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생활/문화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인공지능
배터리
양자컴퓨팅
IT'sight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토지노/카지노 각종 편의기능 솔루션 '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15795건)

  • 영역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개발자 채용 주춤해도 '서버·백엔드' 수요는 여전

올해 개발자 채용 수요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서버·백엔드 개발자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렙(대표 임성수)은 최근 진행한 개발자 채용 및 평가 동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7월 19일부터 8일 간 진행됐고, 기업 관계자 649명이 참여했다. 조사에 따르면,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채용 규모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12%에 그친 반면 이에 3배에 가까운 응답자 34%는 "올해 채용 규모를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 그렙 관계자는 "특히 50인 미만 소규모 기업에서 채용 감소가 두드러졌다"면서도 "다만 개발자 중 서버와 백엔드, 프론트엔드 개발자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았고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도 여전히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개발자 채용 분야의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채용 기업들은 개발자 평가를 위한 문제 출제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렙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개발자 평가 과정에서 적절한 난도의 문제를 출제하고 직무에 필요한 기술 및 역량을 정의하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면서 "특히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더 크게 느끼고 있어 실무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은 개발자 기술 역량 검증을 위해 코딩 테스트를 도입하는 것 추세가 두드러졌다. 응답 기업 중 45.3%는 코딩 테스트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 중이고 대기업의 코딩 테스트 도입 비율은 이를 웃돌았다. 그렙 관계자는 "코딩 테스트는 개발자 채용 평가에 주요 평가 사항으로 자리잡았다"며 "응답자 98.7%가 코딩 테스트 결과가 채용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코딩 테스트를 보완하기 위한 실무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와 프로젝트 테스트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성수 그렙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는 개발자 채용을 원하는 기업의 올해 채용 수요와 평가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그리고 평가 도구의 사용 현황 등을 보여주는 자료"라며 "코딩 테스트 및 실무역량평가 솔루션 프로그래머스를 통해 기업들의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평가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그래머스는 코딩 테스트, 실무 역량 테스트, 코딩 인증 자격 등 개발자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들을 통해,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공정한 채용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4.09.12 11:06백봉삼

스맥, 獨 AMB 2024 참가…하이엔드 공략 확대

공작기계·로봇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스맥은 유럽 최대규모 로컬 전시회 'AMB 2024'에 참가했다고 12일 밝혔다. 국제 공작기계 전시회 AMB 2024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오는 14일까지 개최된다. 유럽을 비롯한 세계 주요 메이커가 참가한다. 스맥은 하이엔드 장비를 주축으로 유럽 하이엔드 시장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스맥은 유럽 공작기계 전시회 EMO에 매회 최대 규모로 참가하고 있다. 급변하는 유럽시장에 대해 속도감 있는 마케팅과 보다 공격적인 영업을 위해 이번 전시에도 참가했다. 스맥은 2020년부터 협업하고 있는 독일 핵심 파트너 딜러사 더블유에스에프(WSF)와 함께 부스를 꾸렸다. 4차 산업을 주도하는 자동화 컨셉을 기반으로 8대의 공작기계 모델과 다양한 공작기계 연동 지능형 로봇, 공정 자동화 솔루션을 실제 가공 운행했다. 스맥은 산업 변화에 발맞추어 복합 가공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하이엔드급 장비인 복합가공기(밀턴) 장비와 다양한 형상 가공을 지원하는 다축 MCT를 선보였다. 유럽 고객의 니즈에 맞춘 고급화된 하이덴하인, 지멘스 컨트롤러를 탑재한 장비를 지속 런칭해 유럽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스맥 관계자는 "신규 개발된 하이엔드 장비를 주축으로 유럽·미국 하이엔드 장비 시장에 본격적으로 확대 진출에 나서고 있다"며 "판매 확대를 위해 파트너 딜러사를 위한 기술·영업적 지원뿐만 아니라 향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AI 지능형 제조시스템 기술, 디지털 트윈, IIOT 등을 접목한 제품 개발에도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4.09.12 11:01신영빈

최태원 "사회난제 해결 위한 '일석다조' 아이디어 필요"

"소통과 교류,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1석 2조가 아니라 일석다(多)조 아이디가 필요합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2일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하며 '같이'의 시너지를 강조했다. 그는 "사회적 가치는 '같이' 할수록 임팩트가 커지며, 혼자서 못하는 일도 같이하면 해결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치고, 또 시민단체와 학계와 머리를 맞대고, 다양한 영역의 주체들의 힘을 모으면 이른바 콜렉티브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를 파괴적 아이디어와 혁신이 생겨나도록,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가치 플랫폼'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우리가 혼자 꿈을 꾸면, 그것은 단지 꿈에 지나지 않지만 여럿이 같은 꿈을 꾸면 그것은 꿈이 아닌 현실이 된다고 한다"며 "현실을 모두 다 함께 만들어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나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SK, LG, 정부부처 등 130여개 전시 부스 운영…일반인 6천여명 방문 이날 행사에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과 단체 뿐 아니라 정부, 학계, 시민사회 등 전 분야 이해관계자 200여곳이 참가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과 이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일반 시민과 학생을 포함 6천여명 대규모 인원이 방문했다. 대한상의는 이번 행사 취지에 대해 “한국기업들이 사회문제 어젠다에 이미 많이 관여하고 있다”며 “이번 사회적 가치 페스타 행사는 복잡한 사회문제들을 매번 정부가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업을 포함한 모든 주체가 함께 문제를 풀어가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취지”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사회문제 지도도 발표했다. 최근 대한상의가 임펙트스퀘어와 함께 최근 사회적가치연구원의 국민 사회문제 인식조사와 대기업 97개사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다. 사회 각 부문의 사회문제 해결 활동을 소개하고 서로 격려하는 한편 협업 기회를 찾기 위해 마련된 전시부스에는 정부와 민간, 학계, 협단체 약 130여곳이 참여했다. 각 사의 여러 활동들을 소개하는 민간기업 부스에 대한 관심도 두드러졌다. ■ 리더스 서밋 행사에 각계 리더 140여명 참여…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정부와 기업, 학계, 사회적 기업 등 각계를 대표하는 리더 14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리더스 서밋 행사가 아셈볼룸에서 개최됐다. 이날 현장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을 비롯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 유석진 코오롱Fnc 사장, 정경선 현대해상화재보험 CSO, 임성복 롯데지주 전무 등이 경제계를 대표해 참석했다. SE생태계에서는 서인식 센시 대표, 도현명 임팩트스퀘어 대표, 남보현 HGI 대표가, 학계에서는 김연성 한국경영학회장, 이재열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리더스 서밋은 '대한민국이 당면한 주요 사회문제와 이해관계자 협업 방안'을 주제로 국민과 기업이 주목하고 있는 사회문제를 살펴보고, 문제해결을 위한 각계 리더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논의를 위한 전문세션도 한국경영학회를 비롯해 사회적기업진흥원, 카카오임팩트, CAPS 등 국내외 20여 기관 주관으로 종일 진행했다. 이 외에도 가치소비 확산을 위한 마켓에서는 대체육을 비롯한 각종 친환경 먹거리와 제품들, 지역특산물과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되어 참관객의 발길을 붙잡았다. 또한 비즈니스 네트워킹 세션에서는 파타고니아 등이 참여하는 미니 북토크와 기업 및 관계자 간 협업을 위한 대면미팅이 종일 이어졌다.

2024.09.12 10:59류은주

컴퓨존, '조립PC 견적내기' 서비스 개편

컴퓨존은 소비자 대상 조립PC 부품을 구성할 수 있는 '조립PC 견적내기' 서비스를 개편하고 편의성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조립PC 견적내기' 서비스는 조립 PC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부품과 예산에 따라 각종 부품을 직접 구성하고 가격대를 예측할 수 있는 서비스다. 서비스 개편을 통해 인기 견적 및 부품 추천 데이터를 제공해 최적의 선택을 돕고, 호환성 검토 기능을 통해 견적의 이상 유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자동 분석 기능이 강화됐다.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는 한편 반응형 웹 기술을 적용해 데스크톱PC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는 최적 비율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빠른견적' 서비스는 컴퓨존이 보유한 방대한 고객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하는 가격대를 선택하면 예산에 맞춰 인기 완제 조립PC를 추천한다. '셀프견적' 서비스는 PC 부품을 선택하면 각 부품들간 호환 여부와 실 구매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부품을 추천해주며, 현재 담은 내역과 유사한 조합의 조립 PC 상품이 존재할 경우 함께 추천하는 맞춤형 큐레이팅 서비스도 추가됐다. 컴퓨존 관계자는 "이번 서비스 개편은 PC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초보자부터 평소 컴퓨터 부품에 익숙한 고객까지 모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서비스 신설/확장을 통해 고객 편의 증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9.12 10:28권봉석

LLM 시대, 전문가가 바라보는 국방 위협 요소는?

