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텔레그램프리미엄판매 작업 | 텔문의 ON4989 | 텔레그램그룹인원대행 텔레그램초대인원전문,caT'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5901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펄어비스 붉은사막, 게임스컴2025 기간 주목 받아

펄어비스가 글로벌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5(Gamescom 2025)' 기간 공개한 '붉은사막(Crimson Desert)'의 오픈월드 데모 버전이 글로벌 팬들의 관심을 받으며 흥행 기대감을 높였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마련한 게임스컴 붉은사막 부스는 6홀 메인 통로 양쪽에 2개 부스로 배치해 게임 속 성벽을 형상화한 독특한 디자인으로 꾸몄다. 외부 초대형 스크린 2개를 통해 게임 플레이를 선보이고 부스 정면에 바위에 박힌 검을 포토존으로 설치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155개 압도적 규모 시연존을 설치해 첫날부터 붉은사막 데모를 체험하려는 인파로 장사진을 이뤘다. 행사 기간 중 시연 대기 시간이 최대 150분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붉은사막 팬들은 작년에 받은 붉은사막 백팩을 메고 전시장을 활보했으며 올해 제공한 방패를 형상화한 백도 게임스컴 어워드 '베스트 굿즈' 후보로 오르며 눈길을 끌었다. 붉은사막 데모는 실제 전장을 방불케 하는 대규모 전투부터 상호작용이 돋보이는 임무 수행, 사실적인 오픈월드까지 다채로운 콘텐츠로 구성됐다. 시연에 참여한 글로벌 미디어들은 붉은사막이 가진 높은 자유도와 게임성에 주목했다. 펄어비스 관계자는 “올해 다양한 글로벌 게임쇼에 참가하며 붉은사막의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했다“며 게임스컴 데모 시연을 통해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게임의 디테일을 다듬고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펄어비스는 글로벌 게임 퍼블리셔 플레이온(PLAION)과 붉은사막 패키지의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플레이온이 보유한 유통망과 노하우를 활용해 붉은사막의 패키지 판매 채널을 확대하고 국가별 맞춤 유통 전략을 펼칠 예정이다.

2025.09.01 10:19이도원

버스8 "AI 기반 게임 개발 통해 누구나 제작자가 되는 시대 실현"

"버스8을 통해 '누구나 게임 제작자가 되는 시대'를 실현하고자 한다. 유튜브가 영상, 틱톡이 숏폼을 민주화했다면, 버스8은 게임의 문턱을 완전히 허무는 것이 목표다." AI 기반 게임 창작 플랫폼으로 게임 개발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업이 있다. 블록체인 게임 전문기업 플라네타리움랩스는 AI 기반 기술력으로 프롬프트만으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Verse8(이하 버스8)'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15분 만에 완성된 게임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1일 버스8는 지디넷코리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버스8 플랫폼의 기술적 특징과 사업 전략을 설명했다. 인터뷰에는 버스8의 김재석, 이케빈 공동대표가 답변했다. 김재석 대표는 최근 디랩스게임즈의 공동 대표로도 합류했다. 플라네타리움랩스는 2022년 설립된 게임 기술 개발 및 투자 전문기업으로, 네이버·카카오·삼성 넥스트·YZi Labs 등으로부터 4천만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했다. 몰입감 있고 모드 가능한 게임 경험 창조를 목표로 차세대 게임 기술 개발에 집중해왔다. 버스8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Agent 8'이 코딩, 에셋 생성, 게임 로직 구축을 모두 담당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게임 아이디어를 입력하면 AI가 자동으로 코드, 비주얼, 사운드, 게임플레이 시스템을 생성해 원클릭으로 브라우저에서 즉시 플레이 가능한 게임을 배포한다. 버스8의 핵심 기술력은 WebGL(Web Graphics Library) 기반 커스텀 게임 엔진을 LLM(거대언어모델)에 최적화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짧은 시간 안에 게임을 완성할 수 있다. 김재석 대표는 "평균적으로 15분에서 1시간 사이에 첫 게임을 완성할 수 있다"며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맵, 캐릭터, UI, 룰까지 자동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존 툴에서 느꼈던 진입장벽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3D 모델, 음악, 시네마틱 등 다양한 AI 생성 도구와 연동돼 통합된 창작 환경을 제공한다. 김 대표는 "실제로 비전공자가 프롬프트만으로 1주일 만에 멀티플레이 FPS를 구현한 사례도 있었다"며 "기존에는 수십 명의 개발자가 수개월 동안 협업해야 가능한 작업을 한 명이 짧은 시간 안에 웹 브라우저에서 끝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버스8의 기술적 기반은 플라네타리움랩스가 7년간 축적해온 차세대 게임 엔진 개발 노하우에서 나왔다. 김 대표는 "지난 7년간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게임 엔진을 만드는 것이 핵심 미션이었다"며 "작년 말에는 프롬프트만으로도 3D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구현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 현재의 버스8로 발전시켰다"고 배경을 밝혔다. 플라네타리움랩스는 넥써쓰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웹3 게임 생태계 구축에도 나선다. 김 대표는 "넥써쓰는 풍부한 IP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유통 채널뿐만 아니라 Web3 게이밍 플랫폼으로서 자산의 자유로운 소유와 거래를 지향하고 있다"며 "저희는 AI 기반 제작 기술을 통해 게임 제작의 효율성과 다양성을 높이고, 넥써쓰는 이를 웹3 환경에서 실제로 콘텐츠화·상용화·토큰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AI로 제작된 캐릭터나 아이템이 단순히 게임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가 직접 소유하고 교환하며 다른 게임이나 커뮤니티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목표로 한다"며 "플레이어 주도형 Web3 게임 생태계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니지'와 '바람의 나라'를 개발한 송재경 고문이 버스8 어드바이저로 참여한 점도 게임 개발 전문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보였다. 김 대표는 "현재 저희와 비슷한 시도를 하는 스타트업은 전 세계적으로 3~4곳 정도"라며 "그중에서도 게임을 제작하고 배포하기까지 전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는 독자적인 엔진을 보유한 것이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멀티플레이 환경 구현, 시네마틱 연출, 고품질 사운드 디자인처럼 경쟁사들이 구현하기 어려운 요소들도 자연스럽게 지원된다"며 "단순히 AI 게임 제작 툴이 아니라 게임 제작·배포·운영까지 한 번에 해결하는 완성형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는 유일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크리에이터 경제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적이다. 이 대표는 "게임은 광고뿐 아니라 게임 내 결제, 아이템 판매, 부분 유료화, 자체 IP 확장까지 크리에이터에게 다양한 수익 창출 경로가 열려 있다"며 "영상 콘텐츠는 소비가 빠르게 휘발되는 경향이 있지만, 게임은 한 번 유저층이 형성되면 장기간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자신했다. 김 대표는 "저희는 '누구나 게임제작자가 되는 시대'를 실현하고자 한다"며 "스마트폰이 영상 촬영과 편집을 민주화해 유튜브라는 거대한 생태계가 탄생했던 것처럼, 게임도 이제 같은 길을 걸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는 수천, 수만 개의 실험적인 게임이 탄생하고 유저-크리에이터-플랫폼의 관계를 새롭게 재편하며 게임 생태계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2025.09.01 10:17정진성

문체부, 9월 한달간 전국에서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 개최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장호, 예경)와 함께 오는 30일까지 전국 각지에서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한국 미술의 오늘을 보여주고 세계 미술계와의 만남을 이어가는 이번 축제에서는 국내 주요 비엔날레와 미술 박람회(아트페어), 미술 기관이 힘을 합쳐 만든 미술의 향연이 펼쳐진다. 특히 올해는 2회차를 맞이해 7개 비엔날레(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청주공예비엔날레, 바다미술제, 대구사진비엔날레,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와 3개 미술 박람회(아트페어/키아프 서울, 프리즈 서울, 아시아프) 등 다양한 미술 행사와의 협업을 강화했다. 문체부는 '대한민국 미술축제'를 기념해 입장권 특별할인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6월 16일부터 '키아프·프리즈 서울',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등 주요 행사 입장권을 정가 대비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반나절 만에, 키아프-프리즈 입장권은 이틀 만에 매진된 데 이어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아시아프' 입장권도 차례로 매진됐다. 특별할인권이 매진된 경우에도 문체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시 할인권을 이용하면 각 행사 입장권을 정가보다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입장권 구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각 예매처에 문의하면 된다. 한국철도공사가 준비한 철도관광상품으로도 '대한민국 미술축제'를 즐길 수 있다. '청주공예비엔날레',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입장권과 철도 승차권을 연계한 상품은 8월 6일부터 레츠코레일 누리집과 코레일톡에서 판매하고 있다. 철도관광상품을 이용하면 비엔날레 입장권 할인 혜택**과 함께 시간대별로 철도 승차권을 5~40% 할인받을 수 있다. 전문 해설사와 함께 각 지역의 미술관과 관광명소를 탐방할 수 있는 '미술여행' 프로그램도 8월 18일부터 '대한민국 미술축제' 누리집에서 판매하고 있다. 전국 5개 권역(경기·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에서 각 지역의 문화재단과 민간 단체가 미술 감상과 관광의 즐거움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14개 탐방 일정을 준비했다. 전시 관람뿐만 아니라 작가와의 대화, 작업실 방문, 체험 행사 등도 마련하고 모두가 미술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국내 거주 외국인과 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특화코스도 신설했다. 올해는 국내 미술 분야 잡지 편집장과 기자가 추천한 '놓치지 말아야 할 전시'를 새로 기획, 한국미술 전시를 더욱 적극적으로 소개한다. 이와 함께 전국 각지에서는 지역 비엔날레와 연계한 신진작가 기획전시를, 서울에서는 북촌 휘겸재를 비롯해 '포레페스타(ForeFesta)', '오프사이트2: 열한가지 에피소드' 등 한국 차세대 신진작가들의 전시를 만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대한민국 미술축제' 누리집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울러 한국미술을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다이브 인투 코리안 아트: 서울(Dive into Korean art: Seoul)'을 진행한다. 해외 주요 미술 관계자를 국내 작가 작업실에 초청해 한국미술 강의, 교류 기회 등을 제공한다. 전시 공간을 주요 입국 관문인 국제공항(인천, 김포, 김해)으로 확장해 방한 관광객에게도 미디어아트, 조각 등 다양한 한국미술 작품을 선보인다. 문체부는 온라인 누리집과 누리소통망(SNS), 정부·지자체 보유 옥외 전광판, 가로등 현수기, 공항·역사 등 다양한 매체와 공간을 활용해 미술축제를 알리고, 재외한국문화원,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등도 활용해 온·오프라인으로 외국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 미술잡지인 월간미술, 퍼블릭아트, 아트인컬쳐뿐만 아니라 케이티엑스(KTX) 매거진에도 미술축제를 소개하고, 미술축제 안내서를 '키아프 서울'과 '프리즈 서울', 주요 역사, 한국관광 홍보·체험관 '하이커 그라운드' 등에 배포한다.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대한민국 미술축제'는 단순한 전시의 장을 넘어 우리 미술이 국민과 함께 호흡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힘찬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우리 국민들에게는 더욱 좋은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계기를, 미술 작가들에게는 더 큰 무대에서 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미술 생태계 기반을 탄탄히 다져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5.09.01 10:12김한준

