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무료 노래 모음 2024년'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987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2024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대통령표창

넥슨게임즈는 박용현 대표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2024 대한민국 콘텐츠대상'에서 해외진출유공 부문 대통령표창을 수상한다고 11일 밝혔다. 박용현 대표는 '블루 아카이브', '히트2', '퍼스트 디센던트' 등 다양한 게임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며 국내 게임의 경쟁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상을 수상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콘텐츠대상은 국내 콘텐츠 산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 혹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그 중 해외진출유공포상은 콘텐츠 수출, 한류 확산 및 기반 마련, 국제 문화교류 등 콘텐츠 해외 진출에 기여한 공로자에게 수여한다. 박용현 대표는 넥슨게임즈를 창립하고 처음 선보인 '히트'를 필두로 '오버히트', 'V4' 등 다양한 게임을 세계 시장에 선보여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21년 일본 시장에 최초 출시된 '블루 아카이브'는 매력적인 캐릭터와 스토리를 기반으로 서브컬처 종주국인 일본을 비롯해 한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 주요 권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탄탄한 팬덤을 형성했다. '히트2'는 2023년 5월 중화권 시장, 2024년 4월 일본 시장에 정식 출시되었다. 대만 출시 당일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이후 열흘 간 최고 매출 순위 10위권을 유지했다. 일본에서도 출시 하루만에 앱스토어 매출 9위에 올랐다. '퍼스트 디센던트'는 지난 7월 전 세계 동시 출시 이후 PC, 콘솔 플랫폼 합산 최고 동시 접속자 수 55만 명을 돌파하고 전 세계 26개 국에서 스팀 매출 5위권 내에 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퍼스트 디센던트' 전체 이용자 중 미국, 유럽의 비중이 70%에 달한다. 넥슨게임즈 박용현 대표는 “이번 수상은 이용자에게 즐거운 게임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애써 준 임직원과 넥슨게임즈의 게임을 사랑해 주신 전 세계 이용자 덕분”이라며 “사명감을 갖고 세계 시장에서 한국 게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넥슨게임즈는 '던전앤파이터'를 기반으로 한 오픈월드 액션 RPG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오픈월드 MMORPG '야생의 땅: 듀랑고' IP를 활용한 신작 게임 '프로젝트 DX', '블루 아카이브'를 개발한 김용하 PD가 총괄을 맡은 서브컬처 신규 IP '프로젝트 RX' 등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한 다양한 장르의 신작 게임을 개발 중이다.

2024.12.11 11:59이도원

아이엠아이, 5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인정 기업 선정

아이템 거래 사이트 아이템매니아를 운영하는 아이엠아이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4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인정 기업으로 5년 연속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비영리단체와 관계를 맺고 지속적으로 지역 사회공헌 활동을 펼친 기업과 기관을 발굴해 그 공로를 인정해 주는 제도다. 아이엠아이는 2002년 창립 이후 지금까지 지역사회와의 상생 및 환원을 목표로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해 왔다. 특히 올해는 ▲아동양육시설 벽화 그리기 봉사 ▲보육기관 내 필요 물품 지원 ▲아동 뮤지컬 관람 및 나들이 동행 봉사 등 지역 내 소외계층 중에서도 아동·청소년 지원에 더욱 집중했다. 시설 환경 개선과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며 아이들의 꿈과 정서의 확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한 결과 아이엠아이는 올해 지역사회공헌인정제에서 사회적책임경영 분야 비영리단체와 협력, 프로그램 운영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10일 진행된 '2024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의 날 기념식'에서 상패를 수여받았다. 아이엠아이 임상원 사회공헌담당은 “이번 인정제 선정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얻은 소중한 결과라 생각한다”라며, “필요한 곳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2024.12.11 11:44이도원

코웨이, 브랜드스탁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 16년 연속 선정

종합 가전기업 코웨이는 브랜드가치 평가회사 브랜드스탁이 발표한 '2024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 16년 연속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는 특허 받은 브랜드 가치 평가 모델 BSTI를 기반으로 국내 230여 개 주요 산업 부문의 1천여 개 브랜드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상위 100개 브랜드를 선정하는 제도다. 코웨이는 이번 조사에서 BSTI 총 856.7점(1천점 만점)을 얻어 지난해보다 1계단 상승한 35위를 기록했다. 혁신 기술과 디자인을 갖춘 '아이콘 시리즈', 슬립 및 힐링 케어 브랜드 '비렉스' 등을 앞세워 환경가전 분야에서 브랜드 경쟁력을 인정 받았다. 코웨이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객에게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베스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서 기업 브랜드 가치를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2.11 11:05신영빈

LG전자, 美 타임스스퀘어에 멸종 위기 동물 '붉은 늑대' 3D로 알려

LG전자는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서 'LG와 함께하는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The LG Endangered Species Series)'의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LG전자가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를 배경으로 진행해온 멸종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을 내년에도 이어간다고 밝혔다. LG전자는 글로벌 고객들이 직접 뽑은 동물들을 주제로 캠페인을 진행하며, 고객과 함께 ESG 경영비전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천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영상은 무분별한 벌목으로 황폐화된 숲과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붉은 늑대'의 모습으로 산림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을 알린다. 붉은 늑대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지정한 적색 목록 '위급' 단계의 멸종 위기 동물로, 야생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지역에 20여 마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 늑대보다 덩치가 작고 털에는 붉은 빛이 돌아 신비로움을 더한다. 이 캠페인은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기후 변화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아름답고 역동적인 모습을 3D로 구현해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탄소 배출과 지구 온난화에 대해 경각심을 심어주는 활동이다. 지금까지 눈표범(4월)·흰머리수리(7월)·바다사자(9월) 주제의 영상들을 선보여 약 5천만 명의 타임스스퀘어 방문객들에게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렸으며, 미국 국립야생동물연맹(National Wildlife Federation) 및 글로벌 교육 전문업체 디스커버리 에듀케이션(Discovery Education)과 협력해 멸종 위기 동물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작, 온라인으로 무료 배포하고 있다. LG전자는 내년 캠페인의 테마는 글로벌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해 선정키로 했다. 12월 중 캠페인 공식 홈페이지, LG전자 북미 인스타그램(@LGUSA) 등에서 내년 캠페인 테마 선정을 위한 고객 설문을 진행하며, 결과에 따라 총 4종의 멸종 위기 동물이 결정된다. 고객들이 직접 뽑은 동물 테마로 탄소 배출 및 환경 파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대중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려는 취지다. LG전자 북미지역대표 정규황 부사장은 “지속가능한 지구 생태계를 위해 더 많은 사람들과 공감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환경 보호와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효과적인 캠페인을 펼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뉴욕과 런던에 있는 LG전자 전광판에서 국제기구 및 NGO의 공익 영상을 상영해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 'LG 희망스크린'을 2011년부터 펼치고 있다. 지금까지 환경 보호, 재해 구호, 유엔총회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제고해왔다.

