60% 줄이는 데 성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객 불만을 10% 감소시켰다. 유럽에서는 생성형 AI(Gen-AI)를 활용해 MTTR(평균장애처리시간)을 25% 개선했다. 화웨이는 지역 통신사와 협력해 현장 유지보수 인력을 위한 역할 기반 코파일럿(copilot) 및 다중 에이전트(multi-agent) 협업을 추진함으로써 복잡한 시나리오에 종합적으로 대응했다. Kevin Ye, President, Intelligent Operation Domain, Huawei "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은 단순히 CSP(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파트너들이 기존 운영 과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최신 기술을 활용해 회사 전반에 걸쳐 새로운 비즈니스 혜택을 창출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고 믿는다" – 케빈 예(Kevin Ye),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 부문 사장 생성형 AI 의 응용 사례 및 과제 생성형 AI가 급부상하면서 두 가지 기본 운영 모델이 탄생했다. 코파일럿과 에이전트다. 코파일럿은 인간 직원이 코딩, 시스템 구성, 서비스 품질 데이터 스트림 관리, 트러블 티켓(고장 신고) 처리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에이전트는 특정 작업이나 운영상 문제에 집중하면서 인간 직원의 감독 하에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생성형 AI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이 두 도구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환각 현상. 생성형 AI는 일반적으로 허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 훈련, 검색증강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검증 등 다양한 안전장치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와 행동을 최소화해야 한다. 높은 비용. 생성형 AI는 운영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CSP는 이 새로운 기술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AI 버전의 '핀옵스(FinOps)'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파트너는 최소 사양만으로도 원하는 결과를 생산하는 대형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을 결정할 수 있으며, 토큰 사용량을 최소화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다.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에이전틱 AI는 네트워크의 디지털 트윈과 연결된 생성형 AI 인터페이스가 강력한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이미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소스와 BSS/OSS 시스템의 통합은 복잡한 작업이다. 데이터 변환과 관리.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려면 데이터 사일로(data silo)를 분해하고, 불량 데이터를 정리하고 표준화해 다양한 형식과 소스의 데이터를 단일 저장소에 통합해놓아야 한다. 이때 경험이 풍부한 강력한 전문 서비스가 필요하다. 교육. 대형언어모델은 도메인 전문가의 교육 없이는 CSP의 문서, 트러블 티켓, 운영 프로세스 등을 이해할 수 없다. 화웨이 인텔리전트 오퍼레이션의 도움 차세대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 2025년 1월에 출시된 딥시크는 생성형 AI가 훨씬 더 효율적인 모델을 통해 현재의 모든 AI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걸 입증했다. 화웨이의 연구에 따르면 딥시크는 도메인 지식 구축과 적용, 코드 생성, 데이터 분석, 지능형 티켓 처리 등 CSP 운영에 직접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화웨이는 이러한 새로운 모델을 통신 인프라에 적용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화웨이의 ICT 운영 비전 화웨이는 새로운 기술이 지능형 가속기로 기능하는 가운데 ICT 기술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운영과 지능형 운영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높아질 것이다. 화웨이는 이러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개발(R&D)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면서 지능형 운영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다. 최근 화웨이는 TM 포럼 및 주요 통신사와 협력해 '차세대 지능형 운영 백서 3.0(New-Generation Intelligent Operations White Paper 3.0)'를 발표했다. 이 연례 보고서는 최신 비즈니스 실천 사례와 신기술 적용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2025.05.30 11:10글로벌뉴스

싱가포르, 생성형 AI의 실제 활용 사례에 대한 세계 최초 기술 테스트 결과 공개

세계 최초의 글로벌 AI 보증 시범 사업, 글로벌 테스트 기업과 생성형 AI 배포 기업이 실제 사용 사례 테스트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세계 최초의 스타터 키트, 업계에 실용적인 지침 제공 AI 싱가포르 및 UN 개발 계획, AI 리터러시 강화 및 AI 접근성 및 기회 확대 싱가포르 2025년 5월 30일 /PRNewswire/ -- 싱가포르가 '글로벌 AI 보증 시범 사업(Global AI Assurance Pilot)' 프로젝트를 통해 생성형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테스트에 관한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이 시범 사업은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새로운 규범과 모범 사례를 형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번 결과는 세계 최초의 '생성형 AI 테스트 스타터 키트'의 청사진을 제공했다. 해당 키트는 현재 산업계 의견 수렴을 위해 공개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는 아시아 테크 x 싱가포르 2025 (Asia Tech x Singapore, ATxSG)의 대표 행사인 ATxSummit 2025에서 탄 키엇 하우(Tan Kiat How) 디지털개발정보부 수석 국무장관이 발표했으며, 싱가포르가 AI 안전 확보, 신뢰할 수 있고 책임감 있는 AI의 도입 및 보급 가속화, 국제 협력을 통한 AI 공동 발전을 선도하는 중심 국가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글로벌 AI 보증 시범 사업 2. 산업 전반에서 AI의 안전한 도입을 장려하기 위해, AI 검증 재단(AI Verify Foundation, AIVF)과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 IMDA)이 공동으로 2025년 2월 '글로벌 AI 보증 시범 사업(Global AI Assurance Pilot)'을 시작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기술 테스트와 관련된 새로운 규범과 모범 사례 촉진을 목표로 한다. 해당 시범 사업은 국내외 AI 이해관계자들, 특히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생성형 AI를 실제로 도입 중인 기업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시범 사업에는 총 16명의 AI 테스트 전문가와 실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한 17개 기업이 매칭되었으며, 금융, 의료, 인사, 공공 및 민간 부문 등 10개 산업이 참여했다. 3. 시범 사업의 주요 결과 중 하나는 생성형 AI의 위험이 종종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즉 산업, 사용 사례, 문화, 언어, 조직에 따라 위험 요소가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상황에 대한 위험과 테스트의 범위를 좁히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이에 대해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수명주기 동안 분야별 전문가의 지속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권고가 도출됐다. AIVF와 IMDA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시범 사업을 계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생성형 AI 앱용 테스팅 스타터 키트 4. IMDA는 또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초의 테스팅 스타터 키트(Testing Starter Kit)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스타터 키트는 보증 시범 사업 및 실무자들과의 자문을 통해 얻은 주요 인사이트를 일반화하여, 다양한 산업과 사용 사례에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활용하는 기업들이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테스트 지침을 제공한다. 스타터 키트는 환각, 부적절한 콘텐츠, 데이터 유출, 적대적 프롬프트에 대한 취약성 등 일반적인 위험 요소들을 강조하며, 어떤 위험을 고려해야 하는지, 그리고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테스트해야 하는지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를 제시한다. IMDA는 이 스타터 키트에 대한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테스트 지침과 함께 위 네 가지 위험 요소에 대한 권장 테스트 항목에 대한 피드백도 요청하고 있다. 5. 이 스타터 키트는 '프로젝트 문샷(Project Moonshot)'과 같은 테스트 도구들과 함께 제공되며, 이는 기업들이 스타터 키트의 테스트 가이드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스타터 키트는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위험 요소와 테스트 수요를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6. 보증 시범 사업과 스타터 키트 모두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안전한 배포에 대한 기업의 역량 강화 및 AI 생태계 전반의 신뢰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싱가포르 , 자국과 전 세계의 공익을 위한 AI 활용 7. 싱가포르는 AI를 공익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믿으며, AI가 경제적 잠재력을 높이고,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시대의 필요와 도전에 대응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AI 싱가포르(AI Singapore, AISG)는 6개 시범 국가에서 AI 리터러시 증진을 위해 유엔개발계획(UNDP)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 협력은 AI 리터러시 격차를 해소하고, 개발도상국 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 전역의 국가 AI 역량 강화를 위해 2024년 처음 출범한 AISG의 성공적인AI4Good(AI for Good) 프로그램을 국제적 규모로 확장할 예정이다. AISG의 AI 학생 개발자 컨퍼런스 8. AI 싱가포르(AISG)가 주관한 AI 학생 개발자 컨퍼런스(AI Student Developer Conference, AISDC)가 인공지능 혁신과 인재 개발을 목표로 이틀간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1000명이 넘는 학생과 60여 산업 파트너들이 참여했다.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는 전국 AI 학생 챌린지(National AI Student Challenge, NAISC)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6개 아세안(ASEAN) 국가 학생들이 참여하여 LLM(대규모 언어 모델) 파인튜닝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실제 문제 해결에 도전했다. 이 컨퍼런스는 첫 번째 지역 챌린지 트랙을 통해 아세안 국가들의 참여를 확대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 전역의 AI 인재 개발 및 협력을 육성하는 싱가포르의 역할을 강조한다. 라하유 마잠(Rahayu Mahzam) 디지털개발정보부 국무장관이 이번 행사의 폐회사를 전달할 예정이다. 기술 분야의 여성 9. 조세핀 테오(Josephine Teo) 디지털개발정보부 장관은 '성공을 넘어 의미 있는 공동체 구축 – 리더들이 만드는 커뮤니티(Success to Significance – Leaders Building Communities)'라는 주제의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 이 토론에서는 기술 분야에서 성공한 여성들이 어떻게 '다음 세대를 위한 환원'의 방식으로 의미 있는 역활을 해왔으며, 또 어떻게 성공적인 여성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조명한다. 테오 장관과 함께한 패널로는 제인 순(Jane Sun) 트립닷컴(Trip.com) 최고경영자(CEO), 탄 수 산(Tan Su Shan) DBS 그룹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여했고, 패널 진행은 애니 코(Annie Koh) 싱가포르경영대학교 금융학 명예교수가 맡았다. 연락처: atxsg.imda@archetype.co

