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 첫 흑자' 낸 메가존클라우드, IPO 추진 '청신호'…해외 주관사도 선정
국내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MSP) 업계 최초로 유니콘 기업에 오른 메가존클라우드가 올해 1분기에 당기순익 첫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연간 기준 흑자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올라가면서 기업공개(IPO) 추진에 '청신호'가 켜진 모습이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최근 마감한 올해 1분기 사업실적 분석 결과 1~3월 연결과 별도 기준 모두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손익분기점(BEP)을 넘어섰다고 14일 밝혔다. 매출도 1분기 역대 최대인 4천276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1분기 동안 영업손실은 여전히 소폭 수준을 기록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작년 매출 1조4천265억원 달성 이후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익성도 점차 개선되면서 연간 흑자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은 올해 1분기가 처음으로, 잠정 실적이라는 점에서 회사 측이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번에 수억원대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메가존클라우드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지속됐던 전방 산업의 비용 최적화 움직임이 둔화되고 하반기부터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다시 가속화되는 흐름에 힘입어 올해 1분기에 기대 이상의 실적을 달성했다"며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와 관련해 기업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및 업무 자동화 시장 확장 등 신규 사업 발굴을 통해 흑자 기조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그간 영업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152억원, 2020년 143억원, 2021년 153억원, 2022년 346억원 등 연간 수 백억원대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역시 69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AI과 서비스 소프트웨어 분야 전문인력을 확충하면서 세중클라우드 인수 등 신규 사업 기회 창출과 기존 사업 영역 확대에 주력했기 때문이다. 이 탓에 일각에선 수익 구조가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메가존클라우드의 IPO 추진 움직임을 우려하기도 했다. 성장성을 근거로 상장 기회를 주는 '기술특례 제도'를 이용한다고 해도 수익성 개선 방안이 입증되기 전에 제 가치를 받기 어려울 것이란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메가존클라우드가 이번에 당기순익 실현에 성공하면서 시장의 우려는 다소 불식된 분위기다. 최근 3년간 영업이익률은 마이너스(-) 2~4%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매출이 꾸준히 늘면 흑자전환도 어렵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 움직임이 가속화되며 관련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호재다. 가트너, IDC 등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들은 올해 국내외 클라우드 시장이 20%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돼 메가존클라우드도 연말까지 매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지난해 조직과 기능을 강화한 AI 및 SaaS 분야에서의 사업기회 확대가 실현되면서 시장 평균을 웃도는 성장이 (올해도) 무난할 전망"이라며 "변수가 많겠지만 어떻게든 연간 흑자를 달성한다는 목표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을 기반으로 메가존클라우드는 IPO 추진에도 좀 더 자신감을 보이는 모습이다. 지난달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국내 증권사들에 발송해 마감한 상태로, 제안 PT를 거쳐 이르면 이달, 늦어도 다음달께 국내 주관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해외 자금도 끌어들이기 위해 해외 주관사 선정 작업에도 나섰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올해 3분기부터는 본격적인 IPO 준비에 돌입해 내년이나 내후년께 마무리짓는다는 방침이다. 2018년 모회사인 메가존에서 물적분할로 설립된 메가존클라우드는 회사 설립 4년만인 2022년 기업가치 2조4천억원 평가를 받으며 MBK파트너스와 IMM PE로부터 4천5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또 같은 해 연결기준 1조2천6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 국내와 더불어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중국 상해·북경,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등 해외 8개국에서 현지 법인도 운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단위 기업가치가 예상되는 기업인 만큼 국내에서만 자금을 조달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해외에서도 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메가존클라우드가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국내에선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상장이 가장 유력해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