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지스타2025
인공지능
스테이블코인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스페인 한인마트'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038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대한항공, 전 세계 전화망 '줌 폰'으로 통합하는 이유는?

대한항공이 복잡했던 전 세계 지점 간 전화 시스템을 '줌 폰'으로 단일화했다. 이를 통해 장비 관리 부담을 줄이고, 해외 출장 등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대한항공 이재훈 차장은 28일 서울 강남구 엘타워에서 열린 '줌토피아 온더 로드 서울' 행사에서 줌 폰 도입 배경과 성과를 소개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말 국내 전 지점의 시스템 전환을 완료했다.이를 통해 온프레미스 기반 장비 유지 부담을 줄였고 해외 출장 등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해외 250여 개 지점 전체에 줌 폰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 차장은 "운영 효율이 크게 향상됐고, 경영진이 가장 만족한 부분은 총소유비용(TCO)이 줄었다는 점"이라며 "전체 통신 비용이 약 20% 절감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전에는 오프라인 장비와 전용 회선이 얽힌 복잡한 구조로 인해 유지보수 인력과 출장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됐다"며 "줌 폰 도입 이후 전화 회선과 장비 관리가 본사에서 중앙집중형으로 이뤄지고, 지점에서는 인터넷만으로 통화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한항공은 줌 컨택센터도 함께 도입해 내부 IT 헬프데스크와 현지 언어 예약센터 운영에 활용하고 있다. 기존에는 본사 콜센터가 처리하지 못하던 지역별 언어 고객 문의를 각 지점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직접 응대할 수 있게 됐다. 이 차장은 "필리핀 따갈로그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등 현지 언어로 고객 예약 전화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며 "업무 효율뿐 아니라 고객 경험 개선 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줌 폰 도입을 통해 현장 직원들도 모바일 기기에 소프트폰을 설치해 언제 어디서나 회사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기존에는 현장 직원이 개인 휴대폰으로 통화해야 했지만, 이제는 회사 통화망을 통해 비용 부담 없이 연결이 가능하다. 이 차장은 "해외 지점 확대를 마친 뒤에는 아시아나항공과 통합 프로젝트에 맞춰 줌 폰과 줌 컨택센터 환경을 일원화할 계획"이라며 "통합 이후에는 라이선스 규모와 사용자 수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줌이 제공하는 기능 업데이트가 빠르고 온라인 팩스 같은 새로운 서비스도 유용하다"며 "내년에는 내부 프로모션을 통해 직원들에게 줌 기능을 더 적극적으로 알리고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연례 컨퍼런스 '줌토피아'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된 오프라인 행사다. 줌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하이브리드 근무, 고객 상담, 스마트 오피스, 그리고 AI 기반 협업 혁신을 중심으로 자사의 새로운 제품과 기술 비전을 직접 소개했다. 줌 세르히오 아길레라 아시아태평양 솔루션 엔지니어링 총괄은 "줌은 이제 단순한 화상회의 솔루션이 아니라, AI 중심의 협업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다"며 "AI를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것이 줌의 본질적인 목표"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어 "줌 폰은 2년 만에 1천만 명 이상의 유료 사용자를 확보했고, 줌 컨택센터는 출시 3년 만에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줌코리아 오인호 전무는 'AI 컴패니언 3.0'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며 "AI와 플랫폼의 결합이 줌의 핵심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컴패니언은 회의 요약과 문서 작성은 물론 일정 분석, 맞춤형 미팅 제안, 자동 노트 기록까지 지원한다"며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업무를 지원하는 에이전트형 도구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하이브리드 워크플레이스', '통합 커뮤니케이션 및 고객 상담', '스마트 오피스' 등 주제별 트랙이 마련돼 실제 구현 사례가 소개됐다. 줌 캐시 염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케팅 총괄은"이번 '줌토피아 온더 로드 서울'은 한국 시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현지화된 AI 기반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라며 "기업 고객뿐 아니라 교육, 공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협업 혁신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10.28 12:08남혁우

[AI 리더스] 韓 AI 전략 맡은 심승배 "판교 민간 기술, 군에 심어야…국방 AX 거점 필요"

"미국은 팔란티어, 안두릴 등 민간 기업과 협력해 국방력이 한층 더 강화됐습니다. 우리나라도 데이터 중심의 인공지능(AI) 국방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10년 뒤 전장에서 뒤처질 수 있습니다." 심승배 국가AI전략위원회 국방·안보분과장은 최근 지디넷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민간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국방 AI 생태계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처럼 밝혔다. 또 국방력 향상을 위해 연간 최소 1조원 규모의 국방 AI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방 AX 거점도 하루 속히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7일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발간한 '2024 국가별 국방과학기술 수준 조사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순위는 12개 국방 선진국 중 8위로, 대한민국 연구개발(R&D) 예산의 18%에 불과한 이스라엘(7위)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1위는 미국(100%)이 차지했고 프랑스(89%·이하 미국 대비 수준), 러시아(89%), 독일(88%), 영국(87%), 중국(86%), 이스라엘(84%), 한국·일본(82%), 이탈리아(79%), 인도(73%), 스페인(7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미국이 국방과학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이유는 무기체계의 주요 기능을 인공지능(AI) 기반 자율화 소프트웨어(SW)로 구현하고 있어서다. 또 JWCC(Joint Warfighting Cloud Capability) 등 대규모 생성형 AI를 국방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의 첨단 AI 기술을 국방 영역에 적극 도입하고 있는 것도 주효했다. 심 분과장은 "우리나라에서 민간 협업은 정부에서 개별 사업을 발주하면 기업이 들어와서 수행하는 수준"이라며 "민간과 군이 협력할 수 있는 채널이 현저히 부족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미국은 민간 AI 기술을 국방에 선도적으로 적용하도록 빅테크 기업이 몰린 실리콘밸리에 '국방혁신단(DIU)'을 마련해 전문가들과 소통하면서 '소프트웨어 팩토리'라는 콘셉트로 스타트업까지 양성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런 식으로 접근해 판교의 기술을 군에 적극 도입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심 분과장은 우리 군과 민간 기업이 상시 협력할 수 있는 '국방 AX 거점' 같은 채널을 여러 개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곳에서 파일럿 연구개발(실증 연구개발)도 가능하도록 실증 인프라를 제공해 방산기업과 민간 AI 스타트업에 개방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군의 클라우드 전환과 국방 AX를 빠르게 병행하는 것도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군을 포함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전환율은 약 10% 수준으로 현저히 낮다. 여기에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이 미비해 AI 등 첨단 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하기도 쉽지 않다. 심 분과장은 "현재 공무원 내부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 메신저 외에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동되는 군용 SW는 거의 없다"며 "클라우드가 100% 전환될 때까지 기다리기에는 너무 늦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방 특화 AI 데이터센터를 따로 짓는 게 지금으로선 굉장히 필요하지만, 당장 쓸 수 있는 옵션은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것이 좀 더 효율적"이라면서도 "이를 위해 데이터 보안등급을 비밀·민감·일반(공개)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현재 국방 데이터로는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방 데이터 분류도 민간의 힘을 빌려 카탈로그화 해 신뢰할 수 있는 방산 기업들에게 공개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방 데이터 마트 같은 느낌의 '국방 데이터 허브'를 만들어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군 차원의 데이터 전문가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분과장은 우리나라가 AI 기반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선진국과의 협력도 지금보다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특히 민간 기업들은 미국 쉴드AI, 팔란티어 등 업계를 이끌고 있는 곳들과 기술 협력이나 공동 개발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가·국방 차원에서도 한미 연합작전 수행을 위한 AI 분야 협력의 경우 현재처럼 유사한 수준으로 미국과 관계를 가져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국방·안보 AI 인재를 양성하는 데도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군에서 양성된 AI 분야 인재가 외부로 조기에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군의 AI 분야 조직이 마치 실리콘밸리나 판교의 스타트업 조직처럼 활성화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심 분과장은 "군인으로서 사명감으로 AI를 추진하면서 전문가·활용가로서 AI를 구현해 성과를 경험해 볼 필요가 있다"며 "전역 후에도 민간 ai 전문가로서 또는 기업 입장에서 군에 기여하는 선순환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이 지금으로선 중요하다"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AI 규범과 군사적 활용 문제도 고민해야 할 부분으로 짚었다. AI가 살상무기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이에 대한 균형점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일본에선 지난 6월 AI를 활용한 무기의 연구·개발 관련 지침을 처음 내놔 눈길을 끌었다. 반면 우리나라에선 올해 3월 'AI 기본법'이 통과됐으나, 국방·안보 목적의 AI에 대해서는 적용범위에서 제외돼 있는 등 아직 구체화 된 관련 지침이 마련돼 있지 않다. 심 분과장은 "지금은 AI 기술의 활용 수준이 미래 안보를 좌우할 수 있는 시대"라며 "첨단 무기에서도 AI 기반 무기의 속도나 파괴력이 중요하고, 사이버 분야에서는 AI로 공격하거나 방어할 수 있는 역량이 핵심인 만큼 우리나라도 이에 맞춰 기술력을 키워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그러면서도 "AI의 군사적 활용 문제는 AI 개발 과정에서 신뢰성, 안전성 등의 품질보증 활동을 기본적으로 강화해 준비해야 한다고 본다"며 "자율주행 자동차가 아직 완전 자율주행에 이르지 못한 것처럼 군사 분야 AI도 유사한 상황으로, 앞으로 책임있는 AI의 구현에 노력을 다하면서 기술 진화·발전에 따라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심 분과장이 우리나라 국방 AX 문제에 대해 세밀히 진단할 수 있는 이유는 지난 2002년 한국국방연구원에 합류한 후 국방정보화 정책 연구와 데이터·AI 분야를 중점 연구해왔던 덕분이다. 지난해 말부터 AI·정보화연구실장을 맡고 있는 상태로, 올해 9월 출범한 국가AI전략위원회에선 국방·안보분과장으로도 위촉됐다. 이는 최근 5년간 AI 분야에서의 정책연구 경험과 20년 이상 쌓은 국방 도메인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도움이 됐다. 심 분과장은 "국방·안보분과는 국방부의 AI 도입과 활용에 대한 촉진뿐 아니라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안보 목적에서도 중요하다"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볼 수 있듯 현대전의 양상은 이미 AI 중심의 속도 경쟁에 돌입한 상태로, 민간의 상용 AI 기술을 군에 빠르게 도입해 전력화·운용하는 것이 현재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국방 분야 AI의 수요자인 군 장병의 관점에서 그들의 임무에 AI 도입을 가속화 하는 것, 즉 국방 AX를 통해 장병의 임무 달성을 지원함으로써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것이 우리 분과의 핵심 목표"라며 "우리 군이 AI를 활용해 인구절벽, 병력 감소 시대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분과에서 적극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국방·안보분과를 통해 '국방 AI 생태계'를 조성해 나감으로써 우리나라가 방산 AI 분야에서 4대 강국의 반열에 오를 수 있도록 나설 것이란 각오도 드러냈다. 또 K-팝 문화처럼 우리나라 국방 AI 역량이 전 세계로 수출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심 분과장은 "앞으로 국방 AI 스타트업이 지속 창업 및 발전할 수 있는 '국방 AI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분과를 이끌어 나가려고 한다"며 "국방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의하면, 민간기업이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고 서비스로 구현하는 형태의 생태계가 우리 국방에도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10.27 09:28장유미

