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지스타2025
인공지능
스테이블코인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스페인 한인마트'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038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멜리아 호텔 인터내셔널과 화웨이, 글로벌 스마트 호텔 쇼케이스 개최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2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와 멜리아 호텔 인터내셔널(Meliá Hotels International)이 MWC 바르셀로나 기간에 멜리아 소유의 고급 럭셔리 브랜드 토레 멜리나 그란 멜리아(Torre Melina Gran Meliá) 호텔에서 글로벌 스마트 호텔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스마트 호텔 네트워크 연결과 인프라의 혁신을 촉진해 글로벌 호텔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인텔리전트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자리였다. AI와 IoT가 호텔 산업에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는 요즘, 호텔 업계에서는 인텔리전트 서비스와 고객 중심 경험, 지속 가능한 운영,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O&M)가 화두다. 이에 ICT 인프라가 지원 도구를 넘어 업계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화웨이는 스마트 호텔 솔루션을 통해 최첨단 호텔 네트워크 연결과 인프라를 구축,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나아가고 있다. 호텔 업계는 편리한 개인 맞춤형 고객 서비스와 운영 효율성 향상, 에너지 소비 감소와 같은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 데이비드 시(David Shi) 화웨이 ICT 마케팅 솔루션 영업 담당 부사장은 "화웨이와 토레 멜리나 그란 멜리아 호텔은 운영 최적화를 강화하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호텔 측에서는 IP+POL 아키텍처 기반의 화웨이 스마트 호텔 솔루션 도입 후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고속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어떤 시나리오에도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호텔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토메우 피올(Tomeu Fiol) 멜리아 호텔 인터내셔널 글로벌 호텔 기술 디렉터는 "멜리아 호텔 인터내셔널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차원이 다른 고객 경험을 선보이는 한편 현대적인 디자인과 격이 다른 편안함이 조화를 이룬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화웨이 스마트 호텔 솔루션 덕분에 토레 멜리아 그란 멜리아 호텔은 호텔 전체에 고속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더 효율적으로 원활한 인텔리전트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IP와 POL 기술의 장점을 결합한 화웨이의 스마트 호텔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장점을 자랑한다. 스마트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덕분에 호텔 실내외 공간 어디서나 Wi-Fi 서비스가 제공되어 높은 로밍 품질과 초고속 네트워크 속도 보장 기존의 이더넷 케이블을 대체한 광섬유가 각 방을 단일 광섬유와 터미널로 연결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미래에 대비하는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 촉진 AI 모델로 구동되어 자동 원인 분석과 O&M 효율 제고가 가능한 화웨이 iMaster-NCE 호텔 솔루션 설계부터 시스템 통합과 인도까지 단계마다 파트너와의 협력은 필수이다. 화웨이의 스마트 호텔 솔루션은 간편한 통합과 배포, 유지관리를 원하는 파트너에게 이상적인 제품이다. 화웨이는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해 호텔과 고객의 성공에 기여하고 있다.

2025.03.12 18:10글로벌뉴스

화웨이와 바르셀로나 시의회, MWC 기간 중 스마트 시티 이니셔티브 추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 체결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2일 /PRNewswire/ -- 바르셀로나 시의회와 화웨이(Huawei) 스페인 법인이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가 열리는 동안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 체계 안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혁신과 교육 활동 개발에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력은 특히 도시 제어센터, 스마트 빌딩, 연결성, 친환경 에너지, ICT 인재 개발 등의 핵심 분야에서 바르셀로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의 건설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협력은 사회의 디지털화에 대한 양측의 의지를 강화하고, 도시 제어센터, 스마트 빌딩, 연결성, 친환경 에너지, ICT 인재 개발 등의 핵심 분야에서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줄 것이다. ICT 인재 개발 측면에서 이 이니셔티브는 최근 스페인에서 인재와 디지털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된 교육 기관인 화웨이 스페인 아카데미(Huawei Spain Academy)의 지원을 받게 된다. 유럽에서 이런 교육 기관이 설립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이 이니셔티브는 프로그래밍과 빅 데이터 분야에서 학생들을 교육해온 바르셀로나 지역개발원(Barcelona Activa)이 운영하는 첨단 기술 교육 센터인 IT 아카데미(IT Academy) 틀 안에서 발전할 것이다. Huawei and Barcelona City Council Sign Strategic MoU 이번 협약 체결 및 발표식에는 양측을 대표하는 주요 인사가 자리를 함께했다. 바르셀로나 시의회를 대표해서는 자우메 콜보니(Jaume Collboni) 시장, 호르디 발스(Jordi Valls) 경제•재정•경제진흥•관광 담당 부시장, 라이아 클라베롤(Laia Claverol) 시 관리자, 안토니 페르난데스(Antoni Fernández) 경제•경제진흥 담당 관리자, 미켈 로드리게스(Miquel Rodríguez) 경제진흥 담당 관리자, 에밀리 루비오(Emili Rubió) 시 정보기술 기관장이 참석했다. 화웨이에서는 레오 첸(Leo Chen) 화웨이 기업 수석 부사장 겸 기업 영업 부문 사장과 안드레스 인(Andrés Yin) 화웨이 이베리아 법인 CEO가 참석했다. 행사 도중 자우메 콜보니 바르셀로나 시장은 "기술 중심지로서 바르셀로나의 입지를 강화해줄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협력은 디지털 포용을 촉진하고 기술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중요한 단계"라면서 "바르셀로나 지역개발원 IT 아카데미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디지털 기술 개발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레오 첸 화웨이 기업 수석 부사장 겸 기업 영업 부문 사장은 "이번 협약에는 혁신과 도시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우리의 강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면서 "바르셀로나는 기술과 지속 가능성의 글로벌 벤치마크이며, 화웨이는 보다 효율적이면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생태계 개발에 기여할 이니셔티브에 협력하게 되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바르셀로나와 화웨이의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 바르셀로나 시의회와 화웨이는 이번 제휴를 통해 디지털화와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바르셀로나는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사용하는 모범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웨이는 앞으로도 ICT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 AI 분야에서 확보한 전반적인 기술적 강점과 글로벌 스마트 시티 개발을 통해 쌓아온 폭넓은 경험을 활용해 바르셀로나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것이다. 화웨이는 디지털 기반을 강화해 바르셀로나를 모든 시나리오에서 종합적인 지능형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는 글로벌 도시들이 모방할 수 있는 유럽의 선도적인 스마트 도시 벤치마크이자 혁신적 모델로 변모시키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이번 협력으로 화웨이는 도시 혁신을 주도하고 전 세계 도시가 더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최첨단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다시 한번 확인됐다.

