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카툑892jms 급전지원 상조내구제✔️ 업체 빠르게'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523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자동차 생산에 자취 감추는 '사람'…24시간 운영 '로봇 공장' 온다

태양광 패널이 천장을 가득 채운 자동차 공장 내부는 적막하다. 내부는 무인운반차량(AGV)이 모든 공간을 누비고 곳곳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가 모든 과정을 검사한다. 자재가 생샌라인에 들어가고 출고할 때까지 사람의 손길은 단 하나도 없다. 이 과정을 거치는 공장은 24시간 쉼없이 움직인다. 자동차 생산 공장이 대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 같은 모습은 일본 최대 완성차 제조업체 토요타의 부품 계열사 덴소가 새롭게 짓는 무인공장을 예상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제조공정을 무인화하겠다는 열망을 품고있다. 덴소, 6천500억원 투자해 무인 공장 만든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덴소는 최근 아이치현 니시오시에 위치한 젠묘 공장을 확장해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덴소는 준공을 2027년 1월에 완료하고, 2028년 회계연도가 시작할 4월 무렵부터 생산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총액은 690억엔(6천521억원)이다. 덴소는 토요타그룹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완성차에 부품을 생산하고 납품하는 1차 부품협력사(티어1)이다. 새로 짓는 공장은 계획 단계부터 차세대 공장을 표방했다. 공장 내 생산 과정에는 노동자가 아닌 로봇이 배치된다. 또,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된다. 현재 공장에는 1천309명이 근무하고 있다. 덴소는 신공장을 현실과 똑같은 모습으로 가상 세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카메라, 센서 등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다. 생산 라인을 정비하는 인력만 사람으로 구성하고 하역부터 출하까지 모든 과정을 로봇이 대신한다. 전력은 태양광 패널을 통해 공급받을 계획이다. 이 같은 무인 공장을 자국에 적용한 것은 덴소가 처음이다. 테슬라가 미국에서 시도하고 있지만 전통 완성차 제조업체에서는 주로 노조가 없는 나라에서 적용해왔다. 덴소는 "노동력 감소와 환경 문제 등에서 사회적 과제를 혁신적인 제조 방법을 통해 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인화 꿈꾸는 車업계…노조 리스크 없는 '로봇' 공장 한 곳에 수천명이 일하는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노동조합의 파업이 가장 큰 위험요소다. 단 한 번의 파업으로도 수천억원에서 수조원에 이르는 손실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노동자 임금 인상 문제도 있다. 지난해 전미자동차노조(UAW)는 미국 빅3(제너럴모터스·포드·스텔란티스)와 3주간 파업을 벌여 42억달러(5조6천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일으켰다. 이들 파업의 핵심은 임금인상이었다. 임금인상을 하면 차량값이 오르게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게된다. UAW 파업 이후 미국에 공장을 둔 제조업체들은 임금 인상을 잇달아 밝히기도 했다. 테슬라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혼다, 닛산, 토요타, 스바루 등은 모두 생산 노동자 임금을 높였다. 원가절감을 절실히 원하는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로봇을 통해 생산비용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테슬라와 BMW는 로봇을 자동차 공장에 투입하고 현대차는 싱가포르와 미국 조지아 공장, 기아 오토랜드 화성 등에 적용하거나 시험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는 무인공장 전환에 대해 "미래에 소프트웨어로 움직이는 자동차 운전석에 인간 운전자가 필요 없다면, 자동차를 만드는 공장에도 생산 라인을 작동하는 근로자가 필요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2024.09.18 09:52김재성

생수 '무라벨' 의무화 앞두고 제조사, 제품 차별화 어려워 고심

오는 2026년부터 생수 제품에 무라벨 QR코드 표시가 의무화될 예정인 가운데, 제조사들은 무라벨 포장에서의 제품 차별화 방안을 고심 중이다. 환경부가 행정 예고한 '먹는샘물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 기준'에 따르면 2026년부터 생산되는 먹는샘물 용기에는 비닐 라벨 사용이 제한되고, 제품 정보는 병마개 QR코드로 제공된다. 의무화의 이유는 재활용 비용 절감 때문이다. 라벨이 붙은 제품은 재활용 과정에서 라벨을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시행까지 2년도 채 남지 않았지만 편의점 등에서 무라벨 제품을 찾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제품 식별이 쉽지 않다는 점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또 소규모 업체의 경우 무라벨 제품을 생산할 여력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병목에 비닐 라벨을 부착하고 있는데, 이 라벨도 조만간 모두 사라질 것”이라며 “병뚜껑에 바코드와 QR코드 등을 인쇄하는 방법을 기획 중이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커머스 등을 통해 판매되는 묶음 제품의 경우 무라벨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지만 편의점에서는 그렇지 않다”며 “몇몇 제품 등만 유통될 뿐 아직도 대부분 비닐 라벨을 사용한 제품들이 주로 팔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뚜껑의 색이 대부분 하얀색 혹은 파란색이라 구별이 쉽지 않다”며 “일부 제품의 경우 고유의 뚜껑 색을 채택하거나 병 디자인을 다르게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2024.09.18 09:16류승현

