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3D'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441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ZD e게임] '발할라 서바이벌', 한손으로 즐기는 핵앤슬래시 액션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21일 신작 모바일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을 220여 개 국가에 정식 출시했다. 발할라 서바이벌은 소위 '뱀파이어 서바이벌'류에 해당하는 신작이다. 몰려드는 몬스터들을 처치하면 나오는 경험치 돌을 획득해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레벨업할 때마다 스킬 하나를 새로 배우거나 스킬 레벨을 올려 더욱 강력한 공격을 퍼붓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게임은 '핵 앤 슬래시'의 스킬 액션과 로그라이크 장르의 매력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발할라 서바이벌은 ▲소서리스 '리프' ▲워리어 '아셰라드' ▲로그 '로스크바' 총 세 가지 직업 중 하나를 선택해 플레이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전 하나의 클래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영웅 확정 이후에도 게임 재화 구매와 과금을 통해 각 클래스를 경험할 수 있다. 소서리스는 자동 에임을 통해 다수에게 다양한 마법 스킬을 사용하는 편의성이 장점이지만, 공격력과 방어력이 약하다. 아셰라드는 높은 체력과 방어력으로 근접 공격을 해 생존력에는 탁월하나, 편의성이 부족하다. 로스크바는 궁수 포지션으로, 높은 공격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적을 섬멸하는 클래스다. 직접 컨트롤하며 데미지를 넣어야 하는 만큼 난이도가 높지만, 그만큼 강한 측면이 있다. 발할라 서바이벌은 장르적 핵심 재미를 발전적으로 계승해 모바일에 이식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게임은 언제 어디서나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 손으로도 플레이할 수 있도록 최적화됐다. 세로형으로 진행되는 플레이 방식은 한 손만으로도 캐릭터를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플레이타임 역시 한 판에 10분 정도 소요되기에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 플레이어가 스테이지에 진입해 게임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자동으로 기본 공격과 각종 액티브 스킬이 일정 간격으로 발동한다. 각각의 스킬을 알맞게 조합하면 강력한 위력의 초월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이지가 끝나면 영웅과 무기의 레벨을 높이며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캐릭터가 점점 강해지는 것을 확인하며 RPG 장르의 재미도 느낄 수 있다. 뛰어난 그래픽은 동일 장르 게임 대비 발할라 서바이벌의 강점으로 꼽힌다. 언리얼 엔진5로 연출한 3D 그래픽과 전투 이펙트는 2D 그래픽 스타일로 표현된 것이 특징이다. BM(비즈니스 모델)도 비교적 이용자 친화적으로 구성됐다. 광고 시청 기반의 무료 재화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품이 존재하기에 과금 부담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또한, 성장 요소 중 하나인 장비는 스테이지 클리어나 정찰 등 인게임 파밍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 전설 등급 장비 역시 무과금으로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2025.02.05 11:14강한결

네이버 D2SF, 커머스 AI 스타트업 '스튜디오랩' 투자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멀티 모달 AI 기반의 이커머스 상세 페이지 제작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스튜디오랩'(대표 강성훈)에 신규 투자했다고 5일 밝혔다. 스튜디오랩의 이번 프리시리즈A(pre-A) 투자유치금은 33억원 규모로, SBI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다. 스튜디오랩은 의류 특징을 면밀하게 분석 및 추출할 수 있는 패션 특화 AI 모델을 자체 구축해, 이를 기반으로 쇼핑몰 상세 페이지를 생성하는 솔루션 'GENCY'를 개발했다. 기존 솔루션과 달리, 몇 장의 사진만 업로드하면 제품에 최적화된 마케팅 문구부터 썸네일, 레이아웃, 세부 디자인 등 고품질 상세 페이지를 15~30초 만에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세 페이지는 온라인 쇼핑에서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콘텐츠이기에, 스튜디오랩은 A/B 테스트, 검색 최적화 등으로 구매 전환율이 높은 상세 페이지를 제작함으로써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스튜디오랩은 주요 패션 기업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비즈니스를 이어가고 있다. LF, W컨셉, GS리테일, 신세계 등 30여 개의 파트너사를 확보했으며, 스튜디오랩 솔루션 도입 이후 쇼핑몰 사용자의 상품 페이지 유입 활동성 및 클릭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고 있다.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도입 문의가 늘고 있으며, 향후 패션뿐 아니라 주얼리 등 다른 분야로도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튜디오랩의 공동창업진은 삼성전자에서 패션 데이터를 집중 연구한 멤버들로, 커머스 산업과 이에 특화한 AI 솔루션 개발에 풍부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또 세일즈와 기획에 대한 뛰어난 이해도와 빠른 실행력을 기반으로 탄탄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커머스 분야는 생성형 AI를 비롯해 3D, 로보틱스 등의 기술 적용이 활발한 분야로, 스튜디오랩은 우수한 기술력에 기반해 네이버와 함께 SME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등 다양한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올해에도 AI, 커머스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2.05 10:48백봉삼

"4면 스크린X 영화 뭐가 있을까?"…CGV, 2월 특별관 라인업 공개

CGV가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캡틴 아메리카4)', '미키 17', '퇴마록' 등 CGV 기술 특별관에서 2월에 만나볼 수 있는 신작 라인업을 5일 공개했다. CGV는 정면과 좌, 우 벽면까지의 3면과 천장까지 스크린을 확장한 4면 SCREENX, 다양한 시그니처 모션 효과로 생생함을 높이는 4DX, 기술 특별관 최고의 시너지로 차원이 다른 몰입감을 주는 ULTRA 4DX, 선명한 화질의 대형 스크린과 최적의 사운드를 선사하는 IMAX, 3D 서라운드 음향 기술로 깊이 있는 여운을 오랜 시간 남기는 돌비 아트모스 등 기술 특별관을 통해 고객에게 특별한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미키 17'을 3면 SCREENX, 4DX, ULTRA 4DX, IMAX, 돌비 아트모스 등 CGV의 모든 특별관 포맷으로 만날 수 있다. 오는 12일 개봉하는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는 마블 액션 블록버스터로 속도감 넘치고 놀라운 스케일을 자랑하는 강렬한 액션으로 관객에게 짜릿한 쾌감을 선사할 예정이다. SCREENX와 IMAX에서는 바다와 하늘이 더 넓게 펼쳐져 하늘을 나는 장면에서 몰입감과 스릴이 더욱 높아진다. 4DX에서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비행 액션과 공중 전투는 물론 '캡틴 아메리카'만의 독창적인 방패 액션도 실감나게 경험할 수 있다. '미키 17'은 봉준호 감독 신작으로 오는 28일 한국에서 세계 최초 개봉을 앞두고 있다. 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익스펜더블)으로, 죽으면 다시 프린트되는 '미키'가 17번째 죽음의 위기를 겪던 중, 그가 죽은 줄 알고 '미키 18'이 프린트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SF 영화다. 다양한 기술 특별관에서 예측불허 스토리를 몰입해서 감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SCREENX에서는 미지의 얼음 행성 풍광이 270도 서라운드 화면으로 실감나게 구현돼 영화 속 공간들을 보다 생동감 있게 즐길 수 있다. 오는 21일 개봉하는 오컬트 애니메이션 '퇴마록'은 SCREENX, 4DX, ULTRA 4DX로 상영한다. 특별한 능력을 가진 퇴마사들이 절대 악(惡)에 맞서는 이야기를 오감으로 즐길 수 있다. 특히, 용산 SCREENX관에서는 4면 SCREENX로 '퇴마록'을 관람할 수 있어 영화 속 판타지 세계관에 깊게 몰입하는 스크린 체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4DX에서는 강렬한 전투와 영화 속 인물들이 고뇌하고 결단을 내리는 모습까지 생생하게 체험해 볼 수 있다. 5일 개봉한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은 4DX만의 다채로운 효과로 선수들 간의 몸싸움, 슛과 페이크 모션 등 스포츠 애니메이션의 묘미를 더욱 짜릿하게 즐길 수 있다. 개봉에 앞서 주인공 '쿠로코'의 생일에 맞춰 지난달 31일 진행된 '쿠로코의 생축파티 4DX' 상영회는 팬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은 바 있다. 레드벨벳의 팬 콘서트 실황 영화 '레드벨벳 해피니스 다이어리 : 마이 디어, 레베럽 인 시네마'도 5일부터 SCREENX, 4DX, ULTRA 4DX로 상영한다. SCREENX에서는 멤버들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다양한 표정과 감정을 보여주며, 공연장이 스크린 전면에 펼쳐져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용산 SCREENX관에서는 4면 SCREENX로 레드벨벳의 매력이 가득 담긴 다채로운 음악과 퍼포먼스가 돋보이는 무대를 실제 콘서트 현장에서 즐기는 것처럼 생생하고 몰입감 있게 경험할 수 있다. 4DX에서는 향기, 스노우, 페이스 에어 등 다양한 환경 효과를 가미해 콘서트 현장에서 느꼈던 무대효과를 영화관에서도 즐길 수 있다. 아트 퍼포먼스 무비 '플로우(FLOW)'도 3면과 4면 SCREENX관에서 오는 26일부터 상영할 예정이다. 중세를 시작으로 르네상스부터 인상주의까지 미술사의 변화와 내면의 자아를 찾아가는 그 이후의 여정을 다양한 춤 동작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러닝타임은 15분이다. CGV 전정현 콘텐츠편성팀장은 “2월에는 블록버스터를 비롯해 애니메이션, 공연 실황 등 다양한 장르를 기술 특별관에서 만날 수 있다”며 “CGV만의 기술 특별관에서 콘텐츠를 더욱 생생하고 풍성하게 즐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2.05 09:52안희정

