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0↘ dalsms.com囝moon sms⇔국내최고 안전업체!∖해외문자⨤0⍼'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60581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IPO] 전기차 핵심부품사 모티브링크…올해 글로벌 외형 성장 목표

"이번 베트남 제3공장 설립 목적은 현지에서 물량을 생산하고 납품 체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작년 상반기까지 100%를 유지하던 가동률이 전기차 캐즘으로 떨어졌지만, 올 초부터 물량이 늘고 있고 신규 고객 확보하는 비전까지 염두에 둔 것입니다." 김기한 모티브링크 대표이사는 5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히며 이같이 말했다. 모티브링크는 1977년 설립된 전동화 전력변환 시스템 구축부터 양산, 탑재까지 한 번에 제공하는 부품사다. 전력변환기 핵심부품 트랜스포머, 필터, 인덕터, 리액터 등을 개발 및 양산하며, 전력변환 시스템의 설계부터 검증, 양산까지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기업으로 알려졌다. 특히 현대모비스와 현대케피코 등 티어1 부품사에 직접 납품 하는 기술력을 강점으로 2015년 매출액 69억원에서 2023년 매출액 829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36.5%를 기록하고 있다. 모티브링크의 부품이 들어간 현대자동차·기아 차량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상용차를 포함해 13종에 달한다. 모티브링크의 주요 제품 라인업은 전원변환모터제어를 담당하는 인버터, 전동식파워부품(EPS), 차량탑재형충전기(OBC), 강압형 컨버터(LDC) 등이다. 모티브링크는 이 제품들을 현대차 아이오닉5, 제네시스 GV60, 기아 EV6와 EV9 등에 탑재했다. 김기한 대표이사는 "양산차에 공급된 부품은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차량 단종 및 AS가 종료될 때까지 적용된다"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티브링크는 이번 상장에서 총 302만590주를 공모한다. 공모 희망가는 5천100원~6천원이며 공모 예정 금액은 154억원~181억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632억∼743억원이다. 모티브링크는 이번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베트남 법인 신축 공장 투자 ▲베트남 공장 자동화 설비 투자 ▲본사 신규 모듈사업 설비 투자 ▲연구소 신뢰성 시험 설비 투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고객사인 현대모비스와 현대케피코, 현대차, 기아 등이 인도시장에 현지 생산 체계를 구축하면서 함께 인도 시장에 진출한다. 모티브링크는 지난해 인도에서 스털링툴스 그룹과 조인트벤처(JV)를 설립했다. 각각 지분율은 50:50으로 설정했다. 스털링툴스와 모티브링크는 합작사를 통해 인도 현지 완성차를 공략하고 인도 현지 생산 체제를 강화하는 현대차그룹을 지원한다. 모티브링크는 기존 인도 시장 진출 계획을 내년으로 목표하고 있었지만, 현지 납품 체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에 올해로 앞당겼다. 또한 모티브링크는 기존 전력변환 부품 중심에서 전력변환기 완제품 OEM 사업을 확대하며, 부품 공급사에서 모듈화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전력변환기 공간 확보 및 원가를 절감하며 제품경쟁력과 수익성을 향상할 예정이다. 모티브링크는 현재 현대모비스에 약 80% 의존하고 있지만 공동 개발 등을 통해 비중을 낮추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제조사로 발굴 비중을 높이고 있어 기술력으로 승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매출의 6%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는 등 미래 준비에 나서고 있다. 김기한 모티브링크 대표이사는 "모티브링크는 전력변환 기술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자동차 및 전력 변환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미래 전동화 전력변환 혁신 리딩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모티브링크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오는 31일부터 2월 6일까지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2월 11일~1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상장 예정일은 오는 20일이며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2025.02.05 15:14김재성

넵튠, 2024년 영업익 97억원…전년比 351.1%↑

넵튠(각자대표 강율빈, 정욱)은 공시를 통해 2024년 연결 매출 1217억원, 영업이익 9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2016년 상장 이후 연간 기준 최대 영업이익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22% 상승했으며 영업이익은 351.1% 올랐다. 이중 게임 사업 매출은 27.5% 성장했으며 애드테크 플랫폼 사업에서는 어려운 시장 상황 속에서도 UA(User Acquisition) 마케팅 사업을 하는 '리메이크' 사업 유닛의 전년 대비 연간 광고거래액이 35.8%로 유의미한 증가 수준을 보였다. 기업용 채팅 솔루션 '클랫(KLAT)' 매출도 전년 대비 58.7% 상승헸으며 EBS, 롯데이노베이트와 같은 대형 파트너사와의 계약도 체결했다. 게임 사업에서는 개발 자회사 트리플라의 모바일 게임 '고양이 오피스'가 3분기에 이어 연속적인 매출 호조를 보였다.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서 '이터널 리턴'을 서비스하는 자회사 님블뉴런은 최초로 연간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연결 기준 누적 EBITDA는 162억원으로, EBITDA는 무형자산 상각비, 감가상각비, 이자, 세금 등의 차감 전 이익으로, 기업이 순수하게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이는 현금 창출 능력을 뜻한다. 넵튠의 2024년 4분기 연결 매출은 320억원, 영업이익 30억4천만원이다. 4분기 연결 기준 게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8% 올랐고 애드테크 플랫폼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2.6% 상승했다. 넵튠은 2025년 연초부터 모바일게임 개발사 '팬텀' 인수를 발표했다. 1분기 내에 트리플라의 신작과 퍼블리싱 게임 등을 포함해 총 3종의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터널 리턴 시즌7도 3월에 시작된다. 애드테크 플랫폼 사업 영역에서는 보상형 광고 오퍼월(Offerwall) 서비스 '포인트펍(pointpub)'을 최근 론칭했다. 넵튠은 이미 애드엑스, 애드파이, 리메이크 등을 통해 다수의 매체사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오퍼월 서비스 또한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강율빈 대표는 “지난해에는 게임 사업의 구조/효율성 및 영업이익 개선에 주력했으며, 애드테크 사업의 신규 영역인 리메이크, 포인트펍의 확장 준비에 집중했다”며 “다만, 메타버스와 버추얼 휴먼 등 신사업을 위해 기존에 진행했던 연결 외 피투자법인의 평가손실이 반영되며 당기순이익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비경상적 영업외손실은 올해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로 기존 누적 결손으로 방법이 많지 않지만 올해를 기점으로 주주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또한 점진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02.05 15:14강한결

