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봉선동폰섹ꏲ ♥O6O-9O9-4499♥ ヨꏅ p 목감동폰섹ꂏ홍성폰팅ᙲ운중동폰팅ᗐ청전동폰팅ⓞ'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984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피델리스 아트모스클리어, 루이지애나 프로젝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고품질의 탄소 제거 계약 체결

포트 오브 그레이터 배턴루지, 앨라배마주,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피델리스의 포트폴리오 회사인 아트모스클리어 BR, LLC("아트모스클리어")가 바이오에너지 탄소 포집 및 저장(BECCS) 기술을 이용하는 675만 미터톤의 엔지니어링 탄소 제거 계약을 마이크로소프트와 15년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현재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영구적인 탄소 제거 계약이다. AtmosClear는 루이지애나주 그레이터 배턴루지 항에 탄소 포집 시설을 개발 중이다. 이 공장은 사탕수수 찌꺼기와 세심한 삼림 관리에서 나온 가지치기 등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는 동시에 연간 68만 톤의 생물성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영구 저장하거나, 저탄소 천연가스 또는 기타 합성 연료의 원료로 사용하는 등 유익한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다. 공사는 2026년에 시작하며 본격적인 운영은 2029년에 시작할 예정이다. 피델리스는 이번 프로젝트가 8억 달러 이상의 투자와 약 75개의 정규직 및 600개의 건설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이 지역의 공장 폐쇄로 줄어든 임업 관리 일자리를 부흥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icrosoft와의 이번 계약은 고품질의 엔지니어링 탄소 제거 시장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Fidelis의 CEO인 다니엘 샤피로(Daniel J. Shapiro)는 말한다. "AtmosClear는 사탕수수 찌꺼기나 산림 관리 재료와 같은 지속 가능한 원료에 검증된 기술이 결합하여 어떻게 기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고, 이와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발전을 도모하며 지역사회에 혜택을 제공하는지 보여준다. 피델리스의 많은 직원이 고향이라고 부르는 이곳 배턴루지에서 대기 중 탄소 제거뿐만 아니라 루이지애나에 경제 발전 기회도 제공할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어 자랑스럽다." "과학과 엔지니어링에 상업적 혁신이 더해져 미국에서 강력한 탄소 제거 모델을 제공할 이 획기적인 프로젝트를 피델리스와 함께하게 되어 자랑스럽다."라고 Microsoft의 에너지 및 탄소 제거 담당 수석 이사인 브라이언 마스(Brian Marrs)는 말한다. "피델리스와 같은 숙련된 개발사가 제공하는 고품질의 내구성 있는 탄소 제거 솔루션은 Microsoft가 2030년까지 탄소 네거티브 목표를 달성하는 데 꼭 필요하다." AtmosClear 소개. AtmosClear는 루이지애나주 그레이터 배턴루지 항에 탄소 포집 시설을 개발 중이다. 이 플랜트는 사탕수수 찌꺼기와 신중한 산림 관리에서 나온 가지치기 등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는 동시에 연간 68만 톤의 생물성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영구 저장하거나, 저탄소 천연가스 또는 기타 합성 연료의 공급 원료로 사용하는 등 유익한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www.atmosclear.earth에서 참조할 수 있다. 피델리스 소개. 피델리스는 바이오 연료, 저탄소 또는 마이너스 탄소 집약 제품, 탄소 포집 및 저장 회사의 개발과 투자를 통해 탈탄소화를 주도하는 에너지 인프라 회사입니다. 피델리스는 기후 및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및 특허 출원 중인 독점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텍사스 휴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덴마크 코펜하겐에도 사무소를 두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www.fidelisinfr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도 문의: Peter.Thompson@fticonsulting.com AtmosClear Rendering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601/AtmosClear_Logo.jpg?p=medium600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602/AtmosClear_Rendering.jpg?p=medium600

2025.04.16 00:10글로벌뉴스

DXC, 토론토에 첫 사무소 열며 북미 지역 진출 확대 나서

애쉬번, 버지니아주,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포춘지 선정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기업 DXC 테크놀로지(DCX Technology)(NYSE: DCX) 인 DXC)가 토론토 중심부에 캐나다 첫 영업소를 오픈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자사 성장 전략에서 중요한 첫 걸음을 내디딘 것으로, 캐나다 전역에서 인재와 혁신, 고객 성공을 모두 잡겠다는 회사의 의지가 투영된 조치이다. DXC Opens First Office in Toronto, Expanding North American Footprint (CNW Group/DXC Technology Company) 토론토는 캐나다 최대 기술 허브로 일급 인재가 풍부하고 혁신 생태계가 활발하며 신규 고객과 기존 고객이 모두 지근 거리에 있는 곳이다. DXC는 캐나다에서 20년 넘게 영업 중이며, 10개 주 전역에서 CIBC, 아비바(Aviva), TD, 마누라이프(Manulife), 이바리(Ivari), 연방 정부, 온타리오 연금위원회(Pension Board), 온타리오 선거관리위원회(Elections Ontario), 마운트 시나이 병원(Mount Sinai Hospital), 히타치 건설 트럭(Hitachi Construction Truck) 등 350여 고객사를 지원하고 있다. 지금은 캐나다 내 1,800여 직원과 함께 금융 서비스, 의료, 자동차, 공공 부문 등에서 여러 유력 브랜드의 든든한 운영 파트너이자 조언가로서 운영 현대화, 최첨단 혁신 솔루션 제공을 통해 AI 시대에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카메론 아트 DCX 미주 UKI 총괄 사장은 "캐나다 상업과 기술의 중심지 토론토에 큰 기대를 안고 첫 사무소를 열게 되었다"라며 "이는 당사가 아태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품었던 꿈과 공동 혁신을 향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건이자 시장 내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명확한 신호"라고 말했다. 토론토 사무소는 DCX가 팀 간 협업을 통한 혁신 촉진을 목적으로 전 세계 주요 사업 지구를 망라해 구축한 협업 공간 네트워크의 일원이다. 또 AI, 사이버 보안, 클라우드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여러 과제 해결에도 기여하게 된다. 빅터 페델리(The Honourable Victor Fedeli) 캐나다 경제개발 고용 무역부 장관은 "온타리오는 세계 정상급 인력과 탄탄한 혁신 생태계를 앞세워 유력인 글로벌 기업을 꾸준히 유치, 일급 기술 투자처로서 입지가 탄탄하다"라며 "DXC 테크놀로지의 토론토 입성을 환영하고, 토론토 사무소를 계기로 성공을 이어가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토론토 사무소 오픈은 DXC가 미주와 영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러 전략 사업 중 하나다. 뉴욕, 마이애미, 런던에서도 사무소를 확장하여 고객 서비스, 협업, 공동 창작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DXC는 세계 정상급 혁신 조직 다수가 신뢰하는 운영 파트너로, 산업과 사업의 발전을 도와주는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기술 전문가, 엔지니어링 전문가, 컨설팅 전문가를 통해 고객과 함께 시스템 현대화,, 프로세스 최적화, 핵심 워크로드 관리, AI 기반 인텔리전스 통합, 보안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www.dx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457/DXC_Technology_Company_DXC_Opens_First_Office_in_Toronto__Expand.jpg?p=medium600

2025.04.15 22:10글로벌뉴스

모하마드 다스트바즈 교수, MLA 칼리지 CEO로 임명

런던,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MLA 칼리지 이사회(MLA College Board)는 모하마드 다스트바즈(Mohammad Dastbaz) 교수를 새로운 최고경영자(CEO) 겸 총장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Professor Mohammad Dastbaz 다스트바즈 교수는 서퍽대학교에서 부총장직을 역임한 후 MLA 칼리지에 합류했다. 고등 교육 리더십 분야에서 탁월한 경력을 쌓은 그는 학문적 혁신, 디지털 학습, 국제화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풍부한 경험과 강력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의 전공 분야는 컴퓨팅이며,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설계, 개발 및 평가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영국 컴퓨터 학회(Chartered Institute for IT)의 펠로우이며, 커리어 전반에 걸쳐 기술, 지속 가능성 및 교육의 통합에 대한 열정을 꾸준히 보여 왔다. 서퍽대학교에서 근무하기 전에는 이스트 런던 대학교의 컴퓨팅•정보기술•공학부 학장으로 재직했으며, 이후 리즈베켓대학교의 학장 겸 부총장을 지냈다. 다스트바즈 교수는 임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감을 밝혔다. "이처럼 흥미로운 시기에 MLA 칼리지라는 특별하고 명망 있는 고등교육기관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MLA는 유엔 훈련연구소(UNITAR) 및 런던 CIFAL 센터(CIFAL City of London)의 핵심 파트너로서, 특히 해양 및 환경 지속가능성 분야에서 교육 혁신으로 높은 명성을 얻고 있다. 교직원, 학생, 파트너들과 함께 그 명성을 더욱 강화하고, MLA 칼리지를 다음 단계로 이끌어 가기를 기대한다." 다스트바즈 교수는 학문적 리더십 외에도 왕성한 저술 활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들은 지속 가능한 혁신에 대한 그의 헌신을 반영하며, '그린 정보기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Green Information Technology: A Sustainable Approach)', '4차 산업혁명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학(Industry 4.0 and Engineering for a Sustainable Future)', '스마트한 미래를 위한 기술(Technology for Smart Futures)', '도시화의 도전 과제(Challenges of Urbanisation)', '사회적 지속가능성(Social Sustainability)' 등을 저술했다. MLA 칼리지의 학장이자 영국공학위원회(UK Engineering Council)의 의장인 존 처들리(John Chudley) 교수는 다음과 같이 따뜻한 환영의 말을 전했다. "다스트바즈 교수의 임명은 MLA 칼리지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그의 리더십 경험과 학문적 비전은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우리가 대학교 승격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그 역할이 더욱 클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그를 환영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그가 우리 커뮤니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MLA 칼리지 이사회의 크리스 건트(Chris Gaunt, OBE 훈장 수훈자) 의장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관점을 덧붙였다. "이사회를 대표하여 다스트바즈 교수를 MLA 칼리지에 맞이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교육, 혁신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그의 폭넓은 전문성은 우리의 장기적인 목표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그의 리더십이 앞으로의 새로운 여정을 명확하고 목적 있게 이끌어줄 것이라 확신한다." 이번 임명을 통해 MLA 칼리지는 혁신, 지속가능성, 학문적 우수성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화하며, 전 세계 학습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유연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명을 지속해 나가고자 한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664091/MLA_College_Prof_Mohammad_Dastbaz.jpg?p=medium600

