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2025년 최고의 강남풀싸롱 추천:❤️O1O-747O-3211❤️이쁜하늘실장 ♡강남 풀사롱 강남풀싸롱★강남 풀싸롱 ★강남풀살롱★ 강남 풀싸롱 '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4176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트립팩토리와 넥서스DMC 모회사 ORN 벤처스, 국제 기업 그룹으로부터 시리즈 A 펀딩 5천만 달러 확보

싱가포르,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인도에서 강력한 입지를 갖고 있는 선도적인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립팩토리(TripFactory)가 인도에 본사를 둔 유명 국제 기업 그룹으로부터 시리즈 A 펀딩 5천만 달러를 조달했다. 이 투자를 통해 동사의 가치는 5억 달러가 되었다. 트립팩토리는 비나이 굽타(Vinay Gupta)와 아미트 아가르왈(Amit Aggarwal), 바룬 굽타(Varun Gupta), 디팍 쿠라나(Deepak Khurana), 안키트 아가르왈(Ankit Agarwal), 안쿠시 아가르왈(Ankush Agarwal), 알리 아스게르 라이트왈라(Ali Asger Lightwala), 아메드 칸(Ahmed Khan) 등 경력 있는 기업가들로 구성된 팀이 설립했다.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동사는 코로나 19 이후 빠르게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해 왔다. 110개국 이상에 진출한 트립팩토리는 여행사 및 업계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동사의 첨단 플랫폼을 통해 맞춤형 휴가 패키지를 제공한다. 소비자들은 트립팩토리 웹사이트 (www.tripfactory.com를 통해 꿈의 휴가를 예약하거나, 동사 전문가들에게 자기만의 휴가 계획을 요청할 수 있다. 트립팩토리의 혁신적인 플랫폼은 현장 물류와 서비스 제공 기능을 원활하게 통합하여 고객들에게 최고의 여행 경험을 보장한다. 기업 투자자들은 "트립팩토리가 전 세계 레저 여행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가운데 그들에게 투자하고 협력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역동적인 팀, 야심찬 비전, 강력한 가치를 지닌 트립팩토리는 수익성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입증된 역량을 갖춘 업계 리더라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 이후 휴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도는 해외 여행의 주요 출발 시장 중 하나로 부상했다. 트립팩토리는 독특한 가치 제안을 통해 이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트립팩토리 설립자 겸 CEO 비나이 굽타는 "이번 투자를 통해 전 세계 최대의 휴가 기업이 되겠다는 우리의 의지가 더욱 강해졌다"면서 "우리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기존 시장과 신규 시장 둘 모두에서 시장 입지를 확대하고, 제공 상품을 다각화하며, 고객 경험을 높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우리 플랫폼의 서비스 품질 제고에 계속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 참여한 다른 주목할 만한 신규 주주로는 바니 콜라(Vani Kola), 모한다스 파이(Mohandas Pai), 란잔 파이(Ranjan Pai) 등이 있다. 트립팩토리: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트립팩토리는 맞춤형 휴가 계획과 원활한 여행 경험을 제공하는 글로벌 리더이다. 2014년에 설립된 트립팩토리는 110개국, 1,700개 도시의 채널 파트너와 협력하여 전 세계 32,000개 도시에서 휴가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 62개국에 800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있는 트립팩토리는 여행객들에게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동사는 현재까지 94개 이상의 국적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tripfactory.com을 방문하기 바란다.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43130/TripFactory_Logo.jpg?p=medium600 로고: https://mma.prnasia.com/media2/2543131/NexusDMC_Logo.jpg?p=medium600

2024.10.30 20:10글로벌뉴스

DXC 테크놀로지와 액셀리아, 항공사 혁신을 가속하고 여행객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

액셀리아가 보유한 업계 최고의 오퍼, 오더, 정산 기술은 이제 전 세계 업계를 이끌어가는 DXC의 리더십과 솔루션을 통해 보완된다. 액셀리아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현대화를 가속하고 포괄적인 클라우드 기반 FLX ONE(OOSD) 리테일링 플랫폼을 제공한다. DXC의 시스템 통합 전문성은 항공사들에게 기술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애쉬번, 버지니아,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업계를 리드하는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파트너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 ) (NYSE: DXC)와 항공 업계에 기술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 액셀리아(Accelya)가 항공사들에게 원활하고 현대적인 공항 리테일 경험을 제공하고 전 세계 항공사들의 시스템 통합을 가속하기 위해 협력한다고 오늘 발표했다. 항공사들은 이를 통해 사업 운영을 현대화하고 자신들의 고객을 위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새로 채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행객들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XC Technology and Accelya Partner to Accelerate Airline Innovation and Enhance the Traveller Experience 액셀리아는 DXC의 독자적인 출발 통제 시스템(DCS) 산업 솔루션을 활용하여 공항에서의 효율적인 운영과 승객 경험 향상을 보장한다. 이 DXC 기술을 통해 액셀리아의 FLX ONE 기능이 구현되는데 이는 동사의 새로운 FLX ONE 리테일링 플랫폼의 일부가 된다. FLX ONE 리테일링 플랫폼은 현재 전 세계에서 매일 300억 건 이상의 오퍼를 생성하며 항공사들의 항공편 재고 관리와 좌석 예약을 지원한다. 항공사들은 이제 FLX ONE을 통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오퍼, 오더, 정산과 배송의 각 단계를 처리하는 단일 플랫폼을 활용하여 여행객들에게 현대적이고 마찰 없는 개인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 플랫폼은 항공사들이 자체 플랫폼에서 티켓팅 오퍼와 오더 외에도 예약 처리를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 고객 여정의 전반에 걸쳐 개인별 오퍼와 서비스 기능 향상과 같은 보다 개인화된 오퍼와 풍부해진 고객 중심 리테일링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간접비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액셀리아 CEO 샘 길리랜드(Sam Gilliland)는 "FLX ONE은 항공사들에 예약부터 탑승까지 자신들의 리테일링을 완벽하게 통제함으로써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는 입증된 미래 지향적인 플랫폼"이라면서 "DXC의 공항 기술을 기반으로 한 FLX 딜리버리가 추가됨에 따라 FLX ONE은 진정한 종합 OOSD 솔루션이자 기존 시스템의 진정한 대안이 되었다"고 말했다. DXC와 액셀리아는 또한 DXC를 액셀리아의 선호 시스템 통합사로 세우기 위해 협력한다. DXC의 깊은 산업 전문성은 대규모 시스템 통합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사의 역량과 결합하여 전 세계 최고 항공사들의 현대화를 가속하고 혁신을 촉진한다. DXC의 글로벌 인프라 서비스 담당 매니징 디렉터 크리스 드럼굴(Chris Drumgoole)은 "DXC는 전 세계 최고의 항공사들과 협력하여 그들의 비즈니스 운영 전반에 걸쳐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고 AI와 같은 혁신 기술을 활용한다"면서 "액셀리아와 맺은 새로운 파트너십은 고객 경험을 높이고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동시에 자신들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현대화하고자 하는 항공사들에 엄청난 가치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DXC의 운송과 호스피탤리티 역량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여기를 클릭하기 바란다. 액셀리아 액셀리아는 항공 업계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전 세계 최고의 업체로서 혁신적인 항공사들이 성장을 견인하고, 고객들을 즐겁게 하며, 자신들의 리테일링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방형의 모듈식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200개 이상의 항공사에 공급하고 있다. 우리는 항공사의 리테일링을 오퍼부터 정산까지, 지상과 공중에서 모두 지원한다. 액셀리아는 AWS을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최첨단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우리는 초당 35만 건의 오퍼를 처리할 수 있는 확장성을 입증했으며, 연간 1,000억 달러를 처리하는 재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는 전 세계 NDC 거래의 50% 이상을 지원하며, 유연성, 성능, 확장성과 신뢰성을 원하는 항공사들에 우리의 오퍼와 오더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40년간의 업계 경험,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의 장기적인 지원과 전 세계 10개 사무소에 2,500 명의 직원을 보유한 당사는 각각의 항공사가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규모와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는 항공업계에 혁신이 이끄는 성장을 구현해 줄 수 있으며 항공사들에 통제권을 다시 돌려주는 것을 자랑스럽게 느낀다. 액셀리아와 동사의 항공사 용 솔루션들에 대한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액셀리아 웹사이트를 방문하기 바란다. 액셀리아 미디어 관계: accelya@missive.co.uk 미래 예측성 언급 이 보도 자료에 있으며 역사적 사실과 직접적이고 배타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모든 언급은 "미래 예측성 언급"을 구성한다. 이러한 언급은 현재의 기대와 믿음을 나타내며, 어떤 미래 예측성 언급에 명시된 결과, 목표 또는 계획이 달성될 수 있거나 달성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한 언급에는 실제 결과가 그러한 언급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는 수많은 가정, 리스크, 불확실성과 기타 요소들이 적용되며, 이 중 많은 요소들은 당사의 통제 범위 밖에 있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서면 설명은 2024년 3월 31일에 종료된 회계 연도의 DXC 사업 보고서 양식 10-K의 "위험 요소" 섹션과 그 후속으로 SEC에 제출한 서류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참조하기 바란다. 독자들은 작성된 날짜에만 적용되는 이러한 언급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당사는 법률이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미래 예측성 언급의 변경 내용을 업데이트하거나 배포하거나 본 서류 날짜 이후에 발생하는 사건 또는 상황을 보고하거나 예기치 못한 사건의 발생을 반영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 DXC테크놀로지 DXC테크놀로지(NYSE: DXC)는 글로벌 기업들이 IT를 현대화하고 데이터 아키텍처를 최적화하며 퍼블릭, 프라이빗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보안과 확장성을 보장하면서도 핵심 시스템과 사업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세계 최대의 기업들과 공공 분야 조직들이 DXC가 동사의 IT 자산 전반에 걸쳐 새로운 수준의 기능, 경쟁력과 고객 경험을 견인하는 서비스를 전개한다는 사실을 신뢰한다. DXC.com에서 우리가 고객사와 동료 기업들에게 탁월함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기 바란다. Sean B. Pasternak, DXC 테크놀로지, +1-647-975-7326, sean.pasternak@dxc.com; Roger Sachs, CFA, 투자자 관계 담당 부사장, +1-201 259-0801, roger.sachs@dxc.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2284/DXC_Technology_Company_DXC_Technology_and_Accelya_Partner_to_Acc.jpg?p=medium600

