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당일처리 100 카툑892jms 업체 상조내구제ll'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7279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DIY 검색'의 함정…AI 검색이 더 효율적인 이유

AI 기반 검색 솔루션이 고객 경험을 좌우한다 디지털 경험의 시작과 끝은 검색에서 이루어진다. AI 기반 검색 솔루션 기업 Lucidwork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쇼핑객의 69%가 검색 기능을 사용하며, 검색 경험이 좋지 않을 경우 80%가 이탈한다는 조사 결과는 검색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많은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검색 솔루션을 구축하거나 Elasticsearch, Solr, Google과 같은 외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지만, 이러한 '직접 구축(DIY)' 방식은 겉으로 보기에 매력적일지 모르나 실제로는 많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이 검색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현재, DIY 방식은 기술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인공지능과 검색 전문가 부족이 DIY 솔루션의 함정 DIY 검색 솔루션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전문성 격차다. 효과적인 검색 및 제품 발견 경험을 구축하려면 검색 알고리즘, 인공지능, 머신러닝, 데이터 관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아우르는 전문 기술이 필요하다. 맥킨지앤컴퍼니(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숙련된 AI 및 검색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크게 초과하여 기업이 사내 전문성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전문가 부족 현상은 기업이 자체 검색 솔루션을 개발할 때 직면하는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다. 대부분의 기업은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할 사내 전문성이 부족하여 최적화되지 않은 결과를 얻게 된다. 기술적 부채는 혁신과 민첩성을 저해하며, 기업이 진화하는 고객 기대에 부응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이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서도 지적되었다. AI 기반 검색 솔루션의 자동화가 가져오는 비즈니스 성과 직접 구축 방식과 달리 사전 구축된 AI 기반 검색 솔루션은 상당한 비용 절감과 구체적인 비즈니스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 데이터에 따르면 연간 1,100~1,300시간의 큐레이션 시간 절약, 큐레이션 규칙 20-30% 감소, 검색 관련성 10-15% 향상, 검색 결과 없음 쿼리 91% 감소 등의 효율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효율성 향상은 직접적인 매출 증가로 이어져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 가치가 28% 증가하고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이 30% 증가한다. 사전 구축된 솔루션은 기계 학습 모델, AI 및 생성형 AI 모듈, 추천 모듈, 유연한 신호 캡처, 머천다이징 도구, 챗봇 앱 및 통합, 데이터 커넥터, 최고 수준의 관련성 자동화, 개인화 자동화, 모델 및 규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팀의 가치 창출 시간을 단축시킨다.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와 IT 팀 간 격차 해소 DIY 방식의 검색 및 제품 발견 접근 방식은 종종 비즈니스 리더와 구현 담당 기술 팀 간의 격차를 만든다. 이러한 불일치는 다양한 요인에서 비롯되는데, 그중 하나는 AI와 관련된 도메인 전문성 부족이다. 기술 팀은 특정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깊은 도메인 전문성이 부족하여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서 검색 및 제품 발견의 고유한 과제를 예측하고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자상거래 개인화, B2B 고객 지원, 금융 서비스 연구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개인화 시나리오에서는 머천다이징 팀이 고객 탐색 기록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제품 추천을 구현하고자 하지만, 기술팀은 필요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거나 복잡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효과적인 개인화 전략을 실현하지 못할 수 있다. 비용 효율적인 AI 검색 솔루션으로 391% ROI 달성 DIY 방식의 검색 및 제품 발견 솔루션의 총 소유 비용은 빠르게 통제를 벗어날 수 있다. 개발자 시간(약 11,000시간), 첫 해 서비스 비용(180만 달러), 2-5년 간 전담 유지 관리 팀(약 10명의 개발자)에 대한 지속적인 필요성은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만든다. 반면, 사전 구축된 솔루션은 상당한 비용 절감과 구체적인 비즈니스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 데이터에 따르면 연간 1,100~1,300시간의 큐레이션 시간 절약, 큐레이션 규칙 20-30% 감소, 평균 상호 순위가 0-15% 개선되고, 검색 결과 없음 쿼리가 91% 감소하는 효율성 향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효율성 향상은 직접적인 매출 증가로 이어져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 가치가 28% 증가하고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이 30% 증가한다. 사전 구축된 솔루션을 선택하면 DIY 검색의 숨겨진 비용과 복잡성을 피하고 귀중한 리소스를 확보하며 시장 진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고급 검색 기술과 AI를 활용하여 탁월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수익 성장과 장기적인 성공을 이끌어낼 수 있다. 루시드웍스(Lucidworks)의 검색 솔루션을 통해 391%의 긍정적인 ROI를 달성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는 AI 기반 검색 솔루션의 강력한 비즈니스 가치를 보여준다. FAQ Q: 생성형 AI는 기존 검색 솔루션과 어떻게 다른가요? A: 생성형 AI는 단순한 키워드 매칭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는 답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검색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제로 결과 쿼리가 91%까지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Q: 중소기업도 AI 기반 검색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나요? A: 네, 다양한 규모의 기업을 위한 AI 검색 솔루션이 있습니다. DIY 방식으로 약 11,000시간의 개발자 시간과 180만 달러의 첫 해 비용이 드는 것에 비해, 사전 구축된 솔루션은 초기 투자 비용을 크게 줄이고 빠른 ROI를 제공합니다. Q: AI 검색 솔루션 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는 무엇인가요? A: AI 검색 솔루션 도입 시 검색 관련성 10-15% 향상,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 가치 28% 증가, 검색 영향을 받은 주문 30% 증가 등의 구체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큐레이션 시간을 연간 1,100-1,300시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AI 매터스'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3.18 08:40AI 에디터

