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서비스'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2503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생성형AI 어시스턴스 '앤써' 출시

CJ메조미디어는 지난 26년간 축적한 디지털광고 전문 지식과 업종별 캠페인 데이터를 결합한 생성형 AI 어시스턴트 '앤써(AnXer)'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앤써는 CJ메조미디어의 자체 AI 광고솔루션 브랜드인 'AI전환(AX)'의 세 번째 AI 서비스다. 지난해부터 CJ메조미디어는 광고주 성과 극대화를 위해 광고 제안부터 운영, 성과 분석 등 전 영역에 AI 기술 통한 최적화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AI 기반의 MMM 모델(Media Mix Modeling)을 바탕으로 한 자동 예산 분배 솔루션 'AX 버짓 옵티마이저(AX Budget Optimizer)'와 디지털광고의 통합 도달 예측 솔루션 'AX 리치 캐스터(AX Reach Caster)'를 선보였으며 예산 최적화에 따른 성과 개선으로 광고주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앤써는 챗GPT와 클로드를 기반으로 광고 전문 지식과 데이터를 집대성한 AI 어시스턴트다. 약 10만건의 광고 캠페인 성과 데이터부터 미디어 판매 정책 및 광고상품 정보, 실무자의 캠페인 운영 경험과 노하우까지 참조할 수 있도록 RAG(검색증강생성) 방식을 도입해 디지털광고에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임직원은 보다 향상된 디지털광고 전문성으로 업무 혁신이 가능하고, 과거 유사 캠페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주 업종과 KPI에 최적화된 체계적 캠페인 운영으로 성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앤써는 디지털광고 외에도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거나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기획서부터 보고서, 이메일까지 업무 문서 작성을 지원하는 '문서작성' 프로그래밍 코드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코드 분석' Raw 데이터 파일을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 문서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핵심 정보를 추출하는 '문서 분석' 등이 있다. 향후에는 인사·총무·재무 등 사내 규정 정보까지도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확장할 계획이다. 김기환 CJ메조미디어 데이터솔루션담당은 “이러한 자사의 노하우와 AI 기술의 결합이 고객들에게도 실질적인 가치와 경험으로 전해지길 바라며 앞으로도 광고사업 전 영역에 AI를 활용한 고도화를 확장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25.04.17 09:58최이담

SKT, 상용망 환경서 가상화 기지국 실증

SK텔레콤은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장비 제조사와 협력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실증을 통해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대비 서비스 품질, 용량, 전력 효율 등 핵심 성능의 개선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증했다.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제조사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실제 실내외 환경에서 모두 실증한 것은 국내 이동통신사 중 SK텔레콤이 처음이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구현이 가능해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 실현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실증된 가상화 기지국은 과거 기지국 전용 하드웨어에 동일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되어야 했던 구조보다 개방성과 유연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가상화 기지국의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실증에 활용하며 효율성과 경제성도 높였다. 또한 SK텔레콤은 개방형 프론트홀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 에치에프알(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 표준에 따라 연동했다. 이를 실제 실내 사무공간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네트워크 AI'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통신 서비스와 AI 워크로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AI 기지국(AI-RAN)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 GPU를 포함한 다양한 칩셋 기반의 기지국 장비와 가상화 자원 분배 기술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은 지난 MWC25에서 GPU 기반 가상화 기지국의 초기 벤치마킹 결과와 AI 기지국에서 무선 통신 성능 저하 없이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 자원 관리 기술 등 네트워크 AI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또한 지난해 'O-RAN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2024'에서 에릭슨, 노키아 등과 협력해 다양한 구조의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발표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본부장은 "이번에 상용 환경에서 실증한 가상화 기지국은 SK텔레콤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네트워크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구현에 앞장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4.17 09:57최이담

SKT, 설문 조사 서비스 'SKT AI 서베이' 공개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반 설문 조사 결과와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SK텔레콤 AI 서베이' 서비스를 전용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고 17일 밝혔다. AI 서베이는 크게 설문 응답자와 의뢰자 영역으로 구분된다. 우선 SK텔레콤 고객(설문 응답자)은 T멤버십 앱 '미션' 탭에 들어가 정기적으로 올라오는 다양한 설문에 응하고, T플러스포인트를 지급받는다. 적립한 T플러스포인트는 여러 T멤버십 제휴처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설문은 SK텔레콤이 자체 제작하거나 외부 설문 의뢰를 받아 설계한다. 문항 작성과 응답 수집, 결과 분석까지 전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불특정 다수 대상 조사 뿐만 아니라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설문 조사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방문한 고객, 게임·여행·패션·투자 등 특정 영역에 관심이 많은 고객군을 타깃으로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교한 설문을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실시한 다양한 설문 가운데 흥미롭거나 유의미한 조사 위주로 SK텔레콤 AI 서베이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설문 결과 뿐만 아니라 AI가 분석한 시사점 등도 함께 제공한다. 지난해 12월 진행된 '산불 예방 국민 인식 조사'가 대표적이다. 산불 위험이 봄철에 집중됨에도 설문 응답자들은 24%만이 위험 계절로 봄을 택했고, 가을(39%)과 겨울(31%)을 답한 비중이 더 높았다. 산불 위험에 대한 기본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게 된 것이다. 설문을 통해 도출된 분석 정보는 AI 기술을 통해 자동 생성돼 기업 마케팅이나 대학·기관 연구, 지자체 사업 등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향후 AI 분석과 정보 생성에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 주식 투자 예측, 부동산 전망, 화장품 이용, 선호 간편식 등 폭넓은 설문 조사 정보를 SK텔레콤 AI 서베이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박준 SK텔레콤 AI 인텔리전스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확장된 영역에서 AI 인텔리전스 정보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4.17 09:53최이담

