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비티, 지스타 2025서 '라그나로크3'·'어비스'로 IP 확장 선언
[부산=최병준, 이도원, 김한준, 정진성 기자] 그라비티가 지난 13일 지스타 2025 현장에서 진행된 미디어 간담를 통해 그라비티가 라그나로크 IP의 정식 넘버링 신작 '라그나로크 3'와 신규 액션 MMORPG '라그나로크 어비스'를 나란히 공개했다. 두 작품은 모두 원작의 정체성과 감성을 계승하면서도 대규모 전투, 자유로운 빌드와 탐험, 멀티 플랫폼 대응 등 현재 온라인 게임 시장 트렌드에 맞춘 변화를 전면에 내세웠다. 라그나로크 3 발표를 맡은 그라비티 정기동 사업 PM은 정규 넘버링을 붙인 이유에 대해 “원작 라그나로크의 감성을 그대로 이어가면서, 퀄리티와 디자인 철학, 콘텐츠 볼륨을 현대적인 기준에서 한 단계 끌어올린 타이틀”이라고 설명했다. 라그나로크3 개발은 조이메이커와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 중이다. 양사는 이미 '라그나로크 오리진' 글로벌 서비스로 협업 경험을 쌓은 만큼, 라그나로크 IP에 대한 이해와 개발·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정식 넘버링에 걸맞은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게임 구조 측면에서 라그나로크 3는 대규모 전투와 자유로운 캐릭터 빌드를 핵심으로 잡고 있다. 수백 명 단위 필드 전투와 길드 단위 공성전, 국가 대항전 형식의 길드전이 주요 축으로 거론됐으며, 개발팀은 내부적으로 약 1000명 규모의 영토전 콘텐츠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비공개 GvG 테스트는 한국, 태국, 대만, 자카르타 등 여러 지역에서 동시에 진행해 글로벌 동시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운영 데이터를 점검한 상태다. 정기동 PM은 경쟁적·협력적 플레이에 부담을 느끼는 이용자를 위해 1인 플레이와 5인 소규모 던전 등 개인·소규모 파티 위주의 콘텐츠도 병행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즌제 운영과 꾸준한 메타 변화도 라그나로크 3의 특징으로 제시됐다. 개발팀은 시즌을 대략 2~3개월 단위로 끊어 운영할 계획이며, 시즌 테마에 따라 도적 계열이 강세인 시즌이 올 수도 있고, 기사 계열이나 특정 직업군이 중심이 되는 시즌이 올 수도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스킬 구조와 신규 기믹, 특정 직업 특화 요소, 신규 레이드·웹 콘텐츠 등을 시즌마다 순환 투입해 “한두 가지 효율만 남는 고착화된 빌드”를 피하고, 빌드 연구 자체가 게임의 재미가 되도록 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서비스 지역과 국내·글로벌 동시 론칭 여부는 아직 검토 단계지만, 정기동 PM은 “관심이 높은 만큼 한국과 해외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라그나로크 어비스는 그라비티 선상웅 PM과 자오 갱 디자인 디렉터가 소개했다. 어비스는 2D 쿼터뷰가 아닌 풀 3D 시점을 채택한 액션 MMORPG로, 원작의 마을·보스·BGM을 3D로 다시 구현하면서도 완전히 새로운 세계관과 모험 구조를 얹은 작품이다. 선상웅 PM은 “이번 작품의 키워드는 자유”라고 규정하며, 스토리 진행뿐 아니라 탐험, 전투, 커스터마이징, 거래 시스템 전반에서 이용자의 선택 폭을 넓히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세계관은 라그나로크 세계 안에 존재하는 비밀 기업 '레켐벨리'가 세계를 장악하려는 갈등 구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게임은 노 타깃팅 기반의 액션 전투를 내세우며, 모바일과 PC를 아우르는 크로스 플랫폼으로 개발 중이다. 필드와 마을을 하나의 거대한 맵으로 통합한 '원맵' 구조를 도입해 지역 간 이동 로딩을 없앤 점도 특징이다. 넓어진 필드 환경에 맞춰 카프라 NPC를 곳곳에 배치해 순간이동 편의성을 보완했고, 낮·밤·새벽과 눈·비·폭풍 등 기상 변화를 게임 플레이와 이벤트에 연동해 오픈월드 탐험의 분위기를 살렸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과 코스튬 시스템도 어비스의 강점으로 강조됐다. 얼굴 이목구비부터 눈동자까지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과 다양한 부위별 코스튬이 준비돼 있으며, 필드 탐험과 퍼즐형 던전, 보물 상자, 거래소 등 게임 내 여러 콘텐츠에서 코스튬과 장비를 획득·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개발팀은 “비슷한 캐릭터가 거의 없을 정도로 조합 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전투 시스템은 원작 라그나로크의 스킬 트리를 계승하면서도 어비스 전용 고유 스킬과 서브 패시브를 추가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됐다. 이용자는 노력과 플레이 타임을 통해 스킬을 모두 세팅할 수 있으며, 필드·PVE·PVP에서 사용 가능한 '공통 스킬'을 얻어 전투 양상을 다변화하는 구조다. 3대3, 5대5 PVP와 60대60 대규모 전투, 공성전 등이 준비 중이며, 개발팀은 “PK와 PVP 요소가 게임 수명을 연장하고 변수와 긴장감을 만들어 준다고 보고 메인 축으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탐험 콘텐츠인 '탐원' 역시 주목할 만한 요소다. 넓은 필드 곳곳에 숨겨진 보물 상자와 퍼즐형 던전을 배치해, 단순 자동 사냥이 아니라 수수께끼를 풀고 숨은 경로를 찾는 방식으로 장비와 코스튬을 파밍하도록 설계했다. 선상웅 PM은 탐험을 “부가 요소가 아니라 중요한 성장 루트”라고 강조하며, 탐험 전용 장비와 코스튬이 별도로 마련돼 있다고 밝혔다. 경제 시스템은 단순 소모품부터 유료 재화까지 거래 가능한 거래소를 중심으로 돌아가며, 악용자와 작업장으로 인한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일정 기간 거래 제한 등 자체 필터링 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