AI·3D 영상 제작 기업 시나몬, 알토스벤처스 등서 110억원 투자 유치

3D 기반 AI 영상 솔루션 '시네브이'를 개발한 시나몬(대표 홍두선)이 11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시나몬은 독보적인 기술력과 사업 확장성을 바탕으로 지난 2022년에 이어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알토스벤처스와 새한창업투자가 참여했으며, 알토스는 기존 투자자로 맺었던 인연이 또 한 번의 투자로 이어졌다. 시나몬은 AI와 3D 기술을 하이브리드로 활용하는 영상 제작 스타트업이다. 2019년 창업 후 인터랙티브 게임 분야의 기술 고도화에 힘써왔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규 솔루션 시네브이는 이용자가 입력한 스토리를 기반으로 가상의 3D 공간에서 AI 기술을 통해 영상으로 구현한다. 특히 프롬프트 입력에 따라 다른 결과물을 얻는 생성형 AI 영상 서비스와 달리, 사용자가 배우의 연기와 카메라 연출, 조명, 배경 등을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사용자가 영화 감독이자 1인 제작사가 될 수 있다. 시네브이는 3D 물리적 공간을 먼저 구축하고, 그 위에 캐릭터, 액션, 조명, 카메라 등을 개별적으로 구현한다. 이런 방식으로 기존 생성형 AI 서비스의 취약점이었던 일관성, 물리적 특성, 편집 기능 면에서 더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AI 업계, 특히 미국에서는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피지컬 AI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일관성과 물리적 특성을 통해 AI 영상의 왜곡과 불쾌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I의 활용 범위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시네브이의 서비스도 확장성 측면에서 같은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 시나몬 관계자는 "이번 투자로 회사가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성장 동력을 확보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올 상반기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출시해 고객들에게 시네브이만이 갖고 있는 사용성과 편의성을 전달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토스벤처스 관계자는 "시나몬 팀은 오랜 기간 지치지 않고 단련한 3D 제작 노하우를 바탕으로 AI서비스와 결합을 이뤄냈다. 특히 AI가 구현하기 어려운 정교한 부분을 파악해 단순한 기술 시연이 아닌 크리에이티브 제작자를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면서 "이에 시네브이가 향후 영상 제작과 콘텐츠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기대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2025.02.05 08:53백봉삼

오모션, 웹툰 '신검: 신살의 아이' 캐릭터 버튜버로 만든다

3D 버추얼 휴먼 연구개발 기술 전문기업 오모션(대표 오문석)은 웹툰 기업 디씨씨이엔티(대표 윤석환)와 웹툰 캐릭터 기반 3D 버추얼 휴먼 AR 상품과 버튜버(버추얼 유투버)의 일본 진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가 협력해 선보인 첫 프로젝트는 글로벌 인기 웹툰 '신검: 신살의 아이'로, 기존 아이돌 중심으로만 시도되던 3D 버추얼 휴먼 AR 상품과 서비스의 개념을 웹툰 기반으로 확장했다. 오모션와 디씨씨이엔티는 웹툰 캐릭터들을 버튜버로 발전시켜 팬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웹툰 IP를 중심으로 영화·애니메이션·게임으로 확장하던 OSMU(One Source Multi Use) 전략을 넘어, 새로운 형태의 캐릭터 경험과 팬덤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시도다. '신검: 신살의 아이'는 동양 판타지를 바탕으로 한 독창적인 캐릭터와 세계관을 활용해 제작됐다. 오모션의 기술력으로 구현된 캐릭터는 단순한 정적 미디어 서비스를 넘어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생동감 있는 XR 공간컴퓨팅 형태로 구현됐다. 팬들이 직접 캐릭터와 소통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기획됐으며, 앞으로 버추얼 유투버 및 크리에이터와 같은 형태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오모션과 디씨씨이엔티는 '신검: 신살의 아이'를 필두로 일본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일본은 캐릭터 IP를 중심으로 한 공간컴퓨팅 서비스와 버추얼 휴먼 기반의 콘텐츠 시장이 매우 활성화돼 있는 곳으로, 양사는 한국형 OSMU 전략을 선보일 계획이다. 디씨씨이엔티 윤석환 대표는 “이번 협력은 기존 아이돌 중심의 3D AR 서비스 시장에서 웹툰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한 첫 사례”라며, “웹툰 기반 캐릭터가 더 많은 팬들과 연결되고, 콘텐츠가 가진 가능성이 극대화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모션 곽준희 본부장은 “웹툰 캐릭터를 기반으로 3D 버추얼 휴먼 활용 AR 상품을 제작하는 시도는 업계에서도 드문 일”이라며, “특히 오모션의 3D 가상인간에 대한 기술력을 활용하여 버추얼 크리에이터 형태로 발전시키고 팬들과 생동감 있는 소통이 가능하도록 확장한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이다"고 말했다.

