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아이허브 12월 할인코드'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931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청호나이스, 무역의 날 '30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청호나이스는 지난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3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무역의 날 기념식은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며 12월 5일 무역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되는 행사다. 전년 7월부터 당해 6월까지 1년간의 수출액을 집계해 국제위상과 경제발전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하여 수출의 탑을 수여하고 있다. 청호나이스는 지난해 2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한데 이어 올해 3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글로벌 매출은 연간 매출액 50% 이상 성장을 이뤘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해외시장 수요에 맞춰 각 국가별 현지 맞춤 전략으로 수출 전용 상품을 다수 개발·출시해 신규 거래선을 확장하고 있다. 청호나이스 관계자는 "해외에서 자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며 지난해 유럽에 자체 브랜드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넓혀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력과 품질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세상에 선보이고 시장 확대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06 09:31신영빈

CGV, 부산 센텀시티에 IMAX관 열어

CGV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신세계 센텀시티 7층에 위치한 CGV센텀시티에 IMAX관을 오픈한다고 6일 밝혔다. IMAX는 사람이 볼 수 있는 최대 영상을 선사하며 현장감이 극대화된 사운드까지 더해져 영화를 감상하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CGV만의 특별관이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CGV센텀시티 IMAX관은 일명 '용아맥(용산 IMAX)'으로 불리는 CGV용산아이파크몰 IMAX관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스크린의 IMAX관으로 오는 13일부터 만나볼 수 있다. 센텀시티 IMAX관은 레이저 영사 방식으로 일반 상영관과 비교했을 때, 50% 더 밝고, 더 선명한 화면을 경험할 수 있다. 최적의 사운드로 더욱 생생한 몰입의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IMAX 이머시브 사운드(Immersive Sound)를 도입했다. CGV는 센텀시티 IMAX관 오픈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반드시 IMAX로 관람해야 하는 콘텐츠로 꼽혔던 주요작을 선정해 관객들에게 'IMAX 마스터피스 기획전'으로 선보인다. 오는 13일부터 17일까지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듄', '듄: 파트2' 등을 CGV센텀시티 IMAX관에서 상영하며, 1만원에 만나볼 수 있다. 'IMAX 마스터피스 기획전' 관람객에게는 IMAX 스페셜 포스터를 선착순으로 제공한다. 12월 기대작 중 오는 18일 개봉 예정인 '무파사: 라이온 킹'과 25일 개봉 예정인 '하얼빈'을 IMAX로 만나볼 수 있는 '쎈아맥 오픈 시사회'도 진행한다. 6일부터 9일까지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응모하면 당첨자에 한해 오는 18일에 '무파사: 라이온 킹', 오는 19일에는 '하얼빈'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선물로 스페셜 굿즈도 만나볼 수 있다. 센텀시티 IMAX관의 오픈일인 13일부터 IMAX 관람객에게 선착순으로 IMAX 굿즈를 증정하며, 오는 20일과 23일에는 '무파사: 라이온 킹'을 IMAX로 관람하면 오픈 기념 기프트 세트를 증정하는 '쎈아맥 오프닝 기프트 회차'도 선보일 예정이다. CGV센텀시티 IMAX관 오픈 관련 자세한 내용은 CGV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하다. CJ CGV 조진호 국내사업본부장은 “보다 많은 고객에게 CGV만의 차별화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고자 IMAX를 비롯한 다양한 특별관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며 “12월에 IMAX로 개봉하는 '무파사: 라이온 킹', '하얼빈'을 비롯해 다양한 라인업이 출격을 대기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024.12.06 09:30안희정

SK가스 평택기지, '30년 연속 무재해' 달성

SK가스 평택기지가 지난 1994년 12월 운영을 시작한 이후 상해·화재·폭발 등 단 한 건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은 '무재해 30개년' 금자탑을 달성했다. SK가스는 LPG수입기지 평택기지가 4일(24시 기준) 30년 연속 무재해 기록을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SK가스 평택기지는 울산기지에 이은 제2 LPG 수입 터미널로서 프로판 14만톤, 부탄 6만톤 등 총 20만톤 LPG를 저장할 수 있다. 연간 약 140만톤 LPG를 수도권 및 중부지방과 일부 해외에 공급하며 국내외 LPG 공급의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SK가스 확고한 SHE(안전, 건강, 환경) 경영철학과 원칙 아래, SHE 수준 향상을 위한 경영층 관심과 구성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그룹 차원 진단체계 운영에 더해, SK가스는 자체적인 시스템 개선, 설비 투자, 인력 확충 등 안전 관리에 대한 투자와 노력을 지속해왔다. SK가스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SHE 경영시스템 완성'을 목표로 2021년부터 'SHE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연도별 이행 로드맵에 따라 세부 과제를 실행해 나가고 있다. 구성원들의 불안전한 행동을 분석해 밀폐공간 유해가스 측정, 고소작업 추락예방 조치, 비계 설치 및 해체, 중장비 안전 검사 등 안전 절차를 몸으로 익히는 실습 교육 과정을 구성원과 협력업체 근로자들에게 매년 제공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대·중소기업 안전 상생 협력 사업에 참여하며 SK가스의 안전관리 기법과 노하우를 전수해 지역 협력업체가 자체 안전관리 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자연 재해에 대한 사업장 안전성 평가를 거쳐 인프라 개선 투자를 통해 기후 재난에도 준비하고 있다. 현장 안전관리, 사고예방 활동들은 SHE추진단(대표이사 직속)에서 연 2회 이행 점검을 통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결과를 대표와 직접 소통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사업장에서도 안전관리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각 사업장에는 산업안전, 가스, 소방, 화학물질, 환경 등 5개 분야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SHE팀을 둬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를 실천하고 있다. 현장 구성원 사고예방 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 전문가 양성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관리 범위에서 누락된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발굴해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관리 절차를 보완하는 등 안전관리 사각지대 제로화에 노력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지난해 ISO45001(국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했고, 외부 전문기관과 그룹사 전문가를 통해 SHE 경영진단 결과 A(양호) 등급을 획득하는 등 국제적인 수준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인정받았다. SK가스는 연말까지 SHE 성과와 아쉬운 점을 검토해 'SHE 마스터플랜 2.0'을 수립할 계획이다. 취약했던 영역을 보완하고, 디지털전환(DT) 기술을 적용해 휴먼 에러를 방지하고 조기에 위험을 감지하는 한편, 팀 단위 안전활동을 통해 자율안전문화를 조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윤병석 SK가스 대표는 “평택기지는 SK가스 LPG 사업의 시작점이자 국가 에너지 안보의 최전선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기지 안전은 무엇보다도 최우선 가치”라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리더십 실천으로 영속적인 무재해·무사고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솔선수범하고 전력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06 09:12류은주