2024.12.11 11:00이나리

유상임 장관 "대한민국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 도약 추진"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글로벌 허브 도약을 위해 국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법 제도 정비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1일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개최된 '2024 K-Science & Technology 글로벌 포럼'에서 "앞으로 민간과 정부, 과학기술과 외교 역량을 총 결집하여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 도약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과학기술 혁신의 물결이 전 세계를 휩쓰는 가운데,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민관 공동 과학기술 국제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모 투자를 1조8천억으로 확대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대한민국은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미국,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권역별 활동과 AI 정상회의 등 국제행사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협력을 논의했고 최고 연구자들과 국제 공동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은 경제, 외교, 안보에서 인공지능, 바이오, 양자 등 첨단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정부, 외교관, 연구자 등 참여주체 간 소통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이기에 준비됐다. 이번 포럼은 기조연설과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각 세션은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정책, 사례, 사업성과 공유와 호라이즌 유럽 참여지원을 주제로 진행됐다. 포럼에는 73개 국가 및 4개 국제기구의 주한외교관 108명을 비롯해 정부 인사, 국제공동연구 참여연구자 등 총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기조연설에서는 양자컴퓨터 신진연구자인 채은미 고려대 교수가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통한 청년 과학자의 성장을 주제로 연설했으며, 이어 세계적 인공지능 석학인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행사에 직접 참석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 협력에 대해 발표했다. 세션에서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중장기 추진방향인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 ▲대한민국과 소속 국가의 과학기술·ICT 국제협력 사례 공유 ▲2024년에 새롭게 시작된 주요 국제공동연구사업 성과 공유 등을 진행했다. 또 호라이즌 유럽 참여설명회에서는 우리 연구자들이 호라이즌 유럽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을 설명하고 연구자들과 소통했다. 동시에 진행된 과학기술·ICT 해외거점 성과공유회에서는 과기정통부 소관 해외거점의 센터장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하며 해외거점의 현황 및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해외거점 재정비 방안에 대한 토론도 진행됐다.

2024.12.11 09:55최지연

내년에는 어떤 AI 기술이 주목받을까

AI를 둘러싼 화두는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단순 기술 혁신을 넘어 미래 산업과 생활 전반, 국가 안보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AI의 수익성, 환경 문제,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까지 다양한 도전 과제가 직면한 가운데 SK텔레콤 뉴스룸은 올해 급부상한 기술 트렌드 중 내년에도 계속 될 주요 이슈7가지를 꼽았다. 소버린 AI, 국가 경쟁력의 새로운 축으로 내년에는 '소버린 AI(Sovereign AI)' 개념이 더욱 주목받을 예정이다. '소버린 AI'는 단순히 자국의 기술로 모델이나 데이터를 구축하는 보호주의적 접근이 아닌, 선도 기업의 AI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해외 AI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나라는 프랑스다. 프랑스는 2017년부터 AI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해왔으며, 최근에는 자국 기업 미스트랄 AI 보호를 위해 EU AI 법안 수정을 이끌어내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도 9월 'AI G3 강국 실현'을 위한 국가 AI전략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높은 디지털 역량과 HBM 등 다양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명확한 정책적 지원과 시너지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AI 단백질 예측...노벨상 수상의 쾌거 AI 기술이 발달하면서 바이오 분야에서도 새로운 지평이 열렸다. AI가 단백질 구조 예측에 도입되면서 복잡한 3차원 구조의 단백질을 몇 시간에서 며칠 내에 예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올해는 구글 딥마인드의 CEO와 연구원 존 점퍼가 이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의 절반을 수상했다. 2020년 공개된 알파폴드2는 90%의 놀라운 예측률을 보여줬으며, 올해 5월에는 더욱 정밀한 알파폴드3가 네이처를 통해 공개됐다. 단백질 구조 예측은 신약 개발뿐 아니라 플라스틱 분해 효소와 생분해성 단백질 소재 개발 등 환경 문제 해결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LLM의 한계와 RAG의 부상 내년에는 'LLM 성능 향상 한계에 대한 논의'가 더욱 깊게 이뤄질 것으로 예측된다. LLM은 입력값과 관련성 높은 단어를 조합하는 알고리즘으로,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보면 직관적인 '시스템 1'에 가깝다. 반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논리를 보완하는 RAG 기술은 논리적인 '시스템 2'를 추가하려는 시도다. 이런 맥락에서 LLM의 환각 현상은 기술적 오류가 아닌 본질적 특징으로 이해된다. 지난 10월 애플 연구진은 LLM의 수학적 논리성 문제를 지적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LLM이 간단한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심각한 문제가 있으며, 단순히 이름이나 숫자만 바꿔도 정답률이 10% 이상 떨어질 정도로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또한 지난달에는 오픈AI의 차세대 모델 '오리온(Orion)'이 기대했던 성능 개선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는 모델 거대화 전략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는 단순한 규모 확장이 아닌 AI 모델의 논리성 강화를 위한 기술적 돌파구를 찾는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AI의 개발과 활용에는 막대한 계산량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상반기에만 1천억 달러의 금융리스 비용을 지출했으며, 블랙록과 함께 3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운영 중이다. 'AI 데이터센터'로 인한 '에너지 문제' 발생 내년에는 늘어나는 'AI 데이터센터'로 인한 '에너지 문제'도 발생것으로 관측된다. AI의 개발과 활용에는 막대한 계산량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상반기에만 1천억 달러의 금융리스 비용을 지출했으며, 블랙록과 함께 3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운영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RE100 기조에 변화가 감지된다. AI 데이터센터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10~20MW)을 크게 웃도는 100MW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빅테크 기업들은 SMR 원자력 발전소 투자로 방향을 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계약을, 아마존은 도미니언 에너지에 5억 달러 투자를 결정했다. 최근 구글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AI 데이터센터로 인해 2019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이 48% 증가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제품에 AI가 통합되면 배출량을 줄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많은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AI 전략을 지속 가능성보다 우선시하고 있으며, 향후 환경 비용에 대한 심각한 개입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AI 수익성 고민과 멀티 에이전트의 부상 올해 IT 업계의 최대 화두는 'AI 수익성'이다. 그동안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진 AI가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내년에도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출시된 AI 서비스들이 효율성을 높이는 성과를 보였지만 투자비용을 회수할 만큼 대중적인 서비스를 출시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세콰이어캐피탈의 보고서에 따르면 AI 업계는 투자 비용 회수를 위해 연간 약 6천억 달러의 수익이 필요하지만 현재 매출은 최대 1천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챗GPT의 연 매출 목표도 34억 달러에 불과한 실정이다. AI는 사용한 토큰 수에 따라 계산량과 비용이 발생하는 특성상, 기존 디지털 플랫폼처럼 무료 사용자를 모았다가 유료화하는 방식이 통하지 않는다. 기업 솔루션을 통한 효율성 극대화가 가장 유망한 수익 모델로 예상되지만, 아직 시장 도입 초기 단계다. 가장 많은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기업 솔루션을 통한 효율성 극대화이지만, 아직 시장 도입 초기 단계이기에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토젠'이라는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공개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AI 간의 협업을 통해 '1인+멀티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1인 팀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다만 인간의 개입 지점 설정, 오류 확산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청소년 SNS 규제 강화 흐름 거세져 올해 세계적인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저서 '불안 세대'를 통해 스마트폰과 SNS가 아이들의 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우려는 2022년 메타 전 직원 프랜시스 하우겐의 '페이스북 페이퍼' 폭로로 더욱 구체화됐다. 메타가 SNS의 청소년 정신건강 악영향을 알고도 수익만을 추구했다는 것이다. 2023년에는 미국 41개 주가 메타를 고소하며 청소년 보호 문제가 법적 쟁점으로 확대됐다. 이에 여러 국가에서는 미성년자 SNS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호주는 16세 미만 SNS 사용 금지 법안을, 미국 플로리다주는 14세 미만 사용 금지를 결정했다. SNS 본고장 캘리포니아주도 2027년부터 미성년자 보호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규제 움직임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MR와 AI의 만남...제2의 도약 될까 애플이 올해 2월 비전 프로를 출시하면서 침체됐던 메타버스 시장에 새 바람이 불었다. 이에 삼성은 구글, 퀄컴과 MR 헤드셋 개발을, 메타는 LG전자와 고급 MR 기기 준비에 착수했다. 개인의 눈 간격과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되는 애플 비전 프로는 기존 MR 기기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시장의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초기 품절 사태 이후 판매량이 급감했고, 5월부터는 공급사의 부품 생산까지 중단되는 상황을 맞았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MR과 AI의 결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잇다. 메타의 얀 르쿤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AI가 인간의 물리적 세상을 이해하게 되는 시점이 진정한 특이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시각과 촉각 정보를 연동해 물리적 정보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MR 기기의 잠재력이 여기서 빛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과거 딥러닝이 위기에서 CIFAR의 지원과 석학들의 연구로 살아남아 AI 혁명의 씨앗이 된 것처럼, MR 기술도 단기적 성과가 아닌 미래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2024.12.11 08:20최지연

