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무료 노래 모음 2024년'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987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IT 기업 C레벨·채용담당자 만나 인재 확보 팁 공유

다이렉트 소싱 채용 솔루션 '볼트엑스' 운영사 커피챗(대표 박상우)이 올해의 마지막 네트워킹 행사로 12월 '월간 커피챗'을 성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11일 개최된 이번 행사는 국내 유수 IT 기업의 C레벨 및 리드급 리크루터와 현직자가 모여 기업의 핵심 정보를 교류하고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는 채용 네트워킹 자리가 됐다. 월간 커피챗은 회사의 비전, 기술, 포지션 등 A to Z를 알 수 있는 소통의 장이자,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다. 특히 독립된 공간에서 1대 1로 진행되는 '슈퍼커피챗'이 별도로 마련된 점이 특징이다. 슈퍼커피챗은 제출된 이력서를 참여 기업이 사전에 검토한 후 선정된 참석자와 인사담당자가 자유롭게 소통하는 방식이다. 커리어 확장을 원하거나 월간 커피챗 참여 기업에 관심이 많았던 현직자들을 위해 특별히 마련됐다. 12월 월간 커피챗 참가자들은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자리", "1대 1 대화는 실제 채용 관점에서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 컬처핏 또한 확인할 수 있었던 시간" 등의 참여 소감을 밝혔다. 12월 월간 커피챗에는 3개 기업이 참가해 자리를 빛냈다. ▲매일 15만 명이 이용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플랫폼 지쿠 운영사 '지바이크' ▲출시 6개월 만에 100만 이용자를 돌파한 AI챗봇 제타를 운영 중인 AI 스타트업 '스캐터랩' ▲가맹점 수 6만개 확보하며 모바일 포스 분야의 독보적인 플랫폼으로 떠오른 포스 솔루션 스타트업 '페이히어'가 현직자들과 교류했다. 이에 개발, 데이터 마케팅, 디자인, 사업개발 등 IT업계 종사자는 물론, 스타트업 문화에 높은 관심을 가진 현직자들에게 최적의 기회가 됐다. 이번 행사에는 카카오, 야놀자 플랫폼, 쿠팡 등 약 100여 명의 현직자가 참여해 ▲김종윤 스캐터랩 대표 ▲김영상 지바이크 최고기술책임자 ▲안성현 페이히어 테크헤드 등 주요 경영진 및 리드급 리크루터와 함께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월간 커피챗에서는 단순히 기업을 소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심도 있는 대화가 가능한 슈퍼커피챗이 진행돼 기업 담당자는 컬처핏에 맞는 인재를 찾고, 현직자 또는 구직자는 성공적인 이직을 경험할 수 있다. 한 참가자는 "기존에 온라인으로만 명쾌하게 해소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현업 리더들을 만나 진솔한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뜻깊었고, 이력서 한 장만으로 설명하기 힘든 부분을 직접 대면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던 시간"이라고 전했다. 볼트엑스는 보상 데이터 기반의 다이렉트 소싱 솔루션으로, 채용 과정의 페인포인트를 효율적으로 해소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채용 담당자는 볼트엑스를 통해 조직문화와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은 물론, 사전에 공개된 후보자의 현재 연봉과 성과급 등을 감안해 이직 제안이 가능하다. 이에 채용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헤드헌팅, 월간 커피챗 등을 통해 기업 고객의 채용 과정을 다각도로 지원하며, 월간 세미나를 열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대해 인사이트, 무료 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네트워킹의 장을 선사하고 있다. 커피챗의 박상우 대표는 "월간 커피챗은 쉽게 만날 수 없는 회사의 현업 리더들과 새로운 커리어 기회에 열려있는 구직자들 간의 소통 창구의 역할을 한다"며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월간 커피챗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직접 대면의 힘을 느껴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12.12 13:56백봉삼

이매지니어,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

-- Disney Music Parade -Encore-,닌텐도 스위치™ 아시아 지역 발매 도쿄, 2024년 12월 12일 /PRNewswire=연합뉴스/ -- 일본 제작사 이매지니어(Imagineer Co., Ltd.)는 월트디즈니 재팬(Walt Disney Japan Co., Ltd.)과 함께 아시아 지역(일본 제외)에 닌텐도 스위치™(Nintendo Switch™)용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Disney Music Parade -Encore-)'를 12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 Disney) 이매지니어는 일본에서 큰 화제를 모은 인기 모바일 게임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를 닌텐도 스위치™버전으로 다시 선보인다. 이 게임은 60곡의 인기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제곡을 선보이는 몰입형 리듬 액션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노래 별 각기 다른 스테이지를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아트 스타일로 디자인된 '뮤직 라이드'를 즐길 수 있다.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 실물 패키지를 사전 주문한 플레이어는 한정판 실물 스티커가 한정 수량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 주요 특징 소개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는 풍부한 라인업의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제곡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플레이어는 작은 증기 기관차의 움직임에 따라 나타나는 음표를 터치하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주제곡과 상징적인 장면을 함께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유명 캐릭터를 상징적인 스토리와 음악적 테마에 맞춰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아트 스타일로 각기 다르게 묘사한 150개의 '뮤직 라이드(Music Rides)'를 발견하는 재미도 있다. 뿐만 아니라 게임을 진행하면서 최대 30개의 인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명장면이 담긴 '메모리 크리스털(Memory Crystals)'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즈니 뮤직 퍼레이드 앙코르'는 싱글 플레이 모드는 물론 하나의 콘솔로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친구 또는 가족과 함께 추억을 쌓기에 제격이다. 플레이어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조이콘(Joy-Con) 컨트롤러를 리듬에 맞춰 흔들어 진행하는 '모션 플레이(Motion Play)'모드를 제공해 리듬 게임 고수와 초보자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추가 정보공식 예고편: https://youtu.be/AYKO1iZbO3g?si=FT38eMir4e-cyGWV 공식 웹사이트: https://mp-enc.com/kr/ 제공 언어: 중국어 번체, 중국어 간체, 한국어, 영어© DisneyPublished by Imagineer*여기에 나열된 모든 회사 및 제품/서비스 이름은 해당 회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다. 이매지니어(Imagineer Co., Ltd.) 소개 1986년에 일본에서 설립된 이매지니어는 콘텐츠 제작 및 디지털 서비스 전문업체다.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고객에게 만족과 기쁨을 주는 고품질 경험을 제공한다. MEDIAKIThttps://link.directcloud.jp/GdCzAaCiRH

