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탄소포집 기술에 3년 간 197억원 투자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거둬들여 별도 보관하거나 재활용해 기후변화를 막는 기술에 3년 간 197억원이 투입된다. 이상 기후에 대한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기후위기의 피해를 줄일 방법을 찾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을 활용해 기후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후·환경 분야 신규 사업 2건을 공고한다고 12일 밝혔다.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공기 중 직접포집 및 활용(DACU, Direct Air Capture & Utilization) 원천기술개발 사업'에는 2개 과제에 대해 올해부터 2025년까지 197억원을 투자한다. 대형 공장이나 플랜트 등 이산화탄소가 대량 발생하는 산업 현장에 설치하는 기존 이산화탄소포집(CCU) 방식과 달리 일반 대기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거둬들여 대기 중 탄소 농도를 줄이는 기술이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로 기대되지만, 기술적 어려움과 불확실성이 크다. 이 사업에선 ▲공기 중 직접포집(DAC) 원천 기술 및 실증 기반기술 개발과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별도의 공정 없이 합성가스나 유기화합물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동시 포집·전환(RCC) 원천기술 개발 등 2개 과제를 지원한다. 또 '디지털 기반 기후변화 예측 및 피해 최소화' 사업에는 2026년까지 347억 6천만원이 투입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폭우나 가뭄, 한파 등 이상 기후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디지털 트윈에 기반해 기후변화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감시하고, 이같은 영향을 실험적으로 모사하는 (U-Ecotron) 기술을 개발한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줄일 기능성 소재도 개발한다. 피해 사전예측과 저감기술 개발, 모사 시스템을 활용한 효과 검증으로 이어지는 전주기적 과제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기획한다. 두 사업의 공고문은 13일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 공고된다. 과기정통부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산업과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필수"라며 "과기정통부는 2030년, 2050년을 목표로 파급력이 높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도전적 R&D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