"영상 제작 간편하게"…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업그레이드

어도비가 학생부터 인디 영화·다큐멘터리 제작자, 영상 전문가까지 모든 수준의 영화 제작자를 지원하는 새 기능을 자사 솔루션에 적용했다. 어도비는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 이펙트 기능을 업그레이드했다고 5일 밝혔다. 사용자는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서 베타로 이용 가능한 미디어 인텔리전스와 검색 패널을 통해 필요한 클립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미디어 인텔리전스는 개체, 위치, 카메라 각도, 촬영 날짜, 카메라 유형 등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클립 콘텐츠를 자동 인식할 수 있다. 편집자가 새로운 검색 패널에 필요한 클립 유형을 입력하면 미디어 인텔리전스는 알아서 필요한 작업을 진행하고 원하는 장면을 검색한다. 다국어 캡션 생성을 자동화하는 새로운 AI 구동 캡션 번역을 통해 전 세계 시청자와 17개 언어로 소통할 수 있다. 어도비는 모션 전문가 요구사항을 반영한 애프터 이펙트 기능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우선 컴포지션 전체를 기존보다 빠르게 재생할 수 있는 캐싱 개선을 적용했다. 이용자가 최소 사양을 충족하는 모든 컴퓨터에서 캐싱하는 순간 컴포지션 전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향상된 HDR 지원으로 HDR 콘텐츠를 정확하게 가져오고 모니터링을 돕는다. 이 외에도 어도비는 프레임닷아이오에서 캐논 제품 대상의 카메라 투 클라우드(C2C) 지원을 확대했다. 사용자는 프레임닷아이오를 통해 캐논 EOS C80와 EOS C400 카메라에서 직접 고품질 영상을 자동 업로드·액세스할 수 있다. 어도비 애슐리 스틸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수석 부사장 겸 총괄은 "영화 제작자가 스토리를 전달하고 크리에이티브 비전을 실현하도록 지원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며 "이번 프리미어 프로의 혁신은 크리에이티브 전문가가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커리어를 쌓아 전 세계 관객을 사로잡고 이들에게 영감을 주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2025.02.05 15:14김미정

HD현대에너지솔루션, 4분기 영업익 64억원…흑자전환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천113억7천800만원, 영업이익 64억1천500만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전년동기대비 1.7%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84억3천6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

2025.02.05 15:12류은주

NABR, 캄보디아 긴꼬리원숭이에 대한 거래 중단을 시행하지 않기로 한 CITES 상임위원회 결정 환영

워싱턴, 2025년 2월 5일 /PRNewswire/ -- 미국생물의학연구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Biomedical Research, NABR)는 캄보디아 긴꼬리원숭이(Macaca fascicularis)에 대한 거래 중단을 시행하지 않기로 한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상임위원회의 결정을 환영했다. 이번 결정은 공정하고 정확한 과학에 기반한 검토 절차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며, 사실 검토 및 극단적 활동가 단체들이 퍼뜨리는 가짜 과학에 맞설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본은 상임위원회에 향후 CITES 회의까지 즉각적인 결정을 연기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미국, 캐나다, 쿠웨이트 및 기타 당사국들은 일본의 권고를 지지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CITES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캄보디아의 원숭이 수출에 대한 잘못된 주장을 근거로 사무국이 결정한 무역 중단 권고를 지지한 국가는 단 한 곳도 없었다. 대신 일본, 캐나다,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는 캄보디아가 새롭게 제출한 정보를 충분히 검토한 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원회의 이번 결정에 따라 CITES 사무국은 철저한 평가를 진행하고 캄보디아에 공식 대표단을 파견해 투명하고 증거 기반의 절차가 유지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신중한 접근 방식은 미 하원 천연자원위원회(U.S. House Natural Resources Committee)가 해당 사안에 대한 검토와 감독을 완료할 시간을 제공한다. 매튜 R. 베일리(Matthew R. Bailey) NABR 회장은 "NABR은 이러한 규모의 결정을 내릴 때 신중하고 사실에 기반한 심의가 필수적이라는 상임위원회의 인식에 박수를 보낸다"라며 "생물의학은 전염병, 암 및 기타 중요한 건강 문제에 대한 치료법 개발을 포함하여 생명을 구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긴꼬리원숭이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근거 없는 거래 중단을 거부한 국제사회의 결정은 과학적 진실성과 공중 보건을 위한 중대한 승리"라고 말했다. NABR은 과학에 기반한 정책을 옹호하고 국제 야생동물 거래 결정이 윤리적인 생물의학 연구와 의료 발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계속 전념할 것이다. 베일리 박사는 "우리는 생명을 구하는 의학 발전을 위해 투명성, 과학적 진실성, 연구 동물의 책임 있는 사용을 유지하기 위해 글로벌 이해관계자들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생물의학연구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Biomedical Research) 소개 1979년에 설립된 미국생물의학연구협회(NABR)는 l Association for Biomedical Research)은 생물의학 연구, 교육, 시험에서 동물의 인도적 사용을 위한 합리적 공공 정책에 전념하는 유일한 501(c)(6) 비영리 단체다. 340개 이상의 대학, 의과 및 수의과대학, 대학병원, 제약 및 생명공학 회사, 환자 단체, 학술 및 전문 기관 등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이들은 인도적이고 책임감 있는 동물 연구를 통해 전 세계 인간 및 동물 건강 증진에 힘쓰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에서 확인할 수 있다 www.nabr.org 문의 :에바 마키예프스키(Eva Maciejewski), NABR (202) 967-8305emaciejewski@nabr.org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138543/NABR_Logo_1.jpg?p=medium600

