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카툑892jms 급|전 후기 빠른처리 상조내구제@❤️'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6403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트랜지스터 100억개 탑재 가속기 칩 개발…세계 5번째 슈퍼컴 제조국 되나

트랜지스터만 100억 개가 탑재된 8테라플롭스 급 슈퍼컴퓨터 가속기가 국내에서 개발됐다.이로 인해 우리나라가 세계 5번째로 슈퍼컴퓨터 제조국가로 등극할지에 관심이 쏠였다. 슈퍼컴을 제조할 수 있는 국가는 현재 미국, 중국, 일본, EU(프랑스) 4개국 뿐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K-AB21'이라 불리는 시스템온칩(SoC) 형태의 슈퍼컴퓨터용 가속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가속기 칩의 크기는 77 x 67㎜이다. 12나노 공정으로 제작됐다. 범용 프로세서와 64비트 병렬 연산기가 통합, 내장됐다. 부동소숫점(FP64) 연산 병렬처리용으로 8테라플롭스(TFLOPS) 성능을 가진다. 3U 크기 계산노드 1대에는 액체 냉각시스템을 포함한 가속기 칩 2개까지 탑재할 수 있다. ETRI는 오는 11월, 미국 애틀란타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SuperComputing24)에 이 칩을 통합한 계산노드를 전시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이 가속기 기능을 검증, 시연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무렵에는 고성능 컴퓨팅 서버와 SW 통합 실증을 추진할다는 방침이다. 현재, 범용가속기들은 AI용 저정밀도 연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고정밀도 연산이 필요한 전통 슈퍼컴퓨터 응용에서는 사용효율이 떨어진다. AI 추론용 가속기인 신경망처리장치(NPU)는 저정밀도 연산만 지원하다 보니 정확한 과학계산이나 정밀한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ETRI는 전통적인 고정밀도 슈퍼컴퓨터 응용을 가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핵심기술인 슈퍼컴 가속기 칩(SoC), SW, 계산노드를 자체 개발했다. 이 가속기는 칩 내에 약 100억 개의 트랜지스터(TR)가 들어가 있다. 국내 개발 최대 규모의 초병렬 프로세서(가속기 칩)인 셈이다. 칩 내에는 ▲고성능 코어 ▲4천여 개의 병렬 부동소수점 연산기 ▲DDR5, PCIe GEN5 등의 초고속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그리고 SW는 ▲컴파일러 ▲런타임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일연 인공지능컴퓨팅연구소장은 "가속기 시장이 기술분야에 특화돼 다변화(GPGPU, TPU, NPU, IPU 등) 되는 시점에서 ETRI의 슈퍼컴퓨터용 가속기 개발로 국내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 진출을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조 소장은 또 "이 가속기는 동일공정 세계 최고의 제품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향후 우리나라 슈퍼컴퓨터 기반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사업책임자인 ETRI 슈퍼컴퓨팅시스템연구실 한우종 연구위원도 “글로벌 빅테크들이 독식하고 있는 가속기 시장을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만큼은 우리 기술로 대체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특허 29건 출원, SCI 논문 15편, 기술이전 3건 등의 성과를 냈다. 연구진은 기술검증이 끝나는대로 상용화 시도와 함께 대규모·고성능 슈퍼컴퓨터 틈새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크기와 가격 등에 초점을 맞춰 고객 타깃팅 한다는 방침이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NRF)의 '초병렬 프로세서 기반 슈퍼컴퓨터 계산노드개발'과제 지원을 받았다. ETRI가 총괄 주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SW개발을 주도했다. 10여 개 대학 연구실과 2개의 국내 기업이 SW 및 계산노드 개발에 협력했다.

2024.10.30 22:56박희범

'핵 더 드론 2024' 성료···8개팀 본선 경연 'ierae'팀 1위

한국드론보안협회(KDSA, 회장 유영일)가 30일 삼성동 COEX에서 개최한 '핵더드론(Hack the DRONE) 2024' 본선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Hack the DRONE'은 한국드론보안협회가 주최하고, 테르텐과 경희대학교 융합보안대학원/SW중심대학사업단이 주관한 국제드론해킹방어대회다. 드론 보안 시장을 선도할 우수한 인재 발굴과 차세대 드론 기술의 안전성 및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전 세계 35개국에서 총 164개 팀이 참가, 어느 때보다 높은 관심을 모았다. 본선 대회는 예선에 참가한 164개팀 중 높은 점수를 획득한 상위 8개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본선 대회에서는 드론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하는 OS 자체 취약점이나 드론 컨트롤러의 취약점 등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문제들과, 드론의 통신 감청이나 강제 제어 등 통신 과정에서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문제와 같은 다양한 구성의 공격 시나리오를 포함한 문제들로 구성, 참가자들은 고도의 해킹 및 방어 기술을 선보였다. 기조강연은 대통령실 임종인 사이버특별보좌관이 '드론과 에어로스페이스 시큐리티'를 주제로 했다. 드론작전사령부 변성은 참모장도 김용대 사령관을 대신해 '미래 전장에서의 드론 전력 및 전술의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수상자들을 보면, 치열한 경쟁 끝에 1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은 ierae팀(Yuki Koike, Satoru Takekoshi, Kazuki Furukawa, Shinsuke Hamada)이, 2위 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은 KAIST GoN팀(조정훈, 이주창, 김동욱, 허승환), 3위 드론작전사령관상은 GYG팀(최정수, 송상준, 이준오, 최규범), 4위 사이버안보연구소 대표상은 하입보잉원팀(유재욱, 김동현, 심기용, 윤준원)이 각각 수상했다. 또 특별상으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장상과 한국정보보호학회장상은 각각 PwnersLab팀(김재기, 이인형, 최민엽, 곽기용)과 SuperSonic팀(박성준, 임원빈, 배원욱, 진국현)이 수상했다. 기술상 부문에서는 CompSec팀(김치헌, 이민기, 박기현, 김태연)이 한국드론혁신협회장상을, Physical LAB팀(김현식, 이예준, 황승재, 신윤제)이 한국드론보안협회장상을 받았다. 이날 개회식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드론작전사령부, 국회 등 다양한 기관에서 다수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후원 기업은 대한항공, 한화시스템, 안랩, 지니언스, 수산이앤에스, 센스톤, 블루문소프트, 유넷시스템즈, 아쎄따, 옥타코, 시큐어링크, 한시큐리티, 엠엘소프트, 퍼시몬랩, 씨아이피시스템즈, 아울시스템즈 등이 참여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날 개회식에서 “드론 보안을 위해선 이 자리에 있는 여러분들이 중요하다. 데프콘에서 3년 연속 한국인이 우승하는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면서 "드론 보안에서도 세계적인 인재가 나올 수 있게 정부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국회 과방위 이준석 국회의원은 “핵더드론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리고, 재미있는 기획을 해준 사람들에게 감사드린다. 국정감사에서 사이버 보안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면서 "우리가 가진 드론이 상대에게 이용당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영철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장은 “사이버 안보 분야는 매우 중요하다"면서 "드론 해킹을 방어할 수 있는 첨단 국가로 우리가 발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1회 대회와 함께 2회 대회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드론 보안 산업을 선도하게 된 한국드론보안협회 유영일 회장은 “이번 드론 해킹 방어 대회를 통해 드론 보안의 중요성과 그 취약점을 다시 한번 체감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드론 보안 분야에서 활약할 여러분의 미래를 응원하며, 협회 역시 더욱 안전한 드론 환경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4.10.30 22:46방은주

다올TS-애자일소다, AI시장 공략 협력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 국내 총판사인 IT전문기업 다올티에스(다올TS, 대표 홍정화)는 국내 AI시장 공략을 위해 기업용 AI 서비스 기업 애자일소다(대표 최대우)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다올티에스가 보유하고 있는 GPU 서버(XE9680) 기술 역량과 애자일소다의 다양한 솔루션들을 결합해 퍼포먼스를 극대화, AI 시스템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애자일소다는 다올티에스의 Dell XE9680을 활용해 다음달부터 적응형 언어모델(Adaptive Language Model) 개발을 시작한다. 또 다올티에스에서 운영중인 'Dell AI 팩토리 PoC 센터'를 통해 AI 도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객들에게 애자일소다의 다양한 솔루션들을 무상으로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올TS 홍정화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들에게 다올티에스의 인프라 기술 역량과 함께 고객에게 필요한 솔루션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 두 회사간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협력을 통해 국내 AI시장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애자일소다 최대우 대표는 “다올티에스의 폭넓은 유통망 및 강력한 기술역량과 애자일소다의 생성형AI 기반 비정형 데이터 구축과 AI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역량을 결합함으로써 실제 AI를 도입하며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방안을 손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년 다올TS는 델 테크놀로지스의 국내 총판사다. 서버, 스토리지, 노트북, 데스크톱에 이르기까지 델의 전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수세, 티맥스소프트 등 다양한 솔루션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AI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 7월 AI사업본부를 새로 신설, 델 테크놀로지스 부사장을 역임한 장윤찬 부사장을 영입했다. 애자일소다는 기업용 인공지는 서비스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기반 반도체 설계 AI서비스 '칩앤소다(ChipNSoDA)'로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 '브랜드 커뮤니케이션(Brands & Communication)' 부문의 '인터페이스 & 사용자경험 디자인(Interface & User Experience Design)' 본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24.10.30 22:26방은주

