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AI페스타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보안 '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778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트리니티소프트, 웹 취약점 분석 솔루션'스캔레이 XG V6.0' 디지털 서비스몰 등록

애플리케이션 보안 전문기업 트리니티소프트(대표 김진수)는 자사의 웹 취약점 분석 솔루션 '스캔레이 엑스지(SCAN-RAY XG) V6.0'이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정식 등록됐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및 지자체는 별도 입찰 절차 없이 'SCAN-RAY XG V6.0'을 보다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됐다. 'SCAN-RAY XG V6.0'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취약점 분석 솔루션이다. AJAX 환경에서의 URL 수집, 자동 및 수동 분석 기능,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시보드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보안 담당자의 업무 효율성과 분석 정밀도를 동시에 향상시켜준다. 특히 이 제품은 OWASP TOP 10, CWE TOP 25, 행정안전부 웹 취약점 가이드, 국정원 8대 취약점 등 주요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폭넓게 지원하며, 전자금융감독규정, ISMS-P, SW진흥법 등 국내외 법제도와도 연계,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의무 이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고 회사는 밝혔다. 트리니티소프트 김진수 대표는 “이번 디지털서비스몰 등록을 통해 공공기관의 접근성과 도입 편의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서비스 품질 개선을 통해 더욱 안전한 웹 환경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트리니티소프트는 △시큐어코딩 진단 △웹 취약점 진단 △모의해킹 등 정보시스템 취약점 진단도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트리니티소프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5.12 21:59방은주

이글루, 1분기 영업적자 축소···연결매출 9.6% 증가 234억8700만원

이글루코퍼레이션(대표 이득춘)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234억 8700만 원, 영업손실 8억 9900만 원, 당기순손실 8억 8800만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글루는 비상장사 2곳을 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이 기간 별도 기준 매출액은 232억 1300만 원, 영업손실 9억 2200만 원, 당기순손실 13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AI 기반 보안 솔루션 사업 성장과 우호적인 영업 환경 조성으로 연결 기준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9.6% 상승했고 적자 규모는 크게 축소됐다고 밝혔다. 이글루코퍼레이션은 보안 운영 및 분석, 위협 대응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해주는 'AI 기반 오픈 XDR(AI-driven Open XDR)' 구현에 속도를 붙이며 매출 증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XDR 기반 차세대 보안관제 플랫폼 '스파이더 이엑스디(SPiDER ExD)', 보안 운영·위협 대응 자동화(SOAR) 솔루션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 반응에 힘입어 안정적인 연간 매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5.05.12 21:50방은주

하이크비전, 2024년 연간 및 2025년 1분기 재무실적 발표

항저우, 중국 2025년 5월12일 /PRNewswire=연합뉴스/ -- AIoT 제품 및 솔루션 공급업체인 하이크비전(Hikvision)이 2024년 연간과 2025년 1분기 재무실적을 발표했다. 2024년 회사의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3.53% 증가한 924억 9600만 위안을 기록했다. 2025년 1분기 매출은 185억 32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1% 증가했다. 주주 귀속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41% 늘어난 20억 39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Hikvision releases 2024 full-year and 2025 first-quarter financial results 하이크비전은 지난 20년간 3만 개 이상의 제품을 개발하며 강력한 AIoT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보안 분야의 리더로 자리매김했다. 현재도 긍정적이고 신중한 접근 방식을 통해 불확실성을 극복하며 안정적이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중국 내 보안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해외 시장과 혁신적인 사업 분야에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또 수익성 추구를 핵심 목표로 삼아 주도적으로 조직을 개편하고 경영 관행을 개선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하이크비전은 특히 대형 AI 모델의 기술 혁신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해외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한 결과 해외 시장의 주요 사업 매출은 259억 89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8.39% 증가했다. 이 같은 매출은 전체 매출의 28.1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하이크비전이 해외 18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이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기여하고 있다. 해외 매출의 안정적인 증가는 회사의 전체 순익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부상했다. 한편 하이크비전의 혁신 사업도 224억 8400만 위안의 매출을 달성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이크비전은 2024년 연구개발(R&D)에 전체 매출의 12.83%인 118억 6400만 위안을 투자할 만큼 R&D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회사는 지난 수년간 본사의 R&D 역량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지역으로 확장되는 다층적 R&D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최근에는 Guanlan 대형 AI 모델에 비전, 언어, 다중 모달 기능 등을 통합시키는 등 AIoT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러한 혁신은 하이크비전의 제품과 솔루션의 인식 및 인지 능력 모두를 크게 향상시켰다. 예를 들어, 경계 보호 분야에서 대형 비전 모델은 허위 알림을 90% 감소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도 하이크비전은 혁신을 주도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 고품질 성장 전략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여기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5.12 21:10글로벌뉴스

하이크비전, 차세대 AIoT 제품•애플리케이션 구동할 대규모 AI 모델 'Guanlan' 공개

항저우, 중국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 하이크비전(Hikvision)이 산업별 심층 지식으로 사전 학습된 머신러닝 엔진 제품군 Guanlan 대규모 AI 모델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멀티모달 융합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됐으며, AI 기반 사물인터넷(AIoT) 애플리케이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Hikvision unveils Guanlan Large-Scale AI Models to power next-gen AIoT products and applications Guanlan에 담긴 철학 '물의 본질과 움직임을 파악하려면 그 물결을 살펴야 한다'는 고대 중국 철학에서 영감을 받은 Guanlan은 만물의 본질과 원리, 그 안에 숨겨진 미세한 움직임까지 포착하려는 통찰의 철학을 담고 있다. 하이크비전 국제 비즈니스 센터의 데릭 양(Derek Yang) 부사장은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려는 Guanlan의 핵심 철학은 대규모 AI 모델을 통해 더 스마트하고 빠르며 명확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는 우리의 목표와 정확히 맞닿아 있다"고 말했다.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화를 실현하는 3단계 아키텍처 하이크비전의 Guanlan 대규모 AI 모델은 대형 비전•언어•멀티모달 모델 등으로 구성된 기초 모델, 중간 계층의 산업 모델, 최상위의 작업 모델로 구성된 3단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이 아키텍처는 기본적인 기능부터 복잡한 시나리오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폭넓은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돼 다음과 같은 뛰어난 성능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 인식하는 멀티모달 처리 능력 고성능 및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배포 방식 기업들이 운영 과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AIoT 기술 도입을 확대함에 따라 하이크비전은 기존의 영상 보안 중심에서 더 넓은 범위의 A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업 중심을 전환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규모 AI 모델은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고, 공공•민간 부문에서 시나리오 기반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제품 주요 특징 DeepinViewX 카메라: Guanlan의 대형 비전 모델을 기반으로 한 이 카메라는 기존 AI 솔루션 대비 영상 콘텐츠 분석(VCA) 범위를 2배로 확대하고, 반복 알람을 50% 줄이며, 감지율을 향상하고, 외곽 경보 오탐률을 90% 이상 낮춘다. AcuSeek NVR: Guanlan의 대형 멀티모달 모델을 활용해 사용자는 영상 기록에서 특정 객체를 자연어로 검색할 수 있다. 하이크비전의 AcuSeek NVR은 영상 검색 과정을 간소화해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영상 분석 환경을 제공한다. 확장된 AIoT 포트폴리오: 향후 Guanlan의 탁월한 민첩성과 정밀성을 기반으로 성능이 향상된 HeatPro 시리즈 열화상 카메라와 지능형 체크포인트 카메라가 출시될 예정이다. 지금 바로 Guanlan을 경험해 보자. 대규모 AI 모델은 영상 내 객체 감지 및 정보 검색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한다. 하이크비전은 더 많은 산업 분야에서 Guanlan 대규모 AI 모델이 제공하는 지능과 편의성이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산업 및 조직에 이 모델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이크비전 AIoT 기술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의 하이크비전 담당자에게 문의해 실시간 데모를 예약하면 Guanlan 대규모 AI 모델이 적용된 하이크비전 제품이 어떻게 필요할 때 즉시, 그리고 대규모 환경에서 운영 방식을 혁신할 수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2025.05.12 21:10글로벌뉴스