2025.02.05 15:10글로벌뉴스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 2025년 기업 은행 부문 최고의 은행 및 시장 점유율 리더상 수상자 발표

-- JP모건과 HSBC, 각각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 선정 세계 최고 글로벌 기업 은행 및 기업 외환 은행으로 선정되는 최고의 영예 뉴욕, 2025년 2월 5일 /PRNewswire/ -- 인도 신용평가기관 크리실(Crisil)의 계열사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Crisil Coalition Greenwich)가 4일 2025년 최고의 은행(Best Bank) 및 시장 점유율 리더(share Leader)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기업 금융 부문에서는 전 세계와 지역 및 국가별로 60여 개 은행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중 JP모건(J.P. Morgan)은 '기업 금융(Corporate Banking)' 및 '기업 현금 관리(Corporate Cash Management)' 부문에서 2025년 세계 최고 은행으로 선정됐다. HSBC는 '기업 외환 은행(Corporate Foreign Exchange)' 부문에서 2025년 세계 최고 은행에 뽑혔다. Coalition Greenwich Awards: Share Leader and Best Bank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의 기업 금융 부문 글로벌 총괄인 토비아스 미아르카(Tobias Miarka) 박사는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매년 전 세계 수천 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최고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을 선정해 왔다"면서 "2025년에도 인터뷰 결과를 종합해 JP모건과 HSBC를 각 부문에서 올해 최고의 글로벌 기업 은행으로 선정했다"고 말했다. 새로운 상 제정, 변함없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상 수상은 기업 금융, 현금 관리, 외환, 무역 금융 등 주요 은행 업무 분야에서 오랫동안 은행과 기업들 사이에 업계 표준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 상은 기업이 특정 은행 업무 분야에서 최고의 성과를 거둔 곳을 찾아내고, 은행이 자사를 지역 및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해 평가해 볼 수 있게 해준다.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는 2025년 시장 점유율 리더상을 유지하고, 명료성과 시장성 및 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명한 '품질 리더(Quality Leader)'와 '우수 리더(Excellence Leader)'상을 '최고 은행(Best Bank)'상으로 개편했다. 상들이 새롭게 확장됐지만 품질과 우수 리더상을 전 세계 은행 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자주 인용되는 상으로 만든 업계 최고의 데이터와 철저한 분석 기준은 그대로 유지했다. 수상 은행들은 기업 고객들로부터 경쟁 은행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앞서는 품질 등급을 받은 곳들이다. 등급 평가 분석 시에는 고객 지원 정도, 비즈니스 편의성, 자문 역량, 상품과 디지털 역량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토비아스 미아르카 박사는 "시장 분석 면에서 우리가 쌓아온 전문성 덕분에 우리 상이 업계의 '최고 기준(gold standard)이 됐다"면서 "우리는 기업 의사 결정자들과의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얻은 직접적인 피드백과 포괄적이고 강력한 시장 분석을 기반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고 말했다. 2025년 코얼리션 그리니치상 수상 은행은 다음과 같다. 2025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 글로벌 기업 금융, 현금 관리, 외환 2025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 아시아 기업 금융, 현금 관리, 외환2025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 유럽 기업 금융, 현금 관리, 외환2025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 미국 기업 금융, 현금 관리, 외환2025 코얼리션 그리니치 리더: 영국 상업 은행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 소개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는 금융 서비스 업계에 전략적 벤치마킹, 분석, 통찰력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업체로서 고객이 비즈니스 성과를 측정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웹사이트: CoalitionGreenwich.Crisil.com 크리실 소개 크리실은 통찰력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세계적인 분석 기업이다. 뛰어난 전문성과 철저한 분석을 통해 고객이 중요한 의사결정을 자신 있게 내릴 수 있게 도와준다. 인도 내 위험 평가 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만한 의견을 얻고, 강력한 통찰력을 발견하고, 전 세계적으로 위험을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존경받는 대기업들이 크리실과 협력하고 있다. 따라서 크리실은 그들의 기회와 성공을 배가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에 본사를 둔 크리실의 대주주는 S&P 글로벌(S&P Global)이다. 1987년 인도 최초의 신용평가기관으로 설립된 크리실은 현재 크리실 레이팅스(Crisil Ratings), 크리실 인텔리전스(Crisil Intelligence), 크리실 코얼리션 그리니치, 크리실 인테그럴 IQ(Crisil Integral IQ)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미주, 아시아•태평양, 유럽, 호주, 중동 등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인력은 산업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웹사이트: www.Crisil.com 팔로우: LinkedIn | Twitter 크리실 개인정보 보호 고지 크리실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존중한다. 당사는 고객의 요청을 처리하고 계정을 관리하고,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의 이름, 주소, 이메일 ID 등의 연락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를 클릭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면책 조항 크리실(Crisil Ltd)은 본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주의와 신중을 기울였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크리실이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 출처에서 확보한 것이다. 그러나 크리실은 정보의 정확성, 적절성 또는 완전성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정보의 오류나 누락 또는 해당 정보 사용으로 얻은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 본 보고서는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지 않는다. 또 투자 조언을 제공하는 게 목적이 아니며, 투자 조언이 담겨 있지도 않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보고서에서 표현된 모든 의견은 선의에 기반한 것이며, 발행일 기준 크리실의 독립적인 견해를 나타낸다. 크리실은 본 보고서의 구독자, 사용자, 전달자, 배포자에 대해 어떠한 재정적 책임도 지지 않는다. 보고서를 열람하거나 사용하는 행위로 크리실과 사용자 사이에 고객 관계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본 보고서는 크리실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타인에게 어떤 형태로든 재생산 또는 재배포될 수 없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612209/Share_Leader_Best_Bank.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94760/5108275/Crisil_Coalition_Greenwich_Logo.jpg?p=medium600