카이스트, LLM 학습시간 예측 모델 개발… AI 훈련 비용 5% 절감

GPU 활용률 10% 저하로 훈련 비용 수백만 달러 증가, vTrain으로 해결책 제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공지능 커뮤니티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는 이러한 대규모 AI 모델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훈련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LLM 훈련 계획은 일반적으로 LLM 병렬화 공간에 대한 철저한 검토보다는 경험적 관찰에 기반한 휴리스틱 기반 병렬 훈련 전략을 채택한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기존 시스템은 상당한 성능 향상의 여지를 남겨두게 되며,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훈련 비용이 낭비된다. 예를 들어, 1,024대의 NVIDIA A100 GPU를 사용하여 GPT-3(175B 매개변수)를 훈련할 때, GPU 컴퓨팅 활용률이 단지 10%(50%에서 40%로) 감소하더라도 훈련 시간이 8일 증가하여 수백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LLM을 훈련해야 하는 규모 때문에 훈련 시스템 구성의 설계 공간을 철저히 탐색하여 가장 최적의 비용 효율적인 하이퍼파라미터를 찾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다. 수십 분 내 최적 훈련 전략 도출하는 vTrain의 혁신적 시뮬레이션 기술 카이스트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비용 효율적이고 컴퓨팅 최적의 LLM 훈련 시스템 평가를 안내하는 프로파일링 기반 시뮬레이터인 vTrain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vTrain은 AI 실무자들에게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LLM 훈련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빠르고 정확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vTrain의 핵심 특징은 프로파일링 기반 방법론을 사용하여 각 설계 지점의 LLM 훈련 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다. 이는 고성능 멀티코어 CPU 서버에서 몇 십 분 내에 최적의 LLM 훈련 시스템 구성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vTrain의 설계는 LLM 훈련 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게 하는 다음과 같은 핵심 관찰에 기반한다. 첫째, 최신 AI 알고리즘은 각 그래프 노드가 신경망 레이어를 나타내는 비순환 그래프로 표현된다. 둘째, LLM 추론과 달리, 훈련을 위한 LLM 그래프 노드의 실행 순서는 컴파일 시간에 정확하게 정의되므로 vTrain은 얼마나 많은 LLM 그래프 노드를 실행해야 하는지와 그 실행 순서를 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셋째, 대상 GPU 아키텍처에서 각 개별 LLM 그래프 노드(각 레이어)의 실행 시간은 매우 결정적이며 서로 다른 실행 간에 거의 변동이 없다. 경험적 방식 대비 10% 적은 GPU로 5% 비용 절감, vTrain의 사례 연구 vTrain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여러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첫 번째 사례는 비용 효율적인 LLM 훈련 계획이다. 주어진 LLM, 훈련 토큰 크기 및 컴퓨팅 예산(즉, 총 GPU 수)이 주어졌을 때, 벽시계 훈련 시간과 그에 관련된 훈련 비용을 최소화하는 가장 최적의 훈련 병렬화 전략을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비용 효율적인 멀티테넌트 LLM 스케줄링으로, 여러 LLM 훈련 작업이 GPU 클러스터를 공유할 때, GPU 활용률을 최대화하면서 작업 완료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식별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컴퓨팅 최적의 LLM 모델 설계로, 고정된 컴퓨팅 및 훈련 시간 예산이 주어졌을 때, Chinchilla 스케일링 법칙을 만족하는 가장 큰 LLM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NLG(530B) 모델 훈련에서 vTrain은 기존 방식보다 10% 적은 GPU를 사용하면서 4.5% 높은 GPU 활용률을 달성하고, 훈련 비용을 5% 절감하는 훈련 계획을 도출했다. 텐서, 데이터, 파이프라인 병렬화의 최적 조합으로 LLM 훈련 효율성 극대화 현대 LLM 훈련은 최첨단 3D 병렬화 방식(데이터 병렬화, 텐서 병렬화, 파이프라인 병렬화)을 적용한다. 이는 LLM과 같은 거대한 AI 모델을 분할하여 여러 GPU에서 효율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텐서 병렬화는 모델 가중치를 GPU 내에서 열과 행 차원으로 나누어 같은 노드 내 GPU 간에 고대역폭 통신을 활용한다. 데이터 병렬화와 파이프라인 병렬화는 주로 노드 간 병렬화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통신 오버헤드가 적다. vTrain은 이러한 복잡한 병렬화 전략의 성능을 정확하게 모델링하고, 최적의 구성을 찾아내어 GPU 활용률을 높이고 훈련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145억에서 76억 매개변수로: vTrain으로 발견한 30일 내 훈련 가능한 현실적 모델 크기 Chinchilla 스케일링 법칙에 따르면, 주어진 컴퓨팅 예산 내에서 최적의 모델 크기와 훈련 토큰 수 사이에는 균형이 필요하다. 단순히 모델 크기만 키우는 것은 과소훈련으로 이어져 알고리즘 성능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한다. GPU 효율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 없이 단순히 가용 GPU 수만으로 컴퓨팅 예산을 결정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다. vTrain은 실제 GPU 활용률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컴퓨팅 최적 모델 크기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0개의 NVIDIA DGX A100 서버(3,360 A100 GPU)를 30일 동안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단순히 100% GPU 활용률을 가정하면 1,456억 매개변수의 모델을 2,912억 토큰으로 훈련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vTrain은 실제로는 평균 35.56%의 GPU 활용률만 달성 가능하며, 이는 원래 기대했던 30일 대신 85일의 훈련 시간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vTrain을 사용하면 760억 매개변수의 모델을 1,521억 토큰으로 30일 내에 훈련할 수 있는 더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FAQ Q: 대규모 언어 모델 훈련에서 GPU 활용률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A: GPU 활용률은 훈련 시간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vTrain의 연구에 따르면 GPU 활용률이 단 10% 감소하더라도(50%에서 40%로) 훈련 시간이 8일 증가하며, 이는 수백만 달러의 추가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적의 병렬화 전략을 통한 GPU 활용률 최적화는 비용 효율적인 LLM 훈련에 필수적입니다. Q: vTrain은 어떻게 기존 LLM 훈련 방식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낼 수 있나요? A: vTrain은 프로파일링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천 가지의 가능한 병렬화 구성을 빠르게 평가하여 최적의 훈련 계획을 도출합니다. 기존 방식은 경험적 관찰에 기반한 휴리스틱에 의존하지만, vTrain은 전체 설계 공간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GPU 활용률과 훈련 시간 사이의 최적 균형점을 찾아냅니다. Q: Chinchilla 스케일링 법칙이란 무엇이며 LLM 훈련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 Chinchilla 스케일링 법칙은 주어진 컴퓨팅 예산 내에서 모델 크기와 훈련 토큰 수를 균형있게 확장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모델을 과소훈련하면 해당 모델의 알고리즘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없습니다. vTrain은 실제 GPU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주어진 시간과 자원 내에서 훈련할 수 있는 최적의 모델 크기와 토큰 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AI 매터스'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

2025.03.17 20:48AI 에디터

아이스아이, 신규 SAR 위성 4기 발사

핀란드 초소형 인공위성 업체 아이스아이는 25cm급 해상도의 신규 위성 4기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17일 밝혔다. 아이스아이는 이번 위성 발사를 통해 자연재해 대응 및 국가 안보와 같은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서 영상 기술 리더십을 더욱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위성들은 엑소런치의 발사 지원과 함께 스페이스X 승차공유미션 트랜스포터-13에 탑재돼 지난 15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베르그 우주 기지에서 발사됐다. 각 우주선과의 통신 설정이 완료돼 현재 일상적인 초기 작전이 수행되고 있다. 아이스아이 4세대 위성은 합성개구레이더(SAR) 안테나 크기와 방사 출력을 두 배로 증가시켰다. 150~400km에 이르는 지상 관측폭을 제공해 영상 영역을 두 배 이상 확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생성된 영상의 정보 밀도 또한 30% 더 증가했다. 이 외에도 고도의 궤도 제어 기능으로 표적 지점에 대한 영상을 더욱 정밀하게 확보할 수 있고, 단일 위성이 통과하더라도 혼잡 지역에 대한 더 많은 영상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차세대 위성은 고객에게 향상된 상황 인식과 보다 신속한 의사결정 능력, 그리고 개선된 임무 수행 결과를 제공하게 될 전망이다. 선박, 차량, 항공기 등 탐지와 분류를 용이하게 해 방위 및 정찰 임무를 더욱 강화한다. 라팔 모드르제브스키 아이스아이 공동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동맹국들에게 정보, 감시, 정찰(ISR)을 위한 중요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SAR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며 "글로벌 방위 시장에서 우주 기반 기술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스아이는 2018년부터 자체 운용 및 고객용 위성 등 총 48기의 SAR 위성을 궤도로 발사했다. 올해를 포함해 향후 매년 20기 이상의 신규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지난 1월 올해 첫 발사를 통해 4기의 신규 위성을 이미 성공적으로 배치했다.