2025.05.30 11:10글로벌뉴스

워트인텔리전스, 중기부 선정 '아기유니콘' 됐다

특허 특화 AI 테크 기업 워트인텔리전스(대표 윤정호)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 아기유니콘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아기유니콘 육성사업은 유니콘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가치 300억원 이상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성장을 지원하는 중기부 대표 스케일업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총 217개사가 지원해 50개사가 최종 선정됐으며, 이 중 AI·딥테크 분야에서는 24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워트인텔리전스는 이 중 기술데이터 특화 AI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 워트인텔리전스는 특허와 기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한 고도화된 검색엔진과 전략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현재 일본과 대만 등으로 기술 수출을 진행하며 아시아 시장에서 사업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성형 AI 기반 'AI 요약 코파일럿'을 탑재해 정보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였으며, 해외 수출 성과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선정은 워트인텔리전스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특히 ▲데이터·AI·분석 알고리즘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기술 내재화 ▲대용량 글로벌 특허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역량 ▲국내 IP 업계 최초의 해외 수출 실적 등이 주요 강점으로 작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됐다. 대표 서비스로는 AI 기반 특허 데이터 검색 서비스 '키워트'와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략 분석 서비스 'IP 데이터 인텔리전스'가 있다. 키워트는 대용량 글로벌 특허 데이터를 AI로 정제·요약·분석해, 기업들이 기술 트렌드 파악, 경쟁사 분석, 시장 진입 전략 수립 등 전략적 의사결정에 특허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IP 데이터 인텔리전스는 이러한 지식재산 데이터를 실질적인 사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이다. 중기부는 2020년부터 현재까지 총 300개 기업을 아기유니콘으로 선정했으며, 선정됐던 기업 중 32개사가 기업가치 1천억 원 이상의 예비유니콘으로 성장했고, 6개사는 상장에 성공했다. 또 500억원 이상의 후속 투자 유치에 성공한 기업도 5개사에 달한다. 대표 사례로는 3천억원 이상의 누적 투자액을 유치하며 상장에 성공한 '사피엔반도체', 외화 결제 핀테크 기업 '트레블월렛' 등이 있다. 윤정호 워트인텔리전스 대표는 "이번 아기유니콘 선정은 기술 데이터라는 전문 분야에서 AI의 가능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국내 유일의 IP 분석 글로벌 스탠더드를 만드는 기업으로서, AI 기술 고도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2025.05.30 11:09백봉삼

워터, 일산호수공원 4개 주차장에 전기차 급속충전소 오픈

전기차 급속충전 네트워크 워터가 고양시 일산호수공원 내 4개 주차장에 총 26기의 급속충전기를 구축하며, 수도권 대표 수변공원에 새로운 '모빌리티 쉼터'를 조성했다. 워터는 경기도 고양시 호수공원 제1주차장부터 제4주차장까지 총 4곳에 전기차 충전소를 신규 오픈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설치된 충전소는 ▲워터 고양 일산호수공원1(200kW 급속 6기) ▲워터 고양 일산호수공원2(200kW 급속 10기) ▲워터 고양 일산호수공원3(200kW 급속 6기) ▲워터 고양 일산호수공원4(200kW 급속 4기) 등 총 26기(양팔형 13대)로 4개소에 동시 운영을 시작했다. 연간 600만 명 이상이 찾는 일산호수공원은 최근 대규모 공사를 거쳐 자연·문화 복합공간으로 재정비 중인 고양시 대표 명소다. 이번 충전소 설치는 친환경자동차법 제11조의 2 및 경기도 환경친화적 자동차 조례에 따른 공공시설 의무 설치 대상에 해당하며, 워터는 법정 기준을 상회하는 급속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시민 편의와 전기차 접근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고양시와 워터는 이번 일산호수공원 4개소 충전소 설치를 통해, 시청·체육시설 등 기존 거점에 이어 고양시 전역 주요 공공시설과 연결되는 충전 네트워크를 완성했다. 이는 시민의 일상 가까이에서 도심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대원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전기차충전사업부문(워터) 대표는 "도심 속 자연과 모빌리티가 공존하는 일산호수공원은 탄소중립 전환이 일상에서 실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공간"이라며 "도심 속 휴식 공간에서의 충전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 생태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워터는 6월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EV 트렌드 코리아 2025'에 참가해, 이번 고양 사례를 포함한 전국 주요 거점 충전소 운영 전략을 공개할 예정이다.