NHN "다키스트 데이즈, 웰메이드 좀비 슈터 되길 바라"

NHN이 24일 신작 슈팅 RPG '다키스트 데이즈'의 오픈베타테스트(OBT)를 시작한다. 이번 테스트를 통해 NHN은 글로벌 이용자 피드백을 적극 수렴하고, PC·모바일 간 크로스플레이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다키스트 데이즈는 좀비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모바일·PC 슈팅 게임이다. 좀비로 인해 황폐해진 '샌드크릭'에서 다양한 생존자 커뮤니티와 조우하며 성장하는 스토리를 중심으로, 일반 좀비부터 특수 거대 좀비까지 다양한 전투를 경험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NHN은 10일 판교 NHN 사옥에서 다키스트 데이즈 OBT를 앞두고 공동 인터뷰를 진행했다. 현장에는 김동선 NHN 나우 그룹장과 정중재 사업실장이 참석해 게임의 방향성과 개선 과정, 향후 업데이트 계획을 설명했다. 김동선 그룹장은 “스팀 넥스트 페스트를 통해 PC 버전을 처음 공개했는데, 기존 모바일 테스트 때보다 이탈률이 높았던 전투 구간의 원인을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단순히 조작의 어려움이 아니라 설계된 전투 구간의 난이도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했고, OBT에서는 해당 구간의 밸런스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근접 전투 중심 구간에서 원거리 적대 세력과 마주하는 전환 구간이 주요 이탈 지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이용자들의 환경을 고려한 로그인 시스템 개편도 이뤄졌다. 김 그룹장은 “스팀 로그인 이후 별도 구글 계정 인증을 요구하던 구조는 북미 유저들에게 불필요한 장벽이었다”며 “OBT부터는 스팀 로그인만으로 곧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밝혔다. 정중재 실장은 이번 OBT가 단순한 기술 테스트를 넘어, 중장기적 방향 설정을 위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처럼 짧은 CBT 이후 바로 정식 서비스로 전환하는 방식은 지양하고 있다”며 “유저 피드백을 반영해 완성도를 끌어올리고, 출시 이후 장기적인 라이브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시기”라고 말했다. 다키스트 데이즈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개발됐지만, 이용자 요청에 따라 PC 동시 출시로 방향을 선회했다. 김 그룹장은 “2차 테스트 당시 PC에서의 몰입도가 더 높다는 의견이 다수 제기돼, 3차 테스트부터 PC와 모바일을 함께 지원하는 구조로 바꿨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UI·UX 역시 양 플랫폼 간 최적화 작업이 진행됐다. 김 그룹장은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PC에서 적용했을 때 조작 불편이 있었다”며 “중앙 집중형 레이아웃, 인벤토리 칸 수 조정, 마우스 이동 최적화 등 PC 환경에 맞게 개편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양손 터치를 전제로 설계된 모바일 UI는 마우스 기반 조작에 맞춰 구조를 전환하고 있다. 게임 콘텐츠 설계에서도 기존 세션 중심이 아닌, 성장과 파밍을 중심으로 한 구조가 강조됐다. 김 그룹장은 “우리는 반복 전투보다는 캐릭터 성장 루프의 완성도를 더 중요하게 본다”며 “모드는 유저가 과도한 노동 없이 보상을 얻고 성장 동기를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토리라인 역시 3차 테스트부터 대폭 보강됐다. 김 그룹장은 “1·2차 테스트 당시에는 스토리가 다소 진부하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이후 메인 스토리뿐만 아니라 NPC 퀘스트, 주변 오브젝트 상호작용을 통해 몰입감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레벨 40까지 확장된 콘텐츠 범위에 맞춰 세계관 서사도 함께 확장 중이다. 6월에는 '주민 원정대' 콘텐츠를 포함한 첫 대규모 업데이트가 예정돼 있다. 정 실장은 “유저가 수집한 차량과 주민을 조합해 파티를 꾸리고, 특정 지역으로 약탈을 보내는 구조로, 주민 육성과 수익 요소를 연결한 콘텐츠”라고 설명했다. 해당 콘텐츠는 전략과 자원 운용 측면의 재미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후에는 길드 단위 셸터 콘텐츠도 순차적으로 추가될 예정이다. 정 실장은 “길드원과 함께 생존 거점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면서 다른 길드와 경쟁하는 시스템을 준비 중”이라며 “단순 장비 파밍 외에도 협력 기반 콘텐츠를 강화하려는 의도”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유저의 반응을 통해 설계 방향을 검증받았다. 김 그룹장은 “대만 유저들의 평균 플레이타임이 한국과 비슷했고, 브라질과 중국 등에서도 자발적 참여가 활발했다”며 “특히 중국의 한 유저는 모바일 환경에서 PvP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다”고 말했다. NHN은 주요 타깃 지역을 북미, 일본, 대만, 베트남으로 설정하고, 지역별 맞춤형 마케팅을 준비 중이다. 정 실장은 “북미·남미는 인플루언서 기반 콘텐츠 중심의 전략, 동아시아 지역은 광고 채널 중심의 방식으로 나눠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아르헨티나 등 신흥 시장은 스트리머 파트너십을 통한 바이럴 확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 그룹장은 “이번 OBT는 정식 출시 전 단계가 아니라, 유저 의견을 설계에 직접 반영하기 위한 실험의 장”이라며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를 사랑하는 팬들이 몰입감 있는 생존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완성도를 높이겠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좀비물을 좋아하던 유저들이 이 게임을 통해 처음으로 게임에 입문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피드백 기반의 개발을 통해 오래 사랑받는 작품으로 성장시키고 싶다”고 강조했다.