2024.10.30 19:10글로벌뉴스

[유미's 픽] 현대오토에버, 3Q 실적 새 역사 썼다…고정비 부담에 수익성은 '과제'

차량용 소프트웨어(SW)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현대오토에버가 올해 3분기 동안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높은 내부거래 비중(91.2%)에 힘입어 시스템 통합(SI) 매출이 급증한 데다 차량용 SW에서도 호조세를 이어간 덕분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한 9천46억원, 영업이익이 16% 늘어난 525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에 비해선 각각 1.5%, 23.4% 감소한 실적이지만,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9%, 누적 영업이익은 18.1% 늘었다.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5천540억원, 1천518억원이다. 매출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지만 영업이익은 기대보다 낮아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투자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는 매출 8천988억원, 영업이익 600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작년 3분기보다 0.3%p 하락한 5.8%를 기록했다. 7.5%를 기록한 전분기에 비해서도 다소 줄었다. 시장 기대치는 6.67% 였지만 이에 미치지 못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에 따라 증가한 것"이라며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보상체계 강화와 투자증가에 따라 수익성은 다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6% 증가한 447억원을 기록, 시장 기대치(500억원)보다 낮았다. 누적 당기순이익은 15.1% 상승한 1천235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분기 대비 3분기 당기순이익은 15.1% 감소했다. 영업외 손익은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 수익 감소로 1년 새 52.1%나 줄어 15억원에 그쳤다. 부채 비율은 지난해 3분기 75.8%에서 올해 2분기에 78.5%로 치솟았으나 3분기에는 74.7%로 소폭 줄었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공급가 인상분을 상쇄하는 고정비 인상이 판관비단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2025년 공급가 재협상 시즌까지 현대오토에버 손익에 지속적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오토에버가 3분기 동안 예상치보다 높은 매출을 기록한 것은 주력 사업인 ▲SI(system Integration) ▲ITO(IT Outsourcing) ▲차량 SW 등 3가지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SI 부문은 현대차의 차세대 ERP 시스템 구축과 모셔널 AWS 클라우드 공급, 북미 현대차·제네시스 차세대 CRM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이 이어진 덕분에 호실적을 기록했다. SI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6% 상승한 3천314억원으로, 매출 비중은 1년 전 31.8%보다 4.8%p(포인트) 늘어난 36.6%로 집계됐다.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한 8천988억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오토에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는 차량용 SW 매출도 큰 폭으로 올랐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0% 증가한 1천954억원으로, 매출 비중은 1년 새 1.1%p 오른 21.6%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외 내비게이션 옵션 선택률이 증가한 데다 모빌진 클래식 등 제어기 전장 SW가 확대 적용된 덕분이다.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5.6% 증가한 5천823억원을 기록했다. ITO 사업은 점차 매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건재한 모습을 보여줬다. 3분기 ITO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상승한 3천778억원, 누적 매출은 8.1% 늘어난 1조729억원으로 마무리됐다. 완성차 및 그룹사의 IT 운영 매출 증가, 국내 및 해외법인 CCS 서비스 운영 확대 등이 매출 상승에 주효했다. 다만 매출 비중은 1년 전보다 5.9%p 줄어든 41.8%에 그쳤다. 지역별 매출은 유럽, 인도, 중국에서 환율 상승효과에 힘입어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동안 유럽 매출은 1년 새 16.7% 늘어난 3천133만3천 유로(약 468억868만원), 인도 매출은 18.4% 상승한 9억1천만 루피(약 149억4천220만원), 중국에선 12.9% 증가한 6천만 위안(약 115억9천680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미주 지역에선 세일즈포스 기반의 차세대 CRM인 '코넥스' 등 프로젝트 청구 이월에 따른 매출 감소 여파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줄어든 8천428만3천 달러(약 1천145억원)에 그쳤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미주 시장에선 일부 프로젝트가 청구 이연됐다"며 "IT 서비스 업계에서 발주처와 수행사 등이 상호 협의를 통해 청구시점을 조정하는 일은 통상적이다"고 설명했다. 현대오토에버의 판매비와 관리비도 1년 새 10.1%나 늘었다. 연구비는 지난해 3분기와 동일한 119억원, 기타 비용 부문은 9.2% 줄어든 124억원으로 집계됐으나, 급여 등 인건비 부문에선 무려 36.5%나 늘어난 196억원을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올해 3월 김윤구 신임 대표 취임 후 외부 인재 영입에 몰두한 결과로 분석된다. 김 대표는 지난 3월 쏘카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 류석문 상무를 시작으로 4월에는 삼성전자 출신 전사적자원관리(ERP) 전문가 김선우 상무를 신설 ERP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올해 7월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출신 최원혁 상무와 쏘카 출신 지두현 상무를 각각 보안총괄임원(CISO)과 소프트웨어(SW)개발센터장에 영입한 바 있다. 8월에도 A.T. 커니 출신 박상수 상무와 포스코DX 장연세 상무를 영입해 각각 혁신전략컨버전스사업부장, SDx센터장에 임명했다. 연이은 인재 영입은 김 사장이 전략적으로 추진 중인 조직 체질 개선 작업의 일환이다. 김 사장은 현대오토에버가 글로벌 최고의 기술을 기반으로 대체 불가능한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핵심인재를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앞으로도 최고의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7:09장유미

배민 배달로봇 '딜리'를 달리게 하는 기술은?

"딜리가 배달하는 그날을 꿈꾸며 열심히 개발하고 있습니다." 30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우아한테크콘퍼런스2024'의 '자율주행 로봇을 위한 위치 인식 및 동작 계획 기술' 세션에서 우아한형제들 김동혁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엔지니어와 감제원 엔지니어는 우아한형제들이 개발 중인 자율주행 배달 로봇 '딜리'에 활용한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달리 위치 추적 위한 자체 개발 기술 '슬램(SLAM)' 감 엔지니어는 "로봇이 배달 음식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배달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위치 추적이 필요하다"며 "우아한형제들은 달리의 위치 추적을 위해 점군지도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점군지도의 오차는 약 0.2m로 지도 앱에 사용되는 GPS 등에 비해 오차가 적다"고 강조했다. 우아한형제들은 점군지도 생성에 자체 개발한 '슬램(SLAM)' 기술을 이용한다. 슬램은 임의의 공간에서 로봇이 이동하며 주변 환경에 대한 지도를 만드는 동시에 그 지도에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입력된 센서 데이터가 오도메트리(odometry) 모듈에 전달되고, 모듈이 로봇의 위치 변화를 매 순간 추정한 후 옵티마이제이션(optimization) 모듈이 오차를 교정해 점군지도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로봇의 현재 위치 추정은 우아한형제들이 자체 개발한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 기술을 통해 수행한다. 로컬라이제이션은 오도메트리 모듈과 대부분의 기능이 흡사하다. 다만 로컬라이제이션은 사전에 생성된 점군지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오드메트리 모듈과 차이가 있다. 감 엔지니어는 로컬라이제이션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규모 지도에서의 로봇의 초기 위치 파악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로컬라이저(relocalizer)' 모델을 마련했다. 또 점군지도가 나타내는 지역이 확장됨에 따라 지도 용량이 늘어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서브맵 매니저(submap manager)' 기능을 개발했다. 위치 추적 실패 시 로봇이 위험한 곳으로 향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경고를 보내는 '로컬라이저빌리티 에스티메이터(localizability estimatior)' 기능도 마련했다. 감 엔지니어는 "향후 대규모 지도를 생성하고 지도를 부분적으로 업데이트할 것"이라며 "더 적은 계산량과 메모리에도 강인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최적화 기반 플래닝'으로 로봇 경로 계획 김 엔지니어는 모션 플래닝 문제를 풀기 위한 도구로 최적화 기반 플래닝을 언급했다. 김 엔지니어는 "최적화 기반은 계산량 상한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문제가 복잡하다고해서 과도한 계산량이 들어가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 최적화 기반이 강점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배달이 너무 느리면 음식이 식기 때문에 로봇이 어느 정도는 고속으로 달려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인도에서는 여러 위험 상황이 있을 수 있다"며 "이러한 것들을 고려해 경로 계획 범위가 길어야 하고 최적화 기반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김 엔지니어는 국소 최적만을 만족하는 최적화 기반의 약점 극복 방안에 대해 다양한 연속 변형류에 속한 초기 경로를 찾아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짚었다. 구체적으로 ▲기하 공간 분석 ▲다수의 초기 경로 일정하게 샘플링 ▲학습 기반 통한 초기 경로 생성 등을 통해 다양한 연속 변형류에 속한 초기 경로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학습 기반 플래닝에 대해서는 "학습 기반은 확장성이 크기 때문에 잘 설계하고 학습한다면 어느 케이스든 다 다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반드시 우리 경로가 갖춰야 하는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학습 기반 플래닝 결과를 바로 쓸 수는 없고 최적화 기반에 물려서 한 번 더 검증하고 더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024.10.30 16:00조수민

