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USA
  • ZDNet China
  • ZDNet Japan
  • English
  • 지디넷 웨비나
뉴스
  • 최신뉴스
  • 방송/통신
  • 컴퓨팅
  • 홈&모바일
  • 인터넷
  • 반도체/디스플레이
  • 카테크
  • 헬스케어
  • 게임
  • 중기&스타트업
  • 유통
  • 금융
  • 과학
  • 디지털경제
  • 취업/HR/교육
  • 인터뷰
  • 인사•부음
  • 글로벌뉴스
창간특집
인공지능
배터리
컨퍼런스
칼럼•연재
포토•영상

ZDNet 검색 페이지

'현대차·기아 영업이익 20조원'통합검색 결과 입니다. (208건)

  • 태그
    • 제목
    • 제목 + 내용
    • 작성자
    • 태그
  • 기간
    • 3개월
    • 1년
    • 1년 이전

대기업 3Q 영업익 증가액 1위 SK하이닉스...영업손실 1위 SK에너지

국내 대기업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4% 가량 늘어났다.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다. 반면 3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SK에너지,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GS칼텍스로 집계됐다. 즉,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이 5배 이상 늘어났지만, 석유화학 업종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유가 약세로 적자로 돌아섰다. 1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까지 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32개 사를 대상으로 올 3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58조6천151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43조7천881억원) 대비 14조8천270억원(33.9%)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도 776조9천907억원으로 전년 동기(743조9천593억원) 대비 33조314억 원(4.4%)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동기(2조4천335억원) 대비 6조7천499억 원 늘어난 9조1834억 원을 기록했다. 2위는 7조3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SK하이닉스다. 이어 현대자동차(3조5천809억원), 한국전력공사(3조3천961억원), 기아(2조8천813억원), 한국수력원자력(1조6천12억원), HMM(1조4천614억원), 현대모비스(986억원), 삼성생명(7천962억원), LG전자(7천519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3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SK에너지(-5천348억원)였다. 이어 S-Oil(-4천149억원), 롯데케미칼(-4천136억원), GS칼텍스(-3천529억원), HD현대오일뱅크(-2천681억원), SK인천석유화학(-1천894억원), 한화토탈에너지스(-1천668억원), 금호건설(-1천574억원), 에스에프에이(-1천505억원), 푸본현대생명보험(-1천199억원) 순이었다. 3분기 영업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SK하이닉스다. 전년 동기 대비 8조8220억 원(흑자전환)이나 급증했다. 인공지능(AI) 붐을 탄 HBM(고대역폭메모리), eSSD(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등 AI 메모리 특수 덕분이다. 영업이익 증가액 2위는 삼성전자로 6조7499억원(277.4%) 늘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1조3천995억원) △HMM(1조3천856억원) △한국수력원자력(6천931억원) 순이었다.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GS칼텍스로, 전년 동기 대비 1조5천582억원(적자 전환) 줄었다. 이어 S-Oil(1조2천738억 원·적자 전환) △SK에너지(-1조2천697억원·적자 전환) △HD현대오일뱅크(-5천873억원·적자 전환) △SK인천석유화학(-4천987억원·적자 전환) 순으로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컸다. 지난 3분기 영업이익 감소액 상위 10개 사 중 8개 사가 석유화학 업종에 속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유가 약세가 원인이다.