2025.04.17 09:42강한결

'엑스박스 수장' 필 스펜서, 닌텐도 스위치2 지원 의지 재확인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 부문 CEO 필 스펜서가 닌텐도의 차세대 콘솔 '스위치2'에 대한 지원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고 미국 게임매체 비디오 게임 크로니클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스펜서 CEO는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닌텐도와의 협력 관계를 지속하고, 엑스박스 게임을 스위치2에 제공할 계획을 재확인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우리는 스위치1을 지원해왔고, 스위치2도 지원하고 싶다”며 “닌텐도는 훌륭한 파트너였으며, 이는 PC나 엑스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플레이어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이다. 우리 커뮤니티를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밝혔다. 이어 “나는 닌텐도를 매우 믿고 있다”며 “그들을 계속 지원하고, 그들이 우리 프랜차이즈를 지원하는 것은 우리의 미래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디아블로4', '헤일로: 마스터 치프 컬렉션',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의 게임을 스위치2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콜 오브 듀티' 시리즈를 스위치2에 선보일 계획이다. 스펜서 CEO는 엑스박스의 미래 전략에 대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엑스박스 게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클라우드, PC, 콘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30억 명의 게이머에게 다가가려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다양한 플랫폼에 엑스박스 게임을 제공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닌텐도와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플레이어에게 엑스박스 프랜차이즈를 소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2025.04.17 08:58강한결

메타빌드, 안양대와 AI·연계미들웨어 인력 양성 협력

AI·연계미들웨어 전문기업 메타빌드(대표 조풍연)는 15일 메타빌드 제2사옥 4층 'ACx(AI·Cloud Transformation) 연계미들웨어 LLaMON 평생교육원'에서 안양대학교(총장 장광수)와 AI·연계미들웨어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교류와 협력 확대를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노동부 인가 'ACx 연계미들웨어 LLaMON 평생교육원'과 협력해 △연계미들웨어(ESB/APIG/MSA), AI/DATA/Cloud 등 SW 기술인재 양성 상호 협력 △SW·AI 관련 세미나 개최,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 교과목 개설 및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한다. 메타빌드는 기존 4000여 정부기관과 기업의 연계 시스템을 구축한 노하우를 토대로 자사 보유 서비스·데이터·애플리케이션 연계미들웨어(MESIM)와 '초거대 생성형 AI모델(LLaMON)'을 융합해 국내외 최초로 차세대 'AI연계 플랫폼'을 개발한 국내 대표 AI·연계미들웨어 전문기업이다. 안양대는 AX시대를 이끌어 갈 디지털 기반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한 SW중심 대학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지역 교육기관이다. 이번 협약식에는 양승택 정보통신부 전 장관, 안양대 장광수 총장, 아리교양대학 조성갑 석좌교수, 김선명 교수, 전상권 교수, 김민준 주임과 메타빌드 조풍연 대표, 오강탁 총괄본부장, 박상균 본부장, 주경식 이사, 남혜경 매니저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조풍연 메타빌드 대표와 장광수 총장은 이번 MoU체결을 계기로 “AI·클라우드 전환(ACx) 시대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연계미들웨어 및 ACx 고급 기술 인재 양성를 양성하고, 두 기관이 상호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메타빌드는 1998년에 설립된 AI·데이터연계 전문회사다. 행정, 공단, 금융, 제조, 통신, 유통, 도시, 도로, 건설,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4000여 기관에 AI 플랫폼(LLaMON AUTO 등)/연계미들웨어(MESIM ESB, APIG 등)/스마트통합관제플랫폼(교통·자율차·시티·건설·드론)을 공급하고 있다.

2025.04.17 07:55방은주

NSHC,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서비스 '더 보임' GS인증 1등급 획득

사이버 보안 기업 엔에스에이치씨(NSHC, 대표 최병규)는 자사의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서비스 '더 보임(THE BOIM)'으로 국가 공인 소프트웨어 품질인증인 GS(Good Software) 인증의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NSHC는 휴민트를 기반으로 한 MSSP를 제공하는 CTI 제조사다. '더 보임(THE BOIM)'은 텔레그램, 다크웹, 딥웹 등 비공개에서 유출된 정보 및 사이버 위협 그룹, 공격 도구, 피싱사이트를 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ASM(공격 표면 관리) 기능이 탑재돼 외부 노출 자산에 대한 위협 요소까지 실시간으로 점검 가능하다. 또 탐지된 위협과 취약점에 대해 내부 전문인력을 통해 사후 조치(Take-Down), 예방 대책 수립, 보안 가이드 제공까지 포함한 전방위적인 대응 서비스를 지원, CTI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NSHC는 그간 다양한 보안 솔루션으로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가상 키패드 보안 솔루션 'nFilter' △금융 앱 보호 서비스 'FxShield' △모바일 백신 솔루션 'Droid-X ' △APP 위변조 방지 솔루션 'APP Protect' △iOS용 앱 보호 솔루션 'ixShield' 등이 있다. 최병규 NSHC 대표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신뢰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쁘다. 더 나아가 CSAP(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2025.04.17 07:45방은주