대규모 언어모델(LLM) 활용이 본격화되는 추세에 따라 국방 분야에서의 위험성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개최한다. 12일 한국국방연구원(KIDA) 산하 국방데이터연구단과 바른 과학기술 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AI미래포럼은 '제 8차 국방데이터 혁신 네트워크-토크'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IT서비스학회와 모두의연구소, 지디넷코리아, 한국경제가 후원하는 국방데이터 혁신 네트워크-토크는 국방 분야의 데이터와 AI 기술 사용을 토론하고 혁신적인 솔루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합성 데이터, AI의 안전한 사용, AI 신뢰성 평가 방안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들이 발표하고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또한, 생성형 AI의 군사적 적용 가능성과 관련된 기술적 진보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지며, 국방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산업계와 학계의 협력을 논의한다. 26일 오후 2시 서울 강남 모두의연구소 강남캠퍼스에서 진행하는 8차 토론회는 'LLM 보안'을 주제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윤두식 이로운앤컴퍼니 대표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한 LLM 탈옥(Jailbreaking) 위협과 방어방안)을 주제로 AI의 위험성을 발표한다. 이어 SK쉴도스 이호석 팀장이 '사용자, 개발자 모두 알아야 하는 LLM 해킹 트랜드 및 보안전략'이라는 내용으로 AI시대의 보안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 전문가 발표 이후에는 LIG 넥스원 진정훈 수석 연구원, 한화시스템 김유신 상무, 세종대학교 강지원 교수,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류승진 실장 등이 참석하는 패널토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2024.09.12 10:21남혁우

Akamai의 최근 연구 결과 클라우드 공급업체 선택 시 비용, 확장성보다 보안을 더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DNB의 비율은 87%

아시아의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의 우선순위 변화에 관한 연구 결과, 기술 도입의 가속이 변화하는 복잡성 및 보안 리스크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식을 요구 싱가포르, 2024년 9월 12일 /PRNewswire/ -- 온라인 라이프를 강력하게 지원하고 보호하는 클라우드 기업인 Akamai Technologies, Inc.(NASDAQ: AKAM)는 오늘 아시아의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DNB)들이 클라우드 도입을 가속하면서 보안 및 기술 복잡성 문제가 증가해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장에의 리스크를 직면하고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밝혔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보안을 우선시하는 아시아의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이라는 제목의 이 연구에서 DNB는 공격적인 기술 도입이라는 특성으로 정의되며, 이 기업들은 온라인에서 놀고 일하고 생활하려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술의 속도에 발맞춰 움직인다. Akamai의 연구 결과, 10곳의 DNB 중 9곳이 향후 12개월 동안 효율성과 생산성을 우선시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지원 마이크로서비스와 같은 기술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DC에 따르면, DNB는 2026년까지 기술에 최대 1289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보이며, 클라우드 기반 기술의 최대 지출 증가율은 37.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Akamai Cloud Computing 최고 기술 책임자 제이 젠킨스(Jay Jenkins)는 "최첨단 기술은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 DNA의 핵심이지만, 이는 기회이자 도전이기도 하다. 기술 도입이 가속하면서 IT 복잡성이 증가해 클라우드 구현과 잠재적으로 비즈니스 성과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이버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DNB의 잠재적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다."라며, "'클라우드 태생'인 DNB가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클라우드 성능을 극대화하고 멀티 클라우드 접근 방식을 채택해 벤더사 종속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향상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량과 비용을 극대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술 우선 사고방식이 DNB의 사이버 보안 체계를 방해 DNB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 원칙을 수용하고 기술을 주요 차별화 요소로 활용하여 경쟁 우위를 유지한다.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API를 통해 통신하는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구축된 인프라를 통해 DNB는 확장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개선할 수 있다. Akamai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DNB의 74%가 클라우드로 완전히 전환했거나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응답 기업 97%는 클라우드 솔루션을 도입했거나 클라우드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술을 파괴적인 요소로 보던 것에서 필수 비즈니스 구성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 한편, 인도 DNB는 성장과 혁신에 집중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인프라 내 AI 통합률이 98%로 가장 높았다. 인도의 거의 모든 DNB가 이미 클라우드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거나 클라우드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인도 DNB는 이러한 변화와 동시에 보안, 비용 최적화, 철저한 벤더사 평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풍부한 기술 혁신의 역사를 가진 인도의 디지털 네이티브들은 ASEAN에서 두 번째로 역내 다른 기업보다 벤더사의 성과를 더 우선시한다. 아시아의 DNB는 클라우드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DNB를 더 큰 사이버 취약점에 노출시키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서비스의 복잡한 매트릭스로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관리하는 것은 클라우드 여정의 어느 단계에 있든 DNB의 도전 과제로 계속 남아 있으며, 응답 기업의 75%는 네트워크 지연, 데이터 스토리지, 데이터 검색, 컴퓨팅 리소스 등의 다른 문제보다 보안을 클라우드 인프라 성능과 기능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꼽았다. 실제로 응답 기업의 44%는 보안 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도전 과제는 IT 인프라의 복잡성 증가로 인한 것이라고 답했다. 클라우드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해 성능 추구를 방해하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으며, DNB는 비즈니스 성장에 따른 사이버 위협의 증가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클라우드 최적화 및 API 보안 강화 DNB는 본질적으로 '클라우드 태생'이지만 클라우드, 데이터, AI 분야의 새로운 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고군분투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보안은 여전히 어려운 도전 과제다. 또한, API와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의 주요 표적이 되며, 기존 기업에 비해 피싱, 계정 손상, 랜섬웨어 리스크에 더 많이 노출된다. Akamai의 리서치에 따르면, DNB는 클라우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 목록에서 API 보안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으며, 응답 기업 10곳 중 9곳은 클라우드 또는 보안 공급업체 평가 시 API 보안이 매우 중대하거나 중요한 제품 기능이라고 답했다. DNB의 87%는 클라우드 공급업체를 선택할 때 성능, 평판, 확장성, 비용 등과 같은 요소보다도 보안 기능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DNB가 점점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술 파트너의 지원을 통해 사이버 공격자들이 악용할 수 있는 취약한 링크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젠킨스는 "API는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의 연결 조직이다. 민첩하고 유연하며 안전한 운영을 보장하려면 최신 보안 프레임워크가 고급 API 보안 조치, 정기적인 API 보안 감사 및 API 활동에 대한 높은 가시성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리스크가 가장 높은 분야는 게임, 첨단기술, 비디오 미디어, 커머스 등이다. 혁신과 시장 출시 속도를 추구하기 위해 DNB는 보안팀이 제대로 평가하기 전에 API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세스를 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 수 있다. ASEAN에서는 피싱이 DNB의 주요 관심사이며, 피싱 방지 기술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를 APJ 지역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다. 피싱 기법은 이메일 기반 공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 결과, ASEAN은 APJ 지역의 다른 기업들에 비해 피싱 방지 기술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아시아의 DNB가 클라우드 도입 여정에서 이러한 복잡성과 보안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이러한 인사이트를 통해 배경과 클라우드 성숙도에 관계없이 모든 비즈니스가 나아갈 길을 전망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술과 API 지원 서비스는 이제 최신 디지털 비즈니스의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성공적인 도입과 구축을 위한 길을 닦으려면 새로운 툴, 기술 및 파트너가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보안을 우선시하는 아시아의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은 Akamai의 의뢰를 받아 Technology Advice가 작성했다. 이 연구에서는 호주, 뉴질랜드, 동남아시아, 인도, 중화권의 기술 리더 200여 명을 대상으로 아시아 DNB의 주요 비즈니스 우선순위와 기술 우려 사항을 조사했다. Akamai 소개 Akamai는 온라인 라이프를 지원하고 보호한다.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은 매일 수십억 명 고객의 생활, 업무, 여가를 지원하고 디지털 경험을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Akamai 솔루션을 활용한다. 대규모 분산 엣지 및 클라우드 플랫폼인 Akamai Connected Cloud를 통해, Akamai는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경험을 제공하고 위협을 먼 곳에서 차단한다. Akamai의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콘텐츠 전송 솔루션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https://www.akamai.com/ko와 http://www.akamai.com/ko/blog를 확인하거나 X(기존의 Twitter)와 LinkedIn에서 Akamai Technologies를 팔로우할 수 있다. 미디어 연락처: akamai-apjhub@edelman.com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384815/Akamai_v1_Logo.jpg?p=medium600

2024.09.12 10:10글로벌뉴스

HD현대, 美 가스텍서 친환경 기술 소개…정기선도 참석

HD현대가 세계 최대 가스 전시회 가스텍에서 탈탄소·디지털 기술 미래를 선보인다. HD현대는 이달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열리는 '가스텍2024'에 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세계 800여 개 기업이 참여하며, 5만여 명 이상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HD현대는 정기선 부회장을 비롯해 영업,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분야 임직원들이 참석, 선사와 선급 등 글로벌 기업들을 만나 친환경 기술을 소개하는 한편 조선과 해운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삼호, HD현대마린솔루션, HD현대일렉트릭이 함께하는 420제곱미터 규모의 종합 전시 부스를 구성한다. 부스에는 차세대 LNG운반선, FSRU,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등 HD현대의 친환경 선박 모형이 함께 전시된다. 행사 기간 HD현대는 글로벌 선급과 기업들로부터 총 16건 기술인증 획득 및 MOU를 체결한다. 특히 가스운반선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에 있어 진일보된 기술력을 선보인다. HD현대는 노르웨이선급(DNV)으로부터 LNG운반선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선박 가상 시운전 검증기술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받는다. 이 기술은 ▲엔진시스템 ▲전력시스템 ▲가스시스템 등 LNG운반선 주요 시스템의 디지털트윈 모델을 클라우드상에서 통합 연결하여 한 척의 선박을 구성하고, 가상 시운전을 통해 객관적으로 선박을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미국선급(ABS)으로부터는 암모니아 추진선에 대한 무인 엔진룸 설계와 안전관제 솔루션에 대한 기본인증을 획득, 선원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친환경 벙커링 선박에 대한 기본인증도 다수 받는다. 로이드선급(LR) 등으로부터 2만3천㎥ 암모니아벙커링선 개발에 대한 기본인증을, 한국선급(KR)으로부터는 1만8천㎥급 LNG벙커링선 개발에 대한 기본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한국선급(KR)과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 공동 개발에 대한 MOU 체결도 진행한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노르웨이선급(DNV)으로부터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액화·저장·설비(OCCS) 개조 기본인증을 받는다. 이를 통해 친환경 리트로핏 사업에 OCCS 개조를 추가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이외에도 행사 첫날인 17일에는 선사, 선급 등을 대상으로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를 통해 가스운반선의 트렌드와 전기추진시스템 현황, 선박 디지털 전환 로드맵 등 HD현대의 기술 개발 현황과 계획을 소개한다. 18일과 19일에는 기존에 실시하던 고객사 면담과 더불어 'HD RECEPTION' 행사를 진행해 부스를 찾는 고객사들과 HD현대 미래형 친환경 선박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HD현대 관계자는 “HD현대는 선박의 탈탄소화와 디지털 전환에 있어 선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생태계 구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2024.09.12 09:57류은주