2025.02.05 15:10글로벌뉴스

에코백스 CEO "삼성·LG와 경쟁 환영…美 관세 예의주시"

로봇가전 기업 에코백스가 로봇청소기 신제품 '디봇 X8 프로 옴니'를 국내 출시하면서 자신감을 드러냈다. 5일 데이비드 첸 에코백스 최고경영자(CEO)는 2년 만에 한국을 찾아 직접 신제품을 소개했다. 그는 "디봇 X8 프로 옴니는 누적 판매량이 21만대에 달하는 중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프리미엄 제품"이라며 "해외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에 출시하는 것이 한국 시장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에코백스 '디봇 X8 프로 옴니'는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 ▲트루엣지 2.0 적응형 모서리 청소 기술 ▲아이비(AIVI) 3D 3.0 옴니 어프로치 기능 등을 탑재했다. 핵심 기술인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은 로봇 청소기의 교차오염과 세균 번식 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첸 CEO는 삼성과 LG의 올인원 로봇청소기 신제품에 대해 "수요 기반을 확장할 수 있는 만큼 반가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봇청소기는 단순 청소기로 보고 개발해선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복잡한 공학 설계를 갖춘 제품인 점을 감안하면 에코백스가 여전히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첸 CEO는 미국발 관세 대응에 관한 질문에는 "미국 관세 정책은 주시하고 있다"면서 "해외 사업이 전체 매출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비슷한 수준으로 균형 잡힌 사업 기반을 갖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지 가격만으로 경쟁하는 제품이 아니다"면서 "제품 혁신과 가치로 승부를 보겠다"고 덧붙였다. 첸 CEO는 보안 문제도 개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집안을 돌아다니는 가전 특성상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다"며 "지난해 애석한 일이 있었지만 그를 통해 교훈을 얻었고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02.05 15:07신영빈

석경에이티, 전고체 배터리 소재 '고체전해질' 특허 등록

나노 소재 전문 기업 석경에이티는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소재 기술인 '붕산화물∙용융염계의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특허 등록은 회사가 지난달 완료한 고체전해질 소재 관련 '붕산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 이후 두 번째다. 석경에이티가 2023년 개발한 붕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수분에 민감하지 않고 유해가스 발생 가능성이 낮아 안정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도성이 우수하며, 저가 원료인 붕산염을 사용해 가격 경쟁력도 높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작년부터 전용 클린룸(분석 평가실)을 구축해 해당 소재에 대한 기능적 검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다수 확보했다. 석경에이티 관계자는 "붕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에 이어 이번 붕산화물∙용융염계 고체전해질 소재 특허 등록을 바탕으로 고체전해질 배터리 산업의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석경에이티는 신개념 고체전해질 소재 생산을 포함한 신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제3공장 건설이 현재 막바지에 다다랐다고 했다. 전북 김제시에 위치한 석경에이티 제3공장은 오는 4월 본격 가동할 예정으로 ▲고체전해질 소재 ▲중공 실리카 ▲전기차 배터리 방열 소재(TIM) 등의 양산을 전담하게 된다.

2025.02.05 15:06김윤희

비엔엠컴퍼니, PC방 토탈 솔루션 '아이닉스'와 MOU 체결

비엔엠컴퍼니(대표 서희원)는 5일, PC 유통사 현주아이엔씨(대표 양승일)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주아이엔씨는 PC방 창업 커뮤니티의 시초로 불리는 '아이닉스'를 운영하는 회사로, PC방 컴퓨터 전문 유통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새롭게 PC방을 개설하는 점주는 물론, 기존 점포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주들에게 보다 나은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거품을 줄이고, 매장 운영 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비엔엠컴퍼니는 앤유PC방, 레드포스PC방 등 PC방 브랜드를 전개하는 회사로, PC방 컨설팅부터 인테리어, 식품 브랜드까지 PC방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레드포스PC방은 론칭 1년 내 전국 가맹 70호점을 돌파했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콘셉트 매장 오픈과 게임사 및 하드웨어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PC방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주아이엔씨는 PC방 업계에서 상징적인 커뮤니티인 네이버 카페 '아이닉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하드웨어 유통의 중심지인 용산에서 대규모 유통사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20년간 PC방 전문 PC 납품, 인테리어, 리뉴얼, 운영 컨설팅 등을 병행하며 업계를 이끌어왔다. 현주아이엔씨 양승일 대표는 “그동안 PC방 업계와 점주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는 마음으로 사업을 운영해왔다. 앞으로도 그 생각은 변함없을 것”이라며 “PC방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과 업무협약을 맺은 것은 처음이다. 우리와 방향성이 같은 비엔엠컴퍼니와 협업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비엔엠컴퍼니 서희원 대표는 “PC방 업계에서 '아이닉스'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두 기업이 힘을 합쳐 소상공인들에게 더 나은 운영 환경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PC방 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레드포스PC방은 현재 전국 가맹 80호점 돌파를 앞두고 있으며, 브랜드 및 창업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2.05 15:04강한결

