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0👐0㊐moon sms⇔0≡해외문자⨵텔레그램 문의 googleup01⍷'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696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24 홍콩 핀테크 위크 핫이슈는 '보험 혁신을 위한 AI의 역할'

싱가포르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2024 홍콩 핀테크 위크 보험기술 포럼(Hong Kong FinTech Week InsurTech Forum)에서 찰스 헝 블루 인슈어런스(Blue Insurance) CEO, 길버트 리웅 노보 AI(Novo AI) CEO , 프리실라 응 프루덴셜 그룹(Prudential Group) 최고 고객 및 마케팅 책임자가 보험 부문에서 AI의 혁신적 역할에 대해 진지한 논의를 펼쳤다. 토론 참석자들은 AI가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경영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업계별 과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From left to right: Charles Hung, CEO of Blue Insurance; Gilbert Leung, CEO of Novo AI; Priscilla Ng, Group Chief Customer and Marketing Officer at Prudential; and Moderator Elliott Gotkine. 보험업계에서 AI의 활용과 과제 응 최고 고객 및 마케팅 책임자는 프루덴셜이 AI를 사용해 방대한 양의 고객 피드백을 걸러냄으로써 팀이 효율적으로 이슈를 해결하고 고객 참여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올렸다고 강조했다. 헝 CEO는 AI가 개인화되고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의 기대치를 충족하는 데 크게 도움을 주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리웅 CEO는 늘어나는 비용을 관리하고 수익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사기 탐지 및 비용 관리 부문에서 AI가 하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참석자들은 업계 전반에 걸쳐 AI를 구현하기 위해선 여러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도 인정했다. 푸르덴셜의 경우 데이터 품질과 사용 사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게 주요 고려 사항이라고 밝혔고, 블루 인슈어런스는 숙련된 인재를 확보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노보 AI는 AI 개발의 빠른 속도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빠른 반복과 모델 개선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보험 업계의 고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신중하고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사람의 개입'을 통한 공정성과 정확성 보장 참석자들은 토론 내내 공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휴먼인더루프(Human in the Loop)'라고 불리는, AI에 대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리웅 CEO는 "AI 운영의 각 단계마다 인간의 전문성이 필수적이며, AI 시스템이 성실하게 설계되고 편견을 줄이며 윤리적 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AI 기반 결정이 인간에게 민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와 같은 분야에서는 이러한 수준의 인간 판단이 신뢰와 책임감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보험의 미래에 필수 도구로서 AI 토론은 AI가 경쟁 우위를 넘어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로 발전했다는 데 대한 참석자들의 공감으로 마무리됐다. 실제로 보험금 청구 처리를 간소화하고, 투명성을 높이고, 사기와 남용을 방지하는 능력을 갖춘 AI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보험 운영을 재편하고 있다. 반면 AI 기반 의사 결정이 관심과 윤리적 무결성을 모두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인간의 감독이 필수적이다. AI 통합에 대한 이러한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은 보험사가 고객의 신뢰를 유지하면서 AI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책임감 있게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추가 문의: partnerships@heynovo.ai

2024.10.30 15:10글로벌뉴스

유니루민 그룹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개최

-- 메타사이트와 함께 글로벌 협력과 상호 성공을 위한 전진 약속 후이저우, 중국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유니루민 그룹(Unilumin Group)의 창립 20주년 기념행사가 10월 26일 유니루민 다야 베이 과학기술 기지(Unilumin Daya Bay Science and Technology Base)에서 열렸다. 이번 기념행사는 글로벌 에코시스템 파트너 회의(Global Ecosystem Partner Conference)와 함께 '메타사이트와 함께 전진하기(Advancing Together with Metasight)'를 주제로 성대하게 펼쳐졌다. 유니루민 그룹은 이날 신제품과 전략적 메타사이트 에코시스템 레이아웃 및 LED+AI 응용 사례 등의 혁신적인 트렌드를 공개하며, 미니/마이크로 LED, 가상 프로덕션, 무대 대여 및 기타 틈새 분야에서 이룬 기술적 성과를 선보였다. 유니루민은 미니/마이크로 LED 기술을 LED 디스플레이 기술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자체 개발하고 자체 생산한 제품을 통해 다양한 제품 적용 시나리오를 완벽하게 커버하고 있다. 특히 '링인(Lingyin)' 시리즈인 U-Natural은 COB/MIP 제품에 화면 꺼짐 시 질감이 느껴지는 장식 효과를 주는 새로운 유형의 LED '장식 재료'를 특징으로 한다. 또 P0.6~2.6 범위의 픽셀 피치(pixel pitch)로 잉크 색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장면 장식과 매끄럽게 통합된다. 유니루민은 또한 MIP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Umake SV와 실외용 COB 제품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도 선보였다. 유니루민은 리진민 전 반도체 연구소(Institute of Semiconductors) 소장, 니콜라스 보노 CSA 얼라이언스(CSA Alliance) 회장 겸 프랑스 BK 디자인 컴퍼니(BK Design Company)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담당 이사, 치쿤 우즈 베이곳(Woods Bagot) 매니징 파트너 등 국제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와 전문가를 특별히 무대에 초대했다, 쑨하이펑 인민일보 온라인 부편집장, 페이쥔 중앙미술학원(Central Academy of Fine Arts) 교수, 유명 무대 예술가이자 일류 무대미술 디자이너 쑨티안웨이, 왕샤오동 저장 대학교 건축설계연구원 빛환경연구소(Light Environment Institut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 Research Institute) 소장 등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렇게 한자리에 모인 전문가들은 인테리어 디자인, 무대 공연, 예술품 설치, 건축 조명 등 다양한 분야의 메타사이트 기술 적용 사례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탐구했다. 현재 중국, 일본, 미국에 연구개발(R&D) 센터를 둔 유니루민은 세계 최대 규모의 LED 디스플레이 제조 기반을 자랑한다. 16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판매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5600곳 이상의 파트너와 광범위한 협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20개가 넘는 해외 지사를 설립했다. 유니루민은 앞으로도 글로벌 생태 파트너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메타사이트 생태계의 발전을 공동으로 촉진하고 메타사이트 산업의 폭넓은 장을 새롭게 구성할 예정이다. Speech by Lin Mingfeng, Chairman of Unilumin Group at the Conference