'테니스 전설' 라파엘 나달 "기아는 가족"...21년 동행 연장

"열일곱 살이던 시절, 운전면허도 없을 때, 기아가 제게 먼저 다가와 주었습니다. 저는 당시 부상을 겪던 중이었지만, 그럼에도 기아는 저를 믿어주었습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우리의 파트너십은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때 저는 아주 어렸고, 세상을 배워가던 때였습니다. 당시 스페인에서 기아는 매우 젊은 브랜드였죠. 그 후 올바른 방식, 올바른 가치·태도, 명확한 비전으로 브랜드가 진화하는 과정을 보면서 큰 기쁨을 느꼈습니다." 세계적 테니스 스타 라파엘 나달은 23일 서울 성동구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에서 열린 기아 후원 파트너십 연장 행사에서 21년간의 파트너십을 돌아보며 "기아는 가족"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아가 그 모든 세월 동안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보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제 커리어 전체를 기아와 함께할 수 있었던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모든 면에서 발전하는 것을 봤다"며 "(기아는) 제 커리어의 낮은 순간에 언제나 제 곁에 서서 지지를 보내줬다"고 강조했다. 기아와 나달이 만난 것은 2004년이다. 당시 기아는 유럽에서 생소한 브랜드였다. 당시 판매량은 연간 3만712대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21년간 기아와 나달은 성장을 거듭했다. 기아는 지난해 기준 유럽에서 52만9천157대를 판매하는 글로벌 완성차로 거듭났고, 나달은 세계적인 선수로 올라섰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사실 그때 나달 선수가 지금처럼 성장할 것을 알고 계약했다면 예언가 수준이었을 것"이라며 "우리가 주목했던 것은 그의 인성과 태도였다. "나달 선수는 겸손(Humble), 그리고 매일 아침 '어떻게 더 발전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런 점이 정말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건 우리 기아의 철학과도 같다. 우리는 고객 앞에서 항상 겸손해야 하며 현재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무리 좋아도, '더 좋아져야 한다'는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며 "그런 꾸준한 노력만이 우리를 정상에 있게 하는 힘이라고 믿는다. 그의 태도와 정신이 바로 기아의 성장에도 영감을 준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오랜 기간 기아와의 협력을 이어가며 나달 선수는 기아의 제품을 홍보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나달 선수는 현재 EV9을 주로 운행하고 있다. 그는 "2021년 EV6 전달식이 제 아카데미 코트에서 열린 행사여서 특별한 순간이었다"며 "브랜드로서 디자인·품질·주행감 등 모든 측면에서 큰 도약이 느껴졌고, EV6는 정말 특별했다. 이후 가족이 커지며 더 큰 차인 EV9으로 옮겼고, 개인적으로 스팅어를 지금도 소유하고 있고 혼자 드라이브할 때 즐겨 탄다"고 말했다. 또한 나달은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2022년 호주오픈 우승을 꼽으면서도 기아를 강조했다. 기아가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인 호주오픈을 지난 2002년부터 공식 후원하고 있는데, 이 대회에서 부상을 딛고 역전 우승을 이뤄냈기 때문이다. 그는 "두 세트를 내주고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그날, 그랜드슬램 통산 21번째 우승을 차지한 건 내 커리어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이었다"며 "그 순간 기아가 든든한 지원자로 곁에 있었다"고 밝혔다. 나달은 지난해 은퇴 이후 차세대 테니스 선수 양성 기관 '라파 나달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어린 세대에 투자하는 것은 언제나 가치 있는 일"이라며 "언젠가 한국에서 프로 무대에 오를 유망주가 나온다면, 그 자체로 다음 세대에게 강한 영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2일 기아는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워커힐 호텔의 야외 테니스 코트 '테네즈파크'에서 국내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이 라파엘 나달이 설립한 차세대 테니스 선수 양성 기관 '라파 나달 아카데미'의 코치진으로부터 테니스 트레이닝을 받을 수 있는 '기아 주니어 테니스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또한 트레이닝 과정에서 참가 선수들에 대한 라파 나달 아카데미 소속 코치진의 평가를 진행해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 2인도 선발했다. 선발된 선수는 서울특별시테니스협회 소속 홍예리(여성, 만 14세) 선수, 울산 제일중 소속 김시윤(남성, 만 14세) 선수로 스페인 현지에서 글로벌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하이 퍼포먼스 테니스 주니어 캠프'에 참가할 예정이다. 나달은 "전 세계적으로 주니어들의 수준이 매우 높습니다. 한국도 훌륭한 수준"이라며 "선발된 두 선수는 마요르카 아카데미에서 즐겁고 유익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기아는 글로벌 스포츠 후원을 이어가며 젊은 고객층과 접점을 넓히겠다는 방침이다. 송 사장은 "현재 기아의 글로벌 스포츠 후원 축은 크게 테니스, 축구, e스포츠 세 가지이며 테니스는 호주오픈을 25년째 후원하고 있을 정도로 기아의 브랜드 방향성과 잘 맞다"며 "축구는 내년 FIFA 월드컵을 활용하고 e스포츠는 최근 한국, 유럽, 미국, 인도 등지로 확장 중이다"고 설명했다.

2025.10.23 16:58김재성

K뷰티 엑셀러레이터 모스트, 창사 이래 최대 실적 전망

글로벌 K뷰티 액셀러레이터 모스트가 올해 연매출 약 550억원, 영업이익 120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 달성이 전망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매출 약 60%, 영업이익 5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호주 투자은행 맥쿼리, 애플, 아마존 한국지사 창립멤버 출신인 정다연 대표가 2018년 설립한 모스트는 미국 코스트코 본사를 포함한 글로벌 코스트코 및 북미의 다양한 유통 채널에 한국 화장품을 유통하고 있는 글로벌 K-뷰티 전문 유통사다. 현재 미국, 한국, 멕시코, 대만, 영국, 스페인, 프랑스, 캐나다,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등 전 세계 채널에 한국 화장품을 공급하며 K-뷰티의 글로벌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모스트는 미국 내 K뷰티브랜드들의 매출 및 발주가 대폭 증가했다면서 이같은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판매 채널인 코스트코 미국 본사를 포함한 북미 유통망 확대와 함께 주요 뷰티 품목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캐나다와 대만, 유럽, 한국 등 주요 국가에서도 K뷰티 브랜드 성장세는 두드러진다. 캐나다 코스트코는 높은 아시아계 소비층, 메이크업 브랜드에 대한 개방적 소비 성향의 영향으로 신제품 출시에 대한 매출 반응이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유럽과 대만 역시 현지 유통 채널을 확장하며 매출 기여도를 확대했다. 모스트는 내년부터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글로벌 진출 전략 파트너'로 체질 전환을 추진한다. 기존 글로벌 유통 채널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주요 파트너 브랜드사와 더욱 긴밀한 협력을 추진한다. 이들과 함께 해외 신규 채널 확장, 시장별 최적 가격 전략,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방향 어드바이저리, 마케팅 전략 기획 및 실행 등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설팅과 유통을 함께 추진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내년 1월에는 모스트의 미국 현지 법인 '머스캣 뷰티'가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머스캣 뷰티는 모스트 협업 브랜드들의 현지 마케팅, 유통을 총괄하는 북미 거점 법인으로 브랜드의 미국 내 성장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다연 모스트 대표는 “올해는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전역에서 K뷰티의 성장 가능성을 현실로 입증한 한 해였다”며 “모스트는 그동안 축적한 글로벌 유통 노하우를 바탕으로 브랜드들이 각 시장에서 정확한 포지셔닝과 전략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2025.10.23 15:16안희정

기아, 라파엘 나달 파트너십 연장…21년 넘은 '글로벌 동행'