2025.03.12 18:10글로벌뉴스

화웨이, 우한시 운영센터와 공동으로 글로벌 시범 사이트 개설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2일 /PRNewswire/ --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화웨이(Huawei)가 우한시 운영 및 관리 센터(Wuhan City Operation & Management Center, 이하 "우한시 운영센터") 및 파트너사와 함께 우한시의 종합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글로벌 시범 사이트를 개설했다. 기념행사에는 젱펑(Geng Feng) 우한시 운영센터 부국장, 동보타오(Dong Botao) 우한정보센터 정부 네트워크 부서장, 종수청(Zhong Shoucheng) 우한 클라우드 컴퓨팅 테크놀로지(Wuhan Cloud Computing Technology) 회장, 쉬페이(Xu Fei) 화웨이 공공 서비스 디지털화 사업부(이하 GPSD) 해외시장 담당 이사, 장후린(Jiang Hulin) 화웨이 GPSD 최고 마케팅 책임자, 야오촨레이(Yao Chuanlei) 화웨이 우한 사업부 총괄, 바이루빙(Bai Rubing) 레이체인지(Raychange) 해외 마케팅 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협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도시 거버넌스(city governance)의 디지털 전환 경험을 탐구하고 기술 표준과 거버넌스 관행의 글로벌 공유를 촉진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Wuhan City Operation Center and Huawei Jointly Launched a Global Demonstration Site 바이루빙 레이체인지 해외 마케팅 이사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디지털 지능형 트윈스'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우한은 현재 스마트 시티 건설의 물결 속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돋보인다"며 "디지털 트윈과 AI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도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고 보다 정교하고 지능적인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지원하며 도시 개발의 획기적인 도약을 촉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한시 운영센터는 화웨이와 레이체인지와 협력해 디지털 트윈, AI, 빅데이터, 연결성, 스토리지와 같은 선도적인 ICT(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한 도시 운영 및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지상 및 지하 시스템을 통합하고 여러 부서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우한은 시각화된 관리, 실시간 처리, 지능형 의사결정 기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시각화, 관리 용이성, 효율성 도시 거버넌스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요인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복잡하다. 우한시 운영 및 관리 플랫폼은 화웨이의 디지털 트윈 기술로 도시의 운영 상태를 단일 화면에 표시해 실시간 연결과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의 원활한 통합을 지원한다. 1200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3D 디지털 트윈 기반 위에 구축된 이 플랫폼은 위성 원격감지, 정밀 모델링,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결합해 화재나 교통사고 등 12가지 유형의 도시 사건을 다루는 900개 이상의 실시간 지표를 추적한다. 사건이 발생하면 플랫폼이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관련 부서에 알림을 보내 조율된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험을 효과적으로 완화한다. AI: 스마트 시티를 위한 핵심 기술 화웨이의 디지털 트윈 기술은 AI 알고리즘을 산업 시나리오와 통합해 동적 시뮬레이션, 지능형 위험 식별 및 다중 소스 데이터 통합의 혁신을 주도한다. 이 플랫폼은 교통 및 기상 데이터를 사용해 휴가철 혼잡을 예측하고, AI가 매일 1천여개의 교량과 가스관을 모니터링해 10만개 이상의 잠재적 위험을 식별한다. 또한 정부, IoT 및 온라인 데이터를 결합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포괄적인 도시 운영 개요를 생성한다. 우한의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 기상 예보, 홍수 통제, 소방, 도시 침수 관리 등의 응용 분야에서 진전을 이뤄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가스 사고가 60%, 교통 체증이 15% 감소했으며 시민들의 만족도는 98%로 증가했다. 화웨이는 혁신적인 ICT 솔루션을 통해 우한의 디지털 및 지능형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우한과 계속 협력할 계획이다. 나아가 글로벌 협력을 통해 '감지하고, 생각하고, 배려하고, 진화하는 스마트 도시'의 건설에 대한 우한의 전문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 도시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2025.03.12 12:10글로벌뉴스

"AI 콘텐츠 표시 안 하면 벌금"…스페인, AI 규제 강화

스페인 정부가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하는 기업에 벌금을 부과한다. 12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스페인 정부가 딥페이크 등 생성형 AI 악용 확산 방지를 위해 이같은 법안을 승인했다. 현재 하원 승인을 기다리리고 있는 상태다. 법이 최종 승인되면 유럽연합(EU) 국가 중 처음으로 스페인이 해당 법을 시행하는 국가가 된다. 법안 내용에 따르면 AI로 생성된 콘텐츠를 적절히 표시하지 않는 행위는 '중대한 위반'으로 분류된다. 위반 시 최대 3천500만 유로(약 555억825만원) 또는 전 세계 연간 매출 7%에 해당하는 벌금이 부과된다. 이 법안은 취약한 집단을 조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서브리미널 기술' 사용을 금지한다. 서브리미널 기술은 인지할 수 없는 소리나 이미지를 통해 사람을 은밀하게 조종하는 방식이다. 도박을 유도하는 챗봇이나 어린이들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도록 부추기는 이미지가 대표 예시다. 스페인 정부는 AI로 행동이나 특성 기준으로 사람을 분류하거나 혜택 제공 여부를 결정, 범죄 위험성을 평가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도 법안에 포함했다. 다만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한 경우 공공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생체 정보를 인식하고 감시하는 것은 당국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법안 시행은 스페인 AI 감독 기관인 AESIA가 주관한다. 개인정보 보호와 범죄, 선거, 신용평가, 보험, 자본시장과 관련된 사항은 각 분야 전문 감독 기관이 관할할 예정이다. 오스카 로페즈 스페인 디지털전환부 장관은 "이 법안은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한 엄격한 투명성 의무를 부과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12 09:04김미정

NC AI, 'MWC 2025'서 생성 AI 기술력 입증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NC AI(대표 이연수)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 참가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NC AI는 MWC 2025에서 ▲사진을 통한 아바타 생성 ▲감정 연기가 가능한 AI 음성합성(TTS) ▲음성 기반 얼굴 애니메이션 생성 기술을 결합한 체험형 데모 '아바타시프트(Avatarshift)'를 공개했다. 관람객들은 자신의 목소리와 얼굴을 활용해 AI 아바타를 직접 생성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체험형 AI 기술을 경험했다. 행사기간 동안 약 1천 명의 방문객이 NC AI 부스를 방문하며 성황을 이뤘다. 특히 주요 정계 인사와 IT 기업 및 금융,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이 방문해 NC AI의 기술력을 체험했다. NC AI는 이번 MWC 2025 참가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한 패션, 미디어, 콘텐츠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AI를 활용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SaaS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강화할 예정이다. NC AI 이연수 대표는 “MWC 2025에서 최신 AI 기술을 직접 선보이며 글로벌 기업 관계자들과 의미 있는 논의를 나눴다”며 “앞으로 NC AI는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산업 전반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는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NC AI는 엔씨소프트의 인공지능 사업 법인이다. 'Everyone can be a Creator'라는 미션을 중심으로 게임을 포함한 각종 산업에서 혁신적인 AI 솔루션을 접목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25.03.11 17:01강한결

EU, 필수의약품 아시아 의존 탈피 본격화

유럽연합에서 항생제 등 필수의약품의 아시아 의존을 탈피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총 11개국은 자국 보건부 장관 명의로 9일(현지 시각) 유로뉴스(EURO News) 기고를 통해 의약품 안보를 강조했다. 참여국들은 ▲벨기에 ▲체코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독일 ▲그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스페인 등이다. 이들은 기고에서 “전 세계 항생제의 80%~90%는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된다”라며 “필수 의약품이 없으면 일상적인 수술은 고위험이 따르게 되고 쉽게 치료할 수 있는 감염은 치명적으로 변할 수 있어 필수 의약품 의존성은 유럽의 안보 및 방위 능력을 약화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이어 “의약품 생산의 선두 주자였던 유럽은 값싼 복제 의약품과 인건비 및 환경 비용 상승으로 의약품 공급의 60%~80%를 아시아에 의존하고 있다”라며 “모든 유럽 국가는 의약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의약품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EU 회원국들은 2023년 5월 핵심의약품법(Critical Medicines Act)을 제정하라”라고 촉구했다. 해당 법은 핵심 의약품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것으로, 유럽 생산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법안은 금주에 발표될 예정이다. 유럽연합은 미국의 국방물자생산법(DPA)이 의약품 공급망을 국가 안보 문제로 지정하는 것과 유사하게 해당 법을 유럽 안보 개념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법을 위한 자금 지원 EU 국방 지출 계획에 포함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2025.03.11 16:52김양균