2024.10.30 15:10글로벌뉴스

비트코인, 한 때 7만3천 달러 돌파...역대 최고치 뚫을까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기대감으로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7만3천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에 근접했다고 CNBC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30일 0시30분(한국시간) 7만2천 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오전 3시50분 경에는 7만3천 달러를 넘어섰다. 이후 7만3천562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점인 7만3천798달러에 가장 근접했다. 다음 주 미국 대선을 앞두고 비트코인에 대한 낙관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나스닥 지수가 29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비트코인 ETF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것도 비트코인 시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CNBC가 전했다.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요인은 대선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달 7일로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금리 결정도 초미의 관심사다. 곧이어 나올 10월 미국 고용보고서 역시 비트코인 시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는 '친 암호화폐 후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는 비트코인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해리스 후보가 당선될 경우, 암호화폐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 업계의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고 CNBC는 밝혔다.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의 잭 팬들 연구 책임자는 "미국 경제의 연착륙,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미국 규제 환경이 변화 등이 암호화폐와 비트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경우 연말까지 비트코인 사상 최고 가격이 경신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2024.10.30 10:36이정현

SK플래닛, 시럽에 '지금 할 일' 서비스 시작...보상으로 금 지급

SK플래닛(대표 이한상)은 앱테크 서비스 시럽에서 계획 실천에 따라 금을 리워드로 지급하는 서비스 '지금 할 일'을 오픈 한다고 30일 밝혔다. 시럽 금은 KRX 실물 금과 교환 가능한 교환권으로 1시럽 금은 실물 금 0.000001g의 가치를 지닌다. 시럽 금 시세는 국제 금 시세 기준으로 시럽에서 시장 현황을 고려해 자체적으로 책정한 기준에 따른다. 10분 단위로 제공하고 일 단위 종가는 23시 50분 기준 시세로 갈음된다. 시럽 회원이라면 '일어나기' '물 마시기''영양제 먹기' '산책하기' 등 자신의 계획과 인증 시간을 등록해 놓고, 알림이 울리면 5분 내 완료 버튼을 오른쪽으로 밀어 완료하면 된다. 하루동안 등록할 수 있는 계획의 종류는 최대 40개로 완료 시 각각 3금이 주어진다. 시럽에서는 1만 금(0.01g)부터 매도가 가능하다. OK캐쉬백 포인트로 교환하면 별도의 수수료가 없는 게 장점이다. 단일 계정 기준 1억금(100g)을 모은 경우는 현물 금(100g 미니바)으로 인출 신청할 수 있다. 서비스를 처음 경험하는 사용자를 위한 특별 혜택도 준비했다. 시럽 회원 최초 인증 시(3천 금), 모으기탭 최초 알림 설정 시(1천 금), 지금 할 일 첫 등록 시 (1천 금) 추가 혜택을 제공해 기대감을 높인다. SK플래닛 김교수 CBO(총괄사업책임자)는 “이번 서비스는 OK캐쉬백 포인트 외에 금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앱테크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고객들이 흥미롭게 서비스를 경험하고, 즐거움과 혜택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차별화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30 10:33김한준

美 맥도날드, 대장균 유행 끝나…3분기 순익은 감소

크리스 켐프친스키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가 쿼터 파운더 버거 대장균 유행이 끝났다고 밝혔다. CNBC에 따르면 켐프친스키는 “대장균 사태는 이미 지나갔다고 생각한다”며 “상황이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맥도날드는 대장균 발병 후 쿼퍼 파운더 버거 판매를 종료한 약 900개 매장에서 판매를 재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대장균 감염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양파는 버거 재료에서 당분간 제외하기로 했다. 맥도날드의 CFO인 이안 보든은 “대장균 발병 발표 직후 며칠 동안 미국 매장의 일일 매출과 트래픽이 감소했지만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미국 사업을 되돌리는 데 집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맥도날드의 올해 3분기 순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68억7천만 달러(약 9조5천억원)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22억6천만 달러(약 3조 1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시장 조사 업체 스트리트어카운트(StreetAccount)에 따르면 맥도날드의 글로벌 동일 매장 매출은 1.5% 하락했는데, 이는 월가 예상치인 0.6%보다 큰 하락 폭이다. 회사의 동일 매장 매출이 하락한 것은 2개 분기 연속이다. 미국 매장 동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했다.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예상한 성장률(0.5%)에는 미치지 못했다.

2024.10.30 10:18김민아

삼성SDI, 3Q 실적 감소…"4Q 개선 제한적"

삼성SDI가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 영향으로 3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급감했다. 삼성SDI는 올해 3분기 매출 3조9천356억원, 영업이익 1천299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29.8%, 72.1%씩 감소했다. 삼성SDI는 편광필름 사업 양도 결정에 따라 3분기 실적부터 해당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별도 분리했다. 편광필름 사업을 포함할 경우 매출은 4조2천520억원, 영업이익은 1천413억원이다. 전지 부문 매출은 3조6천7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전분기 대비 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6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전분기 대비 69% 줄었다. 각형 전지는 유럽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와 환율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했으나, 미주 내 P6 배터리 공급 확대로 매출이 성장했다.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이 강화된 SBB 1.5 출시 등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전분기 일회성 이익 반영에 따른 기저 효과와 전기차용 판매 감소에 따른 가동률 하락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파우치형 전지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2천6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전분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전분기 대비 102% 늘었다. 고부가 OLED 소재를 중심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으며, 반도체 소재는 전분기와 동등한 수준 실적을 유지했다. 삼성SDI는 3분기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전지를 중심으로 GM과 조인트벤처 계약 체결, 유럽과 아시아 주요 OEM향 신규 수주 확보, 전력용 SBB 1.5 출시 등 중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4분기 실적은 보수적으로 전망했다. 스텔란티스와의 조인트벤처인 스타플러스는 12월 조기 가동을 통해 미주에서 첫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하고, 유럽 주요 고객 신차 출시에 따라 고부가제품의 판매도 확대할 예정이다. 단, 수요 성장세 둔화에 따른 고객 재고조정 영향 등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ESS 전지는 미주 내 전력용 SBB 제품 판매의 고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전력용 SBB 제품과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고출력 전지 판매가 증가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원형 전지는 수요 회복 지연 등 어려운 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는 주요 고객과의 협력을 통해 수요 둔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및 E4휠러 시장 진입 등 중장기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25년 초 양산 예정인 46파이 원형 전지는 주요 고객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전자재료 부문은 전방 수요 둔화로 인한 고객들의 재고 감축과 가동률 하락이 예상된다. 반도체 소재는 주요 고객 점유율 유지와 SOD, EMC 소재 등 신규 진입을 추진하고, OLED 소재는 주요 고객사 신규 제품 출시에 맞춰 적기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배터리를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업계를 선도하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시장 수요 회복세에 맞춰 새로운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10.30 10:09류은주

