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세리에 A 베로나⪙0ˎ👊{mt-call.com}✅㏰BETFRED∱BETMAN⩇0⍼'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3792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틀려야 트여”...스픽, 문상훈·밀라논나·원지·슈카 광고 공개

AI 영어 학습 솔루션 '스픽'을 운영하는 스픽이지랩스코리아가 "틀려라, 트일 것이다"를 주제로 한 두 번째 브랜드 캠페인 영상을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0일 공개된 첫 번째 캠페인은 AI 기반 음성 모델 'AI 신(新)해철'을 활용해 '자신 있게 틀리자'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어 공개되는 두 번째 캠페인 영상은 다양한 환경에서 스픽을 활용해 영어를 학습하고 성취하는 모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이번 캠페인에는 배우 겸 유튜버 문상훈, 패션 디자이너 밀라논나, 여행 유튜버 원지, 경제·시사 유튜버 슈카 등 각기 다른 분야에서 활약 중인 4명이 모델로 참여했다. 이들은 각자의 개성에 따라 영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스픽의 실용적인 학습법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영어를 틀리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다양한 모델을 통해 그려냄으로써 각양각색 한국인의 모습을 모두 담아냈다. 영상은 AI 신(新)해철의 내레이션과 함께 모델들이 자신에게 맞는 '프리톡' 시나리오를 선택해 서툴게 영어를 연습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어 꾸준한 도전을 통해 틀림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상 후반에는 학습을 통해 각자가 원하는 목표를 이룬 모델들의 모습을 담았다. 캠페인은 스픽과 함께라면 영어를 틀리는 과정이 곧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두려움 없이 지속적으로 말하는 것이 영어 학습의 핵심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은 캠페인의 슬로건인 "틀려라, 트일 것이다"라는 문구로 끝난다. 실제로 스픽은 학습자들이 주당 1천문장 이상 말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학습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틀리더라도 계속 말하다보면 영어는 언젠가 트인다'라는 광고 캠페인과도 결을 같이한다. 영상 강의 중간에는 학습자가 즉각적으로 문장을 말할 수 있는 스피킹 구간이 포함돼 있으며, 이후 반복 발화를 통해 익힌 내용을 강화하는 연습 단계로 이어진다. 또 AI와 함께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튜터 Q&A'와 '실전 대화' 기능을 통해 실질적인 영어 활용 능력을 높이고 있다. 스픽이지랩스코리아 정두현 브랜드 매니저는 "영어를 틀리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닌, 성장을 위해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라며 "이번 캠페인은 학습자들이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꾸준히 도전하며 자신감을 키우는 모습을 담아내는 데 중점을 뒀다. 각양각색의 모습이지만 공통된 고민을 안고 있는 한국 사람들의 모습을 최대한 담아내고자 다양한 모델과 함께했다"고 말했다. 이어 "새해에는 스픽과 함께하는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실력을 쌓아 나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4.12.24 08:47백봉삼

MBK 해명에도 '외국인 투자' 저촉 공방 지속

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 중인 MBK파트너스(이하 MBK)가 투자 주체 핵심 경영진은 모두 '내국인'이란 점을 강조하는 가운데 '외국인 투자' 저촉 논란이 장기화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MBK는 외국인 투자 논란과 관련해 고려아연 투자 주체인 'MBK 파트너스 유한책임회사'는 국내 법인이며, 내국인인 윤종하 부회장, 김광일 부회장이 의결권 기준으로 공동 최다출자자라는 주장을 이어갔다. MBK 서울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내국인 인력들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이 세 번째 출자자며, MBK 설립자인 김병주 회장은 20% 미만 지분을 가진 4대 출자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MBK 투자를 결정하는 경영진 다수가 외국인이라는 지적에 반박한 내용이다. 하지만 법조계 등에서는 조항에 따른 외국인이 지배하는 회사는 외형이 국내법인인지 여부 등이 핵심 쟁점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온다. 산업기술보호법 시행령 제18조의 2와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외국인 투자'로 판단하는 기준은 '투자 등 주요 의사결정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가 외국인인지 여부'이기 때문이다. 김병주 회장이 모든 경영진 가운데 유일하게 거부권(비토권)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고, MBK 대표업무집행자 부재훈 부회장이 외국인이라는 점에서 의사결정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가 외국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김 회장이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대부분 투자심의위 멤버가 찬성해도 외국인인 김 회장이 그 결정을 뒤집거나 멈출 수 있다는 얘기"라며 "김 회장이 보유한 비토권이 소극적이라는 MBK 해명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회장이 지난 11월 언론에서 "지배구조와 주주가치를 위해 고려아연 인수에 나섰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 고려아연 M&A를 최종 결정한 것이 사실상 김 회장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편, MBK는 지난 2016년 4월 인수해 같은해 11월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이 된 두산공작기계를 중국에 매각하려고 시도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2019년 중국기업에 두산공작기계를 매각할 수 있는지를 정부 당국자와 관계기관 등에 수차례 문의했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전해졌다. MBK는 이같은 보도 내용 '음해성 정보'라고 부인했다. MBK는 "두산공작기계 매각을 타진하려 했던 2019년부터 당시 매각주관사 'BoA 메릴린치'에 세계 관련 기업들 문의가 잇따랐고, 중국 기계 업체들도 매각 주관사에 관심을 표명했다"며 "주무부처 산자부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중국 기업과는 구체적인 매각 협의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2024.12.24 08:29류은주

LG전자, 13년 연속 'DJSI 월드' 편입

LG전자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월드(World)'에 13년 연속 편입했다. 지속가능성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2500대 기업 중 ESG 경영 상위 10%에 속함을 의미한다. 글로벌 금융정보회사 S&P 글로벌은 매년 기업의 경제적 성과 뿐 아니라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분야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DJSI를 발표한다. 이는 기업 간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비교하고, 사회책임투자를 결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LG전자는 올해 S&P 글로벌의 지속가능성평가 '가전 및 여가용품(Leisure Equipment & Products and Consumer Electronics)' 부문에서 가장 높은 종합점수를 받아 13년째 DJSI 월드에 선정됐다. 가전 및 여가용품 부문 국내 기업 중 최장기간 기록이다. 아울러 'DJSI Asia Pacific'(아시아·태평양 지역 600대 기업 중 상위 20%) 및 'DJSI Korea'(국내 200대 기업 중 상위 30%)에도 각각 15년, 16년 연속 편입했다. LG전자는 환경 정책 및 관리, 인권 경영, 인적 자원 관리, 고객 관계, 공급사슬 관리, 제품 책임관리 등 ESG 영역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전자는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이라는 ESG 경영 비전 하에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구를 위한 3C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제조 과정에서 2030년 탄소중립, 2050년 재생에너지 100% 전환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구체적으로 공정 개선, 에너지 절감 기술 도입, 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제품 생산 단계의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을 2017년 대비 54.6% 감축하고, UN 탄소배출권 등을 활용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2015년 가전업계 최초로 UN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획득했다. 나아가 제품 사용 단계(Scope 3)에서도 7대 주요 제품군(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가정용·시스템 에어컨, 모니터) 글로벌 판매 모델의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제품별 소비전력 개선 등 여러 활동으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겠다는 의지다. LG전자는 또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 및 R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책임있는 비즈니스 연합) 회원사로서 국제기구의 인권 및 노동 기준을 준수하고, 강화되는 글로벌 ESG 관련 법안에 대응하기 위한 인권경영 프로세스도 고도화하고 있다. 올해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 글로벌 ESG 평가기관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가 실시한 ESG 평가에서도 5년 연속 A등급을 받는 등 공신력 있는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ESG 경영 성과를 두루 인정받고 있다.