기아가 세계적인 테니스 스타이자 브랜드 글로벌 홍보대사인 라파엘 나달과의 공식 후원 파트너십을 연장하고, 21년간 지속된 동행을 이어간다. 기아는 23일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브랜드 체험 공간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에서 기아 송호성 사장, 고객경험본부장 류창승 전무, 라파엘 나달, 기아 임직원과 국내 주니어 테니스 선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후원 파트너십을 연장하는 조인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아는 라파엘 나달이 보인 열정과 도전 정신이 기아 브랜드 철학과 맞닿아 2004년 후원을 시작해 올해로 21년째 파트너십을 지속해오고 있다. 특히 라파엘 나달의 부상 시기에도 회복을 기원하는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라파엘 나달도 기아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는 브랜드 글로벌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기아 브랜드를 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해 왔다. 앞으로도 라파엘 나달은 기아의 비전과 메시지를 전 세계 고객들에게 보다 진정성 있게 전달하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 조인식은 앞으로의 여정이라는 행사 콘셉트처럼 기아와 라파엘 나달이 그간 함께해 온 궤적과 더불어 새로운 시작을 맞은 파트너십이 만들어갈 미래를 가시성 있게 보여주는데 집중했다. 기아는 라파엘 나달과의 상호 신뢰와 유대를 바탕으로 지난 2004년부터 시작된 동행을 성공적으로 이어올 수 있었다고 강조하며, 기아와 함께한 기간 동안 전 세계 테니스 팬들에게 훌륭한 경기를 선사하고 파트너십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준 라파엘 나달에게 애정과 감사를 표했다. 또한, 송호성 사장과 라파엘 나달은 새롭게 이어질 파트너십의 의미를 담은 명판에 서명하며 지난 21년간 이어온 동행이 단순 후원을 넘어 지속 가능한 가치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진정한 파트너십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조인식에서 라파엘 나달과 기아 임직원, 국내 테니스 유망주들이 함께 '기아X나달의 여정과 새로운 시작'이라는 주제의 토크 세션도 진행했다. 라파엘 나달은 12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 소감, 기아와의 파트너십 히스토리 그리고 미래 비전 등을 밝히고, 브랜드 글로벌 홍보대사로서 EV9 등 본인이 경험한 기아 전기차 모델의 우수성을 현장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조인식 종료 후에는 기아와 라파엘 나달의 새로운 여정을 축하하는 의미로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에서 국내 테니스 유망주와 팬ᆞ인플루언서들이 함께 하는 파티 콘셉트의 행사도 개최한다. 기아는 이번 행사를 위해 국내 테니스 팬들을 대상으로 ▲라파엘 나달의 테니스 기술·퍼포먼스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현하는 영상 ▲라파엘 나달의 스포츠 커리어·미래 계획 등에 대한 질문을 응모하는 미션의 사전 이벤트를 진행하고, 국내 테니스 팬들을 선정해 초청했다. 국내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 중 뛰어난 기량을 가진 유망주들과 테니스 관련 콘텐츠로 국내외 테니스 팬들과 소통하는 유명 인플루언서들도 행사에 참석한다. 기아 송호성 사장은 "라파엘 나달과 기아는 2004년 파트너십 계약을 맺은 이후 열정·투지 등의 정신으로 함께 성장하고 전 세계인들에게 테니스라는 스포츠가 가진 역동성과 매력을 알려 왔다"며 "앞으로 기아는 나달과의 진솔한 우정을 바탕으로 전 세계 테니스 팬·유망주들에게 희망과 동기를 부여하고 고객들과 긍정적 영감을 끊임없이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트너십 연장 조인식이 열린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는 오는 24일부터 내달 9일까지 일반 고객들도 기아와 라파엘 나달 간의 파트너십 역사와 앞으로의 비전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팝업 공간으로 운영된다.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를 방문하는 고객들은 팝업 공간에서 기아와 라파엘 나달이 함께 만들어온 영광의 순간들을 몸소 체험할 수 있다. 또한, 팝업 공간 내 전시 콘셉트에 맞게 각종 테니스 용품을 활용해 꾸민 PV5 패신저와 라파엘 나달이 직접 운전하는 차량인 EV9 GT-line도 전시해 방문객들은 기아 전기차의 우수한 상품성과 전동화 기술력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지난 22일 기아는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워커힐 호텔의 야외 테니스 코트 '테네즈파크'에서 국내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이 라파엘 나달이 설립한 차세대 테니스 선수 양성 기관 '라파 나달 아카데미'의 코치진으로부터 테니스 트레이닝을 받을 수 있는 '기아 주니어 테니스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기아는 만 13세부터 만 18세까지의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 중 국내ᆞ국제 대회 합산 성적이 우수한 20명을 사전 선발해 이번 기아 주니어 테니스 프로그램에 초청했다. 기아는 라파 나달 아카데미가 직접 개발한 커리큘럼 ▲핸드 피딩 훈련(코치가 던져주는 공을 치는 훈련) ▲코치 발리 훈련(코트에서 코치와 함께 어프로치샷 등을 반복하는 훈련) ▲핑퐁 게임(4명의 선수가 2인 1팀으로 대항해 승부를 겨루는 실전 훈련) 등 집중 트레이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트레이닝 과정에서 참가 선수들에 대한 라파 나달 아카데미 소속 코치진의 평가를 진행해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 2인도 선발했다. 선발된 선수는 서울특별시테니스협회 소속 홍예리(여성, 만 14세) 선수, 울산 제일중 소속 김시윤(남성, 만 14세) 선수로 스페인 현지에서 글로벌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하이 퍼포먼스 테니스 주니어 캠프'에 참가할 예정이다.

2025.10.23 10:00김재성

EU '기술 이전 의무화' 카드, 中 배터리 흔들까…"강도 약할듯"

유럽연합(EU)이 중국 기업을 겨냥해 EU 시장 진입 시 기술 이전 의무화를 검토하면서, 최근 상승세인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행보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 EU가 요구할 기술 이전 범위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기술들은 이전을 강제하기 어렵고, 중국 기업과 밀접한 관계인 회원국 반발 가능성도 있어 실제 조치는 미풍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역내 실질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의 하나로 외국 기업의 현지 기술 이전 의무화를 검토하고 있다.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통상 담당 집행위원은 지난 14일 유럽 내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 유럽으로의 기술 이전 등을 전제로 한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를 추진하겠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과거 유럽 기업이 중국에 투자했을 때 겪었던 것과 비슷한 규정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이번 규정은 특히 자동차·배터리 등 제조업을 겨냥하며, 내달 발표 가능성이 거론된다. 중국 외 타국 기업도 적용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중국 기업들이 영향권에 들어올 전망이다. 중국산 전기차 고관세를 우회하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EU 현지 공장을 추진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 전기차 기업 BYD는 헝가리와 튀르키예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며 최근에는 스페인 공장 설립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인 CATL도 헝가리와 독일 소재 공장 외 스텔란티스와 합작으로 스페인 공장 건설을 준비 중이다. CALB도 포르투갈에 배터리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중국 기업 엔비전 소유 AESC도 영국과 프랑스에 배터리 공장을 가동 중이고, 스페인 공장도 설립 중이다. EU가 중국 기업에 대한 정조준 규제를 예고한 만큼, 일각에선 우리나라 배터리 업계가 반사이익을 누릴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있다. 그 동안 현지 시장점유율을 중국 기업에 점진적으로 뺏겨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셀 기업들의 점유율은 40% 아래로 떨어진 반면, 중국 기업들 합산 점유율은 지난해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제친 뒤 격차를 벌려가는 상황이다. 그러나 EU가 시장에 영향력을 미칠 만큼 기술 이전 의무화 규정을 강력하게 도입하긴 어렵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실제 핵심 기술 이전이라기보다 공장 운영에 따르는 일반적인 제조 기술이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합작사끼리도 핵심 기술은 공유하지 않을 뿐더러, 보호무역주의를 강력 추진 중인 미국 이상으로 강력한 규정이 나오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EU가 강력한 규정 도입을 시도하더라도, 중국이 보복성 조치에 나설 경우 EU 내부 반발 기류가 거셀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이 관계자는 “EU가 기술이전 의무화 규정을 발표한 뒤 중국이 수출 제한 등으로 맞대응한다면 반발하는 회원국이 나올 수 있다”며 “EU는 여러 국가들의 연합인 만큼, 합동 조치에 반대 세력이 나올 여지도 많다”고 지적했다. EU의 이번 행보에 대해 블룸버그도 “유럽이 중국의 보호무역주의 전략을 차용해 중국에 반격하는 건 반발을 일으켜 무역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EU와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지속 고조되면서, 중국 기업 유럽 투자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 20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컨설팅 기업 로듐을 인용, 중국 기업들의 유럽 투자 속도가 둔화됐다고 보도했다. 로듐은 중국 기업들의 투자 수요가 유럽 대신 동남아시아로 상당 부분 이동했다고 분석했다.