2025.04.15 20:10글로벌뉴스

람다테스트, AI로 테스트 설정을 자동화하는 HyperExecute MCP 서버 출시

-- 새로운 AI 네이티브 기능, 테스트 설정을 자동화하여 속도, 지능, 효율 모두 향상 인도 노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통합 에이전트 AI 및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플랫폼인 람다테스트(Lambda Test)가 오늘 HyperExecute MCP 서버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서버는 자사의 AI 네이티브 테스트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인 HyperExecute를 최첨단으로 개선한 것으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도입하여 자동화된 테스트 워크플로를 크게 간소화하고 설정 시간을 몇 시간 또는 몇 주에서 단 몇 분으로 단축한다. HyperExecute는 MCP를 통합함으로써 AI 모델이 디지털 도구들과 자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동화된 테스트 구성의 속도, 효율성, 간편함을 대폭 향상시킨다. 개발자와 QA 팀은 이제 프로젝트 구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정확한 테스트 명령을 생성하며, 수작업 없이 맞춤형 YAML 구성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HyperExecute MCP 서버는 테스트 실행에 대한 실시간 인사이트와 테스트 워크플로의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켜 원활한 연속 통합 및 배포를 지원한다. 람다테스트는 또한 HyperExecute MCP 서버 내부에 Agentic RAG를 통합하여 온보딩을 간소화했다. 사용자가 도움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에이전트에게 요청하면 HyperExecute 문서에서 직접 답변을 가져올 수 있다. 아사드 칸(Asad Khan) 람다테스트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 설립자는 "HyperExecute MCP 서버는 품질 엔지니어링 업계에 있어 중대한 도약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단순히 테스트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넘어, 워크플로를 근본적으로 단순화해 개발자들이 복잡한 설정에 신경 쓰는 대신 혁신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MCP 서버는 단순한 테스트 도구가 아니라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지능형 AI 인터랙션을 통해 복잡한 설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테스트 자동화의 가능성을 재정의한다. 더 빠르고 스마트하며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동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출시를 통해 LambdaTest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간소화하고, 협업을 개선하며, 개발에서 출시까지 우수한 제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의지를 다시금 강조했다. HyperExecute는 이미 기존 그리드보다 최대 70% 빠른 속도로 테스트를 실행함으로써 테스트 자동화를 재정의하고 있다. 이제 람다테스트는 HyperExecute MCP 서버를 통해 개발자 경험과 테스트 효율성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yperExecute MCP 서버의 이점은 http://lambdatest.com/hyperexecute-mcp-serv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람다테스트(LambdaTest) 소개 람다테스트는 AI 기반의 옴니채널 소프트웨어 품질 플랫폼으로, 지능형 클라우드 기반 테스트 작성, 오케스트레이션, 실행을 통해 기업들이 제품 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 세계 130개국 이상에서 15000여 고객사와 23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람다테스트는 최신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브라우저 및 앱 테스팅 클라우드: 웹 및 모바일 앱을 10000개 이상의 브라우저, 실제 디바이스, OS 환경에서 수동 및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어 플랫폼 간 일관성을 보장한다. HyperExecute: 기존 그리드보다 최대 70% 더 빠르게 테스트를 실행하는 AI 네이티브 테스트 실행 및 오케스트레이션 클라우드로, 스마트 테스트 배포, 자동 재시도, 실시간 로그, 원활한 CI/CD 통합을 제공한다. KaneAI: 세계 최초의 생성형 AI 네이티브 테스트 에이전트로,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손쉬운 테스트 생성, 지능형 자동화 및 자체 진화형 테스트 실행이 가능하다. Jira, Slack, GitHub을 비롯하여 기타 DevOps 도구와 직접 통합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lambdatest.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1721228/Lambda_Test_Logo.jpg?p=medium600

2025.04.15 20:10글로벌뉴스

스타벅스, 봄 맞이 '에너지 피지오'·'씨솔트 카라멜 콜드 브루' 출시

스타벅스 코리아(대표이사 손정현)가 완연한 봄을 맞아 4월 15일부터 5월 18일까지 약 한 달 동안 다채로운 음료, 푸드, MD로 구성된 두 번째 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스타벅스는 야외 활동이 부쩍 늘어나는 시기인 점을 고려해 이번에 처음으로 청량감과 기능성을 강조한 신규 음료 라인업인 '에너지 피지오'를 선보인다. 에너지 피지오는 카페인이 전혀 들어있지 않고 칼로리도 그란데 사이즈 기준 99kcal로 보다 가볍게 즐길 수 있다. 또한, 톨 사이즈 기준 타우린 1,000mg, 비타민C 60mg, 비오틴 30ug 등 일일 권장섭취량에 해당하는 영양소가 들어 있다. 에너지 피지오는 두 가지 맛으로 출시돼 취향에 맞게 즐길 수 있다. '유자&오렌지 에너지 피지오'는 상큼한 유자와 오렌지로 맛을 낸 음료이며, '체리&자두 에너지 피지오'는 체리와 자두가 만나 색다른 조합이 만들어내는 맛이 일품이라는 설명이다. 이른 더위가 예고된 만큼 스타벅스의 대표 여름음료로 자리매김한 '씨솔트 카라멜 콜드 브루'도 예년보다 보름 가량 빨리 출시된다. 해당 음료는 깔끔한 맛의 콜드 브루 위 달콤 짭조름한 맛의 씨솔트 폼을 올려 중독성 있는 '단짠 음료의 정석'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타벅스는 신규 음료 출시를 기념해 이달 15일부터 21일까지 일주일간 씨솔트 카라멜 콜드 브루, 유자&오렌지 에너지 피지오, 체리&자두 에너지 피지오 3종의 음료를 스타벅스 카드 혹은 계좌 간편결제 수단으로 구매하는 고객에게 별을 추가로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또한, 신규 카테고리 음료인 에너지 피지오 출시를 기념해 이달 15일부터 한정판 디자인 보틀(500ml)에 에너지 피지오를 담은 제품도 선보인다. 출시일로부터 일주일간 '유자&오렌지 에너지 피지오 보틀', '체리&자두 에너지 피지오 보틀'을 POS 결제한 고객에게는 별 4개가 추가로 제공된다. 해당 이벤트는 준비 수량 소진 시 종료된다. 오는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유자&오렌지 에너지 피지오 ▲체리&자두 에너지 피지오 ▲씨솔트 카라멜 콜드 브루 ▲콜드 브루 ▲슈크림 라떼 등 총 5종을 파우치 백과 함께 구성해 판매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데일리 파우치 백은 여권, 휴대폰 등을 담기 좋은 실속 있는 사이즈로 제작돼 여행, 일상 등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다. 시원한 음료와 즐기기 좋은 푸드도 선보인다. '햄&체다 크루아상 샌드위치'는 고소한 크루아상 사이 햄, 체다치즈, 루꼴라를 넣고 달콤한 홀그레인 머스터드 소스를 더한 상품이다. 차갑게 즐길 수 있는 음식이다. '피스타치오 딸기 생크림 케이크'는 케이크 시트 사이 고소한 피스타치오와 달콤한 화이트 가나슈 생크림을 더하고 상큼한 생딸기를 올렸다. '바게트 소금빵'은 바게트와 같이 바삭한 겉면 식감이 특징인 상품으로, 고소한 버터 풍미와 짭짤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이 밖에도 스타벅스는 'SS 액티브 미르 와이드마우스 텀블러(932ml)', '액티브 캠핑 컵 세트(2P)', '액티브 피크닉 매트', '액티브 미니 백팩' 등 야외 활동에 안성맞춤인 상품들로 구성된 총 10여 종의 MD도 이번 프로모션에 판매한다. 스타벅스 최현정 식음개발담당은 “인기 음료인 씨솔트 카라멜 콜드 브루와 신규 카테고리 음료인 에너지 피지오를 앞세워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확인해 볼 계획” 이라며 “앞으로도 스타벅스는 차별화된 상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식음료 라인업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15 18:46안희정