국립공원 점자안내지도에서 3D 점자지구본까지…시각장애인 공간정보 접근성 개선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은 국토지리정보원과 협업해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작한 점자지도를 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7개 국립공원 현장에서 17일부터 배포한다고 밝혔다. 점자지도 배포 대상 7개 국립공원은 경주·북한산·설악산·소백산·치악산·태백산·팔공산이다. 점자지도는 시각장애인이 국립공원의 공간정보를 더욱 쉽게 알 수 있도록 제작했다. 저시력자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글자 크기를 대폭 키웠다. 지도에는 공원의 위치와 편의시설, 탐방로 안내 및 난이도, 대표 생물자원 정보 등이 그림·글자와 함께 점자로 새겨져 있다. 특히, 국립공원 대표 생물자원과 명소에 얽힌 이야기나 설화도 함께 수록해 단순한 공간 정보 제공을 넘어 탐방의 재미와 흥미를 더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번 7개 국립공원 점자지도 배포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총 23개 국립공원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점자지도는 국립공원 탐방안내소에서 무료로 배포한다. 전국 110개 복지관과 맹학교, 점자도서관 등에도 배포할 예정이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시각장애인도 국립공원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국립공원을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국토지리정보원은 3D 점자지구본, 대한민국 및 세계 점자 지도집,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노선 점자안내지도도 17일부터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3D 점자지구본은 국내 최초로 3D 모델링을 통해 세계 대륙과 해안 경계, 날짜변경선, 경도·위도, 북극점·남극점 등 세계 지리 교육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입체적으로 표현해 시각장애 학생이 촉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지구의 형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 목적의 기본형(지름 30㎝)과 전시 목적의 대형(지름 100㎝) 등 두 가지 형태로 제작했다. 대한민국 및 세계 점자지도집은 2016년~2017년에 제작한 기존 지도에 최신 정보를 반영해 갱신했다. 시각장애인의 접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인 지도집 설명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QR코드를 삽입했다. 지난해 제작한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노선 점자안내도에 노선(부산역 1호선~3호선) 간 환승역 지도를 추가해 새로 제작해 부산지역 시각장애 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부산교통공사와 협업해 부산광역시 주요 도시철도 역에도 비치할 계획이다. 3D 점자지구본과 대한민국 및 세계 점자지도집,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노선 점자안내도, 7개 국립공원 점자 안내 지도는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17일부터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공간정보는 모두를 위한 공공 자산이며, 점자지도는 시각장애인의 자유로운 이동과 학습을 돕는 중요한 도구”라며 “앞으로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4.17 03:22주문정

피처드닷컴, 씨전 Help A Reporter Out(HARO) 인수

스코츠데일, 애리조나, 2025년 4월 16일 /PRNewswire/ -- 피처드닷컴(Featured.com)이 분야별 전문가와 언론인을 연결해주는 플랫폼 Help A Report Out(HARO)을 씨전에게 인수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씨전은 유력한 글로벌 미디어 인텔리전스 및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기업으로 2014년부터 HARO를 소유하고 있었다. HARO는 2008년에 설립되어 전문가 소스를 찾는 저널리스트와 언드(earned) 미디어를 통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하는 전문가들 사이에 믿을 수 있는 도구로 인정은 플랫폼이다. HARO는 피처드 소속으로 다시 태어나 AI 생성 콘텐츠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시대에 사람의 전문성을 찾는 기자들을 도와주는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브렛 파밀로(Brett Farmiloe) 피처드 설립자 겸 CEO는 "지금이야말로 HARO가 부활하기에 더할나위 없이 좋은 때"라며 "인공지능이 만든 범용 콘텐츠가 인터넷에 넘쳐나면서 저널리스트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도 믿을 수 있는 인간 취재원이 절실하다. 당사의 목표는 HARO의 기존 장점은 보존하면서 요즘 미디어 환경에 맞게 현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HARO는 언론인과 취재원을 위한 무료 서비스 방식을 유지하며 뉴스레터 광고를 받아 이메일을 통해 매일 기회를 주는 원래 형태로 돌아가게 된다. 기자가 질문을 하면 관련 전문가의 답변을 받아볼 수 있어 취재원을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관심이 있다면 www.helpareporter.com에서 신청해 먼저 이용해 볼 수 있다. 파밀로 CEO는 "HARO의 유산을 더욱 발전시키겠다. 언론인이 믿을 수 있는 목소리를 다양하게 또 간단히 기사에 반영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피처드는 HARO의 부활에 발맞춰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미디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는 사명에 더욱 매진할 방침이다. 이번 인수에는 그레이트 노스 벤처스(Great North Ventures)를 비롯해 여러 투자사가 함께 했다. 롭 웨버(Rob Weber) 그레이트 노스 벤처스 매니징 파트너는 "HARO의 새출발을 함께 하게 되어 영광이다"라며 "전문가와 크리에이터가 믿고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 플랫폼에 대한 믿음에서 이번 투자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피처드닷컴은 앞으로도 독립적으로 운영한다. 피처드닷컴과 HARO의 부활 모두 "누구나 무언가에는 전문가"라는 믿음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피처드닷컴 소개 피처드닷컴 분야 전문가와 유력 출판인가 서로 소통하면서 좋은 콘텐츠를 즉시 게시하도록 지원하는 지식 공유 플랫폼이다. 피처드는 50,000여 전문가 커뮤니티와 1백만 건이 넘는 답변이 모인 커뮤니티를 토대로 2,500여 미디어 매체에 기사를 지원하고 있다. 피처드는 한 번에 한 질문 방식으로 언론인과 독자가 공히 전문 지식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인간 전문 지식이 잠재력을 극대화하도록 돕고 있다. 미디어 담당자:브렛 파밀로(Brett Farmiloe)brett@featured.com602-910-1214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475/Featured_Logo.jpg?p=medium600

2025.04.17 00:10글로벌뉴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대전 과학행사서 로봇카페 선봬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로봇 푸드테크 전문기업 옐로펀트로봇과 오는 16~2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 참가한다고 16일 밝혔다. 양사는 로봇카페를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로봇이 만든 다양한 음료를 제공한다. 미국위생협회(NSF) 인증을 받은 협동로봇 RB-N 시리즈가 활용됐다. 로봇은 평균 50초 이내 음료를 제공한다. 정교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 음료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로봇카페 플랫폼은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해 24시간 제약 없이 운영할 수 있다. 인력 부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인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음료 재료 잔량이나 결제 오류 등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원격관리 솔루션이 적용됐다. 옐로펀트로봇은 세계 최초 111가지 로봇카페 메뉴를 제공하며 스탠다드, 레귤러, 컴팩트, 아웃도어, 커스터마이징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듈형 로봇카페를 선보이고 있다. 현재 로봇카페 플랫폼은 여주휴게소, 처인휴게소, 금왕휴게소 등 전국 43개 휴게소에서 운영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로봇 기술이 실제 일상에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보여줄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공간과 환경에서 누구나 쉽게 로봇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와 서비스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16 22:44신영빈