AI활용한 '스마트 지그' 개발로 품질검사 시간 258배 개선

기존의 720초나 걸리던 단차 품질 검사 시간을 258배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지그기술이 개발됐다. 3초도 안돼 머리카락 3개 두께의 미세 불량까지 잡아낸다. UNIST는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팅 센서캡과 이상 탐지 AI 알고리즘을 결합, 단차 불량을 실시간 판별 가능한 '스마트 지그 품질 검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2.79초 만에 수백 μm 수준의 세 단차 불량을 잡아낼 수 있다. 단차 불량은 조립 부품 간 표면 높이가 어긋나는 현상이다. 단차 불량이 발생하면 접합부 강도 저하와 품질 불량을 유발한다. 이같은 불량은 개별 부품 성형 오차나 이동 과정에서의 찍힘·뒤틀림 등으로 인해 일어난다. 정임두 교수는 "용접 등 완제품 조립이 끝난 뒤에는 수정이 불가능해 조기 검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조립 공정에서 부품을 고정하는 순간 단차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 지그'를 개발했다. 지그는 조립할 부품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해 두는 장치다. 연구팀은 고정 팔 역할을 하는 지그 클램프 접촉 면에 부드러운 소재의 3D 프린팅 센서캡을 부착했다. 부품을 클램프로 잡으면 부착된 센서캡이 부품 표면 형상에 맞춰 미세하게 눌리거나 벌어지는데, 이 변형 패턴을 AI가 분석해 불량을 찾아내는 원리다. 이 기술은 12분 정도 소요되던 검수 시간을 2.79초로 단축시킨다. 빠르게 돌아가는 자동화 생산 라인을 멈추지 않고 전수 검사를 할 수 있다. 수백 µm 초미세 단차 불량까지 찾아낼 수 있다. 검출된 결함은 히트맵으로 시각화돼 작업자가 결함 위치와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게 했다. 또 AI 모델을 정상 제품 데이터만으로도 학습시킬 수 있어, 불량 데이터 수집과 수작업 라벨링이 어려운 실제 제조 환경에서도 곧장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이 기술의 강점이다. 정임두 교수는 "유지 보수 비용이 적고, 다른 제조업 라인으로 쉽게 확장할 수도 있다"며 "로봇 기반 연속 조립이 이루어지는 모빌리티, 가전, 반도체, 항공우주 등 고정밀 조립이 중요한 전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또 “검사 인력과 시간 절감, 품질 신뢰도 향상, 불량 최소화를 통한 연간 수억 원대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연구는 UNIST 박서빈 연구원과 김태경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성과는 제조산업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매뉴팩처링 시스템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IF 14.2, JCR

2025.09.01 08:00박희범

환자 치료 결과 개선에 AI 잠재력 높게 평가…신뢰 구축은 핵심 과제

필립스코리아 최낙훈 대표, 헬스케어 AI 신뢰 강화 위한 5대 제안 AI헬스케어가 환자 치료의 결과를 개선하는 잠재력은 높게 평가됐지만 아직 신뢰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코리아가 발표한 '미래건강지수(Future Health Index) 2025 한국 보고서'의 주요결과에 따르면, 의료 전문가들은 AI를 올바르게 구현하면, 환자 진료 수용성 확대(92%), 대기 시간 단축(91%),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의료 개입(89%), 반복성 작업의 자동화(85%) 등 의료 업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AI 기반 예측적 분석과 원격 환자 모니터링 등을 통한 예방 의료의 혁신으로, 조기 개입을 통한 생명 구제(90%), 급성 또는 응급 의료 처치 감소(86%), 병원 입원율 감소(84%)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헬스케어 AI에 대한 인식에는 의료진과 환자 간 차이가 있었다. 국내 의료진의 86%는 AI가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이에 대한 환자의 긍정 응답 비율은 60%에 그쳤다. 의료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AI 사용에 대해 높은 신뢰를 나타내지만, 환자들은 더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인데, 한국 환자들은 응급환자 분류, 치료계획 및 의료기록 작성 지원 등의 임상 업무에 AI를 활용하는 데 대해 글로벌 평균 대비 더 높은 신뢰를 보였다. 특히 환자들은 기술 도입이 확대되면서 의사와의 대면 시간이 줄어들 것(46%)을 우려했고, 의료 전문가들은 AI 오류 발생 시 법적 책임이 불명확하다는 점(74%)을 걱정했다. 또 의료 전문가의 84%가 새로운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자신의 필요를 반영해 설계되었다고 느끼는 비율은 46%에 불과했다. 한국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발표한 최낙훈 필립스코리아 대표는 의료전문가와 환자 사이의 AI 신뢰 격차는 환자 치료에 적용되는 특정 AI 응용 프로그램 고려 시에도 존재했다고 말했다. 한국 의료전문가들은 AI의 잠재력에 대해 전반적으로 낙관적이지만, AI를 포함한 새로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일상적인 진료에 유용할지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다. 의료 전문가의 84%가 이러한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필요를 반영해 설계됐다고 느끼는 비율은 46%에 불과했는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진행된 조사 결과와 매우 유사한 수치이다. 이는 임상적 요구사항을 일상 업무 흐름을 원활히 지원하는 실용적인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심각한 격차가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최 대표는 설명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의료 현장은 진료 지연과 행정 비효율로 인한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환자의 53%가 전문의 진료 대기를 경험했으며, 평균 대기 기간은 40일에 달했다. 또 의료 전문가의 91%는 불완전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환자 데이터 문제로 인해 임상 시간이 낭비된 경험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들 중 절반(51%)은 교대 근무 당 45분 이상, 의료진 1인당 연간 4주 이상의 근무 시간이 손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헬스케어 AI에 대한 환자와 의료진 간 신뢰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도 고민했다. 환자들은 AI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더 긍정적으로 만드는 혜택으로 ▲AI로 인해 실수가 덜 발생한다면(50%) ▲의료비를 더 저렴하게 만들어 준다면(43%) ▲건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면(40%) 등을 꼽았으며, 의료진은 AI에 대한 신뢰 구축에 필요한 요소로는 AI 활용법 및 제한 사항에 대한 명확한 지침(39%)과 AI 활용 관련 법적 책임에 대한 명확한 규정(36%) 등을 원했다. 관련해 필립스는 헬스케어 AI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사람 중심의 AI 설계 ▲인간과 AI의 협력 강화 ▲효능과 공정성 입증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 ▲다양한 분야 간 파트너십 구축을 제안했다. 10주년의 의의와 한국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발표한 최낙훈 필립스코리아 대표는 “의료 AI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일은 혁신을 앞당기고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며 “필립스는 국내 의료 현장에서 AI가 책임감 있고 포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병원의 실증 사례를 소개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김은경 병원장은 의료 AI 솔루션 도입을 통해 환자 만족도가 향상되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이 개선된 구체적 성과를 공유하며, 국내 의료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김은경 병원장은 “AI 도입의 성공은 기술 자체보다 의료진과 환자의 신뢰 구축에 달려 있다”며 “임상 현장에서 충분히 검증된 사례와 명확한 근거를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과 환자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로 발간 10주년을 맞은 필립스 '미래건강지수 보고서'는 현재 헬스케어 시스템이 직면한 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 기술을 시사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보고서는 처음으로 포함된 한국(의료진 100여명, 환자 1천명) 등 전 세계 16개국 1천900명 이상의 의료 전문가와 1만6천0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해 '헬스케어 AI에 대한 환자와 의료진 간 신뢰 격차'를 조명했다.