그레이로그 보안 로그 관리 솔루션, 아태지역에서 사상 최대 564% 성장

지역 지원 강화, 싱가포르 사무소 오픈 휴스턴, 홍콩,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위협 탐지, 조사, 대응 분야 선도 기업 그레이로그(Graylog)가 지난 2년 동안 매출이 6.5배 증가하며 전체 시장 중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투자 강화에 나선다. 그레이로그는 최신 보안 로그 관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싱가포르에 지사를 신설, 홍콩에 있는 기존 지사를 보강하며 역내 입지 강화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성장세를 뒷받침하고자 유력 IT 보안 컨설팅 업체인 RIPEN과 파트너십을 맺고 아태지역 전역에서 1급, 2급 고객 지원 서비스도 시작했다. 아담 애버네시(Adam Abernethy) 그레이로그 고객 지원 담당 부사장은 "아태지역 내 성장은 고객 수 증가뿐만 아니라 고객의 신속한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을 지원하는 데 있다"면서 "RIPEN이 실제 보안 업무 시 그레이로그를 이용해 축적한 심층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전문가를 통해 직접 전달 받은 고객은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영업 지원 네트워크 확대 그레이로그는 2022년 아태지역 사무소 설립에 이어 싱가포르에 사무소를 열고 제럴드 럼(Gerald Lum)을 지역 영업 부사장으로 영입하며 사업 확대에도 집중하고 있다. 럼 부사장은 아태 지역 내 영업 업무 및 실적 총괄, 매출 독려, 영업 전략 시행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조슈아 지엘(Joshua Ziel) 그레이로그 최고 영업 책임자는 "제럴드 신임 부사장은 20년 넘게 영업과 리더십 업무에 종사한 사이버 보안 전도사로서 그레이로그가 아태 지역 내 고객의 보안 운영 강화와 로그 관리 효율 개선, 운영비 절감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레이로그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서 아태지역의 비중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점유율 확대에 발맞춰 럼 부사장이 합류하고 RIPEN과 파트너십까지 체결됨으로써 보안 팀들은 그레이로그 솔루션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전문 지식은 물론 든든한 지원까지 확보하게 되었다. 보안 IT팀 지원도 아태지역 특성에 맞게 현지화 RIPEN은 그레이로그의 위협 탐지, 조사, 대응(TDIR)과 중앙 집중식 로그 관리 솔루션을 역내에서 지원하는 업무를 맡아 고객에게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더욱 신속한 보안 문제 해결 - 경험 많은 전문가가 직접 대응 자국어 지원 제공 - 1급, 2급 문제 해결 시 보안 운영 간소화 - 로그 관리와 위협 탐지 워크플로 최적화 레이몬드 청(Raymond CHENG) RIPEN 운영 담당 부사장은 "그레이로그의 혁신 역량을 목도했던 차에 아태 지역 내 보안 IT 팀의 역량 강화에 힘을 보태게 되어 영광"이라며 "양사의 협력으로 아태지역 고객은 RIPEN의 전문 지식과 그레이로그의 막강한 기술을 한 번에 활용해 위협 탐지 시간 단축, 대응 효과 개선, 각종 위협 선제 대응과 같은 편익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RIPEN의 주요 인정 및 인증 이력은 다음과 같다. 홍콩 정부 정부 IT 제품(GITP) 제도 인정 국제 공인 인정 기구(Accredited Certification International Limited, ACi)의 ISO 9001:2015 인증 AWS 클라우드 프랙티셔너(Cloud Practitioner) 및 AWS 솔루션 아키텍트 어소시에이트(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인증 아태지역 지원은 그레이로그의 기존 글로벌 지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월요일부터 금요일 9:00~18:00(홍콩시 기준)에 이용 가능하다. 그레이로그 소개 그레이로그는 노이즈와 복잡성을 차단해 주는 완벽한 SIEM이다. 보안팀에 꼭 필요한 요소, 즉 최대 가시성과 조사 시간 단축, 스마트 탐지 강화 기능을 타협과 추가 비용 없이 제공한다. 자동 워크플로부터 상관관계, 이상 징후 탐지까지 분석가들이 더 신속하게 대응하고 집중하도록 도와준다. Graylog Enterprise, Security, API Security, Open이라는 제품 구성으로 대기업부터 소기업까지 모두 다 지원할 수 있다. 전 세계 60,000여 조직이 그레이로그를 믿고 쓰고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graylog.com, Bluesky, Linked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660466/Graylog_Logo.jpg?p=medium600

2025.04.15 12:10글로벌뉴스

알테어, 데이타솔루션과 리셀러 파트너십... 국내 AI-HPC 시장 공략 본격화

알테어의 AI-HPC 기술력과 데이타솔루션의 데이터 인프라 전문성 결합 데이터 분석부터 고성능 컴퓨팅 관리까지 폭넓은 대응 지원 생성형 AI-AI 에이전트 등 차세대 기술 접목으로 고객 인사이트 발굴 지원 서울, 대한민국,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지능형 컴퓨팅 분야의 글로벌 리더 알테어가 데이터 및 AI 솔루션 전문 기업 데이타솔루션과 사진: 문성수 알테어 아시아태평양 수석부사장(오른쪽)과 배복태 데이타솔루션 대표이사 리셀러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알테어의 인공지능(AI) 및 고성능컴퓨팅(HPC) 기술력과 데이타솔루션의 데이터 인프라 전문성을 결합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국내 고객 지원을 한층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데이타솔루션은 알테어의 데이터 분석 및 AI 플랫폼인 '알테어 래피드마이너'와 함께 고성능 컴퓨팅 솔루션 '알테어 HPC웍스'를 고객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순 분석을 넘어 복잡한 연산과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고성능 컴퓨팅 관리까지 폭넓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테어 래피드마이너'는 분산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데이터에서 숨겨진 인사이트를 발굴하며, 데이터 분석 전 과정을 지원한다. 생성형 AI 및 AI 에이전트, 데이터패브릭 등 차세대 기술을 손쉽게 접목할 수 있어, 기업들은 업무 효율 향상, 투자 수익률(ROI) 극대화, 데이터 기반 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알테어 HPC웍스'는 고성능컴퓨팅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워크로드 관리를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대규모 연산이 필요한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AI 모델 학습 등 다양한 업무에서 IT 인프라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비용 최적화 등 전략적 IT 운영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데이타솔루션 배복태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으로 고객이 데이터에 기반한 AI시스템을 신속하게 구축하여 실질적인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AX/DX 통합 솔루션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알테어 문성수 아시아태평양 수석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 분석 및 HPC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 강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며, "양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운영 효율성 향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About Altair  알테어는 시뮬레이션,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분야의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능형 컴퓨팅 분야의 글로벌 리더입니다. 현재 알테어는 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에 소속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www.altair.com 또는 sw.siemens.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마케팅팀 정이슬 010-7339-0740 iseul@altair.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016/Altair_Partners_with_DATAsolution.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421069/5266164/Altair_Logo.jpg?p=medium600

2025.04.15 12:10글로벌뉴스

예금 금리 더 내릴라…선제적 재유치에 2월 정기예적금 8.5조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로 정기예·적금 금리가 향후 더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에 재예치하는 금액이 늘어났다. 15일 한국은행이 낸 '2025년 2월 통화 및 유동성' 자료에 따르면 2월 2년 미만 정기예적금은 전월 대비 8조5천억원 증가했다. 1월 정기예적금은 전월 대비 5조9천억원 감소했다. 한은 정병우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 조사역은 "금리 하락 전망에 따른 예금자들의 선제적 자금 예치 등에 따라 정기예적금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2월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0.25%p 낮춘 연 2.75%로 결정했다. 이후부터 은행들의 예금 금리 인하가 줄잇고 있다. 3월말 신한은행은 0.30~0.60%p, 4월초 카카오뱅크는 0.20~0.70%p, 이날 우리은행은 0.10~0.25%p 가량 예금 금리를 낮추기로 결정했다.

