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진행중 상조내구제 업체 카툑892jms 급]전'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1064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IMA E-커머스, 코그넥스와 파트너십 체결 -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주문 처리 실현

파트너십 통해 AI 비전 시스템 및 바코드 리더기 활용 네이틱, 매사추세츠, 2025년 5월 15일 네이틱, 매사추세츠,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 산업용 머신 비전 분야의 선도 기업인 코그넥스(Cognex Corporation, NASDAQ: CGNX)가 오늘 IMA 그룹의 계열사인 IMA E-커머스(IMA E-COMMERC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IMA E-커머스는 코그넥스의 첨단 In-Sight® 비전 시스템과 DataMan®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주문 처리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A Cognex DataMan 280 is seen built into an IMA E-COMMERCE packaging system. 시모네 카폰첼리(Simone Capponcelli) IMA E-커머스 영업 매니저 겸 사업부 코디네이터는 "고객들은 환경 영향을 줄여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솔루션을 원하며, 품질이나 포장 무결성에 관련해서는 어떠한 타협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코그넥스와의 파트너십은 전자 상거래 기업들이 요구하는 정확성과 폐기물 감소를 모두 제공하는 고품질의 신뢰할 수 있는 비전 시스템 제공을 보장한다. 지속 가능한 주문 처리 요구 충족 IMA E-커머스는 코그넥스 기술을 자사 자동화 물류 솔루션에 통합하여 업계의 핵심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과도한 빈 공간으로 인한 비용 및 폐기물 감소 지속 가능한 포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충족 자동화를 통한 효율적인 운영 확장 IMA는 코그넥스의 머신 비전 시스템과 바코드 리더기를 사용하여 여러 방식으로 지속 가능하면서도 정확한 포장 작업을 보장한다. AI 기반 검사는 포장 무결성 및 밀봉 상태를 확인하며, IMA의 솔루션은 지속 가능성 규정을 준수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포장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맷 모슈너(Matt Moschner) 코그넥스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코그넥스에 있어 폐기물 감소는 사업성 및 지속 가능성 모두의 최우선 과제"라며 "IMA E-커머스가 고객들이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어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 IMA E-커머스와 코그넥스는 혁신에 대한 공통된 신념을 바탕으로 물류 자동화를 위한 새로운 솔루션 개발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카폰첼리 사업부 코디네이터는 코그넥스와의 협업 경험을 '신뢰성, 성능, 품질'이라고 요약했다. 파트너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cognex.com/im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그넥스(Cognex Corporation) 소개 코그넥스는 제조 및 유통 분야의 가장 중요한 과제들을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한다. 회사는 고성장 산업 시장 전반에서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머신 비전 제품 및 솔루션을 전 세계에 공급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물리적 제품과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시각 정보를 포착•분석함으로써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제조 및 유통 업무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머신 비전 제품은 휴대폰, 전기 자동차 배터리 및 전자 상거래 패키지와 같은 개별 품목의 위치 파악, 식별, 검사 및 측정을 통해 제조, 유통 및 추적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된다. 머신 비전은 사람의 눈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크기, 정확도, 속도 등을 요구하는 분야, 또는 비용 절감이나 품질 향상이 중요한 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그넥스는 1981년 창립 이후 누적 매출 1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450만 개 이상의 이미지 기반 제품을 출하한 머신 비전 산업의 세계적인 선두 기업이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네이틱에 본사를 둔 코그넥스는 미주, 유럽 및 아시아 전역에 지사와 유통망을 두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cognex.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IR 연락처 Greer AvivCognex Corporationir@cognex.com 미디어 연락처 제레미 사코(Jeremy Sacco)글로벌 콘텐츠 마케팅 수석 관리자Cognex Corporationpr@cognex.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80734/IMA_product_shot.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310647/Cognex_Logo.jpg?p=medium600

2025.05.15 22:10글로벌뉴스

밴티지, 2025 아부다비 머니 엑스포서 인사이트와 혁신을 선보이다

포트 빌라, 바누아투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밴티지 마켓(Vantage Markets)이 지난 4월 23~24일 열린 2025 아부다비 머니 엑스포(Abu Dhabi Money Expo 2025)에 참가해 행사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엑스포를 통해 밴티지는 글로벌 금융 리더십과 시장 교육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혁신과 멀티자산 거래 전략에 대한 비전을 선보였다. Vantage Delivers Insight and Innovation at Abu Dhabi Money Expo 2025 엑스포 첫날 밴티지 마켓의 니발 아부 아살리(Nibal Abu Assaly) 사업 개발 매니저는 '변동성 탐색: 시장 불확실성 이해'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해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이 세션에서 시장 변동성을 유발하는 핵심 요인들을 짚고, 불확실한 시장 환경을 헤쳐 나가기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을 폭넓게 소개했다. 지정학적 변화, 거시경제 지표, 예측 불가능한 정책 변동 등으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번 기조연설은 시의적절한 통찰과 실질적인 정보로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이를 통해 밴티지는 단순한 플랫폼 제공자를 넘어 글로벌 시장 담론에 기여하는 주체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Vantage Delivers Insight and Innovation at Abu Dhabi Money Expo 2025 엑스포 폐막일에 밴티지 마켓은 '최우수 다중 자산 브로커(Best Multi-Asset Broker)'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기술 혁신과 멀티자산 상품을 통해 금융 서비스 산업 발전에 기여해온 밴티지의 꾸준한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이번 수상은 외환, 원자재, 지수, 주식, ETF, 채권 등 다양한 CFD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운영해 온 밴티지의 노력은 물론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투명성, 고객 지원 역량을 두루 갖춘 점을 높이 평가받은 것이다. 마크 데스팔리에(Marc Despallieres) 밴티지 마켓 CEO는 "이번 아부다비 머니 엑스포 2025 참가를 통해 업계 관계자들과 뜻깊은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며 "업계 인사이트부터 혁신적인 상품 개발에 이르기까지 정보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지원하는 도구, 전문 지식,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금융 커뮤니티에 기여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밴티지는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면서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 폭넓은 거래 기회 제공, 글로벌 커뮤니티와의 소통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밴티지의 행사 및 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밴티지 마켓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밴티지 소개 밴티지 마켓(또는 밴티지)은 외환, 원자재, 지수, 주식, ETF, 채권 등 CFD 상품 트레이딩을 위한 민첩하고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자산 CFD 브로커다. 시장에서 15년 이상 쌓은 업력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트레이딩 생태계, 수상 경력에 빛나는 모바일 트레이딩 앱, 고객이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친화적인 트레이딩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브로커의 역할을 뛰어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밴티지 앱은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trade smarter @vantage 위험 경고: CFD는 복잡한 상품이며 레버리지로 인해 빠르게 손실을 입을 위험이 높다. 거래하기 전 관련 위험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재정적 조언, 제안 또는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이 콘텐츠는 콘텐츠의 배포나 사용이 현지 법률 또는 규정에 위배되는 관할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독자는 투자 또는 재정적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전문가의 조언을 구할 것을 권한다. 제시된 정보에 대한 의존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책임이다.