알체라, TTA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안면인식 적합성 평가 통과

비전AI 솔루션 전문기업 알체라(KOSDAQ 347860, 대표 황영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주관하는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행정안전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추진하는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 신분증 기반의 안전한 본인확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기술 평가다. 알체라는 안면인식 정확도, 위·변조 탐지 능력, 사용자 환경 대응성 등 주요 항목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며 이번 평가를 통과했다. 알체라는 수년간 금융, 공공, 보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비대면 본인확인 솔루션을 제공해 왔으며, 이번 적합성 평가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민간 서비스 시장 진출의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모바일 신분증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디지털 형태의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등으로,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관공서, 금융기관, 병원, 공항 등에서 신원 확인 및 자격 증명 수단으로 활용된다. 올 4월부터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뿐 아니라 민간 앱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됐다. 이에 따라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민간 본인확인 서비스 수요가 본격화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 공급 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알체라는 민간 앱 연계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 기반 본인확인 서비스에 자사 안면인식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며,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신원 인증 환경 조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한편, 알체라는 올 1월 미국 NIST가 주관한 FRTE(Face Recognition Technology evaluation)에서 2개 부문 1위를 기록한 국내 유일의 기술 공급사로 선정된 바 있다. 알체라 황영규 대표는 “이번 TTA 적합성 평가 통과는 알체라의 안면인식 기술력과 서비스 안정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스마트시티, 금융, 공공분야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인프라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4.16 22:37방은주

오픈놀, 작년 연결매출 507억···전년보다 2배 상승

AI 기반 커리어 서비스 오픈놀(대표 권인택)은 지난해 연결 매출 507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전년(251억원) 대비 101% 상승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1억원 수준으로 소폭 줄었지만, 미니인턴 서비스 매출이 포함된 개발 자문 부문 이익이 13배(2억원) 늘어 실속 있는 성장을 기록했다. ◆ “외국인·시니어 대상 프로젝트 호조… 성장세 뒷받침” 오픈놀은 “취·창업 교육 중심의 온오프라인 서비스 매출 확대가 주효했다”며 “특히 외국인과 시니어 대상 프로젝트형 사업 수주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 260만 외국인 체류 시대… '정착+취업+창업'까지 원스톱 지원 오픈놀은 작년 한 해 동안 외국인을 위한 생활상담 6000건, 비자 컨설팅 수혜자 300명(50개국),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100회, 그리고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진출을 적극 도왔다. 올해부터는 한층 강화된 '외국인 정착 원스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출입국·비자·노무·복지 등 전문상담부터 마케팅‧기획 등 직무 특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고, 미니인턴 기반 일자리 매칭으로 실질적 취업까지 연결한다. ◆ 창업 컨설팅 290건, 실제 외국인 주도 법인설립 20건 성사 외국인 창업 지원도 성과를 냈다. 작년 'D-8(기업투자)' 비자 관련 창업 컨설팅은 290건이고 , 이 중 실제 외국인 주도 법인 설립 20건이 성사됐다. 산업군은 AI, 물류, 이러닝 등 다양했으며, 창업자의 출신국도 미국‧우즈베키스탄‧말레이시아‧인도 등으로 폭넓었다. 올해는 IR덱 구성, 밋업데이 개최, 투자자 1:1 매칭 등을 통해 외국인 창업자의 투자유치까지 직접 지원할 계획이다. ◆ “글로벌 진출 가능한 취·창업 서비스로” 권인택 오픈놀 대표는 “한국 내 체류 외국인은 이미 260만명을 넘어섰고, 다문화사회 진입이 공식화된 지금 '이주민 대상 취업+창업 통합 모델'은 매우 이례적인 구조”라며 “취업부터 창업까지 연결된 온오프라인 통합 솔루션으로 유저 락인(lock-in)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픈놀은 이주민 일자리 창출·창업 인큐베이팅 시장의 1인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04.16 22:18방은주

현대홈쇼핑, 유망 스타트업 찾는다…"지원금 1천만원"

현대홈쇼핑은 서울시 창업기관인 서울경제진흥원, 스타트업 분석 플랫폼 운영사인 마크앤컴퍼니와 함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 및 지원하는 'H.I.G.H(Hyundai Innovation Growth Hub)'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H.I.G.H' 프로그램 모집 분야는 ▲개인맞춤형 마케팅 ▲AI 기반 대고객 서비스 ▲차별화 콘텐츠·상품 ▲시니어 비즈니스 등으로, 모집 기간은 다음달 9일까지다. 프로그램 신청은 혁신의숲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서류와 대면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업체를 대상으로 6월 말 개별 안내된다. 최종 선정된 스타트업은 오는 7월부터 9월까지 PoC(Proof of Concept, 기술검증) 진행 예정이며, 기업당 1천만원씩 지원금이 제공된다. 현대홈쇼핑은 혁신에 필요한 기술력과 아이디어, 서비스 등을 외부와 협업을 통해 적극적으로 들여오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기술력과 성장성이 높은 스타트업과 협력을 강화해 동반성장을 꾀한다는 차원이다. 구체적으로 현대홈쇼핑은 최종 선정된 스타트업에 현대홈쇼핑의 TV, T커머스, 모바일커머스 등 플랫폼을 활용한 판로를 제공하고 글로벌 진출을 돕는 등 사업성 검증과 함께 후속 사업 제휴 및 지분 투자 검토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경제진흥원과 마크앤컴퍼니의 사업분야별 전문가 멘토링, 스타트업 행사 IR 피칭 등 다양한 지원도 제공된다. 현대홈쇼핑 관계자는 "이번 'H.I.G.H'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나누고 기술 협업을 추진해 함께 성장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4.16 21:20안희정