하이크비전, '2024 ESG 보고서' 발표… 더 나은 미래 위한 '번영' 약속

항저우, 중국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연합뉴스/ -- AIoT 제품 및 솔루션 공급업체인 하이크비전(Hikvision)이 '2024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서(2024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Report)'를 발표하며, 7년 연속 ESG 약속과 실천 내용을 공개했다. 무엇보다 이번 보고서는 '번영하다(THRIVE)'는 지속 가능성 철학을 처음으로 소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이크비전은 '선한 목적의 기술(Tech for Good)'을 지침으로 삼아 조화, 신뢰성, 정직성, 가치 사슬, 환경 등 5개 분야에 집중해 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Hikvision releases 2024 ESG report, delivering THRIVE for a better future 하이크비전은 글로벌 정책, ESG 평가 기준,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철저히 검토하여 '기술 혁신',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기후 변화 대응'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3대 이슈임을 확인했다. 혁신을 통한 사회적 발전 추진 하이크비전은 다양한 사회적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지속적으로 탐구해 왔다. 도시 관리 분야에서는 300개 이상의 도시에 교통 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5만 3000곳 이상의 교차로에서 교통 흐름을 최적화했다. 산업 디지털화 분야에서는 CHN 에너지(CHN Energy)와 협력해 대규모•실시간•비파괴적 이중 스펙트럼 고속 석탄 품질 분석 기술을 개발해 전통적 분석 방법의 한계를 극복했다. 하이크비전은 '사회적 선을 위한 STAR 프로그램(STAR Program for Social Good)'을 추진하며 기술력을 활용해 야생동물, 환경, 문화 보존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30곳 이상의 비영리 단체(NGO)와 협력해 왔다. 이러한 협력의 주요 성과로는 1574년 건설된 고대 목조 다리인 란시 다리(Lanxi Bridge)에서의 화재 예방 강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리에가 게임 보호구(Kariega Game Reserve)의 관측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있다.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보호의 신뢰성 강화 하이크비전이 사이버 보안과 데이터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노력은 ISO 27017, ISO 27018, DCMM, IEC 62443-4-1 등 권위 있는 인증을 통해 인정받았다. 또한 하이크비전은 기술력과 교육에 대한 투자도 강화하고 있다. 2024년에는 사이버 보안을 주제로 한 26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171회의 교육 세션을 진행해 직원 참여율 100%를 달성했다. 하이크비전은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ISE 2025에서 처음 개최되는 해커톤(Hackathon•짧은 시간 동안 결과물을 만드는 프로그래밍 경연)을 후원하며 차세대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저탄소 전략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하이크비전은 기업 정책에 탈탄소화 전략을 통합해 저탄소 제품, 지능형 제조, 친환경 운영, 디지털 전환을 중점으로 한 탄소 중립 비즈니스 로드맵을 수립했다. 또한 103개 모델에 대한 탄소 발자국 검증과 글로벌 인증기관인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로부터 '제품 공정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 of Product Process)' 인증을 세계 최초로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이크비전의 LED 디스플레이 16개 모델은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인 '티유브이 라인란드(TÜV Rheinland)'에서 발급한 친환경 제품 마크 인증을 획득했다. LED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이 인증을 받은 건 하이크비전 모델들이 처음이다. 하이크비전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약속을 꾸준히 지키면서 안정적 운영을 바탕으로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하이크비전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번영'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다.

2025.05.12 21:10글로벌뉴스

중부발전, 총상금 3500만원 규모 충청권 대학(원)생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

한국중부발전은 국가정보원 지부·충남대학교 등 충청권 10개 기관과 공동으로 총상금 3천500만원 규모 '충청권 대학(원)생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을 공동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공모전 접수 기간은 12일부터 7월 31일까지다. 8월 중 심사를 거쳐 9월 1일 수상작을 발표한다. 공모 분야는 발전·인공지능(AI)·SW공급망 등 8개이며 복수 응모 가능하다. 자세한 참가 안내는 행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상식은 9월 3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2025 충청 사이버보안 콘퍼런스'와 연계해 진행한다. 최우수상 1팀에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상과 상금 500만원, 우수상 10팀에는 한국중부발전 사장상 등 기관장상과 3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이영조 중부발전 사장은 “사이버보안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향한 청년들의 열정과 가능성을 펼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충청권 대학·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해 보안 대응·지역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생을 실현하겠다”고 전했다.