2025.10.23 09:04김윤희

지마켓 "내년이 재도약 원년...5년내 거래액 2배 이상 올린다"

지마켓이 오픈마켓 선도 혁신기업으로 부활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내년을 재도약 원년으로 삼고 5년 안에 거래액을 지금보다 2배 이상 늘린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21일 지마켓은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지마켓은 내년에만 약 7천억원에 달하는 적극적인 비용 집행을 통해 셀러들이 가장 신뢰하는 플랫폼을 만들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적극적 사업 확장을 해 나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지마켓 새 수장인 제임스 장(한국명 장승환) 대표는 “지마켓이 다시 한번 국내 1등 오픈마켓으로 올라서기 위해 '국내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확장'이라는 두 축의 중장기 전략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장 대표는 국내와 해외 시장을 이을 수 있는 플랫폼 구현 의지를 'G-Market=글로벌-로컬 마켓'이란 캐치프레이즈로 표현했다. '글로벌-로컬 마켓' 전략 실현을 위해 지마켓은 초기 비용으로 연 7천억원을 투입한다. 셀러들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연간 5천억원을 투여한다. 고객들이 '달라진 G마켓'을 즉시 체감할 수 있도록 고객 대상 기획전에는 연 1천억원을 쓴다. 그리고 이커머스의 미래를 좌우할 AI 활용을 위해 연간 1천억원씩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거래액을 지금보다 100% 이상 늘려 대한민국 대표 오픈마켓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이다. 적극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셀러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독보적인 상생 플랫폼을 만들고 셀러들의 우수한 상품을 국내와 해외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것. 여기에 AI 기술을 활용해 '나를 가장 잘 아는' 쇼핑몰로 거듭나는 것이 지마켓이 미래 성장과 고객 만족 극대화를 위해 가고자 하는 길이다. 셀러 할인 판촉비 부담&쿠폰 수수료 걱정 덜고 신규 셀러 육성비는 50% 늘려 지마켓이 셀러 지원을 위해 1년에 쓰기로 한 5천억원은 기존 셀러들의 부담은 줄이고 신규 셀러들의 성장을 돕는 데 들어간다. 우선 기존 입점 셀러의 판촉 지원 및 매출 확대를 위한 직접 지원 프로그램에 3천500억원이 쓰인다. 지마켓은 빅스마일데이처럼 모든 셀러가 참여할 수 있는 대형 프로모션을 진행할 때 들어가는 고객 할인 비용을 100% 부담하기로 했다. 여기에 할인쿠폰에 붙던 별도 수수료도 폐지해 연간 500억에 달하던 셀러 부담금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 또 신규 셀러와 중소 영세 셀러 육성을 위한 정책에는 기존보다 50% 늘어난 연간 200억원 이상을 투입한다. 신규 셀러의 빠른 정착을 위해 일정 기간 수수료를 받지 않는 제로(0) 수수료 제도도 조만간 도입한다. 중소 셀러와의 체계적인 협업을 위해 인력 인프라도 확충하기로 했다. 입점 지원 및 맞춤형 카운슬링을 해줄 100여 명 전문 인력을 채용하는 게 대표적이다. 미디어데이에 하루 앞선 20일 지마켓은 입점 셀러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오프라인 컨퍼런스를 열어 구체적인 판매 지원책과 변경되는 판매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전 세계로 판로 확장⋯역직구 年 거래액 5년내 1조원 이상으로 지마켓의 미래 비전을 실현할 또 하나의 축은 해외 시장 확대다. 이는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차별화를 이룰 핵심 경쟁력이 될 수 있다. 해외 판매 증대를 위한 기반은 지마켓이 속한 신세계그룹과 알리바바 인터내셔널이 손잡은 조인트벤처(JV)에 있다. JV가 지난달 공정위로부터 승인을 받은 걸 기점으로 지마켓의 해외 시장 공략은 이미 시작됐다. 지마켓은 현재 알리바바 계열 동남아 지역 플랫폼인 라자다를 통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5개국에서 상품을 판매 중이다. 최근에는 K뷰티 상품을 중심으로 첫 할인 행사를 열기도 했다. 라자다는 동남아 전역에 걸쳐 약 1.6억명에 달하는 소비자를 보유한 초대형 플랫폼이다. 지마켓은 총 2천만개에 달하는 우수 상품을 공급 중이다. 지마켓은 동남아에 이어 세계 각지로 판로를 늘려가고자 한다. 두 번째 진출 지역은 남아시아 지역과 스페인, 포르투갈 등 남유럽이다. 이어 2027년까지 북미, 중남미, 중동 등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K뷰티, K패션, K푸드 등 한국산 상품과 K팝과 K애니메이션, K드라마 등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진다는 점에서 '온라인 수출 창구'로서 지마켓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셀러들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들의 경쟁력도 키우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동안 중소기업과 개인 셀러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는 온라인 수출 플랫폼이 부족했단 점도 지마켓에 거는 기대를 높인다. 역직구 확대를 통해 지마켓은 5년내 1조원 이상 연간 거래액(GMV)을 달성하고 수 억 명에 달하는 신규 고객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1천억원 추가 투자, 기획전 늘리고 상품 다각화 지마켓은 마케팅에도 연간 1천억원 이상을 추가 투입해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혜택도 늘린다. 특히 빅스마일데이, 한가위빅세일, 설빅세일, G락페 등 4대 이벤트를 중심으로, 적극적 투자를 통해 고객이 고대하는 할인 행사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지마켓은 조만간 진행 예정인 빅스마일데이부터 고객 지원 규모를 지난해보다 50% 이상 늘린다.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온라인 할인 행사로 자리잡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지마켓은 오픈마켓의 특장점인 다양한 상품 구성도 한층 힘을 쏟기로 했다. 온라인 판매에 미온적이었던 인기 브랜드들을 새로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JBP(Joint Business Plan) 체결에 나서는 게 대표적이다. 이미 지마켓은 올해에만 1000여 개에 달하는 브랜드사와 JBP를 체결했다. 지마켓은 알리바바가 보유한 글로벌 유통망과 직소싱 시스템도 활용해 새로운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접하기 힘든 유럽 등 글로벌 브랜드를 중심으로 약 100만개(SKU) 상품을 확보하고자 한다. 적극적인 셀러 지원에 글로벌 협업까지 더해 지마켓은 국내 어떤 오픈마켓보다 다양한 상품을 살 수 있는 쇼핑몰로 거듭나고자 한다. '내가 찾는 모든 상품 지마켓에 다 있다'는 확실한 인식을 심어주겠다는 것이다. 지마켓은 이마트와 협력을 통한 신선/마트 장보기 서비스도 더 고도화한다. 이마트 매장과 연계한 새벽배송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고,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는 O2O 기반의 퀵배송 서비스도 도입한다. AI 통한 초개인화 플랫폼 구축에 연 1천억원 투입 지마켓의 새 전략 실현을 위해 눈길 가는 것 중 하나는 AI 활용에 1년에 1천억원을 쏟아 붓겠다는 것이다. 이 투자는 주로 알리바바가 축적한 우수한 AI 기술 노하우를 활용하는 데 쓰인다. 먼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보다 정밀하게 상품을 추천할 예정이다. 고객의 달라진 행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에 적합한 결과값을 도출해 개개인별 맞춤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지마켓은 내년부터 '멀티모달 검색' 강화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멀티모달은 단순한 텍스트 외에 느낌이나 감각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해 고객의 의도를 식별하고 다양한 형태의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고객이 '부드러운 소재의 러닝화'를 검색하면, '부드러움', '소재'와 같은 요소를 이미지로 판독해 적합한 상품을 보여줘 고객의 관심을 높인다. 셀러의 판촉을 돕는 수단인 광고에서도 AI를 활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품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딱 맞는 고객에게 추천하고 이를 관리하는 운영 전반을 자동화함으로써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지마켓 장 대표는 “올해 말까지 플랫폼 체력 회복과 기본적인 체질 개선을 완료하고, 재도약을 위한 준비를 마칠 것”이라며 “세계 시장을 무대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셀러와의 상생을 강화해 최고의 고객 만족을 주는 혁신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2025.10.21 11:30안희정

노브랜드 버거, '어메이징 감바스 버거' 출시 한 달 만에 20만개 팔려

신세계푸드가 운영하는 노브랜드 버거는 신메뉴 'NBB 어메이징 감바스 버거'가 일 평균 7천개 가량 팔리며 출시 한 달 만에 누적 판매량 20만개를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새우를 활용한 스페인 요리인 '감바스 알 아히요'를 버거로 재해석해 선보인 가을 시즌 한정 신메뉴로 'NBB 어메이징 감바스 새우'와 'NBB 어메이징 감바스 베이컨' 2종이다. 판매량은 올해 선보인 노브랜드 버거 메뉴 가운데 어메이징 더블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이에 노브랜드 버거는 'NBB 어메이징 감바스 새우' 판매 기간을 다음 달 27일까지 1달간 연장하기로 했다. 신세계푸드는 “노브랜드 버거가 선보인 'NBB 어메이징 감바스 버거'는 제철 식재료인 새우를 버거에서도 만날 수 있도록 감바스를 재해석해 고객 호응이 높다”며 “노브랜드 버거는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신메뉴를 지속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10.21 09:50김민아