FMF 2025, 국제 지질 조사 기관들 최대의 모임과 첫 번째 우수 센터 회의 개최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미래 광물 포럼(FMF)은 2025년 1월에 열리는 제4회 행사에서 국제 지질 조사 기관들 최대의 모임과 첫 번째 우수 센터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FMF는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가 주최하는 전 세계 최고의 광물 관련 모임이며, 광물 산업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플랫폼이다. International Geological Surveys Meeting 국제 지질 조사 기관과 우수 센터 회의는 1월 14일 킹 압둘아지즈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다. 두 회의 모두 FMF 장관급 원탁회의의 일부로 열리며 200개 이상의 정부 및 국제 기구들이 모인다. 2024년에 처음 열린 국제 지질 조사 기관 회의는 전 세계 지질 조사 기관의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참가자들은 아프리카에서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슈퍼 리전 지역의 지질 조사 기관 리더들을 비롯해 미국 지질 조사 기관, 영국 지질 조사 기관, 프랑스 BRGM, 핀란드 GTK와 같은 유서 깊은 지질 조사 기관들의 데이터 저장 부서들이 들어 있다. 이 회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슈퍼 리전 전역의 지질 측량 역량을 강화하며 탐사에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한다. 최신 디지털 기술과 인공 지능을 사용하여 광물을 더 정확하게 탐사할 뿐만 아니라 지질 정보를 투자자와 일반 대중들에게 제공한다. 혁신, 기술 개발과 신기술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 우수 센터를 설립한다. 알 무다이퍼(Al-Mudaifer)는 "광물 자원이 고갈되고 탐사에 대한 투자가 충분하지 않으며 새로운 주요 발견이 없는 지금이 지질학에 주목하고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새로운 광물 매장지를 탐사하고 역량을 개발할 방법을 찾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광물 위치에 대한 정확한 식별, 확실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지질 정보가 없다면 전 세계는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FMF는 첫 번째 우수 센터 회의를 소집하고 전 세계 기관, 대학과 최고의 전문가들을 모아 지역별 우수 센터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슈퍼 리전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기술 인큐베이팅, 가속화와 대규모 전개에 집중하는 동시에 이 지역이 전 세계 광물 및 자원 혁신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진 - https://mma.prnewswire.com/media/2543363/Future_Minerals_Forum.jpg로고 - https://mma.prnewswire.com/media/2314209/4995471/Future_Minerals_Forum_Logo.jpg

2024.10.30 21:10글로벌뉴스

트립팩토리와 넥서스DMC 모회사 ORN 벤처스, 국제 기업 그룹으로부터 시리즈 A 펀딩 5천만 달러 확보

싱가포르,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인도에서 강력한 입지를 갖고 있는 선도적인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립팩토리(TripFactory)가 인도에 본사를 둔 유명 국제 기업 그룹으로부터 시리즈 A 펀딩 5천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 투자를 통해 동사의 가치는 5억 달러가 되었다. 트립팩토리는 비나이 굽타(Vinay Gupta)와 아미트 아가르왈(Amit Aggarwal), 바룬 굽타(Varun Gupta), 디팍 쿠라나(Deepak Khurana), 안키트 아가르왈(Ankit Agarwal), 안쿠시 아가르왈(Ankush Agarwal), 알리 아스게르 라이트왈라(Ali Asger Lightwala), 아메드 칸(Ahmed Khan) 등 경력 있는 기업가들로 구성된 팀이 설립했다.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동사는 코로나 19 이후 빠르게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해 왔다. 110개국 이상에 진출한 트립팩토리는 여행사 및 업계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동사의 첨단 플랫폼을 통해 맞춤형 휴가 패키지를 제공한다. 소비자들은 트립팩토리 웹사이트 (www.tripfactory.com를 통해 꿈의 휴가를 예약하거나, 동사 전문가들에게 자기만의 휴가 계획을 요청할 수 있다. 트립팩토리의 혁신적인 플랫폼은 현장 물류와 서비스 제공 기능을 원활하게 통합하여 고객들에게 최고의 여행 경험을 보장한다. 기업 투자자들은 "트립팩토리가 전 세계 레저 여행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가운데 그들에게 투자하고 협력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역동적인 팀, 야심찬 비전, 강력한 가치를 지닌 트립팩토리는 수익성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입증된 역량을 갖춘 업계 리더라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 이후 휴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도는 해외 여행의 주요 출발 시장 중 하나로 부상했다. 트립팩토리는 독특한 가치 제안을 통해 이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트립팩토리 설립자 겸 CEO 비나이 굽타는 "이번 투자를 통해 전 세계 최대의 휴가 기업이 되겠다는 우리의 의지가 더욱 강해졌다"면서 "우리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기존 시장과 신규 시장 둘 모두에서 시장 입지를 확대하고, 제공 상품을 다각화하며, 고객 경험을 높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우리 플랫폼의 서비스 품질 제고에 계속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 참여한 다른 주목할 만한 신규 주주로는 바니 콜라(Vani Kola), 모한다스 파이(Mohandas Pai), 란잔 파이(Ranjan Pai) 등이 있다. 트립팩토리: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트립팩토리는 맞춤형 휴가 계획과 원활한 여행 경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이다. 2014년에 설립된 트립팩토리는 110개국, 1,700개 도시의 채널 파트너와 협력하여 전 세계 32,000개 도시에서 휴가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 62개국에 8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는 트립팩토리는 여행객들에게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동사는 현재까지 94개 이상의 국적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tripfactory.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43130/TripFactory_Logo.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43131/NexusDMC_Logo.jpg?p=medium600

2024.10.30 20:10글로벌뉴스

왕립 기상학회, 스탠다드차다드 2024 올해의 기상 사진 작가 상 수상자 발표

런던,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영국 왕립 기상학회가 기상학, 사진, 저널리즘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심사위원단이 선정한 스탠다드차다드 2024 올해의 기상 사진 작가 대회 수상자들을 발표했다. 이 외에도, 일반인 온라인 투표로 결정한 '일반인 선정상' 또한 공개했다. ©Wang Xin, 'Sprites Dancing in the Dark Night', Winner, Standard Chartered Weather Photographer of the Year 2024 스탠다드차타드 올해의 기상 사진 작가 타이틀상 수상자는 '어두운 밤에 춤추는 스프라이트'라는 사진을 출품한 중국의 왕신(Wang Xin)으로, 이 사진은 몇천 분의 일초 동안에만 보이며 촬영에 인내와 기술이 필요한 붉은 스프라이트 번개의 웅장한 광경을 찍은 것이다. 왕신은 5,000파운드의 상금을 받았다. 메인 타이틀 준우승자는 영국 출신의 앤디 그레이(Andy Gray)로, 수상작은 피크 디스트릭트의 멋진 서리를 찍은 '천국의 서리'이다. 앤디의 상금은 2,500파운드이다. 3위는 와이트 섬 상공에 쏟아지는 폭우와 무지개를 보여 준 '바늘 너머의 저녁 비'를 출품한 제이미 러셀(Jamie Russell)에게 돌아 갔다. 스탠다드차다드 올해의 기상 스마트폰 사진 작가 상 수상자는 인도네시아 이스트 자바의 연기가 피어 오르는 화산 사이에서 생기는 미묘한 기상 현상을 촬영한 '화산'을 출품한 말레이시아의 누르 시아이린 나타샤 빈티 아자하린(Nur Syaireen Natasya Binti Azaharin)이다. 스마트폰 분야 준우승자는 미국의 레슬리 헬제스(Lesley Hellgeth)로 출품작은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을 둘러싸고 있는 사하라 사막의 먼지를 포착한 '아테네 상공의 아프리카 먼지'였다. 스마트폰 3위는 비행기 좌석에서 '원형 무지개'를 포착한 미국의 피터 라이놀드(Peter Reinold)가 차지했다. 18세 미만을 대상으로 한 스탠다드차타드 올해의 기상 젊은 사진 작가 상 수상자는 오스트리아의 안젤리나 위드만(Angelina Widmann)이다. '비 속의 아리아'는 야외 오페라 공연 중 폭우 속에서 노래하는 오페라 가수의 모습을 보여준다. 준우승은 '포화된 지구와 하늘의 약속'의 엘리스 스켈튼(Ellis Skelton)에게 돌아 갔다. 젊은 작가 부문 3위는 뇌우가 굴러오는 극적인 장면을 담은 '불과 얼음'을 출품한 미국의 링컨 휠라이트(Lincoln Wheelwright)가 수상했다. 스탠다드차다드 기후 상 스탠다드차타드 기후 상이 올해 대회에서 새로 제정되었다. 수상자는 브라질의 거슨 투렐리(Gerson Turelly)이다. 거슨은 2024년 봄에 발생한 엄청난 홍수 당시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에서 카약을 타고 고립된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한 사람의 모습을 담은 '노젓기'라는 사진으로 1,000파운드의 상금을 받았으며, '노젓기'는 영국 왕립 기상학회 웹사이트에서 진행한 일반인 투표를 거쳐 '일반인 선정상' 타이틀도 획득했다. 이번 2024 대회는 우리의 전 세계 날씨 패턴에 영향을 주는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올리는 작품들이 많이 출품되었다. 수상자 작품들 보기 편집자 용 노트 여기에서 고화질 혹은 저화질 사진, 캡션 그리고 사진 저작권 내용을 다운로드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1928/Royal_Meteorological_Society.jpg?p=medium600

