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모' 페이페이 리 교수 "AGI 의미, 솔직히 잘 모르겠다"
"일반인공지능(AGI)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 단어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도 없습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일이 많다고 봅니다." 7일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페이페이 리 스탠퍼드대 교수 겸 월드랩스 대표는 지난 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골드게이트 클럽에서 열린 크레도 AI의 '책임 있는 AI 리더십 서밋'에 참석해 AGI에 대한 의견을 이같이 밝혔다. 최근 AGI 용어가 산업계에서 사업·마케팅 목적으로 남발되는 것에 대해 지적한 것이다. 페이페이 리 교수는 "수십 년 동안 AI를 학문적으로 접근했다"며 "더 엄격하고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AI를 연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 거론되는 AGI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며 "사람들은 AGI가 나타나면 알아차릴 수 있을 거라고 하지만, 학자로서 와닿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AGI에 대해 딱히 생각해 본 적 없다"며 "AI 발전을 위해 더 중요한 일이 많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리 교수는 2010년 '이미지넷(ImageNet)' 구현 후 비전 AI를 탄생시킨 'AI 대모'로 알려졌다. 2000년대 초부터 연구자들과 AI 기초 개념을 확립했다. 이후 이미지넷을 '알렉스넷(AlexNet)'과 결합해 최신 비전 AI를 구현했다. 이렇게 수십 년간 AI를 연구했음에도 AGI 용어 모호성을 지적한 것이다. 일각에선 리 교수가 최근 오픈AI나 메타, xAI 등이 투자 확대를 위해 홍보 목적으로 AGI 용어를 남발하는 것을 우회해 비판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앞서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미국 월간지 뉴요커 인터뷰에서 "AGI는 평균적인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며 "회사 직원들이 이를 동료로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지적 수준을 갖춘 기술"이라고 해당 용어를 정의한 바 있다. 리 교수는 향후 다양한 기업과 기술이 결합해야만 AGI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정 기업만이 AGI를 이룰 수 없다는 의미다. 그는 "앞으로 다양한 종류의 AI가 등장할 것"이라며 "이는 인류에 더 나은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 교수는 최근 AI 스타트업 월드랩스를 설립했다. 월드랩스는 '공간 지능(spatial intelligence)'를 연구하고 있다. 공간 지능은 컴퓨터가 비전 AI를 통해 현실세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공간 지능은 AGI 구현을 위한 핵심 축으로 알려졌다. 그는 공간 지능에 활용할 '세계대형모델(LWM)'을 월드랩스에서 개발하고 있다. 리 교수는 LWM 개발이 거대언어모델(LLM) 구축보다 복잡하다고 했다. 인간 언어는 100만년에 걸쳐 완성됐지만, 시각·지각 완 5억4천만년 걸렸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AI가 실제 사물을 보거나 세상을 탐색·상호작용하게 하려면 공간 지능이 필요하다"며 "몇 년 내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