2025.02.04 21:33안희정

바이엘 재단, 보건 및 식량 안보 분야 혁신가 선정 위한 '여성 기업가상' 신청 접수 개시

레버쿠젠, 독일, 2025년 2월 4일 /PRNewswire/ --바이엘 재단(Bayer Foundation)이 임팩트 허브 네트워크(Impact Hub Network)와 공동으로 2025 '여성 기업가상(Women Entrepreneurs Award)' 신청 접수를 시작했다. 이 상 수상자 15명에겐 2만 5000유로의 상금과 함께 보건 및 식량 안보 분야의 혁신적인 솔루션 확장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을 극복하며 성장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한다. 여성 기업가들은 글로벌 도전 과제를 해결할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그들의 다양한 관점, 창의성, 사회적 영향력은 그들이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미래 모델을 구축하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자리하게 해준다. 여성 기업가상은 그런 여성 기업가들의 활동을 강화하고 확장 가능한 사회적 비즈니스를 지원하면서 그들을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는 네트워크에 연결해줄 것이다. 2024년 수상자 명단에는 다음과 같다. 조안 날루베가(Joan Nalubega)(우간다): 혁신적인 모기 퇴치제를 비누와 로션 같은 일상 필수품처럼 만들어 사용자 가정에서 말라리아 발생을 88% 감소시켰다. 발렌티나 리오스(Valentina Rios)(콜롬비아): 연중무휴 운영되는 왓츠앱(WhatsApp) 기반 서비스로 소아과 진료를 혁신했다. 이를 통해 28개국에서 900만 건 이상의 문의를 해결하여 응급실 방문 건수를 92% 줄였고,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부족한 가정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했다. 아탈리아 무티아라 락스미(Athalia Mutiara Laksmi)(인도네시아): 3D 애니메이션 번역기를 이용해 청각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격차를 해소하여 16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학습하고 소통할 수 있게 도왔다. 2024년 수상자 및 그들이 각 지역에서 만들고 있는 특별한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길 바란다. 신청 접수는 지금 시작되었고, 2025년 2월 18일 마감된다. 페트르 스카빌(Petr Skvaril) 임팩트 허브 네트워크 글로벌 파트너십 이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여성 기업가들과 그들의 비즈니스에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건강과 식량 안보의 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을 촉진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전문 지식과 네트워크가 결합되어 세계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위한 강력한 플랫폼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바이엘 재단 소개 바이엘 재단은 '모두를 위한 건강(Health for all)'과 '아무도 굶주리지 않는 세상(Hunger for none)'이란 비전에 맞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과학 및 사회적 기업가 정신의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재단은 건강, 영양, 환경 분야에서 활동하는 벤처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부문 간 협력을 촉진하고, 여성 기업가들이 글로벌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이다. 임팩트 허브 네트워크 소개 임팩트 허브는 120개가 넘는 기업가 커뮤니티로 구성된 글로벌 네트워크로,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혁신을 대규모로 추진하고 있다.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촉매제로서 강력한 협업 및 지원 생태계를 육성하여 '사회적 영향을 주도하는 사람들(Impact Makers)'이 시급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지원한다. 임팩트 허브는 기업가 정신과 공유 학습 및 혁신을 통해 보다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는 솔루션을 발전시키고 있다.

2025.02.04 21:10글로벌뉴스

훌라후프, 오래 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흔히 즐겨 하는 훌라후프의 회전 원리를 조사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고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뉴욕대학 수학과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올리비아 포메렌크는 “기원전 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인간이 훌라후프처럼 돌리는 동작을 했다는 증거가 있다”며, “훌라후프는 수많은 문화권에서 레크리에이션, 종교 의식 또는 운동의 형태로 반복해서 나타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훌라후프를 떨어뜨리지 않고 돌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작년 말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진들은 3D 프린터로 약 17cm 높이의 미니어처 로봇을 만들었다. 이 로봇은 실린더나 원뿔, 모래시계, 달걀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연구진들은 모터로 해당 로봇을 회전시키며 약 15cm 너비의 훌라후프를 돌리게 했고 이들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촬영해 컴퓨터를 통해 이를 분석했다. 연구진들은 훌라후프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려면 몸의 회전과 같은 방향으로 충분한 속도로 후프를 던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원심력과 회전으로 인한 마찰력 덕분에 후프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력 때문에 훌라후프를 오랜 시간 돌리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해당 논문의 주요 저자 뉴욕대학 응용 수학자이자 실험 물리학자인 레이프 리스트로프는 “이상적인 몸은 후프를 밀어 올리는 데 적절한 각도를 제공하는 '엉덩이'와 후프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곡선이 있는 '허리'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모래시계 체형을 지닌 사람들이 훌라후프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리스트로프는 "체형이 다르면 약간의 추가 노력이나 다른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훌라후프를 잘 돌리는 사람은 몸을 살짝 비틀어도 큰 궤도로 후프를 돌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훌라후프의 회전 원리는 실제로 물건을 잡지 않고도 물건을 들어올리는 로봇 그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5.02.04 16:20이정현

'승리의 여신: 니케', 새해도 알찬 콘텐츠로 이용자 만난다

시프트업에서 개발하고, 레벨 인피니트가 서비스하는 미소녀 건슈팅 '승리의 여신: 니케(니케)'가 2025년 첫 개발자 노트를 통해 올해 로드맵을 발표했다. 유형석 시프트업 디렉터는 지난달 말 개발자 노트를 통해 “지난해 니케와 함께한 많은 지휘관의 관심과 사랑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며 “올해도 지휘관들의 하루하루가 행복과 승리로 가득 차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니케는 올해 편의성 개선 업데이트를 적극적으로 진행한다. 우선 유니온 레이드는 하드 웨이브를 기존 10단계에서 3단계로 축소하고, 레이드 횟수 차감 방식 변경 및 최종 웨이브 보스 HP 무한화를 통해 유니온 레이드 관제의 피로도를 낮출 예정이다. 보스 HP 무한화는 2월 중에 적용된다. 또한 일부 캠페인 콘텐츠에 빠른 전투 기능을 추가해 플레이 편의성을 강화한다. 캠페인에서 요구하는 권장 전투력을 달성하면 사용할 수 있어 전투 시간이 단축될 전망이다. 해당 기능은 오는 3월 중에 업데이트된다. 3월에는 스페셜 아레나 상위 랭커끼리 토너먼트 형식으로 맞붙는 시뮬레이션형 아레나 콘텐츠 ▲챔피언 아레나가 오픈한다. 2분기에는 SD 스쿼드로 3D 맵을 탐험하고, 거점을 방어하는 시뮬레이션형 신규 콘텐츠 ▲지상 콘텐츠를 선보이며 ▲협동작전의 매치메이킹을 개선하고 보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3분기에는 ▲솔로 레이드 시즌 오픈과 함께 추가 콘텐츠 명예의 전당(가제)을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이벤트를 아카이브화하여 언제든지 다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지금까지 아카이브화가 진행되지 않았던 만우절 이벤트의 경우 3월 중에 아카이브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많은 지휘관이 바라던 코스튬 재판매도 진행된다. 주로 출시 시기가 오래된 코스튬이 우선적으로 재판매되며, 드레이크의 '메이드 포 빌런'이 첫 재판매 코스튬으로 선정됐다. 재판매 방식이 안정화되면 더 다양한 코스튬의 복각을 진행할 예정이다. 니케는 올해부터 이용자를 위한 오프라인 행사도 늘릴 계획이다. 우선 오는 15일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에서 니케 오케스트라 콘서트 'MELODIES OF VICTORY'가 진행된다. 이번 오케스트라 콘서트의 음악 디렉터는 히로시가 맡았으며, 편곡은 카네마츠 슈우가 담당했다. 현장에서는 니케 사운드 디렉터 주종현이 제작한 'WE RISE'를 비롯해 니케의 오프닝 곡, 각 버전의 테마곡, 스토리 음악 'SO PLAYFUL'과 'In Neverland' 등 다양한 곡이 연주될 예정이다. 또한 애니버서리 곡인 'THE RED HOOD'와 'Satellites'를 포함한 오리지널 애프터 스토리도 함께 준비 중이다. 니케는 지난 2022년 11월 글로벌 출시 이후 현재까지 탄탄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모바일 시장조사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니케는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글로벌 누적 매출 10억 달러(약 1조4천605억원)를 달성했다. 니케 매출은 중국 서비스가 시작되는 올해 상반기에 다시 한번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텐센트는 지난달 니케의 현지 사전예약을 시작하며 흥행 예열에 나선 상태로, 목표 사전예약자 800만명을 달성할 경우 게임 내 인기 캐릭터인 '디젤'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텐센트 큐큐 기준 사전예약자는 3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2025.02.04 10:51강한결