新무기 장착한 세일즈포스, MS 제치고 기업용 AI 시장 '왕좌' 차지할까

"앞으로 새로운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통해 기업이 추가로 직원을 고용하지 않아도 짧은 시간 안에 업무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지금까지 우리가 일해왔던 방식을 통째로 바꿀 혁신이 될 것입니다."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새로운 기술을 앞세워 시장 주도권 굳히기에 나섰다. 기업이 직접 AI 비서를 만들 수 있는 신규 플랫폼으로 매출 확대에 본격 나선다는 각오다. 18일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세일즈포스는 지난 17일부터 오는 19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연례 기술 컨퍼런스 '드림포스 2024(Dreamforce 2024)'에서 '에이전트포스(Agent Force)'를 공개했다. 에이전트포스는 사전에 구축된 AI 기반의 '로우 코드 플랫폼'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영업, 서비스, 마케팅, 커머스 등 여러 고객 접점에서 빠르게 자율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로우 코드 플랫폼은 프로그래밍 관련 지식이 부족해도 손쉽게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에이전트포스'를 사전에 도입한 미국 백화점 '삭스 피프스 에비뉴'는 업무 효율이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고객이 구매한 옷에 대해 불만을 가질 경우 AI가 고객의 과거 구매 이력을 분석해 취향, 사이즈 등에 맞게 새로운 옷을 추천해 주는 방식으로 업무를 도왔기 때문이다. 또 이를 활용하게 되면 지역별 매출, 고객 불만 사항 등을 빠르게 파악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 출판사 '와일리'는 에이전트포스로 고객 응대 에이전트를 만들어 사람이 직접 대응하는 것보다 문제 해결 속도를 40% 이상 줄인 것으로 분석됐다. 클라라 샤이 세일즈포스 AI CEO는 "이는 에이전트포스의 두뇌인 '아틀라스(ATLAS) 추론 엔진'에서 시작된다"며 "아틀라스는 고객의 실제 성과 데이터를 학습해 더 스마트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세일즈포스는 오는 10월 8일 영국을 시작으로 '에이전트포스'를 일반 고객사에도 제공할 예정이다. 또 내년까지 10억 개의 에이전트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베니오프 CEO는 "에이전트포스는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한다"며 "고객 성공을 위한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브라이언 밀햄 세일즈포스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직원 수가 5천 명인 콜센터에서 5년 이내에 30%의 직원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라며 "(에이전트포스 활용 시) 기업들은 앞으로 더 적은 고용을 선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세일즈포스의 데이터 클라우드가 뒷받침된 결과다. 세일즈포스는 AI가 원활하게 작동하고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 클라우드를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갖추기 위해 노력했다. 모든 고객 관련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해 제공하는 데이터 클라우드로 기업은 맞춤형 고객 경험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윈덤, 애스턴마틴 등 고객사들은 데이터 클라우드를 통해 고객 서비스 사례 해결률을 55% 높이고, 중복 데이터는 50% 이상 줄이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라훌 오라드카르 세일즈포스 데이터 클라우드 총괄 매니저는 "자사 데이터 클라우드는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브릭스 등의 기업과 공존하며 제로 카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며 "이를 통해 고객은 레이크하우스나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해 AI 에이전트와 함께 실시간으로 업무 흐름을 자동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세일즈포스는 AI 시장을 이끌기 위해 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날 '드림포스 2024' 행사에선 세일즈포스 벤처스가 5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AI 펀드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곳에선 지난 18개월 동안 24개 AI 스타트업에 투자해 온 성과도 함께 공유됐다. 지금까지 투자한 곳은 앤트로픽(Anthropic), 코히어(Cohere), 런웨이(Runway), 미스트랄(Mistral), 허깅페이스( Hugging Face) 등 AI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다. 폴 드류스 세일즈포스 벤처스 매니저는 "AI 혁신이 기업 비즈니스 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에 윤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신뢰와 책임을 바탕으로 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일즈포스는 이날 행사에서 소개한 '아인슈타인 원' 플랫폼으로 기업용 AI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는 각오다. '아인슈타인 원'은 대화형 생성 AI로 마케팅, 커머스, 서비스 등에 필요한 정보와 콘텐츠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제품으로, '아인슈타인 트러스트 레이어'가 접목됐다. 기업은 '아인슈타인 트러스트 레이어'를 통해 데이터 보안 및 개인 정보를 보호함과 동시에 생성형 AI를 접목해 업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업계에선 고객들이 AI 활용을 위해 세일즈포스, 서비스나우 등 소프트웨어 기업들에게 비용을 지불할 지를 두고 의문을 표했다. 또 '코파일럿'을 앞세워 이미 기업용 AI 시장에서 영역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도 아직까지 이를 증명해내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초부터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AI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수익성에 대해) 거의 입증하지 못했다"며 "AI로 인한 매출 및 가치 상승 대부분은 엔비디아 같은 하드웨어 업체나 오라클 등 클라우드 인프라 업체가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가 작성된 콘텐츠를 요약하거나 초안을 작성할 수 있는 AI 비서를 출시했다"며 "가장 잘 알려진 MS 코파일럿에 대해서도 일반 고객들은 이 기능에 대해 비용을 지불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I를 활용하는 회사가 인력을 점차 충원하지 않는다면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매출 성장도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각 기업들이 주로 제품 사용 권한이 있는 근로자 수에 따라 소프트웨어 기업에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세일즈포스는 새로운 AI 기능의 비용을 사용하는 직원 수가 아닌 결과에 따라 가격을 책정키로 했다. 가격은 대화당 2달러인 것으로 알려졌다. 밀햄 COO는 "우리는 기업 고객들이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원한다"며 "AI가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많이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09.18 08:59장유미

GSMA, 통신 업계가 책임 있는 AI의 전개를 이끄는 가운데 성숙 로드맵을 론칭

이 도구는 통신 업계가 약 6,800억 달러에 달하는 시장 기회를 활용함에 따라 통신 업체들이 책임 있고 윤리적인 AI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측정하도록 한다 런던, 2024년 9월 18일 /PRNewswire/ -- GSMA는 오늘 책임 있는 AI 이용을 테스트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와 지침을 통신 사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통신 업계 전반에 걸친 최초의 책임 있는 AI(RAI) 성숙 로드맵을 오늘 론칭한다. 맥킨지는 통신 업계의 AI 이용 확대에 따른 전체 시장 기회가 향후 15~20년 동안 6,8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GSMA는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AI 이용을 위해 통신 업계를 통합하고 있는데 이는 어떤 전체 분야가 AI에 대해 공통적인 접근 방식을 약속한 최초의 사례이다. 통신 조직들은 맥킨지와 운영자 그룹의 통찰을 바탕으로 개발된 이 로드맵을 통해 자신들이 가고자 하는 과정에서 책임 있는 AI 이용 수준이 자신들의 기존의 성숙도 면에서 지금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로드맵은 그런 다음 이 야심에 찬 계획들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명확한 지침과 측정 도구를 제공한다. 이 로드맵의 개발은 MNO들의 작업에서 AI의 모색과 적용이 윤리적이고 책임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그들 다수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다. 폭넓은 업계 협의를 거친 GSMA 로드맵은 이러한 접근 방식들과 전 세계의 기존 규제, 권고 사항과 OECD,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들의 표준을 결합했다. 이 로드맵은 악시아타, 도이치텔레콤, 오렌지, 텔레포니카, 텔스트라가 지지했다. 이미 19개 MNO들이 이 로드맵을 책임 있는 AI 이용의 추적, 유지와 개선 방법으로 활용하기로 약속했다. GSMA의 로드맵은 책임 있는 AI 이용에 대한 더 명확한 정의와 공통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MNO들에게 본 로드맵의 전적인 채택을 약속하고 그에 따라 AI의 가치를 더 빨리 구현할 수 있는 확신을 준다. 매츠 그랜리드(Mats Granryd) GSMA 사무총장은"AI의 혁신 능력은 오랫동안 분명했지만, 우리의 일과 삶에 대한 AI의 적용은 AI가 진정으로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책임 있고 투명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면서 "책임 있는 AI는 이 기술이 제공하는 많은 기회를 모색하고 활용하는 올바른 방법이기 때문에 통신 업계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약속하는 최초의 분야로서의 선도적인 역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다른 분야들도 우리의 사례를 따르기 바란다"고 말했다. 전체 보도 자료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882833/4913972/GSMA_Logo.jpg?p=medium600

2024.09.18 02:10글로벌뉴스

스카이, 마와리드 홀딩 컴퍼니가 주도하는 시리즈 C 라운드를 통해 자금 조달

외부 자금 투입 전 기업 가치가 5억 2,500만 달러인 스카이는 2025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파리, 2024년 9월 17일 /PRNewswire/ -- 고고도 플랫폼 시스템(HAPS)을 전문으로 하는 최고의 미국 항공우주 기업 스카이(Sceye)는 오늘 세계우주비즈니스위크(WSBW)에서 시리즈 C 펀딩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라운드는 정보 통신 기술, 위성과 디지털 솔루션 분야에서 확고한 입지를 갖고 있는 사우디 유수의 기업 마와리드 홀딩 컴퍼니(Mawarid Holding Company("마와리드"))가 주도했다. Test flight from November 2023 외부 자금 투입 전 기업 가치가 5억 2,500만 달러인 스카이는 이번 시리즈 C 펀딩 라운드를 마무리함으로써 동사의 자산 구조를 강화했다. 동사는 이를 통해 R&D 활동, 비행 프로그램, 2025년 초에 시작될 상용화에 자금을 댈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전략 동맹은 라틴 아메리카에 초점을 맞춰 시리즈 B 라운드의 최대 투자자로 참여한 아메리카 모빌(América Móvil)에 이어 스카이의 성공적인 파트너십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스카이 CEO 겸 설립자 미켈 베스터가드 프랜센(Mikkel Vestergard Frandsen)은 "시리즈 C 라운드는 스카이에게 중요한 이정표"라고 하면서 "이 자금은 플랫폼 개발과 상용화 로드맵을 가속함으로써 HAPS 기술의 2025년 상용화를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다. 우리는 마와리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위한 새로운 영역과 시장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와리드 부회장 가산 이타니(Ghassan Itani)는 "이번 파트너십은 기술 발전을 개척하고 핵심 산업 부문에 서비스하는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마와리드의 의지를 강화한다"면서 "우리는 HAPS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전략적인 산업 솔루션들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로서의 위상을 제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시리즈 C 투자 발표는 운항 지역 상공에 머물면서 영구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달성한 스카이의 2024년 비행 프로그램의 성공에 따른 것이다. 본 시험 비행을 통해 스카이 HAPS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으며, 태양광 에너지가 낮 시간대에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고 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를 통해 야간 비행이 가능하다. 이 성과는 지상 시스템과 우주 시스템 사이에 새로운 인프라 계층의 출현을 의미한다. 이는 연결성을 확대하고, 재난 대응을 관리하며, 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기후 관련 재난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HAPS 기술의 혁신적인 능력을 부각한다. 스카이 2014년에 설립된 스카이는 사람들을 연결하고 지구를 보호하기 위한 성층권 기술 발전에 전념하는 항공우주 회사이다. 스카이는 고고도 플랫폼 시스템(HAPS) 업계를 선도하며 보편적 연결성, 기후 모니터링, 천연 자원 관리와 재해 예방에 집중하고 있다. 마와리드 1968년에 설립된 마와리드 홀딩 컴퍼니(MHC)는 ICT, 위성과 디지털 솔루션 외에도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사우디 유수의 기업이다. MHC는 1990년대 초부터 이리듐 커뮤니케이션즈(Iridium Communications Inc.)(나스닥: IRDM)에 설립자와 주주로 참여한 것과 중동 전역의 다양한 ICT와 미디어 분야(예를 들어, 살람(Salam), TLS, ATSS, "누르삿(Noorsat): 지구 정지 괘도 위성 운영사")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등 전 세계 커뮤니케이션 지형에서 활약해 왔다. 미디어 연락처: Jasmine Wallsmithjw@sceye.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06000/AD6_Wide.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484213/sceye_logo_suitcase_logo_full_colour_rgb_1000px_72ppi_ID_a12cb870d06f_Logo.jpg?p=medium600

