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국감2025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29j채널방DB업체문의⊆%텔레Dbnara◀%문자오피디비문의!⑁'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82821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젤로 만든 전해질이 전기차 배터리 수명 2.8배↑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용 '고전압 배터리'의 전해질을 젤 형태로 만들어, 배터리 수명을 2.8배 개선하는데 성공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교수팀이 한국화학연구원 정서현 박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황치현 박사팀과 함께 배터리를 고전압으로 충전할 때 전극에서 활성산소가 새어 나오는 반응을 원천 봉쇄하는 '안트라센 기반 반고체 젤 전해질(An-PVA-CN)'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고전압 배터리 '노화'의 주범은 활성산소다. 연구팀은 이를 원천 차단하는 방법으로 배터리 수명은 2.8배 늘고, 부풀어 오르는 '배불뚝 현상'도 6분의 1로 줄이는데 성공했다. 고전압 배터리는 4.4V 이상의 전압으로 충전되는 리튬이온전지로, 더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 배터리팩을 가볍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충전전압이 높아질수록 하이니켈 양극의 산소가 불안정해지면서 '일중항산소'라는 활성산소로 변해 빠져나오게 된다. 이 때 활성산소는 가스를 발생시켜 배터리 폭발 위험을 높이고 수명도 단축시킨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해질 안트라센(An)은 전극 표면의 불안정한 산소와 결합, 불안정한 산소끼리 결합하는 반응 단계를 원천 차단한다. 불안정한 산소끼리 결합하게 되면 활성산소 '씨앗'인 산소 이합체가 생긴다. 또 이 안트라센은 이미 생긴 활성산소까지 포획해 제거함으로써 이중 보호 기능을 할 수 있다. 전해질의 또 다른 성분인 니트릴(-CN) 작용기는 양극의 니켈 금속을 안정화해 니켈이 녹아 나오거나 양극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준다. 제1저자인 이정인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활성산소의 발생 단계 자체를 차단했다는 점이 차별점”이라며 “기존에는 활성산소가 이미 생긴 뒤 항산화 물질로 사후 중화하거나, 전극을 조작해 산소 발생을 억제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새 전해질을 적용한 배터리는 4.55V 고압 충전 조건에서 500회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81%를 유지한 반면, 기존 배터리는 180회 사이클 만에 초기 용량의 80% 이하로 떨어졌다. 배터리 용량이 초기의 80% 이하로 떨어지면 수명이 다했다고 보기 때문에, 수명이 2.8배 증가한 셈이다. 또 배터리 팽창의 원인이 되는 가스 발생도 크게 억제됐다. 기존 배터리가 85µm 팽창한 것과 달리 젤 전해질을 적용한 배터리는 13µm 정도 부풀어 오르는 데 그쳐, 부피 팽창을 약 6분의1 수준으로 억제했다. 송현곤 교수는 “고전압 배터리의 산소 반응을 '전해질 설계' 단계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이 원리는 향후 우주항공용 경량 리튬이온전지와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에 온라인(10월 5일)으로 게재됐다. 연구 수행은 UNIST 하이드로 스튜디오(Hydro*Studio)의 이노코어(InnoCore) 프로그램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화학연구원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았다.

2025.11.05 08:04박희범

카카오게임즈, 3분기 매출액 1천275억원…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

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3분기 매출 약 1천275억원, 영업손실 약 54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2% 감소, 전분기 대비 약 10%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으나, PC온라인 라이브 타이틀의 매출 상승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약 37% 개선되며 손실 폭이 줄었다. PC온라인 게임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5%, 전분기 대비 약 188% 증가한 약 42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모바일 게임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4%, 전분기 대비 약 16% 감소한 약 8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에는 '배틀그라운드'의 대형 컬래버레이션 효과와 '오딘: 발할라 라이징(이하 오딘)'의 4주년 기념 업데이트 성과가 실적에 반영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됐다. 카카오게임즈는 핵심 사업인 '게임' 중심 사업 강화 및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최근 비핵심 사업을 구조적으로 개편했다. 이를 기반으로 다채로운 게임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며 플랫폼, 장르, 지역 전 영역에서 보다 확장된 라인업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아이돌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캐주얼 게임 'SM 게임 스테이션(가칭)'을 비롯해, ▲MMORPG '프로젝트 Q'와 '프로젝트 OQ' ▲서브컬처 RPG '프로젝트 C' ▲중세 좀비 세계관의 '갓 세이브 버밍엄' ▲오픈월드 PC/콘솔 대작 '아키에이지 크로니클과 '크로노 오디세이' 등 각기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무게를 둔다.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수 있는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토대를 마련해 가고 있다"며 "그동안의 체질 개선을 바탕으로 핵심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5 07:58정진성

연세대·삼성·한화·텔레픽스 등 9개기관 "우주탐사 반도체 기술 방향 제시"

연세대학교 미래반도체연구소와 연구처는 7일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우주 탐사용 반도체 기술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한다. 우주 반도체를 주제로 전문가들이 모여 워크숍을 개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행사에는 ▲연세대학교와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텔레픽스 ▲큐알티(QRT) 등이 참석한다. 이들은 우주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우주 탐사용 반도체는 최근 우주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 받고 있다. 위성 제어, 통신, 관측 센서 등 우주 임무의 모든 시스템은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상용 반도체는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한계가 있어 우주용 차세대 메모리 기술 고도화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욱이 전 세계 우주산업이 민간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우주용 반도체 수요는 앞으로도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이 행사 공식 후원사인 텔레픽스는 이 행사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위성 엣지 AI 솔루션 개발 및 궤도상 운용 현황'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2025.11.05 07:36박희범

바레인 골든 라이선스의 대활약: 게이트웨이 걸프에서 바레인의 범세계적 장점 과시하면서 44억 달러 투자 유치

최근 기술, 부동산, 친환경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에 골든 라이선스가 발급되어 경제 다각화 및 성장에 이바지하고 있다 마나마, 바레인, 2025년 11월 5일 /PRNewswire/ -- 섬나라인 바레인이 새로 추진 중인 네 건의 골든 라이선스 프로젝트에 총 44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11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네 가지 대규모 신규 프로젝트는 기술, 부동산, 친환경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국가 경제 성장과 다각화에 일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Gateway Gulf Showcasing the Island Nation's Global Investment Appeal 이번 발표는 바레인 베이에 있는 포시즌스 호텔(Four Seasons Hotel)에서 2025년 11월 2일부터 3일까지 진행된 게이트웨이 걸프(Gateway Gulf) 행사에서 이루어졌다. 초대받은 사람만 입장할 수 있는 이 행사에는 글로벌 투자자, 기업 지도자, 정책 입안자, 정부 관계자, 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의 유력 인사가 참석하여 걸프 지역에 도사리고 있는 절호의 투자와 제휴 기회를 모색했다. 게이트웨이 걸프에서 발표된 신규 골든 라이선스는 다음과 같다. 첨단 솔루션 제공업체인 오라클(Oracle)과 바레인 기술 회사인 비욘(Beyon)의 제휴 - 오라클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를 지원할 소버린 클라우드(Sovereign Cloud)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아랍에미리트와 바레인의 전략적 제휴와 함께 이글 힐스(Eagle Hills)의 지원을 받아 탄생한 비나 알 바레인(Binaa Al Bahrain) - 전략적인 부동산 개발을 통해 섬나라 바레인의 미래 지향적 도시 생활을 실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현대화를 꿈꾸는 바레인의 여러 가지 야심 찬 목표를 지원한다. 덴마크에 본사를 둔 다국적 유제품 회사인 알라 푸드(Arla Foods)의 바레인 공장 생산 설비 확충 - 공장 설비 확충이 완료되면 알라 푸드가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유제품 제조업체로 올라서고, 바레인의 식량 안보와 수출 증대 목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시설 확충을 계기로 알라 푸드는 유럽연합, 아프리카,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의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풀라트 홀딩(Foulath Holding) - 철강 산업 분야에 굵직한 투자를 해온 지주회사이자 바레인 스틸(Bahrain Steel)과 설브(SULB)의 모기업으로, 태양광 프로젝트에 사용될 기존 시설 확충 차원에서 특수 목적용 지붕 구조물을 건설하게 된다. 지속가능개발부(Sustainable Development) 장관이자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Bahrain Economic Development Board: Bahrain EDB) 최고경영자 누르 빈트 알리 알쿨라이프(Noor bint Ali Alkhulaif)는 "민첩한 정부와 전문 기술을 갖춘 풍부한 현지 인력 덕분에 전 세계 기업의 신뢰를 얻은 투자처인 섬나라 바레인은 기업이 야심 찬 목표를 실현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곳이라는 장점을 입증했다. 이 네 가지 핵심 프로젝트에 골든 라이선스가 발급되면서 2023년 4월에 골든 라이선스 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 골든 라이선스를 받은 프로젝트가 한층 더 다양해졌으며, 모든 프로젝트의 총 투자 가치는 60억 달러를 넘어섰다. 골든 라이선스는 프로그램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골든 라이선스는 팀 바레인(Team Bahrain)의 전략으로 얻은 결실이자, 행정 절차나 규제를 간소화하고, 성공을 촉진하며, 기업과 협력하여 번영하는 미래 지향적 경제를 건설하려는 확고한 의지를 알 수 있는 명명백백한 증거이다"라고 강조했다. 골든 라이선스는 디지털 기술 도입 준비가 완료된 탄탄한 경제를 건설하는 데 투자하고 선구적인 규제 정책과 입법 체계를 꾸준히 수립함으로써 기업이 성공하는 데 이상적인 여건을 조성하려는 바레인 국가 차원의 긴밀한 민관 협력 체제인 팀 바레인의 전략을 상징한다.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는 정부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가교로서 이러한 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바레인은 디지털 혁신, 경제 성장, 그리고 외국어에도 능통한 고학력 인력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한결같은 마음으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 섬나라는 2024년을 기준으로 비석유 부문 GDP가 전체 GDP의 85.3%를 차지할 정도로 다각화 과정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이루었다. 금융 서비스 부문은 2024년을 기준으로 GDP에서 가장 큰 비중인 17.2%를 차지하고, 제조업이 15.1%로 그 뒤를 이었다. 최근 성과로는 455억 달러로 증가한 외국인 직접 투자(FDI) 누적액이 손꼽히는데, 그로 인해 2024년 FDI 누적액 대비 GDP 비율이 전 세계 평균치인 45.8%와 차원이 다른 96.5%에 달한다. 이는 바레인에 대한 국제 투자자들의 신뢰가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812134/Gateway_Gulf.jpg?p=medium600