푸르트 어트랙션 2025, 역대급 규모로 세계적 리더십 강화...무역 전문가 121137명 참가

마드리드, 2025년 10월 20일 /PRNewswire/ -- IFEMA 마드리드(IFEMA MADRID)와 스페인수출업자연합(FEPEX)이 공동 주최한 '푸르트 어트랙션 2025(Fruit Attraction 2025)'이 제17회를 맞아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하며 폐막했다. 이번 박람회에는 152개국에서 12만 1137명의 업계 관계자가 방문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참가자 수 3%, 국제 참가 비율 5% 증가한 수치다. Fruit Attraction 2025 전체 참가자 중 49%가 해외 방문객이었으며, 2024년 대비 7% 상승해 박람회의 글로벌 위상과 전문성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입증했다. 스페인 내에서는 안달루시아, 발렌시아, 무르시아, 카탈루냐 지역이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해외에서는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을 비롯해 페루, 칠레,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도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했다. 올해 박람회는 규모 면에서도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64개국에서 2485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전시 면적은 78212㎡(순면적)로, 2024년 대비 전시 면적 11%, 참가업체 수 13%가 각각 증가했다. 또한 이번 박람회는 국제 판로 확대 및 글로벌 홍보의 장으로서 역할을 강화했다. 스페인 농업•어업•식품부(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스페인무역투자청(ICEX), FEPEX이 공동으로 운영한 '국제 바이어 프로그램(International Buyers Programme)'을 통해 58개국에서 주요 바이어, 유통 구매담당자, 수입업자, 도매상 등 600명이 마드리드를 찾았다. 올해의 '초청 수입국(Guest Importing Countries)'으로는 말레이시아와 멕시코가 선정돼 주목을 받았다. 기술 세션과 콘퍼런스 프로그램도 성황리에 진행됐다. '#alimentosdespaña가 주관한 Factoría Chef'와 함께 열린 총 95개 세션에는 3200명 이상이 참석해 혁신, 지속가능성, 물류, 과일•채소 기술 등 주요 산업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토마토'가 올해의 스타 품목(Star Product)으로 선정됐다. 토마토는 스페인 원예 산업의 상징적인 작물로, 요리•영양학•문화적 가치뿐 아니라 지속가능성과 품질 우수성의 상징으로 인정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푸르트 어트랙션 2025'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다양한 업계 회의와 포럼을 개최했다. 그중 하나인 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포르투갈 4개국 공동 과일•채소위원회(Joint Fruit and Vegetable Committee) 회의에는 각국의 생산자, 유통업 협회 대표,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회의는 스페인에서 4년마다 열리는 정례 회의로, 올해는 토마토, 딸기, 마늘, 복숭아•넥타린, 사과•배, 감귤, 포도, 간편식 제품, 식물보호제품 등 2025년 품목별 협의그룹(Product Contact Groups)에서 도출된 결과와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차기 공동농업정책(CAP, Common Agricultural Policy)에 대한 제안을 논의했다. 혁신 부문과 관련해, 이노베이션 허브 어워즈(Innovation Hub Awards)는 총 50개의 출품작과 9개의 최종 후보 중에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제품과 서비스를 선정했다. 신선 농산물(Fresh Produce) 부문에서는 IRTA(Institut de Recerca i Tecnologia Agroalimentàries)가 수상했으며, 과일•채소 산업(F&V Industry) 부문에서는 에덴코어(Edencore)가, 지속가능성 및 사회적 헌신(Sustainability and Commitment Actions) 부문에서는 팔렛 슈어(Pallet Sure)가 각각 수상했다. 또한 프루트 어트랙션 2025에서는 WAH와 협력해 베스트 스탠드 어워즈(Best Stand Awards)도 시상했다. 이 상은 혁신, 디자인, 지속가능성, 독창성에서 두각을 나타낸 참가업체를 선정해 수여된다. 바이와 글로벌 프로듀스(BayWa Global Produce)는 지속가능성 부문에서 수상했으며, 폰테스타드(Fontestad)는 최우수 디자인상을, BCC-그루포 카하마르(BCC - Grupo Cajamar)는 가장 독창적인 전시 공간상(Most Original Stand Space)을 각각 수상했다. 마지막으로, 6000표 이상의 투표로 선정된 피플스 초이스(People's Choice) 부문에서는 모구에르 쿠나 데 플라테로(Moguer Cuna de Platero)가 신선 농산물 부문에서, 비가닉(Veganic)이 보조 산업 부문에서, 온타임 코퍼레이트 유니언(Ontime Corporate Union)이 신선식품 물류 부문에서, 히스파텍 아그로인텔리헨시아(Hispatec Agrointeligencia)가 혁신 및 기술 부문에서 각각 수상했다. 제15회 APAE 저널리즘 어워즈(XV APAE Journalism Awards)와 푸르트 어트랙션 저널리즘 어워드(Fruit Attraction Journalism Award)도 함께 수여됐다. 올해의 수상자는 프랑스 매체 프룩티도르(Fructidor)가 선정됐다 이번 푸르트 어트랙션 2025의 개최로 마드리드 지역에 약 4억700만 유로의 경제 효과가 발생했으며, 3066개의 일자리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통해 푸르트 어트랙션과 IFEMA 마드리드(IFEMA MADRID)는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의 핵심 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IFEMA MADRID와 FEPEX가 주최하는 다음 '푸르트 어트랙션 2026'은 2026년 10월 6일부터 8일까지 마드리드 국제전시장(IFEMA)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추가 정보: https://www.ifema.es/en/fruit-attraction 푸르트 어트랙션 연락처:엘레나 발레라(Elena Valera)evalera@ifema.es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97287/Fruit_Attraction_2025.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778519/5564817/Fruit_Attraction_Logo.jpg?p=medium600

2025.10.20 19:10글로벌뉴스

SKT, 유엔 인권기구와 '책임 있는 AI' 논의

SK텔레콤은 자사의 AI 거버넌스 체계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 소개하고, 책임 있는 AI 구현과 디지털 거버넌스에서 인권의 핵심적 역할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차호범 SK텔레콤 최고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는 최근 을지로 SK텔레콤 본사를 방문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팀 엥겔하르트 인권담당관 등에게 2024년 자체 수립한 AI 거버넌스 기본 원칙 'T.H.E. AI'와 최근 공식 오픈한 'AI 거버넌스 포털' 등 지속가능한 AI 생태계 조성을 선도하는 SK텔레콤의 행보를 자세히 소개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SK텔레콤가 자체 수립한 AI 거버넌스 원칙을 기반으로 AI 서비스 전 생애주기에 걸쳐 위험을 식별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또 인권 존중을 기반으로 한 AI 개발·활용 방안을 기업과 논의하는 기회를 가진 점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했다. SK텔레콤는 T.H.E. AI를 바탕으로 AI 행동 규범을 구체화해 사규에 반영하고 전 구성원이 실천 서약에 동참하는 등 조직 내 AI 거버넌스를 체계적으로 정착시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정재헌 대외협력담당(CGO) 직속 AI 거버넌스 전담팀을 신설하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5에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유럽통신사업자협회(커넥트유럽)·도이치텔레콤 등 여러 해외 기관 및 사업자에 자사의 AI 거버넌스를 소개하고 협력을 논의하는 등 AI 거버넌스 확산에 힘쓰고 있다. 'AI 거버넌스 포털'은 SK텔레콤의 AI 거버넌스 원칙을 기준으로 AI 서비스의 위험과 기회 요인을 분석하고 위험 수준별 체크리스트 준수 여부를 진단 및 평가하는 사내 서비스다. 진단과 평가는 기획·개발·테스트 등 서비스 출시 전 단계부터 출시 후 운영·장애 관리·개선 등 서비스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결과물은 추적 관리가 용이하도록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된다. SK텔레콤는 다양한 글로벌 기관·기업과 AI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향후 적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차 CPO는 “인류와 AI가 공존하는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견고한 AI 거버넌스 체계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며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UNGPs) 등에 부합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글로벌 기관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10.19 10:03진성우

화웨이, AI 중심 아키텍처 기반 업그레이드된 AI WAN 솔루션 공개....통신사 성장 가속화 기대

파리, 2025년 10월 19일 /PRNewswire/ -- Net5.5G 인텔리전트 IP 네트워크 서밋(Net5.5G Intelligent IP Network Summit)이 '모든 지능화를 위한 Net5.5G, 함께 성장하다(Thrive with Net5.5G for All Intelligence)'를 주제로 10월 14일 파리에서 열린 UBBF 2025 기간 중 개최됐다. 화웨이(Huawei)는 이 자리에서 AI 중심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완전히 업그레이드된 AI WAN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솔루션은 경험 인식, 컴퓨팅-네트워크 한계, 보안 복원력, 운영•유지보수(O&M) 모델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통신사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Leon Wang, President of Huawei's Data Communication Product Line, delivering a speech 레온왕(Leon Wang) 화웨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제품군 사장은 'AI 중심 싱허 지능형 네트워크: 통신사의 새로운 성장 촉진(AI-Centric Xinghe Intelligent Network: Boosting New Growth for Carriers)이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왕 사장은 화웨이의 AI WAN 솔루션이 포괄적인 AI 중심 업그레이드를 거쳤다고 밝히면서, 이 솔루션이 AI 중심 디바이스, AI 중심 연결, AI 중심 두뇌로 구성된 3계층 아키텍처를 통해 Net5.5G 시대의 IP 기반 전송망(IP Bearer Network)을 새롭게 정의하고, 통신사의 Net5.5G R2 AI UBB 단계로의 전환을 가속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체된 홈 브로드밴드(Home Broadband) 성장과 요금제 동질화 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웨이 AI WAN 솔루션은 싱뤄(Xingluo) 식별 및 프로파일링 엔진을 통합해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수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통신사는 차별화된 서비스 요금제 설계가 가능하며, 다차원 프로파일링을 활용해 잠재 고객 식별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급증하는 기업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화웨이의 AI WAN 솔루션은 차이나 텔레콤 상하이(China Telecom Shanghai)의 '지능형 컴퓨팅 전용 회선' 출시를 지원해 기존 네트워크의 성능 병목 문제를 해결했다. 솔루션에 적용된 '싱뤄 무손실 알고리즘'은 정확한 플로 수준 혼잡 제어를 보장하며, 벡터 변환 엔진을 통해 데이터를 보호한다. 또한 엣지-클라우드 협업 훈련(Edge-Cloud Collaborative Training)을 지원함으로써, 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을 10배 이상 향상시키고 2년 이내 투자수익률(ROI)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점점 복잡해지는 네트워크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화웨이의 AI WAN 솔루션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구성 전반에서 보안 복원력을 강화했다. 이 솔루션은 세션 수준의 장애 격리와 양자내성 암호화를 지원하며, 온라인 구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만 대의 장비를 10분 이내에 검증해 인적 오류를 제거한다. 이러한 다차원 보안 프레임워크는 강화된 복원력으로 고객 서비스를 보호한다. 네트워크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 O&M 모델은 막대한 부담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화웨이의 넷마스터(NetMaster) 시스템은 365일 24시간 네트워크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수동적 대응에서 능동적 O&M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장애 처리 측면에서, 차이나 모바일 광둥(China Mobile Guangdong)은 30만 건 규모의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진단 소요 시간을 45분에서 5분으로 단축했다. 위험 식별의 경우, 스페인 마스오렌지(MasOrange Spain)가 화웨이의 AI WAN 솔루션을 기반으로 구축된 L4 수준 IP 자율주행 네트워크(L4 IP Autonomous Driving Network)를 도입해 평균 복구 시간(MTTR)을 단축하고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했다. 이번 서밋은 Net5.5G 파이오니어 어워드(Net5.5G Pioneer Award) 시상식으로 마무리됐으며, 전 세계 10여 개 통신사 수상자를 선정해 Net5.5G의 글로벌 상용화 추진을 가속하는 계기가 됐다.