2024.09.17 22:10글로벌뉴스

배터리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두코시의 셀 모니터링 칩셋, 양산 준비 완료

독자적인 칩 온 셀 기술은 C-SynQ®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의 성능, 안전성, 확장성과 수명을 개선하고 배터리 패스포트 규정을 지원한다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2024년 9월 17일 /PRNewswire/ -- 배터리 시스템의 성능, 안전성 및 지속 가능성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기술 회사 두코시(Dukosi Ltd)가 안전에 중요한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을 위한 두코시 셀 모니터링 시스템(DKCMS)을 양산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했다. DKCMS 코어 하드웨어는 AEC-Q100을 준수하는 광범위한 인증 테스트를 거쳤으며, 전기 자동차(EV)와 고정식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의 엄격한 요구 사항과 기대 수명을 충족했다. 두코시의 독보적인 칩 온셀 기술과 전용 C-SynQ® 통신 프로토콜은 배터리의 설계와 모니터링 방식을 혁신한다. 또한 DKCMS 온 셀 모니터링과 비휘발성 임베디드 메모리는 수명 추적 능력을 갖고 있어 고객들의 제품이 EU 배터리 패스포트와 같은 향후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두코시의 새로운 비접촉식 솔루션은 종래의 유선 및 원거리 무선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물리적 설계 제약을 제거함으로써 더 큰 안전성, 설계 유연성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DKCMS 코어는 DK8102-AQ-25 셀 모니터 칩, DK8202-AR-25 시스템 허브 칩, 두코시 API와 C-SynQ®로 구성된 독특한 비접촉식 배터리 셀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각 셀에 직접 장착된 셀 모니터는 필요한 셀 밸런싱 기능 및 진단과 함께 전압 및 온도와 같은 주요 작동 파라미터들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한다. 시스템 허브는 단일 버스 안테나를 통해 두코시의 독자적인 C-SynQ를 사용하여 모든 셀 모니터와 BMS 호스트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관리한다. C-SynQ는 예측 가능한 레이턴시를 통해 매우 안전하고 매우 견고하며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하며 모든 셀 모니터 측정을 동기화하여 최적의 팩 성능을 구현한다. 두코시의 시장 선도적인 배터리 셀 모니터링 솔루션에 대해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의 베스트 프랙티스 조사 애널리스트인 실바나 룰렛(Silvana Rulet)은 "두코시는 칩 온 셀 감지 플랫폼을 통해 경쟁사들보다 앞서 충족되지 않던 시장의 니즈를 해결했다"면서 "이 솔루션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온보드 프로세싱과 메모리를 통해 각 배터리 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게다가 이 기술을 통해 셀과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간에 정확하고 비접촉식이며 동기화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직들은 모든 셀의 상태, 문제 여부와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코시 솔루션을 위한 시장은 상당한 규모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배터리의 셀 당 하나의 두코시 셀 모니터에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14.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차 및 BESS의 공개된 판매량 예측을 근거로 하면 2025년에 20억 개의 IC들이 공급될 수 있는 기회가 있다.[1][2] 두코시 CEO 마크 핀토(Mark Pinto)는 "지금은 우리가 첫 번째 DKCMS 칩을 생산에 투입하고 있는 가운데 모든 셀에 진정한 지능을 제공하는 매우 기대되는 시기"라고 하면서 "우리는 전 세계 모든 지역에 신경을 쓰고 있으며, 전 세계로 확장하는 시장 기회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해 인재와 입지를 키우고 있다. 우리는 여러 고객과 파트들이 자신들의 차세대 배터리와 BMS 설계에 DKCMS 설계를 반영토록 했는데 이는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과 성공에 대한 우리 공동의 철학을 부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두코시 두코시는 배터리 시스템의 성능, 안전성,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배터리 가치 사슬을 구현하는 혁신 기술을 개발한다. 동사는 전기 자동차(EV), 산업 운송과 고정식 에너지 저장 시장을 위한 칩 온 셀 기술과 C-SynQ®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독자적인 셀 모니터링 솔루션을 공급한다. 영국 에든버러에 본사가 있는 두코시는 미국, 아시아와 유럽에 지사를 두고 글로벌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dukosi.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1] https://about.bnef.com/blog/electric-vehicle-sales-headed-for-record-year-but-growth-slowdown-puts-climate-targets-at-risk-according-to-bloombergnef-report/[2] https://about.bnef.com/blog/global-energy-storage-market-records-biggest-jump-yet/ 로고 - https://mma.prnewswire.com/media/2503171/4906323/dukosi_Logo.jpg

2024.09.17 17:10글로벌뉴스

美소매업체 홈디포, 과다 청구 덜미...과징금 26억원 전망

미국의 건축 자재 소매 업체 홈디포(Home Depot)가 허위 광고와 불공정 경쟁에 관여한 혐의로 200만 달러(약 26억 원)를 지불할 예정이다. CNN은 홈디포에서 고객이 상품을 계산할 때 가격표에 표시된 금액보다 더 많은 돈을 청구하는 사례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위반 행위는 '스캐너 위반(scanner violations)'이라 불린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지방법원 보도자료에 따르면 회사는 170만 달러의 민사 벌금과 27만 달러의 조사 비용 및 향후 소비자 보호법 집행 지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판결에 따라 가격 정확성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지방검사 조지 가스콘(George Gascon)은 성명을 통해 “허위 광고와 불공정 경쟁은 소비자의 신뢰를 훼손하고 시장을 왜곡하는 심각한 범죄”라고 매체에 전했다. 회사는 답변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해당 금액이 회사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며, 홈디포는 미국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매업체라고 설명했다. 회사는 지난 3월 건축 자재 공급 대기업인 SRS 디스트리뷰션(SRS Distribution)을 183억 달러(약 23조 7천900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2024.09.17 09:00류승현

