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예술적인 車…피겨선수 차준환 같아"
푸조가 올해 내연기관 모델들을 모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으로 교체한다. 우선 투입하는 푸조 308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하반기 중 408과 3008을 고객에게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푸조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마일드하이브리드(MHEV)로 분류되지만 순수전기 주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방실 스텔란티스코리아 사장은 9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그라운드비에서 '푸조 스마트 하이브리드 테크 아카데미'를 개최하고 "경쟁 모델이 군인 같다면 308 하이브리드는 차세대 피겨스타 차준환 선수와 비슷한 느낌"이라며 "굉장히 예술적으로 표현을 하면서도 파워를 보여줄 수 있는 그런 느낌의 차"라고 밝혔다. 푸조 308은 1.2퓨어테크 가솔린 엔진과 e-DCS6 기어박스, 48볼트(V) 배터리를 장착한 MHEV 차종이다. MHEV는 전기 모터가 엔진 벨트에 연결돼 전기로만 주행이 불가한 형식을 뜻하지만 푸조는 순수 전기로 도심 주행을 가능하게해 색다른 주행감을 제공한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EMP-2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48V 배터리는 조수석 시트 아래쪽에 위치해 트렁크나 탑승 공간에 영향을 최소화했다. 이같은 배터리 위치는 엔진룸과 가까이 배치해 배선 길이가 짧아 에너지 손실이 감소했고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도 보인다. 김병희 스텔란티스코리아 트레이닝 매니저는 "내연기관과 순수전기로 모두 구동하는 느낌을 308 하이브리드가 48V를 가지고 구현해 냈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며 "기존 MHEV에 들어갔던 모터들은 엔진을 보조하는 수단에 그쳤다고 하면 푸조는 전동모터만으로 변속기를 구동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일반적인 MHEV 차량과 달리 전동 모터를 변속기 안에 장착했다. 이를 통해 엔진과 변속기를 클러치로 분리를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 덕분에 48V의 작은 크기 배터리로도 전동 모터로 변속기를 구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의 장점은 또 있다. 푸조는 경량화를 위해 308의 엔진을 1.2퓨어테크 가솔린 엔진으로 장착했다. 이에 따라 정지 상태나 도심 주행에서 저속 RPM에 반응성이 느렸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전동 모터의 지원으로 저속에서도 힘을 받쳐주는 효과가 있다. 48V의 배터리는 리튬이온 저전압으로 화재에도 위험성이 높지 않다. 또한 전동화 전용 변속기와 엔진 조화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도 감소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푸조와 펀치 파워트레인이 프랑스 현지 합작법인을 세워 생산하고 있다. 김병희 매니저는 "엔진을 구동할 때 48V 벨트 스타트가 작동해 엔진을 구동한다"며 "일반적으로 스타터가 엔진을 구동하는 것보다는 훨씬 빠르고 신속하게 시동이 걸리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알뤼르 3천990만원, GT 4천650만원이다. 파워트레인이 하이브리드화될때 평균적으로 1천만원 이상 가격이 인상되는 추세지만 푸조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기술로 가격 상승을 310만원대로 낮췄다. 방 사장은 "국내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경우 가솔린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 가격의 차이는 1천400만원 정도로 형성돼 있다"며 "환율 등과 고려 했을때도 310만원 인상으로 가격을 내놓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국내 가격이 가장 싸다. 푸조가 프랑스와 영국에서 판매하는 308 하이브리드는 환율 기준 프랑스는 얼루어 5천120만원, GT 5천706만원으로 국내 가격이 1천130만원(22%), 1천56만원(19%)가량 저렴하다. 영국은 2천만원대 이상 비싸다. 방 사장은 "딜러사와 스텔란티스코리아가 마진을 최소화하면서 가격을 만들어냈다"며 "이제 위탁 판매를 시작하면서 여기저기 쇼핑해 볼 필요 없이 저희 원프라이스 정책으로 구매를 편하게 하실 수 있도록 합심해서 만들어낸 가격대"라고 강조했다. 스텔란티스코리아는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위탁판매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이는 전국 전시장 어디서든 통일된 가격과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지난해 브랜드 전체 판매량 42%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인도가 2분기 중 시작돼 10%대로 전망하고 있다.