2025.11.05 07:10글로벌뉴스

쿠팡Inc, 3분기 매출 12조8천억원…전년비 20%↑

쿠팡Inc가 올해 3분기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대만 로켓배송과 파페치 등 글로벌 성장사업 부문 성장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익 모두 성장했다. 4일(현지시간) 쿠팡Inc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3분기 연결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의 3분기 매출은 12조8천455억원(92억6천700만달러·분기 평균환율 1천386.16원)으로 전년 동기 10조6천901억원(78억6천600만달러) 대비 20% 늘었다. 달러 기준으로는 18%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2천245억원(1억6천200만달러)으로, 전년 동기 1천481억원(1억900만달러)보다 51.5% 증가했다. 달러 기준으로는 49% 늘었다. 다만 영업이익 규모는 올해 1분기(2천237억원)와 비슷하고 2분기(2천93억원)보다 소폭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4천353억원)보다는 크게 낮았다. 3분기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1.7%로, 전년 동기(1.38%)보다 개선됐지만 올해 1분기(1.9%)보다는 낮고 2분기(1.7%)와 같은 수준이다. 당기순이익은 1천316억원(9천500만달러)으로 전년 동기 869억원(6천400만달러)보다 51% 증가했다. 달러 기준으로는 48% 상승했다. 순이익률은 1%로, 전년 동기(0.8%)보다 높아졌으며 주당순이익(EPS)은 0.05달러로 전년 동기(0.04달러) 대비 1센트 증가했다. 로켓배송·로켓프레시·로켓그로스 등 '프로덕트 커머스(Product Commerce)' 부문 활성 고객은 2천470만명으로, 전년 동기(2천250만명)보다 10% 늘었다. 이 부문의 매출은 11조615억원(79억8천만달러)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고객 1인당 매출은 44만7천730원(323달러)으로 7% 늘었다. 대만 로켓배송·파페치·쿠팡플레이·쿠팡이츠 등을 포함한 성장사업(Developing Offerings) 부문 매출은 12억8천700만달러(원화 약 1조7천839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달러 기준으로는 32% 늘었다. 특히 대만 로켓배송 등 글로벌 사업 호조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다만 투자 확대에 따라 성장사업의 조정 EBITDA 손실은 2억9천200만달러(4천47억원)로 전년 동기(1천725억원) 대비 130% 늘었다. 올해 2분기(3천301억원·2억3천500만달러)와 비교해도 원화 기준 23%, 달러 기준 24% 증가했다. 이날 쿠팡Inc는 3분기 중 클래스A 보통주 280만주(8천100만달러 규모)를 자사주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2025.11.05 07:08안희정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와 NiCE, AI 기반 고객 참여로 글로벌 고객센터 혁신 위한 파트너십 체결

이번 전략적 제휴 통해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칼레이라 플랫폼과 NiCE의 CXone Mpower 플랫폼이 결합되어 대규모로 원활한 AI 기반 고객 경험 제공 기대 뭄바이, 인도 , 2025년 11월 5일 /PRNewswire/ -- 타타 커뮤니케이션즈(Tata Communications)가 3일 기업 고객센터 운영 혁신을 위해 NiC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타타 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는 칼레이라(Kaleyra) 플랫폼의 AI 기반 고객 상호작용 기능과 업계 선도적인 NiCE의 CXone Mpower CX AI 플랫폼이 결합되어 고객에게 지능적이고 자동화된 초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전망이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강력한 디지털 채널, 글로벌 규정을 준수하는 음성 및 네트워크 인프라, 심층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분야의 전문성, 에이전틱 AI 역량, 포괄적인 관리형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 솔루션은 전 세계 19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NiCE는 CXone Mpower 플랫폼의 강력한 기능을 통해 이번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CXone Mpower 플랫폼은 AI 기반 인력 보강, 지능형 자동화, 원활한 워크플로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통합 솔루션으로 결합한 엔드투엔드 CX AI 솔루션이다. 기업은 이 플랫폼을 중심으로 고객센터를 신속하게 현대화하고, 모든 채널에서 일관되게 우수한 서비스를 보장하고, 고객 참여를 성장과 운영 효율성 및 장기적 충성도 제고를 위한 측정 가능한 동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와 NiCE는 고객 서비스 운영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함으로써 민첩성을 높이고, 규정을 준수하고, 대규모 혁신을 도모하면서 고객센터를 '사후 지원 중심 부서'에서 고객의 요구를 예측하고, 상담원을 지원하고, 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기반 성장 엔진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칼레이라 TX 허브(Kaleyra TX Hub)는 이러한 경험을 한층 강화해줄 것이다. 이는 고객의 기존 CX 기술 스택과 기업 도구를 통합해 지능형 종합 상담원 경험으로 연결하는 모듈형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다. 칼레이라 TX 허브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배포, 맞춤형 상담원 의견, 내장형 감정 분석, 고객센터 상담원과 관리자용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는 기업의 마이그레이션 과정을 간소화하여 NiCE CXone Mpower와 같은 현대적인 CX AI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혼란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가우라브 아난드(Gaurav Anand)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고객 상호작용 제품군 담당 부사장 겸 글로벌 총괄 책임자는 "고객과의 모든 상호작용이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시대에 NiCE와의 파트너십은 기업이 지능적이고 원활하며 상담사 중심의 고객센터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라면서 "이는 AI와 자동화가 만나고, 마이그레이션이 수월히 이뤄지고, 모든 대화가 더 스마트하고 연결되는 서비스 혁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렌 러시워스(Darren Rushworth), NiCE 인터내셔널 사장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두 업계 리더가 기업이 측정 가능한 성과를 창출하는 더 스마트하고 개인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자는 공동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하나로 뭉쳤다"면서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신뢰받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고객과의 모든 상호작용을 가치, 충성도, 경쟁 우위를 창출할 기회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NiCE 소개 NiCE (나스닥: NICE)는 사람을 가장 중시하는 AI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당사의 목적 지향형 AI 플랫폼은 상호작용을 선제적이고 안전한 지능적 행동으로 자동화하여, 개인과 조직이 상호작용부터 문제 해결에 이르기까지 혁신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 세계 150여 개국 기업들의 신뢰를 받는 NiCE 플랫폼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채택되어 사람, 시스템, 업무 프로세스를 연결해 대규모로 더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조직 전반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검증된 측정 가능한 결과를 제공한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소개 타타 그룹(Tata Group) 산하 타타 커뮤니케이션즈(NSE: TATACOMM)(BSE: 500483)는 19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급성장하는 디지털 경제를 지원하는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 전문 기업이다.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협업 및 커넥티드 솔루션, 핵심과 차세대 연결성, 클라우드 호스팅과 보안 솔루션,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포춘 500대 기업 중 300개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전 세계 거대 클라우드 기업의 80%에 고객을 연결한다. 자세한 내용은 www.tatacommunication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래예측 및 주의 진술 이 보도자료에서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와 그 전망에 관한 특정 용어와 진술, 그리고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예상 재무 상태, 사업 전략, 향후 운영 방향, 인도의 일반 경제와 관련된 진술을 포함한 기타 진술은 모두 미래예측진술에 해당한다. 이러한 진술에는 알려진 위험과 알려지지 않은 위험, 불확실성, 재무, 규제, 환경, 산업 성장 및 추세 예측과 관련된 기타 요인이 포함되며, 이로 인해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실제 결과, 실적 또는 성과뿐 아니라 업계 결과가 이러한 미래예측진술에 의해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표현된 내용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다. 실제 결과, 실적 또는 성과가 이러한 미래예측진술과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중요한 요인에는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네트워크의 트래픽 증가 실패, 고객 요구를 충족하고 수용 가능한 이윤을 창출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실패, 음성 전송 서비스를 포함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및 정보 시스템의 상용화 테스트 실패, 회사의 특정 통신 서비스에 대한 가격 압박 속도의 안정화 또는 감소 실패, 전략적 인수와 타타 커뮤니케이션즈가 속한 산업의 행정과 관련된 변화를 포함한 인도의 정부 정책 또는 규제 변화의 통합 실패,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도의 경제, 비즈니스 및 신용 조건 등이 포함된다. 실제 결과, 실적이나 성과가 이러한 미래예측진술과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추가적인 요인(이중 다수는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통제 범위를 벗어남)은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연례 보고서에서 논의된 위험 요인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연례 보고서는 www.tatacommunication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는 미래예측진술을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의무를 지지 않으며, 그러한 의무를 명시적으로 부인한다..© 2025 Tata Communications Ltd. All rights reserved.TATA COMMUNICATIONS와 TATA는 인도 및 특정 국가에서 Tata Sons Private Limited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다.*TX는 '총체적 경험'을 뜻하는 Total Experience의 약자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811673/NiCE_Logo.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811674/Tata_Communications_Logo.jpg?p=medium600