플래티어, LF 헤지스닷컴에 '그루비' 솔루션 제공

플래티어(대표 이상훈)는 AI 개인화 마테크 솔루션 '그루비'를 LF의 대표 브랜드 헤지스가 운영하는 D2C 전문몰 '헤지스닷컴'에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도입을 통해 그루비는 헤지스닷컴 고객에게 맞춤형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헤지스닷컴은 LF의 대표적인 패션 버티컬 플랫폼(Vertical Platform, 특정한 관심사를 가진 고객층을 공략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환경(UI)/사용자경험(UX) 최적화와 리뷰 기능 고도화 등을 통해 브랜드 통합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2030세대 고객의 소통과 참여를 끌어 내는 브랜드 커뮤니티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그루비는 이커머스 비즈니스 특성에 따른 고도화된 개인화를 지원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이다. 빅데이터 처리 기술과 머신러닝·딥러닝 등 다양한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고객 행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타깃팅·메시징·상품 추천 등 개인화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제공한다. LF 헤지스닷컴 관계자는 "그루비의 개인화 상품 추천 기능이 고객의 락인(Lock-in)을 이끌며 헤지스닷컴의 성장을 견인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 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구매 전환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민수 플래티어 그루비 사업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시장에서 이커머스 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그루비는 고객의 구매 주기와 관심 상품 등을 분석해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제안함으로써 마케팅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24.09.12 09:48백봉삼

KT스카이라이프, AI가 촬영한 '서울 2024 홈리스월드컵' 중계

KT스카이라이프는 FIFA 후원 축구대회인 '서울 2024 홈리스월드컵'을 독점 중계한다고 12일 밝혔다. 홈리스월드컵은 주거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들의 자립 의지를 높이고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해 지속가능한 삶의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응원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FIFA가 공식 후원한다. 스카이라이프는 지난 7월 AI중계 솔루션에 대한 국내 독점 영업권을 보유한 '호각'에 68억원을 투자해 주식 17만 주를 취득하며 'AI스포츠' 사업에 진출했다. AI스포츠는 AI 무인 카메라가 선수들의 움직임을 추적해서 경기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는 솔루션이다. 스카이라이프가 투자한 호각은 지난 7월 '서울 2024 홈리스월드컵'의 중계 주관사로 선정됐다. 2003년에 시작된 홈리스월드컵은 19회를 맞아 아시아 최초로 9월 21일부터 28일까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한양대학교에서 개최된다. 올해 홈리스월드컵은 45개국에서 59개팀, 480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해 총 390여 경기가 열리고, 호각 앱(App)에서 전경기를 무료 중계한다. 또한 스카이라이프는 홈리스월드컵 이야기를 다룬 박서준, 아이유 주연의 영화 '드림'을 12일부터 28일 까지 무료로 제공한다. 이와 연계하여 홈리스월드컵 관련 정보를 소개하고 주요 경기 VOD를 4K UHD 화질로 무료 시청할 수 있는 전용관을 오픈할 예정이다. 스카이라이프는 지난 9일부터 skyGuide(505번)와 Sky지역방송(125번) 채널에서 홈리스월드컵 소개 영상을 방송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고객들의 시청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AI카메라가 촬영한 경기 영상을 자회사 스카이TV의 SkyUHD채널과 HCN의 지역채널에도 편성할 계획이다. 최영범 KT스카이라이프 대표는 “FIFA가 후원하는 국제 스포츠 행사에 사상 최초로 'AI스포츠 중계'가 도입되고 스카이라이프가 이에 참여하며 시청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며 “스카이라이프는 호각과 협력해 다양한 대회의 AI 중계 경험을 쌓고 여러 스포츠 종목으로 범위를 확대하며 'AI스포츠'를 성공적인 신규 사업모델로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2024.09.12 09:39최지연

현장 근무 의료진 블랙리스트 관련 45명 조사…32명 검찰 송치

정부가 일부 온라인 사이트에서 현장 근무 의료진 블랙리스트를 작성‧유포하거나, 국민 모욕글을 적은 관련자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또 이와 관련해 현재 경찰이 조사하고 있는 사건만 42건에 달하며, 이 중 32명은 송치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1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복지부는 현장 의료진 보호를 위해 의사 집단행동 초기부터 현장에서 근무하고자 하는 의사 명단을 공개해서 진료 복귀를 방해하거나 모욕 또는 협박, 비방하는 행위에 대해 게시글 확인하는 즉시 신속하게 수사기관에 수사 의뢰를 하고 있다”며 “복지부 차원에서 40건의 수사를 의뢰했고, 경찰청이 자체적으로 인지한 2건을 포함한 42건을 수사하고 있다. 또 사건과 관련해 총 45명을 조사, 32명을 검찰에 송치하는 등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청은 국내 의사 커뮤니티 외에도 아카이브 형식의 해외 사이트에 응급실 근무 의사 신상을 공개한 사건에 대해서는 용의자 2명을 특정해 압수수색 및 조사를 통해 범죄행위를 규명하고 추가 3명에 대해서는 스토킹처벌법 위반 방조 혐의로 입건해 수사를 진행 중이며, 관련자들도 추적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의사 커뮤니티에 올라온 국민 모욕 발언과 관련해서 “금일 의사 내부 커뮤니티의 '응급실 죽어도 좋다'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게시글들이 있다고 들었고, 복지부는 관련 증거 자료를 확보해 오늘 중 신속히 수사기관에 수사 의뢰 조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진료에 종사 중인 의사 명단을 악의적으로 공개하는 행위는 엄연한 범죄행위로 정부는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 중한 행위자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라며 “일부 언론보도에 따르면 의사와 의대생들만이 가입이 가능한 게시판에서 '국민들이 더 죽어나가야 한다'는 취지의 글이 다수 게시됐다고 한다. 일부 의사 또는 의대생들의 잘못된 인식과 행동이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관련해 대한의사협회는 응급실 블랙리스트 일명 '감사한 의사 명단' 작성·유포와 관련해 “명단을 작성한 회원들의 절박함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서로 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공격하고 비난하며 동료에게 상처를 주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명단 작성·유포를 중단해 달라”며 의료계 내 갈등이 불거지고 국민에게 우려를 끼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다. 다만 정부가 잘못된 의료정책을 강행함으로써 촉발된 현 의료대란 사태를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해 각종 회유책과 협박을 반복한 것이 의료계 내 갈등 발생의 원인이며, 지극히 일부 의사들의 일탈행동을 이용해 현 의료대란의 책임을 의료계에 전가하려는 행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또 “명단 유포 피해자의 직접 고발없이 정부의 유불리에 따라 경찰이 선별적으로 수사 대상자를 특정해 수사하고 있다”며 유감을 밝히고, “경찰은 의협 회원들 개인 간 문제를 정치적으로 악용해 양쪽 모두를 피해자로 만드는 파렴치한 수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3일부터 경증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할 경우 본인부담금 90%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일반적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본인부담 인상의 적용을 받는 환자들은 그동안은 13만원 정도를 부담했는데 앞으로는 평균 9만원 정도 인상된 22만원 수준을 본인부담하게 된다. 또 지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는 6만원 정도 부담했는데 약 4만원 늘어난 10만원을 본인부담하게 된다”라며 “다만 질환의 경중도에 따라, 또 지방의 특성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여러 응급의료 수가들을 인상했다. 그중 하나가 응급실 전문의들의 진찰료를 350%까지 최대 인상을 했는데 여기에서 병원의 수가로 인상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본인부담이 추가로 상승하는 것은 없다”라고 덧붙였다. 또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과 관련해서는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서 지역센터로 지정된 136개 기관 중에서 15개 내외의 기관을 거점지역센터로 지정하기 위해 현재 지자체 신청을 받고 있는데 20여 개 이상의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신청을 해 조만간 선정‧발표할 예정”이라며 “지역 내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역할을 나누어서 보다 중증환자가 좀 더 편하게 의료 이용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대하는 바는 지역 내 그리고 전국적으로 더 많은 인프라를 갖춘 기관들이 거점센터로, 권역센터와 같은 역할을 해 응급환자의 이송이나 전원이 조금 더 원활하게 되는 것들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윤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병원 진찰 결과에 따라 중증이라고 판단되면 큰 병원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큰 병이라고 생각돼 119에 신고하면 중증도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09.12 09:16조민규