LG엔솔·GM 합작 1공장, 1억번째 배터리 셀 생산 돌파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 공장 얼티엄셀즈 1공장에서 1억번째 배터리 셀을 생산했다. 1억개 배터리 셀을 일렬로 이어 놓으면 지구 약 1.5바퀴 길이다. 6일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미국 오하이오 워렌에 위치한 얼티엄셀즈 1공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 GM, 미시간주 자동차노동조합(UAW) 관계자와 직원들이 참석해 1억번째 배터리 셀 생산을 기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 12월 5일 GM과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했으며 이번 기념식은 5년 전 합작법인을 발표한 날과 같은 날로 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1억셀이 생산된 얼티엄셀즈 1공장은 2020년 5월 착공, 2022년8월 배터리 셀 생산을 시작했으며 현재 약 2천200명 직원이 재직 중이다. 이 공장은 280만 평방피트(약 26만㎡) 규모로, 30개 미식축구 필드 크기다. 북미 전역 GM 전기차 조립 공장에 배터리 셀을 공급하고 있다. 얼티엄셀즈에서 생산하는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으로, 최신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기술을 사용해 주행거리는 더 길고 비용을 더 낮춘 제품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GM과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에서 이뤄낸 이번 성과는 전기차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솔루션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우리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동화 확대와 오하이오주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GM 글로벌 제조 부문 젠슨 피터 클라우센 부사장은 "얼티엄셀즈 워렌 공장에서 이뤄지는 일들은 미래교통과 자동차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다"며 “기술과 제조 프로세스, 뛰어난 인재가 결합된 얼티엄셀즈 합작 공장 성과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의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 등 기술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미국 GM JV생산법인장 은기 전무는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고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는 데 힘써준 모든 팀원들에게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좋은 팀워크와 높은 품질을 위해 노력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UAW 로컬 1112의 조쉬 에이어스 의장은 "얼티엄셀즈 1공장은 워렌과 마호닝 밸리 지역에 중요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는 우리의 제조 능력을 증명하는 기회이며 더 많은 성과를 달성해 좋은 급여와 복리후생, 지역 사회 지원 등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얼티엄셀즈 워렌 공장은 지역 사회에도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다. 오하이오 자연 자원부와 협력해 172에이커의 야생 동물 서식지를 복원하고, 해비타트와 협력해 지역 사회 발전 활동을 펼쳤다. 또한 소외된 청소년 교육과 멘토링을 지원하고,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3만5천달러 이상을 조아니 압두 유방암 치료 센터에 기부했다.

2024.12.06 09:01류은주

올해 마지막 '대기업 신입·인턴 채용' 모아보니

진학사 캐치가 주요 대기업에서 인턴 채용에 돌입했다고 6일 밝혔다.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은 SK하이닉스, 현대케피코, HD현대이엔티, 현대엘앤씨,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등이다. SK하이닉스는 19일까지 '2024년 청년 Hy-Five 12기 인턴 채용'에 돌입한다. 모집 직무는 반도체산업 관련 연구개발/설계, 생산/제조, IT/SW, 건설, 경영일반 등으로, 합격자는 반도체 직무 교육, 협력사 인턴십, 정규직 전환의 기회를 갖게 된다. 채용 절차는 ▲서류접수 ▲면접전형 ▲플립러닝 ▲직무교육 ▲인턴십 순서로 진행된다. 현대케피코는 15일까지 '2025 상반기 신입 공개채용'에 돌입한다. 모집 분야는 크게 연구직과 일반직으로 나뉘며 총 16개 직무에서 채용한다. 25년 2월부터 즉시 근무 가능자, 모집 마감일 기준 공인 어학성적 보유자 등 요건을 갖췄다면 지원 가능하며 근무지는 경기도 군포시다. 채용 절차는 ▲서류전형 ▲과제전형/인성검사 ▲면접전형 ▲채용검진 ▲최종전형/합격 순으로 진행된다. HD현대이엔티는 15일까지 '2025년 1/4분기 대졸 신입 및 경력사원 공채'를 진행한다. 채용 직무는 선박설계, 엔진설계, 일렉트릭설계 등으로, 근무지는 울산 또는 목포다. 신입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 학점 3점 이상 공학계열 전공자, 경력은 관련 경력 3년 이상자, 전문학사 이상 학위 소유자라면 지원할 수 있다. 채용 절차는 ▲서류심사 ▲1차 실무면접 ▲2차 임원면접 ▲채용 건강검진 ▲최종합격 순이다. 현대엘앤씨는 16일까지 '2025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다. 모집 부문은 국내영업, 디자인(인테리어스톤), 디자인(벽지), 환경안전으로 근무지는 서울 또는 세종이다. 학/석사 기졸업자 또는 25년 2월 졸업예정자, 영어 성적 보유자 등 자격 요건을 갖췄다면 지원 가능하다. 채용 절차는 ▲지원서 접수 ▲AI 역량검사 ▲1/2차 면접 ▲채용검진 ▲인턴십 ▲최종입사 순이다. 롯데쇼핑은 25일까지 '2025년 상반기 롯데백화점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다. 모집 부문은 쇼핑몰 통합으로 영업관리, 쇼핑몰 전략, 개발기획, MD 등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해당 채용은 '포텐셜(Potential) 전형'으로 25년 2~3월 인턴 실습 및 3~4월 입사 가능자, 4년제 정규 대학 졸업(예정)자 등 요건을 갖췄다면 지원 가능하다. 모집 절차는 ▲지원서 접수 ▲서류전형 ▲인적성전형 ▲1차 면접 ▲인턴십 및 최종 면접 ▲건강검진 ▲최종합격 순이다. 롯데케미칼은 15일까지 '12월 2024년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다. 모집 직무는 영업관리, 마케팅, AD, 연구개발, 공무, 경영기획, SCM, HR 등으로 근무지는 의왕, 울산, 여수다. 자격 요건은 직무에 따라 상이하며, 모집 절차는 ▲지원서 접수 ▲서류전형 ▲인적성전형 ▲면접전형 ▲건강검진 ▲최종합격 순이다.