2025.04.15 12:00손희연

알테어, 육군사관학교와 국방 AI 인재 양성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자사 AI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3년간 무상 지원 대한민국 국방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위한 협력 진행 AI 시뮬레이션으로 국방 환경 정밀 분석… 실전형 인재 양성 지원 서울, 대한민국,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지능형 컴퓨팅 분야의 글로벌 리더 알테어가 육군사관학교(학교장 소형기 소장)와 국방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알테어는 육군사관학교에 AI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향후 3년간 무상으로 지원한다. 사진: 알테어 문성수 아시아태평양 수석부사장(오른쪽)과 육군사관학교장 소형기 소장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방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학술 및 연구 활동을 강화하여 국방 분야의 실무 역량을 증진할 계획이다. 알테어는 AI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교육 자료, 기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AI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알테어가 제공하는 AI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은 실제 실험이 제한적인 국방 환경을 정밀하게 가상 재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빠르게 분석하고 전략 수립과 장비 개발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알테어는 이러한 기술적 강점을 국방 교육 및 연구에 접목해 실전형 인재 양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육군사관학교장 소형기 소장은 "이번 협약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첨단기술 역량을 갖춘 미래 지휘관 양성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육군사관학교는 과학기술 강군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리더 육성에 더욱 매진하겠습니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알테어 문성수 아시아태평양 수석부사장은 "육군사관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AI와 시뮬레이션 기술이 국방 분야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방 기술 혁신 및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 협력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About Altair  알테어는 시뮬레이션,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분야의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능형 컴퓨팅 분야의 글로벌 리더입니다. 현재 알테어는 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에 소속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www.altair.com 또는 sw.siemens.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마케팅팀 정이슬 010-7339-0740 iseul@altair.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4041/Altair_Signs_MoU_with_Korea_Military_Academy.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421069/Altair_Logo.jpg?p=medium600

2025.04.15 10:10글로벌뉴스

[미장브리핑] 미국 車 관세 제외?…"불확실성 상존"

◇ 14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다우존스산업평균(다우)지수 전 거래일 대비 0.78% 상승한 40524.79.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79% 상승한 5405.97. ▲나스닥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64% 상승한 16831.48. ▲미국 새로운 관세정책에 힘입어 증시 상승 마감했으나, 아직도 불확실성이 남은 상태. 4월 2일 미국 상호관세가 처음 발표된 이후 S&P 500 지수는 4.7% 하락했고, 나스닥과 다우 지수는 각각 약 4.4%와 4% 떨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시적 관세 면세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자동차 업체들이 자국 내 생산 시설을 설립하는데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고 대답.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는 다음 주에, 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는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말해. 다만 반도체와 아이폰에 대한 관세의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시장은 관세 면제를 기대하고 있어.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관세 면제가 영구적이 아님을 암시해 시장 불확실성 잔존.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이사는 트럼프 정부의 대규모 관세(평균 25%의 관세 지속) 및 소규모 관세(10%의 관세가 일부 유지되고 이외의 부분은 철폐)라는 두 개의 시나리오에서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일시적이라고 말해. 대규모 관세 시나리오에서도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론 높아졌다가 2026년에 떨어질 것으로 전망. ▲중국 3월 수출 3139.1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4% 증가, 수입은 4.3% 감소한 2112.7억달러. ▲일본 정부는 대미 보복 관세가 국익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며 협상을 빠르게 마무리지을 생각이라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정밀하게 분석한 후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강조. ▲가즈오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는 경제 및 물가 전망을 미리 단정짓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며 인플레이션 목표치 2%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발언. 통화완화로 정책방향을 다시 선회할 의도가 있냐는 질문에 인플레이션의 지속적인 안정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통화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답변.

2025.04.15 08:49손희연

씨전, 2억 5000만 달러 신규 자금 조달, 리파이낸싱, 부채 만기 연장 발표

시카고,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PR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용으로 언드(earned) 미디어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공급하는 유력 글로벌 기업 씨전(Cision)이 4월 14일 기존 채권단의 압도적 지지 속에 운영 및 성장 자금으로 2억 5000만 달러를 신규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씨전의 계열사 캐슬 US 홀딩 코퍼레이션(Castle US Holding Corporation, 이하 '회사')이 약정서와 조인더(joinder)를 체결했으며 '회사'와 '회사'의 잔여 부채 90% 이상을 보유한 기관들('약정단')은 이 약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금융 거래('거래')에 합의했다. '약정단'에는 '회사'에 선순위 담보부 신용 대출을 해준 기관의 약 99%와 '회사'의 기존 무담보 어음('기존 어음')을 소지한 기관의 약 95%가 참여했다. 이번 '거래'로 '회사'는 (i) 약 2억 5000만 달러 추가 유동성 조달, (ii) 일부 대출에 따른 미상환 원금 탕감, (iii) 부채 만기 연장 등 상당한 혜택을 얻게 되었다. 기 아브라모(Guy Abramo) 씨전 CEO는 "이번 거래로 채권단에 대한 당사의 적극적인 지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추가 유동성을 확보하고 부채 만기를 2030년 이후로 연장한 만큼 장기 성장 전략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본 보도 자료에는 '사적 어음 교환'(아래 정의 참조)에 대한 참여와 관련하여 '기존 어음'의 잔여 소지자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보도 자료 전문을 읽어 보기를 권장한다. '약정단'은 '약정서'의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거래'를 약정하고 관련 조처를 취하기로 했다. (a) 신규 자금과 '회사' 기존 부채의 교환을 조합해 (i) 신규 자금 약 2억 5000만 달러에 현물 지급 거래 수수료를 합한 금액을 원금으로 하는 선순위 담보부 선취권 우선변제 텀론('우선변제 텀론')과 (ii) '회사'와 '약정단', 그 외 '거래'에 참여하는 대주단이 합의한 가격에 '기존 여신 계약'(아래 정의 참조)에 따른 텀론을 인수하기에 충분한 금액을 원금으로 하는 선순위 담보부 선취권 차순위 변제 텀론('차순위 변제 텀론')을 제공한다. (b) '기존 어음' 전체를 2031년 만기의 신규 선취권 삼순위 변제 10.00% 선순위 담보부 어음('삼순위 변제 어음')으로 교환한다('사적 어음 교환'). 이때 발행은 새 증서를 따른다. (c) 2020년 1월 31일자 기존 여신 계약('기존 여신 계약')과 2020년 2월 5일자 무담보 어음 관련 기존 증서('기존 어음 증서')를 변경한다. 특히 그 안에 수록된 제한적 서약을 사실상 모두 삭제하고 '거래'를 촉진하도록 기타 사항을 수정한다. 또한 '약정서'에는 기존 리볼빙 대주단이 현금 없이 총 약정 금액 약 1억 3700만 달러 규모로 선순위 담보부 선취권 우선 변제 리볼빙 신용 대출(이하 '우선 변제 리볼버'라고 하며 '우선 변제 텀론', '차순위 변제 텀론'. '삼순위 변제 어음'을 통칭하여 '최우선순위 부채'라고 함)로 전환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우선 변제 텀론'과 '우선 변제 리볼버'의 만기는 2030년 4월 29일이고 차순위 변제 텀론의 만기는 2030년 5월 31일, 삼순위 어음의 만기는 2031년 6월 30일이다. '최우선순위 부채'는 '기존 여신 계약'의 보증인단이 연대하여 선순위 담보부로 보증하며, 사실상 '회사'와 동 보증인단의 자산 전체가 선취권 방식으로 담보로 제공된다. '회사'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부채와 관련 순 수익금을 (i) 2025년 1월 30일자 브릿지 여신 계약에 따른 잔여 약정 전액 상환, (ii) 일부 회사 간 여신 계약 및 약속어음에 따른 잔여 약정 및 부채 전액 상환 (iii) '거래'의 조건에 의거 '기존 여신 계약'에 따른 텀론 매입 지원, (iv) '사적 어음 교환' 시 취소 신청된 '기존 어음'과 '거래'에서 재매입되는 '기존 여신 계약'에 따른 텀론에 대해 발생한 이자와 미지급 이자 지급, (v) 관련 거래 수수료와 운전자본, 일반 업무 추진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브라모 CEO는 "씨전은 전략 커뮤니케이션의 선두 주자로 브랜드와 기업의 미래에 시시각각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이번 '거래'에서 확보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포춘 500대 기업의 84%를 포함해 7만5000여 파트너의 기업 홍보와 브랜드 가치 제고 업무를 계속 지원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씨전 측에서는 헐리한 로키(Houlihan Lokey)가 금융 자문을, 밀뱅크(Milbank)가 법률 자문을 맡았고, '약정단' 측에서는 에버코어(Evercore)가 금융 자문을, 깁슨 던 앤 크러처(Gibson, Dunn & Crutcher)가 법률 자문을 맡았다. 사적 어음 교환 '회사'는 2025년 4월 22일(이하 '최초 발행일')에 '사적 어음 교환'에 따라 '약정단'에 속하는 어음 소지자('약정 어음보유자')에게 '삼순위 어음'을 발행할 예정이다. '약정 어음소지자'가 아닌 '기존 어음' 소지자는 '최초 발행일'로부터 20영업일 후인 2025년 5월 12일까지 '약정 어음소지자'에게 제시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적 어음 교환'에 참여할 수 있다. '사적 어음 교환' 조건이 궁금한 소지자는 씨전 담당자(Cision@is.kroll.com)에게 문의하면 된다. 씨전의 '기존 어음' 매입 권리는 공개 시장 또는 비공개 협상을 통해 전적으로 씨전의 결정과 재량을 따른다. 최초 어음. 2025년 4월 17일까지 씨전에 연락한 소지자는 '최초 발행일'에 '삼순위 어음' 수령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 추가 대체 가능 어음. 2025년 4월 17일 이후부터 2025년 4월 29일까지 씨전에 연락한 소지자는 2025년 5월 2일('추가 발행일')에 '삼순위 어음' 수령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 '회사'는 '추가 발행일'에 발행되는 '삼순위 어음'이 '최초 발행일'에 발행되는 '삼순위 어음'과 대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추가 대체 불가 어음. 2025년 4월 29일 이후에 씨전에 연락하는 소지자는 그 이후에 '삼순위 어음' 수령 대상자가 될 수도 있다. 단 2025년 5월 2일 이후에 발행되는 '삼순위 어음'은 '최초 발행일' 또는 '추가 발행일'에 발행되는 '삼순위 어음'과 대체되지 않을 수 있다. 모두 합쳐 '기존 어음'의 약 95%를 소지하고 있는 '약정 어음소지자'는 '기존 어음'을 모두 다 '삼순위 어음'으로 교환하기로 약정했다. 약정 참여도가 높은 상황이어서, '기존 어음' 소지자는 '사적 어음 교환'이 '사적 어음 교환'에 의거 입찰, 인수되지 않는 '기존 어음'의 유동성과 시장 가격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사적 어음 교환'에 의거 입찰, 인수되지 않는 '기존 어음'은 미결 상태로 남게 되며 변경된 '기존 어음 증서'의 조건('수정안')에 따라 제한적 서약은 사실상 모두 삭제된다. '수정안'이 시행되면 '기존 어음 증서'의 관련 서약과 기타 조항이 삭제되거나 수정되어 '회사'와 그 자회사가 '기존 어음 증서'에서 금하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그러면 '회사'의 신용 위험이 커질 뿐만 아니라 '기존 어음'의 유동성, 시장 가격, 가격 변동성이 악화하거나 그 외에 소지자에게 불리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삼순위 어음'은 1933 증권법(이하 '증권법')이나 기타 증권법에 따라 등록되지 않았으며, '증권법'과 기타 관련 증권법의 등록 요건이 면제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거래가 아닌 한 공모하거나 판매할 수 없다. 본 보도자료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보도자료는 판매 제안이나 매수 권유가 아니며, 증권법에 따라 등록 또는 자격 획득 전에 제안이나 권유가 불법인 주에서는 해당 증권을 판매할 수 없다. '기존 어음' 소지자는 '사적 어음 교환'과 관련하여 법률, 금융,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기를 권장한다. 씨전 소개 Cision은 소비자와 미디어 정보, 참여,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요즘과 같은 데이터 중심 세상에서 PR, 기업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SNS 전문가에게 필요한 각종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고도의 전문성과 독보적 데이터 파트너십, 또 CisionOne, Brandwatch, PR Newswire 등 수상 경력에 빛나는 각종 제품을 무기로 포춘 500대 기업의 84%를 포함해 75,000여 기업과 조직의 대고객 홍보와 브랜드 가치 제고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미디어 관련 문의처:Cision Public RelationsCisionPR@cision.com 미래예측진술 본 보도 자료에는 미래 사건 및 기대와 관련된 진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1995년 증권민사소송개혁법 및 기타 연방 증권법에서 정한 '미래예측진술'에 해당한다. 미래예측진술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예측일 뿐이며 일반적으로 '믿는다', '예상한다', '기대한다', '전망한다', '추정한다', '예측한다', '보인다', '목표로 한다', '노력한다', '추구한다', '본다', '의도한다', '전략이다', '계획이다', '일 수 있다', '일 수도 있다', '해야 한다', '할 것이다', '하겠다', '일 것이다', '계속될 것이다', '가능성이 높다'와 같은 용어와 그 부정형이나 변형형, 유사한 용어로서 미래 예측을 나타낸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진술 외에 모든 진술은 미래예측진술로 간주될 수 있으며, 씨전 또는 '회사'가 의도, 기대, 계획, 믿거나 예상하는 활동, 사건 또는 개발에 관한 것이거나 미래에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도 있는 진술이 모두 여기에 포함된다. 미래예측 진술은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위험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제 결과가 현재 예상되는 것과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 부정확한 가정,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위험, 불확실성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씨전과 '회사', 자회사, 계열사의 실제 결과를 크게 좌우할 수도 있다. 미래예측 진술은 현재의 기대치와 현재 경제 환경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위험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실제 결과는 미래예측진술에 명시되거나 암시된 것과 크게 다를 수 있다. 본 보도자료에 수록된 미래예측진술은 보도자료 발표일 현재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회사'는 추후 그 진술이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된 때에도 해당 진술을 공개적으로 수정하거나 갱신할 의무가 없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075643/cisionlogo.jpg?p=medium600