2024.11.16 08:25이나리

삼성전자, 자사주 10조 매입...3개월 내 3조원 소각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총 10조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 2017년 9조3천억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이후 7년 만에 대규모 매입이다. 삼성전자는 15일 이사회를 열어 향후 1년간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는 계획을 의결했다. 이 중 3조원의 자사주는 3개월내 사들여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이달 18일부터 내년 2월 17일까지 장내 매수 방식으로 매입해 소각할 계획인 자사주는 보통주 5014만 4628주, 우선주 691만 2036주다. 나머지 7조원의 자사주에 대해서는 자사주 취득을 위한 개별 이사회 결의시 주주가치 제고 관점에서 활용 방안과 시기 등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하여 결정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은 주주들에게 미래 성장 가능성을 증명하고 책임경영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 배경에 대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삼성전자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다가 어제(14일) 4만9900원에 마감하며 4년 5개월 만에 4만원대로 주저 앉았다. 이날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298조원으로, 300조원대도 붕괴됐다. 오늘은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전일 대비 7.21% 상승한 5만3500원에 마감하며 5만원대를 회복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못미치는 실적을 내면서 영향을 줬다. 3분기 전사 영업이익은 9조1천834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10조원대)를 밑돌았다. 그 중 반도체를 담당하는 DS(디바이스 솔루션) 영업이익은 3조8천600억원으로 지난 2분기 영업이익(6조4천500억원) 보다 2조5천900억원이 줄었다. 이에 이례적으로 반도체 수장인 전영현 DS 부문장(부회장)은 3분기 잠정실적 발표 후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근원적인 기술 경쟁력과 회사의 앞날에 대해서까지 걱정을 끼쳤다"며 사과하기도 했다. 특히 AI 서버에 탑재되는 HBM(고대역폭메모리) 부문에서 대형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퀄테스트 통과가 지연되면서 기술 경쟁력이 SK하이닉스에 밀린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또한 파운드리 시장에서는 1위인 TSMC와 점유율 격차가 벌어지고 대형 고객사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어왔다.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되고 반도체법(칩스법)에 대한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주가에 부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계속되는 주가 하락에 일부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에 대한 전망이 다소 낙관적이었던 점을 인정하기도 했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HBM의 매출화 시기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지배적이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며 "이에 대한 예측 실패를 인정한다"고 말했다.

2024.11.15 18:46이나리

"AI·SCM 솔루션으로 날개 달았다"…비아이매트릭스, 3분기 최고 실적 경신

비아이매트릭스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솔루션과 공급망 관리(SCM) 솔루션의 수요 급증에 힘입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래 성장을 이어온 비아이매트릭스는 상장 후 첫 해인 올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연간 실적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이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비아이매트릭스의 3분기 매출액은 89억8천6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2억9천500만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19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액이 21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169억원 대비 27.9% 증가했다. 또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8억원과 14억원으로 모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1억원, 28억원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비아이매트릭스는 통합 유저인터페이스(UI) 플랫폼인 '에이유디(AUD) 플랫폼'과 생성형 AI 솔루션인 '지-매트릭스(G-MATRIX)'의 활발한 수주가 이번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매트릭스'는 기존 솔루션보다 계약 규모가 크고 이익률이 높으며 주요 대기업뿐만 아니라 금융과 공공기관과의 수주도 늘어나고 있다. SCM 솔루션인 '엠포플랜(M4PLAN)' 역시 반도체, 2차 전지,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첨단 산업군에서 수요를 이끌어내며 매출 성장에 일조했다. 지난해 11월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과 AI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비아이매트릭스는 디지털 전환 표준 솔루션으로 'AUD' 플랫폼을 자리매김시키는 동시에 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북미, 유럽 시장 진출도 가속화하고 있다. 일본 대리점과의 협업을 통한 매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북미 및 유럽 시장에서도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며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 내 주요 기업으로 자리 잡을 계획이다. 비아이매트릭스 관계자는 "상장 후 첫 해인 올해 3분기까지 매출이 크게 늘면서 분기 누적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대기업 외 금융 및 정부 기관에서도 수주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연간 실적 목표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11.15 14:19조이환

신세계I&C, 3분기 실적 '우울'…IT 서비스 성장에도 유통 부진 '발목'