한화솔루션, '반도전' 증설…초고압 케이블 시장 공략

한화솔루션이 초고압 케이블 핵심 소재인 초고압·고압(E·HV)급 반도전 컴파운드 생산을 대폭 확대해 고속 성장하는 글로벌 전력 케이블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설 등에 따라 급증하는 전력 기자재 수요 대응을 위해 초고압 케이블 소재를 자체 생산하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230억원을 투자해 E·HV급 반도전 컴파운드 생산설비를 8천톤(MT) 증설하고 100% 자회사 한화컴파운드 여수 공장에서 상업 생산을 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증설로 한화솔루션의 E·HV급 반도전 생산 능력은 최대 1만톤(MT)으로 늘어난다. 반도전은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 전기력을 차단해 방전을 막는 소재다. 설치 후 평균 25년 이상 사용하는 전력 케이블의 내구도 유지를 위해 반도전 사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대륙 간 전력망과 해상풍력 발전소 확대 등에 쓰이는 장거리 송전용 초고압케이블의 반도전은 품질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이번에 증설한 E·HV급 반도전 생산 시설에는 한화솔루션이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하는 EBA가 원재료로 투입돼 품질과 생산 효율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솔루션은 반도전의 기초 원료인 EBA를 개발해 지난 2022년 상업화에 성공했다. EBA를 적용한 초고압 케이블용 반도전 소재 제조 기술로 국가기술표준원의 신기술인증도 획득한 바 있다. EHV급의 초고압 반도전 시장은 오스트리아의 보레알리스, 미국의 다우 등 소수 글로벌 업체가 과점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연간 5만7천톤(MT)으로 연 평균 10%의 고성장이 전망되며, 기술 진입 장벽으로 높은 판매 마진을 유지하는 고부가가치 소재다. 한화솔루션은 주력 제품인 초고압 케이블의 절연 소재 XLPE와 새롭게 생산을 가동한 E·HV급 반도전을 패키지로 묶어 글로벌 사업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대형 고객사에서 균일한 품질과 안정적인 공급을 가장 중요시 하는 만큼, 케이블의 주요 소재들을 직접 생산하고 품질을 높여 신규 고객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남정운 한화솔루션 대표는 “신규 반도전 생산 시설 가동을 통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고부가 제품군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며 “고부가 소재를 기반으로 시황에 흔들리지 않는 사업구조를 확보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9.12 09:10김윤희

힐스톤네트웍스,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솔루션들에 대한 최근의 애널리스트 보고서에서 인정 받아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2024년 9월 12일 /PRNewswire/ -- 사이버 보안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 힐스톤네트웍스(Hillstone Networks)가 클라우드하이브(CloudHive)와 클라우드아머(CloudArmour)를 포함한 동사의 첨단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제품들에 대한 포레스터 웨이브(Forrester Wave™)의 2024년 3분기 보고서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솔루션(Microsegmentations Solutions)에서 인정받았다. 이 평가는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솔루션 제공업체를 평가하기 위한 23가지의 기준을 고려했다. 이 분석에는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제공업체들에 대한 식별, 조사, 분석과 등급 지정이 포함되었다. 이 보고서는 각각의 제공업체를 자세히 비교함으로써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구체적인 니즈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리는 이러한 인정은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환경에 적응하는 첨단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힐스톤의 능력을 부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힐스톤네트웍스의 공동 설립자이자 CTO인 팀 리우(Tim Liu)는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분야에서 우리 제품들이 포레스터의 인정을 받게 되어 자랑스럽다"면서 "우리 솔루션들은 물리적 서버와 가상 서버에서부터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했다. 힐스톤네트웍스는 클라우드하이브와 클라우드아머를 통해 첨단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클라우드하이브는 VM웨어와 같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가상 환경을 위한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에 특화되어 있다. 이 솔루션은 하이퍼바이저 스위치와의 통합을 통해 가상 환경 내에서 완전한 통신을 위한 효과적인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정책을 구현할 수 있다. NSX를 대체할 수 있는 클라우드하이브는 사용자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면서도 동 솔루션의 통합 침입 탐지와 예방 시스템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인 보호를 보장한다. 한편, 클라우드아머는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을 컨테이너, 베어메탈 서버, 클라우드 호스트로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기술 환경을 종합적으로 보호한다. 힐스톤네트웍스는 시장에서의 유연성과 적응력을 제고하는 특장점인 영구적인 라이선스 모델에 따라 두 솔루션 모두를 제공한다. 우리는 데이터 센터를 넘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퍼블릭 클라우드, 운영 기술(OT) 환경, 심지어 레이어 7까지 솔루션이 확장된 최첨단의 마이크로세그먼테이션 시대에 처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프로세스의 정체성을 고려한 정책이 가능하다. 이제 조직들은 최고의 솔루션들을 통해 소프트웨어 없이도 정책을 신속하게 구현하고 엔드포인트 탐지 및 응답(EDR)과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인공 지능 및 자동화와 같은 신기술들이 사이버 보안을 변화시키고 있다. 힐스톤네트웍스는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하여 위협 보호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SD-WAN 및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ZTNA)와 같이 다른 핵심 기술과 통합함으로써 확장 가능하고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보안 아키텍처를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힐스톤네트웍스 힐스톤네트웍스의 통합적인 사이버 보안 접근 방식은 전 세계 28,000 여개 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보안하기 위한 커버리지, 제어 및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힐스톤네트웍스는 워크로드가 어디에 있든 엣지에서부터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기업들의 핵심 자산과 인프라를 보호하는 사이버 보안 분야의 신뢰할 수 있는 리더이다. 상세 정보는 www.hillstonenet.com에서 입수할 수 있다. 미디어 연락처 Valeria Duran+1 4085086750inquiry@hillstonenet.com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765968/Hillstone_Logo.jpg?p=medium600

2024.09.12 09:10글로벌뉴스

알체라, 우리은행에 '재외국민 여권 신원확인 솔루션 공급

비전AI 전문 테크기업 알체라(대표 황영규)가 우리은행과 '재외국민 여권 신원확인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알체라의 '재외국민 여권 신원확인'은 전자여권 기반의 비대면 신원확인 솔루션이다. 앞으로 우리은행 앱을 사용하는 재외국민은 본인의 여권과 얼굴인식을 통해 신원확인 후 '우리WON 인증서'를 발급받게 되며, 이를 통해 국내 온라인서비스는 물론 '정부24'와 '홈택스'같은 공공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1일 알체라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관과 협업해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전자여권 기반 비대면 신원 확인 방법을 마련한 데서 시작됐다. 사업 취지는 재외국민들이 겪는 신원확인 불편을 해소하고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간 재외국민은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재외공관을 방문해 대면으로 신원을 확인한 후 인증서를 발급받거나, 국내 통신사 휴대폰을 개통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어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은행은 정부 기관의 보안정책 방침에 따라 발 빠르게 프로세스를 마련, 비대면 신원확인 솔루션을 구축했다. 특히, 우리은행의 '우리 WON' 인증서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본인확인기관 지정과 전자서명인증사업자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알체라의 얼굴인식 솔루션을 사용함으로써 인증서 발급 시 보안을 더욱 강화했다. 알체라의 재외국민 여권 신원확인 솔루션은 △광학문자인식(OCR) △전자칩 인식(NFC) △얼굴 매칭 △라이브니스(Liveness) 기술을 통합해 여권 내 텍스트 정보와 얼굴 이미지, 실시간 셀피 대조 절차를 통해 신분 위조 및 도용 위험을 방지한다. 또 스마트폰을 활용한 여권 자동 촬영과 간단한 셀피 촬영만으로 정확한 본인인증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고, 강화된 신원확인 절차를 지원한다. 2022년 12월말 기준 재외동포 숫자는 708만여명이다. 황영규 알체라 대표는 “우리 회사는 국내 비대면 본인인증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앞으로 모든 국민이 신분증과 생체 정보 등 개인정보 위변조 사기로부터 안전할 수 있게 본인인증이 필요한 모든 산업으로 기술을 빠르게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4.09.12 07:45방은주

위시스트 "간단한 대화만으로 치매 초기 증상 감지"