2025.05.12 18:17주문정

통신 3사, 1분기 합산 영업익 1조5천억 돌파

국내 통신 3사가 2025년 1분기 총 1조5천11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통신 3사 모두 무선, 인터넷, IPTV 등 통신 본업에서는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지만, AI 기반 신사업에서는 각기 다른 수익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통신 3사, 본업 호조로 합산 영업익 1조5116억원 돌파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의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총합은 1조5천116억원에 달했다. 회사별로 보면 KT는 6천888억원, SK텔레콤은 5천674억원, LG유플러스는 2천554억원을 기록했다. KT가 전체 영업이익의 약 45.6%를 차지하며 수익성 면에서 가장 앞섰다. 전년 동기 대비로 보면 KT는 36.0%, SK텔레콤은 13.8%, LG유플러스는 15.6%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순이익 역시 KT는 44.2%, LG유플러스는 24.6% 늘었으며, SK텔레콤은 0.1% 감소했다. 통신 3사의 이번 실적은 무선, 인터넷, IPTV 등 통신 본업의 고른 성장에 기반했다. 특히 무선 가입자 수 증가와 ARPU 개선, 유선 수익의 안정세가 공통적으로 작용했다. 반면 AI 성적표는 제각각이다. KT는 AI 클라우드와 AICC 사업이 별도 기준 전체 매출의 6% 이상을 차지하며 직접적인 수익으로 연결되고 있다. SK텔레콤은 AI DC와 AIX 부문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수익화보다는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 확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 LG유플러스는 B2B 기반 AI 기술을 중심으로 내부 효율성과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며 점진적인 수익화 기반을 마련하는 단계다. KT, 부동산 효과로 최고 실적…AI 매출 기여 확대 KT는 3사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과 가장 높은 증가율을 동시에 기록했다. 광진구 롯데이스트폴 분양 등 부동산 일회성 이익이 반영되긴 했지만, 통신과 AI 본업 모두 견고한 성장 흐름을 보였다. 통신 부문에선 무선 매출이 전년 대비 1.0% 증가한 1천753억원, 인터넷은 1.3% 늘어난 628억원, IPTV는 0.1% 증가한 519억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 전체 서비스 매출은 4조6천820억원이다. 전체 매출에서 AI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성장 속도는 통신 본업을 상회하고 있다. AI/IT 사업은 10.2% 성장해 3천122억원을 기록했고, 이 중 kt cloud는 2천4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2% 급증했다. 이는 KT 별도 전체 매출의 약 6.7% 수준이다. kt cloud는 글로벌 기업 대상 DC 구축형 사업 수주를 확대했고, AICC는 금융권 및 공공기관 도입이 늘며 수익 기반을 다각화하고 있다. AI 미디어 기술, AI Studio 등 'AX 플랫폼' 사업도 기존 인프라와 결합해 실질 수익으로 이어지고 있다. SKT, 비용 효율로 수익 개선…AI 실적 기여는 제한적 SK텔레콤은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3.8%, 전 분기 대비로는 123.2% 급등했다. 인건비 등 비용 절감 효과가 반영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1.6% 증가한 1천676억원, GiGA인터넷과 부가서비스 확대에 힘입어 인터넷 매출은 0.8% 증가한 629억원을 기록했다. IPTV는 전년 대비 보합세를 유지했다.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은 3만4천856원으로 1.1% 상승했다. AI 사업에서는 데이터센터(AI DC)와 B2B 솔루션 중심의 AIX 부문이 각각 성장을 이끌었다. AI DC는 데이터센터 용량 및 가동률 증가로 1분기 1천2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11.1% 성장했다. AIX 부문도 45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27.2% 성장했다. AI 서비스 영역에서는 통신형 AI 비서 '에이닷(A.)'의 누적 가입자가 900만명을 돌파했고, 글로벌 AI 에이전트 'Aster(에스터)'는 3월 미국에서 오픈 베타를 시작했다. 정식 출시는 올 하반기로 예정돼 있다. 다만 SK텔레콤의 AI 사업은 아직 플랫폼 생태계 확장과 인프라 투자 중심의 전략을 유지하고 있으며, AI 실적의 비중은 전체 매출 대비 제한적인 상황이다. LG유플러스, 무선·인터넷 성장세…AI B2B 매출 일부 기여 LG유플러스는 유무선 전 사업에서 안정적 성과를 냈다. 무선 서비스 수익은 전년 대비 2.0% 증가한 1조6천121억원, 무선 서비스 관련 매출만을 집계한 서비스수익은 1조5천428억원으로 2.4% 늘었다. 전체 무선 가입 회선은 2천907만5천 회선으로 12개 분기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했다. 특히 MVNO(알뜰폰) 회선은 856만2천 회선으로 21.7% 증가하며 LG유플러스의 무선 성장세를 견인했다. 인터넷과 IPTV가 포함된 스마트홈 부문도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초고속 인터넷 수익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2천965억원을 기록했고, IPTV는 가입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홈쇼핑·VOD 매출 하락으로 1.2% 감소한 3천301억원에 머물렀다. AI 기반 사업에서는 B2B 인프라 매출이 일부 실적에 기여했다. 기업 전용 회선(2천35억원, +3.1%), IDC(873억원, +2.1%), AI 솔루션 부문(1천189억원, +0.4%)이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AICC, 스마트모빌리티, 중계메시징 등 디지털 전환(AX) 중심의 사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파주 AI 특화 IDC 착공 등 GPU 기반 AI 인프라도 고도화하고 있다. AI 기술은 고객센터 자동화, 보안 탐지, 시공 품질 검수 등 내부 시스템에 폭넓게 적용되며 실사용 기반을 넓히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AI 수익화 본격화를 위한 기반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2025.05.12 18:12최이담

[유미's 픽] 'SK C&C 무기' 솔루어, '에이닷 비즈'에 묻혔나…SKT 해킹 사건도 '난감'

