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지스타2025
인공지능
스테이블코인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필리핀어학연수 비용'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9953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화웨이, AI WAN 솔루션 공개 - Net5.5G 지능형 네트워크 시대로의 전환 가속화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5일 /PRNewswire/ --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레온왕(Leon Wang) 화웨이(Huawei) 데이터 통신 제품 라인 사장이 제품 및 솔루션 출시 행사에서 AI WAN 솔루션을 공개했다. 그는 통신사들이 네트워크와 AI의 융합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AI WAN은 AI를 사용해 Net5.5G 시대의 IP 네트워크를 종합적으로 강화하는 솔루션이다. AI WAN은 AI 라우터, AI 뉴 커넥션, AI 뉴 브레인을 통해 통신사가 최적의 TCO(총소유비용)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모든 서비스에서 새로운 성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eon Wang, President of Huawei's Data Communication Product Line, unveiling the AI WAN Solution 3계층 AI WAN 아키텍처: 새로운 네트워크 기능 구현 AI WAN 솔루션은 AI 라우터, AI 뉴 커넥션, AI 뉴 브레인으로 구성된 3계층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이 혁신적인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성능과 인텔리전스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AI 기능이 내장된 AI 라우터는 정확한 플로우 보고 및 동작 식별을 지원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본연의 보안 보호 기능을 제공하여 AI WAN 핵심 기반을 구축한다. AI 뉴 커넥션은 플로우 레벨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통신사가 폭넓은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뉴 브레인은 네트워크 디지털 맵과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통신사의 장애 진단 및 처리를 지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O&M 효율성을 개선한다. AI WAN의 3가지 주요 이점: 다양한 시나리오 요구 사항 해결 소비자 시나리오에서 ROI(투자수익률) 가속화: AI WAN은 기지국 트래픽 관리를 위한 통신사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트래픽이 억제된 사이트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실시간 트래픽 수집 및 예측 운영을 통해 목표 용량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정확한 경로 최적화를 통해 억제된 트래픽을 해제하여 ROI를 개선한다. 홈 시나리오에서 경험 수익화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 기본 연결성을 넘어 다양한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지원에 대한 홈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AI WAN은 애플리케이션 혁신을 주도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며, 홈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통한 통신사의 수익 성장을 가속화한다. 기업 시나리오에서 보안 보호 및 컴퓨팅-네트워크 통합을 포함한 새로운 서비스 제공: 기업 사용자의 보안 및 서비스 확장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AI WAN은 지능형 플래시 방어(Intelligent Flash Defense)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격 흐름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통신사의 ToB 전용회선 서비스를 보호한다. 또한, 네트워크 전송 용량을 개선하여 통신사가 새로운 통합 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으로도 화웨이는 네트워크 인텔리전스 혁신의 최전선에 서서 업계를 선도하는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 유수의 통신사와 협력하여 지능형 시대에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굴하고, 통신사의 서비스 성장을 주도하며, 함께 Net5.5G 지능형 네트워크 시대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2025.03.05 10:10글로벌뉴스

SKT, AI데이터센터 액체냉각 기술 파트너 추가

[바르셀로나(스페인)=박수형 기자] SK텔레콤이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리딩 기업과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 SK텔레콤은 MWC25에서 액체 냉각 분야의 선두주자인 기가컴퓨팅, SK엔무브와 차세대 냉각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기가바이트 자회사인 기가컴퓨팅은 AI 서버 개발부터 클라우드, 에지 컴퓨팅, 엔터프라이즈 IT 솔루션까지 제공하는 글로벌 테크기업으로 직접 액체 냉각(DLC), 수조형 액침 냉각(ILC) 기술 등 혁신 냉각 솔루션을 개발해 왔다. SK텔레콤은 글로벌 기술 협력을 활용해 AI 데이터센터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전력과 발열을 최소화하는 차세대 냉각 기술 설계, 운영 역량을 강화해 간다는 전략이다. 장기적으로는 그룹과 파트너사들의 역량을 결집해 냉각 기술을 그룹 차원의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패키지 중 하나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액체 냉각 기술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냉각 플루이드를 활용해 서버와 주요 부품의 열을 식히는 방식으로, 차가운 공기를 유입해 냉각시키는 공랭식보다 뛰어난 냉각 효과를 자랑한다. AI 데이터센터의 냉각 기술 경쟁력은 전력 소모와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 최적화, 컴퓨팅 성능 제고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SK텔레콤 다양한 기술 협력과 연구 개발을 진행해 왔다. SK엔무브는 국내 최초로 액침 냉각 기술 개발에 뛰어들어 고급 윤활기유 생산⸱공급 역량을 바탕으로 한 원재료 경쟁력, 냉각 플루이드 설계 및 평가 역량, 그리고 액침 냉각 솔루 별 최적화된 제품으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에 기반해 양질의 냉각 플루이드를 공급하며 글로벌 액침 냉각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3사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액체 냉각 성능 최적화를 위한 기술 검증을 비롯해 GPU 등 주요 부품 운영 검증, AI 데이터센터용 솔루션 기획까지 광범위한 연구개발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기가컴퓨팅은 액체 냉각 기술 솔루션 노하우를 제공하며, SK엔무브는 다년간 축적해 온 냉각 플루이드 기술력을 바탕으로 양질의 냉각 플루이드를 공급한다. AI 데이터센터 고객 관점에서 최적의 솔루션 개발을 위해 액체 냉각 도입 시 비용 및 냉각 성능 최적화를 위한 기술 검증 협력에 돌입한다. 또 데이터센터 업계에서 적용 중인 액체 냉각 방식 세 가지 모두에 대해 엔지니어링 최적화 및 기술 검증을 진행한다. '직접 액체 냉각'은 AI 서버에 냉각 플루이드가 주입되는 콜드플레이트를 붙여 서버의 주요 발열 부위를 냉각하는 방식이다. '수조형 액침 냉각'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액체가 담긴 수조형 솔루션에 서버를 직접 담그는 방식이다. '정밀 액체 냉각(PLC)'은 서랍형으로 쌓아 올린 랙 구조의 솔루션에 냉각 플루이드를 순환시키며 냉각하는 방식이다. 양승현 SK텔레콤 AI R&D 센터장은 “AI 데이터센터의 차세대 주요 기술로 꼽히는 액체 냉각 분야 솔루션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AI 데이터센터 운영 역량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SK엔무브 그린사업실장은 “SK엔무브는 이번 협업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냉각 플루이드를 개발 및 공급해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화 기업'으로서 SK엔무브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다니엘 후 기가컴퓨팅 사장은 “AI와 고성능 컴퓨팅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액체 냉각 기술은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기술로 부상했다”며 “기가컴퓨팅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냉각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3.05 08:04박수형

마음AI, 2025년 AI 바우처 공급기업에 선정

마음AI(대표 유태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2025년 AI 바우처 사업'의 공급기업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AI 바우처 사업'은 AI를 도입하려는 수요기업과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기업을 매칭, AI 기술 확산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이다. 국내 기업이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으로, 수요 기업은 최대 2억 원 규모의 AI 솔루션 도입 비용을 지원받는다. 이번 선정으로, 마음AI는 수요기업이 AI 기술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다양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음AI는 자사의 최첨단 AI 모델인 'MAAL-Albatross(말 알바트로스)'를 기반으로 한 고도화된 AI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수요기업에게는 챗봇 생성과 관리 및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MAAL-Albatross ▲Chat Hub와 STT, TTS, TA, LLM등의 AI 기술을 활용해 콜센터 상담업무를 무인화, 효율화하는 AICC 솔루션을 지원한다. 이번 AI 바우처 사업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의료기관 및 글로벌 기업 등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계획이다. 마음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PA가 주관하는 AI 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선정된 것은 우리 회사의 AI 기술력과 산업 내 혁신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기업들이 AI를 활용해 더 높은 업무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게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AI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AI 바우처를 통해 마음AI의 솔루션을 활용해 비즈니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5.03.05 07:00방은주