2024.12.24 08:20이나리

마우저, 몰렉스 MX150 패스스루 밀폐형 커넥터 공급

반도체 유통업체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몰렉스(Molex)의 MX150 패스스루(pass-through) 밀폐형 커넥터를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몰렉스의 MX150 차량용 커넥터 제품군에 속하는 MX150 패스스루 밀폐형 커넥터는 차세대 자동차 및 산업 애플리케이션용 전기 모터 시장을 지원한다. 이 제품은 오일 냉각 모터와 관련 리졸버/변압기, 온도 센서에 내유성 연결을 제공하는 밀폐형 패널 실장형 커넥터다. 최대 14VDC 전압과 12A 전류를 지원하며, 12회로 2열 적층형 2x3 커넥터 설계를 채택했다. 특히 이 제품은 기존 USCAR 커넥터보다 작은 패키지 크기를 구현하면서도, IP6K9K 및 GMW3191-S3 밀봉 등급과 GMW3191-V5 진동 등급을 충족한다. 2링 실 옵션을 통해 단일 링 실 커넥터 대비 향상된 신뢰성과 일관된 연결성을 제공한다. 제품의 주요 특징으로는 △1.50mm 터미널 시스템의 빠르고 정확한 체결 △극한 온도와 진동, 습기, 화학물질 환경에서도 안정적 작동 △조립이 간편한 일체형 하우징 △터미널 백아웃 방지 기능 △오결합 방지 분극 하우징 등이 있다. 마우저 측은 "이번 제품은 차세대 자동차 및 산업 애플리케이션용 전기 모터에 대한 업계의 높은 신뢰성 요구사항에 부응하는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이라며 "적층형 설계를 통해 다른 솔루션 대비 조달 유연성이 높고 공급망 위험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2024.12.23 17:43이나리

위기의 석유화학 구하기…결정적 한방은 부족

전례 없는 위기에 처한 국내 석유화학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다. 업계는 환영하면서도 다소 아쉽다는 반응을 보인다. 최악의 현 상황을 뒤집을 만한 획기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석유화학산업은 중국발 공급 과잉과 세계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한 수요 부진으로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불황 장기화로 과감한 구조조정(사업재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가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청하는 가운데 정부가 경쟁력 제고 방안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관계부처와 합동해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 발표안에는 공급과잉 NCC 설비 합리화와 시장 경쟁력 보강 등을 위해 3조원 규모 정책 금융을 투입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금융 지원해 숨통 틔운다 구체적으로 설비투자·R&D·운영자금 등 저리대출과 보증료 0.2~0.5%p 차감 등과 함께 기업활력법에 따른 사업재편, 합작법인 설립, 고부가 소재기업과의 M&A 등에 대한 사업구조전환지원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활력법은 기업이 인수합병(M&A)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한꺼번에 해결해 주는 '원샷법'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요건 현실화 후, 지역경제 어려움이 예상되는 지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 검토하기로 했다. 선제대응지역 내 협력업체 고용유지지원금 지원대상 기준을 완화하고, 협력업체,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예를 들어 정책금융기관 기존대출 만기연장(1년), 원금상환 유예 등이 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시 지역투자보조금 지원비율을 최대 15%에서 25%로 상향 지급한다. 신속한 사업 재편 및 고부가가치·친환경 제품 전환 지원 자발적 사업재편을 유도하는 체계도 마련했다. 기업활력법상 사업재편 기업 지주회사 규제 유예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고, 사업재편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매도자의 양도차익 과세이연 기간 연장 등 세제·고용을 지원한다. 신속한 사업재편 촉진을 위해 공정거래법 활용도 확대한다. 기업들이 기업결합 신고 전 공정거래위원회와 사전 협의해 심사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설비운영 효율화를 위한 정보교환 사전심사 기간을 30일에서 15일로 줄인다. 사업 진출을 위한 국내외 석화기업 간 M&A 컨설팅도 지원한다. 원료·유틸리티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규제도 합리화한다. 일부 석화기업들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탄 도입을 추진 중인데, 이를 위한 인허가 패스트 트랙을 지원한다. 산업부는 고부가 스페셜티 R&D 투자 확대방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고부가·친환경 전환이 필요하나, 업계의 대응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고부가 스페셜티 분야 'R&D 투자 로드맵' 수립과 예타 신청 등을 추진한다. 친환경 분야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관련 제도도 손본다. 예를 들어 열분해유 기반 합성수지 제품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을 신설해 공공기관이 의무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고부가가치·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에 기업들은 반색한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마다 주력 제품과 처한 상황이 다르다 보니 대책안을 놓고도 반응이 다를 것"이라며 "다만, 고부가가치·친환경 제품 R&D 등은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지원이기에 환영할만하다"고 말했다. "회심의 한방 없어...아쉽지만 그래도 이게 어딘가" 이번 대책이 정부 주도 인위적 사업재편보다는 산업계 자율에 맡긴다는 점에서 적극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과거 일본은 정부 주도 하에 구조조정을 적극 실시해 위기를 돌파한 바 있다. 하지만, 국내 석유화학산업 위기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불거진 만큼 정부 개입에 한계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정부는 기업 스스로 독립적 전문기관을 통해 석유화학 산업 재편계획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산출된 결과를 향후 정부지원 기준과 원칙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사업구조 고도화, 설비감축 등 범용품 공급과잉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재편 계획을 제출한 기업에 한해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산단별로 기업간 비용 절감을 위한 자율적 협력방안 논의를 촉진한다는 입장이다. 적극적 개입보다는 금융 지원에 초점을 맞춘 소극적 개입이 주를 이룬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율에 맡긴 경우도 많아 기존에 예상했던 것 이상의 대책안이 나왔다고는 보기 어려워 보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사실 이 상황을 타개할 만한 회심의 한방이랄만한 것은 없지만, 힘든 상황에서 금융 지원이라도 받는게 어딘가하는게 솔직한 입장일 것"이라며 "기업별로 받을 수 있는 최대한의 지원을 받기 위한 전략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한국화학산업협회는 이날 정부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크게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다. 신학철 화학산업협회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경쟁력 제고 방안이 차질 없이 발표된 것에 대해 업계를 대표해 감사의 뜻을 표한다"며 "이번 경쟁력 제고 방안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 주력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제시된 대책들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23 16:08류은주

KAI, 정찰위성 3호기 시제 제작 발사 성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회사가 개발에 참여한 정찰위성 3호기가 21일 저녁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를 사용하여 발사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정찰위성 3호기는 총 5기의 정찰위성을 띄우는 '일명 425 사업'의 일환이다. 지난해 12월 발사된 고성능 전자광학·적외선(EO·IR) 카메라를 탑재한 광학위성 1호기와 지난 4월 발사에 성공한 SAR 위성 1호기에 이은 세 번째 위성이자 SAR 위성 2호기다. 특히, SAR 위성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기존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광학(EO) 위성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벗어나 기상 조건 및 주야를 가리지 않고 전천후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KAI는 2018년 12월부터 국방과학연구소과 SAR 위성체 시제제작 계약을 통해 SAR위성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위성체 환경시험 및 발사에도 참여하여 정찰위성 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425사업이 완료되면 우리 군은 주요 관심 지역의 관측자료를 수 시간내 수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효과적으로 억제·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이 수립한 한국형 3축 체계(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 대량응징보복)의 한 축인 킬체인의 눈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KAI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부터 7A호까지 개발에 참여했다. 차세대중형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 등 지난 30년간 정부가 추진해온 우주사업에 참여하며 국내 민간 우주 산업화를 주도적으로 수행해왔다. 특히 국방과학연구소와 작년 5월에 체결한 초소형 SAR검증위성 개발사업을 통해 향후 초소형위성 양산 및 군집 운영으로 주요 관심지역을 24시간 빈틈없이 들여다보는 감시체계 구축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KAI가 개발에 참여중인 초소형 위성 및 425SAR 위성에 대한 해외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항공기와 연계한 패키지 수출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위성의 해외수출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425사업 3호 위성의 발사 성공은 그간 국가 우주발전을 위해 개발에 성실히 참여하여 얻은 성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향상을 통해 국가 우주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4.12.23 16:03신영빈

같은 듯 다른 혼다·닛산 통합 속도..."넘어야 할 산 많아"