2025.04.15 04:10글로벌뉴스

'다크앤다커' 개발 아이언메이스, 2024년 영업손실 17억…1년 만에 적자

'다크앤다커' 개발사 아이언메이스가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넥슨 측이 제기한 '다크앤다커' 영업비밀 및 저작권 침해금지 청구 소송에 대한 손해배상금 85억원이 반영된 게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4일 아이언메이스가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267억원으로 2023년 대비 2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8억원으로, 2023년 196억원의 영업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 순손실도 57억원으로, 2023년 순이익 177억원에서 적자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비용은 285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82.8% 급증했다. 이 중 지급수수료는 171억원으로 84% 늘었고, 직원 급여도 69억원으로 36.5% 증가했다. 특히 아이언메이스는 손해배상금 85억원을 잡손실로 처리했다. 손해배상금은 넥슨과 맞붙은 소송 1심 판결에 따른 것이다. 아이언메이스는 현재 넥슨코리아와의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다. 넥슨은 2021년 전직 개발자가 사내에서 개발 중이던 신규 프로젝트 'P3'를 무단 유출해 '다크앤다커'를 개발했다며, 아이언메이스를 상대로 영업비밀 및 저작권 침해금지 청구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2월 1심 선고에서 “아이언메이스의 저작권 침해는 인정되지 않지만, 과거 침해 행위에 대해 85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바 있다.

2025.04.14 17:39강한결

작년 중국 반도체 수입 '껑충'…위안화 결제 비중 역대 최고치

중국으로부터 반도체 등 수입 규모가 확대되면서 중국 위안화 결제 비중이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한국은행이 낸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확정치' 자료에 따르면 위안화로 결제한 수입 비중은 전체 수입 중 3.1%로 전년 대비 0.7%p 올라, 역대 최고치로 나타났다. 위안화 결제 비중은 6년 연속 증가했다. 작년 중국으로부터 반도체 수입 증가율이 2084.5%로 대폭 늘어난 데다가 철강제품(39.2%)·자동차 부품(22.3%) 등의 수입도 확대됐다. 2024년 대중국 수입 규모는 1398억8천만달러로 2010년 715억7천만달러 대비 95.4% 증가했다. 다만 위안화 수출 결제 비중은 소폭 감소했다. 2023년 1.7%였던 위안화 수출 결제 비중은 2024년 1.5%로 0.2%p 하향했다. 기계류·정밀기기(25.8%)와 반도체(23.1%) 수출이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일본 엔화 수출·입 결제 비중은 1992년 통계 편제 이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엔화 수출 결제 비중은 2024년 2.7%로 2023년 2.8% 대비 0.2%p 줄어들었고, 엔화 수입 결제 비중은 2024년 3.7%로 2024년 3.8%로 0.1%p 감소했다. 일본 수출과 수입 규모가 모두 줄어들은 탓이다. 대일본 수출은 2011년 396억8천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찍은 이후 2024년 296억1천만달러로 축소됐고, 대일본 수입도 2011년 683억2천만달러로 역대 최대치 이후 2024년 475억9천만달러로 줄었다.

2025.04.14 12:00손희연

美 1Q 전기차 판매량 11.4%↑…2Q 전망은 부정적

올해 1분기 미국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약 30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2분기 이후 전기차 판매량에 대해선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지난 12일 인사이드EV는 콕스오토모티브가 산하 시장조사기관 켈리블루북을 인용해 이같이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1분기 전체 자동차 판매량 중 전기차 비중은 7.5%로, 전년 동기 7%보다 0.5%p 증가했다. 콕스오토모티브는 아큐라, 아우디, 쉐보레, 혼다, 포르쉐 등 다수 브랜드에서 전기차 신차를 출시함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전체 판매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구형 모델의 판매량은 크게 줄었다는 설명이다. 브랜드별 추이를 보면 GM의 1분기 전기차 판매량은 3만대 이상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약 두 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혼다와 아큐라의 지난해 1분기 전기차 판매량은 0대였지만, GM과 단기 파트너십에 힘입어 1년 뒤인 올해 1분기는 1만4천대를 판매했다. 대부분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한 반면, 테슬라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기간 테슬라의 글로벌 인도량은 33만6천여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 줄었다. 그 외 렉서스는 9%, 미니는 16%, 기아는 24%, 리비안은 37%, 메르세데스-벤츠는 58% 가량 전기차 판매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콕스오토모티브는 “많은 장애물에도 미국 전기차 판매량은 견조하게 지속 성장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2분기 이후 전기차 판매량에 대해선 어둡게 전망했다. 새로 도입된 자동차 관세가 가격 상승과 판매 위축을 야기할 것으로 봤다. 여기에 공화당이 감세 추진 과정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를 추진한다면 추가적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콕스오토모티브는 “많은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철강과, 전기차는 특히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기념비적 도전이 될 것”이라며 2분기 전기차 시장 전망을 어둡게 점쳤다.