2025.08.31 23:12조민규

산단공, 산단 공급망 정보공유 플랫폼 기술 테스트 성공

한국산업단지공단(이사장 이상훈)과 한국산업지능화협회(회장 김도훈)는 조선업 협력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산업단지 공급망 관리(SCM) 정보공유 플랫폼' 기술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테스트는 산단공의 '조선업 공급망 관리(SCM) 정보공유플랫폼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산단공이 선도적으로 추진해 온 플랫폼 구축사업의 중요한 이정표이다. 성공적인 기술 검증에 따라 앞으로 울산 미포산업단지 내 조선사와 협력사가 참여하는 실증단계에 돌입해 연말 정식 공개될 예정이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조선사와 협력사 간 품질검사 데이터의 실시간 교환 ▲수주부터 출하까지 전 과정의 통합 데이터 관리 ▲공통 업무표준 제공을 통한 협력사 간 협업 효율화 등이다. 산단공은 품질검사 단계에서 조선사와 협력사 간 데이터 교환을 표준화해 부품 불량률 감소·납기 준수율 향상·중복 작업 최소화 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산단공 관계자는 “이번 기술 개발은 단순한 시스템 구축을 넘어 산업단지 내 공급망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는 시발점”이라며 “공공 주도로 구축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기존 민간 솔루션 보다 데이터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산업생태계 전반에 활용성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플랫폼은 단순히 대기업-중소기업 간 정보 공유를 넘어 중소기업 간에도 상호 데이터 교류와 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중소 협력사들은 생산·품질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신뢰 기반의 공급망 관리가 가능해지고, 조선업 특유의 다단계 협력 구조에서도 불필요한 중복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산단공은 실증 성과를 토대로 자동차·기계·항공 등 국내 주력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전환(AX) 실증산단 구축사업'과 연계해 협력사 참여를 활성화하고, 데이터 기반 산업 경쟁력을 높여 국가 공급망 확보에도 기여한다는 구상이다. 이상훈 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산업단지 공급망 관리(SCM) 정보공유 플랫폼은 단순한 IT 시스템이 아닌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과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라며 “정식 공개 이후 입주기업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스마트 공급망 체계로 전환을 가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8.31 23:09주문정

남부발전, '근로자 안전' CEO가 직접 챙긴다…현장 안전경영 강화

김준동 한국남동발전 사장이 지난 29일 신인천빛드림본부를 방문, '근로자 안전 확보'를 거듭 강조하며 현장 안전경영 강화에 나섰다. 김 사장의 이번 방문은 CEO가 직접 사업소 안전보건관리 이행실태를 점검하는 안전관리 강화 활동의 일환이다. 특히 이달 들어 신세종·부산본부에 이은 세 번째 현장 경영으로, 안전 경영에 대한 CEO의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최근 기록적인 폭염과 집중 호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번 점검은 현장 안전관리 소홀이 근로자 생명과 직결된다는 위기의식 속에 발전소 안전사고와 재난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뤄졌다. 김 사장은 이날 신인천 발전소 현장을 둘러보며 직원 노고를 격려하고 ▲유해·위험 상황 발생 시 작업중지권의 적극적 사용 여부 ▲경영진 주도의 'KOSPO 기본 바로세우기' 안전문화 실천 운동 현황 ▲중대재해 대응체계 점검 ▲전력수급 피크 대비 발전설비 안정운영 대책 ▲전력수급 비상상황실 운영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점검 후 이어진 노사 간담회에서 김 사장은 '노사 화합이 안전하고 행복한 회사를 만드는 핵심'임을 강조하며,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김준동 남부발전 사장은 “안전은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최우선 가치”라며 “현장 근로자의 안전 확보와 온열질환 예방을 최우선으로, 단 한 건의 산업재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남부발전은 앞으로도 CEO 주도의 지속적인 현장점검과 소통을 통해 '안전한 일터 조성'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가치를 동시에 실현해 나갈 방침이다.

2025.08.31 18:17주문정

[기고]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 개인영상정보 활용의 한계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과 신기술, 혁신적인 서비스의 개발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이용자의 권리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면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할 지에 대한 논의가 최근 활발해진 분위기다. 급변하는 정보사회에서 AI와 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우리 사회가 취해야 할 균형 잡힌 자세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법무법인 태평양 AI팀에서 [AI 컨택]을 통해 2주 마다 다뤄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이번달 정부에서 향후 5년 간 추진할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바이오 산업과 인공지능(AI) 산업과 같은 신산업 육성을 핵심전략으로 제시했다. 새로운 산업이 육성되면 그에 발맞춰 규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기본법(AI기본법)을 구체화하기 위한 하위법령과 안내서 작업 마련에 전념을 다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도 AI 학습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령안 및 관련 안내서 작업 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는 작년부터 AI 단계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그 중 하나가 개인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위한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에 관한 안내서다. 드론, 자율주행차와 같은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가 AI 개발에 필수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기는 하다. 다만 개인영상정보를 통한 AI 학습과 개발에 있어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실이 있다. 바로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통해 수집된 개인영상정보의 활용 가능성이다. 현재 개인정보 보호법은 제25조의2에서 공개된 장소에서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로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촬영사실을 명확히 표시하든지 아니면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에 따른 처리근거를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촬영사실을 명확히 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도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의 요건을 갖추면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동법 제15조 제1항의 요건은 단순히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정보주체와의 계약의 이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및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 달성을 위한 경우에도 충족될 수 있다.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일정한 이익 형량을 통해 정보주체의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적은 경우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근거로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범위가 점점 넓어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시 지난달 발간한 개인정보 처리 통합 안내서에서 그 동안 정보주체의 동의에만 근거해 개인정보를 처리했던 과거 관행에서 탈피했다. 동의 외 다른 적법한 개인정보 처리 근거의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AI 모델을 채택한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FDS) 운영에 있어 정당한 이익을 근거로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런데 문제는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통한 개인영상정보의 처리이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는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규율하는 동법 제25조의2와는 달리 공개된 장소에서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운영하며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법령에서 허용하고 있거나 시설안전, 범죄 예방 등 제한된 목적을 위해서만 허용하고 있다. 아울러 개인정보 보호법 제58조 제2항에서는 공개된 장소에서 CCTV를 운영하는 경우 동법 제15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이에 따라 공개된 장소에서 CCTV를 운영하는 경우 시설 안전이나 범죄 예방 등과 같은 목적과 관련이 없는 AI 시스템 개발 등 법에서 나열하지 않은 목적을 위해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의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 제2항에서는 동법 제15조에서 정하고 있는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근거로 한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을 따로 정하고 있지 않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개인정보 보호법 제25조를 엄격하게 해석하면 공개된 장소에서의 CCTV를 통한 개인영상정보의 활용 범위는 다소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AI 개발을 위해 개인정보처리자의 정당한 이익을 원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공개된 장소에 설치된 CCTV 영상정보의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에 따른 정당한 이익에 관한 근거 규정을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업자로서는 개발하고자 하는 AI가 시설안전이나 범죄예방을 위한 경우 등이 아닌 한 개인영상정보를 처리할 근거 마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대안으로 가명정보 처리 특례에 관한 규정에 의존해야 하는데 아무래도 가명정보 활용 시 원본 데이터 활용에 비해 데이터의 품질 및 AI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AI와 같은 신규 서비스 개발을 위해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와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를 규범적으로 다르게 보아야 할 이유가 있을지 의문이다. 향후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학습데이터에는 텍스트나 음성은 물론 영상정보도 필요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개인정보가 포함되기 마련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통제장치는 마련하되 규제의 불균형으로 인해 처음부터 특정한 유형의 정보만 학습데이터로 활용하는 길을 봉쇄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최근 기존 이미지 생성 AI에서 한층 진일보한 AI 이미지 생성 모델인 나노 바나나(Nano Banana)가 등장했다. 해당 AI를 이용하면 기존 이미지의 일관성은 유지하며 일부 사진 속 요소들만 정밀하게 수정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이미지, 사진 등을 활용한 생성형 AI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인영상정보를 활용한 AI 개발 시 유연하고 적극적인 행정해석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2025.08.31 09:42이준호 법무법인 태평양