398만대(혼다)+337만대(닛산)+78만대(미쯔비시자동차). 최근 합병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는 혼다와 닛산, 미쯔비시자동차의 지난해 판매대수다. 합산 기준으로 지난해 730만대를 판매한 현대자동차그룹을 넘어선다. 세계 완성차 지각변동을 일으키는 합병 소식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혼다와 닛산은 이번주 이사회를 열고 본격적인 합병 논의에 돌입한다. 일본 완성차 2위와 3위의 통합 논의는 처음이다. 닛산이 24% 지분을 가지고 있는 미쯔비시자동차도 이번 합병에 동참하면서 지난 2021년 18개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 설립만큼 대형 완성차그룹이 탄생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합병으로 풀어야 할 숙제는 곳곳에 내재해 있다. 닛산은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판매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신차 출시도 수년간 지연됐다. 또한 두 회사의 서로 다른 기업문화도 걸림돌이다. 양 사가 합병 이후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성장부재' 닛산, 판매량 10% 급감…혼다에 구원 요청 닛산은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79만3천768대를 판매했다. 닛산이 전세계 시장에서 4대중 1대를 중국에 팔아왔다. 하지만 올해 들어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닛산은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올해 11월까지 62만1천713대를 판매해 지난해보다 10.53% 급감했다. 닛산의 이 같은 부진은 성장동력 상실에 있다. 지난 2018년 카를로스 곤 전 닛산 회장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한다. 곤 회장은 1999년 경영위기를 겪은 닛산의 실적을 개선해 냈지만, 원가절감 등을 이유로 함께 기술을 개발하던 협력사들을 내치고 저렴한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에만 힘을 주면서 중국 협력업체 의존도를 높였다. 또한 곤 회장은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차 기술 개발보다는 전기차에 집중했다. 하지만 최근 전기차 시장 둔화와 겹쳐 하이브리드차 선호도가 높아지는 미국 시장에서 성장도 줄어들었다. 닛산은 올해 3분기(7월~9월) 미국에서 총 21만2천68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곤 회장의 후임자로 오른 경영진도 당장의 실적 만회에만 집중하면서 악순환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2019년 취임한 우치다 마코토 사장은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보다는 인력 감축과 비용 절감에 집중했고 지난달 9천여개 일자리를 없애고 생산능력 20%를 감축하는 방안을 발표하는 등 돌려막기에 급급했다. 혼다·닛산·미쯔비시 협력은 이미 예고된 것…"혼다 주도 연합체" 혼다와 닛산의 연합은 이미 지난 3월 결성됐다. 닛산은 비용절감과 효율화를 지속하면서 신차 개발이 늦어지고 있어 대규모 파트너십을 활용하겠다는 전략을 폈다. 이 같은 추세에 미래 일본 완성차는 토요타가 주도하는 연합과 혼다가 주도하는 연합으로 양분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 8월 미쯔비시까지 합류한 협의체는 혼다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닛산은 순수전기차 리프 등으로 쌓아온 노하우, 미쯔비시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쌓아온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입지를 각각 공유하는 공동협의체였다. 이 같은 협력 이후 4개월 만에 합병 논의까지 이어진 것이다. 영국 매체 머저마켓 편집장 루신다 거스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혼다와 닛산이) 올해 초 파트너십을 발표한 바 있으니 이번 합병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며 "다만 일부 보고서에는 폭스콘이 접근한 결과라고 주장하며 이번 결과가 합병이 될지, 파트너십에 가까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혼다와 닛산 합병의 물꼬를 튼 것이 대만 폭스콘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혼다가 최근 제너럴모터스(GM)와 이어오던 협력을 끝마친 것에 이어 기존 협력 대상인 닛산 마저 위기에 빠지자 이를 해결하고자 행동에 나섰다고 봤다. 폭스콘은 프랑스 신탁은행이 보유한 닛산 주식 인수를 타진한 바 있다. 르노가 닛산의 경영난 당시 인수했던 지분 43% 중 보유 지분을 15%로 낮추고 나머지는 단계적 매각을 위해 프랑스 신탁은행에 예치해뒀는데, 폭스콘이 이 지분을 인수하려고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혼다 입장에서는 협력체를 유지하고 프로젝트를 이어가기 위해서, 닛산은 주력 시장 중 한 곳인 미국에서 신차를 출시하기 위해 혼다의 하이브리드차 기술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닛산은 미국에서 신차 교체가 가장 늦은 기업으로 꼽힌다. 합병 후 풀어야 할 숙제…신차 늦어지고 기업 문화 달라 혼다와 닛산의 합병이 성사된다고 해도 풀어야 할 문제는 산적해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가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전통적인 해결책으로 봤지만 시기가 늦은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두 회사가 판매하는 차종(라인업)이 엇비슷해 시너지를 발휘하지 못 할수도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두 회사는 미국 등 여러 시장에 동일한 유형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세단을 판매한다"며 "자동차 산업에서 합병과 파트너십은 성공하지 못한 역사로 점철돼 있다"고 분석했다. 아키라 키시모토 JP모건 애널리스트도 CNBC에 "(합병에)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많다"고 했다. 특히 이들 기업 중 주도권을 누가 잡을지도 관건이다. 업계에서는 혼다와 닛산의 기업문화 차이를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혼다는 현장을 중시하는 창업자 혼다 소이치로를 시작으로 대부분 최고경영자가 엔지니어였다. 반면 닛산은 도쿄대 출신 엘리트를 선호하고 최고경영자는 주로 영업에서 나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두 기업의 전혀 다른 기업 문화가 잘 융화될 수 있을지 걱정되는 부분"이라며 "다만 이번 합병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완성차 업계의 변동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2024.12.23 16:01김재성

VOD 광고도 줄었다...유료방송 품질평가 결과 전반적 개선

IPTV와 케이블TV 등 유료방송에서 VOD 서비스의 광고 횟수와 시관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유료방송 품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VOD 광고 감소는 시장 경기까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23일 이같은 내용의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유료방송 서비스 품질평가는 전체 18개 유료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유료방송서비스를 대상으로 채널 전환시간, 주문형 비디오(VOD) 광고 횟수와 시간 등의 정량적 항목과 영상 체감품질, 콘텐츠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 등의 정성적 항목을 평가하는 것으로, 2018년부터 매년 실시됐다. 올해는 실시간 채널과 주문형 비디오(VOD) 탐색에 대한 '정보탐색 만족도'를 신규 평가했으며, 이용자가 직접 평가하는 영상 체감품질 유형을 뉴스와 드라마에서 스포츠까지 3종으로 추가했다. 품질평가 결과, 올해는 전년도 대비 영상 체감품질,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와 콘텐츠 만족도 모두 향상됐다. 음량수준은 기준을 충족하여 양호한 수준이며, 셋톱박스 시작시간과 VOD 광고 시간 및 광고 횟수 모두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품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대기모드 상태인 셋톱박스를 켠 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점까지 시간을 측정한 셋톱박스 시작시간은 전체 평균 2.96초로 전년도 3.03초 대비 0.07초 감소했다. 채널 전환시간은 전체 평균 1.45초로 전년도 1.42초와 유사한 수준이다. 실시간 방송 채널별 음량수준의 평균과 채널간 음량차이의 평균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업자 모두 표준 음량기준인 -24 LKFS, 허용오차 ±2 dB을 충족했다. 기준음량 초과비율, 개별 채널간 최대 음량 차이도 개선된 수치를 보였다. 유료 VOD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0.37회, 광고 시간은 9.97초로 전년도 각각 0.51회, 12.94초에 비해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 VOD와 무료 VOD 광고 현황을 비교해보면, 무료 VOD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2.03회, 광고 시간은 67.63초로 유료 VOD 대비 광고 횟수는 5.5배, 광고 시간은 6.8배 많이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평가단 1천691 가구가 각 가정에서 직접 평가한 영상 체감품질은 전체 평균 4.60점(5점 척도)으로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제공되는 VOD의 다양성, 유료 VOD 비용의 적정성 등 콘텐츠 제공 현황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콘텐츠 만족도는 전체 평균 58.6점(100점 만점)으로 전년도(56.8점) 대비 향상됐다. 평가항목 중 장르 내 콘텐츠 영상의 개수가 충분한지를 평가하는 VOD 개수 항목은 모든 사업자 유형에서 유료 VOD가 무료 VOD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유료방송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전체 평균 65.2점(100점 만점)으로 전년도(63.7점)에 비해서 향상되었다. 서비스 단계별로는 설치(70.4점), A/S(68.9점) 단계에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이용(61.2점) 단계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해지(63.8점) 단계는 전년도(56.4점) 대비 만족도 점수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셋톱박스 성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61.9점으로 전년도(60.6점)에 비해 향상되었다. 올해 신규로 평가한 정보탐색 만족도는 실시간 방송 시청 중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탐색하거나 VOD 콘텐츠를 검색하는 기능 및 검색 결과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것으로, 전체 평균 63.8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평가결과, 올해는 전년대비 유료방송의 품질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유료방송 사업자 간 경쟁 촉진을 통해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도록 평가를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23 12:00박수형