2025.05.15 19:10글로벌뉴스

제1회 대만 베스트 AI 어워즈에서 빛난 AI 최고 인재들

타이베이, 대만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 보도자료 제공: 디지타임즈(DIGITIMES) 2025 Best AI Awards 대만 경제부(MOEA)가 대만 AI 인재 풀 강화를 목표로 주관하는 제1회 베스트 AI 어워드 경진대회(Best AI Award Competition)가 2025년 5월 3일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1번 홀에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는 36개국 1253개 팀이 참여했으며 그중 233개 팀이 공기업,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학생, 국제팀으로 나뉘어 AI 애플리케이션과 IC 디자인 부문 결선에 올랐다. 금상을 수상한 8개 팀은 하이트러스트페이(HiTRUSTpay), EYS3D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 다야 유(Daya Yoo), 제이멤텍(Jmem Tek), 국립중앙대학교(National Central University), 국립대만대학교(National Taiwan University), 터치랩(Touch Lab, 필리핀), 아르바랩(Arba Lab, 영국)이었다. MOEA는 이 대회를 대만의 AI 오스카상으로 상정하고 혁신과 업계 협업, AI 상용화를 촉진하고 있다. 상금은 학생 수상자에게 30만 싱가포르 달러, 기업, 스타트업, 국제 팀에 100만 싱가포르 달러로 차등 지급됐다. 호친상(Ho Chin-tsang) 차관은 전 산업에서 AI의 혁신적 역할을 강조하며 인재 개발과 시장 수요를 연계하는 경연대회의 능력을 부각했다. MOEA는 정책과 파트너십을 통해 AI 통합을 지속한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궈차오청(Kuo Chao-chung) 국장은 36개국에서 전문가 353명이 참여하는 등 이번 행사가 국제적으로 호응을 얻었음을 강조했다. 경제부는 앞으로도 학계 및 업계와 협력해 AI 도입과 인재 양성을 강화해 나아갈 방침이다. 추이후이(Chiu Chui-ui) 산업발전국장은 대만이 AI 인프라 부문에서는 4위에 올랐지만, 인재(38위), 연구(27위), 상용화(39위) 부문은 순위가 상당히 낮다는 보고서를 언급하며 AI 인재 부족을 중요한 해결 과제로 꼽았다. 이번 대회는 수상률 7.4%로 AI의 실질적 도입과 전문성 제고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 수상작은 ICT(18.4%), 제조(16.2%), 의료(15.9%), 소매(10.2%), 교육(8.6%), 금융(7.8%) 등 여러 분야에서 골고루 나왔고 특히 AIoT와 엣지 AI 통합의 혁신이 눈에 띄었다. 경제부는 베스트 AI 어워즈를 연례행사로 만들어 대만의 AI 개발, 인재 양성 및 상용화에 더욱 힘쓸 방침이다. 동시에 컴퓨텍스(COMPUTEX)에서 매치메이킹 행사를 열어 20여 벤처 캐피털리스트, 바이어와 팀을 연결해 투자와 협업을 증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최종 목표는 대만을 AI 선도 국가 반열에 올리는 것이다. 베스트 AI 어워즈 링크드인 페이지에서 최신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

2025.05.15 19:10글로벌뉴스

美 IRA 손질 갈팡질팡…韓 배터리 '긴장' 태양광 '기대' 교차

미국 공화당 하원에서 공개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개정안을 두고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지금보다 배터리 업계 수혜는 줄고, 태양광 업계 입장에선 중국 배제로 인한 반사이익을 기대해볼 만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공화당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이번 개정안을 IRA 최종 수정안으로 보기엔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15일 국내 산업계에선 지난 13일 공화당 하원 세입위원회가 내놓은 IRA 개정안 도입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우선 전기차 구매 시 최대 7천500달러까지 지급되는 세액공제를 올해까지만 지급하되,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누적 판매량 20만대 미만인 기업 전기차에 대해선 내년 말까지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는 2032년까지인 데 반해 종료 시기가 크게 앞당겨지는 것이다. 단 이는 1월 나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이후 업계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온 부분이다. 개정안에 대한 관심은 IRA상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에 쏠려 있다. 공화당 세입위 안은 당초 2030년부터 단계적 축소를 거쳐 2032년인 AMPC 지급 기한을 1년 빠른 2031년까지로 축소했다. 생산세액공제(PTC)와 투자세액공제(ITC) 지급 종료 시점도 기존 2035년에서 2032년으로 3년 앞당겼다. 개편안에는 기존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외 AMPC에도 해외우려집단(FEOC) 규정을 적용하는 내용이 제안됐다. FEOC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등 소재 기업 및 해당 국가의 지분율 25% 이상인 경우로 간주된다. K-배터리 IRA 수혜 줄어드나…공화당 내부도 옥신각신 AMPC 지급 기한이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국내 배터리 업계 이익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우리나라 배터리 업계가 수령한 AMPC가 1조 8천억원 이상으로 상당하고, 이를 영업이익으로 반영 중이기 때문이다. 최근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면서 배터리 업계는 실상 적자를 내고 있지만, AMPC가 기업들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이번 IRA 개정안 관련해 NH투자증권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미국보다 유럽향 판매 비중이 크지만 AMPC를 고려하면 미국 노출도가 더 커 이번 초안이 확정되고 난 뒤 종합적인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공화당 지역구가 IRA로 상당한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AMPC 등 IRA 세액공제 유지를 주장하는 의원들이 여럿인 점을 고려하면 법안 개정이 어려울 것이란 논리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지난 3월 공화당 하원의원 21명이 IRA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존치를 촉구하는 서한을 지도부에 보내기도 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1일에도 공화당 하원의원 26명이 원자력 에너지발전 등 세액공제 제도 일부를 유지해달라고 요청했다. 반면 공화당 하원의원 38명은 모든 청정에너지 세액공제를 없애야 한다며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IRA 개정을 위한 후속 입법 절차가 산적해 있어 이후 과정에서 개정 방향이 수정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타났다. 박준모 법무법인 율촌 외국변호사는 "이번에 공개된 IRA 개정안은 트럼프 행정부가 예산을 감축하겠다는 큰 틀의 목표 하에 공화당 하원 내 지도부에서 고려하는 안을 밝힌 것"이라며 "추후 상원 차원에서 논의된 개정안과 함께 일괄 조정 절차를 거친 뒤 다시 하원부터 표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 만큼 이번 개정 내용의 실현 가능성을 점치기엔 다소 이른 시점"이라고 말했다. 韓 태양광 中 경쟁 우위 생기나…업계는 신중모드 반면 AMPC에 대한 FEOC가 적용되면 현지에서 중국 기업과 경쟁 중인 우리나라 태양광 기업들의 시장 경쟁 구도는 유리해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미래에셋증권은 "향후 수정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보조금 수취 가능성도 낮아지면서 한화솔루션의 미국 내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하나증권도 "개편안이 통과되면 중국 모듈 업체의 AMPC 수취가 제한될 예정"이라며 "현재 미국 태양광 모듈 설비 총 52GW 중 중국이 지분을 보유한 설비는 21GW로 40%"라고 지적했다. 국내 태양광 업계 기대치는 증권가 전망보다 보수적인 편이다. 개정안이 그대로 도입될 경우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는 있지만, 현지에서 AMPC를 수령하는 중국 기업의 생산 규모는 전체 비중에서 크진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태양광 전문 매체 솔라파워월드에 따르면 미국 내 태양광 패널 제조 기업 24곳 중 중국 기업은 7곳으로, 이 중 본격 양산 중인 기업은 후넌솔라와 진코솔라 2곳에 그친다. 그 외 기업 공장은 현재 램프업을 진행 중이다. 기업 국적을 타국으로 표방하지만, 중국 자본이 유입된 기업들을 명확히 파악하고, AMPC를 제한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전망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중국 자본 입김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판명하는 것만 해도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2025.05.15 18:27김윤희