배민 "배달로봇·AI로 글로벌 기업 도약할 것"

"요즘 제가 가장 많이 떠올린 단어는 '글로벌'입니다. 우아한형제들은 하나의 국가(한국)에서 배달을 주력으로 급격하게 성장해 왔지만, 이제는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입니다." 송재하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최고기술책임자(CTO)는 30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우아한테크콘퍼런스2024'에서 우아한형제들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송 CTO는 "기술 기업이라면 글로벌은 AI와 함께 어느 단계에서 한번쯤은 고민하는 주제겠지만, 우아한형제들은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 아래에 있는 수많은 브랜드가 함께하기 때문에 글로벌의 의미가 더 크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프로덕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브랜드와 함께 쓸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며 "우리의 인재와 역량이 글로벌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길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송 CTO는 우아한형제들이 주목하는 기술로 배달 로봇과 AI를 꼽았다. 송 CTO는 "배달 로봇이 점주, 고객, 라이더의 부담과 걱정을 대폭 줄이고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지식 탐색기 '물어보새'를 필두로 알맞은 배달 시간을 제시하기 위해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AI와 ML을 활용해 우리 일상 업무와 비즈니스를 혁신하려는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10.30 15:44조수민

"백수저 셰프 요리도 집에서"…롯데홈쇼핑, 셀럽과 협업해 미식 트렌드 선도

최근 넷플릭스 시리즈 흑백요리사 흥행으로 미식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더 높아진 가운데, 롯데홈쇼핑이 미식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차별화된 상품 소싱과 셀럽과의 협업을 늘리고 있어 주목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롯데홈쇼핑은 최현석 셰프가 출연하는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Tasty:맛)'을 비롯해 요리 전문가 빅마마 이혜정의 '롯데홈키친', 배우 김나운의 '라라쇼'를 통해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며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중이다. 지난 9월 새롭게 선보인 배우 이유리의 '요즘쇼핑 유리네'는 10월 방송 평균 주문건수가 9월 대비 약 80% 신장하는 등 인기 프로그램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셀럽 협업 방송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 시키며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스타 셰프 최현석 방송도 고객 주목도 ↑ 최근 최현석 셰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 셰프가 출연하고 있는 롯데홈쇼핑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에 대한 고객 주목도도 덩달아 높아졌다. 롯데홈쇼핑은 지난 2021년 최고의 셰프들과 협업해 유명 레스토랑의 인기 메뉴를 소개하는 식품 전문 프로그램 '테이스티:맛'을 선보였다. 코로나19로 외식 기회가 줄고, 집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레스토랑을 그대로 옮긴 듯 셰프의 요리를 어디서든 즐기자'라는 콘셉트로 기획하게 됐다. 최현석, 여경래, 미카엘 등 유명 셰프와 협업해 그들이 운영하는 레스토랑의 인기 메뉴를 소개하고, 다양한 레시피를 활용한 음식을 직접 조리해 선보인 결과, 롯데홈쇼핑의 대표 식품 프로그램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 이 과정에서 스타 셰프 최현석의 역할이 컸다. 최 셰프는 프로그램 출시부터 현재까지 3년 이상 꾸준히 출연하며 본인의 노하우가 담긴 '한우 스테이크 세트', '한우한돈 함박스테이크', '한우 곰탕' 등을 선보였다. 지난해 3월에는 '테이스티:맛' 출시 2주년을 맞아 변함없는 관심을 보내준 고객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고객 20명을 초청해 인기 상품을 직접 조리해 제공하는 특별 생방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고급 레스토랑 콘셉트로 제작된 세트에 재즈 밴드 '튠어라운드'의 라이브 공연이 더해져 참여 고객들의 큰 호응이 이어졌다. 최근에는 넷플릭스의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최 셰프에 대한 고객 주목도가 크게 올라갔다. 지난 8일 최 셰프가 엄선한 재료에 노하우를 더한 '맑은 한우곰탕', 특별 비법으로 마리네이드(조리 전 고기에 맛을 들이거나 부드럽게 하기 위해 재워 두는 액체)한 갈빗살과 우삼겹으로 구성된 '정육세트'를 선보여 60분 만에 6천세트 이상 판매되는 등 최 셰프에 대한 고객 관심이 주문으로 이어졌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10월 방송 평균 주문액은 올해 1~9월 과 비교해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테이스티:맛'을 통해 최 셰프와의 협업 상품을 강화하고, 유명 맛집 메뉴 등 차별화된 상품을 지속 발굴해 선보일 예정이다. 이혜정, 김나운 등 셀럽 협업 방송 인기 롯데홈쇼핑은 이혜정, 김나운 등 TV홈쇼핑 시청자와 친숙한 셀럽과의 협업 방송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홈쇼핑의 올해 상반기 셀럽 고정 프로그램 방송의 평균 주문액은 일반 방송과 비교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올해 4월 고객의 끼니 고민을 덜겠다는 취지로,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오후 5시 전후 시간대에 식품 전문프로그램 '롯데 홈키친'을 선보였다. 해운대 암소갈비, 경복궁 꽃갈비살 등 유명 맛집 상품부터 요리연구가 빅마마 이혜정 협업 상품까지 다양한 프리미엄 먹거리를 선보이며 론칭 5개월 만에 주문액 12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이혜정이 직접 출연해 본인만의 레시피를 활용한 음식을 선보이는 방송이 고객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10일 이혜정이 출연해 직접 엄선한 블랙타이거 새우와 노하우가 담긴 소스 등을 선보여 60분 만에 약 8천 세트가 판매되는 등 10월 동안(1~15일) 주문액이 약 20억원에 달한다. 홈쇼핑 경력 16년의 베테랑 방송인 김나운과 협업하는 방송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달 식품 전문 프로그램 '김나운의 요리조리' 개편을 통해 '김나운의 라라쇼'를 새롭게 선보였다. '가치 있는 쇼핑의 즐거움'이라는 슬로건으로 식품을 넘어 리빙, 생활, 패션 등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을 선보여 고객들에게 쇼핑의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지난 7일 프리미엄인 초이스 등급의 소목등심 구이 세트를 선보여 약 8억 원의 주문액을 기록하고, 14일에는 국내산 한우를 수작업으로 손질해 전통 방식으로 끓여낸 '한우도가니탕'을 선보여 7천 세트를 판매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롯데홈쇼핑은 향후 전문성을 기반으로 고객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은 셀럽과의 협업을 확대해 방송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정윤상 롯데홈쇼핑 방송제작부문장은 “인지도와 전문성을 두루 갖춘 셀럽 출연 방송에 대한 고객 신뢰도가 높은 편”이라며, “앞으로도 셀럽과 협업한 방송을 통해 차별화된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고객에게 즐거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30 15:32안희정

인피니언, 세계에서 가장 얇은 20µm 실리콘 전력 웨이퍼 공개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가 직경 300mm에 두께가 20µm(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한 실리콘 전력 웨이퍼 프로세싱에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는 업계서 역대 가장 얇은 전력 실리콘 웨이퍼다. 초박형 실리콘 웨이퍼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변환 솔루션 뿐만 아니라 컨슈머, 모터 제어 및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 효율, 전력 밀도 및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인피니언은 향후 2년 내 AI 비즈니스가 10억 유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초박형 실리콘 웨이퍼는 인간 머리카락 두께의 1/4에 크기로, 현재 첨단 웨이퍼 두께인 40-60µm의 절반에 불과하다. 웨이퍼 두께를 절반으로 줄이면 웨이퍼 기판 저항이 50% 감소해 기존 실리콘 웨이퍼 기반 솔루션 대비 전력 시스템에서 전력 손실이 15% 이상 줄어든다. 높은 전류 레벨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하이엔드 AI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압을 230V에서 1.8V 이하의 프로세서 전압으로 낮춰야 하는 전력 변환에 특히 중요하다. 초박형 웨이퍼 기술은 수직 트렌치 MOSFET 기술 기반의 수직 전력 공급 설계를 강화해 AI 칩 프로세서에 매우 가깝게 연결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킨다. 웨이퍼의 칩을 고정하는 금속 스택이 20µm보다 두껍기 때문에 웨이퍼 두께를 20µm로 줄이기 위해서는 혁신적이고 독특한 웨이퍼 그라인딩 방식을 구축해야 했다. 이는 얇은 웨이퍼의 뒷면을 핸들링하고 프로세싱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웨이퍼 휘어짐 및 분리와 같은 기술 및 생산 관련 과제는 백엔드 조립 공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µm 박막 웨이퍼 공정은 인피니언의 기존 제조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며, 새로운 기술을 기존 대량 실리콘(Si) 생산 라인에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어 최고의 수율과 공급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 기술은 이미 첫 고객에게 공급된 인피니언의IPS(Integrated Smart Power Stage, DC-DC 컨버터)에 검증 및 적용됐다. 이는 20µm 웨이퍼 기술과 관련된 강력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인피니언의 반도체 제조 혁신 리더십을 증명한다. 인피니언은 초박형 웨이퍼 기술의 램프업을 통해 향후 3~4년 내에 저전압 전력 컨버터용 기존 웨이퍼 기술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한다. 요흔 하나벡(Jochen Hanebeck) 인피니언 CEO(최고경영자)는 "인피니언의 초박형 웨이퍼 기술 혁신은 에너지 효율적인 전력 솔루션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라며 "인피니언은 Si, SiC, GaN 세 가지 반도체 소재를 모두 공급하는 혁신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말했다.

