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서울 브액 팝니다⇴〈bear8249 망그러진곰〉⇴서울 브액 팝니다'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112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美 상원 만난 최태원 "SK, 양국 발전에 포괄적 기여"

최태원 SK 회장이 미국 상원의원을 만나 SK를 비롯한 한국 기업에 대한 초당적 지원을 요청했다. 4일 SK그룹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지난 3일 서울시 종로구 서린사옥에서 빌 헤거티 의원 등 미국 상원의원 7명을 만나 양국 경제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나눴다. 최 회장은 먼저 미국 상원대표단이 지속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며 양국의 우호증진에 기여해주는 것에 감사의 뜻을 밝혔다. 최 회장은 “작년에 이어 상원의원 대표단을 두번째로 맞이하게 됐다”며 “SK와 한국 기업들의 활동에 많은 관심을 보여줘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10월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등 상원의원단을 만나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최 회장은 이어 SK그룹 주요 사업을 소개하고 SK가 양국 발전에 포괄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SK그룹은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양국 AI 리더십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SK의 에너지 사업 또한 글로벌 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며, 배터리를 포함한 에너지 사업은 경제는 물론 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상원의원들도 다방면에서 양국 협력이 이어지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다. 미국 의원들은 “양국 관계는 한미 동맹 등 전 분야에서 강력한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두 나라 발전에 SK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움직임이 한미 양국은 물론 한·미·일 3국 공동 발전과 세계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SK 활동을 계속해서 지원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한국을 찾은 상원의원은 공화당과 민주당을 아우른다. 공화당 의원은 빌 헤거티(테네시), 존 튠(사우스다코타), 댄 설리번(알래스카), 케이트 브릿(앨라배마), 에릭 슈미트(미주리) 의원이다. 민주당은 크리스 쿤스(델라웨어), 개리 피터스(미시건) 의원이 함께 한국을 찾았다. 최 회장은 글로벌 정·재계 유력인사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경제협력 증진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종현학술원은 지난 2021년부터 매년 미국에서 TPD를 개최하고 한·미·일 3국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세계적 석학, 싱크탱크, 재계 인사들과 함께 국제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2024.09.04 09:10류은주

SK이노, 발달장애 아동 사회 적응 지원 봉사활동

SK이노베이션은 계열 구성원들이 영화관 나들이를 시작으로 발달장애 아동들과 소통·교감하는 '해피드림 봉사활동에 돌입했다고 4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해피드림은 발달장애 아동들의 사회적응을 돕고 자립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자원봉사 활동으로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해 왔다. 올해는 9월 한 달간 SK이노베이션 계열 구성원 총 450여명이 참여해 서울과 대전 지역에서 영화관 나들이, 핸드볼 교실, 생태현장 체험 학습 등 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SK이노베이션 계열 80명은 지난 3일 서울에 있는 한 특수학교 발달장애 아동들과 일대일로 짝을 맞춰 영화 관람 나들이를 다녀왔다. 이날 행사는 '9월의 시네마 크리스마스' 컨셉으로 진행돼 SK 구성원들이 산타 복장을 하고 아동들과 어울려 영화 '인사이드아웃2'를 보며 행복한 추억을 만들었다. 오는 12일에는 대전 소재 특수학교 발달장애 아동 100여명과 두번째 영화관 나들이에 나선다. 핸드볼 교실은 9월에 서울 특수학교 2곳 아동들을 대상으로 SK엔무브 여자 핸드볼구단 SK슈가글라이더즈와 한국체육대학교가 함께 준비해 치러진다. 발달장애 아동들이 반복적 신체훈련과 단체 운동을 통해 신체능력은 물론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고, SK 구성원 80여명이 매주 핸드볼 교실의 보조교사로 참여할 예정이다. 생태현장 체험학습은 주위의 보살핌 없이는 야외활동이 어려운 발달장애 아동들이 자연환경을 만끽할 수 있도록 동·식물원 등을 찾는 일정으로 꾸며진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발달장애 아동들이 아동기와 학령기에 겪는 사회적응, 대인관계 경험은 자아 형성과 자립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며 “해피드림 활동이 아이들이 한층 성숙하게 되는 계기가 되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017년부터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자립을 돕기 위한 '발달장애인 음악축제(GMF)'도 후원해 오고 있다. GMF는 지난 2017년 국내에서 처음 개최된 뒤로 현재까지 191개 연주팀, 2천70명의 발달장애인 아티스트가 참여해 국내 최대 규모 발달장애인 음악축제로 자리잡았다. GMF는 지난해 10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 지난 6월 헝가리 등 SK이노베이션 계열 사업장이 위치한 해외 지역에서도 열렸다. 국내에서는 오는 10월 6개 본선 진출팀이 참여해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2024.09.04 09:01김윤희

알바몬-잡코리아, 40개 대학 돌며 커피 쏜다

알바몬(대표 윤현준)과 잡코리아가 9월부터 연말까지 전국 40개 대학에서 '카페드림즈 커피차'행사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 행사는 학업과 아르바이트, 취업 준비로 바쁜 대학생들을 위해 기획된 응원 프로젝트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지난 6월 전국 10개 대학에서 카페드림즈 커피차를 운영해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에 2학기에는 카페드림즈 커피차 방문 대학을 총 40여 곳으로 대폭 확장해 운영할 계획이다. 하반기 카페드림즈 커피차 방문 대학은 온라인 투표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곳으로 선정한다. 9월 방문 대학을 선정하기 위한 온라인 투표에는 1만4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투표 결과 ▲경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백석대학교 ▲부산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이 선정됐다. 이달 5일 숙명여자대학교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방문할 예정이다. 행사 당일 카페드림즈 커피차에서 선착순 500명에 한해 음료와 잡코&모니 캐릭터 머랭, 잡코리아 인성 역량 검사 쿠폰을 무료로 증정한다. 이 외에도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간식과 할인쿠폰으로 구성된 '대학생 드림 패키지'도 함께 전달할 예정이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친환경 캠페인도 전개한다. 카페드림즈 커피차 방문 시, 개인 텀블러를 가져와 음료를 받는 학생에게는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제작한 ▲노트패드와 ▲키링 등 스페셜 굿즈를 증정한다. 변지성 잡코리아 마케팅커뮤니케이션팀 팀장은 "카페드림즈 커피차를 통해 대학생들의 새학기를 응원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매월 카페드림즈 커피차 방문 대학을 선정하기 위한 온라인 투표가 진행되는 만큼 대학생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2024.09.04 08:48백봉삼

코엑스, 마곡 마이스 클러스터 구축 시동

코엑스가 11월 '코엑스 마곡' 개관에 앞서 마이스(MICE) 산업을 활용한 고용 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의 부가가치를 높여나가기 위해 본격적인 '코엑스 마곡 마이스 클러스터' 구축에 나섰다. 코엑스(대표 이동기)는 지난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VIP룸에서 메이필드호텔 서울(대표 김영문)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코엑스와 메이필드호텔은 협약에 따라 ▲마이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행사 기획·유치 ▲마이스 정보 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지난 6월에는 강서구청·롯데건설·마곡 PFV와 관광·마이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목적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 마이스 클러스터(CMC)'를 롤모델로 '코엑스 마곡 마이스 클러스터'를 구축해 강서 지역의 숙박·교통·관광·식음료·서비스 기업이 네트워크를 구축해 행사 유치에 적합한 생태계를 만들고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개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동기 코엑스 사장은 “메이필드호텔과의 MOU 체결을 시작으로 연관 산업들과 협력해 글로벌 전시컨벤션 유치 마케팅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며 “방문하는 바이어와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등 강서구 마곡 지역을 서울의 새로운 마이스 허브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09.04 07:57주문정