"오픈AI, 자체 SNS 플랫폼 개발 중"…엑스 대항마 선보일까

오픈AI가 엑스(구 트위터)와 유사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IT매체 더버지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에 엑스와 같은 소셜 피드 기능이 탑재된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해당 프로젝트는 아직 초기 단계라고 알려졌다. 오픈AI가 이 플랫폼을 독립형 앱으로 출시할 계획인지, 아니면 챗GPT 앱에 통합할 계획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더버지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샘 알트먼 최고경영자(CEO)가 비공개적으로 외부 관계자들과 만나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오픈AI가 새로운 SNS를 선보이게 되면 일론 머스크의 엑스와 메타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도전장을 내밀게 되는 셈이다. 새롭게 선보이는 SNS 앱은 오픈AI의 실시간 데이터에 접근하여 인공지능(AI)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엑스와 메타도 이미 진행하고 있는 방식이다. 또 현재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엑스 소유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대립 관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엑스의 대항마가 될 수 있는 오픈AI SNS 출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해당 프로젝트가 지속돼 새 SNS 플랫폼이 공식적으로 출시될 지는 확실치 않으나, 오픈AI가 현재 제공하는 챗GPT 외에 타 영역까지 서비스를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2025.04.16 20:57이정현

지그재그, '직진배송' 주 7일로 확장

카카오스타일(대표 서정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는 빠른 배송 서비스 '직진배송'에 주 7일 배송 시스템을 정식 선보이며 배송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직진배송은 밤 12시 전까지 주문 시 다음 날 상품을 받을 수 있는 빠른 배송 서비스다. ▲전국 대상의 일반 배송(밤 12시 전 주문 시 다음 날 도착) ▲서울, 경인, 천안/아산 일부 지역 대상의 당일 배송(오후 1시 전 주문 시 당일 도착) ▲서울 지역의 새벽 배송(밤 10시 전 주문 시 다음 날 아침 도착)으로 나눠 운영 중이다. 주 7일 배송이 도입된 분야는 전국 대상의 일반 배송이다. 평일 자정 전 주문 시 다음 날 도착을 보장했던 서비스를 주말까지 확대한다. 앞으로 토요일과 일요일 밤 10시 이전까지 결제하면 각각 다음 날 상품을 받아볼 수 있다. 직진배송의 주 7일 배송 서비스는 현재 CJ대한통운과 함께 읍, 면을 제외한 전국 대상으로 운영된다. 기존 직진배송 서비스 지역 중 약 80%의 권역에서 주 7일 배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배송사 및 배송 권역 확대 등을 지속 검토할 계획이다. 지그재그는 이번 주말 배송 도입으로 직진배송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지그재그 내의 빠른 배송 거래액은 매년 증가 추세로 올해 1분기 직진배송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다. 쇼핑몰, 브랜드 패션/뷰티/라이프까지 1만 개 이상의 스토어가 입점해 다양한 상품을 빠른 배송으로 판매 중이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패션 분야의 빠른 배송 혁신을 이끄는 직진배송이 상품군 확대, 퀵 배송 권역 확대 등에 이어 이번에는 주 7일 배송 시스템을 정식 도입하게 됐다”며 “주 7일 배송 도입이 고객에게 편리한 쇼핑 경험을, 입점 스토어에게는 매출 성장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4.16 20:39안희정

뱅크오브아메리카, 2025년 1분기 재무 실적 보고

샬럿, 노스캐롤라이나, 2025년 4월 16일 /PRNewswire/ -- 4월 15일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가 2025년 1분기 재무 실적을 발표했다. 보도 자료, 보완 정보 및 투자자용 발표 자료는 뱅크오브아메리카 투자자 관계 웹사이트(https://investor.bankofamerica.com/quarterly-earning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자 콘퍼런스 콜 정보 브라이언 모이니한(Brian Moynihan) 최고경영자(CEO)와 알라스테어 보스윅(Alastair Borthwick) 최고재무책임자(CFO)가 4월 15일 오전 8시 30분(동부 표준시)에 투자자 콘퍼런스 콜을 통해 재무 실적에 관해 설명한다. 콘퍼런스 콜을 수신 전용으로 연결하려면 1.877.200.4456(미국) 또는 1.785.424.1732(국제)로 전화하면 되고, 콘퍼런스 ID는 79795이다. 콘퍼런스 콜 시작 10분 전에 전화해야 한다. 또한 투자자들은 당사 투자자 관계 웹사이트의 '이벤트 및 프레젠테이션' 섹션을 방문해 콘퍼런스 콜의 실시간 음성을 듣고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를 볼 수 있다. 투자자 콘퍼런스 콜 다시보기 정보 투자자는 투자자 관계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4월 15일 정오부터 4월 25일 오후 11시 59분(동부 표준시)까지 1.800.934.4850(미국) 또는 1.402.220.1178(국제)로 전화해 투자자 콘퍼런스 콜 다시보기를 이용할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소개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개인 소비자, 중소기업 및 대기업에 뱅킹, 투자와 자산 관리 및 기타 금융과 리스크 관리 제품 및 서비스의 모든 업무를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금융 기관 중 하나이다. 동사는 미국에서 약 6천9백만에 달하는 소비자 및 소기업 고객과 약 3700개의 소매 금융 센터, 약 1만5000개의 ATM(자동입출금기)과 5800만 명의 인증 받은 디지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상 실적이 있는 디지털 뱅킹을 통해 최고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광범위한 자산 계층의 자산 관리, 기업 및 인베스트먼트 뱅킹 그리고 트레이딩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전 세계의 기업, 정부, 교육 기관과 개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혁신적이며 사용이 쉬운 온라인 제품과 서비스 군을 통해 약 4백만의 소기업 가구에 업계 최고의 지원을 제공한다. 당사는 미국 전역과 영토 및 35개 이상의 국가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 회사 주식은 뉴욕증시에 상장되어 있다(NYSE: BAC). 투자자 연락처: 리 매켄타이어(Lee McEntire), Bank of America전화: 1.980.388.6780lee.mcentire@bofa.com 조나단 블룸(Jonathan Blum), Bank of America (채권)전화: 1.212.449.3112jonathan.blum@bofa.com 기자 연락처: 조슬린 사인펠트(Jocelyn Seidenfeld), Bank of America전화: 1.646.743.3356jocelyn.seidenfeld@bofa.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612970/Bank_of_America_Corporation_Logo.jpg?p=medium600