2025.10.19 02:10글로벌뉴스

제2회 마나르 아부다비 출품 작가 명단 공개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5년 10월 19일 /PRNewswire/ -- 아부다비 문화관광부(DCT Abu Dhabi)가 주최하는 마나르 아부다비(Manar Abu Dhabi)는 아부다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조명하면서 창의성을 고취하기 위해 기획된 옥외 조명예술 전시회이다. 제2회 마나르 아부다비에서는 10개 국가에서 온 아랍에미리트 및 국제 미술작가와 미술작가 팀(총 15개 팀)이 설치 공간에 맞춰 제작한 조명 조형물, 프로젝션, 몰입형 설치미술 작품을 비롯해 총 23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Iregular, CONTROL NO CONTROL, 2012. Photo courtesy of Iregular '빛의 나침반(The Light Compass)'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길잡이이자 매개체라는 빛의 두 가지 역할을 탐구해 빛의 기능적인 면과 감성적인 면을 아우른 현대 미술 작품을 선보인다. 카이 호리(Khai Hori) 예술감독이 총괄 기획을 맡고, 큐레이터 알리아 잘 루타(Alia Zaal Lootah)와 무니라 알 사예그(Munira Al Sayegh), 그리고 보조 큐레이터 마리암 알셰히(Mariam Alshehhi)가 공동 기획을 맡은 2025년 마나르 아부다비는 네 개의 장소 즉, 기존의 전시 장소 두 곳(주바일 섬(Jubail Island), 수크 알 미나(Souq Al Mina))과 이번에 새로 추가된 장소 두 곳(알 카타라 오아시스(Al Qattara Oases)와 알 지미 오아시스(Al Jimi Oases))를 따라 특별히 산책로가 조성된 알 아인(Al Ain)를 무대로 삼아 개최된다. 2025년 마나르 아부다비는 알아인에서 2025년 11월 1일부터 2026년 1월 4일까지, 아부다비에서 2025년 11월 15일부터 2026년 1월 4일까지 진행된다. 주바일 섬 2025년 마나르 아부다비의 구심점은 주바일 섬이다. 자연경관과 독특한 생물 다양성으로 유명한 이곳을 찾은 관람객은 맹그로브 숲을 관통해 조성된 넓은 산책로를 걸으며 15점의 설치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에덴(EDEN)(2025년 작)은 말레이시아 미술작가 파멜라 포(Pamela Poh)(1991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출생)가 야간에 불이 켜지는 유리 구체를 철제 구조물에 매달아 제작한 대형 옥외 설치미술 작품이다. 멀티미디어 스튜디오 드리프트(DRIFT)(2007년 네덜란드에 창립)가 관람객의 생체 데이터를 사용해 일시적으로 피고 지는 독특한 꽃과 음향 효과를 연출하는 만개(UNFOLD)(2025년 작)와 아주 미세한 공기 흐름과 움직임에도 반응해 출렁이는 듯한 빛의 바다를 연출하는 속삭임(WHISPERS)(2025년 작)을 돔형 구조물 안에 전시하고, 거기에 더해 변화의 바람(WIND OF CHANGE)(2025년 작)이라는 매혹적인 드론 공연도 펼쳐진다. 아랍에미리트 조각가 샤이카 알 마즈루(Shaikha Al Mazrou)(1988년 샤르자 출생, 두바이 거주 및 활동)의 우연적 존재(CONTINGENT OBJECT)(2025년 작)는 대지미술과 설치미술을 접목해 시간이 흐르면서 물이 원형 소금 결정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은 30m 크기의 멋진 작품이다. 몬트리올에 있는 디지털 아트 스튜디오인 이레귤러(Iregular)(2010년 캐나다 몬트리올에 창립)는 인공지능, 센서, 그리고 데이터 시각화 기술을 활용한 폭포수가 떨어질 때(AS WATER FALLS)(2022년 작), 얼굴들(FACES)(2022년 작), 통제불능 통제(CONTROL NO CONTROL)(2012년 작), 운수(FORTUNES)(2024년 작)라는 네 가지 인터랙티브 설치미술 작품을 전시해 주바일 섬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주바일 섬에 작품을 전시한 다른 미술작가로는 에세키엘 피니(Ezequiel Pini)(일명 6&5(Six N. Five))(1985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생으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거주 및 활동), 크리스티안 브링크만(Christian Brinkmann)(1989년생으로 독일 함부르크에 거주 및 활동), 커스틴 베르그(Kirsten Berg)(196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출생), 앙코르 스튜디오(Encor Studio)(2016년 스위스에 창립), 라클란 터전(Lachlan Turczan)(199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출생) 등이 있다. 아부다비 문화관광부는 올해 처음으로 알아인에도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조명을 활용한 설치미술 작품으로 알 카타라 오아시스와 알 지미 오아시스에 산책로를 조성했다. 알 카타라 오아시스 산책로에는 오아시스의 풍경과 고대 건축물에 반응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설치미술 작품이 전시된다. 제1회 마나르 아부다비에 출품했던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1971년 멕시코시티 출생으로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을 오가며 거주 및 활동)가 두 점의 작품을 전시한다. 번역의 흐름(TRANSLATION STREAM)(2023년 작)은 아랍에미리트 출신의 현대 시인 누줌 알가님(Nujoom Alghanem), 칼리드 알부두르(Khalid Albudoor), 아델 코잠(Adel Khozam)의 시를 느리게 흘러내리는 글자로 연출한 작품이다. 박동하는 지붕(PULSE CANOPY)(2025년 작)은 관람객이 센서 아래에 손을 얹으면 공중에 떠 있는 지붕 형태의 빛들이 관람객의 심장 박동에 맞춰 반응하는 작품이다. 고대 건축물 안에 70미터가 넘는 길이로 설치된 사두 레드 카펫(SADU RED CARPET)은 아랍에미리트 설계사 칼리드 샤파르(Khalid Shafar)(1980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출생)가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랍에미리트의 전통 직조 기술인 사두를 재해석한 대형 설치미술 작품이다. 알 지미 오아시스 산책로 야자수가 지붕 모양으로 울창하게 우거진 알 지미 오아시스 산책로는 관람객이 오아시스를 거닐면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예술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옥외 전시장이다. 유서 깊은 주택의 안뜰에 전시된 원의 순환(CYCLE OF CIRCLES)(2025년 작)은 암마르 알 아타르(Ammar Al Attar)(1981년 아랍에미리트 아지만 출생)가 자전거를 타고 원형 경로를 이동하면서 촬영한 다섯 장의 사진으로 구성된 자화상 시리즈이다. 아랍에미리트 미술작가 마이타 함단(Maitha Hamdan)(1989년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출생)은 오아시스 환경에서 영감을 얻어 두 개의 조명 설치물로 이뤄진 같은 장소의 숨결(BREATH OF THE SAME PLACE)(2025년 작)을 제작했다. 두바이에 거주하는 아랍에미리트 건축가 압둘라 알 물라(Abdulla Al Mulla)(1990년 아랍에미리트 출생)는 아랍에미리트의 결혼식 무렵 신부의 집에 설치되는 빛나는 장식물에서 영감을 얻어 완성한 건축 설치미술 작품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휘장(GUIDING DRAPES)(2025년 작)을 전시한다. 크리스티안 브링크만(Christian Brinkmann)(1989년 독일 함부르크 출생)의 꽃의 공명(FLORAL RESONANCE)(2024년 작)은 관람객이 설치미술 작품 중앙에 배치된 살아있는 식물에 손을 대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디지털 시각 효과와 음향 효과를 연출하는 시청각적 인터랙티브 설치미술 작품이다. 수크 알 미나 카우스(KAWS)(1974년 미국 저지시티 출생)가 오랜 파트너인 올라이츠리저브드(AllRightsReserved)와 손잡고 자예드 항구(Mina Zayed)의 스카이라인을 무대로 삼아 컴패니언(COMPANION)이 드러누운 채 손으로 빛나는 달을 지탱하는 모습을 조명으로 표현한 카우스: 아부다비의 휴일(KAWS: HOLIDAY Abu Dhabi)을 전시한다. 마나르 아부다비 소개 아부다비 문화관광부가 주최하는 마나르 아부다비는 창의성을 고취하고, 아부다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조명하는 공공 조명예술 전시회이다. 아부다비 문화관광부 소개 아부다비 문화관광부(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 Abu Dhabi, 이하 'DCT 아부다비')는 아부다비의 문화, 관광, 창조 산업 분야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면서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아부다비가 폭넓은 글로벌 야망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DCT 아부다비는 아부다비를 세계적인 주요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부다비가 가진 잠재력에 대한 공동 비전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통합하고, 노력과 투자를 조율하며,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문화•관광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최상의 도구•정책•시스템을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DCT 아부다비의 비전은 아부다비의 사람, 유산, 풍경에 의해 정의된다. DCT 아부다비는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면서 독보적인 경험을 선사하는 도시로 아부다비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대의 전통, 선구적인 이니셔티브, 창의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dct.gov.ae와 visitabudhabi.ae/를 방문하면 아부다비 문화관광부와 아부다비 관광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99124/DCT_Abu_Dhabi.jpg?p=medium600

2025.10.19 02:10글로벌뉴스

고성능 전기 슈퍼바이크 주목…"출력 대 중량비 최고"