오픈AI, 모델 테스트 성적표 수시 공개…"AI 안전성 체크하겠다"

오픈AI가 인공지능(AI) 모델들의 안전성과 관련된 평가 결과를 외부에 수시로 공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모델 신뢰성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한 조치다. 15일 오픈AI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세이프티 이벨류에이션 허브(Safety evaluations Hub)'라는 별도 웹 페이지를 개설하고 주요 모델들의 유해 콘텐츠 대응, 탈출 공격 방어, 환각률 등의 수치를 정리해 공개하기 시작했다. 해당 페이지는 향후 주요 모델 업데이트 시마다 갱신되며 모델 성능·안전성 이슈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허브에서는 'GPT-4.1', 'GPT-4o', 'o3' 등 내부 주요 모델들이 각각 어떤 유형의 위험 평가에서 어떤 수준의 성적을 기록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안전성 평가는 유해 콘텐츠 대응, 탈출 공격 방어력, 환각 오류율, 메시지 우선순위 준수 여부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됐다. '유해 콘텐츠 대응' 항목에서는 모델이 혐오 발언이나 불법 조언 요청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평가한다. 표준 테스트와 고난도 '챌린지' 테스트로 구분되며, 모델이 위험한 요청을 피하면서도 정상적인 질문에는 과도하게 거부하지 않는지를 동시에 측정한다. '탈출 공격' 항목은 강제 프롬프트를 통해 모델의 안전장치를 우회하려는 시도에 대한 저항력을 본다. '환각' 항목에서는 일반 지식과 인물 정보에 대한 질문에 모델이 정확하게 대답하는지를 평가한다. 'GPT-4.;가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일부 경량화 모델은 여전히 높은 환각률을 기록했다. '메시지 우선순위 준수' 항목은 시스템, 개발자, 사용자 간 상충된 명령어 상황에서 모델이 누구의 지시를 우선 따르는지를 확인한다. 'GPT-4.5'는 시스템 메시지를 우선시하는 테스트에서 가장 높은 정합성을 보였고 일부 미니 모델은 사용자 지시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여전히 존재했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오픈AI가 겪은 안전성 논란과도 무관치 않다. 지난달 'GPT-4o'의 초기 배포 직후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 모델이 문제적 발언에 쉽게 동조하는 사례가 보고돼 해당 업데이트가 긴급 철회된 바 있다. 회사는 이를 계기로 일부 모델에 대해 '알파 테스트'를 도입해 정식 출시 전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도 병행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초기 사용자를 통해 예상치 못한 문제 상황을 사전에 걸러내겠다는 목적이다. 테크크런치는 "오픈AI가 모델 안전성 관련 일부 수치를 사전에 이사회에 충분히 공유하지 않았다는 논란 이후 내부 투명성을 외부로 확장하는 시도를 본격화하는 모습"이라며 "이는 업계 전반의 검증 체계 강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5.05.15 18:15조이환

퀀티넘과 알 라반 캐피털, 카타르 및 중동 지역 내 양자 컴퓨팅 채택 가속화 위한 합작사 설립

카타르가 10년간 최대 10억 달러를 투자해 최신 양자 기술 및 인력 개발을 지원하고, 합작사는 이를 학술 및 산업 파트너에게 제공 예정 도하, 카타르,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 양자 컴퓨팅 분야를 이끌어 가는 세계적 기업인 퀀티넘(Quantinuum)이 카타르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알 라반 홀딩 컴퍼니(Al Rabban Holding Company)의 자회사 알 라반 캐피털(Al Rabban Capital)과 카타르에 합작사를 설립한다. 이 합작사는 카타르 및 중동 지역에서 양자 컴퓨팅 채택을 가속하면서 미국과 카타르가 글로벌 양자 기술 혁명을 이끌어갈 글로벌 리더로 전략적으로 포지셔닝하게 해줄 전망이다. 이 최초의 양자 기술 제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사적인 카타르 국빈 방문 기간 동안 직접 언급할 만큼 주목을 받았다. 합작사의 세 가지 핵심 목표는 중동 지역에서 퀀티넘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양자 기술에 대한 더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고, 생성형 양자 AI(GenQAI) 시대에 발생하는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신에너지, 재료 탐색, 정밀 의료, 유전체학, 금융 서비스 등 지역별 요구사항에 맞춘 양자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고, 카타르와 중동 지역 내 차세대 양자 컴퓨팅 개발자 양성을 지원하는 것이다. 퀀티넘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사의 기술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에 맞춰 글로벌 존재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미국, 영국, 유럽,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이룬 성공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퀀티넘은 카타르를 시작으로 걸프 지역으로 진출하고 있다. 알 라반 캐피털과 합작 회사를 세우기로 한 결정에는 미국과 카타르가 전략적 유대를 강화하고, 미래 핵심 산업에 대한 양국 간 투자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 리더십과 공동 번영을 촉진하겠다는 공동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양사의 합작사는 지난해 발표된, 하마드빈칼리파알타니 대학(Hamad Bin Khalifa University)과 카타르의 주요 양자 연구 허브인 카타르 양자 컴퓨팅 센터(Qatar Center for Quantum Computing•QC2)가 체결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다. 알 라반 캐피털의 압둘아지즈 칼리드 알 라반(Abdulaziz Khalid Al Rabban) 회장은 "이번 합작사 설립으로 카타르가 양자 컴퓨팅과 같은 첨단 기술의 지역 허브로 성장하려는 야망을 실현하는 데 결정적 순간이 마련됐다"면서 "우리는 퀀티넘과 협력해 세계 최고 수준의 양자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카타르와 중동 지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퀀티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인 라지브 하즈라(Rajeeb Hazra) 박사는 "이번 합작사 설립은 우리가 기술 혁신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알 라반 캐피털과 함께 카타르와 중동 지역에서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를 가속하면서 미국과 카타르의 전략적 이익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퀀티넘 소개 퀀티넘은 세계 최고의 양자 컴퓨팅 기업이다. 퀀티넘의 양자 시스템은 업계 모든 벤치마크(기준)에서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에서 370명 이상의 과학자와 엔지니어를 포함한 550명이 넘는 직원이 퀀티넘에서 양자 컴퓨팅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quantinuum.com 알 라반 캐피털 소개 알 라반 캐피털(ARC)은 카타르를 기반으로 한 투자 자문사로, 카타르와 걸프협력회의(GCC) 지역에서 기업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ARC는 합작 투자, 전략적 파트너십, 현지 시장 전문성을 통해 시장 진출 및 확장 지원과 함께 공공과 민간 부문의 이니셔티브에 맞춤형 종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ARC는 또 자본 외에도 전략적 지침, 지배 구조 개선안, 지역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면서 AI, 양자 기술, 헬스케어,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장에 집중한다. 웹사이트: https://www.alrabbancapital.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55950/5319249/Quantinuum_Logo.jpg?p=medium600