유상임 장관 "AI 분야 9개월 지체하면 3년 기술 격차 벌어져"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9개월 정도 지체하면 경쟁국과 3년 정도 기술 격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감당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처 핵심과제 브리핑에서 "(국가 AI 경쟁력) 간극은 따라가기 쉽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컴퓨팅 인프라 확충의 시급성을 강조한 과기정통부가 우려하는 부분은 GPU 수급을 위한 예산 마련이다.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GPU를 사들여야 하는데 쉽지 않다는 뜻이다. 유 장관은 "올해 GPU를 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앞서 지난달 정부는 2030년까지 GPU를 3만장 확보한다는 기존 계획을 2027년까지 앞당기고, 연내 AI 컴퓨팅센터를 열어 GPU 1만장 확보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유 장관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국과의 글로벌 R&D가 중요하다"며 "특히 해외에 있는 우수 인재들을 한국으로 유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근 한-스페인 과기공동위원회, 한-EU 연구혁신의 날, 한-EU 공동위 등을 개최하며 국제 과학기술 협력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AI 기본법과 관련해서는 "EU에 이어 두 번째로 제정된 기본법으로, 19개 개정안을 담아 지능 위주로 설계했다"며 "규제를 최소화하고 AI 발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30여개 대학의 약 5만 명 석박사급 학생들에게 연구생활 장려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2월27일에는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 행사를 개최해 대통령, 과학 장학생, 국제 과학 올림픽 수상자들을 초청하는 등 차세대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연구 성과를 산업으로 연결시켜 국가 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한 기술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다. 출연기관의 거점 역할과 기술 사업화, 전문 회사 육성, 기술의 스케일업, 기술 창업과 성장 지원 등을 ICT, 소재 분야 등에서 맞춤형으로 설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3월 중 주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양자전략위원회 출범, 차세대 원자력 확보 로드맵 마련, 중고폰 안심거래 인증제도 도입 등이 그 내용이다. 특히 차세대 원자력 확보 로드맵은 AI 확산에 따른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 알뜰폰 도매대가 고시 개정을 통해 출시된 '1만 원대 5G 20기가 데이터 요금제'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류제명 네트워크정책실장은 "현재 3개 사업자가 해당 요금제를 출시했으며, 약 10개 사업자가 준비 중"이라며 "가입 추세가 기존 요금제 대비 2배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정치적 상황 때문에 대응이 미뤄져서는 안 된다"며 "여야를 막론하고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3.11 16:48최지연

화웨이, 새로운 디지털 격차 방지 위해 개방형 혁신과 협업 확대 촉구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1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에서 '화웨이 ICT 지속 가능성 원탁회의(Huawei ICT Sustainability Roundtable)'를 개최했다. 화웨이는 이 회의에 모인 정책 입안자들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이해관계자들에게 지난 몇 년 동안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디지털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개방형 혁신과 협력을 확대해줄 것을 촉구했다. Global experts and partners at the Huawei ICT Sustainability Roundtable at MWC 2025 개회사에서 켄후(Ken Hu) 화웨이 순환 회장은 화웨이 TECH4ALL 프로그램의 사례를 인용하면서 디지털 기술과 파트너십이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 가능한 변화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후 회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세계에서 아무도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와 ICT 업계가 협력 플랫폼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후 회장은 "AI가 세상을 더욱 지능적으로 만들면서 새로운 디지털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리는 이 점에 주의를 기울이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러려면 정책 입안자들이 보다 포용적인 제도적 틀을 구축하고, 더 많은 기술 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게 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협업을 위한 보다 개방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ICT 지속 가능성 원탁회의는 실제로 이런 협력이 어떻게 실행에 옮겨지고 있는지 알려주기 위해 글로벌 전문가와 화웨이 TECH4ALL 파트너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이 회의에서는 협력적인 디지털 포용성 프로젝트가 소외된 지역 사회에 디지털 세계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보여줬다. 케냐 정부를 대표해 회의에 참가한 존 타누이(John Tanui) 케나 ICT디지털경제부(State Department of ICT and Digital Economy) 차관은 화웨이 같은 파트너와의 협력이 어떻게 디지털 인프라 구축, 정부의 디지털 서비스, 원격과 농촌 지역 사회를 위한 디지털 기술 훈련을 통해 디지털 경제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케냐 비전 2030'과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지를 알려줬다. 예를 들어, 화웨이 TECH4ALL 디지트럭(DigiTruck•트럭 뒤에 설치하는 이동식 교실)은 2019년부터 케냐의 청소년 6000여 명에게 교육을 제공했다. 타누이 차관은 "케냐에서는 누구도 소외되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이것이 바로 화웨이가 TECH4ALL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디지털 기술을 향상시켜줄 전략적 파트너가 된 이유이다. 우리는 이 이니셔티브를 활용해 디지털 포용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우리는 모바일 디지트럭 덕분에 젊은이들에게 스마트폰 기능, 온라인 위험, 책임감 있는 인터넷 사용법, 학습용 온라인 계정과 리소스 보안 강화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2024년 케냐 정부가 발표한 '디지트럭 디지털 리터러시 스킬 프로그램 평가 보고서(DigiTruck Digital Literacy Skills Program Evaluation Report)'에 따르면 디지트럭 교육생 중 93%가 교육을 통해 업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또한 교육생 중 취업률이 더 높았고, 전자상거래 같은 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인터넷 사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케냐 디지트럭 프로젝트 파트너인 GSMA 역시 디지트럭의 이동성이 극도로 외딴 지역 사회에 접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파키스탄 보편적 서비스 기금(Universal Service Fund Pakistan•USF)은 파키스탄 정부, 화웨이, ITU-D가 TECH4ALL 스마트 빌리지 파키스탄(TECH4ALL Smart Village Pakistan) 프로젝트를 통해 협력하며 농촌 마을을 변화시킬 방법을 모색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에 디지털 기술 교육뿐만 아니라 연결성, e-교육, e-헬스 이니셔티브를 제공한다. 유네스코(UNESCO)와 스페인 알리칸테 대학은 차세대 ICT 인재 양성을 위해 화웨이 ICT 아카데미(Huawei ICT Academy)와 협력하는 등 글로벌 디지털 기술 개발에 집중했다. 자연 보호 분야에서는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of Conservation of Nature•IUCN)은 'IUCN-화웨이 TECH4ALL Tech4Nature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ICT가 자연 보호를 어떻게 재정의하고 있는지 소개했다. 이 파트너십은 보호 지역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통해 11개국에서 13개의 주력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원탁회의에서 논의된 모든 프로젝트는 ICT의 힘을 활용해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세상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접근 방식인 기술 혁신과 부문 간 파트너십을 강조하고 있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TECH4ALL 소개 TECH4ALL은 화웨이의 장기적인 디지털 포용 이니셔티브이자 실행 계획이다. 혁신적인 기술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하는 TECH4ALL은 디지털 세계에서 포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설계됐다. 화웨이 TECH4ALL 웹사이트: https://www.huawei.com/en/tech4all 엑스(X)에서 팔로우: https://x.com/HUAWEI_TECH4ALL