마이크로소프트, 차세대 AI 헙업툴 '코파일럿 페이지' 공개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업 혁신 가속을 위해 모든 업무를 인공지능(AI)으로 통합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관리 및 사용자 경험을 위해 코파일럿에 오픈AI 신규 AI 'GPT-o1'를 도입하고 신규 기능인 페이지(page)를 선보인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는 17일 오전 12시 개최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제2의 물결(Wave 2)'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코파일럿의 신규 업데이트 및 전략을 제시했다. 사티아 CEO는 코파일럿을 먼저 소개하며 'AI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for AI)'라고 표현했다. 기업 혁신 과정에 필요한 AI를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라는 의미다. 코파일럿은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 등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산성 앱과 연계해 기업에 빠르게 도입되며 혁신을 가속하고 있다. 그는 “코파일럿 출시 18개월만에 사용자 수가 4억 명을 넘어서는 등 마이크로소프트 365 서비스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 중”이라며 "코파일럿은 단시간에 업무 환경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나 1년 6개월 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차세대 업데이트를 통해 영업, 회계 등 기업 내 모든 업무에 도입되어 전방위로 업무를 혁신하고 전사적인 협업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새롭게 선보이는 기능이 페이지다. 페이지는 팀즈와 달리 AI와 연계한 실시간 연계를 고려한 협업 플랫폼이다. AI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편집하고 협업할 수 있으며, 경영, 영업, 개발, 홍보 등 여러 부서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AI의 도움을 받아 업무를 연계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내부의 업무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페이지에 연결함과 동시에 웹 데이터도 연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 차세대 업데이트에서 대규모 협력과 파트너십을 강조한 것을 코파일럿 출시 후 그동안 주로 기업에서 프로젝트 단위로 사용하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이다. 여러 부서가 연계해 성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만큼 프로젝트 단위를 넘어 확대하기 위한 시도라는 분석이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AI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내고 웹데이터와 업무를 결합해 새로운 성과를 내는 등 마법 같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PC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를 탄생시켰듯이 플랫폼 변화는 업무 도구를 변화시킨다"며 "코파일럿은 이제 기업 오케스트레이션 계층이 되고 있고, 페이지는 새로운 업무 도구로서 여러분의 생산성에 새로운 변화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09.17 08:51남혁우

LCD 가격 하락세에…'감산' 카드로 반등 노리는 中

중국 주요 LCD 패널 제조업체들이 다음달 생산량을 크게 줄일 것으로 관측된다. 현지 최대 명절을 맞아 LCD 패널의 가격 하락세를 인위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에 삼성전자·LG전자 등 국내 TV 제조업체의 수익성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중국 LCD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은 다음달 공장 가동률을 급격하게 낮출 계획이다. 현재 LCD 패널은 BOE, CSOT, HKC 등 대부분 중국 기업들이 양산하고 있다. 이들 3개 업체가 LCD TV 패널 시장에서 차지하는 출하량 점유율(면적 기준)은 60%를 넘어선다. 이들 기업은 오는 3월부터 9월까지 평균 80% 수준의 가동률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오는 10월에는 가동률을 61%까지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타 패널 제조업체들은 75~82%로 비교적 안정적인 가동률을 기록하면서, 전체 LCD 팹 가동률은 9월 82%에서 10월 68%로 14%p 가량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패널 업체들이 공장 가동을 멈추는 이유는 10월 1일부터 일주일간 국경절을 맞기 때문이다. 다만 실제 공장이 멈추는 기간은 이보다 긴 최대 2주로, 하락세에 접어든 LCD 패널 가격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LCD TV 패널 가격(55인치 기준)은 올해 초 122달러에서 2분기 130달러를 넘어섰으나, 이달 124달러까지 하락했다. 옴디아는 "중국 주요 기업들이 4분기 중반까지 매달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LCD TV 패널 가격 하락에 대응하고자 생산을 조절할 계획"이라며 "시장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이들 업체의 공장 가동률 통제는 전체 LCD TV 패널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자, LG전자 등 TV 제조업체들도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기업들이 가동률 조정을 통해 LCD 패널 가격을 당초 예상보다 높게 끌어 올리는 경우, TV 사업 수익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국내 패널 제조업체들도 LCD를 생산해 왔으나, OLED로 사업을 전환하면서 생산능력을 꾸준히 줄여 왔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지난 2022년 LCD 사업에서 철수했다. LG디스플레이는 주요 LCD 생산라인인 중국 광저우 팹의 매각을 추진 중이다.

2024.09.17 08:46장경윤

마이크로소프트, 차세대 코파일럿 공개…"전방위 혁신 가속"

마이크로소프트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업무 비서 코파일럿의 차기 사업전략을 공개했다. AI로 일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던 것을 넘어 웹과 PC를 포함한 모든 업무와 협업 프로세스를 코파일럿으로 통합하고 자동화해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혁신을 제공하겠다는 포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7일 오전 12시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제2의 물결(Wave 2)' 온라인 이벤트를 링크드인을 통해 진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혁신의 다음 단계(The Next Phase of Microsoft 365 Copilot Innovation)'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이벤트는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와 자레드 스파타로 마이크로소프트 365 부문 부사장이 시작을 알렸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코파일럿 사용자 수가 4억 명을 넘어섰으며, 일일 동시 접속자 수는 분기별로 약 두 배씩 증가하고 있어 출시된 지 18개월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이 믿기 어려울 정도”라며, “실제로 코파일럿은 마이크로소프트 365의 서비스 중 가장 빠른 도입 속도를 기록 중”이라고 성과를 밝혔다. 이어 "코파일럿은 단시간에 업무 환경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업무 수행 방식과 업무 흐름을 혁신하고 있다"며, "새롭게 선보이는 AI 기능인 코파일럿 페이지(이하 페이지)와 개선된 AI 기능을 더해 모든 환경에서 업무를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추후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차세대 코파일럿 업데이트는 '실시간 AI 협업 환경'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순한 개별 기능의 향상을 넘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AI와 상호작용하며 문서를 작성하거나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 실제 업무를 돕는 비서를 지원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새롭게 추가된 페이지는 여러 사용자와 AI의 협업을 목표로 개발된 작업 환경이다. 팀원들은 공동으로 작업하거나 각자 작업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AI는 업무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거나 요약할 뿐 아니라, 패턴을 분석해 새로운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업무에서 생성되거나 정리된 데이터는 별도로 저장되어 차기 업무 등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워드, 엑셀, 아웃룩 등 마이크로소프트 365 앱에서 지원하는 코파일럿의 성능도 개선됐다. 이제 엑셀은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코파일럿을 이용해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자연어만으로 예측, 리스크 분석 등 고급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함수를 비롯해 조건부 서식, 차트, 피벗 테이블 등 복잡한 작업도 기존에 비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유형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분석도 가능하다. 파워포인트에는 프롬프트만으로 프레젠테이션의 초안을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내러티브 빌더 기능이 추가됐다.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와 내용을 자동으로 추가하고, 수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템플릿도 지원한다. 기업 가이드라인을 AI가 분석 후 이에 적합하게 프레젠테이션 양식을 설정하는 브랜드 매니저도 새롭게 선보인다. 팀즈는 회의 중 발생하는 모든 대화를 분석해 전체 회의 맥락을 요약하고, 검토 과정 중 누락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웃룩은 중요한 메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요약 정보를 제공하며, 메일 답변 작성 시 관련 메일을 분석해 적합한 내용을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밖에도 워드는 이메일과 회의 내용을 참조해 초안을 빠르게 작성할 수 있으며, 원드라이브는 최대 다섯 개의 파일을 실행하지 않고도 요약 및 분석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이날 공개된 마이크로소프트 365 기능은 대부분 올해 하반기에 미리보기 방식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을 활용해 간단하게 생성형 AI 기반 챗봇을 만들어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코파일럿 에이전트도 공개했다. 코파일럿 에이전트는 오류 검사, 일정 관리, 업무 알람 등 프리셋으로 제공되지 않지만,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적용해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간단한 업무부터 복잡하고 민감한 업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만든 설정을 공유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업무에 최적화된 에이전트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 도구인 에이전드 빌더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연어만으로 대화형 AI 에이전트를 쉽게 구성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다. 자레드 스파타로 부사장은 "코파일럿을 개발하면서 우리는 어느 때보다 고객과 깊이 있게 교류하고 있다"며, "수천 명의 고객이 코파일럿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700개 이상의 제품 업데이트와 150개의 새로운 기능을 출시하며 성능을 개선했다"고 말했다. 이어 "AI 모델을 GPT-4.0으로 전환하면서 응답 속도는 두 배 빨라졌고, 응답 만족도는 3배 향상되는 등 고객과의 최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며, "우리는 계속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개선하고, 웹과 업무, 페이지를 통합해 하나의 일원화된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4.09.17 08:40남혁우