2025.03.17 19:51신영빈

아트와, 농업용 운반로봇 '봇박스' 선봬

친환경 로봇 플랫폼 스타트업 아트와는 2025 상주농기계박람회에서 스마트 운반 로봇 '봇박스'를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봇박스는 작업자를 자동으로 따라다니며 운반 작업을 지원하는 추종형 운반 로봇이다. 수확철 부족한 인력을 효과적으로 보완한다. 봇박스는 한번에 최대 200kg의 작업물을 운반하며, 20도의 오르막길과 돌이 많은 험지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 무선 리모컨을 활용한 직관적인 조작 방식으로 여성 및 고령층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로봇 전면부에는 충돌 감지 센서를 적용한 사고 방지 범퍼가 장착됐다. 상단의 비상 정지 버튼을 통해 돌발 상황에서도 즉시 멈출 수 있다. 일반 가정용 220V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전동식 제품으로, 최대 7시간 연속 작동이 가능해 농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봇박스는 정식 농기계 안전검정 및 성능검정을 완료했다. 정부 융자 지원 모델로 등록되어 지자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제품은 2023년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농식품 창업 콘테스트에서 농협회장상을 수상했다. 서귀포농협과 협력해 약 100여개의 농가에 임대사업을 진행했다. 강동우 아트와 대표는 "전국 과수 농가에 봇박스를 비롯한 자율주행 로봇을 보급하고 고된 노동 부담을 덜어드리고 싶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농업 분야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봇박스는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상주농기계박람회 B-78 부스에서 시연한다. 이번 상주농기계박람회에서 리프트 기능이 탑재된 신제품도 선보인다.

2025.03.17 19:20신영빈

현대오토에버, 실적 개선으로 임직원 급여 상승

현대오토에버가 지난해 실적 상승과 함께 임원 및 직원들의 평균 급여도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김윤구 대표는 지난해 18억 3천5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이 중 급여는 9억 2천700만원, 상여는 9억 800만원으로 구성됐다. 전년도 김 대표의 보수는 16억 300만원으로 전년대비 약 14.5% 상승한 2억 3천200만원올랐다. 미등기임원 역시 높은 수준의 보수를 기록했다. 총 18명의 미등기임원이 수령한 급여는 60억 1천4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3억 3천400만원 수준이다. 이는 전년 대비 3천800만원 증가한 수치다. 일반 직원 평균 연봉 1억원을 넘어섰다. 2024년 기준 현대오토에버의 일반 직원은 5천421명으로 총 5천486억 3천100만원의 급여를 수령했다. 1인당 평균 급여는 1억 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7백만원 인상되며 처음으로 평균 1억원을 돌파했다. 직원 수도 전년도 4천853명에서 568명 증가해 인력 확대와 함께 급여 총액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급여 인상은 현대오토에버의 실적 개선 및 경영 전략 성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오토에버는 2024년 상반기 기준 매출 1조 6,493억 원, 영업이익 993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16.2%, 19.2%의 성장률을 보였다. 시스템 통합(SI) 부문은 20%, 차량용 소프트웨어(SW) 부문은 24.5%의 매출 증가로 호실적을 견인했다.

2025.03.17 18:33남혁우

국회 "배달수수료 투명해야" vs 업계 "성장·상생 두 토끼 잡겠다"

배달 플랫폼 수수료 구조의 투명성이 강화돼 사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배달앱 업계는 산업 성장과 함께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동시에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17일 국회에서는 '소비자 후생 관점에서 본 배달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을지로위원회)에서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는 우아한형제들 김용석 센터장 외에도 유성훈 쿠팡이츠 기획조정본부장이 참석했고, 한국프랜차이즈협회와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도 자리했다. 이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은 “국회의장마저도 배달플랫폼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이번 토론회에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며 정부 측에서도 잘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배달 앱 수수료 투명성 필요성 있어... 상호 불신 줄여야" 토론회는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의 발제로 시작됐다. 정 총장은 “배달앱 시장이 균형을 갖고 공정하게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이 돼야 한다”며 “배달 플랫폼이 소비자 신뢰를 얻고, 배달중개수수료와 광고비 등 수수료 구조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이주한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변호사는 “배달 수수료 구조 공개를 의무화해야 한다”면서 “쿠팡이츠와 땡겨요가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자세한 수치가 공개되지는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변호사는 “배달 앱사가 전체 배달비 중 얼마를 부담하고 중개 수수료를 얼마 부담하는지 상생 협의안 내용대로 명확하게 기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수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사무총장 역시 "병원에 가면 자세한 진료비가 기재된 영수증을 받는데, 배달 주문에서는 어떻게 산정되는지 모른다"며 "그런 산정내역을 주체적으로 플랫폼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민·쿠팡이츠, "산업 성장이 가장 중요한 과제... 동반 성장 고민할 것" 김용석 센터장은 “배달 산업 성장이 플랫폼도 성장하고 참여 업체도 성장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소비자와 입점 업체에게 더 많은 선택을 받기 위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성훈 본부장 역시 “쿠팡이츠 서비스를 보니 지방 중소 소상공인 매출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을지로위원회와 대화를 늘려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장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우아한형제들은 마지막 순서인 질의응답을 통해 최근 발표한 포장 주문 수수료 정책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김 센터장은 “5년간 포장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포장 서비스는)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비중”이라며 “무료지원을 중단하는 대신, 포장 서비스 대상으로 마케팅을 확대하고, 지원을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포장 주문이 확대되면 입점 업체는 배달 운임을 덜 수 있고, 소비자는 포장 할인 혜택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면서 “수익 모델 없이 시행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해명했다. 끝으로 고인혜 공정거래위원회 플랫폼공정경쟁정책과장은 “배달앱은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상생 협력의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오늘 발제와 토론 과정에서 나온 의견을 경청하고, 향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3.17 18:29류승현

삼성SDS 떠난 황성우, 지난해 보수 40억 육박…남녀 임금 격차 벌어져

지난해 삼성SDS를 떠난 황성우 전 대표가 지난해 40억원에 육박하는 보수를 받으며 IT 대기업 분야에서 연봉킹 자리에 올랐다. 함께 퇴직한 구형준 삼성SDS 부사장도 퇴직금이 포함된 영향으로 35억원이 넘는 보수를 수령해 눈길을 끌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황 전 대표는 지난해 급여 8억7천만원, 상여금 7억5천800만원, 기타근로소득 8천800만원, 퇴직소득 22억1천100만원 등 총 39억2천700만원을 수령했다. 전년 대비 134.7% 상승한 것으로, 퇴직소득을 빼면 전년 대비 2.6% 올랐다. 황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각각 6천900만원, 3월 8천600만원, 4~12월까지 매월 7천200만원을 급여로 받았다. 상여금은 연 2회 분할 지급됐고 성과인센티브도 기준연봉의 0~50% 내에서 연 1회 지급됐다. 삼성SDS는 "지난해 매출 13조8천282억원, 영업이익 9천111억원을 달성한 점과 클라우드 및 디지털 물류 사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하고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통한 기업의 하이퍼 오토메이션 혁신을 추진하는 등 사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점을 고려해 상여금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퇴직소득과 관련해선 "임원퇴직금 지급규정에 의거 퇴직기준급여 7천만원, 임원 근무기간 9년에 지급배수(1~3.5)를 곱해 산출했다"고 덧붙였다. 삼성SDS에서 클라우드 사업부장을 역임했던 구형준 전 부사장도 퇴임으로 인해 지난해 보수가 급격하게 올랐다. 삼성SDS는 최근 이호준 부사장을 클라우드 사업부장으로 교체하고 오는 1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구 전 부사장은 지난해 1~12월까지 매월 5천500만원의 급여와 함께 상여금 5억5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0억8천만원, 퇴직소득 12억7천만원을 합쳐 총 35억1천600만원을 수령했다. 삼성SDS의 살림살이를 맡고 있는 안정태 부사장은 지난해 급여 5억9천200만원, 상여 4억5천500만원, 기타 근로소득 5천400만원 등 총 11억1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안 부사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2026년까지로 예정된 사내이사 임기 동안 CFO로서 회사를 이끌 예정이다. 삼성SDS 직원들도 지난해 준수한 실적을 기록한 덕분에 평균 급여액이 오른 모습을 보였다. 실제 이 기간 동안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전년 대비 400만원 오른 1억3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남녀간 임금 격차는 더 벌어져 남성은 평균 1억4천100만원, 여성은 1억1천600만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 남성 평균 임금은 1억3천600만원, 여성은 1억1천300만원이었다. 삼성SDS 개인 최대주주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여전히 자리를 지켰다. 이 회장의 지분율은 9.2%로, 삼성전자(22.6%), 삼성물산(17.1%)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2023년에는 2.0%의 지분율로 4위에 올랐으나, 지난해에는 상속세 납부 등의 여파로 삼성SDS의 지분을 모두 매각해 주주명단에서 자취를 감췄다. 업계 관계자는 "이 사장이 보유한 삼성SDS 지분을 전량 매각하면서 삼성SDS는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 이슈가 해소된 상황"이라며 "삼성SDS는 그룹 지배구조상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낮아지더라도 회사 지배력에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2025.03.17 18:26장유미