신세계I&C가 IT 유통 부문 부진 여파로 3분기에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세계I&C의 3분기 매출액은 1천44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매출 1천479억원에 비해 2.6%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전년 동기 86억원에 비해 34% 감소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IT 서비스 부문은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IT 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878억원으로 전년 동기 824억원 대비 약 6.6%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73억원으로 전년 동기 89억원 대비 18% 감소했다. IT 서비스 사업 부문의 성장에는 디지털 전환(DX) 트렌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시스템 개발·구축·운영 등에서의 지속적인 투자가 성과를 내며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IT 유통 부문의 매출 규모는 축소됐다. 3분기 IT 유통 부문 매출액은 397억원으로 전년 동기 488억원 대비 약 18% 감소했다. 다만 영업이익 자체는 지난해 5억원 손실을 보았던 것과 달리 5억원 수익을 내 흑자전환에는 성공했다. 유통 분야에서의 매출 부진은 통신 단말기, 게임 기기, 게임 타이틀 등 상품 매출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제조기업이 아닌 유통사로서 악화된 경기가 전년 대비 낮은 상품 판매율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형태준 대표가 지난달 30일부로 퇴임해 향후 이 자리를 누가 대체할 지 주목된다. 회사 측은 형 대표의 퇴임 사유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최근의 실적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형 대표는 지난 2022년부터 신세계 I&C를 이끌어왔다. 신세계I&C는 향후 IT 서비스와 유통 부문의 균형 잡힌 발전을 통해 실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DX 사업을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힘쓰고, 유통 부문에서는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신세계I&C 관계자는 "AI, 클라우드 등의 새로운 분야에 많은 노력을 들여 IT 서비스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시장을 창출하겠다"며 "IT 유통 분야에서는 기기 경쟁력 강화와 게임 타이틀 사업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24.11.15 11:17조이환

토스, 분기 최대 실적·흑자 냈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이 분기 최대 실적임과 동시에 분기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도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3분기 연결 영업수익은 5천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5% 증가했다. 3분기 연결 누적 영업수익은 1조4천163억원으로 2023년 한 해 연결 누적 영업수익 1조3천707억원을 상회한 수치다. 영업수익에서 영업비용을 뺀 영업이익은 3분기에 109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동기 514억 영업손실에서 두 배 가량 증가했다. 연결 당기순이익은 토스뱅크 매출까지 반영되면서 처음으로 분기 기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연결 당기순이익은 39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에는 571억원 당기순손실을 냈다. 토스에서는 전반적인 서비스가 고루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또 토스증권 등 계열사의 실적 호조가 일조했다. 토스증권은 3분기 영업이익은 해외 주식 위탁 매매 부문이 성장하면서 296억원으로 집계, 전년 동기(36억원)의 8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324억원으로 전년 동기(35억원) 대비 833% 늘었다. 3분기 토스증권의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은 지난해 대비 165% 늘었다. 토스 이승건 대표는 “토스 서비스의 고른 성장 및 계열사 및 관계사들의 실적 호조로 분기 최대 매출 달성과 더불어 분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다”라며 “매출과 수익성을 모두 확보하는 플랫폼 본연의 건강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2024.11.14 17:40손희연

빙그레, 영업이익 1.14% 감소... 소비 둔화 영향

빙그레가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둔화로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회사는 올해 3분기 매출액 4천637억9천675만원, 영업이익 646억7천788만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6.8%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1.14% 줄어든 수치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액 1조1721억1천528만원, 영업이익 1천306억4천544만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98%, 5% 가량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둔화에도 불구하고 해외 매출 성장·온라인 매출 증가, 더:단백 등 신규 브랜드 성장으로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됐다고 밝혔다.

2024.11.14 17:32류승현

농심, 3분기 매출·영업이익 모두 감소

농심이 내수와 중국 사업의 부진으로 영업이익과 매출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8천503억9천70만원, 영업이익 376억226만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64%, 32.46% 감소한 수치다. 이번 분기 매출에는 해외 사업이 크게 기여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국내 수출(33.5%)을 중심으로 ▲미국(1.4%) ▲일본(20.3%) ▲호주(15.4%) ▲베트남(20.4%)에서 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회사는 국가별 식문화를 고려해 라인업을 확대하고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을 진행한 효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다만 국내 내수와 중국 사업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국내 내수 사업은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시장 규모가 축소돼 스낵(6.6%), 음료(13.8%) 등 카테고리에서 감소폭이 컸다. 중국 사업은 현지 소비 침체가 이어지고, 온라인 채널 판매가 부진해 매출이 21% 감소했다. 회사는 이번 분기 영업이익 감소에 대해 판촉비 증가와 수출 비용 등 경영비용의 상승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4분기에는 신제품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큰 반응을 얻은 신라면 툼바를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출시하고, 10월부터 가동 시작한 미국 법인의 용기면 라인 증설로 매출과 이익을 개선하겠다고 설명했다. 회사의 분기 순이익은 369억3천528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18% 감소했다.