"학생 수는 줄어드는데 촉법소년은 확 늘었다"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은 지난 3년간 범죄유형별 촉법소년 현황을 받아 분석한 결과 2021년 1만1천677 명이던 촉법소년이 2023년 1만9천653 명으로 1.68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강간 추행 관련 촉법소년 수는 398 명에서 760 명으로 1.9배 증가했다. 또 절도 관련 5천733 명에서 9천406 명으로 1.6배, 폭력 관련 촉법소년도 2천750 명에서 4천863 명으로 1.7 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전국적으로는 대구에서 2021년 369 명이던 촉법소년이 988 명으로 2.68배 증가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증가율이 높은 지역으로 세종, 경기 북부, 제주, 충남이 대구 뒤를 이었다. 촉법소년은 증가하고 있지만, 학령기 인구는 2020년 총조사인구 기준으로 10~14 세는 225만2천113 명, 5~9 세는 223만8천916 명, 0~4 세는 168만4천917 명으로 급감하고 있다. 학령기 인구는 줄어드는데 촉법소년은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촉법소년의 경우 형벌을 받을 범법행위를 한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형사미성년자로 형법 제 9조에 따라 형사처벌을 하지 않고, 가정법원이 소년원으로 보내거나 보호관찰을 받게 하는 등 보호처분을 받는다. 한편 경찰에 따르면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 전체 피의자 수는 지난 4년간 461 명으로 그중 10 대가 325명, 70.4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수진 의원은 “학령기 학생은 줄어드는데 최근 3 년간 촉법소년 수가 급증하고 있고 딥페이크 영상이 10대 청소년 사이에서 빠르게 번지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며 “촉법소년 연령하향 논의 외에도 청소년들의 범죄를 가볍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기술발달에 따른 AI 윤리 교육 등을 확대하는 등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4.09.17 08:31박수형

TV 시장이 바뀌었다…삼성·LG, 콘텐츠로 돈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기존의 TV 판매 중심에서 채널 플랫폼(OS)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TV 판매는 1회성 수익으로 그치지만,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와 광고는 지속적인 수익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양사는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활용한 장기적인 수익 모델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 삼성전자, 'TV 플러스·아트 스토어'로 수익 다변화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타이젠 OS가 탑재된 TV에서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FAST·Free-Ad Supported Streaming) 서비스 '삼성 TV 플러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삼성 TV 플러스는 TV에 인터넷만 연결하면 영화, 드라마, 예능, 뉴스, 스포츠, 어린이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채널형 비디오 서비스다. 삼성 TV 플러스는 현재 27개국 3000여개 채널과 5만여개 주문형 비디오(VOD)를 제공하고 있다.오는 10월에는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확장해 총 30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콘텐츠 종류도 다양해졌다. 지난 7월부터 유튜브 채널 콘텐츠를 송출하는 '바오패밀리' 채널을 새로 선보인데 이어 국내에서는 'KLPGA 투어', 유럽에서는 '유로2024' 등 스포츠 경기 실시간 생중계 서비스도 시작했다. 또 숏폼·미드폼 콘텐츠에 익숙한 MZ세대를 겨냥한 인기 인플루언서 VOD 콘텐츠도 도입했다. 삼성 TV 플러스 사업 매출은 2021년 1조원을 기록한 이후 매년 성장세다. 지난 9일 IFA 2024 기자 간담회에서 김용수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삼성 TV 플러스 누적 시청 시간이 지난해 50억 시간을 기록했고, 내년에는 100억 시간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또한 2017년부터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을 통해 '삼성 아트 스토어'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더 프레임'은 TV를 켜면 고화질의 영상 콘텐츠가, TV가 꺼지면 아트 디스플레이로 전환되는 기능으로 TV를 액자처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삼성 아트 스토어'에 매월 구독료를 내면, 2500여 점의 미술 작품을 제한 없이 감상할 수 있고, 삼성전자는 구독료 기반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 LG전자, LG 채널 미디어 플랫폼 사업 확장 LG전자 또한 웹OS 기반 TV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광고, 서비스 등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2015년부터 무료로 제공한 'LG 채널' 서비스는 현재 29개국에서 3800개 채널을 운영 중이며, 파라마운트, 디즈니플러스 등과 협업을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CEO는 지난 8월 '인베스터 포럼'에서 "TV 사업의 지향점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하고 웹OS 광고, 콘텐츠 사업을 가속화하고 있다"라며 "TV 웹OS는 2018년 이후 연평균 64%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으며, 올해 1조원 매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플랫폼 사업의 특성상 모수에 해당하는 제품이 많을수록 사업 규모가 커진다. 이에 LG전자는 웹OS를 TV뿐 아니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스마트 가전 등으로 확장해 매출을 높인다는 목표다. 또 게임이나 맞춤형 쇼핑, 건당 개별 결제 콘텐츠인 T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조 대표는 "웹OS 플랫폼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2027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전 세계 4천개 이상 콘텐츠 파트너와 협업을 이가고, 데이터 분석업체 알폰소와 협력해 맞춤형 광고 솔루션 확대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2024.09.17 08:21이나리

Xinhua Silk Road: 2024 중국 국제 서비스 무역 박람회 12일 개막

-- 글로벌 서비스 기업 간 공동 번영 도모 위해 9월 12~16일 5일간 열려 베이징 2024년 9월 16일 /PRNewswire=연합뉴스/ -- '2024 중국 국제 서비스 무역 박람회(CIFTIS)'가 9월 12일 '글로벌 서비스, 공동 번영(Global Services, Shared Prosperity)'을 주제로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개막한다. 올해 CIFTIS에는 전 세계 85개국과 국제기구, 포춘 글로벌(Fortune Global) 500대 기업 및 다양한 산업에서 종사하는 선도 기업 450여 곳이 참가하는 가운데 주제별 포럼, 회의, 프로젝트 추진 회의, 부대 행사 등 100여 개 행사가 연이어 개최된다. 또한 200개가 넘는 통합 혁신 성과도 발표될 예정이다. 2020년 질적 업그레이드를 거친 이후 영향력과 주목도가 크게 높아진 CIFTIS는 서비스 부문과 서비스 무역의 협력을 촉진하고 개방 확대와 협력 심화 및 혁신 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국제 공공재로 자리 잡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CIFTIS에는 197개 국가와 지역에서 90만 명 이상의 전시업체 종사자가 참가했다. 시마홍(Sima Hong) 베이징 부시장에 따르면 CIFTIS가 열리는 중국국가회의센터(China National Convention Center) 내 특별 전시장에서는 참가국과 국제기구의 서비스 무역이 가진 장점과 특징이 전시된다. 또 다른 개최 장소인 쇼강공원(Shougang Park)에서도 특별 전시장을 마련해 외국 문화관광의 특징을 선보일 예정이다. Photo taken on September 11, 2024 shows the interior of the China National Convention Center exhibition area of the 2024 China International Fair for Trade in Services. (Xinhua/Ju Huanzong) 올해 CIFTIS 기간에는 육안으로 보는 3D 디스플레이, 자율주행, 디지털 문화관광, 스마트 교육, 지능형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새로운 기술과 제품 및 시나리오도 전시될 예정이다. 중국이 서비스 무역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자 정책 배당금이 잇달아 빠르게 풀리면서 글로벌 신뢰도를 높이고 외자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선사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인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의 쉬샤오펑(Xu Shaofeng) 수석 부사장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활력이 넘치는 중국 시장에 맞는 혁신적인 맞춤형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현지 파트너와 협력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내고자 한다"고 말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올해로 5번째 CIFTIS에 참가했다. 탕원홍(Tang Wenhong)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부부장은 "중국은 현대화를 통해 이뤄낸 새로운 성과를 바탕으로 전 세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올해 CIFTIS는 모든 측면에서 정밀한 매치메이킹(matchmaking)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더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원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2126.html 출처: Xinhua Silk Road