삼성SDS, 3분기 영업익 2천528억…"클라우드·물류 동반성장"

삼성SDS에서 차기 주력 비즈니스로 내세우는 클라우드·인공지능(AI)와 함께 물류 부문의 공동 성장으로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두 자릿수 성장했다. 삼성SDS는 3분기 매출액 3조 5천697억원, 영업이익 2천528억원의 잠정실적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기 대비 매출은 6.0% 증가, 영업이익은 14.4%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도 11.3% 증가, 영업이익은 31.0% 증가했다. 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 증가한 1조 6,296억원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은 지속적인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5.3% 증가한 6천370억원을 달성했다. 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CSP 사업은 고성능 컴퓨팅(HPC), 생성형 AI를 위한 구독형 GPU 서비스(GPUaaS) 확대로 꾸준히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MSP사업은 기업 고객을 위한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냈다. 금융·제조 업종의 클라우드 전환/구축, 클라우드 기반 전사적 자원관리(ERP) 및 공급망 관리(SCM) 등 구축 서비스도 확대되고 있다. AI기반 구매공급망관리 솔루션(SRM SaaS) 매출도 증가했다. 물류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한 1조 9천40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능형 공급망 관리의 한 축으로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는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3천20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가입 고객도 1만 7천900개사를 돌파했다. 물류 사업은 해상, 항공, 육상 물류별 전략을 세분화해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삼성SDS는 '리얼 서밋2024'에서 GPU 중심 AI 클라우드(GPU Centric AI Cloud)로 기업 업무의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을 실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협업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등 생성형 AI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24.10.30 09:40남혁우

LG이노텍, 중희토류 없는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 개발

LG이노텍은 중(重)희토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세계 최고 수준의 자력을 갖춘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자석)'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마그넷은 스마트폰 액추에이터, 차량 모터, 오디오 스피커 등 구동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제품에 탑재되는 필수 부품이다. 자석의 밀고 당기는 힘으로 동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마그넷 핵심원료로 중희토류가 사용돼 왔다. 고온에서 자력 유지를 위한 성분으로 쓰인다. 중국 등 특정 국가에서만 생산돼,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가격 변동성 및 공급 불안정성이 높은 원재료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채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기 때문에, 중희토류를 쓰지 않는 제품 개발은 업계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난제로 꼽혀 왔다. ■ 중희토류 완전 대체 가능한 합금 물질 업계 최초 개발 앞서 LG이노텍은 지난 2021년 핵심성분인 중희토류 사용량을 기존 대비 60% 줄인 마그넷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과 같은 고가의 중희토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를 위해 LG이노텍은 한국재료연구원과 협력해 중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는 다원계 합금 물질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합금 물질을 자석에 균일하게 바른 후 열을 가해 고르게 흡수시켜 만든 제품이 LG이노텍이 이번에 선보인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이다. 이 제품은 업계 최고 수준인 13.8kG(킬로가우스, 자석세기단위)의 자석 성능을 자랑한다. 지금까지 중희토류는 고온에서 자석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대체 불가한 원료로 사용돼 왔다. 하지만 LG이노텍의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은 중희토 원소나 고가의 귀금속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최대 180℃ 고온 환경에서 내구성을 유지한다. 중희토류는 중국 등 일부 국가가 전 세계 수급을 좌우하며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최근에도 특정국가가 중희토류 공급조정에 나서면서 가격이 크게 출렁였다. 한국자원서비스(KOMIS)에 따르면, 테르븀은 지난 4년간 kg당 가격이 900달러에서 최고 331% 오른 2천983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디스프로슘도 4년 동안 최대 189%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중희토류 가격의 극심한 변동은 마그넷의 생산 차질로 이어질 수 있는 리스크 요소다. '성능 친환경 마그넷 개발로 중희토류의 특정국가 의존도가 크게 낮아지면서, LG이노텍은 마그넷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중희토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마그넷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 비용도 기존 대비 60% 수준으로 낮출 수 있게 됐다. ■ 환경오염 물질 대폭 저감…ESG 중시 글로벌 고객'희소식'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은 환경오염 최소화를 위해 친환경 기술을 중시하는 글로벌 주요 고객들에게도 반가운 소식이다. 중희토류 1kg를 채굴하는 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만 0.5톤이 넘으며, 450kg 상당의 산성폐수 및 방사능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LG이노텍의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을 사용할 경우 중희토류를 채굴할 필요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글로벌 고객사들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에 장착되던 기존 마그넷을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으로 대체하면, 전기차 1대당 약 45kg의 환경오염 물질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이노텍은 스마트폰 액츄에이터 등 자사 제품에 '고성능 친환경 마그넷'을 적용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한층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완성차 및 차량부품 기업, 스마트폰 제조 기업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적극 펼쳐, 가전∙로봇 등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노승원 LG이노텍 CTO(전무)는 “LG이노텍은 중희토류는 물론 경(輕)희토류까지 희토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한 '무희토류 마그넷'도 현재 개발 중”이라며 “앞으로도 혁신 소재와 부품을 한발 앞서 선보이며, 차별적 고객가치를 지속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30 08:28장경윤

환경과학원, 천리안 환경위성 산출 지상 미세먼지 추정 농도값 공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30일부터 환경위성센터 누리집에서 정지궤도 환경위성(천리안위성 2B호)에서 산출한 '지상 미세먼지(PM-10, PM-2.5) 추정농도값(수치자료)'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는 환경위성이 관측하는 대기 전체층 자료에 인공지능(AI) 기법을 적용해 지상에서의 농도로 변환한 값이다. 환경위성센터는 2021년 12월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 첫 영상 공개 이후 매년 검증을 통해 미세먼지의 추정농도와 실제 지상 관측농도와의 차이를 보완해왔다. 실제 2023년 PM-2.5 월별 검증 결과, 겨울철(1, 2, 12월)은 0.89∼0.9, 여름철(6, 7, 8월)은 0.7∼0.72로 고농도가 발생하는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수치자료는 기존 영상에서 단순히 미세먼지 공간분포만 확인할 수 있던 것에 비해 지도상에 나타난 격자별 농도값까지 확인할 수 있다. 주요 지역의 시간별 농도에서부터 지상관측이나 대기질 모델 자료와 비교할 수 있다. 또 자료 활용 시 추정농도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산출기법에 대한 오차정보도 추가로 제공한다. 환경위성센터는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 수치자료를 별도 처리 없이 손쉽게 표출·편집·분석할 수 있도록 지난해 6월에 배포한 '환경위성 활용도구(GEMSAT·GEMS application Tool)' 기능을 개선해 일반 사용자들도 환경위성 기반의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사용자 지침도 함께 제공해 환경위성 자료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계획이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 등 해외 위성운영기관에서도 우리나라 정지궤도 환경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 수치자료와 같이 활용도가 높은 위성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10.30 08:25주문정