2024.10.30 20:10글로벌뉴스

FII 인스티튜트, 2024 FII 프라이어리티 컴퍼스 설문조사 결과 발표

이 주요 설문조사 결과 세계 시민들이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전 세계 설문조사 결과 세계 인구의 62%를 차지하는 24개국 국민들의 만족도가 급격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FII Institute Announces Findings of 2024 FII PRIORITY Compass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세계 상황에 불만족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2023년 수준에서 11% 하락한 것이다. 미국은 지난 한 해 동안 신뢰 수준이 2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과 고용 안정이 주요 이슈인 가운데 재정적 불안이 모든 시민들의 최우선 걱정 거리에 올랐다. 환경에 대한 우려는 정부 성과, 의료, 기술 저하에 대한 걱정으로 인해 5위로 떨어졌으며 응답자의 13%만이 환경 문제를 가장 큰 관심사로 꼽았다. 이러한 자리 바뀜은 리더와 정책 입안자들이 세계 경제 문제와 점점 더 양극화되는 사회를 헤쳐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그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퓨처 인베스트먼트 이니셔티브(Future Investment Initiative) FII) 인스티튜트가 입소스(Ipsos)에 의뢰한 이 설문조사는 경제, 보건, 기술, 의료, 정부 성과에 초점을 맞춰 시민들의 정서를 파악했다. FII 프라이어리티 컴퍼스(PRIORITY Compass)로 이름 붙여진 이 설문조사는 매년 실시되며 연령, 배경, 국가의 인구통계학적으로 대표적인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하며 연중 FII 인스티튜트 서밋에서 논의를 구체화하고 알리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 인스티튜트의 설립 목적은 경제 성장, 번영, 기후 변화, 기술 규제, 의료와 교육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 등 인류가 공통적으로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인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올해 FII 프라이어리티 컴퍼스 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만족도가 전 세계적으로 급락했다. 응답자의 40%가 생활비를 가장 큰 걱정거리로 3년 연속 꼽았다. 57%는 인플레이션 악화를 거론했는데 이 이슈는 특히 글로벌 노스에서 심했으며 그 응답자의 66%가 인플레이션 악화를 우려했다. 지배 구조가 전 세계의 두 번째 우선 과제에 올랐는데, 응답자의 71%가 자기 나라의 부패 수준에 불만을 표시했으며 정치가 불안한 지역에서 이러한 우려가 특히 높았다. 의료가 세 번째로 큰 관심사에 올랐으며, 가장 공통적으로 보고되는 문제인 적절한 의사의 수에 대해 50% 이상이 만족하지 않았다. 응답자의 단13%만이 환경이 가장 큰 문제라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가장 큰 문제로 환경을 꼽은 유일한 나라는 인도이다. 글로벌 사우스(60%)는 기술이 자신들의 생활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노스(34%)에 비해 훨씬 낙관적이다. 설문조사에 응한 모든 나라 중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민들이 자신들의 삶에 대해 가장 만족(84%)한 것으로 나타났다. 37%는 AI를 잠재적인 위협으로 보고 있고 39%는 확신하지 못해 인공지능의 영향에 대한 사회적인 우려를 부각했다. FII8은 리야드(10월 29-31일)에서 열리며, 7천 명 이상의 리더, 투자자, 전문가, 학자와 혁신가들이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준비된 200개 이상의 패널과 토론에 참가한다. 본 설문조사는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적인 문제들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논의들에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FII8은 전 세계 지도자들이 뉴욕 유엔 총회(UNGA)에 모인 한 달 후, G20 정상들이 리우데자네이로에서 만나기 3주 전에 열린다. 이 행사는 전 세계 지도자들이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리는 COP29에서 기후 행동을 논의하기 위해 모이기 4주 전에 열린다. 퓨처 인베스트먼트 이니셔티브 인스티튜트 CEO 리처드 아티아스(Richard Attias)는, "이 설문조사는 전 세계 지도자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이 조사 결과는 전 세계 시민들의 진정한 관심사를 대변하는 분명한 자료이다. 우리는 더 좋고 안전한 세상을 만들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가지고 있지만 이는 지도자들이 중요한 이 문제들에 귀를 기울일 때만 가능하다"고 말한다. 전체 보고서는 https://fii-institute.org/에서 볼 수 있다. FII 인스티튜트 퓨처 인베스트먼트 이니셔티브(FII) 인스티튜트는 투자 조직과 인류에 대한 영향이라는 하나의 의제를 가진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비영리 재단이다. 전 세계적이며 포용적인 우리는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교육, 보건 및 지속가능성의 네 가지 핵심 분야에서 전 세계의 훌륭한 인재들을 육성하고 아이디어를 실제 솔루션으로 이행한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3601/Future_Investment_Initiative_Institute.jpg?p=medium600

2024.10.30 20:10글로벌뉴스

DXC 테크놀로지와 액셀리아, 항공사 혁신을 가속하고 여행객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

액셀리아가 보유한 업계 최고의 오퍼, 오더, 정산 기술은 이제 전 세계 업계를 이끌어가는 DXC의 리더십과 솔루션을 통해 보완된다. 액셀리아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현대화를 가속하고 포괄적인 클라우드 기반 FLX ONE(OOSD) 리테일링 플랫폼을 제공한다. DXC의 시스템 통합 전문성은 항공사들에게 기술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애쉬번, 버지니아,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업계를 리드하는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파트너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 ) (NYSE: DXC)와 항공 업계에 기술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 액셀리아(Accelya)가 항공사들에게 원활하고 현대적인 공항 리테일 경험을 제공하고 전 세계 항공사들의 시스템 통합을 가속하기 위해 협력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항공사들은 이를 통해 사업 운영을 현대화하고 자신들의 고객을 위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새로 채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행객들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XC Technology and Accelya Partner to Accelerate Airline Innovation and Enhance the Traveller Experience 액셀리아는 DXC의 독자적인 출발 통제 시스템(DCS) 산업 솔루션을 활용하여 공항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승객 경험 향상을 보장한다. 이 DXC 기술을 통해 액셀리아의 FLX ONE 기능이 구현되는데 이는 동사의 새로운 FLX ONE 리테일링 플랫폼의 일부가 된다. FLX ONE 리테일링 플랫폼은 현재 전 세계에서 매일 300억 건 이상의 오퍼를 생성하며 항공사들의 항공편 재고 관리와 좌석 예약을 지원한다. 항공사들은 이제 FLX ONE을 통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오퍼, 오더, 정산과 배송의 각 단계를 처리하는 단일 플랫폼을 활용하여 여행객들에게 현대적이고 마찰 없는 개인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 플랫폼은 항공사들이 자체 플랫폼에서 티켓팅 오퍼와 오더 외에도 예약 처리를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 고객 여정의 전반에 걸쳐 개인별 오퍼와 서비스 기능 향상과 같은 보다 개인화된 오퍼와 풍부해진 고객 중심 리테일링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간접비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액셀리아 CEO 샘 길리랜드(Sam Gilliland)는 "FLX ONE은 항공사들에 예약부터 탑승까지 자신들의 리테일링을 완벽하게 통제함으로써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는 입증된 미래 지향적인 플랫폼"이라면서 "DXC의 공항 기술을 기반으로 한 FLX 딜리버리가 추가됨에 따라 FLX ONE은 진정한 종합 OOSD 솔루션이자 기존 시스템의 진정한 대안이 되었다"고 말했다. DXC와 액셀리아는 또한 DXC를 액셀리아의 선호 시스템 통합사로 세우기 위해 협력한다. DXC의 깊은 산업 전문성은 대규모 시스템 통합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사의 역량과 결합하여 전 세계 최고 항공사들의 현대화를 가속하고 혁신을 촉진한다. DXC의 글로벌 인프라 서비스 담당 매니징 디렉터 크리스 드럼굴(Chris Drumgoole)은 "DXC는 전 세계 최고의 항공사들과 협력하여 그들의 비즈니스 운영 전반에 걸쳐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고 AI와 같은 혁신 기술을 활용한다"면서 "액셀리아와 맺은 새로운 파트너십은 고객 경험을 높이고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동시에 자신들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현대화하고자 하는 항공사들에 엄청난 가치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DXC의 운송과 호스피탤리티 역량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여기를 클릭하기 바란다. 액셀리아 액셀리아는 항공 업계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전 세계 최고의 업체로서 혁신적인 항공사들이 성장을 견인하고, 고객들을 즐겁게 하며, 자신들의 리테일링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방형의 모듈식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200개 이상의 항공사에 공급하고 있다. 우리는 항공사의 리테일링을 오퍼부터 정산까지, 지상과 공중에서 모두 지원한다. 액셀리아는 AWS을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최첨단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우리는 초당 35만 건의 오퍼를 처리할 수 있는 확장성을 입증했으며, 연간 1,000억 달러를 처리하는 재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는 전 세계 NDC 거래의 50% 이상을 지원하며, 유연성, 성능, 확장성과 신뢰성을 원하는 항공사들에 우리의 오퍼와 오더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40년간의 업계 경험,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의 장기적인 지원과 전 세계 10개 사무소에 2,500 명의 직원을 보유한 당사는 각각의 항공사가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규모와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는 항공업계에 혁신이 이끄는 성장을 구현해 줄 수 있으며 항공사들에 통제권을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자랑스럽게 느낀다. 액셀리아와 동사의 항공사 용 솔루션들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액셀리아 웹사이트를 방문하기 바란다. 액셀리아 미디어 관계: accelya@missive.co.uk 미래 예측성 언급 이 보도 자료에 있으며 역사적 사실과 직접적이고 배타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모든 언급은 "미래 예측성 언급"을 구성한다. 이러한 언급은 현재의 기대와 믿음을 나타내며, 어떤 미래 예측성 언급에 명시된 결과, 목표 또는 계획이 달성될 수 있거나 달성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한 언급에는 실제 결과가 그러한 언급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수많은 가정, 리스크, 불확실성과 기타 요소들이 적용되며, 이 중 많은 요소들은 당사의 통제 범위 밖에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서면 설명은 2024년 3월 31일에 종료된 회계 연도의 DXC 사업 보고서 양식 10-K의 "위험 요소" 섹션과 그 후속으로 SEC에 제출한 서류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참조하기 바란다. 독자들은 작성된 날짜에만 적용되는 이러한 언급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당사는 법률이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미래 예측성 언급의 변경 내용을 업데이트하거나 배포하거나 본 서류 날짜 이후에 발생하는 사건 또는 상황을 보고하거나 예기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DXC테크놀로지 DXC테크놀로지(NYSE: DXC)는 글로벌 기업들이 IT를 현대화하고 데이터 아키텍처를 최적화하며 퍼블릭, 프라이빗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보안과 확장성을 보장하면서도 핵심 시스템과 사업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세계 최대의 기업들과 공공 분야 조직들이 DXC가 동사의 IT 자산 전반에 걸쳐 새로운 수준의 기능, 경쟁력과 고객 경험을 견인하는 서비스를 전개한다는 사실을 신뢰한다. DXC.com에서 우리가 고객사와 동료 기업들에게 탁월함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기 바란다. Sean B. Pasternak, DXC 테크놀로지, +1-647-975-7326, sean.pasternak@dxc.com; Roger Sachs, CFA, 투자자 관계 담당 부사장, +1-201 259-0801, roger.sachs@dxc.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2284/DXC_Technology_Company_DXC_Technology_and_Accelya_Partner_to_Acc.jpg?p=medium600