영상 생성AI '소라' 나오자...中 바이트댄스·텐센트 반격

미국 오픈AI의 영상 생성 인공지능(AI) 서비스 '소라'가 출시되면서 중국 기업들의 영상 생성 서비스도 속도를 내고 있다. 10일 중국 바이트댄스는 자사 초거대 AI 챗봇 더우바오의 PC 버전을 내놓으면서 영상 생성 모델 '픽셀댄스(PixelDance)'의 내부 테스트를 시작하고 일부 사용자에게 공개했다. 사용자들은 하루에 무료로 10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픽셀댄스는 지난 9월 처음 발표됐으며, 더우바오 영상 생성 초거대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아직 테스트 단계이긴 하지만 고급 카메라 모션 및 각종 영상 효과를 지원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약 10초 영상을 생성하면서 3~5개의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 최적의 영상을 만들 수 있다고 소개됐다. 이달 초 중국 텐센트도 '훈위안 영상 생성 모델(HunYuan-Vieo)' 기반 영상 생성 기능을 내놨다. 130억 매개 변수를 가진 이 모델은 중국어와 영어 입력을 통한 영상 생성을 지원하며, 개인 사용자 혹은 기업 고객이 신청을 통해 사용해볼 수 있다. 텐센트는 이 매개 변수가 업계 최대 수준이며, 5초 짜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뿐 아니라 지난 3일엔 중국 국유 통신사 차이나텔레콤의 AI 연구소인 '텔레AI(TeleAI)'도 자사 싱천 초거대 모델 기반의 영상 생성 모델을 공개했다. 이 모델은 중국 국유 기업이 개발한 첫 영상 생성 모델로도 관심을 모았다. 바이트댄스와 텐센트, 차이나텔레콤뿐 아니라 앞서 중국 콰이서우, 센스타임, 미니맥스 등 기업도 AI 영상 생성 플랫폼을 공개한 바 있다. 중국 동영상 플랫폼 콰이서우가 내놓은 영상 생성 초거대 모델 '클링(KLING)'은 최대 2분짜리(30fps 주사율) 1080P 영상을 만들 수 있다.

2024.12.11 08:17유효정

브루스 ATS™ 출범 예정: 야간 거래의 새로운 시대

나스닥의 첨단의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장 참여자들에게 업계를 선도하는 거래 경험을 제공할 것 시카고,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피크6 인베스트먼트(PEAK6 Investments)는 야간 거래의 변혁을 목표로 브루스 마켓 LLC(Bruce Markets LLC)가 운영하는 대체 거래 시스템(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인 브루스 ATS(Bruce ATS)의 출시 계획을 발표하였다. 규제 승인을 조건으로 이번에 출시 예정인 플랫폼은, 기존의 관습적인 거래 시간이 지난 후에도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에 신뢰할만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플랫폼은 나스닥(Nasdaq)이 가진 업계 선도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효율적이고 견고하며 공정한 거래를 제공할 것이다. 브루스 ATS™는 밤새 거래 솔루션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한 업계 전문가와의 협력과 초기 사용자의 통찰로부터 시작되었다. 창설 팀은 거래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전문성을 가진 고위 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상된 거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을 보장한다. 피크6 파트너이자 에이펙스 핀테크 솔루션(Apex Fintech Solutions)의 CEO인 빌 카푸찌(Bill Capuzzi)는 "브루스 ATS의 출범은 거래 환경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수십 년의 업계 경험과 신뢰성에 대한 확고한 명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오늘날 투자자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일의 시장 경험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우리는 새로운 기회를 열어 투자자들이 지속적이고 원활한 참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시장의 움직임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다짐이다"라고 덧붙였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향후 거래 가능 시간을 확장할 계획으로 현재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8시부터 오전 4시까지 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다. 브루스 ATS™의 주요 특징: 견고하고 신뢰할만한 거래 플랫폼 주문 관리와 시장 데이터에 대한 업계 검증된 API를 통한 간소화된 접근 주문 취소를 줄이고 거래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 행동 관리에 대한 전문성 나스닥의 마켓플레이스 기술 담당 수석 부사장인 매그너스 하글린(Magnus Haglind)은 "전 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더 긴 거래 시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에 우리는 브루스 ATS와 협력하여 이 중요한 시장을 구축하고 성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어 설렌다"라며 "우리의 거래 기술은 오랫동안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연중무휴의 거래를 지원해왔으며 이제 더 광범위한 자산 클래스에 걸쳐 이 서비스를 확장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전했다. 브루스 ATS™는 단순히 거래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시장에 서비스 제공: 뭄바이, 베이징, 서울 같은 도시를 위해 미국 시장에 대한 아침 시간 접근 제공 다양한 투자자에게 어필: 비전형적인 거래 시간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며 특히 신규 투자자의 관심을 높임 에이펙스 핀테크 솔루션의 최고 상업 책임자인 Connor Coughlin은 "에이펙스 핀테크 솔루션 플랫폼과의 원활한 통합은 사용자에게 강력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거래 경험을 제공한다"라며 "브루스의 출시를 앞두고, 에이펙스 고객들이 첫날부터 이 혁신적인 거래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음을 발표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는 고객들에게 거래 유연성과 접근성을 향상하는 최첨단의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분명히 보여준다"라고 전했다. 규제 승인을 받으면, 브루스 ATS™는 방대한 거래량을 관리할 수 있는 명성 있는 기관들의 안정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브로커리지, 청산, 기업 행동, 컴플라이언스 분야에서 풍부한 업계 전문성을 활용하여 시간 외 거래의 새로운 기준을 설정할 예정이다. 브루스 마켓 LLC(Bruce)는 FINRA 및 SIPC에 등록된 회원이자 브로커-딜러이다. 규제 승인을 조건으로, 브루스는 동부 표준시 기준 오후 8시부터 오전 4시까지 NMS 주식에 대한 유동성과 실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체 거래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다. 브루스 ATS에 대한 FINRA 브로커체크 보고서는 웹사이트 https://brokercheck.finra.org/firm/summary/30020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피크6 소개 피크6는 기술을 활용하여 더 나은 방법을 찾는다. 회사의 첫 번째 테크 기반 솔루션은 1997년 옵션 거래 최적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지난 20년 동안 동일한 공식이 다양한 산업, 자산, 사업 단계에 걸쳐 사용되어 꾸준히 우수한 결과를 만들었다. 현재 피크6는 기업가와 미래 지향적인 비즈니스에 자본과 전략적 지원을 제공하는 변혁적인 기회를 추구한다. 피크6의 핵심 브랜드는 피크6 캐피탈 매니지먼트(PEAK6 Capital Management), 피크6 스트래티직 캐피탈(PEAK6 Strategic Capital), 에이펙스 핀테크 솔루션, 위 인슈어(We Insure), FOCUS, 조고(Zogo), 이블 지니어스(Evil Geniuses), 포커 파워(Poker Power)가 있다. 피크6 인베스트먼트와 그 계열사가 에이펙스 핀테크 솔루션을 소유하고 있다.