톈차오 & 크리시 천 연구소, 장기 AI 메모리 OMNE 프레임워크로 GAIA 리더보드 1위 차지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시티,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뇌와 기억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톈차오 & 크리시 천 연구소(Tianqiao & Chrissy Chen Institute, TCCI)의 내부 AI 팀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루었다. 그들은 메타 AI,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허깅페이스의 AutoGPT와 공동 출시한 자체 개발 OMNE 다중 에이전트 프레임워크(OMNE Multiagent Framework)로 GAIA(General AI Assistants) 벤치마크 리더보드(https://huggingface.co/spaces/gaia-benchmark/leaderboard)에서 1위를 차지했다. OMNE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Microsoft Research)를 포함한 세계 유수의 기관들의 프레임워크를 앞섰다. TCCI의 수년간의 뇌 연구를 바탕으로, 이 시스템은 에이전트에게 장기 기억(Long-Term Memory, LTM) 능력을 부여함으로써 프레임워크가 더 깊이 천천히 사고할 수 있도록 하고, 복잡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의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The Tianqiao & Chrissy Chen Institute was created in 2016 by Tianqiao Chen and Chrissy Luo with a US $1 billion commitment to help advance brain science. The organization's vision is to improve the human experience by understanding how our brains perceive, learn, and interact with the world. The Institute has a strong focus on artificial intelligence due to its ability to accelerate the pace of scientific research. Read about our AI Prize www.ChenInstitute.org/prize. 이번 성적은 연구소의 창립자인 전 중국 테크계의 거물 톈차오 천(Tianqiao Chen)이 지난해 올인 AI 전략(All-In AI Strategy)을 발표한 이후 TCCI의 AI 팀이 이루어 낸 중대한 업적이다. 현재 OMNE는 40.53%의 전체 성공률을 자랑하며 메타(Meta),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 Kong), 영국 AI 안전 연구소(British AI Safety Research Institute), 바이추안(Baichuan)과 같은 기관의 시스템을 능가한다. 이에 비하여 플러그인을 장착한 GPT-4는 15%의 성공률에 그쳤다. GAIA는 다중 에이전트 지능을 위한 가장 까다로운 데이터세트 중 하나이며, 이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TCCI의 AI 전문성과 혁신의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준다. OMNE는 장기 기억(LTM)에 기반한 다중 에이전트 협업 프레임워크이다. 각각의 에이전트는 동일하고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율적으로 완전 세계 모델을 학습하고 이해할 수 있기에 독립적으로 자신의 환경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장기 기억 기반의 다중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은 AI 시스템이 개인의 행동 변화에 실시간으로 적응하고 업무 계획 및 실행을 최적화하며 개인의 필요에 맞춘 효율적인 자기 진화를 촉진하도록 한다. 장기 기억 메커니즘의 통합이라는 이번 성과는 MCTS의 탐색 공간을 대폭 줄이고 복잡한 문제에 대한 의사 결정 능력을 강화한다. 인간 대뇌 피질의 기둥 구조에 대한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보다 효율적이고 논리적인 추론을 도입함으로써, OMNE는 단일 에이전트의 지능 수준뿐만 아니라 협업 메커니즘의 최적화를 통해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의 역량 또한 크게 향상시킨다. 대뇌의 인지 및 행동 기능의 최소 단위인 피질 기둥이 복잡한 협업 메커니즘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듯 단일 인텔리전스와 에이전트 간의 협업을 강화함으로써, AI 모델은 점진적으로 인지 능력을 발휘하고 내부 표현 모델을 형성하여 이후 시스템의 전반적인 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TCCI의 AI 팀 책임자는 "OMNE가 GAIA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어 무척 자랑스럽다"라며 "이번 업적은 AI가 자기 진화를 촉진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 기억 활용의 막대한 잠재력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장기 기억과 AI 자기 진화에 대한 연구의 발전이 AI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실용적 응용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라고 전했다. 채용 문의: AItalents@cheninstitute.org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487043/Tianqiao_and_Chrissy_Chen_Institute__Institute_was_created_in_2016_by_Tianqiao_Chen_and_Chrissy_Luo.jpg?p=medium600