2024.10.30 15:05이나리

"배달 기술 한자리에"...배민, '우아한테크콘퍼런스2024' 개최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30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우아한테크콘퍼런스2024'(이하 우아콘)를 개최했다. 우아콘은 우아한형제들이 IT 생태계 발전을 위해 쌓아온 기술 성과와 지식을 공유하는 기술 교류 행사다. 올해로 다섯번째를 맞은 우아콘은 '한 번의 배달을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들'을 주제로 약 30여개의 발표 세션이 마련됐다. 우아한형제들 구성원이 직접 연사로 나서 백엔드, AI, ML, 프런트엔드, 모바일 앱, 로봇, 디자인, PM, 개발문화 등 각 분야의 성공 사례와 시행착오, 경험, 노하우 등을 공유했다. 이날 오프닝노트에서는 송재하 우아한형제들 CTO(최고기술책임자), 벤자민 만(Benjamin Mann) 딜리버리히어로(DH) CTO가 차례로 나서 글로벌로 도전하고 있는 우아한형제들의 IT 인재 육성과 양 사 간의 기술 교류에 대해 소개했다. 송 CTO는 "지금까지 기술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거듭해온 우아한형제들은 다른 차원으로 점프업 하고자 한다"며 "우아한형제들이 만든 프로덕트가 전세계에서 쓰일 수 있도록, 우리 인재와 역량이 글로벌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 CTO는 기술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우아한테크코스에 대해 언급했다. 우아한테크코스는 IT 업계에 필요한 개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우아한형제들이 2019년부터 시행해 온 개발 인재 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장 중심형 커리큘럼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발굴한다. 현재 5기까지 총 455명의 수료생 중 76%가 국내 유수의 IT 기업 및 스타트업에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올해는 우아한테크코스 출신 17명이 DH 독일 본사 및 아랍에미리트 현지 배달 앱 탈라밧(Talabat)에 입사해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벤자민 만 DH CTO는 "우아한테크코스를 통해 한국에서 양성된 젊은 엔지니어들의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우아한형제들은 앞으로도 미래 기술의 초석이 되어 새로운 해결책을 이끌어 나가는 개척 정신을 계속해서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우아한형제들 데이터사이언스그룹 한동훈 기술이사는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사례와 DH와의 글로벌 협력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한 기술이사는 "AI를 통해 기술과 기능을 강화해 임직원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객의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예시로 개인정보 노출 등 부적절한 요소가 있는 리뷰 이미지를 탐지하는 AI, 저화질이거나 구도가 기준에 맞지 않는 가게 메뉴판 음식 사진을 AI로 자동 조정하는 사례 등을 설명했다. 이어 한 기술이사는 우아한형제들의 글로벌 협력 및 기술 수출 사례로 배민이 자체 개발한 만다오(Mandao), 버즈(BUDS) 등을 소개했다. 만다오는 '만들어다오'의 줄임말로, 앱에서 진행하는 마케팅 프로모션 페이지를 클릭만으로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웹 에디터 프로그램이다. 쿠폰 적용, 이미지 업로드, 서버 배포 등의 마케팅 프로모션 개발의 전 과정을 하나로 통합해 작업자는 보다 쉽고 직관적인 결과물을 구현할 수 있다. 만다오는 현재 푸도라, 예멕세페티, 푸드판다 등 유럽, 아시아 지역의 DH 배달 플랫폼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다. 버즈는 '배민 유저 데이터 시스템'(Baemin User Data system)의 약자로, 특정 조건을 가진 고객을 타겟팅(Targeting) 할 수 있는 마케팅 툴이다. 데이터 기반 서비스가 무럭무럭 자라길 기원하는 새싹(Buds)의 의미도 담고 있다. 버즈는 고객 특성과 선호도를 반영해 맞춤형 메시지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고객을 선별할 데이터 항목을 추려 서울, 치킨 등의 항목 값을 입력하면 서울에 거주하면서 특정 기간 내 치킨을 주문한 고객을 찾아 그 숫자와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케터는 목표한 고객을 대상으로 손쉽게 메시지와 혜택을 전달할 수 있고, 배민은 정밀하게 타겟팅 된 콘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버즈는 DH가 운영해온 고객 데이터 플랫폼과 융합돼 '세그멘툼'(Segmentum)이라는 글로벌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로 재탄생해 전세계 43개국, 약 3억 6천만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DH 산하 배달앱에서 타겟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 기술이사는 "우아한형제들은 기술적인 역량을 발휘하며 DH 그룹은 물론, 나아가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 공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선순환 효과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2024.10.30 14:34조수민

캐즘에 실적 주춤 삼성SDI "내년 성장 기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등으로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써낸 삼성SDI가 내년 본격적인 실적 개선을 꾀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규모가 내년부터 크게 늘며 실적 개선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유럽연합(EU) 전기차 수요 개선으로 배터리 판매가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도 내비쳤다. 삼성SDI는 30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JV) 스타플러스에너지(SPE)는 예정보다 이른 올해 12월 첫 번째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라며 "나머지 3개 라인은 내년 1분기부터 매 분기 순차적으로 가동해 연산 33GWh 규모 생산능력(캐파)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헝가리 공장을 운영하면서 축적해 온 노하우를 SPE에도 적용, 램프업 기간을 1~2개월로 단축함으로써 단기간 내에 최적의 수요를 확보하고 고객 수요에 적기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SPE AMPC에 대해서는 "올해 4분기는 생산 초기로 수혜 금액이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스텔란티스의 다양한 신차 출시 등 적극적인 전기차 전략을 기반으로 SPE 라인을 풀 캐파로 가동할 수 있을 전망"이라며 "이에 따른 의미 있는 AMPC를 기대하고 있으며, 해당 자금은 JV 운영 자금과 향후 시설 투자를 위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전기차 부진 채워준 ESS 배터리...LFP 해외 거점 진출도 검토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증가로 ESS 관련 매출 증대가 예상된다. 올해 4분기도 중대형 전지는 ESS 중심 실적 개선을 예상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삼성SDI는 "미국 시장 중심으로 AI용 전력 수요는 올해 16TWh에서 2030년 약 6배 확대된 97TWh로 전망되고 있다"며 "주요 테크 기업들의 탄소 중립 등 기후 목표 달성 추진에 따라 신재생 발전과 ESS 수요도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을 높인 전력용 솔루션 '삼성 배터리 박스(SBB)를 출시해 제품 경쟁력을 높이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며 "3분기 20%이상의 매출 성장에 이어 4분기에는 매출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수익성도 지속 개선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또 "ESS 고객 수요의 경우 과거에는 단기 프로젝트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단일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고 장기 공급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며 "미국 3대 메이저 전력사들과 장기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내년 공급 물량까지 안정적으로 수주를 확보해, 향후 지속적인 실적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ESS 사업 성장을 위해 LFP 배터리 양산도 준비 중이다. 삼성SDI는 "최근 LFP 대형화, 셀 검증을 마치고 제품 설비 콘셉트 등을 확정해 지난달부터 울산사업장에 마더 라인 구축을 시작했다"며 "2026년 양산과 글로벌 프로젝트 공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LFP 캐파를 확대해 나가고 LFP 제품 기반으로 해외 거점 진출도 같이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먼저 국내 마더 라인에서의 검증과 초기 양산을 마친 후, 시장 규모가 지속 확대되고 있고 현지 생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는 미국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고 부연했다. 4분기 실적 개선 제한적 삼성SDI는 올해 3분기 매출 3조9천356억원, 영업이익 1천299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29.8%, 72.1%씩 감소한 수치다. 4분기 실적 전망도 밝지는 않다.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JV)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는 12월 조기 가동을 통해 미주에서 첫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하고, 유럽 주요 고객의 신차 출시에 따라 고부가제품 판매도 확대될 예정이다. 하지만 수요 성장세 둔화에 따른 고객 재고조정 영향 등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원형 전지는 수요 회복 지연 등 어려운 여건이 이어질 예정이며, 전자재료 부문은 전방 수요 둔화로 인한 고객의 재고 감축과 가동률 하락이 예상된다. 이에 삼성SDI는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및 E4휠러 시장 진입 등 중장기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반도체 소재는 주요 고객 점유율 유지와 SOD, EMC 소재 등 신규 진입을 추진하고, OLED 소재는 주요 고객사 신규 제품 출시에 맞춰 적기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내년 초 양산 예정인 46파이 원형 전지는 주요 고객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전망이다. 내년 유럽 전기차 수요 개선으로 매출 증가 기대 삼성SDI는 내년 전기차 시장 회복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유럽 CO2 규제 강화를 비롯해 다양한 정책 지원 확대 영향으로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SDI는 "“올해 유럽 전기차 시장은 8월 누계 기준 전년 대비 2% 정도 역신장을 했고 경기 침체와 주요국 보조금 지급 중단으로 타지역 대비 수요가 부진한 상황"이라며 "그렇지만 여러 변화 요인으로 인해 내년 유럽 수요가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당사 판매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OEM들은 유럽 내 판매 차량들의 평균 CO2 배출량을 2021년 대비 15% 감축해야 하는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올해보다 더 많은 전기차를 생산해야 하는 상황이며, 다수의 시장조사업체가 내년 유럽 전기차 수요가 올해 대비 최소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강조했다. 삼성SDI는 유럽 각국에서 전기차 정책 지원을 다시 확대하는 분위기에 주목한다. 삼성SDI는 "특히 유럽 시장 내 규모가 가장 큰 독일의 경우 지난 9월 차량 판매 70% 육박하는 법인용 차량 전기차 구입 시 세제 혜택과 법인차세 할인 대상 확대를 추진하는 상황"이라며 "당사가 공급하는 프리미엄 전기차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최근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확정으로 유럽 지역 내 현지 OEM 판매 비중 증가가 예상돼 당사 제품 수요 증가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 경영계획을 아직 수립 중이라 판매 전망 구체적 언급하기 이르지만, 주요 정책 변화들이 유럽 전기차 수요를 견인하며 당사 배터리 판매가 올해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삼성SDI는 중장기적 시장 성장에 대한 확신을 갖고 신규 수주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손미카엘 부사장은 "신규 수주와 관련해서는 최근 OEM들이 안전성, 에너지 밀도, 급속 충전 성능이 뛰어난 각형 배터리 채용을 적극 검토하면서 당사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초프리미엄 제품은 전고체 배터리, 볼륨 세그먼트형 NMX와 LFP 그리고 신규 폼팩터인 46파이 원형 배터리에 대해서도 다수의 고객과 프로젝트 수주를 협의 중에 있다"며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양질의 수주를 통해서 중장기 외형 성장과 수익성 확보를 동시에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10.30 12:26류은주