2024.12.06 08:50백봉삼

사우디 원고 전시회: 천 년에 걸친 유산을 세계에 소개하는 문화 아이콘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 – 리야드의 중심에서 열리는 사우디 원고 전시회는 1200년 이상의 인간의 유산을 소개하며 세계적인 문화 아이콘으로 계속해서 빛을 발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역사적 본질과 현대적 정신을 결합하여 사우디아라비아가 인간 문화 유산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문명 대화 증진에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는 훌륭한 이미지를 세계에 선보인다. From all over the world, visitors explore the heritage of manuscripts and their rich history at the #SaudiManuscriptsExhibition '지속적인 유산에 대한 이야기(Stories Told for a Lasting Legacy)'라는 주제로 도서관청이 주관하는 이번 전시회는 대화와 혁신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한다. 이번 전시회는 22개의 워크숍과 30개의 토론 세션을 통해 방문객과 연구자들에게 필사본 보존 및 복원 분야의 최신 방법을 소개하며 전 세계 전문가들 간의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 사우디 원고 전시회는 전 세계 문화 애호가들에게 정통성과 창의성을 결합하는 탁월한 문화의 창이 된다. 이 전시회는 전통을 존중하면서 미래를 바라보는 방식으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고 2000여 점의 희귀 원고를 전시하며 인간 유산의 풍성함과 보편성을 입증하는 증거로 자리매김한다. 여기에는 800년이 넘은 '디완 알-아흐나프 알-아크바리(Diwan Al-Ahnaf Al-Akbari)'와 '운완 알-마지드 피 타리크 나지드(Unwan Al-Majd fi Tarikh Najd)'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아라비아 반도의 문화적, 지적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를 서술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1200년이 넘은 코란 사본과 사우디 첫 왕국 시대에 유통되었던 과학, 의학, 천문학 원고들도 함께 전시된다. 이번 전시회는 사우디 왕국의 문화 유산 보존과 보호에 대한 선도적 역할을 강조하고 원고의 문명적 가치를 널리 알리며, 도서관청의 노력으로 기술을 활용해 필사본을 보존하고 전문 국제 기관들의 새로운 소통 채널을 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74606/Saudi_Manuscripts_Exhibition.jpg?p=medium600

2024.12.06 07:10글로벌뉴스

"미복귀 의료진 처단"…비상계엄 포고령에 의료계 분노 확산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의료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비상계엄 당시 집단행동을 주도한 것으로 지목됐던 인사 중 일부는 불안한 마음에 집에 귀가했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포고령 내 명시된 '전공의 미복귀 시 처단'은 의료계의 공분을 사며 또 다른 집단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대한의학회는 “윤석열 정부는 2024년 12월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전공의를 비롯한 의료진을 내란 세력과 동일시하면서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해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 시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고 발표했다. 비록 반헌법적 조치로 수시간 만에 해제되었지만 단순한 한밤의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없으며, 정부가 평소에 의료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 심각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계엄 포고는 의료계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조차 결여된 조치였다. 국가 안보와 무관한 의료진을 직접 언급하고 '처단'의 대상으로 명시한 것은 의료계를 체제 전복 세력으로 취급한 명백한 증거이며, 의료계와 국민을 갈라놓고, 전문가 집단을 탄압하려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정부는 전공의가 전원 사직 상태에 있다는 기본적인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복귀를 강제했다. 파업과 사직의 차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함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처단'이라는 단어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폭력적 용어”라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헌신해 온 의료진을 적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심각한 적대적 인식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비난했다. 의학회는 “정부는 전공의 강제 복귀 조항이 계엄 포고문에 포함된 경위를 국민 앞에 명확히 밝혀야 하며, 책임 있는 관계자의 해명과 공식 사과를 요구한다. 또 의료계와의 협의 없이 강행되고 있는 의과대학 정원 증원과 일방적인 의료정책 시행을 즉각 중단하고, 의료계와의 협력적 대화를 통해 실질적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번 계엄선포에서 전공의와 의료인을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체제전복세력과 동급으로 취급한 것은 대통령의 '망상'에 기초한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의사협회는 “국민은 윤석열 대통령이 '망상'에 기초해 대책도 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것을 똑똑히 알게 됐다”며 “계엄사령부 포고령은 전공의를 비롯해 파업 중이거나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해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시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고 선포했다. 대통령은 난데없이 전공의와 의료인을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체제전복세력과 동급으로 취급했다. 이 역시 '망상'에 기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전공의들은 지난 2월 사직서를 제출했고, 정부는 6월4일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을 철회하고 병원은 사직서를 수리했다. 정부의 불법적 법 집행에 따르더라도 이미 5개월 전 사직이 완료됐다”며 “사직 전공의들은 다른 의료기관에 취직하거나 다른 일을 하면서 열심히 살고 있는데 누가 파업을 하고, 의료현장을 이탈했나”라고 반문했다. 의사협회는 “계엄 농단과 의료 농단을 비교해 보면 너무 비슷하다. 2월6일 조규홍 장관은 의대 정원 증원 규모를 발표하기 불과 1시간 전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에서 처음 2천명이라는 숫자를 밝혔고 서둘러 회의를 끝내고 발표했다”라며 “오래전 사직한 전공의를 반개혁 카르텔로 낙인찍는 망상에 기초해 현 의료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 우리 사회가 겪을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은 의료의 현실과 미래에 절망한 사직 전공의들이 다시 돌아와 수련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합당한 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전공의와 의료인을 향해 '처단한다'는 폭압적 문구를 넣은 당사자와 과정을 밝히고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한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한다'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을 중지해 향후 10년간 지속될 의대 교육 파탄을 막기를 촉구한다' 등 3가지 요구사항을 의결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이하 전의교협)는 “무방비로 수많은 사상자를 낸 이태원 사태, 수해 복구에 안전장치 없이 투입시켜 희생당한 고 채상병 사태, 의료개악으로 응급실 뺑뺑이와 암수술의 지연으로 무수한 생명을 앗아간 의료 대란 등 윤석열은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대통령으로서의 기본적 의무를 저버렸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했다. 전의교협은 “지난 10개월 동안 의대 교수들은 허상에 불과한 의료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윤석열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을 지속적으로 비판하면서 진정으로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돌아오길 요구했으나 윤석열 정부는 아집스러운 정책을 고수하며 혈세를 낭비하면서도 국민의 안전을 위험에 빠뜨렸다”며 “포고령에서 사직한 전공의들을 아직도 파업 중인 것이라는 착각 속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처단하겠다는 망발을 내뱉으며 기본적인 팩트조차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의대교수들은 반국가 세력, 반역 세력인 윤석열 대통령과 그 정부, 그 호위 세력들에게 당당히 맞설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 참모진,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관련자들은 당장 자진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의료사태 해결을 위해 발족한 여의정협의체가 제역할을 못하는 가운데, 의료개혁 특별위원회(이하 '의료개혁 특위)도 유명무실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로 대한병원협회가 참여 중단을 밝혔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던 의료개혁도 이번 사태로 병원협회가 논의체 불참을 선언하면서 '정부의 일방적 추진'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한병원협회는 5일 입장문을 통해 “전공의를 마치 반국가세력으로 몰아 '처단하겠다'는 표현은 국민건강만을 위해 살아온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인들의 명예와 자존감에 깊은 상처를 주었다”며 강한 항의와 함께, 사실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난 정부의 왜곡된 시각과 폭력적 행태에 대해 심심한 유감을 표하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존중받고 합리적 논의가 가능해질 때까지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참여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앞서 최안나 대한의사협회 회장 선거 후보자 측은 대한병원협회가 계엄 정권의 의료개혁 특위에서 탈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안나 후보자 측은 “현 상황은 의료계가 여지껏 마주해왔던 정부 의사결정구조의 실체를 보여준다. 대한의학회와 KAMC도 정부의 아집에 못 이겨 여야의정협의체에서의 대화를 중단했고, 의료개혁 특위도 허울뿐인 구조로 거수기 역할과 수세에 몰린 정부에게 명분만 만들어 줄 것”이라며 “병원협회는 요식행위에 불과한 협의체에서 탈퇴해 단일대오를 유지할 것을, 정부는 이러한 참담한 상황이 어떻게 벌어질 수 있었는지 명명백백히 의료계에 밝혀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노연홍 의료개혁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5일 “오늘 대한병원협회에서 의료개혁 특별위원회 참여 중단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라며 “지역‧필수의료를 살리는 것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제로 의료계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면서 개혁방안을 마련해 가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2024.12.06 06:30조민규

