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혈관성 치매 유발할 수 있다"
뇌의 혈류 감소로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가 미세플라스틱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고 과학전문매체 스페이스얼랏이 최근 보도했다. 미국 뉴멕시코 대학 신경과학자 일레인 베어러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다양한 형태의 혈관성 치매를 새롭게 분류하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개발했다. 최근 미국 병리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athology)에 게재된 해당 연구는 산소 결핍, 염증, 소량의 출혈, 미세한 뇌졸중 등 혈관성 뇌 손상에 기여하는 10가지 질병 과정을 규명했다. 베어러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 사이에 의미 있는 중복 현상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새로운 현미경 분석법을 통해 체내에 침투한 미세 플라스틱이 혈관성 치매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가능성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연구를 진행했다"며, "다양한 혈관 질환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정확히 무엇을 치료하고 있는지조차 몰랐다"고 밝혔다. 이어 "나노플라스틱과 미세 플라스틱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몰랐다. 그것을 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베어러는 현미경 분석 자료와 다른 연구 결과를 분석해 치매로 사망한 사람들의 뇌혈관을 화학 염색법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현상, 소량의 출혈, 신경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미세한 뇌졸중 등 혈관성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병리적 변화를 확인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현미경 기술과 특수 염색법을 활용해 뇌 조직 속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검출•분석에 성공했다. 그 결과, 치매 환자 뇌에서는 일반인보다 훨씬 더 많은 플라스틱이 발견됐고, 그 수치는 질병의 유형과 심각도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우려스러운 점은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인지 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뇌 염증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베어러 교수는 "뇌 속의 나노플라스틱은 뇌 병리학 분야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 발견을 계기로 알츠하이머병과 다른 형태의 치매에 대한 기존 관점은 모두 수정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외신들은 이번 연구가 우리가 직접 흡입, 섭취하거나 환경을 통해 노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뇌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