2025.04.16 20:10글로벌뉴스

몰테일 해외 풀필먼트 서비스, 네이버 커머스솔루션마켓에 입점

커넥트웨이브의 해외법인 몰테일은 해외 상품 판매 셀러의 물류관리를 현지에서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해외 풀필먼트' 서비스가 네이버 커머스솔루션마켓에 공식 입점했다고 16일 밝혔다. 몰테일의 해외 풀필먼트는 쿠팡, G마켓, 11번가 등 국내 오픈마켓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구매대행 및 글로벌 셀러를 위한 솔루션으로 ▲해외 물류센터 주소지 제공, ▲주문 자동 수집, ▲풀필먼트 서비스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네이버가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의 성장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커머스솔루션마켓 내에서 글로벌 상품을 현지 물류센터와 연동해 주문 및 재고관리부터 국내 배송까지 올인원(All in One)으로 제공하는 솔루션은 이번 몰테일의 해외 풀필먼트 서비스가 유일하다. 해외 풀필먼트 서비스는 글로벌 상품을 판매하고 싶은 셀러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몰테일 회원가입 후 사용을 원하는 물류센터, 상점 및 판매 상품 등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면 된다. 또 몰테일은 솔루션 이용 고객에게 연간 200만건의 물류 처리를 통해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검수 제도(고객 주문정보와 배송 상품의 일치 여부), 신속 통관 등 차별화된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솔루션 이용자는 상품을 해외창고에 두고 판매하는 풀필먼트 방식부터 무재고형 구매대행까지 셀러가 원하는 형태로 운영할 수 있어 판매 품목 확대는 물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몰테일 관계자는 “해외 풀필먼트 서비스는 해외 상품 판매를 위한 전 과정을 지원받을 수 있어 초보 셀러부터 사업 확장을 고려하는 판매자 모두에게 적합한 솔루션”이라며 “수년간 배송 대행 서비스를 운영하며 확보한 노하우로 최적의 서비스 품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2025.04.16 19:36안희정

11번가, 선물 특가 판매 '해피 패밀리데이' 진행

11번가는 16일부터 '해피 패밀리데이' 기획전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가정의 달' 마케팅에 나선다고 이날 밝혔다. 고물가 속 어린이날, 어버이날 선물을 합리적으로 장만할 수 있도록, 오는 5월 6일까지 브랜드별 제품 할인, 라이브 방송, 1+1 혜택 등을 제공한다. 11번가는 어린이날 대표 베스트셀러 완구 브랜드 '레고'와 협업해, 17일 하루 할인을 집중적으로 선보이는 '원데이 빅딜' 행사를 연다. 레고 해리포터, 레고 마인크래프트, 시티, 듀플로, 닌자고 등 시리즈별 총 250여개 인기 상품을 최대 20% 할인가에 선보이고 카카오페이 전용 '7% 할인쿠폰'(최대 5천원)을 추가 제공한다. '레고랜드 입장권' 등 경품 추첨이 준비된 '레고' 특집 라이브 방송(낮 12시)도 실시한다. 여기에 ▲'캐치! 티니핑' 캐릭터 완구(최대 10% 할인) ▲대호토이즈 '리퍼비시 전동 푸쉬카'(최대 25% 할인) ▲아이코닉스(뽀로로/타요) 유아교육용 완구(최대 15% 할인) 등 어린이들이 열광하는 브랜드별 제품들도 특가에 모았다. 오는 25일에는 독일 프리미엄 피규어 브랜드 '슐라이히' 특집 라이브 방송을 열고, '공룡 피규어 세트' 등 인기 제품을 최대 35% 할인가에 선보일 계획이다. 부모님을 위한 효도선물로는 가성비 높은 안마기기들을 앞세웠다. 합리적인 가격대로 인기인 '수련'의 '포핸드 더블케어 온열 마사지기'(7만원대)를 온라인 최저가로 선보이며 '1+1' 혜택을 제공한다. 무선 공기압 다리 마사지기 '수련 스마트 에어 레그핏'(8만원대)도 온라인 최저가에 판매한다. 11번가는 최근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는 '저속 노화' 트렌드를 고려해, 안티에이징 뷰티 선물세트들도 다채롭게 마련했다. '설화수' 베스트셀러로 구성된 '에센셜 퍼스트케어 3종 세트', '아이오페 스템3 스페셜 2종 세트', '미샤 타임 레볼루션 나이트리페어 2종 기획세트' 등을 할인 판매하고 전용 쇼핑백도 함께 증정한다. 최근 '주말 당일배송 서비스'를 도입, 주 7일 배송 시스템*으로 확장한 11번가 빠른배송 서비스 '슈팅배송'은 인기 건강기능식품들을 행사를 통해 특가에 선보인다. 기획제품으로 한정수량 출시된 '센트룸 선물세트'(맨 50정+우먼 50정)를 최대 혜택 적용 시 4만3천200원에, '에버콜라겐 타임 비오틴'(80포)을 5만4천900원에, '김오곤 동의비책 침향단'(100환)을 3만9천900원에 판매할 예정이다. 제품은 모두 무료배송 된다. 또한 11번가는 '가정의 달' 기념 이벤트를 위해 고객들이 주로 찾는 카네이션 꽃다발, 카네이션 디퓨저, 용돈봉투 등 스테디셀러 제품들도 할인가에 준비했다. 11번가는 야외활동이 활발한 봄 시즌을 맞아 러닝화, 등산복, 자전거, 골프 클럽, 캠핑용품 등 카테고리별 상품 450여 개를 할인 판매하는 '아웃도어&레저 대전' 기획전을 오는 20일까지 실시한다. 행사 기간 카카오페이 전용 '5% 할인쿠폰'(최대 3천원) 등 쿠폰 2종을 제공해, 푸마 플라이어 플렉스 러닝화, 네파 지오블록 방풍 재킷, K2 두랄루민 3단 스틱 세트 등 인기 제품을 특가에 선보인다.