2024.12.11 08:10글로벌뉴스

씨스팬 코퍼레이션, 원웹 지구 저괘도 솔루션을 동사 선단에 장착하는 계약을 KVH와 체결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세계 최고의 독립 컨테이너선 임대 업체 씨스팬 코퍼레이션(Seaspan Corporation(씨스팬))은 자사 선단에 KVH 인더스트리즈(KVH Industries)의 원웹(OneWeb) 첨단 지구 저궤도(LEO) 위성 서비스를 장착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해상에서 해안과 같은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씨스팬의 다음 단계를 의미하며, 동사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지원하고 동사 선단의 기존 LEO 서비스를 강화한다. LEO 기술의 얼리어답터인 씨스팬은 컨테이너선의 주요 소유자/운영자 중 최초로 KVH와 협력하여 원웹 솔루션을 개발했다. 씨스팬의 원웹 출시는 동 선단의 데이터 연결 인프라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씨스팬으로 하여금 종전에는 해양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했던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술과 같은 솔루션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과 고대역폭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씨스팬의 정보 기술 담당 부사장 개럿 웡(Garret Wong)은 "원웹 서비스를 위한 KVH와의 파트너십은 우리 선단에 동종 최고의 커뮤니케이션 경험을 제공한다는 전략과 부합한다"면서 "우리는 이번 이니셔티브를 통해 효율성, 안전성, 선원 복지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바다에서도 해안과 같은 인터넷 연결을 실현하는 데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씨스팬의 IT 운영 담당 시니어 매니저 애드리언 앨브(Adrian Alb)는 "LEO 위성 기술은 전통적인 해양 위성 솔루션을 훨씬 뛰어넘는 고대역폭, 저지연 및 안정성을 제공하는 선박 통신의 새로운 벤치마크를 설정했다"면서 "이번 KVH와의 협력은 제공 업체 다양성을 강화하고 지리적 블랙아웃 구역을 최소화함으로써 위성 통신 인프라의 견고성을 더욱 강화한다는 우리의 목표와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KVH의 전 세계 영업 담당 수석 부사장 채드 임피(Chad Impey)는 "우리의 통합 KVH 원(ONE) 다중 궤도 다중 채널 네트워크 솔루션의 일환인 원웹 서비스 및 하드웨어의 계획된 전개를 통해 씨스팬을 지원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씨스팬은 KVH 인더스트리의 원웹 LEO 기술을 적용하여 최첨단 기술을 채택한다는 동사의 의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동사의 선단이 현대적인 해양 운영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씨스팬 코퍼레이션 씨스팬은 세계 최고의 해양 자산 소유자이자 운영자로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해운사들에 대한 장기 고정 금리 임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씨스팬이 운영하는 선단은 218척의 선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PCTC를 포함한 미인도 신조 선박을 고려한 총 선단 용량은 모든 선박의 인도 기준 약 230만 TEU이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seaspancorp.com 을 방문하기 바란다. KVH 인더스트리즈 KVH 인더스트리즈는 KVH 원®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해양 및 모바일 인터넷 연결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1982년에 설립된 동사는 로드아일랜드주 미들타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로드아일랜드주 미들타운과 전 세계 12개 이상의 사무소에서 연구,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KVH는 트랙넷(TracNet™), 트랙폰(TracPhone®), 트랙비전(TracVision) 제품 라인, 비 KVH 안테나를 위한 KVH 원 오픈넷 프로그램(ONE OpenNet Program), 서비스형 애자일플랜스 커넥티비티(AgilePlans® Connectivity as a Service(CaaS))와 KVH 링크(KVH Link) 선원 웰빙 컨텐츠 서비스 등 상업용 선박, 레저 선박, 정부와 선박 및 차량 상의 지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터넷 연결 솔루션을 제공한다. KVH 인더스트리즈는 미국과 전 세계 다른 국가들에서 동사의 상표 등록을 위해 KVH, KVH 원, 트랙비전, 트랙폰, 트랙넷과 애자일플랜스 등을 사용, 등록 또는 출원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기타 상표들은 그들 각각 회사들의 자산이다. 미디어 연락처: Cailey Murphy, 기업 홍보 책임자, 씨스팬 코퍼레이션, communications@seaspancorp.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77118/Seaspan_Corporation_Seaspan_Corporation_Signs_Agreement_with_KVH.jpg?p=medium600