글로벌 AI 서밋(GAIN), 기조 연설자 발표

글로벌 AI 서밋(GAIN), 300여명의 AI 리더가 한 자리에 모여 AI의 '지금, 다음, 결코(Now, Next, and Never)'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서울시 김인숙 디지털정책과장, 고려대학교 유혁 교수, 최준영 서울연구원 미래공간연구본부장 등 한국 연사들도 발표 예정 이밖에도 크리스티아노 아몬(Christiano Amon) 퀄컴 사장 겸 CEO, 줄리 스위트(Julie Sweet) 액센츄어 CEO, 닉 스터더(Nick Studer) 올리버 와이먼 그룹 사장 겸 CEO, 보스턴 다이내믹스 창업자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등도 연사로 참여 글로벌 AI 서밋, 9월 10일 부터 12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압둘아지즈 국제 컨벤션센터에서 개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24년 9월 4일 /PRNewswire/ -- 올 한해 AI 분야의 가장 중요한 행사가 될 사우디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주최의 글로벌 AI 서밋 2024(GAIN)이 기조연설자 명단을 발표했다. 경제 다변화를 위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에 발맞추어 개최되는 이번 서밋은 국제 협력을 도모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AI의 혁신적 잠재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 세계 100여개 국에서 참여한 300여명 이상의 혁신가, 학자, 경영진, 당국 규제 관계자, 의사 결정권자 등이 "지금, 다음, 결코(Now, Next, Never)" 주제 하에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각 세션에서는 기술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혁신적 영향, AI의 실리, 미래 기술의 궤도와 함께 모든 분야의 책임감 있는 AI 개발에 필요한 윤리적 고려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여러 저명한 연사들 가운데, 한국에서는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서울시 김인숙 디지털정책과장, 고려대학교 유혁 교수, 최준영 서울연구원 미래공간연구본부장 등 AI 혁신과 구현의 최전선에 있는 전문가들도 포함됐다. 이들은 국가 AI 전략과 스마트 시티 이니셔티브 부터 최첨단 학술 연구 및 도시 개발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AI 환경에 있어 한국의 혁혁한 기여를 강조하며 AI의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조명할 예정이다. 이번 서밋에서는 닉 스터더 (Nick Studer) 올리버 와이먼 그룹 사장 겸 CEO, 보스턴 다이내믹스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회장, 마르셀로 클라우어(Marcelo Claure) 클라우어 그룹(Claure Group) 설립자 겸 CEO, 줄리 스위트(Julie Sweet) 액센츄어 CEO, 아만딥 싱 길(Amandeep Singh Gill) UN 기술특사, 캐슬린 케네디(Kathleen Kennedy) MIT 집단지성센터(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 이사, 알렉스 스몰라(Alex Smola) Boson AI CEO, 앤드류 펠드먼 (Andrew Feldman) 세레브라스 시스템즈(Cerebras Systems) 설립자 겸 CEO, 그린맨틀(Greenmantle) 디렉터 크리스 밀러 박사 (Dr. Chris Miller), 캐롤라인 얍 (Caroline Yap) 구글 클라우드 글로벌 매니징 디렉터, 조나단 로스 (Jonathan Ross) 그로크(Groq) 설립자 겸 CEO , 그리고 초프라 재단(Chopra Foundation) 설립자 디팍 초프라 박사 (Dr. Deepak Chopra) 등 저명한 인사들이 자리할 예정이다. 사우디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공식 대변인 겸 엔지니어 마제드 알셰흐리(Majed Al-Shehri)는 "글로벌 AI 서밋은 AI의 미래를 준비하는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며, '지금, 다음, 결코' (Now, Next, Never) 라는 주제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급격한 영향, 미래의 혁신, 그리고 윤리적 책임을 고찰하는 장이 될 것이다. AI는 상당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혁신의 과정에서 잘못이 있어서는 안된다. AI 통합은 지속가능하고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필수적이다"며, "특히 이번 서밋에는 컨설팅 업계의 글로벌 리더들이 대거 참여해 비즈니스와 글로벌 혁신에서의 AI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함과 동시에, AI기술이 제기하는 수많은 도전과제의 해결을 위한 공동의 의지를 보여줄 것이다" 라고 밝혔다. [참고 자료] 글로벌 AI 서밋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https://globalaisummit.org/en/default.aspx 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연사] 닉 스터더 (Nick Studer) 올리버 와이먼 그룹(Oliver Wyman Group) 사장 겸 CEO 마르셀로 클라우어(Marcelo Claure) 클라우어 그룹(Claure Group) 설립자 겸 CEO 줄리 스위트(Julie Sweet) 액센츄어 CEO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AI 연구소 실행이사 겸 보스톤 다이내믹스 설립자 크리스티아노 아몬(Christiano Amon) 퀄컴 사장 겸 CEO 알렉스 스몰라(Alex Smola) 보손 AI(Boson AI) CEO 크리스 밀러(Chris Miller) 그린맨틀(Greenmantle) 디렉터 켄싱턴 사프라즈 (Lord Sarfraz of Kensington), 영국 의회 하원의원 코벤트리대 교수 겸 엔비디아 AI 기술센터 글로벌 총괄 사이먼 씨(Simon See) 교수 샤를-에두아르 부에, 아다지아 파트너스(Adagia Partners) 공동설립자 겸 사장 캐슬린 케네디 MIT 집단지성센터(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 이사 안토니 쿡, 마이크로소프트 부수석 법률 고문 타누지 보주아니(Tanuj Bhojwani) 피플+AI 총괄 스테판 슈노르 (Stefan Schnorr) 독일 연방 디지털교통부 사무차관 팡 쉬(Fang Xu) 도이치텔레콤 AI 리드 아만딥 싱 길(Dr. Amandeep Singh-Gill) UN 기술 특사 앤드류 펠드만(Andrew Feldman) 세레브라스 공동설립자 겸 CEO 릴레이션 공동설립자 제이크 P. 테일러 킹(Jake P. Taylor-King) 박사 세스 도브린(Seth Dobrin) 퀀텀 AI CEO 에바-마리 뮬러-스툴러 박사(Dr. Eva-Marie Muller-Stuler) EY 데이터 및 AI 리더 제이슨 폰틴(Jason Pontin) DCVC 총괄 파트너 사메르 알 모바예드(Samer Al Moubayed) 퍼햇 로봇틱스(Furhat Robotics) 공동설립자 겸 CEO 다니엘 훌(Daniel Hulme) WPP 최고 AI 책임자 알랭 르 쿠에딕, AIQ (Artificial Intelligence Quartermaster) 수석 파트너 콕-친 테이(Kok-Chin Tay)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회장 오마르 크리스디스 아랍넷(Arabnet) CEO 겸 설립자 폴 블로흐 DDN 스토리지 사장 겸 공동설립자 압둘모탈렙 엘 사디크(Abdulmotaleb El Saddik) 오타와 대학 교수 제임스 도티(James Doty) 교수, 스탠포드 연민과 이타주의 연구 및 교육 센터 설립자 겸 디렉터 닉 제닝스(Nick Jennings) 러프버러대 부총장 마틴 콘(Martin Kon) 코히어(Cohere) 사장 겸 COO 하싼 사와프(Hassan Sawaf) AI엑스플레인(aiXplain) 설립자 겸 CEO 마이클 메이(Michael May) 데이터 지멘스 AD 데이터 애널리틱스 및 AI 총괄 케빈 나이트(Kevin Knigh) 쓰리븐 랩스(Threeven Labs) 수석 과학자 진 넴(Jean Nehme) 디지털 서저리(Digital Surgery) 공동설립자 데이비드 레슬리(David Leslie) 앨런 튜링 연구소 교수 겸 윤리 및 책임있는 혁신 연구 디렉터 캐롤린 얍(Caroline Yap) 구글 클라우드 글로벌 매니징 디렉터 안토니 블론도(Antoine Blondeau) 알파인텔리전스 공동창립자 겸 대표 조안나 소로카(Joanna Soroka) 히타치 벤처스 사장 리차드 벤자민스 (Richard Benjamins) RAIght.ai 공동대표 파하드 카아안(Fahad Khan) 무함마드 빈 자예드 인공지능 대학교(MBZUAI) 컴퓨터비전 사업부 부사장 고든 굴드(Gordon Gould), 공동창립자, 뉴 아틀란티스 랩스 케이트 캘럿(Kate Kallot) 아미니(Amini) CFO 겸 설립자 크리슈나 쿠마르 (Krishna Kumar) 설립자 겸 CEO, 크롭인 라에티티아 카일레토(Laetitia Cailleteau) 액센츄어 매니징 디렉터 겸 EAMA 책임 AI리더 로레나 푸이카(Lorena Puica), syd.life 설립자 겸 CEO 프리야 나그푸르카르 (Priya Nagpurkar), IBM 리서치 부사장 그레이엄 볼(Graham Ball), 인텔리전트 오믹스 FRSB (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Biology) 박사, CSO 뤄제보(Jiebo Luo), 로체스터 대학교 교수 모한 칸칸할리 (Mohan Kankanhalli), 싱가포르 국립대학 인공지능 연구소 교수 겸 디렉터 라제쉬 발란 (Rajesh Balan),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교수 유안 치 (Yuan Qi) 교수, INF 설립자 람지 리즈크 (Ramzi Rizk), 리즈키 벤처스 설립자 겸 엔젤 투자자 사아드 토마 (Saad Toma) IBM 중동 & 아프리카 총괄매니저 알란 스메튼 (Alan Smeaton), 더블린 시티 대학 교수 주요 연사에 대한 정보는 https://globalaisummit.org/en/Pages/Speakers.aspx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09.04 02:10글로벌뉴스