"물걸레 자동세척, 교차오염 걱정 끝"…에코백스, 로봇청소기 신제품 출시

중국 로봇가전 기업 에코백스가 물걸레 자동 세척과 모서리 청소 등 최신 기술을 탑재한 로봇청소기 신제품 '디봇 X8 프로 옴니'를 국내 출시했다. 중국 외 국가에서는 첫 공개다. 에코백스 '디봇 X8 프로 옴니'는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 ▲트루엣지 2.0 적응형 모서리 청소 기술 ▲아이비(AIVI) 3D 3.0 옴니 어프로치 기능 등을 탑재했다. 핵심 기술인 오즈모 롤러 자동 세척 물걸레 기술은 로봇 청소기의 교차오염과 세균 번식 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했다. 16개의 청정수 노즐이 롤러에 지속적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면서 실시간으로 자동 세척하며, 스크래퍼로 오염된 물을 제거해 교차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미끄러짐을 방지해 더 높은 압력과 마찰력을 제공한다. 오즈모 롤러와 AI 반복 물걸레 청소로 찌들고 눌어붙은 얼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바닥 건조도 빠르다. 모서리 청소 기술도 강화했다. 트루엣지 3D 엣지 센서는 고정밀 구조광 기술을 기반으로 강화됐다. 공간 모서리를 3D 이미지로 재구성해 돌출된 위치를 파악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적응형 롤러는 계속해서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청소 범위를 극대화한다. 적응형 사이드 브러시는 일반적인 청소 시 접혀 있다가 필요시 3D 센서 알고리즘 지시에 따라 즉시 확장된다. 아이비 3D 3.0 옴니 어프로치 기능은 실시간으로 사물의 윤곽을 파악해 장애물을 인식하고 피한다. 기존 AI 모델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물체까지 정확히 식별해 효율적 청소 경로를 개선했다. 제품은 98mm의 초슬림 디자인으로 좁은 가구 아래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1만8천Pa 흡입력과 제로탱글 2.0 엉킴 방지 기술, 자동 물걸레 리프팅 기능을 갖췄다. 물걸레 세척 온도는 40°C에서 75°C까지 조절 가능하다. 63°C 열풍 건조 기능으로 장기간 사용 후에도 냄새가 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음성 비서인 이코-지피티(YIKO-GPT)를 탑재해 말 한마디로 로봇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품은 화이트 색상의 일반형 제품과 블랙 색상의 직배수 호환 제품으로 4일 국내 정식 출시했다. 한정 수량으로 판매하는 직배수 호환 제품은 정수통과 오수통이 없어 39cm 높이로 깔끔한 보관이 가능하다.

2025.02.05 15:04신영빈

디랩스게임즈, '복싱스타X' 2월 10일 글로벌 출시

디랩스게임즈(대표 권준모)는 웹3 기반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복싱스타X를 오는 10일 글로벌 정식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복싱스타X는 모바일 스포츠 게임 복싱스타의 텔레그램 버전으로 기존 복싱스타 특유의 세계관과 캐릭터를 유지하면서도 텔레그램의 커뮤니티 기능을 적극 활용해 이용자와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난 1월 7일 진행된 비공개 테스트 이후 진행된 설문 조사에서 95.78%의 이용자가 '즐겁게 플레이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94.37%의 이용자가 "정식 출시 후에도 다시 플레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게임의 전반적인 완성도와 유저 경험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여줬다.