키논 로보틱스-비오멤버스, 대구음식산업박람회서 서비스 로봇 선보여

서울, 한국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연합뉴스/ -- 최근, 글로벌 스마트 서비스 로봇 기업 '키논 로보틱스(KEENON Robotics 이하, 키논)'는 협력사 '비오멤버스'(BO Members, 브랜드명'Creambot') 와 함께 제22회 대구 음식산업박람회에 참가했다. 이번 박람회는 외식업계의 최신 트렌드와 혁신적인 기술이 결합된 행사로 업계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다. 키논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전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으며 특히 외식업 서비스 분야에서의 스마트화 업그레이드 성과가 큰 주목을 받았다. 이를 통해 업계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평가를 얻으며 큰 주목을 끌었다. 배송 로봇 T10은 59cm의 협소한 통로에서도 유연하게 음식과 음료를 고객 테이블로 전달할 수 있다. 최대 40kg의 하중을 운반할 수 있으며 맞춤형 헤드, 회전 기능, 음성 및 터치 조작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갖춰 식당, 슈퍼마켓, 골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다. 한편, 배송 로봇 T9은 뛰어난 하중 용량과 안정적인 디자인으로 한국 식당의 회수 및 수거 작업에 적합하며 운반 중 음식이 쏟아지는 문제를 해결한다. 배송 로봇 T9 Pro 모델은 무마킹 배치와 견고한 바닥으로 더 스마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호텔 로봇 W3는 최대 4개 객실에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는 다중 배송 기능을 갖추고 있어 고객에게 더욱 스마트한 숙박 경험을 선사한다. 청소 로봇 C30은 1,500㎡를 커버할 수 있는 플래그십 제품으로, 먼지 밀어내기와 청소 기능을 통합하여 호텔과 쇼핑몰 등 다양한 환경에 적합하다. 자동 충전 및 원격 조작 기능도 지원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청소 솔루션을 제공한다. 배송 로봇 T8은 테이블 주문 기기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태블릿을 통해 로봇을 호출하고 빈 접시를 처리할 수 있어 매장 운영 효율성을 크게 개선한다. 이번 전시회 협력에 대해 비오멤버스 김찬영 대표님은 "협력 이후 양사가 좋은 성과를 거두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앞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깊이 있는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혁신적이고 고품질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키논 로보틱스 한국 지사 기재봉 대표님은 "우리는 고객 서비스와 파트너십을 항상 최우선으로 생각해 왔으며, 한국 시장에 대한 강한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간의 성공적인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더 많은 한국 소비자들에게 스마트하고 편리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키논은 60개국 이상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한층 발전시켜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한국 소비자들에게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선도할 것이다.

2024.12.05 23:10글로벌뉴스

캠브렉스, 바이오텍 협력사의 제조 지원을 위해 릴리와 전략적 협정 발표

뉴저지주 이스트러더퍼드,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 – 글로벌 선도 위탁개발생산(CDMO) 기관인 캠브렉스(Cambrex)가 오늘 릴리(Lilly)의 바이오텍 협력사의 임상 개발 역량이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Eli Lilly and Company, Lilly)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을 통해 캠브렉스는 릴리의 초기 외부 혁신 및 협력 부문인 Lilly Catalyze360-ExploR&D와 협력하며 릴리 카탈라이즈 360(Lilly Catalyze360) 바이오텍 협력사에게 의약품 원료, 의약품 제품, 분석 서비스 실험실과 연구개발 전문 지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캠브렉스의 초기 단계 개발 및 테스트 분야의 대표인 브랜든 핀처(Brandon Fincher)는 "우리는 릴리의 외부 바이오텍 협력사가 그들의 제품 개발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미션을 지원할 것"이라며 "롱몬트(Longmont) 시설은 초기 단계의 소분자 약물을 신속하게, 유연하게, 과학적 우수성을 바탕으로 임상 단계로 진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릴리 카탈라이즈 360 협력사들이 자사의 제품을 성공으로 이끄는 효율적인 경로를 따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릴리 카탈라이즈 360은 Lilly Ventures, Lilly Gateway Labs, Lilly ExploR&D의 세 가지 부문을 통해 과학을 발전시키고 신약 개발을 지원하는 데 투자하고 있다. 이번 전략적 계약을 통해 캠브렉스는 릴리의 외부 혁신 부문인 ExploR&D와 협력함으로써 기업 학습, 과학적 노하우, 최첨단 연구 개발 역량을 활용하여 파트너의 과학적 성과를 가속화할 것이다. 콜로라도주 롱몬트에서 이번 계약의 주요 서비스가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캠브렉스의 네트워크에서 추가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캠브렉스의 롱몬트 시설은 공정 개발, 의약품 원료 제조부터 제형 개발, 의약품 제품 제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임상시험용 신약의 초기 개발을 전문으로 하며 non-GMP 및 cGMP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완전 분석 개발과 cGMP 테스트 지원을 제공한다. 캠브렉스 소개 캠브렉스는 의약품의 라이프 사이클에 걸친 원료 개발과 제조 그리고 포괄적 분석 서비스와 전임상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위탁개발생산 기관이다. 40년이 넘는 경험과 2,000명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팀과 함께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캠브렉스는 연속 흐름, 규제 물질, 고체 상태 과학, 고활성 API, 물질 특성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전문화된 의약물질 기술과 역량을 제공한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236065/5061661/Cambrex_logo.jpg?p=medium600