[ZD SW 투데이] 더존비즈온, '연말정산 집중 세미나' 성료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더존비즈온, '연말정산 집중 세미나' 성료 더존비즈온이 전국에서 펼친 아마란스(Amaranth) 10, 아이큐브(iCUBE) 사용자 대상 '2024년 귀속 연말정산 집중 세미나'가 성료했다. 전국 15개 도시에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인사담당자 등 실무진뿐 아니라 연말정산을 담당하는 기업의 임직원 3천여 명 이상이 몰렸다. 이 같은 관심은 오는 23일부터 11일간 개최되는 위하고, 스마트A(WEHAGO, Smart A) 사용 임직원 대상 전국 연말정산 세미나에서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모든 직원이 알아야 할 AI 연말정산 : 원(ONE) AI로 원하는 답을 찾다'를 주제로 진행되며 시연도 진행된다. ◆SAP, 탄소 회계 솔루션 'SAP 그린 레저' 선봬 SAP가 고객의 재무 데이터와 직접 통합하는 가장 포괄적인 탄소 회계 솔루션인 'SAP 그린 레저(SAP Green Ledger)'를 전 세계에 정식 출시했다. SAP 그린 레저는 SAP 지속 가능성 솔루션의 일환으로, SAP ERP 솔루션이 기록한 특정 경제 활동과 거래에 탄소 배출량을 할당한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기업은 제품, 서비스, 조직 단위 전반에 걸쳐 탄소 발자국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고 분석하며 보고할 수 있게 된다. SAP 그린 레저는 전 세계 수천 개의 기업에서 구축한 SAP의 기존 재무 및 ERP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다. 기업은 이 솔루션을 통해 배출 데이터를 통합하고 확장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재무 성과를 연결함으로써 더 나은 정보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규정준수, 효율성, 투명성을 향상할 수 있다. ◆프루프포인트, 가트너 이메일 보안 플랫폼 부문 리더 선정 프루프포인트가 2024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이메일 보안 플랫폼 부문(Gartner Magic Quadrant for Email Security Platforms) 리더로 선정됐다.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보안 이메일 게이트웨이 부문은 프루프포인트가 7회 연속 리더로 선정된 2015년이 최근의 마지막 발표였다. 가트너는 2024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14개 벤더 대상으로 기업 운영 능력과 미래 비전 완성도 등을 평가했으며 프루프포인트를 리더로 선정했다. ◆베스핀글로벌, '헬프나우 AI'로 성동구청 챗봇 구축 베스핀글로벌이 자체 인공지능(AI) 에이전트 플랫폼 '헬프나우 AI(HelpNow AI)'를 기반으로 최근 시범 운영을 시작한 성동구청의 '성동형 스마트 AI 민원 안내 챗봇'의 구축을 완료했다. 성동형 스마트 AI 민원 안내 챗봇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대화형 AI 서비스로, 신속한 민원 대응을 통해 구민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둔다. 교통, 행정, 복지, 환경, 안전, 문화 등 10대 핵심 분야의 관련 정보를 순차적으로 서비스화해 24시간 365일 최적의 답변을 제공할 계획이다. 단순 안내 업무를 챗봇이 대체함으로써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딥러닝, AI 바우처 지원 사업 마무리 한국딥러닝이 '2024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부동산, 건설안전, 의료 분야의 3개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 및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AI 바우처 지원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솔루션 도입 비용의 일부를 바우처 형태로 지원한다. 한국딥러닝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AI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다. 내년에도 해당 사업의 공급기원으로 지원해 다양한 기업들의 AI 솔루션 도입을 도울 계획이다. ◆플레인비트,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파트너십 체결 플레인비트가 글로벌 보안 기업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플레인비트와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고객이 EDR의 과제를 해결하고 침해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공동 지원한다. 또 전문 기술과 솔루션을 결합해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플레인비트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국내 고객에게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EDR 및 MDR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초 기업이 됐다. 앞으로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콘(Falcon)' 플랫폼 제공에 나선다. ◆솔박스 시큐리티, 네이버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에 출시 솔박스가 세계 최대 규모의 디도스(DDoS) 공격을 방어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클라우드플레어 SECaaS(Security as a Service) 매니지드 서비스인 '솔박스 시큐리티(Solbox Security)'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의 마켓플레이스에 정식 출시한다. '솔박스 시큐리티'는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 위험을 원천 차단한다. 기존 중앙 집중식 디도스 방어 솔루션의 한계를 극복한 글로벌 애니캐스트(Anycast) 기반 엣지(Edge) 플랫폼을 통해 네트워크 병목 없이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2024.12.23 10:43장유미

삼성전기, 'DJSI 월드지수' 16년 연속 편입…국내 최초

삼성전기는 국내 최초로 DJSI 월드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World)에 2009년부터 16년 연속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DJSI는 미국 S&P 글로벌이 1999년부터 평가를 시작한 최초의 글로벌 ESG지수로, 지속가능성 평가 및 투자 분야에서 세계적인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뿐 아니라 환경·사회·거버넌스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심사해 지속가능경영 수준비교 및 책임 투자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DJSI월드 지수'는 매년 시가총액 기준 글로벌 상위 3000여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종합 평가하며 'DJSI 아시아퍼시픽'은 아시아 태평양의 약 600개 기업, 'DJSI 코리아'는 한국 내 약 200개 기업을 평가한다. 평가 대상 중 상위 10~15% 기업은 DJSI 월드에 선정된다. 삼성전기는 DJSI 월드 지수에 2009년 첫 편입된 후 16년간 지속적으로 등재되어 국내 최초 기록을 세웠다. 삼성전기는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 긍정적 사회 영향, 투명한 의사결정 및 소통 등을 경영활동에 적용하고 있다. 이사회 다양성 확대를 위해 여성 사외이사 비율을 50% 이상 유지하고 있으며, 사외이사에게 이사회 의장을 맡겨 경영활동에 대한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했다. 또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환경 영향 최소화 관리 진행, 상호 존중의 기업문화를 조성하며, 안전한 사업장 관리를 위해 안전 근무수칙 준수 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전사적인 폐기물 관리와 공급망 평가 활동 등을 통해 ▲폐기물 관리 ▲공급망 관리 ▲중대성 평가 분야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삼성전기는 MLCC 폐 PET 필름 새활용 근무복 제작, 협력사 대상 정기적 지속가능경영 평가 진행, 고효율 설비 운영, 책임 광물 관리 체계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경영을 중점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친환경, 긍정적 사회 영향, 투명한 조직문화를 추구하며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을 위해 앞장 서서 최고의 성장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더 나은 지구와 생명을 위한 지속가능한 도전'(Sustainable Challenges for a Better Planet & Life)라는 ESG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 환경을 위한 노력(Planet), 구성원의 행복 추구(People), 지속가능한 성장(Progress) 등 3P를 ESG 경영키워드로 선정하여 ESG 경영에 힘쓰고 있다. 한편 삼성전기는 DJSI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으로부터 ESG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FTSE4Good Index 14년 연속 편입, 국내외 모든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등 ESG 선도 기업으로 평가받았다.