SK텔레콤(SKT)이 '통신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를 내며 SK그룹이 새로운 먹거리로 삼았던 인공지능(AI) 사업이 위기를 맞았다. AI 사업을 주도한 SKT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함께 AI 사업 조직을 꾸렸던 그룹 IT 계열사인 SK C&C도 난감해진 분위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SKT와 SK C&C는 지난해 12월 양사의 AI·IT 전문인력을 한데 모아 'AIX(AI 전환) 사업부'를 공식 출범했다. 이는 같은 해 6월 두 회사가 공동으로 꾸렸던 TF(태스크포스)팀을 정식 조직화한 것으로, SKT 산하에 사업부를 두고 양사 인력이 함께 일하는 형태다. 일단 이 조직은 AI 에이전트(agent·비서) 서비스 '에이닷 비즈'와 전문 업무에 특화한 '에이닷 비즈 프로페셔널'을 올해 6월께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월 말부터 '에이닷 비즈'의 사내 비공개 베타 테스트(CBT)에 돌입한 상태로, 향후 SK 그룹사에 우선 공급해 반응을 살펴본 뒤 대외 사업 확대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에 SKT가 최악의 해킹 사고를 내면서 그룹 차원에서 추진했던 AI 수익화 사업은 제동이 걸릴 위기에 처했다. SKT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가 깨지면서 가입자들의 이탈이 급속도로 늘어난 데다 피해보상 비용,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해 부과되는 과징금, 유심 교체 비용 등으로 수익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서다. 실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SKT는 가입자 100만 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했을 때 최대 1조3천억∼3조원 손실이 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선 SKT가 서버 해킹 사실을 공식 발표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경쟁사인 KT,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고객은 30만1천342명이다. 유입을 뺀 가입자 순감은 25만9천672만 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정치권을 중심으로 가입 해지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상태로, SKT가 이를 수용할 경우 이탈자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지난 8일 국회 청문회에서 "(위약금 면제가 현실화할 경우) 한 달 기준 최대 500만 명까지 이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럴 경우 위약금과 매출까지 고려하면 3년간 7조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서 SKT가 AI 중심 리밸런싱(사업 재편) 전략을 유지한다고 하지만, 자금 유출이 심해 계획대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SKT는 오는 2030년 매출 30조원 가운데 AI 비중을 3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 아래 지난해까지 AI 분야에 6천억원 이상 투자했다. 올해부터는 AI 데이터센터(AIDC) 등 인프라를 구축해 기업의 AI 전환(AX)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AI로 수익을 내겠다는 야심도 드러낸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해킹 사고로 재무적 부담이 늘어나게 되면 SKT를 중심으로 한 SK그룹의 AI 투자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며 "보안과 네트워크 역량을 높이기 위해 기존 전략의 구조적 재검토가 이뤄질 가능성도 크다"고 관측했다. 한국신용평가는 SKT가 해킹 사태로 인해 최대 4천억원 이상의 자금이 소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신규 가입자 모집이 중단된 상황에서 가입자 이탈이 지속될 경우 신용도 등에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탓에 SKT와 함께 AI 사업을 벌이고 있는 SK C&C는 애매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자체적으로도 기존 ICT 서비스 사업 조직과 AT 사업 조직을 재편해 'AT 서비스 부문'을 신설, AI 사업을 키우기 위해 나서고는 있지만 SKT가 그룹의 AI 사업을 주도하고 있어 존재감은 크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3월 야심차게 선보인 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 '솔루어'의 입지도 애매해졌다. '솔루어'는 SK C&C가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꺼내든 새로운 무기로, 기업들이 오픈AI의 '챗GPT',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등과 같은 거대언어모델(LLM), 경량언어모델(sLLM) 기반 서비스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솔루어'에는 AI 프롬프트, 사내 데이터 저장소, AI 오케스트레이터 등 SK C&C가 자체 개발한 데이터 활용 최적화 기술들이 탑재됐다. 또 외부 LLM과 기업 내부의 정보 검색 시스템을 실시간 결합하는 검색증강생성(RAG) 기술로 AI 정확도를 높였다. 챗봇 '마이챗'은 재무 정보나 시장 동향 파악, 보고서 작성과 요약, 번역 등을 지원한다. SK C&C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솔루어'를 필두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AI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비전을 발표하며 시장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욕을 드러냈다. 또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 고객사 확보에도 속도를 내는 듯 했다. 그러나 SK텔레콤과 지난해 6월 AI 사업 TF를 조직한 후 SK그룹이 SK텔레콤 생성형 AI 비서 서비스 '에이닷 비즈' 알리기에 집중하기 시작하며 '솔루어'의 존재감은 사라졌다. 일각에선 SK텔레콤이 '에이닷 비즈'로 B2B 사업 확대에 나설 경우 SK C&C가 '솔루어'로 사업을 제대로 전개할 수 있을지 의문을 드러내기도 했다. SK그룹의 AI 사업과 관련한 주도권도 이미 SK텔레콤에 빼앗긴 상태다. SK C&C 측은 '솔루어'와 '에이닷 비즈'의 성격이 다른 만큼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SK C&C 관계자는 "'솔루어'는 AI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는 기업들이 활용하는 개발 플랫폼이고, '에이닷 비즈'는 기업이 바로 적용해서 이용할 수 있는 완성된 AI 서비스 형태"라며 "SK가 그룹 차원에서 '에이닷 비즈'에 전력을 다 하다보니 ('솔루어' 보다 AI 사업에 대한 관심과) 무게 중심이 약간은 옮겨가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2025.05.12 17:33장유미

다후아 D-Volt, '파워2드라이브 유럽 2025' 전시회서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전기차 충전 솔루션 공개

뮌헨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 -- 세계적인 영상 중심 AIoT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업체인 다후아 테크놀로지(Dahua Technology)가 혁신적인 전기차 충전 브랜드 D-volt를 선보였다. 공개 장소는 유럽 최대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솔루션 통합 전시회 플랫폼인 '더 스마터 E 유럽(The smarter E Europe)'의 일환으로 전기차와 충전 인프라에 초점을 맞춰 열린 '파워2드라이브 유럽 2025(Power2Drive Europe 2025)' 전시회에서다. D-Volt는 전시회에서 '혁명: 변화의 충전(The Revolution: The Charge of Change)'이라는 주제로 주거용•업무용•공공용 등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AC 및 DC 충전 솔루션의 포괄적인 라인업을 선보였다. D-Volt는 다후아의 지속 가능성을 향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지능형 하드웨어와 첨단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다양한 환경에서 전기 모빌리티의 변화하는 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충전 경험을 제공한다. 가정용 충전: 스마트하고, 친환경이며, 사용자 친화적 충전 아파트와 단독 주택에 이상적인 D-Volt 가정용 충전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 • 동적 부하 분산: 가정 내 전력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안전한 작동을 위해 충전 전류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 태양광 시스템과의 연동: 태양광 발전(PV) 시스템과 원활하게 연동되어 재생에너지 사용을 지원한다. • D-Volt 앱 제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충전 상태 모니터링, 충전 일정 설정, 충전기 공유, 사용 내역 확인, 에너지 소비 분석 등을 원격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업무용 충전: 기업 환경을 위한 효율적 관리 회사 주차장과 사무실에 맞게 설계된 D-Volt의 업무용 충전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MID 인증을 받은 계량기: 정확한 요금 정산과 유럽 표준을 준수하게 해준다. • 지능형 부하 관리: 여러 대의 충전기에 에너지를 지능적으로 분배한다 • 클라우드 기반 관리 플랫폼: 웹과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사용자 권한 제어, 요금 정산 관리, 데이터 분석을 지원한다. 공공 및 상업용 충전: 운영자를 위한 확장 가능한 솔루션 쇼핑센터, 주유소, 대규모 주차장 등 공공 및 상업용 장소에 적합한 D-Volt는 확장 가능하고 운영자 친화적인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원격 구성 및 OTA(Over-The-Air) 업데이트: 대규모 충전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설치 및 유지보수를 지원한다. • 서비스형(SaaS) 플랫폼: 충전소 모니터링, 요금 정산, 충전기 관리, 데이터 분석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내장형 차량번호 인식(APNR) 카메라: 주차 공간의 점유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해준다. • 완전한 스마트 주차 솔루션: 다후아의 열화상 카메라를 통합해 온도 경보 및 보안 강화를 통해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D-Volt는 AIoT 기술에 대한 다후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저탄소 교통 체계 구축을 위한 지능형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후아는 앞으로도 파트너 및 고객과의 협력에 매진하며 보다 친환경적인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며, '더 스마트한 사회와 더 나은 생활을 실현하겠다(enabling a smarter society and better living)'는 사명을 실현해 나갈 예정이다.