2025.03.11 16:10글로벌뉴스

화웨이, 사무용 AI 화이트보드 IdeaHub ES3/S3 공개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1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가 MWC 바르셀로나 2025(MWC Barcelona 2025)에서 "무한 협업을 통한 스마트한 미래(Embracing a Smarter Future with Boundless Collaboration)"를 주제로 열린 화웨이 인텔리전트 협업 포럼(Huawei Intelligent Collaboration Forum)에서 플래그십 컨퍼런스 화이트보드 IdeaHub ES3/S3을 공개했다. 화웨이의 혁신 기술은 기업이 인공지능화와 디지털화로 향하는 길을 개척하고 있다. 구 쉬준(Gu Xuejun) 화웨이 인텔리전트 협업 담당 사장은 "화웨이 솔루션으로 소통과 자원 공유가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화웨이는 고품질 시청각 성능, 스마트한 사용자 환경, 간편한 운영과 유지관리, 호환 가능한 열린 생태계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Gu Xuejun, President of Huawei Intelligent Collaboration 차세대 플래그십 컨퍼런스 화이트보드 - AI 기반 스마트 오피스 구현 월등한 시청각 품질 AI 기반 이미지 강화 기능은 선명한 화질로 비용 부담 없이 HD 클라우드 회의를 보장한다. 전자 제어식 카메라 프라이버시 실드가 보안을 지켜주며, 15미터 사운드 픽업과 AI 기반 노이즈 감소 기능이 있는 24 마이크 어레이가 오디오 선명도를 약속한다. 어쿠스틱 배플(Acoustic Baffle) 2.0은 사운드 경계를 동적으로 조정해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인텔리전트 협업 IdeaHub는 회의 시 최대 아홉 개의 화면을 지원하며, 스스로 이미지 레이아웃을 조정해 주는 기능과 직관적인 미러링 컨트롤로 매끄러운 경험을 선사한다. 차세대 리모컨은 높은 레이저 포인터 정확도로 선 그리기, 원 선택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IdeaHub는 양방향 연결과 대화형 기능을 통해 원활한 협업을 지원하며, 66W 타입 C 포트가 있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원을 계속해서 빠르게 공급받을 수 있다. HUAWEI IdeaHub ES3/S3 화웨이는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개인과 팀, 조직을 망라해 빈틈없는 연결과 협업을 촉진하고 있다. 업무 공간 곳곳에 디지털 혁신을 일으켜 산업 전반에서 완벽하게 연결된 지능형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정진하고 있다.

2025.03.11 15:10글로벌뉴스

화웨이, MWC 2025에서 지능형 의료용 시나리오 기반 솔루션 공개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1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가 열리는 동안 '디지털 지능이 포용적 의료를 주도한다(Digital Intelligence Drives Inclusive Healthcare)'는 주제로 글로벌 의료 산업 세션을 개최했다. 세션에 모인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과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최신 전략과 사례를 공유했다. 지능형 의료 솔루션 강화를 위한 심층적인 AI 융합 화웨이 부사장 겸 데이터 스토리지 제품 라인 부문 사장인 피터 저우(Peter Zhou) 박사는 개회사에서 화웨이는 '항상 켜져 있는 데이터와 가치 방출(always-on data and value release)'이라는 전략을 바탕으로 멀티모달 융합 데이터 레이크(data lake)와 DCS AI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의료 AI 역량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고 강조했다. 윈드리(Wind Li) 화웨이 부사장 겸 글로벌 공공 부문 사업부 CEO는 화웨이가 110여 개국에서 5600곳 이상의 의료 시설을 지원해 왔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의료 지원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 및 지능화된 전환의 기반을 강화하고 시나리오 혁신과 AI 융합을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엉코(Hong-Eng Koh) 화웨이 글로벌 공공 부문 사업부 수석 과학자는 기조연설에서 의료 분야에서 AI의 막대한 잠재력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AI가 진단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의사의 업무량을 줄여주고, 환자에게 더 개인화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생태계 협업으로 가속화되는 의료 지능 루이스 산티아고 산체스 페르난데스(Luis Santiago Sánchez Fernández) 안달루시아 보건 서비스(Andalusian Health Service•SAS) 최고기술책임자(CTO)는 900만 명에 달하는 주민에게 지역을 초월한 평등한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중앙 집중식 HIS/EMR 시스템 Diraya를 소개했다. 그는 또한 '안달루시아 디지털 건강 2030 전략(Andalusian Digital Health 2030 Strategies•ESDA)'과 향후 5년 동안 이어질 SAS 디지털 프로그램도 소개했다. 화웨이와 제휴를 맺은 SAS는 지능적이고 인간적이며 효율적이고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불가리아 아시바덤 시티 클리닉(Acibadem City Clinic)의 츠베토미르 니콜로프(Tsvetomir Nikolov) IT 책임자는 디지털 전환 실천 사례를 공유했다. 환자에게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디지털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믿는 아시바덤 책임자는 화웨이와 협력해 스마트 병원 캠퍼스와 액티브-액티브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HIS/PACS/EMR 서비스의 데이터 접근성을 10배 개선했다. 생명공학 기술 개발 회사인 KFBIO의 펑펑(Feng Feng) 유럽 영업•사업 개발 매니저는 딥러닝 알고리즘 덕분에 AI가 의사들의 병리학적 진단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전했다. KFBIO와 화웨이는 진단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AI 기반 디지털 병리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했다. 화웨이는 앞으로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위한 솔루션에 AI를 통합하고, 의료 지능을 발전시키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지원할 계획이다.

2025.03.11 12:10글로벌뉴스

삼성 갤S25 울트라, 美 컨슈머리포트 평가 1위

삼성전자 AI폰 '갤럭시 S25 울트라'가 미국 유력 소비자 전문지 '컨슈머리포트' 3월 최신 스마트폰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지난해 출시된 갤럭시 S24 울트라에 이어 컨슈머리포트 스마트폰 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2년 연속으로 갤럭시 S 울트라 모델이 컨슈머리포트의 최상단 자리를 유지했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총점 87점으로, 같은 87점을 받은 아이폰 15 프로 맥스와 공동 1위를 기록했다. 갤럭시 S25+는 86점을 기록하며 갤럭시 S24 울트라, 아이폰 16 프로 맥스와 함께 공동 3위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컨슈머리포트의 평가 항목 10개 중 성능, 후면 카메라 이미지 품질, 디스플레이, 내구성, 사용 편의성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5점의 점수를 받았다. 컨슈머리포트는 갤럭시 S25 울트라를 "테스트한 스마트폰 중 가장 최고 성능의 카메라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최고급 카메라와 큰 디스플레이를 갖춘 프리미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찾는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호평했다. 미국의 대표적 비영리단체인 컨슈머리포트는 미국의 소비자연맹이 발간하는 최대 소비재 전문 월간지로 매달 거의 전 소비재에 대해 업체별 성능과 가격 등을 비교해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갤럭시 S25 울트라는 지난 유럽 5개국(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포르투갈, 스웨덴) 스마트폰 평가 1위에 이어 영국과 덴마크의 소비자연맹지가 꼽은 최고의 스마트폰에도 선정됐다. 영국 소비자연맹지 위치의 스마트폰 리뷰에서 갤럭시 S25 울트라와 갤럭시 S25+는 총점 85점을 획득해 공동 1위에 선정됐다. 위치는 갤럭시 S25 울트라를 "크고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스마트폰"이라며 "최신 갤럭시 AI 기능을 제공하며, 모든 기능이 뛰어나기에 가장 추천할만한 제품인 '베스트바이'에 선정한다"라고 평가했다. 덴마크 소비자연맹지 탱크의 스마트폰 평가 랭킹에서도 갤럭시 S25 울트라는 총점 84점을 받으며 1위에 등극했다. 공동 2위는 82점을 획득한 갤럭시 S25+, 갤럭시 S24 울트라, 아이폰 16 프로맥스가 선정됐다. 탱크는 "갤럭시 S25 울트라는 One UI 7을 기반으로 갤럭시 AI 기능을 더욱 확장시켰다"며 "강력한 AP칩셋을 탑재해 모든 성능 테스트에서 매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호평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를 활용해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글로벌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광고대행사 디즈니 애드버타이징 등과 협업해 갤럭시 AI 기능을 홍보하는 영상을 선보였다. 영상은 스턴트 액션 업계의 에피소드를 갤럭시 S25 시리즈의 주요 AI 기능인 오디오 지우개, 나우 브리프를 활용한 숏폼 영상으로 제작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영국에서 신예 배우 몰리 갤러거와 협업해 갤럭시 S25 알리기에 나섰다. 갤럭시 AI 기능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SNS에 업로드하며, 영국의 젠지 세대의 호응을 얻고 있다.