GIGABYTE, AORUS Z890 마더보드 출시 발표

-- GIGABYTE DDR5코르사– True AI Model on Board를 통해 향상된 성능 실현 타이베이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세계 최고의 컴퓨터 브랜드 GIGABYTE가 AORUS Z890 시리즈 메인보드를 정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최신 Intel® Core™ 울트라 프로세서의 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이 메인보드드는 첨단 기술을 반영한 열 관리 및 전력 설계와 더불어 AI 기술지원인 GIGABYTE DDR5코르사– True AI Model on Board를 탑재했다. GIGABYTE는 HWiNFO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CPU Vcore 전력 위상 출력 및 효율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보드의 성능을 강화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독보적인 성능과 완벽한 맞춤화를 선사할 AORUS Z890 시리즈 마더보드는 컴퓨터 매니아와 전문가를 위한 최상의 플랫폼이 될 것이다. GIGABYTE, AORUS Z890 마더보드 출시 발표. D5 Bionic Corsa를 통해 AI로 향상된 성능 실현 GIGABYTE DDR5코르사– True AI Model on Board는 AORUS Z890 시리즈 마더보드의 핵심 기술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펌웨어 등 세 영역에 걸쳐 AI 강화 기술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DDR5 메모리 속도 9500+ MT/s라는 전례 없는 속도를 실현시켰다. 또한 첨단 AI 오버클러킹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AI SNATCH 엔진이 DDR5 XMP 메모리 및 CPU 구성을 최적화하여 속도를 최대 20% 향상시킨다. 사용자는 XMP AI BOOST와 CPU AI BOOST를 통해 단 한번의 클릭으로 세계 최고의 오버클럭킹 성능을 즐길 수 있다. AI 기술을 이용한 PCB 설계로 반사도를 28.2% 줄여 신호 무결성을 개선했고 HyperTune BIOS가 MRC(Memory Reference Code)를 미세조정하여 최상의 신호전달 성능을 구현한다. 또한 VRM 열 밸런스 메커니즘의 방열 파이프 설계를 통해 VRM 전반에 걸쳐 뛰어난 방열성능을 보장하며 AI로 최적화된 PWM 펌웨어가 전류 출력을 조율하여 최상의 안정성을 실현한다. GIGABYTE는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바탕으로 HWiNFO와 독점적 파트너십을 맺어, Power Monitor를 통해 CPU Vcore 전력 단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 효율성 및 성능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은 수치적으로 검증된 품질을 제공하려는 GIGABYTE의 노력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다. AORUS Z890 시리즈는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장인정신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XTREME 모델은 프리미엄급 기능과 DDR Wind Blade Extreme을 통해 우수한 성능을 구현한다. MASTER 모델은 대형 방열판을 탑재하여 발열 관리 성능이 뛰어나다. 화이트 색상으로 출시된 PRO 모델은 다양한 용도를 지원하여 PC 커스텀 매니아들을 위한 최적의 제품이다. 마지막으로 ELITE 모델은 AORUS 제품군의 완벽한 입문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모델 전체가 M.2 EZ-Latch Plus, M.2 EZ-Latch Click, WIFI EZ-Plug 등 DIY PC조립 친화적인 기능을 총망라하여, 게이머들과 PC조립 매니아들을 위한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 AORUS Z890 마더보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AORUS 공식 웹사이트https://bit.ly/AORUS_Z890_Motherboards 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10.30 12:10글로벌뉴스

알리익스프레스, 11월 역대급 득템 찬스!

--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 개막 예고 - 11월 연중 최대 할인과 경품으로 찾아온다! 쇼핑 열기 UP - 파격 프로모션에 이어 광군제•블랙프라이데이까지 특별한 혜택 총출동 서울, 대한민국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연합뉴스/ -- 알리익스프레스가 11월 1일부터 12월 3일까지 소비자들에게 연중 최대 혜택을 제공하는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알리익스프레스, 11월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 개막 예고 이번 행사는 '초이스데이(11/1~11/7)', '11.11 광군제(11/1~11/18)', '블랙프라이데이(11/19~12/3)' 세 가지 대규모 이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대 최장 기간과 최대 규모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기간 동안 소비자들은 파격적인 할인 혜택은 물론, 알리 100원 래플, 타임딜, 결제 혜택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풍성한 쇼핑 경험을 누릴 수 있다. 11월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의 시작은 '초이스데이'로 화려하게 열린다. '초이스(Choice)'는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 고객을 위해 특별히 선별한 상품을 소개하는 서비스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제품들을 초저가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 초이스데이는 더욱 특별하게 준비됐다. 100만 개 이상의 베스트셀링 제품이 참여하는 최고의 특가 프로모션으로, 엄선된 연중 최저가 상품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초이스데이는 11월 1일 자정에 시작하여 7일간 진행되며, 최대 15% 할인 쿠폰과 함께 지정 카드사 및 페이사1) 결제 시 최대 20%의 추가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11월 1일부터 래플 예열 기간으로 시작되는 '11.11 광군제'는 알리익스프레스의 연중 최대 쇼핑 행사로,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을 더욱 빛낼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광군제가 25주년을 맞이하여, 현금 1억 원의 주인공을 찾는 '알리 100원 래플'을 포함한 더욱 파격적이고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많은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격적인 광군제를 앞두고 특별히 마련된 '알리 100원 래플' 이벤트는 11월 1일부터 18일까지 매일 진행되며, 소비자들은 단 100원으로 현금 1억 원, 명품 브랜드 상품, 앱 쿠폰 등 파격적인 경품을 획득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얻게 된다. 쇼핑의 기본인 재미와 가격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알리익스프레스의 광군제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또한, 11월 19일부터 12월 3일까지 '블랙프라이데이' 이벤트가 화려한 피날레를 장식할 예정이다.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의 마지막 행사인 만큼, 알리표 프로모션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 주목된다.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는 블랙프라이데이와 알급날 프로모션이 동시에 진행되어, 국내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중 마지막 더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후 11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는 '라스트 찬스(Last Chance)' 이벤트가 이어진다. 앞선 행사 동안 충분히 쇼핑을 즐기지 못한 소비자들을 위한 마지막 기회로, 직구 상품을 광군제와 동일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파격적인 프로모션이 마련되어 있다.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대표는 "올해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은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혜택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쇼핑의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라며,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들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최고의 쇼핑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앞으로도 한국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쇼핑 기회를 제공하여 더욱 친근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1) 카드사/페이사 관련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 참고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 글로벌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알리익스프레스(www.AliExpress.com)는 2010년 창립되었으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알리익스프레스를 통해 중국과 세계 각 지역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현재, 알리익스프레스는 18개 언어로 18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4.10.30 11:10글로벌뉴스