삼성전자, 'ISE 2025'서 초저전력 '컬러 이페이퍼' 4종 공개

삼성전자가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Integrated systems Europe) 2025'에서 초저전력 디스플레이 '컬러 이페이퍼'를 비롯해 AI 전자칠판 신제품, 115형 초대형 4K 스마트 사이니지 등 상업용 디스플레이 신제품을 대거 공개한다. 또 AI 기능을 한층 강화한 B2B 통합 연결 플랫폼 '스마트싱스 프로'로 새롭게 선보인다. ISE 2025는 이달 4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삼성전자는 전시장 '피라 바르셀로나(Fira Barcelona)'에 1728㎡(약 522평)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했다. 전시장 입구에는 삼성 마이크로 LED 기술이 집약된 462형 (8,920x2,520) '더 월(The Wall)'을 활용한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가 설치됐다. ■ 초저전력∙초경량∙초슬림 '삼성 컬러 이페이퍼' 4종 삼성전자가 디지털 콘텐츠 광고를 위한 소비전력을 혁신적으로 줄인 '삼성 컬러 이페이퍼' 4종을 선보인다. 사용 목적과 설치 장소에 맞춰 선택할 수 있는 '삼성 컬러 이페이퍼(모델명: EMDX)'는 ▲13형 (1,600x1,200) 해상도 ▲25형 (3,200x1,800) 해상도 ▲32형 QHD(2,560x1,440) 해상도의 3종과 ▲75형 5K (5,120x2,880) 해상도의 아웃도어용 1종으로 구성됐다. '삼성 컬러 이페이퍼'는 디지털 종이에 잉크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유지 상태에서는 소비전력이 0.00와트(W)인 것이 특징이다. 화면 변경 시에도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대비 현저히 낮은 전력이 소모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친환경에서도 도움이 된다. 삼성전자는 '삼성 컬러 이페이퍼' 제품 커버의 절반 이상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했으며, 포장재 전체에 100% 종이를 적용했다. 이 밖에도 초슬림∙초경량 디자인이 적용된 '삼성 컬러 이페이퍼'는 이동이 편리하고 다양한 상업용 공간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충전 타입 착탈식 배터리(5000mAh 리튬이온) ▲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C 타입 포트 2개 ▲8GB 용량 플래시 메모리를 탑재했고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연결 등을 지원한다. 전용 모바일 앱을 통해 간단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며 송출 일정, 플레이리스트 설정 등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 삼성전자의 사이니지 콘텐츠 운영 플랫폼인 '삼성 VXT(Visual eXperience Transformation)'를 활용해 이페이퍼용 콘텐츠를 더욱 쉽고 간편하게 제작∙관리할 수 있다. 삼성 VXT에는 '삼성 컬러 이페이퍼' 전용 기능이 탑재돼 이미지나 텍스트 여부에 따라 재생할 콘텐츠의 시인성을 높인다. 이페이퍼에 보여지는 콘텐츠의 실제 색감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기능도 제공한다. 타이젠 기반의 Enterprise API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도 지원해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던 자체 솔루션을 '삼성 컬러 이페이퍼'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 AI 기능을 한층 강화한 '스마트싱스 프로'와 'AI 전자칠판' 선보여 삼성전자가 사이니지 사용성 및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싱스 프로의 AI 기능과 자동 제어 기능도 한층 강화한다. B2B 통합 연결 플랫폼인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 Pro)'는 '인터렉티브 뷰(Interactive View)'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평면도를 AI로 분석해 입체감 있는 3D 도면으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공간 지각에 용이한 3D 도면 위에 스마트싱스 프로와 연결된 기기를 맵핑해 쉽고 편리하게 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 프로는 사이니지, 호텔TV, 시스템 에어컨, 가전 외 조명, 온습도 제어, 카메라 등 IoT 제품과 연결 가능하다.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는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암호 모듈인 크립토코어(CryptoCore)가 탑재돼 IoT 연결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암호화해 기기 간 연결시 안전성이 높아졌다. 크립토코어는 암호모듈 국제 인증인 FIPS 140-3 인증을 획득해 암호모듈의 안전성과 무결성, 신뢰성을 인정 받았다. 지난 1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유럽 최대 교육 기술 전시회 'Bett 2025'에서 처음 공개한 2025년형 전자칠판(모델명: WAFX-P)도 이번 ISE에 전시된다. '안드로이드 15' 운영 체제를 탑재한 WAFX-P는 삼성 AI 어시스턴트(Samsung AI Assistant) 솔루션을 탑재해 ▲화면 속 이미지 검색 또는 텍스트 번역을 제공하는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강의, 회의 내용을 요약해주는 'AI 요약(AI Summary)' 등을 지원한다. ■ 초대형 115형 4K 스마트 사이니지 공개 삼성전자가 지난해 ISE에서 화상회의 솔루션에 최적화된 105형 5K 스마트 사이니지(모델명: QPDX-5K)를 선보인데 이어, 올해는 초대형 115형 4K 스마트 사이니지(모델명: QHFX)를 공개했다. 115형 QHFX 모델은 화면 내 이음새가 없어 매끄러운 시청 경험을 제공하며 최대 4분할까지 멀티뷰도 가능하다. 115형 QHFX 모델은 16:9 화면비의 초대형 고화질 디스플레이로 회의실부터 고급스러운 공간 분위기 조성이 필요한 플래그십 매장까지 폭넓게 활용 할 수 있다. ▲QLED 4K 해상도 ▲최대 밝기 700니트 ▲타이젠 8.0 운영체제 탑재 ▲설치 용이성을 위한 제품 손잡이 및 슬림 베젤 디자인이 적용되고, ▲스마트싱스 프로, 삼성VXT ▲스탠드 및 벽걸이(VESA 1,000 x 600) 설치 등을 지원한다. 정훈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상업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에너지 저감과 기기 관리 효율성에 대한 시장의 필요와 몰입감 있는 경험을 원하는 대중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삼성 컬러 이페이퍼' 등 신제품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2025.02.04 09:01이나리

유니루민, 최첨단 LED 솔루션으로 2025년 CCTV 춘절 갈라 분위기 돋워

선전, 중국 2025년 2월 1일 /PRNewswire=연합뉴스/ -- 1월 28일 열린 2025년 CCTV 춘절 갈라가 전통과 최첨단 기술이 조화를 이루며 전 세계 관객을 매료시켰다. 오랫동안 CCTV의 기술 파트너 역할을 해온 유니루민(Unilumin)이 이번에도 다시 최첨단 LED 디스플레이 솔루션과 혁신적인 디지털 콘텐츠로 숨이 멎을 듯한 무대 시각 효과를 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한계를 뛰어넘는 AR, XR, 3D 시각 효과 유니루민의 기술은 AI, XR, 디지털 트윈, 가상 프로덕션(VP) 기술을 매끄럽게 통합해 무대의 물리적 한계를 확장시켰다. 오프닝 공연인 루이 댄스(Ruyi Dance)에서는 AR로 구현된 황금뱀이 등장해 역동적인 시각적 스펙터클을 연출했다. 이렌(Yi Ren)에서는 유니루민의 UE(unreal engine) 기반 특수 효과가 무용과 기술을 융합해 무용수의 움직임을 시적인 물결로 전환했다. In the modern ballet Yi Ren, Unilumin used UE special effects to fully capture its romantic and poetic essence. 유니루민의 무안경(glasses-free) 3D 디스플레이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강화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 섹션에서는 심우주를 테마로 한 시각적 효과를 통해 글로벌 인프라를 선보이면서 몰입형 LED 디스플레이가 이벤트 광고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잘 보여줬다. AI 기반의 시각적 혁신 하이라이트는 CCTV 기술팀과 공동 개발한 AI 공간 렌더링 시스템(AI Spatial Rendering System)이었다. 유니루민의 LED 큐브를 중심으로 구축된 이 시스템은 카메라 추적, 모션 캡처, nDisplay 렌더링, 라이트 필드(light-field) 재구성을 결합해 비교할 수 없는 깊이와 사실감을 구현했다. 유니루민의 공간 컴퓨팅 기술은 가수 공연 무대를 음악의 리듬과 감정과 실시간 상호작용하는 몰입형 진화 환경으로 전환시켰다. 정밀한 3D 시각 효과는 시청자를 노래의 서사 속으로 더 깊이 빠져들게 만들어 감정적 효과를 증폭시켰다. 선구적인 가상 인간과 AI 상호작용 유니루민은 가수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상 무대 동반자를 만들어 디지털 인간 기술을 발전시켰다. 어센딩 하이츠(Ascending Heights)에서는 중국 전통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AI로 만든 사자가 무대의 정중앙에서 공연하며 공연 예술 분야에서 AI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In Ascending Heights, Unilumin used AI to bring the traditional lion dance to life. 업계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 디지털 콘텐츠 외에도 유니루민의 하드웨어는 완벽한 실행 능력을 보장했다. UGNⅡ1.9 LED 디스플레이는 뛰어난 명암비와 선명도로 AI 기반의 정밀한 시각적 렌더링이 가능했다. Uni-BLC AI 향상과 EBL+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UMini W 시리즈는 '1만 대 1'의 명암비와 HDR급 화질을 구현하며 이번 갈라에서 최초로 시각과 청각 장애인도 즐길 수 있는 방송을 지원했다. LED 디스플레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노력하는 유니루민은 무대 디자인과 라이브 이벤트 경험을 지속적으로 재정의하며 예술과 혁신의 융합을 통해 잊을 수 없는 순간을 선사한다. 유니루민 웹사이트: https://www.unilumin.com/