2024.10.30 02:10글로벌뉴스

열두 개의 국제적인 기업들이 FII 인스티튜트의 전략 파트너 명단에 새로 합류: 전략 파트너들은 투자를 통해 인류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동 인스티튜트의 사명을 지원한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29일 /PRNewswire/ -- 열두 개의 국제적인 기업들이 FII 인스티튜트의 전략 파트너 명단에 추가되었다. 이 기업들은 지속 가능하고 공평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그 수가 늘고 있는 비즈니스, 기술, 항공, 에너지, 학계 및 공공 정책 분야의 리더들로 구성된 커뮤니티에 합류한다. Twelve New International Companies Join FII Institute Roster of Strategic Partners: Strategic Partners Support Its Mission to Drive a Positive Impact on Humanity Through Investment. FII 인스티튜트는 전 세계 이니셔티브, 국제 서밋, 정책 개발, 전 세계 설문조사와 지수 등의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한다. 전략 파트너들은 이 프로그램의 핵심이며 동 인스티튜트에 책임자들과 대표단을 파견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다. 열두 개의 이 새로운 전략 파트너는 ACWA 파워, ALAT, 클라우어 그룹, 프랭클린 템플턴, 킹 살만 국제공항, 미네르바 푸드, NBK, 프리미엄 레지던시 센터, 리야드 항공과 SCAI이다. 또한 FII 인스티튜트는 제너럴 애틀랜틱과 레이크스타를 벤처 프로그램 창립 파트너로 소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벤처 프로그램 파트너는 곧 있을 FII8 인베스트먼트 데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최고의 기업들이다. FII 인스티튜트 벤처 프로그램은 혁신, 투자, 비즈니스 및 교육 육성 협력 분야의 기업가와 저명한 리더들을 한데 모아 AI와 로보틱스, 지속가능성, 보건 및 교육 분야의 전 세계 과제들을 해결한다. 열두 개의 이 새로운 파트너들은 창립 파트너인 사우디아라비아 공공투자펀드(PIF)와 비전 파트너들인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 아람코, 디리야, 에마르, GFH, HSBC, KAFD, 마덴, NEOM, 뉴무라바, 레드시 글로벌, 리야드 은행, ROSHN, 왕립 알룰라 위원회, SABIC, 사나빌 인베스트먼트, SNB,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스탠다드차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 STC, THIQAH, 비전 인베스트 등 기존 전략 파트너들에 합류했다. 올해 FII8 활동은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리야드에서 사흘 동안 열리는 인류가 직면한 과제들에 관한 집중 토론과 일주일 간의 부대 행사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이 연례 컨퍼런스에는 600명 이상의 연사와 전 세계 지도자, 장관, CEO, 투자자, 설립자와 공공 정책 전문가 등 8,000명 이상의 대표단들이 참석한다. 'FII8 지원 파트너'에는 BMW, 사우디아, 술라이만 알하비브 박사 그리고 사우디 전력 공사가 들어 있다. 통찰, 사고, 전담 패널 토론은 액센추어, ADL, 베인 & 컴퍼니, BCG, 컬럼비아, 딜로이트, EY, FPA2, EY, 더 글로벌 펀드, 헤볼루션, 커니, KPMG, 맥킨지, 올리버 와이먼, PWC, 스트래티지&, UNDP, UNHCR, 유니세프, 세계은행,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교(KAUST)와 UM6P 등 최고의 컨설팅 회사, 대학과 기관들로 구성된 '지식 및 학술 파트너'들이 지원한다. FII 인스티튜트 CEO 리처드 아티아스(Richard Attias)는 "우리 파트너들은 인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FII 인스티튜트 사명의 기초"라고 하면서 "우리는 우리 네트워크의 확장에 맞춰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전 세계의 역량을 통합하고 영향력 있는 이니셔티브를 만들고 있다. 60개 이상의 우수한 파트너들과 힘을 합친 우리는 공동의 힘을 활용하여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 우리 모두는 한계를 타파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 문의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media@fii-institute.org에 연락하기 바란다. FII 인스티튜트: 퓨처 인베스트먼트 이니셔티브(FII) 인스티튜트는 투자 부문과 인류에 대한 영향이라는 하나의 의제를 갖고 있는 세계적인 비영리 재단이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포용적이며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동하는 우리는 인공 지능(AI)과 로보틱스, 교육, 보건 및 지속 가능성의 네 가지 핵심 분야의 전 세계의 우수한 인재들을 육성하고 아이디어를 실제적인 솔루션과 행동으로 바꾸고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1340/FIII.jpg?p=medium600

2024.10.29 22:10글로벌뉴스

복지멤버십 가입하면 '소액생계비 대출' 0.5% 금리 인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복지멤버십에 가입하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소액생계비대출' 0.5% 금리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서민금융진흥원과 협력해 진행하는 이번 제도 시행은 '소액생계비대출'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복지멤버십' 가입 금리 인하 혜택을 통해 경제적 도움과 찾아주는 복지 서비스를 지원해 좀 더 나은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추진하게 됐다 이용 절차는 가까운 주민센터나 복지로를 통해 복지멤버십(맞춤형급여안내)에 가입 후 주민센터에서 발급하는 증빙서류인 '맞춤형 급여 안내 가입확인서'를 지참,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대출을 신청하면 금리를 인하 받을 수 있으며 향후 전산 연계를 통해 증명서 없이 가입이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복지멤버십은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추진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복지사업 중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생애주기별로 안내해주는 제도로 2021년 9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복지멤버십에 가입한 국민은 생계급여, 의료비 지원 등 89종의 복지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안내받을 수 있으며 대상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김현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장은 “국민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알려드리는 복지멤버십과 저소득층 생활안정자금 지원사업인 '소액생계비대출' 두 사업의 시너지로 더 많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어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시작으로 국가 사회안전망이 한층 더 두터워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다양한 기관들과 협업하여 좀 더 많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0.29 21:15조민규

하나금융, 3분기 누적 순이익 3조2천254억원...역대 최대 실적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3조2천254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대폭 성장했으며 이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3분기 그룹 당기순이익은 1조1천5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전 분기 대비 11.8% 증가했다. 시장 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그룹 이자이익은 6조5천774억원으로 2.8% 감소했으며, 순이자마진(NIM)은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해 그룹의 3분기 NIM은 1.63%, 은행 NIM은 1.41%를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1조8천49억원으로 6.4% 증가했으며, 수수료이익은 은행 투자은행(IB) 수수료와 신용카드 수수료 증가 등에 힘입어 1조5천475억원을 기록하며 11.9% 성장했다. 하나금융의 3분기 말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62%, 연체율은 0.55%로,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일부 취약 차주에서 부실이 확대된 상황이다. 대손비용률은 0.25%로 관리 중이다. 그룹 주요 경영지표인 ROE는 10.62%, ROA는 0.71%로 나타났다. 주요 자회사 하나은행의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2조7천808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은행 부문에서는 하나증권과 하나카드가 각각 1천818억원, 1천844억원의 누적 순이익을 냈다. 한편, 하나금융 이사회는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주당 600원의 현금배당과 1천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정했다. 하나금융은 오는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을 50% 수준으로 달성하고 CET1 비율을 13.0~13.5% 수준에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2024.10.29 17:59김한준