2025.05.12 17:10글로벌뉴스

주무 부처 클라우드 정책 '엇박자'…"퍼블릭 클라우드 생태계 키워야"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의 정책 기조 차이로 인해 국내 클라우드 업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클라우드 기업들은 양 부처의 일치된 산업 육성책과 지원이 확대돼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더욱 개방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제4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에 맞춰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 우선 정책을, 행안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모델(PPP)'을 주요 클라우드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과기정통부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공공 내 민간 클라우드 이용률은 약 11.6%에 머물렀다. 또 행안부가 발표한 '2024년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컴퓨팅 사업 수요 정보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2천163개 공공 정보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를, 713개 시스템이 국정자원 클라우드를, 1천90개 시스템은 자체 클라우드를 구축할 예정으로 조사됐다. 행안부의 조사 결과 민간 클라우드 이용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를 두고 업계에서는 진정한 '퍼블릭' 클라우드인지 시스템 통합(SI) 방식의 구축형 클라우드인지 여부를 가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과 지자체 등에서 클라우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선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같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보다는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적극 권장해야 한다"며 "과기정통부와 행안부가 바라보는 민간 클라우드의 기준과 관점이 상이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민관협력을 목표로 행안부가 운영 중인 국정자원 대구센터의 PPP 사업이 오히려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설자리를 좁히고 있다는 비판도 내고 있다. PPP는 행안부 국정자원 대구센터 내 전산실을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CSP)에 임대해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의 사업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망·행정업무망·공공업무망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외부와의 망 연계도 철저하게 격리된다. 해당 사업에는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삼성SDS 등이 참여해 각 사 서버와 랙 등 인프라를 갖춘 상황이다. 행정·공공기관들의 보안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는 긍정적이나, 국내 CSP들은 주요 공공 클라우드 사업이 대구센터 PPP 인프라로 한정될 수 있다는 점과 부족한 수익성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PPP 사업 역시 퍼블릭 클라우드보다는 인프라 확장에 한계가 있는 구축형 클라우드에 가깝다는 설명이다. 엄격한 망분리로 빠른 서비스 패치와 업데이트가 불가해 클라우드가 갖춘 가용성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대부분의 국내 CSP는 자체 공공 클라우드 존을 구축하는 등 정부의 보안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투자를 해 왔다"며 "정부 인프라를 임대하는 비용과 운영 인력 배치, 추가 투자 등을 고려하면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없고 클라우드의 이점도 놓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여러 정보시스템을 운용하는 기관 입장에서는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기보다는 대구센터에 모든 시스템을 맡기려 할 것"이라며 "이는 우리나라 클라우드 산업 전반을 성장시키기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정책 기조로 인해 현재 발주되는 주요 공공 인공지능(AI) 사업 대부분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한 후 AI 플랫폼을 개발하는 SI 방식으로 수행돼, CSP보다는 대형 IT 서비스 기업들을 위주로 사업이 확산되는 실정이다. 이에 클라우드 업계에서는 과기정통부의 퍼블릭 클라우드 우선 정책과 행안부의 기조가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AI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기본 토양인 클라우드 기술 향상에 대해서도 주무 부처의 전향적인 지원이 요구된다"며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정부 예산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차기 정부에서는 두 부처 간의 클라우드 정책 엇박자가 해소되고 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과 행안부의 클라우드 관련 사업이 산업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5.05.12 16:14한정호

주니퍼, '마비스 AI' 강화…네트워킹·인사이트 확대

주니퍼네트웍스가 인공지능(AI) 네트워킹 플랫폼을 강화해 업무 자동화·기업 인사이트 기능을 확대했다. 주니퍼네트웍스는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우드까지 확장 가능한 디지털 트윈 기술 '마비스 미니'를 업그레이드하고 셀프 드라이빙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한 '마비스 액션 대시보드'를 12일 공개했다. 마비스 미니는 네트워크 전반에 디지털 트윈을 배포해 사용자 경험에 영향 주기 전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옵저버빌리티 툴과 달리 별도 하드웨어나 센서 설치 없이 작동한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저하 원인도 빠르게 찾아낸다. 업그레이드된 마비스 미니는 사이트, 지역, 인터넷 사업자(ISP) 등 다양한 레벨에서 서비스 기대 수준(SLE)을 측정하고,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을 포함한 공용 통신망(WAN) 영역까지 가시성을 확장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마비스 액션 대시보드는 가상 근거리 통신(VLAN) 구성 오류와 무선 자원 최적화, 정책 준수 등 주요 운영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각 조치 수행 시점과 방식에 대한 전체 이력도 제공한다. 운영자는 네트워크가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시각화하고 필요 시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번에 추가된 마비스 클라이언트는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 데이터를 활용해 IT 팀의 트러블슈팅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이 기능은 안드로이드와 윈도, 맥OS 기기 텔레메트리를 분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유형과 OS, 무선 하드웨어, 펌웨어, 연결 메트릭 등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환경을 정밀 분석하고 종합적인 성능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주니퍼네트웍스는 이번 기술 강화를 통해 기존 미스트 구독자들이 추가 소프트웨어 없이 새로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했다고 밝혔다. 네트워크 운영 간소화와 사용자 경험 향상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주니퍼네트웍스 수디어 마타 수석 부사장은 "마비스 미니는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전에 문제를 식별하고 학습하는 백만 개의 디지털 트윈과 같다"며 "우리는 에이전틱 AI 중심 자동화와 인사이트 제공을 통해 네트워킹 업계의 근본적인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5.12 15:33김미정

"지포스 RTX와 쿠다로 무장"…엔비디아 'LM 스튜디오' 성능 폭발

엔비디아가 지포스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쿠다를 기반으로 자체 로컬 거대언어모델(LLM) 실행 도구의 성능을 대폭 강화했다. 로딩·응답 속도 향상과 더불어 개발자 제어 기능을 확장해 로컬 AI 활용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견인하는 전략이다. 엔비디아는 최근 'LM 스튜디오' 0.3.15 버전을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버전은 지포스 '레이 트레이싱 익스피리언스(RTX)' GPU 환경에서 성능을 최대 27%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쿠다' 그래프와 플래시 어텐션 최적화를 적용했다. 지포스 'RTX 20' 시리즈부터 최신 블랙웰 GPU까지 폭넓은 하드웨어 호환성도 확보했다. 'LM 스튜디오'는 고성능 추론과 데이터 보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로컬 LLM 실행 도구다. '라마.cpp(llama.cpp)' 기반 런타임을 바탕으로 오프라인에서도 모델 실행이 가능하고 오픈AI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호환 엔드포인트로도 작동해 맞춤형 워크플로우에 쉽게 통합된다. 새 버전은 '툴_초이스(tool_choice)' 패러미터를 도입해 도구 호출 방식에 대한 세밀한 제어를 제공한다. 외부 도구 연동 여부를 개발자가 지정하거나 모델이 동적으로 결정하게 할 수 있어 검색 증강 생성(RAG), 에이전트 파이프라인 등에 최적화된 구조를 제공한다. 시스템 프롬프트 편집기도 새롭게 설계돼 복잡하거나 장문 프롬프트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됐다. 프리셋 기반의 다양한 모델과 양자화 방식도 지원되며 '젬마', '라마3', '미스트랄', '오르카' 등 주요 오픈소스 모델이 모두 포함됐다. 이같은 구조는 '옵시디언'과 같은 노트 기반 앱에 플러그인 형태로 연결돼 텍스트 생성, 연구 요약, 노트 검색을 클라우드 없이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 모든 과정은 'LM 스튜디오' 내의 로컬 서버를 통해 이뤄져 빠르고 프라이버시 중심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성능 개선의 핵심은 '라마.cpp' 백엔드에 적용된 쿠다 그래프와 플래시 어텐션이다. 쿠다 그래프는 컴퓨팅처리장치(CPU) 호출 횟수를 줄여 모델 처리량을 최대 35%까지 높였다. 플래시 어텐션은 메모리 부담 없이 긴 컨텍스트 대응 능력을 강화하며 최대 15% 속도 향상을 이끌었다. RTX GPU 사용자라면 별도 설정 없이도 '쿠다 12.8' 기반의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 드라이버 호환 시 자동 업그레이드가 적용되며 얇은 노트북부터 고성능 워크스테이션까지 전 범위 RTX 인공지능(AI) PC에서 효율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LM 스튜디오'는 윈도우, 맥OS, 리눅스에서 모두 실행 가능하며 무료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다. 데스크톱 채팅, 오픈AI API 개발자 모드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도 제공된다. 엔비디아 측은 "'LM 스튜디오' 최신 업데이트는 RTX AI PC에서 최고의 성능과 유연성을 제공한다"며 "로컬 LLM 도입 장벽을 낮추고 사용자의 AI 실험과 배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5.12 15:33조이환