2025.05.30 10:54백봉삼

월급 8배 인상까지…각국이 AI 인재에게 '올인'하는 진짜 이유

주요국 AI 인재 양성 및 유치 정책 : 현황 및 시사점 AI 구인공고 3.5배 급증, 각국 정부가 대규모 인재 정책에 나선 이유 AI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면서 전 세계 주요국들이 AI 인재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경제 성장과 노동시장 변화, 국가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각국 정부는 대규모 인재 양성 정책과 해외 전문인력 유치 제도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문 AI 기술이 필요한 직업에 대한 구인 공고가 2012년 이후 모든 직업 평균 대비 3.5배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AI 인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전 세계 AI 인재 57%가 몰리는 '글로벌 블랙홀', 트럼프 2기 변수는 걸림돌 미국은 풍부한 민간 R&D와 세계적 대학교 육성 시스템, 개방적인 이민정책을 결합해 글로벌 AI 인력 블랙홀로 자리 잡았다. 2020년 'AI 이니셔티브 연간보고서'와 2021년 '국가 AI 이니셔티브실' 출범을 통해 전 주기적 지원을 실시해 왔으며, 2022년 'AI교육법'과 2023년 'NSF Educate AI Initiative' 등으로 K-12부터 대학원까지 AI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2023년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AI를 위한 행정명령'을 통해 AI 전문가 비자를 확대해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 세계 상위 20%에 해당하는 AI 연구인력 중 중국 출신이 47%로 가장 많지만, 이들 중 57%는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어 미국의 인재 흡입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과학 연구자금 삭감과 일부 폐쇄적 이민정책 가능성 등 정책 변동성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최근 1,200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이러한 혼란에 따라 미국을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중국: 신입 월급 8배 인상+정착금 1억원으로 해외 인재 대거 귀환 유도 중국은 막대한 정부 투자와 기업의 파격적 보수 책정, 거대한 인구 기반을 결합해 국내 AI 인재를 대량 양성하고 있다. 2020년 '치밍계획'을 통해 귀환 인재에게 혁신인재 및 창업인재는 100만 위안, 청년인재는 50만 위안의 정착금을 지급하고, 지방정부 1:1 매칭 펀드 지원으로 실질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2022년 '인공지능 인재양성 백서'와 2024년 '중·고등학교 AI 교육 강화 정책' 등으로 전방위적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정부, 기업이 합심하여 AI 분야를 집중 육성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AI 인적자원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한 AI 개발 업체는 신입사원 월급을 중국 대졸 신입 평균 급여의 8배가 넘는 최대 천만 원을 제시하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하고 있다. 영국: 브렉시트 후에도 상위 50개 대학 졸업자 특별 비자로 'AI 허브' 지키기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에도 글로벌 AI 리더십 유지를 목표로 2021년 '국가 AI 전략'을 수립하고, 고급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비자 제도를 대폭 정비해왔다. 'Global Talent Visa'와 '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 등을 통해 세계 상위권 대학 졸업자나 우수 연구자에게 유연한 체류와 가족 동반 혜택을 주며, AI 연구 분야에서는 UKRI를 중심으로 AI 전문 박사과정 센터와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확대해 연구 중심 인재를 육성한다. 최근 2025년 'AI 기회 행동계획'에서는 AI 분야 장학제도·평생교육·해커톤 등 인재 유입경로를 다변화하여 유럽 내 AI 허브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로즈(Rhodes), 마셜(Marshall), 풀브라이트(Fulbright) 급 AI 장학금 신설과 초기 100명의 장학생 선발 등 파격적인 인재 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일본: 배우자 취업+영주권 완화로 AI 인재 순 유출국→유입국 대반전 성공 일본은 2019년부터 본격화한 AI 전략을 토대로 인재 양성과 해외 고급인재 유입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대학-기업 협력모델을 통해 고교생부터 성인 재교육까지 전방위적 AI 교육을 확대하고, 2023년 '특별고도인재제도(J-Skip)' 등을 통해 해외 우수 인재에게 배우자 취업, 가사도우미 고용, 영주권 요건 완화 등 파격적 우대 조치를 시행하면서 최근에는 AI 인재 순 유입국으로 전환된 모습이다. 2023년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과 2024년 '생성형 AI 연구개발' 정책에서 산학협력 기반의 고급인재 육성과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강화를 강조하여 기술력과 실무 역량을 동시에 높이고 있다. 또한 EU와의 AI 인재 상호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연구 및 인재 교류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 AI 기업 81.9% "인력 부족", 인재 매력도 30~40위권에서 벗어나려면 한국은 2019년 '인공지능 국가전략' 발표 이래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 '첨단산업 해외 인재 유치·활용 전략' 등으로 폭넓은 인력 기반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기본법'으로 AI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지원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Top-Tier 비자'와 'K-Tech Pass' 등 해외 고급인재를 신속히 받아들이기 위한 비자 사다리 구축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국내 다양한 디지털 인력 양성 정책 및 해외 인재 유치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 국내 AI 사업 영위 기업 2,354곳 중 81.9%가 "AI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한국의 인재 유치 매력도가 세계 30~40위권에 머물러 있으며, 2023년 AI 인재 이동 지표에서 -0.3명(10만 명당 0.3명 순유출)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FAQ Q1: AI 인재 부족 문제가 왜 이렇게 심각한가요? A1: AI 기술이 경제성장, 국가안보, 노동시장 변화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면서 전문 AI 기술이 필요한 직업 공고가 2012년 이후 일반 직업 대비 3.5배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등장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반면, 고급 전문인력 양성에는 시간이 걸려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Q2: 각국의 AI 인재 유치 정책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요? A2: 미국은 개방적 이민정책과 풍부한 연구비로 글로벌 인재를 흡수하고 있으며, 중국은 파격적인 금전적 보상으로 자국 출신 해외 인재를 대거 귀환시키고 있습니다. 일본은 종합적 우대 조치(배우자 취업, 영주권 완화 등)로 순 유입국으로 전환했고, 영국은 유연한 비자 제도와 연구 중심 환경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Q3: 한국이 AI 인재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요? A3: 석박사급 고급인재 풀의 신속한 확대, 산학협력을 통한 국내 정착 환경 조성, 해외 한국인 AI 전문가들의 귀환 유도 및 원격 활용, 그리고 글로벌 수준의 연구 환경과 보상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특히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 AI 분야 육성과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합니다. ■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AI 매터스'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5.30 10:32AI 에디터