2025.02.05 15:02김한준

"일회성 비용이 발목"…신세계, 4Q 영업익 감소

신세계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반토막났다. 연간 기준 영업이익으로 보면 25% 하락했다. 신세계는 지난해 4분기 총매출 3조1천874억원, 영업이익 1천61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8.5% 감소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11조4천974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 줄어든 4천795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세계 관계자는 “영업이익 감소는 지난해 12월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따른 추정 부담금과 면세점 희망퇴직 진행으로 발생된 퇴직금 등이 일시에 반영되고 직전년도 인천공항 임대료 회계 처리에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백화점 사업의 지난해 총매출은 7조2천435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늘었다. 역대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8% 내린 4천5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매출은 2조82억원, 영업이익은 1천2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15.8% 줄었다. 퇴직충당금 일시 비용이 발생하고 고온 현상에 따른 패션 부문 부진에 따른 결과다. 면세점을 운영 중인 신세계디에프는 적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5천552억원을 기록했지만, 355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2조60억원으로 전년 대비 4.7% 늘었고 영업손실 359억원을 기록했다. 환율 급등에 따른 공항 매출이 부진하고 임차료 부담이 늘어난데다 부산점 철수에 따른 희망퇴직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연결 자회사들은 장기 소비 침체 등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대부분이 외형 성장을 이어갔다. 신세계까사는 지난해 4분기 매출 673억원, 영업이익 3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기준 순매출은 2천695억원, 영업이익은 10억원을 기록하며 첫 연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건설부동산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외부 환경의 악화 속에서도 꾸준한 상품 개발 및 출시,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일궈낸 성과라는 설명이다. 신세계라이브쇼핑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916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9억으로 같은 기간 51.5% 줄었다. 채널 이용료와 통상임금 이슈 등 일시적인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줄었다. 연간 매출은 3천283억, 영업이익은 17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5.6%, 34% 늘어나며 2022년 3분기 신세계 편입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작년 4분기 매출은 3천823억원, 영업이익 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4% 감소한 1조3천86억원, 영업이익은 45% 줄어든 268억원으로 나타났다. 신세계센트럴시티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971억원, 영업이익은 22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 순매출은 3천753억원, 영업이익은 857억원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지난해 어려운 업황에도 불구하고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의 연결 자회사가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며 “올해도 각 사별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실 있는 경영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세계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기업 가치 제고 방안에 따라 주당 배당금을 기존 4천원에서 10% 이상 늘려 4천500원을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2025.02.05 14:54김민아

'AI 전도사' 자처한 유상임 장관, 정책 현장 보폭 넓힌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AI 분야에 대한 민간과 정부의 투자 확대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구에 따라 AI 정책에 대한 현장 행보를 본격화한다. 5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유상임 장관은 이날 고용노동부와 청년 대상 AI와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부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다음날인 6일 유 장관은 광주AI집적단지를 방문해 추진 상황과 성과를 점검하고, 지역 AI 기업과 현장간담회를 통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같은 날 강도현 차관은 국내 AI산업 경쟁력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간담회를 갖는다. 7일에는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설명회가 열린다. 국내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신사, AI 분야 기업과 금융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구축 사업의 세부 사항을 안내하는 자리다. 유 장관은 글로벌 행보에도 나선다. 오는 10일(현지시각) 프랑스에서 열리는 AI행동정상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해 AI안전연구와 AI기본법 등 국내 정책을 소개하고 글로벌 확산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AI컴퓨팅인프라 발전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내용에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과 함께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의 내용이 담긴다. 유 장관은 “글로벌 AI 기술경쟁이 보다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AI 3대 강국 도약의 기회는 열려있다”면서 “과기정통부는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민간과 소통・협력하고, 범정부 차원의 마중물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업무계획의 슬로건인 AI로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치에 따라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2.05 14:35박수형

정부, 청년 대상 AI‧SW교육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고용노동부는 5일 이노베이션아카데미에서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최근 '쉬었음' 청년의 증가, 첫 구직기간 증가 등 청년들이 체감하는 고용 시장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디지털 신기술 분야에 우리 청년들이 더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고용부는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적극 협업하기로 함께 뜻을 모았다. 먼저 청년 구직자 대상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고용부는 디지털 직업훈련 교육 확대를 추진하고 과기정통부는 청년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단계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무-전문‧인재 양성 사업 간 연계를 강화한다. 또 관련 정보를 청년들이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 이를 통해 양 부처에서 올해 청년 구직자 대상 디지털 교육을 5만 명 이상 추진할 계획이다. 양 부처의 디지털 인재양성과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디지털 교육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K-디지털 트레이닝 등 고용부의 디지털 직업훈련 사업의 수료생이 원하는 경우 과기정통부의 심화 과정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과기정통부의 우수한 교육기관 및 교육시설 등을 'K-디지털 트레이닝'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고용부에서 발굴한 미취업 청년에 과기정통부가 생성형 AI 활용 교육, 디지털 리더 특강 등 디지털 교육을 신설해 청년들이 디지털 분야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최근 수시 경력직 중심의 채용 트렌드에 대응해 AI, SW 분야의 일경험 기회 확대를 위해서도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양 장관은 업무협약식 이후 혁신형 교육기관인 이노베이션아카데미 시설을 둘러보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교육생들을 격려했다. 이후 현장간담회에서는 이노베이션아카데미 수료생에게 취업 성공사례를 듣고 교육생과 교육시설 관계자들의 현장 의견과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성장하고 있는 AI, SW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며 “청년 일자리, 직업능력개발을 담당하는 고용부와 디지털 전문인재 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과기정통부의 협력을 통해 청년에게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AI G3 도약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은 “협약을 통해 청년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훈련을 보다 폭 넓게 제공하고, 디지털 분야에 대한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청년들의 어려움을 두 부처가 함께 해결하겠다”며 “오늘 협약식이 디지털 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2025.02.05 14:30박수형