SKT, AI 사업 성장에 영업익 14% 껑충

SK텔레콤이 유무선 통신사업 가입자 증가와 AI 사업의 성장으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된 분기 실적표를 내놨다.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1분기 매출 4조4천537억원, 영업이익 5천674억원, 당기순이익 3천616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은 주력 사업의 성장에도 일부 자회사를 매각한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3.8% 증가했는데 AI 사업 성장과 5G 시장의 성숙기 진입에 따른 마케팅 비용과 감가상각비가 감소한 데 따른 수치다. 먼저 이동통신 사업 매출은 3조1천670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감소했다. 서비스 매출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지만 접속 수익이 감소한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 1분기 말 기준 5G 가입자는 1천724만으로 전체 핸드셋 가입자에서 5G 가입자 비중은 76%를 기록했다. 자회사 SK브로드밴드 매출은 1조1천140억원으로 집계됐다. 유료방송이 4천780억원, 초고속인터넷 등 유선통신이 2천890억원, B2B 사업이 3천460억원 매출을 올렸다. 1분기말 기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721만5천이다. 전년 대비 3.2% 증가한 수치다. IPTV 가입자는 681만3천으로 전년 대비 0.8% 늘었고, 케이블TV 가입자는 278만7천으로 같은 기간 1.4% 감소했다.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는 0.1%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AI DC 사업은 양주 데이터 센터 오픈과 가동률 상승으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갔다. 분기 매출은 1천20억원으로 연간 11.1%의 성쟁세를 보였다. 분기당 천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는 성장 사업으로 자리매김 한 AI DC사업은 중장기적으로 하이퍼스케일급 AI DC 구축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AIX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7.2% 성장한 45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AI 클라우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B2B 사업도 AI 마케팅 신규 수주 확대 등으로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AI 서비스 영역에서는 에이닷(A.) 누적 가입자 900만명을 돌파했다. 글로벌 향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스터(Aster)는 3월말 미국에서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올 하반기 정식 출시에 나설 예정이다. 1분기 배당금은 주당 830원으로 결정됐다. 배당기준일은 5월31일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외부 전문가와 고객이 참여하는 '고객 신뢰회복 위원회'를 구성하고 보안 체계와 고객 보호 강화 방안을 지속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양섭 SK텔레콤 CFO는 “회사의 모든 역량을 고객 보호에 집중해 지난 40여년 간 이어 온 SK텔레콤의 신뢰를 변함없이 지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5.12 14:16박수형

[ZD SW 투데이] 마키나락스·셀바스AI, 'AI 엑스포 코리아 2025' 참가 外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마키나락스·셀바스AI, 'AI 엑스포 코리아 2025' 참가 마키나락스와 셀바스AI가 오는 14일 열리는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해 산업 맞춤형 AI 솔루션을 공개한다. 마키나락스는 폐쇄망에서도 작동하는 AI 플랫폼 '런웨이'를 기반으로 국방·공공기관용 맞춤형 챗봇과 리액트 웹 코딩 기능 등을 시연하며 중소조직 대상의 경량형 어플라이언스도 함께 선보인다. 셀바스AI는 음성·문자 인식 기술과 거대언어모델(LLM)을 결합한 에이전트 솔루션을 공개한다. 음성기록 서비스, 의료 음성인식, 차세대 음성합성 등 상용 제품을 전시하며 모델 아키텍처와 시스템 연계 문제 해결을 위한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도 소개할 예정이다. ◆무하유, '원티드 하이파이브 2025'서 AI 채용 솔루션 시연 무하유가 오는 19일 개최되는 '원티드 하이파이브 2025'에 참가해 AI 채용 솔루션 '프리즘'과 '몬스터'를 소개한다. 이 솔루션들은 AI 기반의 서류 평가, 역량검사, AI 면접 기능을 통해 채용 전 과정을 지원하며 현재 600여개 기업이 도입해 활용 중이다. 행사는 AI 시대의 HR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HR 데이'와 다양한 직군 실무자의 경험을 다루는 '메이커스 데이'로 나뉘어 진행된다. 무하유는 별도 부스를 통해 솔루션 시연과 함께 방문객 대상 이벤트도 운영할 예정이다. ◆RAPA-AWS, AI 전문가 양성 과정 신설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AWS)가 오는 7월부터 'AWS AI 스쿨' 과정을 신설한다. AI 스쿨은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모델링, 자동화 파이프라인 등 고급 기술을 교육하며 프로그래밍 역량 보유자를 중심으로 AI 전문가를 양성할 계획이다. 'AI 스쿨' 이전에 설립된 'AWS 클라우드 스쿨'은 지난 2023년부터 238명 이상을 배출하며 국내 대기업은 물론 해외 AWS 법인 취업 성과도 냈다. AI 스쿨은 클라우드 교육과 마찬가지로 전액 무료다. 교육 신청은 5월 중 별도 진행되고 클라우드 스쿨 10기는 오는 19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와탭랩스, 'AWS 서밋 서울 2025'서 클라우드 솔루션 공개 와탭랩스가 오는 14일부터 열리는 'AWS 서밋 서울 2025'에 실버 스폰서로 참가해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NPM), 리얼 유저 모니터링(RUM) 등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을 시연하고 최신 데브옵스 트렌드와 도입 사례를 발표한다. 행사 첫날에는 '데브옵스 역할과 도구의 진화' 주제 강연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서의 운영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며 부스에서는 가상 웹사이트 기반 실습과 맞춤 상담, 경품 이벤트도 진행된다. ◆아이티센그룹, 산불 피해 복구 위해 적십자사 1억원 기부 아이티센그룹이 산불 피해 지역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대한적십자사에 성금 1억원을 기탁했다. 이번 기부는 그룹 산하 9개 법인과 임직원의 자발적 참여로 마련됐다. 기탁된 성금은 적십자사를 통해 신속하고 투명하게 집행될 예정이다. ◆씽크포비엘, 외국인 유학생 대상 8년째 인재 채용 씽크포비엘이 오는 19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글로벌 탤런트 페어'에 참가해 국내 대학 출신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군 인재 채용에 나선다. 씽크포비엘은 지난 2017년부터 외국인 유학생 채용을 이어오고 있다. 회사는 직무 중심 실무형 채용 전략을 바탕으로 AI·데이터, 프로젝트 매니저, 인사(HR) 등에서 실질 역량을 평가하며 면접을 통해 매니저 직급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로민, LIG시스템과 다큐먼트 AI 사업 협력 MOU 체결 로민이 LIG시스템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문서 AI 기술 고도화 및 관련 사업 확대에 나선다. 양사는 솔루션 공급과 영업 협력을 중심으로 사업 수행 체계를 구축하고 다큐먼트 AI 시장 경쟁력 확보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로민은 자체 플랫폼 '텍스트스코프 스튜디오'를 기반으로 기술 협력과 공급을 맡고 LIG시스템은 시스템 구축과 사업 제안을 담당한다. 양사는 신규 솔루션 발굴과 시장 확장을 위한 협력도 이어갈 방침이다.