2024.11.14 17:28류승현

남양유업, 3Q 영업익 5억원…20분기 만에 흑자 전환

남양유업이 2019년 2분기 이후 20분기 만에 영업이익과 순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앤컴퍼니 체제 출범 6개월 만이다. 남양유업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5억900만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직전 분기 16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지만 흑자로 전환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4천만원을 기록하면서 흑자를 냈다. 3분기 매출은 2천427억원으로 전년 동기(2천542억원) 대비 4.5% 감소했다. 이번 흑자 전환은 최대주주 변경 이후 수익성 강화 중심의 경영 전략 덕분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책임 경영을 강화하고 일부 외식 사업 등 부진 사업 및 제품을 정리하면서 사업구조 재편과 원가 및 비용 절감 등 경영 쇄신 활동에 나섰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3분기 영업이익 흑자는 사업 재편, 원가절감 등 수익성 극대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책임 경영 강화, 주주 가치 제고 활동, 수익성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운영 등을 통해 경영 정상화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양유업은 지난 6월과 10월 각 약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공시한 바 있다. 지난 9월에는 자사주 4만269주(약 231억원)를 소각하며 주주 환원을 강화하고 있다.

2024.11.14 17:27김민아

원티드랩, 3분기 매출 97억원· 영업익 6억원

원티드랩은 3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97억원의 매출액과 약 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2.56% 줄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약 7억5천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약 8.0% 하락했다. 원티드랩의 전체 사업 중 채용사업 매출은 77억원을 기록했다. 기업 고객의 보수적 채용 심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견조한 사업 운영을 통해 안정적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을 확보했다. 특히 AI 등 고성장 산업 중심 기업 고객 및 AI 등 핵심 기술 직군 관련 공고 확장을 통해 평균 채용 수수료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 채용 수수료는 463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기업 고객 및 개인 회원수도 꾸준히 늘었다. 개인 회원 수는 351만 명에 이르며, 기업 고객 수는 회사의 AI 기술을 집약한 기업 채용 효율화 지원 도구인 AI 에이전트 도입에 힘입어 3만 개를 돌파했다. 신사업 매출은 20억원을 달성했다. 꾸준한 투자와 기존 채용 사업과의 연계 시너지를 통해 신사업의 매출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그동안 축적해 온 AI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인프라 구축 및 교육 사업을 꾸준히 수주하고 있으며, 내년도에 본격적인 매출이 예상된다. 3분기에는 첫 해외 투자도 단행했다. 지난해 원티드랩은 AI매칭을 통한 일본 채용시장 혁신을 위해 일본 IT 인재 커리어 매칭 기업 라프라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후 1년간 꾸준히 시너지를 검토해 왔다. 올해 8월 전략적 투자를 계기로 양사간 협업 수준을 강화하고, 시장 혁신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는 "설립 초기부터 AI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만들어 온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서 AI 기반 HR 시장에서 그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해 가고 있다"며 "4분기부터는 파트너사인 라프라스에 자사 AI 기술 이식을 본격화하는 등 일본 HR 시장 공략에도 공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14 15:41백봉삼