2024.12.12 13:10글로벌뉴스

로젤 테크시스, 제10회 록히드 마틴 공급업체 컨퍼런스에서 뛰어난 공급업체로 인정

인도 방갈로르, 2024년 12월 12일 /PRNewswire/ -- 항공우주 및 방위 서비스 분야의 선도적 공급업체인 로셀 테크시스 리미티드(Rossell Techsys Limited, ROSSTECH)가 방갈로르에서 열린 제10회 록히드 마틴 공급업체 컨퍼런스(Lockheed Martin Suppliers Conference)에서 '우수 공급업체 인정(Outstanding Supplier Recognition)'을 수상했다. 이 영예는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의 글로벌 공약을 지원하는 고품질 제품과 서비스를 전달한 하위 파트너로서 뛰어난 실적을 인정받아 수여되었다. From left to right: Prabhat Bhagvandas, CEO – Rossell Techsys Inc., Rishab Gupta, Managing Director – Rossell Techsys Limited, Abby Lilly,VP - Global Supply Chain – Lockheed Martin Rossell Techsys-LM Award 이번 인정은 록히드 마틴의 엄격한 글로벌 기준을 일관되게 충족시키는 공급업체 중 로셀 테크시스가 우수한 고객 서비스와 정시 솔루션 제공을 통해 차별화된 성과를 이룬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로셀 테크시스의 전무이사 리샤브 굽타(Rishab Gupta)는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 관계는 상호 존중과 신뢰, 록히드 마틴의 엄격한 기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준수를 기반으로 구축된 강력한 관계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인정을 통해 우리는 '자주적인 인도(Aatamanirbhar India)'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의도적, 상호 보상적 관계에 대해 계속해서 투자하도록 고무된다"라며 "앞으로 함께 미래의 이니셔티브를 탐색하며 우리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로셀 테크시스 Inc.의 이사 겸 로셀 테크시스 리미티드의 고문인 프라바트 쿠마르 바그반다스(Prabhat Kumar Bhagvandas)는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이 인정을 받게 되어 매우 큰 영광이다"라며 "이는 우리 팀의 전문성과 헌신이 뒷받침한 록히드 마틴과 로셀 간의 뛰어난 협업의 증거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우리는 최고 수준의 우수성을 유지하고 록히드 마틴과의 소중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록히드 마틴의 리더십은 이 파트너십을 높이 평가하며 "로셀 테크시스는 인도에서 온 핵심 파트너로서 시코르스키 MH-60R 시호크 (Sikorsky MH-60R SEAHAWK® ) 헬리콥터 프로그램에서 록히드 마틴의 글로벌 기준을 완벽히 준수하고, 특유의 고객 중심 경험과 고품질 제품의 일관적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라며 "그들의 신뢰성과 견고함이 프로그램 성공의 핵심이었으며, 앞으로 우리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로셀 테크시스는 고객 만족도, 신뢰성, 일관된 품질에 대한 노력으로 인도 해군을 포함한 글로벌 해양 방위 작전의 필수적 요소인 MH-60R 헬리콥터와 같은 중요한 프로젝트에서 신뢰받는 역할을 맡을 수 있었다. 이 회사는 또한 F-16, C-130J, Arrowhead, Sonobuoy와 같은 플랫폼에서도 록히드 마틴을 지원하며 임무 수행에 중요한 방위 프로그램에서 핵심 파트너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로셀 테크시스 소개: 로셀 테크시스(ROSSTECH)는 인도증권거래소(NSE)와 봄베이증권거래소(BSE)에 상장된 선도적 항공우주 및 방위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사진: https://mma.prnasia.com/media2/2578653/Rossell_Techsys_LM_Award.jpg?p=medium600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76419/Rossell_Techsys_Logo.jpg?p=medium600

2024.12.12 13:10글로벌뉴스

사우디아라비아의 UNCCD COP16 의장, 건조지 확대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경고

새로운 물 연구 센터와 함께 지속가능성 혁신 주간 시작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24년 12월 12일 /PRNewswire/ -- 과학 기술 혁신의 날(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Day)에 리야드에서 열린 COP16 회의 대표들이 모여 토지 황폐화, 사막화,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회복 잠재력을 활성화할 방법을 찾고자 논의했다. 여러 논의와 행사들로 가득했던 일정에는 토지 황폐화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 관측 범위의 확대 사용부터 토지 복원 및 가뭄 회복력 가속화를 위한 스타트업의 역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었다. 리야드 행동 의제 일정의 일환으로 스타트업, 혁신가, 과학자, 기업가들이 모여 지속 가능한 기술의 전세계적 채택을 가속화를 논의한 지속 가능성 혁신 주간(Sustainability Innovation Week) 역시 그린 존(Green Zone)에서 시작되었다. 이 행사는 이미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교(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AUST)와 사우디아라비아 환경•수자원•농업부(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and Agriculture, MEWA) 간의 파트너십 이니셔티브인 국제 물 연구 센터(International Water Research Center)의 출범을 이끌었고 이 센터는 지속 가능한 물 관리 방안을 재정립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COP16 회의의 개막식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환경•수자원•농업부 장관이자 COP16 의장인 압둘라만 압둘모흐센 알파들리(Abdulrahman Abdulmohsen AlFadley)가 주재한 시상식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가축 및 어업 개발 프로그램(National Livestock and Fisheries Development Programme),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교, 에스티파마(Estifamah) 간의 연구와 혁신 파트너십이 발표되었다. 이들의 파트너십은 토양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의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추가로 발표된 4 개의 혁신 프로젝트는 MEWA, KAUST,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야자수 및 대추 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Palms and Dates)간의 2,500만 달러 이상 규모의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추와 야자수 산업의 혁신과 장기적인 농업적, 경제적 지속 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리야드에서 열린 COP16의 제8일에는 여러 고위급 대화가 진행되었다. '과학과 지구 정보를 통한 토지 회복'을 주제로 토지 복원을 위해 과학과 데이터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둔 고위급 상호 대화도 진행되었다. 개회 연설에서 통신정보기술부의 부장관이자 킹 압둘아지즈 과학기술도시(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의 회장 대행인 Munir M. Eldesouki 박사는 "우리는 중대한 환경적 도전에 직면한 중요한 기로에 서 있으나 변화의 기회를 그 어느 때보다 많이 갖추고 있다"라며 "과학과 기술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확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동반자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열린 UNCCD 대화 세션에서는 시민 사회 단체들이 과학과 데이터를 정책과 행동으로 어떻게 전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정책 입안자, 과학자, 영향을 받은 지역 사회를 포함한 주요 환경 이해 관계자 간의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월요일에는 UNCCD가 전 세계 건조지의 확대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초건조지, 건조지, 반건조지 등을 포함하고 있는 이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의 모든 토지 중 3분의 2 이상이 2020년까지의 30년 동안 그 이전의 30년과 비교하여 더 건조한 기후를 겪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건조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수가 30년 전의 12억 명에서 2020년에서 23억 명으로 두 배 가량 증가했다고 알렸다. 사우디아바리아 환경•수자원•농업부의 환경 부장관이자 UNCCD COP16 의장 자문위원인 Osama Faqeeha 박사는 "건조지의 확대는 우려되는 전세계적 추세"라며 "UNCCD의 이 보고서는 국제 사회가 토지 황폐화, 사막화, 가뭄에 대한 확고하고 지속 가능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경각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혁신은 거대한 동력원으로 물과 에너지 소비 절감에서부터 식량 안보 보존에 이르기까지 필수 자원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효율성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과학, 기술, 혁신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리야드 COP16 소개 UNCCD COP16 회의는 2024년 12월 2일부터 13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블러바드 리야드 월드(Boulevard Riyadh World)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우리의 토지, 우리의 미래(Our Land, Our Future)'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UNCCD의 30주년을 기념하고 가뭄 회복력, 토지 소유권, 모래와 먼지 폭풍 등 중요한 문제에 대한 다자간의 협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56588/5066276/UNCCD_COP16__Logo.jpg?p=medium600