KT SAT, 새틀라이트아시아 2025서 '다중궤도 솔루션' 공개

KT SAT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위성 전시회 '새틀라이트 아시아(Satellite Asia) 2025'에 참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7일부터 3일간 개최된 올해 행사에는 위성ㆍ우주 분야의 글로벌 사업자들이 대거 참석해 저궤도(LEO), 6G 등 위성 시장의 최신 기술과 서비스 트랜드를 공유했다. 이번 전시 부스에서 KT SAT은 다중궤도 위성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체 개발한 엑스웨이브원(XWAVE-ONE), 하이브리드 솔루션(Hybrid Solution) 등 차세대 위성 솔루션을 선보였다. 두 가지 솔루션은 모두 정지궤도, 저궤도, LTE 등 여러 종류의 통신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중궤도 위성솔루션으로서 선박, 항공기 등 모빌리티(Mobility) 고객에게 관심을 받는 상품이다. 그 중에서도 올해 출시한 엑스웨이브원은 하나의 장비에 다종통신망 구현, VNMS(Vessel Network Monitoring system) 연동, 데이터 사용량 관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스타링크 추가 데이터 결제도 지원한다. KT SAT은 차별화 솔루션을 활용한 정지궤도-저궤도 결합 통신 제공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지속 확장할 계획이다. 이에 이번 행사에서 인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주요 고객사와 미팅을 갖고 향후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인도 넬코(Nelco)와의 미팅에서는 최근 인도 정부에서 발표한 신우주 정책에 따른 시장 확장 추세를 공유하고 정지궤도 서비스 분야에서의 양사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필리핀 시그널티비(CignalTV), 지샛(GSAT)과도 필리핀 위성방송(DTH) 사업 확대 계획에 논의하는 등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 KT SAT 서영수 대표는 “엑스웨이브원, 하이브리드 솔루션과 같이 다중궤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 솔루션을 지속 개발하여 고객가치를 높이는데 힘쓰겠다”며 “보다 완성도 높은 다중궤도 서비스를 통해 인도, 필리핀 등 글로벌 위성 시장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2025.05.30 10:25최이담

넷앤드, '2025 파트너 데이' 개최···"미래 성장 공유"

통합 접근제어 및 계정관리(IAM) 전문기업 넷앤드(대표 신호철)는 주요 파트너사 대표 및 영업 담당자를 초청해 '2025 넷앤드 파트너 데이'를 29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신제품 출시에 따른 향후 사업 전략을 공유하고, 파트너사와의 소통과 협력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넷앤드는 이날 행사에서 다음달 정식 출시를 앞둔 SSH CA 키 관리 솔루션 'SecureKey(시큐어키)'를 소개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영업 마케팅 전략과 파트너사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SecureKey'는 SSH CA 서명 기술을 적용해 기존 공개키 기반 인증 방식의 관리 및 보안 취약점을 보완한 키 관리 솔루션이다. 사용자 SSH 키를 서버에 일일이 등록할 필요가 없어 클라우드나 컨테이너 등 동적 인프라 환경에 최적화돼 있다. 최근 제로트러스트 및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고객 문의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SecureKey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영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다. 이와 함께 넷앤드는 자사의 핵심 솔루션인 '하이웨어(HIWARE)'의 기술 고도화에 따른 다양한 지원 방안도 발표했다. HIWARE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액티브디렉토리 등 주요 인프라 장비에 대한 접근제어와 계정관리를 통합 제공하는 IAM 솔루션이다. 국내외에서 검증된 기술력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넷앤드는 파트사들이 변화하는 IT 인프라 환경과 보안 이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SecureKey를 비롯한 다양한 신제품을 지속 출시할 계획이다. 또, 파트너사의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해 기존 솔루션의 기능 개선과 기술 지원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호철 대표는 “이번 행사는 신제품 출시와 함께 넷앤드의 미래 성장 전략을 파트너들과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영업 노하우, 기술 지원, 공동 마케팅 등 다양한 지원을 아낌없이 제공하며,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비즈니스 기회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넷앤드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파트너 행사를 통해 파트너사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상생의 가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05.30 10:21방은주

렉서스, KPGA 렉서스 홍보대사에 'LX 700h' 제공

렉서스코리아는 '팀 렉서스' 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소속 박상현(동아제약), 함정우(하나금융그룹) 선수에게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LX 700h'를 제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차량 제공은 선수들이 바쁜 투어 일정과 훈련을 효율적으로 소화하고,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박상현 선수와 함정우 선수는 각각 2021년과 2020년부터 '팀 렉서스' 홍보대사로 활약하며, 렉서스가 지향하는 차별화된 럭셔리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 철학을 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시승 리뷰 영상, 원 포인트 레슨, 토크 라운지 콘텐츠 등 브랜드와 연계한 활동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넓혀왔으며, 오는 2025년 말까지 홍보대사 활동을 이어가며 렉서스의 주요 브랜드 프로그램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에 제공한 '디 올 뉴 LX 700h'는 지난 3월 출시한 렉서스의 전동화 기술이 집약된 플래그십 SUV로, '어떤 길에서도 편안하고 고급스럽게'라는 개발 콘셉트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프레임 바디를 바탕으로 3.5l V6 가솔린 엔진과 전용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결합돼 연비와 출력을 동시에 실현한다. 강대환 렉서스코리아 부사장은 "이번 차량 제공은 어떤 길에서도 편안함과 뛰어난 주행 안정성을 제공하는 LX의 특성을 바탕으로, 선수들이 이동 중에도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며 경기력 향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렉서스코리아는 KPGA 정규 투어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오는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경기도 여주시 페럼클럽CC에서 열리며, 총상금 10억원 규모로 진행된다.

2025.05.30 10:15김재성

트위니, 태국 로봇 SI기업 VRNJ와 파트너십

트위니가 잇따라 파트너사를 선정하고 해외 자동화시장 진출을 본격 추진한다. 트위니는 29일 태국 방콕 현지에서 태국 로봇 시스템통합(SI) 업체 'VRNJ'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협약으로 VRNJ는 태국을 포함해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공장자동화 시장에 트위니가 개발한 자율주행 로봇과 운용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트위니는 VRNJ와 함께 현지 고객사별 맞춤형 로봇을 개발·지원한다. VRNJ는 태국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BKF 자회사이자 공장자동화 SI 전문기업인 VRI가 한국의 인공지능 기반 머신비전 및 품질검사 솔루션 기업 아이티엔제이와 함께 설립한 조인트 벤처 법인이다. 최근 국내 대기업 A사와 협동로봇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동남아 제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 확대를 견인하는 핵심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트위니는 앞서 아세테크, 인택솔루션 등과 국내외 물류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이들 회사의 유통망을 통해 나르고 오더피킹 등의 확산을 꾀하기로 했다. 천영석 트위니 대표는 "인력 부족으로 자동화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태국 등 동남아 지역 공장자동화 고객 발굴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위니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해외 클러스터 교류협력 지원사업을 통해 28~30일 사흘동안 태국 방콕에서 진행한 '2025 한-아세안 서비스테크·스마트시티 데이'에 참가해 협력을 모색했다.