2024.10.30 19:10글로벌뉴스

'불황 타개' 나선 포스코홀딩스, 印 JSW 협력 기대보다 우려 쏟아져

포스코홀딩스가 최근 인도 JSW그룹과 전방위적 협력관계 구축에 나서자 기대감과 우려가 동시에 쏟아져 나온다.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대표는 30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JSW그룹과 사업 협력과 인도 상공정 진출과 관련해 설명을 하며, 세 가지 전략적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첫째는 세계 철강시장 블록화에 대응한 것"이라며, "기존 하공정 중심 글로벌 성장 방식에서 벗어나 상공정 중심 성장 시장 선점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두 번째는 강력한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이라며 "인허가 등 현지 리스크를 경감하고 향후 인도 철강 수요 확대에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세 번째는 '이차전지소재와 재생에너지 분야 협력에서의 전략적 적합성'을 꼽았다. 정 대표는 "JSW는 최근 MG모터 인디아 지분을 인수하고 리사이클링 회사를 설립하는 등 전기차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며 "JSW 에너지를 통해 재생에너지 사업도 확대하고 있기에 포스코의 친환경 이차전지소재사업과 부합성이 상당히 높다"고 분석했다.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JSW그룹과 이차전지 분야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소재 관련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수소환원제철 아닌데 탄소 중립 목표 괜찮을까…"현지 맞게 현실적 접근" JSW그룹과 인도에 연산 500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 2개 공장부지를 제안받아 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고급 자동차 강판 위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부 애널리스트는 인도 JSW그룹과의 협력 과정에서 포스코그룹이 이용만 당하는 것은 아닌지 세계 탄소중립 정책과 역행하는 것은 아닌지, 과거처럼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사업이 무산되는 것은 아닌지 등 다양한 우려를 표했다. 이에 포스코홀딩스는 "JSW가 발표한 1천만톤 증설 계획은 이미 기존 부지 건설이 다 끝났다고 보면 된다"며 "이후 오디샤 쪽으로 추가 확장해 2030년까지 2천800만톤에서 5천만톤으로 확장하는데 그 일부를 포스코와 함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소감축과 관련해서 "현실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인도 탄소중립 목표는 2070년이기 때문에 국내는 2050년 그대로 가져갈 것이고, 현지에 맞게 탄소감축을 할 것”이라며 “CCS나 수소혼소 등 포스코 선진기술을 인도에도 적용하면 인도의 전체적인 탄소중립에도 기여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으며, 철강 생산 방식은 고로나 전기로 등을 놓고 합작사와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토지 문제와 관련해서는 "20년 전 토지 확보 실패는 토지도 문제였지만, 관건도 문제가 있었다"며 "지금은 합작사에서 책임을 지고 토지를 확보하기로 했다"고 답했다. 불황 속 내실다지기…실리콘음극재 양산 본격화·그룹 구조조정 이어가 포스코홀딩스는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시황 회복 지연으로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자 비핵심 자산 매각 등 자산 효율성 개선에 나서고 있다. 7월에 발표한 개수에 5개 정도 추가를 해서 총 125개(저수익사업 55개, 비핵심자산 70개) 자산에 대한 구조개편을 진행 중이다. 현재 21개 구조조정을 완료해 누적된 현금유입은 6천254억원이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회성 비용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기말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4분기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포스코홀딩스는 "매각 내지 처분에 따른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3분기 말까지는 이익 발생이 더 커 전체적인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4분기에 특별히 일회성 비용으로 대규모 발생하는 것은 현재 계획으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전기차 시장 둔화 속 이차전지 소재 관련 투자도 이어간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포스코홀딩스는 "다음주 포스코실리콘솔루션 공장이 준공된다"라며 "본격 생산에 앞서 고객사 인증을 진행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배터리 3사는 물론이고. 일본의 P사, 유럽의 M사, 미국 여러 기업과 협의 중이며 인증 샘플을 제출했다"며 "일부 고객사와는 상당 부분 물량을 공급할 수 있다는 MOU도 진행 중인데, 빠른 시일 내에 인증을 획득하겠다"고 덧붙였다. "4분기 실적 녹록지 않을 듯" 포스코홀딩스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3천200억원, 영업이익 7천4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4%, 38.3% 씩 감소한 수치다. 4분기 역시 업황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포스코홀딩스는 "4분기를 보면 원료 가격은 전분기 대비 추가 하락이 예상되고, 생산 판매량 또한 3분기 보다 소폭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제조 원가 측면에서는 4분기가 3분기보다 조금 더 좋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고 여전히 경기 회복에 대한 구체적인 시그널이 보이지 않아서 판매 환경 자체는 여전히 녹록지 않은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중국 경기 부양책과 관련해서는 "중국 내수 가격이 100% 이상 급등을 했다가 부양책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와 실망감으로 현재는 한 50불에서 60불 이상 다시 조정이 된 상태"라며 "하지만, 이 이하로는 빠질 거로 생각하지 않고 중국 철강사들도 대부분 적자 상태인데다, 중국 정부가 12월 추가로 경기 부양책을 발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에 가격은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4.10.30 17:18류은주

[유미's 픽] 현대오토에버, 3Q 실적 새 역사 썼다…고정비 부담에 수익성은 '과제'

차량용 소프트웨어(SW)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현대오토에버가 올해 3분기 동안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높은 내부거래 비중(91.2%)에 힘입어 시스템 통합(SI) 매출이 급증한 데다 차량용 SW에서도 호조세를 이어간 덕분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한 9천46억원, 영업이익이 16% 늘어난 525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에 비해선 각각 1.5%, 23.4% 감소한 실적이지만,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9%, 누적 영업이익은 18.1% 늘었다.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5천540억원, 1천518억원이다. 매출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지만 영업이익은 기대보다 낮아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투자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는 매출 8천988억원, 영업이익 600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작년 3분기보다 0.3%p 하락한 5.8%를 기록했다. 7.5%를 기록한 전분기에 비해서도 다소 줄었다. 시장 기대치는 6.67% 였지만 이에 미치지 못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에 따라 증가한 것"이라며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보상체계 강화와 투자증가에 따라 수익성은 다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6% 증가한 447억원을 기록, 시장 기대치(500억원)보다 낮았다. 누적 당기순이익은 15.1% 상승한 1천235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분기 대비 3분기 당기순이익은 15.1% 감소했다. 영업외 손익은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 수익 감소로 1년 새 52.1%나 줄어 15억원에 그쳤다. 부채 비율은 지난해 3분기 75.8%에서 올해 2분기에 78.5%로 치솟았으나 3분기에는 74.7%로 소폭 줄었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공급가 인상분을 상쇄하는 고정비 인상이 판관비단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2025년 공급가 재협상 시즌까지 현대오토에버 손익에 지속적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오토에버가 3분기 동안 예상치보다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것은 주력 사업인 ▲SI(system Integration) ▲ITO(IT Outsourcing) ▲차량 SW 등 3가지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SI 부문은 현대차의 차세대 ERP 시스템 구축과 모셔널 AWS 클라우드 공급, 북미 현대차·제네시스 차세대 CRM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이 이어진 덕분에 호실적을 기록했다. SI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6% 상승한 3천314억원으로, 매출 비중은 1년 전 31.8%보다 4.8%p(포인트) 늘어난 36.6%로 집계됐다.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한 8천988억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오토에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는 차량용 SW 매출도 큰 폭으로 올랐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0% 증가한 1천954억원으로, 매출 비중은 1년 새 1.1%p 오른 21.6%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외 내비게이션 옵션 선택률이 증가한 데다 모빌진 클래식 등 제어기 전장 SW가 확대 적용된 덕분이다.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5.6% 증가한 5천823억원을 기록했다. ITO 사업은 점차 매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건재한 모습을 보여줬다. 3분기 ITO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상승한 3천778억원, 누적 매출은 8.1% 늘어난 1조729억원으로 마무리됐다. 완성차 및 그룹사의 IT 운영 매출 증가, 국내 및 해외법인 CCS 서비스 운영 확대 등이 매출 상승에 주효했다. 다만 매출 비중은 1년 전보다 5.9%p 줄어든 41.8%에 그쳤다. 지역별 매출은 유럽, 인도, 중국에서 환율 상승효과에 힘입어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동안 유럽 매출은 1년 새 16.7% 늘어난 3천133만3천 유로(약 468억868만원), 인도 매출은 18.4% 상승한 9억1천만 루피(약 149억4천220만원), 중국에선 12.9% 증가한 6천만 위안(약 115억9천680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미주 지역에선 세일즈포스 기반의 차세대 CRM인 '코넥스' 등 프로젝트 청구 이월에 따른 매출 감소 여파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줄어든 8천428만3천 달러(약 1천145억원)에 그쳤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미주 시장에선 일부 프로젝트가 청구 이연됐다"며 "IT 서비스 업계에서 발주처와 수행사 등이 상호 협의를 통해 청구시점을 조정하는 일은 통상적이다"고 설명했다. 현대오토에버의 판매비와 관리비도 1년 새 10.1%나 늘었다. 연구비는 지난해 3분기와 동일한 119억원, 기타 비용 부문은 9.2% 줄어든 124억원으로 집계됐으나, 급여 등 인건비 부문에선 무려 36.5%나 늘어난 196억원을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올해 3월 김윤구 신임 대표 취임 후 외부 인재 영입에 몰두한 결과로 분석된다. 김 대표는 지난 3월 쏘카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 류석문 상무를 시작으로 4월에는 삼성전자 출신 전사적자원관리(ERP) 전문가 김선우 상무를 신설 ERP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올해 7월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출신 최원혁 상무와 쏘카 출신 지두현 상무를 각각 보안총괄임원(CISO)과 소프트웨어(SW)개발센터장에 영입한 바 있다. 8월에도 A.T. 커니 출신 박상수 상무와 포스코DX 장연세 상무를 영입해 각각 혁신전략컨버전스사업부장, SDx센터장에 임명했다. 연이은 인재 영입은 김 사장이 전략적으로 추진 중인 조직 체질 개선 작업의 일환이다. 김 사장은 현대오토에버가 글로벌 최고의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 불가능한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핵심인재를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앞으로도 최고의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7:09장유미