회장이 체질 정용진…이마트, 3분기 실적 급 반등

이마트가 3년 만에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지난 3월 정용진 회장이 취임한 이후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갔다. 이마트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천117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직전 분기 적자를 기록했지만,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같은 기간 3분기 매출은 7조5천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21조7천712억원, 영업이익 1천24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22% 급증했다. 별도 기준으로도 올해 3분기 총매출 4조6천726억원, 영업이익 1천22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3%, 11.4% 늘었다. 이는 올해 내내 진행해 온 본업 경쟁력 강화 노력의 결실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마트는 올해 '가격파격 선언'과 '가격 역주행' 프로젝트를 시행하며 가격 경쟁력을 재구축했다. 여기에 스타필드 마켓 죽전으로 대표되는 이마트의 공간 혁신 리뉴얼 작업이 기존 고객의 방문 증가는 물론 신규 고객 창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실제 스타필드 마켓 죽전은 지난 8월 29일 리뉴얼 개장 후 9월 말까지 방문한 고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약 49% 증가했고 신규 고객수는 180% 늘어났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신장했다.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2.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0% 늘어난 344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3개 분기 누적 영업이익도 지난해 대비 85% 늘어난 871억원을 기록했다. 전문점 사업 역시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수익성 위주의 구조 개편이 성과를 보이며 3개 분기 연속 1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뒀다. 온·오프라인 주요 자회사들 역시 수익성 개선 노력을 통해 3분기 연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SCK컴퍼니(스타벅스)는 아이스 음료를 중심으로 한 매출 호조와 운영 효율화를 통한 이익률 개선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3% 늘어난 664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SSG닷컴은 광고 수익 증가와 마케팅비 및 물류비 절감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142억원의 영업손익을 개선하며 3개 분기 연속 증익 흐름을 이어갔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3분기 영업이익 194억원을 기록하며 흑자기조를 유지했고, 신세계푸드는 사업 구조 개편 등 경영 효율화로 전년 동기 대비 7억원 늘어난 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마트24는 지난해 동기 대비 영업손익을 30억원을 개선하며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특히, '노브랜드 연계 편의점 모델' 도입에 따라 이마트24의 이 같은 수익성 개선의 흐름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가격 주도권 확보와 상품 혁신, 고객 중심의 리뉴얼 등 본업 경쟁력 강화가 실적 개선의 원동력임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본업에 초점을 둔 구조 개혁과 체질 개선을 지속 추진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14 09:47김민아

한전, 3분기 누계 5.9조원 영업이익 달성

한국전력(대표 김동철)은 3분기(연결기준) 결산 결과, 매출액 69조8천698억원, 영업비용 63조 9천241억원으로 영업이익 5조9천457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적자를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영업이익이 12조3천991억원 증가했다. 매출액은 요금조정 등으로 4조1천833억원 증가한 반면에 영업비용은 연료비·전력구입비 감소 등으로 8조2천158억원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1·5·11월 2023년 세 차례 요금 인상에 따른 전기판매수익 증가와 연료 가격 안정화로 5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발생했다. 전기판매수익은 전기 판매량이 0.8% 증가하고 지난해 세 차례 요금인상으로 판매단가가 6.9% 상승해 4조9천430억원 늘어났다. 자회사 연료비는 4조325억원이,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는 3조5천247억원 감소했다.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신재생 등의 발전량과 구입량은 증가했지만 석탄화력은 자회사 발전량과 민간 구입량 모두 감소했다. 연료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와 민간발전사 전력 구입비가 줄어들었다. 한전 측은 최근 중동 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고환율에 따른 에너지 가격이 불안정한 상황이지만 지난달 시행한 전기요금 인상으로 4분기 실적 개선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전 관계자는 “국민에게 약속한 자구노력을 철저하고 속도감 있게 이행하고, 전기요금의 단계적 정상화와 함께 전력구입비 절감 등 누적적자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11.13 14:52주문정

신세계푸드, 3분기 영업익 85억원…전년比 8.8%↑

신세계푸드는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85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9% 줄어든 3천854억원, 당기순이익은 9.7% 감소한 4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누적 기준 영업이익은 2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늘었다. 매출은 1조1천611억원을, 순이익은 1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13.1% 증가했다. 신세계푸드는 수익성, 효율성 중심의 사업 재편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했지만, 수익성 강화 및 경영 효율화 작업으로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한 체질 개선의 일환”이라며 “추후에도 수익성 강화 중심의 경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08 17:28김민아