2025.11.05 06:10글로벌뉴스

신세계百, 태국서 K-뷰티 알린다…방콕 센트럴월드 팝업 개점

신세계백화점이 동남아 최대 쇼핑 명소인 태국 방콕 '센트럴월드'에서 K-뷰티 브랜드와 함께 글로벌 고객 공략에 나선다.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는 오는 6일부터 내년 1월 30일까지 방콕 최대 쇼핑몰인 '센트럴월드'에서 K-뷰티 브랜드 15개를 한데 모은 팝업스토어를 연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동남아 지역에서 급성장 중인 뷰티 시장을 겨냥해 한국의 트렌디한 감성을 담은 신진 브랜드를 현지 소비자에게 직접 소개하고 K-컬처를 결합한 체험형 콘텐츠로 꾸며졌다. 센트럴월드는 하루 평균 15만 명 이상이 찾는 방콕 대표 쇼핑 명소로, 해마다 글로벌 브랜드의 신제품 론칭과 연말 카운트다운 행사가 열리는 핵심 상권에 위치해 있다. 이번 팝업에는 스킨케어부터 메이크업, 향수까지 다양한 카테고리의 15개 국내 K-뷰티 브랜드가 참여한다. 스킨케어 브랜드 '메디필', '글로우', '브이티', '아이레시피', '아이소이', '유이크', '티히히'와 메이크업·향수 브랜드 '뮤드', '삐아', '코랄헤이즈', '키스', '투에이엔', '포렌코즈', '하우스포그', '스킷' 등이 이름을 올렸다. 참여 브랜드들은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동남아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신진 브랜드로, 태국 2030세대가 선호하는 비건 원료, 자연주의 콘셉트와 트렌디한 색조 제품 등 최신 뷰티 트렌드를 반영했다.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는 이번 팝업을 통해 얻은 현지 고객 반응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태국 대형 유통사와 협업을 확대 추진, 국내 신진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팝업은 한국의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 콘텐츠 행사로 기획된 것이 특징이다. 공간은 '트렌디 & 라이징 K-뷰티'라는 주제에 맞춰 태극 문양과 한국적인 색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인테리어로 꾸몄다. 한복에서 착안한 옥색·홍색 계열의 컬러를 조화롭게 배치했다. 행사장에서는 윷놀이, 팽이 돌리기, 투호 등 한국 전통 놀이를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팝업 오픈을 기념해 7일에는 현지 인기 인플루언서 60여 명을 초청한 '오프닝 나잇'을 열어 한식 디저트와 전통 음료를 제공하는 케이터링 이벤트도 진행한다. 행사 기간 중 '브랜드 위크 존(Brand Week Zone)'을 운영해 브랜드별로 K-아이돌 메이크업 시연, 룰렛 이벤트, 럭키드로우, 포토존 등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박상언 신세계백화점 뉴리테일담당 상무는 “올해 7~8월 프랑스 파리 쁘렝땅 백화점에서 진행한 K-뷰티 팝업 및 10월부터 일본 시부야 109에서 진행한 K-패션 팝업이 큰 호응을 얻은데 이어, 이번에는 태국 중심 상권 방콕에서 K-뷰티를 통해 다시 한번 한국의 미를 알리게 됐다”며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는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K-패션과 뷰티, 문화를 아우르는 'K-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5 06:01김민아

"제주 호캉스 20만원 대에”…신세계그룹 쓱데이, 여행·숙박 단독 특가 기획전

신세계그룹이 오는 9일까지 진행되는 쓱데이 기간 동안 일본, 홍콩 등 해외여행 상품과 전세계 항공권 그리고 조선호텔 등 국내 호텔 숙박권을 단독 특가에 판매한다고 5일 밝혔다. 참여사는 SSG닷컴, 지마켓,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라이브쇼핑, 조선호텔앤리조트, 굳닷컴(신세계까사 온라인플랫폼) 등 6곳이다. 제주항공과 '쓱데이 기념 국제선 특가' 이벤트도 진행해 일본, 중국, 동남아 등 국제선 편도 항공권을 저렴하게 선보인다. SSG닷컴은 6일 20시 '쓱라이브'로 그랜드 조선 제주 숙박권을 22만원 대부터 판매한다. 객실 뷰 업그레이드, 연박 할인, 쓱머니 7% 적립 등 추가 혜택도 준비했다. 지마켓은 빅스마일데이 여행상품 구매 시 최대 30만원까지 할인해주는 10%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5일에는 스카이베이 경포, 나트랑 빈펄 자유여행을, 6일에는 괌 츠바키타워, 푸켓 패키지, 서울랜드 시즌권을 판매한다. 신세계백화점의 여행 큐레이션 플랫폼 '비아신세계'에서는 쓱데이 특별 기획전을 열고 캐나다 오로라 여행을 선보인다. 비즈니스 항공편, 랜드마크 호텔 숙박 등이 포함된 프리미엄 상품을 1천만원대에 판매한다. 터키, 이집트, 프랑스 등 다양한 지역의 고품격 여행상품도 만나볼 수 있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은 6일 홍콩·마카오 4일 여행상품을 59만9천원부터, 7일과 8일에는 장가계 4·5·6일 시그니처 여행상품을 69만9천원부터 판매한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쓱데이 기간 9개 호텔의 객실 상품을 최대 70% 할인하고 뷔페 및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을 최대 20% 할인한다. 신세계까사의 온라인플랫폼 굳닷컴은 일본 온천 여행, 아이슬란드 오로라 여행, 이탈리아 소도시 투어 등 겨울 감성여행을 테마로 한 10여개 상품을 선보인다. 행사 기간 내 예약을 확정한 고객 전원에 굳닷컴 10만 포인트도 제공한다. 제주항공과 쓱데이 공동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45개 노선 항공권 특가, 국제선 노선별 최대 6% 할인, 카카오페이 결제시 최대 2만원 할인혜택을 마련했다. 제주항공 이벤트 페이지에 쓱데이 응원댓글을 작성하면 추첨을 통해 총 135명에게 조선호텔 숙박권, 신세계상품권 등의 경품을 제공한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이번 쓱데이 여행 특가전은 겨울 비수기 시즌에 가장 합리적으로 쉼과 여행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라며 “신세계그룹사가 준비한 자체 기획전에 항공사 제휴까지 더해 더 다채롭고 풍성한 혜택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5 06:00김민아