2024.09.16 11:10글로벌뉴스

LG엔솔, 독일 전시회서 '고전압 미드니켈 CTP' 첫 선

LG에너지솔루션은 오는 17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되는 상용차 전문 전시회 'IAA 트랜스포테이션 2024'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IAA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모터쇼 중 하나로 독일 하노버에서 상용차 및 물류 솔루션을 다루는 'IAA 트렌스포테이션'이, 뮌헨에서는 승용차 중심의 'IAA 모빌리티'가 매년 교차로 개최된다. LG에너지솔루션이 IAA 트랜스포테이션에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볼보, 포드, 다임러 등 글로벌 주요 기업들도 참석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상용차 전동화의 새 지평을 열어갈 LG에너지솔루션의 파워 솔루션'을 주제로 상용차 시장에 특화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신사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전시공간은 총 220제곱미터(24개 부스) 규모로 ▲하이라이트 존 ▲상용 제품 라인업 존 ▲핵심역량 존 등으로 구성된다. 하이라이트 존에서는 이번 전시회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배터리인 파우치형 고전압 미드니켈 셀투팩(CTP) 제품이 자리한다. 고전압 미드니켈은 니켈 함량 40~60%에 망간 함량을 높여 안정성을 높이고, 고전압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끌어올린 제품이다. 원가가 높은 니켈, 코발트 비중을 낮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 CTP는 기존 배터리 구성에서 모듈 단계를 제거, 팩에 직접 셀을 조립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배터리 무게와 비용을 절감한 팩 디자인이다. 이번에 전시되는 파우치형 고전압 미드니켈은 대형 트럭 기준 최대 주행 거리가 600km에 달해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며, 충방전이 잦은 상용차 특성에 맞게 5천 사이클의 장수명도 지원한다. 팩 강성을 높이고 셀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열과 가스가 내부에서 퍼지지 않고 의도한 경로대로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는 팩 하부 벤팅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도 강화했다. 상용 제품 라인업 존에서는 전기 상용차의 높은 성능 기준에 맞춘 고용량, 고출력의 다양한 제품이 소개된다. 충전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고함량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된 셀∙모듈 제품과 고에너지밀도의 하이니켈에 알루미늄으로 안정성을 높인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제품 등이 전시된다. 이스즈 전기 트럭에 탑재되는 등 이미 상용차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2170(지름 21mm, 높이 70mm) 원통형 배터리 셀, 모듈, 팩 등도 선보일 예정이다. 핵심 역량 존에선 배터리관리종합솔루션(BMTS), 서비스형배터리(BaaS) 등 LG에너지솔루션의 신사업과 글로벌 생산 능력 및 미래 기술, ESG 전략 등도 확인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전기 상용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전기 상용차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압도적인 기술리더십에 바탕을 둔 고품질, 고성능 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해 시장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 이라고 밝혔다.

2024.09.16 10:25김윤희

'中에 시장 주도권 뺏길라'…현대차, 경쟁사 GM과 공동 전선

현대자동차가 경쟁 상대인 제너럴모터스(GM)와 전방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 배경으로, 최근 전기차를 필두로 약진하는 중국 기업에 맞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나타났다. 양사가 주도권을 가졌던 내연차 시장과 달리, 점차 커지는 전기차 시장에선 중국 기업들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원가 경쟁력을 무기로 점유율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단일 기업으로서 이에 대항하기보다 연합 전선을 구축하는 것이란 해석이다. ■정해진 미래 '전동화' 성적표 부진 따른 결단…中은 무섭게 성장 현대차와 GM은 지난 12일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잠재 협력 분야를 승용·상용 차량, 내연 기관, 친환경 에너지, 전기 및 수소 기술 등으로 밝혀 거의 모든 사업 영역으로 둔 것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협력 방안을 상세히 정하진 않았지만 생산 비용 절감 및 효율성 증대, 배터리나 철강 등 원자재 통합 소싱, 다양한 제품군의 신속한 제공, 기술 공동 개발 등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수요 성장세가 둔화된 데 반해 가격 경쟁은 심화되고 있어 기업들의 재무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 이를 '규모의 경제'로 해소하는 전략을 쓸 것으로 점쳐진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예년같지 않음에도 중국 기업 점유율은 지속 상승 중이다. 올해 들어 유럽에서 전기차 보급 촉진 정책이 축소되고, 이전까지 판매 1위였던 테슬라의 신차 출시가 지연되는 등 비(非)중국 기업들에는 악재가 많았던 데 반해 중국 기업들은 성장세가 뚜렷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기차 누적 판매량 기준으로 중국 기업인 BYD가 1위를 기록했다. 다른 중국 기업인 지리, SAIC, 창안 등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각각 3위, 5위, 6위를 기록했다. 내수가 큰 중국 시장을 제외해도 지리가 6위, BYD가 10위로 나타난다. 현대차의 경우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점유율이 9.4%로 나타나 전년 대비 1.2%p 줄었다. GM은 상위 10위권에 들지 못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 차이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BYD '시걸' 등 중국 기업들이 1천만원 후반대 수준까지 전기차 가격을 낮춰서 출시한 반면, 최근 기아가 출시한 보급형 전기차 'EV3' 가격은 3천995만원부터 시작해 격차가 크다. 그럼에도 전기차 배터리 용량과 충전 속도 등 기술 고도화가 더 필요해 기업들이 상당한 R&D 비용을 추가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포드는 지난 1분기 기준 전기차 한 대 당 손실이 10만 달러를 넘겼다고 밝힌 바 있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현대차와 GM 간 협력에 대해 "글로벌 경쟁 환경 변화라는 상황이 양사 간 협력의 배경일 것"이라며 "테슬라, BYD의 글로벌 시장 내 부상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전기차 원가 경쟁력 등 향후 예상되는 미래 사업 구조 변화 과정에서 레거시 자동차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컸다"고 분석했다. ■"공장 나눠 쓰고 원자재 같이 주문하면 비용 절감 기대" 양사가 협력해 경쟁력을 높일 방안으로 공장 생산라인을 공유하는 '리배징'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운영 중인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공장을 빌려 쓰는 입장에선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신윤철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픽업트럭 제품군에 대한 리배징으로 양사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GM그룹의 캐나다 오샤와 공장의 생산능력이 연간 20만대 이상이지만, 현재 13만대 내외의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현대차가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차급은 판매 중이지만, 픽업트럭 등 대형 차종은 판매하고 있지 않아 양사 수요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현대차가 유럽, 인도,동남아시아 등에 구축한 공장에 대한 리배징 가능성도 언급했다. GM이 이 시장에서 공장을 철수해 재진출에 대한 부담이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 입장에선 특히 미국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기대하고 이번 협업을 추진했을 것으로도 분석했다. 신윤철 애널리스트는 "GM그룹 글로벌 판매량의 약 75%가 미국과 중국에서 소화되고 있고 3위 시장인 브라질에서는 현대차와 GM 그룹이 서로 시장점유율 3, 4위를 다투고 있어 현대차가 실질적으로 GM그룹으로부터 도움을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며 "중국에선 양사 모두 로컬 업체와 협업 체제라 글로벌 협업 대상 시장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부 신흥국에서의 협업 또한 기대할 수 있겠으나 현대차가 GM그룹을 파트너로 택했다는 것은 결국 미국에서의 점유율 추가 확대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봤다. 원자재 통합 소싱을 통한 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일례로 전기차 배터리는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인데, 통합 소싱으로 협상력을 늘려 보다 저렴한 가격에 배터리 등을 수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관계자는 "GM과 협력 방안에 대해 현재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2024.09.16 09:59김윤희

"지난 8월 예산 동났다"…SW 구매 지원 사업, 전국 곳곳에서 '관심'