2024.12.05 21:10글로벌뉴스

공정금융아시아 "亞 은행들, 소비자 역량 강화에 주도적 역할"

프놈펜, 캄보디아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연합뉴스/ -- 공정금융아시아(Fair Finance Asia•FAA)가 아시아 은행들이 지속 가능한 성과에 소비자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는지를 평가한 새로운 스코어카드를 발표했다. Fair Finance Asia (2024, December). Empowering Consumers as Drivers of Sustainability in Asia's Financial Sector. 12월 4일 세계 은행의 날(International Day of Banks)에 발표된 이 새 스코어카드 '아시아 금융 부문에서 지속 가능성의 주체로 소비자 역량 강화(Empowering Consumers as Drivers of Sustainability in Asia's Financial Sector)'[https://fairfinanceasia.org/blog/2024/12/04/fair-finance-asia-launches-scorecard-benchmarking-15-asian-banks-policies-on-consumer-empowerment/ ]는 ▲금융 포용 ▲소비자 보호 ▲금융 이해력과 교육 ▲참여와 책임 메커니즘이란 네 가지 주요 영역에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필리핀, 태국 15개 은행의 정책을 벤치마킹했다. 은행들은 평균적으로 금융 포용성(5.2점)과 소비자 보호(5.5점)에서 높은 점수(10점 만점 기준)를 받은 반면, 참여와 책임 메커니즘(1.3점)에서는 낮은 점수에 그쳤다. 네 가지 주요 영역에서 평가 대상 은행의 평균 점수는 3.5점이었다. FFA는 국가 기관인 공정금융캄보디아(Fair Finance Cambodia), 레스폰시뱅크 인도네시아(ResponsiBank Indonesia), 공정금융파키스탄(Fair Finance Pakistan), 공정금융필리핀(Fair Finance Philippines), 공정금융태국(Fair Finance Thailand) 및 연구 파트너인 프로펀도(Profundo)와 함께 은행들이 포용성 목표와 금융 이해력 및 소비자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의 균형을 맞춰 고객에게 지속 가능한 전략과 금융 관행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 약속 이행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르나데트 빅토리오 FFA 프로그램 책임자는 "금융 기관의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아시아 소비자들의 기대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면서 "은행은 교육과 참여를 유도해 소비자가 자신의 가치에 부합하는 현명한 금융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속 가능성의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트 사카라 폰 공정금융캄보디아 코디네이터는 "지속 가능성을 의미 있게 추진하려면 은행은 투명성과 교육을 통해 사회적 및 환경적 목표를 달성하는 적극적인 파트너로서 소비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헤르니 람들라닝그룸 프라카사(PRAKARSA) 프로그램 매니저는 "진정한 변화를 주도하려면 은행은 환경과 사회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보다 책임감 있고 지속 가능한 금융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 우선적으로 소비자를 참여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심 자프리 공정금융파키스탄 국가 프로그램 책임자는 "파키스탄 은행들은 목적보다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보니 그들이 만든 금융 상품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이 매우 부족한 상태에서 상품을 홍보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은행은 사람들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안적 법률 서비스를 통한 대화와 권한 부여를 위한 이니셔티브(Fair Finance Philippines, Initiatives for Dialogue and Empowerment through Alternative Legal Services•IDEALS)의 공정금융필리핀 프로그램 매니저 제날린 G. 아퀴노-아카야에라 박사는 "평가 대상 필리핀 은행들은 금융 포용성과 금융 이해력 및 책임 메커니즘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지만, 필리핀 은행들은 특히 자금 조달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여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리니 아차바눈타쿨태국 공정금융태국 연구 수석은 "은행이 평가 대상 국가 중 소비자 보호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나 과도한 부채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에는 여전히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은행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스코어카드는 http://bit.ly/3Vp0em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가 문의: 카일 크루즈 지식•커뮤니케이션 매니저 페어 파이낸스 아시아 kylejuliene.cruz@oxfam.org 편집자 참고사항: FFA 소개 공정금융아시아(FFA)는 금융 기관이 지역 사회의 사회적•환경적 안녕을 존중하며 자금 운용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아시아 지역 시민사회단체들(CSOs)로 구성된 지역 단체다. FFA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fairfinanceasi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12.05 19:10글로벌뉴스

Xinhua Silk Road: 2024중국기업가보아오포럼, 토란가격지수보고서 발표

베이징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연합뉴스/ -- 지난 월요일 2024중국기업가보아오포럼(2024 Entrepreneurs Boao Forum)에서 토란 가격 지수에 대한 연례 분석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 보고서는 디지털화를 통해 토란 산업을 금융 및 기술과 통합하고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인 허저우에서 토란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더욱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hoto shows Hezhou Taro on display at the booth of the 2024 Boao Forum. 허저우는 전통적인 토란 산업의 클러스터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화된 접근 방식과 혁신적인 사고 방식을 채택하여 토란을 소비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전환했다. 콴창웬(Quan Changwen) 허저우시 농업 및 농촌 사무국장은 "허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큰 토란 재배 지역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바부구와 핑구이구와 같은 주요 토란 가공 클러스터의 본거지이기도 하다"며 "우리 제품은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허저우의 토란 재배 면적은 17만 무(약 11333헥타르)가 넘는다. 허저우시는 31개의 토란 가공 기업을 육성하고 연간 처리 능력은 27만 톤에 달한다. 허저우의 토란 제품은 해외 창고와 국경 간 전자 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와 같은 지역으로 수출된다. 2023년에 허저우는 3150만 위안(미화 약 432만 달러) 상당의 토란 1670톤을 수출했다. 디지털 경제와 농업 및 임업을 결합한 농산물 가격 지수는 많은 지역에서 시장 지향적 경제 개혁을 강화하고 브랜드 영향력을 높이며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강력한 동력이 됐다. 토란 가격 지수 발표는 허저우의 산업 생태계를 업그레이드하고 허저우 토란 브랜드를 구축하며 가격 영향력을 제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가격 지수 발표는 토란 산업에 대한 다차원적인 시장 인사이트와 데이터 지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허저우 토란이 시장 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그 영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내부 관계자들은 말한다. 원본 링크: https://en.imsilkroad.com/p/343432.html