빅웨이브로보틱스, 제1회 테크 콘서트 개최

토탈 로봇 솔루션 기업 빅웨이브로보틱스는 로봇 통합관제 플랫폼 '솔링크' 개발 3주년을 기념해 내달 20일 '제1회 테크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행사는 솔링크의 개발 노하우를 로봇 산업계와 로봇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송준봉 빅웨이브로보틱스 CTO를 비롯한 개발팀이 솔링크의 고도화 과정, 로봇 작업 스케줄링과 사용자 경험·인터페이스(UX·UI),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 오픈 API 만들기 등에 대한 세미나를 펼칠 예정이다. 로봇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로봇 기업에서 일하고 싶은 예비개발자, 로봇을 공부하는 학생 등 로봇 소프트웨어 및 자동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포스터 QR 코드를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솔링크는 빅웨이브가 지난 2022년 선보인 다종 로봇 통합관제 플랫폼이다. 하나의 화면에서 각 로봇에 작업 지시를 내리거나 작업량 분석, 이상 여부 확인 등을 지원한다. 로봇과 로봇, 로봇과 인프라간 연동을 돕는 '솔링크 링커'와 복잡한 작업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솔링크 워크플로우빌더' 등을 출시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병원 전환을 원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솔링크를 통해 로봇의 사용량, 처리한 명령 건수, 이동거리 등을 종합해 사용량을 기반으로 한 로봇 서비스(RaaS) 요금제를 출시했다. 김민교 빅웨이브로보틱스 대표는 "솔링크가 3주년을 맞아 로봇 관리에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며 "솔링크의 개발 노하우를 공유하는 이번 테크 콘서트가 한국 로봇산업과 생태계가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는 오는 11월 20일 오후 1시부터 서울 강남구 앙트레블에서 열린다.

2024.10.30 11:01신영빈

서울iT아카데미-툰스퀘어, AI 웹툰 콘텐츠 인재 양성 산학협력 체결

서울iT아카데미 홍대(대표 이상헌, 이하 서울iT아카데미)가 생성형AI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분야의 선두기업인 툰스퀘어(대표 이호영)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iT아카데미는 2024년 상반기 K-디지털트레이닝로 생성형 AI 웹툰 과정을 국내 최초로 승인받은 교육 기관이다. 지난 6월에는 서울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서 미드저니와 스테이블디퓨전을 활용한 웹툰 기획 및 제작과정을 승인받기도 했다. 툰스퀘어는 AI콘텐츠 저작툴인 '투닝(Tooning)'을 운영하며 AI 크리에이터를 양성하는 기관이다. 2017년 삼성전자 사내벤처 프로젝트 'C-Lab'으로 공식 출범했다. 지난 1월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에 참가해 생성형 AI기술을 탑재한 '투닝 스튜디오'를 알리기도 했다. '투닝 스튜디오'는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웹툰 저작 툴로, 웹툰제작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약 10배 이상 단축시키는 효과적인 웹툰 제작 전용 툴이다. 최근 서울iT아카데미는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디지털 혁신 페스타'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웹툰 포트폴리오 전시회를 개최하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웹툰제작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리기도 했다. 자연어 분석 인공지능 기술(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기반으로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과 챗GPT(Chat GPT) 기술을 접목한 툰스퀘어와 서울iT아카데미는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생성형AI를 활용한 웹툰 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인적, 물적 교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툰스퀘어에서 개발한 투닝 스튜디오 서비스는 서울iT아카데미 홍대 웹툰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iT아카데미 이상헌 대표는 “빠르게 변화하는 AI 생태계에 적응하기 위해, 툰스퀘어와의 교류로 혁신을 추구하며 웹툰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30 10:34정진호

알리익스프레스, 내달 1일부터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 진행

알리익스프레스가 11월 1일부터 12월 3일까지 소비자들에게 연중 최대 할인을 제공하는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초이스데이', '11.11 광군제', '블랙프라이데이' 세 가지 이벤트로 구성돼 있으며, 역대 최장 기간과 최대 규모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기간 동안 소비자들은 알리 100원 래플, 타임딜, 결제 할인 등을 경험할 수 있다. 11월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의 시작은 '초이스데이'로 열린다. '초이스'는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 고객을 위해 특별히 선별한 상품을 소개하는 서비스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제품들을 초저가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 초이스데이는 100만 개 이상의 베스트셀링 제품이 참여하는 최고의 특가 프로모션으로, 엄선된 연중 최저가 상품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초이스데이는 11월 1일 자정에 시작해 7일간 진행되며, 최대 15% 할인 쿠폰과 함께 지정 카드사 및 페이사1) 결제 시 최대 20%의 추가 할인이 제공된다. 11월 1일부터 래플 예열 기간으로 시작되는 '11.11 광군제'는 알리익스프레스의 연중 최대 쇼핑 행사이다. 본격적인 광군제를 앞두고 마련된 '알리 100원 래플' 이벤트는 11월 1일부터 18일까지 매일 진행되며, 소비자들은 단 100원으로 현금 1억 원, 명품 브랜드 상품, 앱 쿠폰 등 파격적인 경품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1월 19일부터 12월 3일까지 '블랙프라이데이' 이벤트가 진행된다.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는 블랙프라이데이와 알급날 이벤트가 동시에 진행돼, 국내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중 마지막 더블 할인을 누릴 수 있다. 이후 11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는 '라스트 찬스' 이벤트가 이어진다.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대표는 "올해 글로벌 쇼핑 페스티벌은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혜택을 제공해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쇼핑의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라며, “파격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들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최고의 쇼핑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앞으로도 한국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쇼핑 기회를 제공하여 더욱 친근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2024.10.30 10:11안희정

핑퐁, 중국 최대의 무역 박람회와 제휴하여 전 세계 기업들이 고품질의 공급망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

광저우, 중국, 2024년 10월 30일 /PRNewswire/ -- 기업들을 위한 전 세계 최고의 국경 간 결제 플랫폼 중 하나인 핑퐁(PingPong)이 제136회 광저우 무역 박람회 기간 동안 무역 증진 이니셔티브인 '트레이드 브리지(Trade Bridge)'의 협력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공식 발표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며칠 동안 열리는 이 박람회는 3만 개 이상의 전 세계 기업들이 상품을 전시하고 200여 개 국가와 지역의13만 명 이상의 전 세계 바이어들을 유치한다. 광저우 무역 박람회의 '트레이드 브리지' 이니셔티브의 협력 파트너인 핑퐁은 글로벌 생태계를 활용하여 태국, 인도네시아, 한국, 베트남 등 전 세계에서 300명 이상의 바이어들을 이 행사에 유치했다. 이 바이어들은 손쉽게 중국 최고의 판매 업체들과 연결하고 공급 업체들을 점검함으로써 전 세계 무역의 경로를 개척한다. International Sellers engage with PingPong at the Canton Fairwile in search of suppliers 또한 핑퐁은 중국 판매 업체들과 전 세계의 고품질 바이어들을 매칭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바이어와 판매 업체의 니즈를 모두 지원하는 일대일 미팅을 주선해 왔다. 또한 핑퐁은 세 차례의 온오프라인 조달 매치메이킹 행사를 개최하여 이들의 전 세계 사업 확장의 새로운 기회를 열고 있다. 올해 초, 광저우 무역 박람회의 트레이드 브리지는 핑퐁과 포괄적인 전략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중국 기업들의 국제적인 사업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동사의 글로벌 생태계를 활용했다. 핑퐁의 파트너 겸 중소기업 그룹 제너럴 매니저 지안친 슈(jianqin Shu)는 "우리는 올해 광저우 무역 박람회에서 베트남, 한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 전 세계에서 현지 팀, 파트너와 바이어들을 유치하여 수백 명의 대표단을 구성한 뒤 무역 회사들과 직접 만나게 했다"면서 "이는 핑퐁의 가치가 단순한 결제 그 이상이며, 전 세계 바이들과 판매 업체들로 구성된 글로벌 생태계임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는 9월에 4,000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베트남에서 업계 서밋을 개최하여 기업들이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 바 있다. 앞으로도 우리는 더 많은 국가와 지역들로 우리의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소중한 만남의 기회를 제공하고 우리의 플랫폼에서 판매 업체들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핑퐁의 고객 중 한 명은 태국 바이어 수민 툰페이로(Sumin Tunpeiroh)이며, 이 행사의 대표이기도 하다. 그는 내년의 판매를 위해 새로운 강철 연삭기 구매를 원한다면서 "핑퐁은 훌륭한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최고의 기업들과 직접 소통하고 최신 제품들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핑퐁은 제136회 광저우 무역 박람회의 2, 3단계 동안 태국 및 한국의 바이어들과 중국의 고품질 공급 업체들을 매칭하는 데 중점을 두고 무역 거래의 주선을 지속적으로 촉진할 예정이다. 또한 핑퐁은 베트남 최고의 인플루언서 주주(ZhuZhu )와 태국 최고의 뷰티 블로거 피피(PeePee)를 초청하여 박람회 기간 동안 그들의 행사 경험을 라이브 스트리밍했다. 이러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해외 무역 회사들이 국제적인 인플루언서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심층 기회를 만들고 해외 시장과 소비자들에게 창을 열어주며 디지털 무역 시대에 기업들이 변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핑퐁 2015년 뉴욕에서 설립된 핑퐁의 목표는 기업들이 전 세계 사업을 확대하는 데 따르는 커다란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것이었다. 시간이 흘러 현재 핑퐁은 2,000억 달러 이상을 처리하는 세계 최고의 국경 간 글로벌 결제 플랫폼 중 하나가 되었다. 우리의 API 우선 국경 간 결제 플랫폼은 기업들과 통합되어 자금을 전 세계에 더 빠르게 송금, 관리 및 수령할 수 있다. 핑퐁은 현재 11개국에서 30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직원 수는 1,000명이 넘는다. 기업들은 우리의 전 세계 사업망을 통해 모든 시간대에 있는 모든 주요 경제권의 복잡한 결제 니즈를 해결한다. 광저우 무역 박람회: 가장 긴 역사, 가장 큰 규모, 가장 완전한 전시품, 가장 많은 바이어들의 참가, 가장 다양한 바이어들의 출신 지역, 중국에서 가장 큰 비즈니스 매출을 기록한 국제 무역 종합 행사인 광저우 무역 박람회는 중국 최고의 박람회이자 중국 대외 무역의 바로미터로 칭송받고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0631/PingPong_Canton_Fair_2024.jpg?p=medium600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2540632/PingPong_Logo.jpg?p=medium600