2024.12.12 13:10글로벌뉴스

국내 벤처기업 금융현안 1순위는 운영 자금 부족

국내 벤처기업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금융 현안은 운영 자금 부족(29.6%), 높은 금융비용(20.6%), 초기 자금 조달(19.2%) 순으로 나타났다. 또 2024년 대비 2025년 자금사정 전망은 다소악화(37.1%), 동일(31.4%), 다소호전(19.8%), 매우악화(10.6%), 매우호전(1.1%) 순으로 조사됐다. 벤처기업협회(회장 성상엽)는 12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4년 벤처기업 투·융자 현황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벤처기업이 직면한 금융 현안 ▲벤처기업의 전년대비 자금 사정 ▲벤처 유동성 제고를 위한 방안 ▲벤처 투자 유치 경험 등을 조사했고, 총 455개사가 응답했다. 조사 결과, 벤처투자 유동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책자금 및 대출보증 확대'가 27.5%로 가장 높았고 '세제혜택 강화' 19.8%, '다양한 투자 상품 개발' 15.8% 순으로 응답했다. 또 2024년 벤처투자 유치 경험 유무 관련과 관련해서는 '경험 있음' 13.8%, '시도했으나 실패함' 14.3%, '경험 없음' 71.9% 순으로 답했다. 이재남 벤처기업협회 금융지원팀 본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벤처기업들이 여전히 자금 조달 어려움과 높은 금융비용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다양한 금융 지원 확대 및 금융 유동성 해소 방안 등이 필요성을 확인했다”면서 “이를 기반으로 벤처금융 유동성 확대를 위한 정책 활동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12.12 12:00방은주

딜, 104개국 4500명 전직원 원격 근무한다

글로벌 HR 서비스 딜이 세계 최대 규모의 100% 원격 근무 기업이 됐다. 12일 딜에 따르면, 전 세계 104개국·74개 언어를 사용하는 딜의 직원 4천500명 모두가 원격으로 근무한다. 이 내용을 포함해 딜은 한 해 동안 회사가 이룬 여러 성과를 담아 '2024년 리뷰'를 공개했다. 딜의 사업영역 중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인 곳은 급여 지급을 대행하는 페이롤 분야다. 한 해 동안 109개국에서 근로자들에게 약 112억 달러 상당의 급여를 100여 개 통화로 지급했다. 기존의 인사 관리(HR) 솔루션 역시 꾸준히 확장, 전 세계에 있는 고객사의 직원들에게 의료 혜택과 복지 제도를 제공하고, 33개국에서 취업 비자 발급 대행 및 이민도 지원했다. 딜은 올해 인스타카트, 타임, 오픈AI, 도어대시 등 다수의 굵직한 신규 고객사를 유치하고, AWS, SAP 등 업계 선두주자와의 파트너십도 구축했다. 또 총 1천152건의 기능 개선 및 업데이트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며, 트러스트 파일럿, 애플, 구글 앱스토어 등에서 평균 4.83점의 높은 리뷰 스코어를 기록했다. 2024년은 딜이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도 대폭 확장한 해이기도 하다. 올 해 초 인수한 자비는 인재 관리 및 훈련을 지원하는 '딜 인게이지'로, 3월 인수한 페이스페이스는 급여 지급 대행 서비스인 '딜 글로벌 페이롤'로, 7월 인수한 호피는 IT장비의 지급과 원격 관리를 총괄하는 '딜 IT'로 재탄생 됐다. 글로벌 기관이 발표하는 다양한 혁신 기업 리스트에도 이름을 올렸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의 톱 스타트업 목록에 작년에 이어 2회 연속 포함됐다. 또 포브스 100 클라우드 기업 중 8위, 딜로이트 패스트 500 중 5위, 씨앤비씨 디스크럽터 50에는 28위에 올랐다. 딜은 2024년 성과를 발판 삼아 앞으로도 글로벌 인재 채용, 관리, 급여, 복지, IT 지원 등 전 분야에 걸쳐 서비스를 고도화하며 혁신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2024.12.12 11:14백봉삼

로보락, 올인원 세탁건조기 '무료 반품 이벤트'

글로벌 생활가전기업 로보락은 신제품 올인원 세탁건조기 'H1'과 'M1' 출시를 기념해 30일 체험 후 무료 반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행사는 오는 31일까지 네이버, G마켓, 11번가 등 로보락 온라인 판매 채널과 롯데하이마트를 포함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로보락 세탁건조기를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제품 사용 후 품질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구매일 기준 30일 이내 무료로 반품할 수 있다. 로보락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올인원 세탁건조기를 부담 없이 체험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한편 로보락 올인원 세탁건조기 'H1'과 'M1'은 1~2인 가구를 겨냥해 출시한 중소형 제품이다. 하나의 기기에서 세탁부터 건조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2024.12.12 10:49신영빈

HD현대오일뱅크, 韓 정유사 최초 바이오선박유 해외 수출

HD현대오일뱅크가 국내 정유사 최초로 초저유황 바이오선박유를 해외 선사에 수출했다. HD현대오일뱅크가 최근 초저유황 바이오선박유를 대만 선사인 양밍에 공급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초저유황 바이오선박유를 국내 선사에 공급한데 이어 해외 선사 첫 수출에도 성공하면서 관련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 선박유에 바이오디젤을 혼합한 바이오선박유는 국제해사기구(IMO)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기반 선박유를 대체할 친환경 연료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선박유 경우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다른 대체 연료와 달리 별도의 선박 엔진 및 연료 공급 시스템의 개조가 필요 없고, 기존 선박유 공급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발간한 '글로벌 선사의 미래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확보 전략 조사'에 따르면 바이오 선박연료 시장 규모는 2024년 39억 달러에서 2034년 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7.3%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엔 공급된 바이오선박유는 황 함유 비율이 0.5% 이하의 초저유황중유를 기반으로 생산됐다. 황산화물 배출 가스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스크러버 등 선박에 별도 탈황설비 장착할 필요가 없어 황 함유 비율이 높은 고유황중유 기반 바이오선박유 보다 시장에서 선호된다. HD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경쟁사들과 달리 평택과 울산에 복수의 물류거점을 운영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물류 경쟁력을 기반으로 향후 일본, 싱가폴, 유럽 등의 선사에도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공급은 지난해 9월 시작한 바이오선박유 실증사업을 통해 가능해졌다. 이 사업은 국내 업체들의 글로벌 바이오선박유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선박유의 품질 기준과 성능 평가 기준 등을 마련하는 것으로, 산업부와 한국석유관리원이 주관하고 정유업계, 바이오에너지업계, 해운업계 등이 참여해 협력하고 있다.