백화점 3사, 3분기 수익 주춤…점포 새단장 전략으로 돌파

신세계·현대·롯데 등 국내 주요 백화점 3사가 오프라인 공간에 투자를 늘린 영향으로 3분기 수익성이 모두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일 현대백화점과 롯데쇼핑은 나란히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도 줄었지만 특히 영업이익 감소폭이 컸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매출은 1조3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7% 감소한 646억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만 놓고 봐도 수익성 감소는 확인됐다. 백화점 별도 영업이익은 7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고 매출 역시 5천683억원으로 2.1%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명품, 의류 카테고리 매출 부진과 커넥트현대 부산이 리뉴얼 공사로 영업을 일시 중단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부산 범일동이 위치한 현대백화점 부산점은 지난 7월 영업을 중단하고 9월 초 '커넥트현대 부산점'으로 재오픈했다. 롯데백화점 역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롯데쇼핑에 따르면 백화점의 3분기 매출은 7천553억원, 영업이익은 7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8%, 8% 줄었다. 주요점 리뉴얼로 인한 감가상각비 증가 및 구조 개선을 위한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여기에 9월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패션 수요가 감소한 것도 매출 및 영업이익을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앞서 롯데백화점은 수원점의 기존 면적 약 70%를 바꾸는 대규모 리뉴얼 작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본점과 인천점도 단계적으로 리뉴얼을 실시했다. 인천점은 지하 1층에 1천200평 규모의 초대형 프리미엄 뷰티관을 마련했고 본점은 스포츠&레저관을 리뉴얼했다. 가장 마지막으로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신세계 역시 주요 점포 리뉴얼 여파로 수익성이 뒷걸음질 쳤다. 신세계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5천4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9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4% 줄었다. 순이익 역시 40.8% 급감한 366억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의 3분기 매출은 6천1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883억원으로 4.8% 줄었다. 강남점과 대구점, 타임스퀘어 등 주요 점포 리뉴얼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가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대규모 리뉴얼이 수익성을 끌어 내렸지만 백화점 3사는 오프라인 공간 재단장에 투자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은 실적과 함께 밸류업 계획을 발표했다. 더현대 광주·부산 프리미엄아울렛 등 신규 출점 확대를 중심으로 한 사업 확장과 자회사인 면세점·지누스의 사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특히 더현대 광주에 1조2천억원, 부산 프리미엄아울렛에 7천억원을 각각 투자할 방침이다. 롯데백화점도 최근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2030년까지 국내외 쇼핑몰 사업에 7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신규 출점과 기존 점포 리뉴얼을 통해 타임빌라스를 확대하고 현재 1% 수준인 쇼핑몰 매출 비중을 30%로 끌어올린다는 것이 목표다. 신세계 역시 지속 성장을 위해 차별화된 오프라인 공간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4분기에도 본점 본관 '신세계 스퀘어' 신규 공개를 비롯해 다양한 콘텐츠를 앞세워 성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2024.11.08 16:28김민아

GS샵, 3분기 영업익 186억원…전년비 2.7% 감소

GS리테일의 홈쇼핑 부문인 GS샵이 3분기 다소 주춤한 실적을 보였다. 7일 GS샵은 3분기 매출 2천510억원, 영업이익 1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 2.7% 감소한 수치다. 회사는 TV시청 인구 감소 영향 등 힘겨운 업황 속에서 매출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 또한 취급액이 감소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27억원 줄었다. 취급액은 9천4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줄었다. TV에서 출시되는 신상품 수는 134개로, 전년 동기 대비 32.7% 늘었다.

2024.11.07 22:14안희정

KBO 효과로 적자폭 감소...티빙, "계정 공유 금지 검토"

