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s 픽] 3연임 성공한 정덕균, 내년에 한 번 더?…포스코DX, 호실적 달성 '순항'
정덕균 포스코DX 사장이 올해도 경영 리더십을 굳건히 하며 4연임을 위한 움직임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었다. 올 초 장인화 신임 회장 체제로 변경된 후 포스코그룹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사업 구조조정에 나섰으나, 포스코DX는 안정적인 1분기 실적을 기록하며 그룹 내 정 사장의 입지를 굳히는 데 힘을 싣는 모습이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DX는 올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4천40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7.5%나 늘어난 352억원, 당기순이익은 0.3% 상승한 25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번 실적은 이차전지를 비롯해 포스코 그룹에서 추진하고 있는 철강, 친환경 미래소재 등 주력사업에 스마트팩토리, 공장자동화, 산업용 로봇 등으로 사업 기회가 늘어난 결과로 분석됐다. 일단 포스코DX의 1분기 수주액은 3천36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0.7%밖에 안늘었다. 그러나 2년 전인 2022년 1분기(1천518억원)에 비하면 2배 이상 증가해 선전한 모습을 보였다. 수주는 경영실적 선행지표로 손익 리드타임까지 7~12개월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향후 실적도 안정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포스코DX 관계자는 "철강 및 전기차 등 고객의 전방산업 수요 부진, 원재료 가격 상승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주 잔고 기반 진행률에 따른 매출 및 이익 실현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서의 IT, EIC 자동화 등 견조한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올해 3월 말 기준 별도 수주 잔고는 전방산업 업황 부진 영향으로 일부 계획된 사업이 이연되며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한 1조1천700억원을 기록했다"며 "포스코퓨처엠 포항 양극재 2단계(973억원), 광양 양극재 2단계(477억원), 포스코인터 광양 LNG 터미널(405억원) 등의 수주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사업별로는 공장자동화(EIC)와 IT 부문에서 좋은 실적을 거뒀다. 특히 EIC 자동화의 호실적은 2022년 이후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 투자 본격화로 양극재 등 공장 자동화 매출 비중이 확대된 영향이 컸다. 이 부문의 1분기 매출은 2천7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했다. 1년 전에 비해 이차전지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도 12%에서 31%로 두 배 이상 늘었다. 포스코DX 관계자는 "올해는 AI와 로봇을 활용한 '산업현장기술(OT)' 기반 자동화·무인화·저탄소 사업에 주력할 것"이라며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HyREX), 인도네시아 제철소 및 국내외 이차전지소재 사업 등 업황을 고려한 포스코그룹의 투자 사업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IT 서비스 부문도 스마트팩토리, 공장자동화, 산업용 로봇 등에 집중한 결과 좋은 실적을 거뒀다. 매출은 1년 새 19.1% 증가한 1천445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도 0.7%P 오른 6.9%로 마감됐다. 또 스마트팩토리에서의 실력을 입증 받아 효성중공업 S.팩토리 해외 공장 확산, LIG넥스원 MES, LS MnM 유지보수 등 신규 수주액 380억원도 확보했다. 포스코DX 관계자는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 신설 법인 및 신증설 공장 증가에 따른 IT 수요 확대로 매출 규모가 증가했다"며 "스마트팩토리는 AI와 로봇기술이 융합된 인텔리전트 팩토리로 업그레이드 해 차별화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물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2%나 줄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물류 비중은 지난해 1분기 12%에 달했으나 올해 1분기에는 3%로 쪼그라들었다. 정 사장이 지난해 3월 회사 이름을 기존 포스코ICT에서 포스코DX로 바꾸고 스마트물류를 중심으로 신사업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역행한 모습이다. 하지만 시장에선 포스코DX가 올해도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포스코그룹이 철강, 이차전지 소재 등을 중심으로 공장 자동화에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포스코그룹의 설비투자(CAPEX) 중 10~20%는 공장 자동화에 대한 투자로, 철강, 이차전지 소재 등 핵심 계열사의 2030년까지의 CAPEX 계획은 총 121조원에 달한다. 이 중 자동화 관련 투자는 최대 20조원일 것으로 예상됐다. 김규상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이차전지 소재 자동화 관련 수주는 2021년 559억원, 2022년 2천272억원, 2023년 4천315억원으로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포스코DX가 산업용 AI 시장을 본격 공략함과 동시에 철강, 이차전지와 함께 올해도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시장에선 포스코가 올해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9.9% 증가한 1조7천820억원, 영업이익이 37.0% 늘어난 1천515억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올해 AI기술센터를 설립해 산업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용 AI 개발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점도 실적에 보탬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김 연구원은 "향후 관계사 생산시설 자율화, 무인화, 최적화를 통해 생산성을 확대할 전망"이라며 "포스코DX는 인지, 판단, 제어 등 3개 분야에 중점적으로 AI 기술을 도입할 예정으로,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포스코DX의 실적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이유로 정 사장의 역할이 컸다고 봤다. 정 사장은 임기 첫 해였던 2021년 영업적자를 감수하고 건설, 전력, 통신 인프라 시스템 엔지니어링 같은 저수익 사업을 과감히 접는 동시에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를 만들었다. 그 결과 포스코DX는 2021년에 영업손실 195억원을 기록했으나, 2022년에 영업이익 675억원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71% 급증한 1천10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이 같은 분위기에 따라 정 사장이 1년 전 밝힌 비전 달성에도 '청신호'가 켜진 모습이다. 앞서 정 사장은 지난해 사명변경에 따른 비전 선포식에서 포스코DX를 글로벌 디지털 전환 리더로 성장시켜 오는 2030년 매출 4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정 사장은 "산업계가 직면한 디지털 전환은 우리의 소명임과 동시에 새로운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회사의 새로운 사명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산업 전반의 DX를 리딩 하는 대표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업계에선 포스코DX의 그룹 계열사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월등히 높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해 기준 포스코DX의 내부 거래 비중은 83%에 달한다. 현재 포스코 그룹의 이차 전지 소재 생산을 위한 공장에 자동화 서비스,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등을 공급 중인데, 내부 거래 비중을 줄이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 구조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DX 같은 IT서비스 기업은 사업 특성상 전체 매출이나 수주에서 보통 그룹사 비중이 높다"며 "포스코DX 역시 포스코 계열사의 스마트팩토리 등에서 안정적으로 그룹 물량을 확보해 왔지만 외연 확장이 없으면 수익성이 떨어질뿐 아니라 내부거래와 관련한 규제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스마트물류 사업을 바탕으로 포스코DX가 성공적으로 비계열사 매출을 늘릴 방안도 고민해봐야 할 것"이라며 "최근 AI, 디지털트윈 등 기술을 적용해 사업을 고도화하는 한편, 신사업 발굴을 앞세워 매출 다각화를 이루기 위한 움직임에도 나서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