2024.12.12 10:39류은주

비상교육, 한국어 교육 플랫폼 '마스터케이'로 네팔 시장 공략

비상교육은 네팔 유학 컨설팅 기업 '파트샬라 허브'와 한국어 교육 플랫폼 '마스터케이'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마스터케이는 네팔에 처음 진출하여, 플랫폼과 교재 판권 계약 포함 14개국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파트샬라 허브는 네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국가로 유학을 보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비상교육은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며, 한국 유학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취업 준비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외국인 근로자 수는 네팔이 47,710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또한, 법무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유학생 총 45,038명으로 7위이다. 네팔 내 한국어 교육 수요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교원 및 인프라 부족 문제로 공급은 부족한 실정이다. 비상교육은 파트샬라 허브가 현지 교사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제공하던 한국어 수업을 마스터케이를 통해 한국인 강사가 직접 수업을 진행하도록 지원한다. 마스터케이는 화상 교육, 학습 관리 시스템(LMS), 자유대화 AI 등을 갖춘 교육 플랫폼으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IT 인프라 환경에서도 양질의 한국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비상교육은 이번 계약을 통해 부족한 한국어 교원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방침이다. 마스터케이는 국내외 주요 에듀테크 어워드에서 혁신성을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올해에는 △'2024 AES 코리아 어워즈' 금상 △'2024년 지식서비스산업 융합 발전 유공자 포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제24회 대한민국디지털경영혁신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연달아 수상했고, 2025 BETT 어워드(Bett Awards) 결선에 진출했다. 비상교육 노중일 글로벌 컴퍼니 대표는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외국인 학생과 근로자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마스터케이는 이미 여러 국가에 학생과 근로자를 교육하기 위해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어디든 한국어가 필요한 기관과 협력해 외국인 학생과 근로자의 필수 아이템이 될 수 있도록 컨텐츠, AI 등 첨단 기술을 한층 강화해 대표적 한국어 교육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12.12 09:50안희정

LGU+ 키즈토피아, '2024 메타버스 얼라이언스'서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LG유플러스는 자사 키즈 플랫폼 '키즈토피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2024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및 자율규제 성과공유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2024년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성과공유회는 메타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모여 한 해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 기업 및 프로젝트에 대해 시상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는 지난 11일 서울시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진행됐다. 키즈토피아는 ▲이용자 보호 ▲사용자 간 협력 및 상호작용 ▲이용자를 위한 진정성 등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키즈토피아는 아이들이 3D 가상 체험 공간에서 AI 캐릭터들과 외국어·동물·공룡·우주 등을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어린이 친화적인 그래픽과 자체 개발한 AI 기술인 익시(ixi) 기반 다양한 언어로 캐릭터와 대화가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키즈토피아는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높은 인기를 끌면서 출시 1년 7개월 만인 올해 12월 기준 누적 가입자 90만명을 돌파했다. 이와 함께 키즈토피아는 지난 4일 아동 적합성에 관한 글로벌 인증 프로그램인 '2024 맘스 초이스 어워즈' 어플리케이션 부문 최고 등급인 '골드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맘스 초이스는 교육·미디어 전문가는 물론 학부모·어린이 등으로 구성된 평가자가 제품의 품질·교육적 가치·독창성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 평가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하는 글로벌 인증 기관이다. 김민구 LG유플러스 메타버스프로젝트담당은 "아이들에게 유익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했던 노력이 국내외 수상을 통해 인정 받게 돼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교육적 가치와 재미, 안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자는 방향성에 대해 확신과 자신감을 갖고 키즈토피아를 글로벌 대표 키즈 서비스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2.12 09:14최지연

헥토이노베이션, 자사주 소각 결정..."발행주식총수 1% 3년간 매년 소각”

IT 기반 정보 서비스 기업 헥토이노베이션(대표 이현철)이 연초 발표한 '3개년 주주환원계획'의 일환으로 자기주식 소각을 진행한다. 이번 자사주 소각은 지난 11일 이사회 의결을 통해 결정됐다. 소각이 예정된 물량은 기취득 자기주식 13만2천572주로 발행주식총수의 1% 규모다. 주식 소각에 따라 헥토이노베이션의 발행주식총수는 1천325만7천185주에서 1천312만4천613주로 감소할 예정이다. 소각 예정일은 이달 20일이다. 자사주 소각으로 주식 수가 줄면서 주주들의 주식 가치는 상승할 전망이다. 헥토이노베이션은 코스닥 상장 이래 매년 현금결산배당을 시행하는 등 주주환원 노력을 지속 실천해 온 기업이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자사주 소각과 현금배당을 포함한 3개년 주주환원계획을 발표하면서 주주환원을 강화해 나갈 것을 예고했다. 이에 헥토이노베이션은 2024년부터 3년간 매년 발행주식총수의 1%를 보유중인 자사주를 활용해 정기적으로 소각한다. 또 별도 기준 순이익을 재원으로 최소 배당성향을 22%로 책정하고, 매년 1% 이상 상향하는 것을 목표로 향후 25% 이상의 배당성향으로 확대하는 주주환원 계획도 갖고 있다. 이현철 헥토이노베이션 대표는 "헥토이노베이션은 올해 3분기까지 13분기 연속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과 신규 사업 진출로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헥토이노베이션은 IT 정보 서비스에서 시작해 앱테크 플랫폼 '발로소득' 등 B2C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이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또 자회사인 핀테크 기업 '헥토파이낸셜'과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 '헥토헬스케어'를 통해 IT 기술 기반의 금융, 데이터, 헬스케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24.12.12 08:57백봉삼

에스켐, OLED 핵심 소재 증착장비 구매 계약 체결

OLED 핵심소재 합성·정제 전문 기업 에스켐은 OLED 소자평가 기술확보를 위한 증착장비를 구매했다고 12일 밝혔다. 에스켐이 구매한 장비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각 유기층을 증착하는 장비로, 소자평가 장비 세트 중 가장 가격이 높다. 해당 장비는 승화정제된 유기소재의 진공 박막을 증착해 소자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스켐은 증착장비 외 소자평가 공정에 필요한 다른 장비들도 순차적으로 구매할 계획이며, 장비 입고는 내년 8월 중으로 본격적인 시험 가동은 하반기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에스켐 관계자는 “이번 소자평가용 증착장비 도입으로 OLED 소재 공급의 토탈 솔루션 체계 완성에 한 발짝 가까워졌다”며 “공모 자금 사용계획에 따라 순조롭게 소자평가 사업을 소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최고 수준의 OLED 소재 합성·정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에스켐은 뛰어난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난 11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160억원, 영업이익은 16억원을 기록했다.