알리익스프레스, 가격 경쟁력과 상품 다양성으로 높은 충성도 확보

-- "라이프스타일에도 긍정적 변화 이끌어" - 충성고객 증가 중…국내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평균 주 1.55회 이상 알리익스프레스 사용 - 저렴한 가격•트렌디한 상품•쇼핑 재미 쏠쏠...韓사로잡는 알리 매직 서울 2024년 9월 3일 /PRNewswire=연합뉴스/ -- 알리익스프레스가 가격 경쟁력과 상품 다양성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높은 충성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전문 기관 엠브레인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 인지도 및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의 평균 이용 횟수는 주 1.55회 이상으로 확인됐다. 이는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 시장에 진입한 이후, UX, 가격, 서비스, 품질 등 다양한 측면에서 플랫폼 개선 시도를 한 결과 국내 소비자의 이용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상품 전문관인 '케이베뉴' 개설 및 국내 굵직한 제조기업들의 입점 등 국내 시장에 현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국내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의 머릿속에서 알리익스프레스는 기능적으로 '상품 가격이 저렴', '여기에만 있는 특별한 상품', '상품/브랜드 다양함', '신상품 업데이트 빠름' 등 이미지로 인식되며, 감성적으로는 '가성비', '참신함', '밝고 유쾌함', '젊다', '감각적이다' 등과 같은 비교적 젊은 이미지로 차별화되어 있다. 이런 젊은 이미지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도 알리익스프레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데 실제로 20대 여성의 95%, 그리고 30대 여성의 89.7%가 알리익스프레스를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해 2월 진행된 엠브레인의 "중국산 제품 및 중국 쇼핑 앱(알리, 테무 등) 관련 U&A 조사"에서는 약 60.9%의 응답자가 알리익스프레스 앱을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번 조사 결과는 2월 이후 알리익스프레스를 찾는 고객이 실제로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쇼핑의 '즐거움'도 성공적으로 제공하려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실제로 고객들이 부담 없이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플랫폼으로 조금씩 자리매김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들이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저렴한 가격(79.0%)',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어서(19.0%)', '다양한 상품과 브랜드(14.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새롭거나 유행하는 상품 보유', 'DYI 제품 통해 여가 즐기기',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제품 구매' 등 다양한 답변이 눈에 띄었다.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주로 잡화, 사무/문구용품, 디지털기기, 운동/취미 용품, 캠핑용품과 자동차용품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의 제품 카테고리 중 잡화, 의류/패션 관련 상품, 생활용품 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엠브레인은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독특한 제품으로 국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의 소비 카테고리 폭을 한층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레이 장(Ray Zhang)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대표는 "국내 고객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더 많은 제품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어 기쁘다"며, "한국 소비자들의 기대에 걸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4.09.04 00:10글로벌뉴스