2025.03.11 10:32신영빈

엘앤케이바이오메드, 영국에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 수주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신규 해외시장 진출 및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 공급망 확대를 위해 영국의 대리점 계약 체결 및 초도 물량을 선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대리점 계약 체결을 통해 척추 임플란트 전문기업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의 영국 시장 진출을 확정했으며, 앞서 진출한 스페인, 포르투갈을 비롯해 영국의 진출로 유럽 시장을 확대해 나갈 협력 관계를 구축하게 됐다. 특히 영국 진출은 스크류 제품을 수주한 스페인과 포르투갈과 달리 '엑셀픽스-XT' 및 '엑셀픽스-XL' 등 높이확장형 케이지 2개 제품을 초도물량으로 수주해 유럽 시장 내 제품 판로를 최초로 개척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이번에 수주한 엑셀픽스-XT는 엘앤케이바이오메드가 보유하고 있는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들 중 최초로 개발한 제품으로 후방 삽입 높이확장형 추간체유합보형재로 최소침습수술(MIS)에 사용하며, 엑셀픽스-XL 은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으로 측방경유척추 수술인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용이다. 두 제품군 모두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품질의 우수성이 검증됐다. 엘앤케이바이오메드 관계자는 “영국은 유럽 시장 중에서도 자사의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이 최초로 수주된 유의미한 거점 국가로 유럽의 여러 국가에 높이확장형 케이지 제품 공급망 확대를 위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올해 유럽을 비롯해 여러 국가와 제품 공급에 대해 논의 중이다. 기존 시장에 머물지 않고 수출국 다변화에 적극 나서 세계 전역에 제품 공급망을 확대 하는 등 신규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2025.03.11 10:28조민규

MWC2025 | 학습 능력이 바로 생산성, 지능형 미래를 위한 인재 역량 강화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0일 /PRNewswire/ -- 화웨이(Huawei)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 Mobile World Congress 2025)에서 디지털 인텔리전스 인재 개발 포럼(Digital Intelligence Talent Development Forum)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전 세계에서 100명 이상의 고객이 참석한 가운데, 화웨이는 디지털 인텔리전스 인재 개발 서비스 솔루션 2.0을 출시했다. Opening Speech by Jason Liu, President of Huawei Learning & Certification Services 제이슨 리우(Jason Liu) 화웨이 학습 및 인증 서비스 사장은 기업이 해결해야 할 질문으로 다음을 강조했다. (1) 사람과 AI 에이전트 간에 어떻게 협업하고 포지셔닝할 수 있는가? (2) 전문가 모델 뒤에서 개발하는 전문가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3) 계속 학습하는 팀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리우 사장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관점을 공유했다. 사람은 생산성을 기하급수적으로 증폭시킬 것이다. 업무 수행 방식이 사람 중심에서 인간-기계 협업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 '전문가 모델' 뒤에서 개발하는 전문가는 종합적인 인재여야 한다. AI 기술은 DICT와 OT의 긴밀한 통합을 주도하고 있다. 전통적인 'T자형' 재능 모델은 보다 다재다능한 'π자형 사다리' 인재 모델로 변화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6A' 학습 경험을 하게 된다. 즉, 언제 어디서든 기기 및 지식과 상관없이 전부 온라인으로 AI 학습 코파일럿 등을 경험하게 된다. 학습 능력은 생산성이다. 효율적인 지식 관리, 학습 플랫폼, AI 학습 코파일럿을 통해 학습을 계속하고 생산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는 2025년 화웨이가 디지털 인텔리전스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 고객을 위한 'ICT 교실 내 산업 엘리트 프로젝트'를, 대학생을 위한 '선도적인 ICT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후안비 마르티네즈(Juanvi Martínez) 스페인 머서(Mercer) 비즈니스 디렉터는 AI 시대의 변화하는 업무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직원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빠르게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안 할로웨이(Ian Holloway) TM 포럼(TM Forum) 아키텍처 및 API 프로젝트 책임자는 효과적인 인재 표준과 프레임워크가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TM 포럼은 GenAI 및 AN(자율 네트워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DTMM(디지털 전환 성숙도 모델) 표준을 지속적으로 수립하고 최적화할 예정이다. 안토니오 데 루이스 아세베도(Antonio de Luis Acevedo) 스페인 FUNDAE 이사는 국가 차원의 ICT 인재 개발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019년부터 FUNDAE는 화웨이와 파트너십을 맺고, 20만 명 이상의 실무자들이 화웨이 과정을 학습해 왔다. 2024년에는 스페인 아카데미(Spain Academy)에서 화웨이와 협력해 디지털 역량 강화를 추진했다. 로레비 게일 O. 메르카도 (Loreevi Gail O. Mercado) 필리핀 PLDT/스마트 그룹의 HR 이사는 인재 개발 관행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공유했다. 이들은 세 개의 아카데미를 통해 직원들의 역량을 단계적으로 지원하고 미래 지향적인 인재를 육성한다. 루메이사 카이마크(Rumeysa Kaymakci) 투르크셀 아카데미(Turkcell Academy) 이사는 디지털 전환은 기술을 넘어선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재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들은 인재의 디지털 인텔리전스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기술 리더십 프로그램'과 '디지털 마스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어 화웨이는 디지털 인텔리전스 인재 개발 서비스 솔루션 2.0을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새로운 인재 표준, 새로운 역량 모델, 새로운 학습 경험을 제공해 고객이 디지털 전환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인재 기반을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학습 능력은 생산성이다. 화웨이는 시대에 발맞춰 종합적인 인재를 지속적으로 육성해 개인과 조직이 AI 시대에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2025.03.10 18:10글로벌뉴스

