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향상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긴급구조 위치기준 충족률, 위치정확도와 위치응답시간이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긴급구조기관과 경찰관서에서 긴급구조를 위해 활용하는 위치정보 품질 측정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방통위는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이동통신 3사망 이용 단말기가 꺼진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켰을 때 GPS와 Wi-Fi 기능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긴급구조 위치기준 충족률은 GPS 방식이 98.2%, Wi-Fi 방식이 93.8%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각각 11.7%p, 7.2%p 증가했다.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전년 보다 개선' GPS 방식을 기준으로 위치기준 충족률은 KT 99%, LG유플러스 98%, SK텔레콤 97.6% 순이었다. 위치정확도는 KT 12.7m, LG유플러스 20.2m, SK텔레콤 29.4m을 기록했다. 응답시간은 KT 4.3초, LG유플러스 6.2초, SK텔레콤 6.7초였다. 전년과 비교해 이동통신 3사의 평균 GPS 위치기준 충족률은 86.5%에서 98.2%로, 위치정확도는 53.8m에서 21.6m로, 응답시간은 12.4초에서 5.8초로 개선됐다. Wi-Fi 방식 측정 결과, 위치기준 충족률은 KT 95.3%, SK텔레콤 94.9%, LG유플러스 91.1%였다. 위치정확도는 KT 25.2m, LG유플러스 35.5m, SK텔레콤 37m로 나타났다. 응답시간은 SK텔레콤 2.1초, KT 4.9초, LG유플러스 5.3초로 이동통신 3사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전년 대비 Wi-Fi 위치기준 충족률은 86.6%에서 93.8%로, 위치정확도는 56.1m에서 34.2m로, 응답시간은 7.5초에서 4.1초로 개선됐다. 기지국 방식 측정 결과, 위치정확도는 KT 72.7m, SK텔레콤 86m, LG유플러스 338.4m를 기록했다. 위치응답시간은 SK텔레콤 1.6초, KT 3.4초, LG유플러스 4.5초였다. SK텔레콤과 KT는 양호하나, LG유플러스는 위치정확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이동통신 3사 평균 위치정확도는 146.3m에서 107m로, 위치응답시간은 4.9초에서 3.2초로 발전했다. "외산 단말기, 긴급구조시 정밀위치정보 제공 어려워" 방통위는 지난해 국내 출시된 단말기 중에서 이통사향 단말기 이외의 기타 단말기 일부를 대상으로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여부를 측정했다. 자급제 단말기는 기지국, GPS, Wi-Fi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심이동 단말기의 경우 GPS, Wi-Fi 위치정보는 대부분 제공했다. 알뜰폰 단말기는 기지국, GPS, Wi-Fi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산 단말기의 경우, GPS·Wi-Fi 위치측위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긴급구조 시 정밀위치정보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애플 아이폰은 정보주체가 긴급통화 중이 아닐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긴급통화 중에는 긴급구조기관이 GPS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아이폰 자체적으로 계산한 정밀위치정보를 이동통신사 GPS 측위 연동 기능을 통해 제공했다. 샤오미(12S)의 경우 GPS·Wi-Fi 모두 이동통신 3사 측위 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이 같은 정밀측위 사각지대 단말기의 경우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해 품질측정이 아닌 정밀측위 기능 제공 여부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해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다만, 측위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지난해 2월 이전 출시된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통신사, 제조사, 운영체제(OS) 운영사(애플, 구글) 등으로 구성된 '긴급구조 품질협의체'의 협의를 통해 사후 탑재를 추진할 계획이다. 외산 단말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이폰의 경우 긴급통화 중이 아닐때도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이동통신사 망과 호환되는 Wi-Fi 측위 기능이 탑재되도록 권고하는 등 애플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한상혁 위원장은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 개선과 정밀측위 사각지대 단말 해소를 위한 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