2025.04.14 10:13김윤희

CGTN: 시진핑 주석의 동남아 순방, 지역 발전에 새로운 동력 불어 넣을 것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국빈 방문을 앞두고, CGTN은 중국이 우호, 성실, 상호 이익, 포용의 원칙에 따라 어떻게 주변 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웃 국가와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베이징, 2025년 4월 13일 /PRNewswire/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중국 외교부가 금요일 발표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간 진행되는 이번 3개국 순방은 시 주석의 올해 첫 해외 순방이 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시 주석이 최근 진행된 중앙 외교업무회의에서 주변 국가들과 '미래 공유 공동체'를 구축하자고 촉구한 직후 이뤄지는 것이다. 린젠(Lin Jian)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금요일 브리핑에서 이웃 국가는 중국 외교의 최우선 순위이며,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은 미래를 공유하는 좋은 이웃, 좋은 친구, 좋은 파트너라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일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국가주석의 이번 순방은 중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및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전체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순방이 지역과 세계의 평화 및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중국과 베트남: 동지애와 형제애 시 주석은 월요일부터 화요일까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겸 중국 국가주석으로서 네 번째 베트남 국빈 방문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중국과 베트남 수교 75주년과 같은 시기에 이뤄지며, 두 국가는 사회주의 이웃 국가로서 오랜 기간 '동지애와 형제애'로 지속적인 유대감을 형성해 왔다. 시 주석이 마지막으로 베트남을 방문한 것은 2023년 12월로, 당시 양국은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중국-베트남 미래 공유 공동체'를 구축하자는 데 합의하며 양국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격상했다.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 무역 협력은 최근 수년간 꾸준히 발전해 왔다. 중국은 2004년부터 베트남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며, 베트남은 2016년부터 아세안 내 중국 최대 교역 상대국이다. 중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양국 교역액은 4년 연속 미화 2천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3.5% 증가한 2606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중국 기업의 베트남 직접 투자액은 2024년 25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베트남은 중국의 중요한 해외 투자처가 됐다고 상무부는 밝혔다. 중국과 말레이시아: 상생협력 모델 시 주석이 말레이시아를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은 2013년으로, 당시 양국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관계를 격상했다. 그로부터 10년 후, 시 주석과 안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말레이시아 총리는 '중국-말레이시아 미래 공유 공동체'를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몇 년간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고위급 관계 발전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양국은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이어오고 있으며, 정치적 상호 신뢰를 공고히 해왔다. 또한 실질적 협력에서도 결실을 맺고, 이웃 국가 간 상호 이해와 상생 협력의 모범을 세웠다. 양국 간 협력은 다방면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중국은 16년 연속 말레이시아의 최대 교역 상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2024년 교역액은 2120억 4천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두리안, 망고스틴, 잭프루트 등 말레이시아산 열대 과일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중요한 개발도상국이자 신흥 경제국이다. 린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 시 주석의 방문은 중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 격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이번 방문을 통해 지역 및 국제 문제에 대한 말레이시아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양국 관계를 '고위급 전략적 중국-말레이시아 미래 공유 공동체' 방향으로 발전시키며,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성장과 단결을 증진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새롭게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과 캄보디아: 철통같은 우정 시 주석이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한 것은 2016년이 마지막이었다. 2023년 9월, 훈 마넷(Hun Manet) 캄보디아 총리는 취임 후 첫 공식 해외 공식 방문국으로 중국을 선택하면서 캄보디아의 외교적 최우선 순위가 중국이라는 점을 반영하는 행보를 보였다. 당시 회담에서 시 주석과 훈 마넷 총리는 중국과 캄보디아의 철통같은 우정을 더욱 진전시키기로 약속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 캄보디아는 전략적 상호 신뢰를 계속 강화하고, '다이아몬드 육각' 협력 구도를 발전시켜 '산업 개발 회랑(Industrial Development Corridor)'과 '물고기와 쌀 회랑(Fish and Rice Corridor)' 구축도 안정적으로 추진해 왔다. 양국은 전방위 협력에서 풍성한 결실을 거두고 있다. 중국은 수년 연속 캄보디아의 최대 외국인 투자처이자 무역 파트너였다. 2022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중국-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은 캄보디아가 체결한 최초의 양자 자유무역협정이다. 2024년 캄보디아와 중국 간 무역액은 15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8% 급증했다. 린 대변인은 이번 중국 국가주석의 방문 기간 동안 양국은 관계 격상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정치적 상호 신뢰, 호혜적 협력, 안보, 문화 및 인적 교류, 전략적 조율 등 5개 분야에 걸쳐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https://news.cgtn.com/news/2025-04-11/President-Xi-to-visit-Southeast-Asia-in-first-foreign-trip-this-year-1Cury5TVLpK/p.html

2025.04.13 10:10글로벌뉴스

석유·화학 불황에 HD현대케미칼 실적 부진 장기화 우려

HD현대그룹의 조선·해운과 전력기기 사업은 업황 호조로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화학 사업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 침체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과로 인한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며 국내 석유화학 업황은 올해도 회복이 어려울 전망이다. HD현대그룹의 대표적인 석유화학 계열사 HD현대케미칼도 경기 악화로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HD현대케미칼은 지난 2014년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합작해 만든 회사다. 양 사 지분율은 각각 60%, 40%로 HD현대오일뱅크가 모회사이며 롯데케미칼은 특수관계인으로 묶여 있다. HD현대케미칼의 사업부문은 크게 정유, 혼합자일렌(MX), 중질유분해설비(HPC)로 나뉜다. 그 중 정유 부문이 전체 매출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국제유가와 정유 제품 크랙은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라 일시적으로 상승했으나, 경기침체 우려로 전반적인 약세를 보였다. 벤젠과 MX 스프레드는 3분기 이후 중국 신증설에 따른 공급 증가 및 다운스트림 정기보수로 인한 수요 감소로 약세를 보였다. HPC 부문 주요 제품인 에틸렌초산비닐(EVA)은 태양광 수요 부진으로 스프레드 약세를 기록했고, 중국의 내수 침체와 역내 신증설 물량 증가로 인한 수급 불균형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제품 등 시황이 좋지 않았다. 그 결과 HD현대케미칼은 지난해 영업손실 1천50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6.9%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억6천400만원에서 적자전환했다. 늘어난 매출은 모회사 HD현대오일뱅크와의 내부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HD현대오일뱅크와의 내부거래로 발생한 지난해 매출은 4조4천723억원으로 2023년 3조3천324억원보다 전년대비 34% 증가했다. 재무건정성도 좋지 않다. 지난해 총 부채는 매입채무 증가로 4조3천335억원에 달한다. 부채비율도 268.99%로 전년 대비 47.22%p나 증가했다. 재무 개선을 위해 HD현대케미칼은 올해 초 회사채를 발행했으며 3천63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HD현대케미칼은 신규 사업 확장을 통해 실적 개선도 꾀하고 있다. 열분해유 처리 사업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연 10만톤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는 바이오 사업에도 진출해 폐식용유 및 대두유를 원료로 친환경 바이오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바이오 연료유(항공유·경유)로 포트폴리오 확장도 계획하고 있다. 다만, 지속가능항공유(SAF)시장은 아직 개화 단계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석유화학 업계가 전반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는 상황"이라며 "HD현대케미칼의 실적 반등 시점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2025.04.13 09:41류은주

처음으로 '진짜 문제' 푼 양자컴퓨터…매듭이론 계산 성공

퀀티뉴엄(Quantinuum)이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위상수학 분야에서 난제로 꼽힌 매듭 이론(knot theory)을 양자 알고리즘으로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그동안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알고리즘이 처음으로 실제 양자 하드웨어에서 구현된 사례다. 처음으로 양자컴퓨터가 단순 성능평가가 아닌 실제 의미 있는 수학 문제를 다룰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평가다. 12일 퀀티뉴엄은 '적은 양자 연산으로, 더 큰 이점(Less Quantum, More Advantage)'이라는 논문을 아카이브에 게재했다. 해당 논문은 양자컴퓨터 H2-2를 활용해 매듭 이론의 핵심 계산 문제인 존스 다항식(Jones Polynomial)을 계산한 결과를 담고 있다. 퀀티뉴엄은 이를 통해 매듭의 위상학적 특성을 구별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네이처 등 과학전문 저널은 해당 연구가 단순한 속도 평가나 샘플링 테스트를 넘어 양자컴퓨터가 실제로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첫 사례 중 하나로 주목했다. 매듭 이론은 한 줄의 폐곡선이 3차원 공간에서 어떻게 엉킬 수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분야다. 이때 매듭의 구조를 정량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계산식이 바로 존스 다항식이다. 매듭의 교차 방식에 따라 계산되는 이 다항식은 수학, 물리학, 생물학을 비롯해 DNA 구조 분석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만 이 다항식을 계산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특히 매듭의 교차점 수가 많아질수록 경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존스 다항식을 정확히 계산하는 문제는 #P-하드(#P-hard)로 분류된다. 고전 컴퓨터로는 실용적인 시간 내에 해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뜻이다. 퀀티뉴엄은 이번에 해당 알고리즘을 실제 하드웨어에 맞춰 구현하고, 교차점이 최대 600개에 이르는 복잡한 매듭의 존스 다항식을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매듭의 교차 패턴을 양자 연산 시퀀스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이를 양자컴퓨터 H2-2에서 실행해 측정된 확률값을 바탕으로 다항식 근사값을 추출했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최대 16개의 큐비트와 340개의 2-큐비트 양자 게이트를 포함한 회로가 사용됐으며, 다양한 종류의 에러 완화 기법이 적용됐다. 대표적으로 양자 상태 중 유효한 계산만을 유지하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피보나치 기반 상태 제한', 위상 오류를 줄이는 '켤레 트릭(Conjugate Trick)', 비정상 상태를 검출해 배제하는 '비피보나치 오류 검출' 등의 기법이 활용됐다. 퀀티뉴엄 연구진은 고전 컴퓨터 기반의 텐서 네트워크 알고리즘(mpo-proj)과 양자 알고리즘(cfev)을 비교해, 양자컴퓨터가 계산 시간, 메모리, 에너지 효율 면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음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차점 수가 2천400~3천개 이상의 매듭의 경우, 양자 알고리즘이 고전 방식보다 더 적은 시간과 메모리, 에너지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고전 알고리즘은 복잡도가 높아질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급증해 실행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 반면, 양자 알고리즘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계산을 수행했다. 이번 연구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양자컴퓨터가 빠르다는 시연이 아니라 실제 수학적 난제를 계산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점에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여러 양자우월성 실험들은 대부분 양자컴퓨터에 유리하게 설계된 특수한 샘플링 문제를 대상으로 했다. 반면 퀀티뉴엄은 수학, 물리,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응용이 가능한 문제를 양자 알고리즘으로 계산했고, 고전 알고리즘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양자의 실질적 효용성을 검증하려는 노력을 병행했다. 퀀티뉴엄의 콘스탄티노스 메이차네치디스 과학 제품 개발 책임자는 "이번 연구는 단순한 양자 속도 시연이 아니라, 양자컴퓨터가 실제 수학 문제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첫 단계"라며 "이제 양자컴퓨터가 실제로 문제를 계산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일리아스 칸 최고제품책임자는 "올해 말 차세대 양자컴퓨터 헬리오스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더 많은 큐비트와 정교한 회로가 가능해지면 기존에는 다룰 수 없는 수준의 매듭 문제도 실용적으로 계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12 12:15남혁우