2025.05.30 10:00신영빈

中 딥시크, 신규 가성비 추론모델 공개…"단일 GPU로 고성능 구현"

가성비 인공지능(AI)으로 돌풍을 일으킨 중국의 스트타업 딥시크가 고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실행 가능한 새로운 추론 모델을 공개해 주목받고 있다. 30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딥시크는 자사 대표 AI 모델 'R1'의 매개변수 크기를 줄인 '딥시크-R1-0528-큐원3-8B'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80억 규모 매개변수를 갖춘 추론 모델로, 이달 알리바바가 공개한 큐원3 모델에 자체 생성한 합성 사전 학습 데이터와 고도화된 추론 알고리즘을 파인튜닝해 개발됐다. 딥시크는 이번 모델이 논리 추론과 수학적 사고 등 고차원 문제 해결 영역에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동급 모델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딥시크 측에 따르면 딥시크-R1-0528-큐원3-8B는 수학 경시인 AIME 2025에서 구글의 '제니마이-2.5 플래시'보다 높은 문제 해결 능력을 보였다. 또 다른 수학 기술 테스트인 HMMT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출시한 소규모 제품 '파이-4 플러스'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딥시크-R1-0528-큐원3-8B는 일반 모델 대비 컴퓨팅 연산량이 훨씬 적다는 게 강점이다. 알리바바의 큐원 모델은 구동하기 위해 다량의 엔비디아 H100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요한 반면, 이번 출시된 딥시크 모델은 단일 GPU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딥시크-R1-0528-큐원3-8B는 오픈소스로 공개돼 누구나 제약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인 LM 스튜디오에서도 모델을 API로 제공 중이다. 딥시크는 허깅페이스를 통해 "딥시크-R1-0528-큐원3-8B는 추론 모델에 대한 학술 연구와 소규모 모델을 활용해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모두를 위한 AI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2025.05.30 09:52한정호

에코프로, '굿사이클링' 캠페인 6년 연속 동참

에코프로 임직원들이 물품 기증을 통해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굿사이클링 캠페인'을 실시했다. 에코프로는 최근 포항캠퍼스와 오창 본사에서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인 굿윌스토어와 함께 '2025 굿사이클링 캠페인 기부물품 전달식'을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굿윌스토어는 재사용 가능한 의류, 신발, 생활용품, 인형, 전자기기 등 물품을 기증받아 이를 판매한 수익금으로 장애인 직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원순환을 통해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굿사이클링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굿사이클링은 굿윌스토어와 리사이클링의 합성어를 의미한다. 에코프로는 2020년부터 6회 연속 굿사이클링 캠페인에 동참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포항캠퍼스와 오창 본사, 서울사무소, 화성사업장 등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캠페인에는 임직원 총 300여명이 참여해 물품 3천500점을 기부했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환경 보호에 앞장서고 있는 에코프로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자원순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임직원 모두가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고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5.30 09:41김윤희

삼성중공업, 친환경 LNG운반선 기술로 유럽 시장 정조준

삼성중공업이 세계 3대 조선해양 전시회 중 하나인 '노르쉬핑 2025'에 참가해 친환경 선박 기술과 글로벌 시장 대응 전략을 공개한다. 삼성중공업은 내달 2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노르쉬핑 2025'에 참가한다고 30일 밝혔다. 노르쉬핑은 격년 주기로 선박 및 해양∙에너지 산업 최신기술을 선보이는 국제 전시회로 글로벌 조선해양 산업과 시장 변화를 조망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논의하는 장이다. 1965년 시작해 올해로 60주년을 맞이한 '노르쉬핑 2025'에는 전 세계 약 1천개 유관 단체, 기업이 참석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에서는 최성안 대표와 오성일 영업본부장, 장해기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이 참석해 주요 선주∙선급, 글로벌 에너지 기업 등을 만날 계획이다. 삼성중공업은 행사 기간 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적용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기술 승인과 3카고 탱크 LNG 운반선 업무 협약도 체결할 예정이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부사장은 "이번 행사에서 친환경 선박 기술력과 글로벌 협업 능력을 입증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5.05.30 09:21류은주

확 바뀌는 iOS26…7가지 새 기능 '눈에 띄네'

애플이 차세대 아이폰 운영체제(OS) 이름을 iOS 19에서 iOS 26으로 바꾸면서 대대적인 소프트웨어 개편을 준비 중이다. iOS 뿐 아니라 아이패드OS를 비롯한 다른 소프트웨어도 버전 번호 대신 출시 연도가 이름에 붙게 될 것으로 보인다. IT매체 폰아레나는 29일(이하 현지시간) 애플이 연례개발자회의(WWDC 2025)에서 공개할 iOS26의 새로운 기능 7가지를 모아서 소개했다. 애플은 다음 달 9일 WWDC를 개최할 예정이다. 1. 반투명 디자인 이번 업데이트는 비전 프로의 비전OS와 유사한 디자인 변화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애플은 일부 기본 앱에서 유리처럼 부드러운 효과, 반투명 메뉴, 움직이는 탭 바를 추가할 예정이다. 가장 큰 변화는 앱 아이콘으로 애플은 기존의 사각형 모양을 버리고 약간 더 둥근 아이콘을 선보일 예정이나 완전한 원형은 아닐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탐색 기능도 더욱 간소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인공지능(AI)으로 똑똑해지는 배터리 iOS 26에는 사용자의 휴대폰 사용 방식을 학습하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조정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AI 기반 배터리 최적화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 기능은 애플 인텔리전스 중 일부로 아이폰15 프로, 아이폰16, 올 가을 출시될 아이폰17 등 최신 아이폰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에어팟의 실시간 번역 애플은 iOS 26과 함께 진행되는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에어팟 모델(에어팟 프로 2 또는 에어팟 프로3)에 실시간 번역 기능을 제공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기능은 여행객이나 다국어 대화를 하는 사람들에게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4. 간소화된 공용 와이파이 로그인 애플은 iOS 26에서 공용 와이파이 네트워크 연결을 편리하게 만들어 줄 새로운 동기화 기능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동안 호텔, 사무실, 헬스장 등 새로운 장소에 가면 개별 기기에서 공용 와이파이에 접속해야만 했다. 하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을 사용하면 하나의 기기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다른 애플 기기에도 동기화된다. 5. 향상된 접근성 강화 애플은 앱스토어 앱이 지원하는 접근성 기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접근성 라벨(Accessibility Nutrition Labels)' 기능을 포함해 시각 장애인이나 저시력 사용자들을 위해 시스템 전체에서 텍스트를 읽기 쉽게 도와주는 새로운 읽기 모드(Accessibility Reader)를 지원한다. 또, 점자 기능도 도입해 아이폰 등에서 점자로 글을 쓰고 앱도 열 수 있다. 6. 새로운 게임 앱 애플이 모든 게임 활동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크로스 플랫폼 게임 전용 앱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최근 나왔다. 이 게임 앱은 사용자가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 내 업적을 추적하고 게임 콘텐츠를 탐색하고 친구 또는 다른 플레이어와 채팅할 수 있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할 예정이다. 7. 카메라 앱 재설계 마지막으로, 카메라 앱이 대대적으로 개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카메라 앱 업데이트는 비전OS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욱 부드러운 전환과 깔끔한 레이아웃을 갖춘 유동적인 인터페이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개편을 통해 제어 기능이 간소화되고 설정 접근이 더 편리해 질 것으로 보인다.