2024.12.23 09:23이나리

GDIN "국내 스타트업 해외에 44개 합작법인 설립 도움"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대표 김종갑, 이하 GDIN)가 '2024년 D.N.A 융합제품·서비스 해외진출' 사업의 주요 성과를 23일 발표했다. GDIN은 초기 혁신 기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설립된 민간 재단이다. GDIN이 2021년부터 운영해 온 'D.N.A 융합제품·서비스 해외진출' 사업은 우리나라 기업과 해외 기업과의 합작법인 설립을 지원하며,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현지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사업이다.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보유했더라도 부족한 인력과 재원 때문에 해외 시장 진출이 쉽지 않은 초기 기술기업들을 위해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시장 진출 전략이다. 사업 시작 이후 올해까지 총 126개 기업이 사업지원 대상 기업으로 선발돼 44개 합작법인이 설립됐으며, 합작법인 설립을 앞둔 파트너십도 47건이 체결됐다. 2024년 올해에만 9개 기술 기업이 미국, 캐나다, 일본, 인도, 싱가포르, 베트남, UAE, 우간다 등 8개국에 10개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김종갑 GDIN 대표는 "단기간에 이같은 성과를 낸 것은 해외 정부기관, 글로벌 대기업, 국제기구 등과 맺고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GDIN은 세계은행(World Bank), 미주개발은행(IDB),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튀르키예 투자청(Investment Türkiye), 칠레혁신클럽(Club de Innovación), 쿠웨이트 국영석유공사(Kuwait Oil Company), 이그나이트스웨덴(Ignite Sweden) 등 세계 각지의 협력 파트너들과 국내외에서 기술 매칭 및 기업 IR 행사를 열고 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 의지와 기술을 소개할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 19일 판교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성과보고회에서는 합작법인 설립 기업들에 대한 시상과 더불어 '창소프트아이앤아이'의 우수 사례 발표가 있었다. '창소프트아이앤아이'는 2008년에 창업한 디지털 통합건설관리시스템 기업으로, 3차원 기반 빌딩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솔루션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이날 발표에 나선 박종은 창소프트아이앤아이 CFO는 “매출 성장 정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 개척이 절실했다”며 “GDIN 사업에 참여해 법률컨설팅 지원을 받아 일본과 베트남에 합작법인을 설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박 CFO는 “합작법인을 통해 우리 제품을 현지 시장 수요에 맞게 개선해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2024.12.23 09:15방은주

직장인이 꼽은 최애 커피는?....원두데일리, 2024 연말결산 공개

커피머신 렌탈·원두 구독 서비스 '원두데일리'를 운영하는 스프링온워드(대표 정새봄)가 2024년 연말 결산을 23일 발표했다. 2천개가 넘는 고객사들의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사 대상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로스터리와 선호하는 커피 맛 등을 공개했다. 먼저 커피 맛별로 고객 선호도를 살펴보면 묵직한 맛(35%)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으며, 고소한 맛(30%)과 밸런스 있는 맛(15%)이 뒤를 이었다. 특히 디카페인 원두가 전체 판매량의 10%를 차지하며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를 반영해 눈길을 끌었다. 원두데일리에 입점한 로스터리 제품 중 커피 취향별로 고객의 선택을 가장 많이 받은 원두는 다음과 같다. ▲묵직한 맛은 투썸플레이스 '시그니처 블렌드' ▲밸런스 있는 맛은 모모스커피 '부산' ▲고소한 맛은 커피리브레 '버티고' ▲산미 있는 맛은 커피몽타주 '센스앤 센서빌리티' ▲디카페인은 빈브라더스 '페루 카하마르카 디카페인'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가장 인기 있는 베스트셀러 로스터리는 빈브라더스, 모모스커피, 나무사이로, 보사노바, 테라로사가 선정됐다. 커피머신 분야에서는 원두데일리의 독점 공급 모델인 스위스 명품 커피머신 유라의 WE8이 가장 선호하는 커피머신으로 꼽혔다. 이외에도 소형 머신으로는 칼렘 1602와 닥터커피 H8 모델이 상위권에 자리했으며, 고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고사양 머신에서는 칼렘 X650과 유라 GIGA8, 프랑케 A400 머신이 고객들이 순차적으로 꼽혔다. 원두데일리는 올해 테라로사, 커피명가 등 5개의 신규 로스터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고객들에게 다채로운 원두를 제공했다. 세코, 하우스브란트 등 커피머신 렌탈 서비스도 확장해 업계 선도 업체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정새봄 스프링온워드 대표는 "국내 고객의 커피 취향과 기술적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원두데일리만의 토탈 솔루션이 이러한 성과를 가능하게 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 서비스를 통해 오피스 커피 문화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23 08:50백봉삼

생존 여건 파괴된 가자지구 보고서 발간돼

국경없는의사회(MSF)가 19일(현지시각) '가자지구: 죽음의 덫에 갇힌 삶(Gaza: Life in a death trap)'을 발간했다. MSF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14개월간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 대한 이스라엘군의 반복적인 공격·보건 체계 및 기타 필수 인프라 해체·봉쇄·인도적 지원 차단 등이 가자지구의 생존 여건을 파괴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지난해 10월 7일 이후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전면전으로 지금까지 4만 5천 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에는 8명의 MSF 직원도 포함됐다. 국제연합(UN)은 올해 초 1만 명 이상의 시신이 여전히 잔해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MSF는 보고서를 통해 이스라엘군은 식량·물·의약품과 같은 필수 물품의 가자지구 반입을 막고 인도적 지원도 차단·거부·지연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가자지구의 병원 36곳 중 절반 이하만이 부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보건 체계는 붕괴한 상태다. MSF 의료진과 환자들은 17차례에 걸쳐 병원과 의료시설에서 강제 대피했다. MSF가 지원하는 시설에서는 폭력 관련 진료가 최소 2만7천500건, 외과 수술이 7천500건 진행됐다. 그렇지만 현지 주민들은 전쟁 부상에 더해 필수 의료서비스 및 약품 접근권 차단으로 만성 질환 악화 등 피해를 겪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 정부의 강제 이주는 주민들을 질병이 빠르게 확산하는 열악하고 비위생적인 생활 여건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게 MSF의 주장이다. 아동들은 주요 예방접종을 받지 못해 홍역이나 소아마비 같은 질병에 취약한 상태에 놓였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영양실조 사례가 증가하는 것을 목격했지만, 광범위한 치안 불안정과 적절한 충돌 방지 조치 부재로 인해 가자지구에서 영양실조 검사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특히 가자지구 북부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이스라엘의 초토화 군사 작전으로 인해 광범위한 지역이 황폐해졌고 약 2천 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 올해 10월 6일부터 가자지구 북부, 특히 자발리아(Jabalia) 캠프는 이스라엘군에 의해 다시 봉쇄됐다. 이스라엘 당국은 북부로 들어가는 필수 구호 물자량을 대폭 축소했다. 크리스토퍼 록이어 MSF 사무총장은 “최근 가자지구 북부에서 발생한 군사 작전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강제 이주를 겪고, 봉쇄되고, 폭격을 당하는 등 인종 청소(ethnic cleansing)의 징후를 목격하고 있다”라며 “의료팀이 현장에서 목격한 상황은 가자지구에서 대량 학살(genocide)이 일어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린 다수의 법률 전문가와 기관들의 주장과 일치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종 청소의 징후와 대규모 학살·신체·정신 상해·강제 이주·봉쇄 및 폭격 속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가혹한 생활 여건 등을 포함해 지속적인 파괴가 일어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MSF는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휴전을 촉구한다”라며 “가자지구 북부 내 인도적 지원이 이뤄지고 의료 물품이 병원에 전달될 수 있도록 즉각적이고 안전한 접근성을 촉구한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를 해제하고 라파 국경을 포함한 주요 육로를 열어 인도적 및 의료 지원의 대대적인 확대를 허용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2024.12.22 10:00김양균