내년에 맥북 프로 대변신?....어떻게 바뀔까

애플은 지난해 가을, 맥북 프로에 M4, M4 프로, M4 맥스 칩을 탑재하고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등 의미 있는 변화를 단행했다.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은 올해 애플이 M5 칩을 출시하며 2025년형 맥북 프로를 선보일 예정이지만, 이번 모델은 소폭의 개편에 그칠 것이며 본격적인 변화는 내년에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IT 전문 매체 맥루머스는 최근 기사에서 내년에 출시될 맥북 프로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예측했다. OLED 디스플레이 도입 그동안의 여러 루머에 따르면, 내년 맥북 프로에는 처음으로 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될 가능성이 크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애플이 2026년 OLED를 적용한 맥북 프로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으며, 디스플레이 전문가 로스 영 역시 애플 공급망이 내년 중 OLED 디스플레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것으로 전망했다. 맥북 프로에 기존 미니LED 디스플레이 대신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화면 밝기 향상, 더 개선된 명암비, 향상된 전력 효율을 통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더 얇고 가벼워진다 작년 5월 애플은 M4 아이패드 프로를 공개하며 '역사상 가장 얇은 제품'이라고 밝혔다. 마크 거먼은 M4 아이패드 프로가 “새로운 애플 기기의 시작”이라며 애플이 “향후 2년간 맥북 프로를 더 얇게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앞서 언급한 OLED 전환으로 더 얇은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맥북 프로의 경우 2021년 디자인 변경으로 더 두껍고 무거워졌다. 두께를 줄이기 위해 이전 모델에서 없앴던 여러 포트들이 2021년 다시 도입됐기 때문이다. 애플이 맥북 프로의 포트를 그대로 두고 두께를 줄일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펀치홀 카메라 맥북의 노치 디자인을 좋아하지 않던 사용자들은 내년 맥북 프로를 기대할 만하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가 공개한 애플 디스플레이 로드맵 자료에 따르면, 애플은 2026년에 맥북 프로에서 노치를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상단에 펀치홀 카메라를 탑재할 예정이다. 5G 모뎀 칩 애플이 수년간 개발해온 자체 5G 모뎀 칩은 올해 초 아이폰 16e에 처음 탑재됐고, 이후 저가형 아이패드와 차세대 아이폰 17 에어에도 적용돼 기술 시험이 이어질 예정이다. 마크 거먼에 따르면, 애플은 차세대 맥 제품에 2세대 5G 모뎀 칩을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경우 맥북 프로에도 해당 칩이 적용될 수 있다. 첫 번째 칩은 6GHz 미만의 5G만 지원하지만, 2세대는 더 빠른 밀리미터파(mmWave) 기술을 포함할 전망이다. M6 칩 기존 애플 M 시리즈 칩 출시 일정을 고려하면, 애플은 올해 10월 M5 칩으로 맥북 프로 라인업을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이 칩은 TSMC의 3세대 3나노 공정 N3P로 제조될 예정이며, M4 칩에 비해 성능과 전력 효율이 향상될 예정이다. 반면 내년에 나올 M6 칩은 새로운 2나노 공정을 기반으로 생산돼 큰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 중국에서 나온 소식에 따르면, 내년 아이폰18 시리즈에 탑재될 A20 칩은 기존 통합 팬아웃(InFo, Integrated Fan-Out) 패키징 기술이 아닌 새로운 웨이퍼레벨멀티칩모듈(WMCM, Wafer-Level Multi-Chip Module) 패키징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WMCM 기술을 적용하면 여러 칩을 하나의 패키지에 통합해 패키징하면서 CPU나 GPU 등을 함께 조립할 수 있어 전체 패키징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도 촘촘한 칩 배열로 성능 저하가 없다고 알려졌다. 애플이 2나노 공정을 사용하고 WMCM 패키징을 활용하여 M6 칩을 만든다면 더욱 강력한 맞춤형 프로세서를 개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맥루머스는 전했다.

2025.04.12 12:00이정현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 올여름 첫 위성 발사 예정…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지구 관측 변화 탐지 시스템이란 주요 이정표 달성

-- 어스데일리 위성군, 넓은 지역 변화 탐지 기능 통해 영향력이 큰 산업 전반에 탁월한 가치 선사 기대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2025년 4월 11일 /PRNewswire/ -- 지구 관측(Earth Observation·EO) 데이터 및 분석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EarthDaily Analytics, 이하 '어스데일리')가 4월 10일 10개 위성으로 구성된 획기적인 '어스데일리 위성군(EarthDaily Constellation)' 개발에 중대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위성 기업 로프트 오비털(Loft Orbital)의 롱보우(Longbow) 위성 버스 중 하나에 첫 번째 페이로드를 성공적으로 탑재한 뒤 우주선 수준의 환경 테스트를 무사히 끝마쳤다. 이러한 중대한 도약은 어스데일리 위성군의 첫 위성이 올여름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Where precision meets performance—EarthDaily's satellite undergoes thermal testing at Loft Orbital's facility in Golden, CO, simulating the harsh conditions of space to ensure mission readiness and data integrity from day one. 어스데일리 위성군은 넓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감지하고, 지구 전역을 매일 재방문해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AI 시대에 지구 관측 방법을 재정의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배치가 끝나면 어스데일러 위성군은 영향력이 큰 산업에 중요한 가치를 가진 고품질 통찰력을 제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새롭게 부상하는 미실현 위험을 찾아 완화하고, 시장에서 과거 불가능했던 규모와 깊이로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돈 오스본(Don Osborne)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 CEO는 "우리는 여러 산업과 정부가 정보에 입각한 혁신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겠다는 사명에 따라 움직인다"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어스데일리 위성군은 지구 관측의 한계를 뛰어넘는 탁월한 고품질 데이터와 통찰력을 제공해줄 것이다. 수년간의 기획, 획기적인 과학, 최첨단 혁신이 이 특별한 위성군을 통해 구현될 것으로 믿는다. 이러한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한 이상 우리는 지구를 모니터링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고,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가장 중요한 목표를 더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길을 열고 있다." 어스데일리는 로프트 오비털, ABB, 스페이스X(SpaceX)와 같은 우주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들과 협력해 신뢰성, 혁신성, 비용 효율성을 갖춘 EO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EO 위성군은 비행 성능이 입증된 에어버스 애로우(Airbus Arrow) 위성 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로프트의 롱브로우 위성 플랫폼을 활용한다. 알렉스 그린버그(Alex Greenberg) 로프트 오비털 COO는 "이 첫 번째 위성의 성공적인 통합과 테스트는 로프트의 우주 인프라 모델과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보여주는 증거"라면서 "위성이 연말에 발사대에 올라 어스데일리 위성군의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EO 계측 분야에서 최고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세계적인 엔지니어링 회사 ABB는 어스데일리의 고정밀 광학 이미징 페이로드를 제공하고 통합하고 있다. ABB는 NASA/NOAA 합동 극지 위성 시스템(Joint Polar Satellite System)과 같은 최첨단 우주 임무뿐 아니라 다양한 혁신적 민간 부문 위성 프로젝트를 지원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최초의 상업용 이니셔티브에 검증된 역량을 제공하고 있다. 마크-앙드레 수시(Marc-André Soucy) ABB 측정·분석 사업부 우주 방위 시스템 담당 이사는 "이 혁신적인 지구 이미징 페이로드 개발 과정은 매우 흥미로운 여정이었다"면서 "페이로드는 탁월한 이미지 품질과 데이터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어스데일리 팀과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됐다"고 설명했다. 어스데일리 위성군은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위험을 완화하고, 전 세계적 차원에서 중요한 결정을 지원하는 과학용 이미지를 매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 현대의 큐브샛 기반 위성군에서 제기되는 주요 한계를 극복해냈다.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 소개: 어스데일리 어낼리틱스는 지구 관측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산업과 정부가 보다 탄력적인 미래를 위해 정보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데이터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획기적인 어스데일리 위성군 출시로 우리가 지구를 모니터링하고 이해하며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있다. 연락처:추가 정보웹사이트: www.earthdaily.com/constellation연락처: 브라이언 데그난(Bryan Degnan), IGB 그룹 (BDegnan@igbir.com; +1-646-673-9701)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1957/Loft_Press_Release.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337603/EarthDaily_updated_Logo.jpg?p=medium600