2024.12.11 08:10글로벌뉴스

에셋 아부다비에서 주목받는 진화하는 글로벌 자산 관리 산업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2024년 12월 10일 /PRNewswire/ – ADGM이 주최하는 주요 행사인 아부다비 금융 주간(Abu Dhabi Finance Week, ADFW)이 2024 에셋 아부다비(Asset Abu Dhabi) 행사와 함께 이튿날을 맞았다. ADCB, 무바달라(Mubadala), PGIM 글로벌 자산 관리(Global Asset Management) 주제 파트너들과 함께 조직된 이 포럼은 차세대 기술 투자, 사모 펀드 및 신용 투자 기회, 미래의 도시 투자와 같은 주제를 논의했다. 에셋 아부다비는 총합 42.5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 배분자, 자산 관리자, 투자 은행가, 벤처 캐피탈리스트, 사모펀드, 패밀리 오피스 및 기타 기관 투자자들을 한데 모아 세계에서 가장 큰 헤지펀드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고 식견을 나눴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의 창립자 겸 CIO인 레이 달리오(Ray Dalio)는 변화하는 세계 질서의 원칙(Principles of a Changing World Order)에 대한 통찰력 있는 세션을 진행하며 이날의 논의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의 생각을 자극하는 기조 연설은 가장 격동했던 경제적, 정치적 시기를 다루며 왜 미래가 최근 역사와는 다를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해 설명했다. 2023년 자산 관리 산업의 AUM 규모가 거의 120조에 달하고 다수의 조 단위 자산 관리자가 전체 산업 자산의 약 61%를 보유한 가운데, 조 단위 자산 관리자의 시장 전망(The Market View of Trillion Dollar Asset Managers) 세션에서는 UBS 자산 관리(Asset Management)의 사장 알렉산더 이바노비치(Aleksander Ivanovic), PGIM의 사장 겸 CEO 데이비드 헌트(David Hunt), Nuveen의 CEO 빌 허프만(Bill Huffman) 등 자산 관리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최고 수준의 시각에서 시장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다. 재무 투자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인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Vista Equity Partners)의 창립자이자 회장 겸 CEO인 로버트 스미스(Robert Smith)와 브레반 하워드(Brevan Howard)의 CEO 아론 랜디(Aron Landy) 또한 주목할 만한 논의와 기조 연설을 전달했다. 다루어진 주제로는 팰컨 경제에 대한 최신 정보, 세계적 기회를 포착하고 성장시키는 방법, 부동산의 큰 그림, 아부다비의 주요 국부펀드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가 있었다. ADGM의 회장 겸 아부다비 경제 개발 부서(ADDED) 의장인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Ahmed Jasim Al Zaabi)는 이 행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자산 관리 분야의 가장 큰 이름들을 한자리에 모은 에셋 아부다비는 이 역동적인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고 통찰을 공유할 수 있는 비할 데 없는 플랫폼"이라며 "이 플랫폼을 통해 우리는 차세대 기술과 투자 기회의 새로운 영역을 분명히 보여주고 진화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향후 10년간의 투자를 변화시킬 지역적, 세계적 경제 전망에 대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에셋 아부다비는 ADGM의 팰컨 경제 성장 촉진에 대한 변함없는 노력을 강조한다"라고 덧붙였다. ADFW에서 지금까지 14건의 양해각서가 체결되었다. 오늘 ADGM이 체결한 주요 양해각서에는 이스탄불 금융센터(Istanbul Financial Centre), 베이징 금융거리 서비스국(Beijing Financial Street Services Bureau), 폴리곤(Polygon) 등 유명한 이름들이 포함되었다. 써클(Circle)과 룰루 파이낸셜 홀딩스(Lulu Financial Holdings) 간의 협약 체결도 이번 행사의 주요 하이라이트였다. 아부다비 투자청(ADIO)은 PGIM, EXIM 은행, 마스터카드와 같은 주요 기관들과 MoU를 체결했다. 에셋 아부다비와 동시에 ADFW는 아랍에미리트와 중국 간의 40년간의 관계를 기념하며 HSBC와 협력하여 아랍에미리트-중국 투자 포럼의 첫 번째 특별판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서는 상호 무역과 번영을 위한 기회를 탐구하며 힐하우스 인베스트먼트(Hillhouse Investment)의 파트너 Carl Ge, Nasser Saidi & Associates의 회장 Dr. Nasser Saidi, 트리아타(Triata)의 CIO 션 호(Sean Ho), Raffles Family Office의 창립자 겸 CEO인 Chi-Man Kwan, WInd Information의 그룹 부사장 겸 최고 전략 책임자 Casey Ge와 같은 특별한 인물들이 참석했다. ADFW는 둘째 날 RESOLVE, UBS 투자 포럼, 국제 패밀리 오피스 회의, 턴어라운드 구조조정 및 부실(Turnaround Restructuring & Insolvency, T.R.I.) 서밋, 스피어스 서밋(Spears Summit) - 프라이빗 웰스 포럼(Private Wealth Forum), 재능의 미래 포럼(Future of Talent Forum) 등 여러 특별한 행사들을 주최했다. ADFW의 이벤트 시리즈는 향후 이틀 간 계속되며, 핀테크 아부다비(Fintech Abu Dhabi), 아부다비 지속 가능한 금융 포럼(Abu Dhabi Sustainable Finance Forum)과 같은 주요 행사를 통해 업계 최고 인사들을 국제 무대에 모을 예정이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50581/5010772/ADGM_Logo.jpg?p=medium600

2024.12.11 07:10글로벌뉴스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 PNC 은행에서 5천만 달러의 한도 차입 확보

새로운 운전 자본 한도 차입은 동사의 기존 USM 유통 사업 확대와 제품 및 서비스 다각화에 사용 다니아비치, 플로리다,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모든 보잉 및 에어버스 상용 항공기와 부속 제트 엔진 플랫폼을 위한 재사용 가능한 중고 자재(USM)의 세계적인 유통 업체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Next Level Aviation® (NLA))은 PNC 은행에 5천만 달러 규모의 신규 회전 한도 차입을 확보했는데 이 한도는 NLA의 성장에 따라 시간을 두고 확대될 수 있다. 이렇게 크게 증가한 운전 자본 한도 차입을 통해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은 사용 가능한 자재의 재고를 확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사업을 보완적인 기타의 사업 라인으로 다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 회장 겸 CEO 잭 고든(Jack Gordon)은 "미국 최대의 다각화된 금융 서비스 기관 중 하나인 PNC 은행과 협력하여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의 다음 성장 단계를 위한 재무적 기반을 마련하는 첫걸음인 이 새로운 운전 자본 한도 차입 절차를 완료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 새로운 회전 한도 차입 절차를 효율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전문성과 성실성을 발휘해 준 PNC 기업 신용팀에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넥스트 레벨의 최고재무책임자 레이 페르난데스-안데스(Ray Fernandez-Andes)는 "PNC 은행과의 새로운 비즈니스 관계를 맺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이 훌륭한 금융 기관의 지원을 받아 앞으로 수년간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PNC 기업 신용 책임자인 피터 마다가(Peter Mardaga)는 "PNC와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의 새로운 관계는 동사의 비즈니스 목표와 성장 니즈를 지원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항공 우주 부품 공급 업체가 그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금융 제품과 전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은 ASA-100 공인 및 FAA 어드바이저리 서큘러 00-56B 준수 공급 업체이며 모든 보잉 및 에어버스 항공기 플랫폼과 부속 제트 엔진에 대한 상용 항공기/제트 엔진의 재사용 가능한 중고 자재(USM)를 비축하고 있다.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은 특히 현재 전세계 상용 항공기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보잉 737 및 에어버스 A320 계열 항공기와 부속 제트 엔진 USM을 비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3년 3월 잭 고든, 마이크 드레이어(Mike Dreyer)와 매트 드레이어(Matt Dreyer)가 설립한 넥스트 레벨 에이비에이션®은 상용 항공기/제트 엔진의 재사용 가능한 중고 자재의 전세계 최고 공급 업체로 성장해왔다. www.nextlevelaviation.net 상세 정보가 필요하거나 추가 이미지를 요청하려면 morgane@aerospacemarketing.com로 연락하기 바란다. PNC 은행 PNC 은행(National Association)은 PNC 금융 서비스 그룹(The PNC Financial Services Group, Inc., (NYSE: PNC))의 일원이다. PNC는 미국 최대의 다각화된 금융 서비스 기관 중 하나로, 기업 뱅킹, 부동산 금융과 자산 기반 대출 등 기업과 정부 기관들을 위한 전문 서비스, 재산 관리 및 자산 운용 서비스의 다양한 대출 상품을 포함한 소매 및 비즈니스 뱅킹의 강력한 관계와 현지 공급을 위해 고객들과 지역 사회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PNC에 대한 상세 정보는http://www.pnc.com에서 입수할 수 있다. 미디어 연락처: Morgan Eddy, 전화: +1-561-699-3870, 이메일: morgane@aerospacemarketing.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367849/5068218/Next_Level_Aviation_Logo.jpg?p=medium600