머니투데이그룹 계열사로 국내 최대 ICT 온라인 매체인 지디넷코리아는 서울공대의 공학컨설팅센터와 함께 '제 3기 SNU-동서 스타트업 프로듀스 34'에 선정된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기획기사를 게재합니다. 'SNU-동서 스타트업 프로듀스 34'는 동서식품 김석수 회장이 기부한 발전기금으로 만들어진 투자유치 전문 프로그램입니다.(편집자 주) -위시스트는 어떤 회사인가요? "위시스트는 2023년 10월 16일 설립한 회사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바이오메디컬영상과학연구실 박사수료생 2명과 교수가 중심이 돼 만들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치매를 진단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시스트는 자유발화(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는 방식)를 기반으로 치매를 일상적인 환경에서 진단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과정에서 언어 패턴과 인지 능력을 분석해 치매 초기 증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병원 방문 없이도 집이나 일상 생활 속에서 치매를 진단하고, 환자와 가족이 적절한 시기에 대응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회사 설립 배경이 궁금합니다 "위시스트는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함에 따라 설립됐습니다. 기존의 치매 진단 방법은 병원 방문과 전문적인 검사를 필요로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 환자와 가족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최근 알츠하이머병 신약인 레켐비 등이 승인되며 치매 치료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 신약은 초기 단계에서만 효과가 있어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치매는 서서히 인지 능력이 저하하는 질병으로, 초기에는 증상을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치매 진단을 위해 MRI, PET, 뇌파 등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와 원천기술 개발을 수행해 왔지만, 이러한 방법은 높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필요해 치매가 중증 단계에 접어들었을 때에야 비로소 인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위시스트는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치매 진단 솔루션의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이에 따라, 위시스트는 일상적인 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석 능력을 활용해 간편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인 치매 진단 및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높은 접근성을 가진 혁신적인 진단 솔루션을 개발해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이 조기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돕고, 나아가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주력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말해주세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인가요? "위시스트는 일상 대화를 기반으로 치매를 진단하거나 인지 능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별다른 검사과정 없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는 동안 언어 패턴과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해 치매의 초기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인지 능력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주요 특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간편한 사용성입니다. 특별한 기기나 복잡한 절차 없이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치매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나 환자가 별도의 병원 방문 없이도 집이나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높은 접근성입니다. 인공지능 기반 분석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치매 진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고비용의 의료 장비나 복잡한 테스트 없이도 간단한 대화만으로 초기 증상을 감지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셋째, 지속적인 모니터링입니다. 단발성 검사가 아닌, 정기적으로 대화를 분석해 인지 능력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매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조기 진단 뿐 아니라 예방적 조치도 가능합니다. 이런 주력 서비스 개발에 앞서 위시스트는 중간 단계 기술을 토대로 '묘화'라는 검사 서비스를 개발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묘화'는 정해진 형식 없이 그림을 보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음성과 내용을 분석해 치매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초기 치매 진단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주력 서비스의 국내 시장 환경은 어떤가요?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 수는 약 93만 명에 이르며, 이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901만 명의 약 10%를 차지합니다. 국가 치매 관리 비용도 20조 원을 넘어섰으며, 이러한 비용은 오는 2040년에는 연간 63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치매는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어, 조기 진단과 예방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외부 기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50-60대 응답자의 88%가 자신이 치매에 걸릴 가능성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치매는 암을 제치고 가장 두려운 질환 1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50대의 평균 건강관리비용은 약 100만 원에 달하는 수준으로, 건강 관리에 대한 비용 지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기업이 치매 진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일상적인 환경에서의 검사 방법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치매 진단 방법들은 단편적인 판단 기준(예: 1분간 식물 이름 많이 말하기 검사)이나 자기보고식 검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스스로 또는 보호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기반하므로, 정확성과 신뢰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시장 환경에서 위시스트는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나요? 또 어떤 차별성을 갖고 있나요? "위시스트는 기존의 단순한 문답식 대답이 아닌 복합적인 대화를 통해 인지 능력을 검사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매 진단의 정확도를 80~90% 수준으로 높이며, 검사 시간 또한 기존 방법에 비해 크게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내 경쟁사들이 제공하는 단편적인 검사 방법과 비교했을 때 매우 차별화한 강점입니다. 또한, 위시스트 기술은 기존의 임상적 판단에 의존하는 인지 능력 검사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바이오마커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전문적인 의료 인력이 반드시 필요한 기존의 검사 방법에 비해 의료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특히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검사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 보다 많은 사람들이 치매 조기 진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기술경쟁력에 대해 말해주세요 "치매 검사 과정은 일반적으로 선별-진단-감별의 단계로 이뤄집니다. 현재 사용하는 간이검사(선별 과정)의 경우, 검사 결과가 정상 범주에 속하더라도 실제로 환자의 인지 기능이 정상일 확률은 약 50%에 불과하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런 한계로 많은 치매 환자가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위시스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형식적인 자유발화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고도화한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위시스트는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단순한 단어 사용 빈도나 문장 구조 분석을 넘어 복잡한 문장 구성 능력을 평가하고, 문맥적 요소와 의미론적 분석을 포함하는 첨단 언어 분석 기술을 통해 치매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내부 테스트 결과, 300명 규모의 해외 데이터를 기반으로 GPT-3를 이용한 최신 언어 처리 기술을 적용해 치매 분류 정확도가 약 85%에 이르는 성과를 확인했습니다. 또 언어 표현력, 어휘 유창성 등 20개 이상의 언어 관련 인지 능력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도 확보했습니다. 현재 용인 세브란스병원과 함께 개발한 서비스(묘화)에 대한 임상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맨파워는 어떤가요? "일상적인 데이터를 통해 진단과 치료를 혁신하려는 연구는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하기 시작한 최신 분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 현장에서만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료와 공학의 융합이 필수입니다. 위시스트는 의료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공학적 역량을 갖춘 팀으로, 혁신적인 시도를 가능하게 합니다. 대표자는 경남과학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물리천문학부 물리학 전공과 전기정보공학을 복수 전공한 후,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바이오메디컬영상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학부 시절부터 의료영상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연구를 수행하며, 뇌영상 분야의 최고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고, 국제 최대 규모의 MRI 학회(6000명 규모)에서 최우수 발표자로 선정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공동 창업자인 박주형 CTO 또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바이오메디컬영상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의료기기 회사 RadiSen에서 AI팀을 이끌며 기술 개발을 담당한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및 메디컬 관련 국내외 특허를 6건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인공지능과 의료기기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투자 유치 현황과 계획에 대해 말해주세요 "아직 투자는 받지 않았습니다. 내년에 시드 투자 유치와 중기부의 팁스(TIPS)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올 5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에 선정, 1억원의 정부지원금을 수주했으며, 기술보증기금에서 기술보증을 받았습니다." -수출 현황이나 계획에 대해 말해주세요 "수출 현황은 아직 없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충분한 기술 개발을 진행한 후,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초거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 각국의 병원과 협력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제품 파이프라인은 동일한 상태로 데이터 처리 과정만 변경하면 쉽게 외국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어떤 회사가 되고 싶은가요? 회사의 중장기 비전은요? "신경계 질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심혈관계 질환은 혈압이나 혈당, 근골격계질환은 걸음속도, 근육량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현재 신경계 질환의 경우는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언어를 시작으로 눈 움직임 등 다양한 측정가능한 지표들을 토대로 신경계 질환에서 기존 사람이 수행하는 평가를 넘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나아가 기존 의료의 한계를 넘어 이러한 측정기준을 일상으로 보급하고자 합니다. 이는 치매 뿐 아니라 현재 서울대병원과 자폐증 대상 언어 기반 진단 연구도 수행 중에 있습니다."

2024.09.12 07:24방은주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가 기업 내 다른 AI 애플리케이션들을 잠식하여 AI 리더와 클라우드 제공업체들로 구성된 새로운 코호트를 구축