차바이오텍, 영업이익 600억원 적자…매출 증가에도 적자폭 확대

차바이오텍이 연결실적에서 이익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차바이오텍의 연결실적 공시를 보면 지난해 매출액은 1조450억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업이익은 직전 사업연도 95억6748만원 적자에서 523,3% 증가한 –596억3822만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 역시 직전 사업연도 55억5991만원 적자에서 125.2% 증가한 –125억2493만원으로 늘었다. 차바이오텍은 공시를 통해 국내외 종속회사 실적 성장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 증가에 따라 매출액은 증가한 반면, 회사 및 국내 종속회사 R&D 비용 증가, 해외 CDMO 사업 투자 및 미국 병원 사업 비용 증가 등 사유로 영업손실폭은 커졌다고 밝혔다. 또 영업손실폭 확대 등 사유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은 적자 전환했고, 이에 따라 당기순손실폭도 커졌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전 세계적인 불확실성과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업부문의 견실한 성장, 미국과 호주 등 해외 헬스케어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 SMG(Singapore Medical Group)의 연결 편입 등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고, 2023년 아스텔라스 기술수출 매출 198억원을 제외하면 전년 대비 11.9% 매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익 적자에 대해서는 미국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이하 '마티카 바이오')의 신사업 투자, 할리우드 차병원 신축 병동 공사 지연에 따른 비용 증가, 호주 동부지역에 다수의 신규 클리닉 오픈을 위한 투자와 R&D 파이프라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등이 요인이라고 밝혔다.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540억원, 당기순이익 526억9613만원, 영업손실 3억3천만원으로 나타났다. 회사 측은 면역세포 및 줄기세포 보관, 유전체 분석, 헬스케어 IT 사업 등의 사업부문이 고르게 성장했고, 2023년 아스텔라스 기술수출 198억원을 제외하면, 별도 매출액도 9.4% 성장했다고 밝혔다. 차바이오텍은 2024년 6월 글로벌 신약 사업화 역량을 갖춘 남수연 R&D 총괄사장을 영입해 신규 신약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개발단계에 있는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사업화를 가속화하는 등 R&D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남수연 사장은 R&D 조직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팀 단위로 재편했고, 대형 제약‧바이오기업에서 경험이 풍부한 R&D 임원 8명을 충원해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R&D 성장동력을 확충했다. 글로벌 CDMO사업은 순항 중이다. 마티카 바이오는 2024년 미국 바이오기업과 연이어 CDMO 계약을 하면서 100억원 규모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고, 최근에는 자체 개발한 바이럴 벡터(Viral Vector)의 바이러스 캡시드(capsid) 분리 분석법이 생명공학 전문학술지인 '생명공학 및 생명기술 프런티어'(Frontiers in Bioengineering and Biotechnology)'에 게재되는 등 기술역량도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있다. 오상훈 차바이오텍 대표는 “바이오 기업으로는 아주 의미 있는 연결 매출 1조원 돌파라는 성과를 냈고, R&D 가속화에 본격적으로 투자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조기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첨생법 개정에 따른 연구 파이프라인의 확대와 사업화에 집중해 회사의 또다른 성장동력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05 06:00조민규

KCL, 영국 REAL CMCS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인증시험기관 지정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원장 천영길)은 아시아 최초로 영국인증기관인 REAL CMCS로부터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인증시험기관(산업적 퇴비화)으로 지정받았다고 4일 밝혔다. REAL CMCS는 브렉시트 후 영국에서 신설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인증기관이다. 국내 기업이 영국으로 수출할 때 REAL 인증이 필요하다. KCL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출기업은 해외에서 호환되는 국내 인증 서비스가 없어 수출국에서 요구하는 해외인증 획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며 “이번 지정으로 국내 기업은 KCL이 발행한 공인성적서 한 장으로 유럽·미국·영국 수출을 위한 해외인증과 국내인증(환경표지인증)을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KCL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인천광역시의 지원으로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센터 구축사업(2021~2025년)'을 통해 해외인증 필수 시험인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TUV 오스트리아 협력기관인 체코 국영 인증기관 SZU KOREA와 협력해 수출 지원을 위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KCL은 올해 안에 유럽 인증기관으로부터 자연 토양과 해양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제품과 바이오기반 산업 제품의 바이오매스 함량 해외인증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을 계획이다. 또, 일본(JBPA), 호주(ABA), 브라질(ABICOM) 인증기관으로부터 수출 시험기관으로 지정받아 국내 기업이 외국에 가지 않고도 국내에서 인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천영길 KCL 원장은 “플라스틱 대체 화이트바이오산업을 포함한 미래 친환경 부품소재 분야 해외인증 획득을 지원하는 시험인증 인프라를 확대해 우리나라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3.04 21:41주문정

한수원, 미래 혁신·도전 연구과제 발굴…ʻ천사과제ʼ 착수

한국수력원자력(대표 황주호)은 혁신적 아이디어와 도전적 연구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천사과제'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천사과제'는 한수원이 미래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원자력 기술 등 앞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주제에 대해 한수원 직원이 모여 연구개발(R&D)하는 프로젝트로 올해 처음 도입했다. 한수원은 원자력 기술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나,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성공할 경우 매우 큰 파급효과를 창출할 잠재력이 높은 기술 등을 선정해 직원이 실패 두려움 없이 혁신적인 연구를 펼쳐 원자력 산업계의 발전을 이끈다는 방침이다. 한수원은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건설비용 저감 기술, AIoT 환경 구축 기술, 장주기 무결함 핵연료 기술, 방사성폐기물 저감 기술, 초고온·내부식·초내열 재료 기술 등과 관련한 총 7건의 천사과제를 선정했다. 선정된 과제는 7개월간 연구를 진행하고 10월경에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천사과제 연구가 국내 원자력 산업계에 긍정적인 나비 효과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혁신적 아이디어와 도전적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개발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04 19:02주문정

젠듀어, 유네스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공학의 날' 공식 파트너로 선정되어 이용하기 쉬운 청정에너지 확대에 앞장

파리 2025년 3월 4일 /PRNewswire/ -- 태양 에너지 기술 분야의 선도적 혁신 기업 젠듀어(Zendure)가 유네스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공학의 날(World Engineering Day for Sustainable Development•WED) 2025' 공식 파트너로 선정됐다. 이 권위 있는 파트너십은 전 세계 가정에 신뢰할 수 있고 저렴한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고 최신 에너지 기술을 대중화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로의 글로벌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젠듀어의 사명을 강조해준다.   3월 4일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시작된 1년간의 WED 이니셔티브는 공학이 글로벌 지속 가능성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보여준다. 젠듀어와의 파트너십은 젠듀어가 이러한 사명에 헌신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 시장 내에서 청정에너지 보급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걸 잘 보여준다. 당신의 에너지, 우리의 미래: 지속가능성을 위한 파트너십 브라이언 리우(Bryan Liu) 젠듀어 CEO이자 설립자는 "세계 공학의 날을 위해 유네스코 및 세계공학기구연맹(World Federation of Engineering Organizations•WFEO)과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매우 영광"이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이번 파트너십은 우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더 크게 알리고, 가정용 청정에너지의 전 세계적인 보급을 가속화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다. 젠듀어의 사명인 '당신의 에너지, 우리의 미래(Your Energy, Our Future)'가 단순한 문구가 아니라 우리가 일하게 만들어주는 근본적인 진리라고 믿는다. 모든 개인이 하는 에너지 선택은 지구 전체의 안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사람들이 이러한 선택을 지속 가능한 선택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기가 없는 중국 시골 마을에서 자란 리우 CEO의 개인적인 경험은 에너지 접근성 강화를 통해 지역사회에 힘을 실어주고자 하는 그의 열정에 불을 지폈다. 이러한 열정은 접근하기 쉬운 청정에너지가 공유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가는 데 필수적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된 젠듀어의 빠른 성장과 혁신적인 제품 라인에 반영되어 있다. 혁신과 영향: AI 기반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비용 절감 극대화하는 젠듀어 2017년 설립된 젠듀어는 청정에너지 분야의 선두주자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독일에서 발코니 태양광 솔루션(Balcony Solar Solutions•BKW)을 최초로 도입한 기업인 젠듀어는 태양광 발전을 도시 거주자들에게 꿈이 아닌 실제 현실로 만들어 줬다. 젠듀어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포함한 유럽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한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에서도 추가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접근하기 쉬운 청정에너지에 대한 젠듀어의 헌신은 혁신적인 하이브리드 마이크로 인버터인 SolarFlow 800이라는 최신 혁신 제품을 통해 확실하게 입증된다. SolarFlow 800은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하고 잉여 에너지를 지능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전력망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절약 효과를 극대화해 개인이 더 밝은 에너지 미래를 만들 수 있게 돕는다. 젠듀어는 앞으로도 가정용 에너지 관리를 혁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젠듀어는 곧 인공지능(AI) 기반 가정 에너지 관리 시스템(Home Energy Management System•HEMS)을 업계 최초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 획기적인 시스템은 가정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사용자에게 전례 없는 제어, 비용 절감, 지능형 에너지 관리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패턴을 학습해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가정의 청정에너지 효율성과 경제성을 더욱 높여준다. 젠듀어의 솔루션은 이미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4년 한 해에만 젠듀어 사용자들은 1317만kWh 이상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해 석탄 소비량을 약 4386톤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축구장 461개에 해당하는 면적의 숲을 조성하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 이로 인해 유럽 가정이 부담해야 할 에너지 비용이 약 400만~600만 유로 절감됐다. 젠듀어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노력은 제품 외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젠듀어는 리튬 배터리 생산 및 재활용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간펑 리튬(Ganfeng Lithium)과의 전략적 협약을 통해 자사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환경적 책임을 보장하고 있다. 간펑 리튬의 첨단 재활용 공정은 각각 90%와 95% 이상의 리튬 회수율 및 니켈과 코발트 회수율을 자랑한다.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 젠듀어와 유네스코의 공동 비전 유네스코 및 WFEO와 맺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공학의 날 파트너십은 글로벌 도전 과제를 해결하고 가구 단위에서 더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는 데 공학이 중요한 힘을 가졌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이는 WED의 핵심 메시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유엔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 달성에 공학도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해준다. 젠듀어 소개 2017년에 설립된 젠듀어는 미국 실리콘밸리, 중국 광둥성, 일본, 독일의 기술 중심지에 기반을 두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 기술 기업 중 하나이다. 젠듀어는 최신 에너지 기술을 발전시켜 신뢰할 수 있고 저렴한 청정에너지를 가정에 공급하는 걸 사명으로 삼고 있다. 젠듀어의 혁신적인 SolarFlow 발코니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햇빛을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고 회복력이 있는 일상생활용 에너지원으로 변환해준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공학의 날 소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공학의 날은 매년 3월 4일 유네스코 국제 기념일로 지정되어 기념된다. 이날은 현대 사회에서 공학도와 공학이 이룬 성과를 강조하고, 공학과 기술이 지속 가능한 발전에 어떻게 핵심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락처:Chris Patrickchris.qiu@zendure.com