첫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 규제•실제 적용•산업 간 확대 조명하는 프로그램 공개

고위급 프로그램은 AI 안전과 표준, 인간과 AI의 신뢰, 도시 항공 이동성, 스마트 항만과 도시, 산업 간 통합 분야 세션 확정 글로벌 컨벤션은 도시 규모에서 정책•투자•배포 조율 통해 2030/2040년까지의 상용화 경로 로드맵 제시 예정 서밋은 11월 10-15일 열리는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 동안 DRIFTx 전시회, 로보컵 아시아-태평양 2025, 아부다비 자율주행 레이싱 리그(A2RL)의 중심 행사 역할 기대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5년 11월 4일 /PRNewswire/ -- 11월 10일 개최되는 제1회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Abu Dhabi Autonomous Summit) 프로그램이 공개됐다. 이번 서밋에서는 글로벌 산업 리더들이 모여 규제, 통합, 규모 확대와 관련해 업계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논의하고,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의 최신 발전 동향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Archer Autonomous midnight aircraft' 스마트 및 자율주행 시스템 위원회(Smart and Autonomous Systems Council•SASC) 주최로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Abu Dhabi Autonomous Week•ADAW) 개막 행사로 열리는 이번 서밋에선 스마트 및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다음 장을 정의하며, 육상•해상•항공•로보틱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 전반에서 자율주행 기술이 시범 프로젝트를 넘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지게 만들 글로벌 테스트베드로서 아부다비의 역할을 조명할 예정이다. 서밋은 '스마트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미래가 형성되는 곳(Where the Future of Smart and Autonomous Mobility Takes Shape)'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며, 총 13개 세션에서 30여 명의 연사가 참여하며, 정책 결정자, 운영사, 투자자, 혁신가 간 협력을 가속화하고 규제를 실제 산업 규모에 적절하게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서밋은 투자, 통합, 혁신이 아부다비의 자율 경제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에 대한 '리더십 대화(Leadership Dialogue)' 세션으로 시작하여 2030/2040년을 향한 상용화 경로 로드맵, 이를 지원할 공공과 민간 파트너십, 탄력적이고 통합된 도시를 지원할 거버넌스 및 인프라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이어 '자율주행 규제(Regulating Autonomy)' 세션에서는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거버넌스부터 공공 신뢰 구축과 측정까지 '안전을 먼저 확인 후 확장(Safety First, Then Scale)' 원칙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이후 '개념에서 현실로(From Concept to Reality)' 세션에서는 로보택시, 대중교통, 라스트마일 배송 모델 등 확장 가능한 자율주행 서비스의 상용화에 대해 집중 논의하고, '자율주행의 동력(Powering Autonomy)' 세션에서는 도시 전체 운영의 기반이 될 전기화되고 탄력적인 인프라를 다룰 예정이다. '인간과 AI 간 시너지(Human-AI Synergy)' 세션에서는 설명 가능한 AI, 인간의 감독 체계, 위험을 명확히 알려주는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탐구하고, 'AI 기반 의사결정(AI-Driven Decision-Making)' 세션에서는 드론, 스마트 도로, 엣지와 보안 클라우드 기반 물류 등 실시간 AI 스택의 실제 작동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산업 간 협업(Cross-Sector Collaboration)' 세션에서는 모빌리티, 에너지, 물류, 기술 분야 리더들이 수익성 있는 활용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 항만과 도시 설계(Designing Smart Ports and Cities)' 세션은 자율주행에 적합한 도시 설계와 산업 응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도심 항공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세션에서는 인증, 공역 통합, 항만•공항•도심 간 연결 문제를 다룬다. '스마트 시티 실현(Smart Cities in Action)' 세션에서는 실시간 변화 사례를 공유하고, '신자산군의 금융 및 보험(Financing and Insuring New Asset Classes)' 세션은 차세대 플랫폼에 맞춰 자본과 보장 모델이 어떻게 적응할지를 논의할 예정이다.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에 참여하는 주요 업계 대변인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셰리프 타우피크(Sherif Tawfik)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G42 최고파트너십책임자(CPO), 토니 쉬 한(Tony Xu Han) 위라이드(WeRide) 창립자 겸 회장 겸CEO, 니킬 고엘(Nikhil Goel)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최고상업책임자(CCO), 탈리브 알히나이(Talib Alhinai) 아처 에비에이션 아랍에미리트 총괄 매니저, 매트 체이슨(Matt Chasen) 리프트 에어크래프트(LIFT Aircraft) CEO, 토비아스 리벨트(Tobias Liebelt) 벤텔러 모빌리티(BENTELER Mobility) CEO, 마크 지거(Mark Seeger) 글라이드웨이즈(Glydways) 공동 CEO 겸 창립자, 미카엘 선더비(Michael Sønderby) 스티어AI(SteerAI) CEO 대행, 조지 프렌자스(George Prentzas) 베르사 에어로스페이스(Versa Aerospace) CEO, 우고 포짜티(Hugo Fozzati) 텐서(Tensor) 최고사업책임자(CBO), 데스먼드 휘틀리(Desmond Wheatley) 빔 글로벌(BEAM Global) CEO 겸 사장 겸 이사회 의장, 스벤 바이커(Sven Beiker) 실리콘밸리 모빌리티(Silicon Valley Mobility) 전무이사이자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강사, 파이살 알 바나이(Faisal Al Bannai)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Advanced Technology Research Council) 사무총장, 모하메드 알리 알 쇼라파(Mohamed Ali Al Shorafa) 아부다비 시•교통부(Department of Municipalities and Transport) 의장,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Ahmed Jasim Al Zaabi) 아부다비 경제개발부(Abu Dhabi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의장, 바드르 살림 알 올라마(Badr Salim Al Olama) 아부다비 투자청(Abu Dhabi Investment Office) 사무총장, 스테판 팀파노(Stéphane Timpano) 어스파이어(ASPIRE) CEO, 타리크 아흐메드 알 와헤디(Tariq Ahmed Al Wahedi) 7X 그룹 CEO, 파이 아르조만디(Fay Arjomandi) 미믹(mimik) 창립자 겸 CEO, 엘레나 소를리니(Elena Sorlini) 아부다비 공항(Abu Dhabi Airports) CEO, 모하메드 살라(Mohamed Salah) 어드밴스드 모빌리티 허브(Advanced Mobility Hub) 그룹 CEO, 라시드 마타르 알 마나이(Rashid Matar Al Manai) LODD 오토노머스(LODD Autonomous) CEO가 그 주인공들이다. 파이살 알 반나이 UAE 대통령 전략연구 및 첨단기술 담당 고문 겸 첨단기술연구위원회 사무총장은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은 기계가 인간과 함께 생각하고, 적응하고, 행동하는 지능형 자율주행 시대를 만들어가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준다"면서 "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모빌리티와 산업 및 인간 경험 자체의 재구성과 관련된 문제"라고 말했다.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 행사 일정: 11월 10일 –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 6일간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으로 시작된다. 업계 선구자, 정책 결정자, 투자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능형 모빌리티의 다음 장을 정의할 고위급 대화에 참여한다. 11월 10일~12일 – DRIFTx 전시회 3일간 열리는 DRIFTx 전시회에서는 육상•해상•항공•로보틱스 분야의 스마트 자율주행 모빌리티 솔루션을 생생한 인터랙티브 전시로 선보인다. 11월 10일~15일 – 로보컵 아시아-태평양 2025 11월 10일부터 15일까지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 기간 내내 진행되는 로보컵 아시아-태평양 2025(RoboCup Asia-Pacific 2025)는 칼리파 대학교가 주최한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이 대회에선 세계 최정상급 팀들이 모여 AI 기반 자율 로봇 기술 경연을 펼친다. 11월 15일 – 아부다비 자율주행 레이싱 리그(A2RL)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은 자율주행 레이싱 기술의 최첨단을 보여주는 모터스포츠 전시회인 아부다비 자율주행 레이싱 리그(Abu Dhabi Autonomous Racing League•A2RL) 2회 대회로 막을 내린다. 어스파이어와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가 주최하는 이 행사는 총상금 225만 달러를 걸고 10개국 엘리트 연구팀이 참가한다. autonomous.abudhabi를 방문하고, 소셜 미디어 채널 @autonomousad를 팔로우하면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 2025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공인된 언론사는 media@autonomousad.ae을 통해 관심 등록을 하거나 확정된 연사들과의 인터뷰를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 및 자율주행 시스템 위원회 소개 2024년에 설립된 스마트 및 자율주행 시스템 위원회(SASC)는 아부다비의 스마트 및 자율주행 기술 분야의 전략적 방향을 수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SASC는 정부 기관, 글로벌 혁신 기업 및 산업 관계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정책, 규제, 투자 및 혁신을 주도하며, 아부다비를 미래 기술의 최전선이자 지능형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시스템 분야의 글로벌 선도 허브로 자리매김할 세계적 수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아부다비 자율주행 주간에 관하여 아부다비 자율 주간(ADAW)은 육상•해상•항공•로보틱스 등의 산업 전반에 걸쳐 스마트 모빌리티와 자율주행 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한 에미리트의 대표 플랫폼이다. 스마트 및 자율주행 시스템 위원회(SASC)가 주최하는 이번 첫 행사는 글로벌 분야 리더, 정책 결정자, 혁신가 및 투자자를 한자리에 모아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를 연결하고 협력하며 가속화한다. 고위급 대화와 파트너십을 위한 주간 플래그십 행사인 아부다비 자율주행 서밋으로 시작되는 이 프로그램은 DRIFTx, 로보컵 아시아-태평양 2025, 아부다비 자율주행 레이싱 리그(A2RL) 등의 이니셔티브로 더욱 강화되어, 아부다비가 자율주행 기술의 혁신, 투자 및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배포를 위한 글로벌 허브로서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811801/Archer_Midnight_Aircraft.jpg?p=medium600