몬트리올과 캠벨, 캘리포니아, 2024년 9월 12일 /PRNewswire/ -- 올인 2024(ALL IN 2024) 로부터: AI 네이티브 데이터 플랫폼 회사 웨카(WEKA)와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Global Market Intelligence)가 제2차 연례 전 세계 AI 동향 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했다. 웨카가 의뢰하여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가 수행한 이 전 세계 조사는 1,500명 이상의 AI 종사자와 의사 결정권자들을 대상으로 AI 채택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트렌드를 이해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이 조사 결과는 현재 AI 혁명의 리더로 부상하고 있는 조직들의 핵심 작업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일부인 451 리서치의 수석 리서치 애널리스트 존 에버트(John Abbott)는"우리의 2024년 AI 동향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사실 중 하나는 2023년 초 챗GPT 3가 공개되고 최초의 생성형 AI 모델이 출시된 이후 발생했던 놀라운 변화의 속도이다. 그로부터 채 2년이 지나지 않아 생성형 AI 도입은 기업 내 다른 모든 AI 애플리케이션들을 잠식하여 새로운 AI 리더 코호트을 정의하고 특수 AI 및 GPU 클라우드 제공업체들로 이루어진 신흥 시장을 형성했다"면서 "이제 우리는 더 높은 수준의 AI 성숙도를 가진 사람들과 매출 및 운영 효율의 제고, 혁신 제품의 출시 시간 단축이 형성하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다"1고 말했다. 또한 이 새로운 보고서는 현재 전 세계 조직들에서 AI가 더 폭 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AI를 대규모로 전개하는 데는 아직 장애물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아키텍처가 올해 보고서에서도 반복되는 주제이며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AI의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첫 번째 떠오르는 AI 리더들의 물결을 정의했다. GPU 가용성은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또 하나의 문제였고, 지역별 격차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의 AI 수요 증가 속도가 AI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AI 가속기와 GPU 공급 속도를 앞서고 있음을 시사한다. 많은 조직들이 이러한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제공업체들 그리고 신흥 AI 시장과 GPU 클라우드 시장들이 공급하는 서비스형 AI 인프라 제품들을 성공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수요공〮급의 간격을 해결하고 자신들의 생성형 AI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2024년AI 동향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AI 애플리케이션들이 기업에 점점 더 많이 보급되고 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33%가 기업 규모에 도달했으며, AI 프로젝트들을 폭넓게 전개하고 사업 가치를 전년 대비 28% 크게 제고했다. 북미 지역이 기업용 AI 도입을 주도하고 있으며, 북미 응답자의 48%가 AI가 널리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APAC(26%)과 EMEA(25%)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 제품 개선과 사업 실적 제고가 AI 투자를 견인하는 주요인으로서 조직들은 제품 또는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42%)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며(39%), 직원들의 생산성(40%)과 IT 효율(41%)을 개선하고, 전체적인 혁신 속도를 가속(39%)하기 위해 AI를 활용하고 있다. 생성형 AI가 다른 AI 애플리케이션들을 빠르게 잠식했다 놀랍게도 88%의 조직들이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있는데 이는 예측 모델(61%), 분류(51%), 전문가 시스템(39%), 로보틱스(30%)과 같은 다른 AI 애플리케이션을 훨씬 앞지른 것이다. 생성형 AI 도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4%의 조직들이 이미 생성형 AI를 조직 전반에 전개된 통합 기능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37%는 생성형 AI를 만들고 있지만 아직 규모가 확대되지 않았다. 11%만이 생성형 AI에 전혀 투자하지 않고 있다. 많은 AI 프로젝트들이 확대에 실패하는데 레거시 데이터 아키텍처가 그 주범이다 평균적으로 조직들은 시범 단계에 있는 AI 프로젝트는 10개, 제한적으로 전개되는 프로젝트는 16개인 반면 대규모로 전개되는 프로젝트는 6개에 불과하다. 데이터 품질이 AI 프로젝트를 생산 단계로 전환할 때 가장 큰 문제이다. AI/ML 전개에 대해 가장 자주 언급되는 기술적 억제 요인은 스토리지 및 데이터 관리(35%)로 컴퓨팅(26%), 보안(23%), 네트워킹(15%)보다 크게 높다. 이는 취약한 데이터 기반이 다수 조직들의 AI 프로젝트를 방해한다는 증거이다. GPU 가용성이 지속적인 제약 요인이며 인프라 의사 결정을 좌우한다 10개 조직들 중 4개가 AI 가속기 확보 여부가 자신들의 인프라 의사 결정의 주요 고려 사항이라고 답했으며, 30%는 AI 모델을 생산 단계로 전환하는 데 있어 가장 심각한 3가지 문제 중 하나로 GPU 가용성을 꼽았다. 기업들이 GPU를 활용하는 주요 채널: 응답자들은 하이퍼스케일 퍼블릭 클라우드(46%)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델 훈련을 위해 GPU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32%)를 활용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AI의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지만 AI 채택을 늦추지는 않는다 조직들의 거의 3분의 2(64%)가 AI/머신러닝(ML) 프로젝트들이 에너지 사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한다고 답했으며, 25%는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42%의 조직들이 지난 12개월 동안 자신들의 AI 프로젝트들의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적인 IT 하드웨어/시스템에 투자했다고 답했다. 이들 중 56%는 이러한 조치가 "높은" 또는 "매우 높은" 효과를 봤다고 답했다. 웨카 공동 설립자 겸 CEO 리란 즈비벨(Liran Zvibel)은 "인터넷,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찬가지로 AI는 기업과 사회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길 패러다임의 변화이며, 이미 차세대의 업계 리더와 혁신가들을 정의하고 있다"면서 "과거의 기술 전환과는 달리 AI 채택과 보급은 전례 없는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S&P 글로벌의 2024년 AI 동향 보고서의 조사 결과는 첫 번째 AI 리더들의 물결이 이미 출시 시간 단축을 통해 조직 및 제품의 혁신을 가속화하여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부각한다. AI 성숙도가 낮은 기업은 뒤처질 위험에 처한다. 조직들이 AI 시대에 생존하고 번영하려면 격차를 극복하고 미래가 가져올 모든 것에 민첩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신뢰할 수 있는 기술 파트너를 찾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2024년 전 세계 AI 동향 보고서 전체를 보려면 www.weka.io/trends-in-AI를 방문하기 바란다. 조사 방법론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2024년 전 세계 AI 동향 보고서에 실린 조사 결과는 AI 기술, 제품과 솔루션을 구축하는 기업, 연구 조직, AI 제공업체들의 AI/ML 의사 결정권자/인플루언서 1,519명을 대상으로 2024년 2분기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온 것이다. 이 조사는 항공우주 및 방위, 자동차, 에너지/석유 및 가스, 금융, 정부, 의료, 고등 교육, IT 및 서비스, 생명과학, 제조,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통신, 운송 및 물류, 유틸리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파일럿 및 생산 환경에서 AI/ML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응답자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했다. 이 보고서는 또한 S&P 글로벌이 수행한 추가 조사의 전후 관계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웨카 웨카는 AI 시대를 위해 구축된 기업 데이터 스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설계하고 있다. 웨카® 데이터 플랫폼은 클라우드와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는 AI 기반 아키텍처가 갖춰진 AI 인프라의 표준을 설정함으로써 온- 프레미스, 클라우드와 엣지 환경에서 데이터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플랫폼은 종래의 데이터 사일로를 GPU, AI 모델 트레이닝과 추론 그리고 기타 성능 집약적인 워크로드를 가속하는 동적 데이터 파이프라인으로 변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하고 에너지를 덜 소비하며 관련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웨카는 전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과 연구 조직들이 복잡한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여 더 빠르고 지속 가능하게 발견, 통찰과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여기에는 포춘 50대 기업 중 12개가 포함되어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www.weka.io를 방문하거나 링크트인, X와 페이스북에서 웨카와 연결하기 바란다. WEKA와 WEKA 로고는 웨카아이오의 등록상표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기타 트레이드 명칭들은 그들 각 소유자들의 상표일 수도 있다. 1 451 리서치, 2024년 8월 발표한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조사 보고서 "전 세계 AI 동향"의 일부 사진 - https://mma.prnasia.com/media2/2502198/2024_Global_Trends_in_AI.jpg?p=medium600 로고 - https://mma.prnasia.com/media2/1796062/WEKA_v1_Logo.jpg?p=medium600

2024.09.12 07:10글로벌뉴스

씨이랩, '반도체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AI 영상분석 전문기업 씨이랩(대표 이우영)은 에즈웰플러스와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 기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플랫폼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글로벌 기업의 반도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것으로, 엔비디아의 국내 총판인 에즈웰플러스와 비전AI 전문기업 씨이랩이 협력한다. 씨이랩이 엔비디아에서 'NVIDIA Omniverse Competency'를 획득해 정식 리셀러 자격을 갖춘 후 처음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씨이랩의 디지털 트윈 시장 확대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엔비디아 옴니버스'는 실제 공간과 동일한 가상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한데 모은 엔비디아의 3D 협업 플랫폼이다. 산업용 디지털 트윈과 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각종 툴과 기능을 제공하며, 물리엔진을 통해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씨이랩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내 AI기술을 적용해 실제 공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분석·예측한다. 오랜 기간 비전AI 분야에 전념해 온 씨이랩은 합성데이터 자동생성 솔루션과 실시간 AI 영상분석 솔루션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런 비전AI 기술을 디지털 트윈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해 단순한 가상 공간 모사를 넘어 고객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씨이랩의 경쟁력이다. 씨이랩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비즈니스를 제조 영역 뿐 아니라 건설, 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게 지속적으로 AI 서비스 모듈을 확장해 디지털 트윈 시장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씨이랩은 2010년 설립한 AI 영상분석 전문기업이다. 대용량 영상 데이터 분석에 특화한 기술을 인정받아 2021년 2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주요 사업은 ▲AI를 통한 실시간 영상분석(VidiGo, X-AIVA) ▲AI 학습용 합성데이터 생성(X-GEN) ▲GPU 툴링 솔루션(astrago)이다. AI 컴퓨팅 분야의 선도기업인 엔비디아(NVIDIA) GPU에 자사 솔루션을 탑재해 판매하는 어플라이언스 사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

2024.09.11 22:57방은주

모로코 총리, 국빈 방문 중 고션의 첨단 배터리 솔루션에 찬사

허페이, 중국 2024년 9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9월 6일, 아지즈 아칸누치(Aziz Akhannouch) 모로코 총리가 투자부(Ministry of Investment), AMDIE, CGEM의 관계자들과 함께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Tech)의 시설을 방문했다. 방문 기간 내내 모로코 총리는 기술 전문성과 제품 역량을 칭찬하며 '대단하다!'라고 거듭 칭찬했다. Prime Minister Aziz Akhannouch commends the line-up of electric vehicles powered by Gotion batteries (PRNewsfoto/) 오후에는 모로코 대표단이 고션의 폭스바겐 UC 공장, 바오허 본사 전시장, 검증 엔지니어링 연구소를 둘러봤다. 이들은 고션의 배터리 연구 및 개발과 포괄적인 제조 능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총리는 연구소가 10년 동안 수집해 온 배터리 데이터에 주목하며 "고션이 이 분야에서 최소 10년은 앞서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대표단은 바오허 본사를 방문해 체리(Chery), 지리(Geely), SGMW, JAC, 립모터(Leap motor), 호존(Hozon), 창안(Changan), 만리장성(Great Wall) 등 고션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차 라인업을 시찰했다. 총리는 차량을 자세히 살펴본 후, 모든 차량에 고션 배터리가 장착된 것을 확인하고는 "대단하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고션의 리젠(Li Zhen) 회장은 모로코의 전기화 노력을 지원하겠다는 중국의 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전시된 모든 차량을 모로코 정부에 기증한다고 발표했다. 아칸누치 총리는 감사를 표하고 모로코의 필요와 차량의 적합성을 강조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모로코 공장에서 이러한 차량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의지를 표명했다. 출처: Gotion High-tech