하나의 카드로 연결되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잠보(Jambo)' 출시

- 모두에게 동일하게 노출되는 하나의 'Present Card'로 관계를 넓혀가는 서비스 - '팔로워', '좋아요' 수가 아닌 개인의 '생각'을 연결, 같은 관심사 가진 사람들과 대화 가능 - 소수의 셀러브리티를 위한 상위 노출 알고리즘 대신 모두에게 평등한 노출 원칙 적용 서울 2024년 9월 3일 /PRNewswire=연합뉴스/ -- 하나의 카드로 누구나 평등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Jambo'가 출시됐다. (https://link.jambo.club/) Jambo service image 'Jambo'는 모두에게 동일하게 노출되는 하나의 'Present Card'로 생각을 기록하고 관계를 넓혀가는 서비스다. 지금까지의 SNS가 지향했던 '팔로워', '좋아요' 수가 아닌 개인의 '생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든 사용자에게 기록하는 공간을 평등하게 제공하고, 검색∙추천∙연결을 통해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대화를 하며 관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Present Card'는 기록의 공간이다. 'Talk & Listen', 'News & Buzz', 'Dating & Love' 등 카테고리를 선택해 글 또는 사진으로 'Present Card'를 자유롭게 남길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Home'의 피드에는 가장 최근에 올린 카드 하나만 노출된다는 것이다. 키워드를 태그하여 여러 개의 게시물을 피드에 띄우며 상위 노출 알고리즘을 만들어가는 기존의 소셜 미디어와 가장 차별되는 점이다. 모든 사용자가 동등하게 단 하나의 카드만 피드에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시점의 개인이 갖고 있는 관심사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Present Card'는 사용자 간 검색의 대상이자, 추천의 기본 정보가 된다. 사용자들은 'Present Card'로 현재 같은 관심사를 갖고 있는 상대를 찾고 대화할 수 있다. 피드에 있는 카드 중 관심이 있는 주제를 발견하거나 검색을 통해 같은 관심사를 갖고 있는 상대를 찾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름 휴가'라는 키워드를 검색하면 해당 시점에 피드에 노출되어 있는 '여름 휴가' 관련 카드를 찾을 수 있다. 'Nearby'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주변 사람들의 'Present Card'를 살펴보고 관계를 연결할 수도 있다. 발견한 사람과 대화를 이어가고 싶다면 'Connect'를 선택해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 상대에 대해 더 잘 알고 싶다면 상대의 마이페이지에 방문해 국적과 지역, 사용자와의 물리적 거리, 그리고 상대가 지금까지 남겨온 카드를 볼 수 있다. 대화를 원한다면 프로필 사진 하단의 'Connect'를 선택해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상대가 수락하면 연결이 이뤄진다.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카드를 보거나 마이페이지에 들어오면 'Visitor'로 흔적이 남게 해 일종의 시선 교환이 이뤄졌음을 알려준다. 'Jambo'는 프로필 사진에 사용할 수 있는 24개의 캐릭터 이미지도 제공한다. 직접 찍은 사진을 불러오거나 마음에 드는 Jambo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Jambo'는 애플 앱스토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10월경 출시 예정이다. Jambo 팀은 "인터넷은 평등한 공간이지만 어느 순간 SNS는 소수의 셀러브리티가 주목 받는 공간이 되었다"며, "Jambo는 모두가 평등하게 'Present Card'를 기반으로 관계를 확장할 수 있는 SNS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link.jambo.club/) [끝] 문의: contact@jambo.club

2024.09.04 00:10글로벌뉴스

쿠팡, 인구감소 지방도시에 1만명 직고용한다

쿠팡이 20대 청년을 포함해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에 물류 인프라 투자를 대거 늘린다. 추가 물류 인프라 투자를 바탕으로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는 지역을 포함, 전국 각지에서 20대 청년 등 최대 1만여명을 신규 직고용할 방침이다. 이로써 쿠팡 전체 직고용 인력의 80% 이상이 비서울 지역에서 창출될 전망이다. 지역 곳곳에 양질의 직고용 인력이 대거 늘어나면서, 서울과 지방 사이의 일자리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쿠팡은 2026년까지 전국 물류 인프라에 3조원 이상을 투자키로 한 계획에 따라 내년 초까지 9개 지역에 풀필먼트센터(FC)를 비롯한 물류시설을 건립, 운영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예상 직고용 인원만 1만명이 넘는다. 쿠팡은 지난 3월 2026년까지 3조원 이상을 투입해 물류 인프라와 설비에 투자하고, 5천만 인구 대상으로 로켓배송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추가 물류 인프라 투자를 바탕으로 지역 곳곳에 대규모 고용인원이 창출될 전망이다. 먼저 다음달까지 대전 동구 남대전 지역과 광주광역시에 FC 2곳을 준공해 운영에 들어간다. 신규 준공 FC 2곳의 예상 직고용 인력은 3천300여명 이상이다. 지난달 본격 가동한 충남 천안 FC는 500명 채용 예정이다. 각각 500명, 400명 채용 목표인 경북 김천 FC와 울산 서브허브(배송캠프로 상품을 보내는 물류시설)는 오는 10월 착공한다. 경북 칠곡(400명) 서브허브는 연내 운영을 시작하고, 충북 제천(500명) FC는 내년 상반기 착공한다. 부산 강서구 FC(3천명)와 경기 이천 FC(1천500명)는 올 2분기 착공했으며 순조롭게 건설중인 상태다. 쿠팡의 물류 투자 계획이 실현되면 비서울 지역의 배송·물류 관련 직고용 인력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기준 쿠팡의 물류·배송 관련 직고용 인력의 96%(약 5만5천600명)가 비서울 지역에서 일한다. 물류 인프라 투자로 창출되는 물류·배송 관련 직고용 인력은 쿠팡이 지역에서 만드는 일자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앞으로 신규 물류 인프라 투자로 인한 지역 직고용 인력이 1만여명 늘어날 경우, 비서울 지역 고용인원은 6만5천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쿠팡을 포함한 물류 및 배송 자회사(쿠팡풀필먼트서비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의 전체 직고용 인력은 8만여명으로 늘고 이 가운데 비서울 지역의 근무자 비중은 81%에 이르게 될 전망이다. 쿠팡이 만드는 일자리 10개 중 8개 이상은 비서울 지역에서 창출되는 것이다. 특히 9개 추가 투자지역 가운데 대전 동구·광주 광산구, 경북 김천 어모면·칠곡군과 울산 울주군·충북 제천은 저출산 여파 등으로 최근 인구가 줄거나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대전 동구는 청년 고용률이 40% 초반에 불과하고, 김천 어모면은 인구가 4000여명 남짓으로 지역에 고용을 늘릴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태다.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광주와 울산의 인구 순유츌률(-0.6%)은 전국 1위로,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은 실정이다. 이들 지역에 인구가 줄어드는 이유는 청년층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서울과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3~2023년 10년간 서울로 순유입(전입-전출)한 20대 청년(20~29세)은 38만6천731명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부산·광주·대전·울산·경북·충북·충남 7개 지역의 20대 청년 순유출 인구는 27만2천233명에 이른다. 쿠팡의 지역 물류망 투자로 서울이나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다시 지방으로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며 여성 고용도 늘면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지난해 상반기 쿠팡의 전체 직원 가운데 청년(19~34세) 고용 인원은 2만명 이상이다. 또 물류·배송직군 근로자의 약 48%가 여성이다. 쿠팡의 물류센터 현장·사무직, 배송직(쿠팡친구) 등 직고용 일자리는 주5일제(52시간제 준수)로 운영된다. 유연한 근무문화 기반으로 4대 보험은 물론 자유로운 연차 사용, 가족돌봄휴가 등 대체 휴무 제도도 마련돼 있다. 임산부 1대1 상담 제도, 육아휴직 복직 프로그램, '쿠팡케어'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면서 일과 가정의 양립, 건강한 일터 조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쿠팡은 고용위기 지역으로 손꼽히던 경남 창원을 비롯해 김해·제주·대구 등 여러 FC와 물류시설에서 직고용을 늘려왔다. 쿠팡의 물류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택배 불모지인 도서산간지역을 포함한 쿠세권(로켓배송이 가능한 지역)이 늘고 지방 도시에 거주하는 고객들의 삶의 질도 높아질 전망이다. 쿠팡은 2027년부터 전국 약 230여개 시군구(전체 260곳)를 비롯,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 60여곳 이상(전체 89곳) 지역에 무료 로켓배송을 확대할 방침이다. 생필품과 식료품을 구하기 어려운 '장보기 사막'에 거주하는 도서산간 고객들이 불필요한 배송료 부담 없이 무료 배송 이용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대학원장은 “청년들이 대기업 일자리가 많은 서울 등 수도권 일대에 몰리는 반면, 지방에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기업체가 적은 상황에서 쿠팡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지역에 집중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양극화와 지방소멸이 극심해지는 상황에서 내수산업을 살리고 온라인 판로 확대가 절실한 제조 생태계도 지원하는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09.03 20:23안희정