2025.03.04 18:10글로벌뉴스

"글로벌 AX 기업 되겠다"…상장 공약 실천 나선 현신균, '클라우드 강자' AWS와 일 냈다

"글로벌 '인공지능 전환(AX)' 전문기업으로 거듭날 LG CNS의 미래를 함께 지켜봐 주십시오."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하며 이처럼 포부를 밝힌 현신균 LG CNS 대표가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강자인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와 손잡고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섰다. LG CNS는 최근 AWS와 함께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Gen AI Launch Center)'를 신규 설립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센터는 기술, 비용, 시간 문제로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보다 쉽게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담조직(TF)이다. 이 TF에는 생성형 AI, 클라우드 분야의 양사 전문가들이 참여해 AX 협력을 가속한다. AWS는 이번에 LG CNS와 협력 조직을 구성해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LG CNS는 은행, 보험, 증권, 카드 등 금융 분야에서 AX 프로젝트를 대거 수주했으며 제조 AX 영역에서도 활발히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는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AWS Generative AI Competency)'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성형 AI 인증도 획득했다. 'AWS-LG CNS 생성형 AI 론치 센터'는 기업을 위한 생성형 AI 서비스 100개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기업은 ▲사용자 맞춤형 챗봇 ▲마케팅 문구·이미지 생성 서비스 ▲이슈 요약 및 대응체계 수립 등을 지원하는 이슈관리 통합플랫폼 등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G CNS는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 체계를 활용한다. '생성형 AI 퀵 딜리버리'는 기업이 최소한의 기간과 비용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기획부터 구현·검증까지 일괄 지원하는 '산업·업무 영역별 사용사례(Use Case)'와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LG CNS는 금융, 제조, 유통 등 산업 분야에서 생성형 AI 사업을 진행하며 다양한 사용사례를 축적해왔다. 이 과정에서 상품기획, 고객 서비스(CS), 인사·총무 등 여러 업무 영역에 특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도 개발했다. 이를 통해 LG CNS는 기업이 생성형 AI 서비스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생성형 AI 서비스 중 가장 대중적인 챗봇도 산업 분야나 사용자에 따라 다른 기술과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금융 상담원을 위한 AI 챗봇에는 금융 상품 검색, 요약 등 고객상담 업무에 최적화된 응대 매뉴얼을 적용할 수 있다. 가전 제조업 제품 개발자를 위한 AI 챗봇에는 가전 제품 설계 가이드, 과거 발생 이슈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기업은 LG CNS가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생성형 AI 사용사례를 참고해 사용자 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LG CNS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의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AI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체 AI 솔루션을 활용한다. 이 솔루션은 기업의 데이터와 지식을 생성형 AI가 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를 수집·가공해 분석하고, 최적화된 AI 모델을 선정·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해 서비스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더불어 LG CNS는 AWS의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결합해 시너지를 강화한다. 주요 AI 기업 및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활용해 기업에게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효과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또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AWS가 자체 개발한 업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파운데이션 모델 '아마존 노바(Amazon Nova)', AWS의 고성능 컴퓨팅 특화 하드웨어 등도 활용할 수 있다. 양사는 과거에도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M) 사업 확대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왔다. 그 결과 LG CNS는 국내 최고의 클라우드 MSP(Managed Service Provider)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현 사장은 "AWS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모든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 문턱을 낮추겠다"며 "앞으로 양사는 생성형 AI 공동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향후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04 17:32장유미

화웨이 양 차오빈 - AI 중심 네트워크 솔루션이 통신사의 AI 활용도를 높여 줄 것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4일 /PRNewswire/ --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열린 화웨이 제품 및 솔루션 출시 행사에서 양 차오빈(Yang Chaobin) 화웨이 이사 겸 ICT 비즈니스 그룹 CEO가 AI 중심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개했다. 양 CEO는 고품질, 저비용, 오픈 소스 AI 모델의 출현으로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혁신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지능형 세상이 더 일찍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AI의 발전으로 사회가 세 측면에서 변할 것이라며, 소비자는 완벽히 자신에게 맞춰진 경험을 할 수 있고 조직에서는 지능형 협업이 가능하며, 모두를 포용하는 인공지능의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하였다. Yang Chaobin, Huawei's Director of the Board and CEO of the ICT Business Group, speaking at the Huawei Product & Solution Launch ICT 산업에서는 기술 발전과 애플리케이션 다각화로 전례 없는 성장 동력이 마련되는 한편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기준도 높아질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통신사가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대역폭과 지연 시간, 커버리지, O&M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양 CEO는 "화웨이의 AI 중심 네트워크 솔루션은 이 같은 니즈에 충실한 제품"이라며 "네트워크 기능을 혁신해 전 도메인 연결이 가능하게 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중심 O&M으로 전환하도록 뒷받침하는 한편 AI에서 비롯되는 기회가 최대한 활용되도록 통신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의 재편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AI 중심 네트워크 - 4원방식 양 CEO는 통신사가 앞으로 직면하게 될 과제를 지적하며, 화웨이 솔루션으로 신종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급증에 어떻게 대비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전 도메인 연결성. 통신사는 AI와 네트워크 간 협업이 심화되면 라우팅, 대역폭 등에 대한 리소스 오케스트레이션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지능형 애플리케이션에서 범용 네트워크 액세스, 초고속 업링크, 다운링크, SLA 보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중심 O&M. AI 애플리케이션이 발전하면 서비스 환경은 더 복잡해지고 경험에 대한 요구도 크게 다양해질 것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리소스 중심의 기존 네트워크 O&M에서 애플리케이션 중심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화웨이의 통신 기반 모델을 적용하면 예측적, 능동적 O&M과 애플리케이션 단위 인식을 기반으로하는 최적화, 세밀한 맞춤형 운영이 가능하다. 통신사에서는 네트워크 O&M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또 차원이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AI-to-X 서비스 강화. 개별 사용자에 대해서는 AI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대역폭과 지연 시간, 안정성을 정확하게 할당하여 AI 시나리오 별로 최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에서는 개인 간 통신에 맞춰 구성된 용량과 응답 시간의 병목 현상을 극복하고 네트워크를 발전시켜 개인 간 통신은 물론 에이전트 간 통신도 지원할 수 있다. 사회 전체로는 AI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유비쿼터스 연결이 가능해져 교육, 의료와 같은 공공 서비스에서도 AI 도입이 늘어나고 그 결과 세계 각지에서 포용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마지막으로, 경험 요건이 다양해지면 통신사가 여러 지표를 수익화할 수 있는 새 비즈니스 모델을 탐구할 수 있다. 요컨대 통신사는 AI 중심 네트워크를 통해 기존의 트래픽 기반 수익화를 넘어 경험 자체를 수익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양 CEO는 "통신 업계는 전방위로 힘을 합쳐 협력해야 한다"며 "네트워크 역량을 드러내 여러 산업과 협력하며 시나리오별로 혁신에 참여한다면 AI 시대 새로 성장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더 밝은 인공 지능의 미래를 건설해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MWC 바르셀로나 2025는 3월 3일부터 3월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에 화웨이는 피라 그란 비아 홀 (Fira Gran Via Hall) 1 1H50 부스에서 최신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2025년에는 5G-Advanced 상용화가 빨라지고, AI는 통신사의 편에서 비즈니스, 인프라, O&M의 재편을 지원할 것이다. 화웨이는 인공 지능 세상이 더 빨리 오도록 전 세계 여러 통신사, 제휴사와 적극 협력하고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https://carrier.huawei.com/en/events/mwc2025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3.04 17:10글로벌뉴스