2025.05.15 18:10글로벌뉴스

밴티지, 포렉스 트레이더 서밋 두바이 2025에서 전략적 시장 인사이트 공유

포트 빌라, 바누아투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 밴티지 마켓(Vantage Markets)이 5월 14부터 15일까지 두바이 페스티벌 아레나(Dubai Festival Arena)에서 개최되는 포렉스 트레이더 서밋 두바이 2025(Forex Trader Summit Dubai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다중 자산 트레이딩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밴티지는 4번 부스에서 업계 리더, 기관 투자자, 개인 트레이더, 핀테크 혁신가들을 대상으로 자사의 최첨단 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Vantage to Share Strategic Market Insights at Forex Trader Summit Dubai 2025 이번 행사는 중동 지역 금융 커뮤니티가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모색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밴티지는 기조연설 및 심도 있는 패널 토론을 통해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5월 14일, 니발 아부 아살리(Nibal Abu Assaly) 밴티지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가 현 금융 환경을 형성하는 거시경제 요인에 대한 패널 토론에 참여한다. 이 세션에서는 금리 변화가 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중앙은행의 결정이 가계 행태와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또한 패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국가가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논의하고, 글로벌 사례 연구 및 정책 도구를 활용해 인플레이션 관리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서 수하일 파들랄라(Souhail Fadlallah) 밴티지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가 '폭풍 속 항해: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의 전략적 리스크 관리 관점(Navigating the Storm: Perspectives on Strategic Risk Management in Volatile Markets)'이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그는 지속적인 글로벌 불확실성과 시장 변동 속에서도 트레이더와 기관이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프레임워크와 전문가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5월 15일, 수하일 파들랄라 매니저는 2025년 브로커리지 경쟁력을 주제로 한 미래 전망 패널 토론에 참여한다. 이 토론에서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교육 도구, 시장 접근성의 중요성을 포함해 새로운 트레이더에게 매력적인 브로커리지 플랫폼의 핵심 요소들을 살펴본다. 특히 경쟁이 심화되고 성과 중심적인 시장 환경에서 스프레드, 체결 속도, 플랫폼 안정성이 고객 유지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이어 니발 아부 아살리 매니저가 '기관 투자 인사이트: 주요 투자자들이 외환 시장을 탐색하는 방식 이해(Institutional Insights: Understanding How Major Players Navigate the Forex Market)'라는 제목의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이 세션에서는 대형 금융 기관들이 유동성을 관리하고, 리스크를 예측하며, 규제 및 경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한 전략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밴티지는 이번 참여를 통해 다양한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포럼을 마련해 오늘날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제기되는 가장 시급한 질문들을 다루는 열린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수하일 파들랄라 밴티지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는 "포렉스 트레이더 서밋 두바이와 같은 행사는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트레이딩 생태계 내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기회"라며 "이번에 우리의 전문성을 제공하고 이 지역의 더 넓은 금융 커뮤니티와 소통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이틀 간의 서밋 기간 동안 밴티지 팀은 4번 부스에서 고객, 파트너, 잠재 트레이더들과 직접 만나 소통할 예정이다. 방문객들은 수상 경력에 빛나는 밴티지의 트레이딩 플랫폼, 최신 상품을 살펴보고 투명성, 실적, 고객 중심 혁신을 선도하는 밴티지의 노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밴티지 소개 ( Vantage ) 소개 밴티지 마켓(또는 밴티지)은 외환, 원자재, 지수, 주식, ETF, 채권 등 CFD 상품 트레이딩을 위한 민첩하고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자산 CFD 브로커다. 밴티지는 시장에서 15년 이상 쌓은 업력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트레이딩 생태계, 수상 경력에 빛나는 모바일 트레이딩 앱, 고객이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친화적인 트레이딩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브로커의 역할을 뛰어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밴티지 앱은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trade smarter @vantage 위험 경고: CFD는 복잡한 상품이며 레버리지로 인해 빠르게 손실을 입을 위험이 높다. 거래하기 전 관련 위험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재정적 조언, 제안 또는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이 콘텐츠는 콘텐츠의 배포나 사용이 현지 법률 또는 규정에 위배되는 관할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독자는 투자 또는 재정적 결정을 내리기 전에 독립적인 전문가의 조언을 구할 것을 권한다. 제시된 정보에 대한 의존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책임이다.

2025.05.15 18:10글로벌뉴스

덱스터크레마, 'AI 엑설런스 서밋 어워즈'서 과기부장관상 수상

덱스터크레마가 AI 영역에서 수상 성과를 추가하며, 다시 한번 AI 기술 전문성을 입증했다. 덱스터스튜디오의 자회사 덱스터크레마(대표 손동진·송경운)는 '제8회 국제인공지능산업대전'에서 진행된 '2025 AI 엑설런스 서밋 어워즈' AI 기술융합 산업혁신 부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국제인공지능산업대전은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면서 화두가 되는 AI 기술과 실제 비즈니스 적용 사례 등 최신 정보와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장이다. 덱스터크레마는 AI 기술을 광고 영역에 결합해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구현한 점과 비즈니스 모델의 우수성 및 사업화 전략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덱스터크레마는 초개인화 AI 마케팅 원스톱 솔루션 '애드플로러'와 AI 인플루언서 마케팅 솔루션 '링크플로러'를 자체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애드플로러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자체 개발한 한국형 소형언어모델(sLLM) '고니'를 적용해 광고 도메인에 대형언어모델을 개발 중이다. 해당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연구개발(R&D) 과제에 선정된 바 있다. 손동진 덱스터크레마 대표는 “애드플로러, 링크플로러의 AI 기술 완성도 뿐 아니라, 현장에서 상용화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우수성을 인정받게 돼 기쁘다”며 “광고 마케팅 전 과정을 아우르는 AI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산업의 리소스 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5.15 17:49백봉삼

벤큐, 모니터 보조 조명 '스크린바 헤일로2' 6월 출시

벤큐코리아가 오는 6월 9일 모니터 전용 보조 조명 '스크린바 헤일로2'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스크린바 헤일로2는 모니터 상단에 장착해 후면 간접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모니터와 주변 환경의 밝기 차이를 최적화하여 눈의 피로도를 줄이는 제품이다. 야간 작업이 잦은 전문가나 기술에 민감한 소비자, 혹은 '데스크테리어'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를 겨냥했다. "전통적인 조명, 모니터 작업 잦은 현대 환경에 부적합"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더링크서울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판종창(潘炯丞) 벤큐 조명사업 총괄이사는 "스탠드나 형광등처럼 전통적인 조명은 모니터 가장자리에 빛번짐 현상을 일으키고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현대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 모니터 전용 보조 조명기구인 '스크린바' 시리즈를 출시했고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200만 개 이상 판매됐다"고 덧붙였다. 이상현 벤큐코리아 팀장(조명사업 담당)은 "스크린바 헤일로는 모니터 화면과 주면 환경의 밝기 비율을 1:3 내지는 1:2 수준으로 조절해 눈의 피로도를 덜어 주는 보조 조명"이라고 설명했다. 1세대 제품 대비 편의성·조작성·성능 등 개선 스크린바 헤일로 1세대 제품은 2023년 첫 공개 이후 지난 해 4월 국내 출시됐다. 이상현 팀장은 "오는 6월 출시할 '헤일로2'는 글로벌 소비자를 통해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조명 성능과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헤일로2는 모니터 상단 고정에 쓰이는 클램프 구조를 개선해 일반 모니터 뿐만 아니라 화면이 구부러진 커브드 모니터에도 장착할 수 있게 했다. 장착 가능한 모니터 패널 두께를 기존 10-30mm에서 4.3-60mm까지 확대했다. 밝기를 조절하는 무선 컨트롤러는 색 온도와 화면 밝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숫자로 표시한다. 또 건전지 대신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해 작동한다. 내장된 배터리를 한 번 완전충전하면 최대 3개월간 작동한다. "경쟁사 저가 제품 대비 조명 품질에서 우위" 이상현 팀장은 "제품 컨셉과 디자인을 모방한 저가 제품이 시장에 다수 출시됐지만 헤일로2는 서로 다른 색온도로 작동하는 LED 2종을 혼합해 색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부 저가 제품은 눈 피로도 등에 영향을 주는 청색광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지만 헤일로2는 태양광과 유사한 패턴으로 투사가 가능하다. 모니터에 표시되는 색상 정확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사진/동영상 등 콘텐츠 제작자에도 적합한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이상현 팀장은 헤일로2의 주요 타깃층으로 ▲ 기술에 민감한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의 사무직 근로자 ▲ 데스크셋업, 데스크테리어에 투자하는 소비자를 꼽았다. 공급가는 27만 9천원으로 책정됐고 오는 6월 9일 국내 출시 예정이다.