지능형 홈 국제표준 '매터(Matter)' 들어보셨나요?

"2019년에 출시된 매터(Matter)는 사물 인터넷의 공통 언어가 될 단일 IP 기반 프로토콜입니다. 매터는 제조업체가 여러 플랫폼을 위해 개발할 필요가 없도록 개발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미쉘 민달라 프리먼 CSA(Connectivitiy Standards Alliance) 최고운영책임자(COO)는 30일 오후 코엑스에서 열린 '지능형 홈 국제표준(Matter) 컨퍼런스' 기조발표를 맡아 이같이 소개했다. CSA는 모든 사물이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개방형 표준을 개발하는 목적을 가진 글로벌 민간 표준단체다.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 가전사, 칩셋사 등 615개사가 회원사로 참여 중이다. 미쉘 민달라 프리먼 COO는 "CSA는 사물 인터넷의 복잡성을 풀고 제조업체가 제품을 더 쉽게 개발하고 소비자가 더 쉽게 채택할 수 있는 글로벌 개방형 표준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그 결과 현재 전 세계 700개 이상의 기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실리콘벨부터 소매점에 이르기까지 전체 IoT 가치 사슬을 대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터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제공 ▲파트너 검증 기능 제공 ▲제조업체 지원 회원사에 개발 도구 제공 등을 통해 개발을 가속화하고 제조업체와 소비자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쉘 프리먼 COO는 "매터의 목표는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간소화하는 것"이라며 "매터는 중소기업이 모든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메터는 제조업체가 여러 플랫폼을 위해 개발할 필요가 없도록 개발을 간소화한다. 여러 코드베이스가 더이상 필요하지 않는다. 한번만 개발하면 어디든 배포할 수 있다. 이에 현재 300개의 회원사가 매터 작업반에 참여해 매터 지원 제품을 구축, 배포, 판매하고 있다. CSA는 스마트 빌딩과 공동주택에서 매터가 어떻게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매터가 스마트 빌딩에 새로운 가치 제안을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기기를 스마트홈에 가져와 새로운 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올해 초 출시된 매터 1.3에서는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매터 연결과 같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며 "누수 및 누수 감지 장치, 에너지 사용량 보고를 통한 에너지 관리와 같은 새로운 사용 사례로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매터 1.4에서는 몇 가지 새로운 장치 유형을 추가해 에너지 관리 영역에 필요한 장치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며 "배터리, 태양열 패널 등 에너지 관리 기능 뿐만 아니라 홈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등 까지 개선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매터를 사용하면 그 어느 때보다 쉽게 새로운 디바이스를 가정에 도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예컨대 QR 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홈 네트워크에 디바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또 여러 개의 홈 네트워크가 있는 집에 있는 경우 다중 관리자를 사용하여 동일한 장치를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에 추가할 수 있다. 그는 "현재 4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정부 및 규제 당국의 노력을 통해 IoT 제품 보안에 대한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추진하려고 한다. 이런 어려움을 CSA가 도울 수 있다"며 "CSA는 현재 미국 사이버 트러스트 마크와 유럽위원회 RED 및 CRA 요건에 부합하는 스키마를 개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CSA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매터 표준의 성공적인 도입 확산을 위해서 상호 협력하고 시험 인증과 기술 컨설팅을 통해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손승현 TTA 회장은 "앞으로 지능형 홈 분야는 AI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서 더욱 고도화될 것"이라며 "TTA는 이에 따라서 공신력 있는 표준과 시험 인증을 통해서 국내 기업이 매터 기술을 적시에 잘 구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7:04최지연

[컨콜] 삼성SDS "한국어·프라이빗 SaaS로 '브리티 코파일럿' 사업 확장 가속화"

삼성SDS가 생성 AI 기반 업무 솔루션인 '브리티 코파일럿'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삼성SDS는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삼성관계사 12만여 명의 직원에게 '브리티 코파일럿'을 제공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실제로 현재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 등 9개 관계사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해외 법인을 포함한 모든 관계사로의 서비스 확산이 추진 중이다. 외부 기업 대상으로는 크래프톤, 포스코DX 등 국내 게임, 제조, IT, 통신장비 기업 6곳에서 '브리티 코파일럿'을 도입했다. 삼성SDS 관계자는 "퍼블릭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사용할 수 없는 대기업, 금융,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 중"이라며 "글로벌 솔루션사와 차별화된 SaaS 오퍼링을 장점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IDC 조사에 따르면 생성 AI 기반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들에게 확산하기 위해서는 사용성과 보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삼성SDS는 이러한 도전과제 극복을 위해 회사 업종별 전문 용어집을 활용한 미팅 음성인식 정확도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또 다국어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 제공도 준비하고 있다. 삼성SDS 관계자는 "여기에 더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인 '퍼스널 에이전트'를 통해 자동 답변, 업무 브리핑 등 사용자들을 대신해 답변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보안 측면에서는 프라이빗 SaaS 형태로 '브리티 코파일럿'을 제공해 경쟁사들과 차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0.30 16:45조이환

한화솔루션, 年 태양광 판매량 하향…"美공장 정전 때문"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모듈의 연간 판매량 가이던스를 기존 9GW에서 8GW로 하향하는 등 3분기 다소 부진한 성적표를 거뒀다. 미국 달튼 공장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정전으로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화솔루션은 30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하면서 “전분기 대비 3분기 태양광 모듈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실제로는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고, 판가는 큰 변화가 없었다”며 “올해 판매량 가이던스를 9GW에서 8GW 내외로 하향 조정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한화솔루션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조 7천733억원, 영업손실 81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5% 하락하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직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3.5% 늘고 영업손익은 24.8% 개선됐다. 태양광 사업 중 개발자산 매각 부문에서도 일부 프로젝트가 4분기로 이연되면서 기존 분기 매출 가이던스인 8천억원보다 낮은 5천785억원을 기록했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이전과 동일한 2조 5천억원”이라며 “이연된 프로젝트 매각이 4분기에 모두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설계·조달·시공(EPC) 부문의 경우 수익성이 전분기 대비 개선돼 적자 축소에 기여했다. 회사 관계자는 “관련 사업을 시작한지 몇 년이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수익성이 좋은 프로젝트와 다소 떨어지는 프로젝트들이 혼재돼 있다”며 “지금은 어쩔 수 없이 수익 변동성이 있지만, 향후 비즈니스가 성장하고 매출 규모가 커지면 일정 수준의 마진율로 수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4분기에는 태양광 사업 부문 판매량이 80% 가량 증가하면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태양광 모듈 관련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지급되는 첨단제조세액공제(AMPC)는 3분기 1천216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세액공제 규모 예상치는 5천억~6천억원으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내달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IRA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함에 따라 트럼프 후보가 재선에 성공할 경우 IRA 제도가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IRA 제도가 수정되더라도, 저희를 비롯해 태양광 업계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프리IRA 시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이 시점에 저희 시장 위치나 전략이 크게 다르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IRA의 존재 여부가 자극제는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전략의 변화를 가져오진 않을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지속 성장하는 만큼 현지 공장을 두고 판매를 하는 회사 전략은 어떤 환경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5월 회사는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신규 태양광 공장 모듈 생산라인 가동을 개시했다. 회사 관계자는 “내년 중반 잉곳, 웨이퍼, 셀 생산라인을 갖춘 공장으로 완공한 뒤 램프업을 거쳐 하반기에는 풀가동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2024.10.30 16:42김윤희