1만원대 5G 요금제...1% 남짓 알뜰폰 가입자 늘릴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 조치 이후 1만원대 5G 20GB 요금제가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최근 감소세로 전환된 알뜰폰 5G 가입자 추이가 저가 요금제 확산으로 반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과기정통부의 도매제공의무서비스 고시 개정 이후 알뜰폰 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1만원대 5G 요금제를 선보이고 있다. 현재 SK텔레콤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요금제를 출시하고 있다. 최근 스마텔은 '5G스마일플러스20GB' 요금제(월 1만9천800원)를 선보였다. 데이터 20GB와 함께 음성통화와 문자가 기본 제공되는 상품이다. 또한 이야기모바일은 '5G함께이야기해S' 요금제를 월 1만8천700원에 출시했다. 5G 데이터 20GB와 함께 음성 200분, 문자 100건을 제공한다. 프리텔레콤도 우체국 알뜰폰을 통해 '(5G)우체국500분20G' 요금제(월 1만9천800원)를 출시했다. 이처럼 저렴한 요금제가 출시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과기정통부의 도매대가 산정 방식 개편이 있다. 지난달 21일 과기정통부는 도매제공의무서비스 고시 개정을 완료했다. 기존에는 도매대가 산정 방식으로 '소매가 할인 방식'만 규정하고 있었으나, 개정 고시에서는 '제공비용 기반 방식'이 추가됐다. 이에 따라 데이터 도매대가는 MB당 1.29원에서 0.82원으로 36.4% 낮아졌다. 이는 지난 10년 중 가장 큰 폭의 인하다. 음성 도매대가도 분당 6.85원에서 6.50원으로 5.1% 인하됐다. 특히 데이터 도매대가가 1원 이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알뜰폰 사업자들은 기존에 불가능했던 가격대의 요금제를 선보일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알뜰폰 사업자가 데이터를 대량으로 사용할 경우 도매대가를 할인해주는 구간과 폭이 확대된 점도 요금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또한 1년 동안 사용할 데이터를 미리 구매하면 도매대가를 추가로 낮춰주는 연단위 선구매 제도도 신설됐다. 과기정통부는 인하된 종량형 도매대가에 연단위 선구매 제도를 활용하면 데이터 도매대가는 기존 대비 최대 52%까지 인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알뜰폰 5G 가입자 감소세...1만원대 요금제로 반전될까 최근 알뜰폰 5G 가입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과기정통부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알뜰폰 5G 가입회선은 36만5천582개로 전달보다 6천291개 감소했다. 전체 알뜰폰 가입 회선 수도 지난해 12월 기준 949만2천407개로 전달과 비교해 3만3천151개 감소했으며, 이러한 역성장은 2021년 10월 이후 39개월 만이다. 알뜰폰 업체들은 그동안 10GB 안팎의 저용량 LTE 요금제를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왔다. 하지만 5G 시대가 도래한 이후에도 지난해 12월 기준 알뜰폰 5G 가입자는 전체의 1%(36만5천582명)에 불과해 99%(3천526만9천193명)를 차지한 이동통신 3사의 압도적인 점유율에 밀리고 있다. 이통 3사가 2만∼3만원대 중저가 5G 요금제까지 출시하면서 알뜰폰 사업자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이에 이번에 출시된 1만원대 5G 20GB 요금제들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지 주목된다. 5G 스마트폰 가입자의 1인당 평균 월 데이터 사용량이 약 28GB인 것을 고려하면, 20GB 제공량은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도 적합한 수준이다. 현재 SK텔레콤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들만 요금제를 출시한 상황이지만, 조만간 KT와 LG유플러스의 도매대가도 인하되면 1만원대 요금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고시 개정에 따라 SK텔레콤과 알뜰폰사 간 협정이 이뤄지고 인하된 도매대가가 적용된다"며 "KT와 LG유플러스도 감안해서 인하된 도매대가를 조만간 적용하면 1만원대 요금제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5.03.04 17:10최지연

화웨이, AI 도입 위해 통신사용 AI 레디 데이터센터 출시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4일/PRNewswire/ -- MWC 2025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된 화웨이 제품 및 솔루션 출시 행사에서 화웨이 데이터 스토리지 제품 라인 사장 피터 저우(Peter Zhou) 박사가 "AI 레디 데이터 스토리지가 통신 간 트랜스포메이션을 촉진한다"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을 남겼다. Peter Zhou, President of Huawei Data Storage Product Line, delivered a keynote speech 피터 저우 박사는 각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AI 기반 트랜스포메이션이 데이터의 황금 시대를 열고 있다고 전한다. 글로벌 통신사들은 스마트 홈이나 디지털 팩토리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활용 및 수익화하여 비즈니스 가치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이는 데이터 스토리지와 서비스 기능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웨이 데이터 스토리지(Huawei Data Storage)는 AI 레디 데이터 레이크 솔루션, 각종 데이터 스토리지 서비스 및 FlashEver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여 통신사들이 무질서한 데이터를 고품질의 자산으로 전환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실현하도록 돕고 있다."라고 피터 저우 박사는 말한다. 데이터 사일로를 해소하여 데이터의 가시성과 관리성 및 이용 가능성을 실현하는 AI 레디 데이터 레이크 화웨이는 미션 크리티컬 프로덕션 워크로드를 위해 차세대 OceanStor Dorado 컨버지드 올플래시 스토리지(OceanStor Dorado Converged All-Flash Storage)와 OceanStor A 시리즈 고성능 AI 스토리지(OceanStor A Series High-Performance AI Storage)를 출시한다. 이들 솔루션은 1억 레벨의 IOPS, 금융 등급의 신뢰성 및 효율적인 AI 훈련 및 추론을 통해 백억 가지의 일상적인 충전 서비스와 탄탄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지원한다. 게다가 향상된 객체 스토리지가 통신사 서비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AI 애플리케이션의 원활한 통합을 보장한다. 화웨이의 차세대 OceanStor Pacific All-Flash Scale-Out Storage는 대규모 데이터를 위해 산업 고밀도 및 저전력 소모를 제공한다. 이 스토리지는 엑사바이트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하여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XR 게임과 같은 신규 서비스의 비용 부담을 해소한다. 데이터를 보호하는 차세대 OceanProtect All-Flash Backup Storage도 출시했다. 이 스토리지는 시중 제품 대비 5배 더 빠른 데이터 복구 성능을 제공해 비상 훈련이나 AI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같은 서비스 요구를 충족하여 모든 비트의 가치를 보호한다. 통신사의 AI 진화를 촉진하는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서비스 통신사들은 AI를 채택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는데, 이를테면 취약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효율적인 AI 모델 개발 플랫폼의 부족, 긴 데이터 준비 시간, 느린 모델링 훈련 속도, 복잡한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들 수 있다. 화웨이의 DCS AI 솔루션은 원스톱 AI 풀 프로세스 툴체인 및 컨테이너화된 환경을 제공하여 AI 모델의 미세 조정 및 대규모 배포를 촉진한다. 통신사의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는 FlashEver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와 기술의 변화로 인해 통신사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피터 저우 박사는 투자 자산을 보호하는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 FlashEve를 소개했다. 이 모델은 발전적이고 유연한 아키텍처를 제공해 라이브 네트워크 장비의 원활한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 또한 화웨이의 스토리지 플랫폼 서비스는 유연한 구매 옵션과 SLA 보증, 다양한 스토리지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고객 경험을 보장한다. 피터 저우 박사는 화웨이의 지속적인 혁신 활동, 특히 AI 레디 데이터 스토리지 파운데이션과 미래에도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파워를 구축해 통신 산업 전반에 AI 도입을 촉진하려는 자사의 노력을 재차 확언했다.

2025.03.04 17:10글로벌뉴스

비즈플레이, 2027 WYD에 경비지출관리 무상 제공

비즈플레이가 자사 경비지출관리 솔루션을 2027 서울세계청년대회(WYD) 조직위원회에 공급해 경비 지출 내역 투명성 확보에 나선다. 비즈플레이는 2027 WYD 조직위와 효율적 행사 준비·성공적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비즈플레이는 bzp경비지출관리 솔루션을 조직위원회에 무상 제공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 서울에서 개최되는 WYD 준비과정에 있어 경영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경비 지출 내역의 투명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주요 협약 내용으로는 ▲비즈플레이 경비지출관리 시스템 지원 ▲비즈플레이 대외적 확산 지원 ▲2027 WYD 관련 공동 마케팅·홍보 활동을 위한 상호 협력 등이 포함됐다. 협약식에는 김홍기 비즈플레이 대표, 조직위 상임이사 양주열 신부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양주열 신부는 "전 세계 젊은이들이 서울에 모이는 만큼 원활한 진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비즈플레이 솔루션을 통해 행사 준비 관계자들의 업무가 더 쉽고,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홍기 비즈플레이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비용 관리 업무 혁신과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025.03.04 17:07김미정