[이유IT슈] 테슬라가 가면 꽃길?…원통형·LFP 전성시대

10년 전만 해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저렴하고 성능이 떨어지는 '싸구려' 배터리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하지만 지금 분위기가 달라졌다. 삼원계 배터리에 올인했던 국내 배터리 3사는 전기차 수요 둔화로 실적 악화를 겪고 있으며, LFP 배터리에 주력한 중국 배터리사들은 비중국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높이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라는 말이 중국 배터리 업계에는 무색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 업체들은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셀투팩(CPT) 구조를 적용하고, LFP 구조에 망간을 도핑해 전압을 높이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 LFP 배터리 성능을 개선하자, 완성차 업체들도 생각을 바꾸기 시작했다. 포드와 스텔란티스는 중국 CATL과 협력해 각각 미국 미시간과 스페인에 LFP 배터리 공장을 설립, 내년부터 본격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제너럴 모터스(GM)도 지난해 전기차 비용을 낮추기 위해 LFP 배터리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프랑스 르노는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해 전기차용 파우치형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LFP, 전기차 진입장벽 낮추는 대안으로 부상 LFP 배터리는 저렴한 가격과 삼원계보다 높은 열안정성 덕분에 화재 우려로 높아진 소비자들의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다. 중국은 LFP 배터리 주 원료인 인광석 최대 매장국이기 때문에 저렴한 원재료 수급이 가능하다. LFP배터리는 리튬·코발트 등 원가 변동성이 큰 금속을 사용한 삼원계 배터리 보다 원가가 30~50% 저렴하기 때문이다. 전기차 전체 가격 40%를 차지하는 배터리가 낮아지면, 전기차 가격도 낮출 수 있다. LFP 배터리를 채택하는 업체가 늘어난 데는 전기차 선두업체 테슬라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테슬라가 경쟁사인 BYD LFP 블레이드 배터리를 모델Y에 탑재했기 때문이다. LFP 배터리는 원래 300km 정도로 주행거리가 짧은 것이 단점이었는데, 테슬라 모델Y는 LFP 배터리를 탑재했는데도 400km 수준 주행거리를 확보해 경쟁력을 인정 받았다. LFP 배터리에 관심을 가지는 OEM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LFP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단,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을 넘어서기 어려워 고성능 LFP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SDI는 하이니켈과 블렌딩해 LFP 밀도를 약 10% 향상하고 셀 안전성을 개선한 LFP+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지난해 르노향 LFP 배터리를 수주한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과 미국 OEM과도 협의를 진행 중이다. 테슬라가 포문 연 46파이, 벤츠·GM·리비안 등도 도입 테슬라는 원통형 배터리 시장이 커지게 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원통형 배터리는 직육면체(각형) 대비 공간 효율이 낮고, 각형, 파우치형 대비 다소 낮은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력 폼팩터가 아니었다. 테슬라는 초기 전기차 모델부터 원통형 배터리를 적용했다. 노트북 배터리용으로 이미 대량 생산 중이던 배터리 18650(지름 18mm, 길이 65mm) 배터리를 사용했다. 가격이 저렴하고 공급망도 안정적이었기 때문이다. 원통형 배터리는 수십 년간 축적된 자동화 생산 기술 덕분에 가장 저렴하게 대량 생산 가능한 형태기도 했다. 테슬라는 더 많은 에너지·더 빠른 충전·더 적은 셀로 같은 용량을 구현하기 위해 원통형 배터리 크기를 18650→2170→4680 순으로 대형화하는 데 성공했다. 46파이 시리즈는 기존 배터리 보다 셀 하나에 더 많은 에너지 저장할 수 있어 배터리 팩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배선과 연결 부품 등이 줄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두꺼운 구조 덕분에 기계적 안정성도 높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 받는다. 이에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46파이 배터리에 관심을 둔다. 테슬라 외에 GM, BMW, 벤츠, 스탤란티스, 볼보, 리비안 등 다수 완성차 업체들이 46파이 배터리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테슬라에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해 온 LG에너지솔루션에 희소식이다. 덕분에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까지 중대형 전지 판매량이 부진할 가능성이 높지만, 반면 원통형 전지 수요 가시성은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올해 인터배터리에서 46파이 배터리를 주력 제품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46파이 배터리를, 삼성SDI는 차세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라인업을 전격 공개했다. 46파이 배터리 개발에 가장 늦게 뛰어든 SK온도 다양한 높이 형태로 개발은 완료했고, 양산을 준비 중인 상태다.

2025.03.10 17:16류은주

LGU+, AWS와 손잡고 '소버린 클라우드' 공동 개발

LG유플러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1위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AI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LG유플러스와 AWS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25 현장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국내 AI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위한 'AX얼라이언스' 전략을 공동 추진키로 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 개발 ▲AI 플랫폼 및 솔루션 개발 ▲AI 컨설팅 등 분야에서 협업을 약속했다. 우선 양사는 'AX얼라이언스' 전략의 첫 단계로 국내 공공·금융·첨단 기업의 AX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특정 국가의 법률과 규제를 준수하며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의 저장·처리·운영 등을 해당 국개 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국내 기업은 소버린 클라우드를 통해 데이터 통제권과 자주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어 양사는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sLLM인 익시젠과 AWS의 LLM '노바(Nova)'를 최적화하고 국내 기업 고객들이 AI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워크 에이전트(Work Agent)'를 공동 개발한다. 워크 에이전트를 활용하면 AI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국내 기업도 빠르게 AI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LG유플러스는 AI 기반 예측 추천 알고리즘과 AWS의 플랫폼을 활용해 AICC를 한층 고도화한 '커스터머 에이전트(Customer Agent)'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도 LG유플러스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AWS 내 AI 컨설팅 조직인 GenAIIC(Generative AI Innovation Center)의 국내 전문 파트너로 참여할 방침이다. 양사는 AI 분야 파트너를 넘어 향후 데이터 보안 등 소버린에 특화된 클라우드 전문 컨설팅 파트너사로 파트너십을 이어갈 계획이다. 권용현 LG유플러스기업부문장(전무)은 “이번 AWS와의 협업을 통해 AX 전환에 고민이 많은 국내 기업들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회사가 AX 경쟁력을 지속하고 강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글로벌을 선도하는 파트너 사업자와의 협업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10 10:41최지연

에이수스, 고성능 AI 비즈니스 노트북 '엑스퍼트북 P1' 출시

에이수스는 비즈니스 업무에 최적화된 넓은 화면과 고성능 인공지능(AI) 기능을 갖춘 '엑스퍼트북 P1'을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엑스퍼트북 P1은 인텔 코어 프로세서 및 듀얼 SSD를 탑재했으며, 메모리 및 저장 공간 모두 비즈니스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각 최대 64GB 및 1TB로 확장 가능하다. 에이수스에 따르면 15인치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1.6kg 무게는 사무실 출근과 재택 근무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은 물론 출장이 잦은 직장인에게 적합하며, 동급 타사 모델 대비 고용량의 50Wh 배터리를 탑재해 외출 시에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배터리로도 충전이 가능한 전압을 지원해 높은 휴대성을 갖췄다. 이와 함께 에이수스 전용 온디바이스 AI 회의 솔루션인 'ASUS AI 엑스퍼트미트' 소프트웨어를 내장해 비즈니스 회의 또는 미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주요 8개 언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번체 및 간체 중국어) 간 기기내 실시간 양방향 번역 및 자막 기능 ▲자동 캡션 기능 ▲회의 및 비디오·오디오 클립의 요약 기능 ▲화상 회의 중 이미지 및 공유 화면에 스마트 워터 마크 반영 기능 등을 활용해 더 전문적이면서도 보안에 철저하게 비즈니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신제품은 비즈니스를 위한 탄탄한 내구성도 갖췄다. 미국 국방성 규격인 밀스펙을 넘어서는 추가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해 일반 소비자 노트북에 비해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으며, ▲힌지 테스트(클림쉘) ▲낙하 테스트 ▲고하중 테스트 ▲패널 압력 테스트 ▲키보드 내구성 테스트 ▲키보드 발수성 테스트 ▲포트 내구성 테스트 ▲비틀기 테스트 등 11가지 카테고리에서 24개의 검증을 통과했다. 특히 제품 설계 단계부터 수백 가지의 내부 내구성 테스트를 통해 더욱 견고하고 단단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뿐만 아니라 듀얼 USB 3.2 Gen 1 타입-A, 듀얼 USB 3.2 Gen 1 타입-C, HDMI, 오디오 콤보잭,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를 지원해 다른 기기 및 액세서리와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공식 소비자 가격은 67만9천원부터 시작한다. 에이수스는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오는 31일까지 ASUS 온라인 스토어 단독으로 엑스퍼트북 P1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전 모델 3만원 즉시 할인 혜택과 함께 제품 구매 시 기본 제공되던 1년 무료 국내 출장 서비스 기간에 1년 보증 추가 연장이 적용돼 총 2년 동안 서비스 혜택을 받아볼 수 있다. 출장 서비스 등 보증 관련 자세한 사항은 ASUS 공식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한편 엑스퍼트북 P1은 에이수스 공식 스토어, 네이버 브랜드스토어, 쿠팡, 11번가, G마켓, 옥션, SSG 등의 온라인 판매처에서 구매 가능하며, 기업 전용 보안 및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엑스퍼트북 B1과 동시 출시돼 개별 문의를 통해 맞춤형 사양 지정 및 견적 상담이 가능하다. 신제품 관련 자세한 내용은 ASUS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3.10 10:20장경윤