강원랜드, 3분기 당기순익 전년비 24.3% 증가

강원랜드(대표이사직무대행 최철규)는 3분기 별도기준 잠정 영업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당기순이익이 24.3% 상승한 9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3천75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전분기 보다 11.2% 증가했다. 카지노 매출은 3천204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0.1%, 전분기 보다 5% 증가했다. 특히 회원업장 매출은 8.6% 증가했다. 강원랜드는 지속적인 회원서비스 개선 노력에 따라 회원 방문객수가 지난해보다 35.0% 늘어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영업이익은 930억원으로 전년보다 1.3%, 당기순이익은 920억원으로 24.3% 늘어났다. 당기순이익 호조에는 영업외이익인 금융이익이 전년대비 201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천461억원으로, 2023년 당기순이익 3천359억원을 초과했다. 강원랜드 관계자는 “2019년 세무조사 결과에 따라 납부해 온 465억원분의 부가세에 대해 경정청구가 진행 중이며, 올해 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한편, 강원랜드는 지난 10일 상장공기업 최초로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2026년까지 ▲주가순자산비율(PBR) 1.2배 달성 ▲총주주환원율 60% 달성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100% 준수를 목표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개했다. 주요 계획 중 하나로 총 1천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이 이뤄지게 되며, 올해는 400억원이 투입된다. 또 배당성향을 최소 50% 이상 유지할 계획이다. 강원랜드 관계자는 “지난 15일부터 매일 자사주를 꾸준히 매입하고 있다”며 “자사주 매입은 유통주식수를 줄여 주당배당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며, 올해 당기순이익이 호조를 보이는 만큼 주당배당금도 전년 대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강원랜드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따른 주주권익 보호를 위한 배당절차 개선에도 나섰다. 강원랜드 관계자는 “배당기준일을 기존 회계연도 말일에서 배당액이 확정되는 3월 정기주총 이후의 날로 변경하는 것”이라며 “배당액을 먼저 공표한 뒤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때문에 주주에게 합리적인 배당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당절차 개선에 따라, 2024회계연도 배당기준일은 2025년 3월 말 이후에서 4월 초가 될 예정이다.

2024.10.29 17:58주문정

'3조 클럽' 바라보는 풀무원, 김치냉장고 출시한 이유는

풀무원이 식품업계 대형화 척도로 여겨지는 매출 3조원 클럽 입성을 앞두고 있지만, 낮은 수익성에 고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돌파구로 가전사업을 낙점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풀무원의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1조5천623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4천854억원) 대비 5.18% 증가했다. 3분기 예상매출도 긍정적인데, 금융정보분석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년 동기(7천460억원) 대비 약 300억원 증가한 7천73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풀무원의 3조 클럽 입성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풀무원은 매출 2조9천935억원을 기록해 약 65억원이 부족했는데, 올해는 3조1천14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대감의 이유는 미국 법인 덕분이다. 올해 상반기 미국 법인 매출은 2천116억원으로 전년 동기(1387억원) 대비 15.2% 증가했다. 두부 제품의 두 자릿수 성장이 가장 큰 이유인데, 풀무원의 미국 두부 시장 점유율은 67%로 9년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해외사업 부문 실적 개선도 이끌고 있다. 상반기 해외사업 영업손실은 27억원으로 전년 동기(-124억원)와 비교하면 적자폭이 크게 줄었다. 다만 낮은 영업이익률 극복이 풀무원의 과제로 꼽혔다. 올해 상반기 풀무원 영업이익률은 2.1%에 그쳤다. 최근 3년은 ▲2021년 1.5% ▲2022년 0.9% ▲2023년 2.1% 등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한 자릿수에 그친 것이다. 국내 주요 식품 기업들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불닭볶음면으로 고공행진 하고 있는 삼양식품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20.9%를 기록했고 오리온(16.8%), 빙그레(9.31%), 오뚜기(7.74%), 농심(6.06%), CJ제일제당(5.25%)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풀무원은 가전사업을 신사업으로 낙점했다. 지난달 다목적 주방가전 '풀무원 김치냉장고'를 출시했다. 식품회사가 김치냉장고를 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부터 풀무원은 가전사업 진출에 꾸준히 도전장을 내왔다. 2016년 인덕션 출시를 시작으로 방문판매 방식을 통해 가전사업에 진입했고, 이후 청소기 등 생활가전 시장에도 진출했지만 판매 방식의 한계를 넘지 못하고 사업을 접었다. 이후 2021년 '스팀쿡 에어프라이어'를 시작으로 주방가전 사업에 진출했고 '스팀쿡 오븐'을 출시하며 영역을 넓혔다. 스팀쿡은 출시 6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만대를 넘어서는 등 큰 인기를 끌었고 지난 3월 '스팀쿡 플러스 에어프라이어 15L'을 출시해 라인업을 확대했다. 풀무원 관계자는 “신선식품이 주력 상품으로 원가 비율이 높아 영업이익률이 높지 않다”며 “이를 개선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선식품 위주의 사업에서 본업의 노하우를 살릴 수 있는 가전사업으로의 다각화 차원에서 신사업에 진출한 것”이라며 “자사 제품과 연동되는 조리 모드를 담는 등 기능을 차별화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10.29 17:24김민아

코웨이, '비렉스 소프트 쿠션 프레임' 출시

종합 가전기업 코웨이는 포근한 쿠션 헤드 디자인으로 편안함을 강조한 '비렉스(BEREX) 소프트 쿠션 프레임'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코웨이 비렉스 소프트 쿠션 프레임은 볼륨감 있는 헤드보드와 양측의 곡선형 날개 쿠션이 측면까지 감싸주는 디자인을 적용했다. 헤드부 쿠션이 등과 뒷목을 지지해줘 침대에 기대어 앉아 편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침대 양 옆은 곡선으로 아늑하게 감싸 수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생활 발수 기능과 오염 방지 효과를 더한 고급 패브릭 소재로 관리 편의성도 높였다. 색상은 3가지로 취향과 인테리어에 따라 침실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코튼 아이보리와 스톤 그레이 색상은 포근한 질감의 부클레 패브릭을 사용했다. 로즈 핑크 색상은 부드러운 벨벳터치 패브릭으로 화사하고 우아한 느낌을 제공한다. 매트리스가 프레임 안으로 들어가는 매립형 구조로 흔들림 없는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두께감 있는 하부 프레임이 매트리스를 견고하게 잡아주고,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해 디자인 통일성과 안정감을 높였다. 사이즈는 슈퍼싱글, 퀸, 킹 등 3가지로 선보인다. 코웨이 관계자는 "생활 발수와 오염에 강한 기능성 소재로 관리가 간편할 뿐 아니라 유해물질 발생을 최소화한 E0 등급 자재를 사용해 안심하고 쾌적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4.10.29 16:32신영빈

