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 연일 재생에너지 소통…업계 건의 세액공제·규제완화 등 논의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23일 “태양광은 재생에너지의 핵심축”이라면서 “간담회에서 논의한 현장 애로·건의사항을 신속하게 정책에 반영하고 정부와 업계가 힘과 지혜를 모아 대한민국의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의 기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김 장관은 태양광 설계·시공·발전 등 주요 12개 협회·단체와 가진 간담회에서 “기후부는 탈탄소 전환의 선도부처로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의 조속한 이행에 전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지난 22일 기후부 출범 이후 첫 풍력 업계 간담회를 개최한 데 이어, 이날 태양광 관련 주요 협회·단체를 대상으로 소통을 이어갔다. 이날 간담회에서 협회·단체는 현장에서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과 태양광의 획기적 확대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을 건의했다. 간담회에서는 협회·단체가 건의한 ▲지역별 이격거리 규제 완화 ▲전력계통 접속제도 개선 및 출력제어에 대한 합리적 보상방안 마련 ▲미국 제도를 참고한 생산세액공제(AMPC) 제도 도입 등을 논의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6일 제2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영농형 태양광 일시사용 허가기간·이격거리 규제 등 태양광 확산에 장애가 되는 규제를 신속하게 검토해 개선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기후부는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속도감 있는 탈탄소 전환을 추진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연간 100GW로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