스페인 전기 오토바이 제조사 '스타크 퓨처(Stark Future)'가 새로운 도로 주행용 전기 슈퍼바이크 '바그 SM(VARG SM)'을 공개했다고 일렉트렉, 뉴아틀라스 등 외신들이 최근 보도했다. 이 바이크는 오프로드가 아닌 처음부터 아스팔트 주행에 맞춰 설계된 전기 슈퍼모토로, 더 정밀한 지오메트리, 향상된 서스펜션, 최대 80마력에 달하는 강력한 출력을 자랑한다. 무게는 124.5kg에 불과해 출력 대 중량비는 0.479kW/kg으로, 전 세계 양산형 슈퍼모토 중 가장 높다. 카본 파이버 슬리브 모터와 인버터를 통합해 강력한 914Nm 후륜 토크를 생성한다. 또 동력을 공급하는 7.2kWh 벌집 구조 마그네슘 배터리를 탑재해 섀시 강성을 높였다. 충전 시간은 3.3kW 휴대용 충전기를 통해 약 2시간이 걸린다. 타이어는 기본, 고성능, 우천시, 극한 날씨 등에 따라 4개 옵션을 제공한다. 도심 주행 시 183㎞, 교외 주행 시 118㎞, 세계 이륜자동차 시험주기 표준(WMTC) 조건에서 약 81km의 주행 거리를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스타크는 이 모델이 자사 바이크 중 가장 깔끔한 조종석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내부 배선, CNC 알루미늄 맵 스위치, 방수 및 충격 방지 기능을 갖춘 안드로이드 기반 안켄스톤 디스플레이 덕분이다. 내비게이션, 주행 모드 선택, 주행 데이터 분석 등의 기능을 화면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가격은 최대 출력 60마력 스탠다드 모델이 1만2천900달러(약 1천800만원), 80마력 알파 모델이 1만3천900달러(약 1천900만원)다.

2025.10.17 14:03이정현

효성重 '유럽 R&D 센터' 개소…친환경 전력기술 개발 가속

효성중공업이 유럽 R&D 센터를 열며 친환경 전력기술과 차세대 그리드 솔루션 개발에 속도를 낸다. 효성중공업은 15일 네덜란드 아른험 지역에 유럽 R&D 센터를 오픈하고 현지에서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유럽 R&D 센터는 미래 전력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첫 글로벌 연구거점이다. 전력시장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급격한 확장으로 전력 인프라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유럽은 친환경·재생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글로벌 전력 시장의 중심지로, 높은 기술 기준과 엄격한 환경 규제를 바탕으로 미래형 전력 인프라와 디지털 전력망 혁신이 활발하다. 신설 연구소는 유럽에서 육불화황(SF₆) 규제가 본격화되는 흐름에 대응해 SF₆-프리 가스절연개폐장치(GIS) 개발에 집중한다. 향후에는 초고압직류송전(HVDC) 등으로 연구 범위를 넓혀 친환경 전력기술과 통합 그리드 솔루션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아른험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설비 시험·인증기관인 케마(KEMA)가 위치한 지역이다. 효성중공업은 시험 데이터를 신속히 확보해 제품 개발에 즉시 반영하는 '선순환 R&D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조현준 회장은 평소 “효성의 DNA는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강조해 왔다. 그는 “이번 R&D 센터를 계기로 네덜란드를 비롯한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전력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고, 효성의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개소식에는 우태희 효성중공업 대표, 홍석인 주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 네덜란드 기후정책·녹색성장부 관계자, 영국·프랑스·독일·스페인 및 북유럽 주요 전력회사와 연구기관·학계 인사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2025.10.17 13:29류은주

투모로우.빌딩, 주택난 해결을 목표로 스마트 시티 건립 기반 마련

바르셀로나, 스페인 , 2025년 10월 16일 /PRNewswire/ -- 건축 환경 혁신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국제 행사이자 올해로 3회째를 맞은 투모로우.빌딩 월드 콩그레스(Tomorrow.Building World Congress)가 2025년 11월 4일부터 6일까지 바르셀로나 그란비아 전시장(Gran Via venue)에서 열린다. 이 행사에서는 전 세계 100여 명의 전문가가 모여, 많은 국가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인 주택난 해결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면서 회복력, 탈탄소화, 기술 중심의 미래 지향적인 도시 개발 방안을 모색한다. Vistors experience new technologies at Tomorrow.Building World Congress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가 주최하고 '더 나은 건설(Build Better)'이라는 테마로 진행되는 이 행사에서는 건설 및 도시 계획 분야의 가장 중요한 현안에 초점을 맞춘 종합 컨퍼런스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행사에서 다루게 될 주요 주제로는 설계 기술, 혁신적인 디지털 건축 기술, 개보수, 탈탄소화 건축, 주택, 회복력 중심의 도시 계획, 프롭테크(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 도시 재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주제가 선정된 이유는 기후 변화, 급격한 도시화, 그리고 주택난에 직면한 상황이라 첨단 기술 중심의 환경친화적인 해결책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올해의 투모로우.빌딩 월드 콩그레스에서는 리얼 에스테이트 오브 더 퓨처(Real Estate of the Future) 창립자이자 최고혁신책임자 니키 그린버그(Nikki Greenberg), 건축가이자 MIT 센서블 시티 랩(MIT Senseable City Lab) 소장 카를로 라티(Carlo Ratti), 독일 연방 주택•도시개발•건설부(German Federal Ministry of Housing, Urban Development and Building) 산하의 스마트 시티 및 지역 사업부 책임자 레나테 미터후버(Renate Mitterhuber), 바르셀로나 시의회 수석 건축가 마리아 부히가스(Maria Buhigas), 저명한 주택 및 도시 문제 자문가 오르나 로젠펠트(Orna Rosenfeld) 박사, 그리고 헨리크 F. 오벨 재단(Henrik F. Obel Foundation)의 수석 자문가이자 프리츠커 건축상(Pritzker Architecture Prize) 전 상임이사 마르타 손(Martha Thorne) 등이 발표자로 나선다. 이번 행사에서는 건설 및 건축 분야를 혁신하는 데 주력해 온 다국적 기업이 대거 출품하는 전시 공간도 따로 마련될 예정이다. 출품이 확정된 기업으로는 오비츠 공학 회사(ORBITS Engineering Firm), SPIE, 제이콥스(Jacobs), 벤틀리 시스템즈(Bentley Systems), RIPC, 보텍스 인터내셔널(VORTEX International) 등이 있다. 도시 경관 개편 이 행사는 도시 및 스마트 시티 솔루션 분야의 대표적인 무역 박람회이자 회의인 스마트 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 혁신적인 친환경 도시 교통 계획의 설계와 채택을 장려하는 국제 행사인 투모로우.모빌리티 월드 콩그레스(Tomorrow.Mobility World Congress),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해양 자원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투모로우.블루 이코노미(Tomorrow.Blue Economy), 그리고 바르셀로나 액티바(Barcelona Activa)가 주최하고 과학기술 창업과 대학 분사 기업(University Spin-offs)에 중점을 두는 제4회 딥 테크 서밋(Deep Tech Summit)과 함께 열린다. 이번 행사에는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전시회에 출품하고, 850여 개 도시의 대표, 600명 이상의 국제 전문가, 그리고 2만 5000명 이상의 관계자가 자리를 빛내줄 것으로 보인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797193/Visitors_Experience_Congress.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659718/Fira_Barcelona_Logo.jpg?p=medium600

2025.10.17 11:10글로벌뉴스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 통신망 구축을 넘어 번영하는 미래 구상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10월 16일 /PRNewswire/ -- 다가오는 11월에 피라 데 바르셀로나(Fira de Barcelona)가 카타르 정보통신기술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와 협력하여 기획한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Smart City Expo Doha)가 도하 MWC25(MWC25 Doha)와 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스마트 시티를 주제로 한 세계적인 행사인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가 도시 환경의 미래에 관한 계획을 알리고자 중동으로 돌아온다. Smart City Doha will take place from November 25 to November 26. '통신망 구축을 넘어: 첨단 기술 중심의 번영하는 미래로 가는 지름길인 디지털 솔루션(Beyond Connectivity: A digital solutions pathway to a smarter, thriving future)'이라는 슬로건 아래, 제4회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가 11월 25일과 26일에 열리는데, 5가지 주제(혁신적인 디지털 스마트 기술, 파격적인 기술, 미래의 디지털 경제와 인재, 커넥티드 인프라(Connected Infrastructure), 미래의 정부)를 중심으로 기획하고 40명 이상의 유명 인사가 발표자로 나서는 종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올해의 스마트 시티 엑스포는 GSMA와 MCIT가 공동 주최하는 MWC25 도하와 동시에 진행된다. 중동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이번 MWC 행사에서는 200명 이상의 유력 인사가 연단에 오르고 150개 이상의 기업이 제품을 전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타르 정보통신기술부 디지털 혁신국 국장 에만 알쿠와리(Eman Al-Kuwari) 여사는 다음과 같이 소감을 전했다. "카타르가 친환경 스마트 시티 전환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하 MWC25와 동시에 도하 스마트 시티 엑스포를 개최하는 기념비적인 순간을 맞게 되어 매우 뿌듯하다. 이번 행사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최첨단 솔루션을 선보이며, 혁신과 기술을 통해 도시 생활의 미래를 모색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 구실을 한다. 카타르는 디지털 아젠다 2030(Digital Agenda 2030)을 길잡이 삼아 기술, 의사결정 체계, 창의성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진일보한 생태계를 구축하여 더욱 스마트하고 긴밀하게 연결된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다. 카타르는 피라 데 바르셀로나와의 제휴를 통해 디지털 혁신이 단순히 통신망 구축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닌, 포용적이고 효율적이며 미래에 대비한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는 것임을 꾸준히 입증하고 있다. 피라 데 바르셀로나의 국제 사업 담당 이사 리카르드 사파테로(Ricard Zapatero)는 "스마트 시티 엑스포가 도시의 미래를 반추할 수 있는 중요한 국제 행사로 자리매김했는데, 이번 도하 엑스포는 중동 지역의 스마트 시티 개발과 관련한 의미심장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또 다른 사례"라고 평가했다. 스마트 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Smart City Expo World Congress)는 스마트 시티를 주제로 매년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행사이다. 올해 11월에 피라 데 바르셀로나 그란비아 전시장(Gran Via venue)에서 열리는 스마트 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에는 1000개 이상의 기업 관계자와 600명의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https://www.smartcityexpodoha.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797239/Fira_de_Barcelona_Smart_City_Doha.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659718/5564726/Fira_Barcelona_Logo.jpg?p=medium600