2025.05.30 08:59이정현

빅웨이브로보틱스,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선정

로봇 종합 플랫폼 기업 빅웨이브로보틱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5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육성사업은 ICT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선발해 전략 수립부터 해외 마케팅, 투자 유치, 금융·기술 지원까지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는 국가 전략 프로그램이다. 빅웨이브로보틱스는 로봇의 기획부터 도입, 운영, 확장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로봇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로봇 산업의 디지털화를 선도해왔다. 마로솔은 산업용·물류·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의 매칭, 자동화 컨설팅, 콘텐츠 제공까지 포함한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 로봇 도입 플랫폼이다. 현재 400여 개 이상의 로봇 자동화 공급사와 고객사를 연결하고 있으며, 연간 1천건 이상의 프로젝트 매칭을 지원하고 있다. 솔링크는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이다. 산업 현장에서 다종 로봇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시나리오 자동 실행, AI 연동 등 스마트팩토리에 필요한 고도화된 운영 환경을 지원한다. 솔링크는 전국 180여개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운영 중이다. 사용자 맞춤형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선정을 계기로 글로벌 로봇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고, 해외 시장 맞춤형 솔루션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민교 빅웨이브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선정은 빅웨이브로보틱스의 기술과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갖췄다는 의미"라며 "로봇 플랫폼과 관제 솔루션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글로벌 스마트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빅웨이브로보틱스는 지난 4월 'SW 고성장클럽'에도 선정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성장가능성, 혁신성, 글로벌 지향성이 높으며, 최근 3년간 성장률이 20% 이상인 국내 SW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한다.

2025.05.30 08:50신영빈

IBM, 차세대 리눅스 플랫폼 '리눅스원 5' 출시…"보안·비용 다 잡아"

IBM이 차세대 리눅스 컴퓨팅 플랫폼을 출시해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인공지능(AI) 보안 강화와 비용 절감에 나섰다. IBM은 리눅스 환경을 지원하는 'IBM 리눅스원 5'를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리눅스원 5는 인공지능(AI) 가속 기능이 내장된 IBM 텔럼 II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AI 통합을 강화했다. 특히 보안, 비용 효율성,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통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눅스원 5는 IBM의 강력한 사이버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접근법을 확장해 제로 트러스트 원칙을 한층 강화했다. 기밀 컴퓨팅, 고성능 암호화 대역폭, 양자내성 암호 알고리즘, 최신 하드웨어(HW) 보안 모듈로 복잡한 규정 준수를 쉽게 하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보호한다. AI 모델과 민감한 데이터 보호에도 초점을 맞췄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반 기밀 컨테이너, IBM 볼트 셀프 매니지드 통합으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강력한 비밀 관리와 보안 솔루션을 제공한다. 비용 절감 측면에서도 리눅스원 5는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x86 기반 솔루션에서 리눅스원 5로 클라우드 네이티브·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를 이전하면 5년간 최대 44%까지 총 소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HPE는 가용성 99.999999% 수준으로 설계돼 비즈니스 연속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데이터 집약적이고 AI를 활용하는 비즈니스의 증가하는 워크로드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된다. 핵심 기술인 텔럼 II는 2세대 온칩 AI 가속기를 탑재해 대량 거래 처리, 예측 AI, 대규모 언어 모델을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확장할 수 있게 했다. 여기에 2025년 4분기부터 IBM 스파이어 가속기가 추가돼 생성형 AI 기능까지 보완될 예정이다. IBM 리눅스원은 독립 소프트웨어(SW) 벤더와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협력으로 유연한 생태계를 구축했다. 우분투, 수세 등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을 지원하며 사용자층을 계속 넓히고 있다. IBM 관계자는 "리눅스원 5는 사기 탐지, 이미지 처리, 리테일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고객들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더 높은 효율과 보안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5.05.30 08:44김미정

아크릴, 포브스코리아 선정 '대한민국 AI 50대 기업' 2년 연속 선정

인공지능 인프라 혁신기업 아크릴(대표 박외진)은 글로벌 경제지 '포브스 코리아'가 발표한 '대한민국 AI 50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대한민국 AI 50기업'은 AI 기술력뿐만 아니라 시장에서의 실질적인 성과와 성장 잠재력을 기준으로 국내 AI 산업을 이끌어가는 기업을 선정해 조명하는 포브스 코리아의 대표 프로젝트다. '2025 대한민국 AI 50기업'은 총 924개 기업을 후보군으로 두고 등록특허 수, 투자유치액, 임직원 수, 매출 등 객관적인 평가지표에 기반해 선정이 이뤄졌다. 아크릴은 ▲기술력 ▲실질 성과 ▲지속 성장성의 성과를 바탕으로 최종 50개사에 이름을 올렸다. 아크릴은 독자적인 AI 인프라 기술을 기반으로, AI 개발과 운영 전주기를 자동화한 MLOps 플랫폼 '조나단(Jonathan)'과 의료 특화 AI 병원 플랫폼 '나디아(NADIA)'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성과를 입증해왔다. 국내 최초 감성 컴퓨팅 기술 상용화를 시작으로 MLOps 및 LLM 등 최신 인공지능 기술 전반으로 역량을 확장해온 아크릴은, 헬스케어 및 공공 분야 중심의 반복 수익 기반을 확보하며 실질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또 국내 주요 대형 병원과 협업을 통해 헬스케어 Agentic AI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고,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외진 아크릴 대표는 “2년 연속 포브스 코리아 AI 50기업에 선정된 것은 기술력뿐 아니라 실제 비즈니스에서의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뜻깊다”며 “앞으로도 독자적 AI 인프라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 혁신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아크릴은 최근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통해 본격적인 성장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엔비디아'를 목표로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이다.