"유무선·위성 연결 최적화"…브로드컴, '벨로스카이' 출시

브로드컴이 네트워크 운영 복잡성을 줄이는 솔루션을 출시해 통신 서비스 공급업체에 인공지능(AI) 성능 최적화와 가용성·통합 보안을 제공한다. 브로드컴은 컨버지드 네트워킹 솔루션 '벨로스카이(VeloSky)'를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통신 서비스 공급업체(CSP)가 단일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유선과 무선, 위성을 아우르는 통합된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CSP는 벨로스카이 기반으로 5G와 위성 서비스를 도입·활용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다각화할 수 있다. 벨로스카이는 기업 핵심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보호하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동적 다중 경로 최적화(DMPO) 기능을 통해 실시간 성능 지표 기반으로 트래픽을 조정해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최적화한다. 또 동적 애플리케이션 기반 슬라이싱(DABS)을 활용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역폭을 우선적으로 할당한다.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결합해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최소화한다. 보안 측면에서도 벨로스카이는 향상된 방화벽 서비스(EFS)를 제공해 침입 탐지·방지, URL 필터링, L4-7 애플리케이션 인식 상태 저장 검사, 위협 IP 필터링, 트래픽 세분화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외부 방화벽 없이도 중앙에서 확장 가능한 보안 관리를 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단일 관리 플레인을 통해 복수의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컨버지드 플랫폼으로, 서비스 공급업체의 운영을 간소화하고 네트워크 관리의 복잡성을 낮춘다. 유선, 5G 전용 회선, 위성 연결을 지원해 각 네트워크 유형별 하드웨어 필요성을 줄인다. 또 통합 콘솔에서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브로드커 산제이 우팔 벨로클라우드 부문 부사장은 "벨로스카이는 네트워크 융합 기술 혁신을 보여주는 솔루션"이라며 "AI 기반 최적화를 통해 서비스 공급업체가 기업 고객에게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운영을 간소화하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04 16:42김미정

'3대 마트' 홈플러스는 왜 기업회생절차 신청했나

국내 3대 대형마트 중 하나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다. 지난달 말 단기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유동성 악화를 막기 위한 선제 조치라는 설명이지만, 일각에서는 구조조정을 위한 사전작업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4일 홈플러스에 따르면 이날 서울회생법원은 회사가 신청한 기업회생절차를 개시하며 별도의 관리인 선임 없이 현재 홈플러스 공동대표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법원은 사업성과 경쟁력 등 홈플러스의 펀더멘탈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 홈플러스가 조기에 안정을 되찾을 수 있도록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용등급 줄하락…원인은 '사업 경쟁력' 약화 홈플러스가 강조한 기업회생절차 신청 이유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신용등급이 낮아져 향후 단기자금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고 사전예방적 차원”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말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일제히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을 기존 A3에서 A3-로 낮췄다. 기업어음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에서 B등급 이하는 투기등급이다. 홈플러스의 A3- 등급은 B등급의 바로 윗 단계다. 한국기업평가는 ▲영업 실적 부진 장기화 ▲과중한 재무 부담 지속 ▲영업 실적 및 재무 구조 개선 여력 낮음 등을 신용등급 하향의 원인으로 제시했다. 한국신용평가도 ▲이익 창출력의 약화 ▲현금 창출력 대비 과중한 재무 부담 ▲중장기 사업 경쟁력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등을 하향 조정의 이유로 꼽았다. 게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은 몇 년째 꾸준히 하락하고 있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기업어음 신용등급은 2015년 2월 A1 등급을 기록한 뒤 ▲2017년 2월 A2+ ▲2020년 2월 A2 ▲2021년 2월 A2- ▲2023년 2월 A3+ ▲2024년 2월 A3 등으로 낮아졌다. 한국신용평가는 “영업활동 효율화,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점포 매각과 상대적으로 제한된 투자로 자체 경쟁력이 과거 대비 악화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수준의 집객력 및 매출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점포 매각과 폐점 등에 따른 영업 중단에도 영업비용 절감 폭이 크지 않아 외형 변동 대비 높게 유지되는 고정비 부담도 수익성 반등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다소 이례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익명을 요구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은 일반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법조계 관계자 역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 직후 선제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은 다소 이례적인 현상”이라며 “통상 기업회생은 채무불이행 등 심각한 재무난 이후에 신청하지만 홈플러스는 자금난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선제적으로 대응한 사례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금 사정 들여다보니…현금성자산 넘는 '단기차입금' 홈플러스는 유통업 특성상 대규모 매입 대금을 월 1회 일괄지급하는 반면, 매출대금은 매일 들어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한 자금 흐름의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해 매입·영업대금 유동화 및 단기기업어음을 발행해 운전자금으로 활용해 오고 있었다. 한기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총차입금은 5조4천620억원으로 이 중 21%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한다. 단기성 차입금은 1조1천448억원으로 이 중 차입금은 1천850억원, 유동성리스부채는 9천599억원이다. 다만 유동성 대응능력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홈플러스의 현금성자산은 1천500억원이다. 영업현금창출력(EBITDA)은 회계연도 2023~2024년 기준(2023년 2월~2024년 2월) 2천721억원으로 자체 채무상환재원이 단기상환부담을 하회하고 있다. 여기에 실적 개선 여력도 제한적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홈플러스는 2021년부터 영업적자를 기록 중이다. 지난 2023년회계연도 매출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6조9천315억원을 기록했지만, 1천99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적자 규모는 줄었지만, 흑자 전환에는 실패한 셈이다. 한기평은 “할인점·SSM업체 전반이 식품군 품질 및 사업역량 제고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관련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오프라인 점포 리뉴얼에 따른 높은 고정비부담, 고객확보를 위한 판매관리비용 등으로 단기 내 흑자 전환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노조 “대우조선해양·쌍용차 사례 보면…구조조정 불가피” 일각에서는 기업회생절차를 이유로 대규모 정리해고에 돌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민주노총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이날 자료를 통해 ”회생절차가 시작되면 고정비용 절감을 명분으로 심각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며 ”과거 대우조선해양과 쌍용자동차 사례에서 보듯 노동자들은 정리해고, 임금삭감, 복지 축소의 희생을 강요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회생 과정에서 매장 폐점, 자산 매각, 대량 해고 등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MBK가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수천 명의 직영 직원을 감축했다“고 덧붙였다. 노조에 따르면 MBK가 인수한 이후 홈플러스 소속 노동자 수는 2015년 2만6천477명에서 지난해 2만12명으로 감소했다. 또 지난달 24일 기준 15개 매장이 폐점됐고 10개 매장이 폐점을 앞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노조 관계자는 ”기업회생절차가 언론에 보도된 이후로 현장 직원들과 조합원들이 고용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며 ”회사 측의 답변이 없을시 중앙집행위원회를 소집해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기업회생은 금융채권에 대한 부분만 유예가 되고 협력사와의 상거래는 정상적으로 이뤄지며 직원임금도 정상적으로 지급되는 것“이라며 ”영업도 100% 정상 운영되는 것으로 구조조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5.03.04 16:29김민아

"비만 치료 비용 너무 비싸…정부 나서 부담 완화해야"

3월 4일 세계비만의 날을 맞아 전문가들이 비만병 치료와 관리를 위한 급여화 및 수가 개선 등 개인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한비만학회의 비만 진료 및 관리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의료인 68%가 일반인 60%는 비만치료 급여 확대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의료진은 '환자의 비용 부담 완화'와 '만성질환 예방 효과'를 그 이유로 꼽았다. 현재 비만치료제 처방 중단율은 44%에 달한다. 주된 이유는 환자의 비용 부담이라는 것이 학회의 설명이다. 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이사(고려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검사, 내과적 치료, 수술 비용은 모두 비급여로 환자에게 상당한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앞선 조사에서 의료진의 90%가 비만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95%가 지속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실제 비만 진료에 적극적인 의료진 비율은 68%에 불과했다. 의료진의 83%는 비만치료제가 효과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적극적 처방 비율은 63%였다. 학회는 “비만 진료 현장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긴 진료 시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상담 수가가 없다”라며 “비싼 치료비로 인한 환자 부담도 주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비만 치료에 펜터민·세마글로티드 처방 多 앞선 설문조사에서 의료진 45%는 'BMI 30 이상 또는 BMI 27 이상+동반질환 보유 환자'에게 비만치료제를 처방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보다 낮은 기준으로 인지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는 'BMI 25 이상과 BMI 23 이상의 동반질환 보유 환자'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에 따라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제는 펜터민(35%)이었고, 이어 ▲세마글루티드(22%) ▲리라글루티드(15%) 순이었다. 체중감량 효과가 가장 우수한 치료제로는 '세마글루티드'를 꼽았다. 개인 및 공공의료 기관에서는 펜터민이, 종합병원에서는 세마글루티드가 많이 처방됐다. 장기 처방 약제 중 환자의 치료 순응도는 '펜터민/토피라메이트 복합제', '리라글루티드', '세마글루티드' 순이었다. “비만은 사회적 문제” 일반인 응답자의 28%가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3%는 비만이 개인 의지로 해결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인식한 비율은 38%였다. 비만 예방에 대한 책임에 대해서도 대부분 개인의 노력과 선택에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비만이 사회·의료 시스템 문제라는 인식은 여전히 낮았다. 관련해 일반인의 78%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으며, 현재 다이어트 중인 비율은 42%였다. 하지만 병원 진료를 통해 체중 관리를 시도한 비율은 12%였다. 이유는 비용 부담과 약물 부작용 우려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5%가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의료진으로부터 체중 관련 차별을 경험한 비율도 15%로 조사됐다. 학회는 급여화를 포함해 여러 비만 관리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부적으로는 ▲의료진 대상 비만 진료 교육 확대 ▲비만 진료 가이드라인 ▲비만 상담 수가 현실화 ▲장기적 안전성을 갖춘 치료제 처방 지원책 ▲비만 편견 해소 캠페인 및 홍보 등을 촉구했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중앙우체국에서 열린 2025년 세계비만의 날 정책간담회에서 김민선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서울아산병원 교수)는 “비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의료적 접근이 필요한 질환”이라며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비만치료 급여화 확대, 의료진 교육 강화,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추진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비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비만의 날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비만연맹(WOF)이 지난 2015년 제정한 기념일이다.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예방 및 치료 개선이 목표다. 올해 세계 비만의 날 캠페인 주제는 '시스템의 변화, 건강한 삶(Changing systems, Healthier Lives)'이다. 비만의 원인이 되는 사회구조 문제에 대해 논의하자는 취지다. 2025년 세계비만의 날 정책간담회는 '우리나라 임상적 비만병 실태 및 사회경제적 부담-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적 대응 전략'을 주제로, 대한비만학회가 주최하고 서울시가 후원했다.