2024.12.05 18:10글로벌뉴스

CCTV+: 소형 장난감의 글로벌 진출

베이징 2024년 12월 5일 / PRNewswire=연합뉴스/ -- 누구나 마음 속 깊이에는 현실로 이뤄지길 바라는 화려한 성이 나오는 동화를 간직하고 있다. 그저 공상일 뿐일까? 저장성 리수이시의 윈허현에서는 그 꿈이 현실이 된다. "동화의 창조"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윈허현은 이탈리아에서 온 베니와 함께 그 마법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작은 장난감 블럭'이 어떻게 수천 개의 현지 기업을 글로벌 성공으로 이끄는지 확인할 수 있다. jwplayer.key="3Fznr2BGJZtpwZmA+81lm048ks6+0NjLXyDdsO2YkfE=" jwplayer('myplayer1').setup({file: 'https://mma.prnasia.com/media2/2574223/Small_Toys_Go_Global.mp4', image: 'https://mma.prnasia.com/media2/2574223/Small_Toys_Go_Global.mp4?p=medium', autostart:'false', stretching : 'uniform', width: '512', height: '288'});

2024.12.05 18:10글로벌뉴스

COP16에서 토지 금융을 둘러싼 중요한 논의 과정에서 토지 복원과 가뭄 회복을 위해 120억 달러 이상이 약속돼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2024년 12월 5일 /PRNewswire/ -- 가뭄 회복, 토지 복원과 토지 황폐화 방지를 위한 전 세계의 자금 지원은 제16차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 당사국 총회(UNCCD COP16) 둘째 날에 큰 힘을 얻었으며, 리야드 COP16이 개막한 이래 지금까지120억 달러 이상이 상호 관련된 이러한 대의에 약속되었다. 아랍 조정 그룹(Arab Coordination Group)은 토지 황폐화, 사막화 및 가뭄 퇴치를 위해 100억 달러를 추가 제공하기로 함으로써 주요 재정 지원을 약속한 가장 최근의 기관이 되었다. 이번의 추가 자금 지원은 리야드 COP16 첫날에 있었던 리야드 글로벌 가뭄 회복 파트너십(Riyadh Global Drought Resilience Partnership) 출범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OPEC 기금과 이슬람 개발 은행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리야드 글로벌 가뭄 회복 파트너십의 운영을 위해 제공한 1억 5천만 달러와 함께 본 이니셔티브에 각각 10억 달러를 약속했다. 이러한 추가 지원은 리야드 COP16 고위급 회의의 일부로서 민간 및 공공 분야의 국제 자금 조달을 촉진하기 위한 금융 관련 장관급 대화에서 이루어졌다. 사우디아라비아 환경, 수자원 및 농업부의 환경 담당 차관이며 UNCCD COP16 의장단 고문인 오사마 파퀴하(Osama Faqeeha) 박사는 "첫 이틀에만 주요 토지 복원과 가뭄 회복 이니셔티브에 120억 달러 이상을 약속한 리야드 COP16은 이미 가뭄과의 싸움에서 랜드마크적인 순간임을 증명하고 있다"면서 "이것이 시작에 불과하기를 바라며, 앞으로 며칠과 몇 주 동안 전 세계 민간과 공공 분야 파트너들의 추가 기여를 통해 주요 가뭄 회복과 토지 복원 이니셔티브의 영향력이 더욱 증폭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사는 또한 "UNCCD의 최근 보고서에서 볼 수 있듯이 국제 사회의 추가 자금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면서 "공적 개발 원조 자금과 같은 더 많은 해외 원조를 토지 황폐화, 사막화와 가뭄 퇴치 사업에 전환하는 것은 최악의 피해를 입은 국가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국제 사회가 비교적 빨리 조치할 수 있는 금융 메커니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슬람 개발 은행 그룹 회장 무하마드 알 자세르(Muhammad Al Jasser) 박사는 아랍 조정 그룹을 대표해 금융 관련 장관급 대화 참석자들에게 연설하면서 "우리는 이러한 노력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 금융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여 2030년까지 100억 달러까지 금융 승인을 할당하기로 약속한다"며 "이 자금은 리야드 글로벌 가뭄 회복 파트너십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 세계 토지 복원, 사막화 방지와 자연친화적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리야드 COP16 둘째 날, UNCCD는 토지 황폐화, 사막화와 가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의 자금 조달 요건을 자세히 설명하는 재정 수요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토지 복원 사업에 상당한 자금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NCCD 목표에 따르면 2025~2030년에 필요한 연간 투자액은 3,550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러나 같은 기간의 예상 투자액은 연간 770억 달러에 불과해 UNCCD 목표를 달성하려면 2,780억 달러가 추가로 투입되어야 한다. 이 보고서는 또한 전 세계 지원 자금의 6%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는 민간 분야의 토지 복원과 가뭄 회복에 대한 투자 부족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뤘다. 이러한 내용은 10억 헥타르 이상의 토지를 복원하면 연간 최대 1조 8,000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UNCCD이 예측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온 것이다. 리야드 COP16: UNCCD COP16 회의는 2024년 12월 2일부터 13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불르바드 월드에서 열린다. 우리의 토지.우리의 미래를 주제로 한 이 회의는 UNCCD 체결 30주년을 기념하며 가뭄 회복, 토지 소유권, 모래 및 먼지 폭풍과 같은 핵심 문제들에 대한 다자간 조치를 확보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UNCCD COP16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수하거나 그린존 참가 등록을 하고 싶을 경우 UNCCDCOP16.org를 방문하기 바란다. 로고 - https://mma.prnewswire.com/media/2556588/5060413/UNCCD_COP16__Logo.jpg