2025.05.15 17:37권봉석

K의료 새 역사 쓴 서울아산병원···간이식 9천례 달성

4월30일 오전 8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 수술방 네 곳이 동시에 열렸다. 살아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떼어내 환자에게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이 한날한시에 두 건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 하나의 의료기관에서 복수의 생체 간이식이 동시에 시행되는 건 세계에서도 드물다. 간암과 간경화를 앓고 있는 고모와 건강한 간을 내어줄 조카, 알코올성 간경화로 생명이 위태로운 이모와 본인 간을 떼어내 이모를 살리려는 조카. 네 사람이 각자의 수술방에 들어오자 간이식팀 의료진은 바삐 움직이기 시작했다. 기증자들의 수술방에선 간을 절제하는 수술이 시작됐고, 수혜자들의 수술방에선 건강한 간을 이식받기 위한 준비가 진행됐다. 11시간이 넘는 수술 끝에 마침내 건강한 간이 수혜자들에게 이식됐다. 의료진이 혈류를 개통한 순간, 회색빛 간에 붉은 생기가 돌았다. 서울아산병원의 8천999번째와 9천번째 간이식이 연이어 이뤄진 순간이었다. 서울아산병원이 세계 첫 간이식 9천례라는 새 역사를 써냈다. 생과 사를 넘나드는 9천 번의 도전 속에 한 살배기 시한부 아기는 어느덧 건강한 청년이 됐고 죽음 앞에 섰던 마흔 살 가장은 손주를 맞는 노년의 기쁨을 누리게 됐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은 지난 4월30일 알코올성 간경화 환자 윤모씨(여, 43세)에게 조카 정씨(남, 20세)의 간 일부를 떼어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단일 의료기관으로 세계 처음 간이식 9천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1992년 8월 처음으로 뇌사자 간이식 수술을 시행한 이후 32년 8개월 만이며, 2022년 9월 간이식 8천례 기록을 세운 이후로 2년 반 만에 이룬 성과다. 서울아산병원은 1992년 뇌사자 간이식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생체 간이식 7천502례, 뇌사자 간이식 1천498례를 실시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이뤄지는 간이식의 85%는 생체 간이식으로, 뇌사자 간이식에 비해 수술이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크다고 알려져 있다. 높은 생존율을 담보하기 어려운 수술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아산병원의 전체 간이식 생존율은 98%(1년), 90%(3년), 89%(10년)를 기록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보다 간이식 역사가 깊은 미국 피츠버그 메디컬센터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메디컬센터의 간이식 1년 생존율이 평균 92%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우수한 수치다. 9천번째 간이식 역시 생체 간이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수술은 기증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달라 거부반응이 발생할 위험도 컸는데,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면역학적 고위험군인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행한 경험을 토대로 이식 전 환자에게 항체 형성 억제제를 투여하고 혈장교환술(혈장에 존재하는 질병 유발 항체를 제거해 다시 환자의 혈액으로 주입)을 시행하며 환자 안전과 수술 성공에 만전을 기했다고 한다. 8천999번째와 9천번째 간이식은 동시에 이뤄졌다. 두 수술 모두 생체 간이식으로, 각기 기증자로부터 간을 절제하고 절제된 간을 수혜자에게 이식하기 위해 총 4개의 수술방이 열렸다. 병원 측은 한날한시 하나의 의료기관에서 복수의 생체 간이식이 이뤄지는 것은 세계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그만큼 개별 의료진이 수술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숙련도를 갖췄고 이를 뒷받침할 수술 시스템도 정교하게 운영되고 있기에 가능했다고 전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더 많은 환자를 살리려는 노력을 이어가며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새로운 수술법을 세계 간이식계에 제시해왔다.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가 1998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변형우엽 간이식은 전 세계 간이식센터에서 표준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수술법은 이식되는 우엽 간에 새로운 중간정맥을 만들어 우엽 간 전(全) 구역의 피가 중간정맥을 통해 잘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한 해 30례에 그치던 생체 간이식이 100례를 넘겼고 수술 성공률도 70%에서 95%를 돌파했다. 이승규 석좌교수가 2000년 세계 최초로 고안한 2대1 생체 간이식은 간 기증자와 수혜자의 범위를 넓힌 데 의의가 크다. 기증자 2명으로부터 간 일부를 받아 수혜자에게 이식하므로, 기증자 간의 좌우엽 비율이 기준에 맞지 않거나 지방간이 심하거나 기증자가 고령인 경우에도 간이식이 가능해 그동안 650명이 넘는 환자들이 이 수술법으로 새 삶을 얻었다. ABO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또한 서울아산병원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1천126례를 시행했으며, 혈액형 적합 간이식과 대등한 성적을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간 기증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는데, 생체 간이식 기증자 중 사망하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복강경과 최소 절개술을 이용한 기증자 간 절제술은 기증자들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고 흉터를 최소화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아시아 국가의 간이식 자립을 위한 활동도 지속해오고 있다. 2011년부터 몽골과 베트남에 간이식을 전수해왔는데, 그 결실로 몽골 국립 제1병원과 베트남 쩌라이병원, 호치민대학병원에서 간이식을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몽골 국립 제1병원은 올해 2월 누적 생체 간이식 300례를 달성하며 완전한 간이식 자립을 이뤄냈다. 이 밖에도 ▲2001년 터키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04년 프랑스 최초(유럽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06년 터키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16년 중동 카타르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19년 카자흐스탄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을 성공시켰다. 해외 유수 병원에 간이식도 전수하고 있는데 1955년 당시 한국의 의료 재건을 위해 우리나라 의사들에게 의술을 전파했던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의 경우 2015년 서울아산병원의 생체 간이식을 배우고 싶다며 먼저 협력을 요청한 이후 꾸준히 기술 전수가 이뤄지고 있다. 올해 4월 해당 협약이 재연장됨에 따라 미국에 대한 간이식 전수는 지속될 계획이다.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는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간이식 9천례를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환자들이었다. 간이식·간담도외과 집도의뿐만 아니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소화기내과, 감염내과, 소아외과, 소아청소년전문과, 수술실, 중환자실, 병동, 장기이식센터 등 수많은 의료진이 '원팀'이 되어 환자들의 장기 생존과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을 쏟아왔다”고 밝혔다.