#. 용인특례시 모현읍에 살고 있는 이정훈(26·가명) 씨는 추석이 지난 뒤 어도비 플랜을 구독하기 위해 소프트웨어(SW) 구입 비용 지원사업 복지를 신청하려다 깜짝 놀랐다. 지난 10일 기준으로 사업이 마감됐다는 공지가 올라와 있던 것이었다. 예산 소진 시 사업 종료라는 문구가 있긴 했었으나 올해가 3개월 넘게 남은 시점에서 이 씨는 당황스러움과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SW 구입 비용 지원 사업이 압도적인 속도로 접수가 마감됐다. 3년째 용인시의 청년 복지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 복지 사업은 타 지자체에서도 관심을 보일 정도로 순항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용인시의 청년 SW 구매 지원사업 규모는 2022년 740명을 시작으로 2023년 840명, 2024년 약 700명의 사업 지원자 수를 기록했다. 지원자 수가 일부 축소된 것에 대해 해당 복지 담당자는 올해 새로 추가된 어도비의 SW 패키지 가격이 조금 비싸 예산이 예년에 비해 빠르게 소진됐다고 답했다. 용인시 관계자는 "이미 지난 8월 2주 차에 예산 소진으로 사업이 상당히 빠르게 마감됐다"며 "매우 만족·만족 등으로 사업 만족도 평가 진행 결과 만족도도 상당히 높게 나왔다"고 언급했다. 타 지자체가 시도하지 않았던 복지다 보니 사업에 대한 문의도 다양하다. 이미 올해 초 몇몇 시에서 사업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사업 진행을 어떻게 진행했는지 문의가 들어왔다는 것이 담당 공무원의 설명이다. 용인시는 올해 지원 SW도 늘렸다. 기존 지원 SW 패키지이던 한컴오피스, MS오피스에 올해는 어도비 18종을 추가했다.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프리미어 등 많은 청년들이 애용하지만 가격 부담이 있던 제품 구매 부담을 한결 덜게 된 것이다. 한컴오피스와 MS오피스 등 가정용 오피스 프로그램 구입 비용은 회사와 사용기간에 따라 각기 다르고 비용도 적지 않은 부담이었다. 한컴오피스 학생용 다운로드 금액은 9만9천원, 마이크로소프트 365 1년 구독 비용은 8만9천원이다. 클라우드 구독 시스템인 어도비는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프리미어가 각각 월 3만800원, 아크로뱃 프로는 2만6천400원의 월별 구독료를 기록했다. 용인특례시 수지구에 사는 최지나(19·가명) 씨는 "MS나 한컴 SW 패키지는 또래 친구들은 다들 기본으로 구비하는 분위기"라며 "재수를 하면서도 미술 계열을 희망해 일러스트레이터 등 어도비 SW가 필요했는데 지원사업으로 돈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해당 지자체에서만 진행되던 SW 구매 지원 사업이 마무리되고 한컴, 어도비 등 SW 기업들이 당분간 특별 할인 행사 계획이 예정돼 있지 않아 혜택을 받으려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할 전망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규모와 예산으로 사업 진행이 확정된 상태"라며 "회사·학교 등에서 SW를 지원받지 못하는 시민들을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2024.09.16 09:48양정민

현대차도 '배터리 내재화' 도전…테슬라와 다를까

현대자동차가 배터리 내재화 계획을 밝힘에 따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 동안 주요 플레이어인 테슬라를 포함해 자동차 업계가 꾸준히 전기차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기 위해 공을 들여왔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업계는 앞선 배터리 내재화 추진 사례와 마찬가지로 제품 개발 이후 '양산' 성공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양산 과정에서 수율을 잡지 못해 따르는 비용 등 문제를 고려하면 배터리 기업으로부터 제품을 수급받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28일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배터리 내재화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30년까지 보급형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니켈 비중을 조절해 기존 제품보다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에너지 밀도도 20% 이상 높이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자체 생산한 배터리와 차체를 통합하는 CTV(Cell to Vehicle) 구조도 도입할 방침이다. 부품을 줄이고 배터리 집적도를 개선해 CTP(Cell to Pack) 방식보다 배터리 시스템 중량을 10% 낮추고 재료비도 절감할 것으로 기대했다. 냉각 기술 고도화로 열 전달 성능은 최대 45% 개선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제조사가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게 되면 배터리 업계에 대한 협상력 강화도 기대할 수 있다. 업계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전기차 원가 중 배터리 비중은 40% 수준으로 상당하다. 배터리 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면 보다 유리한 입장에서 협상을 할 수 있고, 그만큼 이익을 늘릴 여지가 생긴다. 전기차를 보다 저렴하게 판매해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얻을 수도 있다. 전기차 시장에서 현대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전기차 판매량 기준 현대자동차그룹이 31만3천대로 7위를 기록했다. 현지 기업 중심인 중국 시장을 빼면 순위가 3위까지 올라간다. 현대차가 필요한 배터리 물량을 자체 생산으로 수급하게 될 경우 배터리 업계에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아직까지는 청사진을 제시했을 뿐, 난이도가 높은 양산까지 성공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뤘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는 개발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양산까지 다다를 수 있어야 한다”며 “양산 과정에서 절반이 불량이면 공장 운영이 불가능하고 이는 먼저 배터리 내재화를 추진 중인 테슬라도 여전히 풀지 못한 숙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테슬라도 4680 배터리를 2020년 발표하고 자체 생산에 도전 중이지만 여전히 수율을 효과적으로 높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연말까지 성과를 내지 못하면 자체 생산을 포기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지난 7월 흘러나왔다. 배터리 내재화에 성공하더라도 일부 물량을 자체 생산하고, 배터리 업체를 통한 수급을 병행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현대차가 전기차에 필요한 배터리 전량을 내재화하진 않을 것”이라며 “전량 양산하려면 투자 비용이 막대할 뿐더러, 화학 물질인 배터리를 전량 문제 없이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봤다. 이 관계자는 “2030년 배터리를 개발한다면 양산까지 최소 3~4년 걸린다고 보더라도 시점이 너무 멀고, 이 때 전기차 수요량이 어느 수준이 될지 현재로선 짐작하기 어렵다”며 “현대차의 배터리 내재화가 배터리 업계 매출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단언하긴 어렵다”고 전망했다.