2025.03.04 16:23김양균

"너무 눈부셔"…달에서 본 일출, 美 달 탐사선이 포착 [우주로 간다]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미국의 민간 우주업체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무인 달 탐사선 '블루 고스트'가 달에서 본 일출 사진을 공개했다고 라이브사이언스 등 외신들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2일 달 앞면 북동쪽에 있는 현무암 평원 '위기의 바다'(마레 크리시움)에 블루 고스트가 성공적으로 착륙했다고 발표했다. NASA는 파이어플라이와 협력해 달 탐사에 사용될 신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 블루고스트에는 지하 굴착 장비, 심층 샘플 수집 장비 등 NASA의 탑재 장비 10개가 탑재돼 있다. 블루 고스트는 작년 2월 달에 최초로 착륙한 민간 기업 인튜이비브 머신스의 오디세이 우주선 다음으로 달에 착륙한 두 번째 민간 달 착륙선이다. 파이어플라이는 3일 블루고스트가 달에서 일출 장면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며 “날이 밝으면서 달 표면 활동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또, “탐사선에 탑재된 과학장비 중 상당수는 이미 작동을 시작했고 달에서 해가 질 때까지 향후 2주 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개된 사진은 블루 고스트가 폭이 480km가 넘는 위기의 바다에 착륙한 후 촬영된 사진이다. 블루 고스트는 지난 1월 15일 NASA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스페이스X 팰컨 9 로켓에 실려 달로 향했다. 이 탐사선은 달로 향하는 중 많은 사진을 촬영해 지구로 보내주고 있다. 블루고스트 탐사선은 NASA의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임무의 일환으로, 파이어플라이는 NASA와 함께 달 착륙선을 발사한 세 번째 민간기업이다. NASA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무인 달 탐사를 진행하기 위해 민간 14개 업체와 협력해 CLP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니키 폭스 NASA 과학임무 국장은 "우리가 지금 달에 보내는 과학 기술은 미래 NASA 탐사와 장기적 인간의 거주를 위한 길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세상에 영감을 줄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2025.03.04 16:11이정현

ZTE,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AI의 힘을 활용한 '지능형 혁신 촉진' 강조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4일 /PRNewswire/ -- 통합 정보통신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인 ZTE 코퍼레이션(0763.HK/000063.SZ)이 3월 3일부터 6일까지 열리는 MWC 바르셀로나 2025에 참가해 '지능형 혁신 촉진(Catalyzing Intelligent Innovation)'을 주제로 다양한 기술을 선보인다. ZTE는 업계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AI와 연결성의 긴밀한 통합을 촉진하고, 지능형 혁신을 가속화하며, 고효율적이고 지능적이며 친환경적인 미래를 공동으로 구축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다. ZTE to highlight "Catalyzing Intelligent Innovation" at MWC Barcelona 2025, harnessing the power of AI ZTE의 부스는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 3홀(Hall 3) 3F30에 위치하며, 초고효율 모바일 네트워크(Ultra-Efficient Mobile Network), 올옵티컬 세계(All-Optical World), AI에서 영감을 받은 가치(AI-Inspired Value), 인텔리전스 엔진(Engines of Intelligence), 무한한 미래(Infinite Future), 스마트 라이프(Smart Life) 등 6가지 주요 주제 영역에 걸쳐 연결성과 AI가 통합된 혁신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초고효율 모바일 네트워크 및 올옵티컬 네트워크: 네트워크 생산성의 듀얼 트랙 재구성 ZTE는 통신 사업자의 근본적인 네트워크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초고효율 모바일 네트워크 및 올옵티컬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탄소 배출이 적은 현대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기반 네트워크 구축 방법을 시연할 예정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분야에서, ZTE는 업계 최초로 TDD+FDD 듀얼 모드 Massive MIMO AAU와 400M OBW 초광대역 AAU를 선보이며 초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사이트를 구축하여 UBR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다. ZTE는 실내 및 농업 네트워크 시나리오를 겨냥해 포괄적인 트래픽 커버리지를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새로운 솔루션을 공개했다. 또한 5G-A 개발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에 초점을 맞춰 공대지(ATG) 및 비지상망(NTN) 위성 통신의 혁신을 주도하면서 우주-공중-지상 통합 네트워크(SAGIN)를 구축하여 어디서나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실현하고 있다. ZTE는 센싱과 통신을 통합함으로써 저고도 경제와 수자원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5G-A의 새로운 미디어 솔루션을 도입해 완전히 새로운 AR 라이브 방송 경험을 강화하고 있다. 올옵티컬 네트워크 분야에서 ZTE는 광 네트워크의 고품질 개발을 발전시키기 위해 힘쓰고 있다. 올옵티컬 홈(all-optical home)의 경우, Wi-Fi 7, FTTR 및 기타 솔루션을 통해 매출 성장을 촉진하고, 디지털 도구를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AI 기반 스마트 단말기로 현장 개발을 강화한다. 올옵티컬 시티(all-optical city)의 경우, 올옵티컬 ToB를 통해 사무실, 호텔, 캠퍼스 시나리오로 확장하여 고객 ARPU(사용자 1인당 평균 매출)를 높인다. ZTE는 올옵티컬 인프라를 위해 지능형 ODN, 풀 밴드 OTN, AI 기반 IP 솔루션을 출시하여 초단순, 초고속, 고효율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실현하고 있다. ZTE는 미래의 진화를 내다보며 5G-A와 6G의 통합 개발에 전념하고 있으며, 연결성, 센싱, 인텔리전스를 결합한 지능형 분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비쿼터스 AI 기반 만물 인터넷(IoE) 세계를 지원하고 있다. ZTE는 핵심 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생태계 개발을 통해 가치 중심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고지의 공동 구축을 목표로 한다. 풀스택 지능형 컴퓨팅 + 업계 혁신: AI 기반 가치 번영의 공동 구축 ZTE는 지능형 컴퓨팅을 장기적인 핵심 전략으로 삼고, 연결성과 AI 혁신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인원 엔드투엔드 AI 솔루션을 출시하여 고객의 디지털 혁신 및 미래 시장 기회 선점을 지원하고 있다.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ZTE는 수랭식 데이터센터, 지능형 컴퓨팅 서버, 범용 컴퓨팅 서버, 스토리지, 고속 스위치, 딥시크(DeepSeek) 풀버전 배포를 지원하는 AiCube 통합 훈련 및 추론 유닛을 포함한 풀스택 지능형 컴퓨팅 인프라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대규모 데이터 센터, 엣지 데이터 센터 및 통합 엔터프라이즈 배포의 컴퓨팅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유연하게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ZTE는 업계 최초로 다중 시나리오의 새로운 에너지 통합과 지능형 에너지 스케줄링을 결합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통합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ZTE는 이종 융합 및 컴퓨팅 네트워크 통합과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AIR RAN 및 AIR Core를 포함한 일련의 솔루션을 출시한다. 이를 통해 엔드투엔드 AI 네이티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통신 사업자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업계 혁신에 초점을 맞춘 ZTE는 칩,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통합 서비스를 포괄하는 풀스택 AI 통합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결과를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자체 역량과 업계 최고의 리소스를 통합하여 고객이 가장 비용 효율적인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Nebula 대형 모델을 특징으로 하는 Digital Nebula 3.0은 모델 훈련, 추론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완전한 툴 세트를 통합한다. 이를 통해 업계 고객은 효율적이고 신속하며 비용 효율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다. 난징 빈장 공장의 경우, Nebula 산업용 대형 모델이 공정 문서 생성을 10배 가속화하고 품질 검사 인건비를 70% 절감했다. 또한 ZTE는 제조, 운송, 에너지와 같은 업계에서 외부 혁신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여 AI 가치 수익화를 주도한다. AI 기반 상호 작용과 다양한 AI 디바이스로 풀 시나리오 지능형 에코시스템 구축 ZTE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제품 전략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AI 기반 디바이스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ZTE는 AI 스마트폰을 기본 게이트웨이로 포지셔닝함으로써 AI 음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멀티모달 상호작용 경험을 구축하고 있다. ZTE는 AI OS 프레임워크 내에서 최상위 글로벌 AI 기능을 시스템 수준으로 통합한다. 이를 위해 멀티모달 아키텍처를 구축하여 구글 제미니(Google Gemini), 바이트댄스 두바오(ByteDance Doubao), 딥시크, 차이나 모바일 지우톈(China Mobile Jiutian), 차이나 텔레콤 싱첸(China Telecom Xingchen)과 같은 고급 LLM을 원활하게 통합한다. ZTE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nubia Z70 Ultra에 풀스케일 DeepSeek-R1(6710억 매개변수 사용) 통합을 시도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제품 라인업에 DeepSeek-R1 및 기타 최상위 LLM을 점진적으로 통합하여 AI의 다차원적 가치를 더 많은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확장할 계획이다. ZTE to highlight "Catalyzing Intelligent Innovation" at MWC Barcelona 2025, harnessing the power of AI 누비아(nubia)는 업계 최고의 사진 촬영 기능을 갖춘 세계 최초 차세대 풀스크린 플래그십 스마트폰 nubia Z70 Ultra와 스타일리시한 소형 폴더블 스마트폰 nubia Flip 2를 공개할 예정이다. 누비아는 '본투윈(Born to Win)' 콘셉트를 지향하며 모두를 위한 게이밍 스마트폰인 nubia Neo 3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AI OS를 통해 누비아 AI 스마트폰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하는 최초의 AI 이어폰인 nubia LiveFlip을 출시하여 AI 기반 풀시나리오 인터랙션 경험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로 게이밍 기어 브랜드인 REDMAGIC은 세계 최초의 1.5K 오공(Wukong) 트루 풀스크린 게이밍 플래그십인 REDMAGIC 10 Pro 시리즈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REDMAGIC은 업계 최초 4K 무안경 3D 게이밍 노트북과 태블릿, 다양한 e스포츠 액세서리를 선보이며 e스포츠 생태계를 더욱 정교하게 구축하고 게이머를 위한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ZTE는 이번 행사에서 세계 최초의 2-in-1 5G+AI Cloud Pad와 함께 홈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멀티폼 AI 디바이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MWC 바르셀로나 2025 기간 동안, ZTE는 전시 부스에서 'AI for All' ZTE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 행사, AIR DNA for Future Network 출시 행사, 다수의 공동 고객 출시 행사 등 여러 주요 활동을 주최하여 업계를 위한 혁신적인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GSMA가 주최하는 주요 주제별 포럼에 참여해 미래 네트워크의 진화, 네트워크 재편을 위한 AI의 역할, 사설 네트워크가 다양한 산업을 지원하는 방법 등 주요 주제에 대한 최신 인사이트와 사례 연구를 공유할 예정이다. ZTE는 글로벌 사업자, 업계 파트너 및 업계 리더들과 협력하여 산업 전반의 지능형 혁신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AI와 ICT 기술의 융합은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경계를 허물고 지능형 혁신과 원활한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 3월 3일부터 6일까지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가속화되는 혁신을 직접 경험하고 디지털 인텔리전스의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순간을 ZTE와 함께해 본다. 자세한 정보는 MWC 바르셀로나 2025, ZTE 부스(3F30, Hall 3, Fira Gran Via)를 방문하거나 웹사이트(https://www.zte.com.cn/global/about/exhibition/mwc25.html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문의:ZTE 코퍼레이션Communications이메일: ZTE.press.release@zte.com.cn