2024.12.11 02:10글로벌뉴스

중기부 내년 예산 15.2조···"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내년 중기부 예산이 15.2조원으로 확정됐다. 올해(14.9조)보다 2991억 늘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총지출 규모가 2024년 본예산(14조 9497억원) 대비 2991억원 증액한 15조 2488억원으로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 확정됐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중기부 예산 추이를 보면 13.5조(2023년), 14.9조(2024년), 15.2조(2025년)원으로 늘었다. 중기부는 2025년 예산을 통해 766만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위기 극복과 새출발을 응원하고, 804만 중소기업과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약과 혁신 성장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2025년 중기부 예산의 5대 중점 투자 방향은 다음과 같다. 혁신을 주도하는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AI, 팹리스 분야 스타트업 특화 지원을 신설했고, 고도화한 개방형 혁신을 통해 대기업과 딥테크 스타트업 간 연결성을 강화하는 등 딥테크 분야 글로벌 유니콘기업을 육성한다. 또 민간 자본을 혁신 생태계로 유입하는 모태펀드 출자 예산을 확대했고, 그간 저변 확대 위주의 중소기업 R&D 지원을 국가 전략기술, 글로벌 협력 중심으로 늘려 혁신 스타트업들의 성장 동력을 확충한다. 세계로 도약하는 수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미래 수출 분야로 떠오른 테크 서비스 수출을 새로 지원하고, 수출 중소기업 전용 스케일업 금융을 확대하는 등 수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 딥테크 스타트업들이 입주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인재들이 모여드는 글로벌 창업허브 건립을 내년부터 시작하며,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영역을 확장하는 등 스타트업코리아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 성장과 디지털 제조혁신 지역 중소기업들의 자율형 바우처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특화 R&D 지원을 신설해 지역 혁신기업들을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역으로 만든다. 디지털 제조 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을 확대했고, 내년에 지역 제조AI센터 3곳을 추가해 AI 기반으로 제조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뒷받침한다. 지속 가능한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구축과 동반성장 확산 중견기업을 꿈꾸는 유망 중소기업들의 스케일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점프업 프로그램을 신규 편성해 중소기업의 미래 도약을 돕는다. 민·관 공동 상생협력 지원을 신규 편성해 대·중견기업들의 중소기업 동반성장 확산을 유도하고, 공급망 연계 정책자금(동반성장네트워크론)도 확대해 지속 가능한 동행을 만들어 나간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위기 극복과 전통시장·골목 상권의 활력 회복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배달·택배비를 한시 지원하고, 신용이 취약한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확대 및 시중은행 상환기간 연장(전환보증) 등 금융 지원을 보강한다. 폐업부터 재취업·재창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을 확대해 위기 소상공인들의 확실한 새출발을 지원하는 한편, 민간 플랫폼사 연계 사업들을 신설해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을 높인다. 또 온누리상품권 발행을 확대하고, 민간·지자체·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지역상권활력사업을 신설해 소비 온기가 도는 전통시장, 골목 상권을 만든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위기 극복과 중소·벤처·스타트업의 미래 도약을 위한 2025년도 사업 추진 전반을 꼼꼼히 살피면서, 우리 경제가 민생 활력과 역동성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신속한 재정 집행에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12.10 23:27방은주

오늘의집, 22일까지 연말 빅세일 진행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은 올 한 해 오늘의집과 함께한 고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2024 연말빅세일'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오는 22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한 해 동안 고객에게 가장 사랑받았던 브랜드와 상품을 선별해 특가에 판매한다. 오늘의집은 고객의 편리한 쇼핑을 위해 이번 '2024 연말빅세일'을 다양한 테마관으로 구성했다. 먼저 '24시간 하루 특가' 테마관에서는 오늘의집의 시그니처 특가 코너인 '오늘의딜'에서 올해 가장 반응이 좋았던 상품들만 엄선해 파격 특가에 판매한다. 대표 상품으로는 드리미의 'X40 Ultra 올인원 로봇청소기', 레이디가구의 '클래식 원목 수납 화장대 외 BEST 모음, 렉슨(LEXON)의 '미나 MINI LED 버섯램프 무드등' 등이 있다. '연말결산 라스트 특가' 테마관에서는 올해 가장 인기있었던 브랜드 및 상품을 모았다. ▲최다 판매수량 ▲최다 조회자 수 기록 ▲일 최고 거래액 달성 ▲총 리뷰 수 ▲스크랩수 1위 등 키워드별 인기 브랜드&상품을 찾아보고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올해 새롭게 런칭한 오늘의집 셀렉트샵 '바이너리샵'의 인기 상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데스커&시디즈, 데코뷰, 무타공마켓, 매일유업 등 카테고리별 대표 브랜드가 함께하는 '브랜드 세일'도 함께 진행된다. 2주 동안 총 50여 개의 브랜드가 참여해 대표 상품을 할인가에 선보이며 최대 30% 혜택의 브랜드 쿠폰팩도 지급한다. 그밖에 '시즌 키워드' 테마관에서는 크리스마스/연말, 윈터에센셜, 2025 새해맞이까지 연말이라면 한 번쯤 찾게 되는 키워드별 인기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2024년 마지막 세일을 기념하는 할인과 고객 이벤트도 마련했다. 고객은 매일 자정마다 6% 할인 쿠폰을 선착순으로 발급받아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2024 BEST' 뱃지가 부착된 모든 상품에 적용 가능하며, 3만원 이상 최대 5천원 할인 이 제공된다. 연말빅세일 기간 동안 상품을 구매한 후 응모하면 최대 90% 할인 쿠폰을 랜덤으로 증정하는 '럭키 영수증'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밖에 첫 구매 고객 최대 2만원 할인을 비롯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으로 결제할 경우 제휴사에 따라 즉시 할인 및 적립을 제공한다. 오늘의집 관계자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오늘의집에 보내주신 뜨거운 성원에 감사한 마음을 담아 더 큰 혜택을 드리기 위해 이번 연말빅세일을 준비했다”며 “다양한 브랜드 및 상품을 특가에 구매할 수 있는 올해 마지막 행사와 함께 즐거운 연말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4.12.10 18:33안희정

