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인 괴롭히는 민감 자극, 뇌영상과 침으로 찾는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은 감각이 지나치게 예민해 일상 생활이 어렵고 사회성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감각 민감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하고, 이 유전자가 뇌 구조에 영향을 주어 사회성 문제에도 관여함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감각 문제 조기 진단을 위한 표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란 기대다. 한국뇌연구원 인지과학연구그룹 정민영 박사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남녀 100여명의 MRI 뇌영상을 촬영하고 타액을 수집해 감각 민감성이 유전자 및 뇌 구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수집한 타액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경뇌하수체호르몬인 바소토신 수용체의 형태에 따라 감각자극이 더 민감해지고, 사회성이 떨어짐을 확인했다. 또 MRI 뇌영상 데이터를 분석, 전두엽에 위치한 중요한 운동영역인 중심앞이랑 부위가 감각 자극에 대한 민감성과 큰 관련이 있음을 최신 뇌 표면 분석 기법으로 확인했다. 바소토신 수용체의 특정유전자(rs1042615 A-carrier)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감각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사회 관계에서 회피 경향이 크며, 중심앞이랑 뇌표면이 얕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유전자가 뇌구조 발달에 영향을 주며, 감각의 민감성에 관여해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성 문제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민영 박사는 "발달장애의 감각 민감성과 사회성 문제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발달장애의 감각적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라며 "단시간 MRI 뇌영상과 비침습적 DNA 수집을 이용한 연구방법은 향후 아동 및 발달장애의 의료 접근성을 높여 저비용·고효율 진단 및 치료 연계를 위한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 중개 정신의학(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Vasotocin Receptor Gene Genotyp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tical Thickness and Sensory Processing (바소토신 수용체 유전자형은 대뇌피질의 두께와 감각처리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