2025.02.01 17:10글로벌뉴스

사조위, 에어부산 사고기 현장 위험관리평가 완료

국토교통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와 프랑스 사고조사당국(BEA), 국립과학수사연구원·경찰 과학수사대·소방 등 관계 전문기관으로 구성된 합동조사팀이 31일 사고기 현장감식 착수를 위한 현장 위험관리평가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오후에는 3D 입체영상 촬영, 비상산소용기 분리 조치 등 위험물 제거를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현장감식에서 시료채취·분석·분류 작업 등에 대한 연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말에 예상되는 우천 상황을 고려해 현장감식을 2월 3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기체는 3D 입체영상 촬영 등 종료 후 천막으로 덮어 보호할 예정이다. 합동조사팀은 오전에 동체·내부 각종 부품·화물칸 화재영향 여부 등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항공기의 전반적인 안전 상황을 감안해 탑재된 연료는 제거하지 않고 현장 감식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동체 하부 화물칸에 실린 승객 위탁수하물은 보안 점검 후 오전 10시 30분경 에어부산으로 인도했고 승객에게 인계하기 위한 조치 중에 있다고 전했다.

2025.01.31 15:56주문정

LGU+ 키즈토피아, 100만 가입자 돌파...글로벌서 메타버스 통했다

LG유플러스 키즈 메타버스 플랫폼 '키즈토피아(KidsTopia)' 가입자가 100만을 돌파했다. 키즈토피아는 아이들이 3D 가상 체험 공간에서 AI 캐릭터와 서로 대화하며 외국어·동물·공룡·우주 등을 체험하고 학습하는 플랫폼이다. '유삐', '핑키', '영어선생님', '탐사대장' 등으로 구성된 AI 캐릭터가 각 개성과 주제에 맞춰 영어, 한국어, 일본어 총 3개 언어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키즈토피아는 2023년 5월 국내 출시된 이후 미국, 캐나다, 말레이시아, 일본, 대만, 태국 등 국가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했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AI 캐릭터와 대화하며 자연스럽게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주목받으며 가입자가 빠르게 증가했다. 구글플레이에 등록된 무료 교육앱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에서는 5위, 태국에서는 10위를 각각 차지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 키즈토피아 고객들의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AI 캐릭터와 대화'하는 서비스는 누적 기준 500만건 이상 이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중심의 학습에서 벗어나 AI 캐릭터와 대화하는 등 인터렉티브 요소를 강화하고, 몰입감 있는 체험학습을 제공한다는 점이 호평을 받은 것으로 자체 분석했다. 국내외 가입자 증가 성과에 힘입어 키즈토피아는 지난해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2024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및 자율규제 성과공유회'에서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받았다. 또한 아동 적합성에 관한 글로벌 인증 프로그램 '2024 맘스 초이스 어워즈'에서도 어플리케이션 부문 최고 등급인 '골드 메달'을 수상해 우수함을 인정받기도 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대화 시 한글을 영어로 번역해주고, 발음 및 표현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캐릭터를 오는 3월에 출시할 예정이다. 김민구 LG유플러스 키즈토피아TF PM은 “게임엔진 기술과 AI를 결합한 키즈토피아는 국내는 물론 글로벌 고객까지 사로잡으며 키즈 대상 에듀테인먼트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며 해당 분야의 독보적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1.30 08:09박수형

CGTN: 인류애와 문화유산을 축하하는 2025 춘절 갈라 행사 개최

베이징 2025년 1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 전 세계 중국인의 가족 상봉이 중점적으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명절인 춘절을 축하하는 가운데 차이나 미디어 그룹(China Media Group)이 제작하고 방송하는 연례 축하 행사인 '춘절 갈라(Spring Festival Gala)'가 올해도 춘절 전날인 28일(화) 밤에 열렸다. '춘완(Chunwan)'으로 알려져 있는 이 갈라는 중국 춘절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것으로, 1983년부터 설날 전야에 중국 가족들이 꼭 봐야 하는 프로그램이란 전통을 유지하면서 인간적인 따뜻함과 문화유산을 보여주는 면에서 새로운 차원에 도달했다. '춘절 갈라'는 음악과 코미디 외에도 오페라와 무술 같은 전통 예술부터 마술과 곡예 등 화려한 공연까지 다양한 볼거리를 선보였다. 또한 올해는 시청자들이 세로 화면으로 갈라를 볼 수 있게 된 지 4년째가 되는 해이다. 모바일에 최적화된 세로 형식의 갈라는 지난 3년 동안 각각 1억 3000만, 1억 9000만, 4억 2000만 뷰를 기록했을 만큼 특히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모임 올해 갈라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공헌을 축하하는 데 더욱 집중해 '사람들이 즐기는 춘절 갈라'라는 개념을 더욱 구체화했다. 일반 경찰관과 철도 승무원부터 무형문화유산 계승자와 유명 인터넷 인사까지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초청되어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고 갈라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또한 이번 갈라에서는 시각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을 위한 무장애(barrier-free) 방송도 처음으로 도입했다. 증강현실(AR) 가상 기술과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기술을 사용해 장애인들에게 더욱 포용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했다. AR 효과로 강화된 수화 통역사와 공연에 대한 오디오 설명 덕분에 모든 사람이 축제를 즐길 수 있게 되면서 모두를 위한 축제라는 갈라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축하 행사를 통한 문화 간 연결 유네스코 등재 이후 처음 열린 2025년 춘절 갈라에서는 중국의 무형문화유산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개막과 함께 등장한 시각적 스펙터클인 '행운을 맞이하여(Welcoming Fortune)'는 AR, 인터랙티브 스크린, 맨눈으로 즐기는 3D 등의 첨단 기술을 결합해 중국의 전통 설날 풍습과 전국의 문화적 요소를 선보였다. 생동감 넘치는 종이 자르기 공예부터 구리 조각과 녹은 철을 공중에 던져 불꽃놀이 효과를 연출하는 '철꽃(iron flowers)'까지 각 공연은 중국 무형문화유산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증명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은 202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베이징의 중축선(Beijing Central Axis)에서 영감을 받은 노래와 춤 공연인 '기둥과 들보(The Pillars and Beams)'였다. 고대 중국 건축 구조는 현대 디지털 예술을 활용해 관람객들에게 상세히 설명됐고 탁월한 중국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몰입형 경험을 선사했다. 춘절 갈라는 국내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사람들이 참여해 축하하는 글로벌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제2차 세계대전 사진 앨범을 중국에 기증한 미국 젊은이 에반 카일도 갈라에 초대됐다. 갈라에서는 외국 뮤지션과 가수의 공연도 펼쳐졌다. 그중에서 미국의 록 밴드 원리퍼블릭(OneRepublic)은 히트곡인 '카운팅 스타스(Counting Stars)'를 연주했다. 중국과 페루 가수들은 중국 산시성 북부 지방에서 유명한 민요인 '란화화(Lan Huahua)'와 페루 민요인 '엘 콘도르 파사(El Condor Pasa)'를 합쳐 만든 '콘도르와 란화화(Condor and Lanhuahua)'를 불렀다. 올해 갈라는 CGTN과 다국어 플랫폼을 통해 200여 개 국가와 지역의 시청자들에게 전달됐다.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아랍어, 러시아어로 생중계되고 전 세계 2900개가 넘는 언론 매체에서 보도된 올해 갈라는 전 세계 사람들을 연결하는 문화적 가교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CGTN은 뱀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뱀의 해 댄스 펀(Snake Year Dance Fun)' 챌린지를 시작하며 70여 개 국가와 지역으로부터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 냈다. CGTN은 또한 중국 설날 전날에 춘절 특별 프로그램인 '슈퍼 나이트(Super Night)'를 개최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다국어로 멋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문화 교류를 촉진했다.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https://news.cgtn.com/news/2025-01-28/2025-Spring-Festival-Gala-A-toast-to-humanity-and-cultural-heritage-1AxjvW3Y9eE/p.html