씨이랩, 'HPE AI@하이퍼스케일 2024' 컨퍼런스 참가

AI 영상분석 전문기업 씨이랩(대표 이우영)은 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HPE AI@Hyperscale 2024' 컨퍼런스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HPE AI@Hyperscale 2024'는 4개 트랙과 세션으로 구성, 격변하는 AI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슈퍼컴퓨팅 통합 솔루션과 엑셀러레이터를 제공하는 HPE와 엔비디아(NVIDIA)가 새롭게 부상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포함한 'HPC/AI' 기술과 솔루션을 통한 비즈니스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HPE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의 주요 파트너사인 씨이랩은 이번 행사에서 'AstraGo'를 출품해 부스에서 함께 선보였다. 'AstraGo'는 AI 머신러닝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쿠버네틱스(Kubernetes) 기반 GPU 인프라 관리 솔루션이다. 머신러닝 엔지니어를 위한 잡스케줄러 기반의 리소스 최적화 기술과 관리자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갖췄다. 이를 통해 기업의 GPU 서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측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AstraGo만의 특징이다. 특히 씨이랩 AstraGo는 글로벌 IT 기업 HPE의 모니터링 솔루션인 'OneView'와 연동됐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전반에 걸쳐 인프라 라이프 사이클 관리를 최소화시키고, 하드웨어의 상세 모니터링 로그, GUI 기반 서버 컨트롤을 강화시켰다. 또 일괄적인 AI 규제로 인한 파편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씨이랩은 HPE 서버와 결합한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제공 중에 있다. 알고리즘, 모델, 데이터 등이 여러 개의 독립적이고 상이한 플랫폼에서 운영되고 있어 통합적 접근이 어려운 점을 SW/HW 어플라이언스로 통합해 구매 절차에서부터 관리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일원화시킬 수 있다. 특히 AstraGo는 AI 시장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생성형 AI 도입과 관련해 요구되는 각종 컴퓨팅 성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GPU 매니지먼트 솔루션이다. 최근 급변하는 AI 머신러닝 개발 환경에 맞춰 사용자의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신규 기능을 대거 추가했다. 신규로 추가한 '비교 실험' 기능은 학습한 여러 AI 모델 성능을 비교할 수 있다. 여러 AI 모델 중 최적의 모델 학습 결과를 도출하고 비교해 사용자 목적에 맞는 AI 학습 및 추론 작업을 수행한다. 또 '비교실험' 기능에서 선택한 AI 모델은 '모델관리' 기능을 통해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모델관리' 기능은 모델 학습 및 추론 시에 배포된 모델의 버전을 AstraGo에서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AstraGo는 원클릭으로 화면 이동이 가능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 AI 인프라를 쉽게 구축하고 싶은 기관과 엔터프라이즈 기업에 특화된 솔루션이다. 씨이랩 김수현 리더는 “HPE 원뷰(OneView) 솔루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HPE 서버 기능과도 연계해 도입, 사용, 유지 보수를 모두 쉽게 연동할 수 있는 AI 인프라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코스닥 상장사인 씨이랩은 2010년 설립된 AI 영상분석 전문기업이다. 대용량 영상 데이터 분석에 특화한 기술을 인정받아 2021년 2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주요 사업은 △AI를 통한 실시간 영상분석(VidiGo, XAIVA) △AI 학습용 합성데이터 생성(X-GEN) △GPU 툴링 솔루션(astrago)이다. 특히 AI 컴퓨팅 분야의 선도기업인 엔비디아(NVIDIA) GPU에 자사 솔루션을 탑재해 판매하는 어플라이언스 사업에서 경쟁력이 있다.

2024.09.03 19:59방은주

"더 안전한 서울 만들기 해법은 AI관제"

서울시의회 이상욱 의원과 한국안전정책학회가 주최하고 인텔리빅스와 한국안전정책포럼이 후원한 '2024 AI·빅데이터 활용 더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그동안 서울 시민들을 위한 안전 관제는 VMS를 활용해 사람의 육안으로 관제했지만,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더 안전하게 지킬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했다. 김혜진 서울시의회 의원 사회로 진행한 이날 토론회에는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강동길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위원장, 김길영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군형위원장이 참석해 축사를 했다. 최호정 의장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더 안전한 서울'을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김병민 부시장은 “재난안전 분야에 AI와 빅데이터 도입은 '안심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필수”라고 밝혔다. 또 강동길 위원장과 김길영 위원장은 “도시 안전에 새로운 패러다임과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AI관제로 시민의 안전을 촘촘히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를 한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이사(aSSIST 석학교수)는 “화재, 도난, 쓰러짐, 인파사고, 불법 주정차, 교통사고 등 시민의 안전과 관련한 거의 모든 이벤트를 AI가 탐지해서 알려주고 관제일지까지 작성해 빅데이터를 만들어주는 시대가 됐다”며 “사람 관제를 이제 AI관제로 대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대표는 “특히 AI 모니터링 시스템인 AMS를 도입하면 쓰레기 무단 투기, 화재 등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생성형 AI가 자동으로 요약 보고서(빅데이터)를 생성해준다”며 “이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교통 흐름, 사고 다발지역, 재난재해 예측 등을 통해 더 안전한 서울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윤식 중앙대학교 AI학과 교수는 '초거대 영상검색모델(VLM)로 빅데이터 생성을 통한 서울시 '예방안전' 구현'을 주제로 발표했다. 조 교수는 “VLM(Vision Language Model) 기술을 활용해 CCTV에 찍힌 영상 정보를 텍스트로 전환해 안전 빅데이터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이 데이터를 분석해 사고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예방 안전'을 구현해야 한다”밝혔다. 토론에는 석재왕 건국대 교수를 좌장으로 임승철 서울시 정보통신과장, 김형중 서울시 재난안전정책과장, 조가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이성관 극동대 특임교수, 이창윤 한국안전정책포럼 부회장이 참석했다. 토론자들은 더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첨단 AI 기술 인프라의 확충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AI와 빅데이터 기술이 서울시의 안전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짚었다. 또 서울 시민의 생활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2024.09.03 19:40방은주

"국내 의료 데이터 업계 모여 발전방안 모색"

한국산업연합포럼(회장 정만기)과 대한의료데이터협회(협회장 정명애, 이하 KMDA)는 오는 4일 서울 자동차회관 B1 그랜저 볼룸에서 국내 의료데이터 관련 산업체를 대상으로 제58회 산업발전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국내 의료데이터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료데이터 산업의 현황과 당면 문제점을 공유하고, 토론을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포럼 발표 주제는 '의료데이터 산업 현황 및 생태계 활성화 방안'이다. 국회 AI특별의원회 바이오분과를 맡고 있는 최수진 의원(국민의 힘, 비례대표)은 특별 강연을 통해, 급격히 커져가고 있는 AI·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와 전망 및 AI기술의 국내 의료 분야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포럼에서는 빅데이터와 보건의료 데이터의 개념 강연을 시작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의료 빅데이터 시장의 규모 및 전망을 소개한다. 또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관련 이슈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발전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KMDA는 이날 첫 포럼에 이어 오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ChatGPT 활용현황과 사례 ▲의료데이터관련 특허 등록/출원 된 아이템 및 사례 등 2개 주제를 시작으로 총 4회 간 의료데이터 관련 포럼을 진행할 계획이다. 패널 토론은 이주석 인텔코리아 부사장을 좌장으로 △양희철(법무법인 명륜) 변호사 △전상표 KMDA 아태의료데이터박람회 조직위원장 △최미연 변호사(파나케이아법률사무소 대표) △박미영 박사(한국생명기술연구조합 이사장) △소대섭 박사(KISTI 전문위원) 등이 나설 예정이다. KMDA 정명애 회장(을지대학교 빅데이터의료융합학과 교수)은 “의료데이터 산업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의료데이터 시장참여자 간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일회성 교류를 넘어서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교류의 장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연구개발 역량 및 의료데이터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산·학·연·병 역량을 소개하고, 의료데이터산업 성장을 위한 재정적, 행정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2024.09.03 19:02박희범