[리뷰] CPU·네트워크 성능 높인 시놀로지 DS925+ NAS

시놀로지 DS925+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4개, NVMe SSD 2개를 탑재 가능한 전문가/SOHO용 네트워크 저장장치(NAS)다. 내장 프로세서를 AMD 라이젠 V1500B 프로세서(4코어, 8스레드)로 교체해 전반적인 구동 속도를 끌어올렸다. 이더넷 포트는 1Gbps 2개에서 2.5G 2개로 교체했고 링크 어그리게이션으로 최대 5Gbps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M.2 NVMe 슬롯 2개에 SSD를 설치해 캐시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용 운영체제 '디스크스테이션매니저'를 이용해 파일 공유, 백업, 영상감시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DX525 확장 유닛을 활용하면 드라이브 베이를 최대 9개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최대 180TB 용량 구성이 가능하다. 무상보증기간은 구입 후 3년간이며 추가 연장으로 최대 5년까지 보증 가능하다. 가격은 HDD 미포함 본체 기준 95만원 전후. 기존 제품과 동일한 외관... USB-C 단자 추가 DS925+의 외관은 이전 제품과 동일하다. 크기는 166×199×223mm, 무게는 HDD 제외시 2.26kg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다. 저장장치 연결용 USB 단자는 전면 1개(USB-A), 후면 2개(USB-A, USB-C)를 배치했다. 장시간 대용량 데이터를 읽고 쓸 때 HDD와 프로세서,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제품 옆과 바닥에 통풍구를 배치해고 후면에는 92mm 냉각팬 2개를 배치했다. 소음은 유휴 상태에서 최저 20.5dB이며 전원은 100W급 외부 어댑터로 공급받는다. 드라이브 베이에 HDD를 고정하고 배치할 때 드라이버 등 별도 공구가 필요 없는 것도 기존 제품과 동일하다. 플라스틱 브래킷에 고무를 적용해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했다. AMD 4코어 라이젠·2.5G 듀얼 이더넷 탑재 시놀로지는 DSM 등 소프트웨어 구성에 꼭 필요한 x86/64 프로세서를 2020년경부터 인텔에서 AMD 제품으로 점진적으로 교체중이다. DS925+도 4코어, 8스레드 기반 AMD 라이젠 임베디드 V1500B를 탑재했다. 최대 작동 클록은 이전 제품에 탑재된 R1600 대비 하향됐지만(2.6→2.2GHz) 코어 수가 2배로 늘어(2→4코어) DSM 구동이나 파일 복사시 반응 속도나 체감 성능은 향상됐다. 메모리는 오류 정정 기능(ECC)을 갖춘 DDR4 SODIMM을 활용하며 기본 상태에서는 4GB 모듈 하나만 꽂혀 있다. 가상화나 도커, 영상 감시 등 메모리에 의존하는 작업이 많을 경우 16GB 모듈 두 개로 최대 32GB를 확보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페일오버 이중화와 외부/내부망 분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듀얼 포트로 구성했다. 기본 속도는 1Gbps에서 2.5G로 최대 2.5배 향상됐다. 단 이전 모델인 DS923+에 제공됐던 10G 어댑터 업그레이드 옵션은 빠졌다. 레이드 0+1 구성시 최대 285MB/s 전송 시놀로지는 전용 펌웨어를 적용한 자체 브랜드 HDD와 SSD, 메모리 등을 공급하고 있다. 대여 제품도 4TB 제품인 HAT3300 4개와 함께 구성됐다. HAT3300을 레이드 0+1로 구성한 후 2.5G 스위치 아래 연결된 데스크톱 PC에서 30GB 단일 영상 파일 복사시 속도는 285MB/s로 2.5G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80% 이상 활용한다. 링크 어그리게이션과 SSD 캐시를 활용하면 반응 속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단 8월 현재 DS925+와 호환성이 검증된 제품은 시놀로지 제품 총 8종 뿐이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40 2TB 제품을 꽂고 캐시 확장을 시도했지만 '스토리지 풀에 테스트나 검증이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았다. DSM 7.2 활용해 다양한 부가기능 활용 가능 시놀로지 NAS는 별도 명령어 입력 없이 웹브라우저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DSM 7.2 운영체제를 제공한다. 영상보안 등 일부 기능을 지원하고 모든 소프트웨어가 라이선스 비용이 필요 없이 무료로 제공된다. 시놀로지 포토는 AI 기반 얼굴 인식, 객체 분류, 스마트 앨범 기능으로 사진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랜섬웨어로 인한 파일 훼손이나 변조 등을 막는 WORM(1번 기록 가능) 속성을 공유 폴더에 적용해 파일을 보호한다. 액티브 인사이트를 시놀로지 계정과 연동하면 파일 대량 이동이나 복사, 삭제 등 이상 작동 발생, 체크섬 오류 등이 발생할 때 이메일 등으로 알려 조기에 신속하게 대처 가능하다. 드라이브 호환성 제한이라는 딜레마 DS925+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명한 진전을 보였다. 쿼드코어 프로세서와 2.5GbE 네트워크, ECC 메모리 지원은 모두 환영할 만한 개선사항이다. DSM의 안정성과 풍부한 기능은 여전히 시놀로지만의 강점이다. 하지만 HDD 호환성을 제한하는 새로운 정책에 오히려 더 주목이 쏠린다. 8월 현재 시놀로지 브랜드 HAT 시리즈 이외의 다른 드라이브가 호환되지 않는다. 기존 제품에 구축된 스토리지 풀을 그대로 가져 올 경우 작동은 가능하지만 일부 기능에 제한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은 굉장히 성가시다. '호환성 리스트에 없을 경우 기술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지원 정책도 포함된다. 4베이 이상 NAS를 구축하는 소비자나 기업 IT 담당자는 이미 초보자의 수준을 벗어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다. 비(非) 시놀로지 HDD로 스토리지를 구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호환성 리스트로 자사 저장장치를 사실상 강제하는 정책은 오히려 이들 이용자의 선택권과 네트워크 구성 유연성을 해친다. 보다 유연한 방향으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2025.08.31 09:41권봉석

성장의 관문: 제8회 CIIE의 혁신과 기회

상하이, 2025년 8월 30일 /PRNewswire/ --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 속에서 중국국제수입박람회(China International Import Expo, CIIE)가 여전히 세계 기업들에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제8회 CIIE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박람회는 다시 한번 혁신을 선보이고 협력을 촉진하며 역동적인 중국 시장으로의 접근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CIIE라는 핵심 플랫폼을 활용해 중국의 거대한 시장으로 진입해 왔다. 다수의 참가 기업이 단순한 전시업체에서 투자자로 성장했고, 수많은 전시품은 시장성 있는 상품으로 전환됐다. 예를 들어, 노바티스(Novartis)는 제4회 CIIE에서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Radioligand Therapy, RLT)를 처음 선보였다. CIIE의 파급 효과 덕분에 노바티스는 제7회 박람회에서 GE 헬스케어 차이나(GE Healthcare China), 상하이 제약 지주(Shanghai Pharmaceutical Holding), 충칭 제약 지주(Chongqing Pharmaceutical Holding)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해 중국에서 RLT의 신속한 출시와 확산에 기여했다. 제8회 CIIE의 수요•공급 매칭 행사에서는 이전 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인 뒤 시장 진입에 성공한 상품 22종, 이른바 'CIIE 베이비(CIIE Babies)'가 공개됐다. 이 가운데 두 제품은 출시 후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며, 이는 전시품을 실제 상품으로 연결하는 CIIE의 역할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의료 혁신 역시 중국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노바티스는 지난해 RLT를 처음 선보인 후 GE 헬스케어 차이나 등과 협력해 RLT 생태계를 구축했다. 한편 보스턴 사이언티픽(Boston Scientific) 역시 제7회 박람회 이후 다수의 제품을 전시장에서 시장으로 연결하는 성과를 보였다.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은 올해 전시 부스를 700m2 규모로 확장해, 수술 로봇 'MONARCH'와 폐암 치료제 '루코비아(Rukobia®)'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제8회 CIIE와 병행하여 올해 훙차오 국제경제포럼(Hongqiao International Economic Forum, HQF)은 '새로운 기회를 위한 개방, 공동의 미래를 위한 협력(Opening Up for New Opportunities, Collaborating for a Shared Future)'이라는 주제를 내걸었다. 최고의 글로벌 경제 대회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제8회 HQF는 개방을 통한 협력, 혁신, 개발, 공유를 주제로 20개 이상의 세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준비 작업은 한창 진행 중이며, 유니세프(UNICEF),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등 국제기구를 비롯해 정부 관계자와 업계 리더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세계 개방 보고서 2025(World Openness Report 2025)' 발표가 이번 HQF의 주요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으로, 글로벌 대화와 협력을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다시금 부각할 예정이다. 이번 제8회 CIIE는 기업들에 연결, 혁신,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전례 없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신 소식과 참가 안내는 https://www.ciie.org/zbh/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락처: 추이 얀(Ms. Cui Yan) 전화: 0086-21-968888 이메일: exhibition@ciie.org