티빙이 한국프로야구(KBO) 단독 중계 효과에 힘입어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티빙은 연내 손익분기점을 달성할것으로 기대했다. 티빙은 가입자 확보를 위해 계정 공유 금지 정책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티빙은 3분 매출 1천213억원, 영업손실 71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55% 증가, 22.7% 감소한 수치다. 영업손실의 경우 지난해 대비 약 241억원으로 줄어든 것이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이날 CJ ENM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는 KBO에 대한 투자를 감안해도 적자를 많이 줄였고 가입자는 지속적으로 늘었다"며 "광고 매출이 전체적인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올 3분기 처음으로 영업손실 100억원 이하를 기록했다"며 "올해 안으로 손익분기점(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티빙은 온라인 독점 중계권을 확보하면서 가입자 수가 대폭 늘었다. 모바일인덱스 기준 3분기 월간활성화이용자지수(MAU)는 780만명을 돌파했으나 KBO리그 시즌 종료에 따라 가입자 이탈 우려도 있다. 최 대표는 이에 대해 "KBO리그가 끝나고 트래픽 추이를 확인했는데, 현재 야구 시즌 기준 경기가 없는 매주 월요일 정도의 트래픽을 유지하고 있다"며 "전체적으로 야구 시즌 트래픽 5~10%가 빠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야구 경기를 중계하지 않은 올해 2~3월 대비 일간활성화이용자지수(DAU) 기준 10% 이상 높은 점수"라며 "약 20% 정도는 이탈할 우려가 있어, 지속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티빙은 내년 콘텐츠 강화에 지속적으로 신경쓰는 한편 스포츠 중계를 계속 차별화해 더 많은 트래픽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러한 트래픽을 '광고 비즈니스'로 연결해 수익화 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최 대표는 "트래픽을 광고 비즈니스로 수익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다양한 티빙 내 차별화된 서비스 또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티빙은 가입자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확대하기 위해 '계정 공유 금지정책'을 검토중이다. 앞서 지난해 글로벌 OTT 넷플릭스는 계정공유 금지 정책을 시행한 후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매출이 증가했다. 최 대표는 "넷플릭스가 전세계 계정 공유 금지를 단행하면서 15~20% 가입자 증가를 이끌었다"며 "티빙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11.07 16:55최지연

두바이 초콜릿 통했다…BGF리테일, 3Q 매출·영업익 모두 증가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두바이 초콜릿, 생과일 하이볼 등 트렌드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BGF리테일은 7일 공시를 통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조3천256억원, 영업이익 91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4%, 4.8% 증가한 수치다. 누적 기준 매출은 6조4천8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줄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비우호적인 날씨와 소비심리 위축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며 “우량 신규점의 개점이 이어졌고 특히 두바이 초콜렛, 생과일 하이볼, 간편식, 득템 시리즈 등 업계 트렌드를 이끄는 차별화 상품들이 빅히트를 치며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꾸준한 사업 효율화를 추진해 임차료·물류비·인건비 등 고정비 증가율이 둔화되며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2024.11.07 15:39김민아

현대그린푸드, 분기 최대 실적…단체 급식 및 외식사업 호조

현대그린푸드가 단체급식과 외식사업 호조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그린푸드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해외 법인 포함) 매출 6천16억원, 영업이익 383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 35.3% 늘어난 수치로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누적 기준 매출은 1조7천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고 영업이익은 1천20억원으로 17.8% 증가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주력사업인 단체급식 식수 증가와 더불어, 이탈리·텍사스 로드하우스 등 외식사업 매출도 호조세가 이어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대그린푸드는 기업 가치 제고 계획도 공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자본이익률(ROE) 11% ▲주가순자산비율(PBR) 0.8% ▲주주환원율 40% 수준 등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25년 이후 현금배당을 200억원으로 늘리고 중간배당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2028년까지 매년 2% 수준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매입연도가 속하는 사업연도 내에 자사주를 소각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와 함께 내년 2월 7일까지 자사주 74만5천374주를 취득한 뒤 소각하겠다고 공시했다. 주당 500원으로 소각 예정 금액은 91억7천555만3천940원이다.

2024.11.07 15:10김민아

현대백화점, 3분기 영업익 전년比 12.7% 감소

현대백화점의 3분기 영업이익이 1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뜻한 날씨가 길어지면서 명품, 의류 카테고리가 부진한 영향이다. 7일 현대백화점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1조36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7% 감소한 646억원으로 나타났다. 백화점과 면세점이 모두 부진하면서 전체 영업익을 끌어내렸다. 백화점 부문의 3분기 매출은 5천6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710억원으로 집계됐다. 명품, 의류 카테고리 매출이 부진하면서 실적이 감소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면세점 부문은 중국 관광객의 회복세 둔화 등에 따른 시내면세점 실적 부진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한 2천282억원, 영업손실은 80억원으로 적자를 이어갔다. 면세점은 지난해 4분기 이후로 4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다. 지누스의 3분기 매출은 2천729억원, 영업이익 1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3.2%, 277.1% 늘었다. 포장 사이즈가 개선된 신제품 출고 정상화에 따른 주요 고객사 발주 회복 효과 덕분이다.