2025.05.30 08:20방은주

에피백스, 최고과학책임자에 비브하 자와 박사 임명

프로비던스, 로드아일랜드, 2025년 5월 29일/PRNewswire/ -- 생물학적 치료제 및 백신의 전임상 면역원성 평가 분야의 선두 주자인 에피백스(EpiVax, Inc.)가 비브하 자와 박사(Vibha Jawa, PhD, FAAPS)를 최고과학책임자(CSO)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자와 박사는 창립자이자 이사회 의장인 애니 드 그루트 박사(Annie De Groot, MD)의 뒤를 이어 CSO로 부임하며, 드 그루트 박사는 최고과학책임자에서 최고의료책임자(CMO)로 직책을 전환했다. 자와 박사는 생물학적 제제 , 백신,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면역원성 전략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리더십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까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에서 전임상 및 임상 개발 전반의 PK(약물동태학) 및 면역원성 관련 바이오 분석 전략을 총괄하는 중개 의학 부문 전무로 재직했다. 그녀는 머크(Merck) 및 암젠(Amgen)에서도 고위직을 역임하며 면역원성 평가를 이끌었으며, 기초 연구부터 임상 개발까지 전 단계를 지원했다. 또한 다양한 치료법 분야에서 20개 이상의 성공적인 IND(임상시험계획), BLA(생물학적제제 허가 신청), MAA(시판 허가 신청) 서류 제출에 기여했으며, 인간 유전자 치료 연구소(Institute of Human Gene Therapy, UPENN) 팀의 일원으로 최초 승인된 유전자 치료 제품을 지원한 바 있다. 자와 박사는 발견부터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생물 분석 및 면역원성 분야에서 잘 알려진 오피니언 리더로 , 100편 이상의 동료 평가 논문을 저술했으며 AAPS, IQ, SC, EIP 등 저명한 과학 협회 및 컨소시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녀는 2022년 미국약학회(AAPS) 펠로우로 선정되며 업계 공로를 인정받았다 . 리치 -헨리 샤보우스키(Rich-Henry Schabowsky) 에피백스 최고경영자(CEO)는 "자와 박사를 팀에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바이오의약품, 특히 새로운 치료 접근법에 대한 그녀의 폭넓은 경험과 면역원성 위험 평가 및 완화에 대한 전문성은 우리가 업계의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방법론을 진화해 나가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피백스의 공동 창립자이자 CMO인 애니 드 그루트 박사는 "자와 박사는 2024년에 회사를 혁신하고자 시작된 'EpiVax 2.0'을 위한 완벽한 과학적 리더"라며 "그녀는 이 시점에 에피백스가 필요로 하는 바로 그 에너지를 가져다준다. 자와 박사에게 바통을 넘겨주게 되어 기쁘다. 그녀는 에피백스가 면역원성 과학의 최전선에 계속 머물며 경계를 확장하고 , 새로운 아이디어를 검증하며, 인피트로(in vitro) 데이터, 면역 정보학, 인공지능(AI) 사이의 연결 고리를 구축하고, 중개 면역학에 대한 더 높은 기준을 설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와 박사는 CSO로서 대외 및 대내적 역할을 모두 수행할 예정이다. 그녀는 주요 회의에서 에피백스를 대표하는 동시에 사내 연구 및 검증 활동을 이끌게 된다. 그녀의 리더십은 에피백스를 새로운 치료 영역으로 확장하고, 바이오의약품 및 백신 개발 분야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 더욱 굳건히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와 박사는 "에피벡스 팀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곳은 면역원성 평가 분야에서 오랜 기간 과학적 리더십을 발휘해 온 특별한 회사다. 이러한 유산을 바탕으로 팀의 접근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가장 정확하고 통찰력 있는 지원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에피백스 (EpiVax) 소개: 에피백스는 펩타이드 치료제, 생물학적 치료제, 유전자/세포 치료제, 백신의 전임상 면역원성 평가 및 서열 최적화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전 세계 기업 , 기관 및 학계와 협력해 면역원성 위험 평가, 면역 조절, 신속한 백신 설계를 가속하고 있다. EpiVax.com 언론 연락처 : 사라 모니즈 (Sarah Moniz) Smoniz@epivax.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542055/EpiVax_Logo.jpg?p=medium600

2025.05.30 00:10글로벌뉴스

[Q&AI] 사전 투표,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할까

질문: 사전 투표 가기 전 알아야 할 사항이 있다면? 그록 답변: 사전 투표를 가기 전에 알아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투표 기간 및 시간: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 투표는 5월 29일(목)부터 5월 30일(금)까지 이틀간 진행됩니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신분증 지참: 투표소에서 본인 확인을 위해 사진이 부착된 공식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장애인등록증 등)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네이버, 카카오톡, PASS 앱 등)은 앱 실행 화면으로 제시해야 하며, 캡처 이미지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투표 장소: 사전 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설치된 사전 투표소에서 가능합니다. 주소지에 상관없이 투표할 수 있습니다. 투표소 위치는 투표 안내문, 구청/시청/군청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투표소 찾기 서비스(5월 26일 공개 예정)를 통해 확인하세요. 관내/관외 투표 절차: 관내 선거인: 주민등록지와 동일한 구·시·군 내 투표소에서 투표 시,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 후 투표함에 넣습니다. 관외 선거인: 주민등록지 외 지역에서 투표 시,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받아 기표 후 봉투에 넣어 밀봉한 뒤 투표함에 넣습니다. 봉투 밀봉을 잊지 마세요(밀봉하지 않으면 무효 처리될 수 있음). 기표 시 주의사항: 반드시 투표소에 비치된 기표용구(도장)를 사용하세요. 펜이나 다른 도구로 표시하면 무효입니다. 후보자 1명에게만 기표하고, 기표칸 안에 정확히 찍어야 합니다. 여러 후보에 기표하거나 기표칸 밖에 찍으면 무효입니다. 투표소 규칙: 투표소 내에서는 사진 촬영, 소란 행위,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표지(완장, 흉장 등) 착용이 금지됩니다. 투표소 출입은 투표자, 투표 관리 직원, 참관인 등 허가된 인원만 가능합니다.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4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 시각/신체 장애가 있는 경우, 가족 또는 본인이 지명한 2명을 동반하여 투표 보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와 함께 투표소에 입장 가능하지만, 기표소에는 동반할 수 없습니다. 투표소 보안: 사전 투표소는 불법 카메라 점검 등 보안 조치가 강화되었습니다. 투표함 이송 및 보관 과정도 공개적으로 관리됩니다. 추가 팁: 투표 전, 투표 안내문을 확인하여 투표소 위치와 시간을 미리 파악하세요. 사전 투표는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니, 선거일(6월 3일)에 투표가 어려운 경우 꼭 사전 투표를 활용하세요. 투표소 찾기나 추가 문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www.nec.go.kr) 또는 선거관리과(02-3294-8321)를 참고하세요. 소중한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해 신분증과 시간을 꼭 챙기세요! ■ 해당 기사는 그록을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원문 바로가기)