포바이포-제머나이소프트, AI 솔루션 플러그인 개발 협업하기로

포바이포(대표 윤준호)가 방송용 디지털 미디어 관리 플랫폼 전문 기업 제머나이소프트와 AI 솔루션 플러그인 공동 개발 및 공급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제머나이소프트는 방송 환경에 최적화된 미디어 자산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MAM(Media Asset Management)'를 개발, 제공하는 업체다. 현재 MBC, SBS, EBS, 연합뉴스TV 등 국내 방송사들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 및 관리하고 있다. 제머나이소프트가 개발한 다양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방송사에서 제작해 송출하는 방대한 미디어 데이터, 통칭 '미디어 자산'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변환해 저장하거나 쉽게 검색해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저장된 자산들을 활용해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거나 편집할 수도 있고 보도용 자료의 배포 및 송출까지 도와주는 등 방송 전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번 MOU를 계기로 포바이포는 자체 화질 개선 AI 솔루션 픽셀을 제머나이소프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결합할 수 있는 '플러그인' 형태로 최적화, 경량화 하는 작업을 우선 진행하게 된다. 제머나이소프트는 기존 고객들이 각각의 워크플로우 안에서 용량(비트레이트)을 절감하거나 화질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픽셀 플러그인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개편 및 운영을 담당할 예정이다. 양사는 해당 플러그인 제품을 오는 4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방송 장비 전시회 'NAB(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Show'에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제머나이소프트 넥스트비즈본부 이상봉 본부장은 "화질 개선 기능은 자사 미디어 자산 관리 시스템(MAM)과 보도 솔루션에서 활용 가능하고, 비트레이트 절감 기능은 포맷 변경 및 인코딩 작업에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등 픽셀 솔루션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하다"며 "제작 및 관리, 송출 등 방송 과정 전체를 아우르는 제머나이소프트의 다양한 솔루션에 픽셀 플러그인을 광범위하게 적용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바이포 픽셀 사업본부 배성완 본부장은 "이번 MOU를 통해 포바이포는 픽셀 AI 솔루션의 적용 산업 저변을 넓힐 수 있고, 제머나이소프트 역시 회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면서 "공동 개발하는 플러그인을 활용해 국내 방송사 뿐만 아니라 글로벌 방송 장비 시장을 직접 공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17 18:14백봉삼

전력기기 호황에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작년 보수 껑충

LS일렉트릭이 전력기기 사업이 호황기를 맞으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자 경영진 보수도 껑충 뛰었다. LS일렉트릭이 17일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지난해 보수로 71억4천200만원을 받았다. 세부적으로 급여 26억8천400만원, 상여가 44억4천800만원이다. 이는 전년(2023년) 총 보수 35억6천500만원 대비 약 100% 증가한 수준이다. 다만, 당시에는 보수와 별개로 성과급 명목으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1만8천423주를 받았다. 17일 종가(20만7천원) 기준으로 하면 약 38억원 규모지만, 지급 시점(2026년 4월) 주가에 따라 실제 수령 금액은 변동될 수 있다. 한편, LS일렉트릭은 전력기기 사업 호황에 힘입어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4조 5천518억원, 영업이익은 3천897억원을 기록했으며, 올해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인터배터리 2025' 행사에서 구 회장은 "올해 큰 계약이 성사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며 빅테크 기업 수주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2025.03.17 18:14류은주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 이펙텀 CH-Rep(스위스) 인수

스위스의 선도적인 의료기기 서비스 제공업체이자 유통업체인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 주식회사(Healthcare Holding Schweiz AG)가 이펙텀 CH-Rep 주식회사(Effectum CH-Rep AG)를 인수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는 빈터베르크 어드바이저리(Winterberg Advisory GmbH)에서 관리한다. 바르, 스위스, 2025년 3월 17일 /PRNewswire/ -- 헬스케어 홀딩스 슈바이츠 주식회사(Healthcare Holding Schweiz AG)가 이펙텀 CH-Rep의 인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번 인수는 이펙텀 메디컬 주식회사(Effectum Medical AG)에서 제공한 스위스 공인 대리인(CH-REP) 서비스를 분리해 인수한 것이다. 2021년 5월 26일부터 시행된 의료기기 법령(MedDO SR 812.213)에 따라 스위스 등록 사무소가 없는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스위스 내 제품 유통을 위해 CH-REP를 지정해야 한다. 이번 인수를 통해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는 전 세계 의료 기술 제조업체를 위한 종합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이제 그룹 계열사를 통해 수입 및 유통뿐만 아니라 규제 요건을 완벽하게 준수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Transaction successfully closed, from left to right: Florian Angstmann, MME Legal, Fabio Fagagnini, CEO of Healthcare Holding Schweiz AG, Fabian Kroeher, President of the Board of Healthcare Holding Schweiz AG, Carina Kandrian, Founder of Effectum Medical AG, Michael Eggimann, Board Member of Effectum Medical AG, Philipp Pielmeier, CFO of Healthcare Holding Schweiz AG, Gregory Budakov, Managing Director M&A of Healthcare Holding Schweiz AG 파비오 파가니니(Fabio Fagagnini)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 최고경영자(CEO)는 "이펙텀 CH-Rep를 통해 스위스 공인 대리점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그룹 역량을 강화했다. 이제 영업 담당자와 전무 이사는 모든 규제 요건을 전문적으로 충족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혁신적인 제품과 탁월한 고객 서비스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고 전하며 이번 인수에 대한 기대감을 밝혔다. 킴 쥐거(Kim Züger) 품질 관리 및 규제 업무 책임자이자 새로 임명된 이펙텀 CH-Rep의 이사는 "규제 준수는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이펙텀 CH-Rep을 통해 우리는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의 공급업체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제조업체에도 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우리의 전문성과 높은 품질 기준을 명확히 보여주는 증거다"라고 말했다. 이펙텀 메디컬 이사인 마이클 에기만(Michael Eggimann) 이펙텀 CH-Rep 매각 책임자는 "우리는 파비오 파가니니(Fabio Fagagnini)와 그의 팀과 오랫동안 협력해 왔으며, 이펙텀 CH-Rep이 훌륭한 손에 맡겨졌다고 확신한다"며 "이번 전환을 통해 우리는 법적 제조 서비스와 혁신적인 플러그 앤 플레이 품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유통에 전념할 수 있게 됐으며, 앞으로도 고객의 이익을 위해 이펙텀 CH-Rep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펙텀 CH-Rep(Effectum CH-Rep AG) 소개 올텐에 본사를 둔 이펙텀 CH-Rep는 스위스 공인 대리인(CH-REP)으로서 외국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스위스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CH-REP로서 이펙텀 CH-Rep는 스위스 등록 요건 준수 보장, 예방 및 시정 조치에 대해 스위스의약품청(Swissmedic)과 협력, 규제준수책임자(PRRC) 제공, 기술 문서에 대한 접근 보장, 사고 및 불만 사항 보고 등의 책임을 맡고 있다.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 주식회사(Healthcare Holding Schweiz AG) 소개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는 구매, 구축, 기술화 플랫폼이자 스위스의 선도적인 의료 기술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업체다. 동사는 바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주로 승계 계약, 파트너십, 유기적 성장의 맥락에서 인수를 통한 성장 전략을 추구한다.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와 그 그룹사들은 최고 수준의 혁신과 고객 만족을 지향한다. Healthcare Holding Schweiz는 지속적으로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만든다. 시장 리더로서, 업계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하고 직원들에게 매력적인 개발 기회를 제공한다. 모든 경영진은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역동적인 기업가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빈터베르크 어드바이저리(Winterberg Advisory GmbH) 및 빈터베르크 그룹(Winterberg Group AG) 소개 추크에 본사를 둔 빈터베르크 그룹은 설립자를 위한 독립적인 패밀리 오피스로 운영되고 있다. 빈터베르크는 주로 독일어권 지역의 중소기업에 투자하며, 스타트업 및 부동산에 대한 투자도 선별적으로 고려한다. 빈터베르크 어드바이저리는 독일 연방금융감독청(BaFin)의 규제를 받는 일반 파트너이자 펀드 매니저다. 동사는 수많은 사모펀드를 출시했으며 Winterberg Investment VIII 및 Winterberg Investment IX를 통해 엘스케어 홀딩 슈바이츠에 투자하고 있다. 파트너이자 전무 이사인 파비안 크뢰허(Fabian Kröher)와 플로리안 브리켄슈타인(Florian Brickenstein)은 이사회를 통해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를 관리한다. 언론 문의: presse@healthcare-holding.ch 덴탈 액세스(Dental Axess AG) 더보기: www.effectum-chrep.com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 더 보기: www.healthcare-holding.ch 헬스케어 홀딩스의 포트폴리오 더 보기: www.senectovia.ch, www.winthermedical.ch, www.mikrona.ch, www.orthowalker.ch, www.mcm-medsys.ch, www.naropa-reha.ch, www.mvb-medizintechnik.ch, www.dentalaxess.comhttp://www.senectovia.ch/http://www.winthermedical.ch/ 이 보도자료는 헬스케어 홀딩 슈바이츠를 대신해 빈터베르크 어드바이저리가 발행 및 배포한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42029/Healthcare_Holding_Schweiz_Group_Photo.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642028/Healthcare_Holding_Schweiz_Logo.jpg?p=medium600