2025.08.30 22:10글로벌뉴스

2D->3D로 쉽게 바꾸는 AI 알고리즘 개발…소요시간·비용도 8분의1 '확' 줄여

세포부터 반도체까지 단면 이미지를 3D로 실시간 만드는 솔루션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생물학 시료 2차원 단면 이미지를 3차원 구조로 빠르게 형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알고리즘은 세포부터 반도체까지, 3D 구현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 심지어 치과 등에서 촬영하는 엑스레이 사진도 3D 구현이 가능하다. 전체 이미지 데이터의 10%만 사람이 분석하면 나머지 부분은 AI가 자동으로 구조를 예측,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 사람이 모든 단면 이미지를 일일이 분석했던 기존 방식 대비 3차원 구조 관측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은 분석 대상의 단층을 수십 나노미터 간격으로 연속 촬영한 후, 확보한 단면 이미지들을 결합해 3차원 입체 구조로 재구성하는 장비다. 이 장비는 미세한 세포 내부 구조를 고해상도로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어 생명과학 연구와 의료 진단 분야에 널리 활용된다. 단면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상 분할이라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각 단면 이미지에서 세포핵, 미토콘드리아 등 분석 대상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를 구분하는 작업이다.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고 분석 대상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과정이다. 그런데, 기존 영상 분할은 수백에서 수천 장에 이르는 단면 이미지를 전문가가 직접 확인하고 분석 대상을 수작업으로 표시하는 '지도학습' 방식을 이용한다. 막대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고,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과 실수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사람이 정답을 표기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인접 단면의 정답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준 지도학습' 방식을 적용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번부터 100번까지의 단면 이미지가 있을 때 10장 간격마다 사람이 레이블링(데이터 값(이름) 부여과정)한 기준 데이터를 삽입하면, 나머지 90장은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즘이 레이블링을 수행, 전체 이미지를 분석한다. 미래선도연구장비그룹 윤달재 선임연구원은 "이 방법을 이용하면 AI 기반 3차원 구조 형상에 필요한 데이터셋(Dataset) 준비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쥐 뇌세포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성능 시험에서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즘은 기존 방식과 정확도 차이가 3% 이내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분석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은 약 8분의 1 수준으로 단축했다. 4096×6144 해상도의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에서도 분석 정확도와 속도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냈다. 윤 선임은 “이 기술은 생물학 분야뿐 아니라 반도체 결함 분석, 신소재 개발 등 영상 분석 자동화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며 “특히 개인정보 보호나 예산 부족 등으로 AI 학습데이터 확보가 어려운 영역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KRISS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성과는 지난 6월 현미경 영상 분석 분야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카피 앤 마이크로어날리시스(Microscopy and Microanalysis(IF 3.0))의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돼 공개됐다. 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략기술연구소 미래선도연구장비그룹에서 일해온 윤달재 선임연구원은 오는 9월 1일부터 충남대학교 정보통신융합과 교수로 이직한다.

2025.08.30 12:01박희범

[크리스의 SW아키텍트⑫] 수십조 투자 스마트공장이 모래성인 이유

지난 편에서는 AI라는 거대한 파도가 어떻게 금융 산업의 근본적인 아키텍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AI 혁신의 또 다른 거대한 전쟁터이자, 디지털과 현실 세계가 가장 치열하게 만나는 곳, 바로 제조업으로 시선을 돌려보고자 한다. 맥킨지(McKinsey)에 따르면, AI가 제조업에 창출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는 연간 최대 3.8조 달러(약 5200조 원)에 달한다. 하지만 수많은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와 지능형 공급망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붓고도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유가 무엇일까? 그 실패의 근원은 대부분 기술 자체가 아닌, 낡은 아키텍처라는 부실한 토대에 있다. 제조업의 아키텍처 문제는 금융권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근본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단순히 디지털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넘어, IT(정보기술)와 OT(운영기술)라는 수십 년간 분리돼 발전해 온 두 세계를 하나로 융합해야 하기 때문이다 IT 시스템이 사무실의 ERP, SCM, PLM 데이터를 다룬다면, OT 시스템은 공장 현장의 PLC, 센서, 로봇 등 물리적 설비를 제어한다. 이 둘은 데이터의 형식, 통신 프로토콜, 그리고 무엇보다 '시간'에 대한 개념부터 다르다. IT가 분기별 실적을 다룰 때, OT는 1000분의1초 단위의 정밀 제어를 요구한다. 이처럼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두 시스템을 제대로 연결하지 않고서는, AI는 공장 전체를 조망하는 지능적인 두뇌가 아니라, 그저 값비싼 계산기에 머물게 된다. 이 거대한 기술적 단절은 곧바로 '컨텍스트의 파편화' 라는 재앙으로 이어진다. 현장 작업자는 MES 화면의 경고등을 보고 설비를 멈추지만, 그 부품이 왜 그렇게 설계되었는지(PLM), 이 생산 중단이 전체 주문 납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ERP), 대체 부품의 재고는 어디에 있는지(SCM) 알지 못한다. 모든 정보가 각자의 시스템 사일로에 갇혀 '상태 정보가 보존되지 않는' 환경에서는 인간과 AI의 의미 있는 협업이 불가능하다. AI가 아무리 뛰어난들, 파편화된 정보 조각만으로는 전체 오케스트라를 지휘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추가 바로 '데이터 메시(Data Mesh)'다. 이는 각 제조 도메인(생산, 품질, 유지보수 등)이 IT와 OT 데이터를 스스로 융합, 명확한 API를 갖춘 '데이터 상품'으로 제공하는 아키텍처다. 이는 마치 각 악기 연주자가 자신의 악보를 완벽히 책임지고 연주할 준비를 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훌륭한 연주자만 모였다고 해서 아름다운 교향곡이 완성되지는 않는다. 이들을 하나의 목표 아래 조율하고 전체 연주의 흐름, 즉 '컨텍스트' 를 이끌어갈 지휘자가 필요하다. 그 지휘자의 역할이 바로 '상황 지속 계층(CPL, Contextual Persistency Layer)' 이다. 이 계층은 고객의 주문이라는 첫 악장의 시작부터 제품 인도라는 마지막 악장의 끝까지, 모든 데이터 상품들을 하나의 거대한 악보로 엮어낸다. 예를 들어, 설계자가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부품을 경량화할 때, '상황 지속 계층'은 고객의 요구사항, 현재 공급망 상황, 생산 라인의 부하 상태라는 컨텍스트를 실시간으로 AI에게 제공하여, 환상 속의 설계가 아닌 현실에서 생산 가능한 최적의 답을 찾도록 지휘한다. 여기에 제조업의 복잡성은 한층 더 깊어진다. 공장의 수많은 AI 모델은 '클라우드-엣지 연동' 이라는 또 다른 과제를 안고 있다. 품질 검사를 위한 비전AI는 카메라 옆 엣지(Edge) 에서 즉각 반응해야 하지만, 이 모델을 더 똑똑하게 만들기 위한 대규모 학습은 클라우드(Cloud)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둘 사이의 데이터 동기화, 모델 배포, 버전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성숙한 MLOps 파이프라인이 없다면, 수천 개의 AI 모델은 통제 불가능한 오합지졸이 되어버린다. 결국, '데이터 메시'로 연주자를 준비시키고, '상황 지속 계층'으로 지휘자를 세웠다 하더라도, 이들이 연주할 무대(클라우드-엣지 인프라)와 공연 운영(MLOps)이 준비되지 않으면 AI 혁신이라는 공연은 막을 올릴 수조차 없다. 결국 제조업의 AI 네이티브 전환은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바꾸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데이터 메시로 IT와 OT의 경계를 허물고, 상황 지속 계층으로 디지털 스레드를 완성하며, 클라우드-엣지 아키텍처와 MLOps로 지능형 운영의 기틀을 다지는 아키텍처의 전면적인 재설계다.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AI는 그저 고립된 섬에서 부분적인 최적화만 수행할 뿐, 기업 전체의 경쟁력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없다. 지금까지 총 12편에 걸쳐 AI 네이티브로 가는 길목에서 금융과 제조업이라는 두 거대 산업의 아키텍처 과제를 살펴보았다. 다음 편에서는 우리의 일상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된 디지털화 된 유통 산업이 AI를 통해 어떻게 고객 경험을 재창조 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어떤 아키텍처적 혁신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다뤄 보겠다. ◆ 나희동 크리스컴퍼니 대표는... -정보관리기술사 (54회), SW아키텍트 (CPSA), 수석감리원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CMU SEEK 1기 MSE, UTD SW MBA 수료 -전/투이컨설팅 SW아키텍처 담당 이사, 마르미III 개발참여 -전/싸이버로지텍 기술연구소 및 플랫폼사업본부 상무 -전/동양시스템즈 솔루션사업본부 본부장