[써보고서] 30만원대 갤럭시A16-모토로라 엣지50 퓨전 비교해보니

"갤럭시 프리미엄 얹은 저가폰과 외산폰 페널티 품은 중가폰의 싸움" 하반기 출시된 중저가 스마트폰 중 출고가가 30만원대로 비슷한 삼성전자 갤럭시A16 LTE와 모토로라 엣지50 퓨전을 비교해 본 소감이다. 가격대는 31만9천원으로 갤럭시A16이 조금 더 저렴하지만, 사양은 엣지50 퓨전이 더 좋다. 엣지50 퓨전 출고가는 34만9천800원이다. 스마트폰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만해도 갤럭시A16 LTE는 헬리오G99로, 전작 갤럭시A15 LTE와 동일하다. 반면 엣지50 퓨전은 퀄컴 스냅드래곤7s 2세대를 탑재했다. 리얼미12프로+ 등 중급 스마트폰에 주로 탑재된 AP다. 성능·디자인은 '엣지50 퓨전'에 한 표 벤치마크 점수를 테스트해 보면 두 제품의 성능 차이가 더욱 도드라진다. 긱벤치앱6 기분 CPU 점수는 갤럭시A16는 싱글코어 725점·멀티코어 1천975점, 엣지50 퓨전은 싱글코어 1천21점·멀티코어 2천949점이다. GPU 점수는 갤럭시A16 1천291점, 엣지50 퓨전 1천811점이다. 디스플레이 사양도 모토로라 제품이 앞선다. 갤럭시A16는 최대 90Hz 화면 주사율을 지원하고, 엣지50 퓨전은 유기 최대 144Hz 주사율을 제공한다. 최대 화면 밝기는 1천600니트로 두 제품이 동일하다. 유튜브 영상을 볼 때 갤럭시A16는 선택 옵션이 1440p(2K)까진데, 엣지50 퓨전은 4K(2160p) 화질까지 선택할 수 있다. 갤럭시A16은 전작에 없던 IP54 등급 방수 방진 기능을 추가했다. 엣지50 퓨전 방수·방진 등급은 IP68로 등급이 조금 더 높다. 배터리 용량은 4천860mAh 엣지50 퓨전(5천mAh)이 조금 더 많다. 다만, 2K 영상을 시청한 기준으로 11시간 45분 후 엣지 퓨전50 배터리는 11%가 남아있었고, 엣지50 퓨전은 13%가 남아 있어 실제 사용할 때 큰 차이는 느끼지 못했다. 디자인은 베젤 크기와 무게 면에서 엣지50 퓨전이 앞선다. 엣지50 퓨전은 과거 갤럭시 플래그십 라인업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던 엣지 디스플레이로 그립감이 더 좋다. 갤럭시A16와 엣지50 퓨전 디스플레이는 6.7인치로 동일하지만, 갤럭시A16은 하단부 베젤 두께가 두꺼워 눈에 띈다. 엣지50 퓨전은 펀치홀 카메라 디자인에 지문 인식 잠금 기능이 있는 반면, 갤럭시A16은 노치 형태 카메라가 전면에 있다. 성능 이상의 매력 '갤럭시 생태계' 사진 화질 사양은 엣지50 퓨전보다 부족하지만 갤럭시A16의 가장 강력한 장점은 갤럭시 생태계다. 갤럭시 앱들과 연동이 가능하며, 사용하던 갤럭시 기기에서 '스마트 스위치'로 데이터를 옮겨올 때 더 편리하다. 외산폰의 경우 사진 앱을 내장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별도로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엣지50 퓨전 역시 사진 앱을 별도로 다운받아야 했다. 갤럭시A16은 외산폰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삼성월렛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삼성월렛은 갤럭시 스마트폰에 대한 충성도를 끌어올리는 대표적 기능 중 하나다. 다만, 저가형 모델이다 보니 최근 주목받는 갤럭시 AI 기능이 기본 탑재돼 있지 않다. 하지만 플래그십 스마트폰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SD카드 슬롯이 있어 용량 확장이 최대 1TB까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엣지50 퓨전은 마이크로SD카드 슬롯이 없으며 저장용량은 256GB이다. 모바일 게임 무난하게 가능…카메라 화질은 큰 기대 말아야 게임 성능은 두 제품 모두 무난했다. 호요버스 젠레스 존제로 게임을 실행해봤을 때 두 제품 모두 별다른 끊김이 없었다. 40분 이상 게임을 해도 두 제품 모두 기기 온도가 40도를 넘어가지 않았다. 두 제품 모두 카메라 성능은 조금 아쉬웠다. 2배 줌까지만 가능하다. 0.5배줌의 경우 엣지50 퓨전은 굴곡이 없게 나오는데, 갤럭시A16은 사진 양 끝이 굴곡이 졌다. 야간 촬영의 경우 플레어 현상이 있긴했지만, 리티아 센서를 적용한 엣지50 퓨전이 조금 더 선명했다. 갤럭시A16 5천만 화소 고해상도 광각 후면 카메라와 300만화소 전면 카메라를 탑재했는데, 엣지50 퓨전은 메인 카메라 5천만 화소로 동일하지만, 전면 카메라가 3천200만 화소 쿼드 픽셀 카메라로 고화질 셀카 촬영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기능만 따져본다면 엣지50 퓨전이 앞서지만, 익숙함을 중시하거나 삼성월렛과 같은 특수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이용자라면 갤럭시A16에 무게가 기울듯하다.

2024.12.22 09:54류은주

닌텐도 스위치 2, 조이콘 드리프트 문제 해결 예정

닌텐도의 차세대 콘솔인 '닌텐도 스위치 2'가 기존 스위치의 주요 결함 중 하나였던 조이콘 드리프트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게임매체 비디오 게임 크로니클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스위치 2는 자력식 조이콘을 채택하여 기존의 레일 시스템을 대체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이콘은 홀 효과(Hall effect)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센서 마모로 인한 드리프트 현상을 방지한다. 또 새로운 도킹 스테이션은 60W의 전력을 지원하며, USB-A 포트 2개, HDMI 포트 1개, 이더넷 포트 1개, USB-C 포트 1개를 포함하여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닌텐도는 현재까지 스위치 후속 기기에 대한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2025년 3월 말까지 공개할 계획임을 밝혔다. 새로운 콘솔은 기존 스위치 게임과의 하위 호환성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져, 사용자들이 현재의 게임 라이브러리를 계속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러한 개선 사항들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기존 스위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조이콘 드리프트 문제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했으나, 스위치 2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외신은 전했다.

2024.12.22 09:34강한결

마이크로랜드, 미국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Provider Lens™) 리더에 선정

벵갈루루, 인도, 2024년 12월 21일 /PRNewswire/ -- 디지털 전환 분야의 리더 마이크로랜드 (Microland)가 ISG 프로바이더 렌즈(Provider Lens™)연구 -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 미국 2024에서 미드마켓 분야 관리형 서비스 리더에 선정되었다고 발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Microland has been recognized as a Leader in the ISG Provider Lens™ 2024 for Multi Public Cloud Services in the U.S. 이 연구 보고서는 하이퍼스케일 환경(AWS, 애저, 구글 클라우드)에서 활동하는 관리형 서비스 제공 업체들을 조사하여 데브옵스 기반 전략, SRE 전문성과 첨단 서비스를 부각한다. 여기에는 자동화 컴플라이언스, IoT 통합, 에너지 효율적인 인프라, AI 기반 사이버 보안, 셀프 서비스 자동화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미국 미드마켓 분야의 운영 효율과 보안이 향상된다. 마이크로랜드는 자동화 기반 운영을 통해 자신을 차별화하며, 인텔리게니(Intelligeni®) 클라우드옵스(CloudOps) 플랫폼을 활용하여 미국 기업들의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를 강화한다. 이 플랫폼은 모니터링, 경고 해결, 원격 계측 및 최적화를 자동화하여 비용 절감, 시스템 성능 향상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촉진한다. 마이크로랜드의 독자적인 클라우드 비용 관리 프레임워크(Cloud Cost Management Framework) (CCMF)™는 클라우드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한다. 미국 중소기업에 집중하는 마이크로랜드는 이들 기업 특유의 니즈를 충족하는 확장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맞춤형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당사의 플랫폼과 비즈니스 중심 솔루션들은 ISG로부터 이러한 인정을 받는 데 핵심 역할을 해왔다. 마이크로랜드 수석 부사장 겸 글로벌 클라이언트 솔루션 리더 수닐 사라트(Sunil Sarat)는 이러한 인정에 대해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 관리형 서비스에 대한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미드마켓 리더로 인정받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ISG의 이러한 인정은 우리가 혁신, 최적화와 운영 효율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가운데 고객들이 우리에게 보내는 신뢰를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는 고품질 솔루션을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업계 파트너인 우리의 위상 유지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랜드 샘 매튜(Sam Mathew) 사장은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 리더로 인정받은 것은 미국 기업들이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랜드의 전략적 초점을 강조하는 것"이라면서 "인텔리게니® 클라우드옵스 및 CCMF™와 같은 우리의 혁신적인 플랫폼은 효율과 회복력을 견인함으로써 우리를 비용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혁신 클라우드 솔루션을 찾는 기업들이 선택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ISG 수석 애널리스트 샤샹크 라즈마네(Shashank Rajmane)는 "마이크로랜드는 동사의 고객 중심 방식과 자동화 클라우드 관리 툴세트를 통해 고품질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들이 비용을 절감하고 CX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번 인정 건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 리더 | 마이크로랜드를 방문하기 바란다. 마이크로랜드 마이크로랜드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IT 인프라 서비스 및 컨설팅 회사로 35년 동안 가시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입증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들은 네트워크가 현대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AI, 운영 자동화 및 플랫폼 기반 솔루션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제공하여 전 세계 조직의 운영 우수성, 민첩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4,6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당사 팀은 아시아, 호주, 유럽, 중동 및 북미의 100여개 국가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사이버 보안,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자동화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수의 업계 분석가들로부터 혁신 전략으로 인정받은 마이크로랜드는 강력한 거버넌스, 환경 지속가능성 및 다양한 인재가 넘쳐나는 포용적인 직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기업들이 마이크로랜드와 협력하면 최고의 인재, 기술 및 솔루션과 연결되어 최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microland.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미디어 연락처: sobia.sahar@microland.com ISG ISG(인포메이션 서비스 그룹)는 전 세계 최고의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이다. 동사는 전 세계 상위 100개 기업 중 75개 이상을 포함하여 800개 이상의 고객사들에게 신뢰받는 비즈니스 파트너이다. 동사는 자동화, 클라우드 및 데이터 분석 등의 디지털 전환 서비스,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서비스, 네트워크 캐리어 서비스, 전략 및 운영 설계, 변화 관리, 시장 정보, 기술 연구 및 분석을 전문으로 한다. 상세 정보는 www.isg-one.com에서 입수할 수 있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85175/Managed_Services.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483706/Microland_Logo.jpg?p=medium600