2024.12.12 08:46장경윤

3460명 투표서 꼽힌 '올해의 기업' 1위는?

진학사 캐치 조사 결과 2024년 올해의 기업 1위는 'SK하이닉스'가 차지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6위에 그쳤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2024년을 대표하는 올해의 기업 순위를 12일 공개했다. 올해의 기업은 그해 캐치 '기업개요' 페이지 조회수가 가장 높았던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직자 및 직장인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올해는 총 3천46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입사/이직한다면 가고 싶은 2024 올해의 기업 1위는 'SK하이닉스'가 차지했다. 지난해 4위에서 3계단 상승한 순위였다. 작년에 1위였던 '네이버'는 올해 2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3위는 신흥 강자 'CJ올리브영'이 차지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삼성전자의 순위 변화다. 지난해 2위에 오르며 굳건한 모습을 보였던 삼성전자는 이번 조사에서 6위로 하락했다. 이와 함께 ▲LG전자(4위) ▲현대자동차(5위) ▲LG에너지솔루션(7위) ▲CJ제일제당(8위) ▲카카오(9위) ▲포스코(10위)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사회적 공헌과 ESG 경영 등 가장 칭찬하고 싶은 기업으로는 'LG전자'가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삼성전자'가 2위, 'LG에너지솔루션'이 3위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SK하이닉스(4위) ▲현대자동차(5위) ▲네이버(6위) ▲유한양행(7위) ▲CJ제일제당(8위) ▲기아(9위) ▲CJ올리브영(10위) 순이었다. 2025년에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으로도 'SK하이닉스'가 1위를 기록했으며,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 ▲삼성전자(4위) ▲네이버(5위) ▲LG전자(6위) ▲기아(7위) ▲CJ올리브영(8위) ▲카카오(9위) ▲CJ제일제당(10위) 순이었다. 진학사 캐치의 김정현 부문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구직자 및 직장인들이 바라보는 기업 선호도와 평가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SK하이닉스는 올해 기술력을 인정받고 적극적으로 채용을 진행했던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2024.12.12 08:40백봉삼

컴플라이언스 감사 자동화: 싱크론, 효율성을 제고하고 최고의 보안 표준을 충족

SoC1, SoC2와 ISO 인증은 혁신적인 자동화가 가속하는 재무 및 IT 프로세스의 신뢰성 있는 보안 증명 뮌헨,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선도적인 지능형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SLM) 제품 제조업체 중 하나인 싱크론(Syncron)은 감사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자동화했다. 싱크론은 이 새로운 솔루션을 통해 컴플라이언스 감사를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따라서 비용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싱크론은 동사의 컴플라이언스 프로세스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도도 제고한다. 이는 싱크론 고객들의 약 68%가 성공적인 인증을 통해 보안 증명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신뢰 센터"와 페드램프(FedRAMP) 컴플라이언스 – 미래를 위한 흥미로운 전망 싱크론은 고객들의 전반적인 컴플라이언스 상태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된 감사 프로세스를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2025년부터 중앙 집중화된 신뢰 센터는 모든 관련 컴플라이언스 감사 정보에 대한 포괄적인 액세스를 제공한다. 싱크론은 이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이미 페드램프(FedRAMP) (연방 리스크 및 승인 관리 프로그램)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예비 분석을 수행해 왔다. 페드램프는 클라우드 제품과 서비스의 보안 평가, 승인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수립한다. SoC1, SoC2와 TISAX에 대한 현재의 감사 결과 싱크론은 업계 관련 표준에 따라 정기적으로 동사 제품과 운영 프로세스를 인증하며, 보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정교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동사는 SoC, ISO, 스카이하이(Skyhigh), 지클라우드(G-Cloud)를 포함한 최신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싱크론은 최신 SoC 및 ISO 감사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새로운 자동화 접근 방식을 도입했다. 이제 모든 제품들은 SOC1 평가 대상이 되며, 두 SOC 보고서 모두에서 주요 문제 없음, 사소한 문제 있음 또는 개선의 기회(OFI) 등으로 평가된다. 동사는 또한 최신 버전의 ISO 27001:2022에 따라 완전한 재인증을 획득하고 ISO 27017 인증을 받아 클라우드에서 ISO 27001 표준의 적용을 확인했다. 감사 담당자들의 불만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ISO, SOC1 및 SOC2 인증 서비스 수수료는 2023년에 비해 거의 절반으로 줄었지만 효율성은 3배 증가했다. 싱크론은 이전에 필요했던 3개월 대신 단 2주 만에 세 가지 감사를 모두 완료할 수 있었다. 동사는 복잡한 컴플라이언스 증거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 덕분에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 최고의 감사 제공업체와 협력함으로써 이전에 지역별로 분산되어 있고 단편화된 감사를 중앙 집중화하고 표준화할 수 있었다. 싱크론은 사업 운영을 중앙 집중화함으로써 시간 지연과 비효율성을 크게 줄일 수 있었고, 고객들의 요구 사항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었다. 향후 싱크론은 독일 자동차 업계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TISAX 인증에도 이 시스템을 활용할 계획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보안 평가 거래소(Trusted Information Security Assessment Exchange) (TISAX)는 정보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데이터 보호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자동차 분야의 핵심 리더들과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통제 수단을 도입한다. 동시에 수행된 TISAX 자체 평가는 이미 매우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성공의 핵심: 중앙 제어 라이브러리 설정 이러한 성공의 핵심 요인은 다양한 규정들의 요구 사항이 서로 연결되어 중복 처리를 피할 수 있는 중앙 제어 라이브러리를 만든 것이다. 이 라이브러리의 요소 중 하나는 종업원들이 통상적으로 처리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수작업을 대체하여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감사를 훨씬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싱크론의 최고 정보 보안 책임자 알렉스 코로트코프(Alex Korotkov)는 "고객들은 우리에게 자신들의 소중한 회사 데이터를 믿고 맡기기 때문에 인증서 형태의 보안 증명이 필수적"이라면서 "우리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앞으로 감사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싱크론은 진실과 기술 혁신에 대한 단 하나의 소스를 구축함으로써 고객의 기대치를 뛰어넘고 신뢰를 구축하며 컴플라이언스 프로세스를 새로운 수준의 효율성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싱크론싱크론은 제조업체와 딜러들이 애프터마켓 수익성을 최적화하고, 고객 충성도를 높이며, 서비스화로의 전환을 실현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경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싱크론은 모든 애프터마켓 서비스를 동사의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SLM) 클라우드 플랫폼에 연계하여 조직들이 상당한 매출 확대를 추진하면서도 최고의 애프터마켓 경험을 구현함으로써 자신들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전 세계 최고의 기업들이 싱크론을 신뢰함으로써 동사를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지능형 SaaS 솔루션 분야 전 세계 최대의 비상장 마켓 리더로 만든다. 상세 정보는 syncro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832423/5070210/Syncron_Logo.jpg?p=medium600