2025.03.17 18:10글로벌뉴스

팔포이즈, 고객 경험 개선 위해 데이터 인텔리전스 파트너로 DXC 테크놀로지 선정

국제 패션 브랜드인 팔포이즈, 데이터 기반 통찰력 활용해 쇼핑 경험 개인화하기 위해 DXC와 제휴 리스본, 포르투갈, 2025년 3월 17일 /PRNewswire/ -- 포르투갈의 선도적인 패션 브랜드 팔포이즈 그룹(Parfois Group)이 데이터 기반 통찰력에 기반한 개인화된 추천으로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향상시켜줄 업체로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인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 NYSE: DXC)를 선정했다. International fashion brand selects DXC to leverage data-driven insights to personalize shopping experience. Credit: Parfois 67개국에 1000개가 넘는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팔포이즈는 까다로운 국제 패션 시장에서 포르투갈 최대 브랜드 중 하나로 부상했다. 팔포이즈는 이제 DXC와의 협력을 통해 혁신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데이터 인텔리전스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 파트너십을 추진한 팔포이즈의 목표는 데이터 기반 통찰력을 활용해 고객의 기호에 맞는 적절한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더욱 개인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DXC는 팔포이즈 그룹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그동안 쌓아온 통찰력을 활용해 고객 경험을 혁신할 수 있도록 Snowflake 데이터 플랫폼 구현을 지원할 예정이다. 팔포이즈는 이 솔루션으로 사실상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하는 AI 모델을 활용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팔포이즈 경영진은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고객 행동 패턴 관련 관리 지표, 경고, 정보가 담긴 탐색 패널에 접근할 수 있다. 누노 모우라 핀헤이로(Nuno Moura Pinheiro) DXC 테크놀로지 포르투갈 지사 데이터•AI 책임자는 "분석 플랫폼 구현부터 데이터 엔지니어링을 거쳐 AI 모델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대시보드 개발에 이르는 모든 분야에서 DXC와 팔포이즈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고객 중심의 가치"라면서 "이 유명 포르투갈 브랜드의 경영진이 시기적절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들의 차별화 노력에 기여하게 되어 영광스럽다"고 말했다. DXC 테크놀로지는 고객이 신뢰하는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AI 시대에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조직이 번창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회사는 글로벌 기업이 IT 현대화를 추진하면서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과 운영을 실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최근 화이트레인 리서치(Whitelane Research)의 2024/2025 유럽 IT 소싱 연구(European IT Sourcing Study)에서 IT 서비스 분야에서 DXC의 선도적 위상이 재확인됐다. 미래 예측 진술 이 보도 자료에 있는 모든 진술은 역사적 사실과 직접적이고 독점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미래 예측 진술'을 구성한다. 이러한 진술은 현재의 기대와 믿음을 나타내며, 미래 예측 진술에 명시된 결과, 목표 또는 계획이 달성 가능하거나 달성될 수 있다고 보장하지 않는다. 이러한 진술은 기술된 내용과 실제 결과가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수많은 가정, 위험,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그 중 다수는 당사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 있다. 이러한 요인에 대한 서면 설명은 2024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에 대한 DXC의 연차 보고서(10-K 양식)에서 "위험 요인"이라는 제목의 항목과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제출 자료의 업데이트된 정보를 참조한다. 이러한 진술은 작성된 날짜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독자는 이를 지나치게 신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당사는 법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문서 발행일 이후에 발생하는 사건이나 상황을 보고하거나, 예상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하거나, 미래 예측 진술에 대한 개정본을 업데이트하거나 공개할 의무가 없다. DXC 테크놀로지 소개 DXC 테크놀로지(NYSE: DXC)는 글로벌 기업이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운영하는 동시에 IT를 현대화하고, 데이터 아키텍처를 최적화하고,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보안과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세계 최대 기업과 공공 기관들이 DXC를 통해 IT 자산 전반에 걸쳐 새로운 수준의 성과, 경쟁력, 고객 경험을 촉진하는 서비스를 배포하고 있다. DXC.com을 방문하면 고객과 동료들에게 탁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642198/DXC_Technology_Company_Parfois_Selects_DXC_Technology_as_Data_In.jpg?p=medium600