엠로, 복잡한 공급망 관리...AI로 자동화

엠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전 세계적으로 불안정한 공급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엠로 김광섭 디지털전환(DX)사업부문 부사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SDS 리얼 서밋 2024에서 AI기반 공급망관리 솔루션을 시연했다. 김 부사장은 많은 기업들이 생산 및 서비스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품목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어려움의 주요인으로는 국제적으로 자재를 조달하고 제품을 판매하며 복잡해진 공급망 구조가 꼽힌다. 공급망이 복잡해진 이유는 클라우드를 통해 공급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물류 서비스기업의 시스템이 긴밀하게 연결되며 등 다수의 이해관계자를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전 세계적인 불황과 천재지변을 비롯해 각국의 정치적인 요소를 비롯해 언어, 법규, 관습도 고려해야할 요소로 떠올랐다. 김 부사장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 아이템 닥터'와 '스마트 쿼테이션 닥터'를 제시했다. 스마트 아이템 닥터는 자연어처리(NLP) 기술을 활용해 구매시스템에 신규 품목 등록 시 수만 개에서 수십만 개에 이르는 대규포 품목을 중 유사/중복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 중복 등록을 방지하는 아이템 마스터 품질 관리 솔루션이다.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중복 분류 작업을 자동화해 현업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낮추고 휴먼에러를 방지해 데이터 관리의 일관성을 높인다. 유사도 검색 모델을 사용해 중복 품목을 빠르게 식별하고, 데이터 입력 오류나 누락된 정보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불필요한 재고나 비용 증가를 방지한다. 김 부사장은 "이미 여러 국내 대기업에서 도입해 사용 중으로 이를 통해 업무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며 "한 대기업의 설비 구매팀은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견적서 분석을 자동화해 2~3일이 걸리던 작업 시간을 5초로 줄이며 전체 업무 시간을 연간 수천 시간 업무 시간 절감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쿼테이션 닥터는 AI기반 견적서 분석 솔루션으로 수천 줄에 달하는 견적서를 자동으로 검토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단가나 적합하지 않은 양식 등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업무 담당자는 적합한 견적서의 평가에 집중할 수 있으며 업무 수행 시간도 단축가능하다. 김 부사장은 과거 구매 내역 상의 품목과 단가를 AI가 자동으로 인식, 분류 및 정리해 견적 단가 비교에 필요한 표준단가 DB를 구축 한다"며 "이를 기반으로 AI가 협력사가 제출한 견적가를 분석하고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외부 시장가와도 자동 비교해 최적의 견적가와 부품 원가를 추천함으로써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견적 검토 업무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엠로는 공급망 지원 서비스에 적용된 AI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 사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김광섭 부사장은 "데이터 품질 관리와 자동화된 공급망 관리를 통해 고객사의 실질적인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려 한다"며 "이를 위해 현재의 AI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하고,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강화를 통해 예측 정확성을 높이고, 견적서 검토 프로세스와 같은 비효율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더 많은 기업이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엠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고,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AI 기술을 활용한 공급망 관리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2024.09.03 18:59남혁우

'E4C: 파이널 셀베이션', 3대3으로 진행되는 웹3 기반 모바일 MOBA

글로벌 메인넷 수이의 원기여자인 미스틴랩스가 블록체인 콘솔과 신작 게임을 선보이며 향후 진행할 블록체인 게임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미스틴랩스는 3일 서울시 서초구 포털 PC에서 열린 'Games: Portal to Web3' 행사의 일환으로 수이 메인넷과 협업해 개발 중인 신작 게임 3종을 만나볼 수 있는 시연회를 가졌다. 앰브러스 스튜디오가 수이를 통해 서비스하는 모바일 MOBA 'E4C: 파이널 셀베이션(E4C)'은 기후변화로 황폐해진 지구를 배경으로 진행되는 팀 중심의 멀티플레이어 게임이다. 앰브러스스튜디오의 존슨 예 창업자는 과거 라이엇게임즈 아시아 지역 COO를 맡은 바 있다. 그는 라이엇 게임즈 재직시절 '와일드리프트' 제작에 참여했다. 플레이어는 인류가 생존할 수 있는 마지막 대륙에서 살아남기 위해 싸우는 생존자 집단인 E4C 레인저스(E4C Rangers)의 일원이 된다. 게임은 3대3으로 진행되며, 맵 구성은 2개의 레인과 중립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플레이어는 고유한 능력을 지닌 다양한 영웅 중 하나를 선택해 화려한 아레나에서 경쟁을 펼치게 된다. 중립몬스터를 처치하면 아군으로 소환할 수 있다. 두 명의 캐릭터를 선택해 교체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파이널 셀베이션은 또한 NFT 컬렉션을 제공해 다른 플레이어에겐 없는 보상과 파워업으로 게임플레이를 한층 더 강화시켜준다. 개발진의 설명에 따르면 E4C는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을 타깃으로 개발하고 있으다.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마트폰의 사양도 굉장히 낮다. 앰브러스스튜디오의 존슨 예 창업자는 "라이엇게임즈 재직 시절부터 모바일 MOBA 게임을 만들고 싶었다"며 "인도와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 성장 중인 국가의 25억명에 달하는 잠재적 이용자를 타깃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이와 파트너십을 맺은 이유에 대해 "웹2 게임산업에서 심리스 한 유저 경험이 매우 중요했다"며 "e4c의 핵심 BM은 스킨 판매로 인한 수익인데, 수이를 사용하면 이를 잘 살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수이의 팀원들은 최고의 사람들이다. 매우 큰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게임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전과 열정을 내부 관계자들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4.09.03 18:53강한결