JTBC, 월드컵 독점중계권 확보...지상파방송 반발

종합편성채널 JTBC가 올림픽에 이어 FIFA 월드컵 국내 중계를 맡는다. JTBC의 행보에 KBS MBC SBS 등 지상파방송 3사는 보편적 시청권 훼손을 주장하며 비판 성명을 내놨다. 중앙그룹은 29일 서울 상암동 JTBC 건물에서 홍정도 중앙그룹 부회장, 잔니 인판티노(Gianni Infantino) FIFA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FIFA 조인식을 가졌다. 협약에 따라 중앙그룹의 스포츠 비즈니스 자회사 피닉스스포츠가 2026년과 2030년에 개최하는 월드컵, 2027년 여자 월드컵 대회의 한국 독점 중계권을 확보했다. 방송, 전시권 부여에 따라 중계권을 확보한 대회에 대해 직접 권리 행사 및 재판매를 할 수 있게 됐다. 중계권을 확보한 대상 대회는 2026년 북중미 월드컵, 2030년 100주년 월드컵, 2027년 브라질 여자 월드컵, 2025년과 2027년 U-20 월드컵 등이다. 앞서 중앙그룹은 2026년부터 2032년까지 개최되는 동하계 올림픽의 중계권도 획득했다. 중앙그룹은 2026년 열리는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이탈리아)을 시작으로 2028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미국), 2030년 알프스 동계 올림픽(프랑스), 2032년 브리즈번 하계 올림픽(호주)과 이 기간 열리는 유스 올림픽까지 모든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국내 중계 권리를 갖고 있다. 한편, JTBC의 월드컵 중계권 확보에 지상파방송사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지상파방송사를 대변하는 한국방송협회는 JTBC의 독점 중계권 확보로 보편적 시청권의 취지가 크게 훼손되고 중계권 확보 과정에서 대규모 국부 유출이 발생했다고 반발했다. 방송협회는 성명을 통해 “월드컵, 올림픽과 같은 전 지구적 스포츠 중계권은 특정 유료방송에 의해 독점되어서는 안 되며, 보편적 무료 방송 수단을 통해 모든 국민이 시청할 수 있는 접근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상파 3사는 '스포츠 중계방송 발전협의회'를 통해 과당 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중계권료 인상에 따르는 국부유출을 막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해 왔고, 2019년 올림픽 중계권 협상 시 JTBC에도 협상단 참여를 제의했다”며 “그러나 JTBC는 참여 제의를 거부하고 거액의 중계권료로 단독 입찰해 향후 4회의 올림픽 중계권을 독점 계약한 데 이어, 이번 월드컵 중계권까지 단독으로 확보하는 등 국가적 공동협상 틀을 무너뜨리고 불필요한 국부 유출을 야기했다”고 덧붙였다.

2024.10.30 16:25박수형

지금까지 알려진 '갤럭시S25'의 모든 것

삼성전자가 내년 초 선보일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5 울트라'에 대한 정보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IT매체 샘모바일은 29일(현지시간) 그 동안 나온 갤럭시S25 울트라 관련 정보들을 모아서 소개했다. 디자인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갤럭시S25 울트라에서 가장 크게 달리지는 것은 디자인이다. 갤럭시S25 울트라는 이전 모델어서 볼 수 있는 각진 모서리의 박스형 프레임은 사라진다. 대신 둥근 모서리가 있는 더 평평한 프레임으로 바뀔 예정이다. 전·후면 패널도 평평하게 바뀐다. 이런 변화는 갤럭시S25 울트라를 더 현대적으로 보이게 할 것으로 보인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유출된 사진에 따르면, 갤S25 울트라의 후면 카메라 렌즈 주위에 다소 높게 솟은 링 형태가 둘러싸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갤Z폴드 6과 비슷한 형태로 보인다. 또, 공급망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초기 렌더링에 따르면 갤S25 울트라의 S펜 슬롯이 기기 왼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젤 두께는 더 얇아질 예정이며, 기기 크기는 162.8x77.6x8.2mm로 이전 모델의 162.3x79.0x 8.6mm보다 가로는 더 좁아지고 두께도 더 얇아질 전망이다. 디스플레이 얇은 베젤에 전체적인 디자인 변화를 앞둔 갤럭시S25 울트라의 디스플레이는 기존 6.8인치 대신 6.9인치의 약간 더 화면을 갖출 예정이다. 또, 이전 모델에 적용한 반사 방지 코팅을 그대로 적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외에도 LTPO 백플레인, QHD+ 해상도, 1~120Hz의 가변 화면 재생률이 지원될 예정이다. 최근 일부에서는 갤S25 울트라가 M14 디스플레이 신소재를 사용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샘모바일은 삼성 공급망을 통해 M14 소재가 아닌 이전에 사용했던 M13 소재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때문에 갤S25 울트라 디스플레이 경우, 당초 기대했던 만큼 큰 발전이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덧붙였다. 내부 하드웨어 갤럭시S25 시리즈에 탑재되는 칩셋에 대한 정보는 엇갈리는 상황이다. 최근 출시된 갤럭시탭 S10플러스와 갤럭시탭S10 울트라에 처음으로 대만 미디어텍의 칩이 탑재되면서 갤S25 일부 모델에 미디어텍의 디멘시티 9400 칩이 사용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하지만,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이 일부 국가에서는 삼성 자체 개발 엑시노스 2500 칩을 채택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을 채택할 가능성도 있다. 또 일부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내년 전체 갤럭시S 라인업에 스냅드래곤 칩을 채택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어느 쪽이든 최상위 모델인 갤럭시S25 울트라는 모든 국가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을 탑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샘모바일은 전했다. 퀄컴은 최근 스냅드래곤 엘리트 칩을 공개했고 새로운 오라이언 중앙처리장치(CPU) 코어가 장착돼 세계에서 가장 빠른 모바일 CPU를 자랑한다. 최근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 테스트 결과, CPU 성능은 애플의 플래그십 칩인 A18 프로 칩과 거의 비슷한 속도를 보였고 GPU도 A18 프로 칩보다 훨씬 빠르고 전력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12·16GB 램, 스토리지의 경우 256GB, 512GB 및 1TB로 제공될 예정이며 배터리의 경우 변경 없이 45W 고속충전 기능을 갖춘 5천mAh 용량을 갖출 것으로 전망됐다. 카메라 가장 중요한 카메라 업그레이드 중 하나는 초광각 카메라로 기존 1천200만 화소 이미지 센서에서 0.7마이크로미터(㎛) 픽셀 크기의 새로운 5천 만 화소 초광각 센서로 개선될 예정이다. 초광각 센서 외에도 2억 화소 기본 카메라에 1천만 화소 3배 망원 카메라, 5천만 화소 5배 망원카메라, 1천200만 화소 전면 카메라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출시 시기·가격 삼성은 아직 다음 언팩 행사 날짜를 발표하지 않았으나, 갤럭시S25 울트라는 내년 1월이나 2월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 전문가들은 갤럭시S25 울트라에 탑재될 가능성이 있는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 또는 스냅드래곤 8 4세대 칩이 기존 스냅드래곤 8 3세대 칩보다 가격이 약 20% 또는 약 40달러 더 비쌀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때문에 갤S25 울트라의 출시 가격도 전작에 비해 다소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작 갤럭시S24 울트라의 시작가는 1천299달러였다.

2024.10.30 16:02이정현

"나만의 감상평 기록하세요"...LGU+, 콘텐츠 리뷰 플랫폼 '원로우' 출시

LG유플러스가 국내외 영화·드라마 정보를 확인하고, 나만의 감상평을 기록·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리뷰 플랫폼 '1ROW(이하 원로우)'를 출시했다. 다양한 OTT의 등장으로 콘텐츠가 범람하는 가운데,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원로우'는 영화·드라마 관련 배우와 감독 정보, 예고편, 사전 리뷰, 해설 등 콘텐츠를 더욱 즐겁게 시청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용자는 영화나 드라마 시청 후 자신만의 감상평을 기록하고, 다른 이용자의 감상평을 확인하고 댓글을 남기며 소통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이용자들의 OTT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면서 콘텐츠 시청 시간이 크게 늘었지만, 콘텐츠를 즐기는 방법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콘텐츠 시청 전에는 사전 리뷰와 예고편을 통해 기대감을 높이고, 시청 후에는 해설과 감상평을 읽으며 여운을 이어갈 수 있도록 영화 감상을 저장하는 플랫폼 '원로우'를 개발했다. '원로우'는 LG유플러스 이용자뿐만 아니라 타사 이용자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원로우' 이용자는 앱 첫 화면에서 그날의 추천 콘텐츠를 소개받고, 이용자의 취향에 맞춘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다. 콘텐츠를 선택하면 출연진 및 감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문가가 만든 영상 리뷰와 다른 관객이 직접 작성한 리뷰도 볼 수 있다. '원로우'는 콘텐츠를 시청한 뒤 감상평을 마음껏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콘텐츠 리뷰는 감상평을 단문으로만 작성할 수 있었지만, '원로우'는 글자 수 제한 없이 인상 깊었던 순간이나 대사를 기록하고 작품의 포스터나 스틸컷 등 이미지를 덧붙여 나만의 감상평을 기록할 수 있다. 원로우는 이용자들이 영화 전문가의 감상평도 읽을 수 있도록 영화 전문 매체인 '씨네21'과도 손을 잡았다. 이용자들은 콘텐츠 시청 전과 후에 씨네21의 필진이 작성한 콘텐츠 리뷰와 감상평을 읽으며, 한층 몰입감 있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밖에도 '원로우'는 다양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외 사업자와 협업해 국내 최대 규모인 약 120만 건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를 확보했다. 향후 '원로우'는 LG유플러스의 모바일 IPTV 서비스인 U+모바일tv와 협업해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직접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자체 개발한 AI '익시(ixi)'를 활용해 편의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2024.10.30 15:57최지연

배민 "배달로봇·AI로 글로벌 기업 도약할 것"