2025.01.29 22:10글로벌뉴스

네이션에이, 최고 권위 발명상 '에디슨 어워드 2025' 수상

AI 기반 3D 콘텐츠 플랫폼 기업 네이션에이(대표 유수연)는 미국 최고 권위 발명상인 '2025 에디슨 어워드(Edison Awards)'에서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되며 수상이 확정됐다고 27일 밝혔다.오는 4월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분야별 금상·은상·동상이 확정, 시상을 한다. '에디슨 어워드'는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을 기리기 위해 1987년 제정된 상이다. '혁신의 오스카상'이라 불린다. 과학기술, 소재,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선정해 수여한다. 약 3000명의 산업 분야 전문가들이 7개월간 혁신성과 창의성을 기준으로 심사를 진행하며, 애플 공동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등 세계적 리더들이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네이션에이는 AI 기술로 3D와 4D 모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글로벌 서비스 '뉴로이드'로 혁신(Innovation) 분야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됐다. '뉴로이드'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어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3D 콘텐츠 제작을 일반인 영역으로 끌어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출시 직후부터 글로벌 사용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유수연 네이션에이 대표는 “CES에서 2년 연속 혁신상을 수상한 데 이어 에디슨 어워드 파이널리스트에도 선정돼 매우 영광스럽다”며 “이번 수상은 네이션에이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글로벌 시장에서 다시 한 번 인정받은 성과”라고 말했다. 이어 “차별화한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으로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3D 콘텐츠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01.27 13:28방은주

[르포] 전세계 산호초 복원에 '갤럭시폰'이 사용되는 이유?

[샌디에이고(미국)=이나리 기자] “바닷속 산호초 파괴가 심각합니다. 산호초 사진을 촬영해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고 복원 활동을 하고 있지요. 사진 촬영에는 갤럭시S24 울트라 스마트폰이 사용됩니다.” 삼성전자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해양학 연구소 스크립스(Scripps)와 미국 비영리단체 시트리(Seatrees)와 함께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Coral in Focus)'를 진행하고 있다. '코랄 인 포커스'는 산호초 주요 서식지이자 최근 파괴가 심각한 ▲미국 플로리다 ▲인도네시아 발리 ▲피지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바닷속 산호초 사진을 촬영해 산호초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원까지 이어가는 프로젝트다. 바닷속 산호초 사진 촬영에는 고가의 수중 카메라가 아닌 삼성전자 갤럭시S24 울트라 스마트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월부터 '코랄 인 포커스'에 스마트폰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의 해양 환경 보호 활동의 일환이다. 세 기관의 공동 협력으로 지금까지 1만1046개 산호초가 복원됐고, 복원 면적은 4500㎡에 달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해양학 연구소에 들어가자 모니터의 산호초 사영상과 수중 촬영 장비가 눈에 띈다. 연구소의 직원은 “산호초 주요 서식지에서 갤럭시S24 울트라 스마트폰으로 산호초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은 이곳 연구소로 전달돼 3D 산호초 복원도를 제작하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다”라며 “지역 활동 단체들은 다시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호초 복원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스쿠버들은 전문 사진 작가가 아니다”라며 “수중 사진 촬영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와 카메라 케이스 값은 비싸고, 작동이 어렵기 때문에 갤럭시폰을 사용하게 됐다”라며 “폰을 특수 제작한 방수팩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폰은 가볍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넓은 스크린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 바닷속은 공기 역학적인 측면에서 물건을 이동시키기가 어려운데, 폰은 얇아서 이동이 더 쉽다”고 설명했다. 고프로와 같은 소형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스크립스 연구원은 “고프로는 스크린이 작기 때문에 수중에서 직관적인 작동과 확인이 어렵다”고 답했다. 물속에서는 스크린을 누르고, 항상 제대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스크립스 연구소가 특수 제작한 방수팩은 오일층이 들어가 있어 수중에서도 잘 눌릴 수 있도록 구현했다. 방수팩을 눌러보니 젤리처럼 찐득찐득한 촉감이었다. 또 수중에서는 수영을 하며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계속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것이 번거롭다. 아울러 바닷속은 해가 들지 않고 어둡기 때문에 실제 색상보다 파란색 톤이 과하게 적용돼 찍힌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수중 사진 촬영에 최적화된 모드인 '오션 모드(Ocean mode)'를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했다. 연구원은 “바닷속에 들어가 보면 팔을 움직이고 걷는 행동이 어렵다. 삼성이 제공한 오션 모드의 인터벌 기능을 활용하면, 한 번에 수천장의 고화질 산호초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라며 “작동을 멈추기까지 2초마다 자동으로 사진을 찍어주고, 화이트 밸런싱이 자동으로 맞춰진다”고 말했다. 오션 모드 사용전과 사용후 사진을 비교해 보니 과도한 파란색 톤이 줄어들어 산호초 본연의 색상을 볼 수 있었다. 또 셔터스피드 최적화와 멀티 프레임 영상 처리 기술 기반으로 사진 결과물 내 모션블러 발생을 최소화해 준다. 해양학 연구소 스크립스 연구원은 “산호초 사진 촬영을 위해 하루에 평균 3번 다이빙을 한다”라며 “갤럭시폰의 배터리와 메모리 용량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더 개선된 스마트폰 방수팩을 개발 중에 있다”라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산호초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2025.01.27 12:27이나리