2025.11.05 03:10글로벌뉴스

[인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승진 ▲경제전망·통계연구단 산업구조·정책효과분석실 박성근 ▲산업전환전략연구단 인구감소·고령화대응연구실 이동희 ▲산업전환전략연구단 디지털·AI전환생태계연구실 이상현 ▲산업전환전략연구단 탄소중립산업전환연구실 이재윤 ◇연구위원 승진 ▲산업전환전략연구단 디지털·AI전환생태계연구실 남상욱 ▲지역경제연구단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 배진원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 안보전략산업팀 심순형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 경제안보·통상전략연구실 양주영 ▲산업전환전략연구단 탄소중립산업전환연구실 이상원 ▲산업정책기획실 최민철 ▲대외협력실 황경인

2025.11.05 00:18신영빈

DJI, 항공 라이다 시스템 '젠뮤즈 L3' 출시

중국 드론·카메라 기업 DJI는 차세대 항공 라이다 시스템 '젠뮤즈 L3'을 출시한다고 4일 밝혔다. 신제품은 DJI의 첫 1535nm 장거리 고정밀 라이다다. 최대 950m 거리 물체까지 정밀하게 탐지하며 ±5mm의 거리 반복 정밀도를 구현한다. 젠뮤즈 L3는 100kHz 펄스 속도에서 작동하며 울창한 산림·도시 환경 등 복잡한 지형에서도 높은 침투 성능을 유지한다. 150m 거리에서 ±5mm, 500m 거리에서도 10cm 이내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듀얼 1억 화소 RGB 매핑 카메라를 탑재해 300m 고도에서도 3cm 지상표본거리(GSD)를 구현한다. 두 개의 4/3형 CMOS 센서와 기계식 셔터는 최대 107° 수평 시야각(FOV)을 지원한다. 젠뮤즈 L3는 초당 200만 포인트 레이저 펄스와 16회 리턴 기능을 지원하며, 새롭게 적용된 '스타 셰이프드' 스캔 모드로 더 많은 지면 포인트를 확보한다. DJI 매트리스 400 드론에 탑재 시 단 한 번의 비행으로 최대 10km² 지형을 촬영할 수 있다. 하루 최대 100km² 범위 작업이 가능하다. 라이다와 RGB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해 정사영상(DOM), 수치표고모델(DEM) 등 다양한 매핑 결과물을 단일 비행으로 생성할 수 있다. D-RTK 3 스테이션, DJI 테라, DJI 모디파이, DJI 플라이트허브 2 등 DJI 엔터프라이즈 생태계 전반과 통합된다. DJI는 이번 제품이 지형 측량·재난 대응·문화재 보존·에너지·인프라 점검·임업 등 산업 전반의 지리공간 데이터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11.04 23:46신영빈

'시진핑 선물' 샤오미15 울트라, 11일까지 12% 할인

샤오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샤오미15 울트라' 스마트폰을 선물한 것을 기념해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샤오미는 오는 11일까지 샤오미15 울트라를 정가 169만9천원에서 12% 할인된 149만9천원에 판매한다. 제품은 전국 4개 샤오미 스토어와 공식 온라인몰, 네이버·지마켓 등 주요 유통 채널에서 선보인다. 샤오미15 울트라는 올해 MWC 2025에서 '베스트 오브 쇼'를 수상하며 혁신성과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모델이다. 샤오미와 독일 광학 명가 라이카가 3년 간 공동 개발한 이미지 시스템을 탑재했다. 최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과 5천410mAh 서지 배터리, 90W 유선·80W 무선 충전 기술을 갖춰 성능과 전력 효율을 동시에 강화했다. 6.73인치 WQHD+ AMOLED 디스플레이와 강화된 내구성 구조 '샤오미 가디언 스트럭처'를 적용했다. 샤오미코리아 관계자는 "최신 플래그십 모델 중 하나인 샤오미15 울트라가 최근 주요 행사에서 소개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높은 품질의 기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4 23:38신영빈

오텍 씨알케이, 지능형 냉동기 2년 무상보증

오텍그룹 상업용 냉동·냉장 전문 기업 씨알케이(CRK)는 지능형 인버터 냉동기를 대상으로 2년 무상보증서비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고 4일 밝혔다. 서비스는 24시간 모니터링·긴급출동·정기점검을 포함한 전 과정 사후관리를 포함한다. 기존 1년 무상서비스를 연장했다. 씨알케이는 지난 3월 출시한 자체 통합관제 플랫폼 '씨알케이 스퀘어'를 기반으로 구축된 실시간 사후관리 체계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플랫폼은 AWS 클라우드 기반 콜드체인 통합관제 솔루션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실시간 관제 서비스를 지원한다. 씨알케이는 설치 실명제와 본사 현장 감리 제도를 도입해 시공 단계부터 품질을 관리한다. 설치 실명제는 현재까지 4천건 이상 등록됐다. 올해 약 1천800건이 추가됐다. 설치가 완료되는 이후에는 씨알케이스퀘어를 통해 제품 상태를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신속하게 대응한다. 씨알케이는 이러한 통합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장기 보증의 실효성을 높이고, 예기치 못한 고장 발생 시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망을 마련했다. 향후에는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 설비 운영 고객을 위한 '무상 보증 연장 프로그램'도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씨알케이 관계자는 "향후 지능형 인버터 제품에서 전체 냉동기로 확대 적용해 무상보증 서비스 프로그램을 더욱 늘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04 23:29신영빈