2024.12.05 18:10글로벌뉴스

달, 50년 만에 토성 가린다…8일밤 '엄폐현상' 관측

지구에서 볼 때 달이 토성을 가리는 '엄폐 현상' 전후에 달과 토성이 가장 가까운 상태로 한 눈에 볼 수 있는 50년만의 기회가 오는 12월 8일 서울 밤하늘에서 펼쳐진다. 달과 토성이 가장 붙어있는 범위는 지구에서 바라보는 각도로 0.3도 내에 들어온다. 이는 달에 의해 토성이 완전히 가려지는 '엄폐현상' 전후에 볼 수 있다. 실제는 0.1도 이내에서도 보여야 하지만, 달의 밝은 빛이나 대기산란, 망원경 한계 등으로 인해 0.3도가 동시 관측 최소단위라는 설명이다.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팀 조재일 연구사는 "실제 거리로 보면 달은 지구에서 38만㎞, 토성은 14억 4천300㎞ 떨어져 있게 된다"며 "토성을 맨눈으로 관찰 가능하다"고 말했다. 달-토성 근접은 남쪽하늘 40도 이상에서 발생하므로 맨눈으로 보기 위해서는 최소 남쪽 하늘 40도 이상에 높은 산이나 건물이 있어선 안된다. 또한 달과 토성이 가깝게 붙어 보인다고 해서 두 천체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지구에서 보는 달 공전주기는 29.5일, 태양에 대한 토성 공전주기는 29.5년이다. 두 천체의 공전궤도면 기울기 차이로 인해 엄폐(달에 의해 토성 관측이 가려지는)가 나타나는데, 이 주기도 50년이다. 완전히 가려진 뒤 점차 토성이 보이는 이각이 0.3도라는 설명이다. 한편 국립과천과학관은 오는 12월 8일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과학관 천문대 앞마당과 다목적 광장에서 무료 관측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국립과천과학관 한형주 관장은 “일생에 한두 번밖에 볼 수 없는 달·토성 근접 천문현상을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볼 수 있는 기회"라고 부연설명했다.

2024.12.05 18:04박희범

해성디에스 조병학 대표, '무역의 날' 은탑산업훈장 수훈

반도체 부품 전문 제조기업 해성디에스의 조병학 대표이사가 '제6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무역의 날'은 무역의 균형 발전과 무역입국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국가기념일로 매년 12월 5일에 기념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는 무역의 날을 기념해 해외시장 개척과 국가 수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해 시상식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산업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조병학 대표이사는 지난 40년간 반도체 산업에 종사하면서 기술개발, 노사문화 안정화, 지역사회 나눔 실천 등을 통해 매출과 수출 증대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이번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특히 2020년 취임 후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끌었으며, 반도체 분야 국가핵심기술의 개발로 한국의 경제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조병학 대표이사는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 뜻 깊은 상을 받게 되어 영광스럽다”며, “해성디에스의 전체 매출 중 99%가 수출을 통해 발생되는 만큼 내년에도 수출 활성화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성디에스는 지속적인 R&D 역량확대를 통한 기술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성실납세, 지역사회 공헌 인정기업 선정 등 지속가능 경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선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2024.12.05 17:47이나리

넷마블, 2년 연속 ESG 등급 상승…지속가능 경영 행보 눈길

넷마블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지난 10월 발표한 '2024년도 ESG 종합평가'에서 넷마블은 A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2022년도 B등급에서 2023년도 B+등급으로 오른데 이어 2년 연속으로 등급이 상승한 것이다. 넷마블이 종합 A등급을 받은 건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21년 12월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시킨 넷마블은 지난해 3월 해당 위원회를 이사회 산하로 전환하며 지속가능 경영에 고삐를 당겼다. 이에 넷마블 구성원들은 한층 강화된 지속가능 경영 체계 하에 ESG 가치를 내재화하고 ESG 비전 및 전략을 실천해왔다. 가장 평가가 높았던 건 A+등급을 받은 사회(S) 부문이다. 그간 넷마블이 지역사회 및 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며 사회적 가치를 제고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으로 넷마블이 장애 학생의 게임문화 향유를 위해 2008년 시작한 '게임문화체험관'은 최근 '40호 개관'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또 올해부터 전국 초등학교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게임소통포럼'을 새롭게 개최해 자녀 교육 및 게임 문화 관련 전문가들의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일련의 활동을 주도해온 넷마블문화재단은 2018년 재단 창립 당시 수립했던 5개년 로드맵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후, 작년부터 새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적극 이행하고 있다. 넷마블 구성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와 지역사회 속 다양한 외부 이해관계자들 간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선순환 체계를 주도적으로 구축해나간다는 청사진이다. 넷마블은 지난 9월 국내 게임업계 최초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 인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안전보건관리 국제표준 인증으로,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갖춘 기업에 부여된다. 해당 인증을 얻고자 넷마블은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퍼블리싱 서비스의 안전보건 관리 체계를 전사적으로 점검한 바 있으며, 이번 인증 취득을 계기로 업계 내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분위기를 선도적으로 확산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넷마블의 지배구조(G) 부문 평가 역시 2023년 B+등급에서 올해 A등급으로 격상됐다. 넷마블은 지난해 각자 대표이사를 선임함으로써 이사회가 의사결정, 감독, 집행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해 경영 효율성을 제고했다. 또 사외이사 5인 전원을 감사위원으로 선정해 이사 및 경영진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는 등 투명한 지배구조 구현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넷마블 관계자는 “근로자와 소비자, 지역사회 등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적극적 소통은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은 것이 금번 등급 상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앞으로도 넷마블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글로벌 게임 기업으로서 지속가능 경영 활동을 지속 실천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4.12.05 15:54강한결

스튜디오드래곤, 아시아 양대 콘텐츠 시상식 2관왕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한 드라마 '눈물의 여왕'과 '운수 오진 날'이 아시아 양대 콘텐츠 시상식인 ATA와 AACA의 주요 부문을 석권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지난 4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2024 아시아 아카데미 크리에이티브 어워즈(AACA)에서 '눈물의 여왕'과 '운수 오진 날'로 2관왕에 올랐다. 매년 12월 진행되는 AACA는 한 해 아시아 콘텐츠 시장을 리뷰하고 시상하는 아시아 최대 콘텐츠 시상식이다. '눈물의 여왕'은 연출상(Best Direction)을, '운수 오진 날'은 오리지널 작품상(Best Original Production by a Streamer)을 수상했다. 특히 눈물의 여왕은 올해 ATA와 AACA 두 시상식에서 수상에 성공한 유일한 한국 작품이다. 앞서 지난 11월 3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제29회 아시안 텔레지전 어워즈(ATA)에서도 눈물의 여왕은 극본상(Best scriptwrting)을 수상했다. ATA는 1996년부터 시작돼 올해로 29회를 맞이한 미디어 시상식이다. 눈물의 여왕은 최종화 시청률 평균 24.9%를 기록하며 방영 채널인 tvN에서 역대 시청률 1위를 기록한 드라마다. 해외에서는 넷플릭스를 통해 서비스되며 올해 상반기 6억 8천260만 시청시간을 기록하며 상반기 가장 인기 있는 K드라마 반열에 올랐다.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운수 오진 날은 국내에서 티빙, 해외에서 파라마운트+를 통해 공개됐다. 프랑스 칸 밉티비(MIPTV) 상영작으로 선정되는 등 웰메이드 장르물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스튜디오드래곤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K드라마의 경쟁력을 재입증 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웰메이드 작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K드라마 글로벌 저변 확대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05 15:45최지연