2025.03.17 18:10글로벌뉴스

SBA, 2025년 서울형 R&D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성료

서울경제진흥원(대표 김현우, SBA)은 지난 13일 SETEC 컨벤션홀에서 '2025년 서울형 R&D 지원사업 통합설명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설명회는 서울형 R&D 지원사업에 관심있는 서울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도 서울형 R&D 지원사업과 협력 기관 사업을 소개하고, 전년 대비 달라지는 내용과 세부 사업내용 및 지원절차 등을 안내하기 위해 개최됐다. 서울 소재 중소기업 및 협력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통합설명회를 통해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서울시 6대 신성장 산업 기술사업화(인공지능, 바이오·의료, 양자, 로봇, 창조, 핀테크), 기업성장, 혁신·약자 기술사업화 및 SBA 각 협력기관의 지원사업 내용을 자세히 소개했다. 2025년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서울시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신성장 산업 분야(인공지능, 바이오·의료, 양자, 로봇, 창조, 핀테크) ▲기업성장 분야(민간투자연계, 보증연계R&D, 서울혁신챌린지) ▲기술실증 분야(테스트베드) ▲약자기술 분야(약자를 위한 기술개발)등에 총 375억원 투입, 11개 사업분야, 155개 내외 신규과제를 지원한다. 특히 AI 3대 강국 달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인공지능 R&D 분야 투자규모를 '24년 30억에서 '25년 50억, '26년에는 100억원 규모로 양적인 확대와 데이터 품질 진단 및 개발 결과물의 신뢰성 인증을 지원해 질적 개선도 동시에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또 서울 딥테크 기업의 해외진출 발판 마련을 위한 글로벌 테스트베드 실증사업을 신설함과 동시에 우수과제에 한해 대·중견기업, 기술 인증기관과 연계한 글로벌 사업화를 지원해 서울시 핵심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신성장산업 R&D 지원사업은 서울 소재 중소기업 중심의 산학연 컨소시엄이 필수다. 서울 소재 중소기업(필수) + 대학/연구소(필수) + 기업(선택) 형태로 구성해야 하며, 그 외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지원 분야별로 상이할 수 있으니 자격과 일정 등 공고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참여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 및 사업화 후속 연계 지원 강화를 위해 7개 지원기관이 참여하여 공동 협력 지원한다. 참여기관은 기술보증기금(KIBO), 신용보증기금(KODIT),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발명진흥회(KIPA),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이다. 서울형 R&D 지원사업 참여 예정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각 기관별 지원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중소기업과 1:1 맞춤 상담을 통해 기술보증, 인증심사, 인공지능 신뢰성 검인증, 해외 규격인증 지식재산권 확보 등 각 기관별로 특화된 전문 분야별 상담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번 통합설명회에서 소개한 발표자료는 서울R&D지원센터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이므로 통합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한 중소기업은 온라인에서 주요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4월 말까지 신청 접수를 받는다. 공고문을 통해 세부내용 확인 및 신청, 접수가 가능하다.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 “다른 정부 부처가 R&D 예산을 동결하거나 줄이는 상황속에서도 전 세계적 AI 혁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지원예산을 확대하고 서울시, SBA 및 유관기관이 협력해 성공적인 R&D 성과 창출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2025.03.17 18:03백봉삼

한의약 위상과 권익향상 앞장설 범 100만 '한국한의약단체총연합회' 출범

한의약 발전을 가로막는 각종 불합리한 제도 철폐와 한의약계 공통의 정책안 추진을 통해 국민건강증진과 한의약 발전을 도모하는 '한국한의약단체총연합회'(이하 총연합회)가 공식 출범한다. 대한한의사협회 오는 21일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2층 제1소회의실에서 26개 한의약 관련 단체가 참석한 가운데 '범 100만 한국한의약단체총연합회 출범식 및 한의약 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의약 관련 26개 단체는 총연합회 출범을 위해 지난달 주비(籌備)위원회를 개최해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 회장을 만장일치로 총연합회 회장에 추대하고, 정관(안) 작성과 임원 선출을 포함한 향후 운영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총연합회는 한의약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각종 불합리한 제도와 규제를 철폐하는데 단합된 목소리를 내고, 이를 통해 한의약계의 공통된 정책안을 실현함으로써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 한다는 취지로 설립이 추진됐다. 특히 정부와 국회 등 유관기관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해 단순한 친목단체가 아닌 한의약이 위상 제고와 권익 증대를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한국한의약단체총연합회 참여 26개 단체는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학회 ▲대한여한의사회 ▲대한한방병원협회 ▲한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협회 ▲대한한약협회 ▲한국한약산업협회 ▲한국한약유통협회 ▲한국생약협회 ▲대한한약사회 ▲서울약령시협회 ▲대한공중보건한의사협의회 ▲대한한의과전공의협의회 ▲공직한의사협의회 ▲한국한의산업진흥협회 ▲대한원외탕전협회 ▲한의정보협동조합 ▲한국한의산업협동조합 ▲한국건강산업협회 ▲한국뇌건강협회 ▲한국바이오헬스학회 ▲사단법인 한의공감 ▲사암한방의료봉사단 ▲건강기능식품플랫폼기업협회 ▲한의약산업발전협의회 ▲한국한약재GMP협회 등이다.

2025.03.17 17:52조민규

제약바이오협,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2기 의약품 심사소통단 출범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와 함께 의약품 심사 분야 민·관 소통 채널인 의약품 심사소통단(CHORUS) 제2기(25.3∼27.2)를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의약품 심사소통단은 식약처 소속 의약품 심사자와 국내·외 제약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소통채널로 지난 2023년 3월 출범했으며, 심사분야 규제개선 사항을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마련하고 있다. 이번에 출범하는 제2기는 안전성·유효성, 품질, 동등성 3개 분야에서 AI기반 원료품질심사 등 11개 분과로 구성·운영하며, 1기보다 60여명 늘어난 240여명이 참여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식약처 분과장 및 업계 분과장(임상시험심사분과 동아에스티, 허가심사지원분과 유한양행, 전주기관리심사분과 대원제약, 첨단품질심사분과 GSK, 동등성심사분과 동구바이오제약) 각 1인 등 전체 분과원 240명(업계 약 93개 업체 210명)이다. 올해 주요 추진과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원료 불순물 평가시스템 구축 ▲임상 및 동등성 시험 심사방안 국제조화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품질 분야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코러스와 함께 앞으로도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불합리한 기준을 개선하는 한편, AI 등 기술발전 수준을 반영한 가이드라인 등을 개발해 제약업계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의약품심사소통단 1기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소통단 활동이 규제개선에 도움이 됐으며 앞으로도 계속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93%, 96%로 나타난 바 있다.

2025.03.17 17:42조민규

작년 유영상 SKT 연봉 30.8억·황현식 19.9억원

지난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30억8천300만원, 황현식 전 LG유플러스 대표는 19억9천20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전년대비 49.29%, 13.18% 증가한 수치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유영상 대표는 2024년 근로소득으로 급여 14억원, 상여 16억4천만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1천700만원, 기타 근로소득 2천600만원 등으로 총 30억8천3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 대비 49.29% 증가한 수치다. SK텔레콤 측은 "이동통신 매출은 5G 가입자가 1550만 명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0.9% 증가한 10.6조를 기록했다"며 "IPTV 가입자 955만 명을 달성하며 유·무선 통신 영역에서 견고한 성장을 이끌어 냈다"고 설명했다. 황현식 전 LG유플러스 대표는 급여 14억400만원, 상여 5억8천500만 원, 기타 근로소득 300만원 등으로 총 19억9천2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대비 13.18% 증가한 수치다. LG유플러스는 "B2B 사업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AI·DX(디지털 전환) 사업 확장과 U+3.0 플랫폼 혁신 전략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한편, 두 회사의 직원 보수도 증가했다. SK텔레콤 직원들의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6천100만원으로, 2023년도(1억5천200만원) 대비 소폭 상승했다. LG유플러스 직원들의 1인 평균 급여는 1억900만원으로, 2023년(1억500만원) 대비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SK텔레콤의 남성 직원(4천227명)은 1억7500만원, 여성 직원(1천266명)은 1억1천700만 원을 수령했다. LG유플러스의 남성 직원(8천412명)은 1억1천400만원, 여성 직원(2천159명)은 9천200만원을 받았다. 평균 근속 연수는 SK텔레콤이 13.7년, LG유플러스가 10.6년으로 나타났다.