다크타임즈, 중세풍의 격투 대전 배틀 로얄 게임

글로벌 메인넷 수이의 원기여자인 미스틴랩스가 블록체인 콘솔과 신작 게임을 선보이며 향후 진행할 블록체인 게임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미스틴랩스는 3일 서울시 서초구 포털 PC에서 열린 'Games: Portal to Web3' 행사의 일환으로 수이 메인넷과 협업해 개발 중인 신작 게임 3종을 만나볼 수 있는 시연회를 가졌다. 다크타임즈(DARKTIMES)는 애니모카브랜즈가 지원하고 애니모카의 VIP 게임 스튜디오인 블로우피쉬 스튜디오가 개발 중인 하이파이 멀티플레이어 다크 판타지 게임으로 디아블로의 미학에 포트나이트의 속도감 있는 액션이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개발진의 설명에 따르면 다크타임즈는 북유럽 신화를 바탕으로 한 중세풍의 격투 대전 배틀 로얄 게임으로 몰입감 있는 게임 스토리와 물리적 현상을 바탕으로 한 전투 시스템을 구성했다. 36명의 플레이어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전을 벌여 최종 승리자 만이 살아남게 되는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서바이벌 게임처럼 플레이어는 혈혈단신으로 게임을 시작해 다양한 무기, 장식 및 방어구를 갖추며 챔피언으로 성장한다. 다크타임즈는 게임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한 토크노믹스도 갖추고 있으며, 새로운 유틸리티 및 소각 메커니즘을 구현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즌제 운영과 e스포츠 등도 염두에 둔 상황이다. 블로우피쉬 스튜디오 측은 "수이는 기술적으로 우수한 메인넷이다. 오래된 개발사로서 이전에 많은 블록체인 협업사와 일했는데, 큰 트래픽을 요할때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며 "얘를 들어 가스비가 많이 만들어진다거나, 또한 트랜젝션 처리량이 애매한 경우가 있다. 수이와 일하면서 이러한 부분을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철학적인 부분에서도 수이 측과 뜻이 통한 부분이 있다. 우리는 게임 개발자로서 이용자 경험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며 "심리스한 서비스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것이 수이 블록체인이다. 또한 수이 측 게임 담당하시는 분들이 모두 베테랑이고, 여러 사업 측면에서 게임에 대해 진심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4.09.03 18:37강한결

소사이어티, RPG 요소 가미된 웹3 슈팅게임

글로벌 메인넷 수이의 원기여자인 미스틴랩스가 블록체인 콘솔과 신작 게임을 선보이며 향후 진행할 블록체인 게임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미스틴랩스는 3일 서울시 서초구 포털 PC에서 열린 'Games: Portal to Web3' 행사의 일환으로 수이 메인넷과 협업해 개발 중인 신작 게임 3종을 만나볼 수 있는 시연회를 가졌다. 소사이어티(SOCIETY)는 한국의 게임개발사 앤더스(NDUS)가 개발한 RPG 방식의 진행이 가미된 POP 슈팅게임으로 웹3 게임 분야를 혁신한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플레이어의 경험을 강조하는 소사이어티는 플레이어에게 경제적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이들 스스로를 핵심적인 경제행위자로 변모시켜 게임 경험의 정의를 재정립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3인칭 슈팅 게임에서는 유저 한 사람의 활약이 게임 환경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반면, 소아이어티에서는 유저들의 결정이 게임플레이와 게임 환경 전체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파급효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개발진의 설명이다. 현장에서는 기본 모드인 '팝 익스트랙션' 모드와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모드 '펏지 펭귄'을 시연할 수 있었다. 김창현 소사이어티 디자인 디렉터는 “올해 개발을 완료하고 내년 1분기와 2분기에 라이브 서비스하는 것이 목표”라며 “별도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드를 제공하고 에픽게임즈 스토어를 통해서도 서비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이와 파트너십을 맺은 이유에 대해 "수이는 변화가능한 NFT를 제공하고 있다"며 "지난번에 1만 8천명이 들어오는 CBT를 진행했는데, 초당 민팅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수이의 모든 조직원들이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은 점도 마음에 들었다"며 "수이보다 높은 금액을 제시한 메인넷도 있었지만, 20년간 게임을 개발한 우리 입장에서는 수이가 가장 매력적으로 다가왔다"고 덧붙였다.

2024.09.03 18:25강한결

온오프믹스, IE 비즈니스 스쿨 '루시아 에지아' 부학장 강연

세계 8위 경영대학원 IE 비즈니스 스쿨의 루시아 에지아 부학장이 서울에서 '글로벌 환경 속 여성 리더십 혁신'을 주제로 마스터클래스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우리는 함께 성장한다”라는 슬로건 아래 디오코스와 온오프믹스가 공동 주최하고, 콜즈다이나믹스가 후원한다. 에지아 부학장은 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여성 리더들의 혁신적 역할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에지아 부학장은 세계지식포럼의 연사로 한국을 방문하게 돼 이번 행사에 별도로 특별 초대 됐다. 그는 에듀테크, 금융, 비즈니스 개발, 전략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 최고 경영진 수준의 폭넓은 국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유럽, 중동, 라틴아메리카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쌓은 경험이 묻어난 특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스터클래스에 이어 진행되는 패널 토크에서는 에지아 부학장과 함께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의 박혜진 교수가 모더레이터로 참여한다. 또 로보컴퍼니의 정인애 대표가 패널로 함께한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글로벌 환경에서의 여성 리더십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행사의 호스트는 대니한 디오코스 대표가 맡는다. IE 경영대학원 MBA 출신인 대니한 대표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 라인, 시그나, 처브, 모부시 등 글로벌 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디오코스 그룹을 통해 기업과 인재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이달 7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 콜즈다이나믹스가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 소재 어반크리에이터스유닛에서 진행된다. 특히 이번 마스터클래스에서는 온오프믹스의 AI 통역 솔루션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117개 언어와 방언을 실시간 통역할 수 있는 기술로, 온오프믹스가 15년 이상 축적한 이벤트 운영 노하우와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구현됐다. 참가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에지아 부학장의 강연을 한국어로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편안한 분위기에서 마스터클래스와 패널 토크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참가 신청은 종합 이벤트 테크 플랫폼 온오프믹스를 통해 무료로 할 수 있다. 에지아 부학장은 "이번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여성 리더십의 혁신적 역할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참가자들과 함께 성장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4.09.03 18:02백봉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구축 전폭 지원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가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데이터센터 컨설팅 지원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로써 비수도권 지자체와 기업의 데이터 역량을 적극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는 데이터 구축 지원 사업을 위해 데우스와 협업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친환경 그린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다. 컨설팅 지원센터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지자체와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 컨설팅, 사업 추진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담당자 역량 강화 교육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구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고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돕는 것이 목표다.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의 72.9%는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수도권 데이터센터 구축은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터센터 컨설팅 지원센터는 오는 24일 서울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설명회에서는 통합·원포인트 컨설팅 제공 분야, 신청 및 선정 절차, 가이드라인 및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될 계획이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관계자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의 성공적인 구축은 국가 전체의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이번 컨설팅 지원이 지역 경제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9.03 18:00조이환