로봇산업진흥원, 로봇화 인재양성 전략 찾는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오는 1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 '안다즈 서울 강남'에서 '마이스터 로봇화 교육 성과 활성화 전략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 로봇 인력양성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로봇교육의 실용적 전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컨퍼런스는 마이스터 로봇화 교육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로봇 인력양성 현황을 점검하고 교육정책과 산업 수요 간 연계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컨퍼런스는 기조연설, 주제발표, 패널토의 순으로 진행된다. 산·학·연 전문가 약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조연설은 삼성멀티캠퍼스 김소영 상무가 'AI가 바꾼 학습의 질서: 미래 인재양성의 과제'를 주제로, 첨단기술 교육의 수요·공급 지형과 과제를 짚는다. 주제발표는 AI 융합, 자율제조 인재 확보, 지역 로봇교육 수요와 해외 사례를 소개한다. 패널토의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종형 교수가 좌장을 맡아 '한국의 로봇 실용 인재 양성 방안'을 놓고 현장의 요구와 정책 방향을 토론한다. 류지호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 직무대행은 "AI 융합과 산업 현장 수요를 반영한 미래 로봇교육 체계를 모색해 바람직한 로봇인재 생태계 육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04 23:20신영빈

캐피털 A, 국제 입지 확충 계획 진전 위해 바레인을 중동의 공항, 항공기 정비, 물류 거점으로 삼는 방안 모색

바레인 교통통신부(MTT), 이번 제휴의 엄청난 잠재력과 에어아시아의 국제 네트워크 확장 전략에서 중동의 요충지로서 바레인의 역할 강조 마나마, 바레인, 2025년 11월 4일 /PRNewswire/ -- 캐피털 A 버하드(Capital A Berhad)(이하 '캐피털 A')가 바레인을 에어아시아(AirAsia)의 중동 거점으로 삼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오늘 바레인 교통통신부와 나란히 의향서(LOI)에 서명했다. 항공 산업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지역과 아세안(ASEAN) 지역을 연결하는 일종의 가교를 건설하려는 거시적 제휴가 시작된 셈이다. Capital A explores Bahrain as Middle East aviation, engineering and logistics hub to advance global expansion plans 의향서는 바레인 왕국과 아세안 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관문을 세우려는 공동 목표를 가진 캐피털 A와 바레인 간의 더욱 긴밀한 항공 및 경제 협력에 관한 포괄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의향서에는 향후 항공 운영, 화물 및 물류, 정비 역량, 인재 개발 전반에 관한 다각적인 협력 방안이 개괄적으로 명시되었다. 캐피털 A의 토니 페르난데스(Tony Fernandes) 회장은 "이번 제휴를 계기로 업계의 판도가 바뀔 것이다. 조만간 캐피털 A의 항공 사업 구조조정이 완료되면, 캐피털 A와 에어아시아 둘 다 기존 항공 시장의 질서에 큰 변화를 불러올 과감한 범세계적 성장 단계에 돌입하고, 바레인은 에어아시아의 의미심장한 중동 지역 거점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그는 "에어아시아는 혁신을 밑거름 삼아 성장해 왔으며, 저가 항공 사업 모델을 부단히 재정립하고 있다. 에어아시아는 본거지인 말레이시아를 넘어 주변 국가에도 항공사를 설립하는 개척 정신을 발휘하여 이미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등 아세안 지역 거점으로 사세를 넓히는 데 성공했다. 바레인은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에어아시아의 혁신 정신과 개척 정신을 재현하여 '이제 누구나 비행할 수 있다(Now Everyone Can Fly)'라는 에어아시아의 사명을 이어받는다. 그리고 이번 제휴에서 모색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가 바로 그러한 실천 의지의 증거이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토니 페르난데스 회장은 "미래의 항공 산업은 국경을 초월해 다수의 전략적 요충지를 촘촘히 연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에어아시아는 2030년 전에 바레인에 새로운 현지 법인 항공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과 별도로, 매일 25회 이상 바레인과 에어아시아의 주요 아세안 지역 거점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항하여 향후 5년간 2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할 계획이다. 주요 수도를 오가는 노선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경제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인구 규모나 경제 규모 면에서 수도 다음으로 중요한 도시와 신흥 도시로 운행 노선을 확충하여 사람, 무역, 노동력, 화물의 새로운 흐름을 창출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바레인 왕국 교통통신부 장관 셰이크 압둘라 빈 아흐메드 알 칼리파(Shaikh Abdulla bin Ahmed Al Khalifa) 박사는 "경제 비전 2030(Economic Vision 2030)에 따라 경제를 다각화하려는 바레인의 포부가 캐피털 A 및 에어아시아와의 이번 제휴로 추진력을 얻게 되었다. 이번 제휴로 인해 중동 지역 관광 및 물류 중심지로서 바레인의 입지가 더욱 굳건해지고, 아시아, 중동, 유럽, 아프리카, 미국을 연결하는 전략적 가교 구실을 하는 바레인의 역할이 한층 더 중요해졌다. 관광객이나 여행객뿐만 아니라 업무 목적의 승객도 이번 제휴 방식의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그와 동시에, 바레인의 고학력 인력들이 탐낼 만한 전문 기술직 일자리가 창출되고, 바레인의 경제 발전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에어아시아는 의향서에 따라 향후 5년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바레인으로 가는 항공편을 개설하는 방안과 더불어, 이후 유럽과 미국으로 연결되는 환승편을 신설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에어아시아는 바레인에 새로운 현지 법인 항공사를 설립하여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의 대도시로 협동체 항공기를 운항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에어아시아는 2030년 전에 매일 25회 이상 바레인을 경유하는 항공편을 운항하여 향후 5년간 2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수송하고, 바레인에 약 30억 바레인 디나르(미화 80억 달러)의 경제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에어아시아의 이번 사세 확충 덕분에 항공 및 서비스 생태계에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에어아시아는 다년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바레인 국적의 조종사, 승무원, 기술자, 지상직 인력을 교육하고 채용할 예정인데, 첫해에만 1000명 이상 채용해 바레인의 경제 발전 목표 달성에 일조할 계획이다. 캐피털 A 산하의 정비, 수리, 정밀검사(MRO) 전문 회사인 아시아 디지털 엔지니어링(Asia Digital Engineering: ADE)은 협폭동체 항공기와 광폭동체 항공기를 모두 정비할 수 있는 격납고와 작업장을 포함한 최첨단 시설을 건립하여 바레인에서 중요한 입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아시아 디지털 엔지니어링은 이 시설 건립에 발맞춰 에어버스(Airbus)와 보잉(Boeing) 항공기에 관한 고급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바레인 현지 인력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른 MRO 처리 시간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와 같은 목표가 달성된다면 국내 및 지역 항공사가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하고 추가 수익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시설 건립 계획에서는 바레인을 중동 최고의 MRO 센터로 만들겠다는 ADE의 확고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바레인을 교두보로 삼아 창립 이후 처음으로 아시아 너머로 사세를 넓히겠다는 각오를 다진 캐피털 A의 물류 자회사 텔레포트(Teleport)는 바레인에 전용 화물기를 배치하여 중동, 유럽, 아프리카,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의 항공 노선을 강화할 계획이다. 텔레포트는 이와 같은 전략적 행보를 통해 국제 물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아시아, 중동, 그리고 그 너머 지역 간의 전자상거래 흐름을 한층 더 개선할 것이다. 이번 제휴 발표는 캐피털 A가 모든 항공 사업 매각 조건을 충족하여 하나의 에어아시아 그룹으로 통합함으로써 여러 거점의 환승 노선을 활용하는 저가 항공사로 거듭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요인을 제거한 최근의 중요한 행보와 직결된다. 에어아시아 그룹은 세계 항공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 캐피털 A는 상호 보완적인 여행 및 디지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양사가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전 세계 고객과 파트너에게 더욱 촘촘하게 연결된 미래를 선사하겠다는 각오로 힘을 합쳤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811718/Capital_A.jpg?p=medium600