2025.05.15 17:33조민규

두나무, 1분기 매출 5162억원...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투자 심리 위축 영향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2025년 1분기에 대한 분기보고서를 15일 공시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두나무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매출)은 5천162억원으로 전년 4분기 대비 31.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천963억원으로 전년 4분기보다 34.8%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지난해 4분기에 비해 39.1% 감소한 3천205억원으로 집계됐다. 두나무는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전쟁 등의 여파로 올해 1분기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 컸다고 입장을 전했다. 또 비트코인이 장세를 주도하면서 그 외 알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데 따른 거래량 감소 때문으로 분석했다.

2025.05.15 17:24김한준

AI 신약개발 교육사업 고도화 방안 논의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이하 협회)는 지난 13일 2025년 제1차 AI신약개발자문위원회를 열고 AI 신약개발 교육사업 고도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새롭게 위원으로 합류한 강재우 아이젠사이언스 대표와 남호정 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위촉식도 진행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AI 기술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산업 생존과 직결된 과제”라며 “AI 신약개발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이 첨단전략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자문위원들의 지속적인 협력과 전문적 조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AI 신약개발 교육 사업 고도화 방안 ▲AI 신약개발 융합 과제안 ▲AI 신약개발 인프라 구축 및 지원방안 등에 대한 자문 및 토론이 이뤄졌다. 이날 자문위원들은 현재 운영 중인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을 재직자 중심에서 실무 적용 가능한 과제 해결 중심으로 확대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대학과 교수, 산업계 전문가가 연계된 팀티칭을 통해 신약개발 분야 문제 해결의 흥미로움을 교육과정에서 노출시킨다면, 양질의 인재 수급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업무 효율 개선을 위한 AI활용 CTD(Common Technical document) 작성의 자동화, 국책과제와 연계한 프로그램 확대, AI 신약개발 전문학회 추진 등 다양한 조언이 나왔다. 협회는 AI 신약개발 교육 플랫폼 LAIDD(라이드; Lectures on AI-driven Drug Discovery)를 중심으로 온·오프라인 실전 교육을 강화하고,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장기적 관점에서 AI 신약개발 교육 사업의 고도화 방안도 함께 모색하고 있다. 한편 협회는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의 'AI 활용 신약개발 교육 및 홍보 사업'의 일환으로 2021년부터 LAIDD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4월 기준 가입자 수가 1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오프라인 실전 교육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특히 5인의 전문 멘토가 교육생을 선발해 3개월간 장기 팀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멘토링 프로젝트'는 올해로 3회를 맞았으며, 지금까지 총 87명의 현장형 인재를 배출했다. 또 지난해 시작된 'AI 신약개발 부트캠프'는 1회차 모집 당시 선착순 50명 정원이 1분 만에 마감되는 등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2회차 추가 교육이 진행되기도 했다. 협회는 두 교육에 대한 교육생 모집을 오는 5~6월 중 실시할 예정이며, 사전 안내와 홍보를 통해 현장 수요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2025년 AI신약개발자문위원으로는 ▲강재우 아이젠사이언스 대표 ▲고경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센터장 ▲김동섭 KAIST 교수 ▲김상수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김선 서울대학교 교수 ▲김우연 KAIST 교수 ▲김정렬 삼성서울병원 교수 ▲남호정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박준석 대웅제약 센터장 ▲백민경 서울대학교 교수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소장 ▲오지선 서울아산병원 교수 ▲이계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승환 서울대병원 교수 ▲이주용 서울대학교 교수 ▲장동진 에이치디정션 대표 ▲최인희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실장 ▲추연성 스탠다임 대표 ▲한남식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황대희 서울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

2025.05.15 17:17조민규

원티드랩, 1분기 매출 79억원·영업손실 12억원

원티드랩은 15일 공시를 통해 1분기 매출 79억원, 영업손실 12억원, 당기순손실 11.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82% 감소했으며,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전년 동기(7.7억원·4.5억원) 대비 56.27%·156% 늘었다. 부문별로 보면 채용사업 매출은 60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채용 비수기와 대내외적 영향으로 인한 기업의 보수적 채용 심리가 맞물려 합격자 수가 감소하면서 매출이 하락했다. 다만 기업이 AI 등 핵심 기술 직군에 대한 채용은 지속하면서 평균 채용 수수료는 455만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개인 회원 수는 368만 명, 기업 고객 수는 3만2천개로 전년 동기대비 10%, 16% 증가했다. 2분기에는 채용 성수기 효과와 더불어, 기업 대상 신규 비즈니스 모델인 정액제의 매출 기여가 본격화하며 손익 개선이 기대된다. 실제로, 지난 4분기 대비 1분기 국내 이직자 규모는 13% 증가했으며, 원티드랩 채용사업 주요 선행지표도 올해 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합격자수는 월평균 14%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도입한 정액제는 기존의 '합격 당 과금' 방식과 달리, 계약 기간 동안 용역을 제공하는 수주형 모델로, 매출이 기간에 따라 분할 인식되는 구조다. 향후 본격적인 세일즈 활동으로 정액제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월 매출도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회사는 예상했다. 특히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AX(AI Transformation)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 고객 중 대기업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원티드랩은 향후 매출 성장의 또 다른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늘어난 19억원을 달성했다. 교육, 프리랜서 매칭, HR솔루션 등 신사업은 기존 채용사업과의 연계 시너지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또 원티드랩이 다수 생성 AI 서비스를 개발하며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시한 AI 에이전트 빌더 '원티드 LaaS'를 중심으로 AX 신사업에 꾸준히 투자하며 향후 매출 확대 기반을 구축해 가고 있다. 글로벌 사업 및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투자도 이어가고 있다. 피투자사인 일본 IT 인재 커리어 매칭 기업 라프라스 서비스 내 AI 매칭 인프라 구축을 지속 지원하고 있으며, 양사가 현지에서 보유한 인재 채용 노하우를 기반으로 양국 기업의 브릿지 인재 채용 지원 프로그램도 본격화했다.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는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서 AI 기술력과 약 1천만 건 이상의 합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재 탐색부터 후보자 평가, 채용까지 완전 자동화를 제공하는 HR 에이전트를 선보일 것"이라며 "HR 에이전트를 통해 평균 약 50%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글로벌 AI 에이전트 시장[2]에서 매출 확대와 함께 영향력을 강화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또 "우선 약 90조 원 규모에 이르는 일본 HR 시장에서, 일본 IT 인재 플랫폼 라프라스와 시너지 투자 및 연결을 통해 글로벌 성과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5.15 17:15백봉삼

에스넷시스템, 영업손실 73% 줄였다…"공공·교육서 성장 모멘텀 확보"