2024.12.12 00:10글로벌뉴스

바이킹 엔지니어링 연구실, ISO 17025 인증 획득

휴스턴,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100% 직원 소유의 게이트 에너지(GATE Energy) 회사인 바이킹 엔지니어링(Viking Engineering)이 자사의 실험실인 바이킹 연구실 서비스(Viking Laboratory Services)가 ISO 17025 인증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ISO 17025는 테스트 및 교정 실험실을 위한 국제 표준이다. 이 표준은 실험실의 역량, 중립성, 작업의 일관성에 대한 요구 사항을 설정하며 테스트 및 교정 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이번 인증 획득은 바이킹 엔지니어링이 석유 및 가스 산업에 최고 품질의 금속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인정받은 중요한 성과로, 향후 대체 에너지와 산업 및 화학 공장 등 다른 분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 바이킹의 실패 분석, 무결성 및 재료 테스트 서비스 담당 이사인 마리오 구에라(Mario Guerra)는 "ISO 17025 인증을 획득한 것은 바이킹 연구실 서비스가 재료 테스트와 엔지니어링 분야 우수성의 상징임을 입증하는 또 다른 증거"라며 "ISO 17025 인증은 고객에게 품질을 보증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의 지속적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팀 전체의 노력은 굉장했으며 우리는 이 성과에 대해 대단히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바이킹 엔지니어링의 회장인 호르헤 가르두노(Jorge Garduño)는 "바이킹 엔지니어링은 20년 이상 실패 조사 및 근본 원인 분석 업무를 수행해왔다"라며 "그 동안 샘플을 검사하고 테스트할 때마다 우리는 바이킹의 지침에 따라 외부 실험실에 재료 테스트를 의뢰해왔지만, 이로 인해 진행중인 테스트의 특정 측면에 대한 가시성이 제한되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테스트 일정에 대한 통제력 확보와 필요에 따른 우선순위 조정에 제한이 있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이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우리는 2020년 초에 자체 실험실을 열고 처음부터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던 것에 감사한다"라며 "현재 바이킹 연구실은 외부 실험실에 의존하지 않고도 고객에게 완전한 실패 분석 및 재로 인증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ISO 10725 인증은 바이킹이 어떻게 꾸준히 유기적으로 성장하는지 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서 항상 품질을 최우선으로 여기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중요한 지표"라며 "우리 팀이 매우 자랑스럽고 이 소식을 업계 동료, 커뮤니티와 함께 나눌 수 있어 기쁘다"라고 전했다. 바이킹의 ISO 17025 인증 범위와 인증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customer.a2la.org/index.cfm?event=directory.detail&labPID=0D27ACB3-5FA8-40B2-9A3F-F6502AE79C93 바이킹 엔지니어링 소개 바이킹 엔지니어링은 100% 직원 소유의 회사로, 게이트 에너지의 특수 엔지니어링과 분석 부문을 담당하는 회사이다. 바이킹은 에너지 시설과 자산의 설계, 최적화, 무결성을 지원한다. 바이킹 연구실은 실패에 대해 조사하고 해결하는 데 전념하는 종합적인 금속 테스트 실험실이다. 바이킹은 자사의 실패 분석 팀에서 배운 교훈을 설계 단계와 현장 실무에 반영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을 품질 보증 및 엔지니어링 팀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 바이킹 엔지니어링에 대한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 www.vikingeng.energy를 참조한다. 게이트 에너지 소개 100% 직원 소유의 ESOP 기업인 게이트 에너지는 에너지 분야에 예측 가능한 프로젝트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매개변수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비용과 일정의 초과 없이 에너지 시설과 자산을 설계, 구축, 시운전, 가동하고 프로젝트 설계 단계에서 운영에 관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철저한 프로젝트 관리를 제공한다. 게이트 에너지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웹사이트 www.gate.energy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728731/5071109/Viking_Engineering_Logo.jpg?p=medium600

2024.12.12 00:10글로벌뉴스

에이피알, 블프서 역대급 실적…아마존 매출 2300%↑

글로벌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대표이사 김병훈)이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프로모션에서 2300%가 넘는 아마존 매출 성장 등 역대급 흥행을 선보이며 사상 최대 성과를 냈다. 에이피알은 지난 11월부터 12월 초 사이 진행된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프로모션에서 메디큐브, 에이프릴스킨을 통합해 한화 약 300억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24년 3분기 미국 시장 전체 매출액의 70% 이상을 프로모션 시즌 동안 거둔 역대급 성과다. 에이피알은 그간 미국의 전통적인 쇼핑 대목인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미국 시장 공략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번 역대급 흥행 실적을 통해 목표를 달성했다. 세부적으로는 아마존에서 메디큐브 화장품과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홈 뷰티 디바이스의 실적이 유독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큐브는 현지 시간으로 지난 11월 21일~12월 2일 사이 진행된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서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가 고루 인기를 끄는 모습을 보이며 전년 프로모션 기간 대비 2343% 성장을 이뤄냈다. 매출적 성과 외에도 이번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메디큐브는 미국 아마존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는 모습도 보였다. 메디큐브는 K뷰티 브랜드로는 드물게 제품군이 아닌 '메디큐브'라는 브랜드 명이 검색어 상위로 오른데 이어, 10개 이상의 제품의 카테고리 랭킹 진입으로 K뷰티 브랜드 중 산하 제품을 가장 많이 카테고리 순위에 올린 브랜드가 됐다. 여기에 전세계적으로 꾸준한 인기를 이어온 '제로모공패드'와 '부스터 프로'는 이번 아마존 행사 기간 내 토너&화장수(Toners&Astringents) 카테고리와 주름&항노화 디바이스(Wrinkle&Anti-Aging Devices) 카테고리에서 각각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 밖에 콜라겐 젤리 크림, 나이트 랩핑 마스크 등도 각 카테고리 내 상위 카테고리에 노출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에이피알의 또 다른 뷰티 브랜드 '에이프릴스킨' 역시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프로모션에 참여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아마존 행사에 참여한 에이프릴스킨은 지난해 대비 670%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대표 제품인 캐로틴 멜팅 클렌징 밤이 클렌징 크림(Makeup Cleansing Creams) 카테고리 2위, 카렌듈라 필 오프 팩이 필링(Facial Peels) 카테고리 3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에이프릴스킨 역시 제품을 사용한 고객들의 입소문에 따라 점점 '고정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카테고리 순위가 크게 성장했다는 것이 에이피알의 설명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에이피알의 글로벌 지향 사업 전략과 제품력, K-뷰티를 향한 인기, 미국 유통 시장의 온라인 재편 등이 맞아 떨어지며 역대급 블랙프라이데이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향후 온라인 유통 전략과 마케팅 전략 혁신으로 시장 공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4.12.11 23:25안희정