삼성 '갤럭시S25'에 재활용 소재 8종 적용...친환경 순환 앞장서

[샌디에이고(미국)=이나리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S25'에 재활용 소재 8종을 적용하며 친환경 순환과 지속가능혁신에 앞장선다. 아울러 해양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여정으로 갤럭시 카메라 기술을 사용한 산호초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Coral in Focus)'도 새롭게 시작했다. 갤럭시S25 시리즈는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에서 공개한 AI 스마트폰이다. 삼성전자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샌디에이고(UCSD) 대학교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친환경 순환 활동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출시한 갤럭시 S25에 ▲전 외장 부품 내 재활용 소재 최소 1종 적용 ▲배터리 재활용 순환 체계 구축을 통한 재활용 코발트 사용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했던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를 적용했다. 먼저, 갤럭시 S25와 S25 플러스의 모든 외장 부품에 재활용 소재가 적용됐다. 제품 전·후면에 재활용 글라스, 측면의 사이드키·볼륨키 및 SIM 트레이에 재활용 알루미늄 등이 적용됐다. 특히 처음으로 메탈 프레임에 재활용 아머 알루미늄 소재도 일부 포함됐다. 지난해 출시한 갤럭시 S24 시리즈 배터리에 갤럭시 최초로 재활용 코발트를 사용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번 갤럭시 S25 배터리에는 갤럭시 자체의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코발트를 재활용했다. 지금까지 갤럭시에 사용된 재활용 코발트는 총 200톤에 달한다. 이는 삼성전자가 다양한 업계 파트너와 개방적 협력을 통해 구축한 '배터리 재활용 순환 체계' 덕분이다. 삼성전자는 코발트 추출부터 배터리 제조까지 전 공정 UL 인증을 취득했다. 다니엘 아라우조(Daniel Araujo) 삼성전자 MX 사업부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상무는 "트레이드 인 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비자들로부터 수거한 오래된 갤럭시 스마트폰을 재활용함으로써 갤럭시 생태계의 자원 순환성이 더욱 개선됐다"라며 "수거한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배터리를 분리 후 방전 및 파쇄 등 다양한 과정을 거친다. 이후 화학 작용을 통해 추출한 코발트를 재활용해 갤럭시 S25 배터리에 사용했다. "고 설명했다. 자원 순환 확대를 위해 사업부 간 협업도 강화됐다. 삼성전자 디바이스 솔루션(DS)부문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웨이퍼 트레이(Wafer Tray)가 재활용 플라스틱(Polycarbonate) 소재로 재탄생돼 갤럭시 S25 시리즈의 사이드키·볼륨키에 적용했다. 지금까지 웨이퍼 트레이는 총 30톤이 사용됐다. ■ 갤럭시 주요 부품에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적용...산호초 복원에도 기여 삼성전자는 지난 십여 년간 재활용 소재 개발 및 적용 확대를 위해 관련 기술을 꾸준히 연구해 왔다. 특히 수명이 다하거나 버려져 바다를 떠돌며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폐어망 문제에 주목했다. 그 결과 삼성전자는 폐어망을 정밀한 스마트폰 부품에 쓰일 소재로 재활용하는 데 성공했고, 2022년 갤럭시 S22 시리즈에 해당 소재를 처음 적용한 바 있다. 이후 삼성전자는 태블릿·PC·웨어러블 등 갤럭시 생태계 전 제품군으로 폐어망 재활용 소재 적용을 확대해 폐어망 수거 촉진 및 해양 생태계 보호에 기여해왔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기술을 활용한 산호초 복원 프로젝트 'Coral in Focus'를 통해 해양 환경 보호에서 한발 나아가,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도 기술 혁신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해양학 연구소 스크립스(Scripps)와 미국 비영리단체 시트리(Seatrees)와 함께 해양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코랄 인 포커스(Coral in Focus)'를 진행하고 있다. '코랄 인 포커스'는 산호초 주요 서식지이자 최근 파괴가 심각한 ▲미국 플로리다 ▲인도네시아 발리 ▲피지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바닷속 산호초 사진을 촬영해 산호초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원까지 이어가는 프로젝트다. 현지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해 수집된 다수의 산호초 사진은 스크립스(Scripps) 연구소로 전달되어 3D 산호초 복원도를 제작하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지역 활동 단체들은 다시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호초 복원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바닷속 산호초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수중 사진 촬영에 최적화된 모드인 '오션 모드(Ocean mode)'를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했다. 각 지역 활동 단체들은 작년부터 해당 모드가 탑재된 갤럭시 S24 울트라를 활용해 현지에서 산호초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현지 활동가들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오션 모드를 통해 ▲수중 촬영 시 발생하는 과도한 파란색 톤을 줄이고 산호초 본연의 색상을 촬영할 수 있고, ▲셔터스피드 최적화 및 멀티 프레임 영상 처리 기술 기반으로 사진 결과물 내 모션블러 발생을 최소화하는 한편, ▲인터벌 기능을 활용해서 한 번에 수천장의 고화질 산호초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다니엘 아라우조 상무는 "삼성전자는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기술 혁신의 일환으로 폐어망을 시작으로 150톤 이상의 해양 플라스틱을 갤럭시 제품에 적용해 왔다"며 "해양 환경을 보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제 해양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갤럭시 기술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트리(Seatrees)의 레아 헤이즈 (Leah Hays) 디렉터는 "해양 생물 터전인 산호초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으로 현지 활동단체들과 활동을 전개하면서 여러 기술의 한계에 부딪혔다"며 "삼성전자가 산호초 복원 활동에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해 이번 프로젝트에 가속도가 붙었다"고 밝혔다. 이어 헤이즈 디렉터는 "삼성폰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폰이자 산호초 보호 활동이 전개되는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선호하는 폰이기 때문에 삼성과 협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의 해양학 연구소 스크립스(Scripps) 소속 스튜어트 샌딘(Stuart Sandin) 교수는 "산호초 연구에 있어 대량의 고화질 사진 데이터 확보는 매우 중요한데, 모바일 기술이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에게 산호초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관심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2025.01.27 11:02이나리

가상 투어·전자 서명…전자칠판 찾는 부동산 업계

부동산 업계가 전자칠판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장에서 큰 화면을 통해 인터랙티브 비주얼과 상세 정보 제공이 가능한 것은 물론, 비디오, 3D 투어, 지역 지도 등 멀티미디어 요소의 활용도가 높은 영향이다. 26일 디스플레이 전문기업 현대아이티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업계를 중심으로 여러 사무실, 강의 현장 등에서 자사의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제품들이 프레젠테이션 및 협업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 김동찬 미스터홈즈부동산 소장은 "고객이 상담 중에 터치스크린 기능과 같은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할 수 있어 참여도가 높아졌다"며 "부동산이나 투자 기회에 대한 중요한 세부 정보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등 한층 효율적인 마케팅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 관계 관리(CRM) 소프트웨어, 부동산 리스팅 플랫폼, 가상 투어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서명 솔루션 등 다양한 부동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모두 전자칠판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현대아이티는 부동산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지원, HDMI 입·출력, 카메라 및 OPS, USB 포트 등 다양한 연결 옵션을 제공하고,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개발·적용하고 있다. 또한 일시불 판매 외에 구독 서비스도 지원할 계획이다. 구독 서비스 이용 시 보증금과 위약금, 약정기간이 없어 초기 비용 부담이 없다. 월 구독료만 지불하면 지속적으로 최신 장비도 사용할 수 있다. 현대아이티 관계자는 "앞으로도 부동산 시장 고객 니즈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구독 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과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된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5.01.26 17:29신영빈

그라비티, MMOARPG '라그나로크: 초심' 새해 첫 중국 판호 받아

그라비티가 MMOARPG '라그나로크: 초심(중문명 仙境传说:初心)'의 중국 판호를 취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중국 국가신문출판부는 지난 21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라그나로크: 초심을 비롯한 외자 판호 승인 게임 리스트를 공개했다. 라그나로크: 초심은 라그나로크 이후 탄생한 완전히 새로운 세계에서 이미르의 심장 조각을 차지하기 위해 펼쳐지는 스토리가 중심인 MMOARPG이다. 프론테라와 교외 필드를 하나의 맵으로 통합해 지역 간 경계가 없는 심리스(SEAMLESS) 맵으로 매끄러운 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풀 3D 자유 시점 필드로 몰입감과 정교함을 높였으며 생생한 날씨 시스템으로 체험감을 증대했다. 캐릭터는 2차원 렌더링 맞춤형 텍스처와 다양한 질감으로 표현해 세밀함을 극대화했으며 맞춤형 커스터 마이징의 재미를 선사한다. 또한 액션성을 강조하면서도 타격감을 살린 경쾌한 전투를 체험할 수 있으며 캐릭터별 특화된 스킬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 PVP에서 유저 본인의 역량을 한껏 뽐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게임은 지난해 지스타에서 'Project Abyss(가칭)'으로 시연 버전을 최초 공개했으며 고퀄리티 그래픽, 광활한 맵에서 즐기는 다양한 탐색 콘텐츠,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스킬 자유 조합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 및 콘텐츠로 유저들에게 호평받았다. 그라비티는 해외 여러 지역에 지사를 두고 현지에 맞는 현지화 서비스를 제공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 지역에서 라그나로크: 초심의 성공적인 론칭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그라비티 게임이 중국 판호를 획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3년 '라그나로크 오리진(중문명 仙境传说:爱如初见)'과 '라그나로크X : Next Generation(중문명 仙境传说:新启航)'의 판호를 취득했다. 2024년에는 '라그나로크 온라인(중문명 仙境传说起源)', '라그나로크: 여명(중문명 仙境传说:破晓)', '라그나로크: 리버스(중문명 仙境傳說:重生, 영문명 Ragnarok: Rebirth)'까지 일 년 동안 라그나로크 IP로 3개 타이틀의 중국 판호를 취득한 바 있다. 그라비티의 김진환 사업 총괄 이사는 “라그나로크: 초심은 기존의 라그나로크 IP 타이틀과는 차별화된 색다른 장르의 게임으로 심리스 맵, 날씨 시스템, 스킬 조합 시스템 등을 통해 익숙하면서도 신선한 재미를 드리는 데 중점을 두고 준비 중이다”라며 “작년 지스타에서 타이틀을 공개한 이후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 유저분들이 기대해 주시는 만큼 대작에 걸맞은 수준 높은 퀄리티의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바란다”라고 전했다.