2025.08.30 07:00나희동

조명의 혁신, 새로운 스타일 -- 오라이트, 혁신적 Pure Flood 기능의 ArkPro 시리즈 공개

뉴욕 2025년 8월 30일 /PRNewswire/ -- 휴대용 조명 분야의 글로벌 혁신 기업인 오라이트(Olight)가 제7회 연례 오팬 데이(O-Fan Day)에서 ArkPro 시리즈를 공개했다. ArkPro, ArkPro Ultra, ArkPro Lite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멀티 기능 기능과 업계 최초의 혁신 기술을 적용한 매끄러운 평면형 디자인으로 일상 휴대용 조명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오라이트는 이번 신제품을 IFA 베를린 2025(IFA Berlin 2025)을 통해 유럽 시장에 첫선을 보이며 조명 혁신을 전 세계에 알릴 예정이다. ArkPro 시리즈 조명의 혁신: 4가지 광원, 끝없는 다양성 궁극의 4-in-1 EDC(Everyday Carry) 손전등인 ArkPro는 퓨어 플러드(Pure Flood), 스포트라이트, UV, 녹색 레이저를 탑재했으며, 최대 7가지 조명 모드를 제공한다. 작업, 여가, 일상, 선물용 등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한 휴대용 조명을 새롭게 정의한다. ArkPro 시리즈의 가장 획기적인 기능 중 하나인 '퓨어 플러드(Pure Flood)'는 오라이트가 업계 최초로 선보인 조명 개념이다. 기존 손전등처럼 빛의 중심에 강한 핫스팟이나 거친 경계가 있는 대신, 경계 없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빛의 확산을 제공한다. 캠핑, 작업 공간, 도심 탐험 등 어디서나 자연광과 같은 몰입감 있는 조명을 경험할 수 있으며, 들고 있다는 사실조차 잊게 만드는 부드러움과 몰입감을 자랑한다. ArkPro Ultra는 오라이트가 자체 개발한 EIP 1 LED를 탑재해 획기적인 기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 모든 밝기 수준에서 Duv(색편차) 0.006 이하의 깨끗한 빛을 제공하며, 134 lm/W 효율로 기존 고출력 LED보다 10%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 이를 통해 EDC 손전등 성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새로운 스타일: 혁신적인 디자인과 소장 가치 오라이트 손전등은 실용성을 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노력했다. ArkPro 시리즈는 업계 최초로 듀얼 톤 실버 그래파이트 마감을 적용해 플랫 일체형 알루미늄 디자인으로 미감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 디자인은 이음새 없이 매끄럽고 견고하며 발열 효율까지 갖췄다. 세계적 수준의 산업 디자인이 모든 디테일에까지 반영되어 있다. ArkPro 시리즈는 정밀 레이저 각인 인디케이터, 부드러운 회전식 셀렉터를 특징으로 하며, 마이크로 천공 듀얼 컬러 LED 인디케이터는 기능성과 심미성 모두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ArkPro Ultra는 '아크비트' 기능을 통해 디자인을 역동적인 경험으로 끌어올렸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이 변하는 아크비트(브리딩-펄스 라이트) 효과로, 고성능 도구를 살아 있는 듯한 수집가용 아이템으로 탈바꿈시킨다. 가볍고 우아하면서도 개성을 살린 제품으로, EDC 애호가뿐만 아니라 선물용으로도 이상적이다. 일상에서의 다재다능함: 성능과 라이프스타일의 만남 메이비스 샤오(Mavis Xiao) 오라이트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ArkPro 시리즈는 첨단 광학 기술과 항공우주 등급 소재, 세련된 디자인을 결합해 휴대용 조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며 "야외에서의 자유로움부터 도심 생활의 자신감까지, ArkPro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여정을 밝히는 동반자다. 각 빔은 빛을 넘어 상상력과 스타일을 담아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꿈꾼다"라고 말했다. 전체 사양은 공식 웹사이트(OLIGHT® | Global Leader in Portable Lighting Industry- Oligh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라이트(Olight) 소개 2007년에 설립된 오라이트는 휴대용 저명 분야의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일상 휴대용(EDC), 아웃도어, 가정, 정원, 전술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고성능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12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iF 디자인 어워드, 레드닷 어워드 등 세계적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 2024년에는 라스베이거스에 세계 최초의 손전등 체험 매장을 공개하며 업계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미디어 연락처: pr@olight.com

2025.08.30 03:10글로벌뉴스

아클린, 듀폰™에게 Kevlar®, Nomex® 브랜드 등 아라미드 사업 최종 인수

혁신 플랫폼을 확장하고 보완하려는 포석 알파레타, 조지아주, 2025년 8월 30일 /PRNewswire/ -- 아클린(Arclin)이 Kevlar®, Nomex® 브랜드를 포함해 듀폰(DuPont)의 아라미드 사업을 약 18억 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최종 체결했다. 아클린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항공우주, 전기 인프라, 전기 자동차, 개인 보호, 방위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건설, 인프라, 기상 및 소방, 운송 분야에서 이미 다져 놓은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아클린의 최첨단 기술은 기업 업무와 직결될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을 지켜 주고 개선해 주는 기본 제품의 원동력이 된다. 이번 거래는 2026년 1분기 완료 예정이나 업계에서 통용되는 거래 마감 조건과 규제 당국의 승인에 시기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아클린은 TJC, L.P. 계열사의 포트폴리오 기업이다. 브래들리 볼덕(Bradley Bolduc) 아클린 사장 겸 CEO는 "Kevlar®와 Nomex® 브랜드는 오랫동안 혁신과 보호 품질로 유명했다"며 "아클린은 이번 인수를 통해 이 브랜드들의 잠재력을 깨워 가정과 직장, 사회를 더 튼튼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줄 첨단 소재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로리 코흐(Lori Koch) 듀폰 CEO는 "듀폰은 Kevlar®와 Nomex® 브랜드의 유산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며 "아클린에게 인수된 후에도 새 산업과 용도에서 계속해서 성장하고 영향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크 글래스피(Mark Glaspey) 아클린 최고운영책임자는 "Kevlar®와 Nomex® 사업이 세계 시장에서 점하고 있는 입지는 아클린이 지리적으로 또 신제품과 신기술을 통해 시장을 확대할 때 큰 보탬이 될 것"이라며 "현재 시설과 파트너, 시장을 망라해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너 라이트(Jana Wright) 아클린 브랜드 마케팅 담당 부사장은 "이렇게 상징성이 크고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를 인수하게 되니 반갑기 그지없다. "Kevlar®와 Nomex® 브랜드는 보호 기술을 혁신하려는 아클린의 전략에 부합한다. 이 두 브랜드를 통해 더 많은 고객에게 혁신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거래 주요 내용: 아클린이 Kevlar®, Nomex® 브랜드를 포함해 듀폰의 아라미드 사업부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거래로 개인과 구급대원의 안전을 지켜주는 검증된 보호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아클린은 Kevlar®, Nomex®, 아클린이라는 고도의 혁신 제품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클린은 업계 기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이번 인수로 직원 약 1,900명이 새로 합류해 수십 년간 쌓아 온 실무 경험을 아클린에 제공하게 된다. 아클린은 글로벌 시장 입지를 다지고 진출 지역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거래는 2026년 1분기 완료 예정이나 업계에서 통용되는 거래 마감 조건과 규제 당국의 승인에 시기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아클린과 TJC 측에서는 파이퍼 샌들러 앤 컴퍼니(Piper Sandler & Company)가 금융 자문을, 커클랜드 앤 엘리스(Kirkland & Ellis LLP)가 법률 자문을 맡았다. 듀폰 측에서는 센터뷰 파트너스(Centerview Partners)와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 Co. LLC)가 금융 자문을, 스케든, 압스, 슬레이트, 메거 앤 플롬(Skadden, Arps, Slate, Meagher & Flom LLP)이 법률 자문을 맡았다. 아클린 소개:Arclin은 건설, 농업, 교통 인프라, 기상 및 소방, 제약, 영양, 전자, 디자인 등에 쓰이는 폴리머 기술과 엔지니어링 제품, 특수 소재를 제조하는 유력 소재 과학 기업이자 제조기업이다. 조지아주 알파레타에 본사를 두고 미국 전역과 캐나다, 영국에 지사와 제조 시설을 운영 중이며 전 세계에서 고객에게 위탁을 받아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www.arcli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TJC 소개:TJC, L.P.(더 조던 컴퍼니(The Jordan Company)의 새 이름)는 각종 산업재, 산업 기술, 보건의료, 물류 및 공급망, 기술 및 인프라 등에서 CEO, 창업자, 기업가들과 40년 넘게 협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2025년 6월 30일 현재 관리 중인 자산만 332억 달러에 달하며 23년 넘게 투자 80여 건을 함께 한 고위 경영진이 관리를 전담하고 있다. 뉴욕, 시카고, 마이애미, 스탬포드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www.tjclp.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듀폰 소개:듀폰™(NYSE: DD)은 산업 현장과 일상 생활의 변화를 이끄는 첨단 소재와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이다. 과학과 전문 지식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고객이 좋은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전자, 운송, 건설, 수력, 의료, 작업자 안전 등 주요 시장에서 필요한 혁신을 실현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회사와 사업, 솔루션에 관해 자세한 사항은 www.dupont.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자 관련 정보는 홈페이지(investors.dupont.com)의 IR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담당: 크리스 아담스(Chris Adams),최고 법률 책임자Inquiries@Arclin.com 듀폰TM과 별도 언급이 없는 한 TM, SM, ®이 표시된 제품은 모두 듀폰 드 네무르(DuPont de Nemours, Inc.) 계열사의 상표, 서비스 마크 또는 등록 상표이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222683/Arclin_Logo.jpg?p=medium600