2025.10.17 00:10글로벌뉴스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 "스포츠 유산을 국가유산으로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 필요"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스포츠 유산을 국가유산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은 “스포츠는 단순한 경기 기록을 넘어 국가의 정체성과 시대의 정신이 담긴 문화유산”이라며 국가유산청의 역할 강화를 주문했다. 진 의원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스포츠 레거시의 존재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동계올림픽과 하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몇 안 되는 나라지만, 정작 스포츠 유산 보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2027년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앞두고 있지만 정부의 준비가 미흡해, 자칫 적자와 예산 낭비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말한 후 “이 시점에서 스포츠 유산을 국가유산으로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미국 시카고 리글리 필드, 스페인의 캄프 누, 브라질 마라카낭 스타디움 등 세계적으로 보존된 스포츠 유산 사례를 제시했다. 이어서 “이들은 모두 국가가 관리하는 문화유산으로 등록돼 있다. 반면 한국은 올림픽 공원, 대한체육회 건물, 국립스포츠박물관 같은 상징적 장소조차 아직 법적 보호 체계가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내년 9월 정식 개관을 앞둔 국립스포츠박물관을 언급하며 “박물관에는 약 200여 점의 전시물이 들어설 예정인데, 스포츠 영웅들이 사용했던 유물들도 국가유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유네스코 국제협약에 명시된 “전통 스포츠와 토착 게임은 보호·촉진돼야 한다”는 조항을 인용해 “이제는 스포츠도 예술과 문화처럼 전승되고 교육될 국가유산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스포츠 용품, 경기복 등 유물뿐 아니라 경기 기록, 영상자료 같은 비물질적 기록유산도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겠다”며 “국가 등록 이수유산과 기록유산으로 병행 지정해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5.10.16 19:21김한준

[영상] 로봇 팔 카메라 단 스마트폰 화제…"360도 촬영 가능"

중국 스마트폰 업체 아너가 로봇 팔 카메라가 달린 독특한 형태의 스마트폰 콘셉트를 공개했다고 더버지 등 외신들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제품의 이름은 '로봇 폰'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짐벌 카메라가 장착돼 스마트폰 후면에서 펼쳐지며 어느 방향으로든 사진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카메라는 DJI 오즈모 포켓 위에 있는 미니 짐벌 카메라와 매우 비슷해 보인다. 메인 카메라가 위로 젖혀져 셀카를 찍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로봇 팔이 움직이며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이는 전면 카메라를 위로 젖혀 셀카를 찍었던 2019년 출시된 에이수스 젠폰6의 진화된 버전이다. 아너는 "로봇폰을 통해 미래의 휴대폰을 단순한 도구 그 이상으로 구상한다"며, “로봇 폰은 로봇처럼 스스로 감지하고, 적응하고, 진화하는 감성적인 동반자가 되어 사용자의 삶을 사랑, 기쁨, 그리고 지혜로 풍요롭게 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 제품에 AI 기능이 적용될 것이라며 스마트폰을 통해 원하는 제품을 검색하고 택시를 호출하는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 로봇 폰은 컨셉트 단계로, 아너는 내년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에서 세부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다.

2025.10.16 14:32이정현

K-제약바이오, 2년만 글로벌 산업지수 12위→3위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이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에서 전체 22개국 중 3위에, 아시아에서는 1위에 올랐다. 지난 2021년부터 발표되어온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싸이티바가 영국 시장조사기관 롱지튜드와 2년마다 발표하는 보고서다. 우리나라는 지수 6.49로 3위를 기록했다.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지수 순위는 ▲스위스 6.99 ▲영국 6.66 ▲한국 6.49 ▲아일랜드 6.43 ▲미국 6.34 ▲싱가포르 6.29 ▲일본 6.24 ▲스웨덴 6.09 ▲독일 6.06 ▲인도 6.04 ▲캐나다 6.03 ▲프랑스 5.96 ▲호주 5.76 ▲이탈리아 5.75 ▲스페인 5.74 ▲중국 5.72 ▲태국 5.59 ▲아랍에미리트 5.58 ▲남아프리카공화국 5.43 ▲브라질 5.29 ▲사우디아라비아 5.28 ▲멕시코 5.12 등이다. 또 우리나라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1위를 기록했으며, 싱가포르와 일본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22개국의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과 전문가 1천250명의 평가를 종합한 결과다. 우리나라의 각 평가 항목별 순위는 ▲공급망 회복력 7위 ▲인적 자원 6위 ▲R&D 생태계 3위 ▲제조 민첩성 4위 ▲정부 정책 및 규제 3위 ▲지속가능성 17위 등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높은 점수를 받은 이유는 'K-바이오 인재양성 프로젝트'를 비롯해 GMP 인력 및 디지털과 인공지능(AI) 인재 확보 등 인적 자원 노력 덕분이다. 이와 함께 국내 생산 확대, 원부자재 다각화, 온쇼어링 전략 등에 따른 공급 안정성 강화를 비롯해 디지털화 노력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미·중 무역 갈등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생산 허브로 부상한 점도 순위에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는 R&D 생태계 개선 노력에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우리 정부의 R&D 투자 확대, 범부처 바이오 R&D 사업,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CRO 및 CDMO 협력 증대 노력 등이 대표적이다. 최준호 싸이티바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한국이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 투자를 개선해 2023년 12위에서 올해 3위로 도약했다”라며 산업 생태계 협력 구조 개선과 글로벌 선도 국가로의 전략적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올해 전 세계 평균 산업지수는 2023년 지수 6.08보다 하락한 5.96점으로 집계됐다. 공급망 회복력은 개선됐지만, 인적 자원‧제조 민첩성‧정부 정책 및 규제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꼽혔다. 디지털 기술 활용과 지속가능성 투자와 더불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인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골자다.

2025.10.16 11:47김양균

"블랙홀에서 '뭔가' 반대로 튀어나왔다" [우주로 간다]

과학자들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지구에서 5천400만 광년 떨어진 거대 블랙홀 '메시에87(M87)'에서 분출되는 거대한 제트 분출 현상을 포착했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관측으로 블랙홀 중심부에서 주 제트와 반대 방향으로 뿜어져 나가는 희미한 역제트의 선명한 모습이 확인됐다. 해당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 실렸다. 거대 은하 메시에 87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약 65억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다. 이 블랙홀에서는 빛의 속도에 가까운 고에너지 입자 흐름(아원자 입자 제트)이 분출되고 있다.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초대형 전파망원경 배열(VLA)의 이전 관측에 따르면, 이 제트는 이중 나선 구조를 하고 있으며 길이가 약 8천 광년에 달한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학 연구소 천체물리학자이자 해당 논문 공동 저자인 얀 뢰더는 "M87 제트는 지구와 비교적 가까우면서 스펙트럼 전 영역에 걸쳐 매우 밝아 제트 물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이상적인 실험실”이라고 밝혔다. 이 블랙홀은 2019년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에 의해 사상 최초로 직접 촬영된 블랙홀로 주목 받았다. 이후 진행된 연구에서 이 블랙홀은 우주 속도 한계의 약 80%에 해당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블랙홀을 둘러싼 자기장이 불과 몇 년 만에 극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까지는 전파,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을 이용해 제트를 관측했으나, 전파와 가시광선 이미지를 연결하는 핵심 영역인 적외선대의 구조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다. 연구진은 JWST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가 2024년 6월에 촬영한 M87의 적외선 이미지를 사용해 제트를 연구했다. 먼저 은하를 모델링해 빛 방출을 제거하고 추가적으로 별과 먼지, 배경 은하를 제거해 제트 만을 분리해냈다. 이후 정제된 이미지로 4가지 적외선 파장 대에서 제트의 모든 개별 구조를 식별했다. 두 개의 단파장 이미지는 은하 중심 근처에 있는 HST-1이라고 불리는 제트의 가장 밝은 부분 중 하나를 고해상도로 포착했다. 이전 X선 연구에서 HST-1을 모델링한 결과, 두 개의 빛을 내는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발견됐는데, 이번 관측으로 이 구조가 직접 확인됐다. 한편 장파장 이미지는 주 제트와 반대 방향으로 분출되는 희미한 C자 모양 역제트를 보여준다. 연구진은 “역제트는 전파 사진에서도 보이지만, 이번 적외선 사진에서 얻은 선명도가 매우 인상적”이라고 밝혔다. 다양한 파장에서 사진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면 제트가 우주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제트와 그 반대 물질이 어떤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얀 뢰더는 밝혔다.

2025.10.16 10:24이정현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휴머노이드 멀었다"…테라다인이 제시한 대안은

'서울 자가 대기업 김부장' 인사쟁이들은 이렇게 봤다

[르포] 전기차로 모래 언덕 질주하고 입수…'BYD 서킷' 가보니

"AI 3강, 데이터 없이 불가능...바우처 등 적극 지원해야"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