"요즘 제가 가장 많이 떠올린 단어는 '글로벌'입니다. 우아한형제들은 하나의 국가(한국)에서 배달을 주력으로 급격하게 성장해 왔지만, 이제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입니다." 송재하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최고기술책임자(CTO)는 30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우아한테크콘퍼런스2024'에서 우아한형제들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송 CTO는 "기술 기업이라면 글로벌은 AI와 함께 어느 단계에서 한번쯤은 고민하는 주제겠지만, 우아한형제들은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 아래에 있는 수많은 브랜드가 함께하기 때문에 글로벌의 의미가 더 크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프로덕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브랜드와 함께 쓸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며 "우리의 인재와 역량이 글로벌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길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송 CTO는 우아한형제들이 주목하는 기술로 배달 로봇과 AI를 꼽았다. 송 CTO는 "배달 로봇이 점주, 고객, 라이더의 부담과 걱정을 대폭 줄이고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지식 탐색기 '물어보새'를 필두로 알맞은 배달 시간을 제시하기 위해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AI와 ML을 활용해 우리 일상 업무와 비즈니스를 혁신하려는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10.30 15:44조수민

[IPO] 배터리 조립설비 기업 엠오티 "전고체·LFP도 준비 완료"

내달 18일 코스닥 상장을 앞둔 배터리 조립설비 전문기업 엠오티가 현재 각형 배터리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향후 전고체 배터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로 확대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회사 비전을 밝혔다. 이차전지 조립 설비 기업 엠오티(대표 마점래)는 30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코스닥 시장 상장에 따른 향후 사업 전략을 이같이 밝혔다. 2001년 개인 사업자로 설립한 이래 2019년 법인으로 전환한 엠오티는 글로벌 이차전지 조립 설비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후 매출이 고속 성장하면서 올해 상반기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매출 516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연 매출은 737억원이었다. 엠오티 창업자인 마점래 대표이사와 주요 임원 모두 삼성SDI 출신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임직원 107명 중 실무 중심의 엔지니어가 79명(73%)이며 그중 46명(58%)이 5년 이상 조립 설비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차전지 제조 공정은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활성화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 중 회사는 셀 사양에 맞춘 커스터마이징 기술이 요구되는 조립 공정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는 조립 공정 노하우를 자체 구축, 삼성SDI와 파트너십을 맺어 세대별 이차전지 조립 설비를 단독 공급하고 있다. 2021년에는 설비 업체 중 유일하게 삼성SDI의 베스트 파트너로 선정됐고 삼성SDI 협력회사 협의회(SSF) 회원사로 가입되는 등 삼성SDI 탭 웰딩 패키징 조립 공정 설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배터리 조립 공정 기술은 고객사의 배터리 사양에 맞춘 설비 기술력이 요구돼 화학 공정 대비 진입 장벽이 높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포함한 자동화 설비 제작 필수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각형 전지 조립 설비의 경우 용접 공법을 보다 고도화한 4세대 설비 양산을 준비하는 등 기술력 우위를 강조했다. 유태준 엠오티 전무이사는 “3세대보다 훨씬 매우 난이도가 높고, 설비 단가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생산 거점은 국내 2개 공장을 두고 있다. 유 전무는 “연 매출 2천500억원 이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인프라”라며 “제작된 설비는 고객사들의 해외 생산 거점이 있는 중국, 인도, 헝가리, 노르웨이, 미국 등에 대부분 수출된다”고 언급했다. 엠오티는 전고체 배터리,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LFP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조립 설비의 파일럿 라인을 개발 완료했다. 차세대 배터리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유태준 전무는 “고객사가 전기차 캐즘 이후를 염두해 본격적인 생산능력(CAPA) 증설을 실행 중이고,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위한 투자도 내년부터 본격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며 “전고체 배터리 설비는 이미 고객사에 납품해 검증까지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어 “원통형 배터리도 다수 전기차 기업이 채택을 검토하고 있고 고객사도 양산 라인 투자를 준비 중”이라며 “46파이 배터리에 요구되는 신규 공법이 탑재된 설비에 대해 고객사와 검증도 완료했다”고 했다. 엠오티는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조립 설비를 위한 연구 개발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마점래 대표는 “엠오티는 설립 초기부터 인간 존중, 기술 중시라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독보적이고 차별화된 기술력을 구축했다”며 “상장 이후에도 회사 가치를 지속 상승시켜 글로벌 이차전지 조립 설비 시장의 선도 기업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상장에 임하는 포부를 전했다. 엠오티는 이번 상장에서 175만주를 공모할 계획이며 희망 공모가는 1만2천원~1만4천원이다. 공모 규모는 210억원~245억원이며 상장 후 시가총액은 1천390억원~1천621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수요 예측은 지난 29일부터 11월 4일까지 5일간 국내외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11월 7~8일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2024.10.30 15:44김윤희

"백수저 셰프 요리도 집에서"…롯데홈쇼핑, 셀럽과 협업해 미식 트렌드 선도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흑백요리사 흥행으로 미식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더 높아진 가운데, 롯데홈쇼핑이 미식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차별화된 상품 소싱과 셀럽과의 협업을 늘리고 있어 주목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은 최현석 셰프가 출연하는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Tasty:맛)'을 비롯해 요리 전문가 빅마마 이혜정의 '롯데홈키친', 배우 김나운의 '라라쇼'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며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중이다. 지난 9월 새롭게 선보인 배우 이유리의 '요즘쇼핑 유리네'는 10월 방송 평균 주문건수가 9월 대비 약 80% 신장하는 등 인기 프로그램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셀럽 협업 방송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 시키며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스타 셰프 최현석 방송도 고객 주목도 ↑ 최근 최현석 셰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 셰프가 출연하고 있는 롯데홈쇼핑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에 대한 고객 주목도도 덩달아 높아졌다. 롯데홈쇼핑은 지난 2021년 최고의 셰프들과 협업해 유명 레스토랑의 인기 메뉴를 소개하는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을 선보였다. 코로나19로 외식 기회가 줄고, 집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레스토랑을 그대로 옮긴 듯 셰프의 요리를 어디서든 즐기자'라는 콘셉트로 기획하게 됐다. 최현석, 여경래, 미카엘 등 유명 셰프와 협업해 그들이 운영하는 레스토랑의 인기 메뉴를 소개하고, 다양한 레시피를 활용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선보인 결과, 롯데홈쇼핑의 대표 식품 프로그램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스타 셰프 최현석의 역할이 컸다. 최 셰프는 프로그램 출시부터 현재까지 3년 이상 꾸준히 출연하며 본인의 노하우가 담긴 '한우 스테이크 세트', '한우한돈 함박스테이크', '한우 곰탕' 등을 선보였다. 지난해 3월에는 '테이스티:맛' 출시 2주년을 맞아 변함없는 관심을 보내준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고객 20명을 초청해 인기 상품을 직접 조리해 제공하는 특별 생방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고급 레스토랑 콘셉트로 제작된 세트에 재즈 밴드 '튠어라운드'의 라이브 공연이 더해져 참여 고객들의 큰 호응이 이어졌다. 최근에는 넷플릭스의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최 셰프에 대한 고객 주목도가 크게 올라갔다. 지난 8일 최 셰프가 엄선한 재료에 노하우를 더한 '맑은 한우곰탕', 특별 비법으로 마리네이드(조리 전 고기에 맛을 들이거나 부드럽게 하기 위해 재워 두는 액체)한 갈빗살과 우삼겹으로 구성된 '정육세트'를 선보여 60분 만에 6천세트 이상 판매되는 등 최 셰프에 대한 고객 관심이 주문으로 이어졌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10월 방송 평균 주문액은 올해 1~9월 과 비교해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테이스티:맛'을 통해 최 셰프와의 협업 상품을 강화하고, 유명 맛집 메뉴 등 차별화된 상품을 지속 발굴해 선보일 예정이다. 이혜정, 김나운 등 셀럽 협업 방송 인기 롯데홈쇼핑은 이혜정, 김나운 등 TV홈쇼핑 시청자와 친숙한 셀럽과의 협업 방송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홈쇼핑의 올해 상반기 셀럽 고정 프로그램 방송의 평균 주문액은 일반 방송과 비교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올해 4월 고객의 끼니 고민을 덜겠다는 취지로,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오후 5시 전후 시간대에 식품 전문프로그램 '롯데 홈키친'을 선보였다. 해운대 암소갈비, 경복궁 꽃갈비살 등 유명 맛집 상품부터 요리연구가 빅마마 이혜정 협업 상품까지 다양한 프리미엄 먹거리를 선보이며 론칭 5개월 만에 주문액 12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이혜정이 직접 출연해 본인만의 레시피를 활용한 음식을 선보이는 방송이 고객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10일 이혜정이 출연해 직접 엄선한 블랙타이거 새우와 노하우가 담긴 소스 등을 선보여 60분 만에 약 8천 세트가 판매되는 등 10월 동안(1~15일) 주문액이 약 20억원에 달한다. 홈쇼핑 경력 16년의 베테랑 방송인 김나운과 협업하는 방송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달 식품 전문 프로그램 '김나운의 요리조리' 개편을 통해 '김나운의 라라쇼'를 새롭게 선보였다. '가치 있는 쇼핑의 즐거움'이라는 슬로건으로 식품을 넘어 리빙, 생활, 패션 등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을 선보여 고객들에게 쇼핑의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지난 7일 프리미엄인 초이스 등급의 소목등심 구이 세트를 선보여 약 8억 원의 주문액을 기록하고, 14일에는 국내산 한우를 수작업으로 손질해 전통 방식으로 끓여낸 '한우도가니탕'을 선보여 7천 세트를 판매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롯데홈쇼핑은 향후 전문성을 기반으로 고객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은 셀럽과의 협업을 확대해 방송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정윤상 롯데홈쇼핑 방송제작부문장은 “인지도와 전문성을 두루 갖춘 셀럽 출연 방송에 대한 고객 신뢰도가 높은 편”이라며, “앞으로도 셀럽과 협업한 방송을 통해 차별화된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고객에게 즐거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30 15:32안희정