2024.10.30 10:10글로벌뉴스

삼성SDI, 3Q 실적 감소…"4Q 개선 제한적"

삼성SDI가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 영향으로 3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급감했다. 삼성SDI는 올해 3분기 매출 3조9천356억원, 영업이익 1천299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29.8%, 72.1%씩 감소했다. 삼성SDI는 편광필름 사업 양도 결정에 따라 3분기 실적부터 해당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별도 분리했다. 편광필름 사업을 포함할 경우 매출은 4조2천520억원, 영업이익은 1천413억원이다. 전지 부문 매출은 3조6천7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전분기 대비 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6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전분기 대비 69% 줄었다. 각형 전지는 유럽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와 환율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감소했으나, 미주 내 P6 배터리 공급 확대로 매출이 성장했다. 에너지밀도와 안전성이 강화된 SBB 1.5 출시 등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전분기 일회성 이익 반영에 따른 기저 효과와 전기차용 판매 감소에 따른 가동률 하락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파우치형 전지는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2천6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전분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전분기 대비 102% 늘었다. 고부가 OLED 소재를 중심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으며, 반도체 소재는 전분기와 동등한 수준 실적을 유지했다. 삼성SDI는 3분기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전지를 중심으로 GM과 조인트벤처 계약 체결, 유럽과 아시아 주요 OEM향 신규 수주 확보, 전력용 SBB 1.5 출시 등 중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다만, 4분기 실적은 보수적으로 전망했다. 스텔란티스와의 조인트벤처인 스타플러스는 12월 조기 가동을 통해 미주에서 첫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하고, 유럽 주요 고객 신차 출시에 따라 고부가제품의 판매도 확대할 예정이다. 단, 수요 성장세 둔화에 따른 고객 재고조정 영향 등으로 실적 개선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ESS 전지는 미주 내 전력용 SBB 제품 판매의 고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유럽에서도 전력용 SBB 제품과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고출력 전지 판매가 증가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원형 전지는 수요 회복 지연 등 어려운 여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는 주요 고객과의 협력을 통해 수요 둔화 영향을 최소화하고,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및 E4휠러 시장 진입 등 중장기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025년 초 양산 예정인 46파이 원형 전지는 주요 고객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전자재료 부문은 전방 수요 둔화로 인한 고객들의 재고 감축과 가동률 하락이 예상된다. 반도체 소재는 주요 고객 점유율 유지와 SOD, EMC 소재 등 신규 진입을 추진하고, OLED 소재는 주요 고객사 신규 제품 출시에 맞춰 적기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윤호 삼성SDI 사장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각형 프리미엄 배터리를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업계를 선도하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최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시장 수요 회복세에 맞춰 새로운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10.30 10:09류은주

열두 개의 국제적인 기업들이 FII 인스티튜트의 전략 파트너 명단에 새로 합류: 전략 파트너들은 투자를 통해 인류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동 인스티튜트의 사명을 지원한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29일 /PRNewswire/ -- 열두 개의 국제적인 기업들이 FII 인스티튜트의 전략 파트너 명단에 추가되었다. 이 기업들은 지속 가능하고 공평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그 수가 늘고 있는 비즈니스, 기술, 항공, 에너지, 학계 및 공공 정책 분야의 리더들로 구성된 커뮤니티에 합류한다. Twelve New International Companies Join FII Institute Roster of Strategic Partners: Strategic Partners Support Its Mission to Drive a Positive Impact on Humanity Through Investment. FII 인스티튜트는 전 세계 이니셔티브, 국제 서밋, 정책 개발, 전 세계 설문조사와 지수 등의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한다. 전략 파트너들은 이 프로그램의 핵심이며 동 인스티튜트에 책임자들과 대표단을 파견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다. 열두 개의 이 새로운 전략 파트너는 ACWA 파워, ALAT, 클라우어 그룹, 프랭클린 템플턴, 킹 살만 국제공항, 미네르바 푸드, NBK, 프리미엄 레지던시 센터, 리야드 항공과 SCAI이다. 또한 FII 인스티튜트는 제너럴 애틀랜틱과 레이크스타를 벤처 프로그램 창립 파트너로 소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벤처 프로그램 파트너는 곧 있을 FII8 인베스트먼트 데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최고의 기업들이다. FII 인스티튜트 벤처 프로그램은 혁신, 투자, 비즈니스 및 교육 육성 협력 분야의 기업가와 저명한 리더들을 한데 모아 AI와 로보틱스, 지속가능성, 보건 및 교육 분야의 전 세계 과제들을 해결한다. 열두 개의 이 새로운 파트너들은 창립 파트너인 사우디아라비아 공공투자펀드(PIF)와 비전 파트너들인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 아람코, 디리야, 에마르, GFH, HSBC, KAFD, 마덴, NEOM, 뉴무라바, 레드시 글로벌, 리야드 은행, ROSHN, 왕립 알룰라 위원회, SABIC, 사나빌 인베스트먼트, SNB,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 스탠다드차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 STC, THIQAH, 비전 인베스트 등 기존 전략 파트너들에 합류했다. 올해 FII8 활동은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리야드에서 사흘 동안 열리는 인류가 직면한 과제들에 관한 집중 토론과 일주일 간의 부대 행사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이 연례 컨퍼런스에는 600명 이상의 연사와 전 세계 지도자, 장관, CEO, 투자자, 설립자와 공공 정책 전문가 등 8,000명 이상의 대표단들이 참석한다. 'FII8 지원 파트너'에는 BMW, 사우디아, 술라이만 알하비브 박사 그리고 사우디 전력 공사가 들어 있다. 통찰, 사고, 전담 패널 토론은 액센추어, ADL, 베인 & 컴퍼니, BCG, 컬럼비아, 딜로이트, EY, FPA2, EY, 더 글로벌 펀드, 헤볼루션, 커니, KPMG, 맥킨지, 올리버 와이먼, PWC, 스트래티지&, UNDP, UNHCR, 유니세프, 세계은행, 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교(KAUST)와 UM6P 등 최고의 컨설팅 회사, 대학과 기관들로 구성된 '지식 및 학술 파트너'들이 지원한다. FII 인스티튜트 CEO 리처드 아티아스(Richard Attias)는 "우리 파트너들은 인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FII 인스티튜트 사명의 기초"라고 하면서 "우리는 우리 네트워크의 확장에 맞춰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전 세계의 역량을 통합하고 영향력 있는 이니셔티브를 만들고 있다. 60개 이상의 우수한 파트너들과 힘을 합친 우리는 공동의 힘을 활용하여 시급한 과제를 해결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 우리 모두는 한계를 타파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 문의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media@fii-institute.org에 연락하기 바란다. FII 인스티튜트: 퓨처 인베스트먼트 이니셔티브(FII) 인스티튜트는 투자 부문과 인류에 대한 영향이라는 하나의 의제를 갖고 있는 세계적인 비영리 재단이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포용적이며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동하는 우리는 인공 지능(AI)과 로보틱스, 교육, 보건 및 지속 가능성의 네 가지 핵심 분야의 전 세계의 우수한 인재들을 육성하고 아이디어를 실제적인 솔루션과 행동으로 바꾸고 있다.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41340/FIII.jpg?p=medium600

2024.10.29 22:10글로벌뉴스

KAIST 교협 "총장후보로 김정호·류석영 교수 선정"