올해 한국 구글 검색어 2위 '계엄령'

한국 구글의 '올해의 검색어' 1위는 올림픽/패널럼픽이 차지했다. 2위는 지난 3월 밤에 있었던 '계엄령'이다. 구글은 10일 '검색어로 돌아보는 2024년' (이하 '올해의 검색어') 리스트를 발표했다. '올해의 검색어'는 올 한 해 국내외 이용자들이 구글 검색에서 전년 대비 더 많이 주목했던 검색어를 기준으로 선정된다. 이는 절대적인 검색량 순위가 아닌 2024년 검색량에서 전년 대비 높은 증가를 보인 동시에 많은 관심을 받았던 검색어를 의미한다. 이번 2024년 리스트에는 K-콘텐츠, K-POP 노래, 레시피, 도서, 영화, 스포츠 매치, AI Tool 등 총 9가지 카테고리의 상위 10개 검색어가 포함됐다. 특히 올해에도 글로벌 검색어 리스트 중 두 가지 부문에서 한국 관련 검색어가 순위에 오르며 'K-콘텐츠'와 케이팝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래 부문에서는 국내에서 1위를 기록한 로제와 브루노 마스의 'APT.'가 글로벌 순위 2위에 오르며 K팝을 향한 이용자의 높은 관심을 실감케 했다. 국내 K-POP 노래 순위에 '밤양갱'이 2위에 올랐으며, 에스파, QWER, 아일릿(ILLIT) 등 아이돌 그룹의 노래가 순위에서 대다수를 차지했다. 글로벌 TV 시리즈 리스트에 한국의 '눈물의 여왕'과 '내 남편과 결혼해 줘” 두 작품이 나란히 이름을 올리며 K-콘텐츠의 인기 역시 실감케 했다. 특히 '눈물의 여왕'은 국내 K-콘텐츠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해 한국에서 사랑받는 콘텐츠가 세계적으로도 화제를 일으킨다는 점을 증명했다. 이어서 국내 순위에서는 요리 예능, 로맨스 코미디 등 다양한 주제를 넘나드는 TV 시리즈들이 등장해 K-콘텐츠가 갖는 장르적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글로벌 종합 검색 부문에서는 '코파 아메리카', '유럽축구연맹 챔피언십', 'ICC T20 월드컵'이 각각 1~3위를 차지하며 해외에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뜨거움을 보여줬다. 국내에서는 '올림픽/패럴림픽'이 1위, '계엄령'이 2위를 기록했고, 3위로는 '주택 청약'이 검색 키워드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인물 순위에는 미국 대통령 선거의 영향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1위를, '카멀라 해리스'와 '조 바이든'이 각각 3위와 5위를 차지했으며, 2위는 케이트 미들턴으로 더 잘 알려진 영국 왕실의 '웨일스 공비 캐서린'이 이름을 올렸다. 국내 인물 검색어로는 민희진, 정우성, 김수미 등 엔터테인먼트 인사들이 상위권에 집계된 가운데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한강이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요정 '티니핑'도 인물 분야 9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올해 영화는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영화들이 다채로운 매력을 뽐내며 주목을 받았다. 또한 국내 리스트에 오른 10개 작품 중 여섯 작품이 한국 영화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최고 흥행작으로 알려진 '파묘'가 글로벌 영화 검색어에서 1위를 기록한 디즈니 픽사의 대표작 '인사이드 아웃 2'를 제치고 국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스포츠 부문은 축구, 야구, 복싱 등 다양한 종목에서 흥미진진한 경기들이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손흥민 선수가 속해 있는 '토트넘 홋스퍼 FC 매치'가 1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매치'가 2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유로 2024')가 3위를 차지했다. 또한, 기아와 삼성의 한국시리즈인 '삼성 대 기아 (KBO 한국 시리즈)'도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뚜렷했다. 국내 이용자들의 레시피 순위에서는 '어남선생(류수영) 레시피', '밤 티라미수(흑백요리사)', '두끼(떡볶이) 레시피', '나박김치'같은 한식 메뉴 레시피를 다수 검색해 K-푸드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다양한 혁신 AI 기술들이 우리 일상에 빠르게 스며드는 가운데 올해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AI 툴이 트렌드 검색어에 등장했다.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해 사진 변환 및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Pencilizing(펜슬라이징)'과 한국을 대표하는 생성형 AI 서비스 '뤼튼'이 나란히 1,2위를 기록했고, 'Chat GPT'는 3위를 기록했다. 4위는 미국의 인공지능 기반 검색 엔진 제작사인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이름을 올렸으며, 국내 최초로 AI와 함께 실시간으로 스토리를 창작할 수 있는 플랫폼인 '제타'가 5위를 기록하며 다양한 AI 툴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올해 도서 부문에서는 소설, 요리 레시피북, SF 등 다양한 장르의 도서들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도서 부문 1위를 기록했다.

2024.12.11 23:15안희정

JF 리먼 앤 컴퍼니, 초과 가입된 펀드 VI를 위해 22억 달러 모금

뉴욕,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 – 항공우주, 방위, 해양, 정부, 환경 분야에 독점적으로 집중하는 선도적 중소형 사모펀드 회사인 JF 리먼 앤 컴퍼니(J.F. Lehman & Company, JFLCO)는 오늘 자사의 최신 주요 펀드인 JFL Equity Investors VI, L.P. 및 관련 투자 매개체("Fund VI")의 성공적인 마감을 발표했다. 22억 3천만 달러 규모의 이번 공모는 회사 창립 이후 33년 역사상 최대의 규모를 기록했으며 기존 16억 달러의 목표 금액을 크게 초과하는 초과 가입을 달성했다. 펀드 VI는 JFLCO가 30년 이상의 전문 산업 경험과 입증된 운영 역량을 활용하여 기업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오랜 투자 전략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 신규 펀드를 통해 2024년 11월 30일 기준, 회사의 총 관리 자산이 70억 달러로 증가하였다. 파트너 Louis N. Mintz는 "이번 마케팅 활동의 성공적인 결과는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회사를 발굴하고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개선을 이끌어낸 우리의 입증된 역량과 우리 팀에 대한 상당한 신뢰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펀드 VI를 계속해서 배분하고 관리하면서 매력적인 위험 조정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자 관계 및 마케팅 담당 전무이사 Karina Perelmuter는 "오랜 기간 함께해 온 파트너들의 지원에 감사하며 그들 중 많은 이들이 과정 초기에 큰 확신으로 우리의 노력을 지지해주었다"라며 "우리 팀에 신뢰와 확신을 보내주며 우리의 분야 집중 전략을 지지해준 새로운 파트너들에게 역시 깊은 감사를 표한다"라고 덧붙였다. UBS Securities LLC는 펀드 VI의 배치 에이전트로, Davis Polk & Wardwell LLP는 법률 자문사로 활동했다. JF 리먼 앤 컴퍼니 소개 1992년 설립되어 항공우주, 방위, 해양, 정부, 환경 산업 분야에 독점적으로 집중한다. 뉴욕과 워싱턴 D.C.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http://www.jflpartners.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349934/j_f__lehman___company_logo.jpg?p=medium600