2025.11.04 23:10글로벌뉴스

우버, 3분기 사상 최대 이용건수 달성…'깜짝 실적'에도 주가는 하락

우버가 올해 3분기 매출과 이용 건수 모두에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22% 증가했고, 총예약액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회사가 4분기 실적 전망을 보수적으로 제시하면서 주가는 오히려 하락세다. 4일(현지시간)우버는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 약 135억 달러(약 19조4천억원), 영업이익 11억 달러(약 1조5천800억원), 조정 EBITDA(세전·이자전·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 23억 달러(약 3조3천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조정 EBITDA는 33% 증가했다. “AI·자율주행이 성장 견인”...승차건수 35억건 돌파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CEO는 “3분기는 우버 역사상 가장 큰 트립(이용건수) 증가폭을 기록한 분기 중 하나였다”며 “AI와 자율주행 기술의 변혁적 잠재력을 활용해 고객과 평생 관계를 구축하고, 로컬 커머스 전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3분기 전체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2% 늘어난 35억 건으로 집계됐다.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PCs)는 17% 증가했고, 1인당 월평균 이용건수도 4% 늘었다. 총예약액은 497억 달러(약 71조5천억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매출은 135억 달러로, 환율 변동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19% 늘었다. 영업이익은 11억 달러로 5% 증가했고, 순이익은 66억 달러(약 9조5천억원)를 기록했다. 이번 순이익에는 세금 평가차익 49억 달러가 반영됐다. 프라샨트 마헨드라-라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우리는 매출과 이익 양쪽에서 또 한 번 인상적인 실적을 냈다”며 “꾸준한 실행력을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성장 기회에 투자하면서도, 주주환원 원칙은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4분기 전망 '보수적' 우버는 4분기 총예약액을 522억 달러(약 75조1천억원)에서 537억 달러(약77조2천억원)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21% 성장한 수준이다. 조정 EBITDA는 24억1천만 달러(약 3조4천600억원)에서 25억1천만 달러(약 3조6천억원)로, 전년 대비 31~3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3분기 실적은 기대 이상이지만, 4분기 가이던스는 다소 보수적으로 제시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우버 주가는 지속해서 하락 중이다. 다만 고성장세를 유지하면서도 이익률이 안정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우버의 플랫폼 기반 수익 구조가 한층 견고해졌다는 분석도 있다.

2025.11.04 22:56안희정

마이스맥스 "AIoT 플랫폼 'JOI'·엣지 디바이스 'JOI 허브'로 시선"

지디넷코리아는 서울대 공대 및 SNU공학컨설팅센터가 주식회사 동서와 함께 유망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준비를 돕는 기술창업 전문 프로그램인 'SNU-동서 스타트업 프로듀스 34'의 6기 기업에 선정된 스타트업 6곳을 하나씩 소개합니다. 'SNU-동서 스타트업 프로듀스 34'는 주식회사 동서 김석수 회장이 기부한 발전기금으로 2021년부터 시작했습니다. [편집자 주] 마이스맥스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와 제자들이 의기투합해 설립한 AIoT(지능형 사물인터넷)전문 기술스타트업이다. '모든 공간을 원하는 대로 스마트하게'라는 비전 아래, 7년간 연구실에서 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AIoT 플랫폼 'JOI'를 무기로, 연구실을 넘어 산업 현장 가장 깊숙한 곳까지 직접 발로 뛰며 기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가고 있다. 하순회 마이스맥스 대표는 창업에 뛰어든 이유에 대해 "논문으로만 존재하는 기술이 아닌, 사람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만들고 싶었다. 기존 사물인터넷의 불편함과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개발, 이 기술의 가능성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제자들과 함께 '우리가 직접 세상에 선보이자'고 결심했다. 책상 앞에서의 연구를 넘어, 고객을 직접 만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으며 제품을 완성해나가고 싶었다"고 들려줬다. 회사 이름 마이스맥스는 '모든 공간을 원하는 대로 스마트하게(Make Your Space Smart, You way)'라는 의미다. 사용자가 기술의 복잡함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모든 것을 현실로 만들 수 있게 최대의 자유와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하 대표는 "우리는 이 비전을 우리 손으로 직접, 끝까지 책임지고 완성해 나갈 것"이라면서 "제조사마다 다른 앱, 불안한 보안, 복잡한 설정,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직접 수십 곳의 현장을 다니며 확인한 고객들의 진짜 '페인포인트'였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JOI' 플랫폼은 "이 방 온도는 25도, 습도는 50%로 맞춰줘"와 같은 자연어 한마디로 모든 기기를 알아서 제어하고,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는 방식으로 개인정보를 완벽하게 보호한다. 우리는 단지 기술을 파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문제를 끝까지 해결, 기술이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세상을 바꾸어 나갈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은 AIoT 플랫폼 'JOI'와 이를 탑재한 엣지 디바이스 'JOI 허브'다. 이 제품의 특징은 첫째, 고객 중심의 빠른 커스터마이징이다. 기술을 가장 잘 아는 개발자들이 직접 고객과 소통하기 때문에, 어떤 복잡한 요구사항이라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솔루션으로 구현해낼 수 있다. 둘째, 높은 사용자 편의성이다. 자연어 기반의 자동 제어 기능으로,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스마트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셋째, 프라이버시 보호다. 'JOI 허브'가 클라우드 없이도 모든 기능을 수행, 데이터 주권을 완벽하게 사용자에게 돌려준다. 넷째, 개방형 생태계다. 특정 대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세상의 모든 기기와 서비스를 연결하겠다는 것이 회사의 철학이다. 리모컨으로 작동하는 오래된 에어컨부터 최신 로봇까지 'JOI' 안에서는 모두가 하나가 된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다섯째, 검증된 기술력과 사업화 준비 완료다. 2차에 걸친 투자 유치와 팁스(TIPS) 프로그램, 초기창업패키지 등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플랫폼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연구실 수준을 넘어, 실제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진입할 준비를 마쳤다. 마이스맥스가 주력하는 AIoT 시장은 거대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자사 제품을 팔기 위한 '닫힌 생태계' 전략에 머물러 있고, 이는 고객에게 불편을 강요하고 시장의 성장을 저해한다는 게 회사 판단이다. 하 대표는 "우리는 이 거대한 시장에서 작지만 가장 빠른 '특공대'와 같다. 대기업들이 주저하는 '완전 개방형 플랫폼'이라는 무기로, 고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며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나갈 것"이라면서 "국내에는 우리와 같은 포지션의 경쟁자가 전무하다"고 강조했다. 마이스맥스의 경쟁우위는 첫째, '속도'와 '진정성'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실행력을 결합했다. 하 대표는 "우리 팀은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 기술을 개발하는 사람, 고객을 만나는 사람이 모두 동일하다. 이에 의사결정 과정이 극도로 단순하고, 고객 요구를 빛의 속도로 제품에 반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둘째,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열정이다. 단순히 월급을 받는 직원이 아니라, 우리가 만든 기술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꿈을 가진 '주인'들이 모였다는 것이다. 여기에 "고객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희열과 열정은 그 어떤 대기업도 따라올 수 없는 우리만의 경쟁력"이라고 짚었다. 마이스맥스는 '고객사'라는 표현 대신 '파트너'라는 말을 쓴다. 책상에 앉아 파트너를 기다리는 대신, 기술이 가장 큰 가치를 발휘할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팜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며 많은 잠재 파트너들을 만나고 있다. 현재 몇몇 선도 기업들과는 단순 PoC(시험테스트)를 넘어, 그들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 사업 모델'을 구체화하고 있다. 하 대표는 "우리의 열정과 기술력을 믿고, 함께 미래를 만들어갈 파트너를 찾는다"면서 "B2B 파트너를 위한 'JOI 플랫폼'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언제든 맞춤형으로 제공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팀의 모든 노력을 집약한 B2C용 'JOI 허브'를 올 12월에 정식 출시한다. 우리는 직접 발로 뛰는 진정성 있는 마케팅으로 고객들에게 다가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타트업은 맨파워가 매우 중요하다. 마이스맥스는 하 대표를 포함해 5명의 SW 개발자와 ETRI 파견 연구원, 디자이너가 '전원 공격수' 체제로 움직인다. 모두가 영어 이름으로 소통하며 직급 없이 수평적인 관계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 필요할 땐 모두가 영업사원이 되고, 모두가 기획자가 된다. 하 대표는 "우리가 만든 제품은 우리가 끝까지 책임진다는 강한 주인의식과 동료에 대한 깊은 신뢰가 우리 기업문화의 핵심"이라고 짚었다. 향후 수출에도 도전한다. 국내에서 현장 중심의 성공 방정식을 만든 후, 그 경험을 그대로 가지고 미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에 도전할 예정이다. 화려한 전략보다는, 현지 파트너와 직접 부딪히고 배우며 한 걸음씩 나아가는 우직한 방식으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다. 회사는 시드 단계에서 4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현재 10~20억 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 대표는 "새로 들어오는 투자금은 우리의 '총력전'을 위한 실탄이 될 거다. 더 많은 현장을 누빌 영업 및 기술지원 인력을 보강하고, 우리 비전을 더 널리 알릴 마케팅 활동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면서 "이 동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오는 2029년 코스닥 상장이나 M&A라는 결실을 맺겠다"고 밝혔다. 회사의 중장기 비전에 대해 하 대표는 "우리 비전은 'JOI' 플랫폼을 PC의 'MS 윈도'나 '리눅스'처럼, AIoT 시대의 표준 운영체제(OS)로 만드는 것이다. 5년 후에는 우리가 직접 발로 뛰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분야에서 가장 사랑받는 솔루션 기업이 되고, 10년 후에는 전 세계 모든 공간에서 우리 기술을 통해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누리게 하는, 작지만 가장 강한 글로벌 기업이 되고 싶다"는 바람을 보였다. 이어 "우리는 책상 앞에서 세상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고객과 함께 땀 흘리며, 진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면서 "우리 기술력과 꺾이지 않는 열정에 동참, 공간 한계를 넘어 새로운 미래를 함께 열고 싶은 분이라면 언제든 연락을 달라. 마이스맥스의 위대한 여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고 말했다.