2024.09.16 09:45김윤희

126년 전통 '파리 모터쇼' 돌아온다…유럽 車전시 희망 될까

올해 개최 126주년을 맞은 파리 모터쇼가 오는 10월 14일(현지시간)부터 20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2년에 한번씩 열리는 파리 모터쇼는 지난 2022년 이후 더욱 진보된 전동화 차량과 수소 콘셉트카가 전시될 예정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 엑스포 포르트 드 베르사유에서 열리는 '파리모터쇼2024'에는 최근 모터쇼 중 가장 진화된 유럽 전기차들이 등장할 전망이다. 올해 모터쇼는 프랑스 대표 완성차 업체인 '르노그룹'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르노그룹은 4개 브랜드(르노·다치아·알파인·모빌라이즈)가 참여해 5개 부스를 마련한다. 파리모터쇼에서 신차 7개를 최초 공개하고 2대의 콘셉트카를 전시해 파리모터쇼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보였다. 르노자동차는 이번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B세그먼트(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르노4를 공개한다. 르노는 지금까지 주로 준중형(C세그먼트)과 중형차종(D세그먼트)에 강점을 보였는데, 르노4를 통해 소형차종까지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르노4는 르노5와 합을 맞출 예정이다. 이 외에도 르노는 경형(A세그먼트) 차종인 트윙고, 차세대 밴 르노 프로, 심비오즈와 라팔 등을 포함한 E테크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고 마스터 수소 밴과 알파인 고성능 수소 하이퍼카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스텔란티스그룹은 시트로엥과 알파로메오 브랜드가 참여한다. 시트로엥은 인기 모델인 C4 부분변경을 출시하고 경형 전기차 아미(AMI)를 전시한다. 독일 완성차 업체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BMW, 미니, 아우디, 슈코다 등이 파리모터쇼에 참여해 신차를 선보일 예정이다. 폭스바겐은 티구안 후속 SUV 타이론L을 공개할 예정이다. 타이론L은 중국과 독일에서 생산할 차종인데, 중국 제일자동차그룹(FAW)와 폭스바겐 합작사에서 개발했다. 폭스바겐은 골프 모델의 전기차 후속 모델인 ID GTI 콘셉트도 함께 선보인다. 아우디는 Q6 이트론과 A6 이트론을 공개한다. 기아는 6년 만에 프랑스 모터쇼에 복귀한다. 기아 프랑스는 링크트인을 통해 참석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기아는 지난 5월 23일 공개한 EV3를 통해 프랑스 파리에서 스위스 제네바 주행거리만큼 달린다는 표어를 통해 유럽 공략에 뜻을 밝혔다. EV3는 파리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니로 EV의 수요를 일부 흡수하고 유럽 B세그먼트 수요를 이끌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국 브랜드들도 참여에 나섰다. BYD와 샤오펑, 홍치 등이 참여하고 미국 포드자동차도 전시하기로 했다. 포드는 유럽에서 쿠가를 판매해 유럽에서 가장 잘 팔리는 차종으로 올라서기도 했다. 2년 만에 돌아온 파리모터쇼에는 프랑스 주요 완성차가 대거 참여하면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유럽 주요 모터쇼가 축소, 폐지 등으로 위축됐기 때문이다. 파리모터쇼만큼 오래된 제네바모터쇼는 120년 만에 문을 닫았다. 주요 완성차 업체의 외면으로 인한 실패였다. 12개 국가에 자동차 정보를 전하는 월드카팬스(Motor1)는 "이번 파리모터쇼2024는 프랑스, 독일 그리고 중국의 대전"이라며 "최근 위축된 유럽 모터쇼에 희망 신호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2024.09.16 09:37김재성

펄어비스 붉은사막, 게임플레이 영상 공개…게이머 기대감↑

펄어비스(대표 허진영)가 최근 '붉은사막'의 게임플레이를 담은 50분 분량의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 검은사막은 뛰어난 그래픽과 시원시원한 액션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붉은사막'은 지난 2020년 12월 '더 게임 어워드'를 통해 영상이 첫 공개된 이후 지스타와 게임스컴 등 국내외 게임 전시회에 소개돼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이 게임은 광활한 파이웰 대륙에서 생존을 위해 싸우는 용병들의 이야기를 사실적인 캐릭터와 스토리로 그려낸 게 특징이다. 무엇보다 이 게임은 높은 수준의 액션성 하나만으로 이용자들에게 기대작으로 꼽힌 상태다. 이번 영상에서는 주인공 클리프가 처음 회색갈기 동료들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는 장면이 공개됐다. 클리프는 숙적 '검은 곰'의 함정에 빠져 큰 부상을 입고 거센 강물로 던져지며, 웅카, 얀, 나이라 등 회색갈기 동료들은 뿔뿔이 흩어진다. 이후 클리프는 에르난드 마을에서 동료들의 행방을 찾던 중, 미지의 공간 어비스로 인도돼 새로운 능력을 얻게 된다. 클리프는 부상을 당한 옛 동료와 재회하거나 기사단 무리와의 결투를 경험하며 점점 더 깊은 사건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바든의 부탁을 받아 사건의 실마리를 찾던 클리프는 배후에 있는 금풍상회의 존재를 알게 되고 결국 결전을 맞이하게 된다. 아울러 이번 시연 영상에서는 펄어비스의 자체엔진인 '블랙스페이스엔진'으로 구현된 세밀한 표현과 생동감 넘치는 환경, 날씨와 시간의 변화 등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싸움을 구경하던 청중들이 캐릭터 움직임에 따라 자리를 피해주는 등 수준높은 상호작용 기능이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펄어비스가 본격적인 게임 알리기에 돌입하면서 게임 출시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온다. 이 회사는 지난달 게임스컴에 이어 11월 부산 지스타에도 게임을 출품한다.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는 지난달 진행한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에서 "출시 일정은 게임이 원활히 마무리되고 있는 만큼 일정 가시성은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라면서 "하반기 중 마케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답했다. 특히 붉은사막의 내년 여름 출시가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게임 개발이 원활히 마무리되고 있는 만큼 일정에 대한 가시성은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며 "모든 개발자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만큼, 최대한 빠르게 개발을 마무리하고 출시 준비에 돌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펄어비스는 지난달 19일 하얀뿔(약 7분)을 시작으로 21일 리드데빌(약 8분), 사슴군주(8분), 여왕 돌멘게(퀸 스톤백 크랩·4분) 등 보스 4종과 전투하는 영상도 공개한 바 있다.

2024.09.15 11:29강한결

"재고 쌓여 못 버틴다."…돈줄 쪼이는 스텔란티스에 쏟아진 '불만'

지프와 램(Ram), 닷지, 크라이슬러 등 스텔란티스가 보유한 브랜드의 딜러들이 스텔란티스그룹의 비용감축 프로그램으로 인해 경쟁사에 뒤처지게 됐다는 불만을 제기했다. 15일 수입차업계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복수 외신에 따르면 스텔란티스 전국 딜러협의회(NDC)는 카를로스 타바레스 스텔란티스 최고경영자(CEO)가 "처참한 선택"을 했으며 이에 따라 매출이 급감했다고 주장했다. 스텔란티스는 최근 몇 년간 이익을 높이기 위해 신차 공급을 제한하고 차량 가격을 높인 뒤 할인을 줄였다. 당시 판매 전략은 성공을 거뒀다. 스텔란티스는 지난해 1천895억유로(279조원)를 벌어들이고 영입이익은 186억유로(27조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6%, 11%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익에 집착한 나머지 단기적인 실적에 집중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WSJ은 "차량 공급이 늘어나면서 (스텔란티스는) 다른 완성차 업체에 비해 적응이 뒤처졌다"고 보도했다. 딜러들도 "기록적인 수익을 확보하기 위한 무모한 단기 의사 결정이 시장 점유율 하락을 촉발했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올해 들어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8% 급감했고 재고는 쌓여가고 있다. 미국 시장 내 점유율도 떨어지고 있다. 콕스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스텔란티스 브랜드 4곳(지프·램·크라이슬러·닷지)은 올해 5월 기준 업계 평균 재고량(76일치)의 두 배에 가까운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 닷지는 미국 내 가장 많은 재고량인 151일치를 가지고 있고 크라이슬러도 143일치를 보유하고 있다. 지프와 램도 꾸준히 재고량이 쌓여가고 있다. 딜러들은 쌓여가는 재고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쟁사들이 할인을 제공하면서 지프와 램의 점유율을 빼앗고 있다고도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사가 나서서 고객 할인 프로그램을 늘리는 등 투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스텔란티스 측은 "딜러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스텔란티스그룹은 실적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이익률이 떨어지는 차량의 판매를 막고 생산량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딜러에 재고를 떠맡겨왔다. 이와 함께 인력을 약 2천450명을 해고하는 등 인건비 절약에도 나섰다. 한편 카를로스 타바레스 CEO는 950만달러(126억원)에 달하는 연봉을 받고 있다. 미국 3대 완성차인 제너럴모터스 메리 바라 회장, 포드 짐 팔리 CEO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받고 있어 스텔란티스그룹의 실적 부진에도 높은 임금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카를로스 타바레스는 스텔란티스 CEO 지난 7월 "수익 악화와 높은 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고 있으며 성과가 좋지 않은 브랜드를 정리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결 방안을 설명하기도 했다.

2024.09.15 11:14김재성

  Prev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독자 AI 프로젝트, K-AI 깃발 올렸다…10조 업고 G3 향해 출항

희비 갈린 뷰티 라이벌...아모레 ‘재정비’ 성공 vs LG생건 ‘중국 리스크’

[르포] 獨 자동차 도시에 나타난 '전동화' 바람…IAA 2025 본격 개막

[UDC 2025]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결제 재편 전략 자산"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