2024.12.11 22:10글로벌뉴스

핀프라임, 개편된 웹사이트: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의 새로운 시대

포트 루이스, 모리셔스 2024년 12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엘리트와이즈(Elite Wise (Mauritius) Ltd) 산하 핀프라임(FinPrime)이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를 재편하면서 그 노력의 일환으로 웹사이트를 새롭게 개편했다. 2023년 8월부터 모리셔스 금융서비스위원회(FSC)의 투자 딜러로 규제를 받고 있는 핀프라임은 전 세계 기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금융 서비스 환경에서 신뢰와 혁신의 등대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개편된 웹사이트는 단순히 디자인만 바뀐 것이 아니라 기관 투자자의 역동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맞춤화된 종합 플랫폼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풍부한 콘텐츠를 통해 방문자는 금융 세계의 복잡성을 탐색할 수 있는 귀중한 리소스, 통찰력 있는 시장 분석 및 최첨단 도구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업계에서 핀프라임의 오랜 유산과 시대를 앞서가겠다는 약속을 반영한다. 맞춤형 솔루션을 위한 전문성 활용 금융 베테랑들이 설립한 핀프라임은 외환 및 차액결제거래(CFD) 시장에서 수십 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핀프라임의 이 노련한 팀은 다양한 시장 주기를 통해 기술을 연마하여 단순한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전략적 파트너십까지 제공한다. 그룹의 명성은 신뢰성, 혁신, 고객 중심에 대한 확고한 약속에 기반을 두고 있다.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리소스로 투자자 역량 강화 핀프라임의 브로커리지 서비스는 헤지 펀드, 자산 운용사, 기관 투자자에게 탁월한 유동성 접근성과 고급 트레이딩 솔루션을 제공한다. 핀프라임의 차별성은 커스터마이징에 있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고유한 전략과 거래 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여러 유동성 공급자와의 원활한 연결과 강력한 리스크 관리 도구를 통해 핀프라임은 클라이언트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한다. 미래 지향적 혁신과 이정표 핀프라임의 여정은 중요한 이정표와 미래 지향적인 혁신으로 점철돼 있다. 최근 향상된 유동성 관리 시스템 론칭은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 체결을 최적화하려는 그룹의 약속을 잘 보여준다. 또한 핀프라임은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기존 시장과 신흥 시장 모두에서 신뢰할 수 있는 프라임 브로커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성장은 고객이 최고의 유동성 및 체결 능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의 우수성을 끊임없이 추구한 덕분이다. 미래를 내다보며 핀프라임은 미래를 내다보며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고 범위를 넓힐 준비가 돼 있다. 지속적인 혁신과 고객 만족이라는 회사의 정신은 프라임 브로커리지 부문을 선도하려는 야망의 원동력이 된다. 핀프라임 및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finprimegroup.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핀프라임(FinPrime) 소개 핀프라임은 글로벌 프라임 브로커로서, 기관 고객이 오늘날의 역동적인 금융 시장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전문성을 제공한다. 탁월한 유동성 접근성, 고급 트레이딩 플랫폼, 정교한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포함한 종합적인 서비스는 고객의 진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2024.12.11 22:10글로벌뉴스

소이넷, 다국어 동시통역 서비스 '다바르' 론칭

소이넷(공동대표 김용호, 박정우)이 다국어 동시통역 서비스 '다바르(DABAR)'를 개발, 출시했다. 지난 2018년부터 축적한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과 자사 원천기술인 인공지능 최적화 엔진을 이용해 개발했다. 소이넷은 '다바르(DABAR, Realtime Broadcasting multi-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서비스를 개발해 회사내 서버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오다 지난 11월 구글 클라우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 30만달러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운영에 대한 크레딧을 제공받았다. 이에 '다바르'는 구글 클라우드에서 운영되며 글로벌 국가에 동시에 서비스한다. 앞서 소이넷은 지난 10월부터 히든베타 테스트를 거쳐 11월 오픈베타 테스트를 진행했다. 대학과 국제 컨퍼런스, 다문화센터 그리고 여행사 등에서 관심이 높았다고 회사는 밝혔다. 특히 최근 대한민국 기술과 한류에 영향을 받아 늘어난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한 대학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통역서비스 도입 문의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소이넷은 그동안 베타 테스트를 바탕으로 다양한 피드백을 반영해 업그레이드를 했고, 11일 공식 서비스에 돌입했다. 현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번역과 1:1 통역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소이넷은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품질을 세계수준으로 고도화 했다. 화자 언어를 동시에 수십 개 언어로 동시에 통역해 송출하는 방식은 국내 뿐 아니라 세계최초"라면서 "소이넷은 인공지능 추론최적화 기술로 2018년 창업해 MLOps, 얼굴인식 솔루션 등을 개발했고, 2023년 얼굴인식 기반의 위변조 방지 성인인증장치를 개발해 규제샌드박스에 제출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번 '다바르' 다국어 동시통역 서비스는 소이넷 홈페이지 'dabar.soynet.io'를 통해 제공하는데, 광고를 실은 무료서비스와 유료서비스로 나눠 세계인에게 제공한다. 박정우 소이넷 대표는 "다국어를 동시에 통역해야 하는 다국적 학생을 위한 대학과 국제 컨퍼런스, 다문화센터 한국어 교육,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서비스, 해외선교 또는 해외 출장, 외국인 관광가이드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며 "음성지원과 질문을 할 수 있으며, 통역 서비스가 끝난 이후에는 전체문장과 요약본을 받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4.12.11 20:14방은주

  Prev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AI·초혁신경제로 잠재성장률 3% 회복"…李정부 경제 첫 청사진

[데이터 주권] AI 경쟁력, 국가 협력 통한 데이터 개방이 핵심

힘든 상반기 보낸 HR 상장사들...하반기 반전 전략은?

퀄컴칩 비싸다?...삼성 옥죄는 모바일 AP 비용 부담의 진짜 이유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