2025.01.24 14:24이도원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성능 공개... 전작比 최대 40% ↑

엔비디아가 올 초 CES 2025 기조연설에서 공개한 지포스 RTX 5090의 테스트 결과가 국내외 IT 매체를 통해 24일 오전 0시경 일제히 공개됐다. 지포스 RTX 5090은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PC용 GPU이며 5세대 텐서 코어, 4세대 레이트레이싱(RT) 코어, 최대 GDDR7 32GB 메모리를 활용해 게임 등 3D 성능과 AI 처리 성능을 강화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IT 매체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지포스 RTX 5090은 전세대(RTX 4090) 대비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는 최대 40% 성능 향상을 보였다. 4K(3840×2160 화소) 해상도에서도 전작 대비 30% 성능이 향상됐다. 3D마크 '스틸노매드' 벤치마크에서 51% 점수 향상 일본 PC워치는 24일 "지포스 RTX 5090 파운더스 에디션 그래픽카드와 전세대 제품(RTX 4090 파운더스 에디션) 성능을 비교한 결과 3D마크 등 벤치마크에서 성능 향상이 눈에 띈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3D마크에 추가된 다이렉트X 12 기반 '스틸노매드' 실행시 RTX 5090은 14,060점, RTX 4090은 9,301점으로 51% 점수가 높아졌다. 레이트레이싱 성능 테스트인 '포트로얄' 점수 역시 RTX 4090(26,193점) 대비 39% 더 높다"고 밝혔다. 미국 PC 전문매체 톰스하드웨어는 "3D마크 다이렉트X 레이트레이싱 기능 테스트에서 RTX 4090이 초당 137.91 프레임, RTX 5090이 108.64 프레임이 나왔으며 드라이버 튜닝이나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4K 해상도 게임에서 평균 30% 가량 성능 향상 톰스하드웨어는 4K 해상도, 그래픽 수준 '울트라'로 설정한 상태에서 16개 게임의 초당 프레임 수 평균을 낸 결과도 공개했다. RTX 5090은 초당 105.6프레임, RTX 4090은 초당 84.4 프레임이었다. 이 매체는 "4K 해상도, 그래픽 수준 '높음'이 RTX 5090의 명확한 소비층이며 적절한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더 높은 해상도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PC워치 역시 4K 해상도의 성능 향상에 주목했다. 이 매체는 "RTX 5090은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2024에서 RTX 4090 대비 48% 성능 향상, F1 24에서는 24-26%, 사이버펑크 2077에서 28-32% 성능 향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4K 해상도서 최대 성능 발휘... 추가 최적화 필요" 톰스하드웨어는 "지포스 RTX 5090은 4K 해상도와 최대 그래픽 설정으로 게임을 즐기려는 소비자에게 가장 적합한 선택이며 모든 게이머가 갖고 싶어하지만 극소수만 살 수 있는 제품"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 GPU의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가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았으며, 일부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추가 최적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PC워치는 "RTX 5090의 성능은 전작인 RTX 4090을 뛰어넘고 DLSS 4의 멀티프레임 생성 기능은 유용하지만 실제 게임에서 더 폭넓은 검증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국내 시장에 2월 초부터 본격 공급 예정 지포스 RTX 5090 탑재 그래픽카드는 오는 1월 말 출시 예정이다. 시장 수요에 비해 적은 초기 물량 탓에 당분간 시장에서 쉽게 구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영국 IT 온라인 유통업체 OCUK는 "지포스 RTX 5090 그래픽카드 재고가 10대 미만이며 출시 시 물량은 두 자릿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단계 아래 제품인 지포스 RTX 5080 재고도 수백 개에 그칠 전망"이라고 밝혔다. 지포스 RTX 5090 그래픽카드는 국내 시장에 2월 초부터 본격 공급 예정이다. 24일 한 제조사 관계자는 "RTX 5090 탑재 그래픽카드 샘플이 23일에야 국내에 들어왔고 제조 시설이 있는 중국도 연휴 기간이 겹쳐 초기 물량은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제조사들은 국내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준 환율 책정에도 고심중이다. 또다른 제조사 관계자는 "현재 원-달러 환율이 1천450원 아래로 떨어졌지만 설 연휴 중 추이를 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5.01.24 13:41권봉석

카카오게임즈 '오딘', 신규 챕터 '바나하임' 업데이트

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는 23일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장 김재영)가 개발한 대작 MMORPG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신규 챕터 '바나하임'을 업데이트하고 설 맞이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오딘'의 여덟 번째 대륙 '바나하임'은 육지인 '지상 세계'와 바다 속 지역인 '수중 세계'로 이루어진 신비한 지역이다. 푸른 바다와 울창한 숲이 펼쳐진 이 지역에서는 바다 생물과 침몰한 보물선 등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만나볼 수 있으며, 더 강력해진 몬스터들과 새로운 던전으로 한층 더 치열해진 전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외형과 스킬 형태에 따라 '펫'을 최대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는 '펫' 시스템을 업데이트했다. 이용자들은 이번 업데이트로 전용 스킬을 더한 '펫'과 또 다른 성장의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다음 달 12일까지 이벤트 미션 수행 시 '펫 소환권'을 획득할 수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바나하임' 업데이트와 함께 다채로운 2025년 설 맞이 이벤트를 진행한다. 다음 달 26일까지 게임에 접속한 이용자 전원에게 출석 이벤트를 통해 강화에 실패해도 아이템이 파괴되지 않는 '오딘의 장신구/방어구/유물 강화석'과 기존에 파괴된 유일 등급 장신구를 복구할 수 있는 쿠폰을 선물한다. 또, '2025년 설 기념 교환 이벤트'를 통해 이벤트 던전에서 획득한 '푸른 뱀의 기운이 담긴 주화 조각'을 '해피 뉴 이어 파티' 외형 아바타와 '2025 설 복 주머니 1단계' 등의 아이템으로 교환해준다. 여기에 특정 미션을 달성할 때 마다 '오딘의 무기 강화석' 재료인 '오딘의 무기 강화석 조각'을 제공한다. 대작 MMORPG '오딘'은 ▲3D 스캔, 모션 캡쳐 기술을 사용한 최고의 그래픽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 ▲로딩없이 즐길 수 있는 오픈월드 ▲캐릭터 간의 유기적 역할 수행 ▲폭발적 전투 쾌감을 선사하는 대규모 전쟁 등 방대한 콘텐츠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2025.01.23 11:15이도원

  Prev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이재용 회장, 10년 사법리스크 끊고 경영 무대 전면에…'뉴삼성' 시동

단통법 22일 폐지...25% 요금할인받고 보조금도 받는다

이근주 핀산협회장 "스테이블코인, 디지털 금융 주권 지키는 핵심"

스테이블코인·디지털자산 등 '가상자산 3대 법안' 美 하원 통과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