2025.03.17 17:39최지연

[영상] 가짜 벽 세우고 테슬라 차량 몰고 갔더니

테슬라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오토파일럿(Autopilot) 시스템을 활성화한 후 테슬라 차량을 가짜 벽으로 몰고 가 충돌 여부를 실험한 영상이 공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고 자동차 매체 일렉트렉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당 실험은 전직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엔지니어였던 괴짜 유튜버 마크 로버(Mark Rober)가 진행한 것이다. 마크 로버는 최근 자신의 유튜브에 '자율주행 차를 속일 수 있을까?'(Can you Fool A Self Driving Car?)라는 제목의 영상을 공개했다. 그는 실제 주변 환경과 똑같이 보이도록 페인트로 칠한 가짜 벽을 세운 다음 오토파일럿을 활성화해 테슬라 모델Y 차량을 몰았다. 그 결과 테슬라 차량은 가짜 벽과 그대로 충돌했다. 비교를 위해 그는 라이다(LiDAR)가 장착된 렉서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도 동일하게 테스트했는데 렉서츠 차량은 가짜 벽을 감지하고 충돌 직전 벽 앞에서 멈춰 차이를 보였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 업체들은 대부분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LiDAR), 초음파 등 다양한 센서를 사용해 자율주행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만 유독 테슬라는 카메라 만을 사용해 자율주행 기술을 구동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의 카메라와 신경망 시스템이 인간 운전자처럼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어떤 도로에서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사보다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고 테슬라 차량의 장점을 어필해왔다. 마크 로버는 또한 두 차량을 가지고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아이 마네킹을 정지 상태, 움직이는 상태, 불빛에 눈이 부신 상태, 안개 또는 폭우 상태에서 배치한 후 차량이 이를 인식하고 멈추는 지도 테스트했다. 그 결과 테슬라 차량은 안개나 폭우 상황에서 라이다 장착 차량과 달리 마네킹을 보고 정지할 수 없었다. 레이저 기반 시스템인 라이더가 카메라 시스템보다 짙은 안개 속에서도 더 나은 감지 능력을 보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 테슬라의 오토파일럿과 자율주행 시스템은 수년에 걸쳐 개선 작업을 거쳤으나 아직도 라이다 기반 차량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임이 나타났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2025.03.17 17:27이정현

삼성 휴머노이드 청사진은 '자율공정 AI' 로봇

삼성전자 자회사로 편입된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제조 산업에서 쓸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기술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작년 9월부터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씨메스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과제명은 '주력 제조업종의 자율제조를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자율공정 운영 기술 개발'이다. 오는 2028년 12월 31일까지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130억원이 투입된다. 이들은 제조 산업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운영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협력한다. ▲로봇타이제이션 운영모델 ▲제조상황 인지와 판단 인공지능(AI) ▲보행·조작 제어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개발 컨셉 사진도 공개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작년 3월 선보인 이동형 양팔로봇 'RB-Y1'의 외형과 닮았다. 상반신은 그대로 채용하고 두 다리를 부착한 모습이다. 다만 미래 컨셉 예상도 속 휴머노이드는 로봇 손 대신 2지 집게 그리퍼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향후 제조 환경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고도화된 인간 핸드 그리퍼 업체와의 협력이 추가로 필요할 전망이다. 오준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은 최근 관련 행사에서 "한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앞으로 2~3년 내에 글로벌 톱 티어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17 17:00신영빈

[AI는 지금] 검색 시장에 부는 AI 바람…글로벌 포털, 생존 전략 재편한다

인공지능(AI) 검색이 기존 검색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기존 키워드 검색이 여러 링크를 클릭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했던 점과 달리 직접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국내외 검색 엔진 업계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이미 AI 검색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하며 검색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퍼플렉시티, 오픈AI '챗GPT 서치', 구글 'AI 오버뷰' 등이 있다. 이들 서비스는 기존 검색 방식보다 빠르고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검색 경험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퍼플렉시티는 AI가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하며 검색 결과의 출처를 명확히 표시해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오픈AI '챗GPT 서치'는 기존 '챗GPT'에 탑재 돼 기존 검색 엔진과 차별화를 꾀했다. 구글 'AI 오버뷰'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검색 결과 상단에 요약된 정보를 제공하며 링크 탐색을 통해 추가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들 AI 검색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키워드 검색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기존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입력 키워드를 기반으로 연관 웹사이트 링크를 나열해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식이었다. 반대로 AI 검색은 문맥을 이해하고 맞춤형 답변을 직접 생성해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지만 검색 광고 클릭률 감소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이미 기존 검색 엔진의 시장 점유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글의 글로벌 검색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말 91.58%에서 90%로 소폭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5년 이후 최초로 발생한 이례적 현상으로, 올해 미국 내 검색 광고 점유율도 50.5%에서 48.3%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색 시장의 구조적 변화도 불가피하다. 기존 검색 엔진들은 광고 기반 수익 모델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AI 검색이 대중화될 경우 핵심 비즈니스 모델이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AI가 직접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이 확산되면 검색 광고 노출 기회가 줄어들어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들도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로샤트 아드나니 엠앤씨사치퍼포먼스 아태지역 매니징 디렉터는 "제품 차원에서 직면한 도전 과제로 인해 구글은 시장 점유율 축소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챗GPT'가 이미 소비자 검색 행동을 변화시킨 와중에 검색 전문 AI 기술이 검색 패턴을 재편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AI 검색의 확산으로 검색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카카오는 지난 13일 다음을 독립 법인으로 분사하기로 결정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재도약을 위해 분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법인 독립을 통해 다양한 실험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갖춰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는 AI 검색 기술이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다음의 검색 시장 점유율이 2.72%까지 하락하면서 불가피한 선택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카카오는 다음을 분사하는 동시에 지난해에 AI 서비스 '카나나'를 발표하고 지난 2월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AI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AI 검색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국내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다. 네이버는 AI 검색 서비스 '큐(Cue:)'를 통해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검색 방식을 도입했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큐'는 복잡한 질의를 분석하고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활용해 보다 정교한 답변을 제공한다. 특히 대화형 검색을 지원해 사용자의 이전 질문을 기억하고 맥락을 반영한 지속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큐'는 지난 2023년 9월 시범 출시돼 현재 PC 버전으로 제공 중이며 올해부터는 네이버 통합검색과 본격적으로 연계될 예정이다. 또 쇼핑·예약 등 맞춤형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활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오픈리서치의 '오오에이아이(oo.ai)' 역시 주목받고 있다. 이 회사는 김일두 대표 등 카카오브레인 출신 AI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지난해 7월 창업과 동시에 100억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하며 기대를 모았다. 오픈리서치는 이 솔루션을 통해 AI 기술을 활용해 검색어를 분석하고 맥락을 이해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픈리서치에 따르면 '오오에이'는 기존 AI 검색 서비스보다 10배 이상 많은 참고 자료를 활용하며 검색 시간이 3초 이내로 단축했다. 이는 기존 검색 엔진이 7~8개의 문서를 참고하는 것과 비교해 압도적인 차이를 보인다. 특히 퍼플렉시티 '프로'와의 비교에서도 검색 속도와 데이터 활용량 측면에서 우위를 점했다. '프로'가 유료 서비스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무료로 제공된다는 점도 차별화 요소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AI 검색의 대중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크다. 커머스 분야에서도 강점을 보인다. 단순한 가격 비교를 넘어 소비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일례로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 사과'를 검색하면 사과 품종별 당도와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해 최적의 제품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능은 소비자들에게 더욱 정확하고 유용한 검색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일두 오픈리서치 대표는 "'오오에이아이'는 신속한 속도, 높은 정확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차별화된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검색 코파일럿'"이라며 "기존 검색에서는 찾기 어려웠던 정보들까지 답변해 사람들이 가장 편하게 많이 사용하는 AI 검색 서비스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2025.03.17 16:52조이환