맥선 800 시리즈 메인보드 론칭 이벤트 베이징서 개최

베이징 2024년 10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중국의 대표적인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 전문업체 중 하나인 맥선(MAXUN)[https://www.maxsun.com/ ]이 10월 26일 쉐라톤 그랜드 베이징에서 'AI 가 이끄는 미래 - 한계를 넘어선 파워(AI-Driven Future • Power Beyond Limits)'라는 주제로 고성능 800 시리즈 마더보드를 소개하는 대규모 출시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에서 맥선[https://www.maxsun.com/ ]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미학과 최첨단 기술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잘 보여주는 12가지 혁신 모델을 선보였다. 주요 모델인 MS-iCraft Z890 Pacific, MS-iCraft Z890 Vertex, MS-iCraft Z890 Arctic은 고성능을 원하는 사용자, 게이머, 마니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게 설계됐다. MAXSUN LAUNCHES 12 NEW Z890 SERIES MOTHERBOARDS 이러한 각 플래그십 모델에는 인텔® Z890 칩셋이 탑재되어 있고, LGA1851 소켓을 통해 인텔® 15세대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등 인텔의 최신 기술과 막강한 호환성을 자랑한다. MS-iCraft Z890 Pacific은 4개의 M.2 슬롯, 고속 PCIe 5.0 x16 슬롯, 5Gb 이더넷(Ethernet) 등 광범위한 연결 옵션을 제공한다.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작업에 이상적인 이 제품에는 추가 확장과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SFF-8654 4i 서버급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ATX 폼팩터는 까다로운 하드웨어 구성을 수용할 수 있게 설계되어 고성능 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파워유저에게 탁월한 선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S-iCraft Z890 Vertex는 오버클러킹(overclocking)과 높은 메모리 성능을 위해 맞춤 제작되었으며, 듀얼 채널에서 최대 9000MHz DDR5 메모리와 최대 128GB 용량을 지원한다. 빠른 응답과 안정성에 중점을 둔 Vertex 모델은 스토리지 확장과 연결 옵션을 위해 두 개의 SFF-8654 4i 인터페이스를 활용한다. Vertex의 PCIe 5.0 슬롯은 x16 채널 분할 지원으로 유연한 멀티 GPU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 모델에는 고속 네트워킹을 위해 Realtek 5Gb 이더넷과 인텔 와이파이 7이 탑재되어 있다. 성능과 기능 간의 다양한 균형을 맞추기를 원하는 사용자를 위한 MS-iCraft Z890 Arctic은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4개의 M.2 슬롯, USB 40G 타입-C 인터페이스, SFF-8654 4i 포트 등과 포괄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또 최대 256GB의 DDR5 메모리까지 지원하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장한다. Realtek 5Gb 이더넷과 인텔 와이파이 7이 탑재된 Arctic 모델은 게임과 스트리밍을 위해 안정적인 네트워킹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세 모델 모두 PCIe 퀵 릴리스 시스템, 디버그 LED, 직관적인 제어를 위해 모바일 앱에서 영감을 받은 탐색 기능을 통합한 맥선의 향상된 PTM UI BIOS로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한다. BIOS는 단순화된 이중층 상호 작용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맥선[https://www.maxsun.com/ ] VIEW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DIY 애니메이션 및 디스플레이 맞춤화로 시스템을 개인화할 수 있다. 이 모델들은 미래 지향적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척하면서 업계에서 새로운 벤치마크를 정하면서 마더보드 기술 분야에서 쌓아 올리고 있는 맥선[https://www.maxsun.com/ ]의 뛰어난 위상을 잘 보여준다.

2024.10.29 16:10글로벌뉴스

LG생활건강, 생활용품·음료 부문 부진으로 3분기 실적 감소

LG생활건강의 3분기 영업이익이 생활용품(HDB)과 음료 부문 부진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매출 1조7천136억원, 영업이익 1천61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17.4% 줄어든 수치다. 3분기 누적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한 5조2천20억원, 영업이익은 3.8% 줄어든 4천156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천938억원으로 전년 대비 3.5% 늘었다. 부문별로 보면 뷰티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6천506억원, 영업이익은 42.8% 증가한 114억원을 기록했다. 온라인, 헬스앤뷰티(H&B) 등 국내 주요 육성 채널에서는 성장을 지속했지만, 면세점 업황 둔화와 해외사업 효율화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다만 마케팅 투자 확대에도 해외 수익성 개선 효과가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HDB 부문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5천626억원, 영업이익은 11.8% 감소한 412억원으로 집계됐다. 피지오겔, 유시몰 등 주요 프리미엄 브랜드의 성장은 지속됐지만, 전년도 북미 사업 효율화 영향이 지속되며 전체 매출이 줄었다. 수익성은 고정비 부담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음료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5천4억원, 영업이익은 27.5% 감소한 535억원을 기록했다. 내수 경기 부진으로 음료 소비가 둔화되면서 매출은 소폭 하락했고 영업이익도 원부자재 단가 상승과 음료 시장 내 경쟁 심화로 인해 역성장했다. 지역별로는 국내 매출이 1조2천5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했다. 반면 해외 매출은 4천602억원으로 3.5% 증가했다. 중국이 12.1% 상승한 1천539억원이었고, 일본은 10.1% 늘어난 961억원을 기록했다.