2025.03.04 16:10글로벌뉴스

ISLE 2025, LED 디스플레이 및 통합 시스템 부문에서 신제품 수백 종 공개

선전, 중국 2025년 3월 4일 /PRNewswire/ -- 아시아 최대 규모의 LED 디스플레이 및 통합 오디오비주얼 시스템 전시회인 ISLE 2025가 2025년 3월 7일 선전 세계전시컨벤션센터(SHENZHEN WORLD)에서 개막한다. 총 8만㎡ 규모로 개최되는 ISLE 2025는 디스플레이 기술, 전체 LED 산업 체인, 오디오비주얼 통합, 음향•조명•영상의 융합 및 응용 분야의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공개한다. ISLE 2025에서는 다음을 포함한 수백 종의 신제품이 첫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앱센(Absen):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대형 스크린 A25 시리즈는 ㎡당 하루 1kWh 미만의 전력을 소비한다. 300㎡ 규모의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경우 5년간 최대 미화 15만 달러의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AOTO: 새로운 리테일 솔루션은 AI 기반 스마트 오더링과 XR 및 가상 프로덕션을 위한 RM 시리즈 LED를 갖추고 7680Hz 이상의 주사율과 15000:1 이상의 명암비를 특징으로 한다. 유니루민(Unilumin): Unatural Texture Screen은 선구적인 새로운 LED 장식 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레드맨(Ledman): Micro LED Product Ecosystem은 5G+8K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장면 미학을 창조한다. MUXWAVE: M3 Pro Transparent Display는 1080P 해상도의 4.22미터의 단면 드라이브가 특징이다. QSTECH: 홈 시어터 애플리케이션용 MIP All-in-one LED Display, 컨퍼런스 애플리케이션용 3세대 All-in-one LED Display, CX27 COB 실내용 신제품 및 DCI 인증 LED 시네마 스크린을 선보인다. 산시(Sansi): 독자 개발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창의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 세계 고객에게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 MIP 시리즈는 기판에 수백만 미크론 수준의 LED를 통합하여 미세한 픽셀 피치, 초고휘도, 낮은 전력 소비, 긴 수명을 자랑한다. 스카이워스(Skyworth): 135인치 AI Super TV는 AI 스마트 모드가 있는 최초의 멀티모달 LED TV로, 콘퍼런스, 전시회, 프라이빗 시어터 등 기타 시나리오에 이상적이며 SCOB 패키징이 적용됐다. 하이크비전(Hikvision): 5세대 LED 캐비닛은 29.3mm 초슬림, 17kg/m²의 가벼운 무게와 다양한 캡슐화 방법을 위한 통합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 효율적인 설치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BOE: MLED BYH-COB Pro P0.9 및 Ultra P0.9는 밝기, 에너지 효율성, 명암비, 색상 등을 새롭게 정의하여 하이엔드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시대를 연다. 하이센스(Hisense): Hisense U-Series LED All-in-One Flagship은 하이센스가 자체 개발한 ASIC 드라이버 칩과 Xinxin X 이미지 처리 칩을 탑재하여 최고의 시각적 경험을 위한 레퍼런스 수준의 화질을 제공한다. 유니뷰 테크놀로지(Uniview Technology): 세계 최고의 XC Series Graphene Cabinet LED Display는 우수한 방열 성능, 높은 강도, 뛰어난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NATIONSTAR: 칩 수준에서 마이크로 LED 칩을 패키징한 MIP 디바이스는 고휘도, 우수한 일관성, 100% 분광 분리를 특징으로 한다. INFiLED: 고객이 큰 꿈을 꾸고 견고한 디스플레이를 구축할 수 있도록 SolidSkin 기술을 제공한다. 컬러라이트(Colorlight): 5G+Ultra 16K 디스플레이 솔루션과 U9max 비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대형 화면의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구현이 더 쉬워진다. 노바스타(NovaStar): COEX 5G 솔루션은 비디오 소스에서 LED 디스플레이까지의 데이터 전송을 더 높은 대역폭으로 지원하며, 더 높은 비트 심도와 더 높은 프레임 속도로 비디오 소스를 전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디지버드(DigiBird): Yukit의 최신 컨트롤러인 LC3G48은 3120만 픽셀의 초대형 로드 용량을 지원한다. HDMI 2.1 비디오 입력, USB 3.0 재생, 중앙 제어 관리, 비주얼 프리뷰 등을 제공한다. 칩원(Chipone): 표준 인터페이스와 8K 제어 및 드라이브 올인원 칩 솔루션을 갖춘 4K 완전 자동 화면 접합 솔루션을 선보인다. AVCiT: IP 기반 KVM 및 AI 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All-In-one Command Control Room Solutions로 기존 시스템과 디바이스의 성능을 강화한다. 광저우 즈후이윈 테크놀로지(Guangzhou Zhihuiyun Technology): AI 기술을 통해 종이 없는 스마트한 회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치우청(Chiu Cheung): Al 기술을 접목한 콘솔을 선보인다. 미래 지향적 기술 디자인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조성한다. 미디어콤(MediaComm): 저비용 AI+ 모니터링 솔루션은 4K60 광섬유 협업, AI 기반 카메라, 고급 AI 모델을 통합하여 지능형 분석, 향상된 의사 결정 및 효율적인 명령 운영을 지원하며 스마트 혁신을 가속화한다. 광저우 인차오(Guangzhou YinQiao): 스마트 회의를 위한 독창적인 사운드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전문 오디오 솔루션을 선보이며 '시청각 동기화, 지능형 공생'을 구현한다. SOYO 테크놀로지(SOYO Technology): 2.4G/5.8G/Bluetooth/IR/UHF 등 디지털 무선 오디오•비디오 전송을 위한 하이테크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제품을 제공한다. 업데이트는 ISLE 홈페이지(https://www.isle.org.cn/?lang=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3.04 16:10글로벌뉴스