2025.05.12 14:11조이환

그레이드테크놀로지,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서 파트너들과 함께 획기적인 AI 및 HPC 스토리지 솔루션 선보인다

서울, 대한민국 2025년 5월 12일 /PRNewswire/ -- 그레이드테크놀로지(Graid Technology)가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고의 인공지능 전시회인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그레이드는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스토리지 분야의 종합 솔루션을 선보이며 SupremeRAID™가 차세대 워크로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를 어떻게 혁신하고 있는지 시연할 예정이다. 2021년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그레이드테크놀로지는 기존 RAID 기술을 능가하는 탁월한 속도, 보안, 안정성을 제공하는 GPU 기반 RAID 데이터 보호 가속화를 개척하며 스토리지 업계의 선구자로 급부상했다. SupremeRAID™ featured at AI expo Korea 2025 두 개의 미국 특허로 입증된 그레이드의 기술력은 속도와 보안 모두에서 탁월하다. 첫 번째 특허인 '데이터 전송•보호 시스템 및 방법(Data Transmission an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은 애플리케이션과 SSD 간의 데이터 병목 현상을 없애 기존 솔루션에 비해 전송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GPU 기반 RAID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2025년 4월에 획득한 두 번째 특허인 'RAID 시스템 쓰기 작업을 위한 분산 저널링(Distributed Journaling for Write Operations to RAID Systems)'은 데이터 무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시스템 충돌이나 예기치 않은 종료 시에도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RAID 데이터 보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그레이드테크놀로지는 AI 파이프라인 전반에 걸쳐 차세대 인프라를 제공하는 엣지 투 클라우드 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다. 엣지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엣지 컴퓨팅 워크스테이션 중 하나인 Supreme100을 공개한다. 8개의 Gen5 NVMe SSD와 450W GPU를 지원하는 이 시스템은 최대 100GB/s의 전송 속도와 사무실 환경에 적합한 정숙성을 갖췄다. 클라우드의 경우 그레이드의 HPC 클러스터 솔루션은 SR-1010을 InfiniBand를 통해 BeeGFS와 통합해 확장 가능한 용량과 선형 성능으로 80GB/s의 속도를 지원한다. 내장된 고가용성(HA) 서비스는 인프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최적의 가동 시간을 유지하므로 AI, HPC 및 머신러닝 워크로드에 이상적이다. 이번 AI 엑스포 코리아에서 그레이드는 주요 파트너사인 인피니틱스(Infinitix) 및 테라텍(Teratec)과 함께 종합 AI 생태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인피니틱스는 AI 개발 및 배포 워크플로 전반에서 GPU 자원 활용도를 높여주는 플랫폼인 AI-Stack을 선보인다. 금융, 의료, 반도체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채택되고 있는 인피니틱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AI 엑스포에 참가하며 한국에서의 전략적 확장을 도모한다. 한국의 선도적인 기술 기업인 테라텍은 HPC,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 및 IT 인프라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로, 국내 기업을 위한 확장 가능한 AI 및 분석 솔루션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한다. AI 엑스포 코리아 2025의 그레이드 부스(K27)를 방문해 차세대 스토리지와 인프라가 어떻게 AI의 미래를 뒷받침하는지 알아보길 바란다.

2025.05.12 14:10글로벌뉴스

금융보안원 "악성코드 분석해 사이버 공격 배후 찾아"

금융보안원은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열린 국제 사이버 공격 방어 훈련 '락드쉴즈(Locked Shields)'에 4년째 참가했다고 12일 밝혔다. 락드쉴즈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이버방위센터(CCDCOE)가 주관한다. 사이버 위기에 함께 대응하고자 2010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국제 사이버 공격 방어 훈련이다. 올해 한국은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국방부, 금융보안원 등 민·관·군 47개 기관, 170명이 참여했다. 금융보안원에서는 11명이 나갔다. 국내외 해킹방어대회에서 우승한 적 있는 직원이 웹·서버 취약점에 빠르게 대응하고, 공격 원인과 경로를 분석해 방어했다고 금융보안원은 전했다.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악성코드 분석 모델로 국가 기반 시설을 지키는 다중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훈련에 최신 기술을 접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악성코드를 분석해 가상으로 설정된 국가 배후 세력을 찾았다고 강조했다.

2025.05.12 14:05유혜진

지니언스, 위협 분석 보고서 영문판 발간

국내 정보보호 기업 지니언스는 매달 영문판 '위협 분석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12일 밝혔다. 그동안 한글로 제공하던 보고서를 해외에도 알리고자 영문판도 내놓는다. 지니언스 시큐리티센터(GSC)가 현장에서 포착된 위협 흐름과 특이 동향, 공격 기법 등을 보고서에 쓰고 있다. 보안 실무 경험을 갖춘 전문가가 번역한다. 누구나 자유롭게 지니언스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지니안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제품과 연계해 고객이 손쉽게 보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이민상 지니언스 엔드포인트연구실 상무는 “보안 위협은 국경을 넘나든다”며 “지니언스 위협 분석 보고서가 해외 보안 전문가에게도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2025.05.12 13:44유혜진