국내 완성차 생산, 5년만에 하락…생산순위 7위

지난해 한국 자동차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다. 자동차 수출이 지난해 대비 증가했음에도 내수가 줄어든 영향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완성차 산업의 잠재력이 높지 않아 생산량 감소는 완성차 및 부품산업의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대비 0.5% 감소한 9천395만대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급감(15.4%)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생산 감소는 토요타, 혼다 등 일부 업체의 품질 인증 부정 문제로 인한 일본의 생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태국, 한국, 스페인 등도 감소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수출대수가 278만대로 전년 대비 0.6%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으로 전년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를 기록했다. 생산량 순위도 글로벌 5~6위에서 다시 7위로 하락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미국, 일본, 인도가 4년 연속 상위 4개국 자리를 유지했으며, 이들 4개국의 생산은 글로벌 전체 자동차 생산의 59.7%를 차지했다. 중국은 정부 주도의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이 연계되면서 전년대비 3.7% 증가한 3천128만대를 생산했다. 올해 중국은 16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미국은 1천596만대(2.2% 상승)로 내수 판매가 증가했지만 제조업체들이 재고 관리에 집중하면서 생산은 0.7% 소폭 감소한 1천56만대를 기록했다. 일본은 토요타 등 일부 업체의 품질 인증 부정 취득 문제와 자연 재해로 인한 생산 중단 여파로 전년대비 8.5% 감소한 824만대를 생산했다. 인도는 내수 판매와 수출이 견고한 동반 성장세를 보이며, 전년대비 2.9% 증가한 601만대를 생산했다. 연간 400만대 수준의 중위권 경쟁에서는 한국이 멕시코에 6위 자리를 내주며, 독일, 멕시코, 한국이 순위를 이룬 것으로 집계됐다. 독일은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수 판매 감소 영향으로 0.7% 감소한 442만대를 생산했다. 멕시코는 수출과 내수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5.0% 증가한 420만대를 기록, 5년 만에 6위 자리를 회복하며 역대 최대 생산 실적을 달성했다. 한국은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5만대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를 생산했다. 이로 인해 생산순위도 7위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 대내외적 도전과제에 직면해 산업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국내 자동차 시장은 잠재 수요가 적은 한계를 갖고 있어, 올해 내수가 전년대비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생산 확대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또한 중국 업계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은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은 완성차 기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 기업들의 해외 생산 및 투자 확대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KAMA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에 제때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 약화로 글로벌 톱10 생산국에서 밀려날 위험이 있으며, 전방위적인 산업적 영향이 우려된다"며 "국내 공장 가동률 저하는 부품업계 경영 악화와 고용 감소로 이어지며, 전후방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산업이 국내 제조업 생산과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생산 기반 약화는 국가 제조업 경쟁력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 KAMA 관계자는 "국내 생산 규모 유지 및 확대라는 명확한 목표 아래, 글로벌 선진국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생산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가칭)국내생산촉진세제'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5.03.10 09:06김재성

잠비아 기술과학부와 화웨이, 글로벌 스마트 빌리지 쇼케이스 공동 개최하며 마을의 새로운 디지털 전환 모드 모색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9일 /PRNewswire/ -- 잠비아 기술과학부(Ministry of Technology and Science)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가 열리는 동안 화웨이(Huawei)와 손을 잡고 잠비아의 스마트 빌리지를 소개하는 글로벌 쇼케이스를 개최했다. 이번 쇼케이스는 '국가 디지털화를 가속하는 안전하고, 자주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내는 네트워크-클라우드 전략(Secured, Sovereign & Synergized Network-Cloud Strategy Accelerating National Digitalization)'이라는 제목의 정부 산업 포럼에서 열렸다. 포럼에는 공공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는 업계 리더와 기술 전문가 200여 명이 모여 디지털 기술에 의해 주도되는 국가 전환의 길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Zambia and Huawei Launch the global Smart Village Showcase (Left to right: Victor Guo, President of Sub-Saharan Africa Enterprise Business, Huawei; Li Junfeng (Wind), CEO of Global Public Sector BU, Huawei; Felix C. Mutati, Minister of Technology and Science, Zambia; Brilliant Habeenzu, Permanent Secretary of Technology and Science, Zambia; David Wang, Vice President of Corporate Communications, Huawei ) 잠비아 최초의 스마트 빌리지 부지가 30일간의 건설 끝에 2024년 7월 성공적으로 완공됐다. 이 프로젝트로 마을에는 전기가 제공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했으며, 원격 의료 및 교육 서비스도 제공됐다. 현재 전 세계 정부는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공공 서비스 업그레이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리준펑(Li Junfeng) 화웨이 부사장 겸 글로벌 공공 부문 사업부 CEO는 이날 행사 연설에서 정부의 디지털 전환이 국가 역량을 강화하고 국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AI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이 개발한 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의 광범위한 활용은 기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생산 역학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이런 면에서 화웨이는 다양한 기회를 활용하고 디지털 정부를 보다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게 만들기 위해 국제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다. Li Junfeng (Wind), Vice President of Huawei and CEO of Global Public Sector BU, delivering his speech 포럼에서 코홍엉(Koh Hong-Eng) 화웨이 글로벌 공공 서비스 산업 수석 과학자는 다양한 내빈을 초청해 국가 디지털 전환에 대해 논의했다. 펠릭스 C. 무타티(Felix C. Mutati) 잠비아 기술과학부 장관은 스마트 빌리지 프로젝트가 잠비아의 '2030 비전'과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우리는 스마트 교육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 지식뿐만 아니라 4차 산업 혁명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힘을 실어주고 있다"면서 "잠비아의 디지털 전환은 기술뿐만 아니라 사람, 발전, 잠재력과 모두 관련된다. 그것은 지역 사회에 힘을 실어주고,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잠비아인이 국가 발전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Koh Hong-Eng, Global Chief Public Services Industry Scientist interacting with guest speakers (Left to right: Rose Pola Pricemou, Minister of Posts, Telecommunications and the Digital Economy, the Republic of Guinea; Vito Epis-copo, Deputy Mayor of the City Council of Granada, Spain; Dr. Erol Özgüner CTO of Istanbul Metropolitan Municipality, Türkiye; Felix C. Mutati, Minister of Technology and Science, the Republic of Zambia; Koh Hong-Eng, Chief Scientist of Huawei Global Public Sector BU ) 화웨이는 '정부와 공공 서비스 지능을 가속하고, 인지 사회를 함께 구축한다(Accelerating the Intelligence of Governments and Public Services, Building a Cognitive Society Together)'는 개념을 고수하면서 비즈니스 시나리오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또 '탁월한 거버넌스, 더 나은 삶의 질, 고도화된 경제(excellent governance, better livelihood, and heightened economy)'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의 광범위한 사용을 촉진하는 한편, 전 세계 정부가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한 디지털 사회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5.03.10 00:10글로벌뉴스