"AI 툴 연결, 한 줄로 끝"…베슬AI, 오픈소스 툴콜링 플랫폼 '하이퍼포켓' 공개

베슬AI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위한 오픈소스 툴콜링 플랫폼을 통해 에이전트의 외부 도구 연동을 지원한다. 고객사의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구축 부담을 줄여 시장을 선점하려는 조치다. 베슬AI는 지난달 6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라마라운지' 행사에서 '하이퍼포켓'을 최초로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하이퍼포켓'은 플러그앤플레이 방식의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깃허브 URL만으로 AI 에이전트와 다양한 툴을 즉시 연결할 수 있다. 또 랭체인, 라마인덱스를 포함한 여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와 서드파티 툴을 지원하며 보안 인증 시스템을 갖춰 높은 비용 문제를 해결한 것이 특징이다. 베슬AI는 '하이퍼포켓'을 통해 AI 에이전트와 외부 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기업들이 손쉽게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멀티 에이전트가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보다 쉽게 AI 에이전트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됐다. 베슬AI는 '라마라운지' 외에도 다양한 행사에 참가해 '하이퍼포켓'을 시연했다. 지난달 15일부터 이틀간 웨이츠&바이어스 본사에서 열린 '생성 AI 에이전트 멀티모달 해커톤'에도 참가해 음성·비디오 분석, 업무 자동화, 쇼핑·결제 시스템 개선 등 다양한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구현하고 API와 외부 툴을 연계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또 지난달 19일에는 깃허브 오피스에서 'AI 에이전트 해커톤 나이트'를 개최했다. 벡터 데이터베이스 기업인 위비에이트, 서버리스 AI 인프라 기업인 파이어웍스AI,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기업인 크루AI 등이 파트너로 참여해 AI 모델과 프레임워크 통합을 검증하고 공동 프로젝트 가능성을 모색했다. 안재만 베슬AI 대표는 "하이퍼포켓 출시와 글로벌 기업들과의 기술 교류는 멀티 에이전트 시장 확장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복잡한 API 통합과 인증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언어 지원을 통해 자유롭게 확장·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04 15:56조이환

ISLE 2025, LED 디스플레이 및 통합 시스템 부문에서 신제품 수백 종 공개

선전, 중국 2025년 3월 4일 /PRNewswire/ -- 아시아 최대 규모의 LED 디스플레이 및 통합 오디오비주얼 시스템 전시회인 ISLE 2025가 2025년 3월 7일 선전 세계전시컨벤션센터(SHENZHEN WORLD)에서 개막한다. 총 8만㎡ 규모로 개최되는 ISLE 2025는 디스플레이 기술, 전체 LED 산업 체인, 오디오비주얼 통합, 음향•조명•영상의 융합 및 응용 분야의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공개한다. ISLE 2025에서는 다음을 포함한 수백 종의 신제품이 첫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앱센(Absen):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대형 스크린 A25 시리즈는 ㎡당 하루 1kWh 미만의 전력을 소비한다. 300㎡ 규모의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경우 5년간 최대 미화 15만 달러의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AOTO: 새로운 리테일 솔루션은 AI 기반 스마트 오더링과 XR 및 가상 프로덕션을 위한 RM 시리즈 LED를 갖추고 7680Hz 이상의 주사율과 15000:1 이상의 명암비를 특징으로 한다. 유니루민(Unilumin): Unatural Texture Screen은 선구적인 새로운 LED 장식 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레드맨(Ledman): Micro LED Product Ecosystem은 5G+8K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장면 미학을 창조한다. MUXWAVE: M3 Pro Transparent Display는 1080P 해상도의 4.22미터의 단면 드라이브가 특징이다. QSTECH: 홈 시어터 애플리케이션용 MIP All-in-one LED Display, 컨퍼런스 애플리케이션용 3세대 All-in-one LED Display, CX27 COB 실내용 신제품 및 DCI 인증 LED 시네마 스크린을 선보인다. 산시(Sansi): 독자 개발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창의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 세계 고객에게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 MIP 시리즈는 기판에 수백만 미크론 수준의 LED를 통합하여 미세한 픽셀 피치, 초고휘도, 낮은 전력 소비, 긴 수명을 자랑한다. 스카이워스(Skyworth): 135인치 AI Super TV는 AI 스마트 모드가 있는 최초의 멀티모달 LED TV로, 콘퍼런스, 전시회, 프라이빗 시어터 등 기타 시나리오에 이상적이며 SCOB 패키징이 적용됐다. 하이크비전(Hikvision): 5세대 LED 캐비닛은 29.3mm 초슬림, 17kg/m²의 가벼운 무게와 다양한 캡슐화 방법을 위한 통합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 효율적인 설치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BOE: MLED BYH-COB Pro P0.9 및 Ultra P0.9는 밝기, 에너지 효율성, 명암비, 색상 등을 새롭게 정의하여 하이엔드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시대를 연다. 하이센스(Hisense): Hisense U-Series LED All-in-One Flagship은 하이센스가 자체 개발한 ASIC 드라이버 칩과 Xinxin X 이미지 처리 칩을 탑재하여 최고의 시각적 경험을 위한 레퍼런스 수준의 화질을 제공한다. 유니뷰 테크놀로지(Uniview Technology): 세계 최고의 XC Series Graphene Cabinet LED Display는 우수한 방열 성능, 높은 강도, 뛰어난 내구성을 갖추고 있다. NATIONSTAR: 칩 수준에서 마이크로 LED 칩을 패키징한 MIP 디바이스는 고휘도, 우수한 일관성, 100% 분광 분리를 특징으로 한다. INFiLED: 고객이 큰 꿈을 꾸고 견고한 디스플레이를 구축할 수 있도록 SolidSkin 기술을 제공한다. 컬러라이트(Colorlight): 5G+Ultra 16K 디스플레이 솔루션과 U9max 비디오 프로세서를 통해 대형 화면의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구현이 더 쉬워진다. 노바스타(NovaStar): COEX 5G 솔루션은 비디오 소스에서 LED 디스플레이까지의 데이터 전송을 더 높은 대역폭으로 지원하며, 더 높은 비트 심도와 더 높은 프레임 속도로 비디오 소스를 전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디지버드(DigiBird): Yukit의 최신 컨트롤러인 LC3G48은 3120만 픽셀의 초대형 로드 용량을 지원한다. HDMI 2.1 비디오 입력, USB 3.0 재생, 중앙 제어 관리, 비주얼 프리뷰 등을 제공한다. 칩원(Chipone): 표준 인터페이스와 8K 제어 및 드라이브 올인원 칩 솔루션을 갖춘 4K 완전 자동 화면 접합 솔루션을 선보인다. AVCiT: IP 기반 KVM 및 AI 엣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All-In-one Command Control Room Solutions로 기존 시스템과 디바이스의 성능을 강화한다. 광저우 즈후이윈 테크놀로지(Guangzhou Zhihuiyun Technology): AI 기술을 통해 종이 없는 스마트한 회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치우청(Chiu Cheung): Al 기술을 접목한 콘솔을 선보인다. 미래 지향적 기술 디자인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조성한다. 미디어콤(MediaComm): 저비용 AI+ 모니터링 솔루션은 4K60 광섬유 협업, AI 기반 카메라, 고급 AI 모델을 통합하여 지능형 분석, 향상된 의사 결정 및 효율적인 명령 운영을 지원하며 스마트 혁신을 가속화한다. 광저우 인차오(Guangzhou YinQiao): 스마트 회의를 위한 독창적인 사운드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전문 오디오 솔루션을 선보이며 '시청각 동기화, 지능형 공생'을 구현한다. SOYO 테크놀로지(SOYO Technology): 2.4G/5.8G/Bluetooth/IR/UHF 등 디지털 무선 오디오•비디오 전송을 위한 하이테크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제품을 제공한다. 업데이트는 ISLE 홈페이지(https://www.isle.org.cn/?lang=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3.04 15:10글로벌뉴스

  Prev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AI는 지금] 'AI 거품론'에도 내 갈 길 간다…소프트뱅크·오픈AI, 투자 확대 '승부수'

호텔 초고가 케이크 또 올랐다..."하루 3개, 각 50만원"

엔씨, 아이온2 두 번째 긴급 라이브…"어비스 포인트 격차 즉시 완화"

삼성전자, 쇄신보다 안정·기술 인재 선택…전영현·노태문 '투톱'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