[ZD SW 투데이] KT클라우드, 'AI 사업·GPUaaS' 웨비나 개최 外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KT클라우드, 'AI 사업·GPUaaS' 웨비나 개최 KT클라우드가 오는 20일 최적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활용을 위한 자사 구독형 GPU(GPUaaS) 사업방향 및 라인업을 소개하는 'AI 사업 및 GPUaaS' 웨비나를 개최한다. 첫 세션에서는 KT클라우드의 정미진 AI사업팀장이 회사가 최근 확보한 엔비디아 H200의 GPUaaS 도입 계획과 향후 로드맵 등 KT클라우드의 GPUaaS 전략을 공유한다. 두 번째 세션은 정소라 AI사업팀 매니저가 맡아, 학습 전용 'AI 트레인(TRAIN)'과 추론 전용 'AI 서브(SERV)' 등 KT클라우드의 다양한 고성능 GPUaaS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챗수트라, 글로벌 이용자 100만명 돌파 투플랫폼이 개발한 다국어 AI 어시스턴트 '챗수트라(ChatSUTRA)'가 출시 한 달만에 누적 이용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독자 개발 거대언어모델(LLM)인 '수트라(SUTRA)'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챗수트라는 안드로이드와 iOS 애플리케이션, PC웹을 모두 지원하며 우수한 접근성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앞서 투플랫폼은 한국과 인도의 금융 기업, 통신사 등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기업고객을 확보했다. 지난 1년이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700만 달러(한화 약 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연간 환산 실적은 1천만 달러(한화 약 144억7천500만원)를 돌파했다. 투플랫폼은 글로벌 B2B 매출 증대에 매진하는 한편, 투자 유치를 통해 예측 모델을 공개하는 등 기술 고도화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제1회 AOAI톤 아이디어 경진대회 수상작 발표회 성료 인공지능팩토리와 에스핀이 '제1차 AOAI톤 아이디어 경진대회' 수상작 발표회를 성료했다. 이번 행사는 양사가 공동 주최·주관하고 한국 마이크로소프트가 후원했다. 지난해 12월에 진행된 제1차 AOAI톤 아이디어 경진대회는 노코드(No-Code) 환경에서 AI 기반 업무 자동화 플랫폼 '어시웍스(AssiWorks)'를 활용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이번 1차 경진대회 수상작 발표회에서는 초등학생의 시험지를 신속하게 분석·채점하는 AI 기술을 제시한 'AI 교과서를 위한 초등학교 시험 자동 채점 시스템(김연승)'이 1위를 수상했다. ◆셀렉트스타, 美 'SXSW2025'서 캐릭터 AI 기술 전파 셀렉트스타가 지난 7일(현지 시간)부터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SXSW 2025'에 참가, 캐릭터에 AI를 접목한 맞춤형 캐릭터 AI 기술과 생성형 AI 서비스 신뢰성 검증 자동화 솔루션 '다투모이밸(DATUMO eval)'을 소개했다. 셀렉트스타는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코리아 파빌리온관에서 인기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의 캐릭터를 활용한 AI 영상편지 케이크 '하츄핑의 스타 플래닛'을 비롯, '신비아파트' AI 영상편지 생성 서비스, AI 캐릭터 실시간 대화 기능 등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아울러 황민영 셀렉트스타 부대표가 한국 대표 스타트업 패널로 세션에 참여해 K-콘텐츠와 AI, XR 기술의 융합 가능성과 미래 방향성을 발표했다.

2025.03.17 16:28한정호

글로브, MWC 2025에서 사이버 보안 대처 및 고객 경험 향상 노력 강조

마닐라, 필리핀 2025년 3월 17일 /PRNewswire/ -- 필리핀의 선도적 통신사 글로브(Globe)가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막을 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에서 사기 방지를 위한 모범 사례와 고객에게 최고의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여정을 공유했다. Anton Bonifacio, Globe's 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and Chief AI Officer, speaks at a roundtable discussion on Globe's efforts against fraud at MWC Barcelona 2025. 안톤 보니파시오(Anton Bonifacio) 글로브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겸 최고 AI 책임자는 여러 부대 행사에 참여해 진화하는 사기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브의 적극적인 노력에 대해 설명했다. 보니파시오 책임자는 "글로브는 기술, 정보 공유, 선제적 보안 조치를 통합한 다층적 접근 방식을 활용해 사기와 사이버 위협에 맞선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글로브는 AI 기반 솔루션으로 방어 체계를 보완함으로써 고객을 위해 더 안전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Rebecca Eclipse, Globe's Chief Transformation and Operations Officer, talks about how Globe transformed its operations to deliver superior customer experience at MWC Barcelona. 글로브는 전 세계 통신사 중 처음으로 클릭 가능한 링크가 포함된 모든 개인 간 SMS를 차단했다. 이는 2022년 9월 모바일 사용자를 겨냥한 사기가 급증하는 가운데 시행된 보안 조치다. 글로브는 또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기 탐지, 조사, 대응과 예방 조치를 취하기 위해 주요 은행 및 기타 금융 기관과 데이터 공유 계약을 체결했다. 글로브는 이 외에도 갈수록 정교해지는 사이버 위협에 맞서 AI 기반 사이버 보안 솔루션과 전략을 구현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 한편 레베카 이클립스(Rebecca Eclipse) 글로브 최고혁신운영책임자(CTOO)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되기 위한 운영 모델의 혁신(Transforming Operating Model Towards Becoming the Most Reliable Service Provider)'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고객에게 뛰어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글로브의 여정에 대한 통찰을 공유했다. 그녀는 글로브가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비효율성을 줄이고, 부서 간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더 민첩하면서도 고객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클립스 CTOO는 "우리는 전국적으로 단일하고 획일적인 전략을 취할 수 없다. 고객에게 제대로 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고객과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는 게 필수적이다. 우리는 운영 모델과 우리 자신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우리는 더 많은 직원을 현장에 투입했고, 그들은 합심해 더 나은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하고 NPS(Net Promoter Score)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시범 서비스 지역에서 글로브는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기지국 구축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를 높여 수익 개선에 기여했다. 이는 혁신과 우수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글로브의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글로브는 MWC 2025에 참가해 사이버 보안과 고객 경험의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임을 전 세계에 알렸다. 글로브는 보안 조치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운영 방식을 혁신함으로써 고객에게 더 안전하고 원활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한다는 사명을 고수하고 있다. https://www.globe.com.ph/에서 글로브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5.03.17 16:10글로벌뉴스

  Prev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美 정부, 인텔에 12.3조 투자 최대 주주로...사실상 '국영기업' 전환

노란봉투법, 결국 본회의 통과…다음은 '더 센' 상법 개정

글로벌 IT 업계 휩쓰는 'SaaS 종말론'…韓 산업의 해법은?

게임스컴 2025, 韓 게임 경쟁력 재확인…나날이 커지는 中 비중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