2025.04.11 22:10글로벌뉴스

장수와 정밀 의료,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 핵심 의제 주도

-- 행사 기간 동안 개인 맞춤형 예방 건강 다루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개시 예정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2025년 4월 11일 /PRNewswire/ -- 전 세계적으로 효과적인 개인 맞춤형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아부다비 의료 규제 기관인 아부다비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 Abu Dhabi, DoH)는 사람들이 단순히 오래 사는 것뿐만 아니라 무병장수하게 만드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 연구, 정책,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을 초청하고 있다. Longevity and precision medicine driving the agenda at Abu Dhabi Global Health Week 이와 관련, 다가오는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Abu Dhabi Global Health Week•ADGHW) 기간 동안 장수 과학 및 정밀 의료 발전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차세대 의료 기술에 대한 국제 협력, 혁신, 투자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 맞춤형 치료의 광범위한 채택을 촉진하고 건강한 수명 연장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고안된 이 실천 촉구 메시지는 중요한 시점에 나왔다. 전 세계의 기대 수명이 71세로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건강 수명과 기대 수명 사이의 격차는 9.6년으로 벌어졌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만성 질환으로 인해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로 10년 가까이 보내게 된다는 뜻이다. 행사에 앞서 만수르 이브라힘 알 만수리(Mansoor Ibrahim Al Mansoori) 아부다비 보건부 의장은 "우리는 사람들이 더 오래, 더 건강하고, 더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예방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덧붙였다. "건강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전 세계가 데이터와 인공지능(AI)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에 협력해 차세대 건강 사회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노력에 동참해주기를 바란다. 우리는 아부다비에서 전 세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면서 지역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통합 건강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 기관, 전략적 투자, AI 기반 의료 기술 발전을 통해 의료 산업을 혁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발전을 추진하고, 전략적 글로벌 파트너십을 지원하고, 무병장수를 위한 의료 혁신의 혜택을 누구나 누릴 수 있게 노력 중이다. 아부다비는 또 AI 기반 의료 연구에 집중함으로써 질병 예측 및 정밀 치료 역량을 강화해 의료 혁신의 리더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리더십에는 구체적인 행동이 뒷받침되고 있다. 건강한 장수를 위한 아부다비의 헌신은 이미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아부다비는 세계 최초의 건강 장수 의학 센터(Healthy Longevity Medicine Centre)로 아부다비 건강생활연구소(Institute for Healthier Living Abu Dhabi•IHLAD)를 허가했다. 이 연구소는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해 건강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질환을 관리하고, 정신 건강과 생활 방식의 변화를 돕고 있다. 이어 건강 장수 혁신 포럼(Healthy Longevity Innovation Forum)을 출범하고, 장수 중심 의료 센터 건립을 위한 규제 체계를 중동 지역 최초로 도입해 의료 규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러한 노력은 칼리파 대학 주최로 열리는 건강 장수 심포지엄(Healthy Longevity Symposium)과 같은 이니셔티브 및 성장하는 글로벌 연구 파트너십 네트워크와 함께 아부다비가 노화, 예방, 장수 건강에 대한 사회의 인식 전환에 앞장서고 있음을 증명해준다. 전 세계와 함께, 전 세계를 위해 개발된 이 이니셔티브는 AI 기반 진단, 유전체학 기반 의료 서비스,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을 발전시키는 로드맵을 만들어 더 많은 사람들이 장수 건강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주는 게 목표다. 주요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수 및 정밀 의료에 관한 글로벌 합의 문서 발표 AI 기반 의료 솔루션 발전을 위한 국제 이해관계자들의 약속 유전체학 기반 접근법을 주류 의료 서비스에 통합하기 위한 체계 수립 장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제안 및 규제 경로 제시 윤리적이고, 공정하며, 책임감 있는 의료 발전을 위한 글로벌 전략 마련 이 이니셔티브는 2025년 4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ADGHW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이다. 3일 동안 열리는 이 행사는 상호 통찰력을 교환하고, 중요한 의료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건강과 웰빙의 의미 있는 발전을 추구하는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다. 행사에는 90개국에서 200명 이상의 연사, 1만 5000명의 방문객, 1900명의 대표단, 150개 전시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DGHW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ADGHW는 아부다비 보건부가 주도하는 주요 정부 이니셔티브로, '장수를 향하여: 건강과 웰빙의 재정의(Towards Longevity: Redefining Health and Well-being)'라는 주제 아래 혁신과 협업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한다. 예방과 개인 맞춤형 및 통합적 치료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전략을 통해 커뮤니티 중심의 건강과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DGHW에서는 ▲장수와 정밀 건강 ▲건강 시스템의 회복력 및 지속 가능성 ▲디지털 건강과 AI ▲생명 과학에 대한 투자라는 4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와 이니셔티브가 진행된다. ADGHW는 전 세계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한데 모아 건강과 웰빙의 미래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하는 국경 없는 커뮤니티이다.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 소개 아부다비 글로벌 헬스 위크(Abu Dhabi Global Health Week•ADGHW)는 아부다비 보건부가 주도하는 주요 정부 주도 이니셔티브이다. 이 행사는 '장수를 향하여: 건강과 웰빙의 재정의'라는 주제로 혁신과 협업을 활성화한다. ADGHW는 예방과 개인 맞춤형 및 통합적 치료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전략을 통해 연중무휴 플랫폼 역할을 한다. 전 세계와 함께, 전 세계를 위해 개최되는 ADGHW는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교류와 공동 행동을 위한 플랫폼이다. ADGHW는 기업가, 정책 입안자, 연구원, 혁신가, 투자자 모두가 아이디어를 행동으로 옮기고, 정밀 의료 발전과 탄력적인 기술 중심 생태계 구축과 같은 주제를 두고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DGHW 2025는 재단 파트너인 M42와 글로벌 건강 및 장수 챔피언인 퓨어헬스(PureHealth)를 포함한 주요 전략적 파트너와 협력할 수 있는 걸 영광으로 생각한다. 전시업체 및 스폰서로는 부르질(Burjeel), GSK,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릴리(Lilly),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 비아트리스(Viatris), 노바티스(Novartis), 로슈(Roche), 아부다비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 Abu Dhabi), 딜로이트(Deloitte), 길리어드(Gilead), 주브네센스(Juvenescence), NYU 아부다비(NYU Abu Dhabi), 화이자(Pfizer)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의료 및 생명 과학의 미래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ADGHW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www.adghw.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등록은 https://www.adghw.com/forms/media-registration/에서 할 수 있다. ADGHW 미디어 문의나 인터뷰 요청: 마룬 파라(Maroun Farah),웨버샌드윅(Weber Shandwick) 선임 미디어 담당 매니저 E: mfarah@webershandwick.com T: +971 55 166 2557 아부다비 보건부 소개 아부다비 보건부는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의료 부문 규제 기관으로, 인구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의료 서비스의 우수성을 보장한다. 보건부는 보건 시스템의 전략을 정의하고, 인구의 건강 상태와 시스템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또한 보건 시스템의 규제 체계를 마련하고, 규정 준수 여부를 검사하고, 표준을 시행하며, 아부다비의 모든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세계적 수준의 모범 사례와 성과 목표를 채택하도록 권장한다. 동시에 아부다비 주민들의 건강한 생활 수준에 대한 인식과 채택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의료 서비스의 범위, 보험료, 환급률을 규제한다. https://www.doh.gov.ae/을 방문하거나 엑스(X•구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링크드인, 유튜브를 팔로우하면 아부다비 보건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아부다비 보건부 문의: 마리암 알 마르주키(Mariam Al Marzooqi) msalmarzooqi@doh.gov.ae, +971 50 536 6660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61972/Abu_Dhabi_Global_Health_Week.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61970/Letterhead_top_Logo.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61971/Footer_Logo.jpg?p=medium600

2025.04.11 17:10글로벌뉴스

  Prev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골든타임' 앞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대로는 뒤처진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인도 콕 집은 이유

GS25 돈키호테 팝업 1200명 운집…"기대 이하" 불만 속출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으로 풀어나간다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