2025.08.30 03:10글로벌뉴스

DJI, 초경량 무선 마이크3 출시

중국 드론·카메라 기업 DJI는 강력한 성능과 유연한 확장성을 갖춘 초경량 무선 마이크 'DJI 마이크 3'을 출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제품 무게는 16g다. 가볍고 눈에 띄지 않는 컴팩트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탈착식 회전 클립을 이용해 마이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올인원 충전 케이스는 송신기 2개와 수신기 1개를 깔끔하게 수납할 수 있다. 윈드스크린이나 자석 클립을 부착한 상태로도 보관이 가능하다. 케이스 내부에는 자석과 잠금 오디오 어댑터 케이블을 함께 수납할 공간도 마련됐다. 인텔리전트 기능을 통해 역동적인 고품질의 사운드를 구현하며, DJI 마이크 중 최초로 두 가지 자동 게인 조절 모드를 갖췄다. 야외 스포츠 경기처럼 음량 변화가 큰 환경에서는 '자동' 모드가 갑작스러운 볼륨 피크를 억제해 클리핑을 방지한다. 실내 스튜디오처럼 정적인 환경에서는 '다이내믹' 모드가 음량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게인을 조정한다. 마이크3는 DJI 마이크 가운데 최초로 세 가지 음성 톤 프리셋을 지원한다. 이 기능은 다양한 음색을 가진 여러 화자가 참여하는 인터뷰에 이상적이다. 저음을 강화해 울림을 줄이고 고음을 강조함으로써 명료도를 높인다. 2단계 능동형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에어컨과 같은 배경 소음을 억제해 선명하고 또렷한 음질을 구현한다. 윈드스크린을 장착하면 바람 소리까지 추가로 줄일 수 있다. 무손실 오디오 기능을 통해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압축되지 않은 48kHz/24-비트 오디오를 직접 전송해 놀라울 정도로 정밀한 고음질을 담아낸다. 제최대 4개 송신기(TX)와 8개의 수신기(RX)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그룹 인터뷰나 멀티 카메라 촬영에서도 모든 기기에서 선명한 오디오를 확보해 후반 작업을 한층 수월하게 한다. 쿼드라포닉 모드에서는 DJI 마이크3 리시버를 특정 소니 카메라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연동해 네 개의 오디오 트랙을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정밀한 트랙 분리와 유연한 믹싱을 가능하게 하며 후반 제작에서 더욱 넓은 창작의 자유를 제공한다. 대규모 박람회나 스포츠 경기장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최대 400m에 이르는 송신 범위와 강력한 간섭 저항 전송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2.4GHz와 5GHz 대역 간 자동 주파수 전환을 통해 끊김 없는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한다. 내장형 녹음 기능은 무선 장애나 장비 이슈로 인한 오디오 손실을 방지한다. 오리지널 트랙과 알고리즘 보정 트랙을 동시에 저장하는 듀얼 파일 내부 레코딩을 지원해 창작의 유연성을 제공하고 후반 작업을 간소화한다. 또한 24-비트 또는 32-비트 플로트 포맷을 지원해 폭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구현하며, 복잡한 음향 환경에서도 속삭임부터 고함까지 모든 음성의 뉘앙스를 정밀하게 포착할 수 있다. 송신기에 탑재된 고정밀 타임코드 기능은 내장 녹음 시 타임코드 데이터를 함께 기록하며, 24시간 동안 1프레임 이내 오차 범위를 유지해 멀티 카메라 환경에서도 영상과 오디오를 정확히 동기화하고 후반 제작에서 손쉬운 편집을 지원한다. 완충 시 송신기는 최대 8시간, 수신기는 최대 10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충전 케이스를 이용하면 2.4회 완충으로 총 28시간까지 연장된다. 5분 고속 충전으로 2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50분이면 완전 충전이 완료된다. 다양한 절전 기능을 갖춰 재충전 빈도를 줄였다. '자동 절전' 기능은 사용하지 않을 때 송신기와 수신기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자동 전원 차단' 기능은 일정 시간 미사용 시 전원을 꺼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한다. 마이크3는 DJI 오즈모오디오 생태계에 직접 연결돼 오즈모360, 액션5프로, 액션4, 포켓3 등 등 DJI 주요 제품에 수신기 없이 바로 연결할 수 있다. 락킹 3.5mm TRS 출력 포트, 3.5mm TRRS 모니터링 포트, USB-C 포트를 갖춰 다양한 외부 장비와 유선 연결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에는 블루투스를 통해 수신기 없이 바로 연결할 수 있다. 제품은 오는 9월 5일부터 9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25에서 처음 공개된다. 가격은 송신기 2개와 수신기 1개, 충전 케이스 구성 기준 46만9천원이다. 송긴기와 수신기는 각각 14만2천원, 16만3천원에 별도 구매할 수 있다. 크리스티나 장 DJI 기업 전략 부문 수석 이사는 "DJI 마이크3는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컴팩트한 외형에 프리미엄 오디오 품질과 스마트 기능을 결합한 제품"이라며 "인텔리전트 기능을 이용해 누구나 간편하게 선명하고 풍부한 사운드를 담아내어 창작의 과정을 한층 매끄럽게 해준다"고 밝혔다.

2025.08.29 13:12신영빈

볼보 전기트럭, 서울 수도권 '공공 청소차'로 달린다

볼보트럭코리아는 대형 전기트럭 기반 공공 청소차량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의 시범운행을 개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수도권 공공 청소차량 시범운행에 투입되는 볼보 대형 전기트럭에는 삼성SDI의 리튬 배터리가 장착됐으며, 서울시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올해 8월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약 1년 간 시범운행을 진행할 예정이다. 볼보트럭코리아는 이를 통해 국내 탄소절감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친환경 상용차 시장 확산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박강석 볼보트럭코리아 대표이사는 "이른 새벽부터 도심 내부에서 운행되는 공공 청소차량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전기트럭으로 운행되면 탄소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무소음 및 무진동을 바탕으로 장시간 운행하는 청소차량 작업자의 피로도 역시 줄일 수 있고, 매연배출이 없어 작업자의 근무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29 12:00김재성

코인원, '비트코인 자유형 스테이킹' 상품 선보여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대표 이성현)은 비트코인(BTC) 자유형 스테이킹 상품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비트코인을 이용한 스테이킹 상품을 선보인 것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코인원이 최초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코인원 비트코인(BTC) 스테이킹은 '자유형 스테이킹' 상품으로 출시된다. 이는 고객이 비트코인을 보유만 해도 매일 리워드가 적립되는 상품이다. 또한, 일반 스테이킹과 달리 스테이킹 참여 중에도 별도 제약 없이 입출금과 거래가 자유롭다. 코인원 비트코인 스테이킹은 '바빌론 프로토콜'을 통해 진행된다. 비트코인의 작업증명(PoW) 기반 보안을 활용하여 지분증명(PoS) 체인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형태다. 고객은 보유한 BTC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위임하여 보안에 기여하고, 이에 따라 바빌론의 유틸리티 토큰인 바빌론(BABY)을 리워드로 받을 수 있다. 코인원은 '비트코인 자유형 스테이킹' 출시를 기념해 오늘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비트코인 스테이-킹 선발대회'를 진행한다. 코인원 홈페이지에서 이벤트코드를 등록하고 자유형 스테이킹 이용에 동의한 후, 비트코인을 10만원 이상 매수하면 자동 참여된다. 매수금액 상위 10명에게는 총 200만원 상당 BTC를 차등 지급하고, 그 외 모든 참여자에게 총 800만원 상당 BTC가 균등 분할 지급되는 등 총 1천만원 상당의 BTC가 보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개인 SNS에 해당 이벤트를 공유하고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혜택을 주는 '비트코인 스테이킹 이벤트 소문내기'는 31일까지 진행한다. 이와 함께 코인원은 스테이킹 서비스 브랜드인 '플러스'를 '스테이킹'으로 리뉴얼했다. 기존 '데일리'와 '스테이킹' 상품도 각각 '자유형 스테이킹', '고정형 스테이킹'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스테이킹 중인 자산도 자산 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UI를 개선하는 등 이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이성현 코인원 대표는 “비트코인 장기 보유가 글로벌 투자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이번 스테이킹 서비스 리뉴얼을 계기로 가장 선도적인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라며, “코인원의 자유형 스테이킹 상품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안정적으로 보유하면서도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해 보시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2025.08.29 10:18이도원

"연구보안은 규제 대상 아닌, 성과보호 수단"