에스넷시스템이 올해 1분기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강화하며 영업손실을 큰 폭으로 줄였다. 에스넷시스템은 15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에스넷시스템의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7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개선됐다. 에스넷시스템은 이번 1분기 실적 주요 요인으로 ▲국내 주요 제조업체 및 공공기관 고객과의 안정적인 사업 유지 ▲관계사 굿어스데이터의 교육 분야 신규 고객 확보 및 관련 사업의 적극적인 확장을 통한 수익 기반 강화 등을 꼽았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다수의 신규 수주를 통해 향후 매출 다변화와 안정적인 수익성 확보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스넷시스템은 2분기에도 이러한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존의 제조 및 공공 부문은 물론, 교육 및 커머셜 분야에서도 대형 프로젝트 수행이 예상돼 본격적인 성과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다. 또 업계 특성상 매년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실적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왔다는 점에서 올해 역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에스넷시스템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4천499억원, 영업이익 107억 원을 기록해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흑자 기조를 이어가며 안정적인 경영 성과를 달성했다. 아울러 에스넷시스템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시장 소속부를 기존 '중견 기업부'에서 '우량 기업부'로 변경 승인받았다. 이는 재무 건전성, 수익성, 시장 지표 등 우량 정기 요건을 충족한 데 따른 결과로, 기업 신뢰도와 시장 내 위상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박효대 에스넷시스템 대표는 "올해 1분기에도 국내 주요 산업군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우리가 보유한 기술력과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AI 인프라,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 핵심 영역에서 경쟁력을 높여 고객 가치를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5.15 17:12한정호

메이주, 5월 20일 차세대 신제품 글로벌 론칭 이벤트 통해 글로벌화 앞당겨

선전, 중국 2025년 5월 15일 /PRNewswire/ -- 중국 전자제품 제조•판매 기업인 메이주(Meizu)가 5월 20일 글로벌 온라인 출시 행사를 열고 차세대 혁신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 2025)'에서 주목받은 전시와 지리(Geely)와 공동으로 진행한 글로벌 이벤트 이후 개최하는 중요한 행사다. 메이주는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소비자에게 혁신적인 기술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최첨단 제품을 소개하면서 글로벌 시장 복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올인 AI(All in AI)' 혁신 전략을 강조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메이주는 이번 글로벌 온라인 출시 행사에서 해외 시장을 겨냥한 신규 스마트폰 모델과 관련 제품을 여러 종 공개할 예정이다. 이 중에는 MEIZU Mblu 22, MEIZU Mblu 22 Pro, MEIZU Note 22, MEIZU Note 22 5G, MEIZU Note 22 Pro 5G 스마트폰과 스마트 AR 글라스 StarV View와 StarV Ring2가 포함된다. 새롭게 선보이는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뛰어난 내구성을 갖춘 고성능•고품질 카메라 시스템이 탑재됐다. 메이주의 AI 생태계는 웨어러블 기술로도 확장되어 StarV View 스마트 안경과 StarV Ring 2는 몰입형 시각 경험과 지능형 건강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메이주는 2024년 글로벌화 전략에 시동을 걸기 시작한 이후 아시아•태평양, 라틴 아메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유럽 등 30여 개 국가와 지역으로 빠르게 확장해 왔다. 이번 행사에서 메이주는 '스마트폰+XR+스마트 카' 생태계를 활용한 기기 간 원활한 연결 경험을 선보이면서 글로벌 시장 진출 속도 의지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이 기기 전반에는 메이주가 독자 개발한 운영체계인 Flyme AIOS가 탑재되어 스마트폰, 스마트 AR 안경, 스마트 링 간 데이터 동기화부터 음성 명령을 통한 스마트 안경 제어까지 완벽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한다. 기기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 방식은 MWC 2025를 찾은 관람객에게 놀라움을 선사하며 전 세계 미디어와 사용자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이번 글로벌 출시 행사를 통해 메이주는 자사의 강력한 기술력을 강조하는 동시에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메이주는 다양한 시장 진출 계획을 바탕으로 진정한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고, 소비자 신뢰와 접근성을 강화하겠다는 목표 달성에 매진하고 있다. 메이주는 꾸준한 제품 혁신과 브랜드 영향력 확대를 통해 성장하면서 글로벌화 노력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메이주의 온라인 신제품 출시 행사는 한국시간 5월 20일(화) 오후 4시에 아래 링크에서 시청할 수 있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eizu유튜브: https://www.youtube.com/@meizu.global틱톡: https://www.tiktok.com/@meizutech

2025.05.15 17:10글로벌뉴스

솔루엠, 1분기 매출 3974억원…전년比 3.3% 증가

글로벌 전자부품 전문기업 솔루엠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천974억원, 영업이익 115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매출은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과 해외 판매 거점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미래 투자가 매출로 나타나기 전 판관비에 선반영되며 43.3% 감소했다. 회사 관계자는 ”단기 수익성은 감소했으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적 투자는 향후 안정적 수익구조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솔루엠은 최근 ESL 부문 수주 회복과 더불어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 고사양 서버용 파워 제품 등 신사업의 가시적 성장으로 실적 반등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ESL 부문은 유럽·미주를 넘어 신흥시장까지 확장되는 모습이다. 알디, 레베 등 글로벌 리테일러에 이어 대형 드럭스토어 브랜드를 수주하며 독일 시장 1위를 지키는 한편, 스웨덴, 영국 소재 프리미엄 유통 체인과 신규 거래를 전제로 한 실증을 진행 중이다. 미국 유기농 전문 유통 체인과는 약 1년 간 시범사업을 성공리에 마치고 올 하반기부터 제품 공급에 들어간다. 이 밖에도 인도(189%), 중화(165%) 등 신흥시장에서도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KB증권은 솔루엠의 올해 2분기 ESL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3% 늘어난 1천370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장 부품이 주력인 오토모티브 앤 파워(A&P) 부문도 1분기 43% 성장한 데 이어 2분기에는 100%에 가까운 고성장이 기대된다. 북미 고사양 서버 파워 수요가 견조한 데다, 인도 등에서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 기업간 거래(B2B) 협업 논의가 잇따르고 있는 영향이다. 디스플레이 부문은 ESL과 시너지를 목표로 뒀다. 솔루엠의 오랜 고객 중 하나인 미국 대표 종합 가전·인테리어 유통업체 로우스는 매장에 디지털 사이니지를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솔루엠은 싱가포르 국립환경청(NEA) 호커센터 디지털 전환 사업의 공급사로도 선정돼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소재의 식음료 매장 300여 곳 이상에 사이니지를 설치할 계획이다. 솔루엠 관계자는 "예년보다 빠르게 실적이 회복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고도화와 글로벌 고객 기반 확대를 통해 중장기적 주주가치 제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5.15 17:05신영빈

[현장] 마음AI "GPT 다음은 피지컬AI…자율주행 농기계 등서 성과"

국내 인공지능(AI) 기업 마음AI는 생성형 AI 다음으로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가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홍섭 마음AI 기술 부문 대표는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인공지능대전(AI엑스포)에서 'GPT 이후 우리는 어떤 AI를 만들어야 하는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최 대표는 “오픈AI가 만든 생성형 AI 'GPT' 사용자는 한 달에 5억명”이라며 “경쟁 제품 '제미나이'와 '클로드'가 1억명 안 되는 점을 감안하면 대단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올해 초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GPT 이후 세상을 바꿀 AI는 피지컬 AI'라고 했다”며 “피지컬 AI는 몸통이 있는 AI로 쉽게 말해 로봇인데, 휴머노이드(인간 형태 로봇)와 자율주행 자동차가 대표”라고 전했다. 최 대표는 “마음AI는 2023년부터 'AI로 로봇을 제어하는 기술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자율주행부터 시작해 상용화까지 성공했다”고 말했다. 주력 제품으로 자율주행 농기계를 소개했다. 이는 과수원에서 나무 사이를 비집고 다니며 농약을 뿌린다. 최 대표는 “넓은 과수원에서 사람이 직접 농약 뿌리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다 인건비도 부담”이라며 “인체에 해롭기까지 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음AI 자율주행 농기계는 퀄컴 개발 엔진보다 뛰어난 자체 개발 엔진을 가졌다”며 “건설·국방 로봇으로 영역을 넓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5.15 17:03유혜진