2024.11.07 11:13김민아

KT스카이라이프, 3분기 영업익 18억…전년비 32.5%↓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HCN+스카이라이프TV)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천569억원, 영업이익 18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0.5%, 32.5% 줄었다. KT스카이라이프 측은 "콘텐츠 투자로 인한 무형자산 상각 비용이 이월되면서 3분기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별도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1천773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했고, 영업이익은 1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인터넷과 모바일 가입자 순증으로 통신서비스 매출이 성장했지만 TV서비스 매출은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방송발전기금의 평탄화(비용을 연간 균등하게 나눠 반영) 효과가 반영되며 늘었다. 전체 가입자는 578만명으로 전년 동기(582만명)와 비교해 0.7% 줄었다. 판매수수료 효율화와 수익성 위주의 가입자 모집으로 신규 가입자 규모가 축소됐다. ENA 채널은 분기 시청률 9위(수도권2049 채널 시청률 순위)로 톱10 순위권을 유지했다. 이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방영됐던 2022년 3분기와 같은 순위다. 이를 바탕으로 스카이라이프TV는 유료방송 광고시장 점유율 6.2%를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치를 갱신했다. 스카이라이프는 7월 호각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며 아마추어 'AI 스포츠' 플랫폼 사업에 진출했다. 스카이라이프는 AI OTT 신사업에 당사의 방송통신 노하우를 접목해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조일 KT스카이라이프 CFO는 “인터넷과 모바일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ENA채널의 시청률 호조로 스카이라이프TV의 광고시장 점유율도 최대치를 달성했다”며 “TPS 상품 가입자 확대와 'AI스포츠' 상용화로 수익성을 개선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2024.11.06 11:35최지연

내년 메타 AI 인프라 비용 급증…투자자들 '불안'

메타의 주가가 3분기 우수한 시장 실적에도 불구하고 소폭 하락했다. 내년에 인공지능(AI) 투자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다. 3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메타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대폭 초과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405억8천900만 달러(한화 약 56조원)를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난 157억 달러(한화 약 17조원)를 기록했다. 동시에 메타는 내년에 AI 관련 인프라 비용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올해 지출 전망이 960억(한화 약 132조원) 달러에서 980억 달러(한화 약 135조원)로 제시된 데 비해 내년에는 인프라 확장과 감가상각 비용이 더해져 지출이 크게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소식에 회사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2.9% 하락했다. 메타는 AI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인프라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클라우드 서비스 수익 모델이 아닌 메타의 특성상 투자 수익이 당장 가시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회사의 핵심 수익원인 소셜 미디어 광고 부문이 AI 투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디지털 광고 비중이 높은 메타의 경우 연말 쇼핑 시즌 중 광고 수요 증가가 수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광고 분석가들은 메타가 AI 광고의 정밀성을 활용해 광고 수익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광고 수익 증가가 AI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스민 엔버그 이마케터(Emarketer) 수석 애널리스트는 "메타는 증가하는 AI 비용을 감당할 수 있음을 입증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며 "광고 사업의 성장세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할 경우 투자자들은 더욱 불안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4.10.31 09:07조이환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지금 뜨는 기사

이시각 헤드라인

블록체인 가상자산, '입법지연·예산삭감·규제' 악순환 끊어야

[AI는 지금] 대선후보들 'AI 전쟁' 돌입…기술 주권부터 전력 인프라까지 격돌

한화 김동선 진두지휘 ‘벤슨' 뭐가 다른가…‘100% 국내산 유제품'

SKT "정보 유출 없다 '확신'...있더라도 끝까지 책임"

ZDNet Power Center

Connect with us

ZDNET Korea is operated by Money Today Group under license from Ziff Davis. Global family site >>    CNET.com | ZDNet.com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DB마케팅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 보호정책
  • 회사명 : (주)메가뉴스
  • 제호 : 지디넷코리아
  • 등록번호 : 서울아00665
  • 등록연월일 : 2008년 9월 23일
  • 사업자 등록번호 : 220-8-44355
  • 주호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111 지은빌딩 3층
  • 대표전화 : (02)330-0100
  • 발행인 : 김경묵
  • 편집인 : 김태진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청소년보호책입자 : 김익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