KAIST 교수협의회(이하 교협, 회장 박수경)가 제 18대 KAIST 총장 후보로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류석영 전산학부 교수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교협은 지난 9월 총장후보추천위원회(총추위, 위원장 배병수)를 구성하고, 총장 후보 2인을 가려 뽑기 위한 절차를 진행해 왔다. 교협은 지난 3월부터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발전 아젠다 8개 항목을 발굴하고, 세 차례에 걸친 후보자 합동 간담회와 후보별 Q&A 세션, 투표를 통해 최종 후보 2인을 결정했다. 투표는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1주일 동안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박수경 교협회장은 "이 선거 기간 전체 교수 713명 가운데 697명인 97.8%가 교수협의회에 가입했다"며 "91.3%인 636명이 투표에 참여하는 등 사상 최고의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투표 결과 1순위 투표에서는 최다 득표(246표, 38.7%)를 얻은 김정호 후보로 결정했다. 2순위 투표에서는 과반의 지지를 얻은 (342표, 53.8%) 류석영 후보로 선출했다. 교수협의회 회칙에 따르면 1인을 선발하는 1순위 투표와 1순위 당선자를 제외한 2인 중 1인을 선발하는 2순위 투표로 총장 후보 2인을 결정한다. 박 회장은 "교협 구성원들의 열망이 폭발적인 투표 참여율 상승으로 나타났다"며 "교협이 제시한 8개 아젠다를 차기 총장 주요 정책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여론도 투표자의 87.9%나 된다"고 부연 설명했다. 교협이 3개월에 걸쳐 선정한 KAIST 발전 어젠다는 ◇기관운영 분야에서 ▲우수교원 확보 및 인센티브 강화 ▲무기계약직 제도 개선 ▲자원정보 공유 활성화 ▲구성원 심신 건강 컨트롤타워 구축, ◇연구분야에서는 ▲연구시스템 혁신 ▲전략연구 분야 리더십 확보 등이다. 또 ◇교육 분야에서는 ▲AI시대에 맞춘 학부 교육 혁신 ▲국내외 인재 유치 위한 대학원 환경 개선 등 모두 8개다. KAIST 총장 선출 방법은 교협과 이사회, 자천 등 모두 3개 루트가 있다. 교협 루트는 총장후보추천위원회(총추위)를 만들어 후보 2인을 이사회에 추천한다. 이번에 발표한 김 교수와 류 교수 케이스다. 이사회 루트는 총장후보 발굴위원회(총발위)를 구성해 총장 후보를 추천한다. 또 개인이 총장 초빙 공고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이사회는 이들 3가지 루트로 올라온 후보를 대상으로 총장후보선임위원회(총선위)를 구성해 총장후보 최종 3인을 선출한다. 이어 인사검증을 거쳐 이사회 표결로 최종 총장 후보를 선임하게 된다. 현재 이사회는 지난 8월 말 총장 후보 선출을 위한 킥오프 미팅을 개최했다. 오는 11월 열릴 이사회에서는 총선위 구성과 공모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선발 일정을 확정하진 않았지만, 정상 진행될 경우 오는 12월께면 최종 총장후보 3인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종 후보 1인은 내년 2월 이사회 표결로 결정될 예정이다. 박수경 회장은 "이사회 측과 현재 소통을 잘하고 있다"며 "오는 11월 열릴 이사회에서 총장후보 선발과 관련한 안건이 올라 올 것으로 예상, 예이 주시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교협이 추천을 통해 총장을 배출한 케이스는 제11대 홍창선 총장이 유일하다.

2024.10.29 20:27박희범

비반24, 혁신적 기회의 '문' 만든다

-- 전 세계 중소기업과 기업가들 새로운 가능성 모색 지원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0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 사우디아라비아가 세계 최고의 투자처로 자리매김하면서 자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기업가들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대표적인 스타트업, 기업가 정신 및 중소기업 포럼인 비반24(Biban24)는 다양한 기회의 '문'을 제공해 비즈니스 리더와 투자자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세계 각국의 기업가, 기업, 혁신가, 고위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인맥을 넓히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글로벌 중소기업 생태계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비반24 포럼은 2024년 11월 5일부터 9일까지 개최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중소기업청 몬샤트(Monsha'at)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리야드 프런트 전시 및 콘퍼런스 센터에서 개최된다. '기회를 위한 글로벌 목적지(Global Destination for Opportunities)'라는 주제로 국내외 기업가를 위해 사우디 기업 생태계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번 콘퍼런스는 비전 2030(Vision 2030)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혁신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고, 참가자들이 9개의 핵심 영역(활성화,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자금 및 투자, 스타트업, 혁신, 전자상거래, 프랜차이즈, 시장)을 탐색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각각의 영역은 기업과 기업가들이 한 단계 더 성장하고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살필 수 있는 공간이다. 중소기업 소유주와 기업가를 위한 '활성화' 영역에서는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 및 구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돕는 이니셔티브를 살펴본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영역에서는 국내외 중소기업을 집중 조명한다. 이들의 성공 사례를 들여다보며 중소기업이 협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자금 및 투자 영역은 대출, 금융 상담, 투자 등 다양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타트업' 영역은 전 세계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에 성공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며, 중소기업을 서비스 제공업체, 혁신가, 투자 기관과 한자리에 연결한다. '혁신' 영역은 새로운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기업가들이 창업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상거래' 영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주변 지역 비즈니스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몬샤트가 추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을 알리고 현대적인 소매 산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해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프랜차이즈' 영역은 프랜차이즈 사업 모델을 소개하고, 프랜차이즈 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안내한다. 글로벌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시장' 영역은 판매자와 기업이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https://bibanglobal.sa/en

2024.10.29 17:10글로벌뉴스

림프부종 환자 위한 가정용 체수분측정기 'BWA ON' 출시

림프부종 환자가 집에서 몸 안의 수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정용 체수분측정기가 출시됐다. 인바디는 림프부종 환자를 위한 가정용 체수분측정기 'BWA ON' 론칭 기자간담회를 29일 서울 강남구 본사에서 진행했다. BWA ON은 가정에서 체수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홈케어 솔루션으로 전문가용 체수분측정기의 고사양 스펙을 그대로 적용해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BWA ON 장비와 체수분 측정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자용 'BWA 림프부종 케어' 앱, 환자 데이터 관리를 지원하는 의료진용 웹 플랫폼으로 구성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이다. 인바디 신현주 BWA 파트장은 “BWA는 인바디의 체수분측정기 브랜드로 체수분 측정이 중요한 투석, 재활, 영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며 “12년간 체수분기 영업을 해왔는데 정확한 수분측정, 환자에게 도움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장비를 환자가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많았고, 집에서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BWA ON을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신 파트장은 “BWA 세포 내외수분 비율이 중요하다. 체수분 측정이 필요한 환자에 특화해 개발했으며, 저주파수부터 고주파수까지 다양하게 사용해 세포 내외수분을 따로 측정한다”며 “가정용 장비임에도 인바디 체수분 전문직원이 방문설치하고, 한 달 뒤 재방문해 잘 사용하는 지, 문제는 없는지 보고 측정을 독려해준다. 또 올바른 자가관리 방법 등을 카드뉴스 등으로 제공한다”고 말했다. 또 “환자용 앱은 수술 팔의 부종 변화 항목을 통해 팔이 붓지 않는지 매일 확인이 가능하고, 림프부종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 아닌 직전 결과 대비 위험도를 예측하고 치료 전후 결과 확인해 개인의 부종 루틴 가이드로 활용이 가능하다”며 “요리 전후, 명절 스트레스 전후, 짠음식 섭취 전후, 여행 전후 등 다양한 활동이 림프부종 악화에 영향을 주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수술받은 경우 주차별 신체 부종의 변화 양상을 확인해 지난주 대비 평균 비교, 이번주 추세 등도 확인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누적 결과를 통해 림프부종 상태가 개선 또는 악화되는지 확인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영업은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진행한다. 신 파트장은 “체수분기에 대한 생소함이 아직 있다. 이에 환자에게는 수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가장 베스트로 의료진이 부종관리 힘들어하는 환자에게 제품을 추천해 주는 것인데 이를 위한 사업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인바디 손성도 부사장은 “현재 단품 가격이 100만원대로 생각하고 있는데 사업을 진행하며 변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등 서비스 확대도 준비 중이다. 손성도 부사장은 “해외 진출은 국내에서 제품이 정착하고 안정화된 뒤, 환자의 피드백도 보고 판단할 계획”이라며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우선해 진출하기 위한 인증 절차는 마친 상태이고, (시기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신현주 파트장은 “부전, 혈액투석, 당뇨, 암 등 체수분 관리가 중요한 질환을 대상으로 서비스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며 “인바디 해외법인 등 영업망을 이용한 글로벌 진출 준비 중으로 질환, 국가별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손성도 부사장은 “우리의 디지털헬스케어 비전은 하드웨어 기업이지만 그동안 축적된 빅데이터도 활용해 솔루션 기업이다. 림프부종의 가정용 솔루션, 의사와 환자 연계 솔루션을 점진적으로 확장해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림프부종은 림프계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2기 이상이 되면 비가역적으로 진행돼 조기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지만 3~6개월마다 병원 정기방문, 검사 등은 어려움이 있었다. BWA ON 솔루션은 림프부종 환자가 가정에서 간편하게 체수분과 근육량 변화를 측정해 부종 조기평가 및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앱을 통해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체계적인 질환 관리도 지원한다. 회사 측에 따르면 BWA ON은 5, 50, 250kHz의 다주파수를 사용해 총체수분과 세포외수분을 정밀하게 측정해 초기단계에서 간질액 증가를 감지하고, 림프부종의 초기 평가와 경과 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또 부위별 임피던스 측정법을 정용해 환측과 정상부위를 비교하거나, 총체수분에서 세포외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평가해 초기 평가 및 경과관리에 유용하며, 성별 및 연령별 맞춤형 평가결과도 제공한다.

2024.10.29 16:22조민규

  Prev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예스24, '해킹 맛집' 오명…왜 또 먹통됐나

[르포] "과수원으로 이동해 줘"…진화하는 농업 로봇 시대 왔다

전 구글 임원 충격 발언…"15년 내 AI 디스토피아 온다"

통신사 AI사업 성장 재확인...하반기 가입자 쟁탈전 미지수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