카카오게임즈, '다가치 게임톡' 행사 개최

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는 10일 국내 최초로 실시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사업'의 2024년 사업 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다가치 게임톡' 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지난 6일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게임즈 사무실에서 열린 행사에는 카카오게임즈를 포함해 국립재활원,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아름다운재단 등 4개 유관기관 관계자들과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지원자 31명 중 우수사례자로 선정된 지원자 4인과 가족들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우수사례 지원자들이 게임 보조기기 지원을 통해 느낌 소감과 의미에 대해 발표했으며, 박윤섭 지원자가 마우스 스틱, 안구 마우스 등 지원받은 게임 보조기기를 활용해 카카오게임즈 대표 게임인 '오딘: 발할라 라이징'을 직접 시연했다. 또한, 이들에게 우수사례 공유에 대한 감사장이 수여됐으며 향후 사업 발전을 위한 의견 청취 시간도 마련됐다. 행사에 참석한 이하린 지원자(9세)의 가족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원받은 '아이트래커(eye tracker)'로 뇌손상을 입은 하린이가 가족의 도움없이 혼자 게임을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며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집안일을 하거나 잠시라도 쉴 수 있는 삶의 여유가 주어졌다”며, “단순히 장애인의 게임 향유권 증진을 넘어 장애인 가정에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힘을 주신 것 같아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2년간 사업을 진행하며 60여명의 뇌병변∙지체 장애인들이 게임 보조기기를 통해 더욱 질 높은 환경에서 게임을 즐기고 삶의 활력을 되찾게 돼 기쁘다”며, “장애인의 게임 문화 향유권 증진과 게임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는 데 실질적 기여를 했다는 데 큰 의미를 느낀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게임즈는 '모두 다 같이 평등하게 누리는 즐거움, 다가치 게임'이라는 CSR 비전을 실현하고자 '찾아가는 프렌즈게임 랜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사업' 등 다채로운 CSR 사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사업'은 카카오게임즈가 국립재활원,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아름다운재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총 1억 원을 후원, 국내 최초로 2년 연속 진행하는 CSR 사업이다. 올해는 지원자 모집, 보조공학전문가의 상담 평가, 게임 보조기기 활용성 평가 등을 거쳐 총 31명의 장애인 지원자를 선정, 특수키보드 및 마우스, 게임 컨트롤러 등 총 225대의 맞춤형 게임 보조기기와 사용법 훈련 등을 제공했다.

2024.12.10 17:55강한결

요기요, 감사 이벤트 상품으로 '에르메스' 가방 준비

배달앱 요기요가 한 해 동안의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고객 감사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요기요는 이벤트 기간 중 요기요 앱을 통해 주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에르메스의 가방 및 시계를 증정한다. 이번 이벤트는 6일간 총 두 차례로 나눠 진행되며, 고객은 에르메스 가든파티 가방(1차)과 다이아몬드 시계(2차) 중 원하는 경품에 응모하면 된다. 요기요는 추첨을 통해 각 차수에 1명씩 선정해 경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벤트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요기요 앱에서 '에르메스 이벤트 응모하기' 버튼 눌러 음식을 주문하면 자동 참여된다. 특히, 이번 프로모션은 최소 주문 금액과 상관없이 커피 한 잔만 주문하더라도 참여 가능해 요기요 고객이라면 누구나 비용 부담 없이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자세한 이벤트 사항은 요기요 앱 내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차수별 경품 당첨자는 카카오 알림톡 메시지를 통해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요기요 강우진 CMO는 “2024년 한 해도 요기요를 사랑해 주신 고객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특별한 프로모션을 준비했다”라며, “요기요에서 준비한 다양한 연말 프로모션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음식을 즐기고, 풍성한 경품 혜택까지 함께 누리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2024.12.10 17:50안희정

넷마블문화재단·코웨이, 서울특별시장 표창 수상

넷마블문화재단(이사장 방준혁)과 코웨이(대표 서장원)는 지난 9일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진행된 '2024 서울특별시 장애인체육인의 밤'에서 서울특별시장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표창은 2024년 한 해 동안 열정과 헌신으로 장애인 체육 발전에 기여한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유공자를 선정하여 진행됐다. 넷마블문화재단은 지난 2019년 3월 넷마블조정선수단을 창단하고 열악한 여건으로 훈련에 집중하기 힘들었던 선수들에게 안정적인 고용 환경과 체계적인 훈련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체육 진흥과 장기적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공적으로는 ▲게임업계 최초 장애인조정선수단 창단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훈련 환경 조성 ▲국가대표 선발을 통한 국위선양 ▲다양한 캠페인 및 홍보를 통해 사내외 장애인식개선 기여 등이 있다. 이날 행사에서 넷마블 계열사인 코웨이도 나란히 서울특별시장 표창을 받았다. 코웨이는 블루휠스 휠체어농구단 운영을 통한 종목 발전과 휠체어농구를 매개로 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 공로를 인정 받아 이번 표창을 수상했다. 코웨이가 지난 2022년 창단한 블루휠스 휠체어농구단은 휠체어농구 실업팀 중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일한 팀으로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비롯해 올해 출전한 전 대회를 석권하며 휠체어농구 명문 구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건강한 게임문화의 가치 확대 및 미래 창의 인재 양성, 나눔 문화 확산 등을 위해 지난 2018년 출범한 넷마블문화재단은 '문화 만들기', '인재 키우기', '마음 나누기' 등 3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전문화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24.12.10 17:48강한결

엔미디어플랫폼, GETO 가맹점 대상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무료플레이 이벤트 실시

엔미디어플랫폼(대표 송재화)은 관리프로그램 'GETO(게토)' 이용 매장 대상으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무료플레이 이벤트를 오는 13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무료플레이 이벤트는 엔미디어플랫폼에서 새롭게 도입한 서비스로, 이용자들에게 인기 게임 플레이 기회를 무료로 제공하는 PC방 혜택 강화를 통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한다. 첫 번째 게임으로 넥슨의 인기 게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협업을 진행하고, 이후 다른 게임과도 제휴를 통해 폭넓은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국 GETO 이용 매장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플레이 이벤트를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한 가맹점은 이벤트 기간 중 최대 3시간까지 무료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를 플레이하는 이용자는 별도 시간 차감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은 엔미디어플랫폼에서 분 단위로 정산하여 점주에게 지급한다. 또한, 무료플레이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점 중 선착순 2천개 매장에 진라면 한 박스를 선물한다. 엔미디어플랫폼 관계자는 “무료플레이 서비스는 이용자 분들에게는 부담 없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가맹점주 분들에게는 신규 고객 유입 기회 등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했다”라며 “앞으로도 이용자, 점주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2024.12.10 17:41강한결

