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김, 내 고향은 육지다"
'육지에서 자라는 김이 있다?' 풀무원이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을 활용해 처음으로 '육상 김'이 들어간 음식을 내놨다. 육상 김 양식은 김을 육지에서 양식하는 기술이다. 바이오리엑터(생물 반응조)로 불리는 큰 수조 안에서 김을 재배하고 수확해 상품화하는 방식이다. 수조 안에는 바다와 동일한 김 생육 환경이 조성된다. 빛과 수온·염도·수소이온농도(pH) 등 여러 조건이 관리된다. 풀무원이 육상 김 양식에 주목한 건 수온 상승과 바다의 중금속 오염 등이 화두가 되면서부터다. 풀무원 측은 "해수온 상승, 영양염 고갈, 잦은 태풍 등으로 해상양식을 통한 양질의 김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2021년부터 육상 양식 기술 개발을 진행해왔다"며 "2022년 전라북도와 수산양식분야 공동연구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설명했다. 육상 김 양식으로 일정한 품질의 김을 연중 생산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해상서 자라는 김은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만 생산이 가능하지만 육상 김 양식은 생육 온도(3~10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생물 반응조에 유엽을 넣어서 수확하는데까지 약 2주의 기간이 소요되며 연간 24회 수확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비용 부담에 대해 풀무원은 일반 김을 자라게 하는 것과 비교해 더 효율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풀무원 측은 "일반 김 대비 육상양식 김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00배 높고, 연중 자동으로 생산, 수확 등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성은 높다"며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기 위한 시설들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 높아 정부 및 지자체 등의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풀무원은 충북 오송에 위치한 풀무원기술원에서 올해 3월 육상수조식해수양식업 허가를 취득하고, 허가 받은 시설 내에서 월 10kg 이상의 육상 양식 물김을 생산 중이다. 지금 나온 제품은 '들깨물김칼국수'에 들어간 김이다. 이번 메뉴 출시로 단백질 함량이 우수한 육상 양식 물김을 풀무원의 비건 인증 레스토랑에서 연중 나올 예정이다. 또, 향후 3년 내 육상 김 양식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다만 드라마 '지배종' 처럼 겪는 갈등과 혼란을 피하기 위해 풀무원은 어민들에게 보급형 김 육상양식 모델을 개발하여 기술을 이전하고, 실제 어민들이 생산된 김을 가공해 판매하는 한다는 것이 목표다. 나아가 육상 김 양식을 통해 해외 맞춤형 원물도 생산할 작정이다. 풀무원기술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풀무원은 지속가능한 바른먹거리 수산양식 기술을 기반으로 육상 양식 김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향후 제품 출시를 통해 소비자 만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