하나금융-SKT, 비트고 코리아 주요주주로 참여

비트고가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올해 초 설립한 비트고 코리아는 하나금융 및 SK텔레콤(이하 SKT)을 주요 주주이자 전략적 파트너로 맞이했다고 3일 밝혔다. 마이크 벨시 비트고 CEO 3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 서울에서 개최된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BW2024)에서 하나금융과 SKT가 비트고 코리아의 주요주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과 SKT는 최근 비트고 코리아에 대한 지분 투자를 단행, 각각 지분 25%와 10%를 취득한 바 있다. 비트고는 올해 초 한국 법인 비트고 코리아 설립과 함께 대규모의 증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며, 이 과정에서 하나은행을 비롯해 하나증권, 하나TI 등 하나금융의 주요 계열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하나금융과 SKT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적인 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양사 모두 미래에셋증권이 주도한 넥스트 파이낸스 이니셔티브 (NFI) 컨소시엄의 일원이기도 하다. 하나금융지주 정재욱 상무(AI-디지털전략본부)는 “하나금융그룹은 비트고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고, 신뢰성 있는 수탁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가상자산 시장의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SKT는 이번 주주 참여를 통해 비트고 코리아와 전략적인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SKT는 인증, 보안, 신원증명 분야의 노하우를 접목해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들이 비트고의 서비스를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비트고 코리아가 한국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빠르게 점유율 확대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오세현 SKT Web3 CO장(부사장)은 “디지털자산 시장의 본격적 성장을 위해서 사용자의 신뢰확보를 위한 인증과 보안이 필수적이다. SKT가 그동안 쌓아온 인증, 보안 기술력이 향후 수탁 시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하나금융과 SKT의 전략적 지분 참여는 가상자산의 제도권화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나금융은 전통 금융산업에서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비트코의 선진 기술과 노하우를 한국 시장에 최적화하는데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STO, RWA, ETF 등 금융 상품의 기초자산 수탁에 대한 기술적 안정성과 노하우를 갖춘 금융기관급 기업이 국내에서도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현재 비트고 코리아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위한 인적, 물적 준비 및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청을 진행 중이다. 이영로 비트고 코리아 대표는 “비트고 코리아는 하나금융 및 SKT를 전략적 파트너로 맞이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비트고가 글로벌 시장에서 축적된 선도적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국내에 적극 소개하며 가상자산 제도화에 기여하고 무엇보다 이용자 보호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2024.09.03 17:44김한준

[현장] IBM 행사에 '골프 여제' 박세리도 지원사격…이은주 "6천조 시장 이끌 것"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4년 내 10억 개에 가까운 앱이 만들어질 겁니다. 향후 비즈니스 AI는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을 6천조원에 가깝게 수익 성장을 낼 것입니다." 이은주 한국IBM 대표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IBM AI 서밋 코리아 행사에서 이처럼 말하며 AI 시장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한국IBM은 '기업 혁신을 극대화 하는 AI, 자동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라는 주제로 이날 행사를 열었다. 이 대표는 "AI로 성공하려면 신뢰성, 유연성, 개방성이 필요하다"며 "자사는 100개 이상 조직과의 협약을 통한 지적 재산권 면책 정책을 시행 중으로, '왓슨x'는 미스트랄·라마 등 타사 대형언어모델(LLM)과 연계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왓슨x'는 큰 크기의 AI 모델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소형의 모델을 제공하면서도 품질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고 덧붙였다. '왓슨x'는 지난해 IBM이 출시한 생성형AI 및 데이터 플랫폼이다. 이번 행사는 왓슨x가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비즈니스 영역에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대표는 이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수익성 있게 생성형AI를 확장하려면 AI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접근 방식을 가진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AI를 위해 별도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마련하는 것이 수익성 측면에서 더 이롭다"며 "이러한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기업들은 필요할 때만 1번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접근 방식을 사용한 기업보다 투자 수익률(ROI)이 3배 이상 높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골프선수인 박세리 전 감독을 포함해 IBM 관계자, 한국 레드햇 관계자 등이 참석해 왓슨x, IT 운영 자동화 프랙티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아키텍처 및 적용 방안을 공유했다. 특히 박세리 전 감독은 IBM이 골프 시장에 주고 있는 이점과 운동선수 출신으로서 AI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박 대표는 "AI가 코스 데이터 등 분석을 도와줘 시간을 줄여주고 선수 컨디션 관리를 도와주고 있다"며 "해설을 하는 입장에서도 AI가 사람 해설이 짚어주지 못하는 부분을 알려줘 몰입도를 높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사람들이 골프 스윙처럼 신체 활동이 요구되는 행동까지 전부 AI에 의존하는 모습은 우려했다. 박 대표는 "골프 스윙과 관련한 AI 코칭이나 영상을 보고 따라 한다고 해서 스윙 속도나 스위티 스팟이 똑같이 나오지는 않는다"며 "AI에 도움받을 수 있는 부분과 직접 코칭을 받으면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것을 구분하는 모습이 자신의 객관적인 장·단점 파악에 더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IBM 본사 임원진도 연설에 나섰다. IBM 아눕 쿠마르 CTO는 "인공지능(AI)에 있어 실험의 시간은 끝났다"며 "이제부턴 AI를 어떻게 활용하냐의 싸움이며 우리는 그 싸움에서 앞서나가고 있다고 자신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표했다. 쿠마르 CTO는 각종 기업들이 AI 어시스턴트를 도입해 반복 작업을 대신 해주고 자바 등 코드를 파악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등 업무 생산성이 크게 높아진 점을 강조했다. 이어 노코드 플랫폼으로 맞춤화와 튜닝이 쉬운 것이 업무 생산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쿠마르 CTO는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운영비용 측면에서 약 4억 달러 가까운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며 "테스트 코딩 자동화와 테스트 프로세스를 자동화 해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같이 발표에 나선 미드하트 샤히드 AI 제품 관리 부사장은 생성형 AI를 위해선 신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플랫폼을 가져가기 위해선 적절한 인프라와 목적에 맞는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IBM이 1천 개 이상의 고객사와 협업하며 많은 데이터를 끌어모았고 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골라 뽑아 활용할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도 피력했다. 샤히드 부사장은 "생성형AI를 위해선 신뢰가 필요하고 플랫폼을 가져가기 위해선 적절한 인프라와 목적에 맞는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AI 윤리팀과 긴밀히 협력해 검증된 품질의 데이터로 모델이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09.03 17:43양정민

언어·문화 충돌하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혼선, 브리티 코파일럿으로 해결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다국간 글로벌 협력이 활발해짐과 동시에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충돌하며 혼선을 빚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시 통역 서비스를 지원하는 브리티 코파일럿의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 베트남의 CMC글로벌 당반투 최고기술책임자(CTO)는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SDS 리얼 서밋 2024에서 브리티 코파일럿의 글로벌 도입 사례를 소개했다. CMC글로벌은 베트남의 IT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한국을 비롯해 미국 등 다양한 기업의 소프트웨어(SW)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IT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다. 다양한 국가의 조직과 동시에 업무를 진행하는 만큼 의사소통의 장애로 인해 개발과정이 느려질 뿐 아니라 언어나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전체 프로젝트에 혼란이 야기되는 사례가 발생하곤 했다. 당반투 CTO는 "여러 언어에 대응하기 위해 통역사를 활용하고 있지만 통역은 대부분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의나 대화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전문 지식이 없다면, 여전히 잘못 전달되거나 오해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MC 글로벌은 삼성SDS의 브리티 코파일럿을 도입했다. 실시간으로 대화를 번역하고 요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가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적인 내용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오해를 해소해 보다 긴밀하게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당반투 CTO는 "브리티 코파일럿 도입후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30% 감소하며 회의 시간을 40%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프로젝트 관리가 간소화되고 자동화됨에 따라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가 늘어남과 동시에 보다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프로젝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2024.09.03 17:28남혁우

  Prev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국가AI전략위 출범 임박…조건 완화될 'AI컴퓨팅센터' 공모 주목

메로나 승소로 식품업계 ‘복붙 전략’ 사라질까

"고성능은 기본 저탄소가 경쟁력"…K-배터리 새 생존법

[현장] AI가 바꾸는 게임·스포츠…이미지 생성·데이터 분석도 자동으로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