웹젠, 2024년 하반기 임직원 자녀 코딩 교육 교실

웹젠은 10일 임직원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코딩 교육 프로그램 'Let's PLAY 코딩!'의 하반기 수업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웹젠은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에 임직원 자녀 38명을 초청해 무료 코딩 교육을 제공했다. 'Let's PLAY 코딩!'은 초등학생 이하의 임직원 자녀에게 2018년부터 매년 1~2회 시행하는 코딩 교육 프로그램이다. 웹젠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사회공헌사업 '청소년 코딩공작소'의 교육 프로그램을 임직원 대상으로 확대해 사내 복지 프로그램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번 코딩 교육에서는 임직원 자녀들을 연령별 세 그룹으로 편성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우선, 미취학 아동 대상으로는 '로봇마우스'를 이용해 코딩 명령어에 따라 그림과 도형을 그리는 언플러그드 코딩 수업을 진행했다. 바둑판 형태의 지도에서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순차 코딩을 실습해 일상생활 속에서 순차 논리를 찾아보는 교육이다. 초등 저학년 교실에서는 선과 색깔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틀봇' 교구를 이용해 로봇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이해하고, 컬러카드를 활용해 코드를 직접 만드는 과정도 함께 체험했다. 초등 고학년 교실에서는 코딩 교육 플랫폼 '메이크코드 아케이드(MakeCode Arcade)'를 활용해 코딩 알고리즘 및 좌표방향의 개념을 배우고 '점프게임'을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각 프로그램은 웹젠의 사회공헌 사업 '청소년 코딩공작소'의 강사진과 성남시청소년재단의 교육전문가들이 직접 맞춤형 커리큘럼을 기획해 체계적인 지도와 전문성을 강화했다. 웹젠은 이후에도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기업 복지 모토를 기준으로 임직원 육아복지 차원의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2024.12.10 17:35강한결

'2024 벤처기업인의 밤' 열려···티오더 권성택 대표 장관상

벤처기업협회(회장 성상엽)는 10일 오후 5시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24년 벤처기업인의 밤'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24년 한 해 동안 업계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한 벤처기업인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에게 '올해의 벤처상'을 시상하고, 벤처기업인들 간 서로를 격려하고 화합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 슬로건은 '벤처, 초심을 잇다'로, 30여 년 전 벤처기업협회 창립 당시의 초석을 다졌던 벤처인의 열정과 의지를 되새기며,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초심을 통해 다시 도약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올해의 벤처상 시상은 기업인에게는 △티오더 권성택 대표 △미라클솔루션 장순민 대표 △인터랙트 권남혁 대표가, 근로자에게는 △에이블사이언스파마 박철웅 이사 △카일이삼제스퍼 유병용 이사 △제이알에너지솔루션 엄원섭 연구소장 등이 중소벤처기업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올해의 임원'은 제이디솔루션 제영호 대표가, 또 '지역활성화' 벤처기업협회 전국협의회 권원현 회장 등이 6개 부문에서 총 21여점의 벤처기업협회장상을 받았다. 창업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공공기관 대상으로 처음 신설한 '창업지원 우수기관' 표창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도로공사,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한국발명진흥회,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선정됐다. '2024 벤처 이야기: 내가 사업을 하는 이유'라는 주제로 진행한 토크콘서트는, 각기 다른 상황과 배경 속에서 창업을 시작했던 쿨스쿨 오진연 대표, 제이디솔루션 제영호 대표, 이제이엠컴퍼니 윤의진 대표, 서울리프 류종혁 대표가 이야기를 나누며 어려운 시기를 함께 극복하고 있는 벤처기업인들에게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벤처 30주년 기념 슬로건 공모 시상식이 진행됐다. 대상 수상작은 신은빈씨의 'K벤처 30주년. 성장을 잇다, 미래를 빚다.'로 지난 30년 성과의 기념을 넘어 성장을 이어가고, 변화와 혁신으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담았다. 성상엽 벤처기업협회장은 환영인사에서 “올 한해 대내외 쉽지 않은 여건에도 우리 벤처인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열정과 개척정신으로 힘겨운 한걸음 한걸음으로 전진해왔다”면서 “앞으로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을 극복해 냈을 때의 초심과 기업가정신을 되새기며, 모든 벤처기업들이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버텨내고, 다시 전진하여 세계시장으로 약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성 회장은 “2025년도는 벤처기업협회 설립 30주년이 되는 해로 협회도 30년 전의 초심으로 돌아가, 지난 대한민국 벤처생태계를 진단하고, 글로벌 시장을 제패할 수 있는 미래 대한민국 벤처를 설계하기 위해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10 17:16방은주

NHN, '녹색경영 우수기업 환경부 장관상' 수상

NHN(대표 정우진)은 10일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개최한 '2024년 녹색경영 및 녹색금융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환경정보공개 부문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업의 책임과 역할이 강화됨에 따라 녹색경영 및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우수기업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환경정보공개, 녹색채권 발행, ESG 경영 부문에 공헌한 기업과 개인이 포상 대상이며, 수상 기업은 서류심사와 현장심사, 종합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NHN이 장관상을 수상한 환경정보공개 부문은 환경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등록된 정보공개 내용이 우수하며 환경경영과 환경책임투자 확산에 모범이 되는 기업에 주어지는 상이다. NHN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활동 ▲사옥 및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향상 ▲다양한 기후행동 캠페인 ▲공급망 관리 분야에서 그간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NHN은 2050 넷제로(Net-ZERO) 시나리오에 동참하고자 과거 4개년도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며 계획을 수립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확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제3자 검증을 통한 배출량 관리, 지속적인 설비 효율화 이행 등 탄소중립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옥 및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판교 데이터센터(NCC)는 간접증발식 냉각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는 에너지효율화 설계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와 함께 탄소배출권 상쇄, 한게임 ESG 아바타, NHN PLAY 숲 조성 등 다양한 기후행동 캠페인을 진행해 임직원과 고객들에게 환경의식을 높였으며, 종이 사용량을 절감하는 IT 서비스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한 방침 수립과 현황 점검, 친환경 구매 방침, 파트너사 ESG 경영지원, 중대성 평가 실시 등으로 책임감 있는 공급망 관리에 앞장서고 있다. NHN ESG경영추진실 조정숙 이사는 “NHN은 환경정보 공개 시스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환경 이니셔티브 참여 등을 통해 투명한 정보공개에 자발적으로 앞장서고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IT기업이 지닌 사회적 책임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10 17:01안희정

  Prev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AI·초혁신경제로 잠재성장률 3% 회복"…李정부 경제 첫 청사진

[데이터 주권] AI 경쟁력, 국가 협력 통한 데이터 개방이 핵심

힘든 상반기 보낸 HR 상장사들...하반기 반전 전략은?

퀄컴칩 비싸다?...삼성 옥죄는 모바일 AP 비용 부담의 진짜 이유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