야놀자, 1분기 매출 2천182억원·영업익 50억원

야놀자는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7.3% 줄어든 50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9.6% 증가한 2천182억원으로 집계됐다. 조정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는 2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2% 감소했다. 야놀자의 1분기 통합 거래액(Aggregate TTV)은 7조원을 돌파하며 전년 동기 대비 188.2% 증가했다. 역대 1분기 최대치다. 미국 고관세 이슈 등 불안정한 국제 정세로 글로벌 여행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유럽·중동·미주 시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간 것이 주효했다. 한국을 제외한 해외 거래액 비중이 전년 동기보다 약 50%포인트 늘어난 74%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32.9% 증가한 68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야놀자클라우드의 트랜잭션 솔루션, 서브스크립션 솔루션, AI 데이터 솔루션이 고른 실적 성장을 거뒀고, 이 중 AI 기반 데이터 솔루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3% 넘게 증가했다. 야놀자클라우드의 조정 EBITDA는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125억원, 조정 EBITDA 마진율 18.2%를 기록하며 역대 1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AI 데이터 솔루션 부문의 빠른 성장을 통해 매출 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익성 개선을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컨슈머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1천579억원을, 조정 EBITDA는 206억원을 기록했다. 국내외 이슈 및 장거리 여행 회복 지연 등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놀유니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 간 교차 판매 전략이 주효했고, 이를 통해 플랫폼 이용률을 꾸준히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야놀자 관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영업이익 감소 원인은 야놀자와 인터파크트리플의 놀유니버스 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1회성 비용과 여행 비성수기 탓 때문"이라면서 “지속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AI 데이터 솔루션의 약진,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의 고성장 등이 실적 전반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AI 기반의 트래블 테크를 앞세워 글로벌 확장 전략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05.15 17:01김민아

경희대학교의료원, 제3대 오주형 의료원장 취임

인프라 개선과 환자 중심 진료 실현, 미래 선도형 의료기관 도약 선언 경희대학교의료원 오주형 3대 의료원장이 취임했다. 경희대학교의료원은 경희의료원과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을 통합한 단일 의료원 직제로 제3대 의료원장에 임명된 오주형 신임 의료원장의 임기는 2025년 3월24일부터 2년이다. 오주형 신임 의료원장은 취임식에서 경희의료기관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으로 ▲혁신적 연구·진료 클러스터 구축 ▲거버넌스 개편을 통한 경영 전문성 강화 ▲환자 중심 진료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및 의료장비 인프라 개선 등을 제시했다. 오주형 의료원장은 취임사에서 “경희대학교의료원은 질병 없는 인류사회 구현이라는 설립이념 아래 '경희의학'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실천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뤄왔다”며 “코로나 팬데믹, 의정 갈등 등 위기 속에서도 제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 Newsweek 병원 평가 및 보건복지부 환자만족도 조사에서 최상위 평가를 받은 것은 모든 교직원의 헌신 덕분”이라고 감사를 전했다. 이어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 의료의 본질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경희의학의 실천적 사명감을 되새겨야 봐야 할 시기”라며 “산학협력 네트워크 기반의 혁신적인 연구·진료 클러스터 구축, 중증진료 역량 강화 및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을 통한 경영의 선순환 구조 정착, 외래·병동 등 노후 환경 개선과 첨단 의료장비 인프라 개선을 통한 진료혁신 도모 등을 추진해나가며 미래 선도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경희대학교의료원은 지난 5월14일 의생명연구동 제1세미나실에서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오주형 의료원장의 취임을 기념하고, 구성원들과 설립이념인 '질병 없는 인류사회' 실현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포부를 공유함으로써 경희의학의 밝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김진상 경희대학교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오늘은 경희의료기관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는 뜻깊은 날이자 미래를 밝혀 줄 전환점”이라며 “오주형 의료원장님의 취임을 계기로 연구중심병원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의료기관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함께 고민하고 협력해나가자”고 말했다. 또 안규백 국회의원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경희대학교의료원'을 중심으로 기관 간 원활한 소통과 융합을 토대로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을 이뤄나가며 국내외 명실상부한 최고의 병원으로 자리매김하기를 아낌없이 응원하겠다”고 축하했고,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의료원이 지역사회 의료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지속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5.15 16:56조민규

애플, 유니버설뮤직과 만든 '사운드 테라피' 공개

애플 뮤직은 유니버설뮤직그룹(UMG)과 손잡고 청취자의 집중력 향상과 더욱 깊은 휴식, 더욱 질 좋은 숙면을 돕기 위해 혁신적인 오디오 웰니스 컬렉션인 사운드 테라피를 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사운드 테라피는 애플 뮤직에서 단독 체험할 수 있다. 기존 유명 노래들을 아티스트의 방향성을 보존하면서도 사용자의 일상을 향상하기 위해 설계된 특별한 음파와 조합한다. 과학적 연구와 UMG의 전매특허 오디오 기술로 구동되는 사운드 테라피는 음파, 음향 심리학, 인지 과학의 힘을 활용해 청취자가 휴식을 취하고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컬렉션은 UMG의 런던지사에 자리한 획기적인 음악 웰니스 벤처인 솔로스의 프로듀서, 과학자, 오디어 엔지니어가 제작했다. 사운드 테라피는 ▲이매진 드래곤스 ▲케이티 페리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오로라 ▲즈네 아이코 ▲첼시 커틀러 ▲제레미 주커와 같은 유명 아티스트의 인기 트랙을 악기 버전으로 재탄생시켰다. 사운드 테라피는 집중, 휴식, 수면의 세 가지 카테고리를 제공한다. 음악은 청각적 울림이나 유색 잡음으로 강화되어 두뇌의 특정 반응을 자극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모든 주파수가 섞여 쉭 하는 소리를 내는 화이트 노이즈와 감마파는 집중력에 도움을 줄 수도 있고, 세타파는 긴장 이완에 도움을 준다. 더욱 깊고 부드러운 비나 바람 소리와 유사한 핑크 노이즈와 델타파는 질 좋은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케이티 페리의 '더블 레인보우'를 몽환적인 버전으로 재탄생시킨 노래는 청취자가 자연스레 잠에 들 수 있도록 돕고, 이매진 드래곤스의 트랙은 할 일을 해치우는 데 도움을 준다. 마이클 내쉬 UMG 경영 부사장 및 최고 디지털 책임자는 "애플 팀과 긴밀히 협력해 사용자가 웰니스 관련 이점을 증진하기 위해 음악을 활용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넓혀 나가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레이철 뉴먼 애플뮤직 공동 책임자는 "UMG 및 솔로스와 손잡고 예술성에 기반한 혁신 중심의 사운드 테라피라는 웰니스 지원을 위해 설계된 새로운 청취 경험을 애플뮤직에 도입하게 됐다"고 전했다.

2025.05.15 16:55신영빈

  Prev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국가AI전략위 출범 임박…조건 완화될 'AI컴퓨팅센터' 공모 주목

더현대·롯데잠실 초라해지는 '신세계 강남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 가보니

제로백 3.8초·최고 안전등급…BYD 씰, 전기세단 새 기준 제시

[현장] AI가 바꾸는 게임·스포츠…이미지 생성·데이터 분석도 자동으로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