2024.09.11 21:10글로벌뉴스

BOE IPC 2024 개최

-- 전략적 업그레이드의 "N차 곡선" 이론으로 고도의 발전 주도 베이징 2024년 9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9월 4일, BOE IPC 2024(BOE Innovation Partner Conference 2024)가 "Empower IoT with Display, Converge Intelligence for New(디스플레이를 통한 IoT 역량 강화, 인텔리전스 융합을 통한 창조)."를 주제로 베이징 중관춘 혁신 센터에서 공식 개최됐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및 IoT 에코시스템 파트너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올해 제7회를 맞은 BOE IPC 2024는 IPC Week의 이전 포맷을 그대로 가져와 특정 분야에 10여 개 이상의 포럼을 진행, 동급 최고의 수많은 제품을 공개하고 BOE × 파트너 혁신 박람회, 청년 혁신 포럼(Youth Innovation Forum), e 스포츠 챌린지 등 일련의 혁신 관련 행사를 진행한다. 새로운 30년의 여정에 오른 BOE는 올해 IPC에서 엔터프라이즈 혁신 및 발전을 위한 전략적 업그레이드라는 "N차 곡선" 이론을 공개했는데, 이는 "Empower IoT with Display(디스플레이를 통한 IoT 역량 강화)"라는 개발 전략을 기반으로 새 비즈니스 성장 동력을 육성하기 위한 조치이다. "N차 곡선"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BOE는 늘 그렇듯, 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거버넌스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여 "기술 혁신+ 친환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나갈 것이며, 그 과정에서 산업 생태계를 끊임없이 활성화하고 고도의 산업 발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전략적 업그레이드의 "N차 곡선" 이론 BOE는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IoT 혁신 행사인 혁신 파트너 컨퍼런스(Innovation Partner Conference)에서 해마다 개발 전략과 트렌드 인사이트를 발표한다. BOE는 혁신 비즈니스의 지속적인 성장에 발맞춰 IoT로의 전환 이니셔티브를 도입했다. IoT 혁신 "커브"는 "Empower IoT with Display"를 통한 개발 전략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성장 동력을 낳았다. BOE는 다음 30년을 내다보며 엔터프라이즈 발전을 위한 전략적 업그레이드의 "N차 곡선" 이론을 제시했는데, 여기서 "N차 곡선"이란 탐색을 거쳐 현재 진행 중인 발전 곡선을 의미한다. BOE 천옌순(Chen Yanshun) 의장은 "Empower IoT with Display, Converge Intelligence for New(디스플레이를 통한 IoT 역량 강화, 인텔리전스 융합을 통한 창조)"라는 제목의 기조 연설에서 30년 이상 조직을 운영해오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왔다고 언급했다. "N차 곡선"은 기업 문화의 정수를 계승하는 것이자 조직의 핵심 강점과 자원을 확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BOE는 기업 문화의 정수인 "유산, 혁신, 발전"이라는 개념을 수십년 간 고수해오며 조직 문화와 핵심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 BOE는 앞으로 COG(chip-on-glass)나 페로브스카이트 기술과 같은 신흥 분야에 집중하여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방식으로 업계를 선도할 것이다. BOE는 "Empower IoT with Display(디스플레이를 통한 IoT 역량 강화)"라는 개발 전략을 기반으로 산업 발전을 위한 "N차 곡선"을 구축하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며, 보다 스마트하고 번영하는, 아름다운 세상을 함께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다. 저명한 전문가들과 업계 리더들이 모여 BOE IPC 2024를 빛냈는데, 베이징 대학교 보야 석좌 교수이자 현대 경제학 재단 이사장 야오 양(Yao Yang), 인텔 세일즈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그룹 부회장 리양 얄리(Liang Yali), 체리 자동차 디지털 기술 센터장 장 치앙(Zhang Qiang), GE 헬스케어 차이나 사장 장 이하오(Zhang Yihao) 등이 참석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업계 리더들은 디지털 및 지능형 시대를 맞이하여 기업이 새로운 양질의 생산력을 통합하여 고품질의 개발 엔진을 양성하는 방법을 경제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또한 AI PC, 혁신 의료, 스마트 IoV 등 경계 영역의 모범 사례를 열거하여 획기적인 산업 발전 모델을 제시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조직 체계 업그레이드 세계를 선도하는 IoT 혁신 기업 BOE는 기술 혁신과 친환경 개발을 통합하는 개발 모델을 고수하면서 AI를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ESG 관행을 적용하고 있다. 업계 선구자와 리더들은 자사의 기업 DNA에 지속 가능한 개발을 새기고 이를 기업 운영 및 관리의 전 과정에 도입했다. BOE 회장 가빈 가오(Gavin Gao) 박사는 "공통의 발전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협력(Joining Hands for Common Progr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BOE는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개발을 기업 운영에 통합하고 "그린+, 혁신+, 커뮤니티+(Green+, Innovation+, Community+)"라는 세 가지 개념에 기반해 지속 가능한 개발을 기업 DNA에 새기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설명했다. 다음 30년을 위한 새로운 여정에 돌입한 BOE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조직 체계를 전략적으로 개편하여 기존의 거버넌스 체계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3단계 조직 구조(거버넌스, 관리, 실행 수준)를 수립했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 탄력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며 산업 발전과 양질의 발전을 촉진한다. BOE는 시장 규모와 기술 및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기술을 사회에 활용하여 인류 발전에 더 큰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밝은 미래로 함께 나아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지난해 열린 BOE IPC에서 BOE는 2050년까지 무탄소 비즈니스 운영을 달성하겠다고 맹세했다. 이를 위해 BOE는 이른바 친환경 경영, 친환경 제품, 친환경 제조, 친환경 재활용, 친환경 투자, 친환경 이니셔티브라는 6가지 활동 경로를 개시했다. 이는 상업 활동 및 제품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친환경 개발을 보장하여 친환경적인 산업 쇄신을 지속적으로 촉진한다. BOE IPC 2024는 완전한 탄소 상쇄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친환경 수송의 경우 셔틀 서비스에는 신에너지 차량만 사용된다. 재활용 및 재사용 소재의 경우 생분해성 종이로 배지를 만들고, 재생 플라스틱 소재의 우산이나 커피 찌꺼기 잔 등의 재활용 소재를 사용한 지속 가능한 제품을 손님에게 제공하는데, 이는 파트너들 간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이다. BOE IPC 2024에는 "전력, 그리드, 부하, 에너지 저장, 탄소 배출"을 통합하는 원스톱 넷제로 솔루션을 시연하기 위한 전용 친환경존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솔루션은 넷제로 공원 및 프로젝트의 재현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성공 사례를 통해 제시된다. BOE는 행사장에서 전력 효율이 우수한 저탄소 디스플레이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인다. 그중 업계 최초의 직렬 OLED 휴대폰은 고효율의 직렬 장치의 전력 소비량을 20% 줄이고 최첨단 LTPO 기술이 적용되어 15% 더 효율적이다. 이 제품은 초고휘도성을 자랑하며 발광 효율이 50% 높아 수명주기를 크게 연장하면서 뛰어난 디스플레이 효과를 발휘한다. 얇고 가벼운 친환경 AI 노트북에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환경 보호에 매진하는 BOE의 노력이 깃들어 있다. 패널, 구조, 마더보드, 패키징 소재 등 모든 주요 부품에 재활용 소재가 들어가 있는데, 특히 패널은 탄소 배출량을 49% 줄여준다. 이와 더불어, BOE의 무선 디밍창은 태양광 발전 전원장치, 무선 통신 및 ELC 디밍 기술을 통합하여 넷제로의 안전하고 스마트하며 간편한 제품으로 새로운 벤치마크를 설정한다. 최첨단 기술로 생태계 파트너의 역량 강화 조직의 혁신 비즈니스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가 다각화됨에 따라 BOE IPC에서도 제품과 기술이 전시되는 방식에 한 단계 변화가 일었다. BOE의 전용 전시관 외에도 생태계 파트너를 위해 특별한 전시 공간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올해에는 전시 면적과 규모를 비롯해 참여하는 파트너의 수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행사장에서 BOE는 메타버스, e스포츠, 스마트 모빌리티 및 기타 분야의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과 더불어 전 세계에 출시된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20 곳 이상의 생태계 파트너가 자사의 신제품을 전시하고 선구적인 성과를 공개하기 위해 한 자리에 모인다. 전시회장에 모인 방문객들은 BOE의 미래형 제품에 즉시 매료될 것이다. ADS Pro 전시관에 있는 업계 최초의 55인치 UB Cell 3.0 AI TV도 그중 하나다. 초광색역, 초고대비, 초저반사율 등 핵심 강점을 자랑하여 OLED와 흡사한 프리미엄급 이미지 품질을 제공한다. f-OLED 전시관에 있는 BOE의 31.6인치 슬라이드형 접합 디스플레이 제품은 필요에 따라 3가지 크기와 4가지 디스플레이 상태(31.6 인치(32:9 화면비), 24.6 인치(24:9 화면비), 17.6 인치(18:9 화면비)로 원활하게 전환된다. BOE의 전자식 아웃폴딩 디스플레이 제품 역시 기술의 한계를 넘어선다. 최대 5배 확대되는 스크린과 4mm의 최소 굽힘 반경으로 플렉시블 OLED의 용도를 크게 확장한다. α-MLED 전시관에 있는 BOE의 0.3mm Micro LED 자동차 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베젤리스 곡선 접합을 달성해 최대 40,000:1의 주변 조명 명암비, 2000 니트 이상의 최대 밝기, 높은 색 영역, 높은 주사율로 업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이 외에도 BOE의 XR 가상 촬영 기술은 여러 가지 기능을 통합해 놀라운 디스플레이 효과를 발휘한다. 관객의 시각 및 대화형 경험을 크게 개선하여 촬영 및 프로덕션 팀에게 보다 창의적인 유연성을 제공한다. BOE IPC 2024에서는 수십 개의 BOE 파트너들이 BOE와 공동으로 개발한 업계 최고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그중 BOE의 ADS Pro 기술이 적용된 하이센스의 98인치 슈퍼 라지 TV는 TV 중 최고 수치인 264Hz의 주사율을 자랑하며 모션 블러, 번짐, 지연 없이 영화관과 같은 느낌을 선사한다. BOE와 그 자동차 파트너사들은 최첨단 기술과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특히 자사 최초로 선보이는 4인승 럭셔리 MPV인 Zeekr 009 Grand는 BOE의 라이트 커튼 기술이 적용된 세계 최초의 대량 생산 신에너지차량이다. Geely Galaxy E8에는 BOE에서 처음 선보이는 크기이자 양산 차량 중 가장 넓은 크기인 45인치 8K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기기 클러스터, 센터 디스플레이, 앞조수석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기발하게 통합되어, 스마트한 조종석을 재정의한다. 올해 진행되는 IPC Week 행사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포럼(Display Devices Forum), IoT 이노베이션 포럼(IoT Innovation Forum), MLED 포럼(MLED Forum), 센싱 포럼(Sensing Forum), 스마트 엔지니어링 메디슨 포럼(Smart Engineering Medicine Forum), "AI+" 포럼("AI+" Forum), 넷제로 기술 애플리케이션 포럼(Net-Zero Technology Application Forum), 울트라 HD Forum(Ultra HD Forum), 기술 소스 포럼(Technology Sources Forum), 스마트 IoV 포럼(Smart IoV Forum), 라이트 필드/메타버스 디스플레이 포럼(Light Field/Metaverse Display Forum), 산업 인터넷 포럼(Industrial Internet Forum), 디지털 아트 및 문화 관광 포럼(Digital Art and Cultural Tourism Forum), 페로브스카이트 포럼(Perovskite Forum), 청년 혁신 포럼(Youth Innovation Forum) 등 총 15 가지 포럼이 개최된다. 이들 포럼은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한 업계 공감대 형성을 목표로 디스플레이, IoT, 스마트 제조, AI+, 기타 주제를 조명한다. BOE IPC 2024를 장식할 대미는 BOE와 Best of Esports Alliance 파트너들이 공동 개최하는 2차 BOE 컵 • VALORANT 챌린지 결승전으로, e스포츠 전문가와 스포츠 팬을 위한 벤치마크 테스트가 될 예정이다. BOE는 새로운 기술, 새로운 소비, 새로운 시나리오 등의 시류를 타고 "Empower IoT with Display(디스플레이를 통한 IoT 역량 강화)" 전략을 추진해오며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기타 첨단 기술을 긴밀히 통합하여 무수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BOE는 앞으로 파트너들과 계속 협력하여 "Powered by BOE" 혁신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미래지향적 기술 연구 개발 및 애플리케이션 혁신을 통해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파트너를 지원, 산업 생태계를 끊임없이 활성화하여 양질의 업계 발전을 뒷받침할 것이다.