2024.12.21 02:10글로벌뉴스

BIWIN, 컨슈머 자체 브랜드 출시, 디지털 시대를 위한 차세대 스토리지 및 메모리

라스베이거스, 미국 2024년 12월 2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스토리지 및 메모리 제품의 선두주자인 BIWIN이 컨슈머 자체 브랜드를 출시하고 오늘날 나날이 증가되는 디지털 소비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킬 혁신적인 고성능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BIWIN 주요 신제품은 202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25'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2024년 12월 아마존 일본(Amazon JP)을 시작으로 2025년 1월 아마존 영국(Amazon UK)에서 판매할 예정이며 2025년 초부터 APAC지역(대만, 인도등), 라틴 아메리카(멕스코 등) 주요 시장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CES 2025: The new Biwin range with premium Black Opal SSDs and Amber mobility for pros 다양한 니즈를 만족하는 혁신적인 제품 시리즈 BIWIN Black Opal 시리즈 Black Opal 프리미엄 SSD와 DRAM은 최고의 성능, 빠른 로딩 시간, 원활한 게임 플레이,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전문가와 게이머들에게 최고의 게임용 스토리지와 메모리가 될 전망이다. 이 시리즈는 최첨단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Black Opal X570 PRO SSD는 PCIe Gen 5×4 인터페이스와 NVMe 2.0 프로토콜로 최대 14000MB/s의 놀라운 읽기 속도를 보여준다. 뛰어난 메모리 성능을 추구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BIWIN OC Lab 전문 기술팀이 개발한 BIWIN Black Opal DW100 RGB DDR5 CUDIMM은 9200 MT/s의 놀라운 속도와 CL42탑재로 최저 지연, 안정성과 놀라운 성능을 자랑한다. BIWIN Amber시리즈 Amber 시리즈는 사진 애호가와 콘텐츠 제작자 등 전문가들을 위한 탁월한 휴대용 SSD, 메모리 카드 및 카드 리더기등을 포함한 맞춤형 제품이다. 먼지, 방수, 낙하에 강한 BIWIN Amber PR2000은 첨단 이중 사출 성형 기술로 제작된 견고한 구조와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호용 실리콘 커버, 또한 간편한 휴대를 위해 통합형 고리가 장착되어 있다. BIWIN Amber CB500 CFexpress™ 4.0 Type B 메모리 카드는 최대 3750MB/s의 읽기 속도와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하며 8K 비디오 녹화 및 고성능 전송 설계로 원활한 창작 체험을 할수 있으며 유저들의 최대 수요를 선사할수 있다. BIWIN 시리즈 BIWIN 주요 시리즈 제품은 고품질 기술 솔류션을 제공하고 프리미엄 PC사용자, 콘텐츠 제작자, 원격 근무 전문가들의 일상적인 요구에 맞게 완벽한 기능과 고가성비 제품들을 제작할 수 있다. CES 2025 BIWIN 전시회 정보 CES 2025 전시회에서 BIWIN은 최신 스토리지와 메모리 혁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역동적인 라이브 데모와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BIWIN OC LAB CUDIMM으로 구동되는 오버클럭킹 PC, BIWIN 메모리 카드가 탑재된 프로패셔널 카메라, BIWIN SSD가 탑재된 PS5 Pro 게임기등을 포함함 BIWIN제품들의 다양한 실제 응용 분야를 확인할 수 있다. 장소:BIWIN Booth #8205, LVCC North Hall; BIWIN Corporate Suite, Bellagio Hotel. 전시일:2025년1월7일~10일 BIWIN 소개 디지털 시대에서 우리의 생활은 디지털 장치와 긴밀히 연결되여 있으며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스토리지와 메모리가 필수적이다. BIWIN은 반도체 스토리지 기술 연구와 제조에 전념하고 최첨단 설비로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왔다. 컨슈머 브랜드 BIWIN은 고품질 SSD, DRAM, 메모리 카드 및 관련 제품으로 최상의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업무, 오락, 게임등 분야에서 BIWIN은 당신을 이끌고 미래를 함께 나아갈 수 있다. BIWIN, Built to Win. 더 자세한 내용은 www.biwintech.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사진이 필요하시면 하기 클릭: https://BIWINusa-my.sharepoint.com/:f:/g/personal/BIWINpartner_BIWINtech_com/EnBf6cV6JS9Khi0Q1vi8G7kBBlMuB0EMsQIy7u31dj_C2A?e=3tWMeS 언론 연락처:press@BIWINtech.com BIWIN 연락처:Mkt.hq@BIWINtech.com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하기 클릭: https://BIWINusa-my.sharepoint.com/:f:/g/personal/BIWINpartner_BIWINtech_com/EuJcktYPRQJEkCLrgqbRWk8BqxJtWJsoKJ1CxDCVsrmHRg?e=lewcEZ