의료공백 사태로 지난해 3조3천억원 재정 투입

안도걸 의원 “의료대란으로 불필요한 국민 혈세 지출 막기 위해 의정갈등 해소 필요” 의료공백 사태로 지난해 정부가 3조3천억원의 재정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안도걸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동남을)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윤석열 정부가 초래한 의료공백으로 인해 최소 3조3천억원 이상의 국민 세금(국민건강보험 포함)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의 졸속적 정책 추진이 불필요한 재정 출혈을 초래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2월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확대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의료계와의 갈등으로 의료공백이 본격화되며, 정부의 재정지원은 3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선 정부는 의료공백에 따른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총 2천40억원(3월 1천285억원, 5월 755억원)의 예비비를 투입해 지원했다. 이 예산은 ▲전공의 집단 이탈로 인한 당직 수당 ▲상급종합병원의 신규 의료인력 채용 인건비 ▲군의관 및 공중보건의 파견 수당 등으로 사용됐는데 안 의원은 사용될 필요 없는 국가 예산이 지출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 올해 전공의 지원예산은 ▲전공의 근무환경 개선 ▲교육 및 수련지도 전문의 수당 ▲전공의 수련 수당 지원 등의 항목으로 총 2천768억원이 편성됐는데, 의료공백이 지속되어 전공의 복귀가 지연될 경우 해당 국고지원 예산 대부분이 집행되지 못하고 불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금도 활용했는데 정부는 지난 2월 '보건의료 분야 국가 핵심기반의 마비'를 재난으로 판단하고 각 지자체에 484억원의 재난기금을 집행하도록 했다. 이후 의료공백이 장기화되자, 정부는 9월 국무회의에서 시행령을 개정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기금을 응급실 비상 인력 채용, 의료진 야간휴일수당 지원, 비상진료 의료기관 지원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지자체는 추가로 1천712억원을 투입하게 됐다. 안 의원실은 재난관리기금은 지자체가 재난의 예방 및 복구 비용을 위해 의무적으로 적립한 기금이지만, 윤석열 정부가 자초한 의료대란을 수습하기 위해 이와 관련 없는 기금까지 사용하도록 하면서 그 책임을 지자체에 전가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국민건강보험 재정에서도 막대한 자금이 투입됐는데, 비상진료체계 운영을 위해 1조3천490억원이 ▲응급환자 신속 전원 ▲중증환자 신속 배정 ▲응급실 진찰료 지원 ▲추석 연휴 비상진료 지원 등으로 쓰였다. 안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매달 평균 1천760억원이 투입된 셈인데, 문제는 현 의료공백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매월 유사한 규모의 건강보험 재정지출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건강보험 재정에서 처음으로 감염병 위기 상황이 아닌 의료공백으로 수입이 급감한 수련병원의 경영난을 해소하기 위해 1조4천844억원을 선지급했는데,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의료기관의 경영난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선지급된 금액이 모두 기한 내 상환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료 수지(보험료수입-보험급여비)는 11조3천1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이 중 의료공백으로 인해 지출된 건강보험 재정은 전체 건강보험료 수지 적자의 25.6%를 차지해 의료공백이 장기화될 경우 건강보험 재정수지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된다고 강조했다. 안도걸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스스로 일으킨 의료대란으로 불필요하게 국민의 혈세가 지출되고 있다”며 “건강보험 재정까지 무리하게 동원되고 있는 만큼, 의료대란으로 인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속히 여야의정협의체를 재구성해 의정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2.05 14:29조민규

"도로에 5시리즈 많이 보이더니"…BMW, 1월에만 5960대 팔았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1만5천229대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4% 증가한 수치이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수입차 중 가장 많이 판매한 브랜드는 BMW로 5천960대를 판매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3천790대를 인도했고 뒤를 이어 렉서스 1천126대, 볼보 1천33대, 포르쉐 644대, 토요타 430대다. 포드와 랜드로버는 각각 366대, 325대를 판매했고 아우디는 320대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BMW 520(1천51대)이다. 렉서스 ES300h가 632대를 판매해 두 번째로 많이 팔렸다. 벤츠 E200은 604대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연료별 판매를 보면 수입차 4대 중 3대가 하이브리드차였다. 하이브리드차는 1만1천551대(75.8%), 가솔린 2천834대(18.6%), 전기차 635대(4.2%), 디젤차량이 209대 등 순으로 판매됐다. 최근 전기차가 둔화하면서 수입차 월간 판매에서 하이브리드차 비중이 70% 넘은 것은 처음이다. 환경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책정하는 1월과 2월에는 전기차 판매가 저조해지는데, 올해 선제적으로 발표했음에도 일부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이 확정되지 않아 전기차 판매는 크게 줄어들었다. 실제로 지난해 수입차 판매량 3위를 기록했던 테슬라는 1월 단 5대밖에 팔지 못했다. 디젤 퇴출 현상도 가속화하고 있다. 정윤영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부회장은 "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은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부족에도 불구하고 일부 브랜드의 물량 해소 및 적극적인 프로모션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25.02.05 14:27김재성

직장인 64% "삼쩜삼 같은 서비스로 환급 경험"

직장인의 3명 중 2명은 세무 도움 서비스 '삼쩜삼'과 같은 서비스로 세금 환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쩜삼을 운영하는 자비스앤빌런즈가 1월 13일부터 19일까지 직장인 8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근로소득을 받는 직장인 3명 중 2명은 삼쩜삼과 같은 민간 서비스를 통해 세금을 환급 받은 경험이 있고, 직장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대신 이들 업체나 세무사를 통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진행한 고객도 적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삼쩜삼을 통해 지난해 5월 종합소득세 정기신고를 진행했거나 환급을 조회한 직장인 361만명 중 47.7%에 달하는 약 172만명이 환급 대상자로, 직장인 2명 중 1명은 환급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 내 연말정산이 공제 일부를 놓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말정산 대신 종합소득세 신고로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직장인은 전체 응답자의 62.2%인 508명이었다. 이중 '환급 서비스나 세무사를 통해 연말정산'을 한 적이 있는 직장인은 219명으로 43.1%에 달했다. 이들은 ▲환급 서비스나 세무사가 편해서(18.5%), ▲부수입이 있어서(13.8%), ▲직장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을 믿을 수 없어서(12.6%), ▲환급 서비스나 세무사를 통한 환급액이 직장 내 연말정산 금액보다 더 많아서(11.4%) 같은 다양한 이유로 세금 도움 서비스나 세무사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2.05 14:27손희연

중국 AI 챗봇 딥시크 사용자, 美서 20년 징역형 위기…왜?