2024.09.11 19:10글로벌뉴스

[ZD SW 투데이] 베스핀글로벌, 오라클 시상식에서 APAC 혁신 부문 수상 外

지디넷코리아가 소프트웨어(SW) 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ZD SW 투데이'를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SW뿐 아니라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AI)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소식을 담은 만큼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베스핀글로벌, 오라클 시상식에서 APAC 혁신 부문 수상 베스핀글로벌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24 오라클 파트너 어워드' 시상식에서 아시아·태평양(APAC) 혁신 부문을 수상했다. 베스핀글로벌은 혁신 부문 중 '비즈니스 민첩성'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비즈니스 민첩성 부문은 기술 혁신, 구현 용이성, 관리 용이성 및 ROI 가치를 최우선 기준으로 심사한다. 베스핀글로벌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하고 유연한 시스템을 구축, 고성능의 네트워크 처리가 가능한 오라클 클라우드 환경을 조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딥엘, AI 툴 활용 매출 증가 백서 발간 딥엘은 리테일 업계에서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해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담은 'AI 커뮤니케이션 및 글로벌 리테일 전략 가이드'를 발표했다. 백서에 의하면 리테일 업계는 AI 툴을 활용해 ▲운영프로세스 개선 ▲현지 언어 지원 통한 직원 생산성 향상 ▲콘텐츠 번역 비용 절감 등을 누릴 수 있다. 딥엘은 ▲이메일, 챗봇 번역 ▲마케팅 자료 번역 ▲사내 시스템 번역 ▲매장 현지화 통한 해외 진출 지원 등에 언어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효성인포메이션,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플랫폼 UCP RS와 VM웨어 클라우드 파운데이션을 결합한 프라이빗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UCP RS는 전통적인 가상머신과 현대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컨테이너 실행이 가능하며, 온프레미스 AI 워크로드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몰로코, '몰로콘 서울 2024' 성료 몰로코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몰로콘 서울 2024:AI 포 올(AI for all)' 행사를 마쳤다. 이번 행사에서는 안익진 몰로코 대표를 포함한 주요 임원이 참가해 AI 시대 비즈니스 혁신과 광고 마케팅 분야에서 머신러닝의 중요성을 말했다. 또 업계 리더들을 한 자리에 모아 AI 시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도 마련했다.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 프리뷰' 공개 업스테이지가 오는 11월 출시 예정인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 '솔라 프로'의 초기 테스트 모델인 '솔라 프로 프리뷰' 버전을 오픈소스 및 무료 API를 통해 전면 공개한다. 솔라 프로는 솔라 LLM 시리즈의 상위 모델이다. 업스테이지는 개발 중인 모델을 미리 테스트하는 프리뷰 버전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API 호출 비용까지 무료 지원한다. 다만 프리뷰 버전은 영어만 지원하며 입력 토큰 수도 4천96자로 제한된다.

2024.09.11 17:12양정민

밴티지 마켓, 국제 비즈니스 매거진 어워드 2024에서 2관왕 달성

포트 빌라, 바누아투 2024년 9월 11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멀티 자산 브로커 밴티지 마켓(이하 밴티지) [https://www.vantagemarkets.com/?cxd=51395_661629&gclid=%5Bgclid%5D&utm_source=tmbtbr25&utm_medium=prelease&utm_campaign=prpiece&utm_content=text&ls=apac_apac_en_tmbtbr25_prelease_prpiece_text_ibmapac2024_gy2_retail&retailleadsource=na_na_tmbtbr25 ]이 권위 있는 국제 비즈니스 매거진 어워드 2024(International Business Magazine Awards 2024)에서 2024년 APAC 최우수 지수 트레이딩 프로바이더 부문상과 2024년 APAC 최우수 CFD 트레이딩 프로바이더 부문상 등 두 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이러한 영예로운 상을 통해 밴티지는 혁신적인 트레이딩 솔루션, 강력한 기술 및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포함해 선별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트레이더에게 탁월한 트레이딩 경험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인정받았다. 올해 초 밴티지는 일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중점을 두고 지수 CFD 거래 서비스를 강화했다. 2024년 1월 개편을 통해 스트레이츠 타임스 지수(STI), 대만 증권거래소 지수(TWSE) 등 주요 아시아 태평양 지수를 도입했다. 지난 3월에는 웹사이트와 앱을 업그레이드해 트레이더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했다. 이러한 업데이트에는 더 높은 레버리지 옵션, 최대 15%까지 거래 비용을 절감하는 더 축소된 스프레드, 정확한 트레이딩 결정을 위한 고급 도구 등이 포함됐다. 밴티지는 트레이더가 포괄적인 전략과 강력한 보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선별된 아시아ž태평양 시장에 지속적으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마크 데스팔리에(Marc Despallieres) 밴티지 최고 전략 및 트레이딩 책임자는 "이 상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수상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트레이더의 기대를 충족하고 뛰어넘고자 하는 우리의 끊임없는 노력을 인정받았다. 밴티지 마켓은 최고의 트레이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수상은 우수성을 향한 우리의 헌신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밴티지는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 전략을 통해 트레이더가 최상의 트레이딩 조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트레이딩 산업을 선도해왔다. 밴티지는 선별된 아시아ž태평양 지역에서 입지를 계속 확장하고 있으며, 이번 수상을 통해 트레이더가 인정받은 트레이딩 플랫폼에서 기대할 수 있는 한계를 계속 넓혀가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밴티지 소개 밴티지 마켓(또는 밴티지) [https://www.vantagemarkets.com/?cxd=51395_661629&gclid=%5Bgclid%5D&utm_source=tmbtbr25&utm_medium=prelease&utm_campaign=prpiece&utm_content=text&ls=apac_apac_en_tmbtbr25_prelease_prpiece_text_ibmapac2024_gy2_retail&retailleadsource=na_na_tmbtbr25 ]은 외환, 원자재, 지수, 주식, ETF, 채권 차액결제거래(CFD) 등의 매매를 위한 민첩하고 강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자산 브로커다. 14년 이상의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트레이딩 생태계, 수상 경력에 빛나는 모바일 트레이딩 앱[https://apps.apple.com/au/app/vantage-all-in-one-trading-app/id1457929724?mt=8 ], 고객이 트레이딩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친화적인 매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브로커의 역할을 뛰어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밴티지 앱은 앱 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trade smarter @vantage 위험 경고: CFD 거래는 상당한 위험이 따른다. 초기 투자보다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

2024.09.11 17:10글로벌뉴스

  Prev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우리는 어쩌나"…홈플러스 노동자·입점주·지역상권 한숨

국가AI전략위 출범 임박…조건 완화될 'AI컴퓨팅센터' 공모 주목

"고성능은 기본 저탄소가 경쟁력"…K-배터리 새 생존법

[현장] AI가 바꾸는 게임·스포츠…이미지 생성·데이터 분석도 자동으로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
  • COPYRIGHT © ZDNET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