"보안은 규제 대상이 아니라 '성과 보호 수단'이다." 국내 최초의 연구보안 실무 전문서가 한국과 미국서 동시 출간돼 화제다. 연구기관별로 자료 유출 등에 대한 자체 보안 시스템은 갖추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의 보안 인식이 다소 미흡하고, 전문 교육도 미진했던 게 사실이다. 한국연구보안진흥원(주)(KRISA, 원장 오정미)은 국내·외 처음으로 연구보안 분야 실무 지침서인 '연구보안실무'를 한국(교보문고)과 미국(아마존)에서 동시 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내외 연구기관, 대학, 기업의 연구보안 관련 관계자들의 필독서로 주목받고 있는 이 지침서는 국내 최고 연구보안 실무 전문가로 활동해온 오정미 KRISA 원장이 집필했다. 첨단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연구자와 연구행정 실무자를 위한 보안 종합 안내서다.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연구개발 기관이 반드시 갖춰야할 단계별 보안관리 체계를 실무자 관점에서 알기 쉽게 다뤘다. 오 원장은 "보안이 규제의 대상이 아닌 '성과 보호의 수단'이라는 인식 전환이 중요하다"며 "책상 앞에서 얘기하는 보안이 아닌,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으로 지침서를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연구개발 전 주기를 아우르며, ▲채용·재직·퇴직 과정에서의 인력 보안관리 ▲연구노트 및 산출물 보호방안 ▲외국인 연구원에 대한 관리와 같은 핵심 이슈들을 상세히 다뤘다. 특히 연구 기획-수행-성과 단계에 따른 맞춤형 보안대책과 함께, 국가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리적·기술적·관리적 대응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또 ▲연구성과물의 지식재산권 확보 ▲기술이전 시 비밀유지협약(NDA) 체결 절차 ▲보안 우수자 포상 제도 ▲규정 위반자에 대한 징계 기준 등 기관 차원의 관리 방안도 폭넓게 담았다. 이외에 ▲보안 실태점검 및 보안사고 대응체계 ▲재난대비 방안 ▲정보통신망 보안정책 등 현실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실행 지침도 함께 제공해 현장 활용도를 높였다. 오 원장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연구성과의 유출을 막고 국가경쟁력을 지키기 위한 실용적 해법을 담으려 했다"며 "연구기관 관리자, 보안 담당자들에게 꼭 필요한 필독서"라고 말했다. 오 원장은 또 "지난해 미국 정부 공식 초청으로 현지서 한국의 연구보안 제도에 대해 강연했던 강선준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술사업화 실장)와 공동 작업을 통해 최신 연구보안 트렌드를 반영하는 등 현장 목소리를 적극 담아내려 했다"고 설명했다. 영어 번역본은 지난 1일 아마존을 통해 출간했다. 오정미 원장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서울대학교에서 연구보안을 담당한 바 있다. 200회 이상 강의 경력도 보유했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에서 우수강사로도 활동했다. 오 원장은 한의학 및 물리학 전공이라는 독특한 이력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경희대학교 첨단기술 비즈니스학과 박사과정에서 양자기술 분야 보안 이슈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다. 오 원장이 양자기술을 눈여겨 보는 이유는 비록 양자가 딥사이언스로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보안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오 원장은 "양자암호와 양자보안은 기존 정보보호 체계를 근본적으로 뒤흔들 수 있는 게임 체인저"라며 "강선준 박사와 협력해 관련 연구보안 대응 전략과 실무 지침서를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보안진흥원은 현재 양자기술 수행기관 및 스타트업과 협력해 연구보안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 자료 개발을 추진 중이다. 연구보안 전문인력 양성과 제도 개선을 위한 교육과 병행해 자료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오 원장은 “연구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연구자 권리와 성과를 지키는 최소한의 안전망”이라며 "강선준 박사 등 전문가 지원을 받아 연구보안 전문인력 양성과 제도 개선을 위한 교육 및 자료 개발을 지속 추진, 국내외 연구보안 선도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29 10:00박희범

로보티즈-씨메스, 양팔형 휴머노이드 도입 맞손

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는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응용 전문기업 씨메스와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물류·제조 라인에 실제 투입 가능한 로봇 플랫폼 개발에 집중한다.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로봇 도입을 검토 중이며, 양팔형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보티즈는 액추에이터 기반 정밀 하드웨어 및 구동 시스템 개발을 담당한다. ROS 기반 통합 플랫폼과 물류·제조 현장 최적화를 위한 로봇 손, 배터리, 엣지보드 등 하드웨어 기술 자문과 지원을 제공한다. 아이작심과 원격제어, 로봇 제어 활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 지원도 병행한다. 씨메스는 AI 기반 인식·판단 기술과 고차원 모션 제어 원천기술을 확보해, 로봇이 사람처럼 판단하고 생각하며 정교하게 움직이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장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해 물류·제조라인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로봇 기술로 구현하는 역할을 맡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이 산업 현장 자동화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로봇 솔루션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는 "현장 수요를 직접 반영한 상업용 로봇을 선보일 것"이라며 "특히 물류와 제조라인에 로봇을 적극 도입해 산업 자동화를 현실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성호 씨메스 대표는 "로보티즈의 휴머노이드 하드웨어 역량과 당사의 비전 AI 소프트웨어 융합을 통해 피지컬 AI 기반의 실질적 로봇 솔루션을 만들어내고, 이를 산업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현장형 AI 로봇'으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8.29 09:44신영빈

DXC, 산업용 IoT 엔드투엔드 엔지니어링 라이프사이클 서비스 부문 IDC 마켓스케이프 '리더'로 선정

애쉬번, 버지니아주, 2025년 8월 28일 /PRNewswire/ --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제공기업인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NYSE: DXC)가 'IDC 마켓스케이프: 2025 세계 산업용 IoT 엔드투엔드 엔지니어링·라이프사이클 서비스 벤더 평가(IDC MarketScape: Worldwide Industrial IoT End-to-End Engineering and Life-Cycle Services 2025 Vendor Assessment)*'에서 '리더(Leader)'로 선정됐다. 이번 선정은 DXC의 산업용 IoT(IIoT) 서비스가 부동산, 기계, 장비 등 물리적 자산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공급망 가시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DXC Named a Leader by IDC MarketScape in Industrial IoT End-to-End Engineering and Lifecycle Services 피트 맥에보이(Pete McEvoy) DXC 데이터 및 AI 부문 책임자는 "우리는 고객이 IIoT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심층적인 산업 전문성, 디지털 트윈 기술, IoT를 결합해 시뮬레이션,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복구 분야를 아우르는 보다 포괄적인 역량을 창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IDC 마켓스케이프 인정으로 우리의 산업 분야 전문성과 신뢰받는 파트너로서의 가치가 확인됐다고 믿는다"면서 "우리는 디지털 전환 여정에 나선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DXC는 산업 전문가들이 설계한 일관성 있는 접근 방식을 통해 IIoT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조업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자산 관리: 유지보수 비용을 낮추고 생산과 스케줄링을 최적화한다. 사고 완화: 제조, 공급망, 자산 집약적 운영 전반에서 일어나는 장애, 품질 문제, 중단 사태를 신속하게 탐지·평가·해결한다. 품질 관리: 제품이나 공급망 문제를 조기에 식별하고, 맞춤형 앱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에 가까운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폐기물과 불량 및 재작업량을 최소화한다. ESG 규정 준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확보하고, 소비와 가격 동향을 분석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낭비를 예방한다. 아비셰크 무케르지(Abhishek Mukherjee) IDC 디지털 엔지니어링 및 운영 기술 서비스 부문 리서치 매니저는 이렇게 말했다. "IDC는 DXC의 강점으로 포괄적인 IIoT 솔루션과 서비스 포트폴리오, IIoT 및 인더스트리 4.0 솔루션·서비스 제공을 위한 독자적 프레임워크, 전달 생태계를 꼽았다. DXC 고객들은 DXC가 비즈니스 핵심성과지표(KPI) 달성에 집중하고, 새로운 산업용 IoT 및 인더스트리 4.0 활용 사례를 선제적으로 제시하고, 투자 수익률(ROI)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점을 높게 평가한다. DXC의 온쇼어(onshore) 및 니어쇼어(nearshore) 중심 모델은 고객들로부터 제공 효율성과 효과성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다. R&D 분야 투자, 파트너십 구축 노력, 다른 고성장 시장으로의 공급 생태계 확장 움직임은 DXC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고객 신뢰도를 높이게 만들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DXC는 기업이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IIoT 및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설계·배포·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여 스마트 공장과 연결된 운영 및 의료, 교통 관리, 항공우주, 방위 산업과 같은 첨단 공공 서비스를 구현한다. DXC의 전략은 차량, 장비, 기계 전반에서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실현했으며, 제조와 공급망에서 생산 가시성과 품질 개선을 통해 ROI를 높였다. IDC 마켓스케이프는 이번에 15개 벤더를 대상으로 IIoT 엔드투엔드 엔지니어링·라이프사이클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처음으로 실시했다. 본 평가에선 IIoT 전략과 컨설팅, 시스템 통합, 엔지니어링, 관리형 서비스 분야에서 이러한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IDC 마켓스케이프 보고서 발췌문 및 평가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DXC의 IIoT 및 디지털 트윈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구하려면 여기를 클릭하면 된다. 제조 부문에서 DXC의 전문성에 대한 추가 정보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IDC 마켓스케이프 소개 IDC 마켓스케이프 벤더 평가 모델은 특정 시장에서 기술과 서비스 공급업체의 경쟁적 적응도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연구 방법론은 정성적·정량적 기준을 기반으로 한 엄격한 채점 방법론을 활용하여 특정 시장 내에서 각 벤더의 위치를 단일 그래픽으로 보여준다. IDC 마켓스케이프는 IT 및 통신 벤더의 제품과 서비스, 기능과 전략, 현재와 미래의 시장 성공 요인을 의미 있게 비교할 수 있는 명확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또 기술 구매자에게 현재와 미래 벤더의 장단점을 360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XC 테크놀로지 소개DXC 테크놀로지(NYSE: DXC)는 선도적인 글로벌 IT 서비스 제공업체로,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들의 신뢰할 수 있는 운영 파트너로서 산업과 기업을 발전시키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DXC의 엔지니어링, 컨설팅 및 기술 전문가들은 고객이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간소화·최적화·현대화를 추진하고, 가장 중요한 워크로드를 관리하고, AI 기반 인텔리전스를 운영에 통합하며 보안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dx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서 번호 US51812924, 2025년 8월 안젤레나 아바테(Angelena Abate), 미디어 관계 담당, +1.646.234.8060, angelena.abate@dxc.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59295/DXC_Technology_Services__LLC_DXC_Named_a_Leader_by_IDC_MarketSca.jpg?p=medium600

2025.08.29 00:10글로벌뉴스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현대차 미국법인 "체포인원 중 직접 고용無…고용 관행 철저히 점검"

전날 저녁부터 줄 섰다고?…3천명 몰린 '트레이더스 구월점' 가보니

[르포] 격동의 로봇청소기 시장…걷는 EU·뛰는 韓·나는 中

EU, 구글에 4조원 과징금…"광고기술 시장 경쟁방해"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