2025.11.04 22:49방은주

CJ온스타일, '겨울 패션위크' 개최

CJ온스타일은 4일부터 16일까지 '2025 겨울 패션위크'를 열고, 헤비 아우터부터 라이트 다운까지 폭넓은 라인업으로 겨울 수요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CJ온스타일이 패션위크를 앞두고 10월 20~29일 검색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캐시미어 등 프리미엄 소재 검색량이 전년 대비 175% 급증했고, 간절기 단축과 레이어링(겹쳐 입기) 트렌드 확산으로 경량 패딩 검색량도 243% 늘었다. 체감 추위가 빨라지며 소재와 보온성을 중시한 소비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를 반영해 발 빠르게 기획한 이번 패션위크는 '프리미엄 소재'에 초점을 맞췄다. 캐시미어·알파카·밍크·구스다운 등 고급 원단의 아우터를 전면에 세워 자연스러운 품격과 따뜻함의 '데일리 럭스(Daily Luxe)'를 제안하고, 레이어링 중심 착장에 맞춰 경량 패딩 라인도 강화했다. 패션위크 기간에는 ▲셀렙샵 에디션 알파카 헤어리 퀼팅코트 ▲더엣지 헝가리구스 커브드 다운 ▲바니스뉴욕 카멜100 롱코트 ▲블랙야크·디스커버리 경량 패딩 및 신상 헤비다운 등을 선보인다. 잡화 라인업도 강화했다. '어그(UGG) 클래식 미니' 등 보온 슈즈와 '오야니', '유메르' 등 K패션 대표 브랜드들의 겨울 액세서리, '크록스' 4계절용 신제품, '나이키' 러닝화 등을 구성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구매 혜택도 강화한다. 행사 기간 구매 2회 및 누적 10만원 이상 고객에게 최대 10만원 적립금을 제공하며, 추천 브랜드 큐레이션·TPO별 스타일 제안·스타일 투표 이벤트 등을 운영한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급변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프리미엄 겨울 패션 큐레이션을 강화했다”며 “한발 앞선 겨울 수요 공략으로 '패션은 CJ온스타일'이라는 신뢰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4 22:25안희정

퀸잇,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 도입

라포랩스(대표 최희민·홍주영)가 운영하는 4050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퀸잇'이 4일부터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이날 밝혔다.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은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동영상, 쇼츠, 라이브 스트림 등 다양한 유튜브 콘텐츠에 퀸잇에서 판매 중인 상품 링크를 직접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이다. 시청자는 영상을 시청하며 상품 정보를 바로 확인하고, 클릭 한 번으로 구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유튜브의 기준에 따라 등록 절차를 완료한 크리에이터라면 이날부터 퀸잇에서 판매하는 상품 링크를 자신의 콘텐츠에 연동할 수 있다. 이번 제휴를 통해 퀸잇 입점 브랜드는 신규 고객 유입 확대는 물론, 유튜브 콘텐츠 내 자연스러운 상품 노출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구매 전환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퀸잇의 주 고객층인 4050세대가 유튜브를 활발하게 이용하는 만큼, 콘텐츠를 통해 상품을 발견하고 바로 구매할 수 있어 고객의 쇼핑 접근성과 편의성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의 성장세도 가파르다. 지난해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 국내 쇼핑 관련 콘텐츠 시청 시간이 전년 대비 300% 이상 증가하는 등 유튜브 쇼핑 활용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어 프로그램 도입 성과가 주목된다. 퀸잇 관계자는 “유튜브 쇼핑 제휴 프로그램이 입점 브랜드의 노출 확대와 매출 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4050 고객과 브랜드, 크리에이터가 함께 연결되는 새로운 커머스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04 22:17안희정

쿠팡, 하반기 최대 할인 행사 '와우빅세일' 진행

쿠팡이 와우회원을 대상으로 오는 9일까지 대규모 할인 기획전 '와우빅세일'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와우빅세일'은 쿠팡이 와우회원을 위해 매년 7월과 11월, 단 두 차례만 선보이는, 15개 전체 카테고리가 참여하는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총 800여개 브랜드와 4만5천여개 상품이 참여해, 다양한 쇼핑 혜택을 제공한다. 쿠팡은 고객의 쇼핑 편의를 위해 ▲와우빅세일 베스트 셀링 추천 ▲브랜드 빅세일 ▲키워드 빅세일 ▲와우빅세일 랭킹특가 ▲직구 빅세일 ▲카테고리 빅세일 등 코너로 행사를 구성했다. '와우빅세일 베스트 셀링 추천' 코너에서는 리뷰로 검증된 인기 상품, '1만원 이하 가성비템', '뉴라이징 아이템' 등 고객 반응이 좋고 관심도가 높은 제품을 엄선해 소개한다. '브랜드 빅세일'에는 ▲LG전자 ▲오뚜기 ▲락앤락 ▲하림 ▲쿠쿠 ▲아모레퍼시픽 ▲청정원 ▲뉴발란스 ▲HP ▲프레시지 ▲이니스프리 등 20여개 주요 브랜드가 참여해, 주간 단위 특가전을 진행한다. '키워드 빅세일'에서는 시즌 트렌드를 반영한 테마 기획전이 마련됐다. ▲가을·겨울 홈인테리어 ▲미리 겨울 준비 ▲수능선물 추천 ▲여행&캠핑 ▲11.11DAY 등의 주요 키워드 테마관을 통해 침구부터 의류, 스낵, 뷰티·디지털기기까지 다양한 상품을 선보인다. '와우빅세일 랭킹특가' 코너에서는 '모두가 사랑한 베스트템 TOP 100'과 '베스트 브랜드 추천템'을 소개하며, '로켓직구 빅세일'에서는 미국·중국·일본 등 글로벌 인기 브랜드의 특가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쿠팡 관계자는 “와우빅세일은 매년 상·하반기 고객들이 가장 기다리는 대규모 할인전”이라며 “이번 행사에서는 전 카테고리의 인기 브랜드와 상품이 총집결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연말 쇼핑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04 22:10안희정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새로운 KT CEO 후보자 찾기 시작됐다

AI 팩토리가 미래 산업의 전력망...엔비디아 'NVL72'가 여는 지능 생산 시대

백종원 대표, 반년만에 방송 복귀…가맹점 정책 재정비도

트럼프, '엔비디아 첨단칩 봉쇄' 선언...韓 블랙웰 공급 어쩌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