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산업부-교육부, 지역 발전 생태계 개편나서나
정부가 지역발전 생태계 개편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인력양성과 R&D 체계의 연계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역 유망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1천100억원대 펀드를 조성한다. R&D 과제도 100억 원 정도의 중대형 규모로 전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상임 장관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및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22일 대전 소재 바이오 기업 ㈜바이오오케스트라에서 지역발전정책 협업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3개 정부부처가 손잡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바탕으로 '인재양성-취·창업-연구개발-정주'의 지역발전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RISE(라이즈)는 교육부는 대학재정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고 지자체는 대학과 협력적 동반 관계를 구축,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지원을 실시하는 체계를 말한다. 협력 분야는 ▲지역산업활력펀드 연계 맞춤형 인재양성(CUBE) ▲지역앵커기업-지역대학 전략기술 공동개발(M&LS) ▲대학-출연연 간 협업 강화가 골자다. 2029년까지 지역산업 활력 펀드 1100억 원 투입 CUBE프로그램은 지역 소재 기업이 수도권 대비 자금 및 인력 수급 여건이 불리하다는데서 출발한다. 산업부가 지역산업 활력 투자기금(펀드)을 통해 지역 유망 기업 기술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면, 교육부에서는 지역 대학에서 해당 기업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라이즈 체계를 통해 지원한다. 산업부는 2025~2029년 지역사업활력 펀드 1천100억원을 조성해 100개가 넘는 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 정책펀드는 주로 인력 양성과 관련해 투입한다. 대학은 기업과 협의해 맞춤형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방침이다. 기존 지역산업활력펀드 1.0 투자를 받은 첨단산업 분야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선도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 1.0 투자 기업은 대전 바이오오케스트라(바이오신약)와 경북 솔라라이트(이차전지 재활용·재사용) 등이다. M&LS는 기존 소규모 지역 R&D(3~20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중대형 R&D를 기획, 지역 종합적 혁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기획했다. 기획 의도는 지역대학 연구 역량이 수도권 대락 대비 65%수준에 불과한 어려움을 지역 주도 기업(앵커기업)-출연연-수도권대학 연계해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자는 것이다. 중형 R&D과제 지역 균등배분 지양 경쟁체제 도입 지역 전략 산업을 바탕으로 차세대 혁신제품 개발 수요를 발굴하고, 해당 지역 내 앵커기업-협력업체-대학이 공동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도록 설계했다. 다만, 자유공모형 프로그램 방식으로 추진하되, 지역 균등배분보다는 경쟁체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대학과 출연연 간 협업도 강화한다. 이미 선정된 4개 플랫폼을 중심으로 각 지역 라이즈계획 연계 및 지역라이즈센터와의 협업을 추진한다. 하반기에는 양부처 공동기획연구를 통해 협업거버넌스, 전문기관간 역할정립 등 협업확대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권역별로 선정된 플랫폼은 충청권의 충북대-원자력연의 이차전지 호남제주권은 전북대-KIST의 첨단 모빌리티 동남권은 부산대-생기원의 수소 대경강원권은 경북대-ETRI가 AI 등이다. 대학-출연연 벽허물기 방안 내달 발표 이와 관련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공동으로 다음 달 대학-출연연 벽허물기 방안을 발표한다. 또 대학 출연연을 포함한 지역혁신 주체가 협력해 대학부설연구소를 세계적인 수준의 국가연구소(NRL 2.0)로 육성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역 혁신을 위해서는 중앙부처, 지자체를 비롯한 혁신주체들의 협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라며, “지역 혁신을 위한 협업과제 발굴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