2025.05.29 19:46AI 에디터

모피리처드, 중앙아메리카 시장에 진출하며 역내 첫 브랜드 체험 매장 오픈

런던 2025년 5월 29일 /PRNewswire/ -- 2025년 5월, 영국의 가전제품 선도 기업 모피리처드(Morphy Richards)가 중앙아메리카 시장 진출을 공식화하며 첫 번째 브랜드 체험 매장을 오픈했다. 이 플래그십 매장은 소비자들의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내며 모피리처드의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강한 수요를 증명했다. First experience store launch 중앙아메리카 지역의 한 주요 유통 파트너는 "현지 소비자들은 모피리처드의 영국식 전통과 혁신적인 디자인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면서 "제품이 널리 호응을 얻을 것이라 확신하며, 현지 제품군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전통과 혁신을 결합한 가전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매장은 중국 외 지역에서 오픈한 첫 번째 모피리처드 전용 매장으로, 제품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고객 참여를 강화하고 피드백을 직접 수집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설계됐다. 모피리처드는 Zeczec 플랫폼을 이용한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통해 대만 진출에도 성공하며 시장 확대 모멘텀을 이어갔다. 이번 진출은 매우 긍정적인 초기 결과를 내며 높은 잠재력을 드러냈다. 신흥 시장과 성장 잠재력이 높은 블루오션 시장에 집중한다는 전략에 따라 모피리처드는 최근 베트남, 루마니아, 폴란드, 러시아, 아랍에미리트에도 진출하며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모피리처드는 혁신에 대한 약속을 재확인하며 2025 국제가전박람회(IFA)에서 새로운 제품 공개를 계획 중이다. 추가 정보: morphyrichards.com

2025.05.29 19:10글로벌뉴스

아부다비, 2025년 'GAMES OF THE FUTURE(게임즈 오브 더 퓨처)' 개최지로 확정

UAE 수도, 2025년 12월 18~23일 랜드마크적인 피지털 스포츠 이벤트로 전 세계 맞이 어스파이어 , 2025년 ' Games of the Future ( 게임즈 오브 더 퓨처)' UAE 운영 주체로 선정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5년 5월 29일 /PRNewswire/ -- Games of the Future(게임즈 오브 더 퓨처)의 글로벌 관리 기구인 피지털 인터내셔널(Phygital International)이 2025년 대회 개최 도시로 아부다비를 공식 발표했다. 대회는 2025년 12월 18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된다. Athletes Competing in the Physical Side of Phygital Shooter Games of the Future(게임즈 오브 더 퓨처)는 첨단 기술 혁신과 엘리트 경기력을 결합한 대회로, 아부다비는 이번 대회를 통해 피지컬+디지털(phygital) 스포츠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번 다종목 스포츠 이벤트에서는 Phygital Football(피지털 풋볼), Phygital Shooter(피지털 슈터)를 포함한 혁신적인 피지털 종목들과 테크 스포츠, e스포츠 등이 함께 펼쳐질 예정이다. 선수들은 각 피지털 종목에서 먼저 해당 스포츠의 디지털 버전으로 경쟁한 후, 현실에서 동일한 스포츠로 경쟁한다. 최종 결과는 두 단계의 성적을 합산해 결정되며, 현실과 가상이 하나로 결합된 완전히 새로운 경쟁 경험을 선사한다. 어스파이어(ASPIRE)가 이번 대회에서 UAE 운영 주체로 선정됐다. 어스파이어는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ATRC) 산하에서 대형 기술 챌린지 및 글로벌 대회 기획을 주도하는 핵심 기관으로, 이번 역할을 통해 대회의 혁신 아젠다를 총괄하고, 여러 이해관계자 간 조율, 정부 및 후원사와의 자금 조달 체계를 조정할 예정이다. 에타라(Ethara)는 중동 지역 최고의 라이브 이벤트 관리 기업으로 행사 실행 파트너로 참여해, 경기장 운영, 물류, 팬 경험 등 전 과정을 총괄한다. 또한 홍보 활동과 스폰서십 및 파트너십 확보를 통해 상업적 성공을 위한 핵심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아부다비 국립전시센터(Abu Dhabi National Exhibition Center, ADNEC)가 이번 대회의 공식 개최 장소로 확정됐으며, 세계적 수준의 시설을 통해 피지털 스포츠 경기와 팬 경험 전반을 위한 무대를 제공한다. 니스 해트 (Nis Hatt) 피지털 인터내셔널의 최고경영자(CEO)는 "수천 명의 피지털 선수들과 클럽, 팬들이 'Games of the Future 2025(게임즈 오브 더 퓨처 2025)'를 위해 아부다비에 모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스포츠와 기술에 대한 대담한 비전을 지닌 UAE는 이 획기적인 이벤트를 위한 완벽한 무대가 될 것이다. 초대 대회 이후, 피지털 스포츠는 글로벌 무브먼트로 성장했으며, 올해 대회는 지금까지 중 가장 역동적인 대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스테판 팀파노 (Stephane Timpano) 어스파이어의 최고경영자( CEO)는 "UAE 운영 주체로서 'Games of the Future Abu Dhabi 2025(게임즈 오브 더 퓨처 아부다비 2025)를 통해 스포츠와 기술, 상상력이 융합되는 글로벌 플랫폼을 만들어가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AI 기반 모빌리티부터 몰입형 디지털 경험에 이르기까지, 아부다비는 혁신과 실제 영향력이 만나는 곳이다. 올 12월, 전 세계인들을 ADNEC에서 맞이하게 될 이 대회가 미래 스포츠와 기술에 영감을 주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최고 수준의 경기뿐만 아니라 가상 현실 몰입형 팬 참여 존, 문화 행사 및 기술 쇼케이스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전 세계로 생중계된 초대 대회는 100여 개국에서 20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했고, 30만 명 이상의 관중과 팬들을 끌어모았다. 'Games of the Future: Abu Dhabi, 2025(게임즈 오브 더 퓨처: 아부다비 2025)'는 기술과 도전, 실험 정신이 살아 숨쉬는 중동 지역의 새로운 관객들에게 게임을 선보이며, 피지털 운동의 새로운 이정표로 기록될 예정이다. 강력한 다음 장을 열며, 야망, 실험, 기술의 대담한 적용이 번성하는 중동의 새로운 관객에게 게임을 선사한다. 아부다비는 혁신과 문화적 역동성이 독특하게 조화를 이루는 이 무대에서 전례 없는 글로벌 경험을 선보일 준비를 마쳤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98798/Phygital_International_Athletes.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98799/Phygital_International_Football.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29536/5323689/Phygital_International_Logo.jpg?p=medium600 Phygital Clubs Competing in Phygital Football

2025.05.29 19:10글로벌뉴스

  Prev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독자 AI 프로젝트, K-AI 깃발 올렸다…10조 업고 G3 향해 출항

희비 갈린 뷰티 라이벌...아모레 ‘재정비’ 성공 vs LG생건 ‘중국 리스크’

[르포] 獨 자동차 도시에 나타난 '전동화' 바람…IAA 2025 본격 개막

[UDC 2025]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결제 재편 전략 자산"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