미국에서 폭발적 인기를 얻은 중국의 AI 챗봇 딥시크(DeepSeek) 사용자들이 새로운 법안으로 인해 고액의 벌금과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게 됐다. 더인디펜던트가 4일(현지 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 공화당의 조시 홀리(Josh Hawley) 상원의원이 발의한 새 법안으로 인해 중국의 AI 앱 딥시크 사용자들은 최대 100만 달러의 벌금이나 20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이 법안은 "중화인민공화국 내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금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개인의 경우 최대 100만 달러, 기업의 경우 최대 1억 달러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지난 1월 20일 출시된 딥시크는 미국 앱 시장에서 최고 인기 AI 앱으로 급부상했다. 이로 인해 미국 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으며, 중국 공산당에 민감한 주제에 대한 답변 회피 등 보안, 프라이버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를 "미국 테크 산업의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라고 평가했으며, 백악관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중이다. 미 해군은 이미 업무용과 개인용 모두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으며, 미항공우주국(NASA)도 정부 발급 기기와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금지했다. 텍사스주는 주정부 기기에서 최초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빌 코너(Bill Conner) 지터빗(Jitterbit) CEO이자 전 미국 정부 보안 자문관은 "딥시크는 틱톡(TikTok)보다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며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모든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어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정 준수, 보안 통제에 알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2.05 14:23AI 에디터

AI로 장애물도 회피…뉴로메카, 협동로봇 신기능 공개

협동로봇 자동화 전문기업 뉴로메카는 자사의 대표 모델 '인디'에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모방학습에 더해 충돌회피 기능을 성공적으로 탑재했다고 5일 밝혔다. 뉴로메카는 최근 주목받는 휴머노이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성과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며 차세대 휴머노이드 발전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새롭게 적용된 충돌회피 기능은 뎁스 카메라나 라이다를 활용해 작업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작업 중 회피가 필요한 위험 상황을 구별하고 실시간으로 안전 경로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충돌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회피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안전하고 유연한 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기존 협동로봇보다 장애물 인식 및 회피 성능을 한층 강화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모방 학습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로봇을 조작하며 동작을 가르치면, 로봇이 이를 학습하고 반복 수행하는 기술이다. 지난 1월 자사 협동로봇 인디에 이 기능을 기본 탑재했다. 뉴로메카 측은 "AI 기반 제어 기술은 단순히 협동로봇의 활용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사람이 작업하는 방식과 유사한 휴머노이드의 구현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2025.02.05 14:23신영빈

온도 파이낸스, XRP 레저에 토큰화 미국 국채 도입

실물연계자산(RWA) 토큰화 플랫폼 온도 파이낸스가 XRP 레저(XRPL)에 토큰화된 미국 국채를 도입하며 온체인에서 기관급 상품의 범위를 확장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업을 통해 기관 투자자들은 블랙록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BUIDL)가 지원하는 온도 단기 미국 국채(OUSG)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상품은 엔터프라이즈급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리플USD(RLUSD)를 사용해 24시간 상시 발행 및 상환 가능하다. 리플과 온도는 첫 도입 시 OUSG 유동성 공급(시딩)에 대한 약정을 체결하며 XRPL에서 토큰화된 RWA 채택을 촉진하고 있다. 이는 오픈이든의 미국 단기 국채(T-BILL) 토큰화 도입에 이은 리플의 미국 국채 토큰화 투자 확장의 일환이다. OUSG와 같은 토큰화된 미국 국채는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유동성, 효율성, 투명성을 향한 기관의 수요에 따라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다. 온도 파이낸스는 XRPL에 OUSG를 도입함으로써, 온체인 솔루션으로 기관급 보안, 접근 가능한 유동성,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술 등 혜택을 제공한다. 마커스 인펜저 리플엑스(RippleX) 수석부사장은 “OUSG와 같은 토큰화된 자산을 이용한 24시간 내 당일 결제는 자본 흐름 관리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상징하며 거래 시간과 결제 측면에서 혁신적인 전환점을 마련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저위험, 고품질의 유동성 옵션은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 시장에 더 큰 안정성을 도입한다”고 덧붙이며 “온도 파이낸스와 함께 주요 장애물들을 해결한 이번 혁신을 시작으로 디파이의 광범위한 채택이 이루어지고 XRPL은 기관 수준 금융 솔루션의 초석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케이티 휠러온도 파이낸스 파트너십 부문 부사장은 “기관 수준 토큰화 미국 국채 펀드 OUSG를 기관들이 이미 익히 알고 신뢰하는 블록체인인 XRP 레저에 출시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통합은 컴플라이언스를 최우선하는 수익률 보장 상품과 기관 채택을 목적으로 구축된 네트워크 간의 자연스러운 융합이며 미래 지향적인 기관이 온체인 자본주의 시장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고 설명했다.

2025.02.05 14:22김한준

  Prev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AI 인재도, 데이터도 없다"…망분리 완화부터 속도내야

인텔, 컴퓨텍스 2025서 AI 경쟁력 강화 신기술 공개

조립·분해부터 용접까지…공장 풍경 바꾸는 'AI 로봇'

Z세대 술 안 마시는데…롯데칠성 전략 실패 어쩌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