2025.04.16 19:24안희정

토스서 KT알파 '기프티쇼' 모바일 상품권 구매 가능

KT알파(대표 박승표)가 운영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기프티쇼가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에 모바일 상품권을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토스를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토스의 브랜드콘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쇼를 구매할 수 있게 됐다. 토스의 브랜드콘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는 토스 앱 내 부가 서비스이다. 여러 혜택 서비스를 통해 적립한 토스포인트와 토스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토스페이를 사용해 모바일 상품권 구매 또는 선물하기가 가능하다. KT알파 기프티쇼는 이번 모바일 상품권 공급을 통해 카페, 외식, 백화점/마트 등 70여개의 브랜드와 2천500여개의 상품을 공급한다. 고객의 선호도가 높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브랜드로, 대표적으로 스타벅스, 신세계 및 이마트, GS25, 세븐일레븐 등이 있다. KT알파 이석훈 G커머스사업부문장은 “더 많은 고객들이 토스 브랜드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급 브랜드와 상품 수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쇼핑, 금융 등 고객과 일상을 함께 하는 생활 밀착형 플랫폼과의 제휴를 지속 추진하며 고객 접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16 18:57안희정

제137회 광저우 캔톤페어 성대하게 개막

-- 바이어들 핫스팟 된 새로운 서비스 로봇 존 광저우, 중국 2025년 4월 16일 /PRNewswire/ -- 제137회 중국 수출입 박람회(이하 '캔톤페어(Canton Fair)')'가 4월 15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광저우에서 공식 개막했다. 4월 15일부터 5월 5일까지 열리는 이 세계 최대 무역 행사 중 하나는 '첨단 제조(Advanced Manufacturing)', '고품질 가정생활(Quality Home Life)', '더 나은 삶(Better Life)'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3단계 일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전체 박람회는 총 55개 전시 섹션과 172개 제품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비스 로봇과 통합 주택 솔루션을 위한 전용 구역이 새로 마련됐다. 제137회 캔톤페어는 온라인 플랫폼을 연중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계속해서 채택하고 있다.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중국 대외 무역의 안정과 질적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디지털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고, 구조를 개선하고,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했다. 장시홍(Zhang Sihong) 중국 대외무역센터(China Foreign Trade Centre) 부소장은 개회사에서 해외 귀빈들을 맞이하며 오랫동안 글로벌 협력을 이어주는 다리로서 박람회가 해온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캔톤페어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역시 전 세계 친구들을 환영한다"면서 "우리는 공동의 성공과 상호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이 화려한 행사에 함께 모였다"고 말했다. 4월 13일 현재 215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20만 명 이상의 해외 바이어들이 박람회 참가를 위해 사전 등록을 끝마쳤다. 개막 첫날, '첨단 제조'를 주제로 52만 제곱미터의 전시 공간에서 펼쳐진 1단계 전시에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특히 D 구역 '프렌드십 홀(Friend Hall)'에 새로 마련된 서비스 로봇 존(Service Robots Zone)이 큰 관심을 끌었다. 이곳에 모인 바이어들은 로봇 개, 산업용 외골격,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로봇 제품을 촬영하며 바쁜 시간을 보냈다. 4월 15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되는 1단계에서는 중국이 이룬 산업 혁신의 강점을 주로 선보인다. 1단계 박람회에는 전기 자동차, 리튬 배터리, 태양 전지, 디지털 기술, 지능형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약 3700개 기업을 포함해 총 1만 1304개 전시업체가 참가한다. 중국이 첨단 제조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보여주듯 첨단 기술과 친환경 솔루션 중심의 전시가 펼쳐진다. 전시 규모와 콘텐츠 모두 발전하고 있는 캔톤페어는 다양한 국제 시장을 연결하고 중국의 산업 발전을 선보이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올해로 137회째를 맞이하는 캔톤페어는 무역 협력을 촉진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장려하면서 국제 상거래 초석으로서의 입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cief.cantonfair.org.cn/en/app/appintro.html에서 앱을 다운로드하면 캔톤페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4.16 18:10글로벌뉴스

  Prev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SKT, 침해사고 이후 해지 위약금 면제...8월 요금 50% 감면

버터값 고공행진…EU·뉴질랜드 공급 부족인데 수요는 급증

챗GPT가 우주선 조종하는 날 올까

전 국민 최대 45만원 '소비쿠폰' 지급…21일부터 신청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