전 세계 분쟁 급증 방지를 위한 물 투자의 핵심 열쇠

런던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국제 관계 싱크탱크인 경제평화연구소(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IEP)가 30일 '생태학적 위협 보고서(Ecological Threat Report•ETR)' 제5판을 발간했다. 보고서는 결론적으로 국제적인 공동 대응 없이는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마찰과 갈등이 증폭되고, 이러한 문제가 기후 변화로 인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연구 결과: - 기후 변화, 인구 증가, 분쟁으로 생태학적 위험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생태계 파괴, 빈곤, 분쟁 발생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고 있다. - 현재 13억 인구가 거주하는 50개국은 생태학적 위협이 어느 정도 높거나 매우 높은 수준에 직면해 있다. 이들 국가 인구는 2050년까지 근 20억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ETR은 극심한 생태학적 위험과 낮은 사회적 회복력이 맞물리며 불안정, 분쟁, 인도주의적 위기에 취약한 27개 생태학적 핫스팟(hotspot•분쟁 지대) 국가를 선정했다. - 이 27개 핫스팟 국가 중 19개 국가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4개 국가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위치해 있다. 현재 이들 지역에 있는 많은 국가들이 분쟁이나 내전에 시달리고 있다. - 농목업 공동체에서 분쟁 예방은 지역 거버넌스 구조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외부 개입보다 지역사회 기반 접근법이 더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됐다. -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경작지의 1.8%만이 관개되고 있을 만큼 세계에서 관개율이 가장 낮다. 이에 따라 이곳에선 물 수집과 관리 방법 개선을 통해 생태계의 압력을 완화할 수 있는 상당히 큰 기회가 존재한다. - 2050년까지 집수 및 농업 개선 이니셔티브에 연간 150억 달러를 투자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식량 생산량을 지금보다 50%까지 늘릴 수 있다. 207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4 생태학적 위협 보고서'는 생태학적 위협, 기후 변화, 열악한 거버넌스, 인구 증가, 분쟁이 맞물리며 전 세계적 위기가 커져가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보고서는 13억 인구가 거주하는 50개 국가에서 생태학적 위협이 어느 정도 높거나 매우 높은 수준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 중 82%가 아프리카에 있는 국가로, 이곳에선 2050년까지 인구가 5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가 특히 우려되는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엘니뇨로 인해 일어난 심각한 가뭄으로 이 지역 인구의 17%에 해당하는 6800만 명이 피해를 입었다. 2024년 초부터 시작된 가뭄은 농작물과 가축 생산에 타격을 입혀 식량 부족을 초래하고 경제 전반에 피해를 입혔다. 식량 가격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 25%나 올라 식량 접근성이 더욱 악화됐다. 그러나 이 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식량 생산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이 가장 큰 지역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헥타르당 평균 옥수수 생산량은 전 세계 평균인 5.4톤보다 크게 낮은 1.9톤에 불과하다. 또한 이 지역 미개발 경작지는 2억 헥타르에 이른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미세 물 포집 기술을 도입하고 농업 관행을 개선함으로써 생태 복원력과 식량 안보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스티브 킬레아 IEP 설립자 겸 회장은 "세계는 생태학적 위협이 분쟁 위험, 빈곤, 부채와 점점 더 긴밀한 연관성을 띠는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면서 "우리 연구 결과 물 확보와 농업 관행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식량 안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지역 회복력을 높이고, 분쟁을 줄이며, 강제 이주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생태학적 핫스팟 ETR은 27개 생태학적 핫스팟, 즉 생태학적 위험은 높고 사회적 회복력은 낮은 국가를 찾아냈다. 이러한 핫스팟 국가들은 불안정 심화, 분쟁, 인도주의적 위기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핫스팟은 지리적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19곳,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4곳, 아시아와 카리브해에 4곳이 몰려 분포해 있을 만큼 심각하게 왜곡되어 있다. -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심각한 식량 불안정, 물 부족,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가장 생태학적 위협이 큰 지역이다. - 남아시아는 모든 지역 중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에 대한 취약성으로 전체 ETR 지수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 유럽과 북미는 생태학적 위협 수준이 어느 정도 높거나 매우 높은 국가가 없는 유일한 두 지역이다. 핫스팟 국가는 지리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생태학적 및 인도주의적 위기가 여러 국가에 함께 영향을 미치면서 지역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구 이동, 새로운 국경 간 분쟁, 교통망 및 공급망의 중단 등의 파급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현재 많은 핫스팟 국가들이 무력 분쟁이나 내전에 시달리고 있을 만큼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생태학적 위협과 낮은 회복력 및 높은 폭력 위험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걸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인구 증가, 환경 파괴, 취약한 거버넌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특히 이미 분쟁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서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거버넌스 및 물 관리 물 위험은 물 부족보다 취약한 거버넌스와 더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예를 들어, 아랍에미리트는 제한된 수자원에도 불구하고 물 위험이 낮은 반면, 인근 예멘은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보고서는 소규모 물 포집 및 관련 이니셔티브에 연간 150억 달러를 투자하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생태학적 위험이 크게 완화될 수 있으며, 일부 지역의 작물 수확량을 세 배로 늘릴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향후 25년 동안 기본적인 식량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곡물 생산량을 두 배 이상 늘려야 한다는 점에서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ETR은 또한 취약 지역의 식량 안보와 경제 전망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물 관리 및 농업 관행에 대한 잠재적 솔루션을 찾아냈다. 아프리카의 모래 댐, 암반 유출수, 일반 댐 같은 소규모 물 확보 프로젝트는 단 한차례 5만 달러 투자로 최대 9헥타르에 관개하고, 18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는 미개발된 관개 잠재력을 가진 땅이 약 3420만 헥타르에 이르는데, 이 지역의 재생 가능한 수자원 중 6% 미만만을 사용해서 이 땅을 활용할 수 있다. 킬레아 회장은 "정부와 국제기구는 회복력을 키우고 향후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개입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지역 거버넌스와 지역사회 기반 분쟁 해결 메커니즘을 강화하는 것이 외부의 안보 개입보다 폭력으로 확대되기 전에 긴장을 완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는 분쟁 역사, 취약한 제도, 낮은 회복력이 특징인 지역에서 기존 긴장을 더욱 악화시키는 소위 '위협 증폭기' 같은 역할을 한다. 치열한 자원 확보 경쟁이 벌어지기 쉬운 지역에서는 기후로 인한 물이나 경작지 부족으로 지역사회 간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 이로 인한 피해는 특히 정부가 기후 관련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그로 인한 갈등을 중재할 능력이 부족한 취약한 제도를 가진 국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헬(Sahel) 지역, 즉 사하라 사막 주변 지대 사바나에서 증가하고 있는 농목업 관련 분쟁은 5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생태적 압력이 기존의 민족과 자원 기반 긴장을 어떻게 심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초국가적 극단주의 단체들은 이러한 지역적 고충을 악용해 전투원을 동원하고 분쟁을 확대하고 있다. 사헬 지역에선 아프리카 인구의 불과 6.8%만이 거주하지만 아프리카 전체 분쟁 사망자의 16% 가까이가 이곳에서 나온다. 특히 코트디부아르, 베냉, 토고,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국가를 포함해 비교적 평화로운 지역으로 이들 초국가적 극단주의 단체가 침입하는 것이 우려된다. 물과 식량 안보 물 위험은 취약한 거버넌스 및 열악한 인프라와 밀접히 관련돼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재생 가능한 수자원의 2%만을 농업에 사용하는데, 이는 전 세계 평균인 6.7%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경작지의 1.8%만이 관개되고 있을 뿐이다. 이는 전 세계 경작지의 19%가 관계되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또한 관개 기술을 발전시키면 농업 분야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물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 2030년까지 저소득과 중간 소득 국가의 관개 토지는 3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총 농업용수 사용량은 14%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 기후 변화는 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의 빙하 용수로 유지되는 생태계에서 수자원에 스트레스를 줄 것이다. 또 해수면 상승으로 세계에서 가장 비옥한 농업 지역, 특히 동남아시아의 농업 지역의 염분 농도는 증가할 것이다. 중국과 인도에서 지금보다 더 극심한 기상이변이 발생하면 그곳에 사는 28억 인구의 식량을 조달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아울러 9100만 명 이상이 메콩강 하류 유역과 나일강 삼각주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어 상류의 댐 건설은 수자원 흐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위협은 지역적 경계를 뛰어넘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급망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 지역의 식량 부족은 전 세계 식량 가격과 가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가 심화되면서 전 세계 이주 패턴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출발지와 도착지 국가의 인구 통계와 경제가 재편될 것이다. 따라서 농업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물과 토지 사용에 대한 적절한 투자는 생태계 파괴로 인한 최악의 영향을 극적으로 완화하고, 경제 상태를 개선하고, 분쟁을 예방하며, 강제 이주를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편집자 참고 사항 https://visionofhumanity.org와 https://economicsandpeace.org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생태학적 위협 보고서 2024'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방송용 비디오 영상과 라디오용 사운드는 아래 팀 존스턴에게 문의하면 구할 수 있다. 경제평화연구소 소개: 경제평화연구소는 전 세계가 긍정적이고 달성 가능하며 실질적인 인류 복지와 진보의 척도인 평화로 관심을 집중하도록 노력하는 국제적이고 독립적인 싱크탱크다. 시드니, 브뤼셀, 뉴욕, 헤이그, 멕시코시티, 나이로비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출처: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

2024.10.30 15:10글로벌뉴스

  Prev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TSMC, 美 첨단 패키징 선점 속도…삼성전자는 투자 부담 '신중'

[타보고서] 주행거리부터 성능까지…완벽에 가까워진 '더 뉴 아이오닉6'

[SW키트] "오류 0% 시대 목표"…美 빅테크, AI 신뢰성 업그레이드

국방부, 456억 패소 불복…KCC정보통신 상대로 대법원 최종심 간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