6G 표준 글로벌 경쟁 본격화...한국서 닻 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G 기술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단체인 3GPP의 6G 기술에 대한 첫 논의인 '6G 워크숍'과 '기술총회'가 10일부터 14일까지 인천에서 개회한다고 밝혔다. 스페인에서 열린 'MWC 2025'에서도 6G는 주요하게 다뤄졌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MWC 기간 중 GSMA 사무총장, 스페인 국왕(디지털전환공공기능부 장관), 미국 FCC 위원장, 폴란드 부총리 등 주요 인사와 양자면담을 통해 6G 등 차세대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협력 증진을 논의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6G 목표 서비스와 핵심 성능 등을 담은 '6G 비전'을 승인함에 있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이를 토대로 실제 기업들이 참여해 3GPP에서 기술표준을 만드는데, 이를 위한 첫발을 내딛는 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한 것이다. 3GPP는 새로운 세대의 이동통신 표준을 개발하기에 앞서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는 워크숍을 개최해왔다. 이번 워크숍은 6G 표준 개발의 본격적인 시작 단계로, 표준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의 닻을 올린 것이다. 기업들의 관심도 크다. 6G 표준의 큰 방향성이 결정되는 워크숍에 전세계 모바일 생태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국내외 120여 회원사로부터 약 230여개의 회의문서가 접수됐다. 이동통신 사업자, 제조사 등 전통적인 통신업체 외에도 위성업체, 자동차 업체, IT/컴퓨팅 업체 등 통신 인프라를 활용할 업체에서 약 1천여명의 표준전문가가 참석한다. 워크숍에서는 6G에서의 ▲AI 내재화(AI Native) ▲가상화 및 오픈랜 ▲5G 기반으로 구축된 기존 산업과의 호환성 ▲비지상망(NTN) 기술 ▲단독모드(Stand Alone) 등을 주요 논의사항으로 다룰 예정이다. 3GPP는 동 워크숍 결과를 바탕으로 12일부터 개최되는 기술총회에서 6G 연구를 위한 작업범위를 결정하고, 본격적인 6G 기술 연구에 돌입할 예정이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6G 청사진인 ITU 비전을 한국이 주도하여 개발함에 이어 본격적인 표준 개발도 한국에서 시작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6G 시대의 주역이 되겠다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정부는 국내 산업계가 제시한 기술들이 6G 표준 기술로 승인되도록 시작부터 끝까지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03.09 12:00최지연

AI 기지국이 소비자에는 어떤 도움이 될까요

[바르셀로나(스페인)=박수형 기자] 인공지능(AI)이 열풍을 끄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사람의 일을 대신 해준다는 점에 가장 초점이 맞춰져 있다. 궁극적으로 기술의 발전이 인류를 편리하게 한다는 이유에 더해 기술 자체가 하나의 산업으로 여겨지면서 글로벌 자본과 기업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통신업계도 다르지 않다. MWC25를 전체적으로 둘러보면 가입자 대상 서비스를 풍요롭게 만드는 AI 에이전트 개발이 한창이라는 점이 확인된다. 또 네트워크 장비에서도 AI RAN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도 대대적으로 예고됐다. 다만 AI RAN이 누구에게 이익이 될지 살펴보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며 유지보수를 맡는 통신사업자에 집중된 경향이 짙다. AI가 보통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며 얻고 있는 인기와 관심과는 달리 사업자 측면의 이점이 더욱 두드러지는 게 현실이다. 이를 두고 에릭슨의 인지네트워크솔루션 총괄을 맡고 있는 장 크리스토프 라네리 부사장은 “AI RAN은 엔드유저(소비자) 입장에서도 이점이 분명하게 나타난다”고 강조했다. 장 크리스토프 라네리 부사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MWC25 에릭슨 전시 부스에서 기자와 만나 “소비자 입장에서 AI RAN이 도입되면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의 장애를 감지하고 품질을 유지하는 안정적인(secure)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니즈의 서비스 차별화가 AI RAN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지연 속도(latency)에 따라 게임 품질에 확연한 차이가 두드러지는데 어떤 통신 서비스 이용자가 불편을 겪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는 어떤 현장(site)에서 최저 지연 속도를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이 된다면 결국 네트워크 기술자가 수동으로 처리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작업이다. 무선 통신을 기반한 게임을 한 번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이 진행된다는 게 사실상 이치에 맞는 일은 아니다. 반면 AI RAN이 적용됐다면 기술자가 상황을 인지하고 수동으로 재설정 작업을 하는 상황을 동적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AR글래스도 사실상 같은 논리로 쓰임새가 확장될 수 있다. 글래스를 착용한 이용자에게 5G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전송 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면 그저 값비싸고 무거운 장신구에 불과해진다. 장 크리스토프 라네리 부사장은 “MWC에서 본 한 통신사는 RAN 자동화를 최우선에 두고 다른 통신사는 그들의 수익 창출, 비즈니스 성장과 함께 네트워크 신뢰성, 서비스 품질 등을 이유로 더 높은 수준의 자동화와 효율성을 도입하려고 한다”며 “이는 전적으로 통신사업자가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이 무엇인지, 그 변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 AI 포함 여부에 달려 있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통신사들이 네트워크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AI를 도입하려고 하는데 일반 소비자에게도 서비스 품질과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또 “AI RAN은 주파수와 자원 활용을 최적화해 설비 투자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투자 여력을 끌어내는 동력”이라며 “많은 추가 비용과 복잡함 없이 더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게 해 기존 인프라를 더 효율적이며 덜 복잡하고, 자원 집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또 AI 기반 혁신은 통신사업자가 클라우드, 로봇공학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고, 수익성이 높은 공공 유틸리티, 운송 산업과 같은 분야의 서비스를 향상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AI RAN이 네트워크 운영 효율화에 더해 네트워크 기반 신규 서비스 개발을 도울 수 있을 것이란 뜻이다. 신규 서비스 개발로 통신사업자의 새로운 수익을 만들어내는 것도 AI가 도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AI를 적용하면 네트워크 운영의 에너지 이용이 증가할 것이란 우려에 대해 오히려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AI 적용 규모가 늘어날수록 에너지 절약이 분명해진다는 점이 이목을 끈다. 장 크리스토프 라네리 부사장은 “AI 애플리케이션의 목적과 규모에 따라 다를 수는 있다”면서도 “AI 기반 기능이 때로는 전력 소비 감소 자체가 목표로 삼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일부 AI 기능은 네트워크 전체 또는 특정 하드웨어의 전력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 기능은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에너지 효율성 개선하기 위한 AI 기능은 전력 소비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AI 기반 기능을 호스팅하는 서버가 소비하는 전력을 살펴보면,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의 한 요소 또는 하드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된 에너지를 초과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네트워크 또는 수백 개의 기지국에서 변화를 유도하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훨씬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09 11:22박수형

  Prev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현대차그룹, KT CEO 후보 추천 안했다

'서울 자가 대기업 김부장' 인사쟁이들은 이렇게 봤다

[르포] 전기차로 모래 언덕 질주하고 입수…'BYD 서킷' 가보니

"휴머노이드 멀었다"…테라다인이 제시한 대안은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