2024.12.20 20:10글로벌뉴스

세시간전, 여행 콘텐츠 제작 돕는 AI 기능 내놓는다

여행 콘텐츠 플랫폼 '세시간전'이 제휴 확대와 플랫폼 기능 개선 등을 통해 크리에이터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AI를 활용한 '여행박사 GPTs', '콘텐츠 생성 도우미', 'SEO 및 번역 AI' 등을 출시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제작을 도울 방침이다. 세시간전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모먼트스튜디오는 20일 서울 성수동 바이트 성수에서 '2024 커넥트데이'를 열고 올 한 해 성과와 내년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신성철 모먼트스튜디오 대표는 "누적 거래액 200억원을 달성했으며, 월간 거래액이 매월 20~30% 성장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2025년에는 현재 7천200명인 크리에이터를 5만 명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2월 출시된 세시간전은 여행 크리에이터들이 자신들의 콘텐츠에 제휴 링크를 삽입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지난 10월에는 6억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세시간전, 제휴 확대 중...크리에이터 위한 기술 개발도 이날 신 대표는 세시간전이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제휴를 맺으며 서비스를 탄탄히 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세시간전의 파트너사는 ▲온라인 여행사 8곳(클룩, 트립닷컴, 익스피디아 등) ▲호텔 예약 플랫폼 8곳(아고다, 온다, 부킹닷컴 등) ▲여행 관련 상품 판매사 6곳(캐롯손해보험, 트레블메이트, 프리즘 등) ▲렌터카 예약 플랫폼 1곳(카모아) 등이다. 또 야놀자, 라쿠텐 트래블, 노션, 겟 유어 가이드 등과 제휴를 논의 중이다. 진대연 모먼트스튜디오 CSO는 "기존에는 크리에이터들이 각 플랫폼·홈페이지를 하나하나 찾아가서 이벤트·광고 협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했다면, 이제는 세시간전을 통해 간편히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며 "더 많은 제휴를 통해 다양한 경험들이 콘텐츠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크레에이터 편의를 확대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내년 1월 '제품 통합 링크 기능'을 출시 예정이다. 제휴사의 모든 상품을 한번에 검색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검색 후 원하는 제휴 링크를 바로 생성할 수 있다. 내년 1분기 중에는 다양한 크롬 익스텐션 기능을 공개한다. 진 CSO는 "세시간전 제휴사 사이트에 직접 가서 크롬 익스텐션을 설치하기만 하면, 원클릭으로 그 링크를 나만의 제휴 링크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 준비 중"이라며 "기존에 이미 만든 링크라면, 크리에이터가 해당 링크를 통한 클릭 수·판매량 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상반기 개선된 판매 정산 시스템도 선보인다. 진 CSO는 "제휴사와의 소통을 통해 판매 내역 등 결과물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AI 적극 활용...여행박사 GPTs·콘텐츠 생성 도우미·SEO 및 번역 기능 준비 중 이날 세시간전은 AI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현재 출시된 GPTs '여행박사 세리'는 QR 코드 접속 시 여행을 잘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공유받을 수 있는 기능이다. 특정 지역 호텔 종류, 숙소 유형, 판매사 가격 비교 등 정보를 제공한다. 진 CSO는 "크리에이터들이 '여행박사 세리'를 통해 콘텐츠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내년 하반기에는 '콘텐츠 생성 도우미'를 출시한다. 진 CSO는 "크리에이터가 제목·사진 등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목차가 생성된다"며 "이후 세시간전이 보유한 다양한 제휴 블록이 자동으로 추천되고 이 추천된 링크들을 추가한 다음 콘텐츠 생성을 누르면 초안이 완성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썼던 블로그의 문체 등을 학습시켜서 나만의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고 덧붙였다. 내년 하반기 중 'SEO(검색 엔진 최적화) 및 번역 AI'도 선보일 예정이다. 세시간전에 업로드한 콘텐츠를 AI를 통해 번역해 현지 블로그 등에 올리고, 번역된 콘텐츠에 대한 현지 SEO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다. 이를 통해 세시간전은 한국 크리에이터들의 글로벌 진출을 돕겠다는 방침이다. 진 CSO는 "다양한 AI가 있지만 크리에이터만을 위한 AI는 아직 없다"면서 "여행을 좋아하는 분들이 내게 딱 맞는 콘텐츠를 만들고 도움받을 수 있는 AI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12.20 19:23조수민

CGTN: 중국의 '진주' 마카오, 반환 25주년 동안 어떻게 성장했나

베이징 2024년 12월 20일 /PRNewswire=연합뉴스/ -- 25년. 마카오가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부유한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데 걸린 시간이다. 2023년 33평방킬로미터 규모의 중국 마카오 특별행정구(SAR)의 국내총생산(GDP)은 3795억 마카오 달러(MOP, 미화 약 475억 달러)로, 마카오가 중국으로 반환된 1999년 이후 7배나 증가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18일(수) '마카오 반환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 비행기를 타고 마카오에 도착한 뒤 마카오를 중국의 '손바닥 위 진주(a pearl on the palm)'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공항에서 "지난 25년 동안 마카오의 특성을 살린 '일국양제'의 실천이 성공을 거두면서 마카오가 보여주는 대단한 활력과 독특한 매력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진주' 12월 17일 주하이 세관(Zhuhai Customs)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 반환된 이후 마카오와 인접 도시인 주하이 간 왕래 건수는 약 28억 건에 달한다. 이렇게 왕래 건수가 늘어나자 1999년 2개에 불과했던 두 지역을 연결하는 검문소 수는 현재 7개로 늘어났다. 헝친 항(Hengqin Port)은 현재 가장 붐비는 검문소 중 한 곳이다. 헝친 섬(Hengqin Island)은 중국 중앙 정부가 광둥과 마카오의 긴밀한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2021년 설립한 '광둥-마카오 심층 협력 지대(Guangdong-Macao In-depth Cooperation Zone)'의 본거지이다. 이곳은 마카오에 투자한 약 6500개 기업을 유치하고 신산업 육성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혁신과 기업가 정신의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반환 이후 중국 정부는 마카오를 적극적으로 국가 발전에 통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만드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으면서 마카오는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수준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룬 현대적이고 국제적인 대도시로 탈바꿈했다. 시 주석은 18일 마카오 도착 직후 "마카오가 이룬 성과는 마카오 주민들의 영광이자 모든 중국인의 자부심"이라며 마카오의 밝은 미래를 확신했다.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인 시 주석은 20일(금) 마카오 특별행정구 6기 정부 출범 기념식과 취임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시 주석은 마카오도 시찰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은 공항 연설에서 방문 기간 동안 마카오의 발전에 대해 "마카오 인사들과 광범위하고 심도 있는 교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마카오가 '일국양제'라는 제도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열심히 일하고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더 밝은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믿음을 표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https://news.cgtn.com/news/2024-12-18/President-Xi-Jinping-delivers-speech-upon-arrival-in-Macao-SAR-1zqWeketB72/p.html

2024.12.20 15:10글로벌뉴스

LIG넥스원, FA-50용 AESA 레이다 비행시험 착수

LIG넥스원은 네덜란드 왕립 항공우주센터(NLR)와 협력해 FA-50용 공랭식 AESA 레이다 'ESR-500A'의 비행시험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7월 '2024 판보로에어쇼'에서 'FA-50 공랭식 AESA 레이다 비행시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한 지 약 5개월 만이다. 이번 비행시험에서 LIG넥스원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한 시험 비행을 반복 수행해 완성도와 신뢰도를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다. 2026년까지 2년간 강도 높은 시험으로 공중·지상·해상 표적의 탐지·추적 및 최대탐지거리, 동시운용 모드 등 각종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성능을 갖췄는지 검증한다.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AESA) 레이다는 기존 T/FA-50에 장착된 기계식 레이다 대비 전투력을 3~4배 높인다. 고성능에 따른 발열을 제어할 냉각장치의 종류에 따라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뉘는데, 공랭식은 수랭식 대비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공격기에 더욱 적합하다. 시험 완료시 공랭식 AESA 레이다를 FA-50에 탑재할 여건이 마련된다. 네덜란드 국영 연구기관인 NLR은 네덜란드 공군과 주로 협력하고 있으며, 항공우주분야 연구개발과 각종 정비 및 시험평가에 특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비행시험을 위해 NLR은 보유한 시험항공기에 ESR-500A를 장착했다. LIG넥스원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FA-50용 공랭식 AESA 레이다인 'ESR-500A'는 약 500여개의 송수신 모듈을 전자적으로 제어해 보다 빠른 빔 조향과 기존 대비 확장된 영역 탐지능력, 동시운용 모드를 통한 다중 임무 수행능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다중 표적과 동시 교전 또한 가능하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ESR-500A를 FA-50에 탑재할 경우 가격 경쟁력 확보와 수출국 다변화 등 해외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라며 "국산 임무장비와 플랫폼 기업간 협력을 통한 해외시장 공략으로, K방산 수출의 우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20 15:09신영빈

  Prev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에너지 안보가 곧 국가 경쟁력…전력 인프라 대전환 시급

"입는 로봇, 스마트폰처럼 쓰게 될 것…라인업 다각화 계획"

우주청 "러시아 금성착륙선 칠레 남쪽 바다 추락"

SKT 유심 교체 가입자 132만...전날 10만명 교체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