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대체 불가능한 인재 되려면 어떤 능력 필요하나
맹성현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가 AI 시대 고임금 전문직 위주로 인간 일자리가 AI로 대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AI와의 공존을 목표로 하되, 대체 불가능한 인재가 되기 위한 능력 발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맹 교수는 5일 리멤버가 개최한 'AI 시대 경쟁력, 핵심인재 확보부터' 웨비나에서 'AI 시대에 필요한 핵심인재의 기준'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맹 교수는 지난해 8월 교육 수준 별로 인력이 AI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분석한 뉴욕타임즈 보도를 소개하며 "AI가 일자리에 큰 영향을 준다. 일은 사람만 하는 것이 아닌, 사람과 AI가 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졸업 후 종사 가능 직종인 간호사, 원자력 엔지니어, 인사 담당자 등의 약 75%가 AI로 자동화될 수 있다. 대학원 졸업 후 종사 가능 직종이 AI로 자동화될 확률은 64%, 2년제 대학 졸업 후는 38%, 고등학교 졸업 후는 17%, 고등학교 이하는 6%로 나타났다. 맹 교수는 "고임금 전문직은 AI 기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몸을 움직이거나 정교한 손재주가 필요한 저임금 노동은 각광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맹 교수는 AI 시대 전망이 좋은 직종으로 AI/ML, 정보보안, 핀테크, 로봇공학, 디지털 전환 등과 관련된 전문직을 꼽았다. 또 ▲AI를 위한 훈련가·설명가·유지보수 전문가 ▲AI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전문가 ▲AI 관련 보안·윤리·안전·신뢰 문제를 다루는 직종 등 AI 관련 전문직이 새로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AI가 발전할수록 인간의 감성을 다루는 제품·서비스를 만드는 전문가가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맹 교수는 "인간과 AI는 각자의 정체성과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 "일은 사람만 하는 것이 아닌, 사람과 AI가 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AI와 공존하는 자세를 강조했다. 이어 맹 교수는 AI 시대에 살아남는 인재가 되기 위해 ▲정서적 인간다움 ▲공감기반 협업능력 ▲경험 지식 체화 능력 ▲AI 리터러시 ▲기술변화 적응력 ▲지식정보 진위 판단력 ▲창의력 ▲문해력 ▲통합 통찰력 등 능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공감능력에 대해 "정서적인, 인간다운 공감은 당분간 인간만 가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러 분야에 대한 전문적 깊이를 갖는 폴리매스형 인재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