아이에스티이, HBM 이어 PECVD 시장 진출…"SK하이닉스 등 공급"

"아이에스티이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토대로 HBM용 풉 클리너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신규 장비인 PECVD 장비도 내년 SK하이닉스 메모리 공정에 공급할 예정이다. 현재 품질 테스트에서 유일하게 고객사의 요구치를 달성했다." 조창현 아이에스티이 대표는 5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 후 성장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2013년에 설립된 아이에스티이는 반도체 풉(FOUP) 클리너(세정장비) 개발에 성공,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SK실트론 등 주요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에는 단독 공급 체제를 이루고 있다. 풉은 반도체 핵심 소재인 웨이퍼를 담는 용기다. 풉 내에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반도체 수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청결도를 유지해야 한다. 기존 풉 세정 장비는 커버와 바디를 한번에 세정하고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해 왔다. 반면 아이에스티이는 분리 세정이 가능한 장비를 자체 개발해, 세정력과 건조 효율성, 생산 효율성을 모두 높였다. 또한 아이에스티이는 첨단 패키징 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에는 국내 최초로 HBM(고대역폭메모리)용 400mm 풉 클리너 장비 개발에 성공했다. 해당 장비는 SK하이닉스에 공급 완료했으며, 삼성전자와도 공급을 논의 중이다. PLP(패널레벨패키징)용 600mm 풉 클리너는 세계 최초로 개발 완료했다. 해당 장비는 삼성전기, 네패스 등에 공급을 완료했다. 조창현 대표는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풉 세정장비 시장 점유율을 2022년 14%에서 2030년 40%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해외 주요 반도체 기업 및 연구기관을 고객사로 적극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아이에스티이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용 장비인 PECVD(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 장비 연구개발을 통해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증착이란 웨이퍼 표면에 얇은 막을 씌워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만드는 공정이다. 아이에스티이는 지난 2021년 절연막의 일종인 'SiCN' PECVD 장비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해, SK하이닉스와의 퀄(품질)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통과 후 현재는 본격적인 양산 검증을 거치고 있어, 내년 공급이 기대된다. 조창현 대표는 "SK하이닉스의 D램용 SiCN PECVD 장비 국산화를 위해 당사를 포함해 3개 업체가 경쟁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아이에스티이만이 요구 성능을 충족해 공급사로 단독 선정됐다"며 "향후 HBM의 적층 수가 늘어나고, 하이브리드 본딩과 같은 신기술이 도입되면 패키징에서도 SiCN PECVD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유망한 사업 분야"라고 강조했다. 한편 아이에스티이는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을 생산능력 확장을 위한 신규 공장 부지 취득과 PECVD장비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운영 자금, 채무 상환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아이에스티이의 총 공모 주식수는 160만주로, 1주당 공모 희망가액은 9천700원~1만1천400원, 총 공모금액은 155억원~182억원이다. 12월 2일부터 12월 6일까지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한 뒤, 12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청약을 진행해 12월 20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KB증권이다.

2024.12.05 14:36장경윤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온라인, '2024 겨울 프로모션' 실시

그라비티는 4일부터 PC 온라인 MMORPG '라그나로크 온라인'에서 '2024 겨울 프로모션'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라비티는 연말을 맞아 풍성한 혜택으로 가득 채운 프로모션 페이지를 오픈, 이벤트를 공개했다. 먼저, 겨울 제련 달성 이벤트에서는 12월 18일 점검 전까지 4레벨 이상 무기 및 모든 방어구 아이템을 11차수 이상 제련하면 추첨을 통해 고급 제련 보장권 봉투, 대장장의 축복으로 구성한 제련 이벤트 상자와 홀그렌의 쉐도우 제련망치를 증정한다. 버닝 이벤트는 2025년 1월 8일 점검 전까지로 이벤트 기간 동안 경험치 30%, 아이템 드롭율 20%, 에피소드 17부터 20까지의 퀘스트 경험치 2배 등이 증가하며 사망 페널티가 50% 감소한다. 골드 PC방에서는 경험치, 아이템 드롭율이 추가로 30%씩 올라간다. 같은 기간 5레벨 무기와 2레벨 방어구 제련 시 성공 확률이 증가하며 아이템 등급 강화 확률이 올라가는 제련 확률 UP 이벤트도 진행한다. 그라비티는 겨울 프로모션과 외에도 추후 진행할 주요 업데이트 소식도 공개해 기대감을 더했다. 라그나로크 온라인은 2025년 1분기 중 신규 서버 이프리트, 새로운 이야기와 모험을 다룬 챕터 1을 오픈하고 유명 IP와의 콜라보레이션도 선보일 예정이다.

2024.12.05 14:35강한결

정부, 겨울철 대비 역대 최고 전력공급능력 110.2GW 준비

정부는 올겨울 최대전력수요가 97.8GW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110.2GW의 공급능력을 확보했다. 전력당국이 준비한 110.2GW의 전력공급능력은 작년 겨울철보다 5GW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올겨울에는 정비에 들어가는 새울 1호기를 제외한 23기의 원전이 모두 가동된다. 또 지난 5월 신설된 북당진-고덕 HVDC, 12월 신설 예정인 북당진-신탕정 선로 등 신규 계통설비가 보강되면서 서해안 발전제약이 줄어든 것도 공급능력 증가에 기여했다. 전력당국은 충분한 공급능력을 확보했음에도 연쇄적인 발전기 불시고장이나 기습한파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전력수급 관리 수단을 추가로 준비했다. 수요자원(DR), 석탄발전기 출력 상향운전, 전압 하향조정 등 최대 6.8GW의 추가예비자원을 가동할 계획이다. 전력당국은 합리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수요관리·취약계층 지원도 병행한다.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적정 실내온도(20도 이하) 유지·승강기 절약운전 등을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전 국민이 동참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 실천요령을 배포할 계획이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에너지바우처 동절기 지원단가를 전년 대비 1만원 인상하고 사용기간도 내년 5월까지 1개월 연장하는 한편, 단열·창호공사, 고효율 보일러 보급 등 난방효율 개선사업도 전년 대비 규모를 확대해 시행 중이다. 전력당국은 9일부터 내년 2월 21일 까지를 '겨울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해 실시간 수급상황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기 시 예비자원을 투입해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2024.12.05 14:22주문정

  Prev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AI 챗봇 '과잉 공감' 경계해야"…나르시시즘·망상 키울 수도

'보안 올림픽' 4연승 박세준 "K-보안, 글로벌로 가야"

공공 클라우드 전환 앞장서는 美정부…한국은 '제자리걸음'

블룸버그 "트럼프 행정부, 인텔에 지분 투자 검토"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