산업부, 팹리스 맞춤형 인프라 사업 박차

산업통상자원부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해 팹리스(반도체 설계기업) 맞춤형 인프라 사업들을 신규 착수한다. 산업부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사업공모 절차를 거쳐 '팹리스기업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 사업'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을, '고신뢰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검사·검증 지원 사업'에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주관기관으로 선정했다. 팹리스기업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 사업은 오는 2027년까지 총사업비 451억원(국비 322억원)을 투입, 국내 중소 팹리스가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고가 설계·성능 검증 장비를 구축해 팹리스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주관기관으로 KETI가, 참여기관으로 성남산업진흥원·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선정됐다. 경기도 성남에 있는 제2판교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에 칩 설계·성능 검증을 위한 첨단장비가 도입된다. 시제품 칩 제작 전, 칩의 실제 동작 여부를 가상환경에서 미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뮬레이터를 포함해 시제품 칩 제작 후에는 PCIe 등 100Gbps 이상 고속 인터페이스 성능평가와 표준 적합성 검증을 할 수 있는 고성능 계측 장비와 분석 시스템이 마련된다. 이 외에도 팹리스가 원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안 서버실, 고신뢰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업 재직자 대상 장비 활용 교육과 기술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팹리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첨단장비 지원의 시급성을 감안해 추가경정예산 심의에서 2025년 예산 95억1천만원이 반영(애초 본예산 보다 23억원 증가)된 만큼, 올해 7월까지 예산이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고신뢰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팹리스 검사·검증 지원 사업은 2029년까지 총 사업비 217억5천만원(국비 150억원)을 투입해 자동차·로봇·의료기기 등 첨단 산업에서 요구하는 칩 신뢰성을 확보하고, 칩 설계 단계에서 검증과 확인(V&V)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비수도권에 마련하는 사업이다. 주관기관으로 경북대 산학협력단이, 참여기관으로 한국팹리스산업협회·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선정됐다. 대구시청 별관 내 팹리스 기업 전용 검증공간이 마련된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사업비 217억5천만원(국비 150억원)을 투입해 기능 안전성 검사·검증 가능한 전문 툴과 장비를 구축한다. 또 팹리스 기업의 V&V 프로세스 확립 지원과 반도체 V&V 지원, 검증용 IP 활용 지원, 시제품 V&V 검증 및 기술지원, 검증·확인 기술전문 교육 등 팹리스의 고신뢰 반도체 개발·상용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도 함께 이뤄진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고가 장비 도입이 어려운 중소 팹리스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그간 수도권 중심으로 편중딘 검증지원사업을 비수도권까지 확산해 비수도권에 소재한 팹리스도 반도체 설계 성능분석과 기능 안전성 검증·확인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5.12 13:28주문정

"에너지 분야 마이데이터 실증"···개인정보위, 29일까지 사업자 공모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은 에너지 분야 마이데이터(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전송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2025년 마이데이터 중계인프라 실증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 제도 시행에 따라 올해 3월 통신·의료 분야 마이데이터를 시작으로, 내년 6월에 전기·도시가스 등 에너지 분야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2조의4에 따른 것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정보주체가 원하는 대로 본인의 개인정보가 기관 간 이동 및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기관 간 안전한 정보 이동을 위해서는 마이데이터 중계기관(모델)이 필요하다. 이번 공모사업은 에너지 분야 특수성을 반영한 중계 모델을 개발(전 분야 마이데이터 전송 절차 및 기술 가이드라인을 준용하는 모델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마이데이터 참여기관 시스템 간 연계 시험(마이데이터 전송체계 참여기관(정보전송자·수신자), 전송지원 플랫폼 운영사업(전송지원 플랫폼)과 연계하되, 필요시 사업자가 연계 시험을 위한 별도 테스트 환경 구축)을 통해 전송 과정을 실증하는 것이다. 에너지 마이데이터 전송의 기술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최종 1게 사업자를 선정한다. 선정 사업자는 정부지원금 13억 원을 지원받는다.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오는 29일까지 사업 공모를 실시한다. 13일에는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과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HJ 비즈니스 센터 광화문점 세미나룸 C에서 연다. 지원사업과 관련한 제출자료, 신청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승철 개인정보위 마이데이터 추진단장은 “마이데이터 생태계의 중요 요소인 에너지 분야 특성에 맞는 중계인프라 확보를 통해 전 분야 마이데이터 제도의 조기 안착을 기대한다"면서 “특히 에너지 분야는 국가 중요시설들과 연계되는 만큼, 높은 보안수준에 맞는 안전한 전송체계가 구현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2025.05.12 12:00방은주

日 기업 3곳 중 1곳 "AI 에이전트 쓸 것"…1년 내 도입 의지도 강해

일본 내 중견 이상 기업 중 3곳 중 1곳이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도입했거나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전반의 자동화를 위한 실질 도구로 AI 에이전트를 채택하려는 수요가 구체화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12일 올거나이즈 자체 설문에 따르면 일본 내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을 계획 중인 응답자 중 58.3%가 현재 근무 중인 회사가 "1년 내 도입할 것"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3개월 이내'가 4.9%, '6개월 이내'가 16.8%, '1년 이내'가 36.6%로 나타났다. '도입 시점 미정'과 '모르겠다'는 각각 8%, 8.5%였다. 전체 응답자 기준으로도 AI 에이전트를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78.1%에 달했다. '기술 구조는 모르지만 생성형 AI와 차이 정도는 안다'는 답변이 26.6%로 가장 많았고 '단어만 들어봤다', '기본 개념은 안다', '자세히 안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모른다는 응답은 21.9%였다. AI 에이전트의 도입 현황을 묻는 질문에서는 '이미 도입'이 12.8%, '도입 검토 중'이 11.7%, '도입 결정 후 준비 중'이 10.4%, '파일럿 테스트 단계'가 9.9%였다. 이들을 포함한 도입 또는 도입 준비 기업 비율은 전체의 51.6%로 과반을 넘겼다. 도입 목적에 대해서는 '업무 시간 단축 및 잔업 감소'가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인력 부족 해소'가 33.2%, '데이터 활용 촉진' 32.2%, '업무 편중 해소' 27.7% 순으로 나타났다. 업무 자동화를 통해 실질적인 인력 효율화 기대가 읽힌다. AI 에이전트 활용에 있어 중요 요소로는 '사내 시스템 연동성'이 39.5%로 가장 많이 꼽혔다. '운영 편의성', '보안성', '구축 용이성' 등은 그 뒤를 이었다. 시스템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도 기존 IT 자산과의 결합이 가능한지가 관건으로 부각됐다. 이미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기업 128명을 대상으로 용도를 묻자 절반 가까이가 '데이터 수집, 분석, 탐색'이라고 응답했다. 생성형 AI가 단순 생성 기능에 집중됐다면 에이전트는 반복 업무 자동화와 조직 내 의사결정 지원 등 실질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해당 설문 조사는 올거나이즈의 일본 고객사 소속 임직원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대상은 전원 임직원 수 100명 이상 기업 소속으로, 생성형 AI를 활용 중인 회사에 한정됐다. 올거나이즈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AI 에이전트 도입 확산을 뒷받침할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통합 솔루션 '알리(Alli)'에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콘(MCP) 기반 AI 에이전트 빌더' 기능을 추가했다. 이 솔루션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온프레미스 환경 모두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부각된다.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는 "AI 에이전트가 일본 시장에서 실행 가능한 전략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며 "국내 기업도 AI 에이전트 도입 자체보다 어떤 업무를 자동화할지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조직 단위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2025.05.12 11:53조이환

  Prev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이진숙 임기 종료' 방통위 폐지법, 국회 본회의 통과

정부 전산망 먹통에 '네이버·카카오'가 대국민 공지

"미래의 흑백요리사 누구?"…익산 달군 'NS푸드페스타' 가보니

배터리 공급망 없이 에너지 안보도 없다…"탈중국이 관건"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