2024.10.29 16:02김민아

현대차그룹 최초 픽업트럭 '기아 타스만'…사우디서 최초 공개

"이 정도로 잘 만든 픽업트럭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More than SUV(SUV 그 이상)'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기아 상품전략 관계자는 29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호텔 파크하비오'에서 기아의 첫 픽업트럭의 양산 직전 단계인 '더 기아 타스만' 모델을 전시하고 국내 미디어에 선보인 자리에서 이같이 소개했다. 기아는 이날 사우디 제다에서 열리는 '2024 제다 국제 모터쇼'에서 타스만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타스만은 진보한 디자인과 공간활용성, 범용성, 안전성 등 기존 픽업트럭의 한계를 넘어서는 뛰어난 상품성이 강점이다. 기아는 픽업트럭 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입장에서 전통 픽업트럭과 고객의 선호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타스만은 기아의 첫 픽업트럭이면서 현대자동차그룹에서도 첫번째다. 기아 관계자는 "기아가 처음으로 진입하는 차급이고 글로벌 경쟁차가 상당히 많이 내놓는 차급이다 보니 픽업에 기대하는 그런 상품성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고 글로벌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전통 픽업에 주안점을 뒀다"며 "대중화 차급이 아니다 보니 고객이 선호하는 편의사양을 많이 넣었다"고 말했다. 타스만 디자인은 기아 디자인 아이덴티티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강조하면서 실용적인 픽업의 가치를 생각했다. 전면부는 가로로 긴 비례감을 갖춘 라디에이터 그릴과 범퍼를 탑재해 군용차처럼 단단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범퍼는 호주 같은 지역 특성을 고려해 야생동물로부터 차량을 보호한다. 측면부는 전통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같이 윈드실드를 45도 각도로 세워 험로를 주행할때 시야를 넓게 연출했다. A필러가 직각에 가깝게 세워지면서 오프로드 차량의 이미지와 탁 트인 듯한 전반 시야를 제공한다. 기아 관계자는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펜더에 디자인된 블랙 가니시들이 통일성 있게 적용됐고 블랙 가니시에 주유구 커버와 램프 등이 연결되는 유기적으로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오퍼짓 유나이티드)을 표현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고객의 선호에 다른 색상 선택도 자유롭다. 타스만의 외장 색상은 스노우 화이트 펄, 스틸 그레이, 인터스텔라 그레이, 시티스케이프 그린, 런웨이 레드, 오로라 블랙 펄, 신규 색상인 탠 베이지와 데님 블루 등 총 8가지이며 실내 색상은 오닉스 블랙, 에스프레소 브라운, 딥 그린, 딥 그린&브라운 등 총 4가지다. 타스만은 한국 시장뿐만 아니라 호주, 중동 시장에서 글로벌 픽업트럭과 경쟁에 나선다. 이미 시장에 안착해 있는 픽업에 새로 진입하는 만큼 '한방'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기아는 타스만에 12.3인치 클러스터, 5인치 공조 디스플레이, 12.3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ccNC 기반 '파노라믹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하만카돈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 애플 카플레이·안드로이드 오토를 지원한다. 좁고 불편한 픽업트럭의 2열도 타스만은 다르다. 기아는 중형 픽업 특성상 뒤로 기울이기 어려운 2열 시트를 최적 설계해 타스만에 동급 최초로 슬라이딩 연동 리클라이닝 기능을 적용했으며, 동급 최고 수준의 레그·헤드·숄더룸을 확보해 2열 탑승객의 편안한 이동을 돕는다. 기아 상품 관계자는 "2열 의자를 보면 기존 픽업트럭은 시트가 너무 많이 서 있어 장거리 운전에 힘든 단점이 있다'며 "타스만에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탑재해 KTX 좌석처럼 시트의 뒷부분은 움직이지 않지만 앞으로 당길 수 있어 기존에도 타사 대비 누워있는 시트지만 더 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타스만은 가솔린 2.5 터보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를 조합해 최고 출력 281마력(PS), 최대 토크 43.0kgf·m을 확보했다. 견인 능력은 최대 최대 3천500kg까지 가능하다. 타스만은 X-Pro(프로)' 모델도 운영한다. X-프로는 프론트 언더커버, 17인치 전용 휠, 올-터레인 타이어를 탑재했다. 타스만 개발팀은 내구성과 주행성을 위해 미국, 스웨덴, 호주, 중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4년이 넘는 개발 기간 동안 ▲오프로드 특화 성능 ▲내구성 ▲R&H(Ride & Handling) ▲트레일링 안정성 ▲도하 등 1천777종의 시험을 1만 8천회 이상 진행했다. 타스만은 ▲인포테인먼트 화면에 차량 하부 노면을 보여줌으로써 운전자의 정확한 차량 조작을 돕는 '그라운드 뷰 모니터' ▲엔진과 변속기 오일류 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오프로드 페이지' 등 오프로드 주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사양도 갖췄다. 기아는 타스만을 내년 상반기 국내를 시작으로 호주, 중동, 아프리카 등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한편 기아는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진행되는 제다 모터쇼에 1천958㎡(약 592평)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타스만 4대와 ▲EV3, EV5, EV6, EV9 등 전기차 4대 ▲K3, K5, 스포티지, 쏘렌토 등 내연기관 모델 4대를 전시한다. 오는 30일부터는 내년 예정된 계약 개시 전까지 국내 고객을 대상으로 계약금 지원 쿠폰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얼리 체크인' 이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2024 제다 모터쇼'에서 "더 기아 타스만은 고객의 삶과 픽업의 가치를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고자 한다"며 "탁월한 성능과 실용성, 진보적인 기능을 결합해 라이프스타일 픽업을 원하는 소비자와 소규모 사업자까지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0.29 16:00김재성

"한미 양국 교역액 상반기 1천억 달러 돌파...사상 최대치"

한국과 미국의 교역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미 대선 이후 국내 기업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한국무역협회(KITA)는 2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와 공동으로 '미국 투자·시장 진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기현 한국무역협회 국제협력본부장,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겸 대표, 조이 사쿠라이 주한미국대사관 대사 대리와 미국 진출 기업 관계자등 300여 명이 참석해 대미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요인과 미국 경제 전망, 대선 동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윤인구 국제금융센터 부장은 '미국 경제 현황 및 2025년 전망' 발표를 통해 “미국 기준 금리는 오는 11월과 12월 각각 25bp(1bp=0.01%p) 내려갈 가능성이 있으며 내년에도 100bp 추가 하락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미국 내 기업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다만 급격한 경기침체, 기준 물가 상승률의 하방경직성, 연방정부의 재정 악화 등 미국 경제 3대 위험 요인도 상존하는만큼 미 대선 이후 정책변화가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우창 고려대학교 부교수는 '미국 대선 동향 및 주요 관전 포인트' 발표를 통해, “재검표 이슈 등으로 공식적인 대선 결과 발표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대선 결과를 신중히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기업 멘토링 세션에서는 미국 비자 관리, 현지 진출 시 부지 선정 및 공장 설립 검토사항, 공급망 리스크 관리 등에 대한 발표도 진행됐다. 김기현 한국무역협회 국제협력본부장은 “올해 한미 양국 교역액이 상반기 기준 처음으로 1천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면서 “이러한 긍정적 흐름 속에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미국의 무역·통상 정책, 기술 규제, 세제 혜택 등 비즈니스 환경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4.10.29 15:41류은주

  Prev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韓 총기청정국 옛말…"유튜브는 사제총 조립 무법지대"

‘역프’ 줄어드는 韓 가상자산 시장…투자 심리 회복 기대감 커져

하늘 나는 오토바이, 비밀 풀렸다…"진짜 맞죠?"

[유미's 픽] 'K-AI' 타이틀 거머쥘 주인공 누가될까…PT 평가 등락 가를 기준은?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